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9578A - 클럽헤드의 궤적을 증강현시하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클럽헤드의 궤적을 증강현시하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9578A
KR20160139578A KR1020150074725A KR20150074725A KR20160139578A KR 20160139578 A KR20160139578 A KR 20160139578A KR 1020150074725 A KR1020150074725 A KR 1020150074725A KR 20150074725 A KR20150074725 A KR 20150074725A KR 20160139578 A KR20160139578 A KR 20160139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b head
module
sensing
image
illumination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4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서형
이정희
전수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이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이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이스코
Priority to KR1020150074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9578A/ko
Publication of KR20160139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5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클럽의 스윙 궤적을 클럽헤드의 궤적을 증강현시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골프 스윙 시 감지센서광의 송신과 상기 감지센서광이 상기 클럽헤드에 의하여 차단되어지는 수신 감지에 의하여 실제 다운스윙을 감지하는 클럽감지 모듈, 상기 클럽감지 모듈의 다운스윙 감지에 따라 타격지점 주위의 소정의 영역에 조명광을 조사하는 조명램프 모듈, 상기 조명램프 모듈에서 조사되어진 상기 조명광이 다운스윙되는 상기 사용자 골프 클럽헤드에 의하여 반사되어지고, 이때 상기 조명광 영역의 영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취득되어진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클럽헤드에 의하여 반사되어진 상기 조명광의 반사이미지를 추출하는 제어프로세서 모듈 및 상기 제어프로세서 모듈에서 추출한 상기 클럽헤드의 반사이미지를 실제로 상기 타격지점 영역에 투영하여 보여주는 이미지투영 모듈로 구성되어, 클럽헤드의 다운스윙 궤적이 실제 타격지점에서 뚜렷이 시각화되어 사용자의 다운스윙 궤적의 분석을 한눈에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증강현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클럽헤드의 궤적을 증강현시하는 장치 및 그 방법{Device and method for the augmented manifestation of the trajectory of the club head}
본 발명은 클럽헤드의 궤적을 증강현시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학적 감지수단과 카메라를 사용하여 다운스윙 시에 클럽헤드의 움직인 궤적을 영상 취득하고, 상기 영상에서 상기 클럽헤드의 움직인 궤적을 그대로 현실 타격 위치에 재생하여 나타내어 주는 클럽헤드의 궤적을 증강현시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골프는 근래 대중화가 진행되고 있는 스포츠이나 많은 사람들이 난해한 골프자세로 인해 슬라이스 훅과 같은 볼의 방향성에 많은 고민을 하는 운동이다.
이는 모두 잘못한 골프스윙 자세 및 궤도에서 오는 문제점들로서 많은 다수의 골퍼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골프 연습장등 지정된 공간에서 다수의 스윙을 수행한다.
이 경우 또한 잘못된 자세를 교정하기 위해 거울 등의 보조기구를 통해 자신의 스윙궤도를 점검하거나 골프지식을 지닌 코치 등을 통해 교정을 받기도 한다. 그러나 거울 등의 보조 기구를 이용할 경우 골퍼의 시선 처리 등의 문제로 정확한 체크가 어렵고 전문코치를 이용할 경우 경제적 부담감을 가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골퍼라면 프로, 아마추어, 초심자를 불문하고 골프공을 보다 더 멀리 똑바로 보내기를 소망한다. 비거리는 공의 속도에 비례하고, 공의 속도는 헤드속도에 비례하기 때문에 골퍼는 똑바로 멀리 보내기 위하여 헤드 궤적, 다운스윙 각도, 스윙 스피드 및 페이스 방향 등을 수시로 연습한다. 골프스윙의 연습을 위해 종래의 연습 장치들이 제시되어 왔다.