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8606A - 증강된 항미생물 펩티드 및 단백질 수준과 관련된 피부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 또는 완화하기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증강된 항미생물 펩티드 및 단백질 수준과 관련된 피부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 또는 완화하기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8606A
KR20170048606A KR1020177010970A KR20177010970A KR20170048606A KR 20170048606 A KR20170048606 A KR 20170048606A KR 1020177010970 A KR1020177010970 A KR 1020177010970A KR 20177010970 A KR20177010970 A KR 20177010970A KR 20170048606 A KR20170048606 A KR 20170048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tambourine
plant
skin
plant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0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롤라인 세종드
프랑소아제 샨뗄루베
알랜 로와조
버지니어 뻬띠
에릭 테롱
Original Assignee
바이엘 컨수머 케어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컨수머 케어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이엘 컨수머 케어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70048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6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4Antipruri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0Anti-acn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20Antivirals for DNA viruses
    • A61P31/22Antivirals for DNA viruses for herpes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4Vasoprotectives; Antihaemorrhoidals; Drugs for varicose therapy; Capillary stabili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2Aftershav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9Complex extraction schemes, e.g. fractionation or repeated extraction st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5Anti-irrit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Abstract

본 발명은 항미생물 펩티드 또는 단백질의 증강된 수준과 관련된 피부 또는 점막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 또는 완화하기 위한 것으로써, 임의로 폴리페놀을 포함하는 탐부리사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제 또는 화장품 조성물, 탐부리사 식물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추출물 자체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증강된 항미생물 펩티드 및 단백질 수준과 관련된 피부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 또는 완화하기 위한 조성물{COMPOSITIONS FOR TREATING OR ALLEVIATING SKIN DISEASES OR DISORDERS RELATED TO AN ENHANCED LEVEL OF ANTI-MICROBIAL PEPTIDES AND PROTEINS}
본 발명은 항미생물 펩티드 또는 단백질의 증강된 수준과 관련된 피부 또는 점막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 또는 완화하기 위한 것으로써, 폴리페놀을 포함하는 탐부리사(Tambourissa)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제 또는 화장품 조성물, 탐부리사 식물 추출물의 제조 방법, 그리고 추출물 자체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탐부리사 속은 모니미아세아에(Monimiaceae) 과에 속하며, 인도양 서부 섬들, 주로 마다가스카르는 물론 코모로스 및 마스카렌 (마우리티우스 및 리유니온) 섬에만 분포되어 있는 43개의 종들로 구성된다. 탐부리사 종은 그들 대부분이 하나의 섬 및 하나의 자생지에만 국한되기 때문에, 토착적인 특이성을 나타낸다.
탐부리사 트리코필라(Tambourissa trichophylla) (베이커(Baker))는 마다카스카르 및 코모로스에서 생육한다. 이것은 5 내지 12 m 높이의 나무이다. 잎은 대향이고, 타원형의 피침모양으로 8 내지 20 cm 길이이며, 상부가 톱니모양이다. 웅성의 꽃은 5-6 mm 직경의 측성(axillaris) 또는 말단성(terminal)이며, 1.5 내지 3 cm 길이이다. 과실은 4 cm 직경의 구형으로써, 가죽질의 과피 및 다수의 핵과를 가진다. 마다가스카르에서, 이 식물은 암보라하사 또는 암보라로 불리우며, 전통적으로 의료용으로, 예를 들면 흉터 개선, 및 켈로이드 관리 (수피) 또는 구강 위생 (구강세척용 엽차)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다른 탐부리사 종들 역시 전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탐부리사 마이크로필라(Tambourissa microphylla)의 으깬 신선 잎은 상처 치유 작용을 위해 피부에 직접 적용되며, 탐부리사 렐리지오사(Tambourissa religiosa)는 조직 복구용으로 사용되고, 탐부리사 카푸로니이(Tambourissa capuronii) (액체 식물성 왁스와 함께 으깬 잎)은 비듬 치료를 돕는다.
탐부리사 트리코필라는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들, 더 구체적으로는 에피카테킨(epicatechin), 니코티플로린(nicotiflorin) 및 루틴(rutin)을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문헌 [A. Lhuillier, L'Iinstitut National Polytechnique de Toulouse, 2007]).
폴리페놀은 식물에서 발견되며, 분자 당 1개를 초과하는 페놀 단위 또는 빌딩 블록의 존재를 특징으로 하는 화학 물질의 군이다. 폴리페놀은 일반적으로 가수분해가능 탄닌 (글루코스 및 기타 당의 갈산 에스테르)과 페닐프로파노이드, 예컨대 리그닌, 플라보노이드, 및 축합 탄닌으로 나누어진다. 폴리페놀은 잠재적인 건강상의 이익과 함께 항산화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플라보노이드는 식물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꽃에서 황색 또는 적색/청색 색소를 생성시키는 것, 및 미생물과 곤충에 의한 공격으로부터의 보호를 포함한 많은 기능들을 수행한다. 플라보노이드는 식물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매우 다양하고, 낮은 독성을 가진다. 플라보노이드는 알레르기원, 바이러스, 및 발암물질에 대한 신체의 반응을 개질하는 그의 고유한 능력에 대한 강한 실험적 증거로 인하여 "천연의 생물학적 반응 개질제"로 지칭되어 왔다. 이들 중 일부는 항알레르기, 항염증, 항미생물 및 항암 활성을 나타낸다.
루토시드(rutoside)로도 지칭되는 루틴은 플라보놀 퀘르세틴과 이당류 루티노스 사이의 감귤 플라보노이드 글리코시드이다. 이것은 루타 그라베올렌스(Ruta graveolens), 메밀, 륨(Rheum) 종의 잎 및 잎꼭지는 물론, 기타 공급원에서 발견될 수 있다.
루틴은 양이온과 결합될 수 있는데: 인간에서, 그것은 철 이온 Fe2+와 결합하여, 그것이 과산화 수소에 결합하는 것 및 자유-라디칼 세포 손상을 생성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루틴은 또한 항산화제로서, 그에 따라 일부 암을 억제하는 데에 역할을 한다. 루틴은 항염증제이기도 하다. 루틴은 혈관을 강화하며, 세포 벽의 투과도를 감소시키고, 혈관확장제로서 작용한다. 이것은 또한 혈관의 부종에 작용하여, 이후 혈전증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루틴은 죽상동맥경화증 발병의 원인이 되는 요인들 중 하나인 산소화 DTL 콜레스테롤의 세포독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Figure pat00001
루틴 (퀘르세틴-3-루티노시드)
에피카테킨 역시 플라보노이드로써, 녹차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의 주 폴리페놀계 성분이나, 다른 종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 에피카테킨은 항산화성이며, 심혈관계 기능을 개선하고, 뇌에서의 혈류를 증가시키며, 간친화성 바이러스에 대하여 활성인 것으로 입증된 바 있다.
