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4612A - 수력 완구 - Google Patents

수력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4612A
KR20170044612A KR1020167034180A KR20167034180A KR20170044612A KR 20170044612 A KR20170044612 A KR 20170044612A KR 1020167034180 A KR1020167034180 A KR 1020167034180A KR 20167034180 A KR20167034180 A KR 20167034180A KR 20170044612 A KR20170044612 A KR 20170044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low
nozzle
gravity
generally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4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3637B1 (ko
Inventor
자프리카 와이즈만
이스라엘 쟁거
Original Assignee
글로벌 마케팅 엔터프라이즈(지엠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벌 마케팅 엔터프라이즈(지엠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글로벌 마케팅 엔터프라이즈(지엠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44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4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3/00Toy boats; Floating toys; Other aquatic toy devices
    • A63H23/10Other water toys, floating toys, or like buoyant toys
    • A63H23/14Special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3/00Toy boats; Floating toys; Other aquatic toy devices
    • A63H23/10Other water toys, floating toys, or like buoyant toys

Landscapes

  • Toys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서로 반대의 일반적으로 수평인 중력-구동 유동 수력 완구는 적어도 제1 및 제2 물 흡입구들, 물의 중력 유동을 제1 및 제2 물 흡입구들 중 각각의 물 흡입구들로부터 이들을 통해 유도하기 위해 적어도 제1 및 제2 물 흡입구들 중 각각의 물 흡입구들에 결합되는 적어도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직인 수로들, 물의 중력 유동을 제1 및 제2 물 흡입구들 중 각각의 물 흡입구들로부터 이들을 통해 그리고 적어도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직인 수로들을 통해 유도하기 위해 적어도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직인 수로들 중 각각의 일반적으로 수직인 수로들에 결합되는 적어도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평인 수로들을 포함하되, 적어도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평인 수로들은 이들을 통한 물의 중력 유동이 일반적으로 반대의 방향들에 있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수력 완구{WATER TOY}
"분무 스테이션 수력 완구 및 사용 방법"이라는 명칭으로 2014년 9월 10일에 출원된, 미국 가 특허 출원 제62/048,694호에 대한 참조가 이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 개시 내용이 이에 의해 참조로 원용되고 이의 우선권이 37 C.F.R. 1.78(a) (4) 및 (5)(i)에 따라 주장된다.
본 발명은 수력 완구들 및 보다 상세하게는 목욕용 완구들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유형의 목욕용 완구들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개선된 목욕용 완구들을 제공하도록 모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제1 및 제2 물 흡입구들, 물의 중력 유동을 상기 제1 및 제2 물 흡입구들 중 각각의 물 흡입구들로부터 이들을 통해 유도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제1 및 제2 물 흡입구들 중 상기 각각의 물 흡입구들에 결합되는 적어도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직인 수로들, 물의 중력 유동을 상기 제1 및 제2 물 흡입구들 중 각각의 물 흡입구들로부터 이들을 통해 그리고 상기 적어도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직인 수로들을 통해 유도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직인 수로들 중 각각의 일반적으로 수직인 수로들에 결합되는 적어도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평인 수로들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평인 수로들은 이들을 통한 상기 물의 중력 유동이 일반적으로 반대의 방향들에 있도록 배치되는, 서로 반대의 일반적으로 수평인 중력-구동 유동 수력 완구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평인 수로들은 서로 평행하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평인 수로들은 서로 일체로 형성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평인 수로들은 공통의 외측의 일반적으로 수평인 도관 내에 획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로 반대의 일반적으로 수평인 중력-구동 유동 수력 완구는 또한 상기 제1 수로를 통한 상기 제1 물 흡입구로부터의 물의 중력 유동에 의해 구동되고 시각적으로 감지가능한 기발한 동작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제1 수력 터빈, 상기 제2 수로를 통한 상기 제2 물 흡입구로부터의 물의 중력 유동에 의해 구동되고 가시적이며 아이가 체결가능하고 중지가능한 제2 수력 터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로 반대의 일반적으로 수평인 중력-구동 유동 수력 완구는 또한 상기 제1 수로를 통한 상기 제1 물 흡입구로부터의 물의 중력 유동에 의해 구동되고 시각적으로 감지가능한 기발한 동작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제1 수력 터빈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물을 수용하는 상기 제2 수로는 그 안에 복수의 분무 출구 애퍼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로 반대의 일반적으로 수평인 중력-구동 유동 수력 완구는 또한 상기 제1 수로를 통한 상기 제1 물 흡입구로부터의 물의 중력 유동에 의해 구동되고 시각적으로 감지가능한 기발한 동작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제1 수력 터빈 어셈블리, 상기 제2 수로를 통한 상기 제2 물 흡입구로부터의 물의 중력 유동에 의해 구동되고 가시적이며 아이가 체결가능하고 중지가능한 제2 수력 터빈 어셈블리, 제2 물 용기에 결합되는 제3 수로, 상기 제1 수로를 통한 상기 제2 물 흡입구로부터의 물의 중력 유동에 의해 구동되고 시각적으로 감지가능한 기발한 동작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제3 수력 터빈 어셈블리 및 제1 물 용기로부터의 물을 수용하고 그 안에 복수의 분무 출구 애퍼처를 갖는 제4 수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물의 유동의 이의 충돌에 반응하여 일반적으로 수직인 평면에서의 회전을 위해 배치된 복수의 서로 맞물리는 물 분무 구동가능한 휠, 및 상기 서로 맞물리는 물 분무 구동가능한 휠들이 실장되는 복수의 회전가능한 허브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회전가능한 허브는 일반적으로 수평 축들에 대한 회전을 위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허브의 각각은 상이한 기하학적인 외측 원주의 구성을 갖고; 상기 복수의 서로 맞물리는 물 분무 구동가능한 휠들의 각각은 상기 복수의 허브의 상기 기하학적인 외측 원주의 구성들 중 하나에 대응하는 상이한 기하학적인 내측 원주의 구성을 가지며, 그에 따라 상기 휠들 중 하나가 단지 아이에 의해 대응하는 기하학적 구성을 갖는 허브 상에 실장되게 하는, 물 충돌 구동 완구가 또한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가압된 수원 및 상기 가압된 수원을 수용하며 주요 노즐 배출구가 차단되지 않을 때 물이 단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배출구가 차단될 때에만 물이 적어도 하나의 보조 노즐 배출구에서 배출되도록, 상기 가압된 수원과 상호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주요 노즐 배출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노즐 배출구를 포함하는 복수의 노즐 배출구를 갖는 노즐을 포함하는, 수력 완구가 더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노즐 배출구는 보통 때 개방되고 선택가능하게 아이에 의해 수동으로 차단됨으로써 물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노즐 배출구에서 배출되게 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노즐 배출구는 보통 때 차단되며 이에 의해 물이 보통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배출구에서 배출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노즐 배출구는 선택가능하게 아이에 의해 개방됨으로써 물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배출구에서 배출되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압된 수원은 수중 펌프이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가압된 수원 및 상기 노즐은 물에 뜰 수 있는 대(platform) 상에 실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노즐 배출구는 위쪽으로 향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노즐 배출구는 아래쪽으로 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압된 수원은 이를 통해 가압된 물 유동을 제공하기 위해 가요성 도관에 결합되는 수중 물 펌프이며, 상기 노즐은 상기 가압된 물 유동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가요성 도관에 결합되고 상기 가압된 물 유동으로부터 상기 노즐을 통해 물의 출력을 통제하는 반대로 지향된 쥘 수 있는 버튼 요소들의 쌍을 포함하는 아이 손으로 동작가능한 물 유동 스위치를 갖는 아이 손으로 고정가능한 물 분무 노즐이되, 상기 아이 손으로 동작가능한 물 유동 스위치는 상기 가요성 도관을 통해 연장되는 전기적 도전성 도관을 통해 전력원에 그리고 전기적 물 유동 제어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력 완구는 또한 상기 노즐로부터의 물의 유동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제1 및 제2 물 흡입구들, 물의 중력 유동을 상기 제1 및 제2 물 흡입구들 중 각각의 물 흡입구들로부터 이들을 통해 유도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제1 및 제2 물 흡입구들 중 상기 각각의 물 흡입구들에 결합되는 적어도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직인 수로들, 물의 중력 유동을 상기 제1 및 제2 물 흡입구들 중 각각의 물 흡입구들로부터 이들을 통해 그리고 상기 적어도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직인 수로들을 통해 유도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직인 수로들 중 각각의 일반적으로 수직인 수로들에 결합되는 적어도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평인 수로들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평인 수로들은 이들을 통한 상기 물의 중력 유동이 일반적으로 반대의 방향들에 있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력 완구는 또한 상기 노즐로부터의 물의 유동을 수용하도록 배치된 물 용기, 상기 물 용기에 결합되는 제1 수로, 상기 제1 수로를 통한 상기 물 용기로부터의 물의 중력 유동에 의해 구동되고 시각적으로 감지가능한 기발한 동작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제1 수력 터빈, 상기 제1 물 용기로부터의 물을 수용하는 제2 수로 및 상기 제2 수로를 통한 상기 물 용기로부터의 물의 중력 유동에 의해 구동되고 가시적이며 아이가 체결가능하고 중지가능한 제2 수력 터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이를 통해 가압된 물 유동을 제공하기 위해 가요성 도관에 결합되는 수중 물 펌프 및 상기 가압된 물 유동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가요성 도관에 결합되고 상기 가압된 물 유동으로부터 상기 노즐을 통해 물의 출력을 통제하는 반대로 지향된 쥘 수 있는 버튼 요소들의 쌍을 포함하는 아이 손으로 동작가능한 물 유동 스위치를 갖는 아이 손으로 고정가능한 물 분무 노즐을 포함하되, 상기 아이 손으로 동작가능한 물 유동 스위치는 상기 가요성 도관을 통해 연장되는 전기적 도전성 도관을 통해 전력원에 그리고 전기적 물 유동 제어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력 완구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이를 통해 가압된 물 유동을 제공하기 위해 가요성 도관에 결합되는 수중 물 펌프, 상기 가압된 물 유동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제1 도관에 결합되고 상기 가압된 물 유동으로부터 상기 노즐을 통해 물의 출력을 통제하는 아이 손으로 동작가능한 물 유동 스위치를 갖는 아이 손으로 고정가능한 물 분무 노즐로서, 상기 아이 손으로 동작가능한 물 유동 스위치는 전력원에 그리고 전기적 물 유동 제어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아이 손으로 고정가능한 물 분무 노즐 및 상기 가요성 도관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수중 물 펌프 및 및 상기 분무 노즐에 이의 단부들에서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가요성 안전 요소를 포함하는, 수력 완구가 더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력 완구는 또한 물의 유동을 수용하도록 배치된 물 용기, 상기 물 용기에 결합되는 제1 수로, 상기 제1 수로를 통한 상기 물 용기로부터의 물의 중력 유동에 의해 구동되고 시각적으로 감지가능한 기발한 동작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제1 수력 터빈, 상기 제1 물 용기로부터의 물을 수용하는 제2 수로 및 상기 제2 수로를 통한 상기 물 용기로부터의 물의 중력 유동에 의해 구동되고 가시적이며 아이가 체결가능하고 중지가능한 제2 수력 터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력 완구는 또한 물의 유동을 수용하도록 배치된 물 용기, 상기 제1 수로를 통한 상기 물 용기로부터의 물의 중력 유동에 의해 구동되고 시각적으로 감지가능한 기발한 동작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제1 수로 및 상기 제1 물 용기로부터의 물을 수용하고 그 안에 복수의 분무 출구 애퍼처를 갖는 제2 수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력 완구는 또한 물의 유동을 수용하도록 배치된 제1 물 용기, 상기 제1 물 용기에 결합되는 제1 수로, 상기 제1 수로를 통한 상기 물 용기로부터의 물의 중력 유동에 의해 구동되고 시각적으로 감지가능한 기발한 동작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제1 수력 터빈 어셈블리, 상기 제1 물 용기로부터의 물을 수용하는 제2 수로, 상기 제2 수로를 통한 상기 물 용기로부터의 물의 중력 유동에 의해 구동되고 가시적이며 아이가 체결가능하고 중지가능한 제2 수력 터빈 어셈블리, 물의 유동을 수용하도록 배치된 제2 물 용기, 상기 제2 물 용기에 결합되는 제3 수로, 상기 제1 수로를 통한 상기 제2 물 용기로부터의 물의 중력 유동에 의해 구동되고 시각적으로 감지가능한 기발한 동작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제3 수력 터빈 어셈블리 및 제1 물 용기로부터의 물을 수용하고 그 안에 복수의 분무 출구 애퍼처를 갖는 제4 수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수로 및 상기 제2 수로는 이를 통해 물의 중력 유동을 유도하기 위한 적어도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직인 수로들 및 물의 중력 유동을 이들을 통해 유도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직인 수로들 중 각각의 일반적으로 수직인 수로들에 결합되는 적어도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평인 수로들로서, 상기 적어도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평인 수로들은 이들을 통한 상기 물의 중력 유동이 일반적으로 반대의 방향들에 있도록 배치된, 상기 적어도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평인 수로들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적어도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평인 수로들은 서로 평행하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평인 수로들은 서로 일체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평인 수로들은 공통의 외측의 일반적으로 수평인 도관 내에 획정된다.
