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1182A - 공기청정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청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1182A
KR20170051182A KR1020160083227A KR20160083227A KR20170051182A KR 20170051182 A KR20170051182 A KR 20170051182A KR 1020160083227 A KR1020160083227 A KR 1020160083227A KR 20160083227 A KR20160083227 A KR 20160083227A KR 20170051182 A KR20170051182 A KR 20170051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disposed
film
filter housing
dust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3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호
김태윤
이건영
이종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3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146B1/ko
Priority to KR1020160113456A priority patent/KR101919823B1/ko
Priority to KR1020160121745A priority patent/KR101942525B1/ko
Priority to EP16196436.6A priority patent/EP3165842B1/en
Priority to EP16196396.2A priority patent/EP3163203B1/en
Priority to US15/338,067 priority patent/US10357734B2/en
Priority to EP16196431.7A priority patent/EP3162445B1/en
Priority to US15/338,267 priority patent/US10556242B2/en
Priority to US15/338,292 priority patent/US10668422B2/en
Priority to PCT/KR2016/012331 priority patent/WO2017074145A2/ko
Priority to JP2018522038A priority patent/JP6956714B2/ja
Priority to PCT/KR2016/012330 priority patent/WO2017074144A2/ko
Priority to CN201610997651.1A priority patent/CN107036197B/zh
Priority to CN202210827536.5A priority patent/CN115200138A/zh
Priority to CN201610996856.8A priority patent/CN106902985B/zh
Priority to US15/339,568 priority patent/US10267528B2/en
Priority to CN201611001339.9A priority patent/CN106944260B/zh
Publication of KR20170051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182A/ko
Priority to KR1020190103007A priority patent/KR20190101349A/ko
Priority to KR1020220036130A priority patent/KR102529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24F8/19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by filtering using high vol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24F3/1603
    • F24F3/160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장치는, 전기집진장치의 사용에 따른 전기 감전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서, 외형을 형성하고 일측에 필터설치개구부가 형성된 바디 케이스, 상기 바디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필터하우징, 및 상기 필터설치개구부를 통해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 및 인출되고, 흡입된 외부공기에 대해 여과를 실시하는 필터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전기집진장치를 포함한다. 필터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상기 전기집진장치에 전원의 인가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차단 스위치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에는, 상기 차단 스위치를 누르도록 구비된 누름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가 상기 필터하우징에 인입되면 상기 누름돌기는 상기 차단 스위치를 누르도록 구비된다. 상기 차단 스위치를 누르면 전원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구비된다.

Description

공기청정장치 {Air Fresher}
본 발명은, 대전된 먼지 입자를 포집시키기 위해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도전층을 대전시키는 구조를 구비하는 전기집진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청정장치에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공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냉방기나 난방기,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정도를 유지시키는 공기청정기, 공기 중에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기,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기 등이 있다.
전기집진장치는 독립적으로 또는 공기조화기에 장착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입자를 대전시켜 집진하는 장치이다.
전기집진장치는 크게 전기장을 형성하는 대전부와, 대전부에 의해 대전된 먼지입자가 집진되는 집진부를 포함한다. 공기가 대전부를 통과한 후 집진부를 통과하는 동안, 공기 중의 먼지는 집진부에 포집된다.
대전부는 방전전극들과, 방전전극들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대향전극들을 포함하고, 먼지는 서로 마주보는 방전전극과 대향전극 사이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대전된다.
종래기술에서는, 전원이 오프된 경우에도 전기집진장치의 집진부의 복수의 고전위전극 및 저전위전극에 대전된 전하가 제거되지 않아, 인체의 감전을 유발하는 등 안전상의 문제가 있다. 제 1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전기집진장치를 착탈식으로 구비하는 공기청정장치의 경우, 전기집진장치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노출된 전원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전기집진장치를 공기청정장치로부터 인출시킨 경우 상기 전원단자가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전원단자를 접촉할 때 오작동에 의해 고전압에 감전될 위험이 있다. 제 2과제는 이러한 감전 위험을 원천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다.
전기집진장치는 작동 중인 경우에도, 공기의 유입구 측에 개구부가 존재한다. 특히, 유아의 경우에는 손이 작아 상기 유입구로 손을 넣을 수 있고, 이 경우 대전부에 인가된 고전압에 감전될 위험이 있다. 제 3과제는 이러한 사용중 감전 위험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것이다.
제 4과제는, 이러한 감전위험을 차단하면서도, 손쉽게 필터를 제거하고 세척하기 용이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기집진장치는 상대적으로 무게가 커서 사용자가 이를 쉽게 제거하여 세척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제 5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사용자가 전기집진장치를 용이하게 분리 또는 세척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 1과제 및 제 2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기집진장치에 전원의 인가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차단 스위치를 구비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에는, 상기 차단 스위치를 누르도록 구비된 누름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가 상기 필터하우징에 인입되면 상기 누름돌기는 상기 차단 스위치를 누르도록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차단 스위치를 누르면 전원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구비된다.
감전에 대한 안전성을 보다 강화하기 위해서, 상기 차단 스위치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차단 스위치는 회로에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어느 하나의 차단 스위치라도 눌려지지 않는다면, 전원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3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전기집진장치의 유입구가 형성된 방향에 배치되는 메쉬필터를 포함한다. 메쉬필터가 장애물의 역할을 하여, 사용자의 손이 외부에서 상기 전기집진장치의 유입구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메쉬필터는 상기 전기집진장치와 독립적으로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메쉬필터가 제거된 상태에서 전기집진장치가 가동되면, 상기 전기집진장치의 유입구로 사용자의 손이 진입할 때 감전의 위험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감전위험을 차단하기 위해서, 상기 차단 스위치는 상기 메쉬필터의 결합여부에 따라 스위칭되는 제 2차단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 5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전기집진장치를 지지하고 상기 필터하우징에 구비된 드로어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드로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쉬필터를 독립적으로 인입 및 인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드로어 가이드는 상기 필터하우징의 양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에는 메쉬필터의 인입 및 인출을 가이드해주는 메쉬필터 가이드가 구비된다. 상기 메쉬필터 가이드는, 상측에서 바라볼 때 양측의 드로어 가이드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드로어 가이드 보다 낮게 배치된다.
또한, 후술할 광촉매 필터 등의 다른 필터가 전기집진장치의 상측에 적층될 수 있는 구조의 경우, 상기 전기집진장치의 상측의 필터가 제거된 상태로 전기집진장치가 인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의 틈으로 사용자의 손이 진입하면 안전상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이를 막기위해서 상기 드로어는 상기 필터설치개구부를 차폐하는 필터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필터커버는 상기 필터설치개구부의 높이 보다 소정 간격 높게 형성된 상측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측부에는 센서홀이 형성된다. 상기 센서홀은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릿을 포함한다. 외부의 공기에 노출되는 부분을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복수의 센서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센서는 상기 필터설치개구부의 상측에 횡으로 배열되고, 필터커버에 의해 시각적으로 가려지도록 구비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전기집진장치의 필터하우징으로부터의 인출시에 차단 스위치가 전원 회로를 개방하여, 미사용시의 감전 위험성을 현저히 줄이는 효과가 있다.
전기집진장치는 메쉬필터가 상기 유입구측에 배치되고, 메쉬필터에 형성된 제 2차단 스위치를 구현함으로써, 전기집진장치의 사용중 감전 위험성을 현저히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집진장치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세척하고, 다시 인입하기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집진장치와 별도록 메쉬필터를 분리하여 세척하기 용이하면서도, 동시에 전기 감전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터커버가 전방 및 상측으로부터 사용자의 손을 완전히 이격시켜, 감전의 위험성을 줄이면서도, 전방의 공기에 관한 정보를 감지하기 용이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습장치(200)의 부품을 분리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공기조화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바디(130)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바디(130)의 부품을 분리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바디(130)와 이에 탈착 가능한 필터어셈블리(1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필터어셈블리(10)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필터어셈블리(10)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필터어셈블리(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전기집진장치(500)의 내부 중 대전부(51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대전부(510)를 위에서 내려다본 내부 입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대전부(510)의 회로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3는 도 9의 전기집진장치(500)의 내부 중 집진부(54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은 도 13의 집진케이스(502), 베이스 간격유지부(561), 복수의 필름(540a) 및 루프 간격유지부(566)를 분리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복수의 필름(540a)의 배열방향(X) 단면을 도시한 단면개념도이다.
도 16는 도 14의 집진부(540)의 회로도를 도시한 개념도 이다.
도 17은 도 13의 제 1필름(541)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3의 제 2필름(542)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은 도 13의 베이스 간격유지부(561) 및 루프 간격유지부(566)가 복수의 필름(540a) 및 집진케이스(502)와 결합된 구조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20는 도 19의 베이스 간격유지부(561)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베이스 간격유지부(561)를 필름 배열방향(X)으로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2은 도 19의 루프 간격유지부(566)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23는 도 19의 루프 간격유지부(566)를 필름 배열방향(X)으로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13의 복수의 필름(540a)이 거치리브(572)에 거치된 구조를 확대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13의 집진부(540)를 필름 길이방향(Y)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25(a)는 제 1필름(541)의 입면이 보여지는 단면도이고, 도 25(b)는 제 2필름(542)의 입면이 보여지는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14의 집진부(54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를 도시한 개념도 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2500)의 사시도이다. 도 27(a)는 전기집진장치(2500)의 일측 면이 보이는 도면이고, 도 27(b)는 전기집진장치(2500)의 타측 면이 보이는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하우징(2140)이 구비된 바디(130)의 정면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바디(130)를 수직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29(a)는 도 28의 A-A'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29(b)는 도 28의 B-B'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0은 도 27의 전기집진장치(2500)에서 집진케이스(502)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B부분의 단락 스위치(600)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1의 단락 스위치(600)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31의 단락 스위치(600)의 정면도이다.
도 34는 도 33의 B-B'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5는 도 31의 단락 스위치(600)의 상면도이다.
도 36은 도 35의 C-C'를 따라 자른 단면도로서, 단락 상태의 도면이다.
도 37은 도 36에서 단락이 해제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하우징(3140)의 정면을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38은, 바디(130)에서 바디 케이스(131)를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39는 도 38의 필터하우징(3140)의 사시도이다.
도 40은 도 38의 필터하우징(3140)의 사시도로서, 도 39와 다른 걱도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1은 도 38의 필터하우징(3140)의 후면을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4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어셈블리(3010)의 측면을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43은 도 42의 필터어셈블리(3010)의 사시도이다.
도 44는 도 42의 필터어셈블리(3010)의 하측면을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45는 도 42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350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인 전기집진장치는, 냉난방/ 공기청정/ 가습 등이 가능한 공기조화기기 또는 진공청소기 등에서 부분적인 장치로서 이용될 수 있고, 공기청정을 위한 별도의 독립적인 장치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조화기에 장착된 전기집진장치로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본 설명 및 도면 전체에 걸쳐 표현된 기준 방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X축 방향은 후술할 집진부의 복수의 필름(540a)이 교대로 배열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Y축 방향은 복수의 필름(540a)의 길이방향을 의미하며, Z축 방향은 복수의 필름(540a)의 폭방향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은 서로 수직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Z축 방향이 상하방향(구체적으로는 Z축 화살표 방향이 상향, Z축 화살표 반대방향이 하향)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이 상하 방향이 되거나 상하 방향이 수직이 아닌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 표현된 '전위'는 전기적 위치에너지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표현된 '전압'은 2지점의 전위의 차를 의미하는 수치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습장치(200)의 부품을 분리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공기조화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바디(130)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바디(130)의 부품을 분리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5를 참고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청정장치(100) 및 상기 공기청정장치(100) 상측에 거치되는 가습장치(200)을 포함한다. 공기청정장치(100)은 바닥 위에 거치되고, 상기 가습장치(200)은 공기청정장치(100) 위에 거치된다.
상기 공기청정장치(100)은 외부공기를 흡입한 후 여과하고, 여과공기를 상기 가습장치(200)에 제공한다. 상기 공기청정장치(100)은 유입된 외부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악취 등을 제거한 정화된 공기를 가습장치(200)로 토출한다. 상기 가습장치(200)은 상기 여과공기를 공급받아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을 실시하고, 가습공기를 외부로 토출한다.
가습장치(200)과 공기청정장치(100)은 서로 분리 가능하다. 사용자는 상기 가습장치(200) 및 공기청정장치(100)을 서로 분리한 후 청소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가습장치(200)을 공기청정장치(100)에서 분리한 후 내부에 배치된 수조(3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가습장치(200)이 공기청정장치(100)에 적층된 상태에서 물을 급수할 수도 있다.
상기 공기청정장치(100)은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유로(101)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공기에 대해 여과를 실시하는 여과유로(102)가 형성된다.
상기 가습장치(200)이 공기청정장치(100)이 적층될 때, 여과공기를 공급받기 위해 연결유로(103)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청정장치(100)측에 형성된 연결유로를 청정연결유로(104)라 정의하고, 상기 가습장치(200)측에 형성된 연결유로를 가습연결유로(105)라 정의한다.
상기 청정연결유로(104) 또는 가습연결유로(105)가 별도의 공간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청정연결유로(104) 또는 가습연결유로(105)가 별도의 공간을 갖는 대신 가습장치(200)이 공기청정장치(100)에 거치될 때, 상기 가습장치(200) 및 공기청정장치(100) 사이로 연결유로(103)가 형성된다.
상기 가습장치(200)은 상기 공기청정장치(100)을 통과한 여과공기에 대해 가습을 실시하는 가습유로(106)가 형성된다. 상기 여과공기는 가습유로(106)를 통과하면서 수분을 공급받아 가습된다. 가습유로(106)의 하류측에는 토출유로(107)가 형성되어 공기청정장치(100) 및 가습장치(200)에 의해 처리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청정장치(100) 및 가습장치(200)의 내부에서 공기의 유동방향이 일부 꺽이는 부분이 있으나, 전체적으로 아래에서 위로의 공기 흐름 방향(A)을 유지한다.
상기 공기청정장치(100)은 상기 흡입유로(101)를 통해 흡입된 외부공기를 상기 가습장치(200)로 안내하는 바디(130)와, 상기 바디(130)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흡입된 외부공기에 대해 여과를 실시하는 필터어셈블리(10)와, 상기 바디(130) 내부에 배치되고, 유동되는 공기에 대해 압력을 제공하는 송풍유닛(20)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청정장치(100)은 베이스(112)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청정장치(100)은 베이스(112)와 이격되어 상기 흡입유로(101)를 형성한다. 상기 공기청정장치(100)은 베이스(112)에서 이격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넓은 하측면 전체를 통해 외부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장치(100)은 하측면에서 흡입된 외부공기를 수직방향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바디(130)는 공기청정장치(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바디 케이스(131)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130)에는 가습청정장치의 작동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16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바디(130)는 평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바디(130)에는 손잡이(129)이가 형성된다.
상기 바디(130)에 필터어셈블리(1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바디(130)에서 수평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다수개의 필터가 수평으로 설치되고, 다수개의 필터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가 탈착 가능하게 수납되도록 상기 바디(130)에 필터하우징(140)이 설치된다. 상기 필터하우징(140)은 상기 바디(130)의 내부에 고정되어 배치된다. 필터하우징(140)은 전기집진장치(500)가 삽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전기집진장치(500)는 필터설치개구부(133)를 통해 상기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다.
필터하우징(140)과 필터어셈블리(10)는 결합된 상태에서 여과유로(102)가 형성된다. 여과유로(102)의 상류측은 흡입유로(101)와 연결된다. 여과유로(102)의 하류측은 연결유로(103)와 연결되고, 구체적으로 청정연결유로(104)와 연결된다.
