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2976A - 산업용 및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 결선 시험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산업용 및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 결선 시험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2976A
KR20170042976A KR1020150142240A KR20150142240A KR20170042976A KR 20170042976 A KR20170042976 A KR 20170042976A KR 1020150142240 A KR1020150142240 A KR 1020150142240A KR 20150142240 A KR20150142240 A KR 20150142240A KR 20170042976 A KR20170042976 A KR 20170042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wire harness
jig
cable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5508B1 (ko
Inventor
김동희
Original Assignee
(주)가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가온테크 filed Critical (주)가온테크
Priority to KR1020150142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5508B1/ko
Publication of KR20170042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2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1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using pulse reflection metho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16Spectrum analysis; Fourier analysis
    • G01R31/021
    • G01R31/023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3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cables, e.g. undergroun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하네스의 결선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소선으로 이루어진 케이블의 단선, 단락을 포함한 모든 결선에 대해서 판정할 수 있는 산업용 및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 결선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종래기술들인 사람이 일일이 직접 테스트하는 방식은 잘못된 배선연결부위가 있어도 놓치기 쉬웠으며, 또 자동으로 테스트하는 방식은 케이블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테스트하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인 와이어 하네스 결선 시험장치를 이용하면, 100개 이상인, 다수개의 케이블을 지그에 연결한 후, 동시에 모든 테스트를 완료하여 결과를 출력할 수 있으므로, 테스트의 정확성이 높아지고, 테스트에 소요되는 시간, 비용, 인력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산업용 및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 결선 시험방법 및 장치{Wiring tester and test method of Industrial and automotive wire harness}
본 발명은 와이어 하네스의 결선 시험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케이블로 이루어진 와이어하네스의 단선, 단락, 오배선, 배선불량, 접촉불량, 정상 등을 포함한 모든 결선에 대해서 판정할 수 있는 산업용 및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 결선 시험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공기, 자동차, 선박, 농기계, 기타 산업용 기계 및 전기장치 등과 같이 다수의 제어 시스템과 다수의 피제어소자를 구비하고 있는 제품들은 각 시스템의 메인 제어부와 이들 피제어소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배선 집합체 케이블인 와이어 하네스를 구비하고 있다.
와이어 하네스는 다수개의 심선을 결속하고, 결속된 심선의 양단에 접촉단자를 결합한 물건으로서, 전기적인 장치들이 밀집되는 자동차, 가전제품 등 전기기기의 전기 배선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와이어 하네스는 여러 개의 심선 중 하나에 단선 등의 불량이 발생할 수가 있다. 이들 불량 와이어 하네스가 전기 기기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일부 심선을 통한 과전류 또는 순간적인 과부하에 의해서 단선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타 장치에 오동작을 일으킬 수 있다. 또 불량 와이어 하네스에 의하여 심한 경우에는 누전으로 인한 화재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와이어 하네스는 여러 개의 심선 중 소수의 심선에 단선 등 불량이 발생할 경우에 고장 난 심선을 찾아내서 복구하기가 어려우며, 불량 와이어 하네스가 자동차 또는 가전제품 등과 같은 제품에 장착된 후 와이어 하네스의 일부가 몰딩처리 되는 경우에는, 고장의 원인을 찾아내기 어렵고, 고장의 원인을 찾더라도 교체가 현실적으로 어려워 복구가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와이어 하네스를 포함하는 전체 전기 블록을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와이어 하네스 업계에서는 불량 와이어 하네스를 판단하기 위하여 출하 전 검사가 까다롭게 수행된다.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출하 전 검사로는 일반적으로 도통검사를 수행하여 통전이 수행되는 와이어 하네스에 대하여 양품판정을 내린다. 그러나 통전이 잘 이루어지는 지의 여부만으로는 양품인지 불량품인지의 여부를 정확하게 판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일부 단선 등의 문제는 통전의 여부에 영향을 거의 주지 않으므로 판단해 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와이어 하네스의 생산회사는 제품의 마무리 생산공정에서 생산제품을 전수 검사하여 결선 오류를 검사하는 과정이 매우 중요하며 꼭 필요한 공정이다.
상기와 같은 와이어 하네스의 결선을 테스트 것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5-0004446호에 양품인 와이어 하네스의 저항을 측정하여 마스터 저항값을 저장하는 것과 검사대상인 와이어 하네스의 저항을 측정하여 검사대상 저항값을 저장하는 것과 상기 마스터 저항 값과 상기 검사대상 저항 값을 비교하여, 그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설정값 미만이면 양품으로, 그렇지 않으면 불량품으로 판단하는 것; 및 양품/불량품의 판단단계에서 양품인 경우에는, 현재의 상기 검사대상 저항값과 상기 마스터 저항값을 이용하여, 상기 마스터 저항값을 현재상태에 적합하도록 업데이트하는 것이 포함되는 와이어 하네스 검사방법에 대해서 개시되어 있고, 또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622695호에는 다수의 소선으로 된 전선이 복수개 어레이된 검사대상 와이어 하네스의 양단의 각 단자와 대응되게 접속될 수 있게 설치된 접속 커넥터와, 접속 커넥터를 통해 검사대상 와이어 하네스의 각 전선의 도통 여부를 검출할 수 있게 설치된 단선검출부와, 전선의 단위 소선의 단선을 야기하는 제1단선 발생전류값 보다는 높고 전선의 정상 소선 수에 대응하는 제2단선 발생전류값 보다는 낮은 범위내에서 결정된 과전류를 검사대상 와이어 하네스에 강제적으로 인가하는 과전류 인가장치와, 접속 커넥터를 단선 검출부와 과전류 인가장치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게 설치된 스위칭부와,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과전류 인가장치에 의해 과전류가 검사대상 와이어 하네스에 인가된 이후, 단선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검사대상 와이어 하네스의 접속불량 유무를 판정처리하는 양불 판정수행기를 구비한 와이어 하네스 양불 검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서 개시되어 있으며, 또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450877호에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검사판에 형성된 지그에 와이어 하네스 커넥터를 결합시켜 통전시험을 수행하고 컴퓨터로 출력하여 양품여부를 확인하는 통상의 와이어 하네스 커넥터의 시험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상기 커넥터가 결합되는 표면 일측에 공기유입구와 공기배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공기 배출구의 일측에 공압센서가 부착되어 있으며, 방수실(seal)이 부착된 와이어 하네스 커넥터를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지그의 공기유입구를 통하여 소정 압력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단계와; 상기 유입된 공기가 공기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때 공압센서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공압값을 상기 컴퓨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공압값과 정상상태의 공압값을 비교하여 정상범위내에 있는 와이어 하네스 커넥터를 양품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와이어 하네스 커넥터의 시험방법 및 시험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들은 와이어 하네스의 단자(Terminal)가 커넥터에 정확하게 결합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소수의 심선의 결선을 테스트하는 수준이다.
