KR20170051345A - 치과 치료 또는 검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치과 치료 또는 검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1345A
KR20170051345A KR1020160142280A KR20160142280A KR20170051345A KR 20170051345 A KR20170051345 A KR 20170051345A KR 1020160142280 A KR1020160142280 A KR 1020160142280A KR 20160142280 A KR20160142280 A KR 20160142280A KR 20170051345 A KR20170051345 A KR 20170051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contact
instrument
inspection
exa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2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1298B1 (ko
Inventor
리차드 뷔르크
요하네스 사우터
Original Assignee
칼텐바흐 앤드 보이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텐바흐 앤드 보이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칼텐바흐 앤드 보이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051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07Control devices or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07Control devices or systems
    • A61C1/0015Electrica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2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 A61C1/05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with turbine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4Dental work stand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26Measuring inductance or capacitance; Measuring quality factor, e.g. by using the resonance method; Measuring loss factor; Measuring dielectric constants ; Measuring impedance or related variables
    • G01R27/2605Measuring capacitan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phys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치료 또는 검사 기구(2, 2')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치료 또는 검사 기구(2, 2')에 결합된 공급 장치(3)도 포함하는 치과 치료 또는 검사 시스템(1)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시스템(1)은 상기 복수의 치료 또는 검사 기구(2, 2')로부터 선택된 기구(2)의 접촉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4)을 구비하며, 상기 기구의 작동을 위해서 상기 공급 수단을 상기 선택된 치료 또는 검사 기구(2)의 식별된 접촉의 함수로서 초기화한다. 접촉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4)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공급 장치(3)가 자동적으로, 예를 들어, 관련된 기구(2)를 위한 활성화 또는 파라미터화 선택 요소들을 사용할 수 있게 하고 그리고/또는 적절한 매체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상황을, 시스템(1)의 사용자 부분에 대한 더 확장된 조작이 요구되는 않는 상태에서, 달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작동이 용이해 진다.

Description

치과 치료 또는 검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작동 방법{DENTAL TREATMENT OR EXAMINATION SYSTEM AND ALSO METHOD FOR THE OPERATION OF SUCH A SYSTEM}
본 발명은 치과 치료 또는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또한 그 시스템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과 치료 또는 검사 시스템은 종래 기술로부터 치과 치료 장치의 형태로 공지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이러한 치과 치료 장치는 치과 기구용 복수의 유사 진동 기구 홀더(quiver-like instrument-holder)를 구비한 소위 치과 의사용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기구들 중 하나가 그의 기구 홀더에서 제거된 것을 식별하기 위해서, 또는 상기 기구들 중 하나를 그의 작동을 초기화하기 위해 선택하기 위해서, 기구 홀더의 영역에 배치된 마이크로스위치, 리드 접촉부, 또는 압력 스위치 혹은 별도의 사전 선택 스위치를 사용한다. 이러한 마이크로스위치, 리드 접촉부, 또는 압력 스위치를 치료 장치에 통합시키는 것은 비교적 높은 수준의 비용과 연결된다. 별도의 사전 선택 스위치에는 비교적 불편한 조작이 포함된다.
이를 위해서 어떤 파라미터, 예를 들어 모터 속도가 기구들 중 하나에 대해 프로그래밍되는 경우, 먼저, 그 기구를 그의 기구 홀더에서 떼어놓음으로써 혹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메뉴를 이용함으로써, 그 관련 기구를 선택하거나 사전에 선택해야 한다. 이들 둘 다 조작의 관점에서 증가된 수준의 비용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근원적인 목적은 대응하는 개선된 치과 치료 또는 검사 시스템, 특히 간단하게 생산할 수 있으면서 개선된 조작 편의성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명기하는 것이다. 또한, 치과 치료 또는 검사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대응하는 방법이 명기된다.
