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5726A - 미용 시트 - Google Patents

미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5726A
KR20170045726A KR1020160134297A KR20160134297A KR20170045726A KR 20170045726 A KR20170045726 A KR 20170045726A KR 1020160134297 A KR1020160134297 A KR 1020160134297A KR 20160134297 A KR20160134297 A KR 20160134297A KR 20170045726 A KR20170045726 A KR 20170045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oluble polymer
skin
membrane
functional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9451B1 (ko
Inventor
서인용
이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Publication of KR20170045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5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7/00Sachet pad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7Fibers; Fibr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1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olefines, e.g. polyethylene, polyisobut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23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PVC, PTF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29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r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polyvinylmethyle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4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e.g. crotonic acid, (meth)acryl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61K8/8176Homopolymers of N-vinyl-pyrrolid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4Mixtures of poly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미용 시트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에 적층되고 피부에 부착되며, 수용성 고분자, 비수용성 고분자 및 상기 수용성 고분자의 용해로 릴리즈(release)되며 피부 미용을 위한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섬유가 축적되어 만들어진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용 시트{Cosmetic sheet}
본 발명은 미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식 타입의 미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피부 미용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종전에는 대외적으로 활동이 많은 여성들 위주로 피부 관리가 진행되었으나 요즘에는 일반 가정주부들을 비롯하여 성인 남성에 이르기까지 피부 관리를 받고 있는 실정이다.
나이가 들수록 얼굴에는 주름이 생기게 되면서 피부의 탄력이 줄어들기 마련이다. 특히, 여성은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본성에 의해 피부 노화 방지에 지대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성인 남성들까지도 대인 관계나 사회생활에 활력을 부여하기 위해 피부 관리에 신경을 쓰는 추세에 있다.
이런 피부 관리를 위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미용 팩이 개발되어 현재 판매가 증가되고 있으나, 기존 미용 팩은 직포나 부직포를 기반으로 제조되어 액상의 에센스가 첨가되어 자중에 의한 흘러내림과 초과된 에센스의 흘러내림에 의해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즉,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4790호(특허문헌 1)에는, 섬유가 쌓인 시트층을 포개고 장갑의 둘레를 따라 접착하여 섬유층이 화장료를 보유할 수 있게 제조되고 살균 소독하여 얻는 무균 흡수체 벙어리장갑, 무균 흡수체 벙어리장갑에 적신 상태로 존재하는 화장료, 및 화장료에 젖은 벙어리장갑을 기밀 상태로 포장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기밀 포장백을 포함하는 손발 미용팩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손발 미용팩도 섬유가 쌓인 시트층에 액상의 화장료가 적신 상태로 존재하여 화장료가 흘러내리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상기와 같은 액상 손발 미용팩을 포함하여 얼굴용 액상 미용팩의 경우, 액상에서도 변질되지 않고 장기 보관이 가능한 일반적인 기능성 물질은 탑재할 수 있으나, 액상으로 장기간 보관이 어려운 기능성 물질, 예컨대, 비타민, 효소, 단백질, 펩타이드-비타민 C 유도체 등은 액상으로 장기간 보관시 변질되는 등의 이유로 사용할 수 없음에 따라 소비자가 원하는 고기능성의 제품을 제공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의 미용팩은 대부분은 기능성 물질이 포함된 액상 물질에 부직포나 직포의 미용기재를 적시어 포장하는 구조이므로, 다량의 기능성 물질이 사용될 수밖에 없는데, 상기한 비타민, 효소, 단백질, 펩타이드-비타민 C 유도체 등의 고기능성 물질은 가격이 매우 비싸 이들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 제한적이며, 실질적으로 이러한 고기능성 물질이 사용된 미용팩은 제품화되고 있지 못하다.
