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3205A - 소화 설비 용기의 압력 누기 감시장치 - Google Patents

소화 설비 용기의 압력 누기 감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3205A
KR20170043205A KR1020150142636A KR20150142636A KR20170043205A KR 20170043205 A KR20170043205 A KR 20170043205A KR 1020150142636 A KR1020150142636 A KR 1020150142636A KR 20150142636 A KR20150142636 A KR 20150142636A KR 20170043205 A KR20170043205 A KR 20170043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valve
pressure
container
fire
che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8748B1 (ko
Inventor
노고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Priority to KR1020150142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748B1/ko
Publication of KR20170043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3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3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323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by monitor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containers
    • G01M3/3263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by monitor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containers using a differential pressure detec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 약제(가스)를 저장한 고압 용기의 내부 압력이 외부 누기 되는지의 여부를 일상적으로 용이하게 감시하고 화재 발생시에는 소화 약제 방출 여부를 제어반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누기 및 방출 상황을 전기적인 신호로 픽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소화 설비 용기의 압력 누기 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존 고압 약제 탱크에 변형 없이 커플러와 누기 변위를 검출하는 체크밸브 케이스를 단위 부품화하여 신규 및 기존 설비에 부가 시설이 용이한 소화 설비 용기의 압력 누기 감시장치를 제공하고자 약제가 고압 충진된 용기의 차압식 가스 밸브 토출구 측에 작동 압력이 설정된 스프링으로 약제 이송 라인을 폐쇄하는 체크밸브를 형성하고, 상기 체크밸브 플랜지 변위에 따라 연동하여 변위를 이루는 인디케이터와, 상기 인티케이터의 변위로 스위칭을 이루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포함하는 체크밸브 어셈블리를 이루어, 진화 약제 이송 라인과 밀봉 결합을 이루는 커플러로써 결합하여 감시하여야 할 누기 압력 이상이 상기 체크밸브에 작용할 때 약제 용기의 누기로 검출하여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의 출력을 외부 신호로 픽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화 설비 용기의 압력 누기 감시장치{Pressure container leakage monitoring system of fire-fighting equipment}
본 발명은 소화 설비 용기의 압력 누기 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화 약제(가스)를 저장한 고압 용기의 내부 압력이 외부 누기 되는지의 여부를 일상적으로 용이하게 감시하고 화재 발생시에는 소화 약제 방출 여부를 제어반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누기 및 방출 상황을 전기적인 신호로 픽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소화 설비 용기의 압력 누기 감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화 약제로써 하론과 같은 불활성 가스를 고압 충진한 압력 용기 및 소화 약제를 내장하고 가스 봉입을 이루는 모든 압력 용기를 보유한 소화 설비에 적용된다.
하론 가스(haron gas)는 소화 설비에 사용되며 전산실, 변전실 등과 같이 물과 분말을 소화제로 분사하기 곤란한 시설에 주로 시설되는 비교적 고가의 설비에 해당한다.
이러한 고가 설비가 화재 발생과 같은 긴급하고 적절한 시기에 정상적으로 방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평상시에도 압력 용기 내부의 상태 변화를 지속적으로 확인 관리하여야 한다.
상기 가스를 약제로 진화를 이루는 통상의 차압식 가스 밸브 구조는 니들바가 위치한 일측 압력실의 압력을 용기 측 압력과 동일하게 유지하다가 화재가 발생하여 동작이 개시되면 상기 니들바에 의하여 압력실의 럽처 디스크(rupture disk)를 뚫어 압력을 배출하여 용기 측과 차압 발생으로 용기 측 압력에 의해 진화를 위한 라인이 열리면서 소화 약제 토출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약제 압력을 인력에 의존하여 관리할 때 누기 압력 감시가 불가능한 설비의 경우 각종 나사 조인트 부분에 국한하여 버블 테스트를 수행하는 수작업 정도에 의존할 수밖에 없어 감시가 불확실하며 번거로워 지속적인 누기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 447333호의 "소화설비용 소화 약제 누기 체크장치"를 안출 한 바 있다.