이 목적은 독립 청구항에 언급된 요지를 갖는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에 명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치료 또는 검사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치료 또는 검사 기구에 결합된 공급 장치도 포함하는 치과 치료 또는 검사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치료 또는 검사 기구로부터 선택된 기구의 접촉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공급 수단은 상기 선택된 치료 또는 검사 기구의 작동을 위해서 상기 선택된 치료 또는 검사 기구의 식별된 접촉의 함수로서 초기화된다. 이러한 초기화는, 예를 들면, 선택된 치료 또는 검사 기구를 위해서 활성화 또는 파라미터화 선택 요소들(options)을 사용할 수 있게 만들고 그리고/또는 예를 들어 공기 또는 물과 같은 매체를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된 치료 또는 검사 기구를 제어 장치의 전력 출력부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도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한 초기화를 의미한다.
접촉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공급 장치가 자동적으로, 예를 들어, 관련된 치료 또는 검사 기구, 즉 접촉에 의해 선택된 치료 또는 검사 기구를 위한 활성화 또는 파라미터화 선택 요소들을 사용할 수 있게 하고 그리고/또는 적절한 매체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상황을, 치료 또는 검사 시스템의 사용자 부분에 대한 더 확장된 조작이 요구되는 않는 상태에서, 달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작동이 용이해 진다.
이와 관련하여 접촉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용량성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량성 센서는 특히 접촉 식별에 적합하다. 또한, 이렇게 해서, 이러한 경우에, 대응하는 마이크로스위치, 리드 접촉 또는 압력 스위치 등이 요구되지 않는 상황을 얻을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시스템 제조의 용이성 및 비용 효율성과 관련하여 유리하다.
이와 관련하여 구성되는 치료 또는 검사 기구는 바람직하게는 접촉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이 선택된 치료 또는 검사 기구 - 또는 간단히 표현해서 기구 - 의 하우징 또는 하우징의 라인으로의 용량성 결합을 평가하도록 하며, 상기 용량성 결합이 특히 리플 또는 간섭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확인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접촉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이 치료 또는 검사 기구의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평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촉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은, 공급 장치에 배치되고 센서 라인에 의해 치료 또는 검사 기구에 연결된 평가 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해서, 센서 라인은 또한 치료 또는 검사 기구를 위한 전류 공급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료 또는 검사 기구의 접촉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은 또한, 적용 가능한 경우, 기구에 통합될 수 있다.
치료 또는 검사 시스템은 선택된 치료 또는 검사 기구의 접촉 식별이 그 선택 가능한 치료 또는 검사 기구의 비작동 상태에서만 수행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해서, 기구로 작업하는 동안에 매체의 공급이 차단되는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급 장치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거나, 또는 선택된 치료 또는 검사 기구의 작동 파라미터의 표시가 실행되는 디스플레이에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표시가 선택된 치료 또는 검사 기구의 접촉 식별의 함수로서 실행되도록 한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해서, 작동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해서 관련된 치료 또는 검사 기구를 다른 조작에 의해, 예를 들어 사전 선택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우선적으로 선정 또는 선택해야 하는 상황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복수의 치료 또는 검사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치료 또는 검사 기구에 결합된 공급 장치도 구비하는 치과 치료 또는 검사 시스템의 작동 방법이 제공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복수의 치료 또는 검사 기구의 접촉이 모니터되고, 상기 선택된 치료 또는 검사 기구의 작동을 위해서 상기 공급 장치가 상기 치료 또는 검사 기구들 중 한 기구의 식별된 접촉의 함수로서 초기화된다. 그 결과, 관련 기구의 선택, 즉 선정은 전적으로 이 기구의 접촉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는다. 이렇게 해서 상기 시스템의 작동이 용이해 진다.
본 발명에 따른 초기화는, 예를 들면, 선택된 치료 또는 검사 기구를 위한 활성화 또는 파라미터화 선택 요소들을 사용할 수 있게 만들고 그리고/또는 예를 들어 공기 또는 물과 같은 매체를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된 치료 또는 검사 기구를 제어 장치의 전력 출력부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도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초기화 과정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치료 또는 검사 기구들 중 한 기구의 접촉을 식별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용량성 센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관련해서 접촉을 식별하기 위해, 관련된 치료 또는 검사 기구의 하우징 또는 하우징의 라인으로의 용량성 결합을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용량성 결합은 특히 리플 또는 간섭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확인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접촉을 식별하기 위해, 관련된 치료 또는 검사 기구의 커패시턴스의 변화가 평가된다.
