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146B1 - 공기청정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청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7146B1
KR102017146B1 KR1020160113455A KR20160113455A KR102017146B1 KR 102017146 B1 KR102017146 B1 KR 102017146B1 KR 1020160113455 A KR1020160113455 A KR 1020160113455A KR 20160113455 A KR20160113455 A KR 20160113455A KR 102017146 B1 KR102017146 B1 KR 102017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drawer
disposed
filter hous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1200A (ko
Inventor
이경호
김태윤
이건영
이종수
최인호
박형호
이양화
전훈철
최지은
손상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3723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70051142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3724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70051143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8322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70051182A/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16196396.2A priority Critical patent/EP3163203B1/en
Priority to US15/338,292 priority patent/US10668422B2/en
Priority to JP2018522038A priority patent/JP6956714B2/ja
Priority to PCT/KR2016/012331 priority patent/WO2017074145A2/ko
Priority to US15/339,568 priority patent/US10267528B2/en
Priority to CN201610997651.1A priority patent/CN107036197B/zh
Priority to CN202210827536.5A priority patent/CN115200138A/zh
Publication of KR20170051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200A/ko
Publication of KR102017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1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53Liquid, or liquid-film, electro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24F3/1603
    • F24F3/160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24F3/163Clean air work stations, i.e. selected areas within a space which filtered air is pas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6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catalytic rea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장치는, 외형을 형성하고 측면 중 일측에 필터설치개구부가 형성된 바디 케이스와, 상기 바디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필터하우징과
공기가 통과하는 드로어 개구부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필터설치개구부를 덮어주는 필터커버를 포함하는 드로어와, 상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는 상기 드로어 개구부를 통과한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드로어는 상기 필터설치개구부를 통해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인출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공기청정장치 {Air Fresher}
본 발명은, 흡입된 공기를 여과하는 착탈식 필터모듈을 포함하는 공기청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공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냉방장치나 난방장치,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정도를 유지시키는 공기청정장치, 공기 중에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장치,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장치 등이 있다.
공기청정장치는 공기를 흡입하고 토출시키는 팬을 포함한다. 공기청정장치는 흡입된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모듈을 포함한다.
종래의 공기청정장치 중 상기 필터모듈이 상기 공기청정장치에 착탈식으로 구비되는 것이 있다. 착탈식으로 구비된 필터모듈은, 필터모듈의 세정을 위해서 본체로부터 분리하거나, 공기청정장치의 구동을 위해서 본체에 결합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제 1과제는, 공기청정장치의 착탈식 필터모듈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 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제 2과제는, 착탈되는 필터모듈이 복수개인 경우에도 복수의 필터를 한번에 분리하고 한번에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제 3과제는, 상기 필터모듈이 안착되어 지지되고 여과유로를 위한 개구부를 형성하며 필터모듈의 착탈을 위한 드로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필터모듈이 전기집진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작동 중 공기의 유입구 측에 개구부에 사용자의 손 등 신체의 일부가 들어가는 상황이 발생하면 고전압에 감전될 위험이 있다. 제 4과제는 사용중 감전 위험을 차단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인 공기청정장치는, 외형을 형성하고 측면 중 일측에 필터설치개구부가 형성된 바디 케이스, 및 상기 바디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필터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내지 3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해결수단인 공기청정장치는, 공기가 통과하는 드로어 개구부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필터설치개구부를 덮어주는 필터커버를 포함하는 드로어, 및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는 드로어 개구부를 통과한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드로어는 상기 필터설치개구부를 통해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인출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필터커버의 하측부위부터 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필터모듈의 전방부는 상기 필터커버에 대향된다. 상기 필터모듈의 측면부의 적어도 상측부가 상기 프레임보다 높게 위치된다.
상기 공기청정장치는, 상기 드로어가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공기가 상하방향으로 상기 드로어 개구부 및 필터모듈을 통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모듈은 서로 분리가능하도록 적층된 복수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필터하우징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사이에 상기 드로어 개구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커버는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의 전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의 후단부 사이를 연결하며 배치되는 리어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의 전단부 사이를 연결하며 배치되고 상기 필터커버의 후면에 결합된 프론트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리어 프레임 및 프론트 프레임은 상기 필터모듈이 안착되는 안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의 안착면은, 상기 리어 프레임의 안착면 및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안착면 중 적어도 하나와 높이차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필터하우징은, 상기 필터하우징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인출 및 인입을 가이드해주는 한 쌍의 드로어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로어는,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드로어 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는 한 쌍의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장치는, 상기 드로어와 독립적으로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인출되는 메쉬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하우징은,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한 쌍의 드로어 가이드 사이에 상기 드로어 가이드보다 낮게 배치되는 메쉬필터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쉬필터 가이드는, 상기 메쉬필터의 인출 및 인입을 가이드해준다.
상기 필터하우징은,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모듈이 상기 드로어와 함께 인출 및 인입될 때 상기 필터모듈의 상측면의 이동을 가이드해주는 필터모듈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장치.
상기 드로어 가이드 및 상기 슬라이더 중 어느 하나는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드로어 가이드 및 상기 슬라이더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롤러가 접촉하는 레일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드로어의 부드러운 인출 및 인입 동작을 구현하고 드로어가 자리잡은 상태(settlement)에서 상하방향 유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레일부는 제 1구간부 및 제 2구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모듈은 전기집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4과제를 위하여, 상기 필터하우징은, 상기 전기집진장치에 전원의 인가가능 여부를 스위칭하고,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모두 눌릴 경우 상기 전원이 인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 1차단 스위치 및 제 2차단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집진장치는 상기 제 1차단 스위치를 누르도록 상기 전기집진장치에서 돌출된 제 1차단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쉬필터는 상기 제 2차단 스위치를 누르도록 상기 메쉬필터에서 돌출된 제 2차단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커버는, 하측부에 상기 프레임이 결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커버는, 손잡이를 형성하는 전면부와, 필터모듈의 전방면에 접촉하는 후면부와, 상기 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 상측면을 마주보는 상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커버는 걸림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커버는, 상기 필터설치개구부의 높이 보다 소정 간격 높게 형성되고 센서홀을 형성하는 상측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측 연장부의 배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센서홀을 통해 유입된 공기로부터 소정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 케이스는, 상기 드로어가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상기 상측 연장부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모듈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세척하고, 다시 인입하기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필터모듈이 복수의 필터로 구비된 경우, 복수의 필터를 상기 드로어에 모두 올려두고, 드로어를 인입 및 인출하면 복수의 필터를 한번에 인입 및 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드로어의 세부 구조에 의해서, 필터모듈을 안착시킨 드로어를 인입할 때, 인입 동작의 초기에는 충분한 유격을 두어 인입 동작의 편의성을 상승시키면서도, 드로어가 끝까지 인입되어 자리잡은 상태에서는 유격을 최소화하여 전원단자 등의 접촉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집진장치의 필터하우징으로부터의 인출시에 차단 스위치가 전원 회로를 개방하여, 미사용시의 감전 위험성을 현저히 줄이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전기집진장치는 메쉬필터가 상기 유입구측에 배치되고, 메쉬필터에 형성된 제 2차단 스위치를 구현함으로써, 전기집진장치의 사용중 감전 위험성을 현저히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집진장치와 별도로 메쉬필터를 분리하여 세척하기 용이하면서도, 동시에 전기 감전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의 공기를 이용하는 복수의 센서에 별도의 팬을 추가하지 않아도 음압이 걸려 공기의 유입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고, 상기 드로어의 필터커버에 의해서 먼지센서의 청소홀이 개폐되어 별도의 드로어 이외의 별도의 먼지센서 개폐구조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터커버가 전방 및 상측으로부터 사용자의 손을 완전히 이격시켜, 감전의 위험성을 줄이면서도, 전방의 공기에 관한 정보를 감지하기 용이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습장치(200)의 부품을 분리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공기조화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바디(130)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바디(130)의 부품을 분리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바디(130)와 이에 탈착 가능한 필터어셈블리(1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필터어셈블리(10)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필터어셈블리(10)의 저면도이다.
도 9은 도 8의 필터어셈블리(10)를 자른 A1-A1'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필터어셈블리(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6의 바디(130)로부터 필터어셈블리(10)가 분리된 상태에서 바디(130)의 정면도이다.
도 12 및 13은 도 11의 바디(130)를 수직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A2-A2'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28의 A3-A3'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4은 11의 바디(130)의 사시도로서, 필터하우징(140) 내부의 가이드 구조(146, 147)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11의 바디(130)의 사시도로서, 필터하우징(140) 내부의 가이드 구조(142)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는 도 10의 드로어(400)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드로어(400)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8는 도 16의 드로어(400)를 측면에서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드로어(400)를 자른 A4-A4' 단면도이다.
도 20는 도 18의 드로어(400)를 자른 A5-A5'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6의 드로어(400)를 정면에서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22은, 도 14의 필터하우징(140)의 드로어 가이드(147)와 드로어(400)의 슬라이더(414)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14의 드로어 가이드(147)와 슬라이더(414)의 배치상태를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로서, 드로어 개구부의 전단(400a1)이 메쉬필터의 전단(3001)보다 전방에 배치될 때 롤어(147b)가 슬라이더(414)에 접촉하는 지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6의 필터어셈블리(10)가 필터하우징(140) 내부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전기집진장치(500)의 회로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5는 6의 필터어셈블리(10)가 필터하우징(140)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전기집진장치(500)의 회로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6은 도 24 및 25에 도시된 대전부(510)의 회로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4 및 25에 도시된 집진부(540)의 회로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입면도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상/하/전/후/좌/우”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도 1 등에 표시된 바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 표기된 U, D, F, R, Le 및 Ri는 각각 상(Up), 하(Down), 전(Front), 후(Rear), 좌(Left) 및 우(Right)를 지칭한다.
본 발명인 공기청정장치는, 냉난방 또는 가습 등이 가능한 공기조화기 등에서 부분적인 장치로서 이용될 수 있고, 공기청정을 위한 별도의 독립적인 장치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조화기에 장착된 공기청정장치로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이하에서 표현된 '전위'는 전기적 위치에너지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표현된 '전압'은 2지점의 전위의 차이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표현되는 '전기적으로 연결'은, 서로 전기가 흐르도록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 뿐만 아니라 사이에 다른 전도체를 통해서 연결되는 것까지 포괄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 전체에 걸쳐 '제 1, 제 2, …'의 표현은 구성요소의 구분을 위한 것으로서, 구성요소간의 우선순위 또는 중요도 등과는 무관하다.
도 1 내지 5를 참고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청정장치(100) 및 상기 공기청정장치(100) 상측에 거치되는 가습장치(200)을 포함한다. 공기청정장치(100)은 바닥 위에 거치되고, 상기 가습장치(200)은 공기청정장치(100) 위에 거치된다.
상기 공기청정장치(100)은 외부공기를 흡입한 후 여과하고, 여과된 공기를 상기 가습장치(200)에 제공한다. 상기 공기청정장치(100)은 유입된 외부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악취 등을 제거한 여과된 공기를 가습장치(200)로 토출한다. 상기 가습장치(200)은 상기 여과된 공기를 공급받아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을 실시하고, 가습공기를 외부로 토출한다.
