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2219B1 - 필터오염 감지기능을 갖는 제어반용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필터오염 감지기능을 갖는 제어반용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2219B1
KR100702219B1 KR1020050088006A KR20050088006A KR100702219B1 KR 100702219 B1 KR100702219 B1 KR 100702219B1 KR 1020050088006 A KR1020050088006 A KR 1020050088006A KR 20050088006 A KR20050088006 A KR 20050088006A KR 100702219 B1 KR100702219 B1 KR 100702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ontrol panel
cooling device
air
cond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8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3626A (ko
Inventor
이관식
Original Assignee
이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식 filed Critical 이관식
Priority to KR1020050088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2219B1/ko
Publication of KR20070033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3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9Monitoring filter perform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24F11/526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giving audible ind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5Grilles, registers or guards including an air fil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기기들이 원활하게 운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반용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반용 냉각장치의 내부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외기유입구의 전면에 필터조립체를 설치하여 이물질을 제거시키며, 압력측정기와 온도센서 및 감지센서에 연결되어 전달받은 입력신호를 각각의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어반용 냉각장치의 전반적인 상태를 진단할 수 있음은 물론 필터의 오염 정도를 감지하여 적절한 교체시기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여 팬 및 응축기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오염 감지기능을 갖는 제어반용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구비하는 제어반용 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와 증발기가 분리된 공간에 설치, 수용되도록 하며, 외기유입구와 외기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외기유입구의 전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내부에 밀착, 수용하며, 상기 하우징의 벽면에 결합되는 필터케이스와, 상기 필터케이스의 전면을 덮도록 끼워지는 필터커버로 구성되는 필터조립체;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또는 외부 벽면에 설치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필터오염, 감지기능, 제어반용, 냉각장치, 제어장치

Description

필터오염 감지기능을 갖는 제어반용 냉각장치{Cooling Apparatus having a Sensing Function of filter Pollution for a Controll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반용 냉각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반용 냉각장치의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세부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에 연결되는 압력스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에 연결되는 표시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어반용 냉각장치 2 : 제어반
3 : 압축기 4 : 응축기
5 : 팽창밸브 6 : 증발기
10 : 하우징 11 : 격벽
12 : 내기유입구 13 : 내기유출구
14 : 외기유입구 15 : 외기유출구
20 : 냉매파이프 30a, 30b : 흡입 팬
40 : 필터조립체 41 : 필터
42 : 필터케이스 43 : 필터커버
60 : 제어장치 61 : 압력측정기
62 : 온도센서 63 : 감지센서
64 : 경음부 65 : 표시부
66a : 제 1 호수 66b : 제 2 호수
67 : 압력스위치 68 : 입력부
69 : 출력부
본 발명은 제어반용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유입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조립체와, 상기 제어반용 냉각장치의 전반적인 상태 및 오염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어장치가 구비된 필터오염 감지기능을 갖는 제어반용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공작기계, 로봇 및 자동공정시스템 등의 각종 기기들이 기술의 고도화에 따라 전기 및 전자회로 장치로 구성된 제어반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고, 상기 기기들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상기 제어반은 정확한 상황인식을 통해 상기 기기들의 처리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다수의 전기 및 전자부품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품들은 제어반의 내부에서 전기적 회로를 구성하는데, 상기 제어반이 상기 기기들을 감시하고 조정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게 되면 대형사고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상기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노력은 제어반의 설계에 반영되고 있다.
이에, 상기 제어반은 기기 동작의 정밀한 제어를 위해 고성능화, 소형화, 고밀도화된 정밀 전자, 제어소자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제어반의 내부에 발생하는 발열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제어반 내의 발열 현상은 상기 제어반을 이루는 부품들의 전기적 저항에 의해서 야기되는데, 이는 상기 제어반이 높은 성능에 부합하기 위하여 그 기능이 다양해짐에 따라 부품들이 한정된 공간에 고집적화되기 때문에 보다 높은 열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반에 의해 제어되는 기기들은 공장과 같은 산업 현장에 주로 설치되어 사용되므로, 상기 제어반은 상기 공장 내의 기기 작동 및 사람들의 움직임에 의한 분진, 미세먼지 및 수분 등으로부터 내부의 부품들을 보호하고자 상기 부품들이 박스나 케이스 내에 밀폐되어 수용되도록 하나, 이는 상기 제어반의 내부에 높은 열을 발생시키는 부가적 요인이 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제어반 내부의 온도가 고온으로 상승하게 되면, 상기 고온은 제어반 내부의 각 부품과 전자회로에 손상을 주며, 상기 부품들이 밀폐된 공간에 수용됨에 따라 고온 다습 및 고분진의 환경하에 설치되어 기능상실의 우려가 높아진다.