치료 또는 검사 기구들 중 한 기구의 접촉 식별은 그 관련된 치료 또는 검사 기구의 비작동 상태에서만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급 장치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거나, 또는 치료 또는 검사 기구들 중 한 기구의 작동 파라미터의 표시가 실행되는 디스플레이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표시는 관련된 치료 또는 검사 기구의 접촉 식별의 함수로서 실행된다.
아래에서는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움을 받으면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 또는 검사 기구의 기본적인 개략적 겨냥도이다.
도 2a는 접촉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의 가능한 실시예의 겨냥도이다.
도 2b는 접촉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의 또 다른 가능한 실시예의 겨냥도이다.
도 3a는 기구의 가능한 실시예의 겨냥도이다.
도 3b 내지 도 3d는 기구의 또 다른 가능한 실시예들의 겨냥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가능한 표시의 겨냥도이다.
도 5는 스위치 절환 매트릭스의 가능한 실시예의 겨냥도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치료 또는 검사 시스템(1) - 이하에서는 간단히 시스템(1)이라고도 칭함 - 의 개략적 겨냥도가 도시되어 있다. 시스템(1)은 특히 치과 치료 장치의 형태일 수 있다. 시스템(1)은 복수의 치료 또는 검사 기구(2, 2') - 이하에서는 간단히 기구(2, 2')라고도 칭함 - 를 구비한다. 시스템(1)은 기구(2, 2')가 사용되지 않는 시간 동안 기구(2, 2')를 보관하기 위해 제공되는 기구(2, 2')용 기구 홀더(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기구 홀더는, 예를 들면, 치료 장치의 소위 치과 의사용 요소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기구 홀더는 예를 들어 치과 의사인 시스템(1) 사용자가 기구(2)를 한 손만으로도 쉽게 떼어놓을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기구(2, 2')는, 예를 들면, 치과용 전기 모터 핸드피스 또는 치과용 터빈, 치과용 카메라, 초음파 장치, 또는 압축 공기로 작동되는 기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1)은, 기구(2, 2')에 결합되고 특히 기구(2, 2')에 공기 및/또는 물 및/또는 전류와 같은 매체를 특히 기구(2, 2')에 연결된 공급 라인(5, 5')에 의해 공급하도록 구성된 공급 장치(3)를 포함한다. 또한, 공급 장치(3)는 바람직하게는 기구(2, 2')의 작동을 위해 그 기구(2, 2')를 위한 활성화 또는 파라미터화 선택 요소들을 사용할 수 있게 만들도록 구성된다. 활성화 및 파라미터화 선택 요소들은, 예를 들면, 전기 모터 핸드피스의 경우에 모터 속도를 예로 들 수 있는, 설정 파라미터들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소위 발 작동식 시동 스위치(foot-actuated starting switch)의 도움으로 모터 속도를 설정하는 것과 같은, 대응하는 활성화 가능성을 가능하게 만드는 것은,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한 공급 장치의 초기화를 의미한다.
