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4744A - 농업용 전해수 생성장치 및 농업용 전해수 - Google Patents

농업용 전해수 생성장치 및 농업용 전해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4744A
KR20170044744A KR1020177008768A KR20177008768A KR20170044744A KR 20170044744 A KR20170044744 A KR 20170044744A KR 1020177008768 A KR1020177008768 A KR 1020177008768A KR 20177008768 A KR20177008768 A KR 20177008768A KR 20170044744 A KR20170044744 A KR 20170044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ic
water
electrode chamber
electrolysis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8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8368B1 (ko
Inventor
카츠미 이시카와
다이지 아메노모리
야스오미 하마우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니혼트림
고쿠리츠다이가쿠호진 고치다이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니혼트림, 고쿠리츠다이가쿠호진 고치다이가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니혼트림
Publication of KR20170044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4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15Electrolytic cell with membranes or diaphrag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02F2201/4614Curr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전해수 생성장치(1)는, 음극(6a)을 구비하는 제 1 전극실(Da)과, 양극(6b)을 구비하는 제 2 전극실(Db)과, 제 1 전극실(Da)과 제 2 전극실(Db)을 구획하는 격막(Sp)을 내부에 구비하는 전해조(電解槽)(D)와, 제 1 전극실(Da)에 접속되어, 외부로부터 원수(原水)를 제 1 전극실(Da)에 공급하는 제 1 입수로(入水路)(4a)와, 제 1 전극실(Da)에 접속되어, 전기 분해에 의해 제 1 전극실(Da)에서 생성한 전해 수소수를 외부로 취출하는 제 1 취출 수로(7a)와, 전해조(D)에 접속되어, 전기 분해를 행하는 시에, 전해 수소수에 부여하는 전하량을 조정하기 위한 전하량 조정장치(10)를 구비한다. 전하량 조정장치(10)는, 전해 전류 또는 전해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전해 수소수의 단위 취수량당 전하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농업용 전해수 생성장치 및 농업용 전해수 {AGRICULTURAL ELECTROLYZED WATER-GENERATING APPARATUS AND AGRICULTURAL ELECTROLYZED WATER}
본 발명은, 물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농업용 전해수를 생성하는 농업용 전해수 생성장치 및 농업용 전해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농업용수로서 수도수, 지하수, 하천수 등이 이용되어 왔으나, 대량의 물 사용으로 인한 수자원 감소가 세계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한편, 식료 수요의 증대와 작물의 품질 향상도 요망되고 있어, 농업 분야에서는, 양질의 수자원의 효율적 이용이 불가결하게 되어 있다.
그래서, 어떤 처리를 행함에 따라 기능이 부여되어, 농작물의 생산 효율과 품질 향상에 기여하는 것이 가능한 기능수(機能水)의 개발이 기대되고 있다.
이 기능수로서, 예를 들어, 식물재배에 필요한 철이나 망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킬레이트(chelate) 금속염을 함유하는 농업용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2002-320416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능수는, 물에 특정의 금속을 용해시키는 화학적인 처리에 의해 제조되므로, 건전한 근권 환경(root environment)에서는 효과적이나, 근권 환경의 균형을 잃기 쉬운 상태에서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또, 뿌리의 표면은, 음(-)으로 대전하고 있음과 더불어, 근권에서의 물질 이동은 주로 전하를 갖는 이온 상태에서 행해지므로, 정전하를 유지한 물을 이용함으로써, pH 상승을 억제하여, pH 상해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수소 결합을 강화하여 수질을 개질함에 따라, 뿌리의 강화로도 이어진다. 따라서, 사용하는 물에 대해, 전기적인 처리를 행한 것이, 근권 환경의 유지가 용이하게 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식물의 생육에 유용한 농업용 전해수로서 사용 가능한 전해 수소수를 얻을 수 있는 농업용 전해수 생성장치 및 농업용 전해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농업용 전해수 생성장치는, 음극을 구비하는 제 1 전극실과, 양극을 구비하는 제 2 전극실과, 제 1 전극실과 제 2 전극실을 구획하는 격막을 내부에 구비하는 전해조(電解槽)와, 제 1 전극실에 접속되어, 외부로부터 원수(原水)를 제 1 전극실에 공급하는 제 1 입수로(入水路)와, 제 2 전극실에 접속되어, 외부로부터 원수를 제 2 전극실에 공급하는 제 2 입수로와, 제 1 전극실에 접속되어, 전기 분해에 의해 제 1 전극실에서 생성한 전해 수소수를 외부로 취출하는 제 1 취출 수로와, 제 2 전극실에 접속되어, 전기 분해에 의해 제 2 전극실에서 생성한 전해 산성수를 외부로 취출하는 제 2 취출 수로와, 전해조에 접속되어, 전기 분해를 행하는 시에, 전해 수소수에 부여하는 전하량을 조정하기 위한 전하량 조정장치를 구비하고, 전하량 조정장치는, 전해 전류 또는 전해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전해 수소수의 단위 취수량당 전하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 구성에 의하면, 단위 취수량당 전하량이 조정된 전해 수소수를 얻을 수 있으므로, 근권 환경의 전기적 제어를 할 수 있고, 식물의 생육에 유용한 농업용 전해수(전해 수소수)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식물의 생육에 유용한 농업용 전해수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농업용 전해수 생성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하량 조정장치에 의한 전하량의 조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농업용 전해수 생성장치(이하, "전해수 생성장치"라 함.)를 나타내는 도이다.