본 발명은 도면들과 함께 취해지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완전히 이해되고 이식될 것이며,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고 동작하는 양수 유동 및 중력 유동 조합 목욕용 완구 시스템의 간략화된 화상 도해이다;
도 2는 도 1의 양수 유동 및 중력 유동 조합 목욕용 완구 시스템의 노즐 및 도관 부분의 간략화된 분해 조립도 도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노즐 및 도관 부분의 부분을 형성하는 전방 노즐 하우징 요소의 간략화된 화상 및 컷-어웨이 화상도 도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 노즐 및 도관 부분의 부분을 형성하는 후방 노즐 하우징 요소의 간략화된 화상 및 컷-어웨이 화상도 도해이다;
도 5a는 도 2 내지 도 4b의 노즐 및 도관 부분의 내부의 간략화된 도해이다;
도 5b는 도 2 및 도 5a의 노즐 및 도관 부분의 부분을 형성하는 분무 제어 스위치 어셈블리의 간략화된 도해이다;
도 5c는 도 5b의 분무 제어 스위치 어셈블리의 간략화된 분해 조립도 도해이다;
도 5d 및 도 5e는 도 5b 및 도 5c의 분무 제어 스위치 어셈블리의 부분을 형성하는 제1 누름 버튼 요소의 간략화된 도해들이다;
도 5f 및 도 5g는 도 5b 및 도 5c의 분무 제어 스위치 어셈블리의 제2 누름 버튼 요소 형성부의 간략화된 도해들이다;
도 5h 및 도 5i는 도 5b 및 도 5c의 분무 제어 스위치 어셈블리의 부분을 형성하는, 마이크로스위치 유지 및 밀봉 요소의 반대 측들의 간략화된 각각의 화상 도해들이다;
도 5j는 도 5h의 라인들(J-J)에 따라 취해지는, 도 5h 및 도 5i의 마이크로스위치 유지 요소의 간략화된 단면 도해이다;
도 5k 및 도 5l은 도 5b에서의 라인들(K-K)을 따라 취해지는, 간략화된 단면 도해들이며, 각각 도 5b 내지 도 5j의 분무 제어 스위치 어셈블리의 두 개의 동작 방향들을 도시하는 확대도를 갖는다;
도 6a 및 도 6b는 도 2의 노즐 및 도관 부분의 부분을 형성하는 노즐 분출구 요소의 간략화된 각각의 화상 및 단면 조립도 도해들이며, 도 6b는 도 6a에서의 라인들(B-B)을 따라 취해진다;
도 7a, 도 7b, 도 7c 및 도 7d는 도 1 내지 도 6b의 실시예에서의 노즐 부분의 분무 제어 스위치 어셈블리의 4개의 동작 상태의 간략화된 화상 도해들이다;
도 8a, 도 8b, 도 8c 및 도 8d는 도 7a, 도 7b, 도 7c 및 도 7d에 대응하는 간략화된 단면 도해들이다;
도 9a, 도 9b, 도 9c 및 도 9d는, 각각, 도 1에서의 라인들(A-A)을 따라 취해지는, 도 1의 양수 유동 및 중력 유동 조합 목욕용 완구 시스템의 펌프 부분의 간략화된 단면 도해, 도 1에서의 라인들(B-B)을 따라 취해지는, 도 1의 양수 유동 및 중력 유동 조합 목욕용 완구 시스템의 펌프 부분의 간략화된 단면 도해, 도 1에서의 화살표(C)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취해지는 펌프 부분의 간략화된 부분 컷-어웨이 도해 및 도 9a 및 도 9b의 펌프 부분의 간략화된 분해 조립도 도해이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각각, 도 1 내지 도 9c의 양수 유동 및 중력 유동 조합 목욕용 완구 시스템의 다중-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는 중력 유동 부분의 간략화된 전면 화상 및 후면 화상, 분해 조립도 도해들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1 내지 도 10c의 양수 유동 및 중력 유동 조합 목욕용 완구 시스템의 도 10a 내지 도 10c의 다중-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는 중력 유동 부분의 동작의 제1 중력 유동 모드의 간략화된 화상 및 단면 도해들이며, 도 11b는 도 11a의 라인들(B-B)을 따라 취해진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1 내지 도 10c의 양수 유동 및 중력 유동 조합 목욕용 완구 시스템의 도 10a 내지 도 10c의 다중-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는 중력 유동 부분의 동작의 제2 중력 유동 모드의 간략화된 화상 및 단면 도해들이며, 도 12b는 도 12a의 라인들(B-B)을 따라 취해진다;
도 13a 및 도 13b는 도 1 내지 도 10c의 양수 유동 및 중력 유동 조합 목욕용 완구 시스템의 도 10a 내지 도 10c의 다중-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는 중력 유동 부분의 동작의 제3 중력 유동 모드의 간략화된 화상 및 단면 도해들이며, 도 13b는 도 13a의 라인들(B-B)을 따라 취해진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고 동작하는 서로 반대의 일반적으로 수평 중력 구동 유동 수력 완구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간략화된 각각의 전방-면 및 후방-면 도해들이고, 도 14c 및 도 14d는 이들의 각각의 전방 및 후방-면 분해 조립도들이며, 그 안에 형성된 다양한 유동 채널을 도시한다;
도 15a 및 도 15b는 도 14a 내지 도 14d의 서로 반대의 일반적으로 수평 중력 구동 유동 수력 완구에서의 제1 유동 패턴의 각각의 화상 및 단면 도해들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도 14a 내지 도 14d의 서로 반대의 일반적으로 수평 중력 구동 유동 수력 완구에서의 제2 유동 패턴의 각각의 화상 및 단면 도해들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도 14a 내지 도 14d의 서로 반대의 일반적으로 수평 중력 구동 유동 수력 완구에서의 제3 유동 패턴의 각각의 화상 및 단면 도해들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도 14a 내지 도 14d의 서로 반대의 일반적으로 수평 중력 구동 유동 수력 완구에서의 제4 유동 패턴의 각각의 화상 및 단면 도해들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고 동작하는 양수 유동 및 중력 유동 조합 목욕용 완구 시스템의 간략화된 화상 도해이다;
도 20은 도 19의 양수 유동 및 중력 유동 조합 목욕용 완구 시스템의 노즐 및 도관 부분의 간략화된 분해 조립도 도해이다;
도 21a 및 도 21b는 제1 방향을 따라 취해지는, 도 20의 노즐 및 도관 부분의 부분을 형성하는 제1 노즐 하우징 요소의 간략화된 화상 및 단면 도해들이다;
도 22a 및 도 22b는 제2 방향을 따라 취해지는, 도 20의 노즐 및 도관 부분의 부분을 형성하는 제1 노즐 하우징 요소의 간략화된 화상 및 단면 도해들이다;
도 23a는 도 19 내지 도 22b의 노즐 및 도관 부분의 내부의 간략화된 도해이다;
도 23b 및 도 23c는 제1 및 제2 동작 방향들의, 도 23a에서의 라인들(B-B)을 따라 취해지는, 도 19 및 도 23a의 노즐 및 도관 부분의 부분을 형성하는 분무 제어 스위치 어셈블리의 간략화된 단면 도해들이다;
도 23d 및 도 23e는 도 23b 및 도 23c의 분무 제어 스위치 어셈블리의 간략화된 조립 및 분해 조립 도해들이다;
도 24a, 도 24b, 도 24c 및 도 24d는 도 19 내지 도 23a의 실시예에서의 노즐 부분의 분무 제어 스위치 어셈블리의 4개의 동작 상태의 간략화된 화상 도해들이다;
도 25a, 도 25b, 도 25c 및 도 25d는 도 23a에서의 단면선들(B-B)을 따라 취해지는, 도 24a, 도 24b, 도 24c 및 도 24d에 대응하는 간략화된 단면 도해들이다;
도 26a, 도 26b 및 도 26c는, 각각, 도 19에서의 화살표(A)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취해지는 펌프 부분의 간략화된 부분 컷-어웨이 도해, 도 19에서의 라인들(B-B)을 따라 취해지는, 도 19의 양수 유동 및 중력 유동 조합 목욕용 완구 시스템의 펌프 부분의 간략화된 단면 도해, 및 도 26a 및 도 26b의 펌프 부분의 간략화된 분해 조립도 도해이다;
도 27은 유동적인 동작 방향의 도 19 내지 도 26c의 실시예의 펌프 부분의 간략화된 화상 도해이다;
도 28a, 도 28b 및 도 28c는 분무 구동 터빈 수력 완구의 각각의 간략화된 정면도 및 후면도 조립 도해들 및 분해 조립도 도해이며, 이는 도 1 내지 도 27의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 및 노즐과 협력하여 또는 펌프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9a 및 도 29b는 각각 놀이 경험에 맞는 형상을 제공하기 위해, 도 28a 내지 도 28c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다르게 성형된 터빈 부분들이 그에 대응하여 다르게 성형된 허브들 상에 선택가능하게 착탈가능한 그리고 교체가능할 수 있음을 도시하는 분해 방향의 간략화된 화상 도해 및 간략화된 부분 컷-어웨이 측면도 도해이다;
도 30a, 도 30b, 도 30c 및 도 30d는 그것 상에 다르게 유도된 물 분무에 반응하여 도 28a 내지 도 29b의 실시예의 완구에 의해 실현가능한 회전 패턴들을 예시하는 간략화된 화상 도해들이다;
도 31a, 도 31b 및 도 31c는 도 28a 내지 도 30d의 실시예에서의 허브들에서 휠들을 제거하는 세 가지 예를 예시한다;
도 32는 욕조에 실장가능한 펌프 어셈블리에 의해 도 28a 내지 도 31c에 도시된 완구와 유사한 완구의 동작의 간략화된 도해이다;
도 33a 및 도 33b는 예를 들어 도 19 내지 도 27의 실시예에 통합될 수 있는, 손가락으로 조절되는 분무 노즐의 두 개의 동작 방향을 예시한다;
도 34a 및 도 34b는 도 33a 및 도 33b의 두 개의 동작 방향에 대응하는 물 유동을 예시하는 간략화된 단면 도해들이다;
도 35a 및 도 35b는 예를 들어 도 32의 욕조에 실장가능한 펌프 어셈블리에 통합될 수 있는, 손가락으로 조절되는 분무 노즐의 두 개의 동작 방향을 예시한다;
도 36a 및 도 36b는 도 35a 및 도 35b의 두 개의 동작 방향에 대응하는 물 유동을 예시하는 간략화된 단면 도해들이다;
도 37a, 도 37b 및 도 37c는 예를 들어 도 19 내지 도 27의 실시예에 통합될 수 있는, 노즐 요소로 조절되는 분무 노즐의 세 개의 동작 방향을 예시한다;
도 38은 도 37a 내지 도 37c의 노즐 요소로 조절되는 분무 노즐의 부분의 간략화된 분해 조립도 도면이다;
도 39a 및 도 39b는 도 37a 및 도 37c의 동작 방향들에 대응하는 물 유동을 예시하는 간략화된 단면 도해들이다;
도 40a, 도 40b 및 도 40c는 물에 뜨는 수력 완구의 부분을 형성하는 노즐 요소로 조절되는 분무 노즐의 세 개의 동작 방향을 예시한다; 그리고
도 41a 및 도 41b는 도 40a 및 도 40c의 동작 방향들에 대응하는 물 유동을 예시하는 간략화된 단면 도해들이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며,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고 동작하는 양수 유동 및 중력 유동 조합 목욕용 완구 시스템(100)의 간략화된 화상 도해이다.
도 1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양수 유동 및 중력 유동 조합 목욕용 완구 시스템(100)은 물에 담궈지도록 조정되는, 통상적으로 기발한 잠수함 형태인, 펌프 부분(110)을 포함하며, 진공 컵(112)에 의해서와 같이 욕조(미도시)의 바닥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펌프 부분(110)은 ON/OFF 스위치(114)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노즐 부분(120)과, 기밀구조의 수로 및 전기 스위치 작동 전기 도관(118)을 둘러싸는, 가요성 도관(116)을 통해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펌프 부분(110)은 기발한 형상, 이를테면 가요성 도관(116)이 잠수함으로부터 위쪽을 향해 연장되는 가요성 잠망경으로 구상될 수 있는, 예시된 잠수함 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노즐 부분(120)은 노즐 하우징(122)을 포함하며, 이는 가요성 도관(116)에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양수식 기밀구조의 분무 출력 노즐(124)을 획정한다. 매우 어린 아이, 심지어 한 살 미만의 아이에 의해 동작될 수 있는, 분무 제어 스위치 어셈블리가 제공된다는 것은 본 발명의 예시된 실시예의 특정한 특징이다.
바람직하게는 분무 제어 스위치 어셈블리는 예시된 실시예에서 노즐 하우징(122)에 실장되며, 동시에 어린 아이의 손에 잡힐 수 있는, 누름 버튼들(126)의 쌍에 의해 실현된다. 바람직하게는 분무 제어 스위치 어셈블리는 누름 버튼들(126)을 서로를 향해 쥐는 어린 아이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누름 버튼들(126)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를 심지어 매우 어린 아이가 쥐는 것은 노즐(124)로부터의 분무 출력을 작동하기에 충분하다.
바람직하게는 노즐 부분(120) 및 노즐 하우징(122)은 예시된 실시예에서, 기발한 외관, 이를테면 얼굴의 외관을 갖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양수 유동 및 중력 유동 조합 목욕용 완구 시스템(100)은 또한 다중-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는 중력 유동 부분(130)을 포함하며, 이는 심지어 매우 어린 아이에 의해 작동될 때에도, 노즐(124)로부터 분무되는 물을 수용하도록 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다중-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는 중력 유동 부분(130)은 욕조(미도시)의 일반적으로 수직 표면, 이를테면 측벽 또는 끝벽 상에 실장되도록 조정되며, 바람직하게는 이를 위해 흡입 컵들(132)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중-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는 중력 유동 부분(130)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두 개의 물 수용 용기(134 및 136)을 포함하며, 이들은 심지어 매우 어린 아이가 노즐 부분(120)의 누름 버튼들(126)을 동작시킴으로써 노즐(124)로부터 그곳에 유도되는 물 분무로부터 물을 수용하도록 조정된다.
