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2686A - 프리킥 거리 투영 장치 - Google Patents

프리킥 거리 투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2686A
KR20170042686A KR1020177006924A KR20177006924A KR20170042686A KR 20170042686 A KR20170042686 A KR 20170042686A KR 1020177006924 A KR1020177006924 A KR 1020177006924A KR 20177006924 A KR20177006924 A KR 20177006924A KR 20170042686 A KR20170042686 A KR 20170042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remote control
distance
control means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6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탈리스 간제르
Original Assignee
나탈리스 간제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탈리스 간제르 filed Critical 나탈리스 간제르
Publication of KR20170042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26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05Decision makers and devices using detection means facilitating arbi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9/00Design or layout of playing courts, rinks, bowling greens or areas for water-skiing; Covers therefor
    • A63C19/06Apparatus for setting-out or dividing courts
    • A63C19/065Line markings, e.g. tapes; Metho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B66D1/38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by means of guides movable relative to drum or barr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5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left-right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8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forward-back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7Ceiling suppo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02Active optical surveying means
    • G01C15/004Reference lines, planes or s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63B2207/02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74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powered illuminating means, e.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25Foot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9/00Design or layout of playing courts, rinks, bowling greens or areas for water-skiing; Covers therefor
    • A63C19/06Apparatus for setting-out or dividing courts
    • A63C19/065Line markings, e.g. tapes; Methods therefor
    • A63C2019/067Machines for 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스포츠 시설(2)의 경기장(22) 상에 참가자와, 경기 장비(15), 특히 축구공 사이에서 관찰될 거리 형태의 마킹(A)을 보여주기 위한 장치(1)는, 경기장(22)에 마킹(A)을 나타내는 광빔(L)을 투영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3)를 포함하고, 투영되는 광빔(L)은 관찰될 거리를 디스플레이하고, 경기장(22)에 경기 장비(15) 주위로, 특히 9.15m 거리의, 원 형상의 구획으로 투영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는 스포츠 시설(2) 위에서 이동가능한 이송 장치(8)와 함께 이동가능하다.

Description

프리킥 거리 투영 장치 {Free kick distance projecting device}
발명은 일반적으로 스포츠 시설의 경기장 상의 마킹(marking), 특히, 라인 또는 거리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정한 경기를 위해 경기를 조직하는 것이 대부분의 스포츠에서 항상 필요해왔다. 실질적인 특징은 경기장에 라인을 그리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라인이 그려지거나, 또는, 경기 전 경기장 표면 상에 다른 마킹이 대응하여 도포된다.
동일 표면에 상이한 스포츠의 경계부를 용이하게 제공하기 위한 변형예가 EP 0 423 218 B1 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는 레이저를 통해 경기장 표면에 마킹 라인이 투영된다는 점에서 효과적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투영된 라인들은 (그렇지 않을 경우) 마킹되지 않은 표면 상에 경기장 마킹을 일시적으로 형성하고, 상이한 스포츠들 간에 빠르게 스위칭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게임을 보다 공정하게, 매력적으로, 명확하게, 빠르게, 그리고 박진감 넘치게 조직하기 위해 많은 스포츠에서 점점 더 많은 기술적 보조 수단들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경기 후 관중, 감독, 및 선수들을 위해 더 많은 분석 수단들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심판용 보조 수단이 더욱 자주 사용되고 있다.
경기장에 대한 이러한 모니터링 장치의 예가 DE 10 2006 020 018 A1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는 목표의 사실 기반 발견에 기초하여 규정 준수에 관한 의사 결정 중 심판에게 즉시 알리는 것에 관련되며, 그러나 이는 그 결정에 도전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경기장 지점들이 연산되고, 연산 유닛이 제공되며, 제어 및 평가 유닛과 함께 카메라 유닛이 사용되고, 경기 이벤트를 재생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유닛이 사용되어, 각각의 게임 상황이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재현가능하고, 평가가능하며, 디스플레이가능하고, 분석을 위해 공급될 수 있다.
유사한 시스템이 DE 10 2007 049 147 A1 호에 설명되고 있고, 이는 사람, 스포츠 장비, 및 스포츠 경기 상황의 운동 시퀀스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시스템의 이용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PMD 센서 형태의 센서 장치가 제공된다. 카메라가 각각의 센서 장치에 연계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시스템은, 관련 센서 장치에 의해 검출되는 대응 거리 정보가 카메라의 도움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물체와 관련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평가 유닛은 지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규정 위반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따라서, 공이 터치라인 또는 골 문의 바이라인(bilines) 중 하나를 통과하였는지 여부 또는 선수가 패스 시점에 오프사이드 위치에 있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더욱이, 공이 골 라인을 통과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득점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디스플레이와 함께 갖는 후자의 변형예는 "Goal Control"의 명칭으로 2014 축구 월드컵 동안 대량으로 처음으로 성공적으로 이용되었다.
그러나, 나중에 검증 또는 모니터링하는 것 뿐 아니라 경기 중 이미 기술적 보조를 이용하기 위해, 여러 보조 시스템들이 일부 다른 스포츠로부터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US 4,090,708호는 미식축구 경기 중 경기장에 레이저를 통해 가장 관련된 거리선(첫번째 다운 라인 및 스크리미지 선(line of scrimmage))을 투영하기 위한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러한 이유로, 레이저는 경기장을 따라 부착된 가이드 레일 상에서 이동하고, 경기 중 대응하는 선이 레이저에 의해 경기장 사이에 디스플레이된다.
2014 축구 월드컵으로, 축구 경기 중 이용하기 위한 추가의 기술적 보조 수단, 즉, "프리킥 스프레이"(free kick spray)가 구축되었다. 이러한 스프레이의 도움으로, 심판은 경기 중 프리킥 상황에서 각 선수에 대한 공의 위치를 눈에 보이게 표시할 수 있고, 또한 공까지 9.15m의 요건 프리킥 거리를 경기장에 스프레잉할 수 있어서, 상대 팀이 공까지 정확한 거리에 벽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공정성이 향상되고, 필요 거리 관찰이 심판의 눈대중보다 빠르게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프레이의 정확한 구성 및 이용의 한 예가 DE 601 06 410 T2에 개시되어 있다.
최근에야 도입된 이 시스템은 이미 입증된 바 있으나 여전히 단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스프레잉된 거리가 여전히 심판의 추정에 기초하고, 따라서, 규정에 맞는 9.15m와 상당히 다를 수 있다. 더욱이, 이 거리는 축구공 주위의 원 내에서 유효하다; 그러나, 이 거리는 축구 골 방향으로 면하는 영역 내에서만 스프레잉된다. 따라서, 벽 옆에 있는 그리고 스프레잉된 선 옆에 있는 선수가 허용된 것보다 축구공에 상당히 가까이 놓이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짧은 패스의 프리킥의 경우에, 이 선수가 공 및 상대방에게 불법적으로 너무 빨리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은 경기 장비, 특히 축구공과, 스포츠 시설의 경기장 상의 참가자 사이에서 유지되어야할 거리 형태의 마킹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에 관련되며, 상기 장치는 경기장에 마킹을 나타낼 광빔을 투영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투영되는 광빔은 유지될 거리를 디스플레이하고, 경기장 상에 경기 장비 주위로, 특히, 9.15m의 거리로, 원 형상의 단면으로 투영될 수 있다. 더욱이, 발명은 경기장에 이러한 마킹을 투영하기 위한 방법에 관련된다.