전해수 생성장치(1)는, 정수기에 의해 정화된 원수에 대해, 전기 분해 처리를 행함으로써, 농업용으로 사용되는 수소가 용존(溶存)된 물(농업용 전해수)을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전해수 생성장치(1)는, 전해조(D)를 구비하며, 이 전해조(D) 내부에는, 얇은 시트상(狀)의 격막(Sp)과, 이 격막(Sp)에 의해 구획된 제 1 전극실(음극실)(Da) 및 제 2 전극실(양극실)(Db)이 구비된다.
이 격막(Sp)은, 이른바 "세퍼레이터"라 불리고, 물을 전기 분해한 시에 발생하는 이온을 투과시키는 재료에 의해 형성된 얇은 시트재에 의해 구성된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전극실(Da)에는 제 1 전극인 음극(6a)이 배치됨과 동시에, 제 2 전극실(Db)에는 제 2 전극인 양극(6b)이 배치된다. 이 음극(6a)과 양극(6b)은, 격막(Sp)을 개재하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음극(6a)과 양극(6b)의 재료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티타늄을 백금 또는 이리듐(iridium)으로 코팅한 것을 들 수 있으나, 전극의 전해 내구성의 관점에서, 티타늄을 백금 이리듐으로 도금 가공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전해수 생성장치(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전극실(Da)에 접속되어, 외부로부터 원수(정수기에 의해 정화된 원수)를 제 1 전극실(Da)에 공급하는 제 1 입수로(4a)와, 제 2 전극실(Db)에 접속되어, 외부로부터 원수(정수기에 의해 정화된 원수)를 제 2 전극실(Db)에 공급하는 제 2 입수로(4b)를 구비한다.
또한, 전해수 생성장치(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전극실(Da)에 접속되어, 전기 분해에 의해, 제 1 전극실(Da)에서 생성한 전해 수소수(환원수)를 외부로 취출하는 제 1 취출 수로(7a)와, 제 2 전극실(Db)에 접속되어, 전기 분해에 의해, 제 2 전극실(Db)에서 생성한 전해 산성수를 외부로 취출하는 제 2 취출 수로(7b)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전극실(Da)에서 생성한 전해 수소수를 제 1 취출 수로(7a)로부터 취출하여, 농업용 전해수로서 사용한다. 또한, 전기 분해에 의해, 양극(6b)측에서 발생한 전해 산성수는, 제 2 취출 수로(7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의 전해수 생성장치(1)를 사용하여 전기 분해를 행하는 시에, 전해 전류를 제어하여, 전해 수소수의 단위 취수량당 전하량[C/L]을 조정함으로써, 식물의 생육에 유용한 농업용 전해수(전해 수소수)를 얻는 점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단위 취수량당 전하량"이란, 전기 분해를 행하는 시에 전해조를 포함하는 장치 내를 통과하여 취수되는 물 1L에 대해 부여하는 전하량을 말한다. 또한, 전하량은 하기 식(1)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식 1]
C = I × s (1)
상기 식(1)에서, C는 전하량, I는 전해 전류, s는 전해조를 포함한 장치 내를 통과하여, 물 1L가 취수되는 시에 걸리는 시간(초)을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전해수 생성장치(1)는, 전기 분해를 행하는 시에, 전해 수소수에 부여하는 전하량을 조정하기 위한 전하량 조정장치(10)를 구비한다.