물 수용 용기(134)는 바람직하게는 중력 유동에 의해 물을 적어도 하나의 제1 중력 유동 수력-구동 터빈(140)에 공급하는 제1 일반적으로 수직인 중력 유수 도관(138)에 결합되며, 이는 여기서 서로 반대의 회전 방향들로, 퉁방울 눈같이 기발하게 만들어지는, 회전체들(142)의 쌍의 시각적으로 감지가능한 회전 모션을 초래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중력 유동 수력-구동 터빈(140)은 배출구(144)를 갖는다. 터빈(140)으로부터 중력에 의해 흐르는 물은 배출구(148)에 대해 가로로 연장되는 일반적으로 수평인 도관(146)을 통해 유도되며, 이는 물을 일반적으로 수평인 도관(146)에 대해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축(152)에 대해 회전하는, 통상적으로 핀 휠(pinwheel) 형상인, 제2 중력 유동 수력-구동 터빈(150)과의 동력 전도 체결부로 유도한다.
물 수용 용기(136)는 바람직하게는 중력 유동에 의해 물을 제3 중력 유동 수력-구동 터빈(160)에 공급하는 제2 일반적으로 수직인 중력 유수 도관(158)에 결합되며, 이는 여기서 시계 다이얼 같이 기발하게 만들어지는, 회전체들(162)의 시각적으로 감지가능한 회전 모션을 초래한다. 바람직하게는 제3 중력 유동 수력-구동 터빈(160)은 배출구(164)를 갖는다. 도관(158)을 통해 물 수용 용기(136)로부터 중력에 의해 흐르는 물은 일반적으로 수평인 도관(146)에 대해 가로로 그리고 평행하게 연장되는 일반적으로 수평인 도관(166)을 통해 유도된다.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으로 수평인 도관(166)은 분무 배출구들(170)의 선형의, 일반적으로 수평인 어레이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수평인 도관(146) 및 일반적으로 수평인 도관(166)이 함께 공통의 외측 하우징(172)을 갖도록 구성되며, 이는 사실상 두 개의 별개의 중력 구동 유동을 서로 반대의 일반적으로 수평인 방향들로 수용하도록 배치되는 두 개의 일반적으로 수평인 수로들을 획정한다는 것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정한 특징이다. 실제로는 그렇지 않더라도, 일반적으로 수평인 도관(146)을 통한 용기(134)로부터의 중력 구동 가로 물 유동이 용기(136)로부터 일반적으로 수직인 도관(158)을 통해 일반적으로 수평인 도관(166)으로 중력 구동 수직 물 유동을 너머 수평으로 연장하고 그에 따라 유동이 교차하는 모습을 제공한다는 것이 인식된다.
이제 도 1의 양수 유동 및 중력 유동 조합 목욕용 완구 시스템의 노즐 및 도관 부분의 간략화된 분해 조립도 도해인 도 2, 도 2의 노즐 도관 부분의 부분을 형성하는 전방 노즐 하우징 요소의 간략화된 화상 및 컷-어웨이 화상도 도해인 도 3a 및 도 3b, 도 2의 노즐 및 도관 부분의 부분을 형성하는 후방 노즐 하우징 요소의 간략화된 화상 및 컷-어웨이 화상도 도해인 도 4a 및 도 4b, 및 도 2의 노즐 도관 부분의 부분을 형성하는 분무 제어 스위치 어셈블리를 예시하는 도 5a 내지 도 5l, 및 도 2의 노즐 도관 부분의 부분을 형성하는 노즐 배출구 요소의 간략화된 화상도 및 단면도 도해들인,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한다.
도 2 내지 도 6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노즐 및 도관 부분은 가요성 도관(116)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노즐 하우징(122)을 포함하는, 노즐 부분(120)을 포함한다. 노즐 하우징(122)은 전방 노즐 하우징 부분(200) 및 후방 노즐 하우징 부분(202)을 포함하며,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하측 나사들(204)의 쌍 및 상측 나사들(205)의 쌍에 의해 함께 고정되며, 이들은 각각, 후면 하우징 부분(200)에서의 하측 애퍼처들(206) 및 상측 애퍼처들(207)을 통해 연장되고 전방 하우징 부분(200)에서의 각각의 대응하는 내부에 나사산이 있는 하측 돌기물들(208) 및 상측 돌기물들(209)을 체결한다.
노즐 배출구 요소(212)가 노즐 하우징(122) 내에 배치되고 전면 하우징 부분(200)에서의 애퍼처(210)를 통해 연장되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기밀구조의 물 흡입구(214) 및 실장 애퍼처들(216)의 쌍을 포함하며, 이들은 전방 하우징 부분(200)에서의 돌기물들(220 및 221)과의 체결에 의해 노즐 배출구 요소(212)를 전방 노즐 하우징 부분(200) 상으로 실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전방 노즐 하우징 부분(200) 및 후방 노즐 하우징 부분(202)은 각각 참조 부호들(222 및 223)로 표기된, 서로 반대로 위치된 측면 컷 아웃들의 쌍으로 각각 형성되며, 이들은 노즐 유동 제어 누름 버튼들(224 및 226)을 수용하며, 이들은 전기 노즐 유동 제어 스위치(228) 및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른 요소들과 함께, 분무 제어 스위치 어셈블리(230)를 획정하며, 이는 이제 특히 도 5b 내지 도 5l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노즐 유동 제어 누름 버튼들(224 및 226)은 각각 참조 부호들(231 및 232)로 표기된, 대응하는 회전가능하게 실장된 누름 버튼 요소들의 부분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회전가능하게 실장된 누름 버튼 요소(231)는 회전가능한 실장 칼라 부분(234)을 포함하며, 이는 전방 하우징 부분(200)에서의 돌기물(209)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실장하기 위해 배치된다. 칼라 부분(234)은 누름 버튼(224)으로부터 연장되는 만곡된 아암 부분(236)에 결합된다. 누름 버튼(224)은 외측을 향하는 아이 손에 체결가능한 외측 표면(238) 및 부분적으로 인클로저를 획정하는 내부의, 일반적으로 오목한 표면을 포함하며, 전기 케이블(242)에 결합되는, 마이크로스위치(241)를 위한 자리를 획정하는, 내부를 향하는 돌출부들(240)의 쌍을 포함한다.
마이크로스위치 유지 및 밀봉 요소(244)는 누름 버튼(224)의 내부의, 일반적으로 오목한 표면에 의해 부분적으로 획정되는 인클로저 내에 마이크로스위치(241)를 유지 및 밀봉하며, 그 안에 내측 원주의 리세스(246) 내에 밀봉가능하게 놓인다. 마이크로스위치(241)는 마이크로스위치 작동 버튼(247)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Kowloon, Sham Shui Po, Yee Kuk 스트릿 126의 홍콩 리더 인더스트리얼 컴퍼니(Leader Industrial Company)에서 시판되는, 부품 TS-2037이다.
특히 도 5c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스위치 유지 및 밀봉 요소(244)는 일반적으로 링 마운트(ring mount)(252)에 실장되는, 가요성 물 침투 저지용 웹 부분(250)을 포함하여, 밀봉된 가요성 마이크로스위치 작동 어셈블리(248)를 수용하기 위한 중앙 리세스(245)를 갖는 평면형 요소이다. 바람직하게는 밀봉된 가요성 마이크로스위치 작동 어셈블리(248)는 유지 링(254)에 의해 중앙 리세스(245)에 밀봉가능하게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스위치 보유 및 밀봉 요소(244)는 전기 케이블(242)을 밀봉가능하게 수용하는, 전기 케이블 도관 부분(256)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회전가능하게 실장된 누름 버튼 요소(232)는 회전가능한 실장 칼라 부분(264)을 포함하며, 이는 전방 하우징 부분(200)에서의 제2 돌기물(209)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실장하기 위해 배치된다. 칼라 부분(264)은 누름 버튼(226)으로부터 연장되는 만곡된 아암 부분(266)에 결합된다. 누름 버튼(226)은 외측을 향하는 아이 손에 체결가능한 외측 표면(268) 및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바와 같이, 누름 버튼 요소들(231 및 232)의 상대적인 방향들에 따라, 마이크로스위치 작동 버튼(247)을 작동하기 위해 마이크로스위치 보유 및 밀봉 요소(244) 상에 실장되는 웹 부분(250)에 밀면서 체결할 수 있는, 내부를 향하는 돌출부(270)를 포함한다.
도 5k는 누름 버튼들(224 및 226) 중 어느 것도 눌리지 않은 회전가능하게 실장된 누름 버튼 요소들(231 및 232)의 상대적인 동작 방향을 예시한다. 돌출부(270)는 웹 부분(250)에 밀면서 체결하지 않고 마이크로스위치 작동 버튼(247)을 작동하지 않으며, 그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스위치가 폐쇄되고 어떤 분무도 제공되지 않음이 보여진다.
도 5l은 누름 버튼들(224 및 226)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가 눌리는 회전가능하게 실장된 누름 버튼 요소들(231 및 232)의 상대적인 동작 방향을 예시한다. 돌출부(270)는 웹 부분(250)에 밀면서 체결하고 마이크로스위치 작동 버튼(247)을 작동하며, 그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스위치가 개방되고 분무가 제공됨이 보여진다. 대안적으로 비 분무에서 최대 체적의 분무까지 다양할 수 있는, 가변 체적 분무를 제공하는 마이크로스위치가 채용될 수 있음이 인식된다.
바람직하게는 노즐 배출구 요소(212)의 물 흡입구(214)는 전기 케이블(242)과 함께, 가요성 도관(116)을 통해 연장되는, 물 공급 도관(271)에 고정적으로 결합된다. 이를테면 고리 단부(274)의 돌기물(276) 위에의 배치에 의한, 전방 하우징 부분(200)에서의 돌기물(276)과의 체결시 전방 하우징 부분 체결을 위해 고리 단부(274)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며, 가요성 도관(116), 뿐만 아니라 전기 케이블(242) 및 물 공급 도관(271)의 노즐 하우징(122)(도 1)에서의 그리고 펌프 부분(110)(도 1)에서의 연결 해제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바람직하게는 직경 1.5 mm의 나일론(NYLON)으로 형성되는, 안전 케이블(272)이 제공된다는 것이 본 발명의 예시된 실시예의 특정한 특징이다.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도관(116)은 상측 및 하측 서로 나사산 결합하는 요소들(280 및 282)에 의해 전방 및 후방 노즐 하우징 부분들(200 및 202) 상에 실장되며, 이들은 그것들 사이 나사산 체결로부터 압력을 받아 가요성 도관(116)의 단부를 유지한다. 하측 결합 요소(282)는 하우징 부분들(200 및 202)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측을 향하는 원주의 돌출부(284)에 의해 전방 및 후방 하우징 부분들(200 및 202) 내에 유지된다. 하측 결합 요소(282)의 그리고 그에 따른 가요성 도관(116)의 전방 및 후방 노즐 하우징 부분(200 및 202)에 대한 회전은 전방 하우징 부분(200)의 내부 돌출부(286)의 하측 결합 요소(282)에 형성되는 대응하는 슬롯(288)과의 결합에 의해 방지된다.
이제 하우징(120)의 분무 제어 스위치 어셈블리의 4개의 동작 상태의 간략화된 화상도 도해들인 도 7a, 도 7b, 도 7c 및 도 7d 및 도 4a에서의 단면선들(B-B)을 따라 취해지는, 도 7a, 도 7b, 도 7c 및 도 7d에 대응하는 간략화된 단면 도해들인 도 8a, 도 8b, 도 8c 및 도 8d를 참조한다.
도 7a 및 도 8a는 누름 버튼들(226 및 228) 중 어느 것도 눌리지 않고 마이크로스위치가 작동되지 않으며 어떤 분무도 제공되지 않는 제1 동작 방향을 예시한다.
도 7b 및 도 8b는 누름 버튼들(226)이 눌려, 돌출부(270)가 웹 부분(250)에 밀면서 체결하고 마이크로스위치(241)를 작동하게 함으로써, 분무를 야기하는 제2 동작 방향을 예시한다.
도 7c 및 도 8c는 누름 버튼들(224)이 눌려, 돌출부(270)가 웹 부분(250)에 밀면서 체결하고 마이크로스위치(241)를 작동하게 함으로써, 분무를 야기하는 제3 동작 방향을 예시한다.
도 7d 및 도 8d는 누름 버튼들(224 및 226) 양자가 동시에 눌려, 돌출부(270)가 웹 부분(250)에 밀면서 체결하고 마이크로스위치(241)를 작동하게 함으로써, 분무를 야기하는 제4 동작 방향을 예시한다.
이제 각각, 도 1에서의 라인들(A-A)을 따라 취해지는, 도 1의 양수 유동 및 중력 유동 조합 목욕용 완구 시스템의 펌프 부분(110)의 간략화된 단면 도해, 도 1에서의 라인들(B-B)을 따라 취해지는, 도 1의 양수 유동 및 중력 유동 조합 목욕용 완구 시스템의 펌프 부분(110)의 간략화된 단면 도해, 도 1에서의 화살표(C)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취해지는 펌프 부분(110)의 간략화된 부분 컷-어웨이 도해, 및 도 9a 및 도 9b의 펌프 부분의 간략화된 분해 조립도 도해인 도 9a, 도 9b, 도 9c 및 도 9d를 참조한다.
도 9a 내지 도 9d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그리고 도 1을 참조하여 위에서 표기된 바와 같이, 펌프 부분(110)은 동작 동안 물에 담궈지도록 조정되며, 진공 컵(112)에 의해 욕조(미도시)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펌프 부분은 ON/OFF 스위치(114)를 포함하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성인이 동작가능하고 아이가 동작가능하지 않으며, 가요성 도관(116)을 통해, 노즐 부분(120)과 결합된다.