가습장치(200)과 공기청정장치(100)은 서로 분리 가능하다. 사용자는 상기 가습장치(200) 및 공기청정장치(100)을 서로 분리한 후 청소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가습장치(200)을 공기청정장치(100)에서 분리한 후 내부에 배치된 수조(3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가습장치(200)가 공기청정장치(100)에 적층된 상태에서 물을 급수할 수도 있다.
상기 공기청정장치(100)는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유로(101)를 형성한다. 상기 공기청정장치(100)는 상기 흡입된 공기에 대해 여과를 실시하는 여과유로(102)를 형성한다.
가습장치(200)가 공기청정장치(100)이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공기청정장치(100)에서 여과된 공기를 가습장치(200)에 공급하기 위해 공기가 통과하는 연결유로(103)를 형성한다. 상기 공기청정장치(100)측에 형성된 연결유로(103)를 클린연결유로(104)라 정의하고, 상기 가습장치(200)측에 형성된 연결유로를 가습연결유로(105)라고 정의한다. 공기청정장치(100)는 클린연결유로(104)를 형성한다. 가습장치(200)는 가습연결유로(105)를 형성한다.
상기 가습장치(200)은 상기 공기청정장치(100)을 통과한 여과된 공기에 대해 가습을 실시하는 가습유로(106)가 형성된다. 상기 여과된 공기는 가습유로(106)를 통과하면서 수분을 공급받아 가습된다. 가습유로(106)의 하류측에는 토출유로(107)가 형성되어 공기청정장치(100) 및 가습장치(200)에 의해 처리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청정장치(100) 및 가습장치(200)의 내부에서 공기의 유동방향이 일부 꺽이는 부분이 있으나, 공기 흐름 방향(A)은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이다. 구체적으로 공기 흐름 방향(A)은 하측에서 상측으로의 방향이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공기청정장치의 작동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1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가습장치(200)를 들어올리기 위한 손잡이(12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장치(100)는 상기 흡입유로(101)를 통해 흡입된 외부공기를 상기 가습장치(200)로 안내하는 바디(130)와, 상기 바디(130)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흡입된 외부공기에 대해 여과를 실시하는 필터어셈블리(10)와, 상기 바디(130) 내부에 배치되고, 유동되는 공기에 대해 압력을 제공하는 송풍유닛(20)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청정장치(100)는 베이스(112)에 설치되고, 바디(130)는 베이스(112)와 이격되어 상기 흡입유로(101)를 형성한다. 바디(130)는 베이스(112)에서 이격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바디(130)의 하측면 전체를 통해 외부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장치(100)는 하측에서 흡입된 외부공기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공기는 여과유로(102)를 따라 하측에서 상측으로 중력방향을 거슬러 유동한다.
외부공기는 상기 흡입유로(101)를 통해 수평평면상 360도 전 방향으로부터 흡입된다. 상기 베이스(112) 및 바디(130)를 이격시키기 위해, 상기 바디(130) 및 베이스(112) 사이에 브리지 프레임(115)이 설치된다. 상기 브리지 프레임(115)은 상기 베이스(112) 및 바디(130)를 결합시키고, 상기 바디(130)를 지지한다.
외부공기는 상기 브리지 프레임(115)을 지나 흡입구(111)로 유동된다. 상기 브리지 프레임(115)에 상하로 브리지(114)가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브리지(114)의 개수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흡입구(111)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촘촘히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디(130)는 공기청정장치(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바디 케이스(131)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130)는 상하방향에 대해 수직한 평면으로 자른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130)에 필터어셈블리(1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바디(130)에서 수평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다. 필터어셈블리(10)는, 바디(130)에대해 전후방향으로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필터어셈블리(10)는 복수 개의 필터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필터는 사용자가 분리가능하도록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복수 개의 필터를 일시에 이동시키는 드로어(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공기청정장치(100)는 외형을 형성하고 일측(전방측)에 필터설치개구부(133)가 형성된 바디 케이스(131)를 포함한다. 공기청정장치(100)는 바디 케이스(131)의 내부에 배치되는 필터하우징(140)을 포함한다.
필터하우징(140)은 필터어셈블리(10)가 탈착 가능하게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필터하우징(140)은 바디(130)에 설치된다. 필터하우징(140)은 바디(130)의 내부에 고정되어 배치된다. 필터하우징(140)은 전기집진장치(500) 등의 필터모듈이 삽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필터모듈은 필터설치개구부(133)를 통해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필터모듈은 필터설치개구부(133)를 통해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인출이 가능하다. 드로어(400)는 필터설치개구부(133)를 통해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될 수 있다. 드로어(400)는 필터설치개구부(133)를 통해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인출이 가능하다. 드로어(400)는 전후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된다.
필터하우징(140)과 필터어셈블리(10)는 결합된 상태에서 여과유로(102)가 형성된다. 여과유로(102)의 상류측은 흡입유로(101)와 연결된다. 여과유로(102)의 하류측은 연결유로(103)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여과유로(102)의 하류측은 클린연결유로(104)와 연결된다.
바디 케이스(131)의 일측(전면)에 필터설치개구부(133)가 형성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필터설치개구부(133)를 통해 상기 필터하우징(140) 내부로 삽입된다.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필터설치개구부(133)를 덮어주는 필터커버(413)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130) 내부에 상기 송풍유닛(20)에서 토출된 공기를 상기 가습장치(200)로 안내하는 송풍하우징(150)이 설치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상기 필터하우징(140)의 상측에 위치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상기 필터하우징(140)에 고정된다.
상기 필터하우징(140) 및 송풍하우징(150) 사이에 송풍유닛(20)이 설치된다. 상기 송풍유닛(20)은 공기를 유동시키는 압력을 제공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공기의 유동과 직교하게 배치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여과유로(102)와 교차되게 설치된다. 상기 여과유로(102)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수평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된다.
상기 흡입유로(10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하우징(140) 내부를 통해 송풍유닛(20)으로 유동한다. 상기 송풍유닛(20)은 필터하우징(140) 상측에 배치되고, 여과유로(102)의 공기를 흡입하여 가습장치(200)로 토출한다.
상기 송풍유닛(20)은 송풍모터(22) 및 송풍팬(24)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송풍모터(22) 및 송풍팬(24)은 모두 송풍하우징(150) 및 필터하우징(14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모터(22)가 상측에 배치되고 송풍팬(24)이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모터(22)는 송풍하우징(150)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하우징(150)에 지지된다. 상기 송풍팬(24)은 송풍모터(22)와 조립되고, 상기 송풍모터(22)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상기 송풍팬(24)은 필터하우징(140) 측에 배치된다.
설치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송풍모터(22)는 송풍하우징(150) 내부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송풍팬(24)은 필터하우징(140) 내부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24)은 중앙으로 여과된 공기를 흡입한 후, 원주방향으로 여과된 공기를 토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송풍모터(22)는 공기와 저항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송풍팬(24)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송풍모터(22)는 공기의 유로를 벗어나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24)에서 토출된 공기는 필터하우징(140) 및 송풍하우징(150)을 따라 상측의 가습장치(200)로 유동된다.
상기 바디(130) 내부의 상기 송풍유닛(20)의 상측에는 수조(30)가 배치된다. 상기 바디(130)는 상측으로 수조(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측에서 내부로 오목한 수조삽입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수조삽입공간의 둘레면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가습유로입구(123)가 형성되고, 상기 가습유로입구(123)는 수조(30)의 내부와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습유로입구(123)의 내측에 수분을 함유하는 가습매체(50)가 배치된다.
상기 수조(30)의 내부에는 상기 수조(30) 내부의 물을 흡입하고, 흡입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하고, 양수된 물을 바깥으로 분사하는 워터링 유닛(40)이 설치된다. 상기 수조(30)의 하부에는 워터링 유닛(40)의 동력원인 워터링모터(42)가 설치된다. 상기 워터링모터(42)는 상기 송풍모터(22)와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상기 송풍모터(22) 및 워터링모터(42)는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가습장치(200)은, 공기청정장치(100)에 분리가능하게 적층되고 투시되는 재질로 형성된 비주얼바디(210)와, 상기 비주얼바디(210)에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탑커버어셈블리(2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 및 비주얼바디(210) 사이에 토출유로(107)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유로(107)는 가습유로(106)의 하류측과 연결된다. 상기 연결유로(103)는 가습유로(106)의 상류측과 연결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에는 외부에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급수유로(109)가 형성된다.
도 6 내지 도 15를 참고하여, 바디(130)는 외둘레면 중 일측면에 필터설치개구부(133)를 형성한다. 필터설치개구부(133)를 통해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이 연결된다. 필터설치개구부(133)를 통해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으로 필터어셈블리(10)가 인입된다.
필터어셈블리(1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 하도록 필터하우징(140)의 내측면의 양측에 가이드(142, 146, 147)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142, 146, 147)는 필터어셈블리(10)를 지지하는 마찰면을 제공하는 상측면(146, 147a)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142, 146, 147)는 필터어셈블리(10)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눌러주는 하측면(142)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142, 146, 147)는 롤러(147b) 또는 베어링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142, 146, 147)는 드로어(40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해주는 드로어 가이드(147)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142, 146, 147)는 메쉬필터(30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해주는 메쉬필터 가이드(146)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142, 146, 147)는 드로어에 안착되는 필터모듈(350, 400)의 상측면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해주는 필터모듈 가이드(1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 및 15 참고)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의 좌우 측면(상기 가이드가 배치된 측면)은 필터어셈블리(10)의 좌우방향의 유동을 막는다.
공기청정장치(100)는, 전기집진장치(5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단자(148)를 포함한다. 공기청정장치(100)는, 전기집진장치(500)에 접지를 제공하는 접지단자(149)를 포함한다. 전원단자(148) 및 접지단자(149)는 필터하우징(140)의 내측면에 배치된다.
전원단자(148)는, 대전부(510)에 전원을 공급하는 대전부 전원단자(148a)와 집진부(5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집진부 전원단자(148b)를 포함할 수 있다. 접지단자(149)는, 대전부(510)에 접지를 제공하는 대전부 접지단자(149a)와 집진부(540)에 접지를 제공하는 집진부 접지단자(149b)를 포함할 수 있다.
드로어(400)는 상기 필터설치개구부(133)를 덮어주는 필터커버(413)를 포함한다. 필터커버(413)는 필터설치개구부(133)의 높이 보다 소정 간격 높게 형성된 상측 연장부(413d)를 포함한다. 상기 상측 연장부는 센서홀(413a)을 형성한다.
공기청정장치(100)는, 바디(130)에 설치된 센서모듈(135, 136, 137)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모듈(135, 136, 137)은 외부의 공기에 노출되는 부분을 적어도 일부 포함한다. 센서모듈(135, 136, 137)은 외부 공기로부터 소정 정보를 감지한다. 센서모듈(135, 136, 137)은 바디(1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모듈(135, 136, 137)은 필터설치개구부(133)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모듈(135, 136, 137)은, 필터어셈블리(10)가 바디(130)와 결합된 상태에서는 필터커버(413)에 의해 시각적으로 가려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센서모듈(135, 136, 137)은 필터커버(413)의 상측 연장부(413d)의 배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모듈(135, 136, 137)은 센서홀(413a)을 통해 유입된 공기로부터 소정 정보를 감지한다. 센서모듈(135, 136, 137)에서 감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송풍유닛(20)을 제어할 수 있다.