본 출원인의 상기 선등록 고안에 따르면 차압식 가스밸브의 약제 토출단에 가스누설을 검출하기 위한 마이크로 스위치를 센서로 부착한 1 경로와 진화 약제 배출 통로를 이루는 2 경로를 "Y"자 형으로 분기한 가스 랙 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센서 측 1 경로에 플런저를 내장하여 이 플런저의 누기 압력에 따른 이동으로 플런저가 센서를 작동시켜 센서가 통전됨에 의해 누기를 감시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플런저는 누기의 역방향에서 작용하는 압력이 전혀 없는 자유로운 상태로 내장 결합을 이룸으로 초기 셋팅 작업 시 위치 설정이 어렵고 누기를 어느 압력에서 차단할지에 대한 설계치 반영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정상 진화 작동 후에 재설치하는 경우에도 위치 이동한 플런저를 일일이 후퇴시켜 주어야 하므로 재사용이 번거롭다.
또한, 차압식 가스밸브에 직결하여 이루어짐에 의하여 센서 배선이 복잡하고 정갈하지 못하여 시설 외관을 크게 저하시키는 단점도 있다.
한편, 종래 또 다른 기술로서 누기를 감시하는 장치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 1041581호, 제 1119122호가 있다.
양자 공히 토출구 상에 밀폐 하우징을 마련하고 이 하우징 내부에 약제 유입에 따라 누기를 검출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하우징 내에 플로우터(부력구)를 내장하여 플로우터의 상승에 따라 전기 접점을 이루는 센서에 의해 누기를 검출하는 구조를 이루고, 후자의 경우에는 하우징 내에 누기 유입된 약제로 통전을 이루는 센서를 내장하여 누기를 검출하는 구성을 제안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하우징을 별도 형성하는 것은 누기에 대한 요소만 증가시키고 하우징 용기의 밀폐가 미흡한 경우에는 하우징을 통해 센서 검출 전에 누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폐단이 있다.
또한, 플로우터 타입의 경우에는 일정 압력이 누기 되었을 때 민감하고 동일하게 반응을 기대하기 어려운 구조를 갖고 있으며, 후자에 언급한 약제에 의한 전극 단락으로 센싱하는 경우에는 약제의 전도성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추가적인 단점이 있다.
KR 0447333 Y1 KR 1041581 B1 KR 1119122 B1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여러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기존 고압 약제 탱크에 변형 없이 커플러와 누기 변위를 검출하는 체크밸브 케이스를 단위 부품화하여 신규 및 기존 설비에 부가 시설이 용이한 소화 설비 용기의 압력 누기 감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누기 변위를 검출하는 체크밸브의 작동 압력을 스프링에 규정하여 설계하고 일정한 압력 이상이 작용할 때에만 정확하게 작동하여 신뢰성을 높이고 작동된 체크 밸브는 스프링에 의하여 복귀 설정이 용이하도록 이루어 초기 제작 및 작동 후 재 사용이 용이한 소화설비의 용기 압력 누기 감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부분적인 누기에 따른 변위를 이루는 체크밸브의 선형 동작을 유연하게 보장하면서 약제 방출을 저해하지 않도록 이루어진 소화 설비 용기의 압력 누기 감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는 부분품을 모듈화하여 재사용이 가능하고, 전기적인 누기 신호를 검출하는 배선을 압력 용기에서 이격하여 외부 훼손 우려를 배제하고 깨끗하게 정리된 시공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소화 설비 용기의 압력 누기 감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소화 약재를 고압 충진한 약제 용기와, 약제 용기 상부 포트에 체결하는 약제 배출용 차압식 가스 밸브와, 상기 차압식 