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3206A -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 - Google Patents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3206A
KR20170043206A KR1020150142637A KR20150142637A KR20170043206A KR 20170043206 A KR20170043206 A KR 20170043206A KR 1020150142637 A KR1020150142637 A KR 1020150142637A KR 20150142637 A KR20150142637 A KR 20150142637A KR 20170043206 A KR20170043206 A KR 20170043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inguishing agent
fluid
fire extinguishing
space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8608B1 (ko
Inventor
노고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Priority to KR1020150142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608B1/ko
Publication of KR20170043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3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G01G3/14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measuring variations of electrical resis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01L7/18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ing liquid as the pressure-sensitive medium, e.g. liquid-column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3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3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3209Details, e.g. container closure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프레임과 소화시스템의 소화약제통 사이에 설치되어 프레임에 소화약제통을 매달리게 하고, 소화시스템의 소화약제통에 저장된 소화약제가 누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에 설치되고, 내부에 유체가 일부 채워지는 공간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공간과 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측면 한쪽에 설치되어 공간에 유체를 주입하는 주입밸브와, 하우징의 측면 또 다른 한쪽에 설치되어 유체의 압력 변화를 측정하는 압력센서와, 공간에 삽입되어 공간을 유체가 채워지는 제1공간과, 유체가 채워지지 않은 제2공간으로 나눠주는 피스톤과, 피스톤에 연결되어 관통구멍에서 노출되고, 소화시스템의 소화약제통에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피스톤로드를 포함하여, 제1공간에 채워진 유체가 피스톤로드에 체결된 소화약제통의 무게에 의해 하강하려는 피스톤으로 압착된 상태에서, 소화약제가 누출되어 소화약제통의 무게가 감소하게 되면, 압착된 유체의 압력에 의해 피스톤이 미세하게 상승 됨과 동시에, 압착된 유체의 압력 변화를 압력센서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The leakage surveillance device for fire extinguishing agent}
본 발명은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물의 프레임과 소화시스템의 소화약제통 사이에 설치되어 프레임에 소화약제통을 매달리게 하고, 소화약제통에서 소화약제가 누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시스템의 소화약제통은 전산실, 변전실 등의 무인화 건물 또는 무인화 공간에 구비된 소방 설비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수동 또는 자동으로 소화약제를 소화시스템의 분사노즐을 통해 고압 분사시켜 화재를 진화하였다.
하지만, 소화시스템의 핵심 구성요소라 할 수 있는 소화약제통에서 소화약제가 누출되면, 화재 발생시 소화시스템의 분사노즐을 통해 소화약제가 제대로 분출되지 않아 최단시간에 화재를 진화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소화약제통의 소화약제 누출을 관리자가 미연에 확인해야 했었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1은 소화용기 내에 저장되어 있는 소화약제가 자연 누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소화용기 내 소화약제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화용기가 놓여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평판형의 상부패널; 상기 상부패널의 하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지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평판형의 베이스패널; 상기 상부패널과 상기 베이스패널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소화용기의 하중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용기내 소화약제 감지장치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특허문헌1은 소화용기의 하중에 변화가 있는 지를 감지수단으로 정확하게 감지해야 하기 때문에, 상부패널에 놓여지는 소화용기의 위치를 정확하게 맞추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허문헌1: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40324호(등록일자 : 2001년 7월 18일)