따라서,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공에 대한 선수의 정확한 거리가 공 주위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프리킥 스프레이"의 단점이 치유된다. 경기장에 마킹을 발생시키기 위한 이러한 장치가 DE 101 24 012 A1 호에 개시되어 있다. 거기서, 레이저 또는 광원이 제공되고, 대응하는 광빔에 의해 마킹이 경기장 상에 발생된다. 이 장치는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지정된 반경을 가진 원이 경기장 상의 일 지점 주위로 경기장 상에 광빔에 의해 발생된다. 이 장치는 경기장 위에, 특히 스탠드의 천정에 및/또는 투광기 기둥과 같은 기둥 상에, 장착된다. 이러한 고정 장치에 의해, 레이저 빔들이 렌즈 시스템을 통해 번들화되고, 경기장으로 지향된다. 또한 여러개의 이러한 장치들이 제공될 수 있다.
상당히 유사한 시스템이 US 2005/0162257 A1 호에 개시되어 있다. 필요한 프리킥 거리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스타디움 천정으로부터 또는 기둥으로부터 레이저 광빔이 경기장 상에 투영된다. 이 시스템은 심판의 휘슬을 통해 활성화될 수 있다. "스팟 라잇"(spot light) 메커니즘이 공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포커싱한다. 그러나, 상세한 구조는 언급하지 않는다.
두 시스템 모두 공통된 단점으로서, 참가자들이 길을 막고 있을 수 있어서, 요망되는 마킹이 완전하게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보장할 수 없다. 특히 광원이 벽 뒤편의 스타디움 천정 또는 기둥에 부착된 경우, 마킹이 벽 앞에 디스플레이될 수 없다. 이 문제는 상이한 각도들을 가진 여러개의 광원들이 경기장으로 지향된다는 점에서 예방될 수 있으나, 이는 상당한 추가 비용을 야기하고, 필요 구성요소들의 중복을 야기한다. 더욱이, 여전한 단점으로서, 경기장까지의 거리가 경기장 높이 및 폭에 따라 매우 크며, 따라서, 마킹의 충분히 인식가능한 디스플레이에 도달하기 위해, 강력하고 비싼 레이저가 사용되어야만 한다. 추가적으로, 공의 위치가, 소정의 경우에, 특히, "스팟 라잇"(spot light) 메커니즘의 경우에 비교적 멀리 떨어져 배열되는 원격 제어 장치에 대해 공이 감추어져 놓일 때, 결정될 수 없다. 따라서, 공이 지금 막 위치한 곳을 시스템이 당연히 "알거나" 또는 검출할 수 있다는 것을 항상 보장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문제점은 종래 기술에 비해 개선된 장치 및 개선된 방법을 구축하는 것이다. 특히, 스포츠 시설의 경기장 상에 마킹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가 쉽게 작동되어야 하고, 간단하게 구성되어야 하며, 합리적인 비용으로 생산되어야 하고, 유연하게 적용가능하여야 한다.
이는 청구항 1의 특징을 가진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따라서, 발명에 따르면, 스포츠 시설 위에서 이동가능한 이송 장치와 함께 움직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이송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운송을 위해 전용화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심판에 의해 요청되는 거리 또는 요망 거리의 개별적이면서도 빠른 디스플레이가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성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가 항상 최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이송 장치에 (바람직한 경우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선호된다.
원칙적으로, 이송 장치를 자율적으로 파일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송 장치는,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드론 형태의, 무인 항공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경기장 상의 축구 경기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가 이송 장치에, 바람직하게는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이송 장치와 카메라는 카메라 시스템을 형성하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카메라 시스템과 함께 이동가능하다. 따라서, 경기장 위에서 "부동하거나"(floating) 또는 "비행하는"(flying) 카메라 시스템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이동 장치로 사용되는 장점에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시스템이 어쨌든 점점 더 많은 경기장에 사용되고 있다. 이는 단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만 존재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더욱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마킹될 영역에 매우 가까이(예를 들어, 3미터) 이동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항상 벽 앞에 위치할 수 있고, 따라서, 규칙에 맞는 거리를 가질 때 광 빔이 경기장의 표면에 도달하는 것을 다른 참가자가 막을 수 없다.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경기장에 마킹을 투영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특정 투영 범위를 설명하기 위해, 이송 장치가 반드시 주청구항에 제시된 장치의 일부분이어야 할 필요는 없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그 대신, 발명에 따른 장치는 기존 이송 장치에 (특히, 기존 카메라 시스템 상에) 보강(retrofit)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송 장치와 함께(또는 본 카메라 시스템과 함께) 이동가능하고,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는 (카메라 시스템) 제어 장치에 대한 적절한 전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를 통한 두 제어 장치의 이러한 연산-로직 연결은 이송 장치의 위치 결정에, 그리고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를 위해, 특히 중요하다. 더욱이, 측정 데이터가 연동된다. 다음에서 "카메라 시스템"이 언급될 경우, 각 특징 또는 각 장점이, 논리적이고 의미있기만 하다면, 카메라없는 평범한 이송 장치의 경우에도, 항상 이해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 시스템의 공간적 이동 제어는 카메라 제어 장치를 통해서만 이루어진다. 그러나, 바람직한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는 경기장 위에 이송 장치의, 바람직하게는 전체 카메라 시스템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모드를 포함한다. 이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경기장 위에서 카메라 시스템의,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공간적 이동의 인수 명령(taking command)을 말하도록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물론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존 시스템에 단지 보강될 수 있는 것만이 아니다. 그 대신, 선호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 장치 또는 전체 카메라 시스템이 장치의 일부분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카메라 시스템이 카메라 시스템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 이송 장치, 및 대응하는 제어 장치는 - 카메라 없이 - 전달 범위의 일부분이다. 바람직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가 이송 장치에 장착된다. 추가적으로, 이송 장치가 카메라를 위한 캐리어 장치와, 캐리어 장치에 고정되는 적어도 2개, 바람직하게는 4개의 로프와, 바람직한 경우 경기장 위에, 바람직하게는 스타디움 천정 상에, 고정되는 로프용 가이드 롤러와, 로프용 구동 장치를 포함한다.
기본적으로 카메라 시스템의 카메라는 기설치된 이송 장치 상의 TV 송출기에 의해 스타디움 내에만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송 장치만이 아니 이송 장치에 의해 경기장 위에서 이동가능한 카메라도 장치의 일부분인 것이 특히 선호된다. 이 카메라는 카메라 시스템 제어 장치에 또한 신호 연결된다.