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2-0079095호에 골프용 헤드업 방지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골퍼의 스윙자세를 고정시켜 헤드업을 방지하기 위하여 골퍼가 임팩트 한 후 플래쉬 섬광을 눈으로 느낄 때까지 헤드업을 하지 않고 스윙 자세를 그대로 유지하여야 하는 것으로, 상기 플래쉬 섬광은 단순히 타격지점만을 비추이는 목적으로 고안되어 다운스윙 궤적을 시각화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또 다른 종래의 기술로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1999-0057433호에 골프 스윙 가이드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골프채의 골프 클럽에 장착되어 광을 방출함으로써 스윙 궤도를 표시하는 골프 스윙 가이드 램프 수단, 및 상기 골프채의 일부에 장착되어 상기 골프 스윙 가이드 램프 수단에 전력을 공급해 주는 전원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광학적 수단을 사용하여 원거리에서도 상기 클럽헤드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실제 다운스윙 시에 골프스윙 궤적 이미지화를 효과적으로 재현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다른 종래의 기술로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113945호에 증강현실을 이용한 실시간 골프스윙 매칭분석 및 개선 모듈화 알고리즘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신체사이즈 측정모듈이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와 체형을 측정하여 수치화하고 매칭 모듈이 사용자와 신체조건이 가장 유사한 프로골퍼를 1:1로 매칭시킨 후 사용자의 스윙영상과 프로골퍼의 스윙영상을 교차분석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실시간 골프스윙 매칭분석 및 개선 모듈화 알고리즘에 관한 것으로, 실제 사용자의 골프클럽의 궤적을 증강현시하여 나타내어 주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실제 다운스윙을 한 후에 클럽헤드의 궤적을 실제 타격지점에 그대로 재현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증강현시 장치는 모듈식 구조에 의하여 일정 높이에 설치되어지고, 감지센서광에 의하여 클럽헤드의 다운스윙을 감지하고, 실제 다운스윙 시에 적절한 광량의 조명광이 사용자의 클럽헤드에서 반사되도록 하며, 이미지센서를 이용하여 클럽헤드 반사이미지의 영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를 가공 처리하여, 조명광의 반사이미지만을 실제 타격지점에 증강현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골프스윙 궤적의 이미지화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갈바노미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골프 클럽헤드의 스윙 궤적을 현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골프 스윙 시 감지센서광의 송신과 상기 감지센서광이 상기 클럽헤드에 의하여 차단되어지는 수신 감지에 의하여 실제 다운스윙을 감지하는 클럽감지 모듈, 상기 클럽감지 모듈의 다운스윙 감지에 따라 타격지점 주위의 소정의 영역에 조명광을 조사하는 조명램프 모듈, 상기 조명램프 모듈에서 조사되어진 상기 조명광이 다운스윙되는 상기 사용자 골프 클럽헤드에 의하여 반사되어지고, 이때 상기 조명광 영역의 영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취득되어진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클럽헤드에 의하여 반사되어진 상기 조명광의 반사이미지를 추출하는 제어프로세서 모듈 및 상기 제어프로세서 모듈에서 추출한 상기 클럽헤드의 반사이미지를 실제로 상기 타격지점 영역에 투영하여 보여주는 이미지투영 모듈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럽헤드의 궤적을 증강현시 되는 것을 통하여 달성되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골프클럽의 스윙 궤적을 현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클럽헤드의 궤적을 증강현시하는 장치를 설치하고 전원을 공급하는 제1단계, 상기 장치의 클럽감지 모듈에서 클럽헤드의 다운스윙을 감지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클럽헤드의 다운스윙 감지 시 조명램프 모듈을 점등하는 제3단계, 상기 조명램프 모듈의 점등과 동시에 카메라 모듈에 의한 타격지점 주위의 영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4단계, 제4단계에서 취득한 영상 데이터에서 클럽헤드에 의한 조명광의 반사이미지를 추출하고 위치 좌표를 계산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제5단계에서 추출한 상기 반사이미지를 이미지투영 