센서모듈(135, 136, 137)은 외부 공기의 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먼지센서(135)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모듈(135, 136, 137)은 외부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136)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모듈(135, 136, 137)은 외부 공기의 냄새를 감지하는 냄새센서(137)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설치개구부(133)의 상측 부분은 바디(130)의 외둘레면이 필터커버(413)의 상측 연장부(413d)의 두께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함몰된 함몰부(134)를 형성한다. 바디 케이스(131)는,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상측 연장부(413d)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함몰부(134)를 포함한다. 필터커버(413)는 바디(130)에 결합시 함몰부(134)와 맞물린다. 상측 연장부(413d)는 바디(130)에 결합시 상기 함몰부(134)와 맞물린다.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공간에 ‘자리잡은(settlement) 상태'는,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에 더 이상 인입될 수 없을 정도로 완전히(fully) 인입된 것을 의미한다.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에 인입 중이거나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으로부터 인출 중인 상태는, 상기 '자리잡은 상태'가 아니다.
센서모듈(135, 136, 137)은 복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는 횡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센서는 함몰부(134)의 후측에서 횡으로 배열될 수 있다.
바디 케이스(131)는 상기 복수의 센서의 앞에 각각 홀(135a, 136a, 137a)을 형성한다. 함몰부(134)에는 각각의 센서의 앞에 형성된 각각의 홀이 횡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함몰부(134)에는 습도센서 홀(136a)이 형성된다. 습도센서(136)는 상기 함몰부(134)의 뒤에 배치된다. 습도센서(136)는 상기 습도센서 홀(136a)의 뒤에 배치된다. 습도센서 홀(136a)은 복수 개의 작은 홀이 밀집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134)에는 냄새센서 홀(137a)이 형성된다. 냄새센서(137)는 상기 함몰부(134)의 뒤에 배치된다. 냄새센서(137)는 상기 냄새센서 홀(137a)의 뒤에 배치된다. 냄새센서 홀(137a)은 복수 개의 작은 홀이 밀집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디 케이스(131)는 먼지센서(135)의 내부 청소를 위한 청소홀(135a)를 형성한다. 바디 케이스(131)는 먼지센서(135)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홀(135b)을 포함한다. 바디 케이스(131)는 먼지센서(135)로부터 공기를 유출시키기 위한 유출홀(135c)을 형성한다. 유입홀(135b), 청소홀(135a) 및 유출홀(135c)은 순서대로 하측부터 상측으로 배치된다.
먼지센서(135)는 먼지센서(135)로 유입된 공기에 열을 가하는 가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는 청소홀(135a)를 개폐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에 의해서 공기가 가열되면, 대류에 의해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대류에 의해서, 하측의 유입홀(135b)로 공기가 유입되고 상측의 유출홀(135c)로 공기가 유출된다.
먼지센서(135)는 함몰부(134)의 후측에 배치된다. 먼지센서(135)는 상기 복수의 홀(135a, 135b, 135c)의 후측에 배치된다.
필터커버(413)가 먼지센서(135)를 가린 상태에서도 외부공기가 먼지센서(135)에 공급되도록, 먼지센서(135)의 위치와 대응되는 필터커버(413)의 부분에 센서홀(413a)이 형성된다. 센서홀(413a)은 유입홀(135b) 및 유출홀(135c)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좌우방향으로 긴 슬릿으로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센서는 상기 슬릿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센서홀(413a)은 유입홀(135b) 및 유출홀(135c)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센서홀(413a)은 유입홀(135b) 및 유출홀(135c)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센서홀(413a)은 상기 복수의 센서가 배열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센서홀(413a)은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릿일 수 있다.
센서홀(413a)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홀(413a)은 복수개의 슬릿이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센서홀(413a)은, 상측에 배치된 제 1센서홀(413a1)과, 하측에 배치된 제 2센서홀(413a2)를 포함한다. 제 1센서홀(413a1) 및 제 2센서홀(413a2)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센서홀(413a1)은 횡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센서홀(413a2)은 횡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센서홀(413a1)은 후측의 복수의 센서가 배열된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제 2센서홀(413a2)은 후측의 복수의 센서가 배열된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제 1센서홀(413a1)은 유출홀(135c)에 대응되는 높이에서 형성된다. 제 2센서홀(413a2)은 유입홀(135b)에 대응되는 높이에서 형성된다.
상측 연장부(413d)는, 드로어(400)의 인출 및 인입에 따라 청소홀(135a)을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상측 연장부(413d)의 후측면은 청소홀(135a)을 닫아준다.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상측 연장부(413d)의 후측면은 청소홀(135a)을 열어준다.
필터어셈블리(10)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모듈(500, 350)을 포함한다. 필터어셈블리(10)는 필터모듈(500, 350)을 지지하는 드로어(400)를 포함한다. 필터어셈블리(10)는 메쉬형의 그물눈 사이로 공기가 통과되면서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메쉬필터(300)를 포함한다.
드로어(400)는 필터설치개구부(133)를 통해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인출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필터모듈(500, 350)은 드로어(400)에 안착된다. 필터모듈(500, 350)은 드로어(400)어 함께 필터설치개구부(133)를 통해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인출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드로어(400)는 필터모듈(500, 350)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한다. 드로어(400)는 필터하우징(140)의 드로어 가이드(147)를 따라 슬라이딩된다. 드로어(400)는 공기가 통과하는 드로어 개구부(400a)를 형성한다. 드로어 개구부(400a)는 수평면 상에 형성된다. 흡입유로(10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드로어 개구부(400a)를 상하방향으로 통과한다. 공기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드로어 개구부(400a)를 통과한다.
드로어(400)는 공기가 통과하는 드로어 개구부를 형성하는 프레임(410)을 포함한다. 드로어(400)는 필터설치개구부를 덮어주는 필터커버(413)를 포함한다. 필터커버(413)는 프레임(410)에 결합된다.
프레임(410)은 드로어(4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커버(413)는 드로어(400)의 전면에 배치된다. 프레임(410)은 전단부에 필터커버(413)가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필터커버(413)는 하측부에 프레임(410)이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필터커버(413) 는 프레임(410)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410)은 수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410)은 필터커버(413)의 하측부위부터 후방으로 연장된다. 필터커버(413)는 바디 케이스(131)의 외측면과 동일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모듈(500, 350)은 프레임(410)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된다. 필터모듈(500, 350)의 전방부는 필터커버(413)에 대향된다. 필터모듈(500, 350)의 측면부의 적어도 상측부가 프레임(410) 보다 높게 위치된다. 필터모듈(500, 350)은 드로어 개구부(400a)를 통과한 공기를 여과한다.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공기가 상하방향으로 드로어 개구부(400a) 및 필터모듈(500, 350)을 통과하도록 구비된다. 공기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드로어 개구부(400a)를 통과한 뒤 필터모듈(500, 350)을 거치면서 여과된다.
필터모듈(350, 500)은 서로 분리가능하도록 적층된 복수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모듈(350, 500)은 전기집진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모듈(350, 500)은 광촉매필터(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500)는 공기 중의 먼지입자을 대전시키고 대전된 먼지입자를 집진하여 공기를 여과한다.
광촉매필터(350)는 다공성의 베이스에 탈취성능을 가진 광촉매를 도포하여 공기 중의 냄새성분을 물리적/화학적으로 제거한다.
광촉매필터(350)는, 여과유로(102)의 수평 단면 상에 둘레를 형성하는 광촉매필터 프레임(353)과, 광촉매필터 프레임(353)에 의해 지지되는 광촉매작용부(355)를 포함한다. 광촉매작용부(355)는 여과유로(102)의 일부를 형성하는 공극을 가진 베이스부재에 탈취성능을 가진 공지의 광촉매를 도포함으로써 제작될 수도 있고, 광촉매 성질을 가진 부재에 공극을 형성시킴으로써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광촉매는 활성탄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탄은 물리적 접착력에 의해 냄새 입자를 광촉매작용부(355)에 포집되게 할 수 있다. 활성탄 또는 기타 광촉매를 이용하여 상기 냄새 입자를 화확적 결합으로 광촉매작용부(355)에 포집되게 할 수 있다. 광촉매필터(350)를 바디(130) 및 필터어셈블리(10)로부터 분리하여, 햇빛 등에 노출시킴으로써 광촉매작용부(355)에 포집된 냄새 입자를 제거할 수 있다.
드로어(400)는 전기집진장치(500)를 지지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500)는 광촉매필터(350)를 지지할 수 있다. 메쉬필터(300), 전기집진장치(500) 및 광촉매필터(350)는, 공기 흐름방향(A)을 기준으로 상류에서 하류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필터어셈블리(10)에서, 최하부에 메쉬필터(300)가 배치되고, 메쉬필터(300)의 상측에 전기집진장치(500)가 배치되며, 최상부에 광촉매필터(350)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모듈(350, 500)은 드로어(400)에 분리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500)는 드로어(400)에 분리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광촉매필터(350)는 전기집진장치(500)의 상측에 분리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메쉬필터(300)는 드로어(400)와 독립적으로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인출된다. 메쉬필터(300)는 전기집진장치(500)의 유입구(506)가 형성된 방향에 배치된다.
메쉬필터(300)는 전기집진장치(500)의 하측에 배치된다. 메쉬필터(300)는, 전기집진장치(500)에서 대전부(510)가 배치되는 방향에 배치된다. 메쉬필터(300)는, 전기집진장치(500)에서 전기집진장치(500)의 유입구(506)가 형성된 방향에 배치된다. 메쉬필터(300)는 전기집진장치(500)와 적층되도록 구비된다.
메쉬필터(300)는 드로어(400)의 하측에 배치된다. 메쉬필터(300)는 드로어(400)와 독립적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구비된다. 메쉬필터(300)는 전기집진장치(500)와 독립적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구비된다. 전기집진장치(500)와 메쉬필터(300) 중 어느 하나만 필터하우징(140) 내부로 인입되거나 내부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메쉬필터(300)는 전면을 형성하는 메쉬필터커버(313)을 포함한다. 메쉬필터(300) 및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메쉬필터커버(313)는 필터커버(413)의 전면과 연속되는 면상의 외관을 형성한다. 메쉬필터커버(313)는, 상측면 상에서 하측으로 함몰된 메쉬필터커버 손잡이(313a)를 형성한다.
메쉬필터(300) 및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상기 메쉬필터커버 손잡이(313a)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필터커버(413)는 하단 중 일부가 함몰된 손잡이 노출부(413c)를 형성한다. 손잡이 노출부(413c)는 전면과 하측면이 개구된다. 손잡이 노출부(413c)는 필터커버(413)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상기 메쉬필터커버 손잡이(313a)의 후단까지 함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 노출부(413c)로 손을 넣어 메쉬필터커버 손잡이(313a)에 손을 걸 수 있다.
메쉬필터(300)는, 메쉬필터커버(313)의 후방의 수평면 상에서 상기 여과유로(102)의 둘레에 배치되는 메쉬프레임(315)을 포함한다. 메쉬필터(300)는, 메쉬프레임(315)이 제공하는 둘레 내측으로 여과유로(102)의 수평 단면을 나누어주는 메쉬보조프레임(316)을 포함할 수 있다. 메쉬보조프레임(316)은 여과유로(102)의 수평 단면을 복수개로 나누어준다.