상기 바디 케이스(131)의 일측(정면)에 필터설치개구부(133)가 형성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필터설치개구부(133)를 통해 상기 필터하우징(140)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필터설치개구부(133)를 차폐하는 필터커버(413)를 포함한다. 드로어(300)는 상기 필터설치개구부(133)를 차폐하는 필터커버(413)를 포함한다. 필터커버(413)는 필터설치개구부(133)의 높이 보다 소정 간격 높게 형성된 상측부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설치개구부(133) 보다 높은 필터커버(413)의 상측부에 센서홀(413a)이 형성된다.
상기 바디(130) 내부에 상기 송풍유닛(20)에서 토출된 공기를 상기 가습장치(200)로 안내하는 송풍하우징(150)이 설치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상기 필터하우징(140)의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상기 필터하우징(140)에 체결 고정된다.
상기 필터하우징(140) 및 송풍하우징(150) 사이에 송풍유닛(20)이 설치된다. 상기 송풍유닛(20)은 공기를 유동시키는 압력을 제공한다.
외부공기는 상기 흡입유로(101)를 통해 360도 전방향에서 흡입된다. 상기 베이스(112) 및 바디(130)를 이격시키기 위해, 상기 바디(130) 및 베이스(112) 사이에 브리지 프레임(115)이 설치된다. 상기 브리지 프레임(115)은 상기 베이스(112) 및 바디(130)를 결합시키고, 상기 바디(130)를 지지한다.
외부공기는 상기 브리지 프레임(115)을 지나 흡입구(111)로 유동된다. 상기 브리지 프레임(115)에 상하로 브리지(114)가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브리지(114)의 개수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흡입구(111)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촘촘히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 저항 측면만을 고려하면, 상기 브리지(114)의 개수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공기의 유동과 직교하게 배치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여과유로(102)와 교차되게 설치된다. 상기 여과유로(102)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여과유로(102)와 교차되게 설치되면 충분히 기능을 발휘한다.
상기 여과유로(102)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중력방향을 거슬러 형성된다. 유동방향이 전환되지 않고, 최대한 직선으로 형성된다.
상기 흡입유로(10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하우징(140) 내부를 통해 송풍유닛(20)으로 유동된다. 상기 송풍유닛(20)은 필터하우징(140)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여과유로(102)의 공기를 흡입하여 가습장치(200)로 토출한다.
상기 송풍유닛(20)은 송풍모터(22) 및 송풍팬(24)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송풍모터(22) 및 송풍팬(24)은 모두 송풍하우징(150) 및 필터하우징(14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모터(22)가 상측에 배치되고 송풍팬(24)이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모터(22)는 송풍하우징(150)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하우징(150)에 지지된다. 상기 송풍팬(24)은 송풍모터(22)와 조립되고, 상기 송풍모터(22)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상기 송풍팬(24)은 필터하우징(140) 측에 배치된다.
설치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송풍모터(22)는 송풍하우징(150) 내부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송풍팬(24)은 필터하우징(140) 내부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24)은 중앙으로 여과공기를 흡입한 후, 원주방향으로 여과공기를 토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송풍모터(22)는 공기와 저항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송풍팬(24)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송풍모터(22)는 공기의 유로를 벗어나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24)에서 토출된 공기는 필터하우징(140) 및 송풍하우징(150)을 따라 상측의 가습장치(200)로 유동된다.
상기 바디(130) 내부의 상기 송풍유닛(20)의 상측에는 수조(30)가 배치된다. 상기 바디(130)는 상측으로 수조(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측에서 내부로 오목한 수조삽입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수조삽입공간의 둘레면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가습유로입구(123)가 형성되고, 상기 가습유로입구(123)는 수조(30)의 내부와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습유로입구(123)의 내측에 수분을 함유하는 가습매체(50)가 배치된다.
상기 수조(30)의 내부에는 상기 수조 내부의 물을 흡입하고, 흡입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하고, 양수된 물을 바깥으로 분사하는 수차유닛(40)이 설치된다. 상기 수조(30)의 하부에는 수차유닛(40)의 동력원인 수차모터(42)가 설치된다. 상기 수차모터(42)는 상기 송풍모터(22)와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상기 송풍모터(22) 및 수차모터(42)는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가습장치(200)은, 공기청정장치(100)에 분리가능하게 적층되고 투시되는 재질로 형성된 비주얼바디(210)와, 상기 비주얼바디(210)에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탑커버어셈블리(2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 및 비주얼바디(210) 사이에 토출유로(107)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유로(107)는 가습유로(106)의 하류측과 연결된다. 상기 연결유로(103)는 가습유로(106)의 상류측과 연결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에는 외부에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급수유로(109)가 형성된다.
도 6은 도 1의 바디(130)와 이에 탈착 가능한 필터어셈블리(1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는 도 6의 필터어셈블리(10)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필터어셈블리(10)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필터어셈블리(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7를 참고하여, 바디(130)의 외둘레면 중 일측면에 필터설치개구부(133)가 형성되어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이 연통된다. 필터설치개구부(133)에 삽입되고 인출되는 방향으로 필터어셈블리(10)가 슬라이딩된다.
필터어셈블리(1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 하도록 필터하우징(140)의 내측면의 양측에 단차진 가이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필터어셈블리(10)를 지지하는 마찰면을 제공하는 상측면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거나, 롤러 또는 베어링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의 좌우 측면(상기 가이드가 배치된 측면)은 필터어셈블리(10)의 좌우방향의 유동을 구속시키고, 전후방향(삽입되고 인출되는 방향)으로만 필터어셈블리(10)가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필터하우징(140)의 내측면에는 후술할 전기집진장치(5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단자(148) 및 전기집진장치(500)에 접지를 제공하는 접지단자(149)가 배치된다. 후술할 대전부(510)에 전원을 공급하는 대전부 전원단자(148a)와 후술할 집진부(5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집진부 전원단자(148b)가 각각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후술할 대전부(510)에 접지를 제공하는 대전부 접지단자(149a)와 후술할 집진부(540)에 접지를 제공하는 집진부 접지단자(149b)가 각각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바디(130)에는 먼지센서(135)가 설치될 수 있다. 먼지센서(135)는 외부의 공기에 노출되는 부분을 적어도 일부 포함한다. 먼지센서(135)는 외부 공기의 먼지 농도를 감지한다. 먼지센서(135)는 바디(130)의 내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먼지센서(135)는 필터설치개구부(133)의 상측에 배치되고, 필터어셈블리(10)가 바디(130)와 결합된 상태에서는 필터커버(413)에 의해 시각적으로 가려지도록 배치된다. 먼지센서(135)에서 감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송풍유닛(20)을 제어할 수 있다.
바디(130)에는 습도센서(136)가 설치될 수 있다. 습도센서(136)는 외부의 공기에 노출되는 부분을 적어도 일부 포함한다. 습도센서(136)는 외부 공기의 습도를 감지한다. 습도센서(136)는 바디(130)의 내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습도센서(136)는 필터설치개구부(133)의 상측에 배치되고, 필터어셈블리(10)가 바디(130)와 결합된 상태에서는 필터커버(413)에 의해 시각적으로 가려지도록 배치된다. 습도센서(136)에서 감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수차유닛(40)을 제어할 수 있다.
바디(130)에는 복수의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센서는 각각 외부의 공기에 노출되는 부분을 적어도 일부 포함한다. 복수의 센서는 바디(130)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센서는 필터설치개구부(133)의 상측에 배치되고, 필터어셈블리(10)가 바디(130)와 결합된 상태에서는 필터커버(413)에 의해 시각적으로 가려지도록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센서에서 감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송풍유닛(20) 또는 수차유닛(40)을 제어할 수 있다.
바디(130)에는 냄새센서(137)가 설치될 수 있다. 냄새센서(137)는 외부의 공기에 노출되는 부분을 적어도 일부 포함한다. 냄새센서(137)는 외부 공기의 냄새를 감지한다. 냄새센서(137)는 바디(130)의 내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냄새센서(137)는 필터설치개구부(133)의 상측에 배치되고, 필터어셈블리(10)가 바디(130)와 결합된 상태에서는 필터커버(413)에 의해 시각적으로 가려지도록 배치된다. 냄새센서(137)에서 감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송풍유닛(20)을 제어할 수 있다.
필터설치개구부(133)의 상측 부분은 바디(130)의 외둘레면이 필터커버(413)의 두께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함몰된 함몰부(134)가 형성된다. 필터커버(413)는 바디(130)에 결합시 상기 함몰부(134)와 맞물린다.
함몰부(134)에는 먼지센서 홀(135a)이 형성된다. 먼지센서(135)는 상기 함몰부(134)의 뒤에 배치된다. 먼지센서(135)는 상기 먼지센서 홀(135a)의 뒤에 배치된다.
바디(130)에는 상기 복수의 센서의 앞에 각각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134)에는 습도센서 홀(136a)이 형성된다. 습도센서(136)는 상기 함몰부(134)의 뒤에 배치된다. 습도센서(136)는 상기 습도센서 홀(136a)의 뒤에 배치된다. 습도센서 홀(136a)은 복수 개의 작은 홀이 밀집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134)에는 냄새센서 홀(137a)이 형성된다. 냄새센서(137)는 상기 함몰부(134)의 뒤에 배치된다. 냄새센서(137)는 상기 냄새센서 홀(137a)의 뒤에 배치된다. 냄새센서 홀(137a)은 복수 개의 작은 홀이 밀집되어 형성될 수 있다.
먼지센서(135), 습도센서(136) 및 냄새센서(137) 등의 복수의 센서는 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센서는 함몰부(134)의 뒤에서 횡으로 배열될 수 있다. 함몰부(134)에는 각각의 센서의 앞에 형성된 각각의 홀이 횡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먼지센서 홀(135a), 습도센서 홀(136a) 및 냄새센서 홀(137a)은 함몰부(134)에 횡으로 배치된다.
필터커버(413)가 먼지센서(135)를 가린 상태에서도 외부공기가 먼지센서(135)에 공급되도록, 먼지센서(135)의 위치와 대응되는 필터커버(413)의 부분에 센서홀(413a)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센서홀(413a)은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릿일 수 있다.
센서홀(413a)은 복수개의 슬릿이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센서홀(413a)은, 상측에 배치된 제 1슬릿(413a1)과, 하측에 배치된 제 2슬릿(413b)를 포함한다. 제 1슬릿(413a1) 및 제 2슬릿(413a2)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슬릿(413a1)은 횡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슬릿(413a2)은 횡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슬릿(413a1)은 후측의 복수의 센서가 배열된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제 2슬릿(413a2)은 후측의 복수의 센서가 배열된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필터어셈블리(10)는 상류부터 하류에 걸쳐 순차적으로 배치된 메쉬필터(300), 전기집진장치(500) 및 광촉매필터(350)를 포함한다. 메쉬필터(300)에서는 메쉬형의 그물눈 사이로 공기가 통과하면서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러진다. 전기집진장치(500)는 공기 중의 먼지입자을 대전시키고 대전된 먼지입자를 집진하여 공기를 여과한다. 광촉매필터(350)는 다공성의 베이스에 탈취성능을 가진 광촉매를 도포하여 공기 중의 냄새성분을 물리적/화학적으로 제거한다. 본 실시예에서, 최하부에 메쉬필터(300)가 배치되고, 메쉬필터(300)의 상측에 전기집진장치(500)가 배치되며, 최상부에 광촉매필터(350)가 배치된다. 메쉬필터(300)는 전기집진장치(500)의 하측에 배치된다. 메쉬필터(300)는, 전기집진장치(500)에서 대전부(510)가 배치되는 방향에 배치된다. 메쉬필터(300)는, 전기집진장치(500)에서 전기집진장치(500)의 유입구(506)가 형성된 방향에 배치된다. 메쉬필터(300)는 전기집진장치(500)와 적층되도록 구비된다.
필터어셈블리(10)는, 필터어셈블리(10)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고 필터하우징(140)의 드로어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드로어(400)를 포함한다. 드로어(400)는 전면에 배치된 상기 필터커버(413)를 포함한다.
필터커버(413)의 전면 중앙에는 드로어(400)가 당겨질 수 있도록 필터커버 손잡이(413b)가 함몰되어 형성된다. 필터커버 손잡이(413b)는 필터커버(413)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후방으로 함몰되어 노출된 좌우상하의 면 중 하측면이 아래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기집진장치(500)는 광촉매필터(350)를 지지하고, 드로어(400)는 전기집진장치(500)를 지지한다. 메쉬필터(300)는 드로어(400)의 하측에 배치된다. 드로어(400)와 독립적으로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구비된다. 메쉬필터(300)는 전기집진장치(500)와 독립적으로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구비된다.
메쉬필터(300)는 바디(130) 및 필터커버(413)와 모두 결합된 상태에서 필터커버(413)의 전면과 연속되는 면상의 외관을 형성하는 메쉬필터커버(313)를 포함한다. 메쉬필터커버(313)의 두께를 형성하는 상측면 상에서 하측으로 함몰된 메쉬필터커버 손잡이(313a)가 형성된다.
메쉬필터(300), 바디(130) 및 필터커버(413)가 모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메쉬필터커버 손잡이(313a)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필터커버(413)의 하단 중 적어도 일부가 함몰된 손잡이 노출부(413c)가 형성된다. 손잡이 노출부(413c)는 전면과 하측면이 개구된다. 손잡이 노출부(413c)는 필터커버(413)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상기 메쉬필터커버 손잡이(313a)의 후단까지 함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 노출부(413c)로 손을 넣어 메쉬필터커버 손잡이(313a)에 손을 걸 수 있다.
메쉬필터(300)는, 메쉬필터커버(313)의 후방의 수평면 상에서 상기 여과유로(102)의 둘레에 배치되는 메쉬프레임(315), 및 메쉬프레임(315)이 제공하는 둘레 내측으로 여과유로(102)의 수평 단면을 나누어주는 메쉬보조프레임(316)을 포함한다. 메쉬보조프레임(316)은 여과유로(102)의 수평 단면을 복수개로 나누어준다.
메쉬필터(300)는 통과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고 채집하는 메쉬(318)를 포함한다. 메쉬(318)는 메쉬프레임(315) 및 메쉬보조프레임(316)에 의해서 지지된다. 메쉬(318)는 메쉬프레임(315) 및 메쉬보조프레임(316)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메쉬(318)에 의해 채집된 이물질은, 메쉬필터(300)를 바디(130)로부터 분리하여 세척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드로어(400)의 좌우 측면에는 필터하우징(140)의 상기 가이드에 의해 지지되고 슬라이딩 안내되는 슬라이더(414)가 구비된다. 슬라이더(414)는 레일 또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드로어(400)는, 전기집진장치(500)를 지지하는 상측면을 제공하는 전기집진장치 안착부(415)를 포함한다. 전기집진장치 안착부(415)는 드로어(400)의 좌우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단차 안착부(415)의 상측면에 전기집진장치(500)의 하측면 중 일부가 접촉하여, 전기집진장치(500)가 지지된다.
전기집진장치(5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501,502)를 포함한다. 케이스(501,502)에는 전기집진장치(500)를 드로어(400)로부터 분리시켜 들어올릴 수 있도록 전기집진장치 손잡이(503)가 형성된다. 전기집진장치 손잡이(503)는 케이스(501,502)의 좌우측면에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 손잡이(503)는 케이스(501,502)의 표면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500)는, 공기 중의 먼지입자를 대전시키는 대전부(510)와, 상기 대전부(510)에서 대전된 먼지입자를 집진하는 집진부(540)를 포함한다. 대전부(510)는 하측에 배치되고 집진부(540)는 상측에 배치된다.