9a 내지 도 9d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펌프 부분은 상부 및 하부 펌프 하우징 부분들(500 및 502) 및 측면 요소들을 획정하는 포트홀(porthole)(503)의 쌍을 포함하며, 이들은 함께 전기적으로 동작되는 물 펌프(504)를 둘러싸며, 이는 화살표들(507)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물 흡입구(506)의 필터(505)를 통해 하부 펌프 하우징 부분(502) 외부로부터 물을 수용한다. 물 펌프(504)는 나사산이 있는 커버(509)를 포함하여 방수 배터리 팩(508)으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는다. 물 펌프(504)의 동작은 전기 제어 어셈블리(510)에 의해 제어되며, 이는 배터리 팩(508)으로부터 전기 공급원에 결합되고 전기 케이블(242)을 통해 그리고 ON/OFF 스위치(114)로부터 제어 입력들을 수신한다.
가요성 도관(116)은 상측 및 하측 결합 요소들(520 및 522)에 의해 상부 펌프 하우징 부분(500) 상에 실장되며,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상부 펌프 하우징 부분(500)의 내부에 형성되는 돌기물들(미도시)로 애퍼처(523)를 통해 삽입되는 나사들(미도시)에 의해, 상부 펌프 하우징 부분(500) 에 실장된다. 가요성 도관의 상부 펌프 하우징 부분(500)에의 실장은 위에서 설명된 가요성 도관의 노즐 부분(120)에의 실장과 유사하다.
안전 케이블(272)의 고리 단부(526)는 돌출부(528)에 고정적으로 고정되며, 가요성 도관(116), 뿐만 아니라 전기 케이블(242) 및 물 공급 도관(271)의 상부 펌프 하우징 부분(500)에서의 연결 해제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펌프 부분(110)은 진공 컵(112) 상에 하부 펌프 하우징 부분(502)이 돌출부(534)에 회전가능하게 체결하게 하는 캡(530) 및 펙(peg)(532)을 고정함으로써 진공 컵(112)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이제 각각, 도 1 내지 도 9c의 양수 유동 및 중력 유동 조합 목욕용 완구 시스템(100)의 다중-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는 중력 유동 부분(130)의 간략화된 전면 화상, 후면 화상 및 분해 조립도 도해들인 도 10a, 도 10b 및 도 10c를 참조한다.
위에서 도 1의 설명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다중-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는 중력 유동 부분(130)은 심지어 매우 어린 아이에 의해 작동될 때에도, 노즐(124)로부터 분무되는 물을 수용하도록 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다중-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는 중력 유동 부분(130)은 욕조(미도시)의 일반적으로 수직 표면, 이를테면 측벽 또는 끝벽 상에 실장되도록 조정되며, 바람직하게는 이를 위해 흡입 컵들(132)을 구비한다. 물이 노즐(124)로부터가 아니라 다중-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는 중력 유동 부분(130)에 공급될 수 있음이 인식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중-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는 중력 유동 부분(130)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두 개의 물 수용 용기(134 및 136)를 포함하며, 이들은 물을 각각의 수직 도관들(138 및 158)을 통해 각각의 제1 및 제2 중력 유동 수력-구동 터빈들(140 및 160)로 공급하며, 이들은 각각의 터빈 하우징 어셈블리들(600 및 602) 내부에 위치된다.
터빈 하우징 어셈블리(600)는 후방 하우징 부분(604) 및 전방 하우징 부분(606)을 포함하며, 이는 연도 흡입구(608)와 형성된다. 터빈 하우징 어셈블리(602)는 후방 하우징 부분(614) 및 전방 하우징 부분(616)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전방 하우징 부분들(606 및 616) 양자는 기발한 시각적으로 감지가능한 요소들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전방 하우징 부분(606)은 터빈 구동 드라이브 샤프트들을 수용하기 위한 애퍼처들(620 및 622)의 쌍, 여기서 기발한 눈 부분들의 쌍을 도시하는 전방 면 플레이트(624) 및 각각 중심에서 벗어난 눈 동공을 나타내며, 각각의 애퍼처들(620 및 622)을 통해 연장되고 터빈 하우징 어셈블리(600) 내에 위치되는 각각의 터빈 휠들(634 및 636)에 의해 구동되는 각각의 드라이브 샤프트들(630 및 632)을 갖는 회전가능한 요소들(626 및 628)의 쌍으로 형성된다. 터빈의 터빈 하우징 어셈블리(600)에서의 동작은 회전가능한 요소들(626 및 628)의 회전에 의해 시각적으로 감지가능한 퉁방울 눈 외관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전방 하우징 부분(616)은 터빈 구동 드라이브 샤프트를 수용하기 위한 단일 애퍼처(640), 여기서 기발한 시계 문자판을 도시하는 전방 면 플레이트(644), 및 시계 다이얼을 나타내고 터빈 하우징 어셈블리(602) 내에 위치되는, 터빈 휠(654)에 의해 구동되고 애퍼처(640)를 통해 연장되는, 드라이브 샤프트(650)를 갖는 회전가능한 요소(646)에 의해 획정되는 회전체(162)(도 1)로 형성된다. 터빈의 터빈 하우징 어셈블리(602)에서의 동작은 회전가능한 요소(646)의 회전에 의해 시각적으로 감지가능한 동작 시계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터빈 하우징 어셈블리(600)의 전방 하우징 부분(606)은 비교적 작은 전방을 향하는 물 배출구 애퍼처(660) 및 비교적 큰 아래쪽을 향하는 물 배출구 애퍼처(662)를 포함하며, 이는 도 1에 대하여 위에서 일반적으로 언급된 바와 같이, 배출구(148)에 대해 화살표(664)에 의해 표시된 제1 수평 방향으로 가로로 연장되는 일반적으로 수평인 도관(146)에 결합되며, 이는 물을 일반적으로 수평인 도관(146)에 대해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회전 축(152)에 대해 차축(666) 상을 회전하는, 통상적으로 핀 휠 형상인, 제2 중력 유동 수력-구동 터빈(150)과의 동력 전도 체결부로 유도한다. 회전 차축(666)은 지지 어셈블리(668) 상에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터빈 하우징 어셈블리(602)의 전방 하우징 부분(616)은 비교적 작은 전방을 향하는 물 배출구 애퍼처(670) 및 비교적 큰 아래쪽을 향하는 물 배출구 애퍼처(672)의 전방 부분을 포함하며, 이는 도 1에 대하여 위에서 일반적으로 언급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수평 도관(146)에 일반적으로 평행한 그리고 화살표(664)에 의해 표시된 제1 방향에 반대인, 화살표(674)에 의해 표시된, 제2 방향으로 가로로, 일반적으로 수평인 도관(166)에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으로 수평인 도관(166)은 평행한 분무 배출구들(170)의 선형의, 일반적으로 수평인 어레이로 형성된다. 도 10c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후방 하우징 부분(614)은 비교적 큰 아래쪽을 향하는 물 배출구 애퍼처(672)의 후방 부분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수평인 도관(146) 및 일반적으로 수평인 도관(166)이 함께 공통의 외측 하우징(172)을 갖도록 구성되며, 이는 사실상 두 개의 별개의 중력 구동 유동을 서로 반대인 일반적으로 수평인 방향들로 수용하도록 배치되는. 두 개의 일반적으로 수평인 수로들(146 및 166)을 획정한다는 것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정한 특징이다. 바람직하게는 공통의 외측 하우징(172)은 전방 및 후방 하우징 부분들(680 및 682)로 형성되며, 이들은 물 배출구 애퍼처(672)로부터 수평 도관(146)에 일반적으로 평행한, 일반적으로 수평인 도관(166)까지 684로부터의 일반적으로 수직인 수로를 획정한다.
평행한 분무 배출구들(170)의 수평 어레이는 전방 하우징 부분(680)에 의해 획정되는 한편, 일반적으로 수평인 도관들(146 및 166)은 전방 하우징 부분(680) 및 후방 하우징 부분(682)에 의해 공동으로 획정된다.
이제 도 1 내지 도 10c의 양수 유동 및 중력 유동 조합 목욕용 완구 시스템의 도 10a 내지 도 10c의 다중-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는 중력 유동 부분의 동작의 제1 중력 유동 모드의 간략화된 화상 및 단면 도해들이며, 도 11b는 도 11a의 라인들(B-B)을 따라 취해지는,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한다.
도 11a 및 도 11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화살표(700)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물 수용 용기(134)에 수용되는 물은 화살표(702)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중력을 받아 용기(134) 밖으로, 그리고 화살표(704)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도관(138)을 통해 터빈 하우징 어셈블리(600)으로 흐르며, 각각의 화살표들(706 및 708)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터빈 휠들(634 및 636)을 각각의 시계 및 반시계 방향들로 구동함으로써 각각의 화살표들(710 및 712)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회전 요소들(626 및 628)을 구동한다.
일정량의 물이 화살표(714)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 애퍼처(660)를 통해 터빈 하우징 어셈블리(600)를 나가며, 대부분의 물은 화살표(716)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중력을 받아 배출구 애퍼처(662)를 통해 그리고 화살표(718)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수평인 도관(146)을 통해 흐르고 화살표(720)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148)를 나가며, 여기서 그것은 화살표(722)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중력에 의해 핀휠 터빈(150)과의 동력 전도 체결부로 떨어짐으로써, 화살표(724)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핀휠 터빈(150)을 시계 방향으로 구동한다.
이제 도 1 내지 도 10c의 양수 유동 및 중력 유동 조합 목욕용 완구 시스템의 도 10a 내지 도 10c의 다중-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는 중력 유동 부분의 동작의 제2 중력 유동 모드의 간략화된 화상 및 단면 도해들이며, 도 12b는 도 12a의 라인들(B-B)을 따라 취해지는,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한다.
도 12a 및 도 12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화살표(750)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물 수용 용기(136)에 수용되는 물은 화살표(752)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중력을 받아 용기(136) 밖으로, 그리고 일반적으로 수직인 중력 유수 도관(158)을 통해 흐른다. 물의 일부는 화살표(754)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중력을 받아 터빈 하우징 어셈블리(602)로 흐르며, 화살표(756)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터빈 휠(654)을 시계 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회전체(162)를 화살표(758)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한다. 물은 계속해서 전방을 향하는 물 배출구 애퍼처(670)를 통해, 화살표(759)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중력을 받아 터빈 하우징 어셈블리(602) 밖으로 흐른다.
물의 대부분은 터빈(160)을 구동하지 않으나 화살표(760)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수직인 도관(158)을 통해 그리고 화살표(762)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수평인 도관(166)으로 전달되며, 화살표(764)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그것으로부터 일반적으로 수평인 분무기들의 어레이에서의 분무 배출구들(170)에서 나간다.
이제 도 1 내지 도 10c의 양수 유동 및 중력 유동 조합 목욕용 완구 시스템의 도 10a 내지 도 10c의 다중-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는 중력 유동 부분의 동작의 제3 중력 유동 모드의 간략화된 화상 및 단면 도해들이며, 도 13b는 도 13a의 라인들(B-B)을 따라 취해지는,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한다.
도 13a 및 도 13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화살표(800)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물 수용 용기(134)에 수용되는 물은 화살표(802)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중력을 받아 용기(134) 밖으로, 그리고 화살표(804)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도관(138)을 통해 터빈 하우징 어셈블리(600)로 흐르며, 각각의 화살표들(806 및 808)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터빈 휠들(634 및 636)을 각각의 시계 및 반시계 방향들로 구동함으로써 각각의 화살표들(810 및 812)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회전 요소들(626 및 628)을 구동한다.
일정량의 물이 화살표(814)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 애퍼처(660)를 통해 터빈 하우징 어셈블리(600)를 나가며, 대부분의 물은 화살표(816)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중력을 받아 배출구 애퍼처(662)를 통해 그리고 화살표(818)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수평 도관(146)을 통해 흐르고, 화살표(820)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148)를 나가며, 여기서 그것은 화살표(822)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중력에 의해 핀휠 터빈(150)과의 동력 전도 체결부로 떨어짐으로써, 화살표(824)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핀휠 터빈(150)을 시계 방향으로 구동한다.
도 13a 및 도 13b에 더 보여지는 바와 같이, 화살표(850)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물 수용 용기(136)에 동시에 수용되는 물은 화살표(852)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중력을 받아 용기(136) 밖으로, 그리고 도관(158)을 통해 흐른다. 물의 일부는 화살표(854)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중력을 받아 터빈 하우징 어셈블리(602)로 흐르며, 화살표(856)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터빈 휠(654)을 시계 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회전체(162)를 화살표(858)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한다. 물은 계속해서 전방을 향하는 물 배출구 애퍼처(670)를 통해, 화살표(859)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중력을 받아 터빈 하우징 어셈블리(602) 밖으로 흐른다.
물의 대부분은 터빈(160)을 구동하지 않으나 화살표(860)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수직인 도관(158)을 통해, 그리고 화살표(862)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수평인 도관(166)으로 전달되며, 화살표(864)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그것으로부터 일반적으로 수평인 분무기들의 어레이에서의 분무 배출구들(170)에서 나간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고 동작하는 서로 반대의 일반적으로 수평 중력 구동 유동 수력 완구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간략화된 각각의 전방-면 및 후방-면 도해들인 도 14a 및 도 14b, 및 이들의 각각의 전방 및 후방-면 분해 조립도들이며, 그 안에 형성된 다양한 유동 채널을 도시하는, 도 14c 및 도 14d; 도 14a 내지 도 14d의 서로 반대인 일반적으로 수평 중력 구동 유동 수력 완구에서의 제1 유동 패턴의 각각의 화상 및 단면 도해들인 도 15a 및 도 15b; 도 14a 내지 도 14d의 서로 반대의 일반적으로 수평 중력 구동 유동 수력 완구에서의 제2 유동 패턴의 각각의 화상 및 단면 도해들인 도 16a 및 도 16b; 도 14a 내지 도 14d의 서로 반대의 일반적으로 수평 중력 구동 유동 수력 완구에서의 제3 유동 패턴의 각각의 화상 및 단면 도해들인 도 17a 및 도 17b; 및 도 14a 내지 도 14d의 서로 반대의 일반적으로 수평 중력 구동 유동 수력 완구에서의 제4 유동 패턴의 각각의 화상 및 단면 도해들인 도 18a 및 도 18b를 참조한다.