Figure pat00002
에피카테킨
니코티플로린은 그 자체로, 또는 아몬드 (프루누스 둘시스(Prunus dulcis)), 녹차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카르타무스 팅크토리우스(Carthamus tinctorius), 포고나테룸 크리니툼(Pogonatherum crinitum), 센타우레아 히에라폴리타나(Centaurea hierapolitana), 미크로코스 파니쿨라타(Microcos paniculata) 등에서 카엠프페롤-3-O-루티노시드 글리콜시드로서 발견될 수 있는 플라보노이드 글리코시드이다. 이 화합물에 대한 연구는 그의 항산화 잠재력, 혈액 순환 개선에 대한 활성과 관련한 흥미로운 특성들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또한 섬유모세포 생장 촉진제이거나, 또는 항가려움 또는 햇빛차단 활성에 참여할 수 있다. 니코티플로린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대해서는 콜라겐 합성을 유도하고 콜라게나제를 억제하는 것에 의한 주름 예방이 주장되고 있다.
Figure pat00003
니코티플로린 (카엠프페롤-3-O-β-D-루티노시드)
항미생물 펩티드 또는 단백질 (또는 AMP, 숙주 방어 펩티드로도 지칭됨)은 광범위한 항미생물 화합물로써, 면역 방어의 초기 단계에서 다수의 상피 표면 (더 구체적으로는 피부)에 의해 사용되는 일차 기작들 중 하나에 해당한다. AMP에는 α- 또는 β-디펜신, RNase-7, S100-단백질 프소리아신 또는 카텔리시딘 LL-37이 포함된다. 상기 항미생물 활성은 그람 양성 및 그람 음성 세균은 물론, 균류 및 바이러스와도 관련된다. 인간 피부에 의한 항미생물 펩티드 또는 단백질의 생성은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나, 또한 감염, 염증 또는 손상 후에 조정되는 것으로도 보인다. 일부 피부 질환은 AMP의 변형된 발현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그의 농도는 건선 병변에서 증가되며, 아토피 병변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서는 감소된다.
카텔리시딘은 대부분의 순환 면역 세포 (단핵구, 백혈구, 호중구 등)는 물론 표피 각질세포에서도 발현되는 양이온성 항미생물 펩티드이다. 카텔리시딘은 다양한 상피 유사 피부 또는 점막은 물론 피부 또는 두피의 땀샘 및 피지세포에서도 생성된다. hCAP18 - 18 kDa의 인간 카텔리시딘 항미생물 펩티드 -은 카텔린-유사 도메인 및 LL-37 (2개의 류신 잔기로 시작하는 펩티드로써 37 아미노산 길이임)로 지칭되는 C-말단 펩티드로 구성된다. 카텔리시딘의 활성은 전구체 (hCAP18)로부터 성숙한 펩티드 (LL-37)로의 효소적 프로세싱에 의해 조절되는데, 이는 칼리크레인 (예컨대 SCTE 또는 칼리크레인-5로도 지칭되는 스트라툼 코르네움 트립신계 효소, SCCE 또는 칼리크레인-7으로도 지칭되는 S 스트라툼 코르네움 케모트립신계 효소)이 연관된 단백질분해 과정에 의해 유도된다.
건강한 피부에서, 표피 각질세포는 적은 양의 카텔리시딘을 발현한다. 감염 또는 장벽 붕괴시, 카텔리시딘은 강하게 유도되어, 호중구에 의해 방출되거나, 또는 각질세포에 의해 라멜라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처 치유의 경우, 카텔리시딘은 물론 미생물 방어에 참여할 뿐만 아니라, 피부 복구 과정에도 참여하는데, 그것이 전-염증 시토카인 합성, 면역 세포의 화학주성, 혈관형성 및 프로테오글리칸 발현을 활성화하기 때문이다. 장미증(rosacea)에서는, - 칼리크레인 활성 활성화와 함께 - 증가된 LL-37 펩티드 형태 카텔리시딘 발현이 알려져 있다. 비정상적인 AMP 발현은 또한 건선에서도 존재하는데, 건선 병변 피부에서는 카텔리시딘이 증가되는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US2007037744 A1호는 카텔리시딘 또는 관련 합성 펩티드의 항미생물 활성을 위한 용도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며, US2006292551 A1호는 항바이러스 활성 및 피부염에서의 활성에 대해 기술하고 있고, WO2004067025 A1호는 세포 증식 및 재생을 야기하는 것에 의한 그의 상처 치유에서의 용도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며, EP1358888 A1호는 혈관형성 유도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US2008038374 A1호는 카텔리시딘의 상향조절, 및 이후의 예컨대 비타민 D와 함께이며 스핑고실포스포릴 콜린을 통한 질환에 대한 효과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WO2008060362 A2호는 - 안티센스 또는 리보자임 분자 또는 비타민 D3 길항제를 포함하는 - 카텔리시딘 억제제, 및 그의 장미증 및 여드름에서의 용도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억제제 사용의 단점은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리보자임 분자가 용이하게 가용하지 않으며, 예컨대 코르티손과 같은 많은 비타민 D 길항제들이 심각한 부작용을 가진다는 것이다.
장미증은 일반적으로 얼굴에 발생하는 만성의 염증성 질환으로써, 세계적으로 약 45,000,000 명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고 있다. 이것은 혈관 장애에 해당하며, 잦은 화끈감 및 가려운 느낌을 동반한 주로 얼굴 중앙부에서의 모세혈관확장증 (피부 표면 부근에서의 가시적인 출혈성 모세혈관 확장), 홍반, 구진, 및 농포를 특징으로 한다. 장미증은 주로 북-서부 유럽 혈통의 주로 백인에게 영향을 주며, 양 성 모두와 관련되나, 여성에서 거의 3배 더 보편적이고, 30 내지 60세 사이에 최대 발병 연령을 가진다.
국소적 또는 전신적으로 투여되는 기존의 장미증 치료제들에는 항생제, 예컨대 테트라시클린, 미노시클린, 에리트로마이신 및 독시시클린, 아제트로마이신; 항감염제, 예컨대 아젤라산, 나디플록사신, 나트륨 술파세타미드 및 메트로니다졸; 엽산, 니코틴아미드 및 산화 아연을 포함하는 항염증제; 각질용해 활성화제, 예컨대 벤조일 퍼옥시드, 레소르시놀 및 살리실산; 그리고 레티노이드가 포함된다. 그러나, 이러한 화합물들 및 그의 제제들은 종종 장미증 및 여드름 치료에 제한된 효과만을 가진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메트로니다졸 - 0.75 % 내지 1 %의 활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크림 또는 로션 -의 국소 적용이 가장 보편적인 치료로써, 하루에 1회 또는 2회 8-12주 동안 적용될 때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메트로니다졸의 사용과 관련하여서는, 건조 피부, 피부 발적 또는 자극을 포함한 일부 부작용이 존재한다.
장미증은 다수의 기원을 가지는데, 유전, 신경 장애, 위 문제 등과 같은 원인들을 가질 수 있다. 국소 치료가 고려될 수 있는 주요 원인들은 하기와 관련된다:
- 항미생물 펩티드 (카텔리시딘) 및 관련 효소 활성 형태의 과-발현, 피부 만성 염증으로 이어지거나 피부 염증 만성성(chronicity)에 적합한 감염 상태의 유지와 관련됨.