더욱이, 고가의 고기능성 물질은 일반적인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는 액상 물질(예를 들어, 액상 화장료)에 미소량 첨가되어 혼합되며 부직포 등의 기재에 함침될 때 균일하게 탑재되지 못하며, 파우치 내부에 부직포 기재와 함께 포장되는 여분의 액상 화장료는 많은 양이 사용되지 못하고 폐기되므로 이에 포함된 고가의 고기능성 물질을 효과적인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기존의 액상 미용팩의 단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미용 팩 또는 미용 시트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479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건식 타입의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 내부에 장기간 액상보관이 어려운 기능성 물질을 건식으로 구속시켜 장기 보관이 가능하고 피부 미용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미용 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가이며 장기간 액상 보관이 어려운 고기능성 물질을 고분자 방사용액에 미량 혼합하여 전기방사방법으로 멤브레인을 형성함에 의해 고기능성 물질이 균일하게 탑재된 미용시트를 구성할 수 있는 미용 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기능성 물질이 탑재된 미용시트를 건식 포장하여 보관하다가 사용시 물이나 용제에 적셔 사용함으로써 장기 보관시에도 고기능성 물질의 변질이 발생하지 않는 미용 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방사 방법으로 기능성 물질을 미용시트에 탑재시킴으로써 고가의 기능성 물질을 극소량 사용하여도 기능성 물질이 미용시트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어 저가 생산이 가능한 미용 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용성 고분자와 비수용성 고분자가 전기방사될 때 코어 쉘 구조의 나노 섬유를 형성함에 따라, 미용 시트의 사용시에 용제에 의해 쉘부를 형성하는 수용성 고분자가 용해되어 기능성 물질이 릴리즈될지라도 코어부를 형성하는 비수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나노 섬유는 3차원 네트워크를 유지함에 따라 기능성 물질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는 미용 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파우치 내부에 건식 타입의 미용 시트만 포장하며, 파우치 내부에 부직포 기재와 함께 여분의 액상 화장료를 포장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되지 못하고 폐기되는 액상 화장료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미용 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초박막 시트 구조이고 용제를 사용하여 얼굴에 부착하는 경우 투명하면서 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등산이나 운동 같은 야외 활동시에도 자연스럽게 착용할 수 있는 미용 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형상 유지층이 투명한 형태이고 마르면 흰색으로 변화되어 미용 시트의 제거시점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미용 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용 시트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에 적층되고 피부에 부착되며, 수용성 고분자, 비수용성 고분자 및 상기 수용성 고분자의 용해로 릴리즈(release)되며 피부 미용을 위한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섬유가 축적되어 만들어진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미용 시트는 얼굴 전체에 부착할 수 있는 형상, 손 또는 발에 부착할 수 있는 형상, 얼굴의 눈 밑에 부착할 수 있는 형상, 코에 부착할 수 있는 형상 및 그외 목이나 팔 등에 부착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형상으로 재단되어 파우치에 건식 포장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수분이나 에센스 등의 용제를 멤브레인에 분사하여 사용하거나 부착할 피부에 용제를 분사한 후 미용 시트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미용 시트는 매우 얇고 가볍기 때문에 소량의 용제를 사용하여 원하는 피부에 부착하면 피부에 강하게 접착되어 잘 떨어지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멤브레인은 투명하기 때문에 종래 불투명한 미용시트를 부착한 경우 흉물스러운 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강한 접착력과 투명성으로 인해 본 발명은 야외활동, 예컨대 등산이나 산책시에도 자연스럽게 착용할 수 있는 등 소비자 만족도가 매우 높은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물질은 적어도 장기간 액상보관이 어려운 건식보관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건식보관물질은 비타민, 효소, 단백질, 펩타이드-비타민 C 유도체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섬유는 상기 비수용성 고분자 및 상기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섬유, 및/또는 상기 수용성 고분자 및 상기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섬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유는 상기 비수용성 고분자가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비수용성 고분자의 외면에 상기 수용성 고분자가 감싸지는 코어 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코어 쉘 구조의 섬유는 외측에 위치한 수용성 고분자는 용제에 의해 용해되고, 내측에 위치한 비수용성 고분자의 코어는 형태를 유지하여 멤브레인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체는 부직포, 메쉬, 실리콘, PET 필름, PE 필름, PP 필름, PU 필름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멤브레인을 보호하기 위한 릴리이스 필름이 상기 멤브레인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지지체에 적층되고, 상기 비수용성 고분자를 함유하는 제1섬유가 축적되어 형성된 형상유지층; 및 상기 수용성 고분자 및 상기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제2섬유가 상기 형상유지층에 축적되어 형성된 피부접촉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형상유지층은 상기 비수용성 고분자 및 용매가 혼합된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얻어진 제1섬유가 상기 