도 14a 및 도 14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물 수용 용기(900, 902 및 904)가 제공되며, 각각은 각각 참조 부호들(910, 912 및 914)에 의해 표기된, 일반적으로 수직인 수로와 연통한다. 수직 수로(914)는 물 배출구 노즐들(916)의 일반적으로 수직인 선형 어레이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수직인 수로들(910 및 912)은 물 배출구 노즐들(920)의 선형 어레이를 갖는 일반적으로 수평인 수로(918)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으로 보인다. 수직 수로들(910 및 914)은 배출구(924)를 갖는 일반적으로 수평인 수로(922)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으로 보인다.
도 14c 및 도 14d에 분명히 보여지는 바와 같이, 도 14a 내지 도 18b의 완구는 바람직하게는 전방 및 후방 부분들(930 및 932)로 형성되며, 이들은 임의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함께 초음파 용접되거나 밀봉가능하게 접합될 수 있다.
도 18b에 분명히 보여지는 바와 같이, 화살표들(934)에 의해 표시된 물 수용 용기(900)로부터의 물의 중력 유동은 일반적으로 수직인 도관(910)에 획정되는 일반적으로 수직인 경로 부분(940)을 따라 그리고 그 다음 일반적으로 수평인 도관(922)에 획정되는 일반적으로 수평인 경로 부분(942)을 따라, 배출구(924)로 연장된다.
또한 도 18b에 분명히 보여지는 바와 같이, 화살표들(944)에 의해 표시된 물 수용 용기(902)로부터의 물의 중력 유동은 일반적으로 수직인 도관(912)에 획정되는 일반적으로 수직인 경로 부분(946)을 따라 그리고 그 다음 일반적으로 수평인 도관(918)에 획정되는 일반적으로 수평인 경로 부분(948)을 따라 일반적으로 수직인 도관(910)에 획정되는 일반적으로 수직인 경로 부분(950)으로 일반적으로 수평인 도관(922)에 획정되는 일반적으로 수평인 경로 부분(952)으로 일반적으로 수직인 도관(914)에 획정되는 일반적으로 수직인 경로 부분(954)을 따라 위쪽으로 흐르며 노즐들(916)을 통해 나간다.
도 18b에 분명히 더 보여지는 바와 같이, 화살표들(956)에 의해 표시된 물 수용 용기(904)로부터의 물의 중력 유동은 일반적으로 수직인 도관(914)에 획정되는 일반적으로 수직인 경로 부분(958)을 따라 그리고 그 다음 수평 경로 부분(922)에서의 유동에 대해, 화살표들(944)에 의해 표시된 방향에 반대인 방향으로 일반적으로 수평인 도관(922)에 획정되는 일반적으로 수평인 경로 부분(960)을 따라, 일반적으로 수직인 도관(910)에 획정되는 일반적으로 수직인 경로 부분(962)으로 일반적으로 수평인 경로 부분(948)에서의 유동에 대해, 일반적으로 수평인 도관(922)에 획정되는 일반적으로 수평인 경로 부분(964)으로 그리고 화살표들(944)에 의해 표시된 방향에 반대인 방향으로 연장되며, 노즐들(922)을 통해 나간다.
이제 도 19를 참조하며, 이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고 동작하는 양수 유동 및 중력 유동 조합 목욕용 완구 시스템(1100)의 간략화된 화상 도해이다.
도 19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양수 유동 및 중력 유동 조합 목욕용 완구 시스템(1100)은 물에 담궈지도록 조정되는, 통상적으로 기발한 화분 형태인, 펌프 부분(1110)을 포함하며, 진공 컵(미도시)에 의해서와 같이 욕조(미도시)의 바닥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펌프 부분은 ON/OFF 스위치(1114)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기발한 꽃 형태인 노즐 부분(1120)과, 바람직하게는 기밀구조의 수로 및 전기 스위치 작동 전기 도관(미도시)을 둘러싸는, 가요성 도관(1116)을 통해 결합되며, 여기서 가요성 도관(1116)은 화분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꽃 줄기로 구상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노즐 부분(1120)은 노즐 하우징(1122)을 포함하며, 이는 가요성 도관(1116)에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양수식 기밀구조의 분무 출력 노즐(1124)을 획정한다. 매우 어린 아이, 심지어 한 살 미만의 아이에 의해 동작될 수 있는, 전기 분무 제어 스위치 어셈블리가 제공된다는 것은 본 발명의 예시된 실시예의 특정한 특징이다.
바람직하게는 분무 제어 스위치 어셈블리는 예시된 실시예에서 노즐 하우징(1122)에 실장되며, 동시에 어린 아이의 손에 잡힐 수 있는, 누름 버튼들(1126)의 쌍에 의해 실현된다. 바람직하게는 분무 제어 스위치 어셈블리는 누름 버튼들(1126)을 서로를 향해 쥐는 어린 아이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누름 버튼들(1126)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를 심지어 매우 어린 아이가 쥐는 것은 노즐(1124)로부터의 분무 출력을 작동하기에 충분하다.
바람직하게는 노즐 부분(1120) 및 노즐 하우징(1122)은 예시된 실시예에서, 기발한 외관, 이를테면 꽃의 외관을 갖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양수 유동 및 중력 유동 조합 목욕용 완구 시스템(1100)은 또한 서로 맞물리는 물 분무 구동가능한 휠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각각 참조 부호들(1142, 1144 및 1146)로 표기된, 대응하는 복수의 허브 상에 어린 아이에 의해 제거되고 교체될 수 있는 세 개의 휠(1132, 1134 및 1136)을 포함하는 물 분무 구동의, 측면에 실장되는 완구 어셈블리(1130)를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복수의 허브(1142, 1144 및 1146)의 각각이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기하학적인 외측 원주의 구성, 이를테면 정사각형, 원형 및 삼각형을 갖는다는 것이 본 발명의 특정한 특징이다. 그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서로 맞물리는 물 분무 구동가능한 휠들(1132, 1134 및 1136)의 각각은 그에 대응하여 복수의 허브의 기하학적인 외측 원주의 구성들 중 하나에 대응하는 상이한 기하학적인 내측 원주의 구성을 가지며, 그에 따라 휠들(1132, 1134 및 1136) 중 하나가 단지 아이에 의해 대응하는 기하학적 구성을 갖는 허브(1142, 1144 또는 1146) 상에 실장되게 한다.
도 19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노즐 부분(1120)으로부터의 물의 분무는 휠(1132)이 시계반대 방향으로 그것의 축에 대해 회전하게, 휠(1134)이 시계 방향으로 그것의 축에 대해 회전하게 그리고 휠(1136)이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이제 도 19의 양수 유동 및 중력 유동 조합 목욕용 완구 시스템의 노즐 및 도관 부분의 간략화된 분해 조립도 도해인 도 20, 도 20의 노즐 및 도관 부분의 부분을 형성하는 노즐 하우징 요소의 간략화된 화상 및 단면 도해들인 도 21a 및 도 21b, 도 20의 노즐 및 도관 부분의 부분을 형성하는 노즐 하우징 요소의 간략화된 화상 및 단면 도해들인 도 22a 및 도 22b 및 도 20의 노즐 도관 부분의 부분을 형성하는 분무 제어 스위치 어셈블리를 예시하는 도 23a 내지 도 23e를 참조한다.
도 20 내지 도 20e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노즐 및 도관 부분은 가요성 도관(1116)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노즐 하우징(1122)을 포함하는, 노즐 부분(1120)을 포함한다. 노즐 하우징(1122)은 제1 노즐 하우징 부분(1200) 및 제2 노즐 하우징 부분(1202)을 포함하며,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나사들(미도시)에 의해 함께 고정되며, 이들은 제2 하우징 부분(1202)에서의 애퍼처들을 통해 연장되고 제1 하우징 부분(1200)에서의 각각의 대응하는 내부에 나사산이 있는 돌기물들(미도시)에 체결한다.
노즐 배출구 요소(1212)가 노즐 하우징(1122) 내에 배치되고 그것의 상부 부분에서의 제1 노즐 하우징 부분(1200) 및 제2 노즐 하우징 부분(1202)에 의해 형성되는 애퍼처를 통해 연장되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기밀구조의 물 흡입구(1214) 및 실장 애퍼처들(미도시)의 쌍을 포함하며, 이들은 제1 노즐 하우징 부분(1200) 및 제2 노즐 하우징 부분(1202)에서의 돌기물들(미도시)과의 체결에 의해 노즐 배출구 요소(1212)를 제1 노즐 하우징(1122) 상으로 실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1 노즐 하우징 부분(1200) 및 제2 노즐 하우징 부분(1202)은 각각 참조 부호들(1222 및 1223)로 표기된, 중앙 슬롯으로 각각 형성되며, 이들은 노즐 유동 제어 누름 버튼들(1224 및 1226)을 수용하며, 이들은 전기 노즐 유동 제어 스위치(1228) 및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른 요소들과 함께, 분무 제어 스위치 어셈블리(1230)를 획정하며, 이는 이제 특히 도 23a 내지 도 23e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누름 버튼(1224)은 외측을 향하는 아이 손에 체결가능한 외측 표면(1238) 및 부분적으로 인클로저를 획정하는 내부의, 일반적으로 오목한 표면을 포함하며, 전기 케이블(1242)에 결합되는, 마이크로스위치(1241)를 위한 자리를 획정하는, 내부를 향하는 돌출부들(미도시)의 쌍을 포함한다.
마이크로스위치 유지 및 밀봉 요소(1244)는 누름 버튼(1224)의 내부의, 일반적으로 오목한 표면에 의해 부분적으로 획정되는 인클로저 내에 마이크로스위치(1241)를 유지 및 밀봉하며, 그 안에 내측 원주의 리세스(미도시) 내에 밀봉가능하게 놓인다. 마이크로스위치(1241)는 마이크로스위치 작동 버튼(1247)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Kowloon, Sham Shui Po, Yee Kuk 스트릿 126의 홍콩 리더 인더스트리얼 컴퍼니에서 시판되는, 부품 TS-2037이다.
특히 도 23e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스위치 유지 및 밀봉 요소(1244)는 링 마운트(1252)에 실장되는, 일반적으로 가요성 물 침투 저지용 웹 부분(1250)을 포함하여, 밀봉된 가요성 마이크로스위치 작동 어셈블리(1248)를 수용하기 위한 중앙 리세스(1245)를 갖는 평면형 요소이다. 바람직하게는 밀봉된 가요성 마이크로스위치 작동 어셈블리(1248)는 유지 링(1254)에 의해 중앙 리세스(1245)에 밀봉가능하게 유지된다. 안쪽으로 연장되는 펙들(1253)의 쌍은 스프링들(1255)을 통해 연장되고 누름 버튼(1226)의 안쪽으로 향하는 부분 상에 형성되는 돌기물들(1257)에 의해 체결되는 마이크로스위치 보유 및 밀봉 요소(1244) 상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스위치 보유 및 밀봉 요소(1244)는 전기 케이블(1242)을 밀봉가능하게 수용하는, 전기 케이블 도관 부분(1256)을 포함한다.
누름 버튼(1226)은 외측을 향하는 아이 손에 체결가능한 외측 표면(1268) 및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바와 같이, 누름 버튼 요소들(1222 및 1223)의 상대적인 방향들에 따라, 마이크로스위치 작동 버튼(1247)을 작동하기 위해 마이크로스위치 보유 및 밀봉 요소(1244) 상에 실장되는 웹 부분(1250)에 밀면서 체결할 수 있는, 내부를 향하는 돌출부(1270)를 포함한다.
도 23b는 누름 버튼들(1224 및 1226) 중 어느 것도 눌리지 않은 누름 버튼들(1224 및 1226)의 상대적인 동작 방향을 예시한다. 돌출부(1270)는 웹 부분(1250)에 밀면서 체결하지 않고 마이크로스위치 작동 버튼(1247)을 작동하지 않으며, 그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스위치가 폐쇄되고 어떤 분무도 제공되지 않음이 보여진다.
도 23c는 누름 버튼들(1224 및 1226)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가 눌리는 누름 버튼들(1224 및 1226)의 상대적인 동작 방향을 예시한다. 돌출부(1270)는 웹 부분(1250)에 밀면서 체결하고 마이크로스위치 작동 버튼(1247)을 작동하며, 그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스위치가 개방되고 분무가 제공됨이 보여진다. 대안적으로 비 분무에서 최대 체적의 분무까지 다양할 수 있는, 가변 체적 분무를 제공하는 마이크로스위치가 채용될 수 있음이 인식된다.
바람직하게는 노즐 배출구 요소(1212)의 물 흡입구(1214)는 전기 케이블(1242)과 함께, 가요성 도관(1116)을 통해 연장되는, 물 공급 도관(1271)에 고정적으로 결합된다. 이를테면 고리 단부(1274)의 돌기물(1276) 위에의 배치에 의한, 제1 하우징 부분(1200)에서의 돌기물(1276)과의 체결시 전방 하우징 부분 체결을 위해 고리 단부(1274)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며, 가요성 도관(1116), 뿐만 아니라 전기 케이블(1242) 및 물 공급 도관(1271)의 노즐 하우징(1122)에서의 그리고 펌프 부분(1110)(도 19)에서의 연결 해제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바람직하게는 직경 1.5 mm의 나일론으로 형성되는, 안전 케이블(1272)이 제공된다는 것이 본 발명의 예시된 실시예의 특정한 특징이다.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도관(1116)은 상측 및 하측 서로 나사산 결합하는 요소들(미도시)에 의해 제1 및 제2 노즐 하우징 부분들(1200 및 1202) 상에 실장되며, 이들은 그것들 사이 나사산 체결로부터 압력을 받아 가요성 도관(1116)의 단부를 유지한다. 하측 결합 요소는 노즐 하우징 부분들(1200 및 1202)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측을 향하는 원주의 돌출부(미도시)에 의해 제1 및 제2 노즐 하우징 부분들(1200 및 1202) 내에 유지된다. 하측 결합 요소의 그리고 그에 따른 가요성 도관(1116)의 제1 및 제2 노즐 하우징 부분들(1200 및 1202)에 대한 회전은 전방 하우징 부분(1200)의 내부 돌출부(미도시)의 하측 결합 요소(미도시)에 형성되는 대응하는 슬롯(미도시)과의 결합에 의해 방지된다.