- 혈관 결함, 자연적으로 얇아지고 반응성이 되는 경향이 있는 피부의 약화로 이어지는 잦은 출혈 특성을 동반한 신생 모세혈관 생성의 손상에 기여함.
- 염증, 초기에는 별로 없지만, 꾸준히 증가함으로써, 홍조 및 붉힘 현상을 동반하여 지속됨.
- 염증 과정, UV 또는 자유 라디칼과 같은 환경 조건에 따라 달라짐.
따라서, 상기 업계 상태의 단점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목적은 강화된 AMP의 농도, 만성 또는 유도 염증, 및 혈관형성 손상과 관련된 피부 또는 점막 질환의 치료를 위한 대안적이고 새로우며 더욱 유리할 가능성이 있는 화합물 또는 약제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AMP의 증강된 수준, 만성 또는 유도 염증, 및 혈관형성 손상과 관련된 피부 또는 점막 장애의 완화를 위한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모두 항미생물 펩티드 또는 단백질의 증강된 수준, 만성 또는 유도 염증, 및 혈관형성 손상과 관련된, 피부 질환 또는 점막 질환의 치료용으로써 탐부리사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제, 또는 피부 또는 점막 장애의 치료용으로써 탐부리사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도 1: 실시예 4 및 표 3에 따른 탐부리사 식물 추출물에 의한 카텔리시딘 유전자 (CAMP) 발현의 조절
도 2: 실시예 6 및 표 7에 따른 탐부리사 트리코필라 잎 추출물에 의한 혈관형성 인자의 조절. 유도는 IL-17에 의해서만 달성되었으며, 탐부리사 식물 추출물 (암보라)의 결과는 대조에 대비하여 나타내었다.
도 3: 실시예 6 및 표 7에 따른 탐부리사 트리코필라 잎 추출물에 의한 혈관형성 인자의 조절. 유도가 IL-17 + 칼시트리올 + LL37에 의해 달성되었으며, 탐부리사 식물 추출물 (암보라)의 결과는 대조에 대비하여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탐부리사 추출물은 비제한적으로 탐부리사 트리코필라, 탐부리사 마이크로필라, 탐부리사 렐리지오사 및 탐부리사 카푸로니이를 포함한 탐부리사 종 식물의 추출물이다. 바람직한 것은 탐부리사 트리코필라의 식물 추출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또는 화장품 조성물은 식물(들) 모든 부분의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탐부리사 식물 추출물들의 혼합물이 약제 또는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탐부리사 트리코필라 잎의 추출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 약제 또는 화장품 조성물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탐부리사추출물은 폴리페놀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또는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는 폴리페놀은 원래 식물에서 발견되는 화학 물질의 군으로써, 분자 당 1개를 초과하는 페놀 단위 또는 빌딩 블록의 존재를 특징으로 한다. 폴리페놀은 일반적으로 가수분해가능 탄닌 (글루코스 및 기타 당의 갈산 에스테르) 및 페닐프로파노이드, 예컨대 리그닌, 플라보노이드, 및 축합 탄닌으로 나누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폴리페놀은 플라보노이드이며, 특히 바람직한 폴리페놀은 루틴, 니코티플로린 및/또는 에피카테킨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또는 점막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를 위한 약제 또는 화장품 조성물은 각각 항미생물 펩티드 또는 단백질 (AMP)을 조절하는, 즉 억제하고/거나 감소시키는 탐부리사 식물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탐부리사 트리코필라 추출물, 특히 바람직하게는 탐부리사 트리코필라 잎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피부 또는 점막 질환 또는 장애 치료용 약제 또는 화장품 조성물은 항미생물 펩티드 또는 단백질 (AMP)을 조절하는, 즉 억제하고/거나 감소시키는 폴리페놀을 포함하는 탐부리사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AMP에는 전구- 또는 활성 형태 (LL-37)의 α- 또는 β-디펜신, RNase-7, S100-단백질 프소리아신 및 카텔리시딘이 포함된다. 본 발명 약제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카텔리시딘의 억제 및/또는 감소는 그의 전구 형태 또는 그의 활성화 형태에서 달성된다. 전구-형태의 변형 역시 칼리크레인 합성의 억제 및/또는 감소를 통하여 억제된다. 본 발명 약제 또는 화장품 조성물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그것은 또한 칼리크레인 합성을 조절, 즉 감소시키거나, 및/또는 억제한다.
항미생물 펩티드 또는 단백질의 증강된 수준과 관련된 피부 또는 점막 질환 또는 장애는 비제한적으로 장미증, 여드름, 붉음증(couperosis), 홍색증, 모세혈관확장증, 포진, 구강 감염, 질 감염 및/또는 피지 미생물 감염, 유아 발진, 비듬, 피부 발적 및/또는 피부 반점, 아토피 피부염, 건선, 극세포증, 일광 홍반, 면도후 자극, 가려움 등인 것으로 양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는 장미증, 여드름, 붉음증, 홍색증, 모세혈관확장증, 포진, 구강 감염, 질 감염 및/또는 피지 미생물 감염, 유아 발진, 비듬, 피부 발적, 피부 반점, 아토피 피부염, 건선, 극세포증, 일광 홍반, 면도후 자극, 또는 가려움과 같은 피부 또는 점막 질환의 치료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항미생물 펩티드 또는 단백질의 증강된 수준과 관련된 피부 또는 점막 장애, 예컨대 장미증, 여드름, 붉음증, 홍색증, 모세혈관확장증, 포진, 구강 감염, 질 감염 및/또는 피지 미생물 감염, 아토피 피부염, 건선, 극세포증, 또는 일광 홍반과 관련된 장애를 완화하는 데에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또는 화장품 조성물은 유아 발진, 비듬, 피부 발적 및/또는 피부 반점, 면도후 자극, 또는 가려움을 치료 또는 완화하는 데에 사용된다. 카텔리시딘이 항미생물, 항균류,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기 때문에, 미생물, 균류 및 바이러스 질환의 상기 조절은 염증 문제 이후 또는 그와 연관된 그의 유지 또는 그의 조절과 관련하여 피부, 두피 및 점막 생태계 (예컨대 구강 또는 질 점막) 용으로 고려된다.
상기 약제 또는 화장품 조성물이 피부 또는 점막 질환을 치료하는 데에 적용되는지, 또는 피부 또는 점막 장애를 완화하는 데에 적용되는지 여부는 (모두 항미생물 펩티드 또는 단백질의 증강된 수준과 관련됨) 증상의 중증도에 따라 달라지며, - 필요에 따라 - 피부과의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하기에 개시되는 바와 같은 탐부리사 식물 추출물,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또는 화장품 조성물은 또한 항염증 활성을 가진다. 이들은 표피, 진피, 두피 또는 점막 조직 항상성을 조절하도록 예정될 수 있다. 항상성은 문헌 [Roche Lexikon Medizin Edition 5.0 (2003 Elsevier, online version in German)]에서 예컨대 변화하는 환경 조건에 대한 저항성, 및 환경 및/또는 병리 조건에 대하여 피부의 평형을 복구 및/또는 지지하는 수단을 확보하도록 동적 평형 상태에 있는, 생물학적 시스템 - 여기에서는 두피 또는 점막 조직 시스템 -의 자가조절로 정의되어 있다.