이로 인한 제어반의 오류는 공장 시스템 전체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외부의 공기유입을 차단하며, 상기 제어반의 내부 열과 습기를 제거하여 제어반에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냉각장치를 상기 제어반의 일측에 별도로 부설하여 사용한다.
상기 제어반용 냉각장치는 통상의 냉동사이클로써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를 구비하고 냉매 파이프를 통해 상기 구성요소들로 냉매가 순환토록 하나, 상기 응축기 측으로 외기를 강제 송풍하기 위해 구비된 팬의 전면에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냉각장치가 공장 등의 오염된 공기가 있는 곳에 설치됨에 기인하도록 한다.
상기 필터는 외기가 유입되는 냉각장치의 흡입부분에 미세먼지, 분진, 또는 공기중에 떠다니는 오일가루 등이 상기 냉각장치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냉각장치의 팬 및 응축기(열교환기)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기기들의 효율적인 운전 및 수명을 연장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상기 필터는 기기 주변의 오염상태에 따라 주기적으로 청소 및 교체를 하여야 하나, 청소 및 교체하여야 하는 주기가 주변의 오염도에 따라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관리사의 소홀함으로 인해 필터가 막히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상기 기기의 원활한 운전이 어렵게 된다.
더욱이, 상기 필터가 막힌 상태에서 상기 냉각장치가 계속 운전될 경우에는 냉각장치로 흡입되는 공기량이 적기 때문에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여 압축기 및 응축기 팬의 과부하로 인해 냉각장치가 정지하거나 파손되어 기기들이 정지되는데, 산업현장에서의 기기 멈춤은 비용과 직결되므로, 비용면에 있어서도 많은 손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유입공기로부터 미세먼지, 분진 및 오일가루 등이 제거되도록 하여 상기 이물질에 의한 내부 부품의 오염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제어반용 냉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각장치 내의 주요 부분에 각종 센서 및 압력측정기 등을 두어 제어장치에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제어장치가 입력된 신호를 제어신호를 변환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곳으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제어반용 냉각장치의 전반적인 상태 진단 및 필터의 교체 관리가 가능한 필터오염감지 기능을 갖는 제어반용 냉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구비하는 제어반용 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수용하고, 내기와 외기가 분리되어 순환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이 일체로 내설되어 상기 응축기와 증발기가 분리된 공간에 설치, 수용되도록 하며, 외부공기를 유입하기 위 한 외기유입구와 유입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외기유출구가 외부와 관통되도록 각각 형성된 하우징과;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상기 외기유입구의 전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필터와, 상기 필터가 지지, 고정되도록 상기 필터를 내부에 밀착, 수용하며, 상기 하우징의 벽면에 부착, 결합되는 필터케이스와, 상기 필터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필터케이스의 전면을 덮도록 끼워지는 필터커버로 구성되는 필터조립체; 및 상기 필터 및 하우징의 내부상태를 진단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 또는 외부 벽면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받은 신호를 내장된 프로그램을 통해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로 구성된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더불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반용 냉각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반용 냉각장치의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세부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에 연결되는 압력스위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반용 냉각장치는 크게 하우징(10), 압축기(3), 응축기(4), 팽창밸브(5), 증발기(6), 필터조립체(40) 및 제어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상기 압축기(3), 응축기(4), 팽창밸브(5) 및 증발기(6)가 수용되는데, 상기 주요한 네 부분에 냉매파이프(20)를 각각에 연통되도록 연결하여, 그 내부에 프레온 가스와 같은 냉매가 순환하도록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압축기(3)는 냉매파이프(20)를 순환하는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체로 압축하여 전달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응축기(4)는 압축기(3)로부터 이송된 냉매가 열을 대기공기인 외기로 발산하면서 고압의 액체로 변화시키며, 상기 팽창밸브(5)에서는 응축기(4)를 거친 냉매의 압력을 낮추어 상기 냉매를 저압의 액체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증발기(6)에서는 팽창밸브(5)로부터 이송된 냉매가 상기 제어반(2) 내부공기의 열을 흡수하여 기체로 변화하도록 함으로써, 냉방사이클을 이루며, 상기 증발기(6)에서 증발한 냉매가 상기 압축기(3)로 흡입되어 계속 순환하는 구조를 이룬다.
