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823B1 - 공기청정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청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823B1
KR101919823B1 KR1020160113456A KR20160113456A KR101919823B1 KR 101919823 B1 KR101919823 B1 KR 101919823B1 KR 1020160113456 A KR1020160113456 A KR 1020160113456A KR 20160113456 A KR20160113456 A KR 20160113456A KR 101919823 B1 KR101919823 B1 KR 101919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disposed
filter housing
filt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1201A (ko
Inventor
이종수
김태윤
박형호
전훈철
최인호
이양화
최지은
이건영
손상혁
이경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3724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70051143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3723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70051142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8322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70051182A/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5/338,067 priority Critical patent/US10357734B2/en
Priority to EP16196436.6A priority patent/EP3165842B1/en
Priority to CN201610996856.8A priority patent/CN106902985B/zh
Priority to US15/339,568 priority patent/US10267528B2/en
Publication of KR20170051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53Liquid, or liquid-film, electro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24F3/1603
    • F24F3/160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24F3/163Clean air work stations, i.e. selected areas within a space which filtered air is pas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6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catalytic rea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장치는, 외형을 형성하고 일측에 필터설치개구부가 형성된 바디 케이스, 상기 바디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원단자가 배치된 필터하우징, 상기 필터설치개구부를 통해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인출이 가능한 드로어, 및 상기 드로어에 분리가능하게 안착되고 전원수용단자가 배치된 전기집진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단자는, 상기 드로어가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상기 전원수용단자와 접촉된다.

Description

공기청정장치 {Air Fresher}
본 발명은, 대전된 먼지 입자를 포집시키기 위해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전기집진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청정장치에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공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냉방기나 난방기,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정도를 유지시키는 공기청정기, 공기 중에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기,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기 등이 있다.
전기집진장치는 독립적으로 또는 공기조화기에 장착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입자를 대전시켜 집진하는 장치이다.
전기집진장치는 크게 전기장을 형성하는 대전부와, 대전부에 의해 대전된 먼지입자가 집진되는 집진부를 포함한다. 공기가 대전부를 통과한 후 집진부를 통과하는 동안, 공기 중의 먼지는 집진부에 포집된다.
대전부는 방전전극들과, 방전전극들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대향전극들을 포함하고, 먼지는 서로 마주보는 방전전극과 대향전극 사이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대전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제 1과제는, 전원을 인가받는 공기청정장치의 착탈식 전기집진장치의 전원단자 접점 불량을 최소화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제 2과제는, 공기청정장치의 착탈식 전기집진장치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 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제 3과제는, 착탈식 구조물의 부드러운 인출 및 인입 동작을 구현하고, 착탈식 구조물이 자리잡은 상태(settlement)에서 유격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제 4과제는,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부품들의 주변 전자기장에 의해 주변 부품들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제 5과제는, 전기집진장치가 인입 및 인출하는 과정에서 서로 대응되지 않는 단자까리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마찰에 의한 마모 현상을 줄이고, 원하지 않는 전원의 인가를 막을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제 6과제는 전기집진장치가 필터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원활하게 전기집진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면서도, 전기집진장치를 필터하우징으로부터 분리시에는 안전하에 전원이 차단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작동 중 공기의 유입구 측에 개구부에 사용자의 손 등 신체의 일부가 들어가는 상황이 발생하면 고전압에 감전될 위험이 있다. 제 7과제는 이러한 사용중 감전 위험을 차단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원이 오프된 경우나 사람이 전기집진장치를 분해하는 경우에, 집진부의 고전위전극 및 저전위전극에 대전된 전하가 제거되지 않아, 인체의 감전을 유발하는 등 안전상의 문제가 있다. 제 8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장치는, 외형을 형성하고 일측에 필터설치개구부가 형성된 바디 케이스, 및 상기 바디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원단자가 배치된 필터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2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청정장치는, 상기 필터설치개구부를 통해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인출이 가능한 드로어, 및 상기 드로어에 분리가능하게 안착되고 전원수용단자가 배치된 전기집진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단자는, 상기 드로어가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상기 전원수용단자와 접촉된다.
상기 제 3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드로어는, 상기 드로어가 인출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드로어의 외측면 사이의 유격을 줄이는 유격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격방지부는, 상기 드로어가 인출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돌출되어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드로어의 양측면 사이의 유격을 줄이는 사이드 유격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단자는 상기 필터하우징의 양측의 내측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사이드 유격방지부에 의해 전기집진장치의 좌우방향 유격을 최소화하여, 전원단자와 전원수용단자의 접촉이 정확하고 충분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유격방지부는, 상기 드로어가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측면에 접촉하고 상기 드로어가 상기 필터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중에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측면과의 접촉이 해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격방지부는, 상기 드로어가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부분 중,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드로어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동작 중에 유격을 충분히 두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상승시킬 수 있다.
상하방향의 유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레일부는 후술하는 제 1구간부 및 제 2구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단자는,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측면 중 상기 드로어가 인입 및 인출되는 방향과 수직 방향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격방지부에 의해 전기집진장치의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 유격을 최소화하여, 전원단자와 전원수용단자의 접촉이 정확하고 충분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4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전압 발생기는 상기 바디 케이스와 상기 필터하우징 사이의 공간에서 양측 공간 중 상기 전원단자가 배치된 방향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통신모듈은, 상기 양측 공간 중 상기 고전압 발생기가 배치된 방향의 반대측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온발생장치는, 상기 양측 공간 중 상기 고전압 발생기가 배치된 방향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기집진장치는, 공기 중의 먼지입자를 대전시키는 대전부와, 대전된 먼지 입자를 집진시키는 집진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단자는, 상기 대전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대전부 전원단자, 및 상기 집진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집진부 전원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수용단자는, 상기 대전부 전원단자와 접촉되는 대전부 전원수용단자, 및 상기 집진부 전원단자와 접촉되는 집진부 전원수용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5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드로어의 인출 및 인입에 따른 상기 대전부 전원수용단자의 전후방향 이동 경로 및 상기 집진부 전원수용단자의 전후방향 이동 경로 상에서 상기 대전부 전원수용단자는 상기 대전부 전원단자만 접촉하고 상기 집진부 전원수용단자는 상기 집진부 전원단자만 접촉하도록, 상기 대전부 전원단자 및 상기 집진부 전원단자는 높이 차이가 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7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청정장치는, 차단 스위치 및 차단 스위치를 누르도록 구비되는 차단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집진장치의 유입구가 형성된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드로어와 독립적으로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인출되는 메쉬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청정장치는, 제 1차단 스위치 및 제 2차단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차단 스위치를 누르도록 상기 전기집진장치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 1차단 돌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차단 스위치를 누르도록 상기 메쉬필터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 2차단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8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락 스위치 및 단락 스위치를 누르도록 구비된 단락 돌기의 구조를 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락 스위치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락 스위치가, 본 발명의 설명에 개시된다.
위와 같은 해결수단을 통해서, 사용자는 별도의 조작없이도 정확하게 전기집진장치에 전원단자 등을 연결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어,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집진장치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세척하고, 다시 인입하기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유격방지부를 통해서, 상기 드로어를 상기 필터설치개구부로 삽입시키는 초기 동작시에는 유격을 두어 편리하게 하면서도, 상기 드로어가 필터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는 유격을 줄여 상기 드로어 및 전원단자의 접점이 정확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자리잡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전압에 따른 주변의 전자기장에 따라 주변 부품들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확률을 최소화하여, 고장 또는 오작동의 확률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자들의 개수가 비교적 많아, 불필요한 접촉이 일어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한 고안을 구현하여, 단자들의 접촉에 따른 마모를 최소화하고 대응하지 않는 단자에 전압이 인가될 수 있는 오작동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집진장치의 필터하우징으로부터의 인출시에 차단 스위치가 전원 회로를 개방하여, 미사용시의 감전 위험성을 현저히 줄이는 효과가 있다. 특히, 전기집진장치는 메쉬필터가 상기 유입구측에 배치되고, 메쉬필터에 형성된 제 2차단 스위치를 구현함으로써, 전기집진장치의 사용중 감전 위험성을 현저히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터커버가 전방 및 상측으로부터 사용자의 손을 완전히 이격시켜, 감전의 위험성을 줄이면서도, 전방의 공기에 관한 정보를 감지하기 용이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전기집진장치가 상기 바디로 삽입될 시에는 고전위 전극 및 저전위 전극의 단락이 해제되어 집진부의 전기장 발생 기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전기 집진장치가 바디 내부에서 인출될 시에는 고전위 전극 및 저전위 전극이 자동으로 단락되게 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습장치(200)의 부품을 분리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공기조화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바디(130)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바디(130)의 부품을 분리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바디(130)와 이에 탈착 가능한 필터어셈블리(1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필터어셈블리(10)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필터어셈블리(10)의 저면도이다.
도 9은 도 8의 필터어셈블리(10)를 자른 A1-A1'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필터어셈블리(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6의 바디(130)로부터 필터어셈블리(10)가 분리된 상태에서 바디(130)의 정면도이다.
도 12 및 13은 도 11의 바디(130)를 수직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A2-A2'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28의 A3-A3'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4은 11의 바디(130)의 사시도로서, 필터하우징(140) 내부의 가이드 구조(146, 147)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11의 바디(130)의 사시도로서, 필터하우징(140) 내부의 가이드 구조(142)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는 도 10의 드로어(400)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드로어(400)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8는 도 16의 드로어(400)를 측면에서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드로어(400)를 자른 A4-A4' 단면도이다.
도 20는 도 18의 드로어(400)를 자른 A5-A5'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6의 드로어(400)를 정면에서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22은, 도 14의 필터하우징(140)의 드로어 가이드(147)와 드로어(400)의 슬라이더(414)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14의 드로어 가이드(147)와 슬라이더(414)의 배치상태를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로서, 드로어 개구부의 전단(400a1)이 메쉬필터의 전단(3001)보다 전방에 배치될 때 롤어(147b)가 슬라이더(414)에 접촉하는 지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6의 필터어셈블리(10)가 필터하우징(140) 내부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전기집진장치(500)의 회로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5는 6의 필터어셈블리(10)가 필터하우징(140)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전기집진장치(500)의 회로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6은 도 24 및 25에 도시된 대전부(510)의 회로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4 및 25에 도시된 집진부(540)의 회로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입면도이다.
도 28은 도 10의 전기집진장치(5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전기집진장치(1)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8의 전기집진장치(500)를 분해하여 대전부(510) 및 대전케이스(501)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30의 대전부(510) 및 대전케이스의 입면도이다.
도 32는 도 28의 전기집진장치(500)를 분해하여 집진부(540), 집진케이스(502)및 단락 스위치(600)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32의 단락 스위치(600)의 사시도이다.
도 34는 도 33의 단락 스위치(600)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5는 도 33의 단락 스위치(600)를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36은 도 35의 단락 스위치(600)를 B1-B1'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7은 도 35의 단락 스위치(600)를 B2-B2'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8 및 39는, 도 33의 단락 스위치(600)에서 단락 스위치 고정바디(650)를 제외하고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38은 단락 스위치(600)가 단락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39는 단락 스위치(600)의 단락이 해제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500')의 사시도이다.
도 41은, 도 40의 전기집진장치(500')의 케이스의 일부(502)를 제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락 스위치(600')가 전기집진장치(500')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2는, 도 40의 전기집진장치(500')를 수용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락 스위치(145') 및 단락 돌기(141')를 포함하는 바디(130)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3은 도 41의 단락 스위치(600')의 사시도이다.
도 44는 도 43의 단락 스위치(600')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5는 도 43의 단락 스위치(600')를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46은 도 45의 단락 스위치(600')를 B3-B3'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7은 도 43의 단락 스위치(60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48은 도 47의 단락 스위치(600')를 B4-B4'를 따라 자른 단면도로서, 단락 스위치(600')가 단락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49는 도 48의 단락 스위치(600')의 단락이 해제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0은 도 11의 바디(130)에서 바디 케이스(131)를 제거한 필터하우징(140)의 입면도이다.
도 51은 도 50의 필터하우징(140)의 사시도이다.
도 52는 도 51의 필터하우징(140)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3은 도 50의 필터하우징(140)의 후측면을 바라본 입면도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상/하/전/후/좌/우”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도 1 등에 표시된 바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 표기된 U, D, F, R, Le 및 Ri는 각각 상(Up), 하(Down), 전(Front), 후(Rear), 좌(Left) 및 우(Right)를 지칭한다.
본 발명인 공기청정장치는, 냉난방 또는 가습 등이 가능한 공기조화기 등에서 부분적인 장치로서 이용될 수 있고, 공기청정을 위한 별도의 독립적인 장치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조화기에 장착된 공기청정장치로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이하에서 표현된 '전위'는 전기적 위치에너지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표현된 '전압'은 2지점의 전위의 차이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표현되는 '전기적으로 연결'은, 서로 전기가 흐르도록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 뿐만 아니라 사이에 다른 전도체를 통해서 연결되는 것까지 포괄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 전체에 걸쳐 '제 1, 제 2, …'의 표현은 구성요소의 구분을 위한 것으로서, 구성요소간의 우선순위 또는 중요도 등과는 무관하다.
도 1 내지 5를 참고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청정장치(100) 및 상기 공기청정장치(100) 상측에 거치되는 가습장치(200)을 포함한다. 공기청정장치(100)은 바닥 위에 거치되고, 상기 가습장치(200)은 공기청정장치(100) 위에 거치된다.
상기 공기청정장치(100)은 외부공기를 흡입한 후 여과하고, 여과된 공기를 상기 가습장치(200)에 제공한다. 상기 공기청정장치(100)은 유입된 외부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악취 등을 제거한 여과된 공기를 가습장치(200)로 토출한다. 상기 가습장치(200)은 상기 여과된 공기를 공급받아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을 실시하고, 가습공기를 외부로 토출한다.
가습장치(200)과 공기청정장치(100)은 서로 분리 가능하다. 사용자는 상기 가습장치(200) 및 공기청정장치(100)을 서로 분리한 후 청소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가습장치(200)을 공기청정장치(100)에서 분리한 후 내부에 배치된 수조(3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가습장치(200)가 공기청정장치(100)에 적층된 상태에서 물을 급수할 수도 있다.
상기 공기청정장치(100)는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유로(101)를 형성한다. 상기 공기청정장치(100)는 상기 흡입된 공기에 대해 여과를 실시하는 여과유로(102)를 형성한다.
가습장치(200)가 공기청정장치(100)이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공기청정장치(100)에서 여과된 공기를 가습장치(200)에 공급하기 위해 공기가 통과하는 연결유로(103)를 형성한다. 상기 공기청정장치(100)측에 형성된 연결유로(103)를 클린연결유로(104)라 정의하고, 상기 가습장치(200)측에 형성된 연결유로를 가습연결유로(105)라고 정의한다. 공기청정장치(100)는 클린연결유로(104)를 형성한다. 가습장치(200)는 가습연결유로(105)를 형성한다.
상기 가습장치(200)은 상기 공기청정장치(100)을 통과한 여과된 공기에 대해 가습을 실시하는 가습유로(106)가 형성된다. 상기 여과된 공기는 가습유로(106)를 통과하면서 수분을 공급받아 가습된다. 가습유로(106)의 하류측에는 토출유로(107)가 형성되어 공기청정장치(100) 및 가습장치(200)에 의해 처리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청정장치(100) 및 가습장치(200)의 내부에서 공기의 유동방향이 일부 꺽이는 부분이 있으나, 공기 흐름 방향(A)은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이다. 구체적으로 공기 흐름 방향(A)은 하측에서 상측으로의 방향이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공기청정장치의 작동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1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가습장치(200)를 들어올리기 위한 손잡이(12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장치(100)는 상기 흡입유로(101)를 통해 흡입된 외부공기를 상기 가습장치(200)로 안내하는 바디(130)와, 상기 바디(130)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흡입된 외부공기에 대해 여과를 실시하는 필터어셈블리(10)와, 상기 바디(130) 내부에 배치되고, 유동되는 공기에 대해 압력을 제공하는 송풍유닛(20)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청정장치(100)는 베이스(112)에 설치되고, 바디(130)는 베이스(112)와 이격되어 상기 흡입유로(101)를 형성한다. 바디(130)는 베이스(112)에서 이격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바디(130)의 하측면 전체를 통해 외부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장치(100)는 하측에서 흡입된 외부공기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공기는 여과유로(102)를 따라 하측에서 상측으로 중력방향을 거슬러 유동한다.