염증은 감염 또는 자극에 대한 면역 시스템의 첫 번째 반응들 중 하나이다. 염증은 손상된 세포에 의해 방출되는 화학적 인자들에 의해 자극되며, 감염의 전파에 대항하는 물리적 장벽을 확립하고, 병인의 제거에 이어 모든 손상된 조직의 치유를 촉진하는 기능을 한다.
염증시 생성되는 화학적 인자들 (히스타민, 브라디키닌, 세로토닌, 류코트리엔, 프로스타글란딘)은 통증 수용체를 민감화하며, 혈관의 확장을 야기하고, 포식세포, 특히 호중구를 유인한다. 다음에, 호중구는 다른 백혈구 및 림프구들을 유인하게 되는 인자들을 방출함으로써 면역 시스템의 다른 부분을 촉발한다.
염증 반응은 하기의 5종 증상을 특징으로 한다: 발적, 열, 부기, 통증 및 경우에 따라 관련된 장기 또는 조직의 기능장애.
만성 염증으로 알려져 있는 장기간의 염증은 염증 부위에 존재하는 세포 유형의 진행성 변위로 이어지며, 비-분해성 병인, 지속성 외래 물질, 또는 자가면역 반응으로 인한 지속적인 급성 염증으로 인한 염증 과정으로부터의 조직의 동시적인 파괴 및 치유를 특징으로 한다. 자가면역 반응은 림프구 병발, 및 그의 서로 다른 유도인자에 대한 Th1, Th2 및/또는 Th17로의 특이적인 분화 (일부 특이적 매개체, 구체적으로는 인터류킨-1 (IL-1), IL-4 및 IL-17을 증폭하는 것으로 이어짐)와 연계될 수 있다. 건선은 혼합 Th17/Th1 질환인 것으로 여겨지는 반면, 아토피 피부염은 혼합 Th17/Th2 질환으로 생각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또는 화장품 조성물은 또한 예컨대 감염 문제, 만성 또는 유도 염증, 또는 노화에서의 염증 조절 및 염증 변이의 조절에 대하여 활성이다. 예를 들면, 그것은 시클로옥시제나제 (COX), 리폭시제나제 (LOX), 그리고 이후의 염증 신호들 (프로스타글란딘-2, 류코트리엔 등)과 관련된 2종의 염증 경로에서 다양한 전구-염증 요인들의 합성을 감소시킨다. 그것은 또한 인터류킨, 특히 인터류킨-17 인자, 산화 질소 및 자유 라디칼 생성물의 충격을 조절하는 데에 활성이다.
상기 약제 또는 화장품 조성물의 다른 용도는 민감성 피부, 그리고 급성 염증성 이상 또는 자가-면역 질환과 연관된 장애, 예컨대 비제한적으로 아토피 피부염, 건선, 극세포증, 유아 발진, 일광 홍반, 면도후 자극, 가려움 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또는 화장품 조성물은 혈관형성 조절, 더 구체적으로는 전구-혈관형성 인자를 하향조절하는 것 및 항혈관형성 인자를 상향조절하는 것에 대하여 활성이다. 이에 따라, 상기 약제 또는 화장품 조성물은 장미증, 붉음증, 홍색증, 모세혈관확장증, 피부 발적 및 반점의 치료 또는 완화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는 진단 또는 치료용으로 예정된 1종 이상의 활성 화합물 또는 약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지칭한다. 약제는 신체의 상태 또는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거나, 또는 그의 제거를 목적으로 병인, 기생체 또는 외인성물질의 상태 또는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약제는 신체의 화합물 또는 체액을 대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제 또는 화장품 조성물은 예를 들면 경구, 비경구, 장내, 정맥내, 복강내, 국소, 경피 (예컨대 임의의 표준 패치 사용), 안내, 비내, 국소, 비-경구, 예컨대 에어로졸, 흡입, 피하, 근육내, 협측, 설하, 직장내, 질내, 동맥-내, 및 수막강내 등을 포함한 모든 효과적인 경로에 의해 임의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국소 투여가 바람직하다. 업계 숙련자라면, 어떤 투여가 약제에, 또는 화장품 조성물에 적합한지를 용이하게 판단하게 될 것이다. 그것은 단독으로, 또는 활성 또는 불활성인 임의의 성분(들)과 조합되어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국소 투여이다.
본 발명의 약제 또는 화장품 조성물은 공지의 방식에 의해 일반적인 제제, 예컨대 제약 조성물 또는 화장품 조성물, 또는 식품 보충제 (즉, "내적인 미"의 개념에 따른 것) 또는 의료 소자로서 사용되는 조성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들은 액체 또는 고체 제제, 예를 들면 비제한적으로 보통의 장용 코팅 정제, 캡슐, 환약, 분말, 과립, 엘릭시르, 팅크제, 용액, 현탁액, 좌약, 시럽, 고체 및 액체 에어로졸, 에멀젼, 페이스트, 크림, 연고, 밀크, 젤, 고약, 혈청, 발포제, 샴푸, 스틱 또는 로션일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수용액, 백색 또는 착색 크림, 연고, 밀크, 젤, 고약, 혈청, 발포제, 샴푸, 스틱, 크림, 페이스트, 또는 로션과 같은 국소용 제약 조성물 또는 화장품 조성물 형태의 제약 조성물 또는 화장품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약제 또는 화장품 조성물은 임의의 기타 적합한 첨가제, 또는 약제학적으로 또는 화장품용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추가적으로 조합될 수 있다. 그와 같은 첨가제에는 이미 언급된 임의의 물질들은 물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 중 어느 것, 예컨대 문헌 [Remington :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Gennaro and Gennaro, eds, 20th editi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0)]; [Theory and Practice of Industrial Pharmacy (Lachman et al., eds., 3rd editi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986)]; [Encyclopedia of Pharmaceutical Technology (Swarbrick and Boylan, eds., 2nd edition, Marcel Dekker, 2002)]에 기술되어 있는 것들이 포함된다. 본원에서 이들은 "약제학적으로 또는 화장품용으로 허용되는 담체"로 지칭됨으로써, 이들이 활성 약물 또는 화합물과 조합되어 치료 또는 화장 목적으로 대상체에게 안전하게 투여될 수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 약제 또는 화장품 조성물의 투약량은 다른 것, 및/또는 질환 또는 장애의 유형 및/또는 질환 또는 장애 상태를 참고하여 원하는 치료 또는 화장 활성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양은 구체적인 환자 또는 화장 처리될 사람에 대하여 일상적으로 결정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다양한 파라미터들이 활용되어 적절한 투약량이 선택되거나 (예컨대 질환 또는 장애의 유형, 환자의 연령, 질환 또는 장애 상태, 환자의 건강, 체중 등), 또는 양이 비교적 표준일 수 있으며 업계 숙련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투여되는 약제 또는 화장품 조성물의 양은 구체적인 화합물 및 사용되는 투약 단위, 투여 양식 및 시간, 치료 기간, 환자 또는 처리될 사람의 연령, 성, 및 일반적 상태, 처리될 이상의 특성 및 정도, 약물 또는 화합물 대사 및 배설의 속도, 잠재적 약물 조합 및 약물-약물 상호작용 등과 같은 고려사항에 따라 광범위하게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약제 또는 화장품 조성물은 어떠한 양의 탐부리사 추출물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하기하는 바와 같은 탐부리사 트리코필라 잎의 건조 추출물을 총 조성물의 0.01 중량%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5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약제 또는 화장품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개시된 바와 같은 약제를 사용한, AMP의 증강된 수준과 관련된 질환의 치료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개시된 바와 같은 화장품 조성물을 사용한, AMP의 증강된 수준과 관련된 장애의 화장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탐부리사 식물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탐부리사 트리코필라 식물 추출물, 특히 바람직하게는 탐부리사 트리코필라 잎 추출물을 사용한, AMP의 증강된 수준과 관련된 질환 또는 장애, 특히 피부 또는 점막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또는 화장품 조성물은 일 당 1회 이상, 바람직하게는 3회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회 이하로 투여된다. 바람직한 것은 국소 투여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체중, 활성 성분에 대한 개별적인 거동, 약제학적 제제의 유형, 및 투여가 수행되는 시간 또는 간격에 따라, 일부 경우에는 열거된 상기 양에서 벗어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경우에는 상기언급된 최소량 미만이면 충분할 수 있는 반면, 다른 경우에는 열거된 상위 한계가 초과되어야 한다. 비교적 대량 투여의 경우에는, 그것을 하루에 걸쳐 수개의 개별 투여량으로 분할하는 것이 권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 또는 화장품 조성물은 1종 이상의 다른 활성 물질 또는 식물 추출물, 예컨대 약제학적, 피부과학적 또는 화장용 용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물질 또는 식물 추출물과 조합될 수도 있다.