메쉬필터(300)는 통과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고 채집하는 메쉬(318)를 포함한다. 메쉬(318)는 메쉬프레임(315) 및 메쉬보조프레임(316)에 의해서 지지된다. 메쉬(318)는 메쉬프레임(315) 및 메쉬보조프레임(316)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메쉬(318)에 의해 채집된 이물질은, 메쉬필터(300)를 바디(130)로부터 분리하여 세척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도 16 및 21을 참고하여, 프레임(410)은 필터하우징(14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410a)을 포함한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410a)은 사이에 드로어 개구부(400a)를 형성한다. 즉, 드로어 개구부(400a)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410a) 사이에 형성된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410a)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필터커버(413)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410a)의 전단부에 배치된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410a)은 필터모듈(350, 500)의 하측에 배치된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410a)은 메쉬필터(300)의 상측에 배치된다.
프레임(410)은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410a)의 후단부 사이를 연결하며 배치되는 리어 프레임(410b)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 프레임(410b)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리어 프레임(410b)의 좌측 단부는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410a)의 후단부에 결합된다. 리어 프레임(410b)의 우측 단부는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410a)의 후단부에 결합된다. 드로어 개구부(400a)는 리어 프레임(410b)과 필터커버(413) 사이에 형성된다. 리어 프레임(410b)은 필터모듈(350, 500)의 하측에 배치된다. 리어 프레임(410b)은 메쉬필터(300)의 상측에 배치된다.
프레임(410)은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410a)의 전단부 사이를 연결하며 배치되는 프론트 프레임(410c)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프레임(410c)은 필터커버(413)의 후면에 결합된다. 프론트 프레임(410c)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프론트 프레임(410c)의 좌측 단부는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410a)의 전단부에 결합된다. 프론트 프레임(410c)의 우측 단부는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410a)의 전단부에 결합된다. 드로어 개구부(400a)는 리어 프레임(410b)과 프론트 프레임(410c) 사이에 형성된다. 프론트 프레임(410c)은 필터모듈(350, 500)의 하측에 배치된다. 프론트 프레임(410c)은 메쉬필터(300)의 상측에 배치된다.
프레임(410)은 필터모듈(350, 500)이 안착되는 안착면(411)을 형성한다. 안착면(411)은 필터모듈(350, 500)을 지지하는 상측면을 형성한다. 안착면(411)은 프레임(410)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안착면(411)에 필터모듈(350, 500)의 하측면 중 일부가 접촉하여, 필터모듈(350, 500)이 지지된다.
필터모듈(350, 500)은 프레임(410)에 분리가능하게 안착된다. 전기집진장치(500)는 프레임(410)에 분리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410a), 리어 프레임(410b) 및 프론트 프레임(410c)은 필터모듈(350, 500)이 안착되는 안착면(411)을 형성한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410a)은 상측으로 필터모듈(350, 500)의 하측면과 접촉하는 제 1안착면(411a)을 형성한다. 리어 프레임(410b)은 상측으로 필터모듈(350, 500)의 하측면과 접촉하는 제 2안착면(411b)을 형성한다. 프론트 프레임(410c)은 상측으로 필터모듈(350, 500)의 하측면과 접촉하는 제 3안착면(411c)을 형성한다. 안착면(411)은 제 1안착면(411a), 제 2안착면(411b) 및 제 3안착면(411c)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면(411)의 중앙부에는 드로어 개구부(400a)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안착면(411a), 제 2안착면(411b) 및 제 3안착면(411c)는 드로어 개구부(400a)를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안착면(411)의 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되어 필터모듈(350, 500)의 측면과 접촉하는 가이드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필터모듈(350, 500)이 안착면(411)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필터모듈(350, 500)의 안착 동작을 가이드해준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410a)의 안착면(411a)은, 리어 프레임(410b)의 안착면(411b) 및 프론트 프레임(410c)의 안착면(411c) 중 적어도 하나와 높이차를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410a)의 안착면(411a)은 리어 프레임(410b)의 안착면(411b)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410a)의 안착면(411a)은 프론트 프레임(410c)의 안착면(411c)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모듈(350, 500)의 하측면은 상기 높이차가 나도록 형성된 복수의 안착면(411a, 411b, 411c)에 맞물리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필터커버(413)는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부(4131)를 포함한다. 전면부(4131)는 상기 센서홀(413a)을 형성한다. 전면부(4131)는 손잡이(413b)를 포함한다. 필터커버 손잡이(413b)는 전면부(4131)의 일부가 후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필터커버 손잡이(413b)가 당겨지면, 드로어(400)가 당겨진다. 필터커버 손잡이(413b)에는 후술하는 걸림해제 버튼(417b)가 배치될 수 있다. 전면부(4131)는 후술하는 손잡이 노출부(413c)를 형성할 수 있다. 전면부(4131)는 바디 케이스(131)의 외측면에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면부(4131)는 수평 단면상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휘어진 형상일 수 있다. 전면부(4131)는 상측부에 배치된 상기 상측 연장부(413d)를 포함한다.
필터커버(413)는 필터모듈(350, 500)의 전방면에 접촉하는 후면부(4132)를 포함한다. 후면부(4132)는 필터커버(413)의 후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후면부(4132)는 필터모듈(350, 500)의 전방면의 위치를 가이드해준다. 후면부(4132)는 필터모듈(350, 500)의 전방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모듈(350, 500)의 전방면은 수직 평면을 형성하고, 후면부(4132)의 형상도 수직 평면을 형성한다.
필터커버(413)는,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상측면을 마주보는 상면부(4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면부(4133)는 후면부(4132)와 전면부(4131)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면부(4133)에는 후술하는 걸림부(417a)가 배치된다. 필터하우징(140)은 걸림부(417a)가 걸릴 수 있도록 걸림부(417a)에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홈(143)을 형성한다. 상면부(4133)의 후단은 후면부(4132)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면부(4133)의 전단은 전면부(4131)의 후면에 연결된다. 상면부(4133)의 전단은 상측 연장부(413d)의 하단에 연결된다.
도 9를 참고하여, 드로어(400)는,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에 안착되어 걸리도록 해주는 걸림장치(417)을 포함한다. 걸림장치(417)는,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드로어(400)를 고정시킨다. 걸림장치(417)는 필터커버(413)에 배치될 수 있다.
걸림장치(417)는,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필터하우징(140)에 걸리는 걸림부(417a)를 포함한다. 걸림부(417a)는 상면부(4133)에 배치된다. 상기 걸림홈(143)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에 형성된다. 걸림부(417a)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걸림부(417a)의 상단은 상면부(4133)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걸림부(417a)의 후측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후측에 가까워지는 경사면을 형성한다. 드로어(400)가 후측방향으로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경사면은 필터설치개구부(133)의 상단에 밀려, 걸림부(417a)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걸림부(417a)는 상기 걸림홈(143)으로 삽입되며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걸림부(417a)가 걸림홈(143)에 삽입되면, 드로어(400)를 전방으로 당기어도 드로어(400)가 인출되지 않게 된다.
걸림부(417a)가 걸림홈(143)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장치(417)는 걸림을 해제하기 위해서 걸림부(417a)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걸림해제 버튼(417b)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417a)는 걸림부(417a)의 걸림을 해제시킨다. 걸림부(417a)와 걸림해제 버튼(417b)은 구조적으로 연결된다. 걸림해제 버튼(417b)이 눌리면 걸림부(417a)가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걸림해제 버튼(417b)은 하측으로 눌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걸림해제 버튼(417b)은 필터커버 손잡이(413b)의 하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걸림장치(417)는, 하측으로 눌릴 경우 상측으로 복원력을 가하는 탄성부(417c)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417c)는 걸림해제 버튼(417b)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417c)는 걸림해제 버튼(417b)의 하측면을 지지하며 배치될 수 있다.
도 14, 15, 17 내지 20, 22 및 23을 참고하여, 필터하우징(140)과 드로어(400) 사이의 슬라이딩 구조, 및 필터하우징(140)와 메쉬필터(300) 사이의 슬라이딩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필터하우징(140)은 필터하우징(14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드로어 가이드(147)를 포함한다. 한 쌍의 드로어 가이드(147)는 프레임(410)의 인출 및 인입을 가이드해준다. 드로어(400)는 프레임(4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더(414)를 포함한다. 한 쌍의 슬라이더(414)는 한 쌍의 드로어 가이드(147)를 따라 이동된다. 슬라이더(414)는 드로어 가이드(147)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슬라이더(414)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410a)의 하측에 형성된다.
드로어 가이드(147)는 레일부(147a)를 포함할 수 있다. 드로어 가이드(147)는 롤러(147b)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부(147a)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레일부(147a)는 슬라이더(414)에 접촉하는 상측면을 형성한다. 롤러(147b)는 드로어 가이드(147)의 전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롤러(147b)의 회전축의 방향은 좌우방향이다. 드로어 가이드(147)의 롤러(147b)는 슬라이더(414)의 레일부(414a)에 접촉한다.
슬라이더(414)는 레일부(414a)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414)는 롤러(414b)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부(414a)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레일부(414a)는 드로어 가이드(147)에 접촉하는 하측면을 형성한다. 롤러(414b)는 슬라이더(414)의 후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롤러(414b)의 회전축의 방향은 좌우방향이다. 슬라이더(414)의 롤러(414b)는 드로어 가이드(147)의 레일부(147a)에 접촉한다.
롤러(414b)는 레일부(147a)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레일부(147a)는 롤러(414b)의 하측을 지지한다. 레일부(414b)는 롤러(147b)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롤러(147b)는 레일부(414b)를 지지한다.
필터하우징(140)은, 필터모듈(350, 500)이 드로어(400)와 함께 인출 및 인입될 때 필터모듈(350, 500)의 상측면의 이동을 가이드해주는 필터모듈 가이드(142)를 포함한다. 필터하우징(140)은 필터하우징(14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필터모듈 가이드(142)를 포함한다. 필터모듈 가이드(142)는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상측에 배치된다. 필터모듈 가이드(142)는 필터모듈(350, 500)의 상측면에 접촉하는 하측면을 형성한다.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롤러(147b)의 지지점은 전방에 위치하게 되고, 레일부(147a)의 지지점은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지지점이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드로어(400)는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로부터 인출되는 과정에서, 롤러(147b)의 지지점은 위치를 유지하나, 롤러(414b)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레일부(147a)의 지지점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롤러(147b)의 지지점과 레일부(147a)의 지지점 사이 이격거리가 좁아지고, 드로어(400)의 전방 부분이 지지점이 없이 돌출된다. 드로어(400)에 전기집진장치(500) 및 광촉매필터(350)가 안착되어 있다면, 광촉매필터(350)의 상측면이 필터하우징(140)의 필터모듈 가이드(142) 접촉하여, 드로어(400)의 전방이 하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막아준다.
필터하우징(140)은 메쉬필터(300)의 인출 및 인입을 가이드해주는 메쉬필터 가이드(146)을 포함한다. 필터하우징(140)은 필터하우징(14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메쉬필터 가이드(146)를 포함한다. 메쉬필터(300)는, 메쉬필터(300)를 필터하우징(14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해주는 슬라이딩부(315a)를 포함한다. 메쉬필터(300)는 메쉬프레임(315)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315a)를 포함한다.