또, 전하량 조정장치(10)는, 전해수 생성장치(1)에 의한 전기 분해처리의 전해 전류를 결정하는 전해 전류 결정수단(11)과, 전해 전류 결정수단(11), 및 전해조(D)에 접속되어, 전해조(D)에 대해 전해 전류를 공급하는 전해 전류 공급수단(12)과, 전해 전류 결정수단(11)에 접속되어, 단위 취수량당 전하량의 목표값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13)을 구비한다.
다음에, 전하량 조정장치(10)에 의한 전하량의 조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하량 조정장치에 의한 전하량의 조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전해 전류 결정수단(11)이, 기억수단(13)에 기억된 단위 취수량당 전하량 목표값의 데이터를 판독한다(단계 S1).
여기서, 일반적으로, 물에 전하를 부여함으로써, 전하가 부여된 물의 pH가 변동하나, pH 상승에 기인하여, 전해 수소수를 이용한 배양액에서 백색 침전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를 회피하는 관점에서, 전해 수소수의 단위 취수량당 전하량은, 8∼300C/L이 바람직하고, 37.5∼180C/L이 보다 바람직하며, 42∼73.5C/L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마찬가지 관점에서, 전해 수소수의 pH 범위는, 7.5∼9.9가 바람직하고, 8.0∼9.8이 보다 바람직하며, 8.5∼9.5가 특히 바람직하다.
다음에, 전해 전류 결정수단(11)은, 단위 취수량당 전하량이, 상술의 목표값이 되도록, 전해조(D)에서의 전기 분해처리의 전해 전류를 결정한다(단계 S2). 그리고, 전해 전류 결정수단(11)은, 전해조(D)에 대해 전해 전류를 공급하는 전해 전류 공급수단(12)으로, 결정한 전해 전류에 관한 신호를 송신한다(단계 S3).
다음에, 전해 전류 공급수단(12)은, 입력된 신호에 기초한 전해 전류를, 전해조(D)로 공급하고, 전해조(D)에서, 단위 취수량당 전하량이 목표값이 되도록 전기 분해처리가 행해지고, 농업용 전해수용의 전해 수소수가 생성된다(단계 S4).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해수 생성장치(1)를 사용하여 전기 분해를 행하는 시에, 전해 전류를 제어하여, 원하는 단위 취수량당 전하량을 갖는 전해 수소수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생성한 전해 수소수는, 음극실 내에서 카티온(cation)을 끌어모아 양(+)으로 대전하므로, 근권 주변부에서는 산화제의 해리(解離)를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카르복시기(carboxyl group)에 의해 음(-)으로 대전하는 식물 뿌리의 세포벽, 및 인(燐) 지질에 의해 지질 이중층을 형성하고 있는 세포막의 산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양(+)으로 대전한 전해 수소수는, 수소 결합이 강화되어, 수질이 개질된다. 따라서, 뿌리의 생리 활성을 향상시켜, 식물의 생육에 양호한 영향을 주는 농업용 전해수(전해 수소수)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하여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전해 전류를 제어하고, 정전류 전해에 의해, 전해 수소수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원하는 단위 취수량당 전하량을 갖는 전해 수소수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전해 전압을 제어하여, 정전위 전해에 의해, 전해 수소수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 실시예를 본 발명의 취지에 기초하여 변형,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들을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상술의 도 1에 나타내는 전해수 생성장치를 사용하여, 농업용 전해수로서 사용하는 전해 수소수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양극 및 음극으로서, 전극 표면적이 77㎠인 백금 이리듐 판을 사용함과 동시에, 격막으로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친수막(親水膜)을 사용하고, 정수기에 의해 정화된 원수에 대해, 전해 수소수의 단위 취수량당 전하량이 42C/L이 되도록, 직류의 정전류 전해법(전해 전류: 1.4A)에 의해, 약 3초간, 정전류 전해를 행하여, 전해 수소수를 제조하였다. 또, 전해 수소수의 pH는 8.54이었다.
(실시예 2)
전해 수소수의 단위 취수량당 전하량이 44C/L이 되도록, 직류의 정전류 전해법(전해 전류: 2.45A)에 의해, 약 2초간, 정전류 전해를 행한 것 이외는, 상술의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전해 수소수를 제조하였다. 또, 전해 수소수의 pH는 9.00이었다.