케이스(501,502)는, 상기 대전부(510)를 내부에 수용하는 대전케이스(501)와, 상기 집진부(540)를 내부에 수용하는 집진케이스(502)를 포함한다. 대전케이스(501)는 하측에 배치되고, 집진케이스(502)는 상측에 배치된다. 대전부(510)를 수용하는 공간과 집진부(540)를 수용하는 공간은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대전케이스(501)의 하측면 상에는 공기가 전기집진장치(5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개구된 대전케이스 유입구(506)가 형성된다. 집진케이스(502)의 상측면 상에는 공기가 전기집진장치(500)의 내부로부터 유출되도록 개구된 집진케이스 유출구(507)가 형성된다.
광촉매필터(350)는, 여과유로(102)의 수평 단면 상에 둘레를 형성하는 광촉매필터 프레임(353)과, 광촉매필터 프레임(353)에 의해 지지되는 광촉매작용부(355)를 포함한다. 광촉매작용부(355)는 여과유로(102)의 일부를 형성하는 공극을 가진 베이스부재에 탈취성능을 가진 공지의 광촉매를 도포함으로써 제작될 수도 있고, 광촉매 성질을 가진 부재에 공극을 형성시킴으로써 제작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광촉매는 활성탄을 포함한다. 활성탄은 물리적 접착력에 의해 냄새 입자를 광촉매작용부(355)에 포집되게 할 수 있다. 활성탄 또는 기타 광촉매를 이용하여 상기 냄새 입자를 화확적 결합으로 광촉매작용부(355)에 포집되게 할 수 있다. 광촉매필터(350)를 바디(130) 및 필터어셈블리(10)로부터 분리하여, 햇빛 등에 노출시킴으로써 광촉매작용부(355)에 포집된 냄새 입자를 제거할 수 있다.
전체적인 공기 흐름방향(A)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케이스 흡입유로(101)를 통해 외부에서 상기 공기조화기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여과유로(102)로 유입된다. 여과유로(102)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메쉬(318)를 통과한 후, 상기 대전케이스 유입구(506)를 통해 대전케이스(501) 내부로 유입된다. 대전케이스(501)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는, 대전부(510) 및 집진부(54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집진케이스 유출구(507)를 통해 상측으로 유동한다. 상측으로 유동한 공기는 광촉매작용부(355)를 통과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 구성요소의 배치가 바뀔 수도 있고, 각 구성요소가 횡으로 배치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도 공기는 대전부(510)에서 집진부(540)로 향하는 방향이 되도록 설정된다.
도 10은 도 9의 전기집진장치(500)의 내부 중 대전부(51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대전부(510)를 위에서 내려다본 내부 입면도이다.
도 10 및 11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대전부(51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전부(510)는 고전압이 인가되는 와이어 방전극(521)과, 와이어 방전극(521)과 이격되는 대향 전극판(523)을 포함한다. 상기 고전압은, 와이어 방전극(521)과 대향 전극판(523) 사이의 전압이 매우 높아 와이어 방전극(521)에서 방전이 일어날 정도의 수치이다.
와이어 방전극(521)에 전압이 인가될 경우, 와이어 방전극(521)과 대향 전극판(523) 사이에 코로나 방전이 발생된다. 방전되어 공기 중 분자를 이온화할 수 있고, OH-, O- 등의 음이온 또는 H+ 등의 양이온이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발생한 이온은 공기 중의 먼지입자를 대전시킨다. 음이온은 먼지입자에 전자를 제공하여 먼지입자를 음극으로 대전시킬 수 있다. 양이온은 먼지입자로부터 전자를 빼앗아 먼지입자를 양극으로 대전시킬 수 있다.
대향 전극판(523)은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대향 전극판(523)은 와이어 방전극(52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대향 전극판(523)의 양단은 전극판 연결부(524)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전극판 연결부(524)는 수평면상에 배치되고, 복수의 대향 전극판(523)은 전극판 연결부(524)와 수직한 면상에 배치된다.
전극판 연결부(524) 및 복수의 대향 전극판(523)은 판형 금속의 중앙을 절개하여 90도로 절곡함으로써 일체형으로 만들 수 있다. 즉, 판형 금속의 양단부는 전극판 연결부(524)가 되도록 남겨둔 상태로, 상기 판형 금속의 가운데 부분에서 대향 전극판(523)의 일측 긴 변에 해당하는 길이로 절개하고, 대향 전극판(523)의 양단 짧은 변에 해당하는 길이로 상기 일측 긴변 길이만큼 절개된 부분의 양단에서 각각 90도 꺾어 절개한 후, 이렇게 ㄷ자로 절개(일측 긴변 길이만큼 절개된 부분과 그 양단에서 각각 90도로 꺾어 절개)된 상기 판형 금속 부분을 90도로 절곡하면, 절곡된 부분이 대향 전극판(523)이 된다.
와이어 방전극(521)은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 방전극(521)은 복수개가 서로 나란하게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와이어 방전극(521) 사이에 대향 전극판(523)이 와이어 방전극(521)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와이어 방전극(521)은 서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와이어 부재가 복수의 와이어 방전극(521)을 연속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와이어 방전극(521)은, 하나의 와이어 부재가 일측의 와이어 지지부(522a)로부터 타측의 와이어 지지부(522b)까지 연장되어 하나의 와이어 방전극(521)을 구성하고, 상기 타측의 와이어 지지부(522b)에서 꺾인 상기 와이어 부재는 상기 타측의 와이어 지지부(522b)와 같은측에 인접한 와이어 지지부(522b)까지 연장되어 와이어 직렬연결부(미도시)를 구성하고, 같은측의 상기 인접한 와이어 지지부(522b)에서 꺾인 상기 와이어 부재는 상기 일측의 와이어 지지부(522a)와 같은측의 인접한 와이어 지지부(522a)까지 연장되어 다른 하나의 와이어 방전극(521)을 구성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양측에 각각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와이어 지지부(522a)를 지지점으로 하여 서로 교대로 연결되는 와이어 방전극(521) 및 상기 와이어 직렬연결부가 구비된다.
와이어 지지부(522)는 공기 흐름 방향의 연장된 수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재의 측면에서 상기 와이어 부재가 지지되어 꺾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와이어 방전극(551)과 복수의 대향 전극판(523)이 공기 흐름방향(A)과 수직 방향으로 교대로 이격 배치된다. 복수의 와이어 방전극(551)과 복수의 대향 전극판(523)은 상기 대전케이스 유입구(506)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상기 전극판 연결부(524)는 복수의 대향 전극판(523)의 양단에 각각 1개씩 복수의 대향 전극판(523)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상기 와이어 직렬연결부는 복수의 와이어 방전극(521)의 양단에 복수의 와이어 방전극(521)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복수의 와이어 방전극(521)은 복수의 대향 전극판(523) 사이의 공간 중 상류측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 직렬연결부는 복수의 와이어 방전극(521)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와이어 직렬연결부와 전극판 연결부(524)가 서로 더 이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전극판 연결부(524)는 복수의 대향 전극판(523)의 하류측단의 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와이어 직렬연결부에도 고전압이 인가되고 전극판 연결부(524)도 복수의 대향 전극판(5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금속재질이기 때문에, 상기 와이어 직렬연결부와 전극판 연결부(524) 사이에 스파크 발생 확률을 줄이기 위해서이다.
와이어 방전극(521) 및 대향 전극판(523)은 대전케이스(501)에 고정된다. 와이어 방전극(521)은 하나의 와이어 부재의 양단이 각각 와이어 방전극(521)의 양단측에서 대전케이스(501)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고정 연결된 지점을 통해서 고전압이 상기 와이어 부재에 인가된다.
대전부(510)는, 복수의 대향 전극판(523)을 지지하고 대전케이스(501)에 고정된 스파크 방지부(525)를 포함한다. 스파크 방지부(525)는 전극판 연결부(524)를 고정시킨다.
스파크 방지부(525)는 복수의 대향 전극판(523)의 양단부에 각각 하나씩 배치된다. 스파크 방지부(525)는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된 전극판 연결부(524)와 상기 와이어 직렬연결부 사이를 가로막으며 배치되는 차폐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차폐부재는 판형의 플레이트 부재일 수 있다. 상기 차폐부재는 절연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와이어 직렬연결부와 전극판 연결부(524) 사이의 스파크 발생 확률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스파크 방지부(525)에는 전극판 연결부(524)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다. 상기 전극판 연결부(524)가 삽입되는 홈의 함몰 방향은 복수의 대향 전극판(523)의 길이 방향이다. 상기 전극판 연결부(524)가 삽입되는 홈을 형성하는 부재는 전극판 연결부(524)의 상측면과 하측면을 감싼다. 전극판 연결부(524)의 하측면을 감싸는 부재는 상기 차폐부재에 의해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전부는 이온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이온발생기(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이온발생기는 공기 흐름방향(A)과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온발생기는 공기 중의 먼지입자를 대전시킬 수 있다. 상기 이온발생기는 코로나 방전을 하는 카본 파이버 전극(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카본 파이버 전극은 브러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본 파이버 전극은 복수의 극세의 카본 파이버가 브러시 다발로 묶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0의 대전부(510)의 회로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전기집진장치(500)는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전압 발생기(581a)를 포함한다. 전기집진장치(500)는, 대향 전극판(523)과 고전압 발생기(581a)를 연결하는 접지선(583a)와, 와이어 방전극(521)과 고전압 발생기(581a)을 연결하는 고전압선(584a)를 포함한다. 접지선(583a)은 접지(582a)와 연결될 수 있다. 고전압 발생기(581a)는 교류 또는 직류의 전압원일 수 있다.
대전부 전원단자(148a) 및 후술할 대전부 전원수용단자(518)가 접촉하여 와이어 방전극(521)과 고전압 발생기(581a)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대전부 접지단자(149a) 및 후술할 대전부 접지수용단자(519)가 접촉하여 대향 전극판(523)과 접지(582a)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3는 도 9의 전기집진장치(500)의 내부 중 집진부(54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은 도 13의 집진케이스(502), 베이스 간격유지부(561), 복수의 필름(540a) 및 루프 간격유지부(566)를 분리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복수의 필름(540a)의 배열방향(X) 단면을 도시한 단면개념도이고, 도 16는 도 14의 복수의 필름(540a)을 위에서 내려다 보고 회로도를 추가로 도시한 평면개념도이다. 도 17은 도 13의 제 1필름(541)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3의 제 2필름(542)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집진부(540)는, 도전층을 절연층으로 도포한 필름(540a)과, 상기 필름(540a)을 상기 집진케이스(502) 내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540b)를 포함한다.
상기 필름(540a)은 복수개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540b)는 상기 복수의 필름(540a)을 상기 집진케이스(502) 내부에 고정시킨다.
상기 필름(540a)은 서로 면을 마주보고 틈(S)을 형성하도록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필름(540a)은, 각각 필름 길이방향(Y)이 필름 폭방향(Z)보다 긴 띠형상이고, 서로 면을 마주보고 틈(S)을 형성하며 일렬로 배치되어 배열군을 이룬다.
상기 고정부(540b)는 상기 배열군의 상기 폭방향 양측 중 적어도 한 측에 배치되어 상기 틈(S)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부(561,566)를 포함한다.
간격유지부(561,566)는 케이스(501,502) 내부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간격유지부(561,566)는 집진케이스(502)에만 고정된다. 간격유지부(561,566)는 복수의 필름(540a)을 지지하는 역할까지 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는, 상기 배열군의 상기 폭방향(Z) 양측 중 상기 집진케이스(502)의 내측면과 먼 측에 배치된 루프 간격유지부(56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561,566)는, 폭방방(Z)의 일측에 배치된 베이스 간격유지부(561)와, 상기 필름의 폭방향(Z)의 타측에 배치된 루프 간격유지부(56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필름 폭방향(Z)의 일측 방향을 공기흐름 방향으로 정의할 때, 집진케이스(502)의 상기 일측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집진케이스 유출구(507)가 형성되고, 복수의 필름(540a)은 필름 폭방향(Z)의 상기 일측이 상기 유출구(507)를 바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고정부(540b)는, 소정의 페이스트에 상기 복수의 필름의 일부분이 잠긴 상태로 상기 소정의 페이스트를 경화시켜 상기 복수의 필름(540a)을 고정시키는 몰딩부(578)를 포함한다.
복수의 필름(540a)은, 제 1도전층(551a)에 상대적으로 고전위가 인가되는 복수의 제 1필름(541)과, 제 2도전층(551b)에 상대적으로 저전위가 인가되는 복수의 제 2필름(54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의 필름(540a)은, 각각 상기 도전층을 사이에 배치한 상태로 양측에 2개의 절연층이 상기 도전층을 도포하며 구비된다.
복수의 제 1필름(541) 및 복수의 제 2필름(542)은 서로 교대로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제 1필름(541)과 상기 복수의 제 2필름(542)은 서로 면을 마주보고 틈(S)을 형성하도록 교대로 배열된다.
복수의 필름(540a)은, 폭방향(Z)이 상하 방향이되도록 배치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복수의 필름(540a)은 길이방향(Y)이 일치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필름 폭방향(Z) 및 필름 길이방향(Y)에 수직한 방향(X)으로 복수의 필름(540a)이 틈(S)을 형성하며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 약 20 내지 30개의 제 1필름(541) 및 제 2필름(542)이 교대로 배치된다.
전기집진장치(500)는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전압 발생기(581b)를 포함한다. 전기집진장치(500)는 제 2필름(542)의 제 2도전층(551b)과 고전압 발생기(581b)를 연결시키는 접지선(583b)과, 제 1필름(541)의 제 1도전층(551a)과 고전압 발생기(581b)를 연결시키는 고전압선(584b)을 포함한다. 상기 접지선(583b)은 접지(582b)와 연결된다.
집진부 전원단자(148b) 및 집진부 전원수용단자(548)가 접촉 연결되어 제 1도전층(551a)과 고전압 발생기(581a)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대전부 접지단자(149a) 및 대전부 접지수용단자(519)가 접촉 연결되어 제 2도전층(551b)과 접지(582a)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필름(541)의 제 1도전층(551a)은 고전압선(584b)과 연결되어 제 1필름(541)의 제 1도전층(551a)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전위가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 2필름(542)의 제 2도전층(551b)은 접지선(583b)과 연결되어 제 1필름(541)의 제 1도전층(551a)에 대해 상대적으로 저전위가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 1필름(541)의 제 1도전층(551a)과 제 2필름(542)의 제 2도전층(551b) 사이의 전압차는 약 7 내지 9kV가 걸리도록 고전압 발생기(581b)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7 및 17을 참고하여, 제 1필름(541) 및 제 2필름(542)은 띠 형상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 1필름(541) 및 제 2필름(542)의 띠 형상 길이는 약 200 내지 250mm일 수 있다. 제 1필름(541) 및 제 2필름(542)은 그 전체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필름(541) 및 제 2필름(542)은 양면 방향(X)으로 적어도 일부가 휘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필름(540a)의 상기 도전층은 카본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층은 두께가 10-100u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필름(541)의 제 1도전층(551a)은 고전위 전극을 구성하고, 제 2필름(542)의 제 2도전층(551b)은 저전위 전극을 구성한다.
한 쌍의 절연층은 도전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도전층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도포한다. 상기 절연층은, PP, PET, PEN, PU 등의 소재로 TiO2, Al2O3, SiO2 등의 나노필러를 포함하는 재질일 수 있고, 그 두께는 100-1500um일 수 있다.