외부공기는 상기 흡입유로(101)를 통해 수평평면상 360도 전 방향으로부터 흡입된다. 상기 베이스(112) 및 바디(130)를 이격시키기 위해, 상기 바디(130) 및 베이스(112) 사이에 브리지 프레임(115)이 설치된다. 상기 브리지 프레임(115)은 상기 베이스(112) 및 바디(130)를 결합시키고, 상기 바디(130)를 지지한다.
외부공기는 상기 브리지 프레임(115)을 지나 흡입구(111)로 유동된다. 상기 브리지 프레임(115)에 상하로 브리지(114)가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브리지(114)의 개수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흡입구(111)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촘촘히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디(130)는 공기청정장치(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바디 케이스(131)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130)는 상하방향에 대해 수직한 평면으로 자른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130)에 필터어셈블리(1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바디(130)에서 수평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다. 필터어셈블리(10)는, 바디(130)에대해 전후방향으로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필터어셈블리(10)는 복수 개의 필터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필터는 사용자가 분리가능하도록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복수 개의 필터를 일시에 이동시키는 드로어(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공기청정장치(100)는 외형을 형성하고 일측(전방측)에 필터설치개구부(133)가 형성된 바디 케이스(131)를 포함한다. 공기청정장치(100)는 바디 케이스(131)의 내부에 배치되는 필터하우징(140)을 포함한다.
필터하우징(140)은 필터어셈블리(10)가 탈착 가능하게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필터하우징(140)은 바디(130)에 설치된다. 필터하우징(140)은 바디(130)의 내부에 고정되어 배치된다. 필터하우징(140)은 전기집진장치(500) 등의 필터모듈이 삽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필터모듈은 필터설치개구부(133)를 통해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필터모듈은 필터설치개구부(133)를 통해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인출이 가능하다. 드로어(400)는 필터설치개구부(133)를 통해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될 수 있다. 드로어(400)는 필터설치개구부(133)를 통해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인출이 가능하다. 드로어(400)는 전후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된다.
필터하우징(140)과 필터어셈블리(10)는 결합된 상태에서 여과유로(102)가 형성된다. 여과유로(102)의 상류측은 흡입유로(101)와 연결된다. 여과유로(102)의 하류측은 연결유로(103)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여과유로(102)의 하류측은 클린연결유로(104)와 연결된다.
바디 케이스(131)의 일측(전면)에 필터설치개구부(133)가 형성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필터설치개구부(133)를 통해 상기 필터하우징(140) 내부로 삽입된다.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필터설치개구부(133)를 덮어주는 필터커버(413)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130) 내부에 상기 송풍유닛(20)에서 토출된 공기를 상기 가습장치(200)로 안내하는 송풍하우징(150)이 설치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상기 필터하우징(140)의 상측에 위치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상기 필터하우징(140)에 고정된다.
상기 필터하우징(140) 및 송풍하우징(150) 사이에 송풍유닛(20)이 설치된다. 상기 송풍유닛(20)은 공기를 유동시키는 압력을 제공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공기의 유동과 직교하게 배치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여과유로(102)와 교차되게 설치된다. 상기 여과유로(102)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수평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된다.
상기 흡입유로(10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하우징(140) 내부를 통해 송풍유닛(20)으로 유동한다. 상기 송풍유닛(20)은 필터하우징(140) 상측에 배치되고, 여과유로(102)의 공기를 흡입하여 가습장치(200)로 토출한다.
상기 송풍유닛(20)은 송풍모터(22) 및 송풍팬(24)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송풍모터(22) 및 송풍팬(24)은 모두 송풍하우징(150) 및 필터하우징(14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모터(22)가 상측에 배치되고 송풍팬(24)이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모터(22)는 송풍하우징(150)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하우징(150)에 지지된다. 상기 송풍팬(24)은 송풍모터(22)와 조립되고, 상기 송풍모터(22)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상기 송풍팬(24)은 필터하우징(140) 측에 배치된다.
설치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송풍모터(22)는 송풍하우징(150) 내부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송풍팬(24)은 필터하우징(140) 내부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24)은 중앙으로 여과된 공기를 흡입한 후, 원주방향으로 여과된 공기를 토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송풍모터(22)는 공기와 저항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송풍팬(24)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송풍모터(22)는 공기의 유로를 벗어나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24)에서 토출된 공기는 필터하우징(140) 및 송풍하우징(150)을 따라 상측의 가습장치(200)로 유동된다.
상기 바디(130) 내부의 상기 송풍유닛(20)의 상측에는 수조(30)가 배치된다. 상기 바디(130)는 상측으로 수조(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측에서 내부로 오목한 수조삽입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수조삽입공간의 둘레면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가습유로입구(123)가 형성되고, 상기 가습유로입구(123)는 수조(30)의 내부와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습유로입구(123)의 내측에 수분을 함유하는 가습매체(50)가 배치된다.
상기 수조(30)의 내부에는 상기 수조(30) 내부의 물을 흡입하고, 흡입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하고, 양수된 물을 바깥으로 분사하는 워터링 유닛(40)이 설치된다. 상기 수조(30)의 하부에는 워터링 유닛(40)의 동력원인 워터링모터(42)가 설치된다. 상기 워터링모터(42)는 상기 송풍모터(22)와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상기 송풍모터(22) 및 워터링모터(42)는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가습장치(200)은, 공기청정장치(100)에 분리가능하게 적층되고 투시되는 재질로 형성된 비주얼바디(210)와, 상기 비주얼바디(210)에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탑커버어셈블리(2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 및 비주얼바디(210) 사이에 토출유로(107)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유로(107)는 가습유로(106)의 하류측과 연결된다. 상기 연결유로(103)는 가습유로(106)의 상류측과 연결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에는 외부에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급수유로(109)가 형성된다.
도 6 내지 도 15를 참고하여, 바디(130)는 외둘레면 중 일측면에 필터설치개구부(133)를 형성한다. 필터설치개구부(133)를 통해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이 연결된다. 필터설치개구부(133)를 통해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으로 필터어셈블리(10)가 인입된다.
필터어셈블리(1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 하도록 필터하우징(140)의 내측면의 양측에 가이드(142, 146, 147)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142, 146, 147)는 필터어셈블리(10)를 지지하는 마찰면을 제공하는 상측면(146, 147a)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142, 146, 147)는 필터어셈블리(10)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눌러주는 하측면(142)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142, 146, 147)는 롤러(147b) 또는 베어링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142, 146, 147)는 드로어(40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해주는 드로어 가이드(147)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142, 146, 147)는 메쉬필터(30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해주는 메쉬필터 가이드(146)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142, 146, 147)는 드로어에 안착되는 필터모듈(350, 400)의 상측면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해주는 필터모듈 가이드(1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 및 15 참고)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의 좌우 측면(상기 가이드가 배치된 측면)은 필터어셈블리(10)의 좌우방향의 유동을 막는다.
공기청정장치(100)는, 전기집진장치(5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단자(148)를 포함한다. 공기청정장치(100)는, 전기집진장치(500)에 접지를 제공하는 접지단자(149)를 포함한다. 전원단자(148) 및 접지단자(149)는 필터하우징(140)의 내측면에 배치된다.
전원단자(148)는, 대전부(510)에 전원을 공급하는 대전부 전원단자(148a)와 집진부(5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집진부 전원단자(148b)를 포함할 수 있다. 접지단자(149)는, 대전부(510)에 접지를 제공하는 대전부 접지단자(149a)와 집진부(540)에 접지를 제공하는 집진부 접지단자(149b)를 포함할 수 있다.
드로어(400)는 상기 필터설치개구부(133)를 덮어주는 필터커버(413)를 포함한다. 필터커버(413)는 필터설치개구부(133)의 높이 보다 소정 간격 높게 형성된 상측 연장부(413d)를 포함한다. 상기 상측 연장부는 센서홀(413a)을 형성한다.
공기청정장치(100)는, 바디(130)에 설치된 센서모듈(135, 136, 137)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모듈(135, 136, 137)은 외부의 공기에 노출되는 부분을 적어도 일부 포함한다. 센서모듈(135, 136, 137)은 외부 공기로부터 소정 정보를 감지한다. 센서모듈(135, 136, 137)은 바디(1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모듈(135, 136, 137)은 필터설치개구부(133)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모듈(135, 136, 137)은, 필터어셈블리(10)가 바디(130)와 결합된 상태에서는 필터커버(413)에 의해 시각적으로 가려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센서모듈(135, 136, 137)은 필터커버(413)의 상측 연장부(413d)의 배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모듈(135, 136, 137)은 센서홀(413a)을 통해 유입된 공기로부터 소정 정보를 감지한다. 센서모듈(135, 136, 137)에서 감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송풍유닛(20)을 제어할 수 있다.
센서모듈(135, 136, 137)은 외부 공기의 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먼지센서(135)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모듈(135, 136, 137)은 외부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136)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모듈(135, 136, 137)은 외부 공기의 냄새를 감지하는 냄새센서(137)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설치개구부(133)의 상측 부분은 바디(130)의 외둘레면이 필터커버(413)의 상측 연장부(413d)의 두께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함몰된 함몰부(134)를 형성한다. 바디 케이스(131)는,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상측 연장부(413d)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함몰부(134)를 포함한다. 필터커버(413)는 바디(130)에 결합시 함몰부(134)와 맞물린다. 상측 연장부(413d)는 바디(130)에 결합시 상기 함몰부(134)와 맞물린다.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공간에 ‘자리잡은(settlement) 상태'는,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에 더 이상 인입될 수 없을 정도로 완전히(fully) 인입된 것을 의미한다.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에 인입 중이거나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으로부터 인출 중인 상태는, 상기 '자리잡은 상태'가 아니다.
센서모듈(135, 136, 137)은 복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는 횡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센서는 함몰부(134)의 후측에서 횡으로 배열될 수 있다.
바디 케이스(131)는 상기 복수의 센서의 앞에 각각 홀(135a, 136a, 137a)을 형성한다. 함몰부(134)에는 각각의 센서의 앞에 형성된 각각의 홀이 횡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함몰부(134)에는 습도센서 홀(136a)이 형성된다. 습도센서(136)는 상기 함몰부(134)의 뒤에 배치된다. 습도센서(136)는 상기 습도센서 홀(136a)의 뒤에 배치된다. 습도센서 홀(136a)은 복수 개의 작은 홀이 밀집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134)에는 냄새센서 홀(137a)이 형성된다. 냄새센서(137)는 상기 함몰부(134)의 뒤에 배치된다. 냄새센서(137)는 상기 냄새센서 홀(137a)의 뒤에 배치된다. 냄새센서 홀(137a)은 복수 개의 작은 홀이 밀집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디 케이스(131)는 먼지센서(135)의 내부 청소를 위한 청소홀(135a)를 형성한다. 바디 케이스(131)는 먼지센서(135)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홀(135b)을 포함한다. 바디 케이스(131)는 먼지센서(135)로부터 공기를 유출시키기 위한 유출홀(135c)을 형성한다. 유입홀(135b), 청소홀(135a) 및 유출홀(135c)은 순서대로 하측부터 상측으로 배치된다.
먼지센서(135)는 먼지센서(135)로 유입된 공기에 열을 가하는 가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는 청소홀(135a)를 개폐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에 의해서 공기가 가열되면, 대류에 의해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대류에 의해서, 하측의 유입홀(135b)로 공기가 유입되고 상측의 유출홀(135c)로 공기가 유출된다.
먼지센서(135)는 함몰부(134)의 후측에 배치된다. 먼지센서(135)는 상기 복수의 홀(135a, 135b, 135c)의 후측에 배치된다.
필터커버(413)가 먼지센서(135)를 가린 상태에서도 외부공기가 먼지센서(135)에 공급되도록, 먼지센서(135)의 위치와 대응되는 필터커버(413)의 부분에 센서홀(413a)이 형성된다. 센서홀(413a)은 유입홀(135b) 및 유출홀(135c)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좌우방향으로 긴 슬릿으로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센서는 상기 슬릿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센서홀(413a)은 유입홀(135b) 및 유출홀(135c)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센서홀(413a)은 유입홀(135b) 및 유출홀(135c)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센서홀(413a)은 상기 복수의 센서가 배열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센서홀(413a)은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릿일 수 있다.
센서홀(413a)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홀(413a)은 복수개의 슬릿이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센서홀(413a)은, 상측에 배치된 제 1센서홀(413a1)과, 하측에 배치된 제 2센서홀(413a2)를 포함한다. 제 1센서홀(413a1) 및 제 2센서홀(413a2)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센서홀(413a1)은 횡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센서홀(413a2)은 횡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센서홀(413a1)은 후측의 복수의 센서가 배열된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제 2센서홀(413a2)은 후측의 복수의 센서가 배열된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제 1센서홀(413a1)은 유출홀(135c)에 대응되는 높이에서 형성된다. 제 2센서홀(413a2)은 유입홀(135b)에 대응되는 높이에서 형성된다.
상측 연장부(413d)는, 드로어(400)의 인출 및 인입에 따라 청소홀(135a)을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상측 연장부(413d)의 후측면은 청소홀(135a)을 닫아준다.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상측 연장부(413d)의 후측면은 청소홀(135a)을 열어준다.
필터어셈블리(10)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모듈(500, 350)을 포함한다. 필터어셈블리(10)는 필터모듈(500, 350)을 지지하는 드로어(400)를 포함한다. 필터어셈블리(10)는 메쉬형의 그물눈 사이로 공기가 통과되면서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메쉬필터(300)를 포함한다.
드로어(400)는 필터설치개구부(133)를 통해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인출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필터모듈(500, 350)은 드로어(400)에 안착된다. 필터모듈(500, 350)은 드로어(400)어 함께 필터설치개구부(133)를 통해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인출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드로어(400)는 필터모듈(500, 350)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한다. 드로어(400)는 필터하우징(140)의 드로어 가이드(147)를 따라 슬라이딩된다. 드로어(400)는 공기가 통과하는 드로어 개구부(400a)를 형성한다. 드로어 개구부(400a)는 수평면 상에 형성된다. 흡입유로(10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드로어 개구부(400a)를 상하방향으로 통과한다. 공기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드로어 개구부(400a)를 통과한다.
드로어(400)는 공기가 통과하는 드로어 개구부를 형성하는 프레임(410)을 포함한다. 드로어(400)는 필터설치개구부를 덮어주는 필터커버(413)를 포함한다. 필터커버(413)는 프레임(410)에 결합된다.
프레임(410)은 드로어(4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커버(413)는 드로어(400)의 전면에 배치된다. 프레임(410)은 전단부에 필터커버(413)가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필터커버(413)는 하측부에 프레임(410)이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필터커버(413) 는 프레임(410)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410)은 수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커버(413)는 바디 케이스(131)의 외측면과 동일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모듈(500, 350)은 프레임(410)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된다. 필터모듈(500, 350)은 드로어 개구부(400a)를 통과한 공기를 여과한다.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공기가 상하방향으로 드로어 개구부(400a) 및 필터모듈(500, 350)을 통과하도록 구비된다. 공기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드로어 개구부(400a)를 통과한 뒤 필터모듈(500, 350)을 거치면서 여과된다.
필터모듈(350, 500)은 서로 분리가능하도록 적층된 복수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모듈(350, 500)은 전기집진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모듈(350, 500)은 광촉매필터(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500)는 공기 중의 먼지입자을 대전시키고 대전된 먼지입자를 집진하여 공기를 여과한다.
광촉매필터(350)는 다공성의 베이스에 탈취성능을 가진 광촉매를 도포하여 공기 중의 냄새성분을 물리적/화학적으로 제거한다.