가스 밸브의 토출구를 통해 소화 약제 토출을 이루는 하도록 이루어지는 소화 설비의 토출구 측 누기를 체크하는 감시 장치에 있어서, 약제가 고압 충진된 용기의 차압식 가스 밸브 토출구 측에 작동 압력이 설정된 스프링으로 약제 이송 라인을 폐쇄하는 체크밸브를 형성하고, 체크밸브 플랜지 변위에 따라 연동하여 변위를 이루는 인디케이터와 인티케이터의 변위로 스위칭을 이루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포함하는 체크밸브 어셈블리를 진화 약제 이송 라인과 밀봉 결합을 이루는 커플러로써 결합하여 감시하여야 할 누기 압력 이상이 상기 체크밸브에 작용할 때 약제 용기의 누기로 검출하여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의 출력을 외부 신호로 픽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에 의한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고압 약제 탱크에 변형 없이 커플러와 누기 변위를 검출하는 체크밸브 어셈블리를 단위 부품 화하여 기존 시설에 부가 시공과 개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고, 누기 변위를 검출하는 체크밸브의 작동 압력을 누기 압력으로 규정하여 설계하고 일정한 설계 압력이 작용할 때에만 정확하게 작동하여 신뢰성이 높은 효과가 있고, 부분적인 누기에 따른 변위를 이루는 체크밸브의 선형 동작을 유연하게 보장하면서 약제 방출을 저해하지 않도록 체크밸브 어셈블리를 이루어 검출과 진화 작동에 유용하며, 부분품을 모듈화하여 재사용이 가능하고, 전기적인 누기 신호를 검출하는 배선을 압력 용기에서 이격하여 외부 훼손 우려를 배제하고 깨끗하게 정리된 시공을 할 수 있는 등의 여러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이루어진 일실시예로서 체크 밸브 어셈블리와 커플러를 도시한 결합상태 일부 단면 구성도.
도 2는 도 1 발명의 평면 상태 구성도.
도 3은 도 1 발명의 "A"부분 확대 단면 구성도.
도 4는 도 1 발명을 차압식 밸브와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이루어진 다른 실시예로서 체크 밸브 어셈블리와 커플러를 도시한 결합상태 일부 단면 구성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 도시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소화 약재를 고압 충진한 약제 용기와, 약제 용기 상부 포트에 체결하는 약제 배출용 차압식 가스 밸브와, 상기 차압식 가스 밸브의 토출구를 통해 소화 약제 토출하는 소화 설비의 토출구 측 누기를 체크하는 감시 장치에 있어서, 배관 자재로 이루어지며 양단에 너트(3a, 3b) 부착 어댑터(2, 2a)를 끼워 결합한 엘보우 커플러(3)와, 테이퍼진 원주면을 갖는 플랜지(7a)와 플랜지 중심에 기립한 가이드 축(7b)을 갖는 체크밸브(7)를 밸브 시트에 기밀 결합하여 약재 통로를 폐쇄하도록 체크밸브 케이스(6)에 내장하고 상기 가이드 축(7b) 지지와 약재 이동을 위해 서포트(13)를 스프링(16) 삽입 후 상부에서 내장 체결하여 이루되, 체크밸브 케이스(6)는 일단으로부터 진화용 배관과 연결하는 너트부(6a)를 형성하고 타단으로는 상기 밸브시트 하단 바깥둘레에 나사를 형성하여 상기 엘보우(3) 너트(3a) 결합하도록 이루고, 체크밸브 케이스(6)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체크밸브의 플랜지(7a)에 접하여 연동하는 체커(20)를 나사 결합하여 이루되 체커(20)에 마이크로 스위치(14)를 부착하여 체커 움직임으로 출력하는 체크밸브 어셈블리(1)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커(20)는 체크밸브 케이스(6)에 관통하여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와 나사부를 관통하며 기밀 O링을 개재한 인디케이터(12)를 내장하며 인티케이터(12) 내측 일단은 상기 체크밸브(7)의 테이퍼진 원주면에 접하도록 이루고, 외측 일단은 로드(11)와 접하도록 이루어 커버(9)를 덮어 이루어진다.