(코마츠나(Japanese Mustard Spinach)의 재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전해 수소수를 이용한 배양액을 사용하여, NFT(nutrient flow technique)에 의한 코마츠나(35주(株))의 배양 재배를 행하였다.
그리고, 배양액으로서, 제조한 전해 수소수 300L에 대해 오츠카(Otsuka) 하우스 1호를 225g, 오츠카 하우스 2호를 150g 용해시켜, 오츠카 하우스 A 처방 표준 배양액을 2배로 희석한 것을 제작하여 이용하였다. 표 1에, 오츠카 하우스 A 처방 표준 배양액의 성분 조성을 나타낸다. 또, 재배는 자연광 하에서 행하고, 정식(定植)으로부터 20일간 행하였다. 또한, 배양액의 교환은, 정식으로부터 6일마다 행하였다.
[표 1]
Figure pct00001
그리고, 정식 후 20일째의 각 코마츠나의 초장(plant length)(㎜), 엽폭(leaf width)(㎜), 지상부(지면으로부터 나와 있는 잎이나 줄기의 부분)의 생중량(fresh weight)(g/주), 및 지하부(지면 밑의 뿌리 부분)의 생중량(g/주)을 측정하여, 각각의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또, 비교예로서, 상술의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전해 수소수 대신에, 수도수를 사용하여, 동일한 조건하, 코마츠나의 재배를 행하고, 정식 후 20일째의 각 코마츠나의 초장(㎜), 엽폭(㎜), 지상부(지면으로부터 나와 있는 잎이나 줄기의 부분)의 생중량(g/주), 및 지하부(지면 밑의 뿌리 부분)의 생중량(g/주)을 측정하여, 각각의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바질(basil)의 재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전해 수소수를 이용한 배양액을 사용하여, NFT(nutrient flow technique)에 의한 바질(35주)의 배양 재배를 행하였다.
여기서, 배양액으로는, 상술한 코마츠나의 재배에 이용한 배양액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 재배는 자연광 하에서 행하고, 정식으로부터 25일간 행하였다. 또, 배양액의 교환은, 정식으로부터 6일마다 행하였다.
그리고, 정식 후 25일째의 각 바질의 엽수(장), 지상부(지면으로부터 나와 있는 잎이나 줄기의 부분)의 생중량(g/주), 및 지하부(지면 밑의 뿌리 부분)의 생중량(g/주)을 측정하여, 각각의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또, 비교예로서, 상술의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전해 수소수 대신에, 수도수를 사용하여, 동일 조건하, 바질의 재배를 행하고, 정식 후 25일째의 각 바질의 엽수(장), 지상부(지면으로부터 나와 있는 잎이나 줄기의 부분)의 생중량(g/주), 및 지하부(지면 밑의 뿌리 부분)의 생중량(g/주)을 측정하여, 각각의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2]
[표 3]
Figure pct00003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해 수소수를 이용하여 제작한 배양액을 사용한 실시예에서는, 수도수를 사용한 비교예에 비해, 초장 및 엽폭이 신장(伸長)됨과 동시에, 지상부 및 지하부의 중량이 크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마찬가지로,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해 수소수를 이용하여 제작한 배양액을 사용한 실시예에서는, 수도수를 사용한 비교예에 비해, 엽수가 증가됨과 동시에, 지상부 및 지하부의 중량이 크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전해 전류를 제어하여, 단위 취수량당 전하량을 조정한 전해 수소수는, 식물의 생육에 유용한 농업용 전해수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물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농업용 전해수를 생성하는 농업용 전해수 생성장치 및 농업용 전해수에 유용하다.