완전한 카메라 시스템의 예가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US 4,710,819호는 NFL 풋볼 경기의 TV 방송을 위한 카메라용 서스펜션 시스템을 보여준다. 카메라 대신에 레이저가 이 서스펜션 시스템에 의해 이송될 수 있다. WO 01/77571 A1 호는 베이스 경로 위에서 소정 거기로 카메라를 안내하기 위한 케이블-제어 장치를 보여준다. WO 2011/079122 A1 호는 경기장 위에 카메라를 위한 이동 시스템을 보여준다. 여기서 레이저는 전체 시스템을 교정(calibration)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US 8,199,197 B2 호는 안전 장치로 공기 중에서 이동가능한 카메라 시스템을 또한 보여준다. 레이저는 위치 검출에 사용될 수 있다. WO 2007/030665 A2 호는 실내 스타디움 내 경기장 위에서 이동가능한 카메라 시스템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프로젝터 형태의 광고 매체가 이러한 카메라 시스템에 또한 장착된다. 광고 이미지가 프로젝터와 함께 현장 영역에 투영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확한 위치설정 또는 장착을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가 카메라에 직접 장착되거나 카메라를 이동시키는 이송 장치 상에 간접적으로 장착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송 장치의 캐리어 장치에 고정되게 용접될 수 있다. 바람직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나사 또는 클립 시스템을 통해 탈착가능하게 장착된다.
기설치된 시스템에 별 변화를 일으키지 않기 위해, 카메라 시스템 제어 장치는 한편으로, 카메라에 의해 수행되는 촬영, 바람직한 경우, 이송 장치에 대해 상대적으로 수행되는 카메라의 움직임 역시, 제어할 수 있는 녹화 모드를 포함하고, 다른 한편, 이송 장치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모드를 포함한다. 이는 이동 모드가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일부분일 필요가 없음을 의미한다. 그 대신, 이동 모드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녹화 모드에서, 줌과 같은 모든 카메라-특이적 기능들이 트리거링된다. 이송 장치에 대해 카메라로부터 수행되는 움직임이 녹화 모드에서 또한 제어된다. 이송 장치를 통한 일반적인 공간적 움직임은 따라서 이러한 녹화 모드에서 제어되지 않는다. 따라서, TV 방송의 방송 디렉터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 모드에 있을 때 카메라에 대한 제어를 완전히 놓지 못한다. 대신에, 방송 디렉터 또는 스탭(staff)은 여전히 카메라 자체와, 이송 장치에 대한 카메라의 상대적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고, 그러나 이송 장치를 통한 카메라의 공간적 움직임을 더이상 제어할 수 없다.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이는 디스플레이 장치의(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조작자에게(특히 심판에게만) 달려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는 이동 모드로부터 명령을 취한다.
선호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경기장 상의 경기 장비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검출은 송신기가 경기 장비 내에/상에 부착되고 대응하는 수신기가 스포츠 시설의(위의) 어딘가에 제공되도록 실현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경우, 경기 장비에 대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리 및/또는 경기장에 대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리가 검출 장치를 이용하여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게임 장비 내에 또는 상에 어떤 송신기도 존재할 필요가 없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추가하여 검출 장치가 카메라 시스템에 장착되거나 카메라 시스템과 함께 이동가능한 것이 특히 선호된다. 디스플레이 장치 및 검출 장치는 하나의 구성 유닛으로 통합될 수도 있다. 여기서 검출 장치가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제어가능한 구성 역시 단순화를 위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검출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되는 경기 장비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광 빔이 경기장에 투영될 수 있게 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검출 장치는 또한, 이동 모드에서, 이송 장치의 캐리어 장치에 또는 카메라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경기 장비의 검출 위치에 따라 이송 장치를 통해 이동가능하게 실현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발명에 따른 장치가 경기장 상에 이미지, 그림, 그래픽, 등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추가로 사용됨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바람직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관측될 거리 형태의 마킹만이 경기장 상에 디스플레이되며, 광빔이 경기장 상의 경기 장비 주위로 9.15m 거리에 원 형태로(예를 들어 반원 또는 4분원) 적어도 구획 단위로(sectionwise) 투영될 수 있다. 투영될 마킹의 이와 같이 조정가능한 또는 규정된 거리 측정치는 바람직하게도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 또는 세이빙될 수 있다.
추가의 선호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 유닛을 포함한다. 이는 컴퓨터로 또는 태블릿 컴퓨터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경우 작동 유닛은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간단한 원격 제어 수단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원격 제어 수단은 구체적으로 이를 담당하는 사람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축구 경기 중 사이드라인 상의 여러 기능들을 담당하는 제 4 임원(심판 보조원)일 수 있다. 따라서, 그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 모드로 변경될 때를 (예를 들어 헤드폰을 통해) 심판의 지시로 또는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경우, 원격 제어 수단이 심판에 의해 작동된다. 이는 여러가지 장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수단 자체가 위치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송신기를 통해 경기장 상에서 원격 제어 수단의 위치가 검출 장치의 수신기에 신호 송신될 수 있고 또는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검출은 경기 장비의 위치를 직접 또는 보조 복합 시스템을 이용하여 검출할 필요가 없다. 대신에, 심판은 심판에 의해 결정되는 위치에 경기 장비를 배치할 때의 순간에 원격 제어 수단 상의 시작 버튼을 누를 수 있다. 바람직한 경우, 심판은 이 순간에 정확히 경기 장비 상에 원격 제어 수단을 배치해야 하고, 이와 동시에 검출 장치는 원격 제어 수단의 위치를 검출하고 따라서 경기 장비의 위치를 검출한다. 이후, 모든 작용들이 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는 카메라 시스템의 이동 모드를 인수하고, 이송 장치는 원격 제어 수단으로 검출된 위치 위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와 함께 카메라를 이동시키고, 경기장 상의 경기 장비 주위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마킹이 투영된다. 다시 말해서, 경기장 상의 경기 장비의 위치는, 경기 장비 상에 원격 제어 수단을 배치함으로써 원격 제어를 통해, 그리고, 심판에 의해 원격 제어 수단 상의 버튼을 이와 동시에 누름으로써, 검출가능하며, 따라서, 검출 장치에 송신되는 원격 제어 수단의 위치가 경기 장비의 위치에 대응하게 된다.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원치않는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드 및 이동 모드가 원격 제어 수단을 통해 활성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모드 및 활성화된 이동 모드의 경우에, 이송 장치의 움직임은 원격 제어 수단을 통해서만 제어될 수 있다.
청구항 22의 특징들을 가진 방법이 또한 청구된다. 따라서, 경기장 위에서 이동가능한 이송 장치 상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장착하는 단계와, 이송 장치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경기장에 경기 장비 주위로, 9.15m 거리인 것이 바람직한, 원 형상의 적어도 구획으로 마킹을 나타내는 광 빔을 투영하는 단계들이 제공된다.