광촉매필터(350)는, 여과유로(102)의 수평 단면 상에 둘레를 형성하는 광촉매필터 프레임(353)과, 광촉매필터 프레임(353)에 의해 지지되는 광촉매작용부(355)를 포함한다. 광촉매작용부(355)는 여과유로(102)의 일부를 형성하는 공극을 가진 베이스부재에 탈취성능을 가진 공지의 광촉매를 도포함으로써 제작될 수도 있고, 광촉매 성질을 가진 부재에 공극을 형성시킴으로써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광촉매는 활성탄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탄은 물리적 접착력에 의해 냄새 입자를 광촉매작용부(355)에 포집되게 할 수 있다. 활성탄 또는 기타 광촉매를 이용하여 상기 냄새 입자를 화확적 결합으로 광촉매작용부(355)에 포집되게 할 수 있다. 광촉매필터(350)를 바디(130) 및 필터어셈블리(10)로부터 분리하여, 햇빛 등에 노출시킴으로써 광촉매작용부(355)에 포집된 냄새 입자를 제거할 수 있다.
드로어(400)는 전기집진장치(500)를 지지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500)는 광촉매필터(350)를 지지할 수 있다. 메쉬필터(300), 전기집진장치(500) 및 광촉매필터(350)는, 공기 흐름방향(A)을 기준으로 상류에서 하류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필터어셈블리(10)에서, 최하부에 메쉬필터(300)가 배치되고, 메쉬필터(300)의 상측에 전기집진장치(500)가 배치되며, 최상부에 광촉매필터(350)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모듈(350, 500)은 드로어(400)에 분리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500)는 드로어(400)에 분리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광촉매필터(350)는 전기집진장치(500)의 상측에 분리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메쉬필터(300)는 드로어(400)와 독립적으로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인출된다. 메쉬필터(300)는 전기집진장치(500)의 유입구(506)가 형성된 방향에 배치된다.
메쉬필터(300)는 전기집진장치(500)의 하측에 배치된다. 메쉬필터(300)는, 전기집진장치(500)에서 대전부(510)가 배치되는 방향에 배치된다. 메쉬필터(300)는, 전기집진장치(500)에서 전기집진장치(500)의 유입구(506)가 형성된 방향에 배치된다. 메쉬필터(300)는 전기집진장치(500)와 적층되도록 구비된다.
메쉬필터(300)는 드로어(400)의 하측에 배치된다. 메쉬필터(300)는 드로어(400)와 독립적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구비된다. 메쉬필터(300)는 전기집진장치(500)와 독립적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구비된다. 전기집진장치(500)와 메쉬필터(300) 중 어느 하나만 필터하우징(140) 내부로 인입되거나 내부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메쉬필터(300)는 전면을 형성하는 메쉬필터커버(313)을 포함한다. 메쉬필터(300) 및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메쉬필터커버(313)는 필터커버(413)의 전면과 연속되는 면상의 외관을 형성한다. 메쉬필터커버(313)는, 상측면 상에서 하측으로 함몰된 메쉬필터커버 손잡이(313a)를 형성한다.
메쉬필터(300) 및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상기 메쉬필터커버 손잡이(313a)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필터커버(413)는 하단 중 일부가 함몰된 손잡이 노출부(413c)를 형성한다. 손잡이 노출부(413c)는 전면과 하측면이 개구된다. 손잡이 노출부(413c)는 필터커버(413)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상기 메쉬필터커버 손잡이(313a)의 후단까지 함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 노출부(413c)로 손을 넣어 메쉬필터커버 손잡이(313a)에 손을 걸 수 있다.
메쉬필터(300)는, 메쉬필터커버(313)의 후방의 수평면 상에서 상기 여과유로(102)의 둘레에 배치되는 메쉬프레임(315)을 포함한다. 메쉬필터(300)는, 메쉬프레임(315)이 제공하는 둘레 내측으로 여과유로(102)의 수평 단면을 나누어주는 메쉬보조프레임(316)을 포함할 수 있다. 메쉬보조프레임(316)은 여과유로(102)의 수평 단면을 복수개로 나누어준다.
메쉬필터(300)는 통과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고 채집하는 메쉬(318)를 포함한다. 메쉬(318)는 메쉬프레임(315) 및 메쉬보조프레임(316)에 의해서 지지된다. 메쉬(318)는 메쉬프레임(315) 및 메쉬보조프레임(316)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메쉬(318)에 의해 채집된 이물질은, 메쉬필터(300)를 바디(130)로부터 분리하여 세척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도 16 및 21을 참고하여, 프레임(410)은 필터하우징(14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410a)을 포함한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410a)은 사이에 드로어 개구부(400a)를 형성한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410a)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필터커버(413)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410a)의 전단부에 배치된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410a)은 필터모듈(350, 500)의 하측에 배치된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410a)은 메쉬필터(300)의 상측에 배치된다.
프레임(410)은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410a)의 후단부 사이를 연결하며 배치되는 리어 프레임(410b)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 프레임(410b)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리어 프레임(410b)의 좌측 단부는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410a)의 후단부에 결합된다. 리어 프레임(410b)의 우측 단부는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410a)의 후단부에 결합된다. 드로어 개구부(400a)는 리어 프레임(410b)과 필터커버(413) 사이에 형성된다. 리어 프레임(410b)은 필터모듈(350, 500)의 하측에 배치된다. 리어 프레임(410b)은 메쉬필터(300)의 상측에 배치된다.
프레임(410)은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410a)의 전단부 사이를 연결하며 배치되는 프론트 프레임(410c)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프레임(410c)은 필터커버(413)의 후면에 결합된다. 프론트 프레임(410c)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프론트 프레임(410c)의 좌측 단부는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410a)의 전단부에 결합된다. 프론트 프레임(410c)의 우측 단부는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410a)의 전단부에 결합된다. 드로어 개구부(400a)는 리어 프레임(410b)과 프론트 프레임(410c) 사이에 형성된다. 프론트 프레임(410c)은 필터모듈(350, 500)의 하측에 배치된다. 프론트 프레임(410c)은 메쉬필터(300)의 상측에 배치된다.
프레임(410)은 필터모듈(350, 500)이 안착되는 안착면(411)을 형성한다. 안착면(411)은 필터모듈(350, 500)을 지지하는 상측면을 형성한다. 안착면(411)은 프레임(410)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안착면(411)에 필터모듈(350, 500)의 하측면 중 일부가 접촉하여, 필터모듈(350, 500)이 지지된다.
필터모듈(350, 500)은 프레임(410)에 분리가능하게 안착된다. 전기집진장치(500)는 프레임(410)에 분리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410a), 리어 프레임(410b) 및 프론트 프레임(410c)은 필터모듈(350, 500)이 안착되는 안착면(411)을 형성한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410a)은 상측으로 필터모듈(350, 500)의 하측면과 접촉하는 제 1안착면(411a)을 형성한다. 리어 프레임(410b)은 상측으로 필터모듈(350, 500)의 하측면과 접촉하는 제 2안착면(411b)을 형성한다. 프론트 프레임(410c)은 상측으로 필터모듈(350, 500)의 하측면과 접촉하는 제 3안착면(411c)을 형성한다. 안착면(411)은 제 1안착면(411a), 제 2안착면(411b) 및 제 3안착면(411c)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면(411)의 중앙부에는 드로어 개구부(400a)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안착면(411a), 제 2안착면(411b) 및 제 3안착면(411c)는 드로어 개구부(400a)를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안착면(411)의 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되어 필터모듈(350, 500)의 측면과 접촉하는 가이드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필터모듈(350, 500)이 안착면(411)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필터모듈(350, 500)의 안착 동작을 가이드해준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410a)의 안착면(411a)은, 리어 프레임(410b)의 안착면(411b) 및 프론트 프레임(410c)의 안착면(411c) 중 적어도 하나와 높이차를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410a)의 안착면(411a)은 리어 프레임(410b)의 안착면(411b)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410a)의 안착면(411a)은 프론트 프레임(410c)의 안착면(411c)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모듈(350, 500)의 하측면은 상기 높이차가 나도록 형성된 복수의 안착면(411a, 411b, 411c)에 맞물리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필터커버(413)는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부(4131)를 포함한다. 전면부(4131)는 상기 센서홀(413a)을 형성한다. 전면부(4131)는 손잡이(413b)를 포함한다. 필터커버 손잡이(413b)는 전면부(4131)의 일부가 후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필터커버 손잡이(413b)가 당겨지면, 드로어(400)가 당겨진다. 필터커버 손잡이(413b)에는 후술하는 걸림해제 버튼(417b)가 배치될 수 있다. 전면부(4131)는 후술하는 손잡이 노출부(413c)를 형성할 수 있다. 전면부(4131)는 바디 케이스(131)의 외측면에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면부(4131)는 수평 단면상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휘어진 형상일 수 있다. 전면부(4131)는 상측부에 배치된 상기 상측 연장부(413d)를 포함한다.
필터커버(413)는 필터모듈(350, 500)의 전방면에 접촉하는 후면부(4132)를 포함한다. 후면부(4132)는 필터커버(413)의 후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후면부(4132)는 필터모듈(350, 500)의 전방면의 위치를 가이드해준다. 후면부(4132)는 필터모듈(350, 500)의 전방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모듈(350, 500)의 전방면은 수직 평면을 형성하고, 후면부(4132)의 형상도 수직 평면을 형성한다.
필터커버(413)는,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상측면을 마주보는 상면부(4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면부(4133)는 후면부(4132)와 전면부(4131)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면부(4133)에는 후술하는 걸림부(417a)가 배치된다. 필터하우징(140)은 걸림부(417a)가 걸릴 수 있도록 걸림부(417a)에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홈(143)을 형성한다. 상면부(4133)의 후단은 후면부(4132)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면부(4133)의 전단은 전면부(4131)의 후면에 연결된다. 상면부(4133)의 전단은 상측 연장부(413d)의 하단에 연결된다.
도 9를 참고하여, 드로어(400)는,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에 안착되어 걸리도록 해주는 걸림장치(417)을 포함한다. 걸림장치(417)는,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드로어(400)를 고정시킨다. 걸림장치(417)는 필터커버(413)에 배치될 수 있다.
걸림장치(417)는,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필터하우징(140)에 걸리는 걸림부(417a)를 포함한다. 걸림부(417a)는 상면부(4133)에 배치된다. 상기 걸림홈(143)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에 형성된다. 걸림부(417a)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걸림부(417a)의 상단은 상면부(4133)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걸림부(417a)의 후측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후측에 가까워지는 경사면을 형성한다. 드로어(400)가 후측방향으로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경사면은 필터설치개구부(133)의 상단에 밀려, 걸림부(417a)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걸림부(417a)는 상기 걸림홈(143)으로 삽입되며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걸림부(417a)가 걸림홈(143)에 삽입되면, 드로어(400)를 전방으로 당기어도 드로어(400)가 인출되지 않게 된다.
걸림부(417a)가 걸림홈(143)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장치(417)는 걸림을 해제하기 위해서 걸림부(417a)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걸림해제 버튼(417b)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417a)는 걸림부(417a)의 걸림을 해제시킨다. 걸림부(417a)와 걸림해제 버튼(417b)은 구조적으로 연결된다. 걸림해제 버튼(417b)이 눌리면 걸림부(417a)가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걸림해제 버튼(417b)은 하측으로 눌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걸림해제 버튼(417b)은 필터커버 손잡이(413b)의 하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걸림장치(417)는, 하측으로 눌릴 경우 상측으로 복원력을 가하는 탄성부(417c)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417c)는 걸림해제 버튼(417b)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417c)는 걸림해제 버튼(417b)의 하측면을 지지하며 배치될 수 있다.
도 14, 15, 17 내지 20, 22 및 23을 참고하여, 필터하우징(140)과 드로어(400) 사이의 슬라이딩 구조, 및 필터하우징(140)와 메쉬필터(300) 사이의 슬라이딩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필터하우징(140)은 필터하우징(14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드로어 가이드(147)를 포함한다. 한 쌍의 드로어 가이드(147)는 프레임(410)의 인출 및 인입을 가이드해준다. 드로어(400)는 프레임(4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더(414)를 포함한다. 한 쌍의 슬라이더(414)는 한 쌍의 드로어 가이드(147)를 따라 이동된다. 슬라이더(414)는 드로어 가이드(147)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슬라이더(414)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410a)의 하측에 형성된다.
드로어 가이드(147)는 레일부(147a)를 포함할 수 있다. 드로어 가이드(147)는 롤러(147b)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부(147a)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레일부(147a)는 슬라이더(414)에 접촉하는 상측면을 형성한다. 롤러(147b)는 드로어 가이드(147)의 전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롤러(147b)의 회전축의 방향은 좌우방향이다. 드로어 가이드(147)의 롤러(147b)는 슬라이더(414)의 레일부(414a)에 접촉한다.
슬라이더(414)는 레일부(414a)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414)는 롤러(414b)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부(414a)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레일부(414a)는 드로어 가이드(147)에 접촉하는 하측면을 형성한다. 롤러(414b)는 슬라이더(414)의 후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롤러(414b)의 회전축의 방향은 좌우방향이다. 슬라이더(414)의 롤러(414b)는 드로어 가이드(147)의 레일부(147a)에 접촉한다.
롤러(414b)는 레일부(147a)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레일부(147a)는 롤러(414b)의 하측을 지지한다. 레일부(414b)는 롤러(147b)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롤러(147b)는 레일부(414b)를 지지한다.
필터하우징(140)은, 필터모듈(350, 500)이 드로어(400)와 함께 인출 및 인입될 때 필터모듈(350, 500)의 상측면의 이동을 가이드해주는 필터모듈 가이드(142)를 포함한다. 필터하우징(140)은 필터하우징(14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필터모듈 가이드(142)를 포함한다. 필터모듈 가이드(142)는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상측에 배치된다. 필터모듈 가이드(142)는 필터모듈(350, 500)의 상측면에 접촉하는 하측면을 형성한다.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롤러(147b)의 지지점은 전방에 위치하게 되고, 레일부(147a)의 지지점은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지지점이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드로어(400)는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로부터 인출되는 과정에서, 롤러(147b)의 지지점은 위치를 유지하나, 롤러(414b)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레일부(147a)의 지지점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롤러(147b)의 지지점과 레일부(147a)의 지지점 사이 이격거리가 좁아지고, 드로어(400)의 전방 부분이 지지점이 없이 돌출된다. 드로어(400)에 전기집진장치(500) 및 광촉매필터(350)가 안착되어 있다면, 광촉매필터(350)의 상측면이 필터하우징(140)의 필터모듈 가이드(142) 접촉하여, 드로어(400)의 전방이 하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막아준다.
필터하우징(140)은 메쉬필터(300)의 인출 및 인입을 가이드해주는 메쉬필터 가이드(146)을 포함한다. 필터하우징(140)은 필터하우징(14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메쉬필터 가이드(146)를 포함한다. 메쉬필터(300)는, 메쉬필터(300)를 필터하우징(14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해주는 슬라이딩부(315a)를 포함한다. 메쉬필터(300)는 메쉬프레임(315)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315a)를 포함한다.
슬라이딩부(315a)는 메쉬프레임(315)의 하측에 형성된다. 슬라이딩부(315a)는 메쉬필터 가이드(146)에 접촉하는 하측면을 제공한다. 메쉬필터 가이드(146)는 슬라이딩부(315a)의 이동을 가이드해주는 메쉬필터 가이드(146)가 구비된다. 메쉬필터 가이드(146)는 슬라이딩부(315a)와 접촉하는 상측면을 제공한다. 슬라이딩부(315a)의 하측면은 메쉬필터 가이드(146)의 상측면을 슬라이딩하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하측에서 바라볼 때, 슬라이딩부(315a)는 한 쌍의 슬라이더(414)의 사이에 배치된다. 일 측의 슬라이딩부(315a)는, 같은 측의 슬라이더(414)보다 안쪽으로 배치된다. 상측에서 바라볼 때, 메쉬필터 가이드(146)는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에서 한 쌍의 드로어 가이드(147) 사이에 배치된다. 일 측의 메쉬필터 가이드(146)는, 같은 측의 드로어 가이드(147)보다 안쪽으로 배치된다.
메쉬필터 가이드(146)는 드로어 가이드(147)보다 낮게 배치된다. 한 쌍의 메쉬필터 가이드(146) 사이에 흡입유로(101)와 연결되는 흡입구(111)가 형성된다.