모듈에 의하여 실제 타격지점의 영역에 레이저빔을 제어하여 투영하여 상기 클럽헤드의 반사이미지 궤적을 증강현시하는 제6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통하여 달성되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클럽헤드의 궤적을 증강현시하는 장치는 다양한 광학적 기술과 여러 가지 기술적 부품의 구성을 모듈식으로 조립화하여 시공이 간편하며 설치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럽헤드의 다운스윙 궤적이 실제 타격지점에서 뚜렷이 시각화되어 다운스윙시의 교정할 부분을 한눈에 식별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럽헤드의 다운스윙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고 분석하여 골프공의 비행구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럽헤드의 궤적을 증강현시하는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럽헤드의 궤적을 증강현시하는 장치의 작동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럽감지 모듈의 작동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투영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취득되어진 영상 데이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프로세서 모듈에서 영상 처리하여 추출한 클럽헤드의 반사이미지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투영 모듈에서 실제 타격지점 영역에 클럽헤드의 반사이미지의 궤적을 증강현시함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스윙 시 클럽헤드의 궤적을 현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럽헤드의 궤적을 증강현시하는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럽헤드의 궤적을 증강현시하는 장치의 작동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골프스윙 시 클럽헤드의 궤적을 증강현시하는 장치(이하 "증강현시 장치(100)")는 클럽감지 모듈(110), 조명램프 모듈(120), 카메라 모듈(130), 이미지투영 모듈(150) 및 제어프로세서 모듈(140)과 전원 모듈(16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증강현시 장치(100)는 상기 구성들이 기능단위의 모듈식으로 조립화할 수 있어 시공이 간편하며 설치비용을 절감하도록 구성되어진다.
이때, 도 2와 같이 상기 증강현시 장치는 사용자가 골프스윙 연습을 하는 실내 골프연습실 또는 골프연습장이나 이와 유사한 장소의 일정 높이의 천정이나, 각 모듈이 적절한 기능을 할 수 있는 곳에 설치되어질 수 있다. 상기 일정 높이란 골프스윙 시의 원활한 타격을 위한 타격지점 바닥과 충분한 거리를 의미하며, 본 발명은 충분한 원거리에서도 그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클럽감지 모듈(110)은 사용자가 골프 스윙 시 감지센서광의 송신과 상기 감지센서광이 상기 클럽헤드에 의하여 차단되어지는 수신 감지에 의하여 실제 다운스윙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다운스윙이란 일반적으로 평균 아마추어 골퍼의 경우 클럽헤드 스피드가 40m/sec 내외를 기준으로 하여 스윙을 하는 것을 말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럽감지 모듈의 작동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시와 같이 상기 클럽감지 모듈(110)은 적외선의 감지센서광을 송신하고 상기 클럽헤드에 의하여 상기 감지센서광이 차단됨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 제1감지센서(111)와 상기 제1감지센서(111)와 동일한 제2감지센서(11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감지센서(111)는 상기 타격지점 영역 후방 제1감지영역으로 제1감지센서광을 송신하고, 상기 제2감지센서(112)는 상기 제1감지영역과 중첩되어지고 상기 타격지점 영역 쪽으로 더 근접한 제2감지영역으로 제2감지센서광을 송신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클럽감지 모듈(110)은 사용자가 골프 스윙 시, 상기 제1감지영역의 시작지점에서 상기 클럽헤드에 의하여 차단됨을 1차 감지하고, 상기 제2감지영역의 시작지점에서 상기 클럽헤드에 의하여 차단됨을 2차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1차 감지와 상기 2차 감지 사이의 시간 범위가 일정시간 이내이면, 상기 클럽감지 모듈(110)은 상기 클럽헤드가 다운스윙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제어프로세서 모듈(140)에서는 상기 조명램프 모듈(120)의 점등을 지시한다.