바람직한 경우, 투영 전에, 경기 장비의 위치가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된다. 이는 경기 장비 상에 심판에 의해 원격 제어 수단을 배치하는 단계와, 원격 제어 수단이 경기 장비 상에 위치할 때 원격 제어 수단의 버튼을 누르는 단계와, 검출 장치를 함께 형성하는 원격 제어 수단의 위치 송신기를 통해 검출 장치의 수신기에 원격 제어 수단의 위치를 송신하는 단계 - 송신은 버튼을 누름으로써 트리거링되고, 원격 제어 수단의 송신 위치는 경기 장비의 위치에 대응함 - 를 통해 실현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방법에서, 경기 장비의 실질적으로 수직 상방 위치로 디스플레이 장치와 함께 카메라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디스플레이 장치와 경기 장비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와, 검출되는 거리에 따라 광 빔의 방출각을 연산하는 단계와, 스포츠 시설에 경기 장비 주위로 9.15m 거리의 마킹을 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가 단계들이 특히 선호된다. 거리 결정 및 각도 연산은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공간적 높이가 기설정되어 있을 때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카메라 시스템, 그리고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항상 동일 높이로(가령, 경기 장비 위 10m 높이로) 이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거리 및 방출각은 항상 동일하다. 따라서, 방출각이 사전에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또한, 경기 장비의 위치 결정이 자율적 검출 장치를 통해 수행될 필요가 없다. 대신에,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스포츠 시설의/상의 어딘가에 배열되는 수신기와 함께 검출 장치를 형성하는 원격 제어 장치에 송신기가 제공된다면, 그래서 수신기가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와 신호 연결된다면, 충분하다.
스포츠 시설의 경기장에 관측될 마킹을 나타내는 광빔을 투영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장착하기 위해 스포츠 시설의 경기장 위에 배열되는 가동식 이송 장치의 용도가 또한 추가적으로 청구되며, 투영되는 광빔은 경기장에 경기 장비 주위로, 특히 9.15m 거리의, 원 형상 구획으로 투영될 수 있다.
도 1은 스포츠 시설(2)의 경기장(22) 상에 마킹 A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1)를 가진 스포츠 시설(2)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스타디움 천정(11)을 가진 축구 스타디움 형태의 스포츠 시설(2)이 도시된다.
대형 스타디움에서 최근들어 더욱 자주 사용되고 있는 "플라잉"(flying) 카메라 시스템(21)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이 카메라 시스템(21)은 경기장(22) 위에 이송 장치(8)에 의해 공간적으로 이동가능한 카메라(7)를 포함한다. 이송 장치(8)는 카메라(7)를 위한 캐리어 장치(9)와, 캐리어 장치(9)에 장착되는 적어도 3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개의 로프(10)와, 로프(10)의 구동 장치(13)(가령, 모터-종동식 로프 풀리 형태)를 실질적으로 포함한다. 이러한 구동 장치(10)들은 원칙적으로 스타디움 천정(11) 상에 또한 배열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경우, 이들은 경기장(22)의 측부 상 어딘가에 배치되며, 로프(10)는 가이드 롤러(12)를 통해 안내된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가이드 롤러(12)는 고정 장치(19)를 통해 스타디움 천정(11)에 장착된다. 물론, 스타디움 천정(11)과는 별개인 기둥들이 가이드 롤러(12)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알려진 카메라 시스템 제어 장치(6)가 본 카메라 시스템(21)의 제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컴퓨터 상에 대응 프로그램으로 저장될 수 있다. 그 후 이 컴퓨터는 카메라 시스템(21)을 위한 작동 유닛으로 작용한다. 바람직한 경우 카메라 시스템(21)은 축구 방송 디렉터를 돕는 스탭에 의해 작동된다. 카메라 시스템 제어 장치(6)는 작동 모드 형태로 논리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일 모드는 이송 장치(8)에 대한 카메라(7)의 움직임과, 카메라-특이적 기능들(줌, 포커싱, 등)이 제어되는 녹화 모드 MF다. 대응하는 신호 20F가 카메라 시스템 제어 장치(6)로부터 카메라(7)로 또는 구동 장치(도시되지 않음)로 방출되며, 구동 장치는 캐리어 장치(9)에 대해 카메라(7)를 이동시키는 장치다. 더욱이, 이동 모드 MB는 카메라 시스템 제어 장치(6)의 논리적 부분으로서, 이동 모드 MB에서 스포츠 시설(2)의 경기장(22) 위 이송 장치(8)에 의한 카메라(7)의 공간적 움직임이 제어된다. 대응하는 신호(20B)가 카메라 시스템 제어 장치(6)에 의해 구동 장치(13)로 방출된다. 공간적 이동을 위해, 경기장(22) 위 공간을 나타내는 3차원 좌표계가 카메라 시스템 제어 장치(6)에 저장된다.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3)는 경기장(22) 위에서 이러한 이송 장치(8)와 함께 이동가능하다. 바람직한 경우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3)는 이송 장치(8)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된다. 기존 이송 장치(8) 상에 (또는 기존 카메라 시스템(21) 상에)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3)를 개장(보강: retrofit)하기 위해, 장치(1)는 카메라 시스템 제어 장치(6)에 대한 인터페이스(5)와 함께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4)를 포함한다. 광빔 L 또는 레이저 빔이 디스플레이 장치(3)에 의해 경기장(22)의 표면에 투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광빔 L은 스포츠 시설(2) 상에 원 또는 원의 일부분을 투영하며, 이 원은 경기 장비(15)(축구공) 주위로 소정 거리 형태로 마킹 A를 표시한다. 이 거리는 9.15m이고, 프리킥 동안 상대방이 경기 장비(15)에 얼마나 가까이까지 허용되는 지를 표시한다. 축구 경기 중 이러한 신규한 시스템이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축구 경기 전에, - 디스플레이 장치(3)가 개장(retrofit)된 경우 - 디스플레이 장치(3)는 카메라 시스템(21)에, 바람직하게는 카메라(7)의 이송 장치(8)의 캐리어 장치(9)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다. 더욱이,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4)는 인터페이스(5)를 통해 카메라 시스템 제어 장치(6)에 신호 연결된다.
디스플레이 장치(3)가 카메라 시스템(21)의 이미 일부분이고 개장되지 않을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4)는 카메라 시스템 제어 장치(5)에 즉시 통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장치(4, 6)는 논리적 제어 유닛을 형성한다. 그러나, 특히 디스플레이 모드 MA 동안 연동 및 데이터 전송(좌표계에서 카메라 시스템(21)의 위치 데이터)을 실현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4)와 카메라 시스템 제어 장치(6) 사이에 내부 수학적-논리적 인터페이스(5)가 여전히 존재한다.
디스플레이 장치(3)의 개장 여부에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3)는 축구 경기 중 경기장(22) 상에서 통상적으로 비활성이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장치(3)는 카메라 시스템(21)과 함께 항상 이동하고 있다. 카메라(7)의 공간적 이동은 이송 장치(8)에 의해 실행된다. 이러한 이동은 카메라 시스템 제어 장치(6)의 이동 모드 MB에 의해 제어된다. 원칙적으로 이러한 이동 모드 MB는 파선으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4)의 일부분일 수도 있다. 이동 모드 MB에서 대응 신호(20B)가 이송 장치(8)의 구동 장치(13)로 방출된다. 축구 경기 중, 카메라(7)를 이용한 촬영이 카메라 시스템 제어 장치(6)의 녹화 모드 MF에 의해 제어된다. 그 작동은 주로 텔레비전 송출기의 스탭이 담당하는 것이 마땅하다.