1 : 전해수 생성장치 4a : 제 1 입수로
4b : 제 2 입수로 6a : 음극
6b : 양극 7a : 제 1 취출 수로
7b : 제 2 취출 수로 10 : 전하량 조정장치
11 : 전해 전류 결정수단 12 : 전해 전류 공급수단
13 : 기억수단 D : 전해조
Da : 제 1 전극실(음극실) Db : 제 2 전극실(양극실)
Sp : 격막

Claims (6)

  1. 음극을 구비하는 제 1 전극실과, 양극을 구비하는 제 2 전극실과, 이 제 1 전극실과 이 제 2 전극실을 구획하는 격막을 내부에 구비하는 전해조(電解槽)와,
    상기 제 1 전극실에 접속되어, 외부로부터 원수(原水)를 이 제 1 전극실로 공급하는 제 1 입수로(入水路)와,
    상기 제 2 전극실에 접속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원수를 제 2 전극실로 공급하는 제 2 입수로와,
    상기 제 1 전극실에 접속되어, 전기 분해에 의해 이 제 1 전극실에서 생성한 전해 수소수를 외부로 취출하는 제 1 취출 수로와,
    상기 제 2 전극실에 접속되어, 전기 분해에 의해 이 제 2 전극실에서 생성한 전해 산성수를 외부로 취출하는 제 2 취출 수로와,
    상기 전해조에 접속되어, 전기 분해를 행하는 시에, 상기 전해 수소수에 부여하는 전하량을 조정하기 위한 전하량 조정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전하량 조정장치는, 전해 전류 또는 전해 전압을 제어함에 따라, 상기 전해 수소수의 단위 취수량당 상기 전하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전해수 생성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하량 조정장치는, 전해 전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전해수 생성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하량 조정장치는,
    전기 분해를 행하는 시의 전해 전류를 결정하는 전해 전류 결정수단과,
    상기 전해 전류 결정수단, 및 상기 전해조에 접속되어, 이 전해조에 대해 전해 전류를 공급하는 전해 전류 공급수단과,
    상기 전해 전류 결정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단위 취수량당 전하량의 목표값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전해수 생성장치.
  4. 청구항 1∼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 수소수의 상기 단위 취수량당 전하량이, 8∼300C/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전해수 생성장치.
  5. 청구항 1∼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농업용 전해수 생성장치에 의해 생성된 농업용 전해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농업용 전해수의 pH가, 7.5∼9.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전해수.
KR1020177008768A 2014-09-01 2015-08-26 농업용 전해수 생성장치 및 농업용 전해수 KR1024083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77031 2014-09-01
JPJP-P-2014-177031 2014-09-01
PCT/JP2015/004304 WO2016035288A1 (ja) 2014-09-01 2015-08-26 農業用電解水生成装置および農業用電解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4744A true KR20170044744A (ko) 2017-04-25
KR102408368B1 KR102408368B1 (ko) 2022-06-10

Family

ID=55439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8768A KR102408368B1 (ko) 2014-09-01 2015-08-26 농업용 전해수 생성장치 및 농업용 전해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70253501A1 (ko)
EP (1) EP3190091B1 (ko)
JP (1) JP6298536B2 (ko)
KR (1) KR102408368B1 (ko)
CN (1) CN106604895B (ko)
WO (1) WO20160352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274A (ko) * 2018-04-06 2019-10-16 석현철 수소수를 활용한 새싹채소 재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69762B1 (ja) * 2016-08-02 2017-07-26 MiZ株式会社 水素水の生成方法
JP6420870B1 (ja) * 2017-06-08 2018-11-07 株式会社日本トリム 電解水生成装置
US11297975B2 (en) * 2019-05-14 2022-04-12 Lg Electronics Inc. Hydrogen water generator
JP7466898B2 (ja) * 2020-05-22 2024-04-15 国立大学法人島根大学 電気分解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植物工場
KR102648940B1 (ko) * 2020-12-23 2024-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물재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0416A (ja) 2001-04-26 2002-11-05 Toshiba Plant Kensetsu Co Ltd 農業用水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09072755A (ja) * 2007-04-13 2009-04-09 Masaaki Arai 電解水の製造装置、電解水の製造方法および電解水
WO2012060078A1 (ja) * 2010-11-01 2012-05-10 有限会社ターナープロセス 水性液体の酸化還元電位を変化させ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320463B1 (ko) * 2011-12-23 2013-10-23 주식회사 아루이 수소수 제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64440C1 (ru) * 1992-06-04 1996-07-27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Экран"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воды
JPH0910768A (ja) * 1995-06-26 1997-01-14 Aiken Kogyo Kk 高電子活性度を有する殺菌水及びその生成方法
JP3894338B2 (ja) * 1995-10-18 2007-03-22 ミズ株式会社 還元性電解水及びその生成方法