이에 본 발명은, 건축물의 프레임과 소화시스템의 소화약제통 사이에 설치되어 프레임에 소화약제통을 매달리게 하고, 소화약제통에서 소화약제가 누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의 프레임과 소화시스템의 소화약제통 사이에 설치되어 프레임에 소화약제통을 매달리게 하고, 소화시스템의 소화약제통에 저장된 소화약제가 누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에 있어서, 프레임에 설치되고, 내부에 유체가 일부 채워지는 공간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공간과 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측면 한쪽에 설치되어 공간에 유체를 주입하는 주입밸브와, 하우징의 측면 또 다른 한쪽에 설치되어 유체의 압력 변화를 측정하는 압력센서와, 공간에 삽입되어 공간을 유체가 채워지는 제1공간과, 유체가 채워지지 않은 제2공간으로 나눠주는 피스톤과, 피스톤에 연결되어 관통구멍에서 노출되고, 소화시스템의 소화약제통에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피스톤로드를 포함하여, 제1공간에 채워진 유체가 피스톤로드에 체결된 소화약제통의 무게에 의해 하강하려는 피스톤으로 압착된 상태에서, 소화약제가 누출되어 소화약제통의 무게가 감소하게 되면, 압착된 유체의 압력에 의해 피스톤이 미세하게 상승 됨과 동시에, 압착된 유체의 압력 변화를 압력센서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화약제가 누출되어 소화약제통의 무게가 감소하게 되면, 압착된 유체의 압력에 의해 피스톤이 미세하게 상승 됨과 동시에, 압착된 유체의 압력 변화를 압력센서로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화약제통의 무게 변화에 따른 피스톤로드의 미세한 길이 변형을 스트레인 게이지로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압착된 유체의 압력 변화와 피스톤로드의 미세한 길이 변형을 측정한 수치를 표시기로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건축물의 프레임에 소화시스템의 소화약제통이 매달린 상태에서 소화약제의 누출을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소화약제가 누출되어 소화약제통의 무게가 감소하게 되면 스프링에 의해 유체에 대한 피스톤의 압착력이 신속하게 줄어들기 때문에, 압착된 유체의 압력 변화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체가 오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압착된 유체의 압력 변화가 더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즉, 압착된 유체의 압력 변화 수치가 표시기에 신속하게 표시되는 효과가 있다.
이는, 관리자가 소화약제의 누출 원인을 미리 조사하고, 동시에 소화약제가 누출된 소화약제통을 신속하게 교체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패킹에 의해 유체가 채워진 제1공간의 밀폐를 유지해주기 때문에, 압착된 유체의 압력 변화를 압력센서가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가 건축물의 프레임과 소화시스템의 소화약제통 사이에 설치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의 설치 확대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100)는 건축물에 설치된 프레임(1)과 소화시스템(2)의 소화약제통(2a) 사이에 설치된다.
즉, 상기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100)는 소화시스템(2)의 소화약제통(2a)을 건축물의 프레임(1)에 매달리게 해준다.
상세하게 말하자면, 상기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100)는 건축물의 프레임(1)에 설치되고, 내부에 유체(3)가 일부 채워지는 공간(11)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상기 공간(11)과 통하는 관통구멍(12)이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측면 한쪽에 설치되어 공간(11)에 유체(3)를 주입하는 주입밸브(20)와, 상기 하우징(10)의 측면 또 다른 한쪽에 설치되어 유체(3)의 압력 변화를 측정하는 압력센서(30)와, 상기 공간(11)에 삽입되어 상기 공간(11)을 유체(3)가 채워지는 제1공간(11a)과, 상기 유체(3)가 채워지지 않은 제2공간(11b)으로 나눠주는 피스톤(40)과, 상기 피스톤(40)과 연결되어 관통구멍(12)에서 노출되고, 소화시스템(2)의 소화약제통(2a)에 체결부재(4)로 체결되는 피스톤로드(41)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은 건축물의 프레임(1)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4)로 체결되어 설치되는 고정판(10a)과, 상기 고정판(10a)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4)로 체결되는 실린더 형상의 고정몸체(10b)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고정몸체(10b)는 윗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11)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상기 공간(11)과 통하는 관통구멍(12)이 형성되고, 측면 한쪽과 또 다른 한쪽에 각각 주입밸브(20)와 압력센서(3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구멍(12)과 피스톤(40)은 홈(12a)(40a)이 형성되며, 상기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100)는 홈(12a)(40a)에 끼워지는 패킹(70)이 더 포함된다.
즉, 상기 패킹(70)은 유체(3)가 채워진 제1공간(11a)의 밀폐를 유지해준다.
또한, 상기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100)는 피스톤로드(41)에 끼워져서, 하우징(10)의 내면을 지지하여 피스톤(40)을 지지하는 스프링(60)이 더 포함된다.