슬라이딩부(315a)는 메쉬프레임(315)의 하측에 형성된다. 슬라이딩부(315a)는 메쉬필터 가이드(146)에 접촉하는 하측면을 제공한다. 메쉬필터 가이드(146)는 슬라이딩부(315a)의 이동을 가이드해주는 메쉬필터 가이드(146)가 구비된다. 메쉬필터 가이드(146)는 슬라이딩부(315a)와 접촉하는 상측면을 제공한다. 슬라이딩부(315a)의 하측면은 메쉬필터 가이드(146)의 상측면을 슬라이딩하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하측에서 바라볼 때, 슬라이딩부(315a)는 한 쌍의 슬라이더(414)의 사이에 배치된다. 일 측의 슬라이딩부(315a)는, 같은 측의 슬라이더(414)보다 안쪽으로 배치된다. 상측에서 바라볼 때, 메쉬필터 가이드(146)는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에서 한 쌍의 드로어 가이드(147) 사이에 배치된다. 일 측의 메쉬필터 가이드(146)는, 같은 측의 드로어 가이드(147)보다 안쪽으로 배치된다.
메쉬필터 가이드(146)는 드로어 가이드(147)보다 낮게 배치된다. 한 쌍의 메쉬필터 가이드(146) 사이에 흡입유로(101)와 연결되는 흡입구(111)가 형성된다.
드로어 가이드(147) 및 슬라이더(414) 중 어느 하나는 롤러(147b, 414b)를 포함하고, 드로어 가이드(147) 및 슬라이더(414) 중 다른 하나는 롤러(147b, 414b)가 접촉하는 레일부(414a, 147a)를 포함한다. 이하 설명하는 제 1구간부 및 제 2구간부는, 본 실시예와 같이 슬라이더(414)의 레일부(414a)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고, 다른 실시예에서 드로어 가이드(147)의 레일부(147a)에 구비되더라도 같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를 설명하나, 이는 제 1구간부 및 제 2구간부가 드로어 가이드(147)의 레일부(147a)에 구비된 다른 실시예까지 설명된다.
도 22 및 23을 참고하여, 레일부(414a)는,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공간으로 인입되기 시작할 때 롤러(147b)에 접촉되는 제 1지점(p1)부터 소정 지점(p2)까지 평탄면을 형성하는 제 1구간부(414a1)를 포함한다. 레일부(414a)는, 소정 지점(p1)부터 드로어 개구부(400a)의 전단(400a1)이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기 이전에 롤러(147b)에 접촉되는 제 2지점(p2)까지 평탄면을 형성하는 제 1구간부(414a1)를 포함한다. 레일부(414a)는,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공간으로 인입되기 시작할 때 롤러(147b)에 접촉되는 제 1지점(p1)부터 드로어 개구부(400a)의 전단(400a1)이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기 이전에 롤러(147b)에 접촉되는 제 2지점(p2)까지, 평탄면을 형성하는 제 1구간부(414a1)를 포함한다.
도 22 및 23을 참고하여, 레일부(414a)는, 상기 제 2지점(p2)부터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롤러(147b)에 접촉되는 제 3지점(p3)까지, 프레임(410)을 상측으로 올려주도록 제 1구간부(414a1)와 다른 높이를 가진 제 2구간부(414a2,414a3)를 포함한다. 제 2구간부(414a2,414a3)는 드로어(400)를 상측으로 올려주도록 제 1구간부(414a1)와 다른 높이를 가진다. 제 1구간부(414a1) 및 제 2구간부(414a2,414a3)가 슬라이더(414)에 형성된 본 실시예에서, 제 2구간부(414a2,414a3)의 하측면은 제 1구간부(414a1)의 하측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 1구간부 및 제 2구간부가 드로어 가이드(147)에 형성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구간부의 상측면은 상기 제 1구간부의 상측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필터모듈(350, 500)이 안착된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공간으로 인입되기 시작할 때에는, 필터모듈(350, 500)이 안착된 드로어(400)의 상하 방향 유격이 충분히 있도록 하여, 삽입 시작 동작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드로어 개구부(400a)의 전단(400a1)이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는 시점에는, 필터모듈(350, 500)이 안착된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상측면으로 최대한 밀착하게 하여, 드로어의 전단부가 하측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막는다. 이를 통해, 드로어 개구부(400a)의 전단(400a1)이 하측의 메쉬필터(3001)의 전단(또는 필터설치개구부의 전단)에 충돌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는, 필터모듈(350, 500)이 안착된 드로어(400)를 상측으로 올려주어, 드로어(400)와 필터하우징(140) 내측면 사이의 상하방향 유격을 줄인다. 이를 통해, 드로어(400)의 안착 상태가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하고, 드로어(400)와 필터하우징(140) 사이의 틈을 소정 정도로 제한하고, 전기적 단자 간의 접촉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22 및 23을 참고하여, 제 2구간부(414a2,414a3)는, 제 1구간부(414a1)의 높이와 상대적으로 큰 높이차를 가지고 제 2지점(p2)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제 1높이 형성부(414a2)와, 제 1구간부(414a1)의 높이와 상대적으로 작은 높이차를 가지고 제 3지점(p3)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제 2높이 형성부(414a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구간부(414a2,414a3)가 슬라이더(414)에 형성된 본 실시예에서, 제 1높이 형성부(414a2)의 하측면은 제 2높이 형성부(414a3)의 하측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 2구간부가 드로어 가이드(147)에 형성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높이 형성부의 상측면은 상기 제 2높이 형성부의 상측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제 2구간부(414a2,414a3)는 제 2지점(p2)을 시작으로 제 3지점(p3)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한다. 제 1높이 형성부(414a2)는 제 2지점(p2)을 시작으로 제 3지점(p3)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한다. 제 1높이 형성부(414a2)는, 제 1높이 형성부(414a2)와 제 2높이 형성부(414a3)가 만나는 지점을 시작으로 제 2지점(p2)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한다.
도 17 내지 20을 참고하여, 드로어(400)는 필터하우징(140)의 내측면과 드로어(400)의 외측면 사이의 유격을 줄이는 유격방지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유격방지부(412)는 드로어(400)가 인출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드로어(400)가 인출되는 방향이 전후방향인 경우, 드로어(400)가 인출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은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 일 수 있다. 유격방지부(412)는 프레임(410)에서 돌출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리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격방지부(412)는, 드로어(400)가 인출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돌출된 사이드 유격방지부(412a)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유격방지부(412a)는 필터하우징(140)의 내측면과 드로어(400)의 양측면 사이의 유격을 줄인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410a)은 각각 필터하우징(140)의 측면을 향해 돌출된 한 쌍의 사이드 유격방지부(412a)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유격방지부(412a)는 사이드 프레임(410a)에서 필터하우징(140)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리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격방지부(412)는 상하방향으로 돌출된 상하 유격방지부(41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하 유격방지부(412b)는 필터하우징(140)의 내측면과 드로어(400)의 외측면 사이의 상하방향 유격을 줄인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410a)은 각각 드로어 가이드(147)를 향해 하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상하 유격방지부(41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하 유격방지부(412b)는 사이드 프레임(410a)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리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구간부(414a2, 414a3)는 상하 유격방지부(412b)와 같은 구성을 지칭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유격방지부(412)는,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필터하우징(140)의 내측면에 접촉하고,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으로부터 인출되는 중에 필터하우징(140)의 내측면과의 접촉이 해제되도록 구비된다. 즉, 유격방지부(412)는 사이드 프레임(410a)의 상하방향 구간 중 일부 구간에서만 형성된다. 이를 통해, 드로어(400)를 필터설치개구부(133)로 삽입시키는 초기 동작시에는 유격을 두어 편리하게 하면서도,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는 유격을 줄여 드로어(400)가 정확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자리잡게 하는 효과가 있다.
유격방지부(412)는,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면서 점차적으로 유격이 줄어들도록, 돌출 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유격방지부(412)는,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필터하우징(140)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부분 중, 전방측에 배치된다. 유격방지부(412)는 프레임(410)의 전방측에 배치된다. 유격방지부(412)는 사이드 프레임(410a)의 전방측에 배치된다.
도 7 내지 10을 참고하여, 전기집진장치(500)는, 공기 중의 먼지입자를 대전시키는 대전부(510)와, 대전부(510)에서 대전된 먼지입자를 집진하는 집진부(540)와, 대전부(510) 및 집진부(540)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501, 502)를 포함한다. 케이스(501, 502)는 전기집진장치(5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대전부(510)는 하측에 배치되고 집진부(540)는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501,502)에는 전기집진장치(500)를 드로어(400)로부터 분리시켜 들어올릴 수 있도록 전기집진장치 손잡이(503)가 형성된다. 전기집진장치 손잡이(503)는 케이스(501,502)의 좌우 측면에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 손잡이(503)는 케이스(501,502)의 표면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501, 502)는, 내부에 대전부(510)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대전케이스(501), 및 내부에 집진부(540)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집진케이스(502)를 포함할 수 있다. 대전케이스(501)는 하측에 배치되고, 집진케이스(502)는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501, 502)는, 대전부(510)를 수용하는 상기 공간과 집진부(540)를 수용하는 상기 공간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전케이스(501)는 하부에 배치되고 집진케이스(502)는 상부에 배치되고, 대전부(510)는 하부에 배치되고 집진부(540)는 대전부(510)의 상측에 배치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케이스(501, 502)는, 먼지입자를 포함하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506)를 형성하고, 케이스(501, 502)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구(507)를 형성한다. 케이스(501, 502)는 유입구(506)를 복수 개로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501, 502)는 유출구(507)를 복수 개로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입구(506)는 대전케이스(501)의 하측면에 형성되고, 유출구(507)는 집진케이스(502)의 상측면에 형성된다.
전체적인 공기 흐름방향(A)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케이스 흡입유로(101)를 통해 외부에서 상기 공기조화기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여과유로(102)로 유입된다. 여과유로(102)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메쉬(318)를 통과한 후, 드로어 개구부(400a)를 통과한다. 드로어 개구부(400a)를 통과한 공기는 전기집진장치의 유입구(506)를 통해 케이스(501, 502) 내부로 유입된다. 케이스(501, 502)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는, 대전부(510) 및 집진부(54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유출구(507)를 통해 상측으로 유동한다. 상측으로 유동한 공기는 광촉매작용부(355)를 통과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 구성요소의 배치가 바뀔 수도 있고, 각 구성요소가 횡으로 배치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도 공기는 대전부(510)에서 집진부(540)로 향하는 방향이 되도록 설정된다.
도 26을 참고하여, 대전부(510)는, 고전압이 인가되는 와이어 방전극(521), 및 와이어 방전극(521)과 이격되는 대향 전극판(5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전압은, 와이어 방전극(521)과 대향 전극판(523) 사이의 전압이 매우 커서 와이어 방전극(521)에서 방전이 일어날 정도의 수치이다.