이제 축구 경기 중 심판 R에 의해 프리킥이 주어졌을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3)는 특히, 프리킥이 골문 근처에서 이루어질 때의 경우에 사용된다. 이러한 이유로, 이 디스플레이 장치(3)는 원격 제어 수단(17)을 통해 활성 상태로 변경된다. 이는 이 역할을 전용으로 할당받은 사람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가장 쉬운 해법은 심판 R 자신이 원격 제어 수단(17)을 지니고 디스플레이 장치(3)를 활성 상태로 변경하는 것으로서, 이는 디스플레이 장치(3)를 디스플레이 모드 MA로 변경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시점에서, 원격 제어 수단(17)과 (예를 들어 무선을 통해) 신호 연결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4)는 이동 모드 MB를 위한 모든 인가를 폐기한다. 이는 이송 장치(8)의 이동 모드 MB가 디스플레이 모드 MA에 따라 이제 실행됨을 의미한다. 첫번째로, 위치 신호가 디스플레이 모드 MA의 활성화를 이용하여 원격 제어 수단(17)의 위치 송신기(18)에 의해 수신기로 방출될 수 있고, 따라서 이동 모드 MB의 이송 장치(8)가 심판 R의 방향으로 이러한 제 1 위치 신호에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심판 R 인근의, 따라서, 실행될 프리킥 영역의, 디스플레이 장치(3)의 개략적인 위치 결정에 도달한다. 이는 경기의 지나치게 긴 중단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모드 MA에서, 스포츠 시설(2) 상의 경기 장비(15)의 위치 P15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장치(14)가 활성화된다. 여러 실시예가 존재하며, 다음에서는 3개의 예가 설명된다.
제 1 변형예에 따르면, 위치 송신기가 경기 장비(15) 내에/상에 배열될 수 있고, 이러한 송신기는 대응하는 수신기와 함께 검출 장치(14)를 형성한다. 그 후 위치 송신기의 위치 P15의 데이터가 검출 장치(14)로부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4)로 송신된다.
제 2 변형예에서는 검출 장치(14)가 경기 장비 식별 시스템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상기 식별 시스템은 별도의 카메라를 통해 경기 장비(15)를 위해 스포츠 시설(2)의 표면을 스캔한다. 이러한 이유로, 검출 장치(14)는 이송 장치(8)에 장착될 수 있고, 또는, 스타디움 내 다른 어딘가에 또한 배치될 수 있다. 검출 장치(14)가 경기 장비(15)를 국부화시키자 마자, 그 위치 P15가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4)로 송신된다.
선호되는 제 3 변형예에 따르면, 수신기에 그 위치 P17를 송신하는 위치 송신기(18)가 원격 제어 수단(17) 내에/상에 배열된다. 송신기 및 수신기는 함께 검출 장치(14)를 형성한다. 여기서 또한, 수신기는 바람직한 경우 이송 장치(8)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원격 제어 수단(17)의 위치 P17 뿐 아니라 경기 장비(15)의 위치 P15 까지도 검출하기 위해, 심판 R은 이러한 원격 제어 수단(17)이 경기 장비(15) 상에 위치할 때의 순간에 원격 제어 수단(17)의 대응 버튼("경기 장비 위치 버튼")을 누른다. 따라서, 심판 R은 원격 제어 수단(17)을 통해 경기 장비(15)의 위치 P15를 "마킹"한다. 따라서, 검출 장치(14)는 원격 제어 수단(17)의 위치 P17로부터 경기 장비(15)의 위치 P15를 동시에 검출하고, 대응 신호를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4)에 송신한다.
이제 경기 장비의 위치 P15가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4)에 의해 알려짐에 따라, 이동 모드 MB가 (다시) 활성화된다. 이러한 이동 모드 MB에서, 이송 장치(8)는 경기 장비(15)의 검출 위치 P15에 따라 이동한다. 바람직한 경우, 이송 장치(8) 및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4)는 경기 장비(15)의 수직으로 위의 좌표계 위치로 가능한 정확하게 이동한다.
경기장(22) 상에 경기 장비(15) 주위로 정확한 거리로 마킹 A를 투영하기 위해, 다시 2개의 변형예가 가능하다.
제 1 변형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3)와 경기 장비(15) 간의 거리 D15,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3)와 경기장(22) 사이의 거리 D2가 초기에 결정된다. 이는 예를 들어, 심판 R에 의해 "마킹되는" 경기 장비의 위치 P15와 디스플레이 장치(3) 사이의 거리를 연산함으로써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3) 내에/상에 장착되는 거리 센서를 통해 실현될 수 있다. 그 후, 광빔 L의 방출각 α가 측정 또는 연산 거리 D15 및/또는 측정 거리 D2에 따라 연산된다. 이러한 이유로, 메모리(16)에 저장된 9.15m의 거리에 기초한, 적정한 알고리즘이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4)에 저장되어, 연산된 방출각 α로 광 빔 L을 방사시킴으로써, 0.15m의 정확한 반경을 가진 원이 경기장(22) 상에서 경기 장비(15) 주위로 투영된다.
그러나 바람직한 경우, 제 2 변형예에 따르면, 방출각 α가 1회로 미리 프로그래밍되거나 설정된다.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4)가 경기 장비(15) 또는 위치 P15의 신호를 수신하자마자, 디스플레이 장치(3)가 경기 장비(15)의 정확하게 수직 상방으로 기설정 거리로 이동한다. 이는 디스플레이 모드 MA가 활성화될 때마다, 디스플레이 장치(3)가 항상 경기 장비(15)에 대해 동일 위치로 이동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또한, 광빔 L의 방출각 α가 항상 동일해야 하며, 방출각 α의 1회 결정은 항상 경기장(22) 상에서 경기 장비(15) 주위로 9.15m의 정확한 반경을 가진 원을 투영하기에 충분하다.
이어서, 경기장(22) 상에 마킹 A를 실제 투영시키기 위해, 적절한 신호(20A)가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4)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3)로 송신되어, 광 빔 L을 방출한다.
마킹 A가 경기장(22) 상에 투영될 경우, 참가자는 경기 장비(15)까지 디스플레이되는 거리를 유지시킬 것을 권장받는다. 이것이 시간 내에 또는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심판 R은 예를 들어, 옐로 카드로, 선수에게 벌칙을 줄 수 있다. 경기를 너무 오랜 시간 중단시키지 않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3)를 통해 벽 바로 앞의 경기장(22) 상에 5초의 카운트다운을 투영함으로써 심판 R을 위한 추가적인 도움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참가자는 투영된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자신이 아직 가진 시간을 인지할 수 있다.
