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0097A - 차량용 종합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종합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0097A
KR20170050097A KR1020150151174A KR20150151174A KR20170050097A KR 20170050097 A KR20170050097 A KR 20170050097A KR 1020150151174 A KR1020150151174 A KR 1020150151174A KR 20150151174 A KR20150151174 A KR 20150151174A KR 20170050097 A KR20170050097 A KR 20170050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erminal units
unit
central contro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1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0145B1 (ko
Inventor
이강원
윤용기
김명룡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51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0145B1/ko
Publication of KR20170050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 B61C17/12Control gear;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locomotives from remote points in the train or when operating in multiple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18Communication with or on the vehicle or train
    • B61L15/0036Conductor-based, e.g. using CAN-Bus, train-line or optical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종합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의 차량 내에서 제어 및 모니터링이 요구되는 차량 장치와 인접하도록 배치된 다수의 터미널유닛과, 디스플레이 유닛 및 중앙 제어 유닛 사이에 이더넷 통신망을 이용하므로, 정보수집이 신속 및 원활할 수 있으며, 배선을 감소시킬 수 있고 종합제어가 용이하게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차량 장치들로부터 차량 구동 상태 정보를 캔 통신을 통해 수신하는 다수의 터미널유닛과, 다수의 터미널 유닛과 이더넷 통신을 통해 연결되고, 다수의 터미널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차량의 구동 상태 정보에 따라, 다수의 차량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중앙 제어 유닛 및, 중앙 제어 유닛과 이더넷 통신을 통해 연결되고, 중앙 제어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패널을 통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종합 제어 장치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종합 제어 장치{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for Vehicle }
본 발명은 차량용 종합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내에는 다수의 전기 및 전자 장치들이 설치되어, 복잡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차량내에 설치된 전기 및 전자 장치들은 차량의 안전을 위해서, 실시간으로 종합적으로 감독 및 제어가 요구된다.
그러나 차량내에 분산 배치된 각 전기 및 전자 장치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종합 제어 장치 사이를 모두 각각 연결할 경우 배선이 증가되어, 차량 중량이 증가될 수 있으며, 배선사이의 거리가 길 경우 노이즈 발생이 증가될 수 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차량 내에서 제어 및 모니터링이 요구되는 차량 장치와 인접하도록 배치된 다수의 터미널유닛과, 디스플레이 유닛 및 중앙 제어 유닛 사이에 이더넷 통신망을 이용하므로, 정보수집이 신속 및 원활할 수 있으며, 배선을 감소시킬 수 있고 종합제어가 용이할 수 있는 차량용 종합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앙 제어 유닛에 이상이 발생하여도, 디스플레이 유닛에 구비된 중앙처리장치를 통해 비상모드로 차량의 주행을 제어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종합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종합 제어 장치는 다수의 차량 장치들로부터 차량 구동 상태 정보를 캔 통신을 통해 수신하는 다수의 터미널유닛과, 상기 다수의 터미널 유닛과 이더넷 통신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터미널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차량의 구동 상태 정보에 따라, 다수의 차량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중앙 제어 유닛 및, 상기 중앙 제어 유닛과 이더넷 통신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중앙 제어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패널을 통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중앙 제어 유닛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내에 구비된 중앙처리장치를 통해 차량 주행을 비상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터미널 유닛은 상기 다수의 차량 장치에서, 모니터링 및 제어가 필요한 차량 장치와 인접하도록 차량 내에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터미널 유닛은 2량 이상의 차량이 편성된 경우에, 각각의 차량내에서 모니터링 및 제어가 필요한 상기 차량 장치와 인접하도록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터미널유닛은 디스플레이 유닛 및 다른 터미널 유닛과 이더넷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이더넷 통신을 통해 연결된 상기 다수의 터미널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패널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종합 제어 장치는 복수의 차량 내에서 제어 및 모니터링이 요구되는 차량 장치와 인접하도록 배치된 다수의 터미널유닛과, 디스플레이 유닛 및 중앙 제어 유닛 사이에 이더넷 통신망을 이용하므로, 정보수집이 신속 및 원활할 수 있으며, 배선을 감소시킬 수 있고 종합제어가 용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종합 제어 장치는 중앙 제어 유닛에 이상이 발생하여도, 디스플레이 유닛에 구비된 중앙처리장치를 통해 비상모드로 차량의 주행을 제어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종합 제어 장치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종합 제어 장치에서 중앙 제어 