상기 서포트(13)는 체크밸브(7)의 가이드 축(7a) 지지와 소화 약재 배출 통로를 마련하면서 체크밸브의 선형 작동을 유지하도록 중심부에 가이드 축(7a) 삽입공을 형성한 방사상 리브로 이루어지는데 통칭 삼발이라는 구조로 이해하면 된다.
상기 모든 구성요소의 결합 부위에는 고압의 소화 약재 누출을 차단하는 O링 또는 패킹으로 시일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 작용에 대하여 먼저 살펴보고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도 1 내지 도 4 도시의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차압식 가스밸브(90)가 설치된 약제 용기(80)의 가스 압력은 화재 발생시 화재 검출 작동(수동 또는 자동)에 의해 니들 어댑터(92)에 설치한 니들(미도시)이 럽처 디스크(93)을 천공하여 드레인 너트(95)로 폐쇄된 압력실(94) 내의 압력을 대기압으로 낮추면 용기(80) 내부의 고압에 의해 오실레이터 시트패킹(96)이 밀려나면서 밀폐 상태가 해제되어 고압의 약제를 토출구(91)로 토출한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토출구(91)에 너트(3a)로 결합한 엘보우 커플러(3)의 배관 통공을 통해 체크밸브(7)을 밀어올리며 삼발이 서포트(13)를 경유 너트부(6a)에 체결한 진화 배관을 따라 화재 장소에 약제 토출과 살포가 이루어지면서 화재를 진합하도록 작용한다.
한편, 화재 발생 이전, 평시 상태에서 본 발명은 유효하게 작용한다.
즉, 평시에는 엘보우 커플러(3)에 결합한 약제 토출구(91) 측의 시트패킹(96)과 이 패킹을 가압하는 압력실(94) 내의 압력이 확고하게 유지될 때에는 시트 패킹(96)에 틈새가 없어 용기(80) 내의 고압 가스는 누출이 방지되면서 유지된다.
그러나, 설비의 보관 연수나 기타 외기 온도 조건 등에 따라 용기 내부 압력이 변화하거나 압력실(94) 내부 압력이 저하되는 등의 이상이 발생하면 용기(80) 내의 약제가 시트패킹(96) 틈새로 누기된다.
이때, 본 발명의 엘보우 커플러(3) 배관 일단에 결합한 체크밸브 어셈블리(1)의 체크밸브(7) 플랜지(7a)에 누기 압력이 전달되고 내장 스프링(16) 압력 이상의 압력에 도달하면 체크밸브(7)가 이동하면서 약제 누기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약제 누기 상황은 이동하는 플랜지(7a)에 접하여 설치한 체커(20)의 인디케이터(12)에 전달되어 인디케이터의 이동을 유발하고 이 유동에 따라 로드(11)가 이동하면서 그 외측에 설치한 마이크로 스위치(14)의 접점을 작동시켜 누기 상황을 외부로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며 이 출력을 제어반에서 검출하여 약제 누기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상기 누기 상황 감시에 의해 누기 요소를 정비한 뒤에 엘보우 커플러(3) 내의 압력을 제거하면 스프링(16) 탄발력으로 체크밸브(7)는 밸브 시트에 긴밀하게 접하도록 복귀하고 따라서 인디케이터(12) 역시 스위치 탄발력으로 복귀하는데 이는 단순히 배관 내부의 압력을 제거하였다가 다시 배관 기밀을 유지하는 결합에 의해 반복 사용이 가능하도록 재 세팅을 이룬다.
상기 어댑터(2, 2a)는 배관 접속시 누기를 방지하도록 개재되며 이루어져 있다.
또한, 체크밸브(7) 작동에 있어 비틀어지지 아니하고 선형 작동을 이루도록 가이드 축(7a)을 지지하는 서포트(13)는 체크밸브 케이스(6) 내에 스냅링(16)으로 고정하여 이루어져 있다.
다음은 도 5 도시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일 실시예가 체크밸브 어셈블리(1) 단일 부품에 체크밸브와 체커가 집합된 모듈을 이룬다면 체크밸브와 체커를 각각 분리 구성하여 조립에 의해 구성된다는 점이다.