CN1148322C (zh) 1996-10-18 2004-05-05 水株式会社 还原性电解水及其生成方法
JPH1157720A (ja) * 1996-11-07 1999-03-02 Honda Motor Co Ltd 電解機能水、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US20030089618A1 (en) 1998-04-10 2003-05-15 Miz Co., Ltd. Reducing electrolyzed wat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4420667B2 (ja) * 2003-12-26 2010-02-24 タカオカ化成工業株式会社 電解式水素水生成装置
JP4200455B2 (ja) * 2005-11-30 2008-12-24 東京マイクロデバイス株式会社 農作物栽培用電解還元水生成装置、葉面散布用水、土壌潅水又は土壌潅中用水、及び農作物の栽培方法
JP5134793B2 (ja) * 2006-08-04 2013-01-30 有限会社スプリング 水中の溶存水素を活性化および安定化する方法
JP5361325B2 (ja) * 2008-10-17 2013-12-04 有限会社スプリング 溶存水素飲料水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034649A (ja) * 2010-08-10 2012-02-23 Mebiol Kk 植物栽培システムおよび植物栽培方法
JP5108085B2 (ja) * 2010-12-13 2012-12-26 優章 荒井 局部洗浄機能付き便座、床洗浄機、クーリングタワー、空気洗浄システム、排水処理システム、コンタクトレンズ洗浄器、シャワー装置、ダイアライザー、医療器具洗浄装置、農業向け潅水及び散水システム、除菌マスク、食器洗浄機、食肉等洗浄除菌装置、洗濯システム、排便機消臭システム、食品徐菌洗浄システムおよび浴場・プール除菌システム
WO2013095024A1 (ko) * 2011-12-23 2013-06-27 주식회사 아루이 수소수 제조 장치
CN202430041U (zh) * 2012-01-14 2012-09-12 哈尔滨沃特尔科技有限公司 一种利于植物生长和抑制病虫害的氢水发生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0416A (ja) 2001-04-26 2002-11-05 Toshiba Plant Kensetsu Co Ltd 農業用水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09072755A (ja) * 2007-04-13 2009-04-09 Masaaki Arai 電解水の製造装置、電解水の製造方法および電解水
WO2012060078A1 (ja) * 2010-11-01 2012-05-10 有限会社ターナープロセス 水性液体の酸化還元電位を変化させ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320463B1 (ko) * 2011-12-23 2013-10-23 주식회사 아루이 수소수 제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274A (ko) * 2018-04-06 2019-10-16 석현철 수소수를 활용한 새싹채소 재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98536B2 (ja) 2018-03-20
JPWO2016035288A1 (ja) 2017-07-13
KR102408368B1 (ko) 2022-06-10
US20170253501A1 (en) 2017-09-07
EP3190091B1 (en) 2020-05-13
EP3190091A4 (en) 2018-05-23
US20200189939A1 (en) 2020-06-18
CN106604895A (zh) 2017-04-26
CN106604895B (zh) 2020-08-04
WO2016035288A1 (ja) 2016-03-10
EP3190091A1 (en) 2017-07-12
US11279635B2 (en) 202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8368B1 (ko) 농업용 전해수 생성장치 및 농업용 전해수
CN1124860C (zh) 电解功能水、其制造方法及制造装置
Minc et al. Electrical control of cell polarization in the fission yeast Schizosaccharomyces pombe
US10329678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activity of a bioelectrochemical system comprising both a bioanode and a biocathode
US20100022393A1 (en) Glyphosate applications in aquaculture
JP6383087B2 (ja) 電解水生成装置および電解水
CN102159304A (zh) 控制液态组合物的pH和靶标离子水平的方法
CN104030498A (zh) 一种电厂循环水旁流处理方法
JP3145347B2 (ja) 電解イオン水の製造方法および生成水
CN102787070A (zh) 用于微藻采收的太阳能盐桥电絮凝装置
EA201190121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еталла электролизом и электроли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JP2017042692A (ja) 電解水生成装置
JP3746932B2 (ja) 電解水生成装置
Volkov et al. Root growth and structure of growth zone in halophytes and glycophytes under salinity: role of ion transport
RU2572493C2 (ru) Способ стимуляции проращивания семян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культур
RU2565260C1 (ru)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роста растений
US20130134053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the treatment of fluids
CN207361848U (zh) 一种制备微酸性氧化电位水的装置
CN113388848A (zh) 一种电解食盐制备次氯酸液的生产方法
RU2635618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электроактивированных водных растворов солей натрия
KR101602952B1 (ko) 타공 및 격자가 형성된 전극을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 제조장치
US20160362314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the treatment of fluids
JP2014168454A (ja) 硅藻類の急速増殖培養装置及びその急速増殖培養方法並びに硅藻類からの油分の抽出方法
RU2626727C1 (ru) Способ регуляции роста и развития растений
JPH09201132A (ja) 植物対応性電解質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