이에 본 발명은 와이어 하네스를 이루는 수십~수백개의 케이블을 동시에 지그에 연결한 후, 모든 테스트를 짧은 시간에 완료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종래기술을 보완하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존의 소수의 케이블을 테스트하는 방식이 아닌, 수십~수백개의 케이블(50)을 동시에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하고, 테스트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다수개의 케이블을 단시간 동안에 테스트할 수 있는 와이어 하네스 결선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고 있는 와이어 하네스 결선 시험장치의 해결수단으로는 지그커넥터(20,21)와 와이어하네스 커넥터(40,41)를 결합하고, 지그시험기(10)의 송신단(11)에서 각각 서로 다른 펄스지연시간을 갖는 각각의 펄스(P)를 각각의 핀번호를 갖는 지그커넥터출력단(20)로 동시에 송신하며, 송신된 각각의 펄스(P)는 각각의 와이어하네스 커넥터입력단(40)를 통과하여 해당 핀번호를 갖는 케이블(50)로 송신되고, 해당 케이블(50)마다 통과된 펄스(P)는 반대쪽의 와이어하네스 커넥터출력단(41)을 통과하고 반대쪽의 지그커넥터입력단(21)을 통과하여 지그시험기(10)의 수신단(12)에서 수신된다.
상기와 같이 펄스(P)를 각각의 케이블(50)에 송신할 때, 동시에 펄스(P) 이외에 동일한 크기의 구형파 주파수(F)를 펄스(P)에 함께 실어서 송신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그시험기(10)의 송신단(11)에서 송신된 서로 다른 펄스지연시간을 갖는 펄스(P)와 동일한 크기의 구형파 주파수(F)를 함께 실어 각각의 케이블(50)을 통과하여 지그시험기(10)의 수신단(12)에 수신되면, 지그시험기(10)에서 송신된 펄스(P) 및 구형파 주파수(F), 수신된 펄스(P) 및 구형파 주파수(F)를 비교, 분석한다.
송신된 펄스(P)와 수신된 펄스(P)가 동일하면 케이블(50) 상태를 정상으로 판정하고, 송신된 펄스(P)는 있으나 수신된 펄스(P)가 검출되지 않는다면 케이블(50) 상태를 단선으로 판정하며, 송신된 펄스(P)는 1개임에도 수신된 펄스(P)가 2개 이상 검출되면 수신된 2개 이상의 펄스(P)에 해당하는 케이블(50)은 상호간에 단락으로 판정하고, 송신된 펄스(P)의 지연 시간과 수신된 펄스(P)의 지연 시간이 다른 펄스가 검출되면 케이블(50) 상태를 오배선으로 판정하며, 송신된 펄스(P)가 수신단(12)에서 검출은 되지만 수신 상태가 이어짐과 끊김이 반복되면 케이블(50) 상태를 배선불량으로 판정하며, 송신된 구형파 주파수(F)보다 낮게 왜곡 또는 감쇄된 구형파주파수(F)가 수신단(12)에 검출되면 케이블(50)의 터미널 또는 단자 부분이 접촉불량한 것으로 판정한다.
이와 같이 지그시험기(10)에서 송신된 펄스(P)와 수신된 펄스(P) 그리고 송신된 구형파 주파수(F)와 수신된 구형파 주파수(F)를 비교, 분석하여 케이블(50)의 결선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수십~수백개의 케이블(50)을 동시에 그리고 단시간 동안에 테스트할 수 있는 것이다.
기존의 종래기술들인 사람이 일일이 직접 테스트하는 방식은 잘못된 배선연결부위가 있어도 놓치기 쉬웠으며, 또 자동으로 테스트하는 방식은 케이블을 별도로 하나씩 순차적으로 테스트하는 것이어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인 와이어하네스 결선 시험장치를 이용하면, 수십~수백개의 다수개 케이블을 지그커넥터(20,21)에 연결한 후, 단시간 동안에 모든 테스트를 완료하여 결과를 출력할 수 있으므로, 테스트의 정확성이 높아지고, 테스트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 인력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결선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펄스 시간 지연 흐름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펄스에 주파수를 함께 실어 전송하는 흐름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그시험기의 각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방법 및 시험장치의 동작 흐름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적인 결선 개략도로서,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산업용 및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 결선 시험장치는 지그시험기(10)와 상기 지그시험기(10)의 양측에 각각의 지그커넥터(20,21)를 연결하여 구성된 결선시험장치(1)로 구성된다. 상기의 결선시험장치(1)에는 와이어하네스를 테스트한 후, 결과 값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장치인 모니터 또는 프린터 또는 결과값을 출력할 수 있는 표시장치가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테스트하고 싶은 케이블(50)의 집합체인 와이어하네스의 양측 끝에 결합된 한 쌍의 와이어하네스 커넥터(40,41)와 상기의 결선시험장치(1)의 양측 끝에 연결된 한 쌍의 지그커넥터(20,21)를 결합한 후, 결선시험장치(1)를 동작시키면 케이블(50)의 집합체인 와이어하네스의 현재 상태를 테스트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모니터 또는 프린터와 같은 표시장치에 결과 값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케이블(50)의 상태가 단선(31)으로 판정되면, 상기의 표시장치에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한 단선의 코드 값을 출력하게 되고, 케이블(50)의 상태가 단락(32)으로 판정된다면, 상기의 표시장치에 단락(32)의 코드 값을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출력된 결과 값인 코드값과 해당 케이블(50)의 핀번호값을 즉각적으로 인지하게 되고, 해당 케이블(50)의 현재 상태를 즉시 파악할 수 있게 되며, 해당 케이블(50)의 교체 또는 수리 작업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결선시험장치(1)의 한 쌍의 지그커넥터(20,21)는 테스트를 진행할수록 기계적인 결함이 발생하거나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한 쌍의 지그커넥터(20,21)와 한 쌍의 와이어하네스 커넥터(40,41) 사이에 보조커넥터를 추가로 구성하여 테스트를 진행할 수도 있다.