위치 P15 결정 후 경기 장비(15)가 위치 P15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경기 장비(15)에 디스플레이 장치(3)에 의해 작은 광점이 투영될 수 있고, 또는, 경기장(22) 상에 경기 장비(15) 바로 근처에 디스플레이 장치(3)에 의해 작은 원 또는 피치 원(pitch circle)이 투영될 수 있다.
모든 참가자가 정확한 위치에 도달하자마자, 심판은 호루라기를 불어 경기를 다시 재개시킬 수 있다. 공을 가진 팀이 경기 장비(15)를 첫번째로 움직임으로써 상대방이 경기 장비(15)에 가까이 다가오는 것이 허용된다. 정상적 경기의 이러한 재개로 디스플레이 모드 MA가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이는 심판 R 자신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그러나, 심판 R이 프리킥 후 경기에 다시 집중함에 따라, 다른 사람이, 예를 들어, 제 2 원격 제어 수단(17)을 통해, 디스플레이 모드 MA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고, 선호된다. 디스플레이 모드 MA의 비활성화로, 방송 디렉터는 이동 모드 MB에 대한 제어를 다시 얻는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모드 MA 동안 방송 디렉터는 적어도 카메라(7)의 녹화 모드 MF에 대한 제어를 가지고 있었다.
원격 제어 수단(17)은 임의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본 기능을 위해, 적어도 "전원 버튼" 및 "위치 버튼"이 있어야 한다. "전원 버튼"으로, 디스플레이 모드 MA가 활성화된다. "위치 버튼"으로, 경기 장비(15)의 위치 P15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마킹된다. 또한 "스위치-오프 버튼"(switch-off button)이 제공될 수 있다. 원격 제어 수단(17) 상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역시 도움이 된다. 디스플레이 모드 MA의 진행 또는 현재 상태가 이러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통해 눈에 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깜박임 또는 진동과 같은 신호가 원격 제어 수단(17)에 의해 또한 출력될 수 있다. 이 신호는 마킹 A가 경기장(22) 상에 정확하게 투영되고 있음을 심판 R을 위해 표시한다. 추가적으로, "카운트다운" 버튼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할 때, 심판의 의사 결정권을 제한하지 않으면서 경기장 주위로 추가의 복잡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필요성없이, 프리킥의 경우에 경기를 간단한 방식으로 더욱 공정하게 그리고 더욱 빠르게 진행할 수 있는 가능성이 생성된다. 대신에, 발명에 따르면, 스타디움에 종종 사용되는 "플라잉" 카메라 시스템의 이송 장치가, 경기장 위에 프리킥 거리 투영 장치(=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가동식 캐리어(movable carrier)C로 기능한다.
도면부호
1 장치
2 스포츠 시설
3 디스플레이 장치
4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5 인터페이스
6 카메라 시스템 제어 장치
7 카메라
8 이송 장치
9 캐리어 장치
10 로프
11 스타디움 천장
12 가이드 롤러
13 구동 장치
14 검출 장치
15 경기 장비(축구공)
16 메모리
17 원격 제어 수단
18 위치 송신기
19 고정 장치
20 신호
21 카메라 시스템
22 경기장
A 마킹
L 광빔
MA 디스플레이 모드
MB 이동 모드
MF 녹화 모드
P15 경기 장비 위치
P17 원격 제어 수단 위치
D2 경기장까지의 거리
D15 경기 장비까지의 거리
R 심판
α 방출각

Claims (26)

  1. 스포츠 시설(2)의 경기장(22) 상에서 참가자와, 경기 장비(15), 특히 축구공 사이에서 유지되어야할 거리 형태의 마킹(A)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1)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경기장(22)에 상기 마킹(A)을 나타내는 광빔(L)을 투영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3)를 포함하고, 투영되는 광빔(L)은 유지되어야할 거리를 디스플레이하고, 경기장(22) 상에서 경기 장비(15) 주위로, 특히 9.15m 거리에, 원 형상의 적어도 구획으로 투영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는 스포츠 시설(2) 위에서 이동가능한 이송 장치(8)와 함께 이동가능한
    장치(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는 상기 이송 장치(8)에, 바람직한 경우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장치(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경기장(22) 상의 축구 경기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7)가, 상기 이송 장치(8)에, 바람직한 경우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이송 장치(8) 및 카메라(7)는 카메라 시스템(21)을 형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는 상기 카메라 시스템(21)과 함께 이동가능한
    장치(1).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기장(22)에 마킹(A)을 투영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3)를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드(MA)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4)를 더 포함하는
    장치(1).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4)는 경기장(22) 위에 이송 장치(4)의 이동, 바람직한 경우, 전체 카메라 시스템(21)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모드(MB)를 포함하는
    장치(1).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4)는 경기장(22) 위에서 이동가능한 상기 카메라 시스템(21)의 카메라 시스템 제어 장치(6)에 대한 인터페이스(5)를 포함하는
    장치(1).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장치(8)가 상기 장치(1)의 일부분인
    장치(1).
  8.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시스템(21)은 카메라 시스템 제어 장치(6)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시스템(21)의 카메라(3)는 상기 카메라 시스템 제어 장치(6)와 신호 연결되는
    장치(1).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시스템 제어 장치(6)는 한편으로, 상기 카메라(7)에 의해 수행되는 촬영, 바람직한 경우 상기 이송 장치(8)에 대해 상대적으로 수행되는 카메라(7)의 이동까지 제어할 수 있는 녹화 모드(MF)를 포함하고, 다른 한편으로 상기 이송 장치(8)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모드(MB)를 포함하는
    장치(1).
  10. 제 3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장치(8)는
    - 카메라(7)를 위한 캐리어 장치(9)와,
    - 상기 캐리어 장치(9)에 고정되는 적어도 2개의, 바람직한 경우 4개의, 로프(10)와,
    - 경기장(22) 위에, 바람직한 경우 스타디움의 천정(11) 상에, 고정되는 로프(10)용 가이드 롤러(12)와,
    - 상기 로프(10)용 구동 장치(13)를 포함하는
    장치(1).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기장(22) 상에 경기 장비(15)의 위치(P15)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장치(14)를 포함하는
    장치(1).
  12. 제 11 항에 있어서,
    경기 장비(15)에 대한 디스플레이 장치(3)의 거리(D15)와, 경기장(22)에 대한 디스플레이 장치(3)의 거리(D2)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검출 장치(14)를 이용하여 검출될 수 있는
    장치(1).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장치(14)는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4)를 이용하여 제어될 수 있는
    장치(1).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모드(MA)에서, 광빔(L)은 검출 장치(14)에 의해 검출되는 경기 장비(15)의 위치(P15)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3)를 통해 경기장(22)에 투영될 수 있는
    장치(1).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 모드(MB)에서, 바람직한 경우, 상기 이송 장치(8)의 캐리어 장치(9)에 또는 카메라(7)에 고정된, 디스플레이 장치(3)가 상기 경기 장비(15)의 검출된 위치(P15)에 따라 상기 이송 장치(8)를 통해 이동가능한
    장치(1).