지지체에 축적되어 형성되는 미세 기공을 갖는 3차원 네트워크 구조의 나노 섬유 웹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부접촉층은 상기 수용성 고분자, 상기 액상보관이 어려운 건식보관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을 위한 기능성 물질 및 용매가 혼합된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얻어진 제2섬유가 상기 형상유지층에 축적되어 형성되는 미세 기공을 가지는 3차원 네트워크 구조의 나노 섬유 웹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섬유의 섬경은 각각 3㎛ 미만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형상유지층은 용제가 함유된 상태에서는 투명한 형태이고, 상기 용제가 마르면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색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섬유가 비수용성 고분자, 기능성 물질과 수용성 고분자를 모두 함유하는 경우, 수용성 고분자와 비수용성 고분자는 3:7 내지 9:1 범위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용성 고분자와 비수용성 고분자는 7:3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능성 물질은 고분자 전체에 대하여 0.1 내지 15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물질은 비타민을 포함하며, 상기 비타민은 고분자 전체에 대하여 5 내지 10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의 두께는 5 내지 10㎛ 범위로 이루어지고, 3 내지 30gsm 범위의 평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멤브레인이 형상유지층과 피부접촉층으로 구성되는 경우, 형상유지층의 두께는 5 내지 10㎛ 범위로 이루어지고, 3 내지 20gsm 범위의 평량을 가지며, 상기 피부접촉층의 두께는 2 내지 5㎛ 범위로 이루어지며, 1 내지 10gsm 범위의 평량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용 시트에서 상기 형상유지층의 노출면에는 미용 시트의 디자인을 아름답게 하기 위한 인쇄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용 시트의 섬유는 코어 쉘 구조로 이루어지며, 용제를 사용하여 피부에 부착될 때 투명상태를 이루며, 상기 섬유의 외측에 위치한 수용성 고분자가 용제에 의해 용해될지라도 내측에 위치한 비수용성 고분자의 코어는 형태를 유지하여 멤브레인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기간 액상보관이 어려운 건식보관물질이 내부에 구속된 섬유로 이루어진 건식 타입의 미용 시트를 구현하여, 액상에서 분해되는 비타민, 효소, 단백질, 펩타이드-비타민 C 유도체 등의 건식보관물질을 장기 보관할 수 있고 피부 미용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가이며 장기간 액상 보관이 어려운 고기능성 물질을 고분자 방사용액에 극소량 혼합하여 전기방사방법으로 멤브레인을 형성함에 의해 고기능성 물질이 균일하게 탑재된 미용시트를 구성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전기방사 방법으로 기능성 물질을 미용시트에 탑재시킴으로써 고가의 기능성 물질을 극소량 사용하여도 기능성 물질이 미용시트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됨으로써 저가 생산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파우치 내부에 건식 타입의 미용 시트만 포장하며, 파우치 내부에 부직포 기재와 함께 여분의 액상 화장료를 포장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되지 못하고 폐기되는 액상 화장료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수용성 고분자와 비수용성 고분자가 전기방사될 때 코어 쉘 구조의 나노 섬유를 형성함에 따라, 미용 시트의 사용시에 용제에 의해 쉘부를 형성하는 수용성 고분자가 용해되어 기능성 물질이 릴리즈될지라도 코어부를 형성하는 비수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나노 섬유는 3차원 네트워크를 유지함에 따라 기능성 물질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제에 의해 수용성 고분자의 용해되어 피부 침투력이 우수한 펩타이드-비타민 C 유도체가 릴리즈됨으로써, 피부로 기능성 물질의 침투를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형상유지층이 투명한 형태이고 마르면 흰색으로 변화되어 미용 시트의 제거시점을 파악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용 시트는 초박막 시트 구조이고 용제를 사용하여 얼굴 등의 피부에 부착하는 경우 투명하면서 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등산이나 운동 같은 야외 활동시에도 자연스럽게 착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트의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미용 시트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트의 멤브레인을 구성하는 섬유의 일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트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트에 릴리이스 필름이 적층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트(100)는 지지체(110); 및 상기 지지체(110)에 적층되고 피부에 부착되며, 수용성 고분자, 비수용성 고분자 및 상기 수용성 고분자의 용해로 릴리즈(release)되며 장기간 액상보관이 어려운 건식보관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을 위한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섬유가 축적되어 만들어진 멤브레인(120);을 포함한다. 여기서, 건식보관물질은 액상보관이 어려워 건식보관을 위한 기능성 물질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미용 시트(100)는 신체의 피부에 부착하여 피부의 생리적 기능을 높이고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여 영양을 공급함으로써 피부를 아름답고 건강하고 탄력있게 유지할 수 있는 시트로 활용될 수 있다.
여기서, 미용 시트(100)는 절단, 절개, 펀칭, 절첩 등의 가공 공정을 수행하여 신체 구조에 맞는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즉, 미용 시트(100)는 얼굴, 목, 손, 귀, 다리, 배, 팔, 어깨 등 신체의 모든 부위에 부착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을 갖도록 제작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용 시트(100)는 얼굴 형상에 일치시킨 안면 미용 시트(201), 각종 신체영역에 부착할 수 있는 크기의 미용 시트(202), 손등 미용 시트(203) 등 신체 구조에 맞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이다.