다른 활성 물질에는 비제한적으로 박피제 및/또는 보습제, UV 여과제 또는 차단제, 탈색소화제 또는 전구색소화제, 항당화제, 항염증제, 항미생물제, 진피, 표피, 모발 또는 손톱 거대분자의 합성을 자극하거나 및/또는 그의 분해를 방지하는 제제, 각질세포의 분화를 자극하는 제제, 근육 이완제, 항오염제 및/또는 항자유 라디칼제, 슬림화제, 미세순환에 작용하는 제제, 세포의 에너지 대사에 작용하는 제제, 타이트닝제, 모발의 손실을 방지하거나 그의 성장을 자극하는 제제, 회색 또는 백색 모발을 방지하는 제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합은 국소용 피부과학 조성물에 함유된다.
상기 약제 또는 화장품 조성물은 또한 1종 이상의 추가적인 장미증-유효제, 예를 들면 메트로니다졸, 클린다마이신, 독시시클린, 에리트로마이신, 미노시클린 히드로클로리드, 테트라시클린 히드로클로리드, 아젤라산, 나트륨 술파세타미드, 니코틴아미드, 벤질 퍼옥시드, 살리실산, 아다팔렌, 이소트레티노이드, 타자로텐, 트레티노이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는 추가적으로 탐부리사 추출물의 제조 방법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비제한적으로 탐부리사 트리코필라, 탐부리사 마이크로필라, 탐부리사 렐리지오사 및 탐부리사 카푸로니이를 포함한 탐부리사 종 식물의 것이다. 바람직한 것은 탐부리사 트리코필라이다.
추출은 식물(들)의 모든 부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탐부리사 트리코필라의 잎이 추출된다.
추출은 표준의 추출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추출은 추출에 적용가능한 극성 용매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잎은 먼저 극성 용매, 예컨대 물과 알콜의 혼합물에 의해 임의로 수회까지 추출된다. 다음에, 수득된 용액이 혼합되고, 유리하게는 알콜이 제거된 후, 여과에 의해 침전물이 제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전체 극성 용매가 제거된 후, 잔류물이 물에 의해 추출된다. 수득된 극성 상은 비극성 용매, 예컨대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헵탄에 의해 추출됨으로써, 왁스, 에센셜 오일, 색소 및 대부분의 비극성 분자가 제거된다. 상 분리 후, 폴리페놀을 포함하는 건조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하여, 나머지 극성 상의 용매가 제거된다. 임의로, 상기 추출물은 물을 첨가하고 냉동-건조를 수행하는 것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탐부리사 트리코필라 잎 추출물의 제조 방법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a. 물과 알콜의 극성 용매 혼합물을 사용한 잎의 추출 단계,
b. 알콜의 제거 및 여과 단계,
c. 비-극성 용매를 사용한 수득된 극성 용액의 추출 단계.
추출에 사용되는 극성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알콜, 또는 물과 알콜의 혼합물로써, 여기서 알콜은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다. 물과 알콜 사이의 부피 비는 50:50 내지 90:10, 바람직하게는 70:30일 수 있다.
본 발명에는 또한 탐부리사 트리코필라 잎 추출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상기한 바와 같이, 또는 실시예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보통 건조 추출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추출물은 용액으로서 사용되거나, 다시 말하자면 기술된 추출 과정 중 최종 건조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예컨대 다른 활성 화합물과 혼합되는 것, 또는 캡슐화와 같이 적정화된 담체에 도입되는 것에 의해 추가적으로 처리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것은 총 식물 추출물의 10 중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초과,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내지 4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내지 35 중량%의 양으로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건조 식물 추출물이다. 폴리페놀은 더 구체적으로는 플라보노이드로 간주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식물 추출물은 0.01 % - 20 %의 양으로 루틴, 니코티플로린 및 에피카테킨 분자를 포함하며, 그에 따라 루틴은 0.01 % 내지 5 %의 양으로, 에피카테킨은 0.01 % 내지 10 %의 양으로, 및/또는 니코티플로린은 0.01 % 내지 5 %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는 추가적으로 탐부리사 추출물, 특히 탐부리사 트리코필라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탐부리사 트리코필라 잎 추출물의, 항미생물 펩티드 또는 단백질의 조절, 특히 카텔리시딘 및/또는 칼리크레인 합성의 억제 및/또는 감소에서의 용도가 포함된다. 본원에는 또한 탐부리사 식물 추출물의, 항미생물 펩티드 또는 단백질의 증강된 수준과 관련된 피부 질환 또는 장애, 또는 점막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를 위한 용도가 포함된다. 본원에는 추가적으로 탐부리사 식물 추출물의 항염증제 및 혈관형성 조절제로서의 용도가 포함된다.
[실시예]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들을 예시할 것이나, 본 발명의 일반 특징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추출 방법
탐부리사 트리코필라의 분쇄된 건조 잎을 에탄올과 물의 70:30 혼합물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30분 내지 1시간 동안의 추출 단계 동안 상기 용액을 60 ℃ 미만으로 교반 및 가열하였다. 식물 제거 후, 에탄올을 제거하고, 이어서 침전물을 여과하였다. 다음에, 나머지 수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액체-액체 추출로 처리하였다. 아세테이트 분획을 계속하여 아세테이트 증류에 적용하고, 생성되는 수용액을 냉동-건조하였다.