한편, 상기 관통구멍(12)을 통과하는 피스톤로드(41)의 일단에는 측면에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4)가 나사선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수나사부가 형성되며, 바닥면에 소화약제통(2a)의 체결봉(2a') 일단이 체결되는 체결구멍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소화약제통(2a)의 체결봉(2a') 타단에는 측면에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4)가 나사선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수나사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100)는 피스톤로드(41)와 소화약제통(2a)의 체결봉(2a')을 체결해주는 체결부재(4)가 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정 지지되게 해주는 고정부재(80)가 더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80)는 소화약제통(2a)에 고정되는 제1고정판과, 체결봉(2a')의 수나사부와 피스톤로드(41)의 수나사부에 각각 체결된 체결부재(4) 사이에 설치되어 각 상기 체결부재(4)에 조임되는 제2고정판과, 상기 제1,2고정판의 양쪽을 체결해주는 체결부재(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고정판의 중앙에는 피스톤로드(41)가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100)는 피스톤로드(41)의 측면에 부착되어, 소화약제통(2a)의 무게 변화에 따른 피스톤로드(41)의 미세한 길이 변형을 측정하는 스트레인 게이지(42)가 더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42)는 피스톤로드(41)에 체결된 소화약제통(2a)의 무게에 의해 상기 피스톤로드(41)의 길이가 미세하게 늘어난 상태일 때 부착된다.
또한, 상기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100)는 압력센서(30)와 스트레인 게이지(42)에 연결 설치되어, 압착된 유체(3)의 압력 변화와 피스톤로드(41)의 미세한 길이 변형을 측정한 수치를 표시하는 표시기(50)가 더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표시기(50)는 소화시스템(2)을 관리하는 중앙 관린 센터나 관리자 단말기와 통신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유체(3)는 오일로 이루어진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상기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100)는 소화시스템(2)의 소화약제통(2a) 소화약제 누출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상기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100)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고정몸체(10b)의 측면 한쪽과 또 다른 한쪽에 각각 주입밸브(20)와 압력센서(30)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구멍(12)의 홈(12a)과 피스톤(40)의 홈(40a)에 패킹(70)을 끼우고, 피스톤로드(41)에 스프링(60)을 끼운다.
그 다음, 상기 피스톤(40)을 고정몸체(10b)의 공간(11)에 삽입하면서, 피스톤로드(41)를 이동구멍(12)으로 통과시킨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40)은 고정몸체(10b)의 내면에 지지된 스프링(60)에 지지된 상태에서, 공간(11)을 유체(3)가 채워지는 제1공간(11a)과 상기 유체(3)가 채워지지 않는 제2공간(11b)으로 나누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몸체(10b)를 고정판(10a)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4)로 체결하여 하우징(10)을 완성한 후, 상기 하우징(10)의 고정판(10a)을 건축물의 프레임(1)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체결하여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주입밸브(20)로 유체(3)를 주입하여 제1공간(10a)을 채운 후, 피스톤로드(41)에 형성된 수나사부에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4)를 체결하면서 소화약제통(2a)의 체결봉(2a')에 형성된 수나사부에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4)를 체결한다.
그 다음, 상기 고정부재(80)의 제2고정판을 소화약제통(2a)에 고정한 후, 체결부재(4)로 제1고정판을 상기 제2고정판에 체결하여 고정한다.
그러면서, 상기 고정부재(80)의 제1고정판 중앙에 형성된 구멍으로 피스톤로드(41)를 통과시키면서, 상기 피스톤로드(41)의 체결구멍에 소화약제통(2)의 체결봉(2a')의 일단을 체결한다.
그래서, 상기 피스톤로드(41)와 소화약제통(2)의 체결봉(2a')에 체결된 각 체결부재(4)를 수나사부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각각 이동시켜, 고정부재(80)의 제1고정판에 밀착 고정되도록 한다.
즉, 상기 피스톤로드(41)와 소화약제통(2)은 체결부재(4)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그러면, 상기 하우징(10)의 제1공간(10a)에 채워진 유체(3)는 피스톤로드(41)에 체결된 소화약제통(2a)의 무게에 의해 하강하려는 피스톤(40)에 압착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홈(12a)(40a)에 끼워진 패킹(70)이 유체(3)가 채워진 제1공간(11a)의 밀폐를 유지해준다.