건식보관물질은 비타민, 효소, 단백질, 펩타이드-비타민 C 유도체 등이며, 이들은 액상에서 분해되기 때문에, 액상으로 보관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건식보관물질은 장기간 액상보관이 어려운 물질 이외에 일반적인 기능성 물질도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미용 시트(100)의 멤브레인(120)를 구성하는 섬유 내부에 장기간 액상보관이 어려운 건식보관물질을 함유시켜 섬유 내부에 구속된 건식 상태로 장기 보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용제에 의해 수용성 고분자가 용해될 시 기능성 물질이 릴리즈되어 피부에 전달됨으로써, 피부 미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미용 시트(100)를 피부에 부착하면, 멤브레인(120)의 수용성 고분자는 용제에 의해 용해되어 기능성 물질과 수용성 고분자가 섬유에서 릴리즈된다. 릴리즈된 기능성 물질은 피부에 흡수되고, 용제에 용해된 수용성 고분자는 지지체(110)에 흡수된다. 그리고, 비수용성 고분자는 용제에 용해되지 않고 멤브레인 형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수용성 고분자가 용해되고 기능성 물질이 릴리즈되기 전과 후의 멤브레인의 형태는 유지하나 변형이 발생된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미용 시트의 섬유(50)는 비수용성 고분자(51)가 중심에 배치되고, 비수용성 고분자(51)의 외면에 수용성 고분자(52)가 감싸지는 코어 쉘 구조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도 3 참조). 따라서, 섬유의 외측에 위치한 수용성 고분자(52)가 용제에 의해 용해되고 내측에 위치한 비수용성 고분자(51)의 코어는 형태를 유지하여 멤브레인의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펩타이드-비타민 C 유도체는 비타민 C가 결합된 펩타이드로서, 세부적으로는 펩타이드 결합으로 연결된 10개 이하의 아미노산기로 이루어진 폴리머인 펩타이드에 비타민 C가 결합된 것이다.
펩타이드-비타민 C 유도체는 적은수의 아미노산기의 결합 구조를 가지고 있어 피부 내부에 침투하기가 용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용 시트(100)는 수용성 고분자가 용해될 때, 펩타이드-비타민 C 유도체 및 기능성 물질이 함께 릴리즈될 수 있어, 기능성 물질이 피부 내부로 신속하게 침투됨으로써, 우수한 피부 미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멤브레인(120)은 수용성 고분자, 비수용성 고분자, 액상보관이 어려운 건식보관물질을 포함하는 기능성 물질 및 용매를 적정 비율로 혼합한 방사용액을 전기 방사하여 섬유직경 3㎛ 미만인 섬유를 형성하고, 그 섬유를 축적시켜 섬유 웹 형태로 형성한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전기방사가 가능한 섬유 성형성 고분자로서 용제에 용해되는 고분자이며, PVA(polyvinyl alcohol), PVP(polyvinyl pyrrolidone), PEO(polyethylene oxide), CMC(carboxyl methyl cellulose), 전분(starch), PAA(polyacrylic acid) 및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 물질은 피부 미용을 위한 물질로서, 피부 미백에 도움을 주는 성분(알부틴, 나이아신아마이드, 아스코글루코사이드), 피부 주름 개선에 도움을 주는 성분(레티놀, 아데노신), 자외선 차단을 도와주는 성분(티타늄디옥사이드), 보습 및 피부탄력에 도움을 주는 성분(달팽이 점액 여과물, 아세틸헥사펩타이드, 홍삼 콜라겐, 아쿠아 세라마이드, 재생펩타이드, 갈라토미세스 발효액)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물질로는 수용성 콜라겐, 식물성 플라티나, 토코페롤, 자일리톨 및 식물성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비수용성 고분자는 멤브레인의 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전기방사가 가능하고 섬유 성형성 고분자로서, 용제에 수용성 고분자가 용해되고 기능성 물질이 릴리즈되더라도 멤브레인(120)의 구조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비수용성 고분자는 전기방사를 위해 용매에 용해될 수 있고, 전기방사에 의해 나노 섬유를 형성할 수 있는 수지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코-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퍼풀루오로폴리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알킬에테르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알킬에스터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 폴리(옥시메틸렌-올리 고-옥시에틸렌),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폴리옥사이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폴리스티렌 및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용매는 물이나 알코올이 사용될 수 있고, 물이나 알코올 이외에 유기 용매도 사용될 수 있다.
지지체(110)는 멤브레인(12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체(110)는 부직포 이외에, 실리콘, PE, PP, PU 필름 등 미용 팩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지지체(110)는 디자인을 아름답게 하면서 미용시트 전체를 지지할 수 있는 메쉬가 사용될 수 있다. 메쉬는 은사, 섬유사, 알루미늄 재질의 와이어, 수지재질의 실을 제직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트(100)가 지지체(110)와 멤브레인(120)의 2층 구조로 구성되는 경우, 멤브레인(120)의 두께는 5 내지 10㎛ 범위로 이루어지고, 최대 20㎛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3 내지 30gsm 범위의 평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지지체(110)의 두께는 100 내지 400㎛ 범위로 이루어지며, 30 내지 300gsm 범위의 평량을 가질 수 있다.
멤브레인(120)의 두께가 5㎛ 미만인 경우는 강도가 낮아서 핸들링이 어렵고, 10㎛를 초과하는 경우 투명성을 상실하며 제품 비용의 증가에 따라 효능이 비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게 된다. 또한, 멤브레인(120)의 평량이 3gsm 미만인 경우는 강도가 낮아서 핸들링이 어렵고, 평량이 30gsm을 초과하는 경우는 투명성을 상실하며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트(100)의 제조 방법에서는, 비수용성 고분자, 수용성 고분자 및 기능성 물질이 혼합된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섬유를 수득하고, 이 수득된 섬유를 축적하여 섬유 웹 구조의 멤브레인(120)을 형성한다.