드로어 가이드(147) 및 슬라이더(414) 중 어느 하나는 롤러(147b, 414b)를 포함하고, 드로어 가이드(147) 및 슬라이더(414) 중 다른 하나는 롤러(147b, 414b)가 접촉하는 레일부(414a, 147a)를 포함한다. 이하 설명하는 제 1구간부 및 제 2구간부는, 본 실시예와 같이 슬라이더(414)의 레일부(414a)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고, 다른 실시예에서 드로어 가이드(147)의 레일부(147a)에 구비되더라도 같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를 설명하나, 이는 제 1구간부 및 제 2구간부가 드로어 가이드(147)의 레일부(147a)에 구비된 다른 실시예까지 설명된다.
도 22 및 23을 참고하여, 레일부(414a)는,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공간으로 인입되기 시작할 때 롤러(147b)에 접촉되는 제 1지점(p1)부터 소정 지점(p2)까지 평탄면을 형성하는 제 1구간부(414a1)를 포함한다. 레일부(414a)는, 소정 지점(p1)부터 드로어 개구부(400a)의 전단(400a1)이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기 이전에 롤러(147b)에 접촉되는 제 2지점(p2)까지 평탄면을 형성하는 제 1구간부(414a1)를 포함한다. 레일부(414a)는,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공간으로 인입되기 시작할 때 롤러(147b)에 접촉되는 제 1지점(p1)부터 드로어 개구부(400a)의 전단(400a1)이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기 이전에 롤러(147b)에 접촉되는 제 2지점(p2)까지, 평탄면을 형성하는 제 1구간부(414a1)를 포함한다.
도 22 및 23을 참고하여, 레일부(414a)는, 상기 제 2지점(p2)부터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롤러(147b)에 접촉되는 제 3지점(p3)까지, 프레임(410)을 상측으로 올려주도록 제 1구간부(414a1)와 다른 높이를 가진 제 2구간부(414a2,414a3)를 포함한다. 제 2구간부(414a2,414a3)는 드로어(400)를 상측으로 올려주도록 제 1구간부(414a1)와 다른 높이를 가진다. 제 1구간부(414a1) 및 제 2구간부(414a2,414a3)가 슬라이더(414)에 형성된 본 실시예에서, 제 2구간부(414a2,414a3)의 하측면은 제 1구간부(414a1)의 하측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 1구간부 및 제 2구간부가 드로어 가이드(147)에 형성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구간부의 상측면은 상기 제 1구간부의 상측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필터모듈(350, 500)이 안착된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공간으로 인입되기 시작할 때에는, 필터모듈(350, 500)이 안착된 드로어(400)의 상하 방향 유격이 충분히 있도록 하여, 삽입 시작 동작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드로어 개구부(400a)의 전단(400a1)이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는 시점에는, 필터모듈(350, 500)이 안착된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상측면으로 최대한 밀착하게 하여, 드로어의 전단부가 하측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막는다. 이를 통해, 드로어 개구부(400a)의 전단(400a1)이 하측의 메쉬필터(3001)의 전단(또는 필터설치개구부의 전단)에 충돌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는, 필터모듈(350, 500)이 안착된 드로어(400)를 상측으로 올려주어, 드로어(400)와 필터하우징(140) 내측면 사이의 상하방향 유격을 줄인다. 이를 통해, 드로어(400)의 안착 상태가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하고, 드로어(400)와 필터하우징(140) 사이의 틈을 소정 정도로 제한하고, 전기적 단자 간의 접촉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22 및 23을 참고하여, 제 2구간부(414a2,414a3)는, 제 1구간부(414a1)의 높이와 상대적으로 큰 높이차를 가지고 제 2지점(p2)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제 1높이 형성부(414a2)와, 제 1구간부(414a1)의 높이와 상대적으로 작은 높이차를 가지고 제 3지점(p3)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제 2높이 형성부(414a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구간부(414a2,414a3)가 슬라이더(414)에 형성된 본 실시예에서, 제 1높이 형성부(414a2)의 하측면은 제 2높이 형성부(414a3)의 하측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 2구간부가 드로어 가이드(147)에 형성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높이 형성부의 상측면은 상기 제 2높이 형성부의 상측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제 2구간부(414a2,414a3)는 제 2지점(p2)을 시작으로 제 3지점(p3)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한다. 제 1높이 형성부(414a2)는 제 2지점(p2)을 시작으로 제 3지점(p3)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한다. 제 1높이 형성부(414a2)는, 제 1높이 형성부(414a2)와 제 2높이 형성부(414a3)가 만나는 지점을 시작으로 제 2지점(p2)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한다.
도 17 내지 20을 참고하여, 드로어(400)는 필터하우징(140)의 내측면과 드로어(400)의 외측면 사이의 유격을 줄이는 유격방지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유격방지부(412)는 드로어(400)가 인출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드로어(400)가 인출되는 방향이 전후방향인 경우, 드로어(400)가 인출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은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 일 수 있다. 유격방지부(412)는 프레임(410)에서 돌출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리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격방지부(412)는, 드로어(400)가 인출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돌출된 사이드 유격방지부(412a)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유격방지부(412a)는 필터하우징(140)의 내측면과 드로어(400)의 양측면 사이의 유격을 줄인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410a)은 각각 필터하우징(140)의 측면을 향해 돌출된 한 쌍의 사이드 유격방지부(412a)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유격방지부(412a)는 사이드 프레임(410a)에서 필터하우징(140)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리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격방지부(412)는 상하방향으로 돌출된 상하 유격방지부(41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하 유격방지부(412b)는 필터하우징(140)의 내측면과 드로어(400)의 외측면 사이의 상하방향 유격을 줄인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410a)은 각각 드로어 가이드(147)를 향해 하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상하 유격방지부(41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하 유격방지부(412b)는 사이드 프레임(410a)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리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구간부(414a2, 414a3)는 상하 유격방지부(412b)와 같은 구성을 지칭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유격방지부(412)는,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필터하우징(140)의 내측면에 접촉하고,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으로부터 인출되는 중에 필터하우징(140)의 내측면과의 접촉이 해제되도록 구비된다. 즉, 유격방지부(412)는 사이드 프레임(410a)의 상하방향 구간 중 일부 구간에서만 형성된다. 이를 통해, 드로어(400)를 필터설치개구부(133)로 삽입시키는 초기 동작시에는 유격을 두어 편리하게 하면서도,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는 유격을 줄여 드로어(400)가 정확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자리잡게 하는 효과가 있다.
유격방지부(412)는,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면서 점차적으로 유격이 줄어들도록, 돌출 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유격방지부(412)는,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필터하우징(140)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부분 중, 전방측에 배치된다. 유격방지부(412)는 프레임(410)의 전방측에 배치된다. 유격방지부(412)는 사이드 프레임(410a)의 전방측에 배치된다.
도 7 내지 10을 참고하여, 전기집진장치(500)는, 공기 중의 먼지입자를 대전시키는 대전부(510)와, 대전부(510)에서 대전된 먼지입자를 집진하는 집진부(540)와, 대전부(510) 및 집진부(540)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501, 502)를 포함한다. 케이스(501, 502)는 전기집진장치(5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대전부(510)는 하측에 배치되고 집진부(540)는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501,502)에는 전기집진장치(500)를 드로어(400)로부터 분리시켜 들어올릴 수 있도록 전기집진장치 손잡이(503)가 형성된다. 전기집진장치 손잡이(503)는 케이스(501,502)의 좌우 측면에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 손잡이(503)는 케이스(501,502)의 표면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501, 502)는, 내부에 대전부(510)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대전케이스(501), 및 내부에 집진부(540)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집진케이스(502)를 포함할 수 있다. 대전케이스(501)는 하측에 배치되고, 집진케이스(502)는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501, 502)는, 대전부(510)를 수용하는 상기 공간과 집진부(540)를 수용하는 상기 공간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전케이스(501)는 하부에 배치되고 집진케이스(502)는 상부에 배치되고, 대전부(510)는 하부에 배치되고 집진부(540)는 대전부(510)의 상측에 배치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케이스(501, 502)는, 먼지입자를 포함하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506)를 형성하고, 케이스(501, 502)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구(507)를 형성한다. 케이스(501, 502)는 유입구(506)를 복수 개로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501, 502)는 유출구(507)를 복수 개로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입구(506)는 대전케이스(501)의 하측면에 형성되고, 유출구(507)는 집진케이스(502)의 상측면에 형성된다.
전체적인 공기 흐름방향(A)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케이스 흡입유로(101)를 통해 외부에서 상기 공기조화기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여과유로(102)로 유입된다. 여과유로(102)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메쉬(318)를 통과한 후, 드로어 개구부(400a)를 통과한다. 드로어 개구부(400a)를 통과한 공기는 전기집진장치의 유입구(506)를 통해 케이스(501, 502) 내부로 유입된다. 케이스(501, 502)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는, 대전부(510) 및 집진부(54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유출구(507)를 통해 상측으로 유동한다. 상측으로 유동한 공기는 광촉매작용부(355)를 통과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 구성요소의 배치가 바뀔 수도 있고, 각 구성요소가 횡으로 배치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도 공기는 대전부(510)에서 집진부(540)로 향하는 방향이 되도록 설정된다.
도 26을 참고하여, 대전부(510)는, 고전압이 인가되는 와이어 방전극(521), 및 와이어 방전극(521)과 이격되는 대향 전극판(5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전압은, 와이어 방전극(521)과 대향 전극판(523) 사이의 전압이 매우 커서 와이어 방전극(521)에서 방전이 일어날 정도의 수치이다.
대향 전극판(523)은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대향 전극판(523)은 와이어 방전극(52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 방전극(521)은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 방전극(521)은 복수개가 서로 나란하게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와이어 방전극(521) 사이에 대향 전극판(523)이 와이어 방전극(521)이 배열된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6에서는 예시적으로 몇 개의 와이어 방전극(521)과 몇 개의 대향 전극판(523)이 공기 흐름방향(A)과 수직 방향(X)으로 교대로 이격 배치되나, 보다 많은 개수의 와이어 방전극(521) 및 대향 전극판(523)이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 방전극(521) 및 대향 전극판(523)은 대전케이스(501)에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와이어 방전극(521) 및 복수의 대향 전극판(523)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간격 유지 구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와이어 방전극(521)에 전압이 인가될 경우, 와이어 방전극(521)과 대향 전극판(523) 사이에 코로나 방전이 발생된다. 공기 중의 먼지입자는 대전부(510)를 통과하면서 대전된다.
도 27을 참고하여, 집진부(540)는 대전된 먼지입자를 집진하는 전극(540a)을 포함한다. 집진부(540)는 전기장을 발생시켜 대전된 먼지입자를 집진하는 복수의 전극(541, 542)을 포함한다. 전극(540a)은 폭과 길이와 두께를 가진 얇은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540a)은 전극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541, 542)은, 상대적으로 고전위가 인가되는 고전위 전극(541)과, 고전위 전극(541)에 대해 상대적으로 저전위가 인가되는 저전위 전극(542)을 포함한다. 복수의 고전위 전극(541) 및 복수의 저전위 전극(542)은 길이방향(Y)이 일치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전극(541, 542)은 서로 면을 마주보고 틈(S)을 형성하도록 복수로 배열된다. 폭방향(Z) 및 길이방향(Y)에 수직한 방향(X)으로 복수의 고전위 전극(541) 및 복수의 저전위 전극(542)이 교대로 틈(S)을 형성하며 배치된다.
도 24 내지 27을 참고하여, 전기집진장치(500)의 회로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바디(130)는, 대전부(510) 및 집진부(5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단자(148a, 148b)를 포함한다. 바디(130)는, 대전부(510) 및 집진부(540)에 접지를 공급하는 접지단자(149a, 149b)를 포함한다. 전원단자(148a, 148b)는 필터하우징(140)에 배치된다. 접지단자(149a, 149b)는 필터하우징(140)에 배치된다.
전원단자(148a, 148b)는, 대전부(510)에 전원을 공급하는 대전부 전원단자(148a)와, 집진부(5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집진부 전원단자(148b)를 포함할 수 있다. 접지단자(149a, 149b)는, 대전부(510)에 접지를 제공하는 대전부 접지단자(149a)와, 집진부(540)에 접지를 제공하는 집진부 접지단자(149b)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30)는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전압 발생기(581)를 포함한다. 바디(130)는 대전부(510)에 인가되는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전압 발생기(581a)를 포함한다. 바디(130)는 집진부(540)에 인가되는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전압 발생기(581b)를 포함한다. 고전압 발생기(581a)는 전원단자(148a, 148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전압 발생기(581a)와 고전압 발생기(581b)는, 하나의 고전압 발생기(581)을 지칭하고, 고전압 발생기(581)에서 대전부(510) 및 집진부(540)에 각각 병렬로 전원을 인가하는 선로를 구성한다. 바디(130)는 고전압 발생기(581)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공급선(585)를 포함한다.
전기집진장치(500)는, 전원단자(148a,148b) 및 접지단자(149a,149b)에 각각 대응되어 접촉하는 전원수용단자(518,548) 및 접지수용단자(519,549)를 포함한다. 전원수용단자(518,548)는 전기집진장치(500)에 배치된다. 접지수용단자(519,549)는 전기집진장치(500)에 배치된다.
필터하우징(140)에는 고전압 발생기(581)와 연결되어 대전부(510) 및 집진부(5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단자(148a, 148b)가 배치된다. 바디(130)에는 접지(582)와 연결되어 대전부(510) 및 집진부(540)에 접지를 제공하는 접지단자(149a, 149b)가 배치된다.
필터하우징(140)에는 고전압 발생기(581a)와 연결되어 대전부(510)에 전원을 공급하는 대전부 전원단자(148a)가 배치된다. 필터하우징(140)에는 고전압 발생기(581b)와 연결되어 집진부(5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집진부 전원단자(148b)가 배치된다. 필터하우징(140)에는 접지(582a)와 연결되어 대전부(510)에 접지를 제공하는 대전부 접지단자(149a)가 배치된다. 필터하우징(140)에는 접지(582b)와 연결되어 집진부(540)에 접지를 제공하는 집진부 접지단자(149b)가 배치된다.
케이스(501, 502)의 외측면에는, 전원단자(148a,148b)와 접촉하여 대전부(510) 및 집진부(540)에 전원을 연결시키는 전원수용단자(518, 548)가 배치된다. 케이스(501, 502)의 외측면에는, 접지단자(149a,149b)와 접촉하여 대전부(510) 및 집진부(540)에 접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지수용단자(519, 549)가 배치된다.
전원수용단자(518, 548)는 대전부 전원수용단자(518) 및 집진부 전원수용단자(548)를 포함한다. 접지수용단자(519, 549)는 대전부 접지수용단자(519) 및 집진부 접지수용단자(549)를 포함한다.
케이스(501, 502)의 외측면에는, 대전부 전원단자(148a)와 접촉하여 대전부(510)에 전원을 연결시키는 대전부 전원수용단자(518)가 배치된다. 케이스(501, 502)의 외측면에는, 집진부 전원단자(148b)와 접촉하여 집진부(540)에 전원을 연결시키는 집진부 전원수용단자(548)가 배치된다. 케이스(501, 502)의 외측면에는, 대전부 접지단자(149a)와 접촉하여 대전부(510)에 접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대전부 접지수용단자(519)가 배치된다. 케이스(501, 502)의 외측면에는, 집진부 접지단자(149b)와 접촉하여 집진부(540)에 접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집진부 접지수용단자(549)가 배치된다.
전기집진장치(500)에서, 전원수용단자(518, 548)가 배치된 측면은 접지수용단자(519, 549)가 배치된 측면과 서로 반대된다. 전기집진장치(500)에서, 대전부 전원수용단자(518) 및 집진부 전원수용단자(548)가 배치된 측면은, 대전부 접지수용단자(519) 및 집진부 접지수용단자(549)가 배치된 측면과 서로 반대된다.
대전부 전원수용단자(518) 및 집진부 전원수용단자(548)는 동일 수평 평면상에 서로 대각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대전부 접지수용단자(519) 및 집진부 접지수용단자(549)는 동일 수평평면상에 서로 대각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인입된 때에, 전원단자(148a,148b)와 전원수용단자(518, 548)가 서로 접촉하고 접지단자(149a,149b)와 접지수용단자(519, 549)가 서로 접촉한다. 전기집진장치(500)를 안착시킨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settlement) 상태'에서, 전원단자(148a,148b)와 전원수용단자(518, 548)가 서로 접촉하고 접지단자(149a,149b)와 접지수용단자(519, 549)가 서로 접촉한다.