또한, 시스템(1)은 기구(2, 2')의 접촉, 특히 사람의 손에 의한 접촉을 식별하는 수단(4)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시스템(1)을 구성함에 있어서는, 공급 장치(3)가 선택된 기구의 작동을 위해, 선택된 기구(2)의 접촉, 즉 식별 수단(4)에 의해 식별된 접촉의 함수로서, 자동으로 초기화되도록 하고, 이 경우에, 예를 들어, 선택된 기구(2)를 위한 활성화 또는 파라미터화 선택 요소들 및/또는 매체를 사용할 수 있게 만들도록, 구성한다. 특히, 해당 기구(2)의 접촉이 식별 수단(4)에 의해 식별되자마자 공급 장치(3)가 선택된 해당 기구(2)의 활성화 또는 파라미터화 선택 요소들 또는 매체를 사용할 수 있게 만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1) 사용자는 기구들(2, 2') 중 한 기구를 그에 단순히 접촉함으로써 선택할 수 있는데, 시스템(1)은 기구들(2, 2') 중 한 기구에 대한 그러한 접촉이 식별 수단(4)에 의해 식별되고, 그 결과, 공급 장치(3)가 활성화 또는 파라미터화 선택 요소들 및/또는 매체를 해당 기구(2), 즉 상기 접촉에 의해 선택된 기구(2)를 위해 사용할 수 있게 만들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해서, 시스템(1) 사용자, 즉 예를 들어 치과 의사가 기구(2)로 작업하기 위해 해당 기구(2)에 접촉하자마자, 즉 대응하는 기구 홀더에서 해당 기구를 떼어놓자마자, 선택된 기구(2) - 아래에서는 간단히 기구(2)라고도 함 - 가 공급 장치(3)에 의해서 그에 상응한 방식으로 매체를 공급받거나, 또는 활성화 또는 파라미터화 선택 요소들이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지는 상황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기구(2)의 상응한 선택과 그 기구(2)의 작동을 위해 그 기구에 일치하는 공급 장치(3)의 초기화가 외견상 자동으로 실행된다. 사용자가 기구(2)를 선택하기 위해 이 이상의 시스템(1) 조작을 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특히, 사용자는 시스템(1)을 특히 직관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기구의 접촉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들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욱더 상세히 설명하는데, 여기서 그 수단들은 복수의 기구를 위해 실현되고 이상적으로는 치료 장소에 있는 모든 기구들을 위해 실현된다는 것은 명백하다.
접촉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4)은 용량성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특히 기구(2)의 접촉을 검출하기에 아주 적합하다. 특히, 이렇게 해서, 서두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것과 같은 대응하는 전자기 스위치를 구비시키는 것을 피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종래 기술에 비해 특히 비용 효율적인 생산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이와 관련하여, 접촉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4)이 기구(2)의 하우징 또는 하우징의 라인으로의 용량성 결합을 평가하도록 하고, 접촉 시에 상당히 증가하는 리플 또는 간섭 전압을 특히 측정함으로써 상기 용량성 결합이 확인되도록 하는 구성이 또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접촉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4)이 기구(2)의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평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완 발진기(relaxation oscillator), 전하-이동(charge-transfer) 방법, 전하-시간(charge-time) 측정 등과 같은 적합한 공지 방법이 커패시턴스 측정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고유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두 개의 대응하는 라인이 있는 경우, 결합되는 커패시턴스를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접촉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4)이, 공급 장치(3)에 배치되고 센서 라인에 의해 기구(2)에 연결된 평가 유닛을 포함하는 경우, 특히 적합한 커패시턴스 식별이 가능해진다. 센서 라인은, 예를 들어, 특히 그를 위해 설계된 라인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데,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어쨌든 위와 같이 존재하는 기구(2)를 위한 전류-공급 라인에 의해, 즉 예를 들어 상기 공급 라인(5)에 의해 형성된다. 이 경우, 센서 라인은 예를 들면 모터-위상 라인, 또는 기구(2)의 광원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라인일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시스템(1)은 또한, 공급 라인(5, 5')에 연결되며 또한 접촉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4)에도 연결되는 스위치 절환 매트릭스(switching matrix)(8)를 구비한다. 이 경우, 접촉을 식별하거나 또는 용량성 기구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4)이, 스위치 절환 매트릭스(8)에서, 선택된 기구(2)에 연결된 공급 라인(5)의 그 라인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기구(2)의 접촉이 상기 수단(4)에 의해 식별되자마자, 그 식별은 상기 수단(4)에 의해서 시스템(1)의 제어 유닛(7)으로 전달된다. 접촉이 식별된 경우, 제어 장치(7)는 접촉이 식별되자마자 기구(2)를 위한 활성화 또는 파라미터화 선택 요소들 또는 매체를 사용할 수 있게 만든다. 적합한 매체를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에는, 적합한 공급 전류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 또는 선택된 기구를 제어 장치(7)의 전력 또는 전류 공급 출력부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공급 장치(3)가 디스플레이(6)를 구비하거나, 또는 기구(2)의 작동 파라미터의 표시가 실행되는 디스플레이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표시는 기구(2)의 접촉 식별의 함수로서 실행된다. 이와 관련하여, 시스템(1)의 구성은, 디스플레이(6)가 기구(2)의 작동 파라미터들을 설정하기 위한 조작자 인터페이스로 구성되도록 하고, 특히 활성화 또는 파라미터화 선택 요소들이 디스플레이(6)에 표시되거나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또한 바람직하다.