상기 클럽감지 모듈(110)은 사용자의 다운스윙 스피드에 따라 상기 일정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조명램프 모듈(120) 상기 클럽감지 모듈(110)의 다운스윙 감지에 따라 타격지점 주위의 소정의 영역에 도 2와 같이 조명광을 조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명램프 모듈(120)은 조명광을 조사하는 제논 엘이디플래쉬 또는 고휘도 엘이디를 어레이로 채용하고, 추가적으로 투영렌즈 및 굴절 프리즘 또는 원통형 배열렌즈를 통하여 투영광학계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타격지점 주위의 사각형 영역으로 조명광을 조사함을 알 수 있다. 상기 조명광은 붉은색으로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붉은색 계열뿐만 아니라 이외의 다른 계열의 색을 갖는 조명광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투영광학계란 조명이나 영상 신호를 광학적 렌즈를 통하여 스크린에 투사 또는 조사하는 것을 의미하며, 일명 프로젝터(Projector)와 같은 개념으로 사용된다.
상기 조명램프 모듈(120)은 상기 조명광이 주변 광도에 비례하여 조절되어지도록 LED의 전류를 조절하는 광량조절 스위치와 상기 광량조절 스위치에 의하여 전류가 조절되는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광량조절 스위치에 의하여 외부환경의 밝기에 따라 적절한 조명광이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어두운 곳에서의 다운스윙 시 상기 조명광의 반사이미지가 너무 밝게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광량조절 스위치는 UP/DOWN 버튼이 달린 스위치이거나 자동 광량 조정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조명램프 모듈(120)은 0.1초 내지 0.5초의 시간 범위 이내에서 조명광을 투영하고 오프(Off)되어진다. 이는 상기 시간 범위가 사용자의 클럽헤드가 클럽감지 모듈(110)에서 다운스윙으로 인식한 시점부터 사용자가 다운스윙을 마쳤을 때까지의 시간 범위이며, 상기 시간 범위는 상기 제어프로세서 모듈(140)의 시간을 조정하는 타이머 기능을 통하여 조절되어질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30) 상기 조명램프 모듈(120)에서 조사되어진 상기 조명광이 다운스윙되는 상기 사용자 골프 클럽헤드에 의하여 반사되어질 때, 상기 조명광 영역의 영상을 취득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영상 데이터를 취득한다는 것은 다른 말로 영상을 캡처한다고 표현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카메라 모듈(130)은 상기 사용자 골프 클럽헤드의 상기 조명광의 반사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취득하기 위하여, 상기 조명광 영역의 타격지점을 정확히 조망하고 효과적으로 상기 반사이미지를 취득할 수 있는 조명램프 모듈(120) 옆이나, 골프연습장 천정의 중앙 또는 적절한 곳에 위치되어진다.
상기 카메라 모듈(130)은 CCD 방식 또는 CMOS 방식중의 어느 하나의 이미지센서와 USB 방식, 블루투스 방식 , 와이파이(WiFi) 방식 또는 유/무선의 영상 전송 방식 중의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센서의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이미지센서는 상기 조명램프 모듈(120)의 점등과 동시에 0.1초 내지 0.5초의 시간 범위 이내에서 영상을 취득할 수 있도록 셔터 속도가 설정되어 상기 타격지점 주위와 상기 조명광 영역의 영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또한, 상기 조명광의 점등 시간에 맞추어 상기 이미지센서의 시간 범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는 상기 제어프로세서 모듈(140) 또는 외부 모니터(미도시)로 전송되어질 수 있다.
상기 외부 모니터는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시각화하도록 출력하여 상기 조명광의 스윙 궤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모니터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여 다양하게 분석할 수 있는 컴퓨터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어프로세서 모듈(140)로 전송하고 이를 실제 타격지점에서 증강현시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어프로세서 모듈(140)은 상기 카메라 모듈(130)에서 취득되어진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클럽헤드에 의하여 반사되어진 상기 조명광의 반사이미지만을 추출하는 영상 처리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프로세서 모듈(140)은 상기 영상 처리뿐만 아니라 상기 클럽감지 모듈(110), 상기 조명램프 모듈(120), 상기 카메라 모듈(130) 및 상기 이미지투영 모듈(150)의 제어를 담당하는 중앙처리 장치의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상기 제어프로세서 모듈(140)은 상기 조명광 영역의 캡쳐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 중에서 상기 클럽헤드의 다운스윙 궤적에 따른 상기 조명광의 붉은색 반사이미지만을 추출하면서, 상기 조명광 영역에 상기 반사이미지 궤적을 연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반사이미지의 위치 좌표를 함께 검출하는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추출된 상기 반사이미지에서 중앙 부분의 궤적만을 뚜렷이 하는 보정 작업도 함께 수행하여, 상기 반사이미지가 연속적인 실선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투영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시와 같이 상기 이미지투영 모듈(150)은 X축과 Y축의 검류계(Galvanometer) 모터(151)에 각각 반사거울(152)이 부착되어 이루어진 X축스캐너와 Y축스캐너의 형태의 갈바노미러이다.