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차량용 종합 제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차량용 종합 제어 장치에서 터미널 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종합 제어 장치의 구조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종합 제어 장치(100)는 중앙 제어 유닛(110), 디스플레이 유닛(120) 및 다수의 터미널유닛(130)을 포함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중앙 제어 유닛(110)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의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를 참조하면 도 1의 다수의 터미널유닛(130)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차량용 종합 제어 장치(100)의 구성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중앙 제어 유닛(110), 디스플레이 유닛(120) 및 다수의 터미널유닛(130)은 서로 이더넷(Ethernet) 통신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다수의 터미널유닛(130)은 캔(CAN, 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에 의해 차량에 장착된 다수의 차량 장치(10)와 각각 연결된다. 상기 차량 장치(10)는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의 구동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각종 센서와, 차량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차량부품 및 전자 제어유닛(Electric control unit)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 유닛(110)은 이더넷 통신에 의해 다수의 터미널유닛(130)과 연결되고, 다수의 터미널유닛(130)을 통해 다수의 차량 장치(1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제어 유닛(110)은 다수의 터미널유닛(130)을 통해 수신된 차량 장치(10)들의 상태 및 정보를 이더넷 통신을 통해 수신하고, 이를 통해 각각의 차량 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터미널유닛(130)을 통해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제어 유닛(110)은 차량 장치(10)를 통해 수신한 각종 정보를 운전석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유닛(12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 유닛(110)은 다수의 차량 장치(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처리하고, 수신한 데이터에 따라 각 차량 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산출하는 중앙처리장치(111), 상기 중앙처리장치(111)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12), 상기 전원공급부(112)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광원의 구동을 제어하는 광컨트롤러(113)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에 설정되어 있는 프로그램은 외부의 PC에 의해서 변경하거나,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제어 유닛(110)은 차량 장치(1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일정 용량을 갖는 메모리(114)와, 다수의 터미널유닛(130) 및 디스플레이 유닛(120)과 이더넷 통신을 위한 이더넷 허브(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제어 유닛(110)은 차량의 내부에서 연결 가능한 커넥터(116)와, 차량 내에 장착된 스피커 또는 사운드 장치와 연결된 오디오 유닛(117)을 더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116)은 USB 커넥터이거나, RS232 통신을 위한 커넥터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중앙 제어 유닛(110)은 현재의 시각정소를 계속하여 송출하는 RTC(Real-time clock) 회로(1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중앙 제어 유닛(110) 및 다수의 터미널유닛(130)을 통해 입력 받은 디스플레이 정보를 패널(129)을 통해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중앙 제어 유닛(110)에 구비된 중앙처리장치(111)가 정상적으로 구동하지 않을 경우, 대체 가능한 중앙처리장치(12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중앙처리장치(121)를 통해서, 중앙 제어 유닛(110)에 문제 발생할 경우, 차량 장치(10)의 구동을 비상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중앙 제어 유닛(110)의 이상 여부를 중앙처리장치(121)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중앙 제어 유닛(110)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차량 주행을 위한 차량 장치(10)들의 구동을 비상 모드로 제어하여, 운전자 및 차량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중앙 제어 유닛(110)에 포함된 구성과 같은 중앙처리장치(121), 전원공급부(122), 광컨트롤러(123), 메모리(124), 이더넷 허브(125), 커넥터(126)와, 오디오 유닛(127) 및 RTC(Real-time clock) 회로(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처리장치(121), 전원공급부(122), 광컨트롤러(123), 메모리(124), 이더넷 허브(125), 커넥터(126)와, 오디오 유닛(127) 및 RTC(Real-time clock) 회로(128)는 중앙 제어 유닛(110)의 동일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디스플레이 뿐만아니라, 경고음 및 조작음을 처리할 수 있는 스피커(127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127a)는 오디오 유닛(127)을 통해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를,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운전자의 조작을 입력 받을 수 있는 스위치(129a) 또는 터치 패널(129)과 같은 입력 수단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챠량의 외부에 장착된 CCTV와 같은 카메라장치인 차량 장치(10)와 직접 연결되어, 외부 영상을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터미널유닛(130)은 이더넷 통신을 통해서, 중앙 제어 유닛(110), 디스플레이 유닛(120) 및 다른 터미널유닛(130)들과 연결된다. 즉, 다수의 터미널유닛(130)은 이더넷 통신을 위한 이더넷 포트(135)를 구비하고, 이더넷 통신 변환을 위한 PHY(134)를 구비한다. 또한 터미널유닛(130)은 다수의 차량 장치(10)와 캔 통신을 통해서 연결된다. 즉, 다수의 터미널유닛(130)은 다수의 차량 장치(10)와 캔 통신을 위한 캔 포트(133)을 구비한다.