이 경우, 기구(2)의 모터가 작동되는 동안에는 접촉 검출이 실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개괄적으로 말하자면, 기구(2)의 접촉 식별은 기구(2)의 비작동 상태에서만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기구(2)로 작업하는 동안에는 매체 공급이 차단되지 않도록 보장하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도시된 예에서는, 원하는 정보, 즉 예를 들어 기구(2)를 위한 파라미터화 선택 요소들이 각각의 적용에 따라서 제어 장치(7)에 의해서 디스플레이(6)에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면, 예를 들어 전기 모터 핸드피스의 경우, 소위 발 작동식 시동 스위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시동 명령이 기구(2)에 제공되고, 스위치 절환 매트릭스(8)에 의해 기구(2)의 모터가 출력단에 연결되어, 시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가 작동되는 동안에는 접촉 검출이 실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구(2)의 모터가 정지된 후에는, 스위치 절환 매트릭스(8)가 다시 개방되고, 이때는 접촉 검출이 다시 활성화된다. 현재의 접촉 상태가 검출되어, 제어 장치(7)로 전달된다.
따라서, 시스템(1)을 작동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a) 기구(2, 2')의 접촉을 모니터하는 단계와, (b) 기구의 작동을 위해서, 그에 따라 예를 들어 활성화 또는 파라미터화 선택 요소들을 기구들 중 한 기구(2)를 위해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공급 장치(3)를 상기 한 기구(2)의 식별된 접촉의 함수로서 초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관련 파라미터들 또는 파라미터화 선택 요소들 모두를 디스플레이(6)에 표시되고 사용자가 기구(2)에 접촉하자마자 편집할 수 있게 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서두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에서의 경우와 같이 메뉴를 통해 클릭하거나 사전 선택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정교한 방식을 필요로 함이 없이, 기구(2)에 대한 "접촉 유사" 조작이 가능해 진다. 따라서, 특히 편안한 조작이 가능해 진다.
시스템(1)은 두 개 또는 이보다 더 많은 대응하는 기구들(2, 2')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시스템(1)은 임의의 개수의 대응하는 기구들(2, 2')을 구비할 수 있다.
식별 수단(4)을 사용함으로써, 기구들(2, 2') 중 어느 기구가 접촉되었는지 자동으로 식별되고, 이 경우에, 시스템(1)은 그 후 즉시, 접촉된 기구(2)를 위해 이에 대응하는 활성화 또는 파라미터화 선택 요소들 또는 매체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도 2a에는 접촉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4)의 가능한 구성의 겨냥도가 도시되어 있다. n 개의 기구(2, 2')가 마련되며, n 개의 기구(2, 2') 각각에 대해 하나의 식별 장치(41, 42)가, 즉 첫 번째 식별 장치(41)에서부터 n 번째의 식별 장치(42)까지 총 n 개의 식별 수단(41, 42)이 상기 수단(4)으로 형성된 사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한편으로는 n 개의 식별 장치(41, 42)와 다른 한편으로는 스위치 절환 매트릭스(8)와의 사이에, 각각의 신호 연결 라인(81, 82)이 있다. 상기 식별 장치(41, 42)는 여기서는 용량성 효과를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특히, n 개의 식별 장치(41, 42)가 n 개의 용량성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각 경우에서, 식별 장치들(41, 42) 각각으로부터 제어 장치(7)까지 추가적인 신호 연결부(71, 72)가 형성된다.
도 2b에는 대안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서, 도 2a에 따른 구성과의 차이는 단지, 여기서 도면 부호 41' 및 42'로 표시된 식별 장치가 리플 식별 장치로서 형성된다는 사실에만 있다.