상기 도전층은 상기 한 쌍의 절연층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 스크린 프린팅된 카본 패턴으로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절연층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카본 패턴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를 덮으면서 상기 어느 하나의 절연층과 접착될 수 있다.
상기 필름(540a)은, 상기 도전층의 일부가 노출된 노출부(557,558)를 포함한다.즉, 상기 필름(540a)의 상기 도전층은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고, 나머지가 상기 절연층에 의해 둘러싸인다.
상기 소정의 페이스트는 전기적 전도성을 가진 전도체 페이스트이고, 상기 몰딩부(578)는 전기적 전도성을 가진 전극연결부(578)일 수 있다. 이 경우, 몰딩부(578)는 필름(540a)의 고정 기능 뿐만 아니라 필름(540a)의 도전층에 전원을 인가시켜주는 전기적 선로의 기능을 하는데, 이러한 2가지 기능을 모두 하는 몰딩부(578)를 이하 전극연결부(578)로 표기한다.
전극연결부(578)는 상기 전도체 페이스트에 상기 노출부(557,558)가 잠긴 상태로 상기 전도체 페이스트를 경화시켜 상기 필름(540a)을 고정시킨다. 상기 전극연결부(578)는 고전압 발생기(581b)와 연결되어 필름(540a)의 상기 도전층에 전압을 인가시킨다.
전극연결부(578)는, 상기 고전압선(584b) 중 복수의 필름(540a)과 접촉하는 부분을 구성하는 제 1전극연결부(578a)와, 상기 접지선(583b) 중 복수의 필름(540a)과 접촉하는 부분을 구성하는 제 2전극연결부(578b)를 포함한다.
상기 노출부(557,558)는, 상기 복수의 제 1필름(541)의 길이방향(Y) 일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 2필름(542)의 길이방향(Y) 타단에 각각 형성된다. 제 1전극연결부(578a)는 상기 복수의 제 1필름(541)의 길이방향(Y) 일단에서 필름 배열방향(X)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 2전극연결부(578b)는 상기 복수의 제 2필름(542)의 길이방향(Y) 타단에서 필름 배열방향(X)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 1필름(541)의 제 1도전층(551a) 중 절연층(552a)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고 노출된 노출부(557)는 고전위 연결부(557)를 구성한다. 고전위 연결부(557)는 고전압선(584b)과 접촉한다. 즉, 고전위 연결부(557)는 고전압선(584b)의 일부를 구성하는 상기 제 1전극연결부(578a)와 접촉한다. 고전위 연결부(557)를 통해 제 1필름(541)의 제 1도전층(551a)에 고전위가 인가된다.
제 2필름(542)의 제 2도전층(551b) 중 절연층(552b)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고 노출된 노출부(558)는 저전위 연결부(558)를 구성한다. 저전위 연결부(558)는 접지선(583b)과 접촉한다. 즉, 저전위 연결부(558)는 접지선(583b)의 일부를 구성하는 상기 제 2전극연결부(578b)와 접촉한다. 저전위 연결부(558)를 통해 제 2필름(542)의 제 2도전층(551b)에 저전위가 인가된다.
제 1필름(541)의 제 1도전층(551a)으로 상대적으로 고전위가 인가되고 제 2필름(542)의 제 2도전층(551b)으로 상대적으로 저전위가 인가되면, 두 도전층(551a,551b) 사이에 전기장이 발생한다. 대전부(510)에서 대전된 먼지입자는 대전된 극성에 따라 전기장 내에서 전기력을 받아, 제 1필름(541)의 절연층(552a) 또는 제 2필름(542)의 절연층(552b)에 달라붙게 된다.
상기 필름(540a)은, 길이방향(Y) 양단 중 적어도 일단의 필름부분이 연장되어 폭방향(Z)으로 구부러진 걸림후크(55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필름(540a)은, 길이방향(Y) 양단의 필름부분이 연장되어 필름 폭방향(Z)으로 구부러진 걸림후크(555)를 포함한다. 걸림후크(555)는 복수의 제 1필름(541) 및 상기 복수의 제 2필름(542)의 길이 방향(Y) 양단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출부(557,558)는 상기 걸림후크에 형성된다. 걸림후크(555)는, 상기 도전층이 노출된 걸림후크(555a)와 상기 도전층이 노출되지 않은 걸림후크(555b)를 구분된다. 복수의 제 1필름(541)의 상기 노출부(557)는 길이방향(Y) 일단의 상기 걸림후크(555a)에 형성되고, 복수의 제 2필름(542)의 상기 노출부(558)는 길이방향(Y) 타단의 상기 걸림후크(555a)에 형성된다.
복수의 제 1필름(541)은 상기 양 말단 중 일측 말단의 걸림후크(555a)에서만 제 1도전층(551a)이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복수의 제 2필름(542)은 상기 일측 말단의 반대측인 타측 말단의 걸림후크(555a)에서만 제 2도전층(551b)이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즉, 복수의 제 1필름(541)에 구비된 고전위 연결부(557)는 상기 양 말단 중 일측에 형성된 걸림후크(555a)에만 형성되고, 복수의 제 2필름(542)에 구비된 저전위 연결부(558)는 상기 양 말단 중 타측에 형성된 걸림후크(555a)에만 형성된다.
상기 필름(540a)에는, 길이방향(Y) 양단부 중 적어도 일단부에서 폭방향(Z)으로 패인 걸림홈(556)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홈(556)은 복수의 필름(540a)의 길이방향(Y) 양단부에 모두 형성된다.
걸림후크(555)의 일측면이 걸림홈(556)의 일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걸림홈(556)은 일측이 개구된 슬릿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540b)는, 상기 집진케이스(502)에 결합되고 상기 걸림홈(556)에 삽입되는 거치리브(572)를 포함한다. 걸림홈(556) 및 거치리브(572)는 서로 치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거치리브(572)는 걸림홈(556)이 형성된 방향으로 집진케이스(502)로부터 돌출된 리브 형상이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도 19은 도 13의 베이스 간격유지부(561) 및 루프 간격유지부(566)가 복수의 필름(540a) 및 집진케이스(502)와 결합된 구조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20는 도 19의 베이스 간격유지부(561)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베이스 간격유지부(561)를 필름 배열방향(X)으로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2은 도 19의 루프 간격유지부(566)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23는 도 19의 루프 간격유지부(566)를 필름 배열방향(X)으로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9 내지 22를 참고하여, 상기 간격유지부(561, 566)는, 상기 배열군의 상기 간격유지부(561, 566)가 배치된 측으로부터 상기 틈(S) 들로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수직바(564, 568)를 포함한다. 복수의 수직바(564, 568)는 바(Bar) 형상으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복수의 수직바(564, 568)는 상기 틈(S)을 유지시키도록 복수의 필름(540a)을 서로 이격시킨다.
상기 복수의 수직바(564, 568)는, 상기 필름(540a)의 폭의 중앙을 넘어가도록 상기 틈(S)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필름(540a)의 가장자리 뿐만 아니라 필름(540a)의 중앙 부분에서도 인접한 필름(540a)과 상기 틈(S)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베이스 간격유지부(561)는 상기 폭방향(Z) 일측으로부터 상기 틈(S) 들로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베이스 수직바(564)를 포함하고, 상기 루프 간격유지부(566)는 상기 폭방향(Z)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틈(S) 들로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루프 수직바(568)를 포함한다. 즉, 상기 복수의 수직바(564, 568)는 복수의 베이스 수직바(564) 및 복수의 루프 수직바(56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바(564, 568)에는, 상기 필름(540a)의 유격이 줄어들도록 상기 필름(540a)의 면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565, 569)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필름(540a)이 상기 복수의 수직바(564, 568)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틈이 좁아지므로, 필름(540a)이 배치된 이후 필름(540a)의 유격이 현저히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베이스 간격유지부(561) 및 상기 루프 간격유지부(56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복수이다. 상기 베이스 간격유지부(561) 및 상기 루프 간격유지부(566)는 상기 필름의 길이방향(Y)을 따라 교대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베이스 수직바(564) 및 상기 복수의 루프 수직바(568)는, 상기 필름(540a)의 폭의 중앙을 넘어가도록 상기 틈(S)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배열군의 필름 길이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교대로 폭방향(Z) 일측 및 타측에서 각각 뻗은 복수의 베이스 수직바(564) 및 복수의 루프 수직바(568)가 서로 중첩적으로 배치되고, 이를 통해 더욱 안정적으로 필름(540a)의 중앙 부분에서도 인접한 필름(540a)과 상기 틈(S)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베이스 간격유지부(561)는, 상기 배열군의 상기 필름 폭방향(Z)의 상기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열군의 배열방향(X)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바(562)와, 상기 필름 폭방향(Z)의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틈(S) 들로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베이스 수직바(564)와, 상기 베이스 간격유지부(561)를 집진케이스(502)에 고정시켜주는 체결부(56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름 폭방향(Z)의 상기 일측은 상측 방향이고, 복수의 필름(540a)의 상측에 베이스바(562)가 배치된다.
베이스바(562)는 복수의 베이스 수직바(564)의 시단을 지지한다.
베이스바(562)는 상기 집진케이스 유출구(507)을 나누며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바(562)의 필름 폭방향(Z) 일측은 공기가 상기 틈(S)으로부터 유출되어 흐르는 방향을 바라보고, 베이스바(562)의 필름 폭방향(Z) 타측은 상기 복수의 필름(540a)과 접할 수 있다.
베이스바(562)는 막대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바(562)는 필름 배열방향(X)을 따라 연장된 부재이다.
필름(540a)의 폭방향(Z)의 상기 일측에는 베이스바(562)가 일부 삽입되어 걸릴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바(562)가 직접적으로 필름(540a)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바(562)의 필름 배열방향(X) 양단에 각각 체결부(563)가 형성된다.
체결부(563) 및 집진케이스(50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체결용 구조가 구비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체결용 구조와 대응하는 구조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집진케이스(502)의 유출구(507)가 형성된 방향의 내측면 상에는, 베이스용 후크(503a)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563)는, 상기 베이스용 후크(503a)가 삽입되어 걸리는 체결홀(563a)이 체결판(563b)에 형성되어 구비된다. 체결판(563b)은 수평 평면 상에 배치되어 집진케이스(502)의 내측면에 밀착한다. 체결판(563b)과 베이스바(562)는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이스 수직바(564)의 시단은 각각 베이스바(562)에 결합되어 형성된다. 복수의 베이스 수직바(564)의 종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베이스 수직바(564)는 서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수직바(564)의 수평 단면은 각각 필름 배열방향(X) 길이보다 필름 길이방향(Y) 길이가 더 긴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베이스 수직바(564)는, 상기 복수의 필름(540a)의 폭의 중앙을 넘어가도록 상기 틈(S)에 삽입된다. 즉, 복수의 베이스 수직바(564)의 길이는 복수의 필름(540a)의 폭의 길이의 절반보다 크다. 또한, 복수의 베이스 수직바(564)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필름(540a)의 폭보다 작거나 같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베이스 수직바(564)는 각각의 필름(540a)과 교대로 배치된다. 하나의 베이스 간격유지부(561)에 형성된 인접하는 2개의 베이스 수직바(564) 사이에는 하나의 필름(540a)이 배치된다. 다만, 복수의 필름(540a) 중 필름 배열방향(X)의 양단의 필름(540a)은, 일측면 방향으로만 베이스 수직바(564)가 위치하고 타측면 방향으로는 베이스 수직바(564)가 위치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이스 수직바(564)에는, 상기 필름의 유격이 줄어들도록 상기 필름의 면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565)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돌기(565)는 반구형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돌기(565)는, 복수의 베이스 수직바(564)의 필름 배열방향(X) 양측면 중 어느 하나에서만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의 베이스 수직바(564)의 필름 배열방향(X) 양측면 모두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어느 하나의 베이스 수직바(564)에서 일방향으로 돌출된 돌기(565)와 인접하는 베이스 수직바(564)에서 타방향으로 돌출된 돌기(565) 사이에 필름(540a)이 배치된다.
필름(540a)의 폭방향(Z) 길이 중앙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된 돌기(565)가 구비될 수 있다. 돌기(565)는, 복수의 베이스 수직바(564) 상에서 복수개가 필름의 폭방향(Z)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21에서는 복수의 돌기(565) 중 일부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베이스 수직바(564)의 필름 배열방향(X) 양측면 중 어느 하나에서 돌출된 돌기(565a,565b,565c)와, 다른 하나에서 돌출된 돌기(565d,565e,565f)가 구비된다. 복수의 베이스 수직바(564)의 시단부에 형성된 돌기(565c,565d)와, 중앙부에 형성된 돌기(565b,565e)와, 종단부에 형성된 돌기(565a,565f)가 필름의 폭방향(Z)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루프 간격유지부(566)는, 상기 배열군의 배열방향(X) 양단과 상기 필름 폭방향(Z)의 상기 타측을 ㄷ자로 감싸는 루프바디(567)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루프 간격유지부(566)는, 상기 배열군의 배열방향(X) 양단 및 상기 집진케이스의 내측면과 먼 측을 ㄷ자로 감싸는 루프바디(56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타측 또는 상기 먼 측은 하측 방향이고, 복수의 필름(540a)의 하측에 루프바디(567)가 배치된다.
루프바디(567) 및 집진케이스(502) 사이의 공간에 필름(540a)의 배열군이 배치되는데, 상기 배열군의 외곽의 루프바디(567)가 상기 배열군의 전체적인 형상이 유지되도록 상기 배열군을 구속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루프 간격유지부(566)는, 상기 루프바디(567)로부터 상기 틈(S) 들로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루프 수직바(568)를 포함한다.
루프바디(567)는 복수의 루프 수직바(568)의 시단을 지지한다.
루프바디(567)는, 상기 배열군에 접하면서 상기 배열군의 배열방향(X)으로 연장되는 루프바(5671)를 포함한다. 루프바(5671)는 복수의 루프 수직바(568)의 시단을 지지한다.
루프바(5671)는 상기 복수의 필름(540a) 배열군과 복수의 상기 대향 전극판(523) 배열군 사이에 배치된다. 루프바(5671)의 필름 폭방향(Z) 일측은 상기 복수의 필름(540a)과 접하고, 루프바(5671)의 필름 폭방향(Z) 타측은 복수의 상기 대향 전극판(523)과 접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필름(540a) 배열군과 복수의 상기 대향 전극판(523) 배열군은 루프바(5671)의 필름 폭방향(Z) 두께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루프바(5671)는 복수의 필름(540a)과 대향 전극판(523)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필름(540a)과 대향 전극판(523)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유지시킨다.
필름(540a)의 폭방향(Z)의 상기 타측에는 루프바(5671)가 일부 삽입되어 걸릴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루프바(5671)가 직접적으로 필름(540a)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루프바(5671)는 막대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루프바(5671)는 필름 배열방향(X)을 따라 연장된 부재이다.
상기 루프바(5671)는, 두께가 다른 부분에 비해 커지는 단면확장부(5671a)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단면확장부(5671a)는 루프바(5671)를 균등하는 지점마다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단면확장부(5671a)는 루프바(5671)의 모멘트 강성을 증가시킨다.
단면확장부(5671a)는, 필름 폭방향(Z) 두께는 루프바(5671)의 다른 부분 필름 폭방향(Z)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필름 길이방향(Y) 두께는 루프바(5671)의 다른 부분 필름 길이방향(Y) 두께보다 크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필름 폭방향(Z)으로 복수의 대향 전극판(523)이 루프바(5671)와 접촉되어, 루프바(5671)의 필름 폭방향(Z) 모멘트힘에 대해서는 복수의 대향 전극판(523)이 루프바(5671)의 변형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루프바(5671)의 필름 길이방향(Y) 모멘트힘에 대해서는 단면확장부(5671a)의 필름 길이방향(Y) 길이 증가를 통해, 루프바(5671)의 변형을 저감시킬 수 있다.