케이스(501, 502)의 외측면 중 대전부 접지단자(149a) 및 집진부 접지단자(149b)와 각각 대응되는 지점에, 각각 대전부 접지수용단자(519) 및 집진부 접지수용단자(549)가 구비된다.
케이스(501, 502)의 외측면 중에서 대전부 전원수용단자(518) 및 집진부 전원수용단자(548)가 배치된 측면은 대전부 접지수용단자(519) 및 집진부 접지수용단자(549)가 배치된 측면과 서로 반대측 일 수 있다. 케이스(501, 502)의 좌우 측면에는 상기 전원수용단자(518,548) 및 상기 접지수용단자(529,549)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대전부 전원수용단자(518) 및 집진부 전원수용단자(548)는 케이스(501, 502)의 동일 측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대전부 접지수용단자(519) 및 집진부 접지수용단자(549)는 케이스(501, 502)의 동일 측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스(501, 502)가 바디(130)에 자리잡은 상태에서만 상기 전원단자(148a,148b) 및 상기 접지단자(149a,149b)가 각각 전원수용단자(518,548) 및 접지수용단자(519,549)와 접촉되도록, 전원수용단자(518,548) 및 접지수용단자(519,549)가 배치된다.
전원단자(148a, 148b)는, 필터하우징(140)의 내측면 중 드로어(400)가 인입 및 인출되는 방향과 수직 방향의 측면에 배치된다. 접지단자(149a, 149b)는, 필터하우징(140)의 내측면 중 드로어(400)가 인입 및 인출되는 방향과 수직 방향의 측면에 배치된다.
전원단자(148a, 148b)는, 필터하우징(140)의 양측의 내측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다. 접지단자(149a, 149b)는, 필터하우징(140)의 양측의 내측면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된다. 접지단자(149a, 149b)는, 필터하우징(140)의 내측면 중 전원단자(148a, 148b)가 배치된 측면의 반대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대전부 전원단자(148a) 및 집진부 전원단자(148b)는 바디(130)의 양측의 내측면 중 동일한 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대전부 접지단자(149a) 및 집진부 접지단자(149b)는 바디(130)의 내측면 중 동일한 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가 되면, 대전부 전원단자(148a)와 대전부 전원수용단자(518)가 접촉하고, 대전부 접지단자(149a)와 대전부 접지수용단자(519)가 접촉한다. 이 경우, 대전부(510)에 고전압이 인가된다.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가 되면, 집진부 전원단자(148b)와 집진부 전원수용단자(548)가 접촉하고, 집진부 접지단자(149b) 집진부 접지수용단자(549)가 접촉한다. 이 경우, 집진부(540)에 고전압이 인가된다.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인출된 상태가 되면, 대전부 전원단자(148a)와 대전부 전원수용단자(518)가 분리되고 대전부 접지단자(149a)와 대전부 접지수용단자(519)가 분리되어, 대전부(510)에 전압인가가 차단된다.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인출된 상태가 되면, 집진부 전원단자(148b)와 집진부 전원수용단자(548)가 분리되고 집진부 접지단자(149b) 집진부 접지수용단자(549)가 분리되어, 집진부(540)에 전압인가가 차단된다.
전기집진장치(500)는 대향 전극판(523)과 접지(582a)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지선(583a)을 포함한다. 전기집진장치(500)는 와이어 방전극(521)과 고전압 발생기(581a)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고전압선(584a)를 포함한다.
대전부 전원단자(148a) 및 대전부 전원수용단자(518)는 고전압선(584a) 상에 배치된다. 대전부 전원단자(148a) 및 대전부 전원수용단자(518)는 고전압선(584a)을 전기적으로 개폐시키는 스위치 기능을 한다. 대전부 접지단자(149a) 및 대전부 접지수용단자(519)는 접지선(583a) 상에 배치된다. 대전부 접지단자(149a) 및 대전부 접지수용단자(519)는 접지선(583a)을 전기적으로 개폐시키는 스위치 기능을 한다.
전기집진장치(500)는 저전위 전극(542)과 접지(582b)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지선(583b)을 포함한다. 전기집진장치(500)는 고전위 전극(541)과 고전압 발생기(581b)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고전압선(584b)을 포함한다.
집진부 전원단자(148b) 및 집진부 전원수용단자(548)는 고전압선(584b) 상에 배치된다. 집진부 전원단자(148b) 및 집진부 전원수용단자(548)는 고전압선(584b)을 전기적으로 개폐시키는 스위치 기능을 한다. 집진부 접지단자(149b) 및 집진부 접지수용단자(549)는 접지선(583b) 상에 배치된다. 집진부 접지단자(149b) 및 집진부 접지수용단자(549)는 접지선(583b)을 전기적으로 개폐시키는 스위치 기능을 한다.
도 11 내지 13을 참고하여, 대전부 전원단자(148a) 및 집진부 전원단자(148b)는, 필터어셈블리(10)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에 대해 수직인 면상에 배치된다. 대전부 접지단자(149a) 및 집진부 접지단자(149b)는, 필터어셈블리(10)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에 대해 수직인 면상에 배치된다.
대전부 전원수용단자(518) 및 집진부 전원수용단자(548)는, 필터어셈블리(10)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에 대해 수직인 면상에 배치된다. 대전부 접지수용단자(519) 및 집진부 접지수용단자(549)는, 필터어셈블리(10)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에 대해 수직인 면상에 배치된다.
대전부 전원단자(148a) 및 집진부 전원단자(148b)는, 드로어(400)가 인입 및 인출되는 방향의 수직 방향에 대해 위치 차이가 있도록 배치된다. 대전부 접지단자(149a) 및 집진부 접지단자(149b)는, 드로어(400)가 인입 및 인출되는 방향의 수직 방향에 대해 위치 차이가 있도록 배치된다.
전기집진장치(500)가 인입 및 인출되는 방향은 전후 방향일 수 있다. 이 경우, 대전부 전원단자(148a) 및 집진부 전원단자(148b)는 필터하우징(140)의 동일 내측면 상에서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된다. 대전부 접지단자(149a) 및 집진부 접지단자(149b)는 필터하우징(140)의 동일 내측면 상에서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된다. 대전부 전원수용단자(518) 및 집진부 전원수용단자(548)는 전기집진장치(500)의 동일 측면상에서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된다. 대전부 접지수용단자(519) 및 집진부 접지수용단자(549)는 전기집진장치(500)의 동일 측면상에서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된다.
드로어(400)의 인출 및 인입에 따른 대전부 전원수용단자(518)의 전후방향 이동 경로 및 집진부 전원수용단자(548)의 전후방향 이동 경로 상에서, 대전부 전원수용단자(518)는 대전부 전원단자(148a)만 접촉하고 집진부 전원수용단자(548)는 집진부 전원단자(148b)만 접촉하도록, 대전부 전원단자(148a) 및 집진부 전원단자(148b)는 높이 차이가 나게 배치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500)가 인입 및 인출하는 과정에서 서로 대응되지 않는 단자까리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마찰에 의한 마모 현상을 줄이고, 원하지 않는 전원의 인가를 막을 수 있다. 특히, 전기집진장치(500)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단자끼리 접촉하여 전원이 인가되면, 사용자에게 감전의 위험이 있을 수 있는데, 이를 막을 수 있다.
도 24 내지 27을 참고하여, 필터하우징(140)는, 전기집진장치(500)의 동작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차단 스위치(145)를 포함한다. 차단 스위치(145)는 필터하우징(140)에 배치될 수 있다. 차단 스위치(145)는 고전압 발생기(581)에 전원의 공급가능 여부를 스위칭한다. 차단 스위치(145)는, 눌려진 경우 고전압 발생기(581)의 전원이 인가 가능해지도록 구비된다. 차단 스위치(145)는 전기집진장치(500)의 다른 전원이 필요한 부품(예를 들어 센서, 디스플레이, 모터 등)에 전원의 공급가능 여부를 스위칭할 수 있다.
차단 스위치(145)는, 전기집진장치(500) 및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에 자리잡은 상태에만 공기청정장치(100)가 동작 가능하게 한다. 차단 스위치(145)는, 전기집진장치(500) 및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으로부터 분리된 경우 공기청정장치(100)의 작동을 불가능하게 한다. 차단 스위치(145)는, 전기집진장치(500) 및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에 완전히 결합되지 않은 상태(자리잡지 않은 상태)에서, 공기청정장치(100)의 작동을 불가능하게 한다.
차단 스위치(145)는 전원 공급선(585) 상에 배치된다. 차단 스위치(145)는 고전압 발생기(581a, 581b)에 전원의 인가가능 여부를 스위칭한다. 차단 스위치(145)는, 눌린 경우 전원 공급선(585)이 연결되도록 하고 눌리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선(585)이 차단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차단 스위치(145)는 필터하우징(140)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차단 스위치(145)는 필터하우징(140)의 내측면 중 케이스(501, 502)가 바디(130)에 삽입되는 방향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차단 스위치(145)는 필터하우징(140)의 내측면 중 후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차단 스위치(145)는 케이스(501, 502)가 바디(13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눌릴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필터어셈블리(10)는, 차단 스위치(145)를 누르도록 형성된 차단 돌기(144)를 포함한다. 차단 돌기(144)는,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에 삽입되는 방향의 측면에 배치된다. 차단 돌기(144)는, 전기집진장치(500)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차단 돌기(144)는, 필터어셈블리(1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차단 스위치(145)를 누르도록 구비된다. 차단 돌기(144)가 차단 스위치(145)를 누르면 차단 스위치(145)가 개방하고 있던 전원 공급선(585)이 단락되어, 고전압 발생기(581)에 전원의 인가가 가능해진다. 이를 통해, 필터어셈블리(10)가 필터하우징(14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원단자(148a,148b) 및 접지단자(149a, 149b)에 접촉할 때 감전을 방지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500)는 차단 돌기(144)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 돌기(144)는,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차단 스위치(145)를 누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차단 스위치(145)는 복수개가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필터하우징(140)은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 1차단 스위치(145a) 및 제 2차단 스위치(14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차단 스위치(145a) 및 제 2차단 스위치(145b)는 모두 눌릴 경우 전원이 인가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제 1차단 스위치(145a) 및 제 2차단 스위치(145b)는 전기집진장치(500)에 전원의 인가가능 여부를 스위칭한다.
차단 돌기(144)는, 제 1차단 스위치(145a)를 누르도록 필터어셈블리(10)에서 돌출된 제 1차단 돌기(144a)와, 제 2차단 스위치(145b)를 누르도록 필터어셈블리(10)에서 돌출된 제 2차단 돌기(144b)를 포함한다.
전기집진장치(500)는,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제 1차단 스위치(145a)를 누르도록 돌출된 제 1차단 돌기(144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차단 돌기(144a)는 전기집진장치(500)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메쉬필터(300)는, 메쉬필터(3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제 2차단 스위치(145b)를 누르도록 돌출된 제 2차단 돌기(14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차단 돌기(144b)는 메쉬필터(300)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도 24 내지 27을 참고하여, 전기집진장치(500)는, 고전위 전극(541)과 저전위 전극(542)이 서로 단락되게 온(ON)하거나 서로 단락되지 않게 오프(OFF)하는 단락 스위치(6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고전위 전극(541)은 병렬로 연결되고, 고전위 전극(541)의 병렬 연결지점에서 단락 스위치(600)의 일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락선(600a)이 구비된다. 또한, 복수의 저전위 전극(542)은 병렬로 연결되고, 저전위 전극(542)의 병렬 연결지점에서 단락 스위치(600)의 다른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락선(600b)이 구비된다. 단락 스위치(600)는 단락선(600a, 600b) 상에 배치된다.
단락 스위치(600)는, 전기집진장치(500)를 안착시킨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오프되고, 전기집진장치(500)를 안착시킨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온되도록 구비된다.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고전위 전극(541) 및 저전위 전극(542)이 서로 단락되어 집진부(540)에 대전된 전하가 제거되는 상태가 된다. 단락 스위치(600)는, 눌림이 해제된 경우 고전위 전극(541) 및 저전위 전극(542)이 단락된다.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는, 고전위 전극(541) 및 저전위 전극(542)의 단락이 해제되어 집진부(540)에 전하가 대전되어 전기장이 발생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필터하우징(140)은,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단락 스위치(600)를 누르는 단락 돌기(141)를 포함한다. 단락 돌기(141)는 드로어(400)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단락 돌기(141)는 필터하우징(140)의 내측면 중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에 삽입되는 방향과 마주보는 측면에 배치된다. 단락 돌기(141)는 필터하우징(140)의 내측면 중 후측면에 배치된다.
단락 스위치(600)는, 상기 단락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노출되어 케이스(501, 502)가 바디(13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눌려지는 가압부(626)를 포함한다. 상기 단락 스위치(600)는, 상기 가압부(626)의 가압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가압부(626)의 눌림시 탄성압축되고, 상기 가압부(626)가 눌림 해제시 복원된다.
단락 스위치(60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500)는 복수 개의 단락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단락 스위치(600)는 단락선(600a, 600b) 상에서 서로 병렬로 연결된다. 복수 개의 단락 스위치(600-1, 600-2) 중 적어도 하나만 단락되어도, 고전위 전극(541)과 저전위 전극(542)은 서로 단락된다. 이를 통해, 복수 개의 단락 스위치(600) 중 어느 하나가 이물질 끼임이나 고장 등으로 정상적인 단락 동작을 하지 않더라도, 적어도 다른 어느 하나가 정상적인 단락 동작을 하면 고전위 전극(541)과 저전위 전극(542)이 서로 단락되어, 사용자의 안전성을 보다 강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기집진장치(500)는 2개의 단락 스위치(600-1, 600-2)를 포함한다. 2개의 단락 스위치(600-1, 600-2)는 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500)는 제 1단락 스위치(600-1) 및 제 2단락 스위치(60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단락 스위치(600-1)는 케이스(501, 502)의 외측면에 배치된 제 1가압부(652-1)을 포함한다. 제 2단락 스위치(600-2)는 케이스(501, 502)의 외측면에 배치된 제 2가압부(652-2)을 포함한다. 제 1가압부(652-1)와 제 2가압부(652-2)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필터하우징(140)은, 상기 복수의 가압부(652-1, 652-2)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단락 돌기(141a, 141b)를 포함한다. 복수의 단락 돌기(141a, 141b)는, 제 1단락 스위치(600-1)를 누르도록 구비된 제 1단락 돌기(141a)와, 제 2단락 스위치(600-2)를 누르도록 구비된 제 2단락 돌기(141b)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500)를 안착시킨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복수의 단락 돌기는 각각 상기 복수의 가압부(652-1, 652-2)를 누르게 된다.
도 28 및 29를 참고하여, 전기집진장치(500)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X축 방향은 후술할 집진부의 복수의 전극(540a)이 교대로 배열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Y축 방향은 복수의 전극(540a)의 길이방향을 의미하며, Z축 방향은 복수의 전극(540a)의 폭방향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은 서로 수직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Z축 방향이 상하방향이고, Y축 방향이 전후방향이며, X축 방향이 좌우방향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28 및 29를 참고하여, 전기집진장치(500)의 케이스(501,502)는 외관을 형성한다. 케이스(501,502)는 케이스(501,502)를 사용자가 들어올릴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503)를 포함한다. 손잡이(503)는 케이스(501,502)의 양측면에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503)는 케이스(501,502)의 표면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501,502)는 대전부(510) 측으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유입구(506)을 형성한다. 케이스(501,502)는 집진부(540) 측으로부터 공기를 유출시키는 유출구(507)을 형성한다. 유출구(507)에는 후술할 베이스 간격유지부(561)가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501,502)는, 유입구(506) 및 유출구(507) 외에도 세정시 케이스(501,502)의 내부로 유입된 물이 케이스(501,502)로부터 쉽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배수홀(508)을 형성한다. 배수홀(508)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배수홀(508)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배수홀(508)은, 케이스(501,502)의 외측면 중 유입구(506)이 형성된 측면에서 유입구(506)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배수홀(508)은, 케이스(501,502)의 외측면 중 대향 전극판(523)의 길이방향(Y)의 양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배수홀(508)은, 케이스(501,502)의 외측면 중 전극(540a)의 길이방향(Y)의 양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0 및 31을 참고하여, 대전부(510)는 고전압이 인가되는 와이어 방전극(521)과, 와이어 방전극(521)과 이격되는 대향 전극판(523)을 포함한다.