이때, 전기방사로 비수용성 고분자 및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섬유; 수용성 고분자 및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섬유; 및 비수용성 고분자, 기능성 물질과 수용성 고분자를 모두 함유하는 섬유;를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멤브레인(120)은 비수용성 고분자, 수용성 고분자 및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제1섬유만으로 구성될 수 있고, 멤브레인(120)에는 비수용성 고분자 및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제2섬유; 수용성 고분자 및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제3섬유; 및 비수용성 고분자, 수용성 고분자 및 기능성 물질을 모두 함유하는 제1섬유; 중 적어도 2개의 섬유가 적층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섬유가 비수용성 고분자, 기능성 물질과 수용성 고분자를 모두 함유하는 경우, 수용성 고분자와 비수용성 고분자는 3:7 내지 9:1 범위의 중량비로 혼합되고, 수용성 고분자와 비수용성 고분자는 7:3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능성 물질은 고분자 전체에 대하여 0.1 내지 15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비타민은 고분자 전체에 대하여 5 내지 10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와 비수용성 고분자가 혼합될 때, 수용성 고분자를 30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용제와 만나서 웨팅(wetting)이 이루어지지 못하며, 9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섬유 웹 구조의 멤브레인(120)을 형성하기 위해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할 때 웹 형성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기능성 물질은 고분자 전체에 대하여 0.1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함량이 적어서 성능 발현이 곤란하고, 1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방사용액을 준비하여 전기방사할 때 방사가 이루어지지 못하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트(100)의 섬유(50)는 비수용성 고분자(51)가 중심에 배치되고, 비수용성 고분자(51)의 외면에 수용성 고분자(52)가 감싸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비수용성 고분자(51)와 수용성 고분자(52)는 서로 다르기 때문에 전기방사를 하게 되면 비수용성 고분자(51)가 중앙에 배치되고, 수용성 고분자(52)가 비수용성 고분자(51)의 외면에 감싸지게 배치되는 코어 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비수용성 고분자(51)와 수용성 고분자(52)는 분자량이 서로 다르거나 녹는점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코어 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트의 멤브레인(120)은 지지체(110)에 적층되고, 비수용성 고분자를 함유하는 제1섬유가 축적되어 형성된 형상유지층(121); 및 수용성 고분자 및 액상보관이 어려운 건식보관물질을 포함하는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제2섬유가 상기 형상유지층(121)에 축적되어 형성된 피부접촉층(12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트의 멤브레인(120)이 형상유지층(121)과 피부접촉층(122)의 2층 구조로 구성되는 경우, 형상유지층(121)의 두께는 5 내지 10㎛ 범위로 이루어지고, 3 내지 20gsm 범위의 평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피부접촉층(122)의 두께는 2 내지 5㎛ 범위로 이루어지며, 1 내지 10gsm 범위의 평량을 가질 수 있다.
형상유지층(121)의 두께가 5㎛ 미만이고 평량이 3gsm 미만인 경우는 강도가 낮아서 핸들링이 어렵고, 형상유지층(121)의 두께가 10㎛를 초과하며 평량이 30gsm을 초과하는 경우는 투명성을 상실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피부접촉층(122)의 두께가 2㎛ 미만이고 평량이 1gsm 미만인 경우는 기능성 물질의 함유량이 적어서 성능 발현이 곤란하고, 피부접촉층(122)의 두께가 5㎛를 초과하며 평량이 10gsm을 초과하는 경우는 수용성 고분자의 함량도 증가하여 너무 끈적거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형상유지층(121)은 전기방사가 가능한 비수용성 고분자 및 용매를 혼합하여 방사용액을 제조한 후, 제조된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제1섬유를 형성하고, 이 제1섬유를 지지체(110)에 축적시켜 형성한 미세 기공을 갖는 3차원 네트워크 구조의 나노 섬유 웹이다.
피부접촉층(122)은 전기방사가 가능한 수용성 고분자, 액상보관이 어려운 건식보관물질을 포함하는 기능성 물질 및 용매를 혼합한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얻어진 제2섬유를 형상유지층(121)에 축적시켜 형성한 미세 기공을 가지는 3차원 네트워크 구조의 나노 섬유 웹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피부접촉층(122)을 구성하는 제2섬유에서 기능성 물질은 수용성 고분자 대비 0.1 내지 15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비타민은 수용성 고분자에 대하여 5 내지 10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기능성 물질은 수용성 고분자와 혼합될 때 0.1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함량이 적어서 성능 발현이 곤란하고, 1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방사용액을 준비하여 전기방사할 때 방사가 이루어지지 못하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형상유지층(121)의 제1섬유와 피부접촉층(122)의 제2섬유는 섬경을 다르게 또는 동일하게 설계할 수 있고, 이때, 제1 및 제2 섬유의 섬경은 3㎛ 미만일 수 있다.