그러므로 상기 이미지투영 모듈(150)은 상기 제어프로세서 모듈(140)에서 추출하고 계산된 상기 클럽헤드에서 반사된 상기 조명광의 반사이미지만의 궤적을 실제로 상기 타격지점 영역에 그대로 투영하여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이미지투영 모듈(150)은 상기 제어프로세서 모듈(140)의 입력 신호에 따라 실제 타격지점 영역에 상기 X축 검류계 모터(151)와 Y축 검류계 모터(151)로 상기 반사이미지의 좌표에 따른 위치 동기를 맞추면서 레이저빔을 반사하여 제어하면서 상기 반사이미지를 실선으로 투영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취득되어진 영상 데이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5b는 제어프로세서 모듈(140)에서 영상 처리하여 추출한 클럽헤드의 반사이미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5c는 이미지투영 모듈(150)에서 실제 타격지점 영역에 클럽헤드의 반사이미지의 궤적을 증강현시함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상기 전원 모듈(160)은 외부 교류 전원의 직류 전원 변환 장치 또는 내장형 직류 배터리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증강현시 장치(100)에 포함하는 각각의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상기 사용자 골프클럽의 클럽헤드가 광택이 있는 재질일 경우에는 상기 조명광이 그대로 반사되어질 수 있으나, 상기 사용자 골프클럽의 클럽헤드가 무광택일 시는 상기 조명광을 반사하는 반사마크(미도시)를 상기 클럽헤드의 상부 소정의 위치에 부착하여 상기 조명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스윙 시 클럽헤드의 궤적을 증강현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은 골프클럽의 스윙 궤적을 증강현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클럽헤드의 궤적을 증강현시하는 장치를 설치하고 전원을 공급하는 제1단계(S100), 상기 장치의 클럽감지 모듈(110)에서 클럽헤드(10)의 다운스윙을 감지하는 제2단계(S200),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클럽헤드의 다운스윙 감지 시 조명램프 모듈(120)을 점등하는 제3단계(S300), 상기 조명램프 모듈(120)의 점등과 동시에 카메라 모듈(130)에 의한 타격지점 주위의 영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4단계(S400), 상기 제4단계에서 취득한 영상 데이터에서 클럽헤드에 의한 조명광의 반사이미지를 추출하고 위치 좌표를 계산하는 제5단계(S500) 및 상기 제5단계에서 추출한 상기 반사이미지를 이미지투영 모듈(150)에 의하여 실제 타격지점의 영역에 레이저빔을 제어하여 투영하여 상기 조명광의 반사이미지의 궤적을 증강현시하는 제6단계(S600)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타격지점 주위에서 클럽헤드의 다운스윙을 감지하고, 상기 클럽헤드에서 반사되는 조명광을 영상 취득하여, 상기 클럽헤드의 반사이미지의 스윙 궤적을 실제 타격지점의 영역에 그대로 증강현시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술적 모듈의 구성과 방법적 요소를 바탕으로 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클럽헤드(10) 증강현시 장치(100)
클럽감지 모듈(110) 제1감지센서(111)
제2감지센서(112) 조명램프 모듈(120)
카메라 모듈(130) 제어프로세서 모듈(140)
이미지투영 모듈(150) 검류계 모터(151)
반사거울(152) 전원 모듈(160)

Claims (12)

  1. 골프 클럽헤드의 스윙 궤적을 현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골프 스윙 시 감지센서광의 송신과 상기 감지센서광이 상기 클럽헤드에 의하여 차단되어지는 수신 감지에 의하여 실제 다운스윙을 감지하는 클럽감지 모듈,
    상기 클럽감지 모듈의 다운스윙 감지에 따라 타격지점 주위의 소정의 영역에 조명광을 조사하는 조명램프 모듈,
    상기 조명램프 모듈에서 조사되어진 상기 조명광이 다운스윙되는 상기 사용자 골프 클럽헤드에 의하여 반사되어지고, 이때 상기 조명광 영역의 영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취득되어진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클럽헤드에 의하여 반사되어진 상기 조명광의 반사이미지를 추출하는 제어프로세서 모듈 및