도 3a에는 기구(2)의 가능한 실시예의 겨냥도가 도시되어 있다. 센서 라인은 여기서는 모터 위상 또는 조명 작동 라인, 또는 그 밖의 존재하는 라인이다.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명시적인 센서 라인 또는 식별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라인이 제공된다. 기구(2)의 하우징이 도전되게 구성되거나, 또는 플라스틱 하우징인 경우에는 센서 라인으로의 용량성 결합이 형성된다.
도 3c에 겨냥도로 그려진 실시예의 경우, 기구(2)의 연결편(21)의 단부에 센서 라인이 형성된다. 기구(2)의 하우징과 연결편은 도전되게 구성되거나, 또는 플라스틱 하우징인 경우에는 용량성 결합이 형성된다.
도 3d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식별 수단(4) 또는 대응하는 식별 장치(4'), 즉 예를 들어 용량성 센서(4')는 기구(2)에 통합되도록 형성된다. 기구(2)가 접촉되면, 신호(S)가 식별 장치(4')로부터 제어 장치(7)로 송신된다.
도 4a 및 도 4b에는 디스플레이(6) 상의 가능한 표시가 겨냥도로 도시되어 있는데, 도 4a는 첫 번째 기구가 선택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도 4b는 n 번째 기구가 선택의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스위치 절환 매트릭스(8)의 가능한 실시예의 겨냥도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n 개의 기구(2, 2') 각각과 다른 한편으로는 스위치 절환 매트릭스(8)와의 사이에, 더 위에서 이미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공급 라인(5, 5')이 있다. 첫 번째 기구(2)가 접촉된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가 스위치 절환 매트릭스(8)로부터 신호 연결 라인(81)을 경유하여 접촉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4)으로 전송되고, n 번째 기구(2')가 접촉된 경우에는, 그에 대응하는 신호가 신호 연결 라인(82)을 경유하여 전송된다. 대응하는 식별 장치가 그에 관련된 기구에 통합되는 경우, 접촉 신호는 대응하는 라인(81 또는 82)을 각각 경유하여 직접 전송된다.
또한, n 개의 라인(781, 782)이 제어 장치(7)로부터 스위치 절환 매트릭스(8)까지 이어지는데, 첫 번째 기구(2)가 선택되면, 그에 대응하는 신호 전송은 라인(781)에 의해 실행되고, n 번째 기구(2')가 선택되면, 그에 대응하는 신호 전송은 n 번째 라인(782)에 의해 실행된다. "조명", "모터" 등의 작동 신호가 추가 라인(783)을 경유하여 스위치 절환 매트릭스(8)로 전송된다. 끝으로, 공기 또는 물을 공급하기 위해 매체 라인(784)이 사용된다.

Claims (19)

  1. 복수의 치료 또는 검사 기구(2, 2')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치료 또는 검사 기구(2, 2')에 결합된 공급 장치(3)도 구비하는 치과 치료 또는 검사 시스템(1)으로서,
    당해 시스템(1)이 상기 복수의 치료 또는 검사 기구(2, 2')로부터 선택된 기구(2)의 접촉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4)을 구비하며,
    상기 선택된 치료 또는 검사 기구(2)의 작동을 위해서 상기 공급 장치(3)를 상기 선택된 치료 또는 검사 기구(2)의 식별된 접촉의 함수로서 초기화하도록 구성된, 치과 치료 또는 검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공급 장치(3)의 초기화는 선택된 치료 또는 검사 기구(2)를 위해서 활성화 또는 파라미터화 선택 요소들을 사용할 수 있게 만들고 그리고/또는 매체, 예를 들어 공기 또는 물을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 또는 검사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공급 장치(3)의 초기화는 선택된 치료 또는 검사 기구(2)를 제어 장치(7)의 전력 출력부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 또는 검사 시스템.
  4.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접촉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4)이 적어도 하나의 용량성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 또는 검사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접촉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4)이 선택된 기구(2)의 하우징 또는 하우징의 라인으로의 용량성 결합을 평가하고, 상기 용량성 결합은 특히 리플 또는 간섭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 또는 검사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접촉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4)이 선택된 기구(2)의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 또는 검사 시스템.