단면확장부(5671a)는 루프바(5671)의 분리된 부품을 연결하는 접속부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조립공정의 편의를 위해 루프 간격유지부(566)는 복수개로 분리되고 조립시 루프바(5671)의 분절부분을 서로 조립하여 완성시킬 수 있는데, 이경우 분절된 복수의 루프바(5671) 부품 중 어느 한 부품의 돌출부가 다른 한 부품의 홈에 삽입되어 조립될 수 있다. 이 경우, 루프 간격유지부(566)가 전체 조립된 상태에서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홈의 결합부분의 단면이 루프바(5671)의 다른 부분 단면보다 상대적으로 크게하여, 단면확장부(5671a)를 구성시킬 수 있다.
루프바디(567)는, 상기 필름 배열방향(X) 양단에 배치되어 상기 집진케이스(502)와 결합되는 양단지지부(5672)를 포함한다. 양단지지부(5672)는 상기 배열군의 배열방향(X) 양단을 구속하는 동시에 루프 간격유지부(566)가 집진케이스(502)에 고정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양단지지부(5672)는 집진케이스(502)에 결합되어 루프바(5671)를 지지한다.
양단지지부(5672)는 루프바(5671)의 필름 배열방향(X) 양단에 각각 1개씩 배치된다. 양단지지부(5672)는 루프바(5671)의 필름 배열방향(X) 양단에 결합되어 필름 폭방향(Z)으로 연장되어, 필름(540a) 배열군의 배열방향(X) 양단에 접촉될 수 있다.
양단지지부(5672)는, 루프바(5671)의 일단에 결합된 제 1지지부(미도시)와, 루프바(5671)의 타단에 결합된 제 2지지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지지부와 상기 제 2지지부는 각각 필름 폭방향(Z)으로 뻗은 막대부재일 수 있다.
상기 제 1지지부와 상기 제 2지지부를 수평 방향으로 자른 단면은, 필름 배열방향(X) 길이보다 필름 길이방향(Y)이 더 긴 형상일 수 있고,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 1지지부와 상기 제 2지지부를 수평 방향으로 자른 단면의 필름 길이방향(Y) 길이는, 루프바(5671)의 필름 길이방향(Y) 두께보다 길고, 루프 수직바(568)의 필름 길이방향(Y) 두께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단지지부(5672)의 상기 필름 폭방향(Z)의 상기 일측 말단이 집진케이스(502)와 결합된다. 상기 양단지지부(5672)의 상기 필름 폭방향(Z)의 상기 일측 말단에 체결부(5673)가 구비된다.
체결부(5673) 및 집진케이스(50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체결용 구조가 구비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체결용 구조와 대응하는 구조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집진케이스(502)의 유출구(507)가 형성된 방향의 내측면 상에는, 루프용 후크(503b)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5673)는, 상기 베이스용 후크(503b)가 삽입되어 걸리는 체결홀(5673a)이 체결판(5673b)에 형성되어 구비된다. 체결판(5673b)은 수평 평면 상에 배치되어 집진케이스(502)의 내측면에 밀착한다.
복수의 루프 수직바(568)의 시단은 각각 루프바(5671)에 결합되어 형성된다. 복수의 루프 수직바(568)의 종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루프 수직바(568)는 서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루프 수직바(568)의 수평 단면은 각각 필름 배열방향(X) 길이보다 필름 길이방향(Y) 길이가 더 긴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복수의 루프 수직바(568)는, 상기 복수의 필름(540a)의 폭의 중앙을 넘어가도록 상기 틈(S)에 삽입된다. 즉, 복수의 루프 수직바(568)의 길이는 복수의 필름(540a)의 폭의 길이의 절반보다 크다. 또한, 복수의 루프 수직바(568)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필름(540a)의 폭보다 작거나 같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복수의 루프 수직바(568)는 각각의 필름(540a)과 교대로 배치된다. 하나의 루프 간격유지부(566)에 형성된 인접하는 2개의 루프 수직바(568) 사이에는 하나의 필름(540a)이 배치된다. 다만, 복수의 루프 수직바(568) 중 필름 배열방향(X)의 양단에 배치된 루프 수직바(568)는 인접한 양단지지부(5672)와의 사이에 틈을 형성시키고, 상기 틈에 하나의 필름(540a)을 배치시킬 수 있다.
복수의 루프 수직바(568)에는, 상기 필름의 유격이 줄어들도록 상기 필름의 면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569)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돌기(569)는 반구형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돌기(569)는, 복수의 루프 수직바(568)의 필름 배열방향(X) 양측면 중 어느 하나에서만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의 루프 수직바(568)의 필름 배열방향(X) 양측면 모두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어느 하나의 루프 수직바(568)에서 일방향으로 돌출된 돌기(569)와 인접하는 루프 수직바(568)에서 타방향으로 돌출된 돌기(569) 사이에 필름(540a)이 배치된다.
필름(540a)의 폭방향(Z) 길이 중앙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된 돌기(569)가 구비될 수 있다. 돌기(569)는, 복수의 루프 수직바(568)상에서 복수개가 필름의 폭방향(Z)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23에서는 복수의 돌기(569) 중 일부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루프 수직바(568)의 필름 배열방향(X) 양측면 중 어느 하나에서 돌출된 돌기(569a,569b,569c)와, 다른 하나에서 돌출된 돌기(569d,569e,569f)가 구비된다. 복수의 루프 수직바(568)의 시단부에 형성된 돌기(569a,569f)와, 중앙부에 형성된 돌기(569b,565e)와, 종단부에 형성된 돌기(569c,569d)가 필름의 폭방향(Z)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베이스용 후크(503a) 및 루프용 후크(503b)는, 상기 유출구(507)의 필름 배열방향(X) 양측단부에서 필름 길이방향(Y)으로 복수개가 서로 교대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 24은 도 13의 복수의 필름(540a)이 거치리브(572)에 거치된 구조를 확대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25(a)는 도 13의 집진부(540)를 필름 길이방향(Y)으로 잘라 제 1필름(541)의 입면이 보여지는 단면도이고, 도 25(b)는 도 13의 집진부(540)를 필름 길이방향(Y)으로 잘라 제 2필름(542)의 입면이 보여지는 단면도이다.
고정부(540b)는, 집진케이스(502)에 결합되고 상기 걸림홈(556)에 삽입되는 거치리브(572)를 포함한다.
거치리브(572)는 필름의 배열방향(X)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거치리브(572)는 필름(540a)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거치리브(572)는 필름 길이방향(Y) 양단에 각각 필름의 배열방향(X)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2개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리브(572)는, 필름의 길이방향(Y) 양단부 중 일단부에 배치되는 제 1거치리브(572a)와, 필름의 길이방향(Y) 양단부 중 타단부에 배치되는 제 2거치리브(572b)를 포함한다.
고정부(540b)는, 상기 소정의 페이스트를 담는 수용공간(576)을 형성하는 전도체 수용부(571)를 포함한다. 수용공간(576) 내부로, 상기 배열군의 필름 길이방향(Y) 양단을 따라 필름 배열방향(X)으로 열을 맞춰 배치된 복수의 상기 걸림후크(555)의 말단이 삽입된다.
전도체 수용부(571)는 필름의 배열방향(X)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전도체 수용부(571)는 필름 길이방향(Y) 양단에 각각 필름의 배열방향(X)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2개의 수용공간(576)을 형성시킨다. 전도체 수용부(571)는, 상기 제 1전극연결부(578a)를 담는 수용공간(576)을 형성하는 제 1전도체 수용부(571a)와, 상기 제 2전극연결부(578a)를 담는 수용공간(576)을 형성하는 제 2전도체 수용부(571b)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후크(55)는, 필름 폭방향(Z)으로 구부러져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576)으로 삽입되어 몰딩부(578)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거치리브(572)는 걸림홈(556)에 삽입되어 복수의 필름(540a)을 받쳐주면서,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몰딩부(578) 또는 거치리브(572)/걸림홈(556)을 통해, 상기 간격유지부(560)가 복수의 필름(540a)의 자중을 지지하지 않고 단지 간격 유지 기능 만을 수행토록 할 수 있어, 간격유지부(60)의 구조를 경량화 또는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전도체 수용부(571)에는, 상기 소정의 페이스트가 상기 수용공간(576)에 주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노출부(557,558)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2종류의 개구부는 서로 별개로 구분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하나의 개구부가 2가지 기능을 동시에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후자의 경우이다.
전도체 수용부(571)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는 전도체 수용부(571)의 필름 폭방향(Z) 중 일측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대전부(510)가 위치한 방향을 바라보며 형성된다. 전도체 수용부(571)에는 일측이 개구되어 함몰되면서 상기 수용공간(576)이 형성된다.
전도체 수용부(571)는, 수용공간(576)의 하측면을 구성하는 바닥면(573)과, 수용공간(576)의 필름 배열방향(X) 양측면을 구성하는 2개의 횡측면(미도시)과, 수용공간(576)의 필름 길이방향(Y) 양측면을 구성하는 2개의 종측면(572,57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리브(572)는 상기 수용공간(576)을 구획하는 일면을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거치리브(572)는 전도체 수용부(571)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2개의 종측면 중 걸림홈(556)이 끼워지는 종측면(572)은 상기 거치리브(572)이다. 상기 제 1거치리브(572a)는 제 1전도체 수용부(571a)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 2거치리브(572b)는 제 2전도체 수용부(571b)의 일부를 구성한다.
상기 2개의 종측면 중 거치리브(572)의 반대측 면(574)은 필름 폭방향(Z)으로 경사지도록 구비되어, 수용공간(576)의 크기가 필름 폭방향(Z)의 상기 타측으로 갈수록 커지게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몰딩부(578)는, 상기 2개의 수용공간(576)에 소정의 페이스트 형태로 담겨 경화되면서 복수의 상기 걸림후크(55)를 고정시킨다. 필름(540a) 전체 면적 또는 폭에 비해 작은 면적 또는 폭으로 돌출된 걸림후크(555)는, 몰딩부(578)에 잠겨지기 용이한 구조이고, 몰딩부(578)가 효율적으로 필름(540a)을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몰딩부(578)는 상기 전극연결부(578)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몰딩부는 전기적 전도성이 없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전극연결부(578)는, 상기 복수의 제 1필름(541) 및 상기 복수의 제 2필름(542) 중 어느 하나의 복수의 필름에 각각 형성된 상기 노출부(557 및 558 중 어느 하나)를 서로 연결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전극연결부(578a)는 상기 복수의 제 1필름(541)에 각각 형성된 상기 노출부(557)를 서로 연결시키도록 구비되고, 제 2전극연결부(578b)는 상기 복수의 제 2필름(542)에 각각 형성된 상기 노출부(558)를 서로 연결시키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제 1전극연결부(578a)는 복수의 상기 고전위 연결부(557)를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 2전극연결부(578b)는 복수의 상기 저전위 연결부(558)를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전극연결부(578)는 상기 걸림후크(555)를 고정시킨다.
제 1전극연결부(578a)는, 상기 복수의 제 1필름(541)과 상기 복수의 제 2필름(542)의 길이방향(Y) 일단에 형성된 상기 걸림후크(555)를 고정시키며 일체로 이루어진다. 제 2전극연결부(578b)는, 상기 복수의 제 1필름(541)과 상기 복수의 제 2필름(542)의 길이방향(Y) 타단에 형성된 상기 걸림후크(555)를 고정시키며 일체로 이루어진다.
제 1전극연결부(578a)는, 복수의 제 1필름(541)의 고전위 연결부(557)가 구비된 걸림후크(555a) 및 복수의 제 2필름(542)의 저전위 연결부(558)가 구비되지 않은 상기 걸림후크(555b)를 고정한다. 제 2전극연결부(578b)는 복수의 제 1필름(541)의 고전위 연결부(557)가 구비되지 않은 상기 걸림후크(555b) 및 복수의 제 2필름(542)의 저전위 연결부(558)가 구비된 걸림후크(555a)를 고정한다. 이를 통해, 제 1전극연결부(578a)는 제 1필름의 제 1도전층(551a)에만 상대적 고전위를 인가하고, 제 2전극연결부(578b)는 제 2필름의 제 2도전층(551b)에만 상대적 저전위를 인가시킬 수 있다.
전극연결부(578)는, 상기 전도체 페이스트를 경화시켜 구성된다. 이를 통해, 걸림후크(555)를 강하게 고정시키도, 전극연결부(578)가 고전위 연결부(557) 및 저전위 연결부(558)에 밀착하여 접합됨으로써 접촉 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고전위 연결부(557) 및 저전위 연결부(558)에 공기의 접촉를 차단시키고, 접촉 지점의 스파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도체 페이스트는, 전도체 분말과 유기용제(organic solvent)와 고분자(macromolecule) 수지가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도체 페이스트는 경화 전에는 유동성을 가진 반고체 상태이고 경화 후에는 고체 상태가 된다.
상기 전도체 분말은, 전도성을 가진 고체가 잘게 부수어져 입자가 작게 된 것 의미한다. 상기 전도성을 가진 고체는 카본, 구리, 은 등의 금속 성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도체 분말은 카본 블랙 분말이다.
상기 유기용제는 상온에서 액체 상태이다. 상기 전도체 페이스트에 혼합된 상기 유기용제가 건조조건에 따라 증발되면서 상기 전도체 페이스트는 고체로 경화된다.
상기 고분자 수지는 분말형태이다. 상기 전도체 분말과 상기 고분자 수지는 상기 전도체 페이스트가 경화된 이후에도 남는 성분이된다. 상기 전도체 분말 및 상기 고분자 수지는 혼합된 것이고, 화학적으로 결합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도체 페이스트가 경화된 이후에는 상기 전도체 분말의 입자들이 서로 연결된 상태가 되어, 경화된 상기 전도체 페이스트는 전기적으로 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도체 페이스트의 성분 조성비는, 상기 전도체 분말 약 30% 정도, 상기 유기용제 약 50%, 상기 고분자 수지 약 20%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전극연결부(578)는 수밀하게 둘러싸여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전극연결부(578) 중 외부 공기에 노출되는 면에 방수재(579)가 도포될 수 있다. 방수재(579)는 에폭시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 등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고 도포하여 경화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방수재는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주제는 Bisphenol A형 EPOXY 수지와 난연성 충진제와 기타 첨가제를 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경화제는 지방족 변성 아민 경화제이다.
상기 방수재(579)는 상기 전극연결부(578) 중 전도체 수용부(571)의 상기 개구부에 의해 노출되는 면에 도포된다. 방수재(579)는 상기 전도체 페이스트가 수용공간(576)에 담긴 상태에서 전도체 페이스트가 외부 공기에 노출되는 면을 덮도록 배치된다. 전극연결부(578)는 전도체 수용부(571) 및 방수재(579)에 의해 둘러싸여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극연결부(578) 중 외부 공기에 노출되는 면은 캡 부재(미도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캡 부재는 수용공간(576)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극연결부(578)는 전도체 수용부(571) 및 상기 캡 부재에 의해 둘러싸여 배치된다.
도 26 내지 37을 참고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장치(1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장치(100)와 공통되는 사항은 동일 도면 부호로 도시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장치(100')는, 외형을 형성하고 일측에 필터설치개구부(133)가 형성된 바디 케이스(131), 상기 바디 케이스(131)의 내부에 배치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하우징(2140), 및 상기 필터설치개구부(133)를 통해 상기 필터하우징(214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2500)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하우징(2140)과 상기 전기집진장치(2500)는 결합된 상태에서 여과유로(102)를 형성한다.