최종 추출물을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TLC), HPLC 표준법 및 분광광도측정법으로 특성화하였다. 최종 조성물은 폴리페놀 19 % 내지 21 %, 및 루틴 및 니코티플로린 2 % 미만의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에피카테킨의 존재는 TLC에 의해 검출되었다.
실시예 2: 화장품 제제 실시예
Figure pat00004
상 A 및 B를 별도로 칭량 투입하였다. A & B를 80 ℃까지 가열하고, 고속 교반하에 A를 B에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35 ℃로 냉각하고, C를 첨가하였다. D에 열거되어 있는 화합물들을 투명한 용액이 수득될 때까지 혼합한 다음, 그것을 제제에 첨가하였다. 최종 제제를 교반하면서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최종 조성물은 화장용 수중유 에멀젼이었으며: 부형제 (A)는 백색이었고, 실시예 1에 따른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제 (B & C)는 베이지 내지 베이지-오렌지 색상이었다.
실시예 3: 프로스타글란딘-2 (PGE-2)에 대한 항염증 활성
HUVEC (인간 제대 정맥 내피 세포)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다.
다양한 농도의 실시예 1에 따른 추출물 없이 (대조) 또는 그것을 사용하여 유도인자 VEGF (정맥 내피 성장 인자)의 존재하에 24시간 동안 HUVEC를 인큐베이션하였다. ELISA법에 의해 배지 중에서 PGE-2 수준을 측정하였다. 스튜던트 시험(Student test)에 의해 유의성을 평가하였다.
Figure pat00005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또는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는 탐부리사 식물 추출물은 시클로옥시제나제 경로를 상당히 조절할 수 있었으며, 그에 따라 염증 상태에 대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가질 수 있었고, 따라서 아토피 피부염, 건선, 극세포증, 유아 발진, 일광 홍반, 면도후 자극, 가려움 등의 치료 또는 완화에 효과적이다.
실시예 4: CAMP (카텔리시딘 항미생물 펩티드) 유전자의 억제
항미생물 펩티드인 카텔리시딘의 방출을 억제하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의 능력을 조사하였다. 각질세포 NHEK (074)로부터 추출된 mRNA 상에서, RT-qPCR 기술을 사용하여, hCAP18 (LL37로 추가 활성화됨)을 코딩하고 있는 CAMP ( 카텔리시딘 미생물 펩티드) 유전자의 발현을 수행하였다.
배양 배지: 표피 성장 인자 (EGF) 0.25 ng/ml (인비트로겐(Invitrogen) 10450-013), 뇌하수체 추출물 (PE) 25 ㎍/ml (인비트로겐 13028-014), 젠타마이신 25 ㎍/ml (시그마(Sigma) G1397)가 보충된 각질세포-SFM (공급원: 인비트로겐 17005075).
분석 배지: 젠타마이신 25 ㎍/ml (시그마 G1397)이 보충된 각질세포-SFM (인비트로겐 17005075).
상기 수득된 추출물을 DMSO에 용해시키고, 0.05, 0.5 및 5 ㎍/ml로 시험하였다.
각질세포를 24 웰 플레이트 내의 배양 배지 중에 접종하였다. 24시간의 예비-인큐베이션 후, 배양 배지를 제거하고, 시험 화합물을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는 (대조) 분석 배지로 대체한 후, 24시간 동안 세포를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후, 유도인자를 첨가하고, 48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시험된 유도인자는 칼시트리올 (비타민 D3, (시그마 D-1530), 10-7 M) 또는 IL-17 ((R&D 시스템즈(Systems) 317-IL-050), 10 ng/ml)이었다.
인큐베이션 시간 종료시에, 상청액을 수집하여, 포스페이트 완충 염수 (PBS) 용액 (인비트로겐 14190094)에서 세포를 세척하고, 300 ㎕의 트리리에이전트(TriReagent)를 첨가한 후, 세포를 -80 ℃에서 즉시 냉동하였다.
공급자의 지침에 따라 트리-리에이전트를 사용하여 각 샘플로부터 총 RNA를 추출하였다. DNA 제거 시스템 (암비온(Ambion) ref 1906)을 사용하여 잠재적 미량 DNA 오염물을 제거하였다. 올리고(dT) 및 슈퍼스크립트(Superscript) II 리버스트랜스크립타제 (인비트로겐 사)의 존재하에 mRNA의 역-전사를 수행하였다.
공급자에 의해 권장되는 프로토콜에 따라 ≪라이트시클러(LightCycler)®≫ 시스템 (로체 몰큘라 시스템즈(Roche Molecular Systems) Inc. 사)을 사용하여 3회 반복으로 PCR (폴리머라제 연쇄 반응)을 수행하였다.
시험될 프라이머의 분석 조건을 결정하고 나면, 상기 시스템은 신속하고 강력한 PCR 반응을 가능케 한다. 그것은 하기 2개의 구성요소로 구성된다:
- 열-순환기: 신속한 PCR 적용에 적정화되어 있음; 반응 혼합물 내에서의 극히 신속한 열 전달을 가능케 함.
- 형광측정기: 삽입 염료 SYBR 그린 I의 일정한 형광 측정을 가능케 함; 상기 염료는 연장 주기 동안 이중-가닥 DNA에 특이적으로 결합함 (검출 파장: 521 nm).
하기의 프라이머 쌍을 사용하여 선택된 마커에 해당하는 단편을 증폭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간 글리세르알데히드 3-포스페이트 데히드로제나제 유전자 (G3PDH)를 참조 마커로서 사용하였다.
PCR 주기 동안, 증폭되는 DNA에의 형광의 도입을 연속적으로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6
칼시트리올 또는 IL-17 및 이들의 조합은 hCAP-18/LL37을 코딩하고 있는 CAMP 유전자의 발현을 고도로 자극하였다.
실시예 1에 따른 추출물 (탐부리사 트리코필라 잎 추출물 또는 "암보라(Ambora)"은 LL37을 코딩하고 있는 카텔리시딘 유전자를 투여량-의존성으로 감소시켰다. 이와 같은 감소는 IL-17 유도의 경우에는 40 % (유도를 포함하는 대조에 비해), 그리고 칼시트리올 유도의 경우에는 27 %에 달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또는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탐부리사 식물 추출물은 카텔리시딘-관련 질환 또는 장애에 활성일 수 있으며, 장미증, 건선 또는 질 감염과 같은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 및 완화에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5: 임상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서로 다른 농도의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효능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각각 0.3 % 및 0.5 %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2종의 제제 (실시예 2에 따른 제제 B 및 C)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은 위약 (실시예 2에 따른 제제 A)에 대비하여 수행되었다.
15명 자원자의 3개 군에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 군에 대하여 서로 다른 생성물을 시험하였다. 연구 개시시에, 그리고 얼굴에 대한 제제 A, B 또는 C의 하루 2회 적용 28일 후 및 56일 후에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는 피부과의사에 의한 발적 밀도 및 미세-혈관 밀도의 정해진 등급 (1 내지 4의 등급)으로의 점수화로 구성되었다. 도플러 레이저(Doppler Laser)®을 사용하여 미세순환 편차를 시험함으로써, 피부 관류 (또는 모세혈관 플럭스(flux))에 대한 결과를 제공하였다. 시각적인 효과 예시를 위하여 육안검사도 수행하였다. 자원자 채용의 일반적인 포함 기준은 얼굴에 약간의 장미증 특성을 가지는 18 내지 65세 여자인 건강한 대상체로 하였다.