상기 보조커넥터를 추가로 구성하여 테스트를 수행한다면 보조커넥터 교체가 가능하므로 보조 커넥터 노후화시에 수시 교체를 통하여 상기 결선시험장치(1)의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펄스의 시간 지연 흐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펄스(P)를 이용하여 알 수 있는 시험은 정상, 단선, 단락, 오배선, 배선불량 등을 판단할 수 있으며, X좌표는 펄스지연시간을 나타내고, Y좌표는 케이블의 핀 번호를 나타낸다. Y좌표의 핀번호는 각각의 케이블(50)에 할당된 것으로, 케이블(50) 고유의 핀번호를 부여받게 된다. X좌표는 좌에서 우로 1, 2, 3, 4, 5, 6,…200…n으로 표기하며 몇 번째 펄스가 어느 정도 만큼의 시간 지연을 갖는지 나타낸 것이고, Y좌표는 위에서부터 1, 2, 3, 4, 5, 6,…200…m 으로 표기한다.
송신단(11)의 송신 펄스(P)와 수신단(12)의 수신하여 펄스(P)를 비교/분석하여 판단을 용이하게 하고, 판단시에 객관적인 명확성을 높이기 위해 각각 펄스(P) 크기의 값을 동일하게 하고, 다만, 각각의 펄스에 대해 지연시간을 달리 갖도록 하되, 기본 펄스의 시간은 10ms를 기본으로 하고 순차적으로 발생되는 펄스(p)는 10ms만큼 지연시간을 갖게 되며, 몇 번째 펄스가 얼마큼의 지연시간을 갖는지 알고자 하면,
Pd = Pw × (n - 1)
상기 식에서 'Pd'는 펄스의 지연시간을 의미하고, 'Pw'는 펄스의 폭을 의미하며, 'n'은 펄스 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6번째 케이블 핀은 6번째 펄스가 송신되며 기존 펄스폭의 5배 정도 시간 지연을 갖게 된다.
예를 들어, 200개의 케이블 핀에 200개의 펄스를 공급할 매우 빠른 시간에 시차지연을 갖는 펄스가 발생되어 공급되므로, 우리기 인식하기에는 동시에 많은 펄스가 발생되어 일시적으로 공급되는 것으로 판단되지만 실질적으로 펄스 발생 및 공급은 순차적으로 아주 미세한 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펄스에 구형파 주파수를 실어 전송하는 흐름 동작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구형파 주파수(P)를 이용하여 알 수 있는 시험은 펄스와 함께 여러 가지 불량여부를 판단할 수 있지만 접촉불량을 판단하고자 하는 것이며, 송신단(11) 각각의 케이블에 송신하는 주파수는 구형파 주파수(P)로, 각 송신 펄스 속에 10KHz ~ 30MHz의 일정 주파수를 선정하여 송신하게 되며, 펄스(P)의 주기시간이 10ms임을 감안하면 해당 펄스에 주파수를 함께 포함하여 송신하기 위해서는,
Figure pat00001
에서 최소한 주파수는 주기 시간이 10ms 이상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이 10KHz 이상이 필요하며, 주파수가 너무 높거나 낮을 경우 출력단에서 검출하여 분석하기가 어려우므로 주파수는 10KHz ~ 30MHz의 대역에서 일정 주파수를 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50) 수신단(12)의 수신 구형파 주파수(F)는 펄스를 이용하는 것이므로, 수신단(12)의 각각 케이블에서 수신되는 펄스(P) 만큼의 시간 지연을 갖는 구형파 주파수가 수신단(12)에 수신하게 되고, 펄스와 마찬가지로 비교/분석시 판단을 용이하게 하고 값을 단일화 하여 판단의 객관적인 명확성을 높이기 위해 구형파 주파수의 크기는 동일한 값을 선정하여 사용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그시험기의 구성도로서,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지그시험기(10) 구성은 각각의 케이블(50)과 지그시험기(10)의 결합을 확인하는 핀 접속 확인부(63)와 각각의 케이블(50)을 통과하는 펄스(P)를 발생시키는 펄스 발생부(64)와 서로 다른 펄스지연시간을 갖도록 조정하는 펄스 조절부(65)와 각각의 케이블(50)에 서로 다른 펄스지연시간을 갖는 펄스(P)를 송신하는 펄스 송신부(66)와 각각의 케이블(50)을 통과하여 수신되는 펄스 수신부(67)와 수신된 펄스(P)를 인식하는 펄스 인식부(68)와 수신된 펄스(P)를 송신된 펄스(P)와 비교, 분석하는 펄스 비교/분석부(69)와 송신된 펄스(P)와 수신된 펄스(P)를 비교, 분석하여 정상 또는 불량으로 판정하는 판단부(70)와 상기의 모든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61)와 정상 또는 불량여부를 판정하여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는 표시부(62)와 상기의 모든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는 지그시험기(10)와 상기 지그시험기(10)의 일단에 형성되어 펄스(P)를 송신하는 송신단(11)과 상기 지그시험기(10)의 타단에 형성되어 펄스(P)를 수신하는 수신단(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그시험기(10)에 내장된 핀 접속 확인부(63)는 지그커넥터(20, 21)와 와이어하네스 커넥터(40, 41)의 접속 여부를 확인하게 되며, 궁극적으로 테스트를 수행할 지그시험기(10)와 테스트를 받을 각각의 케이블(50)의 연결을 확인한다.
그리고 핀의 접속 확인은 접촉센서, 근거리 적외선 센서, 리미트스위치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센서 부착은 지그시험기(10)의 지그커넥터(20,21) 양단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신단(11)은 지그커넥터 출력단(20)과 연결되며, 이는 와이어하네스 커넥터 입력단(40)과 케이블(50)을 통해 와어하네스 커넥터 출력단(41)과 연결되고 이는 다시 지그커넥터 입력단(21)과 연결되어 지그시험기(10)의 상기 수신단(12)과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지그커넥터(20,21)와 와이어하네스 커넥터(40,41)의 핀이 완전한 접속이 이루어지면 테스트를 진행하여도 좋다는 의미로 표시부(62)에 파란색 램프가 동작하게 되고, 핀이 완전한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빨간색 램프가 동작하게 되며, 지그커넥터(20,21)와 와이어하네스 커넥터(40,41)의 접속 여부를 다시 한번 확인하여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펄스 발생부(64)는 테스트를 진행할 각각의 케이블마다 서로 다른 펄스지연시간을 갖는 서로 다른 다수개의 펄스(P)를 발생시킨다. 이때 발생하는 펄스(P)는 10ms를 기준으로 하며, 케이블(50)의 정상, 단선, 단락, 오배선, 배선불량 등을 테스트할 때 이용하는 것이다. 또한 서로 다른 펄스지연시간을 갖는 서로 다른 다수개의 펄스(P)를 발생시키며, 상기 각각의 펄스(P)와 동일한 크기의 구형파 주파수(F)도 같이 발생시킨다. 상기 구형파 주파수(F)는 10kHz ~ 30kHz를 기준으로 하며, 터미널 및 단자의 접촉불량 등을 테스트할 때 이용하게 된다.