이제 하우징(1120)의 분무 제어 스위치 어셈블리의 4개의 동작 상태의 간략화된 화상도 도해들인 도 24a, 도 24b, 도 24c 및 도 24d, 및 도 23a에서의 단면선들(B-B)을 따라 취해지는, 도 24a, 도 24b, 도 24c 및 도 24d에 대응하는 간략화된 단면 도해들인 도 25a, 도 25b, 도 25c 및 도 25d를 참조한다.
도 24a 및 도 25a는 누름 버튼들(1226 및 1228) 중 어느 것도 눌리지 않고 마이크로스위치가 작동되지 않으며 어떤 분무도 제공되지 않는 제1 동작 방향을 예시한다.
도 24b 및 도 25b는 누름 버튼(1226)이 눌려, 돌출부(1270)가 웹 부분(1250)에 밀면서 체결하고 마이크로스위치(1241)를 작동하게 함으로써, 분무를 야기하는 제2 동작 방향을 예시한다.
도 24c 및 도 25c는 누름 버튼(1224)이 눌려, 돌출부(1270)가 웹 부분(1250)에 밀면서 체결하고 마이크로스위치(1241)를 작동하게 함으로써, 분무를 야기하는 제3 동작 방향을 예시한다.
도 24d 및 도 25d는 누름 버튼들(1224 및 1226) 양자가 동시에 눌려, 돌출부(1270)가 웹 부분(1250)에 밀면서 체결하고 마이크로스위치(1241)를 작동하게 함으로써, 분무를 야기하는 제4 동작 방향을 예시한다.
이제 각각, 도 19에서의 화살표(A)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취해지는 펌프 부분의 간략화된 부분 컷-어웨이 도해, 도 19에서의 라인들(B-B)을 따라 취해지는, 도 19의 양수 유동 및 중력 유동 조합 목욕용 완구 시스템의 펌프 부분의 간략화된 단면 도해, 및 도 26a 및 도 26b의 펌프 부분의 간략화된 분해 조립도 도해인 도 26a, 도 26b 및 도 26c를 참조한다.
도 26a 내지 도 26c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그리고 도 19를 참조하여 위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펌프 부분(1110)은 동작 동안 물에 담궈지도록 조정되며, 진공 컵(미도시)에 의해 욕조(미도시)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펌프 부분(1110)은 ON/OFF 스위치(1114)를 포함하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성인이 동작가능하고 아이가 동작가능하지 않으며, 가요성 도관(1116)을 통해, 노즐 부분(1120)과 결합된다(도 19).
26a 내지 도 26c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펌프 부분(1110)은 좌측 및 우측 펌프 하우징 부분들(1500 및 1501) 및 하부 펌프 하우징 부분(1502)을 포함하며, 이들은 함께 전기적으로 동작되는 물 펌프(1504)를 둘러싸며, 이는 화살표들(1507)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물 흡입구(1506)의 필터(1505)를 통해 하부 펌프 하우징 부분(1502) 외부로부터 물을 수용한다. 물 펌프(1504)는 나사산이 있는 커버(1509)를 포함하여 방수 배터리 팩(1508)으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는다. 물 펌프(1504)의 동작은 전기 제어 어셈블리(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며, 이는 배터리 팩(1508)으로부터 전기 공급원에 결합되고 전기 케이블(1242)을 통해 그리고 ON/OFF 스위치(1114)로부터 제어 입력들을 수신한다.
가요성 도관(1116)은 상측 및 하측 결합 요소들(미도시)에 의해 펌프 하우징 부분(1110) 상에 실장되며,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좌측 및 우측 펌프 하우징 부분들(1500 및 1501)의 내부에 형성되는 돌기물들(미도시)로 애퍼처들(미도시)을 통해 삽입되는 나사들(미도시)에 의해, 좌측 및 우측 펌프 하우징 부분들(1500 및 1501)에 실장된다. 가요성 도관의 좌측 및 우측 펌프 하우징 부분들(1500 및 1501)에의 실장은 위에서 설명된 가요성 도관의 노즐 부분(1120)에의 실장과 유사하다.
안전 케이블(1272)의 고리 단부(1526)는 돌출부(1528)에 고정적으로 고정되며, 가요성 도관(1116), 뿐만 아니라 전기 케이블(1242) 및 물 공급 도관(1271)의 좌측 및 우측 펌프 하우징 부분들(1500 및 1501)에서의 연결 해제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펌프 부분(1110)은 진공 컵(미도시) 상에 하부 펌프 하우징 부분(1502)이 돌출부(미도시)에 회전가능하게 체결하게 하는 캡(미도시) 및 펙(미도시)을 고정함으로써 진공 컵(미도시)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이제 유동적인 동작 방향의 도 19 내지 도 26c의 실시예의 펌프 부분의 간략화된 화상 도해인 도 27을 참조한다. 본 실시예는 도 19 내지 도 26c의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으며, 욕조 또는 그 밖에 유사한 것의 바닥에 부착되지 않을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그것은 어떠한 부착 수단도 없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27의 실시예는 그것을 물에 뜰 수 있게 만들기 위해 부력이 있는 물질들을 포함하며,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펌프 부분이 가라앉힐 수 있거나 기우뚱할 수 없도록 배치된다.
분무 구동 터빈 수력 완구(1600)의 각각의 간략화된 정면도 및 후면도 조립 도해들 및 분해 조립도 도해이며, 이는 도 1 내지 도 27의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 및 노즐과 협력하여 또는 펌프 없이 사용될 수 있는 도 28a, 도 28b 및 도 28c, 각각, 놀이 경험에 맞는 형상을 제공하기 위해, 도 28a 내지 도 28c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다르게 성형된 터빈 부분들이 그에 대응하여 다르게 성형된 허브들 상에 선택가능하게 착탈가능한 그리고 교체가능할 수 있음을 도시하는 분해 방향의 간략화된 화상 도해 및 간략화된 부분 컷-어웨이 측면도 도해인 도 29a 및 도 29b, 그것 상에 다르게 유도된 물 분무에 반응하여 도 28a 내지 도 29b의 실시예의 완구에 의해 실현가능한 회전 패턴들을 예시하는 간략화된 화상 도해들인 도 30a, 도 30b, 도 30c 및 도 30d, 및 도 28a 내지 도 30d의 실시예에서의 허브들에서 휠들을 제거하는 세 가지 예를 예시하는 도 31a, 도 31b 및 도 31c를 참조한다.
도 28a 내지 도 31c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분무 구동 터빈 수력 완구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1602)를 포함하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흡입 컵들(1604)에 의해, 욕조와 같이 벽 상에 실장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1604)는 참조 부호들(1612, 1614 및 1616)에 의해 도시되고 표기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모두 세 개인, 복수의 서로 평행한 회전 차축을 획정한다. 여기서 참조 부호들(1622, 1624 및 1626)로 표시된, 복수의 허브는 각각의 차축들(1612, 1614 및 1616) 상에 회전가능하게 실장된다.
복수의 허브(1622, 1624 및 1626)의 각각이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통상적으로 정사각형, 원형 및 삼각형인 것으로 보이는, 상이한 전체로 기하학적인 구성을 갖는다는 것이 본 발명의 특정한 특징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서로 맞물리는 물 분무 구동가능한 휠,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휠들(1632, 1634 및 1636)의 각각의 내부 원주의 형상을 대응하는 허브들(1622, 1634 및 1636)의 대응하는 외측 원주의 형상과 매칭함으로써, 각각 참조 부호들(1622, 1624 및 1626)로 표기된, 대응하는 허브들 상에 어린 아이에 의해 제거되고 교체될 수 있는 세 개의 휠(1632, 1634 및 1636).
예시된 실시예에서, 복수의 허브(1622, 1624 및 1626)의 각각이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기하학적인 외측 원주의 구성, 이를테면 정사각형, 원형 및 삼각형을 갖는다는 것이 본 발명의 특정한 특징이다. 그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서로 맞물리는 물 분무 구동가능한 휠들(1632, 1634 및 1636)의 각각은 그에 대응하여 복수의 허브의 기하학적인 외측 원주의 구성들 중 하나에 대응하는 상이한 기하학적인 내측 원주의 구성을 가지며, 그에 따라 휠들(1632, 1634 및 1636) 중 하나가 단지 아이에 의해 대응하는 기하학적 구성을 갖는 허브(1622, 1624 또는 1626) 상에 실장되게 한다.
도 30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휠들(1632 및 1634) 상으로의 물의 분무는 휠(1632)이 시계반대 방향으로 그것의 축에 대해 회전하게, 휠(1634)이 시계 방향으로 그것의 축에 대해 회전하게 그리고 휠(1636)이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도 30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휠(1632) 상으로의 물의 분무는 휠(1632)이 시계 방향으로 그것의 축에 대해 회전하게, 휠(1634)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그것의 축에 대해 회전하게 그리고 휠(1636)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도 30c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휠(1636) 상으로 물의 분무는 휠(1632)이 시계반대 방향으로 그것의 축에 대해 회전하게, 휠(1634)이 시계 방향으로 그것의 축에 대해 회전하게 그리고 휠(1636)이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도 30d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휠(1634) 상으로의 물의 분무는 휠(1632)이 시계 방향으로 그것의 축에 대해 회전하게, 휠(1634)이 시계 반애 방향으로 그것의 축에 대해 회전하게 그리고 휠(1636)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도 31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휠들(1632 및 1634) 상으로의 물의 분무는 휠(1636)이 허브(1626)에서 제거될 때에도 휠(1632)이 시계반대 방향으로 그것의 축에 대해 회전하게 그리고 휠(1634)이 시계 방향으로 그것의 축에 대해 회전하게 한다.
도 31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휠(1634) 단독 상으로의 물의 분무는 휠(1632)이 허브(1622)에서 제거될 때에도 휠(1634)이 시계 방향으로 그것의 축에 대해 회전하게 그리고 휠(1636)이 시계반대 방향으로 그것의 축에 대해 회전하게 한다.
도 31c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휠들(1632 및 1636) 상으로의 물의 동시 분무는 휠(1634)이 허브(1624)에서 제거될 때, 휠(1632)이 시계 방향으로 그것의 축에 대해 회전하게 그리고 휠(1636)이 시계반대 방향으로 그것의 축에 대해 회전하게 한다.
이제 화살표(1654)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물의 가압된 유동을 제공하는, 욕조에 실장가능한 펌프 어셈블리(1652)에 의해 도 28a 내지 도 31c에 도시된 완구와 유사한 완구(1650)의 동작의 간략화된 도해인 도 32를 참조한다.
이제 예를 들어, 도 19 내지 도 27의 실시예에 통합될 수 있는, 손가락으로 조절되는 분무 노즐(1700)의 두 개의 동작 방향을 예시하는, 도 33a 및 도 33b, 도 33a 및 도 33b의 두 개의 동작 방향에 대응하는 물 유동을 예시하는 간략화된 단면 도해들인 도 34a 및 도 34b를 참조한다.
도 33a 내지 도 34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화살표들(1702)에 의해 표시된 상향 물 유동은 화살표(1706)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바로 위쪽으로 전달되고 비교적 큰 중앙 애퍼처(1704)를 통해 나간다. 애퍼처(1704)가 차단해제되는 한, 물은 애퍼처(1704)를 둘러싸고 보다 작고 화살표들(1702)에 의해 표시된 물 유동에 맞추어 조정되지 않은 주변 애퍼처들(1708)에서는 나가지 않는다.
도 33b 및 도 44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손가락에 의해서와 같이, 애퍼처(1704)를 통한 물 유동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차단될 때, 수압은 화살표들(1712)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애퍼처(1704) 및 주변 애퍼처들(1708)의 기저를 이루는 챔버(1710)에서 강화되며, 화살표들(1716)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주변 애퍼처들(1708)로부터의 물 분무를 야기한다.
도 35a 및 도 35b는 예를 들어, 도 32의 욕조에 실장가능한 펌프 어셈블리에 그리고 도 19 내지 도 27에 통합될 수 있는, 손가락으로 조절되는 분무 노즐의 두 개의 동작 방향을 예시하는 도 35a 및 도 35b, 및 도 35a 및 도 35b의 두 개의 동작 방향에 대응하는 물 유동을 예시하는 간략화된 단면 도해들인 도 36a 및 도 36b를 참조한다.
도 35a 및 도 36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화살표들(1722)에 의해 표시된 하향 물 유동은 화살표(1726)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펌프 어셈블리를 통해 바로 전달되고 비교적 큰 중앙 애퍼처(1724)를 통해 나간다. 애퍼처(1724)가 차단해제되는 한, 물은 애퍼처(1724)를 둘러싸고 보다 작고 화살표들(1722)에 의해 표시된 물 유동에 맞추어 조정되지 않은 주변 애퍼처들(1728)에서는 나가지 않는다.
도 35b 및 도 36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손가락에 의해서와 같이, 애퍼처(1724)를 통한 물 유동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차단될 때, 수압은 화살표들(1731)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애퍼처(1724), 및 주변 애퍼처들(1728)의 기저를 이루는 챔버(1730)에서 강화되며, 화살표들(1732)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주변 애퍼처들(1728)로부터의 물 분무를 야기한다.
예를 들어, 도 19 내지 도 27의 실시예에 통합될 수 있는, 노즐 요소로 조절되는 분무 노즐의 세 개의 동작 방향을 예시하는 도 37a, 도 37b 및 도 37c, 도 37a 내지 도 37c의 노즐 요소로 조절되는 분무 노즐의 부분의 간략화된 분해 조립도 도면인 도 38, 도 37a 및 도 37c의 동작 방향들에 대응하는 물 유동을 예시하는 간략화된 단면 도해들인 도 39a 및 도 39b를 참조한다.