피부과의사가 제어하는 본 연구의 조건하에서, 하루 2회 사용하여 28일 또는 56일 후, 모든 제제에 대한 피부 내성은 우수하였다.
피부과의사 점수화:
Figure pat00007
피부과의사의 점수화에 따르면, 피부는 사용 28일 또는 56일 후 발적이 덜하였으나, 미세-혈관 밀도에 편차가 발견되지 않았다.
열 전도성:
열 전도성의 감소는 피부 미세순환의 감소 (혈관수축)에 해당하는데, 이는 항장미증 효과에 기여하게 된다.
Figure pat00008
D28의 0.3 % 제제, 및 D28 및 D56의 0.5 % 제제에서 미세순환의 유의한 감소가 발견되었다.
D56에는 위약 및 0.3 % 제제 어느 것에서도 유의성 있는 편차가 관찰되지 않았다.
Figure pat00009
데이터는 D28 및 D56에서 위약을 사용한 것에 비해 0.5 % 제제 생성물을 사용한 경우에 미세순환에 대한 상당히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상기 데이터는 또한 D56에서 0.3 % 제제를 사용한 것에 비해 0.5 % 제제 생성물을 사용한 경우에 미세순환에 대한 상당히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결론:
피부 발적 및 피부 미세순환의 감소에 의해, 제제 B 및 C는 장미증, 홍색증, 모세혈관확장증 또는 피부 발적/반점 치료 및/또는 완화에 적합한, 본 발명에 따른 탐부리사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제 또는 화장품 조성물로 가능해졌다.
실시예 6: 혈관형성 인자의 조절
인간 각질세포에 의한 전구-혈관형성 인자 발현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의 활성을 연구하였다. 하기의 유도인자에 의해 자극된 각질세포 NHEK K(074)로부터 추출된 RNA에서의 RT-q-PCR 기술에 의해 탐부리사 추출물 (5 ㎍/ml)의 활성을 시험하였다: LL-37 (20 ㎍/ml), IL-17 (10 ng/ml), 비타민 D3 (10-6 M), 및 이들의 조합.
PCR 주기 동안, 증폭되는 DNA에의 형광의 도입을 연속적으로 측정하였다. 이는 "형광 강도" 대 "PCR 주기" 플롯으로 귀결됨으로써, 각 마커에 대한 상대 발현 (RE) 값의 평가를 가능케 하였다.
RE 계산용으로 선택되는 값은 형광 곡선의 "출력점" (Ct)이다. 고려되는 마커에 있어서, 주기 수가 더 클수록; mRNA 양은 더 적다.
배양 배지: 표피 성장 인자 (EGF) 0.25 ng/ml가 보충된 각질세포-SFM, 뇌하수체 추출물 (PE) 25 ㎍/ml, 젠타마이신 25 ㎍/ml.
분석 배지: 젠타마이신 25 ㎍/ml가 보충된 각질세포-SFM.
효과의 분류 ("처리" 대 "대조" 조건): 표준화된 해석을 위하여, 하기의 표가 제시되었다: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탐부리사 시험 식물 추출물은 실시예 1에 따른 탐부리사 트리코필라 잎 추출물이었다.
상기 실험 조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및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는 탐부리사 식물 추출물은 혈관형성 마커의 발현하에 단독으로 또는 조합되어 시험되었을 때, LL-37, IL-17 및 비타민 D3의 효과를 부분적으로 역전시켰다. 그밖에, 결과는 또한 탐부리사 식물 추출물이 IL-17의 억제제임 (이 전구-염증 요인의 충격의 감소)을 암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탐부리사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제 또는 화장품 조성물은 전구-혈관형성 유전자 발현에 대하여 감소 효과를 가짐으로써, 그것이 장미증, 붉음증, 홍색증, 모세혈관확장증, 피부 발적 및 반점 치료 및/또는 완화에 적합하게 된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12)

  1. 식물이 탐부리사 마이크로필라, 탐부리사 렐리지오사, 탐부리사 카푸로니이 또는 탐부리사 트리코필라 종에서 선택되며, 탐부리사 트리코필라 식물 추출물은 식물 잎 추출물인, 탐부리사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질환 치료용의 국소용 약제.
  2. 제1항에 있어서, 피부 질환이 장미증, 붉음증, 홍색증, 모세혈관확장증, 포진, 유아 발진, 비듬, 피부 발적, 피부 반점, 아토피 피부염, 건선, 극세포증, 일광 홍반, 면도후 자극, 또는 가려움인 국소용 약제.
  3. 제1항에 있어서,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며, 탐부리사 식물 추출물이 0.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국소용 약제.
  4.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탐부리사 식물 추출물이 항미생물 펩티드 또는 단백질, 특히 α- 또는 β-디펜신, RNase-7, S100-단백질 프소리아신 또는 카텔리시딘 및/또는 칼리크레인을 조절하는 국소용 약제.
  5. 제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염증 활성을 가지고/거나 급성 또는 만성 염증에서의 면역 응답을 조절하고, 표피, 진피, 두피 또는 점막 조직 항상성을 조절하고/거나 혈관형성을 조절하는 국소용 약제.
  6. 탐부리사 마이크로필라, 탐부리사 렐리지오사, 탐부리사 카푸로니이 또는 탐부리사 트리코필라 종에서 선택되는 탐부리사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며, 탐부리사 트리코필라 식물 추출물은 식물 잎 추출물인 국소용 화장품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항미생물 펩티드 또는 단백질을 조절하고, 항염증 활성을 가지고/거나 급성 또는 만성 염증에서의 면역 응답을 조절하고, 진피, 두피 또는 점막 조직 항상성을 조절하고/거나 혈관형성을 조절하는 국소용 화장품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장미증, 붉음증, 홍색증, 모세혈관확장증, 포진, 유아 발진, 비듬, 피부 발적, 피부 반점, 아토피 피부염, 건선, 극세포증, 일광 홍반, 면도후 자극, 또는 가려움과 관련된 피부 장애의 완화를 위한 것인 국소용 화장품 조성물.
  9. a. 물과 알콜의 극성 용매 혼합물을 사용한 잎의 추출 단계,
    b. 알콜의 제거 및 여과 단계,
    c. 비-극성 용매를 사용한 수득된 극성 용액의 추출 단계
    를 포함하는 탐부리사 트리코필라 잎 추출물의 제조 방법.
  10. 제9항의 방법에 따라 수득되며, 10 내지 100 %의 폴리페놀 함량을 가지는 식물 추출물.
  11. 식물이 탐부리사 마이크로필라, 탐부리사 렐리지오사 또는 탐부리사 카푸로니이 종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식물 추출물이 탐부리사 트리코필라 잎 식물 추출물인 탐부리사 식물 추출물의, 항미생물 펩티드 또는 단백질의 조절, 특히 카텔리시딘 및/또는 칼리크레인 합성의 억제 및/또는 감소에서의, 및/또는 항염증제 및/또는 혈관형성 조절제로서의 용도.