상기 펄스 조절부(65)는 상기의 펄스 발생부(64)에서 발생시킨 서로 다른 펄스지연시간을 갖는 각각의 펄스(P)가 순차적으로 각각의 케이블(50)에 공급되도록 분배하고 조절하게 되며, 동시에 각각의 펄스(P)에 동일한 크기의 각 구형파 주파수(F)를 실어서 송신할 수 있도록 분배 및 조절을 하게 된다.
상기 펄스 송신부(66)는 상기 펄스 조절부(65)에서 분배되고 조절된 각각의 펄스(P)에 구형파 주파수(F)를 실은 상태로 송신단(11)으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수신단(12)은 송신단(11)에서 출력된 펄스(P)와 구형파 주파수(F)가 와이어하네스의 케이블(50)을 거쳐 출력되면 이를 수신하여 펄스 수신부(67)로 송신하게 된다.
상기 펄스 수신부(67)는 수신단(12)에서 입력된 각각의 펄스(P)와 구형파 주파수(F)가 일정한 지연시간 만큼 차이를 두고 수신되는지 확인하고 이를 펄스 인식부(68)로 송신하게 된다.
상기 펄스 인식부(68)는 상기 펄스 송신부(66)에서 송신된 다수의 각각의 펄스(P)를 인식하여 기본값으로 정해진 펄스(P)와 동일하면 다음 단계로 진행하도록 하고, 또한 송신된 펄스(P)의 기본 값과 동일하지 않다면 외부 노이즈로 인식하여 제외한다. 또 상기 펄스 송신부(66)에서 송신된 다수의 각각의 구형파 주파수(F)를 인식하여 송신된 구형파 주파수(F)와 동일한 구형파 주파수(F)는 정상으로 처리하고, 송신된 구형파 주파수(F)에 비해 낮은 왜곡이나 감쇄된 구형파 주파수(F)가 검출되면 다음 단계로 진행하도록 한다. 또한 송신된 주파수(F)의 기본 값과 동일하지 않다면 외부 노이즈로 인식하여 제외한다. 단, 펄스(P)나 주파수(F) 에서 ‘기본값’이란 송신단(11)에서 송신될 당시의 펄스(P)나 주파수(F) 값을 의미하고, ‘동일한 펄스’, ‘동일한 주파수’의 의미는 송신된 펄스나 주파수를 기본값으로 수신된 펄스나 주파수의 변화된 값이 일반적으로 어느 정도 허용오차 범위내의 값이면 ‘동일한’ 의미로 판단하는 것임을 나타낸다.
상기 펄스 비교/분석부(69)는 상기 펄스 인식부(68)에 송신된 펄스(P), 구형파 주파수(F)를 송신단(11)에서 송신된 펄스(P), 구형파 주파수(F)와 비교하고 분석을 한다.
첫 번째는 송신단(11)에서 송신된 펄스(P)와 수신단(12)에 수신된 펄스(P)가 동일한 펄스(P)로 검출되는 경우이고, 두 번째는 송신단(11)에서 송신된 펄스(P)는 있으나 수신단(12)에서 어떠한 펄스(P)도 검출되지 않는 경우이며, 세 번째는 송신단(11)에서 서로 다른 케이블(50)에 각각 송신된 다수개의 펄스(P)가 수신단(12)의 어느 하나의 케이블(50)에 여러개의 펄스(P)가 동시에 수신되는 경우이고, 네 번째는 송신단(11)에서 송신된 펄스(P)와 수신단(12)에 수신된 펄스(P)가 서로 다른 경우이고, 다섯 번째는 송신단(11)에서 송신된 펄스(P)가 수신단(12)에서는 펄스(P)가 간헐적으로 수신이 끊어졌다 이어졌다를 반복하는 경우이며, 여섯 번째는 송신단(11)에서 송신된 구형파 주파수(F)에 비해 낮은 왜곡 또는 감쇄된 구형파 주파수(F)가 수신단(12)에 수신되는 경우이다.
상기 판단부(70)는 상기 펄스 비교/분석부(69)에서 각각의 케이블(50)에 송신된 펄스(P), 구형파 주파수(F)와 수신된 펄스(P), 구형파 주파수(F)를 비교, 분석한 데이터를 상기 여섯가지의 경우로 분류하여 이를 기반으로 해당 케이블(50)의 현재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 첫 번째 경우는 송신단(11)에서 송신된 펄스(P)와 수신단(12)에서 수신된 펄스(P)가 동일한 펄스(P)로 검출되는 경우로서 입력된 펄스가 어떠한 영향도 받지 않고 출력된 상태이므로 이는 '정상'으로 판단하게 되고, 상기 두 번째 경우는 송신단(11)에서 송신된 펄스(P)는 있으나 수신단(12)에서 어떠한 펄스(P)도 검출되지 않는 경우로서 입력된 펄스(P)가 지정된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지 않았음을 나타내고, 그외 다른 어떤 펄스(P)도 검출되지 않았다면 펄스가 전달될 수 없는 상태를 나타내므로 이는 '단선'으로 판단하게 되며, 상기 세 번째 경우는 송신단(11)에서 서로 다른 케이블(50)에 각각 송신된 펄스(P) 다수개가 수신단(12)의 어느 하나의 케이블(50)에 여러개의 펄스(P)가 수신되는 경우로서, 즉 송신단(11) 3번 핀에 3번 펄스(P3), 4번 핀에 4번 펄스(P4)를 송신하였으나, 수신단(12) 3번 핀과 4번 핀 각각에 3번 펄스(P3), 4번 펄스(P4) 모두가 검출되는 경우에는 3번 핀 케이블, 4번 핀 케이블 상호간에 서로 '단락'된 것으로 판단하게 되고, 상기 네 번째 경우는 송신단(11)에서 송신된 펄스(P)와 수신단(12)에서 수신된 펄스(P)가 서로 다른 경우로서 즉 송신단(11) 5번 핀에 5번 펄스(P5)를 6번 핀에 6번 펄스(p6)을 송신하였으나 수신단(12) 5번 핀에는 6번 펄스(P6)가 검출되고 6번 핀에는 5번 펄스(P5)가 검출되었다면 이는 송신단과 수신단의 5번 핀과 6번 핀이 상호 오배선되어 접속되었음을 의미하므로, '오배선'으로 판단하게 되고, 상기 다섯 번째 경우는 송신단(11)에서 송신된 펄스(P)가 수신단(12)에서는 펄스(P)가 간헐적으로 수신이 끊어졌다 이어졌다를 반복하는 경우로서, 지그컨넥터핀과 와이어 하네스핀이 접속이 이어짐과 끊김이 반복되거나 케이블 자체의 선이 이어짐과 끊김이 반복되는 경우에 해당되지만, 지그컨넥터핀과 와이어 하네스핀이 접속 상태는 상기 핀접속 확인부(63)에서 확인 및 해결이 가능한 것이므로, 여기에서는 케이블 자체의 선이 이어짐과 끊김이 반복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배선불량'으로 판단하게 되며, 상기 여섯 번째 경우는 송신단(11)에서 송신된 구형파 주파수(F)에 비해 낮은 왜곡 또는 감쇄된 구형파 주파수(F)가 수신단(12)에 수신되는 경우로서, 케이블(50)의 각각의 터미널 또는 단자를 포함하는 접촉불량은 펄스(P)만으로는 확인이 