상기 하우징(10)은 공기의 흐름을 위해 일부분을 제어반(2)과 연통시켜야 하므로, 제어반(2)과 밀착되어야 하며, 상기 제어반(2)의 내부공기와 대기공기인 외기는 완전히 분리되어 순환하는 구조를 가져야하므로, 외기와 열교환하는 응축기(4)와, 내기와 열교환하는 증발기(6)는 상기 내기와 외기가 분리되어 순환될 수 있도록 각각 분리된 공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0)에는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11)이 일체로 내설되며, 상기 응축기(4)가 수용되는 공간의 외벽에는 외부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외기유입구(14)와 유입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외기유출구(15)가 외부와 관통되도록 각각 형성되고, 상기 증발기(6)가 수용되는 공간의 외벽에는 상기 제어반(2)의 내 부공기가 유입, 유출될 수 있도록 내기유입구(12)와, 내기유출구(13)가 상기 제어반(2)의 내부와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덧붙여,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이 좌, 우 공간으로 구획되도록 상기 격벽(11)이 종방향으로 내설되어, 그 좌측 공간에 증발기(6)가, 우측 공간에 응축기(4)가 설치되어 있음을 예시하며, 상기 격벽(11)의 양 벽면에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흡입 팬(30a, 30b)이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설치되는 압축기(3), 응축기(4), 팽창밸브(5), 증발기(6) 및 흡입 팬(30a, 30b)을 수리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가 구비됨은 당연하다.
상기 외기유입구(14)와 외기유출구(15)의 위치는 고온의 공기는 상승하고 저온의 공기는 하강하는 온도에 의한 공기의 흐름을 고려하여, 응축기(4)에서의 열교환을 통해 고온 상태인 공기를 토출하는 외기유출구(15)는 상측에 형성하고, 외기유입구(14)는 상대적으로 하측에 형성하되, 상기 흡입 팬(30a)과 상기 외기유입구(14)가 일직선상에서 마주볼 수 있도록 위치시킨다.
마찬가지로, 상기 내기유입구(12)는 공기의 흐름을 고려하여 상측에 형성하되, 흡입 팬(30b)과 내기유입구(12)가 일직선상에서 마주볼 수 있도록 위치시키며, 상기 내기유출구(13)는 증발기(6)를 통한 저온의 공기가 제어반(2)의 내부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상대적으로 하측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조립체(40)는 내부 부품의 오염 및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필터(41), 필터케이스(42) 및 필터조립체(40)로 구성된다.
상기 필터(41)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외기유입구(14)의 전면을 덮도록 위치된다.
상기 필터케이스(42)는 상기 필터(41)가 상기 외기유입구(14)의 전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41)를 지지,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필터(41)를 내부에 밀착, 수용하여 상기 하우징(10)의 벽면에 결합된다.
상기 필터커버(43)는 상기 필터(41)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필터케이스(42)의 전면을 덮도록 끼워지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어장치(60)는 상기 필터(41) 및 하우징(10)의 내부상태를 진단하기 위해 하우징(10)의 내부 또는 외부 벽멱에 부착, 설치되며, 프로그램이 내장된 마이컴으로 구성되어 입력신호를 원하는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장치(60)는 크게 입력부(68)와 출력부(69)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상기 입력부(68)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된 부품들의 상태를 진단하기 위해 구비된 각종 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센서로부터 입력신호를 전달받는 역할을 하며, 상기 출력부(69)는 상기 입력부(68)로 전달된 입력신호를 프로그램에 의해 각각의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입력부(68)에는 상기 외기유입구(14)의 공기 흡입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측정기(61)와, 응축기(4) 및 증발기(6)의 주변에 설치되어 그 주변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62)와, 상기 제어반용 냉각장치(1)의 도어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63)가 연결된다.