와이어 방전극(521)에 전압이 인가될 경우, 와이어 방전극(521)과 대향 전극판(523) 사이에 코로나 방전이 발생된다. 방전되어 공기 중 분자를 이온화할 수 있고, OH-, O- 등의 음이온 또는 H+ 등의 양이온이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발생한 이온은 공기 중의 먼지입자를 대전시킨다. 음이온은 먼지입자에 전자를 제공하여 먼지입자를 음극으로 대전시킬 수 있다. 양이온은 먼지입자로부터 전자를 빼앗아 먼지입자를 양극으로 대전시킬 수 있다.
대향 전극판(523)은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대향 전극판(523)은 와이어 방전극(52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대향 전극판(523)의 양단은 전극판 연결부(524)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전극판 연결부(524)는 수평면상에 배치되고, 복수의 대향 전극판(523)은 전극판 연결부(524)와 수직한 면상에 배치된다.
전극판 연결부(524) 및 복수의 대향 전극판(523)은 판형 금속의 중앙을 절개하여 90도로 절곡함으로써 일체형으로 만들 수 있다.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판형 금속의 양단부는 전극판 연결부(524)가 되도록 남겨둔 상태로, 상기 판형 금속의 가운데 부분에서 대향 전극판(523)의 일측 긴 변에 해당하는 길이로 절개한다. 대향 전극판(523)의 양단 짧은 변에 해당하는 길이로 상기 일측 긴변 길이만큼 절개된 부분의 양단에서 각각 90도 꺾어 절개한다. 이렇게 ㄷ자로 절개(일측 긴변 길이만큼 절개된 부분과 그 양단에서 각각 90도로 꺾어 절개)된 상기 판형 금속 부분을 90도로 절곡하면, 절곡된 부분이 대향 전극판(523)이 된다.
와이어 방전극(521)은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 방전극(521)은 복수개가 서로 나란하게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와이어 방전극(521) 사이에 대향 전극판(523)이 와이어 방전극(521)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와이어 방전극(521)은 서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와이어 부재가 복수의 와이어 방전극(521)을 연속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와이어 방전극(521)은, 하나의 와이어 부재가 일측의 와이어 지지부(522a)로부터 타측의 와이어 지지부(522b)까지 연장되어 하나의 와이어 방전극(521)을 구성한다. 상기 타측의 와이어 지지부(522b)에서 꺾인 상기 와이어 부재는 상기 타측의 와이어 지지부(522b)와 같은측에 인접한 와이어 지지부(522b)까지 연장되어 와이어 직렬연결부(미도시)를 구성한다. 같은측의 상기 인접한 와이어 지지부(522b)에서 꺾인 상기 와이어 부재는 상기 일측의 와이어 지지부(522a)와 같은 측의 인접한 와이어 지지부(522a)까지 연장되어 다른 하나의 와이어 방전극(521)을 구성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양측에 각각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와이어 지지부(522a)를 지지점으로 하여, 서로 교대로 연결되는 와이어 방전극(521) 및 상기 와이어 직렬연결부가 구비된다.
와이어 지지부(522)는 공기 흐름 방향의 연장된 수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재의 측면에서 상기 와이어 부재가 지지되어 꺾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와이어 방전극(551)과 복수의 대향 전극판(523)이 공기 흐름방향(A)과 수직 방향(X)으로 교대로 이격 배치된다. 복수의 와이어 방전극(551)과 복수의 대향 전극판(523)은 상기 유입구(506)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상기 전극판 연결부(524)는 복수의 대향 전극판(523)의 양단에 각각 1개씩 복수의 대향 전극판(523)에 수직한 방향(X)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상기 와이어 직렬연결부는 복수의 와이어 방전극(521)의 양단에 복수의 와이어 방전극(521)에 수직한 방향(X)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복수의 와이어 방전극(521)은 복수의 대향 전극판(523) 사이의 공간 중 상류측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 직렬연결부는 복수의 와이어 방전극(521)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직렬연결부와 전극판 연결부(524)가 서로 더 이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전극판 연결부(524)는 복수의 대향 전극판(523)의 하류측단의 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와이어 직렬연결부에도 고전압이 인가되고 전극판 연결부(524)도 복수의 대향 전극판(5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금속재질이기 때문에, 상기 와이어 직렬연결부와 전극판 연결부(524) 사이에 스파크 발생 확률을 줄이기 위해서이다.
와이어 방전극(521) 및 대향 전극판(523)은 대전케이스(501)에 고정된다. 와이어 방전극(521)은 하나의 와이어 부재의 양단이 각각 와이어 방전극(521)의 양단측에서 대전케이스(501)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고정 연결된 지점을 통해서 고전압이 상기 와이어 부재에 인가된다.
대전부(510)는, 복수의 대향 전극판(523)을 지지하고 대전케이스(501)에 고정된 스파크 방지부(525)를 포함한다. 스파크 방지부(525)는 전극판 연결부(524)를 고정시킨다.
스파크 방지부(525)는 복수의 대향 전극판(523)의 양단부에 각각 하나씩 배치된다. 스파크 방지부(525)는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된 전극판 연결부(524)와 상기 와이어 직렬연결부 사이를 가로막으며 배치되는 차폐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차폐부재는 판형의 플레이트 부재일 수 있다. 상기 차폐부재는 절연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와이어 직렬연결부와 전극판 연결부(524) 사이의 스파크 발생 확률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스파크 방지부(525)에는 전극판 연결부(524)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다. 상기 전극판 연결부(524)가 삽입되는 홈의 함몰 방향은 복수의 대향 전극판(523)의 길이 방향이다. 상기 전극판 연결부(524)가 삽입되는 홈을 형성하는 부재는 전극판 연결부(524)의 상측면과 하측면을 감싼다. 전극판 연결부(524)의 하측면을 감싸는 부재는 상기 차폐부재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도 32를 참고하여, 집진부(540)는 대전된 먼지입자를 집진하는 전극(540a)을 포함한다. 전극(540a)은 복수로 배열된다. 집진부(540)는 대전된 먼지입자를 집진하는 복수의 전극(540a)을 포함한다.
집진부(540)는, 전극(540a)을 케이스(501, 502)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540b)를 포함한다. 케이스(501, 502)는 전극(540a)을 수용한다. 케이스(501, 502)는 복수의 전극을 수용한다. 고정부(540b)는 상기 복수의 전극(540a)을 집진케이스(502)의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전극(540a)은 서로 면을 마주보고 틈(S)을 형성하도록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극(540a)은, 각각 전극 길이방향(Y)이 전극 폭방향(Z)보다 긴 띠형상이고, 서로 면을 마주보고 틈(S)을 형성하며 일렬로 배치되어 배열군을 이룬다. 복수의 전극(540a)은 전극 폭방향(Z)의 상기 일측이 상기 유출구(507)를 바라보도록 배치된다.
전극(540a)은, 상대적으로 고전위가 인가되는 복수의 고전위 전극(541)과, 상대적으로 저전위가 인가되는 복수의 저전위 전극(542)를 포함한다. 복수의 고전위 전극(541) 및 복수의 저전위 전극(542)은 서로 교대로 배치된다. 복수의 고전위 전극(541)과 복수의 저전위 전극(542)은 서로 면을 마주보고 틈(S)을 형성하도록 교대로 배열된다.
고정부(540b)는 상기 배열군의 상기 폭방향 양측 중 적어도 한 측에 배치되어 상기 틈(S)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부(560)를 포함한다.
간격유지부(560)는 케이스(501,502) 내부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간격유지부(561,566)는 집진케이스(502)에만 고정된다. 간격유지부(560)는 복수의 전극(540a)을 지지하는 역할까지 할 수 있다.
간격유지부(560)는, 상기 배열군의 상기 폭방향(Z) 양측 중 집진케이스(502)의 내측면과 먼 측에 배치된 루프 간격유지부(56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561,566)는, 폭방향(Z)의 일측에 배치된 베이스 간격유지부(561)와, 상기 전극의 폭방향(Z)의 타측에 배치된 루프 간격유지부(56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540b)는, 집진케이스(502) 내의 소정의 공간에 복수의 전극(540a)의 일부분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소정의 공간에 채워지는 몰딩부(578, 579)를 포함한다. 몰딩부(578, 579)는, 소정의 페이스트를 경화시켜 복수의 전극(540a)을 고정시킨다. 몰딩부(578, 579)는, 소정의 페이스트에 복수의 전극(540a)의 일부분이 잠긴 상태로 상기 소정의 페이스트를 경화시켜 형성된다.
복수의 전극(540a)은, 폭방향(Z)이 상하 방향이되도록 배치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복수의 전극(540a)은 길이방향(Y)이 일치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전극 폭방향(Z) 및 전극 길이방향(Y)에 수직한 방향(X)으로 복수의 전극(540a)이 틈(S)을 형성하며 배치된다.
복수의 전극(540a)의 길이방향(Y) 양단부 중 적어도 일단부는, 각각 폭방향(Z)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전극(540a)의 길이방향(Y) 양단부 중 적어도 일단부에서, 폭방향(Z)의 일단부가 길이방향(Y)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된다. 복수의 전극(540a)의 배열군이 집진케이스(502)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배열군의 길이방향(Y)의 일단부는 배열방향(X)으로 연장된 공간(54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극(540a)의 양단부에는 각각 폭방향(Z)의 일단부가 개구된 공간(545)이 형성된다. 전극(540a)의 양단부는 상기 공간(545)의 형성에 따라 단차진 형상이 될 수 있다.
복수의 전극(540a)의 배열군의 상기 공간(545)에는 케이스(501, 502) 내부의 다른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단락 스위치(600)는 상기 공간(545)을 점유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페이스트(paste)는 전기적 전도성을 가진 전도체 페이스트일 수 있다. 상기 소정의 페이스트(paste)는 전기적 절연성을 가진 절연체 페이스트일 수 있다. 상기 소정의 페이스트(paste)는, 서로 구분되어 배치되는 상기 전도체 페이스 및 상기 절연체 페이스트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몰딩부(578, 579)는 전기 전도성을 가진 전극연결부(578)일 수 있다. 몰딩부(578, 579)는 전기 절연성을 가진 커버부(579)일 수 있다. 몰딩부(578, 579)는, 서로 구분되어 배치되는 전극연결부(578) 및 커버부(579)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전극연결부(578) 및 커버부(579)는 서로 층을 이루면서 배치될 수 있다. 전기 절연성의 상기 커버부(579)는 전극연결부(578)를 덮어줄 수 있다.
몰딩부(578, 579)는 상기 소정의 페이스트를 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전극연결부(578)는 상기 전도체 페이스트를 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579)는 상기 절연체 페이스트를 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몰딩부(578, 579)는 전극(540a)의 고정 기능을 한다. 전극연결부(578)는 전극(540a)의 고정 기능 뿐만 아니라 전극(540a)의 도전층에 전원을 인가시켜주는 전기적 선로의 기능을 한다. 전극연결부(578)는 전압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극(540a)에 전압을 인가시킨다. 커버부(579)는 전극(540a)의 고정 기능 뿐만 아니라 전도체를 덮어주어 방수 및 절연 기능을 한다.
도 32 내지 39를 참고하여, 전기집진진장치는 복수 개의 단락 스위치(600-1, 600-2)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 내지 13을 참고하여, 단락 돌기(141)는 복수 개로 구비된다. 필터하우징(140)은 복수의 단락 돌기(141a, 141b)를 포함한다. 단락 돌기(141)는, 제 1가압부(626-1)를 누르도록 구비된 제 1단락 돌기(141a)와, 제 2가압부(626-2)를 누르도록 구비된 제 2단락 돌기(141b)를 포함한다. 제 1단락 돌기(141a) 및 제 2단락 돌기(141b)는 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 32를 참고하여, 단락 스위치(600)는 전기집진장치(500)의 후측면에 형성된 제 1가압부(652-1) 및 제 2가압부(652-2)을 포함한다. 제 1가압부(626-1) 및 제 2가압부(626-2)는 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500)에는, 복수 개의 단락 돌기(141a, 141b)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노출되어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눌려지는 복수의 가압부(626-1, 626-2)가 배치된다. 복수의 가압부(626-1, 626-2)는, 회로에서 서로 병렬로 연결되어 어느 하나라도 눌림이 해제되면 고전위 전극(541) 및 저전위 전극(542)이 전기적으로 단락되도록 구비된다.
도 33 내지 39를 참고하여, 단락 스위치(600)는 상기 제 1가압부(626-1) 및 제 2가압부(626-2)를 포함한다. 단락 스위치(600)는, 고전위 전극(541) 및 저전위 전극(542)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도전체(610)과, 고전위 전극(541) 및 저전위 전극(542) 중 다른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1도전체(610)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도전체(620)를 포함한다.
단락 스위치(600)는, 복수의 가압부(626-1, 626-2)에 각각 결합되어 이동하는 복수의 브릿지 도전체(640)를 포함한다. 복수의 브릿지 도전체(640)는, 가압부(626-1, 626-2)의 누름 해제시 제 1도전체(610)와 상기 제 2도전체(620)를 동시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복수의 브릿지 도전체(640)는, 제 1가압부(626-1)에 결합되어 이동하는 제 1브릿지 도전체(640-1)와, 제 2가압부(626-2)에 결합되어 이동하는 제 2브릿지 도전체(640-2)를 포함한다. 제 1브릿지 도전체(640-1)는, 제 1가압부(626-1)의 누름 해제시 제 1도전체(610)와 상기 제 2도전체(620)를 동시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 2브릿지 도전체(640-2)는, 제 2가압부(626-2)의 누름 해제시 제 1도전체(610)와 상기 제 2도전체(620)를 동시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 1브릿지 도전체(640-1)는,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파트(part) 도전체(640a, 64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브릿지 도전체(640-1)는, 서로 이격된 제 1파트 도전체(640a)와 제 2파트 도전체(64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브릿지 도전체(640-2)는,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파트 도전체(640a, 64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브릿지 도전체(640-1)는, 서로 이격된 제 1파트 도전체(640a)와 제 2파트 도전체(640b)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압부(626-1, 626-2) 중 어느 하나의 가압부(626-1 or 626-2)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파트 도전체(640a, 640b)와 결합될 수 있다. 제 1가압부(626-1)를 이동시키면, 제 1가압부(626-1)에 결합된 1파트 도전체(640a) 및 제 2파트 도전체(640b)가 같이 이동한다. 제 2가압부(626-2)를 이동시키면, 제 2가압부(626-2)에 결합된 1파트 도전체(640a) 및 제 2파트 도전체(640b)가 같이 이동한다.
가압부(626-1, 626-2)가 누름 해제되면, 제 1파트 도전체(640a) 및 제 2파트 도전체(640b)는 각각 제 1도전체(610) 및 제 2도전체(6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예를들어, 제 1파트 도전체(640a)에서 접촉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제 2파트 도전체(640b)가 제 1도전체(610)와 제 2도전체(6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단락 스위치(600)는, 상기 제 1도전체(610), 제 2도전체(620), 가압부(626)를 지지하는 단락 스위치 고정바디(650)를 포함한다. 단락 스위치 고정바디(650)는, 단락 스위치(600)를 케이스(501, 502)에 고정시키는 고정부(652)를 포함한다.
단락 스위치 고정바디(650)는, 단락 스위치 고정바디(650)의 내부에 유입된 물이 유출될 수 있는 배수홀 (650a, 650c)을 형성한다. 단락 스위치 고정바디(650)는, 단락 스위치 고정바디(650)를 물이 통과하여 흐를 수 있는 배수홀(650a, 650c)을 포함한다.
배수홀(650c)은, 단락 스위치 고정바디(650)의 상하방향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500)를 드로어(40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물이 배수홀(650c)를 빠져나가기 용히해진다.