살펴보면, 차압식 가스 밸브(90)의 토출구(91) 측으로부터 체결 너트(30a)를 끼워 결합한 체크밸브 케이스(60)의 시트에 플랜지(70a)와 플랜지에서 기립한 가이드 축(70b)를 갖는 체크밸브(70)를 탑재하고 스프링(160) 개재하여 서포트(130)로 가이드 축 선형 운동을 지지하도록 이루고 체크밸브)를 이루고, 체크밸브 케이스(60) 외경에 나사결합을 이루며 서포트(130)를 지지하는 너트부(32)와 너트부에 용접 고정한 엘보우 배관의 다른 일단에 체결 너트(34)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엘보우 커플러(30)를 이루며, 상기 엘보우 커플러(30)의 너트부(32)를 측면 관통하여 상기 체크밸브의 가이드 축(70b)에 접하여 연동하는 체커(200)를 나사결합하여 이루되 체커(200)에 마이크로 스위치(14)를 부착하여 체커 움직임으로 출력하는 체크밸브 어셈블리(10)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커(200)는 너트부(32)에 관통하여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와 나사부를 관통하며 기밀 O링을 개재한 인디케이터(120)를 내장하며 인티케이터(120) 내측 일단은 상기 체크밸브(7)의 테이퍼진 가이드 축(70b)의 원주면에 접하도록 테이퍼 단부로 이루고, 외측 일단은 로드(110)와 직교하며 이동하여 접하도록 이루어 커버볼트(190)를 체결하여 이루어진다.
커버 볼트(190)의 중심 관통공은 작동한 인디케이터(120)를 밀어 원위치 시키기 위한 핀공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의 다른 실시예 발명의 작용도 크게 설명하면 전술한 일 실시예의 발명과 유사하다.
다만 체크밸브 어셈블리(10)의 체크밸브(70)와 체커(200)가 분리 구성되어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고 엘보우 커플러(30)가 차압식 가스밸브 측에 접하지 아니하고 진화 배관 측에 구성한 것이 상이하다.
전술한 작용과 같이 용기(80)의 압력이 오실레이터 시트패킹(96)을 경유하여 누기되는 경우 체크밸브 스프링(160)이 규제하는 일정 압력 이상 누기가 이루어지면 체크밸브(70)이 밀려나면서 그 가이드 축(70b)에 테이퍼 면으로 접하여 구성된 인디케이터(120)가 연동하여 움직이고 이 움직임에 의해 대향측 단부가 마이크로 스위치(14)에 접한 로드(110)을 밀어 마이크로 스위치(14) 출력이 발생하여 외부로 누기 상황을 전송하는 작용을 이룬다.
누기 복구를 이루고 체크밸브 어셈블리 내의 압력을 제거한 후에는 커버볼트(190) 중앙의 핀공으로 외부에서 핀 삽입하여 인디케이터(120)를 밀어 원위치 복구하고 재사용하게 된다.