    상기 제어프로세서 모듈에서 추출한 상기 클럽헤드의 반사이미지를 실제로 상기 타격지점 영역에 투영하여 보여주는 이미지투영 모듈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럽헤드의 궤적을 증강현시하는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럽감지 모듈은 적외선의 감지센서광을 송신하고 상기 클럽헤드에 의하여 상기 감지센서광이 차단됨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 제1감지센서와 상기 제1감지센서와 동일한 제2감지센서가 이중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럽헤드의 궤적을 증강현시하는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센서는 상기 타격지점 영역 후방 제1감지영역으로 제1감지센서광을 송신하고, 동시에 상기 제2감지센서는 상기 제1감지영역과 일정부분 중첩되어지고 상기 타격지점 영역 쪽으로 더 근접한 제2감지영역으로 제2감지센서광을 송신하여,
    상기 제1감지영역의 시작지점에서 상기 클럽헤드에 의하여 차단됨을 1차 감지하고, 상기 제2감지영역의 시작지점에서 상기 클럽헤드에 의하여 차단됨을 2차 감지하여,
    상기 1차 감지와 상기 2차 감지 사이의 시간 범위가 일정시간 이내일 때,
    상기 클럽헤드의 다운스윙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럽헤드의 궤적을 증강현시하는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램프 모듈은 제논 엘이디플래쉬 또는 고휘도 엘이디를 어레이로 채용하여 상기 타격지점 주위의 소정의 영역으로 조명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럽헤드의 궤적을 증강현시하는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램프 모듈은 상기 조명광이 주변 광도에 비례하여 조절되어지도록 광량조절 스위치에 의하여 전류를 조절하는 회로를 구비하고, 외부환경의 밝기에 따라 상기 조명광이 조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럽헤드의 궤적을 증강현시하는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CCD 방식 또는 CMOS 방식중의 어느 하나의 이미지센서와 유/무선의 영상 전송 방식 중의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센서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럽헤드의 궤적을 증강현시하는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센서는 상기 조명램프 모듈의 점등과 동시에 0.1초 내지 0.5초의 시간 범위 이내에서 영상을 취득할 수 있도록 셔터 속도가 설정되어, 상기 타격지점 주위의 상기 조명광 영역의 영상을 캡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럽헤드의 궤적을 증강현시하는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영상 데이터 처리 및 상기 클럽감지 모듈, 상기 조명램프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이미지투영 모듈의 제어를 담당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럽헤드의 궤적을 증강현시하는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조명광 영역의 캡쳐 영상 중에 상기 클럽헤드의 다운스윙 궤적에 따른 상기 조명광의 반사이미지만을 영상 처리하여 추출하고, 상기 조명광 영역의 타격지점 영역에 상기 반사이미지 궤적을 표시할 수 있도록 위치 좌표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럽헤드의 궤적을 증강현시하는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투영 모듈은 상기 제어프로세서 모듈에서 추출되고 계산된 상기 조명광의 반사이미지의 궤적을 실제 타격지점 영역에 투영하는 갈바노미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럽헤드의 궤적을 증강현시하는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갈바노미러는 X축과 Y축으로 구성되는 검류계 모터에 각각 반사 거울이 부착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어프로세서 모듈의 입력 신호에 따라 실제 타격지점 영역에 상기 반사이미지의 좌표에 따른 위치 동기를 맞추면서 레이저빔을 실선으로 제어하여 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럽헤드의 궤적을 증강현시하는 장치.