  7.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접촉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4)은, 공급 장치(3)에 배치되고 센서 라인(5)에 의해 선택된 기구(2)에 연결된 평가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 또는 검사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센서 라인(5)은 선택된 기구(2)를 위한 전류 공급 라인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 또는 검사 시스템.
  9.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접촉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4)이 선택된 치과 치료 또는 검사 기구(2)에 통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 또는 검사 시스템.
  10.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치료 또는 검사 기구(2)의 접촉 식별은 선택 가능한 기구(2)의 비작동 상태에서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 또는 검사 시스템.
  11.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공급 장치(3)가 디스플레이(6)를 구비하거나, 또는 선택된 기구(2)의 작동 파라미터의 표시가 실행되는 디스플레이에 연결되고, 상기 표시는 선택된 기구(2)의 접촉 식별의 함수로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 또는 검사 시스템.
  12. 복수의 치료 또는 검사 기구(2, 2')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치료 또는 검사 기구(2, 2')에 결합된 공급 장치(3)도 구비하는 치과 치료 또는 검사 시스템(1)의 작동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치료 또는 검사 기구(2, 2')의 접촉을 모니터하고,
    상기 선택된 치료 또는 검사 기구(2)의 작동을 위해서 상기 공급 장치(3)를 상기 치료 또는 검사 기구들 중 한 기구(2)의 식별된 접촉의 함수로서 초기화하는, 치과 치료 또는 검사 시스템의 작동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공급 장치(3)의 초기화는 선택된 치료 또는 검사 기구(2)의 활성화 또는 파라미터화 선택 요소들을 사용할 수 있게 만들고 그리고/또는 매체, 예를 들어 공기 또는 물을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 또는 검사 시스템의 작동 방법.
  14.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공급 장치(3)의 초기화는 선택된 치료 또는 검사 기구(2)를 제어 장치(7)의 전력 출력부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 또는 검사 시스템의 작동 방법.
  15.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용량성 센서가 치료 또는 검사 기구들 중 한 기구(2)의 접촉을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 또는 검사 시스템의 작동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접촉을 식별하기 위해, 선택된 기구(2)의 하우징 또는 하우징의 라인으로의 용량성 결합을 평가하고, 상기 용량성 결합은 특히 리플 또는 간섭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 또는 검사 시스템의 작동 방법.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접촉을 식별하기 위해, 치료 또는 검사 기구들 중 한 기구(2)의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 또는 검사 시스템의 작동 방법.
  18.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치료 또는 검사 기구들 중 한 기구(2)의 접촉 식별은 치료 또는 검사 기구들 중 상기 한 기구(2)의 비작동 상태에서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 또는 검사 시스템의 작동 방법.
  19.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공급 장치(3)가 디스플레이(6)를 구비하거나, 또는 치과 치료 또는 검사 기구들 중 한 기구(2)의 작동 파라미터의 표시가 실행되는 디스플레이에 연결되고, 상기 표시는 치과 치료 또는 검사 기구들 중 상기 한 기구(2)의 접촉 식별의 함수로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 또는 검사 시스템의 작동 방법.