물론, 상기 스프링(60)도 피스톤(40)에 의해 미세하게 압착된다.
그리고, 상기 소화약제통(2a)의 무게에 의해 피스톤로드(41)는 미세하게 늘어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측면에 스트레인 게이지(42)를 부착한다.
또한, 상기 압력센서(30)와 스트레인 게이지(42)는 소화시스템(2)을 관리하는 중앙 관린 센터나 관리자 단말기와 통신이 되는 표시기(50)를 연결 설치한다.
그래서, 상기 소화시스템(2)의 소화약제통(2a)은 본 발명의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100)에 의해 건축물의 프레임(1)에 매달리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소화약제가 누출되어 소화약제통(2a)의 무게가 감소하게 되면, 압착된 유체(3)의 압력 및 미세하게 압착된 스프링(60)에 의해 피스톤(40)이 미세하게 상승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40)은 오일로 이루어진 유체(3)에 의해 하우징(10)의 내면과의 마찰이 줄어든 상태로 미세하게 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40)은 스프링(60)에 의해 오일로 이루어진 유체(3)에 대한 압착력이 신속하게 줄어든다.
이때, 상기 압력센서(30)는 압착된 유체(3)의 압력 변화를 측정하게 되며, 상기 측정된 수치가 표시기(50)에 표시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로드(41)는 소화약제통(2a)의 무게 감소로 인해 미세하게 늘어난 상태에서 줄어들면서 길이가 미세하게 변형된다.
이때,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42)는 피스톤로드(41)의 미세한 길이 변형을 측정하게 되며, 상기 측정된 수치가 표시기(50)에 표시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상기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100)를 통해 건축물의 프레임(1)에 매달린 소화약제통(2)에서 소화약제가 누출되는 것을 감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소화시스템(2)을 관리하는 중앙 관린 센터나 관리자 단말기에서도 표시기(50)와의 통신을 통해 소화약제의 누출을 감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 : 프레임 2 : 소화시스템
2a : 소화약제통 3 : 유체
4 : 체결부재 10 : 하우징
11 : 공간 11a : 제1공간
11b : 제2공간 12 : 관통구멍
12a : 홈 20 : 주입밸브
30 : 압력센서 40 : 피스톤
40a : 홈 41 : 피스톤로드
42 : 스트레인 게이지 50 : 표시기
60 : 스프링 70 : 패킹
100 :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

Claims (6)

  1. 건축물의 프레임(1)과 소화시스템(2)의 소화약제통(2a)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1)에 소화약제통(2a)을 매달리게 하고, 상기 소화시스템(2)의 소화약제통(2a)에 저장된 소화약제가 누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에 설치되고, 내부에 유체(3)가 일부 채워지는 공간(11)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상기 공간(11)과 통하는 관통구멍(12)이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측면 한쪽에 설치되어 공간(11)에 유체(3)를 주입하는 주입밸브(20)와,
    상기 하우징(10)의 측면 또 다른 한쪽에 설치되어 유체(3)의 압력 변화를 측정하는 압력센서(30)와,
    상기 공간(11)에 삽입되어 상기 공간(11)을 유체(3)가 채워지는 제1공간(11a)과, 상기 유체(3)가 채워지지 않은 제2공간(11b)으로 나눠주는 피스톤(40)과,
    상기 피스톤(40)에 연결되어 관통구멍(12)에서 노출되고, 소화시스템(2)의 소화약제통(2a)에 체결부재(4)로 체결되는 피스톤로드(41)를 포함하여,
    상기 제1공간(11a)에 채워진 유체(3)가 피스톤로드(41)에 체결된 소화약제통(2a)의 무게에 의해 하강하려는 피스톤(40)으로 압착된 상태에서,
    상기 소화약제가 누출되어 소화약제통(2a)의 무게가 감소하게 되면, 압착된 유체(3)의 압력에 의해 피스톤(40)이 미세하게 상승 됨과 동시에, 압착된 상기 유체(3)의 압력 변화를 압력센서(30)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로드(41)의 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소화약제통(2a)의 무게 변화에 따른 피스톤로드(41)의 미세한 길이 변형을 측정하는 스트레인 게이지(4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30)와 스트레인 게이지(42)에 연결 설치되어, 압착된 유체(3)의 압력 변화와 피스톤로드(41)의 미세한 길이 변형을 측정한 수치를 표시하는 표시기(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로드(41)에 끼워져서, 하우징(10)의 내면을 지지하여 피스톤(40)을 지지하는 스프링(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12)과 피스톤(40)은 홈(12a)(40a)을 형성하고, 상기 홈(12a)(40a)에 끼워지는 패킹(70)을 더 포함하여,