대향 전극판(523)은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대향 전극판(523)은 와이어 방전극(52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 방전극(521)은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 방전극(521)은 복수개가 서로 나란하게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와이어 방전극(521) 사이에 대향 전극판(523)이 와이어 방전극(521)이 배열된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6에서는 예시적으로 몇 개의 와이어 방전극(521)과 몇 개의 대향 전극판(523)이 공기 흐름방향(A)과 수직 방향(X)으로 교대로 이격 배치되나, 보다 많은 개수의 와이어 방전극(521) 및 대향 전극판(523)이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 방전극(521) 및 대향 전극판(523)은 대전케이스(501)에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와이어 방전극(521) 및 복수의 대향 전극판(523)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간격 유지 구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와이어 방전극(521)에 전압이 인가될 경우, 와이어 방전극(521)과 대향 전극판(523) 사이에 코로나 방전이 발생된다. 공기 중의 먼지입자는 대전부(510)를 통과하면서 대전된다.
도 27을 참고하여, 집진부(540)는 대전된 먼지입자를 집진하는 전극(540a)을 포함한다. 집진부(540)는 전기장을 발생시켜 대전된 먼지입자를 집진하는 복수의 전극(541, 542)을 포함한다. 전극(540a)은 폭과 길이와 두께를 가진 얇은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540a)은 전극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541, 542)은, 상대적으로 고전위가 인가되는 고전위 전극(541)과, 고전위 전극(541)에 대해 상대적으로 저전위가 인가되는 저전위 전극(542)을 포함한다. 복수의 고전위 전극(541) 및 복수의 저전위 전극(542)은 길이방향(Y)이 일치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전극(541, 542)은 서로 면을 마주보고 틈(S)을 형성하도록 복수로 배열된다. 폭방향(Z) 및 길이방향(Y)에 수직한 방향(X)으로 복수의 고전위 전극(541) 및 복수의 저전위 전극(542)이 교대로 틈(S)을 형성하며 배치된다.
도 24 내지 27을 참고하여, 전기집진장치(500)의 회로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바디(130)는, 대전부(510) 및 집진부(5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단자(148a, 148b)를 포함한다. 바디(130)는, 대전부(510) 및 집진부(540)에 접지를 공급하는 접지단자(149a, 149b)를 포함한다. 전원단자(148a, 148b)는 필터하우징(140)에 배치된다. 접지단자(149a, 149b)는 필터하우징(140)에 배치된다.
전원단자(148a, 148b)는, 대전부(510)에 전원을 공급하는 대전부 전원단자(148a)와, 집진부(5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집진부 전원단자(148b)를 포함할 수 있다. 접지단자(149a, 149b)는, 대전부(510)에 접지를 제공하는 대전부 접지단자(149a)와, 집진부(540)에 접지를 제공하는 집진부 접지단자(149b)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30)는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전압 발생기(581)를 포함한다. 바디(130)는 대전부(510)에 인가되는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전압 발생기(581a)를 포함한다. 바디(130)는 집진부(540)에 인가되는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전압 발생기(581b)를 포함한다. 고전압 발생기(581a)는 전원단자(148a, 148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전압 발생기(581a)와 고전압 발생기(581b)는, 하나의 고전압 발생기(581)을 지칭하고, 고전압 발생기(581)에서 대전부(510) 및 집진부(540)에 각각 병렬로 전원을 인가하는 선로를 구성한다. 바디(130)는 고전압 발생기(581)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공급선(585)를 포함한다.
전기집진장치(500)는, 전원단자(148a,148b) 및 접지단자(149a,149b)에 각각 대응되어 접촉하는 전원수용단자(518,548) 및 접지수용단자(519,549)를 포함한다. 전원수용단자(518,548)는 전기집진장치(500)에 배치된다. 접지수용단자(519,549)는 전기집진장치(500)에 배치된다.
필터하우징(140)에는 고전압 발생기(581)와 연결되어 대전부(510) 및 집진부(5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단자(148a, 148b)가 배치된다. 바디(130)에는 접지(582)와 연결되어 대전부(510) 및 집진부(540)에 접지를 제공하는 접지단자(149a, 149b)가 배치된다.
필터하우징(140)에는 고전압 발생기(581a)와 연결되어 대전부(510)에 전원을 공급하는 대전부 전원단자(148a)가 배치된다. 필터하우징(140)에는 고전압 발생기(581b)와 연결되어 집진부(5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집진부 전원단자(148b)가 배치된다. 필터하우징(140)에는 접지(582a)와 연결되어 대전부(510)에 접지를 제공하는 대전부 접지단자(149a)가 배치된다. 필터하우징(140)에는 접지(582b)와 연결되어 집진부(540)에 접지를 제공하는 집진부 접지단자(149b)가 배치된다.
케이스(501, 502)의 외측면에는, 전원단자(148a,148b)와 접촉하여 대전부(510) 및 집진부(540)에 전원을 연결시키는 전원수용단자(518, 548)가 배치된다. 케이스(501, 502)의 외측면에는, 접지단자(149a,149b)와 접촉하여 대전부(510) 및 집진부(540)에 접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지수용단자(519, 549)가 배치된다.
전원수용단자(518, 548)는 대전부 전원수용단자(518) 및 집진부 전원수용단자(548)를 포함한다. 접지수용단자(519, 549)는 대전부 접지수용단자(519) 및 집진부 접지수용단자(549)를 포함한다.
케이스(501, 502)의 외측면에는, 대전부 전원단자(148a)와 접촉하여 대전부(510)에 전원을 연결시키는 대전부 전원수용단자(518)가 배치된다. 케이스(501, 502)의 외측면에는, 집진부 전원단자(148b)와 접촉하여 집진부(540)에 전원을 연결시키는 집진부 전원수용단자(548)가 배치된다. 케이스(501, 502)의 외측면에는, 대전부 접지단자(149a)와 접촉하여 대전부(510)에 접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대전부 접지수용단자(519)가 배치된다. 케이스(501, 502)의 외측면에는, 집진부 접지단자(149b)와 접촉하여 집진부(540)에 접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집진부 접지수용단자(549)가 배치된다.
전기집진장치(500)에서, 전원수용단자(518, 548)가 배치된 측면은 접지수용단자(519, 549)가 배치된 측면과 서로 반대된다. 전기집진장치(500)에서, 대전부 전원수용단자(518) 및 집진부 전원수용단자(548)가 배치된 측면은, 대전부 접지수용단자(519) 및 집진부 접지수용단자(549)가 배치된 측면과 서로 반대된다.
대전부 전원수용단자(518) 및 집진부 전원수용단자(548)는 동일 수평 평면상에 서로 대각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대전부 접지수용단자(519) 및 집진부 접지수용단자(549)는 동일 수평평면상에 서로 대각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인입된 때에, 전원단자(148a,148b)와 전원수용단자(518, 548)가 서로 접촉하고 접지단자(149a,149b)와 접지수용단자(519, 549)가 서로 접촉한다. 전기집진장치(500)를 안착시킨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settlement) 상태'에서, 전원단자(148a,148b)와 전원수용단자(518, 548)가 서로 접촉하고 접지단자(149a,149b)와 접지수용단자(519, 549)가 서로 접촉한다.
케이스(501, 502)의 외측면 중 대전부 접지단자(149a) 및 집진부 접지단자(149b)와 각각 대응되는 지점에, 각각 대전부 접지수용단자(519) 및 집진부 접지수용단자(549)가 구비된다.
케이스(501, 502)의 외측면 중에서 대전부 전원수용단자(518) 및 집진부 전원수용단자(548)가 배치된 측면은 대전부 접지수용단자(519) 및 집진부 접지수용단자(549)가 배치된 측면과 서로 반대측 일 수 있다. 케이스(501, 502)의 좌우 측면에는 상기 전원수용단자(518,548) 및 상기 접지수용단자(529,549)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대전부 전원수용단자(518) 및 집진부 전원수용단자(548)는 케이스(501, 502)의 동일 측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대전부 접지수용단자(519) 및 집진부 접지수용단자(549)는 케이스(501, 502)의 동일 측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스(501, 502)가 바디(130)에 자리잡은 상태에서만 상기 전원단자(148a,148b) 및 상기 접지단자(149a,149b)가 각각 전원수용단자(518,548) 및 접지수용단자(519,549)와 접촉되도록, 전원수용단자(518,548) 및 접지수용단자(519,549)가 배치된다.
전원단자(148a, 148b)는, 필터하우징(140)의 내측면 중 드로어(400)가 인입 및 인출되는 방향과 수직 방향의 측면에 배치된다. 접지단자(149a, 149b)는, 필터하우징(140)의 내측면 중 드로어(400)가 인입 및 인출되는 방향과 수직 방향의 측면에 배치된다.
전원단자(148a, 148b)는, 필터하우징(140)의 양측의 내측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다. 접지단자(149a, 149b)는, 필터하우징(140)의 양측의 내측면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된다. 접지단자(149a, 149b)는, 필터하우징(140)의 내측면 중 전원단자(148a, 148b)가 배치된 측면의 반대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대전부 전원단자(148a) 및 집진부 전원단자(148b)는 바디(130)의 양측의 내측면 중 동일한 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대전부 접지단자(149a) 및 집진부 접지단자(149b)는 바디(130)의 내측면 중 동일한 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가 되면, 대전부 전원단자(148a)와 대전부 전원수용단자(518)가 접촉하고, 대전부 접지단자(149a)와 대전부 접지수용단자(519)가 접촉한다. 이 경우, 대전부(510)에 고전압이 인가된다.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가 되면, 집진부 전원단자(148b)와 집진부 전원수용단자(548)가 접촉하고, 집진부 접지단자(149b) 집진부 접지수용단자(549)가 접촉한다. 이 경우, 집진부(540)에 고전압이 인가된다.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인출된 상태가 되면, 대전부 전원단자(148a)와 대전부 전원수용단자(518)가 분리되고 대전부 접지단자(149a)와 대전부 접지수용단자(519)가 분리되어, 대전부(510)에 전압인가가 차단된다.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인출된 상태가 되면, 집진부 전원단자(148b)와 집진부 전원수용단자(548)가 분리되고 집진부 접지단자(149b) 집진부 접지수용단자(549)가 분리되어, 집진부(540)에 전압인가가 차단된다.
전기집진장치(500)는 대향 전극판(523)과 접지(582a)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지선(583a)을 포함한다. 전기집진장치(500)는 와이어 방전극(521)과 고전압 발생기(581a)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고전압선(584a)를 포함한다.
대전부 전원단자(148a) 및 대전부 전원수용단자(518)는 고전압선(584a) 상에 배치된다. 대전부 전원단자(148a) 및 대전부 전원수용단자(518)는 고전압선(584a)을 전기적으로 개폐시키는 스위치 기능을 한다. 대전부 접지단자(149a) 및 대전부 접지수용단자(519)는 접지선(583a) 상에 배치된다. 대전부 접지단자(149a) 및 대전부 접지수용단자(519)는 접지선(583a)을 전기적으로 개폐시키는 스위치 기능을 한다.
전기집진장치(500)는 저전위 전극(542)과 접지(582b)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지선(583b)을 포함한다. 전기집진장치(500)는 고전위 전극(541)과 고전압 발생기(581b)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고전압선(584b)을 포함한다.
집진부 전원단자(148b) 및 집진부 전원수용단자(548)는 고전압선(584b) 상에 배치된다. 집진부 전원단자(148b) 및 집진부 전원수용단자(548)는 고전압선(584b)을 전기적으로 개폐시키는 스위치 기능을 한다. 집진부 접지단자(149b) 및 집진부 접지수용단자(549)는 접지선(583b) 상에 배치된다. 집진부 접지단자(149b) 및 집진부 접지수용단자(549)는 접지선(583b)을 전기적으로 개폐시키는 스위치 기능을 한다.