  12. 식물이 탐부리사 마이크로필라, 탐부리사 렐리지오사 또는 탐부리사 카푸로니이 종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식물 추출물이 탐부리사 트리코필라 잎 식물 추출물인, 항미생물 펩티드 또는 단백질의 증강된 수준과 관련된 피부 질환 또는 장애, 염증 및/또는 혈관형성 장애의 치료를 위한 탐부리사 식물 추출물.
KR1020177010970A 2008-10-02 2009-10-01 증강된 항미생물 펩티드 및 단백질 수준과 관련된 피부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 또는 완화하기 위한 조성물 KR201700486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290925 2008-10-02
EP08290925.0 2008-10-02
EP09290027 2009-01-13
EP09290027.3 2009-01-13
EP09290332 2009-05-07
EP09290332.7 2009-05-07
PCT/EP2009/007051 WO2010037545A1 (en) 2008-10-02 2009-10-01 Compositions for treating or alleviating skin diseases or disorders related to an enhanced level of anti-microbial peptides and protein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7574A Division KR20110074857A (ko) 2008-10-02 2009-10-01 증강된 항미생물 펩티드 및 단백질 수준과 관련된 피부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 또는 완화하기 위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606A true KR20170048606A (ko) 2017-05-08

Family

ID=413959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7574A KR20110074857A (ko) 2008-10-02 2009-10-01 증강된 항미생물 펩티드 및 단백질 수준과 관련된 피부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 또는 완화하기 위한 조성물
KR1020177010970A KR20170048606A (ko) 2008-10-02 2009-10-01 증강된 항미생물 펩티드 및 단백질 수준과 관련된 피부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 또는 완화하기 위한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7574A KR20110074857A (ko) 2008-10-02 2009-10-01 증강된 항미생물 펩티드 및 단백질 수준과 관련된 피부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 또는 완화하기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20009290A1 (ko)
EP (1) EP2331209A1 (ko)
JP (2) JP5714494B2 (ko)
KR (2) KR20110074857A (ko)
CA (1) CA2739001C (ko)
WO (1) WO20100375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19793B1 (en) 2011-06-28 2015-09-01 Medicis Pharmaceutical Corporation Gastroretentive dosage forms for doxycycline
KR102099993B1 (ko) 2011-12-09 2020-04-10 마리 케이 인코포레이티드 피부 케어 제형물
WO2014144289A2 (en) * 2013-03-15 2014-09-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 noninvasive method for measuring antimicrobial peptides from skin as an objective measurement of natural protection from microbes
US10842802B2 (en) 2013-03-15 2020-11-24 Medicis Pharmaceutical Corporation Controlled release pharmaceutical dosage forms
JP6393524B2 (ja) * 2014-06-05 2018-09-19 ロート製薬株式会社 保湿剤
FR3045385B1 (fr) * 2015-12-22 2019-12-20 Jean-Noel Thore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des inhibiteurs de l'expression du facteur de croissance nerveuse (nerve growth factor) pour le traitement du psoriasis, de la dermatite atopique et du prurit
KR20200002947A (ko) * 2017-04-28 2020-01-08 시므라이즈 아게 야로우 신선-식물 압착 주스 농축물, 생산, 및 용도
CN112370387B (zh) * 2020-11-03 2022-01-14 珀莱雅化妆品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头皮护理功效的植物双向发酵物的制备方法及其应用
US20230001326A1 (en) * 2021-07-02 2023-01-05 Winters Capital IP LLC Process for extracting bioactive compounds from plant material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4313A (ja) * 1982-09-07 1984-03-12 Yakult Honsha Co Ltd 抗菌性組成物
JPS60208908A (ja) * 1984-03-31 1985-10-21 Kanebo Ltd 日焼け防止化粧料
GB9321341D0 (en) * 1993-10-15 1993-12-08 Bristol Myers Squibb Co Therapeutic composition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skin lesion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314634B2 (en) * 2002-02-22 2008-01-01 Steven Hernandez Use of polyphenols to treat skin conditions
TW200533333A (en) * 2004-02-17 2005-10-16 Otsuka Pharma Co Ltd Human beta-defensin production accelerator
JP2007186457A (ja) * 2006-01-13 2007-07-26 Ichimaru Pharcos Co Ltd トリプターゼ活性阻害剤およびその利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14115B2 (en) 2015-08-25
WO2010037545A1 (en) 2010-04-08
JP2012504564A (ja) 2012-02-23
JP5714494B2 (ja) 2015-05-07
JP2015078226A (ja) 2015-04-23
CA2739001C (en) 2018-07-24
EP2331209A1 (en) 2011-06-15
KR20110074857A (ko) 2011-07-04
US20120009290A1 (en) 2012-01-12
CA2739001A1 (en) 2010-04-08
US20130071502A1 (en) 201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48606A (ko) 증강된 항미생물 펩티드 및 단백질 수준과 관련된 피부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 또는 완화하기 위한 조성물
JP6215364B2 (ja) MC−1R、MC−2R、およびμオピオイド受容体調節
EP2677999B1 (en) Bioactive botanical cosmetic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KR101894229B1 (ko) 녹용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탈모 치료용 기능성 조성물
KR101885501B1 (ko) 녹용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기능성 조성물
JP7338105B2 (ja) カポックの木の花抽出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美容、医薬又は皮膚科用組成物
KR20200088074A (ko) 병풀 추출물 및 개양귀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780486B1 (ko) 에키네시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07107856A1 (en) Magnolia champaca oil, its process of preparation and compositions comprising it
KR101851284B1 (ko) 들깻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430373B1 (ko) 화장품 및 제약 조성물에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는 엠벨리아 콘신나 추출물
RU2665371C2 (ru) Синергетическая комбинация аланин-глутамина, гиалуроновой кислоты и экстракта овса и ее применение в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заживления ран и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повреждений кожи
ES2731820T3 (es) Extracto peptídico y osídico de fruta de Schizandra y mejora de la respuesta del sistema neurosensorial cutáneo
CN115429725B (zh) 用于抗氧化、抗炎、皮肤镇静的化妆品组合物
CN111135124A (zh) 含有蔗糖、吲哚-3-乙酸以及玫瑰果提取物的混合物的皮肤外用剂组合物
KR102561708B1 (ko) 약제로서의 적용을 위한 모링가 페레그리나 종자 케이크의 단백질 가수분해물, 그를 수득하는 방법 및 약학적 및 피부과용 조성물
BR112021003857A2 (pt) extrato botânico para cuidados com a pele
KR102416652B1 (ko) 미세먼지로 인한 피부자극 완화 및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98964B1 (ko) 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40028455A (ko) 솔라늄 리코퍼시쿰(Solanum lycopersicum) 열매(토마토) 껍질 추출물의 화장료 용도
KR20220057418A (ko) 탈모 예방 또는 발모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KR101395004B1 (ko) 단마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의 예방과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190033334A (ko) 민들레 뿌리 추출물, 카페인 및 토코페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00037943A (ko) 여드름 개선용 한방 화장품과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