상기 전기집진장치(2500)는 대전된 먼지입자를 집진하는 집진부(540)를 포함한다.
상기 집진부(540)는, 상대적으로 고전위가 인가되는 제 1도전층(551a), 및 상기 제 1도전층(551a)과 서로 면을 마주보고 틈(S)을 형성하며 배치되고 상대적으로 저전위가 인가되는 제 2도전층(551b)을 포함한다.
공기청정장치(100')는, 상기 제 1도전층(551a)과 상기 제 2도전층(551b)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고전압 발생기(581b)을 포함한다.
도 26 내지 29를 참고하여, 전원단자(148a,148b), 접지단자(149a,149b), 전원수용단자(518,548), 및 접지수용단자(519,549)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필터하우징(2140)의 내측면에는 상기 고전압 발생기(581b)와 연결되어 전기집진장치(25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단자(148a,148b)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필터하우징(2140)의 내측면에는 전기집진장치(2500)에 접지를 제공하는 접지단자(149a,149b)가 구비될 수 있다. 접지단자(149a,149b)는 접지(582b)와 연결된다.
전기집진장치(2500)의 외측면에는, 전원단자(148a,148b)와 접촉하여 상기 전기집진장치에 전원을 연결시키는 전원수용단자(518, 548), 및 접지단자(149a,149b)와 접촉하여 상기 전기집진장치에 접지를 연결시키는 접지수용단자(519, 549)가 배치된다.
전기집진장치(2500)가 필터하우징(2140)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된 때에, 전원단자(148a,148b)와 전원수용단자(518, 548)가 서로 접촉하고 접지단자(149a,149b)와 접지수용단자(519, 549)가 서로 접촉한다. 전기집진장치(2500)가 필터하우징(2140)의 내부 공간으로 '완전 인입'된 때에만, 전원단자(148a,148b)와 전원수용단자(518, 548)가 서로 접촉하고 접지단자(149a,149b)와 접지수용단자(519, 549)가 서로 접촉한다. 상기 '완전 인입'은, 전기집진장치(2500)가 필터하우징(2140)에 끝까지 인입된 것을 의미한다. 인입 중이거나 인출 중인 경우에는 완전 인입이 아니다.
대전부 전원단자(148a) 및 집진부 전원단자(148b)와 각각 대응되는 지점에 각각 대전부 전원수용단자(518) 및 집진부 전원수용단자(548)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집진장치(2500)의 외부에 대전부 접지단자(149a) 및 집진부 접지단자(149b)와 각각 대응되는 지점에 각각 대전부 접지수용단자(519) 및 집진부 접지수용단자(549)가 구비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2500)에서 대전부 전원수용단자(518) 및 집진부 전원수용단자(548)가 배치된 측면은, 대전부 접지수용단자(519) 및 집진부 접지수용단자(549)가 배치된 측면과 서로 반대된다.
전기집진장치(2500)의 좌우 측면에는 상기 전원단자(148a,148b) 및 상기 접지단자(149a,149b)와 대응되는 지점에 전원수용단자(518,548) 및 접지수용단자(519,549)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전기집진장치(2500)가 바디(13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만 상기 전원단자(148a,148b) 및 상기 접지단자(149a,149b)가 각각 전원수용단자(518,548) 및 접지수용단자(519,549)와 접촉되도록, 전원수용단자(518,548) 및 접지수용단자(519,549)가 배치된다.
전원수용단자(518,548)는, 대전부(510)에 전원을 연결시켜주는 대전부 전원수용단자(518) 및 집진부(540)에 전원을 연결시켜주는 집진부 전원수용단자(548)를 포함한다. 접지수용단자(519,549)는, 대전부(510)에 접지를 연결시켜주는 대전부 접지수용단자(519) 및 집진부(540)에 접지를 연결시켜주는 집진부 접지수용단자(549)를 포함한다.
대전부 전원단자(148a) 및 집진부 전원단자(148b)는 필터하우징(140)의 동일내측면 상에 배치되고, 대전부 접지단자(149a) 및 집진부 접지단자(149b)는 필터하우징(140)의 동일 내측면상에 배치된다. 전원단자(148a, 148b)와 접지단자(149a,149b)는 각각 전기집진장치(2500)의 서로 반대 측면에 배치된다.
대전부 전원수용단자(518) 및 집진부 전원수용단자(548)는 전기집진장치(2500)의 동일 측면상에 배치되고, 대전부 접지수용단자(519) 및 집진부 접지수용단자(549)는 전기집진장치(2500)의 동일 측면상에 배치된다. 전원수용단자(518, 548)과 접지수용단자(519)는 각각 전기집진장치(2500)의 서로 반대 측면에 배치된다.
대전부 전원단자(148a) 및 집진부 전원단자(148b)는, 전기집진장치(2500)가 인입 및 인출되는 방향의 수직 방향에 대해 위치 차이가 있도록 배치된다. 대전부 접지단자(149a) 및 집진부 접지단자(149b)는, 전기집진장치(2500)가 인입 및 인출되는 방향의 수직 방향에 대해 위치 차이가 있도록 배치된다. 대전부 전원단자(148a) 및 집진부 전원단자(148b)는 동일 내측면 상에 배치된다. 대전부 접지단자(149a) 및 집진부 접지단자(149b)는 동일 내측면 상에 배치된다.
전기집진장치(2500)가 인입 및 인출하는 과정에서 서로 대응되지 않는 단자까리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마찰에 의한 마모 현상을 줄이고, 원하지 않는 전원의 인가를 막을 수 있다. 특히, 전기집진장치(2500)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완전 결합'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단자끼리 접촉하여 전원이 인가되면, 사용자에게 감전의 위험이 있을 수 있는데, 이를 막을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2500)가 인입 및 인출되는 방향은 전후 방향일 수 있다. 이 경우, 대전부 전원단자(148a) 및 집진부 전원단자(148b)는 필터하우징(140)의 동일 내측면 상에서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된다. 대전부 접지단자(149a) 및 집진부 접지단자(149b)는 필터하우징(140)의 동일 내측면 상에서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된다.
대전부 전원수용단자(518) 및 집진부 전원수용단자(548)는 전기집진장치(2500)의 동일 측면상에서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된다. 대전부 접지수용단자(519) 및 집진부 접지수용단자(549)는 전기집진장치(2500)의 동일 측면상에서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된다.
대전부 전원단자(148a) 및 집진부 전원단자(148b)는, 필터어셈블리(10)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에 대해 수직인 면상에 배치된다. 대전부 접지단자(149a) 및 집진부 접지단자(149b)는, 필터어셈블리(10)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에 대해 수직인 면상에 배치된다.
대전부 전원수용단자(518) 및 집진부 전원수용단자(548)는, 필터어셈블리(10)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에 대해 수직인 면상에 배치된다. 대전부 접지수용단자(519) 및 집진부 접지수용단자(549)는, 필터어셈블리(10)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에 대해 수직인 면상에 배치된다.
필터어셈블리(10)가 필터하우징(140)에 완전히 결합되면, 대전부 전원단자(148a)와 대전부 전원수용단자(518)가 접촉하고, 대전부 접지단자(149a)와 대전부 접지수용단자(519)가 접촉하여, 대전부(510)에 고전압이 인가된다. 필터어셈블리(10)가 필터하우징(140)에 완전히 결합되면, 집진부 전원단자(148b)와 집진부 전원수용단자(548)가 접촉하고, 집진부 접지단자(149b) 집진부 접지수용단자(549)가 접촉하여, 집진부(540)에 고전압이 인가된다.
필터어셈블리(10)가 필터하우징(140)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하여 이동하면, 대전부 전원단자(148a)와 대전부 전원수용단자(518)가 분리되고, 대전부 접지단자(149a)와 대전부 접지수용단자(519)가 분리되어, 대전부(510)에 전압인가가 차단된다. 필터어셈블리(10)가 필터하우징(140)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하여 이동하면, 집진부 전원단자(148b)와 집진부 전원수용단자(548)가 분리되고, 집진부 접지단자(149b) 집진부 접지수용단자(549)가 분리되어, 집진부(540)에 전압인가가 차단된다.
도 31 내지 37을 참고하여, 전기집진장치(2500)의 집진부(540)는, 상기 제 1도전층(551a)과 상기 제 2도전층(551b)이 서로 단락되게 온(ON)하거나 서로 단락되지 않게 오프(OFF)하는 단락 스위치(6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 1도전층(551a)은 병렬로 연결되고, 제 1도전층(551a)의 병렬 연결지점에서 단락 스위치의 일 단자와 연결되는 도선(600a)이 구비된다. 또한, 복수의 제 2도전층(551b)은 병렬로 연결되고, 제 2도전층(551b)의 병렬 연결지점에서 단락 스위치의 다른 단자와 연결되는 도선(600b)이 구비된다.
상기 단락 스위치(600)는, 상기 필터어셈블리(10)가 상기 필터하우징(214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오프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10)가 상기 필터하우징(2140)의 내부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온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필터어셈블리(10)가 상기 필터하우징(2140)의 내부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집진부(540)와 고전압 발생기(581b)의 연결이 차단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필터어셈블리(10)가 필터하우징(2140)의 내부에서 인출될 시에는, 제 1도전층(551a) 및 제 2도전층(551b)에 고전압 발생기(581b)이 연결될 수 없는 상태가 되는 동시에, 제 1도전층(551a) 및 제 2도전층(551b)이 서로 단락되어 대전된 전하가 제거되는 상태가 된다. 반면, 필터어셈블리(10)가 필터하우징(2140)의 내부로 삽입될 시에는, 제 1도전층(551a) 및 제 2도전층(551b)에 고전압 발생기(581b)가 연결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제 1도전층(551a) 및 제 2도전층(551b)의 단락이 해제되어 집진부(540)에 전기장이 발생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필터하우징(2140)은 내부에서 돌출된 스위칭 돌출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돌출부(141)는 필터하우징(2140)의 내측면 중 후방면에서 정면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스위칭 돌출부(141)는 돌출되면서 단면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칭 돌출부(141)는 후술할 가압부(626)를 누르면서 말단이 전기집진장치의 내부로 삽입되기 용이하도록,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단면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스위칭 돌출부(141)는, 스위칭 돌출부(141)의 일측면이 전후방향을 따라 경사진 경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락 스위치(600)는, 상기 제 1도전층(551a) 및 상기 제 2도전층(551b)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도전체(610), 및 다른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도전체(620)를 포함한다. 상기 단락 스위치(600)는, 상기 제 1도전체(610) 및 제 2도전체(620)를 지지하는 단락 스위치 고정바디(650)를 포함한다.
상기 단락 스위치(600)는, 상기 전기집진장치(2500)의 외부에 상기 스위칭 돌출부(141)와 대응되는 위치에 노출되어 상기 전기집진장치(2500)가 상기 필터하우징(2140)의 내부에 삽입시 눌려지는 가압부(626)를 포함한다. 가압부(626)는 제 1도전체(610)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제 1도전체(610)는 가압부(6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락 스위치(600)는, 상기 가압부(626)의 가압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탄성체(630)를 포함한다. 탄성체(630)는, 상기 가압부(626)의 눌림시 탄성압축되고, 상기 가압부(626)가 눌림 해제시 복원된다. 가압부(626)는 후방을 바라보는 가압면을 형성하는 판형의 부재일 수 있다.
상기 제 1도전체(610)는 상기 제 1도전층(551a) 및 상기 제 2도전층(551b)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연결단자(612)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도전체(620)는 상기 제 1도전층(551a) 및 상기 제 2도전층(551b) 중 다른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연결단자(62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도전체(610)는 상기 제 2도전체(620)와 접촉되는 제 1접촉부(614)를 포함한다. 제 1접촉부(614)는 가압부(626)의 눌림 해제시 후술할 제 2접촉부(624)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2도전체(620)는 상기 제 1도전체(610)와 접촉되는 제 2접촉부(624)를 포함한다. 제 2접촉부(624)는 가압부(626)의 눌림 해제시 상기 제 1접촉부(614)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2접촉부(624)는 상기 가압부(626)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626)의 가압면과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며 배치된다. 상기 제 1접촉부(614)는 상기 가압면이 바라보는 면을 마주보며 배치된다.
상기 제 1도전체(610)는, 복수번 절곡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제 1도전체 절곡부(616)를 포함한다. 도 34를 참고하여, 제 1도전체(610)는, 연장방향을 따라 +90도로 한번 절곡되고 -90도로 두 번 절곡되어 구비되어 첫번째 제 1도전체 절곡부(616a)가 구비되고, 연장방향을 따라 +90도로 두번 절곡되어 두번째 제 1도전체 절곡부(616b)가 구비되며, 연장방향을 따라 -90도로 두번 절곡되어 세번째 제 1도전체 절곡부(616c)가 구비되고, 연장방향을 따라 +90도로 절곡되어 네번째 제 1도전체 절곡부(616d)를 구비한다.
상기 단락 스위치 고정바디(650)는, 상기 제 1도전체 절곡부(616)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는 제 1도전체 걸림부(654)를 포함한다. 제 1도전체 걸림부(654)는, 상기 제 1도전체 절곡부에 끼워져 상기 제 1도전체를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첫번째 제 1도전체 절곡부(616a)에 끼워지는 첫번째 제 1도전체 걸림부(654a)가 구비되고, 두번째 제 1도전체 절곡부(616b)에 끼워지는 두번째 제 1도전체 걸림부(654b)가 구비되며, 세번째 제 1도전체 절곡부(616c)에 끼워지는 세번째 제 1도전체 걸림부(654c)가 구비되고, 네번째 제 1도전체 절곡부(616d)에 끼워지는 네번째 제 1도전체 걸림부(654d)가 구비된다.
상기 단락 스위치 고정바디(650)는, 상기 가압부(626)의 가압시 상기 가압부(626)의 이동을 안내하는 도전체 가이드(627)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체 가이드(627)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도전체 가이드(627)는 가압부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같은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전체 가이드(656)는, 상기 가압부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틈(65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락 스위치 고정바디(650)는, 상기 틈이 형성되는 가이드면(655)을 포함한다. 탄성체(630)에 의한 가압부의 복원 운동시 가압부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가이드면(655)의 일측단은 가압부가 배치된 방향으로 절곡되어 가압부(626)의 후방 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655a)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체(630)는 스프링일 수 있다. 단락 스위치 고정바디(650)는, 상기 탄성체(630)의 단락 스위치 고정바디에 접촉하는 면에서 가압부(626) 방향으로 돌출되어, 탄성체(630)를 고정시키는 탄성체 안착부(658)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부(626)의 가압면의 반대면은 상기 탄성체(630)와 접촉된다. 가압부(626)에는 상기 반대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탄성체를 안착시키는 탄성체 안착돌기(626b)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체 안착돌기(626b)의 상기 가압면 방향은 함몰되어 상기 스위칭 돌출부(141)의 말단이 가압부(626)를 누를시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단락 스위치 고정바디(650)는, 단락 스위치(600)를 전기집진장치(250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652)를 포함한다.
상기 제 2도전체(620)는, 상기 가압부(626)에서 절곡되는 가이드 절곡부(627)를 포함한다. 가이드 절곡부(627)는 상기 틈(656)으로 삽입되는 가이드 삽입부(627a)를 구비한다. 가이드 절곡부(627)는 가압부의 일측 및 반대측에서 각각 90도로 절곡되고, 가이드 절곡부(627)의 단면은 상기 틈의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절곡부(627)는, 상기 틈(656)이 형성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틈에 삽입되는 가이드 삽입부(627a)를 포함한다. 가이드 절곡부(627)는 상기 틈(656)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된다.