도 11 내지 13을 참고하여, 대전부 전원단자(148a) 및 집진부 전원단자(148b)는, 필터어셈블리(10)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에 대해 수직인 면상에 배치된다. 대전부 접지단자(149a) 및 집진부 접지단자(149b)는, 필터어셈블리(10)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에 대해 수직인 면상에 배치된다.
대전부 전원수용단자(518) 및 집진부 전원수용단자(548)는, 필터어셈블리(10)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에 대해 수직인 면상에 배치된다. 대전부 접지수용단자(519) 및 집진부 접지수용단자(549)는, 필터어셈블리(10)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에 대해 수직인 면상에 배치된다.
대전부 전원단자(148a) 및 집진부 전원단자(148b)는, 드로어(400)가 인입 및 인출되는 방향의 수직 방향에 대해 위치 차이가 있도록 배치된다. 대전부 접지단자(149a) 및 집진부 접지단자(149b)는, 드로어(400)가 인입 및 인출되는 방향의 수직 방향에 대해 위치 차이가 있도록 배치된다.
전기집진장치(500)가 인입 및 인출되는 방향은 전후 방향일 수 있다. 이 경우, 대전부 전원단자(148a) 및 집진부 전원단자(148b)는 필터하우징(140)의 동일 내측면 상에서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된다. 대전부 접지단자(149a) 및 집진부 접지단자(149b)는 필터하우징(140)의 동일 내측면 상에서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된다. 대전부 전원수용단자(518) 및 집진부 전원수용단자(548)는 전기집진장치(500)의 동일 측면상에서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된다. 대전부 접지수용단자(519) 및 집진부 접지수용단자(549)는 전기집진장치(500)의 동일 측면상에서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된다.
드로어(400)의 인출 및 인입에 따른 대전부 전원수용단자(518)의 전후방향 이동 경로 및 집진부 전원수용단자(548)의 전후방향 이동 경로 상에서, 대전부 전원수용단자(518)는 대전부 전원단자(148a)만 접촉하고 집진부 전원수용단자(548)는 집진부 전원단자(148b)만 접촉하도록, 대전부 전원단자(148a) 및 집진부 전원단자(148b)는 높이 차이가 나게 배치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500)가 인입 및 인출하는 과정에서 서로 대응되지 않는 단자까리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마찰에 의한 마모 현상을 줄이고, 원하지 않는 전원의 인가를 막을 수 있다. 특히, 전기집진장치(500)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단자끼리 접촉하여 전원이 인가되면, 사용자에게 감전의 위험이 있을 수 있는데, 이를 막을 수 있다.
도 24 내지 27을 참고하여, 필터하우징(140)는, 전기집진장치(500)의 동작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차단 스위치(145)를 포함한다. 차단 스위치(145)는 필터하우징(140)에 배치될 수 있다. 차단 스위치(145)는 고전압 발생기(581)에 전원의 공급가능 여부를 스위칭한다. 차단 스위치(145)는, 눌려진 경우 고전압 발생기(581)의 전원이 인가 가능해지도록 구비된다. 차단 스위치(145)는 전기집진장치(500)의 다른 전원이 필요한 부품(예를 들어 센서, 디스플레이, 모터 등)에 전원의 공급가능 여부를 스위칭할 수 있다.
차단 스위치(145)는, 전기집진장치(500) 및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에 자리잡은 상태에만 공기청정장치(100)가 동작 가능하게 한다. 차단 스위치(145)는, 전기집진장치(500) 및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으로부터 분리된 경우 공기청정장치(100)의 작동을 불가능하게 한다. 차단 스위치(145)는, 전기집진장치(500) 및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에 완전히 결합되지 않은 상태(자리잡지 않은 상태)에서, 공기청정장치(100)의 작동을 불가능하게 한다.
차단 스위치(145)는 전원 공급선(585) 상에 배치된다. 차단 스위치(145)는 고전압 발생기(581a, 581b)에 전원의 인가가능 여부를 스위칭한다. 차단 스위치(145)는, 눌린 경우 전원 공급선(585)이 연결되도록 하고 눌리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선(585)이 차단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차단 스위치(145)는 필터하우징(140)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차단 스위치(145)는 필터하우징(140)의 내측면 중 케이스(501, 502)가 바디(130)에 삽입되는 방향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차단 스위치(145)는 필터하우징(140)의 내측면 중 후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차단 스위치(145)는 케이스(501, 502)가 바디(13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눌릴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필터어셈블리(10)는, 차단 스위치(145)를 누르도록 형성된 차단 돌기(144)를 포함한다. 차단 돌기(144)는,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에 삽입되는 방향의 측면에 배치된다. 차단 돌기(144)는, 전기집진장치(500)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차단 돌기(144)는, 필터어셈블리(1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차단 스위치(145)를 누르도록 구비된다. 차단 돌기(144)가 차단 스위치(145)를 누르면 차단 스위치(145)가 개방하고 있던 전원 공급선(585)이 단락되어, 고전압 발생기(581)에 전원의 인가가 가능해진다. 이를 통해, 필터어셈블리(10)가 필터하우징(14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원단자(148a,148b) 및 접지단자(149a, 149b)에 접촉할 때 감전을 방지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500)는 차단 돌기(144)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 돌기(144)는,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차단 스위치(145)를 누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차단 스위치(145)는 복수개가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필터하우징(140)은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 1차단 스위치(145a) 및 제 2차단 스위치(14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차단 스위치(145a) 및 제 2차단 스위치(145b)는 모두 눌릴 경우 전원이 인가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제 1차단 스위치(145a) 및 제 2차단 스위치(145b)는 전기집진장치(500)에 전원의 인가가능 여부를 스위칭한다.
차단 돌기(144)는, 제 1차단 스위치(145a)를 누르도록 필터어셈블리(10)에서 돌출된 제 1차단 돌기(144a)와, 제 2차단 스위치(145b)를 누르도록 필터어셈블리(10)에서 돌출된 제 2차단 돌기(144b)를 포함한다.
전기집진장치(500)는,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제 1차단 스위치(145a)를 누르도록 돌출된 제 1차단 돌기(144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차단 돌기(144a)는 전기집진장치(500)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메쉬필터(300)는, 메쉬필터(3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제 2차단 스위치(145b)를 누르도록 돌출된 제 2차단 돌기(14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차단 돌기(144b)는 메쉬필터(300)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도 24 내지 27을 참고하여, 전기집진장치(500)는, 고전위 전극(541)과 저전위 전극(542)이 서로 단락되게 온(ON)하거나 서로 단락되지 않게 오프(OFF)하는 단락 스위치(6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고전위 전극(541)은 병렬로 연결되고, 고전위 전극(541)의 병렬 연결지점에서 단락 스위치(600)의 일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락선(600a)이 구비된다. 또한, 복수의 저전위 전극(542)은 병렬로 연결되고, 저전위 전극(542)의 병렬 연결지점에서 단락 스위치(600)의 다른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락선(600b)이 구비된다. 단락 스위치(600)는 단락선(600a, 600b) 상에 배치된다.
단락 스위치(600)는, 전기집진장치(500)를 안착시킨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오프되고, 전기집진장치(500)를 안착시킨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온되도록 구비된다.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고전위 전극(541) 및 저전위 전극(542)이 서로 단락되어 집진부(540)에 대전된 전하가 제거되는 상태가 된다. 단락 스위치(600)는, 눌림이 해제된 경우 고전위 전극(541) 및 저전위 전극(542)이 단락된다.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는, 고전위 전극(541) 및 저전위 전극(542)의 단락이 해제되어 집진부(540)에 전하가 대전되어 전기장이 발생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필터하우징(140)은,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단락 스위치(600)를 누르는 단락 돌기(141)를 포함한다. 단락 돌기(141)는 드로어(400)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단락 돌기(141)는 필터하우징(140)의 내측면 중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에 삽입되는 방향과 마주보는 측면에 배치된다. 단락 돌기(141)는 필터하우징(140)의 내측면 중 후측면에 배치된다.
단락 스위치(600)는, 상기 단락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노출되어 케이스(501, 502)가 바디(13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눌려지는 가압부(626)를 포함한다. 상기 단락 스위치(600)는, 상기 가압부(626)의 가압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가압부(626)의 눌림시 탄성압축되고, 상기 가압부(626)가 눌림 해제시 복원된다.
단락 스위치(60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500)는 복수 개의 단락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단락 스위치(600)는 단락선(600a, 600b) 상에서 서로 병렬로 연결된다. 복수 개의 단락 스위치(600-1, 600-2) 중 적어도 하나만 단락되어도, 고전위 전극(541)과 저전위 전극(542)은 서로 단락된다. 이를 통해, 복수 개의 단락 스위치(600) 중 어느 하나가 이물질 끼임이나 고장 등으로 정상적인 단락 동작을 하지 않더라도, 적어도 다른 어느 하나가 정상적인 단락 동작을 하면 고전위 전극(541)과 저전위 전극(542)이 서로 단락되어, 사용자의 안전성을 보다 강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기집진장치(500)는 2개의 단락 스위치(600-1, 600-2)를 포함한다. 2개의 단락 스위치(600-1, 600-2)는 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500)는 제 1단락 스위치(600-1) 및 제 2단락 스위치(60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단락 스위치(600-1)는 케이스(501, 502)의 외측면에 배치된 제 1가압부(652-1)을 포함한다. 제 2단락 스위치(600-2)는 케이스(501, 502)의 외측면에 배치된 제 2가압부(652-2)을 포함한다. 제 1가압부(652-1)와 제 2가압부(652-2)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필터하우징(140)은, 상기 복수의 가압부(652-1, 652-2)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단락 돌기(141a, 141b)를 포함한다. 복수의 단락 돌기(141a, 141b)는, 제 1단락 스위치(600-1)를 누르도록 구비된 제 1단락 돌기(141a)와, 제 2단락 스위치(600-2)를 누르도록 구비된 제 2단락 돌기(141b)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500)를 안착시킨 드로어(400)가 필터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복수의 단락 돌기는 각각 상기 복수의 가압부(652-1, 652-2)를 누르게 된다.