그리고, 형상유지층(121)은 멤브레인(120)을 피부에 부착할 때 멤브레인(120)의 형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피부에 뿌리는 에센스가 제1섬유에 의해 형성되는 미세 기공에 흡수되어 보습유지 역할을 한다.
형상유지층(121)은 비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방사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섬유가 축적된 섬유 웹 형태로 형성되므로, 에센스가 흡수된 상태 즉, 용제를 함유한 상태일 때에는 난반사를 없애주어 투명하게 보이고, 에센스가 없는 상태, 즉, 용제가 마른 상태가 되면 흰색 또는 흰색 이외의 다른 색으로 보이기 때문에 피부접촉층(122)이 피부에 전부 흡수된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접촉층(122)의 기능성 물질이 전부 피부에 흡수되어 용제가 마르게 되면 형상유지층(121)이 흰색으로 변화되어 미용 시트의 제거 시점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알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기존의 미용 시트는 피부에 부착한 후 정해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미용 시트를 피부에서 분리하는데, 사람에 따라 미용 시트가 피부에 흡수되는 시간이 각각 다르다. 따라서, 정해진 시간에 따라 미용 시트를 떼어내는 시점으로 하면 미용 시트에 함유된 기능성 물질이 전부 피부에 흡수되지 못하거나 기능성 물질이 전부 흡수된 상태에서 계속 피부에 부착하고 있는 경우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형상유지층(121)은 용제가 마르면 투명에서 흰색으로 변화되기 때문에 미용 시트를 피부에서 분리하는 시점을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하다.
여기서, 용제는 피부접촉층(122)을 이루는 수용성 고분자를 용해시킬 수 있으면서 피부 트러블 등을 일으키지 않는 안전한 물질이면 어떠한 물질도 사용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용제는 수분, 에센스, 미스트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형상유지층(121)의 일면에는 광고 문양이나 디자인을 아름답게 하기 위한 인쇄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피부접촉층(122)은 수용성 고분자와 기능성 물질이 혼합된 형태이므로 피부에 부착되면, 기능성 물질은 피부에 흡수되고 수용성 고분자는 지지체(110)에 흡수되어 보습 기능을 수행한다.
피부접촉층(122)을 형성하는 방사용액에 포함된 용매로는 물이나 알코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기용매 사용에 따른 피부 트러블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또, 형상유지층(121)의 일면에는 디자인을 아름답게 하기 위한 인쇄층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트는 멤브레인(120)에 적층되고 미용 시트를 사용할 때 분리되는 릴리이스 필름(130)을 포함할 수 있다.
릴리이스 필름(130)은 멤브레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PET, PP, PE 재질 또는 이형지 등으로 형성되어 멤브레인(120)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용 시트는 고가이며 장기간 액상 보관이 어려운, 비타민, 효소, 단백질, 펩타이드-비타민 C 유도체 등의 고기능성 물질을 고분자 방사용액에 미량 혼합하여 전기방사하여 고기능성 물질이 균일하게 탑재된 미용시트를 구성하고, 이를 건식 포장하여 보관하다가 사용시 물이나 용제에 적셔 사용함으로써 고기능성 물질의 건식 보관에 따라 장기 보관시에도 기능성 물질의 변질이 발생하지 않는다. 물론 미용 시트에는 일반적인 기능성 물질도 탑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미용 시트는 매우 얇고 가볍기 때문에 소량의 용제를 사용하여 원하는 피부에 부착하면 피부에 강하게 접착되어 잘 떨어지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멤브레인은 투명하기 때문에 종래 불투명한 미용시트를 부착한 경우 흉물스러운 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강한 접착력과 투명성으로 인해 등산이나 산책 같은 야외활동시에도 자연스럽게 착용할 수 있어 소비자 만족도가 매우 높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전기방사 방법으로 기능성 물질을 미용시트에 탑재시킴으로써 고가의 기능성 물질을 극소량 사용하여도 기능성 물질이 미용시트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됨으로써 저가 생산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액상보관이 어려운 건식보관을 위한 기능성 물질을 섬유에 함유시켜, 장기 보관이 가능하고 피부 미용 능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건식 타입의 미용 시트에 적용될 수 있다.