상기 제 2도전체(620)는, 상기 가이드 삽입부(627a)가 상기 틈(656)을 관통한 지점에서 절곡되어 상기 틈(656)에 걸리는 걸림 절곡부(628)를 포함한다. 걸림 절곡부(628)는 상기 틈(656)의 연장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절곡된다. 도 31을 참고하여, 걸림 절곡부(628)에 의해서 제 2도전체가 상기 틈(656)으로부터 하측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구속된다. 상기 걸림 절곡부(62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연장되어 제 2연결단자를 형성시킨다.
상기 제 2도전체(620)는, 상기 가압부(626)에서 절곡되어 상기 가이드면(655)에 접촉하여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보조 절곡부(626b)를 포함한다. 도 36 및 37을 참고하여, 상기 가이드보조 절곡부(626b)는 상기 가압부(626)의 상측에서 절곡되어 상기 가이드면(655)과 평행한 면을 이룬다. 상기 가이드 절곡부(627)에 의해서 제 2도전체가 상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 2도전체(620)는, 상기 가이드보조 절곡부(626b)의 반대측에서 절곡된 가이드보조 대응 절곡부(626c)를 포함한다.
도 27, 28을 참고하여, 공기청정장치(100')는, 공기청정장치(100')의 동작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차단 스위치(145)를 포함한다. 공기청정장치(100')의 부속 장치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차단 스위치(145)를 포함한다. 차단 스위치(145)는, 필터어셈블리(10)가 필터하우징(2140)에 결합한 경우에만 공기청정장치(100')가 동작 가능하게 한다. 차단 스위치(145)는, 필터어셈블리(10)가 필터하우징(2140)에서 분리된 경우 공기청정장치(100')의 작동을 불가능하게 한다. 차단 스위치(145)는, 필터어셈블리(10)가 필터하우징(2140)에 완전히 결합되지 않은 경우에, 공기청정장치(100')의 작동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차단 스위치(145)는, 송풍유닛(20)의 동작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차단 스위치(145)는, 수차유닛(40)의 동작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차단 스위치(145)는, 전기집진장치(2500)의 동작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차단 스위치(145)는, 공기청정장치(100')에 전원이 인가되는 회로상에 설치되어 전원의 인가가능 여부를 결정한다. 차단 스위치(145)는, 공기청정장치(100')를 구성하는 복수의 장치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원의 인가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차단 스위치(145)는, 송풍유닛(20), 수차유닛(40) 및 전기집진장치(2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원의 인가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차단 스위치(145)는, 전기집진장치(2500)에 전원의 인가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차단 스위치(145)는 전원이 인가되는 회로상에 설치되어, 눌린 경우 회로가 연결되도록 하고 눌리지 않은 경우 회로가 차단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차단 스위치(145)는, 필터하우징의 내측면에 구비된다. 차단 스위치(145)는, 필터하우징(2140)의 후측면에 배치된다. 차단 스위치(145)는, 후측방향으로 눌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차단 스위치(145)는, 필터어셈블리(10)를 필터하우징(2140)에 삽입하는 방향으로 눌리도록 형성된다.
필터어셈블리(10)에는, 차단 스위치(145)를 누르도록 구비된 누름돌기(144)가 형성된다. 필터어셈블리(10)의 인입되는 방향의 측면에는, 차단 스위치(145)를 누르도록 구비된 누름돌기(144)가 형성된다. 필터어셈블리(10)의 후측면에는, 차단 스위치(145)를 누르도록 구비된 누름돌기(144)를 포함한다. 누름돌기(144)는 필터어셈블리(10)의 후측면에서 후측방향으로 돌출된다.
필터어셈블리(10)가 필터하우징(2140)에 인입되면 누름돌기(144)는 차단 스위치(145)를 누르도록 구비된다. 누름돌기(144)가 차단 스위치(145)를 누르면 차단 스위치가 개방하고 있던 회로가 단락되어, 전원의 차단이 해제된다. 필터어셈블리(10)가 필터하우징(2140)에 '완전 인입'된 경우에만 차단 스위치가 전원의 차단을 해제하도록 구비된다.
누름돌기(144)는, 전기집진장치(2500)의 후측면에는 후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차단 스위치(145)는 전기집진장치(2500)와 같은 수평면 상에 배치된다.
누름돌기(144) 및 이에 대응하는 차단 스위치(145)는, 전기집진장치(2500)가 필터하우징(2140)에 결합된 경우 누름돌기(144)가 차단 스위치(145)를 누를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를 통해, 필터어셈블리(10)가 결합된 상태에서만 전원이 인가되어, 필터어셈블리(10)가 필터하우징(214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필터설치개구부(133)로 손을 넣었을 때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필터설치개구부(133)로 손을 넣었을 때 전원단자(148a,148b)들에 의한 감전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도 38 내지 45를 참고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장치(1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장치(100)와 공통되는 사항은 동일 도면 부호로 도시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장치(100'')는 복수 개의 단락 스위치(600)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단락 스위치(600)는, 각각 별도의 상기 제 1도선(600a) 및 제 2도선(600b)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단락 스위치(600)는 회로상 서로 병렬로 연결된다. 따라서, 복수 개의 단락 스위치(600) 중 적어도 하나만 단락되어도, 제 1도전층(551a)와 제 2도전층(552b)는 서로 단락된다. 이를 통해, 복수 개의 단락 스위치(600) 중 어느 하나가 이물질 끼임이나 고장 등으로 정상적인 단락 동작을 하지 않더라도, 적어도 다른 어느 하나가 정상적인 단락 동작을 하면 제 1도전층(551a)와 제 2도전층이 서로 단락되어, 사용자의 안전성을 보다 강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기집진장치(3500)는 2개의 단락 스위치(600)를 포함한다. 2개의 단락 스위치(600)는 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 45를 참고하여, 전기집진장치(3500)는 제 1단락 스위치(600-1) 및 제 2단락 스위치(600-2)를 포함한다. 제 1단락 스위치(600-1)는 전기집진장치(3500)의 후측면에 형성된 제 1가압부(652-1)을 포함하고, 제 2단락 스위치(600-2)는 전기집진장치(3500)의 후측면에 형성된 제 2가압부(652-2)을 포함한다. 제 1가압부(652-1)와 제 2가압부(652-2)는 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필터하우징(3140)에는 상기 복수의 단락 스위치(600)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스위칭 돌출부(141)가 형성된다. 스위칭 돌출부(141)는, 제 1단락 스위치(600-1)를 누르도록 구비된 제 1스위칭 돌출부(141a)와, 제 2단락 스위치(600-2)를 누르도록 구비된 제 2스위칭 돌출부(141b)를 포함한다. 제 1스위칭 돌출부(141a) 및 제 2스위칭 돌출부(141b)는 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전기집진장치(3500)가 필터하우징(3140)에 결합된 경우, 제 1스위칭 돌출부(141a)는 제 1단락 스위치(600-1)를 누르게 되고, 제 2스위칭 돌출부(141b)는 제 2단락 스위치(600-2)를 누르게 된다.
한편, 공기청정장치(100'')는, 복수 개의 차단 스위치(145)를 포함한다. 차단 스위치(145)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차단 스위치(145)는, 회로에서 직렬로 연결된다. 따라서, 복수 개의 차단 스위치(145)는 모두 단락된 경우에만, 공기청정장치(100'')가 동작 가능하다. 복수 개의 차단 스위치(145)는 모두 단락된 경우에만, 전기집진장치(3500)가 동작 가능하다. 이를 통해, 복수 개의 단락 스위치(600) 중 어느 하나만 눌리지 않은 상태가 되더라도, 전기집진장치(350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차단 스위치(145)는, 전기집진장치(3500)의 결합여부에 따라 스위칭되는 제 1차단 스위치(145a)와, 메쉬필터(3300)의 결합여부에 따라 스위칭되는 제 2차단 스위치(145b)를 포함한다. 제 1차단 스위치(145a) 및 제 2차단 스위치(145b)가 모두 눌리는 경우에만, 전기집진장치(3500)로의 전원 인가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제 1차단 스위치(145a) 및 제 2차단 스위치(145b) 중 어느 하나만 구비한 경우에도 구현 가능하다.
한편, 필터어셈블리(10)는, 필터어셈블리(10)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고 필터하우징(140)의 상기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드로어(3400)를 포함한다. 전기집진장치(3500)는 드로어(3400)의 상측에 안착된다. 광촉매필터(350)는 전기집진장치(3500)의 상측에 안착된다. 구체적으로, 드로어(3400)는, 전기집진장치(3500)를 지지하는 상측면을 제공하는 전기집진장치 안착부(415)를 포함한다. 전기집진장치 안착부(415)는 드로어(3400)의 좌우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단차 안착부(415)의 상측면에 전기집진장치(3500)의 하측면 중 일부가 접촉하여, 전기집진장치(3500)가 지지된다.
전기집진장치(3500)는 드로어(3400)와 함께 필터하우징(3140)의 내부에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구비된다. 전기집진장치(3500) 및 광촉매필터(350)는 드로어(3400)와 함께 필터하우징(3140)의 내부에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구비된다.
메쉬필터(3300)는 드로어(3400)의 하측에 배치된다. 메쉬필터(3300)는, 드로어(3400)와 독립적으로 필터하우징(3140)의 내부에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전기집진장치(3500)와 메쉬필터(3300) 중 어느 하나만 필터하우징(3140) 내부로 삽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공기청정장치(100'')는, 상기 복수 개의 차단 스위치(145)와 각각 대응하는 복수개의 누름돌기(144)를 포함한다. 누름돌기(144)는, 제 1차단 스위치(145a)를 누르도록 구비된 제 1누름돌기(144a)뫄, 제 2차단 스위치(145b)를 누르도록 구비된 제 2누름돌기(144b)를 포함한다.
제 1누름돌기(144a)는 전기집진장치(3500)의 후측면에 형성된다. 제 1누름돌기(144a)는 전기집진장치(3500)의 후측면에서 후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 2누름돌기(144b)는 메쉬필터(3300)의 후측면에 형성된다. 제 2누름돌기(144b)는 메쉬필터(3300)의 후측면에서 후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 2누름돌기(144b)는, 후방측에 배치된 메쉬프레임(315)의 후측면 상에 배치된다.
이 경우, 전기집진장치(3500)가 필터하우징(3140)에 결합된 때라도 메쉬필터(3300)가 필터하우징(3140)에 완전히 결합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기집진장치(3500)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공기청정장치(100'')는 하측에 베이스(112)의 상측으로 이격된 흡입유로(101)가 형성되고, 사용자의 손이 흡입유로(101)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특히, 유아의 경우 손이 작아 흡입유로(101)를 통해 전기집진장치(3500)의 하측의 대전부(510)까지 손이 닿을 수 있다. 대전부(510)는 고전압이 인가되고 방전되는 부분으로서 손이 닿을 경우 위험하다. 만약, 메쉬필터(300)가 대전부의 하측에 삽입되어 있는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메쉬필터의 망에 의해서, 사용자의 손이 대전부(510)까지 닿을 수 없게된다. 반면, 메쉬필터(3300)가 분리되어 없고 전기집진장치(3500)만 결합된 상태에서는 손이 대전부(510)까지 닿을 수 있게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메쉬필터(3300)가 없는 상황에서 제 2차단 스위치(145b)가 눌리지 않아, 전기집진장치(350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사용자의 손이 대전부(510)에 닿더라도 사용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39, 40, 및 42 내지 43을 참고하여, 필터하우징(3140)과 드로어(3400) 사이의 슬라이딩 구조, 및 필터하우징(3140)와 메쉬필터(3300) 사이의 슬라이딩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드로어(3400)는 중앙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드로어 프레임(410)을 포함한다. 드로어 프레임(410)은 필터커버(413)의 후측에 배치된다. 드로어 프레임(410)은, 좌우방향에 각각 배치되어 전기집진장치의 지지점을 제공하는 2개의 사이드 프레임(미도시)과, 상기 2개의 사이드 프레임의 후단을 횡으로 연결하는 리어 프레임(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필터커버(413)의 후측면에서 후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필터커버(413)의 하측부에 연결된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전기집진장치(3500)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메쉬필터(3300)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좌우 방향에 각각 1개씩 배치된다.
상기 리어 프레임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후측 말단에 연결된다. 상기 리어 프레임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리어 프레임의 양단은 각각 양측의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연결된다. 상기 리어 프레임은 전기집진장치(3500)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리어 프레임은 메쉬필터(3300)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2개의 사이드 프레임의 사이에 드로어 프레임(3400)의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리어 프레임과 필터커버(413) 사이에 드로어 프레임(3400)의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다.
드로어 프레임(410)은, 전기집진장치(500)를 지지하는 상측면을 제공하는 전기집진장치 안착부(415)를 포함한다. 전기집진장치 안착부(415)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상측면에 형성된다. 전기집진장치 안착부(415)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최상단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의 상측면을 제공한다.
드로어 프레임(410)은, 드로어(3400)를 필터하우징(314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해주는 슬라이더(414)를 포함한다. 슬라이더(414)는 드로어(3400)의 좌우방향에 각각 배치된다. 슬라이더(414)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하측에 형성된다. 슬라이더(414)는 드로어 롤러(414b) 및 하면 레일(414b)를 포함한다. 드로어 롤러(414b)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후방에 배치된다. 하면 레일(414b)은 하측면을 제공한다.
필터하우징(3140)은 슬라이더(414)의 이동을 가이드해주는 드로어 가이드(147)를 포함한다. 드로어 가이드(147)는 가이드 롤러(147b) 및 상면 레일(147a)을 포함한다. 가이드 롤러(147b)는 드로어 가이드(147)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면 레일(147a)은 상측면을 제공한다.
드로어 롤러(414b)는 필터하우징(3140)에 형성된 상면 레일(147a)에 접촉한다. 하면 레일(414b)은 필터하우징(3140)에 형성된 가이드 롤러(147b)에 접촉한다. 드로어 롤러(414b)는 상면 레일(147a)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하면 레일(414b)은 가이드 롤러(147b)에 의해 지지되며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드로어(3400)가 필터하우징(3140)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면 레일(414b)의 하면을 가이드 롤러(147b)가 지지하고, 드로어 롤러(414b)의 하측을 상면 레일(147a)이 지지한다.
드로어(3400)가 필터하우징(314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 롤러(147b)의 지지점은 전방에 위치하게 되고, 상면 레일(147a)의 지지점은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지지점이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드로어(3400)는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드로어(3400)가 필터하우징(3140)에 인출되는 과정에서, 가이드 롤러(147b)의 지지점은 위치를 유지하나, 드로어 롤러(414b)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면 레일(147a)의 지지점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지지점의 이격거리가 좁아지고, 드로어(3400)의 전방 부분이 지지점이 없이 돌출된다. 이 경우, 드로어(3400)에 전기집진장치(3500) 및 광촉매필터(350)가 안착되어 있다면, 광촉매필터(350)의 상측면이 필터하우징(3140)의 내부의 상측면에 접촉하여 드로어(3400)의 전방이 하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막아준다.
한편, 메쉬필터(3300)는, 메쉬필터(3300)를 필터하우징(314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해주는 슬라이딩부(315a)를 포함한다. 슬라이딩부(315a)는 메쉬필터(3300)의 좌우방향에 각각 배치된다. 슬라이딩부(315a)는 메쉬프레임(315)의 하측에 형성된다. 슬라이딩부(315a)는 하측면을 제공한다.