배수홀(650a)은, 단락 스위치 고정바디(650)의 전극 길이방향(Y) 측면에 형성되될 수 있다. 전극 길이방향(Y)이 전후방향인 경우, 배수홀(650a)은 단락 스위치 고정바디(650)의 후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배수홀(650a)을 통해 후측으로 유출되는 물은 복수의 전극(540a) 사이의 틈(S)으로 유입되어, 상기 틈(S) 사이로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서 쉽게 증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세정이 용이한 전기집진장치(500)를 구현할 수 있다.
단락 스위치(600)는, 가압부(626)의 가압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탄성체(630-1, 630-2)를 포함한다. 탄성체(630-1, 630-2)는, 가압부(626)의 눌림시 탄성압축되고, 가압부(626)가 눌림 해제시 복원된다. 탄성체(630-1, 630-2)는, 제 1가압부(626-1)의 가압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 1탄성체(630-1)와, 제 2가압부(626-2)의 가압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 2탄성체(630-2)를 포함한다. 복수의 탄성체(630-1, 630-2)의 일단은 각각 복수의 가압부(626-1, 626-2)의 가압면의 반대측면에 안착된다. 복수의 탄성체(630-1, 630-2)의 타단은 각각 단락 스위치 고정바디(650)에 안착된다. 탄성체(630-1, 630-2)는 스프링일 수 있다.
가압부(626)는 후방을 바라보는 가압면(미도시)을 포함한다. 가압부(626)는 상기 가압면의 둘레에서 전방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측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가압부(626)는 전체적으로 전방측 밑면이 개방된 원통형의 부재일 수 있다. 가압부(626)의 내부에 탄성체(630-1, 630-2)의 일단이 안착된다. 가압부(626)는 절연체로 이루어진다.
가압부(626)는 브릿지 도전체(640)를 가압부(626)에 고정시키는 브릿지 도전체 고정부(626a)를 포함한다. 브릿지 도전체 고정부(626a)는 가압부(626)의 상기 측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브릿지 도전체 고정부(626a)는, 가압부(626)의 이동방향 양측으로 브릿지 도전체(640)를 구속해준다. 브릿지 도전체 고정부(626a)는, 브릿지 도전체(640)의 후측면을 지지하는 부분과, 브릿지 도전체(640)의 전방면을 지지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브릿지 도전체 고정부(626a)가 형성한 홈에 브릿지 도전체(640)가 삽입되어, 브릿지 도전체(640)가 가압부(626)에 고정될 수 있다.
하나의 가압부(626-1 or 626-2)는, 복수의 브릿지 도전체 고정부(626a)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파트 도전체(640a, 640b)는 각각 하나의 가압부(626-1 or 626-2)에 형성된 복수의 브릿지 도전체 고정부(626a)에 고정된다.
브릿지 도전체(640)는, 막대형의 부재의 양단부가 후방으로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브릿지 도전체(640)의 제 1도전체(610)에 접촉하는 부분이 후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브릿지 도전체(640)의 제 2도전체(620)에 접촉하는 부분이 후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제 1도전체(610)와 제 2도전체(62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도전체(610)는, 복수의 가압부(626-1, 626-2)가 배열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제 1도전부(611)을 포함한다. 제 2도전체(620)는, 복수의 가압부(626-1, 626-2)가 배열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제 2도전부(621)을 포함한다. 제 1도전부(611)와 제 2도전부(621)는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도전부(611)와 제 2도전부(621)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도전부(611)와 제 2도전부(621)는 복수의 가압부(626-1, 626-2)를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제 1도전체(610)는, 브릿지 도전체(640)와 접촉되는 제 1접촉부(612, 613)를 포함한다. 제 1접촉부(612, 613)는 전후방향으로 두께를 형성하며 배치된다. 제 1접촉부(612, 613)는 제 1도전부(611)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 1접촉부(612, 613)는, 제 1파트 도전체(640a)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1-1 접촉부(612)와, 제 2파트 도전체(640b)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1-2 접촉부(613)를 포함한다.
제 2도전체(620)는, 브릿지 도전체(640)와 접촉되는 제 2접촉부(622, 623)를 포함한다. 제 2접촉부(622, 623)는 전후방향으로 두께를 형성하며 배치된다. 제 2접촉부(622, 623)는 제 2도전부(621)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 2접촉부(622, 623)는, 제 1파트 도전체(640a)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2-1 접촉부(622)와, 제 2파트 도전체(640b)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2-2 접촉부(623)를 포함한다.
브릿지 도전체(640)는 제 1접촉부(612, 613) 및 제 2접촉부(622, 623)의 전방에 배치된다. 도 38을 참고하여, 가압부(626)가 눌림 해제되면, 브릿지 도전체(640)는 제 1접촉부(612, 613) 및 제 2접촉부(622, 623)와 접촉하여 단락된다. 도 39를 참고하여, 가압부(626)가 눌리면, 브릿지 도전체(640)는 제 1접촉부(612, 613) 및 제 2접촉부(622, 623)와 이격되어 단락이 해제된다.
제 1파트 도전체(640a)는 1-1 접촉부(612) 및 2-1 접촉부(622)의 전방에 배치된다. 제 2파트 도전체(640b)는 1-2 접촉부(613) 및 2-2 접촉부(623)의 전방에 배치된다. 도 38을 참고하여, 가압부(626)가 눌림 해제되면, 제 1파트 도전체(640a)는 1-1 접촉부(612) 및 2-1 접촉부(622)와 접촉하여 단락되고, 제 2파트 도전체(640b)는 1-2 접촉부(613) 및 2-2 접촉부(623)와 접촉하여 단락된다. 도 39를 참고하여, 가압부(626)가 눌리면, 제 1파트 도전체(640a)는 1-1 접촉부(612) 및 2-1 접촉부(622)와 이격되여 단락이 해제되고, 제 2파트 도전체(640b)는 1-2 접촉부(613) 및 2-2 접촉부(623)와 이격하여 단락이 해제된다.
상기 단락 스위치 고정바디(650)는, 상기 가압부(626) 및 브릿지 도전체(64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미도시)를 포함한다.
도 40 내지 49을 참고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락 스위치(600')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5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500)와 공통되는 사항은 동일 도면 부호로 도시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0 및 41을 참고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락 스위치(600')는 단일의 스위치로서 1개의 가압부(626')만이 전기집진장치(500')의 후측면 상에 배치된다. 전기집진장치(500)에는, 단락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노출되어, 상기 드로어가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눌려지는 가압부가 배치된다. 전기집진장치(500')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단일의 차단 돌기(144')가 배치된다.
도 42를 참고하여,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의 후측면에는 단일의 차단 스위치(145')가 배치된다.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의 후측면에는 단일의 단락 돌기(141')가 배치된다. 단락 돌기(141')는 단락 스위치(600')의 가압부(626')를 누르도록 구비된다.
도 43 내지 49를 참고하여, 단락 스위치(600')는, 상기 고전위 전극(541) 및 상기 저전위 전극(542)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도전체(610') 및 다른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도전체(620')를 포함한다. 상기 단락 스위치(600')는, 상기 제 1도전체(610') 및 제 2도전체(620')를 지지하는 단락 스위치 고정바디(650')를 포함한다.
상기 단락 스위치(600')는, 단락 돌기(141')와 대응되는 위치에 노출되어 상기 전기집진장치(5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에 삽입시 눌려지는 가압부(626')를 포함한다. 가압부(626')는 제 1도전체(610')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제 1도전체(610')는 가압부(6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락 스위치(600')는, 상기 가압부(626')의 가압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탄성체(630')를 포함한다. 탄성체(630')는, 상기 가압부(626')의 눌림시 탄성압축되고, 상기 가압부(626')가 눌림 해제시 복원된다. 가압부(626')는 후방을 바라보는 가압면을 형성하는 판형의 부재일 수 있다.
상기 제 1도전체(610')는 상기 고전위 전극(541) 및 상기 저전위 전극(542)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연결단자(612')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도전체(620')는 상기 고전위 전극(541) 및 상기 저전위 전극(542) 중 다른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연결단자(62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도전체(610')는 상기 제 2도전체(620')와 접촉되는 제 1접촉부(614')를 포함한다. 제 1접촉부(614')는 가압부(626')의 눌림 해제시 후술할 제 2접촉부(624')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2도전체(620')는 상기 제 1도전체(610')와 접촉되는 제 2접촉부(624')를 포함한다. 제 2접촉부(624')는 가압부(626')의 눌림 해제시 상기 제 1접촉부(614')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2접촉부(624')는 상기 가압부(626')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626')의 가압면과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며 배치된다. 상기 제 1접촉부(614')는 상기 가압면이 바라보는 면을 마주보며 배치된다.
상기 제 1도전체(610')는, 복수번 절곡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제 1도전체 절곡부(616')를 포함한다. 도 34를 참고하여, 제 1도전체(610')는, 연장방향을 따라 +90도로 한번 절곡되고 -90도로 두 번 절곡되어 구비되어 첫번째 제 1도전체 절곡부(616a')가 구비되고, 연장방향을 따라 +90도로 두번 절곡되어 두번째 제 1도전체 절곡부(616b')가 구비되며, 연장방향을 따라 -90도로 두번 절곡되어 세번째 제 1도전체 절곡부(616c')가 구비되고, 연장방향을 따라 +90도로 절곡되어 네번째 제 1도전체 절곡부(616d')를 구비한다.
상기 단락 스위치 고정바디(650')는, 상기 제 1도전체 절곡부(616')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는 제 1도전체 걸림부(654')를 포함한다. 제 1도전체 걸림부(654')는, 상기 제 1도전체 절곡부에 끼워져 상기 제 1도전체를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첫번째 제 1도전체 절곡부(616a')에 끼워지는 첫번째 제 1도전체 걸림부(654a')가 구비되고, 두번째 제 1도전체 절곡부(616b')에 끼워지는 두번째 제 1도전체 걸림부(654b')가 구비되며, 세번째 제 1도전체 절곡부(616c')에 끼워지는 세번째 제 1도전체 걸림부(654c')가 구비되고, 네번째 제 1도전체 절곡부(616d')에 끼워지는 네번째 제 1도전체 걸림부(654d')가 구비된다.
상기 단락 스위치 고정바디(650')는, 상기 가압부(626')의 가압시 상기 가압부(626')의 이동을 안내하는 도전체 가이드(627')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체 가이드(627')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도전체 가이드(627')는 가압부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같은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전체 가이드(627')는, 상기 가압부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틈(65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락 스위치 고정바디(650')는, 상기 틈이 형성되는 가이드면(655')을 포함한다. 탄성체(630')에 의한 가압부의 복원 운동시 가압부(626')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가이드면(655')의 일측단은 가압부가 배치된 방향으로 절곡되어 가압부(626')의 후방 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655a')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체(630')는 스프링일 수 있다. 단락 스위치 고정바디(650')는, 상기 탄성체(630')의 단락 스위치 고정바디(650')에 접촉하는 면에서 가압부(626') 방향으로 돌출되어, 탄성체(630')를 고정시키는 탄성체 안착부(658')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부(626)의 가압면의 반대면은 상기 탄성체(630')와 접촉된다. 가압부(626')에는 상기 반대면에서 돌출되어 탄성체(630')를 안착시키는 탄성체 안착돌기(626b')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체 안착돌기(626b')의 상기 가압면 방향은 함몰되어 단락 돌기(141')의 말단이 가압부(626')를 누를시 안착될 수 있다.
단락 스위치 고정바디(650')는, 단락 스위치(600')를 케이스(501, 502)에 고정시키는 고정부(652')를 포함한다.
상기 제 2도전체(620')는, 상기 가압부(626')에서 절곡되는 가이드 절곡부(627')를 포함한다. 가이드 절곡부(627')는 상기 틈(656')으로 삽입되는 가이드 삽입부(627a')를 구비한다. 가이드 절곡부(627')는 가압부의 일측 및 반대측에서 각각 90도로 절곡되고, 가이드 절곡부(627')의 단면은 상기 틈의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절곡부(627')는, 상기 틈(656')이 형성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틈에 삽입되는 가이드 삽입부(627a')를 포함한다. 가이드 절곡부(627')는 상기 틈(656')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된다.
상기 제 2도전체(620')는, 상기 가이드 삽입부(627a')가 상기 틈(656')을 관통한 지점에서 절곡되어 상기 틈(656')에 걸리는 걸림 절곡부(628')를 포함한다. 걸림 절곡부(628')는 상기 틈(656')의 연장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절곡된다. 걸림 절곡부(628')에 의해서 제 2도전체(620')가 상기 틈(656')으로부터 하측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구속된다. 상기 걸림 절곡부(62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연장되어 제 2연결단자(622')를 형성시킨다.
상기 제 2도전체(620')는, 상기 가압부(626')에서 절곡되어 상기 가이드면(655')에 접촉하여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보조 절곡부(626b')를 포함한다. 가이드보조 절곡부(626b')는 상기 가압부(626')의 상측에서 절곡되어 상기 가이드면(655')과 평행한 면을 이룬다. 상기 가이드 절곡부(627')에 의해서 제 2도전체(620')가 상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 2도전체(620')는, 상기 가이드보조 절곡부(626b)의 반대측에서 절곡된 가이드보조 대응 절곡부(626c')를 포함한다.
도 50 내지 53을 참고하여, 필터하우징(140)은 베이스(112)의 상측에 배치된다. 필터하우징(140)과 베이스(112)는 브리지(114)에 의해 이격된다. 브리지 프레임(115)의 상측면에 필터하우징(140)이 배치된다. 흡입유로(101), 흡입구(111) 및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은 서로 연결된다.
필터하우징(140)은 수직으로 연장되어 내부를 구획하는 격벽(140a, 140b)을 포함한다. 격벽(140a, 140b)은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필터하우징(140)은, 격벽(140a, 140b)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수평 리브(140d)를 포함한다. 필터하우징(140)은, 격벽(140a, 140b)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리브(140e)를 포함한다.
수평 리브(140d)와 수직 리브(140e)는 서로 격자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평 리브(140d)는 필터설치개구부(133)의 상단의 연장선 상에 배치된다. 격벽(140a, 140b)은, 수평 리브(140d)의 하측에 배치된 하측 격벽(140a)와, 수평 리브(140d)의 상측에 배치된 상측 격벽(140b)를 포함한다. 상측 격벽(140b)은 상측으로 갈수록 둘레가 커지게 형성된다. 상측 격벽(140b)은 외측으로 경사면을 형성한다. 상측 격벽(140b)은 상측에서 바라볼 때, 수평 리브(140d)와 겹쳐지게 배치된다.
바디 케이스(131)와 필터하우징(140)의 사이의 공간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수평 리브(140d)와 브리지 프레임(115) 사이에 각종 부품 들을 배치할 수 있는 하측 공간(미도시)이 형성된다. 수평 리브(140d)와 상측 격벽(140b)의 경사면 사이에 각종 부품들을 배치할 수 있는 상측 공간(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하측 공간은, 필터설치개구부(133)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우측에 형성되는 우하측 공간과, 좌측에 형성되는 좌하측 공간과, 후측에 형성되는 후하측 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상측 공간은, 필터설치개구부(133)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전방에 형성되는 전방 공간과, 우측에 형성되는 우상측 공간과, 좌측에 형성되는 좌상측 공간과, 후측에 형성되는 후상측 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우측 공간은, 상기 우상측 공간 및 우하측 공간으로 구성된 공간을 의미한다. 좌측 공간은, 좌상측 공간 및 좌하측 공간으로 구성된 공간을 의미한다. 후측 공간은, 후하측 공간 및 후상측 공간으로 구성된 공간을 의미한다. 내부 공간은, 필터하우징(140)이 구획한 내부 공간을 의미한다.
상기 전방 공간에, 상기 복수의 센서(135, 136, 137)가 배치된다.
상기 후측 공간(구체적으로, 후하측 공간)에는, 공기청정장치(100) 내의 각종 전원이 필요한 부품들(송풍모터, 워터링모터, LED 등)에 전류를 분배하는 전원분배모듈(701)이 배치된다.