상기 압력측정기(61)는 내장되는 압력센서와 제 1, 2 호수(66a, 66b) 및 압력스위치(67)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 1, 2 호수(66a, 66b)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것으로, 제 1 호수(66a)는 외부공기의 대기압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며, 제 2 호수(66b)는 상기 외기유입구(14)와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흡입 팬(30a)의 입구에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압력스위치(67)는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된 두 흡입압력의 차압을 기준설정 값과 비교하여 전기신호를 상기 제어장치(60)의 입력부(68)로 출력시키는 것으로, 상기 흡입압력의 차압이 기준설정 압력보다 클 경우에 상기 압력스위치(67)가 동작하여 상기 입력부(68)에 전기 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제어장치(60)는 상기 압력측정기(61)와, 온도센서(62) 및 감지센서(63)로부터 출력신호를 인가받아 내장된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제어반용 냉각장치(1)의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부(65)와, 이에 따른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음부(6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표시부(65)는 세그먼트(S)와, LED를 이용하여 상태를 표시한다.
상기 제어장치(60)의 출력부(69)는 상기 격벽(11)의 양면에 구비된 두 흡입 팬(30a, 30b)과, 압축기(3) 및 경음부(64)에 연결되며, 상기 흡입 팬(30a, 30b), 압축기(3) 및 경음부(64)는 프로그램에 의해 변환된 제어신호의 출력에 따라 제어된다.
상기의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에 연결되는 표시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반용 냉각장치(1)에 구비되는 제어장치(60)의 작동상태를 공기의 흐름에 따라 설명하면, 상기 제어반용 냉각장치(1)를 통과하는 공기의 흡입 순서는 외기유입구(14)의 전면에 구비된 필터커버(43)에서 필터(41)로, 상기 필터(41)에서 필터케이스(42)로, 상기 필터케이스(42)에서 흡입 팬(30a)으로, 상기 흡입 팬(30a)에서 최종적으로 열교환기 즉, 응축기(4)로 배출된다.
상기 흡입공기의 압력 측정은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된 압력측정기(61)의 제 2 호수(66b)가 상기 흡입 팬(30a)의 입구 주변에 위치되고, 제 1 호수(66a)가 하우징(10)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수행되며, 상기 필터(41)의 오염상태에 의하여 측정압력이 변화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필터(41)의 오염 정도가 심할 경우, 상기 필터(41)를 통과하는 공기량이 줄어들게 되므로, 이에 따라 상기 흡입 팬(30a) 입구의 압력은 감소하게 되는데, 이는 외부공기의 대기압과 흡입공기의 압력차, 즉 차압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외기와 내기의 압력차는 제어장치(60)의 입력부(68)에 연결된 압력측정기(61)에 의해 측정되며, 상기 압력차가 기준설정 압력보다 클 경우, 압력스위치(67)가 동작하게 함으로써, 상기 입력부(68)에 전기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며, 상기 입력된 전기신호는 필터(41)가 오염되어 막혔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어장치(60)는 상기 압력측정기(61)로부터 전기신호가 입력되면, 도 4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65)를 구성하는 세그먼트(S)에 "FIL"이 표기되도록 내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해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표시부(65)의 일측에 LED를 구비하여, 상기 표시부(65)가 현재 어떤 부품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인지를 표시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제어장치(60)는 필터(41)의 교체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출력부(69)의 경음부(64)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경보음이 발생하도록 한다.