상기 터미널유닛(130)은 다수의 차량 장치(10)에 전원을 공급하고, 각각의 차량 장치(1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 또는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릴레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터미널유닛(130)은 다수의 전원 단자와 다수의 릴레이 사이에는 과전류 발생을 차단하기 위한 스마트 퓨즈를 구비한다. 상기 스마트 퓨즈는 일정 시간 경과 후엔, 차단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유닛(130)은 각 통신 포트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이더넷 통신을 통해 중앙 제어 유닛(110) 및 디스플레이 유닛(120)으로 전송하기 위한 컨트롤러(1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31)는 터미널유닛(130)에 구비되어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136)와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터미널유닛(130)은, 터미널유닛(130)의 각 구성(릴레이 등)의 구동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유닛(1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유닛(132)은 터미널유닛(130)내에 포함된 구성요소의 구동을 제어하거나, 터미널유닛(130)내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터미널유닛(130)은 아날로그 단자(139) 및 아날로그 신호를 프로그램 유닛에서 처리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 컨버터(1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S232 통신을 위한 커넥터(1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미널유닛(130)은 차량 장치(10)와 인접한 영역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하나의 터미널 유닛(130)당 적어도 4개 이상의 차량 장치(10)가 캔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종합 제어 장치(100)에서는 8개의 터미널유닛(130)을 도시하였으나, 차량의 편성 개수에 따라서 터미널유닛(130)의 개수는 더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도 1의 경우, 2량의 차량이 편성될 경우에 한한 것이며, 하나의 차량에 대해서 4개의 터미널유닛(130)이 배치될 수 있으며, 나머지 4개의 터미널유닛(130)은 연결기를 통해 연결된 타 차량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연결된 차량의 개수가 증가할 경우 터미널유닛(130)도 이와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터미널유닛(130)은 제어 대상 또는 모니터 대상이 되는 복수의 차량 장치(10)와 인접하도록 차량 내에 각각 분산 배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종합 제어 장치(100)는 복수의 차량 내에서 제어 및 모니터링이 요구되는 차량 장치와 인접하도록 배치된 다수의 터미널유닛(130)과, 디스플레이 유닛(120) 및 중앙 제어 유닛(110) 사이에 이더넷 통신망을 이용하므로, 정보수집이 신속 및 원활할 수 있으며, 배선을 감소시킬 수 있고 종합제어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종합 제어 장치(100)는 중앙 제어 유닛(110)에 이상이 발생하여도,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구비된 중앙처리장치(121)를 통해 차량의 주행에 필요한 차량 장치(10)의 구동을 제어하는 비상모드로 제어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종합 제어 장치(100)의 구성은 다관절 시험차량 1편성당 디스플레이 유닛(120) 1개, 중앙 제어 유닛(110)가 1개, 다수의 터미널유닛(130)로 구성된다. 다관절 차량은 2량이상의 편성으로 구성되므로 본 차량용 종합 제어 장치(100)는 2량이상 즉 3량, 4량등으로의 차량을 증가시키는 것에 용이하게 확장이 가능하도록 터미널유닛(130)를 동일하게 구성하였고 하나의 중앙 제어 유닛(110)에 모든 프로그램을 적재하고 중앙 제어 유닛(110)와 이더넷으로 연결된 각 차량별 터미널유닛(130)를 제어대상 또는 모니터링 대상 주변에 근접 배치하여 차량내 장치의 제어 및 모니터링 또는 차량설치센서정보의 입력등에 의한 차량상태정보를 디지털입력포트, 아날로그입력포트, CAN통신포트, 이더넷통신포트등에 의해서 취합하여 운전자가 차량에 대해 적절히 대응하게 하고 승객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디스플레이 유닛(120)는 터미널유닛(130)들로부터 중앙 제어 유닛(110)에 입력된 정보 또는 직접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전달된 정보를 운전자에게 현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중앙 제어 유닛(110)가 기능을 상실할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유닛(120)가 중앙 제어 유닛(110)의 주요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주행 중 발생할 수 있는 비상상황으로부터 승객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차량용 종합 제어 장치(100)의 중앙 제어 유닛(110)는 차량용 종합 제어 장치(100)의 제어 프로그램이 적재되는 중앙 제어 장치로서 Ethernet 통신을 이용하여 터미널유닛(130)로 입력된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정보를 입력받아 중앙 제어 유닛(110)에 의해 출력 제어를 결정하고 해당 외부 장치와 연결된 터미널유닛(130)를 통하여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한다. 