1, 10 : 체크밸브 어셈블리 2, 2a : 어댑터
3, 30 : 엘보우 커플러 3a, 3b, 30a, 34 : 너트
6, 60 : 체크밸브 케이스 7, 70 : 체크밸브
9 : 커버 11, 110 : 로드
12, 120 : 인디케이터 13, 130 : 서포트
14 : 마이크로 스위치 20, 200 : 체커
90 : 커버볼트

Claims (6)

  1. 소화 약재를 고압 충진한 약제 용기와, 약제 용기 상부 포트에 체결하는 약제 배출용 차압식 가스 밸브와, 상기 차압식 가스 밸브의 토출구를 통해 소화 약제 토출을 이루는 하도록 이루어지는 소화 설비의 토출구 측 누기를 체크하는 감시 장치에 있어서,
    약제가 고압 충진된 용기의 차압식 가스 밸브 토출구 측에 작동 압력이 설정된 스프링으로 약제 이송 라인을 폐쇄하는 체크밸브를 형성하고,
    상기 체크밸브 플랜지 변위에 따라 연동하여 변위를 이루는 인디케이터와,
    상기 인티케이터의 변위로 스위칭을 이루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포함하는 체크밸브 어셈블리를 이루어,
    진화 약제 이송 라인과 밀봉 결합을 이루는 커플러로써 결합하여 감시하여야 할 누기 압력 이상이 상기 체크밸브에 작용할 때 약제 용기의 누기로 검출하여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의 출력을 외부 신호로 픽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설비 용기의 압력 누기 감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화 설비 용기의 압력 누기 감시장치는 배관 자재로 이루어지며 양단에 너트(3a, 3b) 부착 어댑터(2, 2a)를 끼워 결합한 엘보우 커플러(3)와, 테이퍼진 원주면을 갖는 플랜지(7a)와 플랜지 중심에 기립한 가이드 축(7b)을 갖는 체크밸브(7)를 밸브 시트에 기밀 결합하여 약재 통로를 폐쇄하도록 체크밸브 케이스(6)에 내장하고 상기 가이드 축(7b) 지지와 약재 이동을 위해 서포트(13)를 스프링(16) 삽입 후 상부에서 내장 체결하여 이루고,
    체크밸브 케이스(6)는 일단으로부터 진화용 배관과 연결하는 너트부(6a)를 형성하고 타단으로는 상기 밸브시트 하단 바깥둘레에 나사를 형성하여 상기 엘보우(3) 너트(3a) 결합하도록 이루고, 체크밸브 케이스(6)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체크밸브의 플랜지(7a)에 접하여 연동하는 체커(20)를 나사 결합하여 이루되 체커(20)에 마이크로 스위치(14)를 부착하여 체커 움직임으로 출력하는 체크밸브 어셈블리(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설비 용기의 압력 누기 감시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커(20)는 체크밸브 케이스(6)에 관통하여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와 나사부를 관통하며 기밀 O링을 개재한 인디케이터(12)를 내장하며 인티케이터(12) 내측 일단은 상기 체크밸브(7)의 테이퍼진 원주면에 접하도록 이루고, 외측 일단은 로드(11)와 접하도록 이루어 커버(9)를 덮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설비 용기의 압력 누기 감시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13)는 체크밸브(7)의 가이드 축(7a) 지지와 소화 약재 배출 통로를 마련하면서 체크밸브의 선형 작동을 유지하도록 중심부에 가이드 축(7a) 삽입공을 형성한 방사상 리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설비 용기의 압력 누기 감시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화 설비 용기의 압력 누기 감시장치는 차압식 가스 밸브(90)의 토출구(91) 측으로부터 체결 너트(30a)를 끼워 결합한 체크밸브 케이스(60)의 시트에 플랜지(70a)와 플랜지에서 기립한 가이드 축(70b)를 갖는 체크밸브(70)를 탑재하고 스프링(160) 개재하여 서포트(130)로 가이드 축 선형 운동을 지지하도록 이루고 체크밸브를 이루고,
    체크밸브 케이스(60) 외경에 나사결합을 이루며 서포트(130)를 지지하는 너트부(32)와 너트부에 용접 고정한 엘보우 배관의 다른 일단에 체결 너트(34)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엘보우 커플러(30)를 이루며,
    상기 엘보우 커플러(30)의 너트부(32)를 측면 관통하여 상기 체크밸브의 가이드 축(70b)에 접하여 연동하는 체커(200)를 나사결합하여 이루되 체커(200)에 마이크로 스위치(14)를 부착하여 체커 움직임으로 출력하는 체크밸브 어셈블리(1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설비 용기의 압력 누기 감시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체커(200)는 너트부(32)에 관통하여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와 나사부를 관통하며 기밀 O링을 개재한 인디케이터(120)를 내장하며 인티케이터(120) 내측 일단은 상기 체크밸브(7)의 테이퍼진 가이드 축(70b)의 원주면에 접하도록 테이퍼 단부로 이루고, 외측 일단은 로드(110)와 직교하며 이동하여 접하도록 이루어 커버볼트(190)를 체결하여 이루되, 커버 볼트(190)의 중심 관통공을 천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설비 용기의 압력 누기 감시장치.