상기 경보신호에 의하여 상기 필터(41)의 청소 및 교체 관리를 하도록 함으로서, 기기의 수명 연장 및 효율적인 업무진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장치(60)의 입력부(68)에는 압력측정기(61)뿐만 아니라, 각종 센서가 연결될 수 있는데, 온도센서(62)를 응축기(4)와 증발기(6) 및 공기가 유입되는 곳의 주변에 위치되도록 하여 온도센서(62)의 측정 값이 입력부(68)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필터(41)의 오염에 의하여 흡입공기량이 줄어들 경우, 상기 응축기(4)에도 공기량이 줄어들며, 이에 따라 상기 응축기(4) 부분의 고압이 상승하고, 증발기(6)의 압력이 상승하여 냉각능력이 줄어들게 되므로, 상기 온도센서(62)를 이용해 흡입공기의 온도와 증발기(6) 및 응축기(4)의 토출온도를 측정하여 각각의 온도편차에 따라 이 신호를 필터(41)의 막힘 경보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장치(60)는 상기 격벽(11)의 양 벽면에 설치된 각 흡입 팬(30a, 30b)에 출력부(69)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온도센서(62)로부터 검출된 온도 편차가 기준 값보다 커지거나, 작아질 경우,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신호를 변 환하여 상기 흡입 팬(30a, 30b)에 출력하여 상기 흡입 팬(30a, 30b)의 속도를 조절하도록 하며, 도 4의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65)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LED를 점등시킨 후, 예를 들어, 세그먼트에 "24" 또는 "120"과 같이 응축기(4) 및 증발기(6) 부근의 온도를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60)는 상기 입력부(68)가 제어반용 냉각장치(1)의 개폐 도어 부근에 구비된 감지센서(63)에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개폐 도어가 내부 부품의 수리나 점검 등에 의해서 오픈될 경우, 감지센서(63)의 출력신호가 상기 입력부(68)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장치(60)는 상기 출력부(69)가 압축기(3) 또는 전원입력단에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감지센서(63)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압축기(3)의 동작이 멈추거나, 상기 전원입력단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동시에,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장치(60)는 상기 감지센서(63)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표시부(65)의 해당 LED를 점등시키고, 세그먼트 상에 "---" 등과 같이 표시될 수 있도록 설정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덧붙여, 상기 표시부(65)의 세크먼트(S) 상에 표시하는 내용은 사용자가 나타내고자 하는 내용으로 프로그램을 통해 설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기유입구의 전면부에 필터를 포함한 필터조립체를 구성하여 유입되는 외부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시킴으로써, 이 물질에 의한 응축기 및 흡입 팬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여 내부 부품의 오염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기기의 정지 및 파손으로 인한 비용의 손실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센서 및 압력측정기와 상호 연계된 제어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제어반용 냉각장치의 전반적인 상태 진단은 물론 필터의 오염 정도를 감지하여 교체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기기가 원활히 운전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압축기(3), 응축기(4), 팽창밸브(5) 및 증발기(6)를 구비하는 제어반용 냉각장치(1)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3), 응축기(4), 팽창밸브(5) 및 증발기(6)를 수용하고, 내기와 외기가 분리되어 순환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11)이 일체로 내설되어 상기 응축기(4)와 증발기(6)가 분리된 공간에 설치, 수용되도록 하며, 상기 격벽(11)의 양면에 상기 제어반용 냉각장치(1) 내의 공기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흡입 팬(30a, 30b)이 각각 구비되고, 외부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외기유입구(14)와 유입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외기유출구(15)가 외부와 관통되도록 각각 형성된 하우징(10)과;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상기 외기유입구(14)의 전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필터(41)와, 상기 필터(41)가 지지, 고정되도록 상기 필터(41)를 내부에 밀착, 수용하며, 상기 하우징(10)의 벽면에 부착, 결합되는 필터케이스(42)와, 상기 필터(41)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필터케이스(42)의 전면을 덮도록 끼워지는 필터커버(43)로 구성되는 필터조립체(40); 및