KR1020160142280A 2015-10-29 2016-10-28 치과 치료 또는 검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작동 방법 KR1018612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92143.4 2015-10-29
EP15192143.4A EP3162319B1 (de) 2015-10-29 2015-10-29 Zahnärztliches behandlungs- oder untersuchungssystem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olch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345A true KR20170051345A (ko) 2017-05-11
KR101861298B1 KR101861298B1 (ko) 2018-05-25

Family

ID=54540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280A KR101861298B1 (ko) 2015-10-29 2016-10-28 치과 치료 또는 검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29513B2 (ko)
EP (1) EP3162319B1 (ko)
JP (1) JP2017080405A (ko)
KR (1) KR101861298B1 (ko)
BR (1) BR102016025041B8 (ko)
ES (1) ES2669418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76007B2 (en) * 2017-09-22 2022-10-18 Xo Care A/S Information and data logging system for use in a dental environment
EP3628265A1 (de) * 2018-09-25 2020-04-01 W & H Dentalwerk Bürmoos GmbH Medizinisches oder dentales, mit einer hand haltbares behandlungsinstrument mit einem kapazitiven senso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12734C2 (de) * 1977-03-23 1983-12-01 MEDTRONIC medizinisch-elektronische Gerätegesellschaft mbH, 6390 Usingen Anordnung zur Steuerung der elektrischen Leistung zahnärztlicher Handinstrumente
WO1980001643A1 (en) * 1979-02-12 1980-08-21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 Capacitive switching circuit for energizing remote controlled device
DE4409862C2 (de) * 1994-03-22 1997-06-05 Siemens Ag Zahnärztliche Einrichtung mit ein oder mehreren unterschiedlich konfigurierten Instrumenten
JP3559593B2 (ja) * 1994-10-26 2004-09-0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装置
DE19508481C2 (de) * 1995-03-09 1998-05-14 Kaltenbach & Voigt Schlauchkennung
DE19702996C1 (de) * 1997-01-28 1998-05-07 Siemens Ag Einrichtung zur Erkennung der Entnahme eines an einen Versorgungsschlauch angeschlossenen zahnärztlichen Handstückes aus einer Ablagevorrichtung
US6113395A (en) * 1998-08-18 2000-09-05 Hon; David C. Selectable instruments with homing devices for haptic virtual reality medical simulation
DE10139020A1 (de) * 2001-08-08 2003-03-13 W & H Dentalwerk Buermoos Ges Verfahren zur Steuerung und zur Überwachung eines Behandlungssystems sowie Behandlungssystem und Werkzeug für ein solches Behandlungssystem
JP2004041587A (ja) * 2002-07-15 2004-02-12 Morita Mfg Co Ltd 通信機能を有する接続体、これを用いた診療装置
DE102008025543A1 (de) * 2008-05-27 2009-12-10 Tim Brauer Anordnung und Verfahren zur Darstellung von auf ein Handheldgerät bezogenen Daten mit einer Gerätekonsole
CN102149338B (zh) * 2008-09-12 2015-07-22 伊西康内外科公司 指尖控制的超声装置
US20100107323A1 (en) 2008-10-31 2010-05-06 Midmark Corporation Device With An Electric Field Sensor, Control Circuitry, And A Solenoid
FI3597138T3 (fi) * 2014-03-06 2023-03-08 W & H Dentalwerk Buermoos Gmbh Lääketieteellinen, erityisesti dentaalinen, järjestelm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669418T3 (es) 2018-05-25
BR102016025041A2 (pt) 2017-05-02
US20170119495A1 (en) 2017-05-04
EP3162319B1 (de) 2018-02-28
JP2017080405A (ja) 2017-05-18
BR102016025041B1 (pt) 2020-12-01
EP3162319A1 (de) 2017-05-03
KR101861298B1 (ko) 2018-05-25
BR102016025041B8 (pt) 2022-10-18
US10729513B2 (en) 2020-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70121B2 (ja) マルチ構成の電子体温計
CN102727302B (zh) 具有数字数据接口的外科仪器
US9715822B2 (en) Electromotive furniture driv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motive furniture drive
US10209271B2 (en) Handheld measurement system with selectable options
KR101861298B1 (ko) 치과 치료 또는 검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작동 방법
EP2693224A1 (en) Handhel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parameters
JP2011505929A5 (ko)
US10849517B2 (en) Remote control module for instruments
US10073422B2 (en) Demand response adaptor for connecting a device to a demand response system or home automation system
JP6591793B2 (ja) スイッチ
CN108367423A (zh) 具有可调整的旋转方向的手持式工具机
JP2003190189A (ja) 歯科治療装置
JP2013120077A (ja) 測定装置
JP5740185B2 (ja) 電気測定器用プローブ装置および電気測定器
JP7420413B1 (ja) 診断装置
EP3075314A1 (en) Remote user interface with ear selection switch
JP2008029412A (ja) う蝕診断装置
JP2014035189A (ja) 携帯用テスタ
CN113038867A (zh) 用于执行与外科手术器械相关的各种功能的方法和装置
JP2003245284A (ja) 超音波処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