  16. 제 4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A)은 조정가능한 또는 기결정된 거리 측정치, 바람직한 경우 9.15m에 대응하고, 상기 거리 측정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4)의 메모리(16)에 저장되는
    장치(1).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를 작동시키기 위한 원격 제어 수단(17)을 더 포함하며,
    상기 원격 제어 수단(17)이, 바람직한 경우, 심판(R)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장치(1).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수단(17)은 위치 송신기(18)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송신기를 통해 경기장(22) 상의 상기 원격 제어 수단(17)의 위치(P17)가 상기 검출 장치(14)의 수신기에 신호 송신될 수 있거나 상기 검출 장치(14)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장치(1).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수단(17)을 통해, 바람직한 경우, 상기 원격 제어 수단만을 통해, 상기 경기 장비(15)의 위치(P15)가 경기장(22) 상에서 검출될 수 있는
    장치(1).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수단(17)은 상기 경기 장비(15) 상에 위치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원격 제어 수단(17) 상의 버튼이 심판(R)에 의해 눌러져서, 상기 검출 장치(14)에 송신되는 원격 제어 수단(17)의 위치(P17)가 상기 경기 장비(15)의 위치(P15)에 대응하는
    장치(1).
  21. 제 17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MA) 및 이동 모드(MB)는 원격 제어 수단(17)을 통해 활성화될 수 있고, 활성화된 디스플레이 모드(MA) 및 활성화된 이동 모드(MB)의 경우에, 상기 이송 장치(8)의 이동이 상기 원격 제어 수단(17)을 통해서만 제어될 수 있는
    장치(1).
  22. 특히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1)를 이용하여, 스포츠 시설(2)의 경기장(22) 상에서 참가자와 경기 장비(15), 특히, 축구공 사이에서 유지되어야할 거리 형상의 마킹(A)을 투영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 상기 경기장(22) 위에서 이동가능한 이송 장치(8) 상에 디스플레이 장치(3)를 장착하는 단계와,
    - 상기 이송 장치(8)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3)에 의해 경기장(22)에 경기 장비(15) 주위로 바람직한 경우 9.15m 거리의, 원 형상의 구획으로 마킹(A)을 나타내는 광빔(L)을 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투영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경기 장비(15)의 위치(P15)는,
    경기 장비(15) 상에 심판(R)에 의해 원격 제어 수단(17)을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 제어 수단(17)이 경기 장비(15) 상에 위치할 때 상기 원격 제어 수단(17)의 버튼을 누르는 단계와,
    검출 장치(14)를 함께 형성하는 상기 원격 제어 수단(17)의 위치 송신기(18)를 통해 상기 검출 장치(14)의 수신기에 상기 원격 제어 수단(17)의 위치(P17)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송신은 버튼을 누름으로써 트리거링되고, 상기 원격 제어 수단(17)의 송신되는 위치(P17)는 상기 경기 장비(15)의 위치(P15)에 대응함 -
    를 통해 상기 검출 장치(14)에 의해 검출되는
    투영 방법.
  24.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투영 단계 이전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와 함께 상기 이송 장치(8)는 상기 경기 장비(15) 위의, 바람직한 경우 수직으로 위의,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이동은 상기 경기 장비(15)의 검출되는 위치(P15)에 따라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4)의 이동 모드(MB)에서 수행되는
    투영 방법.
  25. 제 22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와 경기 장비(15) 사이의 거리(D15)를 결정하는 단계와,
    검출되는 거리(D15)에 따라 상기 광빔(L)의 방출각(α)을 연산하는 단계와,
    스포츠 시설(2)에 상기 경기 장비(15) 주위로 9.15m의 거리에 마킹(A)을 투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투영 방법.
  26. 스포츠 시설(2)의 경기장(22)에 유지되어야할 마킹(A)을 나타내는 광빔(L)을 투영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3)를 장착하기 위해 스포츠 시설(2)의 경기장(22) 위에 배열되는 가동식 이송 장치(8)의 용도에 있어서,
    투영되는 광빔(L)은 경기장(22)에 경기 장비(15) 주위로, 특히 9.15m 거리의, 원 형상 구획으로 투영될 수 있는
    가동식 이송 장치(8)의 용도.
KR1020177006924A 2014-08-14 2015-08-14 프리킥 거리 투영 장치 KR201700426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632/2014 2014-08-14
ATA632/2014A AT516137A1 (de) 2014-08-14 2014-08-14 Freistoßabstandsanzeigevorrichtung
PCT/AT2015/000108 WO2016023051A1 (de) 2014-08-14 2015-08-14 FREISTOßABSTANDSPROJIZIERVOR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2686A true KR20170042686A (ko) 2017-04-19

Family

ID=54151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6924A KR20170042686A (ko) 2014-08-14 2015-08-14 프리킥 거리 투영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653936B2 (ko)
EP (1) EP3180096B1 (ko)
KR (1) KR20170042686A (ko)
CN (1) CN106794374B (ko)
AT (1) AT516137A1 (ko)
AU (1) AU2015303807A1 (ko)
ES (1) ES2845622T3 (ko)
WO (1) WO20160230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56433A (zh) * 2017-07-20 2017-10-17 北京颜值担当体育科技有限公司 预订管理装置、信息处理装置、其方法以及存储介质
ES2813110A1 (es) * 2017-09-29 2021-03-22 Garcia Horacio Souto Dispositivo señalizador de áreas a distancia para fútbol
CN108131537A (zh) * 2017-12-28 2018-06-08 徐州茵文特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使用稳定的投影设备
KR102525081B1 (ko) 2018-07-26 2023-04-21 무스코 코포레이션 주문제작가능한 축구 미니-피치 시스템의 설계 및 설치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207582B2 (en) * 2019-11-15 2021-12-28 Toca Football, Inc. System and method for a user adaptive training and gaming platform
AT523162B1 (de) * 2020-02-17 2021-06-15 Siegmund Ruff System und Verfahren zur Spielfeldmarkierung
US11514590B2 (en) 2020-08-13 2022-11-29 Toca Football, Inc. System and method for object tracking
US11710316B2 (en) 2020-08-13 2023-07-25 Toca Football, Inc. System and method for object tracking and metric generation
CN112263822A (zh) * 2020-09-21 2021-01-26 南京林业大学 一种现代化网球训练装置
DE102022107352A1 (de) 2022-03-29 2023-10-05 Bernard Reichenpfader Vorrichtung zum Positionieren und Ausrichten von Abschlagmarkierungen
CN114754276A (zh) * 2022-05-16 2022-07-15 深圳市鸿茂元智光电有限公司 一种室内节能型led显示屏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1662A (en) * 1971-06-16 1973-06-26 W Pioch Visible line marker
US4090708A (en) 1976-10-26 1978-05-23 Mcpeak Walter G Apparatus for marking football fields
EP0128935A4 (en) 1982-12-01 1987-09-02 Garrett W Brown IMPROVED SUSPENSION SYSTEM FOR SUPPORTING AND TRANSPORTING EQUIPMENT, SUCH AS A CAMERA.