KR1020150142636A 2015-10-13 2015-10-13 소화 설비 용기의 압력 누기 감시장치 KR101748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636A KR101748748B1 (ko) 2015-10-13 2015-10-13 소화 설비 용기의 압력 누기 감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636A KR101748748B1 (ko) 2015-10-13 2015-10-13 소화 설비 용기의 압력 누기 감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205A true KR20170043205A (ko) 2017-04-21
KR101748748B1 KR101748748B1 (ko) 2017-06-19

Family

ID=58705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636A KR101748748B1 (ko) 2015-10-13 2015-10-13 소화 설비 용기의 압력 누기 감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874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58076A (zh) * 2020-04-28 2020-07-28 浙江工业大学 窑井漂浮式燃气泄漏检测装置
CN115944869A (zh) * 2022-11-25 2023-04-11 浙江南都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储能机柜的消防系统及其控制方法
US11648431B2 (en) 2018-11-30 2023-05-16 Carrier Corporation Fire suppression system remote monitoring
CN111458076B (zh) * 2020-04-28 2024-06-07 浙江工业大学 窑井漂浮式燃气泄漏检测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460B1 (ko) * 2020-06-03 2021-04-21 이영숙 화재 진압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4159B2 (ja) * 1998-03-30 2006-07-05 能美防災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設備を利用した漏水・停滞水の報知システム
KR200447333Y1 (ko) * 2008-01-25 2010-01-19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화설비용 소화약제 누기 체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48431B2 (en) 2018-11-30 2023-05-16 Carrier Corporation Fire suppression system remote monitoring
CN111458076A (zh) * 2020-04-28 2020-07-28 浙江工业大学 窑井漂浮式燃气泄漏检测装置
CN111458076B (zh) * 2020-04-28 2024-06-07 浙江工业大学 窑井漂浮式燃气泄漏检测装置
CN115944869A (zh) * 2022-11-25 2023-04-11 浙江南都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储能机柜的消防系统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8748B1 (ko) 2017-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11569B2 (en) Leak detector
ES2901299T3 (es) Dispositivo de válvula para equipos de conmutación o similares, así como usos del mismo
KR101748748B1 (ko) 소화 설비 용기의 압력 누기 감시장치
US3735376A (en) Leakage indicator for a fire extinguisher
RU2561841C2 (ru) Противопожарная управляющая система
EA033914B1 (ru) Клапан противопожарной системы и противопожарная система с таким клапаном
WO2002084156A1 (en) Double block valve with proving system
CN102575969B (zh) 利用压力的泄漏测试机
CA3096637A1 (en) Cartridge weight monitoring
CA2619427C (en) Arrangement for monitoring the leak-tightness of an evacuated space
CN203379542U (zh) 一种能够自动报警的七氟丙烷气体灭火系统用容器阀
US20200249115A1 (en) Fuel line leak detection system and method
JP2008148987A (ja) 消火器用接点付き指示圧力計を設けた蓄圧式消火薬剤貯蔵容器
US4188818A (en) Mechanism for leak testing of hermetically sealed vessels
GB2349084A (en) Fire Extinguisher
CN211855746U (zh) 一种用于试验压力实时显示和安全限压释放的装置
CN101975646B (zh) 熔丝筒检漏箱
CN114177562A (zh) 一种可便捷充装、检漏的柔性感温自启动灭火装置
KR100470969B1 (ko) 로드셀을 이용한 디지털 자동소화시스템
CN201837513U (zh) 熔丝筒检漏箱
CN219013470U (zh) 泄压阀及氢气供给系统
CN207336051U (zh) 一种安全阀性能测试系统
KR100925096B1 (ko) 이중밸브를 가지는 자동식 소화기
EP4282493A1 (en) In-situ pressurized restaurant fire-fighting system
CN218379017U (zh) 一种管道安全阀检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