도 37a 내지 도 39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기밀구조의 수로(1750)는 도관(1750)으로부터의 물의 가압된 유동을 수용하는, 수압 챔버(1752)에 결합된다. 수압 챔버(1752)는 보통 회전가능하게 실장된 차단 요소(1756)에 의해 차단되는 큰 중앙 배출구 애퍼처(1754)를, 그리고 도 37a 및 도 39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물이 보통 노즐 요소 밖으로 흐르는 복수의 비교적 작은 주변 배출구 애퍼처(1758)를 구비한다.
도 37c 및 도 39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회전가능하게 실장된 차단 요소(1757)가 중앙 배출구 애퍼처(1754)로 도 37b에서와 같이, 완전히 삽입되는, 중공 배출구 요소(1760)에 의해서와 같이, 비-유동 차단 위치로 회전하도록 강제될 때, 비교적 강한 물의 가압된 스트림이 중공 배출구 요소(1760)를 통해 전달되고 어떠한 물도 주변 배출구 애퍼처들(1758)을 통해서는 전달되지 않는데, 이는 그것들로의 물 유동이 도 39b에 분명히 보여지는 바와 같이, 중공 배출구 요소(1760)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이다.
이제 물에 뜨는 수력 완구(1722)의 부분을 형성하는 노즐 요소로 조절되는 분무 노즐(1770)의 세 개의 동작 방향을 예시하는 도 40a, 도 40b 및 도 40c, 및 도 40a 및 도 40c의 동작 방향들에 대응하는 물 유동을 예시하는 간략화된 단면 도해들인 도 41a 및 도 41b를 참조한다.
도 40a 내지 도 41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물에 뜨는 대(1774)를 포함하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그 안에 적절하게 위치된 부력이 있는 물질(1776)을 포함하기 때문에 가라앉지 않을 수 있고 기우뚱하지 않을 수 있다.
기밀구조의 수로(1780)는 펌프(1784)로부터 도관(1780)을 통해 물의 가압된 유동을 수용하는, 수압 챔버(1782)에 결합된다. 수압 챔버(1782)는 보통 회전가능하게 실장된 차단 요소(1788)에 의해 차단되는 큰 중앙 배출구 애퍼처(1786)를, 그리고 도 40a 및 도 41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물이 보통 노즐 요소 밖으로 흐르는 복수의 비교적 작은 주변 배출구 애퍼처(1790)를 구비한다.
도 40c 및 도 41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회전가능하게 실장된 차단 요소(1788)가 중앙 배출구 애퍼처(1786)로 도 40b에서와 같이, 완전히 삽입되는, 중공 배출구 요소(1792)에 의해서와 같이, 비-유동 차단 위치로 회전하도록 강제될 때, 비교적 강한 물의 가압된 스트림이 중공 배출구 요소(1792)를 통해 전달되고 어떠한 물도 주변 배출구 애퍼처들(1790)을 통해서는 전달되지 않는데, 이는 그것들로의 물 유동이 도 40b에 분명히 보여지는 바와 같이, 중공 배출구 요소(1792)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이다.
보통 때 중앙 배출구 애퍼처를 차단하거나 선택적으로 손가락에 의해 중앙 배출구 애퍼처를 차단하는 구조들이 본 발명의 모든 적용가능한 실시예에서 호환하여 사용될 수 있음이 인식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본 발명이 위에서 구체적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던 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특징들이 다양한 조합으로 도시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도면들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특징들의 조합들 및 부분조합들을 포함함이 인식될 것이다. 그에 따라, 도 14a 내지 도 18b의 실시예가 도 13b의 수력 완구에 채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설명에 의해 또는 뒤따르는 청구항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앞서 말한 내용을 읽을 때 해당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떠오를 수 있는 그리고 종래 기술에 속하지 않는 위에서 설명된 특징들의 조합들 및 부분조합들을 포함한다.

Claims (28)

  1. 서로 반대의 일반적으로 수평인 중력-구동 유동 수력 완구로서,
    적어도 제1 및 제2 물 흡입구들;
    물의 중력 유동을 상기 제1 및 제2 물 흡입구들 중 각각의 물 흡입구들로부터 이들을 통해 유도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제1 및 제2 물 흡입구들 중 상기 각각의 물 흡입구들에 결합되는 적어도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직인 수로들;
    물의 중력 유동을 상기 제1 및 제2 물 흡입구들 중 상기 각각의 물 흡입구들로부터 이들을 통해 그리고 상기 적어도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직인 수로들을 통해 유도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직인 수로들 중 각각의 일반적으로 수직인 수로들에 결합되는 적어도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평인 수로들로서, 상기 적어도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평인 수로들은 이들을 통한 상기 물의 중력 유동이 일반적으로 반대의 방향들에 있도록 배치된, 상기 적어도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평인 수로들을 포함하는, 서로 반대의 일반적으로 수평인 중력-구동 유동 수력 완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평인 수로들은 서로 평행한, 서로 반대의 일반적으로 수평인 중력-구동 유동 수력 완구.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평인 수로들은 서로 일체로 형성되는, 서로 반대의 일반적으로 수평인 중력-구동 유동 수력 완구.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평인 수로들은 공통의 외측의 일반적으로 수평인 도관 내에 획정되는, 서로 반대의 일반적으로 수평인 중력-구동 유동 수력 완구.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로를 통한 상기 제1 물 흡입구로부터의 물의 중력 유동에 의해 구동되고 시각적으로 감지가능한 기발한(fanciful) 동작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제1 수력 터빈;
    상기 제2 수로를 통한 상기 제2 물 흡입구로부터의 물의 중력 유동에 의해 구동되고 가시적이며 아이가 체결가능하고 중지가능한 제2 수력 터빈을 또한 포함하는, 서로 반대의 일반적으로 수평인 중력-구동 유동 수력 완구.
  6.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로를 통한 상기 제1 물 흡입구로부터의 물의 중력 유동에 의해 구동되고 시각적으로 감지가능한 기발한 동작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제1 수력 터빈을 또한 포함하는, 서로 반대의 일반적으로 수평인 중력-구동 유동 수력 완구.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을 수용하는 상기 제2 수로는 그 안에 복수의 분무 출구 애퍼처를 포함하는, 서로 반대의 일반적으로 수평인 중력-구동 유동 수력 완구.
  8.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로를 통한 상기 제1 물 흡입구로부터의 물의 중력 유동에 의해 구동되고 시각적으로 감지가능한 기발한 동작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제1 수력 터빈 어셈블리;
    상기 제2 수로를 통한 상기 제2 물 흡입구로부터의 물의 중력 유동에 의해 구동되고 가시적이며 아이가 체결가능하고 중지가능한 제2 수력 터빈 어셈블리;
    제2 물 용기에 결합되는 제3 수로;
    상기 제1 수로를 통한 상기 제2 물 흡입구로부터의 물의 중력 유동에 의해 구동되고 시각적으로 감지가능한 기발한 동작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제3 수력 터빈 어셈블리; 및
    제1 물 용기로부터의 물을 수용하고 그 안에 복수의 분무 출구 애퍼처를 갖는 제4 수로를 또한 포함하는, 서로 반대의 일반적으로 수평인 중력-구동 유동 수력 완구.
  9. 물 충돌 구동 완구로서,
    물의 유동의 이의 충돌에 반응하여 일반적으로 수직인 평면에서의 회전을 위해 배치된 복수의 서로 맞물리는 물 분무 구동가능한 휠; 및
    상기 서로 맞물리는 물 분무 구동가능한 휠들이 실장되는 복수의 회전가능한 허브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회전가능한 허브는 일반적으로 수평 축들에 대한 회전을 위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허브의 각각은 상이한 기하학적인 외측 원주의 구성을 갖고;
    상기 복수의 서로 맞물리는 물 분무 구동가능한 휠들의 각각은 상기 복수의 허브의 상기 기하학적인 외측 원주의 구성들 중 하나에 대응하는 상이한 기하학적인 내측 원주의 구성을 가지며, 그에 따라 상기 휠들 중 하나가 단지 아이에 의해 대응하는 기하학적 구성을 갖는 허브 상에 실장되게 하는, 물 충돌 구동 완구.
  10. 수력 완구로서,
    가압된 수원; 및
    상기 가압된 수원을 수용하며, 주요 노즐 배출구가 차단되지 않을 때 물이 단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배출구가 차단될 때에만 물이 적어도 하나의 보조 노즐 배출구에서 배출되도록, 상기 가압된 수원과 상호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주요 노즐 배출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노즐 배출구를 포함하는 복수의 노즐 배출구를 갖는 노즐을 포함하는, 수력 완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노즐 배출구는 보통 때 개방되고 선택가능하게 아이에 의해 수동으로 차단됨으로써 물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노즐 배출구에서 배출되게 하는, 수력 완구.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노즐 배출구는 보통 때 차단되며 이에 의해 물이 보통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배출구에서 배출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노즐 배출구는 선택가능하게 아이에 의해 개방됨으로써 물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배출구에서 배출되게 하는, 수력 완구.
  13. 청구항 10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된 수원은 수중 펌프인, 수력 완구.
  14. 청구항 10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된 수원 및 상기 노즐은 물에 뜰 수 있는 대(platform) 상에 실장되는, 수력 완구.
  15. 청구항 10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노즐 배출구는 위쪽으로 향하는, 수력 완구.
  16. 청구항 10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노즐 배출구는 아래쪽으로 향하는, 수력 완구.
  17. 청구항 10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된 수원은 이를 통해 가압된 물 유동을 제공하기 위해 가요성 도관에 결합되는 수중 물 펌프이며; 그리고
    상기 노즐은 상기 가압된 물 유동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가요성 도관에 결합되고 상기 가압된 물 유동으로부터 상기 노즐을 통해 물의 출력을 통제하는 반대로 지향된 쥘 수 있는 버튼 요소들의 쌍을 포함하는 아이 손으로 동작가능한 물 유동 스위치를 갖는 아이 손으로 고정가능한 물 분무 노즐이되, 상기 아이 손으로 동작가능한 물 유동 스위치는 상기 가요성 도관을 통해 연장되는 전기적 도전성 도관을 통해 전력원에 그리고 전기적 물 유동 제어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력 완구.
  18. 청구항 10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로부터의 물의 유동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제1 및 제2 물 흡입구들;
    물의 중력 유동을 상기 제1 및 제2 물 흡입구들 중 각각의 물 흡입구들로부터 이들을 통해 유도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제1 및 제2 물 흡입구들 중 상기 각각의 물 흡입구들에 결합되는 적어도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직인 수로들; 및
    물의 중력 유동을 상기 제1 및 제2 물 흡입구들 중 상기 각각의 물 흡입구들로부터 이들을 통해 그리고 상기 적어도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직인 수로들을 통해 유도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직인 수로들 중 각각의 일반적으로 수직인 수로들에 결합되는 적어도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평인 수로들로서, 상기 적어도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평인 수로들은 이들을 통한 상기 물의 중력 유동이 일반적으로 반대의 방향들에 있도록 배치된, 상기 적어도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평인 수로들을 또한 포함하는, 수력 완구.
  19. 청구항 10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로부터의 물의 유동을 수용하도록 배치된 물 용기;
    상기 물 용기에 결합되는 제1 수로;
    상기 제1 수로를 통한 상기 물 용기로부터의 물의 중력 유동에 의해 구동되고 시각적으로 감지가능한 기발한 동작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제1 수력 터빈;
    상기 제1 물 용기로부터의 물을 수용하는 제2 수로; 및
    상기 제2 수로를 통한 상기 물 용기로부터의 물의 중력 유동에 의해 구동되고 가시적이며 아이가 체결가능하고 중지가능한 제2 수력 터빈을 또한 포함하는, 수력 완구.
  20. 수력 완구로서,
    이를 통해 가압된 물 유동을 제공하기 위해 가요성 도관에 결합되는 수중 물 펌프; 및
    상기 가압된 물 유동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가요성 도관에 결합되고 상기 가압된 물 유동으로부터 상기 노즐을 통해 물의 출력을 통제하는 반대로 지향된 쥘 수 있는 버튼 요소들의 쌍을 포함하는 아이 손으로 동작가능한 물 유동 스위치를 갖는 아이 손으로 고정가능한 물 분무 노즐로서, 상기 아이 손으로 동작가능한 물 유동 스위치는 상기 가요성 도관을 통해 연장되는 전기적 도전성 도관을 통해 전력원에 그리고 전기적 물 유동 제어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아이 손으로 고정가능한 물 분무 노즐을 포함하는, 수력 완구.
  21. 수력 완구로서,
    이를 통해 가압된 물 유동을 제공하기 위해 가요성 도관에 결합되는 수중 물 펌프;
    상기 가압된 물 유동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제1 도관에 결합되고 상기 가압된 물 유동으로부터 상기 노즐을 통해 물의 출력을 통제하는 아이 손으로 동작가능한 물 유동 스위치를 갖는 아이 손으로 고정가능한 물 분무 노즐로서, 상기 아이 손으로 동작가능한 물 유동 스위치는 전력원에 그리고 전기적 물 유동 제어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아이 손으로 고정가능한 물 분무 노즐; 및
    상기 가요성 도관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수중 물 펌프 및 및 상기 분무 노즐에 이의 단부들에서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가요성 안전 요소를 포함하는, 수력 완구.
  22. 청구항 20 또는 21에 있어서,
    물의 유동을 수용하도록 배치된 물 용기;
    상기 물 용기에 결합되는 제1 수로;
    상기 제1 수로를 통한 상기 물 용기로부터의 물의 중력 유동에 의해 구동되고 시각적으로 감지가능한 기발한 동작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제1 수력 터빈;
    상기 제1 물 용기로부터의 물을 수용하는 제2 수로; 및
    상기 제2 수로를 통한 상기 물 용기로부터의 물의 중력 유동에 의해 구동되고 가시적이며 아이가 체결가능하고 중지가능한 제2 수력 터빈을 또한 포함하는, 수력 완구.