50: 섬유 51: 비수용성 고분자
52: 수용성 고분자 100: 미용 시트
100,201,202,203: 미용 시트 110: 지지체
121: 형상유지층 122: 피부접촉층
130: 릴리이스 필름

Claims (20)

  1.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에 적층되고 피부에 부착되며, 수용성 고분자, 비수용성 고분자 및 상기 수용성 고분자의 용해로 릴리즈(release)되며 피부 미용을 위한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섬유가 축적되어 만들어진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물질은 적어도 장기간 액상보관이 어려운 건식보관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건식보관물질은 비타민, 효소, 단백질, 펩타이드-비타민 C 유도체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상기 비수용성 고분자 및 상기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섬유, 및/또는 상기 수용성 고분자 및 상기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섬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상기 비수용성 고분자가 코어에 배치되고, 상기 비수용성 고분자 코어의 외면에 상기 수용성 고분자가 감싸지는 코어 쉘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부직포, 메쉬, 실리콘, PET 필름, PE 필름, PP 필름, PU 필름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멤브레인의 노출면에 부착되어 있는 릴리이스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지지체에 적층되고, 상기 비수용성 고분자를 함유하는 제1섬유가 축적되어 형성되는 형상유지층; 및
    상기 수용성 고분자 및 상기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제2섬유가 상기 형상유지층에 축적되어 형성되는 피부접촉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시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층은, 상기 비수용성 고분자 및 용매가 혼합된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얻어진 제1섬유가 상기 지지체에 축적되어 형성되며 미세 기공을 갖는 3차원 네트워크 구조의 나노 섬유 웹으로 구성되어, 보습층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시트.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접촉층은, 상기 수용성 고분자, 상기 액상보관이 어려운 건식보관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을 위한 기능성 물질 및 용매가 혼합된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얻어진 제2섬유가 상기 형상유지층에 축적되어 형성되며 미세 기공을 가지는 3차원 네트워크 구조의 나노 섬유 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시트.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섬유의 섬경은 각각 3㎛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시트.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유지층은 용제가 함유된 상태에서는 투명한 형태이고, 상기 용제가 마르면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색상으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시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가 비수용성 고분자, 기능성 물질과 수용성 고분자를 모두 함유하는 경우, 수용성 고분자와 비수용성 고분자는 3:7 내지 9:1 범위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시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와 비수용성 고분자는 7:3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시트.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물질은 고분자 전체에 대하여 0.1 내지 15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시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물질은 비타민을 포함하며,
    상기 비타민은 고분자 전체에 대하여 5 내지 10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시트.
  1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쉘 구조의 섬유는 외측에 위치한 수용성 고분자는 용제에 의해 용해되고, 내측에 위치한 비수용성 고분자의 코어는 형태를 유지하여 멤브레인의 형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시트.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의 두께는 5 내지 10㎛ 범위로 이루어지고, 3 내지 30gsm 범위의 평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시트.
  1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층의 두께는 5 내지 10㎛ 범위로 이루어지고, 3 내지 20gsm 범위의 평량을 가지며,
    상기 피부접촉층의 두께는 2 내지 5㎛ 범위로 이루어지며, 1 내지 10gsm 범위의 평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시트.
  1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층의 노출면에는 디자인을 아름답게 하기 위한 인쇄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시트.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용 시트의 섬유는 코어 쉘 구조로 이루어지며, 용제를 사용하여 피부에 부착될 때 투명상태를 이루며,
    상기 섬유의 외측에 위치한 수용성 고분자가 용제에 의해 용해될지라도 내측에 위치한 비수용성 고분자의 코어는 형태를 유지하여 멤브레인의 형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시트.
KR1020160134297A 2015-10-16 2016-10-17 미용 시트 KR1020094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639 2015-10-16
KR20150144639 2015-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726A true KR20170045726A (ko) 2017-04-27
KR102009451B1 KR102009451B1 (ko) 2019-08-13

Family

ID=58517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297A KR102009451B1 (ko) 2015-10-16 2016-10-17 미용 시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80295971A1 (ko)
KR (1) KR102009451B1 (ko)
CN (1) CN108135785A (ko)
WO (1) WO201706558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1148A (ko) * 2017-05-31 2018-12-10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발열패치
WO2020235938A1 (ko) * 2019-05-21 2020-11-26 (주)우리엠엔에스 수용성 부직포를 기초로 한 피부 부착용 박막 패치
WO2020246723A1 (ko) * 2019-06-05 2020-12-10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세포배양액 담지 3 차원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한 필름의 제조 방법