어려우므로 일정한 구형파 주파수를 이용하고자 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하나의 케이블 면적이 20㎟이고 저항이 10Ω일 경우, 어느 케이블의 터미널이 10㎟만(50%) 접촉되어 불완전한 접촉이 이루어졌다면, R = p * l / S에서 10㎟의 경우 저항은 20㎟ 일때의 저항보다 높은 20Ω이 걸리게 되어 전체 임피던스가 높아지게 되며, 따라서 10MHz 구형파 주파수를 송신단(11)에서 송신할 경우, 터미널 및 단자가 완전하게 접촉되었다면 수신단(12)에는 저항값 10Ω에 해당되는 만큼의 왜곡 또는 감쇄된 주파수(기본 주파수 값)가 검출되겠지만, 케이블의 접촉불량으로 저항값이 20Ω으로 높아졌다면 저항값이 20Ω에 해당하는 만큼의 왜곡 또는 감쇄된 주파수가 검출되고, 이 경우에는 저항값 10Ω인 경우에 비해 더 낮은 왜곡 또는 감쇄된 주파수가 검출되게 되므로, 이는 터미널 또는 단자의 ‘접촉불량'으로 판단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61)는 상기 각각의 시험과정 및 시험결과에서 발생되는 모든 데이터를 일정기간 일자별, 사건별, 내용별, 결과별로 저장토록하여 추후 시험시에 기본 데이터베이스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동일한 시험을 반복할 경우에는 기 저장된 데이터를 기본으로 비교/분석할 수 있는 학습효과를 가지도록 하므로서, 좀 더 효율적인 시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표시부(62)는 상기에서 진행된 모든 테스트의 결과값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화면에 표시해주는 모니터 또는 문서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는 프린터를 포함한 모든 표시장치가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표시부에 식별할 수 있는 시험 데이터의 결과값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구조와 모양(테이블, 코드, 색상, 기호 등을 이용한)을 갖는 형태로 응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의 데이터 저장부(61), 표시부(62), 핀 접속 확인부(63), 펄스 발생부(64), 펄스 조절부(65), 펄스 송신부(66), 펄스 수신부(67), 펄스 인식부(68), 펄스 비교/분석부(69), 판단부(70) 등과 관련된 모든 제어를 하며, 송신단(11)에서 송신된 펄스(P)나 주파수(F)를 기본값으로 인식 저장하고 수신단(11)에서 수신되는 펄스(P)나 주파수(F)가 기본값을 100%로 하였을 경우, 왜곡 및 감쇄된 정도가 5~15%정도이면 허용 가능한 값으로 인식하여 동일한 정도의 비교대상으로 판단하고, 수신단(11)에서 수신되는 펄스(P)나 주파수(F)가 기본값의 15% 보다 큰값을 갖는 왜곡 및 감쇄된 것은 노이즈로 처리한다.
단, 전선의 재질(구리, 알미늄 또는 그 외 합금)이나 케이블의 전장 길이에 따라 왜곡 및 감쇄된 정도가 달리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런 경우 허용 가능한 값은 5~15%정도 범위를 약간 벗어나서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60)에서는 2차 시험(반복 시험)을 하는 경우에는 새로 측정한 값과 처음에 시험 측정한 값, 또는 바로 직전에 시험 측정한 값, 또는 기본 값을 기준으로 항상 비교/분석이나 판단이 가능하도록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인 따른 지그시험기의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핀 접속 확인(63)가 지그커넥터(20,21)와 와이어하네스커넥터(40,41)위 접속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
펄스 발생부(64)가 각각의 케이블(50)을 시험하기 위한 펄스(P) 및 구형파 주파수(F)를 발생하는 단계.(S2)
펄스 조절부(65)가 S2에서 입력된 펄스(P) 및 구형파 주파수(F)를 각각의 케이블에 실어 송신될 수 있도록 분배, 조정하는 단계.(S3)
펄스 송신부(66)가 S3에서 입력된 펄스(P) 및 구형파 주파수(F)를 펄스 송신단(11)을 거쳐 각 케이블(50)의 집합인 와이어하네스에 송신하는 단계.(S4)
펄스 수신부(67)가 S4에서 입력된 와이어하네스 및 펄스 수신단(12)을 통과한 펄스(P) 및 구형파 주파수(F)에 대해 일정 지연시간 만큼 차이를 두고 수신되는지 확인하는 단계.(S5)
펄스 인식부(68)가 S5에서 입력된 펄스(P) 및 구형파 주파수(F)에 대해 송신단(11)에서 송신된 펄스(P) 및 주파수(F)와 동일한 지를 인식하는 단계.(S6)
펄스 비교/분석부(69)가 S6에서 입력된 펄스(P) 및 구형파 주파수(F)에 대해 송신단(11)에서의 기본값과 비교/분석하여 데이터를 정리하는 단계.(S7)
판단부(70)가 S7에서 비교/분석하여 데이터를 정상 및 불량 여부(단선, 단락, 오배선, 배선불량, 접촉불량)에 대한 판정을 하는 단계.(S8)
표시부(62)가 S8에서 입력된 판정결과를 사용자가 판단하기 용이하도록 도표나 코드화하여 정상 또는 불량 여부를 표시 또는 출력하는 단계.(S9)
Figure pat00002
<펄스 및 주파수 검출에 따른 정상, 불량 판정 결과 예시>
상기 표와 같이 케이블의 정상, 불량여부 판단은 각각의 케이블(50) 송신단에서 송신된 펄스(P) 및 구형파 주파수(F)와 수신단에서 수신된 펄스(P) 및 구형파 주파수(F)를 비교/분석한 결과를 통해 판정하게 된다. 상기 표에서 P는 펄스(P), F는 구형파 주파수(F)를 의미하고 P 및 F에 붙은 숫자는 핀번호를 나타내며, 예를 들어 P7은 7번째 핀의 펄스(P)를, F7은 7번째 핀의 구형파 주파수(F)를 의미한다.