중앙 제어 유닛(110)는 차량 속도 센서로부터 출력된 펄스신호를 입력받아 처리가 가능하고 터미널유닛(130)와의 디지털/아날로그 입력 및 출력이 가능하며 자체 내장 메모리에 의해 적정한 수준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외부의 PC에 의한 프로그램의 변경/로딩/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차량용 종합 제어 장치(100)의 터미널유닛(130)는 Ethernet통신을 이용하여 중앙 제어 유닛(110), 디스플레이 유닛(120) 및 다른 터미널유닛(130)와 통신하고 CAN통신을 이용한 외부장치와의 통신이 가능하며 중앙 제어 유닛(110)에 의해 그 기능수행이 제어되나 필요시 자체 프로그램에 의해서도 기능 수행이 가능하다. 중앙 제어 유닛(110)에 의한 터미널유닛(130)의 디지털/아날로그 입출력기능이 설정되면 외부장치에 대한 제어 및 센서정보의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터미널유닛(130)는 CAN통신단자, Ethernet통신단자, 전원단자, 접지단자, Fuse, 릴레이 등이 함께 하나의 모듈안에 설치되는 구조이다. 터미널유닛(130)는 CAN통신을 이더넷통신으로 변환하거나 이더넷통신을 CAN통신으로 변환할 수 있는 독립적으로 동작이 가능한 별도의 변화기능을 가지고 있어 주변장치의 통신방식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터미널유닛(130)는 주변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항시 많은 부하부담을 가지게 되므로 사용되는 휴즈가 차단될 수 있어 주변장치의 정상적인 동작을 방해할 수 있고 휴즈교체에 따른 운행시간의 지연을 발생할 수 있으므로 터미널유닛(130)에는 스마트휴즈를 설치하여 이상전류에 의한 휴즈가 차단된 경우에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휴즈가 정상적인 동작을 하여 해당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차량용 종합 제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20)는 차량용 종합 제어 장치(100)의 화면 현시 장치로서 Ethernet 통신을 이용하여 중앙 제어 유닛(110), 터미널유닛(130)의 정보를 입력 받아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유닛(120)는 자체 내장메모리에 의해 적정한 수준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20)는 외부 PC에 의해 프로그램 변경/로딩/모니터링이 가능하고 가시적으로 다양한 색상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조작음 및 경고음을 낼 수 있으며 운전자의 조작에 의한 스위치 입력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120)는 자체적인 조작에 의해 디스플레이 내 항목들을 선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20)는 중앙 제어 유닛(110)와 처리능력이 동일한 CPU를 탑재하여 디스플레이 유닛(120)본래의 운전자 인터페이스기능 이외에 중앙 제어 유닛(110)의 정상적인 기능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는 독립적으로 중앙 제어 유닛(110)의 주행안전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서 중앙 제어 유닛(110)의 Redundancy 장치로서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외부 CCTV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유닛(120)에 직접 연결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종합 제어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차량용 종합 제어 장치
110; 중앙 제어 유닛 120; 디스플레이 유닛
130; 터미널유닛

Claims (6)

  1. 다수의 차량 장치들로부터 차량 구동 상태 정보를 캔 통신을 통해 수신하는 다수의 터미널유닛;
    상기 다수의 터미널 유닛과 이더넷 통신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터미널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차량의 구동 상태 정보에 따라, 다수의 차량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중앙 제어 유닛; 및
    상기 중앙 제어 유닛과 이더넷 통신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중앙 제어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패널을 통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종합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중앙 제어 유닛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내에 구비된 중앙처리장치를 통해 차량 주행을 비상 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종합 제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터미널 유닛은