바디 케이스(131)와 필터하우징(140)의 사이의 공간 에서, 상기 우측 공간 및 좌측 공간 중 어느 하나에 고전압 발생기(581)이 배치된다. 고전압 발생기(581)는, 바디 케이스(131)와 필터하우징(140) 사이의 공간에서 양측 공간 중 전원단자(148a, 148b)가 배치된 방향의 공간에 배치된다.
전원단자(148a, 148b)는, 필터하우징(140)의 상기 내부 공간의 좌우 방향 측면 중 상기 고전압 발생기(581)이 배치된 방향의 측면에 배치된다. 대전부 전원단자(148a) 및 집진부 전원단자(148b)는, 필터하우징(140)의 상기 내부 공간의 좌우 방향 측면 중 상기 고전압 발생기(581)가 배치된 방향의 측면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고전압선(584a,584b)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고, 고전압선(584a,584b)이 발생하는 전자기장의 영향이 강하게 미치는 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접지단자(149a, 149b)는, 필터하우징(140)의 상기 내부 공간의 좌우 방향 측면 중 상기 고전압 발생기(581)이 배치된 방향의 반대 측면에 배치된다. 대전부 접지단자(149a) 및 집진부 접지단자(149b)는, 필터하우징(140)의 상기 내부 공간의 좌우 방향 측면 중 상기 고전압 발생기(581)가 배치된 방향의 반대 측면에 배치된다. 접지선(583a, 583b)는 상기 후측공간을 경유하여, 상기 좌측 공간과 우측 공간 사이를 연결한다.
한편, 공기청정장치(100)는 micom이 구비되어 각종 부품들을 제어하는 제어모듈(703)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모듈(703)은, 상기 좌측 공간 및 우측 공간 중 상기 고전압 발생기(581)가 배치된 방향의 반대측 공간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제어모듈(703)이 받는 전자기장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공기청정장치(100)는 외부의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705)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705)는, 상기 양측 공간(좌측 공간 및 우측 공간) 중 상기 고전압 발생기(581)가 배치된 방향의 반대측 공간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통신모듈(705)이 받는 전자기장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통신모듈(705)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및/또는 직비(Zigbee) 등 다양한 통신규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모듈(703) 및 통신모듈(705)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시로, 상기 우하측 공간에 고전압 발생기(581)가 배치되고, 상기 좌하측 공간에 제어모듈(703)이 배치되고, 상기 좌상측 공간에 통신모듈(705)이 배치된다.
한편, 공기청정장치(100)는, 필터하우징(140)에 구비되어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장치(707)를 포함할 수 있다. 이온발생장치(707)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필터어셈블리(3010)의 하류측 유로상에서 이온을 발생시킨다. 이온발생장치(707)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가습장치(200)의 상류측 유로상에서 이온을 발생시킨다.
이온발생장치(707)는 고전압이 인가되어 방전하여, 공기 중의 분자를 이온화하여 이온을 발생시킨다. 이온발생장치(707)에서 발생된 이온은 가습매체(50)에 함유된 수분과 가습매체(50) 자체를 살균한다. 이온발생장치(707)는 고전압이 발생되는 장치이므로, 주변에 강한 전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이온발생장치(707)는, 상기 양측 공간(좌측 공간 및 우측 공간) 중 상기 고전압 발생기(581)가 배치된 방향의 공간에 배치된다. 이온발생장치(707)는, 상기 좌측 공간 및 우측 공간 중 제어모듈(703)이 배치된 방향의 반대측 공간에 배치된다. 이온발생장치(707)는, 상기 좌측 공간 및 우측 공간 중 통신모듈(705)이 배치된 방향의 반대측 공간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고전압이 발생하는 부품들(581, 701)을 한측으로 집중 배치하고, 제어모듈(703) 및 통신모듈(705)를 반대측에 배치시켜 전자기장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단 스위치(145)는 상기 후측 공간에 배치된다. 제 1차단 스위치(145a) 및 제 2차단 스위치(145b)는 상기 후측 공간에 배치된다.
100 : 공기청정장치 200 : 가습장치
130 : 바디 131 : 바디 케이스
140 : 필터하우징 141 : 단락 돌기
144 : 차단 돌기 145 : 차단 스위치
148a : 대전부 전원단자 149a : 대전부 접지단자
148b : 집진부 전원단자 149b : 집진부 접지단자
10 : 필터어셈블리
300 : 메쉬필터 400 : 드로어
410 : 프레임 413 : 필터커버
500 : 전기집진장치 350 : 광촉매필터
510 : 대전부 540 : 집진부
581, 581a, 581b : 고전압 발생기 582, 582a, 582b : 접지
583, 583a, 583b : 접지선 584, 584a, 584b : 고전압선
518 : 대전부 전원수용단자 519 : 대전부 접지수용단자
548 : 집진부 전원수용단자 549 : 집진부 접지수용단자
600 : 단락 스위치

Claims (20)

  1. 외형을 형성하고 일측에 필터설치개구부가 형성된 바디 케이스;
    상기 바디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원단자가 배치된 필터하우징;
    상기 필터설치개구부를 통해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인출이 가능한 드로어;
    상기 드로어에 분리가능하게 안착되고 전원수용단자가 배치된 전기집진장치; 및
    고전압을 발생시키고 상기 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고전압 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단자는, 상기 드로어가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상기 전원수용단자와 접촉되고,
    상기 필터하우징은, 눌려진 경우 상기 고전압 발생기의 전원이 인가 가능해지도록 구비된 차단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집진장치는, 상기 드로어가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상기 차단 스위치를 누르도록 상기 전기집진장치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차단 돌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어는,
    상기 드로어가 인출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드로어의 외측면 사이의 유격을 줄이는 유격방지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방지부는,
    상기 드로어가 인출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돌출되어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드로어의 양측면 사이의 유격을 줄이는 사이드 유격방지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단자는, 상기 필터하우징의 양측의 내측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공기청정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방지부는,
    상기 드로어가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측면에 접촉하고 상기 드로어가 상기 필터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중에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측면과의 접촉이 해제되도록 구비되는 공기청정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방지부는,
    상기 드로어가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부분 중, 전방측에 배치되는 공기청정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하우징은, 상기 필터하우징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드로어의 인출 및 인입을 가이드해주는 한 쌍의 드로어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드로어는,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드로어 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는 한 쌍의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드로어 가이드 및 상기 슬라이더 중 어느 하나는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드로어 가이드 및 상기 슬라이더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롤러가 접촉하는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는,
    상기 드로어가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인입되기 시작할 때 상기 롤러에 접촉되는 시작 지점부터 상기 드로어가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기 이전에 상기 롤러에 접촉되는 중간 지점까지, 평탄면을 형성하는 제 1구간부; 및
    상기 드로어가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상기 롤러에 접촉되는 지점에 배치되고, 상기 드로어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올려주도록 상기 제 1구간부와 다른 높이를 가진 제 2구간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단자는,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측면 중 상기 드로어가 인입 및 인출되는 방향과 수직 방향의 측면에 배치되는 공기청정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장치는 접지수용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하우징은,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측면 중 상기 전원단자가 배치된 측면의 반대 측면에 배치된 접지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단자는 상기 드로어가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상기 접지수용단자와 접촉되는 공기청정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어는 전후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되고,
    상기 전원단자는, 상기 필터하우징의 양측의 내측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공기청정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발생기는 상기 바디 케이스와 상기 필터하우징 사이의 공간에서 양측 공간 중 상기 전원단자가 배치된 방향의 공간에 배치되는 공기청정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외부의 장치와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양측 공간 중 상기 고전압 발생기가 배치된 방향의 반대측 공간에 배치되는 공기청정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장치를 통과하는 공기 중에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온발생장치는, 상기 양측 공간 중 상기 고전압 발생기가 배치된 방향의 공간에 배치되는 공기청정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장치는, 공기 중의 먼지입자를 대전시키는 대전부와, 대전된 먼지 입자를 집진시키는 집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단자는,
    상기 대전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대전부 전원단자; 및
    상기 집진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집진부 전원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수용단자는,
    상기 대전부 전원단자와 접촉되는 대전부 전원수용단자; 및
    상기 집진부 전원단자와 접촉되는 집진부 전원수용단자를 포함하는 공기청정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어의 인출 및 인입에 따른 상기 대전부 전원수용단자의 전후방향 이동 경로 및 상기 집진부 전원수용단자의 전후방향 이동 경로 상에서 상기 대전부 전원수용단자는 상기 대전부 전원단자만 접촉하고 상기 집진부 전원수용단자는 상기 집진부 전원단자만 접촉하도록, 상기 대전부 전원단자 및 상기 집진부 전원단자는 높이 차이가 나게 배치되는 공기청정장치.
  16. 삭제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장치의 유입구가 형성된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드로어와 독립적으로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인출되는 메쉬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단 스위치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모두 눌릴 경우 상기 전원이 인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 1차단 스위치 및 제 2차단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돌기는, 상기 드로어가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상기 제 1차단 스위치를 누르도록 상기 전기집진장치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 1차단 돌기와, 상기 메쉬필터가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상기 제 2차단 스위치를 누르도록 상기 메쉬필터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 2차단 돌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장치.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장치는,
    대전된 먼지입자를 집진하도록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고전위 전극 및 저전위 전극을 포함하는 집진부; 및
    눌림이 해제된 경우 상기 고전위 전극 및 상기 저전위 전극이 단락되는 단락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하우징은,
    상기 드로어가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상기 드로어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단락 스위치를 누르는 단락 돌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장치에는, 상기 단락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노출되어, 상기 드로어가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눌려지는 가압부가 배치되고,
    상기 단락 스위치는, 상기 고전위 전극 및 상기 저전위 전극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도전체 및 제 2도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도전체는 상기 제 2도전체와 접촉되는 제 1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도전체는 상기 제 1접촉부와 접촉되는 제 2접촉부를 포함하고,
    제 2접촉부는 상기 가압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의 가압면과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며 배치되고,
    상기 1접촉부는 상기 가압면이 바라보는 면을 마주보며 배치되는 공기청정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 돌기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전기집진장치에는, 상기 복수 개의 단락 돌기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노출되어 상기 드로어가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눌려지고, 회로에서 서로 병렬로 연결되어 어느 하나라도 눌림이 해제되면 상기 고전위 전극 및 상기 저전위 전극이 전기적으로 단락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가압부가 배치되고,
    상기 단락 스위치는,
    상기 고전위 전극 및 상기 저전위 전극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도전체;
    상기 고전위 전극 및 상기 저전위 전극 중 다른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도전체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도전체; 및
    상기 복수의 가압부에 각각 결합되어 이동하고, 상기 가압부의 누름 해제시 상기 제 1도전체와 상기 제 2도전체를 동시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브릿지 도전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장치.
KR1020160113456A 2015-10-30 2016-09-02 공기청정장치 KR101919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338,067 US10357734B2 (en) 2015-10-30 2016-10-28 Air freshener
EP16196436.6A EP3165842B1 (en) 2015-10-30 2016-10-28 Air freshener
CN201610996856.8A CN106902985B (zh) 2015-10-30 2016-10-31 空气净化装置
US15/339,568 US10267528B2 (en) 2015-10-30 2016-10-31 Air condition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48463P 2015-10-30 2015-10-30
US62/248,463 2015-10-30
US201562252017P 2015-11-06 2015-11-06
US62/252,017 2015-11-06
KR1020150156254 2015-11-07
KR20150156254 2015-11-07
KR1020150185846 2015-12-24
KR20150185846 2015-12-24
KR1020160037235 2016-03-28
KR1020160037246A KR20170051143A (ko) 2015-10-30 2016-03-28 공기청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60037235A KR20170051142A (ko) 2015-10-30 2016-03-28 가습청정장치
KR1020160037246 2016-03-28
US201662355118P 2016-06-27 2016-06-27
US62/355,118 2016-06-27
KR1020160083227 2016-07-01
KR1020160083227A KR20170051182A (ko) 2015-10-30 2016-07-01 공기청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201A KR20170051201A (ko) 2017-05-11
KR101919823B1 true KR101919823B1 (ko) 2018-11-19

Family

ID=5874158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456A KR101919823B1 (ko) 2015-10-30 2016-09-02 공기청정장치
KR1020160113455A KR102017146B1 (ko) 2015-10-30 2016-09-02 공기청정장치
KR1020160121745A KR101942525B1 (ko) 2015-10-30 2016-09-22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455A KR102017146B1 (ko) 2015-10-30 2016-09-02 공기청정장치
KR1020160121745A KR101942525B1 (ko) 2015-10-30 2016-09-22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19198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673B1 (ko) 2019-04-01 2019-10-08 주식회사 지이테크 실외 공기 여과형 공기청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835B1 (ko) * 2017-11-23 2019-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527659B1 (ko) 2017-11-27 2023-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2047762B1 (ko) * 2018-02-05 2019-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집진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집진 장치
KR102531715B1 (ko) * 2018-02-19 2023-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 공기청정기
KR102084412B1 (ko) * 2018-09-19 2020-04-23 김효수 청소가 용이한 전기 집진기
KR102151236B1 (ko) * 2018-10-18 2020-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 공기청정기
KR102386686B1 (ko) * 2018-10-18 2022-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 공기청정기
WO2022197409A1 (en) * 2021-03-19 2022-09-22 Bissell Inc. Air purifier
EP4348124A1 (de) * 2021-05-27 2024-04-10 Petra Sprenger Desinfektionseinheit
KR20230100873A (ko) 2021-12-29 2023-07-0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집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KR20230132308A (ko) * 2022-03-08 2023-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WO2024076000A1 (ko) * 2022-10-06 2024-04-11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085Y1 (ko) * 2003-09-25 2003-12-3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음이온 및 산소 발생 모듈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KR200343345Y1 (ko) * 2003-12-16 2004-03-02 고려알파라인(주) 다단으로 적층된 서랍식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317B1 (ko) * 2002-12-23 2005-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0496920B1 (ko) * 2003-02-21 2005-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0702219B1 (ko) * 2005-09-22 2007-04-03 이관식 필터오염 감지기능을 갖는 제어반용 냉각장치
KR20080055013A (ko) * 2006-12-14 2008-06-19 엘지마이크론 주식회사 이방성 도전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474493B1 (ko) 2010-01-29 2014-12-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KR101858940B1 (ko) * 2011-06-10 2018-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KR101270356B1 (ko) * 2011-08-16 2013-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기
JP2015145737A (ja) * 2014-01-31 2015-08-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加湿機能付き空気清浄機
KR101530186B1 (ko) * 2014-05-28 2015-06-22 대부휠터(주) 차량용 에어클리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085Y1 (ko) * 2003-09-25 2003-12-3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음이온 및 산소 발생 모듈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KR200343345Y1 (ko) * 2003-12-16 2004-03-02 고려알파라인(주) 다단으로 적층된 서랍식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673B1 (ko) 2019-04-01 2019-10-08 주식회사 지이테크 실외 공기 여과형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200A (ko) 2017-05-11
KR102017146B1 (ko) 2019-09-02
KR20170051201A (ko) 2017-05-11
KR20170051208A (ko) 2017-05-11
KR101942525B1 (ko) 2019-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9823B1 (ko) 공기청정장치
EP3163203B1 (en) Air freshener
KR101912633B1 (ko)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CN107036197B (zh) 空气净化装置
EP3165842B1 (en) Air freshener
KR20190101349A (ko) 공기청정장치
US20230285888A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5702507A (en) Automatic air cleaner
JP2018533716A (ja) 空気清浄装置
US10464074B2 (en) Electric dust collector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EP3162445A1 (en) Electric dust coll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ir conditioner comprisingthe electric dust collector
EP3093563B1 (en) Air conditioner
KR20170051182A (ko) 공기청정장치
KR101852372B1 (ko) 전기집진장치,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JP3973859B2 (ja) 電気集塵ユニット
KR102529763B1 (ko) 공기청정장치
KR101342101B1 (ko) 전기 집진기
JP7200604B2 (ja) 電気集塵機の集塵部
EP3690333A1 (en) Air conditioner
KR101886860B1 (ko) 전기 집진장치
CN216308086U (zh) 一种净化风机及净化器
KR102327810B1 (ko) 세척이 용이한 모듈형 이온식 집진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KR101556973B1 (ko) 정화유닛 어셈블리
CN114729757B (zh) 空气调节器
JP4983486B2 (ja) 集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