100 : 공기청정장치 200 : 가습장치
130 : 바디 131 : 바디 케이스
140 : 필터하우징 141 : 단락 돌기
144 : 차단 돌기 145 : 차단 스위치
148a : 대전부 전원단자 149a : 대전부 접지단자
148b : 집진부 전원단자 149b : 집진부 접지단자
10 : 필터어셈블리
300 : 메쉬필터 400 : 드로어
410 : 프레임 413 : 필터커버
500 : 전기집진장치 350 : 광촉매필터
510 : 대전부 540 : 집진부
581, 581a, 581b : 고전압 발생기 582, 582a, 582b : 접지
583, 583a, 583b : 접지선 584, 584a, 584b : 고전압선
518 : 대전부 전원수용단자 519 : 대전부 접지수용단자
548 : 집진부 전원수용단자 549 : 집진부 접지수용단자
600 : 단락 스위치

Claims (20)

  1. 외형을 형성하고 측면 중 일측에 필터설치개구부가 형성된 바디 케이스;
    상기 바디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필터하우징;
    공기가 통과하는 드로어 개구부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필터설치개구부를 덮어주는 필터커버를 포함하는 드로어; 및
    서로 분리가능하도록 적층된 전기집진장치 및 광촉매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드로어 개구부를 통과한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드로어는 상기 필터설치개구부를 통해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인출이 가능하고,
    상기 전기집진장치 및 광촉매필터의 전방부는 상기 필터커버의 후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커버의 후측면은,
    상기 전기집진장치 및 광촉매필터의 전방면에 접촉하는 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부의 좌우 외측으로 연장된 부분이 상기 전기집진장치 및 광촉매필터의 측면부의 전방측 일부에 접촉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필터커버의 하측부위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좌우측에 상기 프레임의 본체와 높이차를 갖는 안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전기집진장치는, 하측면이 상기 높이차를 갖는 안착면에 맞물리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측면 중 일부가 상기 안착면에 접촉되어 지지되고,
    상기 광촉매필터는 상기 전기집진장치의 상측에 안착되어 지지되고,
    상기 전기집진장치의 측면부의 적어도 상측부가 상기 프레임보다 높게 위치되는 공기청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어가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공기가 상하방향으로 상기 드로어 개구부 및 필터모듈을 통과하도록 구비되는 공기청정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필터하우징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드로어 개구부는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청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커버는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의 전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의 후단부 사이를 연결하며 배치되는 리어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의 전단부 사이를 연결하며 배치되고 상기 필터커버의 후면에 결합된 프론트 프레임을 포함하는 공기청정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리어 프레임 및 프론트 프레임은 상기 필터모듈이 안착되는 안착면을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의 안착면은, 상기 리어 프레임의 안착면 및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안착면 중 적어도 하나와 높이차를 가지는 공기청정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하우징은,
    상기 필터하우징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인출 및 인입을 가이드해주는 한 쌍의 드로어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드로어는,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드로어 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는 한 쌍의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어와 독립적으로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인출되는 메쉬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하우징은,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한 쌍의 드로어 가이드 사이에 상기 드로어 가이드보다 낮게 배치되고, 상기 메쉬필터의 인출 및 인입을 가이드해주는 메쉬필터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하우징은,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모듈이 상기 드로어와 함께 인출 및 인입될 때 상기 필터모듈의 상측면의 이동을 가이드해주는 필터모듈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어 가이드 및 상기 슬라이더 중 어느 하나는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드로어 가이드 및 상기 슬라이더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롤러가 접촉하는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는,
    상기 드로어가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기 시작할 때 상기 롤러에 접촉되는 제 1지점부터 상기 드로어 개구부의 전단이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기 이전에 상기 롤러에 접촉되는 제 2지점까지, 평탄면을 형성하는 제 1구간부; 및
    상기 제 2지점부터 상기 드로어가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상기 롤러에 접촉되는 제 3지점까지, 상기 프레임을 상측으로 올려주도록 상기 제 1구간부와 다른 높이를 가진 제 2구간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구간부는,
    상기 제 1구간부의 높이와 상대적으로 큰 높이차를 가지고 상기 제 2지점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제 1높이 형성부; 및
    상기 제 1구간부의 높이와 상대적으로 작은 높이차를 가지고 상기 제 3지점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제 2높이 형성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모듈은,
    상기 드로어와 독립적으로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전기집진장치의 유입구가 형성된 방향에 배치되는 메쉬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하우징은,
    상기 전기집진장치에 전원의 인가가능 여부를 스위칭하고,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모두 눌릴 경우 상기 전원이 인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 1차단 스위치 및 제 2차단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집진장치는,
    상기 드로어가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된 때 상기 제 1차단 스위치를 누르도록 상기 전기집진장치에서 돌출된 제 1차단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메쉬필터는,
    상기 메쉬필터가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된 때 상기 제 2차단 스위치를 누르도록 상기 메쉬필터에서 돌출된 제 2차단 돌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커버는, 하측부에 상기 프레임이 결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공기청정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커버는,
    손잡이를 형성하는 전면부;
    필터모듈의 전방면에 접촉하는 후면부; 및
    상기 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 상측면을 마주보는 상면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커버는,
    상기 상면부에 배치되고, 상기 드로어가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상기 필터하우징에 걸리는 걸림부; 및
    상기 손잡이에 배치되고, 상기 걸림부의 걸림을 해제시키는 걸림해제 버튼을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커버는, 상기 필터설치개구부의 높이 보다 소정 간격 높게 형성되고 센서홀을 형성하는 상측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연장부의 배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센서홀을 통해 유입된 공기로부터 소정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모듈을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홀은 상기 복수의 센서가 배열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공기청정장치.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케이스는, 상기 드로어가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상기 상측 연장부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함몰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장치.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먼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 케이스는, 상기 먼지센서의 내부 청소를 위한 청소홀과, 상기 먼지센서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홀과, 상기 먼지센서로부터 공기를 유출시키기 위한 유출홀을 형성하고,
    상기 센서홀은 상기 유입홀 및 상기 유출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상측 연장부는, 상기 드로어의 인출 및 인입에 따라 상기 청소홀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공기청정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센서는 상기 먼지센서로 유입된 공기에 열을 가하는 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홀, 청소홀 및 유출홀은 순서대로 하측부터 상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센서홀은, 상기 유입홀 및 상기 유출홀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좌우방향으로 긴 슬릿으로 형성되고,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슬릿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공기청정장치.
KR1020160113455A 2015-10-30 2016-09-02 공기청정장치 KR102017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96396.2A EP3163203B1 (en) 2015-10-30 2016-10-28 Air freshener
US15/338,292 US10668422B2 (en) 2015-10-30 2016-10-28 Air freshener
JP2018522038A JP6956714B2 (ja) 2015-10-30 2016-10-29 空気清浄装置
PCT/KR2016/012331 WO2017074145A2 (ko) 2015-10-30 2016-10-29 공기청정장치
US15/339,568 US10267528B2 (en) 2015-10-30 2016-10-31 Air conditioning apparatus
CN202210827536.5A CN115200138A (zh) 2015-10-30 2016-10-31 空气净化装置
CN201610997651.1A CN107036197B (zh) 2015-10-30 2016-10-31 空气净化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48463P 2015-10-30 2015-10-30
US62/248,463 2015-10-30
US201562252017P 2015-11-06 2015-11-06
US62/252,017 2015-11-06
KR1020150156254 2015-11-07
KR20150156254 2015-11-07
KR1020150185846 2015-12-24
KR20150185846 2015-12-24
KR1020160037246 2016-03-28
KR1020160037235A KR20170051142A (ko) 2015-10-30 2016-03-28 가습청정장치
KR1020160037246A KR20170051143A (ko) 2015-10-30 2016-03-28 공기청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60037235 2016-03-28
US201662355118P 2016-06-27 2016-06-27
US62/355,118 2016-06-27
KR1020160083227A KR20170051182A (ko) 2015-10-30 2016-07-01 공기청정장치
KR1020160083227 2016-07-0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007A Division KR20190101349A (ko) 2015-11-06 2019-08-22 공기청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200A KR20170051200A (ko) 2017-05-11
KR102017146B1 true KR102017146B1 (ko) 2019-09-02

Family

ID=5874158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456A KR101919823B1 (ko) 2015-10-30 2016-09-02 공기청정장치
KR1020160113455A KR102017146B1 (ko) 2015-10-30 2016-09-02 공기청정장치
KR1020160121745A KR101942525B1 (ko) 2015-10-30 2016-09-22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456A KR101919823B1 (ko) 2015-10-30 2016-09-02 공기청정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745A KR101942525B1 (ko) 2015-10-30 2016-09-22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19198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835B1 (ko) * 2017-11-23 2019-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527659B1 (ko) 2017-11-27 2023-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2047762B1 (ko) 2018-02-05 2019-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집진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집진 장치
KR102531715B1 (ko) * 2018-02-19 2023-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 공기청정기
KR102084412B1 (ko) * 2018-09-19 2020-04-23 김효수 청소가 용이한 전기 집진기
KR102386686B1 (ko) * 2018-10-18 2022-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 공기청정기
KR102151236B1 (ko) * 2018-10-18 2020-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 공기청정기
KR102029673B1 (ko) 2019-04-01 2019-10-08 주식회사 지이테크 실외 공기 여과형 공기청정기
WO2022197409A1 (en) * 2021-03-19 2022-09-22 Bissell Inc. Air purifier
DE112022002758A5 (de) * 2021-05-27 2024-04-18 Petra Sprenger Desinfektionseinheit
KR20230100873A (ko) 2021-12-29 2023-07-0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집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KR20230132308A (ko) * 2022-03-08 2023-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WO2024076000A1 (ko) * 2022-10-06 2024-04-11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186B1 (ko) * 2014-05-28 2015-06-22 대부휠터(주) 차량용 에어클리너
JP2015145737A (ja) * 2014-01-31 2015-08-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加湿機能付き空気清浄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317B1 (ko) * 2002-12-23 2005-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0496920B1 (ko) * 2003-02-21 2005-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0337085Y1 (ko) * 2003-09-25 2003-12-3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음이온 및 산소 발생 모듈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KR200343345Y1 (ko) * 2003-12-16 2004-03-02 고려알파라인(주) 다단으로 적층된 서랍식 용기
KR100702219B1 (ko) * 2005-09-22 2007-04-03 이관식 필터오염 감지기능을 갖는 제어반용 냉각장치
KR20080055013A (ko) * 2006-12-14 2008-06-19 엘지마이크론 주식회사 이방성 도전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474493B1 (ko) 2010-01-29 2014-12-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KR101858940B1 (ko) * 2011-06-10 2018-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KR101270356B1 (ko) * 2011-08-16 2013-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45737A (ja) * 2014-01-31 2015-08-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加湿機能付き空気清浄機
KR101530186B1 (ko) * 2014-05-28 2015-06-22 대부휠터(주) 차량용 에어클리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9823B1 (ko) 2018-11-19
KR20170051200A (ko) 2017-05-11
KR20170051201A (ko) 2017-05-11
KR101942525B1 (ko) 2019-04-11
KR20170051208A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7146B1 (ko) 공기청정장치
EP3163203B1 (en) Air freshener
CN107036197B (zh) 空气净化装置
KR20190101349A (ko) 공기청정장치
JP6956714B2 (ja) 空気清浄装置
US20230285888A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5702507A (en) Automatic air cleaner
KR20170051144A (ko)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US10443888B2 (en) Air conditioner
KR20170051173A (ko) 가습청정장치 및 그 방법
US11369975B2 (en) Filter unit for an extractor hood, and extractor hood
US20170120181A1 (en) Air freshener
EP3093563B1 (en) Air conditioner
US7309386B2 (en) Vertical air cleaner
KR20160090459A (ko) 공기체류시간을 연장한 공기청정기
KR102529763B1 (ko) 공기청정장치
KR101342101B1 (ko) 전기 집진기
KR20170051182A (ko) 공기청정장치
KR20040075448A (ko) 공기청정기
JP2020069446A (ja) 電気集塵機の集塵部
CN216308086U (zh) 一种净化风机及净化器
KR20040075456A (ko) 공기청정기
KR100512621B1 (ko) 공기청정기
KR200239366Y1 (ko) 공기정화기
JP2024002587A (ja) 空気清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