US11419755B2 (en) 2017-05-31 2022-08-23 Amolifescience Co., Ltd. Heating patch, and warming device for skin care compri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009B1 (ko) * 2016-12-12 2019-07-31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피부부착형 패치
CN108030702B (zh) * 2017-12-20 2021-02-26 天津工业大学 一种锁水保湿面膜布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825949A (zh) * 2019-03-11 2019-05-31 东莞华工创为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全固态功能性纳米纤维膜的制备及应用
CN111000751B (zh) 2019-12-11 2023-05-05 无限极(中国)有限公司 一种固态面膜及其制备方法
CN115839041A (zh) * 2021-09-18 2023-03-24 株洲时代华先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遇水变色纸、制备方法以及采用其制作的手腕带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3897A (ja) * 2005-12-07 2007-06-21 L'oreal Sa 可溶性の起泡性化粧品製品
JP2007153900A (ja) * 2005-12-07 2007-06-21 L'oreal Sa 熱効果を有する溶解性の化粧用物品
KR20100104790A (ko) 2009-03-19 2010-09-29 구기승 손발 미용팩
KR20110080066A (ko) * 2010-01-04 2011-07-1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 미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52639A (ko) * 2012-10-25 2014-05-07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자가 용융형 나노섬유로 구성된 미용시트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4366A1 (en) * 2001-08-10 2003-03-06 Dole Victoria F. Skin care composition that changes color upon drying
JP4221273B2 (ja) * 2003-10-31 2009-02-12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乳化型化粧料
JP2008179629A (ja) * 2006-12-27 2008-08-07 Snt Co 化粧用シート
JP5600005B2 (ja) * 2007-09-05 2014-10-01 太陽化学株式会社 水溶性電界紡糸シート
JP5295943B2 (ja) * 2008-12-26 2013-09-18 花王株式会社 ナノファイバシート
CN101705529B (zh) * 2009-10-29 2012-10-10 无锡中科光远生物材料有限公司 生物相容壳核结构复合超细纤维膜及其制作方法
CN102958505B (zh) * 2010-06-29 2015-07-01 花王株式会社 纳米纤维层叠片
JP5580670B2 (ja) * 2010-06-29 2014-08-27 花王株式会社 ナノファイバ積層シート
US20120308619A1 (en) * 2011-06-03 2012-12-06 Tousley Catherine L B Cosmetic anti-wrinkle patch
KR101353902B1 (ko) * 2011-10-26 2014-01-23 주식회사 제닉 비타민 c를 포함하는 화장용 필름 조성물 및 화장용 필름의 제조방법
JP2014009205A (ja) * 2012-06-29 2014-01-20 Sekisui Plastics Co Ltd パック化粧料
CN203915534U (zh) * 2014-05-30 2014-11-05 广州市博卡利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防辐射面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3897A (ja) * 2005-12-07 2007-06-21 L'oreal Sa 可溶性の起泡性化粧品製品
JP2007153900A (ja) * 2005-12-07 2007-06-21 L'oreal Sa 熱効果を有する溶解性の化粧用物品
KR20100104790A (ko) 2009-03-19 2010-09-29 구기승 손발 미용팩
KR20110080066A (ko) * 2010-01-04 2011-07-1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 미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52639A (ko) * 2012-10-25 2014-05-07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자가 용융형 나노섬유로 구성된 미용시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1148A (ko) * 2017-05-31 2018-12-10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발열패치
US11419755B2 (en) 2017-05-31 2022-08-23 Amolifescience Co., Ltd. Heating patch, and warming device for skin care comprising same
WO2020235938A1 (ko) * 2019-05-21 2020-11-26 (주)우리엠엔에스 수용성 부직포를 기초로 한 피부 부착용 박막 패치
WO2020246723A1 (ko) * 2019-06-05 2020-12-10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세포배양액 담지 3 차원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한 필름의 제조 방법
KR20200139888A (ko) * 2019-06-05 2020-12-15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세포배양액 담지 3 차원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한 필름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65587A1 (ko) 2017-04-20
CN108135785A (zh) 2018-06-08
US20180295971A1 (en) 2018-10-18
KR102009451B1 (ko) 201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9451B1 (ko) 미용 시트
US11167525B2 (en) Cosmetic pa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10470983B2 (en) Cosmetic pa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001009B1 (ko) 피부부착형 패치
KR101704744B1 (ko) 분리용 손잡이가 구비된 미용 팩
KR101689639B1 (ko) 피부 리프팅 및 필링 효과를 갖는 마스크 팩, 상기 마스크 팩의 포장 방법 및 상기 마스크 팩을 이용한 스킨 케어 방법
CN107106416A (zh) 美容面膜及其制备方法
CN110708984B (zh) 面膜及其制造方法
KR102371114B1 (ko)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JP2013028552A (ja) 化粧用シート
KR102371096B1 (ko) 국소 적용에 적합한 부직포 고형 물질
KR20090104780A (ko) 안면 마스크
US20220232950A1 (en) Dry cosmetic sheet
US20160206548A1 (en) Coconut oil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KR101640837B1 (ko) 분리용 손잡이가 구비된 마스크 팩
KR102406258B1 (ko) 미용 팩
WO2022130918A1 (ja) 美容用積層シート
KR20190062195A (ko) 마스크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50605A (ko)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JP2023070534A (ja) 油剤上に貼付可能な薄型フィルム、薄型フィルム、転写シート、薄型フィルムの使用方法、および、薄型フィル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