또한 P(펄스)는 단선, 단락, 오배선, 배선불량, 정상을 검출하는데 이용하고, F(주파수)는 접촉불량을 검출하는데 이용되며, 1~m까지의 펄스(P) 각각에는 1~m까지의 구형파 주파수(F)가 동시에 실려있으나 상기표에서는 정상, 불량여부를 판단하는 예시이므로 P1~P7까지는 펄스(P)만을 비교하였고 P8은 주파수만을 비교하였다.
상기 표에서 송신단(11) 1번 핀에 P1 펄스를 송신하고 수신단(12) 1번 핀에 동일한 P1 펄스가 검출되면 이는 정상으로 판정된다. 그리고 송신단(11) 2번 핀에 P2 펄스를 송신하였으나 수신단(12) 2번 핀에 어떤 펄스도 검출되지 않았다면 이는 단선으로 판정된다. 또한 송신단(11) 3번 핀에 P3 펄스를 4번 핀에는 P4 펄스를 송신하였으나 수신단(12) 3번 핀 및 4번 핀에 P3, P4 펄스 모두가 검출되면 이는 3번 핀과 4번 핀이 상호 단락으로 판정된다. 송신단(11) 5번 핀에 P5 펄스를 6번 핀에 P6 펄스를 송신하였으나 수신단(11) 5번 핀에 P6 펄스가 검출되고 6번 핀에 P5 펄스가 검출되면 이는 5번 핀과 6번 핀은 오배선으로 판정한다. 송신단(11) 7번 핀에 P7 펄스를 송신하였으나 수신단(11) 7번 핀에 P7 펄스 수신되기는 하지만 끊김과 이어짐이 반복된다면 이는 배선불량으로 판정한다. 송신단(11) 8번 핀에 F8의 주파수를 송신하였으나 수신단(11) 8번 핀에는 F8 주파수보다 낮은 왜형 또는 감쇄된 값을 갖는 주파수가 검출된다면 이는 접촉불량으로 판정된다.
Figure pat00003
<펄스 및 주파수 검출에 따른 판단결과를 표시부에 나타낸 예시>
- 불량구분: A(단선), B(단락), C(오배선), D(배선불량), E(접촉불량), F(정상)
- 판정결과: 3=5(3번과 5번 상호 단락), 17↔18(17번과 18번 상호 오배선)
상기 표2에서 정상/불량 구분표시는 식별 및 확인이 용이하도록 불량구분은 적색 바탕에 영문자로 표기하고(또는 영문자를 적색으로 표시) 정상구분은 녹색 바탕에 영문자로 표기하며(또는 영문자를 녹색(청색)으로 표시), 판정결과 단락에서 어떤 케이블이 상호간에 단락인지 알수 있도록 ‘+’ 표시를 이용하였고, 오배선에서 어떤 케이블이 상호간에 오배선인지 알수 있도록 ‘↔’ 표시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케이블(50)의 현재 상태가 불량으로 판정된 케이블(50)의 해당 핀번호와 불량으로 판정받은 케이블(50)의 판정결과를 비롯한 상태를 분류하여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Figure pat00004
<1차 실험 후, 2차 실험결과에 대한 판단결과를 표시부에 나타낸 예시>
- 2차시험: +131(2차 시험에서 131번이 불량으로 추가됨)
121,-122(2차 시험에서 121, 122번 불량에서 제외됨)
- 정상/불량 개수 5(4) : 5는 2차 시험개수, (4)는 1차 시험개수임
상기 표2에서 판정결과 불량부분에 대해 2차 시험을 수행함에 있어, 불량부위만 2차 시험할 수도 있고, 표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2차 시험할 수도 있으나, 상기 표3은 표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2차 시험을 한 경우에 해당한다. 상기 표3과 같이 2차 시험에서는 불량부위가 추가되거나 제외되는 부분에 대한 식별 및 확인이 용이하도록 추가된 부분은 청색 굵은 글씨로, 제외된 부분은 적색 굵은 글씨로 표기하되 추가로 청색글씨와 적색글씨는 일정한 주기로 깜박거리도록하여 식별을 용이하게 할수 있다. 또한 1차 시험에서의 불량부분이나 2차 시험에서 추가되거나 제외된 불량부분은 해당 불량부분만 별도로 추가 확인을 하거나, 표2의 시험을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결선시험장치 10. 지그시험기
11. 송신단 12. 수신단
20. 지그커넥터출력단 21. 지그커넥터입력단
31. 단선 32. 단락
40. 와이어하네스커넥터입력단 41.와이어하네스커넥터출력단
50. 케이블 60. 제어부
61. 데이터 저장부 62. 표시부
63. 핀 접속 확인부 64. 펄스 발생부
65. 펄스 조절부 66. 펄스 송신부
67. 펄스 수신부 68. 펄스 인식부
69. 펄스 비교/분석부 70. 판단부
P. 펄스 P1. 1번 펄스
P1. 2번 펄스 Pn. n번 펄스
F. 주파수 F1. 1번 주파수
F2. 2번 주파수 F1n. n번 주파수

Claims (15)

  1. 다수개의 케이블(50)의 집합체인 와이어 하네스의 결선을 확인하는 장치인 지그시험기(1)에 있어서,
    각각의 케이블(50)과 지그시험기(1)와의 결합을 확인하는 핀 접속 확인부(63)와 각각의 케이블(50)을 통과하는 펄스(P)를 발생시키는 펄스 발생부(64)와 서로 다른 펄스지연시간을 갖도록 조정하는 펄스 조절부(65)와 각각의 케이블(50)에 서로 다른 펄스지연시간을 갖는 펄스(P)를 송신하는 펄스 송신부(66)와 각각의 케이블(50)을 통과하여 수신되는 펄스 수신부(67)와 수신된 펄스(P)를 인식하는 펄스 인식부(68)와 수신된 펄스(P)를 송신된 펄스(P)와 비교, 분석하는 펄스 비교/분석부(69)와 송신된 펄스(P)와 수신된 펄스(P)를 비교, 분석하여 정상 또는 불량으로 판정하는 판단부(70)와 상기의 모든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61)와 정상 또는 불량으로 판정하여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는 표시부(62)와 상기의 모든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는 지그시험기(10)와;
    상기 지그시험기(10)의 일단에 형성되어 펄스(P)를 송신하는 송신단(11)과;
    상기 지그시험기(10)의 타단에 형성되어 펄스(P)를 수신하는 수신단(12)과;