  23. 청구항 20 또는 21에 있어서,
    물의 유동을 수용하도록 배치된 물 용기;
    상기 물 용기에 결합되는 제1 수로;
    상기 제1 수로를 통한 상기 물 용기로부터의 물의 중력 유동에 의해 구동되고 시각적으로 감지가능한 기발한 동작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제1 수력 터빈;
    상기 제1 물 용기로부터의 물을 수용하고 그 안에 복수의 분무 출구 애퍼처를 갖는 제2 수로를 또한 포함하는, 수력 완구.
  24. 청구항 20 또는 21에 있어서,
    물의 유동을 수용하도록 배치된 제1 물 용기;
    상기 제1 물 용기에 결합되는 제1 수로;
    상기 제1 수로를 통한 상기 물 용기로부터의 물의 중력 유동에 의해 구동되고 시각적으로 감지가능한 기발한 동작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제1 수력 터빈 어셈블리;
    상기 제1 물 용기로부터의 물을 수용하는 제2 수로; 및
    상기 제2 수로를 통한 상기 물 용기로부터의 물의 중력 유동에 의해 구동되고 가시적이며 아이가 체결가능하고 중지가능한 제2 수력 터빈 어셈블리;
    물의 유동을 수용하도록 배치된 제2 물 용기;
    상기 제2 물 용기에 결합되는 제3 수로;
    상기 제1 수로를 통한 상기 제2 물 용기로부터의 물의 중력 유동에 의해 구동되고 시각적으로 감지가능한 기발한 동작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제3 수력 터빈 어셈블리; 및
    상기 제1 물 용기로부터의 물을 수용하고 그 안에 복수의 분무 출구 애퍼처를 갖는 제4 수로를 또한 포함하는, 수력 완구.
  25. 청구항 22 내지 2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로 및 상기 제2 수로는 함께:
    이들을 통해 물의 중력 유동을 유도하기 위한 적어도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직인 수로들;
    물의 중력 유동을 이들을 통해 유도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직인 수로들 중 각각의 일반적으로 수직인 수로들에 결합되는 적어도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평인 수로들로서, 상기 적어도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평인 수로들은 이들을 통한 상기 물의 중력 유동이 일반적으로 반대의 방향들에 있도록 배치된, 상기 적어도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평인 수로들을 포함하는, 수력 완구.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평인 수로들은 서로 평행한, 수력 완구.
  27. 청구항 25 또는 26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평인 수로들은 서로 일체로 형성되는, 수력 완구.
  28. 청구항 25 내지 2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일반적으로 수평인 수로들은 공통의 외측의 일반적으로 수평인 도관 내에 획정되는, 수력 완구.
KR1020167034180A 2014-09-10 2015-09-10 수력 완구 KR1019936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48694P 2014-09-10 2014-09-10
US62/048,694 2014-09-10
PCT/IL2015/050935 WO2016038619A2 (en) 2014-09-10 2015-09-10 Water toy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8228A Division KR20190004817A (ko) 2014-09-10 2015-09-10 수력 완구
KR1020187038229A Division KR20190004370A (ko) 2014-09-10 2015-09-10 수력 완구
KR1020187038230A Division KR20190003844A (ko) 2014-09-10 2015-09-10 수력 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4612A true KR20170044612A (ko) 2017-04-25
KR101993637B1 KR101993637B1 (ko) 2019-06-27

Family

ID=55459677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8230A KR20190003844A (ko) 2014-09-10 2015-09-10 수력 완구
KR1020187038228A KR20190004817A (ko) 2014-09-10 2015-09-10 수력 완구
KR1020187038229A KR20190004370A (ko) 2014-09-10 2015-09-10 수력 완구
KR1020167034180A KR101993637B1 (ko) 2014-09-10 2015-09-10 수력 완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8230A KR20190003844A (ko) 2014-09-10 2015-09-10 수력 완구
KR1020187038228A KR20190004817A (ko) 2014-09-10 2015-09-10 수력 완구
KR1020187038229A KR20190004370A (ko) 2014-09-10 2015-09-10 수력 완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10010800B2 (ko)
EP (2) EP3453437A3 (ko)
JP (2) JP2017527318A (ko)
KR (4) KR20190003844A (ko)
CN (3) CN111375216B (ko)
EA (2) EA201691830A1 (ko)
IL (1) IL248676A0 (ko)
WO (1) WO201603861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83728S1 (en) * 2014-09-10 2017-04-11 Global Marketing Enterprise (G.M.E.) Ltd. Portable spraying device
USD789458S1 (en) * 2014-09-10 2017-06-13 Global Marketing Enterprise (G.M.E.) Ltd. Water toy
USD829284S1 (en) * 2015-12-15 2018-09-25 Global Marketing Enterprise (Gme) Ltd. Water gear toy
US11202965B2 (en) 2017-10-06 2021-12-21 The Fountain People, Inc. Water effect play units and structures
WO2019118429A1 (en) * 2017-12-15 2019-06-20 Brown Timothy F Powered water dispenser
JP1607280S (ko) * 2018-01-02 2018-06-18
JP1607281S (ko) * 2018-01-02 2018-06-18
US10480818B1 (en) 2019-03-06 2019-11-19 Laura Marie Peters Immersible bath unit and system
JP7196007B2 (ja) * 2019-04-17 2022-12-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アンテナ
USD923109S1 (en) * 2020-09-08 2021-06-22 Zhicheng Fang Bath to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26262A1 (en) * 2005-04-12 2006-10-12 Peter Chuang Water guns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11323A (en) 1945-12-05 1950-06-13 Chicago Musical Instr Co Jet propelled toy boat
US2787863A (en) * 1955-10-06 1957-04-09 Owen A Laird Toy water wheel
JPS4319970Y1 (ko) * 1965-02-10 1968-08-21
US3998001A (en) * 1976-02-05 1976-12-21 Marvin Glass & Associates Doll shower and bubble bath device
JPS55158799U (ko) * 1979-04-30 1980-11-14
JPS55158799A (en) 1979-05-28 1980-12-10 West Electric Co Ltd Attaching method of speaker
JPS62200394U (ko) * 1986-06-10 1987-12-21
JPH0673500B2 (ja) 1988-05-26 1994-09-21 三菱電機株式会社 簡易シャワー
US4846751A (en) 1988-05-31 1989-07-11 Kosoris Barry W Floating toy
US4951329A (en) 1988-09-14 1990-08-28 Century Products Company Child's play shower
JPH0284915A (ja) 1988-09-21 1990-03-26 Mitsubishi Electric Corp 簡易シャワー装置
US4963116A (en) 1989-10-10 1990-10-16 Huber John J Race water track toy
US5093943A (en) * 1990-06-04 1992-03-10 Hsiang Kuei Hsien Multi-function shower head
US5049080A (en) 1990-07-19 1991-09-17 Kriebel And Holsapple, Inc. Waterwheel demonstrating apparatus
JP2969998B2 (ja) 1991-03-04 1999-11-02 東陶機器株式会社 吐水切換水栓
US5114375A (en) * 1991-07-01 1992-05-19 Wellhausen Brenda L Toy apparatus
US5217161A (en) * 1991-09-25 1993-06-08 Carlos Souza Swimming pool water spray sculpture
US5251345A (en) * 1992-02-12 1993-10-12 Murray Pechner Portable shower and wash
CN2170133Y (zh) 1993-02-04 1994-06-29 江介桢 魔术水迷宫玩具
US5385472A (en) * 1993-07-26 1995-01-31 Mullin; Keith A. Construction water toy
GB2301540A (en) 1995-05-27 1996-12-11 Kevin David Williams Kiddie Kascade
CN2249113Y (zh) * 1995-08-18 1997-03-12 张宇顺 液体摆饰器漂浮物
JP3039377B2 (ja) 1996-06-27 2000-05-08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検査方法
CN2304478Y (zh) * 1996-07-25 1999-01-20 上海万得凯塑料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喷水枪
JP3039377U (ja) * 1997-01-08 1997-07-15 株式会社公文教育研究会 水流作動部を有する水遊び具
US6082633A (en) * 1999-01-14 2000-07-04 The Little Tikes Company Interactive toy sprinkler
US6049919A (en) * 1999-07-14 2000-04-18 Roteman; Gary Solar heated portable shower
ITMN20000013A1 (it) 2000-03-10 2001-09-10 Amfag Spa Doccia estraibile per cucina
US20030027648A1 (en) 2000-12-12 2003-02-06 Hunter Richard D. Multiple-reversing water slide
CA2359155C (en) * 2001-10-17 2008-07-08 Wyeth G. Tracy Interactive play fountain
US6722679B2 (en) * 2002-07-09 2004-04-20 Time Design Inventions, Inc. Vehicle mounted liquid dispensing assembly
AU2003279241A1 (en) * 2002-10-10 2004-05-04 Michael C. Schoonmaker Water toy
US6782567B1 (en) * 2003-11-03 2004-08-31 Linda Austin Fountain water toy utilizing a battery-powered pump
US7111795B2 (en) * 2004-05-14 2006-09-26 Waxman Consumer Products Group, Inc. Revolving spray shower head
US20050263613A1 (en) * 2004-05-14 2005-12-01 Beck Hazel D Multiple reservoir apparatus and methods therefor
JP2006223756A (ja) 2005-02-21 2006-08-31 Kawase Tetsuro シャワーシステム
MXPA06001785A (es) * 2005-04-12 2007-04-17 Mattel Inc Vapoeyector para extraer agua.
US20060263613A1 (en) * 2005-05-20 2006-11-23 General Electric Company Temperature dependent transparent optical coatings for high temperature absorption
DE102006041954A1 (de) 2006-08-30 2008-03-06 Hansgrohe Ag Handbrause
JP4430641B2 (ja) * 2006-09-01 2010-03-10 佐合 美津子 シャワー装置
DE102007010964A1 (de) 2007-03-05 2008-09-11 Aquis Sanitär AG Sanitäreinrichtung
JP4739257B2 (ja) * 2007-03-14 2011-08-03 株式会社アガツマ 水遊び玩具
US7987533B2 (en) * 2007-06-26 2011-08-02 Aquastruct, Inc. Shower water toy construction system
US8100343B2 (en) * 2008-04-28 2012-01-24 Michelsen Jeff A Water sprinkler toy
GB2482804B8 (en) 2009-04-27 2013-08-14 Mattel Inc Floating toy
US8500510B2 (en) 2009-04-27 2013-08-06 Mattel, Inc. Floating toy
CN201426979Y (zh) * 2009-07-03 2010-03-24 陈国光 一种玩具喷水器
US7941968B1 (en) * 2009-11-06 2011-05-17 Coyle Richard A Plant watering trellis apparatus
CN103025398B (zh) 2010-04-30 2015-04-22 美泰有限公司 漂浮玩具
JP4796210B1 (ja) * 2011-04-19 2011-10-19 幸子 金城 科学玩具
CN202146617U (zh) * 2011-07-07 2012-02-22 大伟(成记)玩具有限公司 喷水玩具
CN202341889U (zh) 2011-09-21 2012-07-25 张启美 一种充电充气便携式电动洗澡淋浴器
IL226709A0 (en) 2013-06-03 2013-09-30 Avi Cohen Floating bathing facility
CN203736849U (zh) * 2013-11-20 2014-07-30 蔡洁仪 一种喷水的浮水玩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26262A1 (en) * 2005-04-12 2006-10-12 Peter Chuang Water gu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201892711A1 (ru) 2019-08-30
JP2019069235A (ja) 2019-05-09
EP3191198A4 (en) 2018-10-10
JP2017527318A (ja) 2017-09-21
CN106852128A (zh) 2017-06-13
KR101993637B1 (ko) 2019-06-27
US20180117482A1 (en) 2018-05-03
EP3453437A2 (en) 2019-03-13
US10610797B2 (en) 2020-04-07
KR20190003844A (ko) 2019-01-09
CN110548297B (zh) 2021-08-17
CN111375216B (zh) 2022-04-15
WO2016038619A3 (en) 2016-05-19
US10010800B2 (en) 2018-07-03
US20170173482A1 (en) 2017-06-22
KR20190004370A (ko) 2019-01-11
CN106852128B (zh) 2019-11-26
IL248676A0 (en) 2017-01-31
US10343078B2 (en) 2019-07-09
CN110548297A (zh) 2019-12-10
WO2016038619A2 (en) 2016-03-17
EP3453437A3 (en) 2019-04-24
KR20190004817A (ko) 2019-01-14
EA201691830A1 (ru) 2017-01-30
US20180117483A1 (en) 2018-05-03
EP3191198A2 (en) 2017-07-19
CN111375216A (zh)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3637B1 (ko) 수력 완구
AU2002256212B2 (en) Automated cleansing sprayer
KR101762665B1 (ko) 팬 어셈블리
KR102145145B1 (ko) 버블 생성 조립체
US8272915B2 (en) Bubble generating assembly that produces vertical bubbles
US10556188B2 (en) Water toy
AU2002256212A1 (en) Automated cleansing sprayer
US5269715A (en) Soap bubble making apparatus
US20110306265A1 (en) Bathtub foam generating device
KR101656749B1 (ko) 물 분사식 추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놀이 기구
KR100881090B1 (ko) 분무기
EP4146403A1 (en) Water outlet fitting, e.g. tap or shower head, producing a combined flow of gas and water, and power connector therefor
CN217220174U (zh) 水上玩具及水上玩具组件
KR200385245Y1 (ko) 회전좌를 이용한 향제분사장치
GB2410452A (en) Automated cleansing sprayer
GB2403169A (en) Automated cleansing spra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