    상기 다수의 차량 장치에서, 모니터링 및 제어가 필요한 차량 장치와 인접하도록 차량 내에 분산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종합 제어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터미널 유닛은 2량 이상의 차량이 편성된 경우에, 각각의 차량내에서 모니터링 및 제어가 필요한 상기 차량 장치와 인접하도록 분산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종합 제어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터미널유닛은 디스플레이 유닛 및 다른 터미널 유닛과 이더넷 통신을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종합 제어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이더넷 통신을 통해 연결된 상기 다수의 터미널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패널을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종합 제어 장치.
KR1020150151174A 2015-10-29 2015-10-29 차량용 종합 제어 장치 KR101740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174A KR101740145B1 (ko) 2015-10-29 2015-10-29 차량용 종합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174A KR101740145B1 (ko) 2015-10-29 2015-10-29 차량용 종합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097A true KR20170050097A (ko) 2017-05-11
KR101740145B1 KR101740145B1 (ko) 2017-05-25

Family

ID=58741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1174A KR101740145B1 (ko) 2015-10-29 2015-10-29 차량용 종합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01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9069A (ko) * 2019-06-03 2020-12-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의 통합배전반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9069A (ko) * 2019-06-03 2020-12-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의 통합배전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0145B1 (ko) 2017-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62171A (zh) 汽车电控系统及汽车
WO2009145692A1 (en) Switch module for a power supply network and power supply network comprising at least one switch module
WO2012006279A1 (en) Electrical and electronic system having an electrical center for a vehicle
KR101450112B1 (ko) 선박의 엔진과 콘트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장치
CN101604165B (zh) 一种混合动力汽车车载诊断系统及其诊断方法
JP2016072764A (ja) 車両用電源ボックス装置
JP6135491B2 (ja) 自動車用電源装置
CN210652984U (zh) 汽车电控系统及汽车
JP2013212563A (ja) スイッチボックスおよび教示装置およびロボット制御装置およびロボット制御装置の使用方法
JPH08186880A (ja) 車載多重伝送システム
JP2017024456A (ja) バックアップバッテリシステム
KR101740145B1 (ko) 차량용 종합 제어 장치
JP2019196052A (ja) ワイヤハーネス、ワイヤハーネス用の部品モジュール、及び、車両部品
CN101322209A (zh) 监测连接在开关设备上游的保护装置的方法
US20140236422A1 (en) Vehicle data setting system and output setting method thereof
CN112368978B (zh) 车载通信系统、数据取得装置、管理装置及监视方法
JP6153065B2 (ja) 車両用情報提供装置
US11573568B2 (en) Function-oriented electronics architecture
JP2002316598A (ja) データ通信バックアップシステム
JP3191903B2 (ja) 車両用システムにおける簡易診断装置
KR100470900B1 (ko) 알람신호 처리시스템
JP6326350B2 (ja) モジュール間接続システム
JP2014151857A (ja) 車両用電装システム及び車両用電装システムの不具合検出方法
JPH11136222A (ja) 車載多重通信システム
KR200426630Y1 (ko) 변전소 운영상태 감시를 위한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배전반의 마스터씨피유 이중화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