    상기 송신단(11)은 지그커넥터 출력단(20)과 연결되며, 이는 와이어하네스 커넥터 입력단(40)과 케이블(50)을 통해 와어하네스 커넥터 출력단(41)과 연결되고 이는 다시 지그커넥터 입력단(21)과 연결되어 지그시험기(10)의 상기 수신단(12)과 연결되는 결선시험장치(1)로 구성되는 산업용 및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 결선 시험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의 펄스 발생부(64)는 서로 다른 펄스지연시간을 갖는 서로 다른 다수개의 펄스(P)를 발생시킬 때, 각각의 펄스(P)와 동일한 크기의 구형파 주파수(F)도 같이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및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 결선 시험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송신된 펄스(P)와 수신된 펄스(P)가 동일하면 케이블(50) 상태를 정상으로 판정하고, 송신된 펄스(P)는 있으나 수신된 펄스(P)가 검출되지 않는다면 케이블(50) 상태를 단선으로 판정하며, 송신된 펄스(P)는 1개임에도 수신된 펄스(P)가 2개 이상 검출되면 수신된 2개 이상의 펄스(P)에 해당하는 케이블(50)은 상호간에 단락으로 판정하고, 송신된 펄스(P)의 지연 시간과 수신된 펄스(P)의 지연 시간이 다른 펄스가 검출되면 케이블(50) 상태를 오배선으로 판정하며, 송신된 펄스(P)가 수신단(12)에서 검출은 되지만 수신 상태가 이어짐과 끊김이 반복되면 케이블(50) 상태를 배선불량으로 판정하며, 송신된 구형파 주파수(F)보다 낮게 왜곡 또는 감쇄된 구형파주파수(F)가 수신단(12)에 검출되면 케이블(50)의 터미널 또는 단자 부분이 접촉불량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산업용 및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 결선 시험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지그커넥터(20,21)와 와이어하네스 커넥터(40,41) 사이에 보조 커넥터를 추가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포함하는 산업용 및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 결선 시험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61)은 각각의 시험과정 및 시험결과에서 발생되는 모든 데이터를 일정기간 일자별, 사건별, 내용별, 결과별로 저장토록하여 추후 시험시에 기본 데이터베이스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동일한 시험을 반복할 경우에는 기 저장된 데이터를 기본으로 비교/분석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및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 결선 시험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62)는 진행된 모든 테스트의 결과값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화면에 표시해주는 모니터 또는 문서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는 프린터를 포함한 모든 표시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및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 결선 시험방법.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펄스(P)의 주기는 10ms를 기준으로 하며, 상기 구형파 주파수(F)는 10kHz ~ 30kHz를 기준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및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 결선 시험방법.
  8. 다수개의 케이블(50)의 집합체인 와이어 하네스의 결선을 확인하는 장치인 지그시험기(1)에 있어서,
    핀 접속 확인(63)가 지그커넥터(20,21)와 와이어하네스커넥터(40,41)위 접속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
    펄스 발생부(64)가 각각의 케이블(50)을 시험하기 위한 펄스(P) 및 구형파 주파수(F)를 발생하는 단계.(S2)
    펄스 조절부(65)가 S2에서 입력된 펄스(P) 및 구형파 주파수(F)를 각각의 케이블에 실어 송신될 수 있도록 분배, 조정하는 단계.(S3)
    펄스 송신부(66)가 S3에서 입력된 펄스(P) 및 구형파 주파수(F)를 펄스 송신단(11)을 거쳐 각 케이블(50)의 집합인 와이어하네스에 송신하는 단계.(S4)
    펄스 수신부(67)가 S4에서 입력된 와이어하네스 및 펄스 수신단(12)를 통과한 펄스(P) 및 구형파 주파수(F)에 대해 일정 지연시간 만큼 차이를 두고 수신되는지 확인하는 단계.(S5)
    펄스 인식부(68)가 S5에서 입력된 펄스(P) 및 구형파 주파수(F)에 대해 송신단(11)에서 송신된 펄스(P) 및 주파수(F)와 동일한 지를 인식하는 단계.(S6)
    펄스 비교/분석부(69)가 S6에서 입력된 펄스(P) 및 구형파 주파수(F)에 대해 송신단(11)에서의 기본값과 비교/분석하여 데이터를 정리하는 단계.(S7)
    판단부(70)가 S7에서 비교/분석하여 데이터를 정상 및 불량 여부(단선, 단락, 오배선, 배선불량, 접촉불량)에 대한 판정을 하는 단계.(S8)
    표시부(62)가 S8에서 입력된 판정결과를 사용자가 판단하기 용이하도록 도표나 코드화하여 정상 또는 불량 여부를 표시 또는 출력하는 단계.(S9)를 포함하는 산업용 및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 결선 시험방법.