    상기 유체(3)가 채워진 제1공간(11a)의 밀폐를 유지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3)는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
KR1020150142637A 2015-10-13 2015-10-13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 KR101738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637A KR101738608B1 (ko) 2015-10-13 2015-10-13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637A KR101738608B1 (ko) 2015-10-13 2015-10-13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206A true KR20170043206A (ko) 2017-04-21
KR101738608B1 KR101738608B1 (ko) 2017-05-22

Family

ID=58705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637A KR101738608B1 (ko) 2015-10-13 2015-10-13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6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58557A (zh) * 2018-10-12 2019-03-12 九江中船消防设备有限公司 一种气体灭火系统的压力动态监测及显示装置
CN113399459A (zh) * 2021-06-17 2021-09-17 中色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轧机消防用二氧化碳自动充气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104B1 (ko) * 2017-10-20 2019-11-04 주식회사 엔케이 컨테이너 스키드형 소화시스템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324Y1 (ko) * 2001-03-20 2001-10-08 김엽래 소화용기내 소화약제 감지장치
KR200270119Y1 (ko) * 2001-12-18 2002-03-28 주식회사 그린센서 압력센서를 이용한 소화기 받침대
KR100856939B1 (ko) * 2007-06-26 2008-09-04 성기완 지게차용 실시간 화물 중량 측정장치
KR200477013Y1 (ko) * 2015-02-10 2015-05-04 김진영 소화기의 소화약제 감소 경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58557A (zh) * 2018-10-12 2019-03-12 九江中船消防设备有限公司 一种气体灭火系统的压力动态监测及显示装置
CN113399459A (zh) * 2021-06-17 2021-09-17 中色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轧机消防用二氧化碳自动充气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8608B1 (ko) 2017-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608B1 (ko)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
JP6350880B2 (ja) 校正装置
CN102294104B (zh) 气体灭火系统喷嘴流量特性测试装置
CN205956117U (zh) 液压缸任意行程位置微小内泄漏量测量装置
CN109738129B (zh) 检测导管组件气密性的方法
CN206574575U (zh) 一种变压器用气压自动补偿油压恒压装置
AU20133397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weight of material in reservoir
US6651486B1 (en) Standup pressure testing device and method
JP5571114B2 (ja) 荷重校正装置
US202201965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reporting liquid nitrogen container level
CN207528411U (zh) 一种用于手表背壳气密性的防漏气检测装置
CN108195534A (zh) 一种大钩弹簧弹性检测装置
CN203981352U (zh) 电子封装外壳密封检测用夹具
CN205964768U (zh) 一种探火管灭火装置的双瓶柜
CN202158879U (zh) 一种气体灭火系统喷嘴流量特性测试装置
CN205198776U (zh) 一种物联网仓储火情预警装置
CN104062079B (zh) 电子封装外壳密封检测用夹具
CN105388067B (zh) 均布荷载增压装置、三维边坡破坏模型试验装置和方法
KR20170043205A (ko) 소화 설비 용기의 압력 누기 감시장치
CN207585737U (zh) 一种可升降的大量程汽车衡装置
CN208178870U (zh) 一种具备防错功能的仿形压装装置
JP2022123574A (ja) 監視装置
CN209154976U (zh) 一种高压二氧化碳灭火气瓶失重无线报警监测系统
CN207610843U (zh) 一种适用于桥梁减隔震领域的速度锁定器压力试验工装
CN204403506U (zh) 轴连式气门芯压力表式灭火器用阀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