  12. 골프클럽의 스윙 궤적을 현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클럽헤드의 궤적을 증강현시하는 장치를 설치하고 전원을 공급하는 제1단계;
    상기 장치의 클럽감지 모듈에서 클럽헤드의 다운스윙을 감지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클럽헤드의 다운스윙 감지 시 조명램프 모듈을 점등하는 제3단계;
    상기 조명램프 모듈의 점등과 동시에 카메라 모듈에 의한 타격지점 주위의 영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취득한 영상 데이터에서 클럽헤드에 의한 조명광의 반사이미지를 추출하고 위치 좌표를 계산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제5단계에서 추출한 상기 반사이미지를 이미지투영 모듈에 의하여 실제 타격지점의 영역에 레이저빔을 제어하여 투영하여 상기 클럽헤드의 반사이미지 궤적을 증강현시하는 제6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럽헤드의 궤적을 증강현시하는 방법.
KR1020150074725A 2015-05-28 2015-05-28 클럽헤드의 궤적을 증강현시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1395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725A KR20160139578A (ko) 2015-05-28 2015-05-28 클럽헤드의 궤적을 증강현시하는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725A KR20160139578A (ko) 2015-05-28 2015-05-28 클럽헤드의 궤적을 증강현시하는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578A true KR20160139578A (ko) 2016-12-07

Family

ID=57572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4725A KR20160139578A (ko) 2015-05-28 2015-05-28 클럽헤드의 궤적을 증강현시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95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2127A (ko) 2020-12-09 2022-06-17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골프 클럽 헤드 궤적 추정을 위한 학습용 데이터 셋 구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클럽 헤드 궤적 추정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2127A (ko) 2020-12-09 2022-06-17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골프 클럽 헤드 궤적 추정을 위한 학습용 데이터 셋 구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클럽 헤드 궤적 추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07658B2 (ja) ゴルフクラブの選択方法およびゴルフクラブの選択システム
JP4466133B2 (ja) 移動体計測装置
CN103782131B (zh) 能够非接触操作的测量设备以及用于这种测量设备的控制方法
CN107145162B (zh) 摄像头角度调整方法、系统和虚拟现实系统
US200702988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he placement of a golf ball for a launch monitor
ES2845622T3 (es) Dispositivo para proyectar la distancia de un tiro libre
US20150308642A1 (en) Self-Aiming Track Light Fixture System and Method
KR20120057033A (ko) Iptv 제어를 위한 원거리 시선 추적 장치 및 방법
KR102003292B1 (ko) 두께 및 당점 정보를 제공하는 당구포인터장치
JP2018084508A (ja) 照明環境計測システムおよび照明システム
KR101627654B1 (ko) 골프스윙 시 클럽헤드의 궤적을 현시하는 장치 및 그 방법
US20150092104A1 (en) Strobe device and photography device provided with same
KR20160139578A (ko) 클럽헤드의 궤적을 증강현시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090112538A (ko) 조명 제어를 이용한 골프 영상 획득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영상처리 기반의 골프 연습 시스템
WO2023218692A1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WO2007026158A1 (en) Imaging apparatus, portable image capture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composite images from component images
CN105988638A (zh) 位置检测装置及其控制方法和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433080B1 (ko) 가상 현실 게임용 플레이어 위치 기반 조명 연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가상 현실 시스템
KR20100114675A (ko) 골프공궤적 분석 시스템
JP6370168B2 (ja) 照明撮像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視線検出装置
KR20170025234A (ko) 카메라를 이용한 골프공 인식장치
JP6227395B2 (ja) 三次元測定システム、三次元測定方法、被測定体、および、位置検出装置
KR100708391B1 (ko) 골프공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골프스윙 분석기
KR102618193B1 (ko)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627664B1 (ko) 골프스윙 궤도 시현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