필터하우징(3140)의 내부에는 메쉬필터(3300)의 인입 및 인출을 가이드해주는 메쉬필터 가이드(146)가 구비된다. 필터하우징(3140)의 내부에는 슬라이딩부(315a)의 이동을 가이드해주는 메쉬필터 가이드(146)가 구비된다. 메쉬필터 가이드(146)는 메쉬필터 가이드(146)는 상측면을 제공한다.
슬라이딩부(315a)의 하측면은 메쉬필터 가이드(146)의 상측면을 슬라이딩하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315a)는, 하측에서 바라볼 때, 2개의 슬라이더(414)의 사이에 배치된다. 일 측의 슬라이딩부(315a)는, 같은 측의 슬라이더(414)보다 안쪽으로 배치된다.
메쉬필터 가이드(146)는, 상측에서 바라볼 때, 양측의 드로어 가이드(147)의 사이에 배치된다. 일 측의 메쉬필터 가이드(146)는, 같은 측의 드로어 가이드(147)보다 안쪽으로 배치된다. 메쉬필터 가이드(146)는 드로어 가이드(147)보다 낮게 배치된다. 2개의 메쉬필터 가이드(146) 사이에 흡입유로(101)와 연결되는 흡입구(111)가 형성된다.
한편, 필터하우징(3140)은 베이스(112)의 상측에 배치된다. 필터하우징(3140)과 베이스(112)는 브리지(114)에 의해 이격된다. 브리지 프레임(115)의 상측면에 필터하우징(3140)이 배치된다. 흡입유로(101), 흡입구(111) 및 필터하우징(3140)의 내부 공간은 서로 연결된다.
필터하우징(3140)은 수직으로 연장되어 내부를 구획하는 격벽(140a, 140b)을 포함한다. 격벽(140a, 140b)은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필터하우징(3140)은, 격벽(140a, 140b)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수평 리브(140d)를 포함한다. 필터하우징(3140)은, 격벽(140a, 140b)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리브(140e)를 포함한다.
수평 리브(140d)와 수직 리브(140e)는 서로 격자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평 리브(140d)는 필터설치개구부(133)의 상단의 연장선 상에 배치된다. 격벽(140a, 140b)은, 수평 리브(140d)의 하측에 배치된 하측 격벽(140a)와, 수평 리브(140d)의 상측에 배치된 상측 격벽(140b)를 포함한다. 상측 격벽(140b)은 상측으로 갈수록 둘레가 커지게 형성된다. 상측 격벽(140b)은 외측으로 경사면을 형성한다. 상측 격벽(140b)은 상측에서 바라볼 때, 수평 리브(140d)와 겹쳐지게 배치된다.
바디 케이스(131)와 필터하우징(3140)의 사이의 공간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수평 리브(140d)와 브리지 프레임(115) 사이에 각종 부품 들을 배치할 수 있는 하측 공간(미도시)이 형성된다. 수평 리브(140d)와 상측 격벽(140b)의 경사면 사이에 각종 부품들을 배치할 수 있는 상측 공간(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하측 공간은, 필터설치개구부(133)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좌측에 형성되는 좌하측 공간과, 우측에 형성되는 우하측 공간과, 후측에 형성되는 후하측 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상측 공간은, 필터설치개구부(133)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전방에 형성되는 전방 공간과, 좌측에 형성되는 좌상측 공간과, 우측에 형성되는 우상측 공간과, 후측에 형성되는 후상측 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좌측 공간은, 상기 좌상측 공간 및 좌하측 공간으로 구성된 공간을 의미한다. 우측 공간은, 우상측 공간 및 우하측 공간으로 구성된 공간을 의미한다. 후측 공간은, 후하측 공간 및 후상측 공간으로 구성된 공간을 의미한다. 내부 공간은, 필터하우징(3140)이 구획한 내부 공간을 의미한다.
상기 전방 공간에, 상기 복수의 센서(135, 136, 137)이 배치된다.
상기 후측 공간(구체적으로, 후하측 공간)에는, 공기청정장치(100'') 내의 각종 전원이 필요한 부품들(팬모터, 수차모터, LED 등)에 전류를 분배하는 전원분배모듈(701)이 배치된다.
바디 케이스(131)와 필터하우징(3140)의 사이의 공간 에서, 상기 좌측 공간 및 우측 공간 중 어느 하나에 고전압 발생기(581)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대전부(510)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발생기(581a)와 집진부(540)에 고전압를 인가하는 고전압 발생기(581b)는, 하나의 고전압 발생기(581)을 지시한다. 고전압 발생기(581)에서 대전부(510) 및 집진부(540)에 각각 병렬로 전원을 인가하는 선로를 구성한다.
전원단자(148a, 148b)는, 필터하우징(3140)의 상기 내부 공간의 좌우 방향 측면 중 상기 고전압 발생기(581)이 배치된 방향의 측면에 배치된다. 대전부 전원단자(148a) 및 집진부 전원단자(148b)는, 필터하우징(3140)의 상기 내부 공간의 좌우 방향 측면 중 상기 고전압 발생기(581)가 배치된 방향의 측면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고전압선(584a,584b)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고, 고전압선(584a,584b)이 발생하는 전자기장의 영향이 강하게 미치는 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다.
고전압선(584a)은 고전압 발생기(581)와 대전부 전원단자(148a)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고전압선(584b)은 고전압 발생기(581)와 집진부 전원단자(148b)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접지단자(149a, 149b)는, 필터하우징(3140)의 상기 내부 공간의 좌우 방향 측면 중 상기 고전압 발생기(581)이 배치된 방향의 반대 측면에 배치된다. 대전부 접지단자(149a) 및 집진부 접지단자(149b)는, 필터하우징(3140)의 상기 내부 공간의 좌우 방향 측면 중 상기 고전압 발생기(581)가 배치된 방향의 반대 측면에 배치된다. 접지선(583a, 583b)는 상기 후측공간을 경유하여, 상기 좌측 공간과 우측 공간 사이를 연결한다.
접지선(583a)은 고전압 발생기(581)와 대전부 접지단자(149a)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접지선(583b)은 고전압 발생기(581)와 집진부 접지단자(149b)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한편, micom이 구비되어 각종 부품들을 제어하는 제어모듈(703)은, 상기 좌측 공간 및 우측 공간 중 상기 고전압 발생기(581)가 배치된 방향의 반대측 공간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제어모듈(703)이 받는 전자기장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외부의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705)는, 상기 좌측 공간 및 우측 공간 중 상기 고전압 발생기(581)가 배치된 방향의 반대측 공간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통신모듈(705)이 받는 전자기장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통신모듈(705)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및/또는 직비(Zigbee) 등 다양한 통신규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모듈(703) 및 통신모듈(705)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시로, 상기 우하측 공간에 고전압 발생기(581)가 배치되고, 상기 좌하측 공간에 제어모듈(703)이 배치되고, 상기 좌상측 공간에 통신모듈(705)이 배치된다.
한편, 공기청정장치(100'')는, 필터하우징(3140)에 구비되어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장치(707)를 포함할 수 있다. 이온발생장치(707)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필터어셈블리(3010)의 하류측 유로상에서 이온을 발생시킨다. 이온발생장치(707)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가습장치(200)의 상류측 유로상에서 이온을 발생시킨다.
이온발생장치(707)는 고전압이 인가되어 방전하여, 공기 중의 분자를 이온화하여 이온을 발생시킨다. 이온발생장치(707)에서 발생된 이온은 가습매체(50)에 함유된 수분과 가습매체(50) 자체를 살균한다. 이온발생장치(707)는 고전압이 발생되는 장치이므로, 주변에 강한 전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이온발생장치(707)는, 상기 좌측 공간 및 우측 공간 중 상기 고전압 발생기(581)가 배치된 방향의 공간에 배치된다. 이온발생장치(707)는, 상기 좌측 공간 및 우측 공간 중 제어모듈(703)이 배치된 방향의 반대측 공간에 배치된다. 이온발생장치(707)는, 상기 좌측 공간 및 우측 공간 중 통신모듈(705)이 배치된 방향의 반대측 공간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고전압이 발생하는 부품들(581, 701)을 한측으로 집중 배치하고, 제어모듈(703) 및 통신모듈(705)를 반대측에 배치시켜 전자기장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단 스위치(145)는 상기 후측 공간에 배치된다. 제 1차단 스위치(145a) 및 제 2차단 스위치(145b)는 상기 후측 공간에 배치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100', 100'' : 공기청정장치 200 : 가습장치
130 : 바디 135 : 먼지센서
136 : 습도센서 137 : 냄새센서
140 : 필터하우징 141 : 스위칭 돌출부
144 : 누름돌기 145 : 차단 스위치
144a : 제 1누름돌기 144b : 제 2누름돌기
145a : 제 1차단 스위치 145b : 제 2차단 스위치
148a : 대전부 전원단자 149a : 대전부 접지단자
148b : 집진부 전원단자 149b : 집진부 접지단자
10, 3010 : 필터어셈블리
300, 3300 : 메쉬필터 400, 3400 : 드로어
500, 2500, 3500 : 전기집진장치 350 : 광촉매필터
510 : 대전부 540 : 집진부
581a, 581b : 고전압 발생기 582a, 582b : 접지
583a, 583b : 접지선 584a, 584b : 고전압선
518 : 대전부 전원수용단자 519 : 대전부 접지수용단자
548 : 집진부 전원수용단자 549 : 집진부 접지수용단자
600 : 단락 스위치 600-1 : 제 1단락 스위치
600-2 : 제 2단락 스위치
X : 필름 배열방향 Y : 필름 길이방향
Z : 필름 폭방향 S : 틈

Claims (9)

  1. 외형을 형성하고 일측에 필터설치개구부가 형성된 바디 케이스;
    상기 바디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필터하우징; 및
    상기 필터설치개구부를 통해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 및 인출되고, 흡입된 외부공기에 대해 여과를 실시하는 필터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전기집진장치를 포함하고,
    필터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상기 전기집진장치에 전원의 인가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차단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에는, 상기 차단 스위치를 누르도록 구비된 누름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가 상기 필터하우징에 인입되면 상기 누름돌기는 상기 차단 스위치를 누르도록 구비되고,
    상기 차단 스위치를 누르면 전원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구비되는 공기청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상기 전기집진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단자가 배치되고,
    상기 전기집진장치의 외측면에는, 상기 전원단자와 접촉하여 상기 전기집진장치에 전원을 연결시키는 전원수용단자가 배치되는 공기청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스위치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차단 스위치는 회로에서 직렬로 연결되는 공기청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전기집진장치에서 상기 전기집진장치의 유입구가 형성된 방향에 배치되는 메쉬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필터는 상기 전기집진장치와 독립적으로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차단 스위치는, 상기 메쉬필터의 결합여부에 따라 스위칭되는 제 2차단 스위치를 포함하는 공기청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스위치는, 상기 전기집진장치의 결합여부에 따라 스위칭되는 제 1차단 스위치를 포함하는 공기청정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전기집진장치를 지지하고 상기 필터하우징에 구비된 드로어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드로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어 가이드는 상기 필터하우징의 양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에는 메쉬필터의 인입 및 인출을 가이드해주는 메쉬필터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메쉬필터 가이드는,
    상측에서 바라볼 때 양측의 드로어 가이드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드로어 가이드 보다 낮게 배치되는 공기청정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어는 상기 필터설치개구부를 차폐하는 필터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커버는 상기 필터설치개구부의 높이 보다 소정 간격 높게 형성된 상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부에는 센서홀이 형성되고,
    상기 센서홀은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릿을 포함하고,
    외부의 공기에 노출되는 부분을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복수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는 상기 필터설치개구부의 상측에 횡으로 배열되는 공기청정장치.
KR1020160083227A 2015-10-30 2016-07-01 공기청정장치 KR201700511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455A KR102017146B1 (ko) 2015-10-30 2016-09-02 공기청정장치
KR1020160113456A KR101919823B1 (ko) 2015-10-30 2016-09-02 공기청정장치
KR1020160121745A KR101942525B1 (ko) 2015-10-30 2016-09-22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EP16196436.6A EP3165842B1 (en) 2015-10-30 2016-10-28 Air freshener
EP16196396.2A EP3163203B1 (en) 2015-10-30 2016-10-28 Air freshener
US15/338,067 US10357734B2 (en) 2015-10-30 2016-10-28 Air freshener
EP16196431.7A EP3162445B1 (en) 2015-10-30 2016-10-28 Electric dust coll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5/338,267 US10556242B2 (en) 2015-10-30 2016-10-28 Electric dust coll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5/338,292 US10668422B2 (en) 2015-10-30 2016-10-28 Air freshener
PCT/KR2016/012331 WO2017074145A2 (ko) 2015-10-30 2016-10-29 공기청정장치
JP2018522038A JP6956714B2 (ja) 2015-10-30 2016-10-29 空気清浄装置
PCT/KR2016/012330 WO2017074144A2 (ko) 2015-10-30 2016-10-29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N201610997651.1A CN107036197B (zh) 2015-10-30 2016-10-31 空气净化装置
CN202210827536.5A CN115200138A (zh) 2015-10-30 2016-10-31 空气净化装置
CN201610996856.8A CN106902985B (zh) 2015-10-30 2016-10-31 空气净化装置
US15/339,568 US10267528B2 (en) 2015-10-30 2016-10-31 Air conditioning apparatus
CN201611001339.9A CN106944260B (zh) 2015-10-30 2016-10-31 电集尘装置及其制造方法
KR1020190103007A KR20190101349A (ko) 2015-11-06 2019-08-22 공기청정장치
KR1020220036130A KR102529763B1 (ko) 2015-11-06 2022-03-23 공기청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48463P 2015-10-30 2015-10-30
US62/248,463 2015-10-30
US201562252017P 2015-11-06 2015-11-06
US62/252,017 2015-11-06
KR20150156254 2015-11-07
KR1020150156254 2015-11-07
US201662355118P 2016-06-27 2016-06-27
US62/355,118 2016-06-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182A true KR20170051182A (ko) 2017-05-11

Family

ID=5874192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3228A KR20170051183A (ko) 2015-10-30 2016-07-01 공기청정장치
KR1020160083227A KR20170051182A (ko) 2015-10-30 2016-07-01 공기청정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3228A KR20170051183A (ko) 2015-10-30 2016-07-01 공기청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7005118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659B1 (ko) 2017-11-27 2023-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210146056A (ko) * 2020-05-26 2021-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청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183A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9823B1 (ko) 공기청정장치
KR101839557B1 (ko)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EP3163203B1 (en) Air freshener
CN107036197B (zh) 空气净化装置
KR101156349B1 (ko) 집진장치
KR20190101349A (ko) 공기청정장치
JP2018533716A (ja) 空気清浄装置
KR20170051173A (ko) 가습청정장치 및 그 방법
US10464074B2 (en) Electric dust collector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KR101868472B1 (ko) 집진효율이 향상된 전기집진기
KR20170051182A (ko) 공기청정장치
KR20190094604A (ko) 전기 집진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집진 장치
KR20090027684A (ko) 집진장치
KR101852372B1 (ko) 전기집진장치,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342101B1 (ko) 전기 집진기
JP7200604B2 (ja) 電気集塵機の集塵部
KR102529763B1 (ko) 공기청정장치
KR102327810B1 (ko) 세척이 용이한 모듈형 이온식 집진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JP7110660B2 (ja) 電気集塵機の集塵部
CN102853489B (zh) 空调机
JP7091773B2 (ja) 電気集塵機の集塵部
EP4342586A1 (en) Electric precipit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JP3478199B2 (ja) 空気清浄機およびそのイオン化ユニット
EP2052782A1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JP2018176120A (ja) 電気集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