  9. 다수개의 케이블(50)의 집합체인 와이어 하네스의 결선을 확인하는 장치인 지그시험기(1)에 있어서,
    각각의 케이블(50)과 지그시험기(1)와의 결합을 확인하는 핀 접속 확인부(63)와 각각의 케이블(50)을 통과하는 펄스(P)를 발생시키는 펄스 발생부(64)와 서로 다른 펄스지연시간을 갖도록 조정하는 펄스 조절부(65)와 각각의 케이블(50)에 서로 다른 펄스지연시간을 갖는 펄스(P)를 송신하는 펄스 송신부(66)와 각각의 케이블(50)을 통과하여 수신되는 펄스 수신부(67)와 수신된 펄스(P)를 인식하는 펄스 인식부(68)와 수신된 펄스(P)를 송신된 펄스(P)와 비교, 분석하는 펄스 비교/분석부(69)와 송신된 펄스(P)와 수신된 펄스(P)를 비교, 분석하여 정상 또는 불량으로 판정하는 판단부(70)와 상기의 모든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61)와 정상 또는 불량으로 판정하여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는 표시부(62)와 상기의 모든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는 지그시험기(10)와;
    상기 지그시험기(10)의 일단에 형성되어 펄스(P)를 송신하는 송신단(11)과;
    상기 지그시험기(10)의 타단에 형성되어 펄스(P)를 수신하는 수신단(12)과;
    상기 송신단(11)은 지그커넥터 출력단(20)과 연결되며, 이는 와이어하네스 커넥터 입력단(40)과 케이블(50)을 통해 와어하네스 커넥터 출력단(41)과 연결되고 이는 다시 지그커넥터 입력단(21)과 연결되어 지그시험기(10)의 상기 수신단(12)과 연결되는 결선시험장치(1)로 구성되는 산업용 및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 결선 시험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의 펄스 발생부(64)는 서로 다른 펄스지연시간을 갖는 서로 다른 다수개의 펄스(P)를 발생시킬 때, 각각의 펄스(P)와 동일한 크기의 구형파 주파수(F)도 같이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및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 결선 시험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송신된 펄스(P)와 수신된 펄스(P)가 동일하면 케이블(50) 상태를 정상으로 판정하고, 송신된 펄스(P)는 있으나 수신된 펄스(P)가 검출되지 않는다면 케이블(50) 상태를 단선으로 판정하며, 송신된 펄스(P)는 1개임에도 수신된 펄스(P)가 2개 이상 검출되면 수신된 2개 이상의 펄스(P)에 해당하는 케이블(50)은 상호간에 단락으로 판정하고, 송신된 펄스(P)의 지연 시간과 수신된 펄스(P)의 지연 시간이 다른 펄스가 검출되면 케이블(50) 상태를 오배선으로 판정하며, 송신된 펄스(P)가 수신단(12)에서 검출은 되지만 수신 상태가 이어짐과 끊김이 반복되면 케이블(50) 상태를 배선불량으로 판정하며, 송신된 구형파 주파수(F)보다 낮게 왜곡 또는 감쇄된 구형파주파수(F)가 수신단(12)에 검출되면 케이블(50)의 터미널 또는 단자 부분이 접촉불량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산업용 및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 결선 시험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지그커넥터(20,21)와 와이어하네스 커넥터(40,41) 사이에 보조 커넥터를 추가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포함하는 산업용 및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 결선 시험장치.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61)은 각각의 시험과정 및 시험결과에서 발생되는 모든 데이터를 일정기간 일자별, 사건별, 내용별, 결과별로 저장토록하여 추후 시험시에 기본 데이터베이스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동일한 시험을 반복할 경우에는 기 저장된 데이터를 기본으로 비교/분석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및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 결선 시험장치.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62)는 진행된 모든 테스트의 결과값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화면에 표시해주는 모니터 또는 문서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는 프린터를 포함한 모든 표시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및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 결선 시험장치.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펄스(P) 주기는 10ms를 기준으로 하며, 상기 구형파 주파수(F)는 10kHz ~ 30kHz를 기준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및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 결선 시험장치.
KR1020150142240A 2015-10-12 2015-10-12 산업용 및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 결선 시험장치 및 방법 KR101735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240A KR101735508B1 (ko) 2015-10-12 2015-10-12 산업용 및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 결선 시험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240A KR101735508B1 (ko) 2015-10-12 2015-10-12 산업용 및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 결선 시험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2976A true KR20170042976A (ko) 2017-04-20
KR101735508B1 KR101735508B1 (ko) 2017-05-15

Family

ID=58705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240A KR101735508B1 (ko) 2015-10-12 2015-10-12 산업용 및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 결선 시험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550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69564A (zh) * 2017-12-18 2018-06-15 苏州人为峰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线束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N113311366A (zh) * 2020-02-27 2021-08-27 Aptiv技术有限公司 组装线束时对连接进行验证的线束测试装置和方法
CN115830027A (zh) * 2023-02-17 2023-03-21 深圳市佐申电子有限公司 基于机器视觉的汽车线束包覆缺陷检测方法
KR20230127496A (ko) 2022-02-25 2023-09-01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커넥터 가이드 장치
CN117368805A (zh) * 2023-11-09 2024-01-09 海阳三贤精密工业有限公司 一种汽车线束导通检测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7369A (ja) * 2005-05-16 2006-11-24 Fujitsu Ltd オープン・ショート試験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69564A (zh) * 2017-12-18 2018-06-15 苏州人为峰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线束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N113311366A (zh) * 2020-02-27 2021-08-27 Aptiv技术有限公司 组装线束时对连接进行验证的线束测试装置和方法
KR20230127496A (ko) 2022-02-25 2023-09-01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커넥터 가이드 장치
CN115830027A (zh) * 2023-02-17 2023-03-21 深圳市佐申电子有限公司 基于机器视觉的汽车线束包覆缺陷检测方法
CN115830027B (zh) * 2023-02-17 2023-04-18 深圳市佐申电子有限公司 基于机器视觉的汽车线束包覆缺陷检测方法
CN117368805A (zh) * 2023-11-09 2024-01-09 海阳三贤精密工业有限公司 一种汽车线束导通检测装置及方法
CN117368805B (zh) * 2023-11-09 2024-05-17 海阳三贤精密工业有限公司 一种汽车线束导通检测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5508B1 (ko) 2017-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5508B1 (ko) 산업용 및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 결선 시험장치 및 방법
CN100487468C (zh) 一种背板测试系统
US6803770B2 (en) Wireless multiconductor cable test system and method
EP2531867B1 (en) Cable test method
CN104390306B (zh) 空调通讯系统、空调通讯方法及空调器
KR101777523B1 (ko) 와이어 하네스 검사 시스템
WO2018201763A1 (zh) 连接器的测试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1871865B (zh) 集成电路测试装置及测试方法
KR101782289B1 (ko) 와이어 하네스 복합 검사시스템
WO2009068063A1 (en) Tester for testing signal lines of a flight control system for a ths motor of an aircraft
KR100622695B1 (ko) 와이어 하네스 양불 검사 시스템 및 방법
CN101930041A (zh) 具主副步骤高压多点测试设备及方法
KR101996451B1 (ko) 와이어링 하네스 검사 장치
KR101004317B1 (ko) 에이에프 궤도회로의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모니터링 방법
US20180017608A1 (en) Electrical in-system process control tester
KR100450877B1 (ko) 와이어 하네스 커넥터의 시험방법 및 시험시스템
WO2020091705A2 (en) Automatic multi-channel electronic test and measurement device
KR101237292B1 (ko) 전자기기용 하네스 케이블의 검사방법 및 그 장치
KR101807532B1 (ko) 무선 하네스 컨베이어 표시 시스템
TWI427299B (zh) High - pressure multi - point test equipment and method with main and auxiliary steps
KR102101317B1 (ko) 전투차량용 케이블조립체 테스트장치 및 테스트방법
KR101306121B1 (ko) 오물처리 멀티 테스트 장치 및 시스템
KR102029796B1 (ko) 하네스 검사기
US20230384397A1 (en) Testers, testing systems and methods of testing electrical components
JP2008026224A (ja) 機能診断装置の自己診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