GB8815011D0 (en) 1988-06-23 1988-07-27 Aubusson R C Programmable line-marking system for multi-purpose sports areas
US5346210A (en) * 1992-08-28 1994-09-13 Teem Systems, Inc. Object locator system
US5342041A (en) * 1993-02-05 1994-08-30 Aaron Agulnek Guiding system for athletes
US5683302A (en) * 1997-02-18 1997-11-04 Harrell; John N. Laser bowling ball guiding apparatus
HU224750B1 (en) 2000-03-31 2006-01-30 Chemiker Do Brasil Produtos Au Process for temporary demarcation of regulation distances in sport
AU2001248130A1 (en) 2000-04-11 2001-10-23 Jens Peters Cable-controlled device
DE10124012A1 (de) 2000-06-07 2002-01-03 Willy Fieseler Spielfeldmarkiervorrichtung
US20020099457A1 (en) * 2001-01-25 2002-07-25 Fredlund John R. System and method for representing an activity involving a route along a plurality of locations
US6976928B2 (en) * 2001-04-03 2005-12-20 Charles Hemphill Sports ball spotting apparatus
CO5310584A1 (es) * 2002-02-25 2003-08-29 Harold Hugo Gonzalez Sistemas de dispositivos electronicos de ayuda arbitral para el futbol
US6907840B1 (en) * 2002-04-15 2005-06-21 Marcus A. Gaines Football first down indicator system
US6796041B2 (en) * 2002-12-16 2004-09-28 First Down Laser Systems, Llc System for operating one or more lasers to project a visible line onto a grass-covered surface
US20040111903A1 (en) * 2002-12-16 2004-06-17 Alan Amro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marking athletic fields using a hand held user interface
US7219438B2 (en) * 2002-12-16 2007-05-22 First Down Laser, Llc. System for operating one or more suspended laser projectors to project a temporary visible image onto a surface
US20070238539A1 (en) * 2006-03-30 2007-10-11 Wayne Dawe Sports simulation system
GB2401231A (en) * 2004-05-21 2004-11-03 Steven Archibald An alarm device for a referee
US7385180B2 (en) * 2005-06-01 2008-06-10 Virtek Vision International, Inc. Laser projector with brightness control and method
AU2006287438B2 (en) * 2005-09-07 2009-11-19 Wavecam Media, Inc. Aerial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for image capture
CN101449204A (zh) 2005-09-07 2009-06-03 实况活动媒体公司 用于图像捕获的空中支撑结构和方法
US7185439B1 (en) * 2006-01-09 2007-03-06 Nubin Rodney T System for measuring the position of a ball in a sporting event
DE102006020018A1 (de) 2006-04-26 2006-12-14 Vincenzo Gabriele Curto Überwachungsvorrichtung für ein Spielfeld
CN101116777A (zh) * 2006-07-31 2008-02-06 李岩 足球电子裁判
US20080034598A1 (en) * 2006-08-14 2008-02-14 Boccardi Joe S Positioning system for use in a football game
US20100137079A1 (en) * 2007-06-11 2010-06-03 Timothy Andrew Burke Method and device for sports skill training
JP5719170B2 (ja) * 2007-09-21 2015-05-13 プレイデータ エルエルシー 物体の位置及び運動検出システム、及び方法
DE102007049147A1 (de) 2007-10-12 2009-04-16 Robert Bosch Gmbh Sensorsystem zum Erfassen von Bewegungsabläufen oder Spielsituationen beim Sport
US8199197B2 (en) 2008-02-20 2012-06-12 Actioncam. LLC Aerial camera system
US9185361B2 (en) * 2008-07-29 2015-11-10 Gerald Curry Camera-based tracking and position determination for sporting events using event information and intelligence data extracted in real-time from position information
US9186548B2 (en) * 2009-07-20 2015-11-17 Disney Enterprises, Inc. Play sequence visualization and analysis
US8870689B2 (en) * 2009-11-19 2014-10-28 Wilson Sporting Goods, Co. American-style football including electronics coupled to the bladder
WO2011079115A1 (en) * 2009-12-23 2011-06-30 Cablecam, Inc. Aerial movement system with safety line
WO2011079122A1 (en) 2009-12-23 2011-06-30 Cablecam,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alibrating an aerial movement system
NZ749991A (en) * 2010-01-05 2020-01-31 Isolynx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event data
CN202637866U (zh) 2012-04-13 2013-01-02 上海电机学院 智能网球捡球机
US10200722B2 (en) * 2012-12-17 2019-02-05 Skycam,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lassifying and transmitting data from an event
US9551779B2 (en) * 2013-01-04 2017-01-24 Yariv Glazer Controlling movements of pointing devices according to movements of obje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80096B1 (de) 2020-10-21
ES2845622T3 (es) 2021-07-27
CN106794374B (zh) 2020-03-24
US10653936B2 (en) 2020-05-19
AU2015303807A1 (en) 2017-03-16
WO2016023051A1 (de) 2016-02-18
AT516137A1 (de) 2016-02-15
EP3180096A1 (de) 2017-06-21
US20170225056A1 (en) 2017-08-10
CN106794374A (zh) 201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42686A (ko) 프리킥 거리 투영 장치
US10729985B2 (en) Retro-reflective optical system for controlling amusement park devices based on a size of a person
KR101239527B1 (ko) Led 광 센서가 구비된 야구 타격 및 피칭 연습시스템
US9967470B2 (en) Automated camera tracking system for tracking objects
KR101494308B1 (ko) 적외선센서바와 카메라를 이용한 스크린 야구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KR102464170B1 (ko) 테니스 자율 훈련 시스템
BG112225A (bg) Универсалнa електронна система за възстановяване позициите на топки при игри на маса като снукър, билярд, пул и други игри
KR20090112538A (ko) 조명 제어를 이용한 골프 영상 획득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영상처리 기반의 골프 연습 시스템
JP5344349B2 (ja) 通過タイム計測システム
JP2010121915A (ja) 射撃訓練用模擬対抗装置
CN112995621B (zh) 一种具有红外唤醒功能的智能投影装置和监控方法
KR101037660B1 (ko) 골프장에서의 골프공 감지장치
KR102433080B1 (ko) 가상 현실 게임용 플레이어 위치 기반 조명 연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가상 현실 시스템
KR20130045786A (ko) 영상컨텐츠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
US11253768B1 (en) Combination systems and methods of safe laser lines for delineation detection, reporting and AR viewing
KR102262886B1 (ko) 적외선 뎁스 카메라센서를 이용한 체감형 스포츠 인식시스템
KR20160139578A (ko) 클럽헤드의 궤적을 증강현시하는 장치 및 그 방법
ES1216785U (es) Dispositivo de señalización de distancias
KR101379215B1 (ko) 이동 물체의 속도 측정 장치
JPH08247700A (ja) 前進後退する移動標的の命中弾表示装置
CN110091359A (zh) 一种机器人娱乐设备
JP2005169054A (ja) 映像表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