    상기 필터(41) 및 하우징(10)의 내부상태를 진단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또는 외부 벽면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68)와, 상기 입력받은 신호를 내장된 프로그램을 통해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69)로 구성된 제어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입력부(68)는 공기의 흡입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외기유입구(14)의 주변에 설치되는 압력측정기(61)와, 주변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응축기(4)와 증발기(6)의 주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온도센서(62)와, 상기 제어반용 냉각장치(1)의 개폐 도어 부근에 구비되는 감지센서(63)에 연결되어 각종 입력신호를 전달받으며,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입력신호를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상기 압력측정기(61)는 외부공기와 흡입 팬(30a, 30b) 입구의 유입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 1, 2 호수(66a, 66b)와, 상기 제 1, 2 호수(66a, 66b)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내장된 압력센서에 의해 각각의 흡입압력이 측정되도록 하여, 상기 흡입압력의 차압을 기준설정 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어장치(60)로 전기신호를 출력시키는 압력스위치(67)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장치(60)는 입력부(68)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인가받아 내장된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제어반용 냉각장치(1)의 상태를 판단하여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상기 제어반용 냉각장치(1)의 외부에 설치되어 세그먼트(S)와 LED로 구성되는 표시부(65)와, 이에 따른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음부(64)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오염 감지기능을 갖는 제어반용 냉각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50088006A 2005-09-22 2005-09-22 필터오염 감지기능을 갖는 제어반용 냉각장치 KR100702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006A KR100702219B1 (ko) 2005-09-22 2005-09-22 필터오염 감지기능을 갖는 제어반용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006A KR100702219B1 (ko) 2005-09-22 2005-09-22 필터오염 감지기능을 갖는 제어반용 냉각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7262U Division KR200404655Y1 (ko) 2005-09-22 2005-09-22 필터오염 감지기능을 갖는 제어반용 냉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3626A KR20070033626A (ko) 2007-03-27
KR100702219B1 true KR100702219B1 (ko) 2007-04-03

Family

ID=41624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8006A KR100702219B1 (ko) 2005-09-22 2005-09-22 필터오염 감지기능을 갖는 제어반용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22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40640A (zh) * 2012-08-28 2012-12-26 苏州领锋环境科技有限公司 台式车载空气净化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9823B1 (ko) * 2015-10-30 2018-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장치
EP3163203B1 (en) 2015-10-30 2020-12-02 LG Electronics Inc. Air freshener
KR102091743B1 (ko) * 2017-12-21 2020-03-20 멜콘 주식회사 기체 공급 장치, 기판 처리 시스템 및 필터부의 교체 시기 측정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1236A (ja) * 1992-12-28 1994-07-19 Apisute:Kk 密閉型制御盤用冷却装置
KR200329577Y1 (ko) * 2003-06-10 2003-10-10 (주)나노바이오티스 먼지필터 교환시기 알림기능을 구비한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1236A (ja) * 1992-12-28 1994-07-19 Apisute:Kk 密閉型制御盤用冷却装置
KR200329577Y1 (ko) * 2003-06-10 2003-10-10 (주)나노바이오티스 먼지필터 교환시기 알림기능을 구비한 공기청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40640A (zh) * 2012-08-28 2012-12-26 苏州领锋环境科技有限公司 台式车载空气净化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3626A (ko) 200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7353B2 (en) Building equipment with interactive outdoor display
US5706668A (en) Computer housing with cooling means
CN1560636B (zh) 具有多个传感器与单独控制单元的周围条件检测器
KR100815273B1 (ko) 제습장치를 갖춘 수배전반시스템
CN101512160B (zh) 压缩机数据模块
KR100702219B1 (ko) 필터오염 감지기능을 갖는 제어반용 냉각장치
KR101586123B1 (ko) 자동제어반 및 수배전반 부식방지 시스템
CA2648446A1 (en) Variable capacity air conditioning system
KR101536284B1 (ko) 히트펌프 시스템의 실외기 제상작업용 적상감지센서
CN107110540A (zh) 空调机
KR20150131591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404655Y1 (ko) 필터오염 감지기능을 갖는 제어반용 냉각장치
EP1505356A4 (en) AIR CONDITIONING
KR101160425B1 (ko) 공기 조화기의 필터 막힘 검출 방법
CN112582925A (zh) 一种降温除湿装置
KR100706881B1 (ko) 전열교환기
JP4839399B2 (ja) 空気温調機
KR100348070B1 (ko) 공기조화기
KR20160054779A (ko) 터보 냉동기
KR20060130365A (ko) 오일 수거기능을 갖는 제어반용 냉각장치
JP2003115683A (ja) フィルタ目詰まり監視方法および電子機器
CN215062427U (zh) 一种空调器
JP3546836B2 (ja) 空気調和機
JP2009041459A (ja) ドレン排出異常の検出装置および圧縮空気除湿装置
CN113432258B (zh) 一种空调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