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9577A -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과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과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9577A
KR20170039577A KR1020160123920A KR20160123920A KR20170039577A KR 20170039577 A KR20170039577 A KR 20170039577A KR 1020160123920 A KR1020160123920 A KR 1020160123920A KR 20160123920 A KR20160123920 A KR 20160123920A KR 20170039577 A KR20170039577 A KR 20170039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film
structural unit
refractive index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3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5341B1 (ko
Inventor
김형준
감상아
공혜영
원종훈
정명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39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5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5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4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the refractive index Nz perpendicular to the element surface being different from in-plane refractive indices Nx and Ny, e.g. biaxial or with normal optical axi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8Waveplates, i.e. plates with a retardation value of lambda/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413/00Indexing scheme related to G02F1/13363, i.e. to 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position, orientation or value of the compensation plates
    • G02F2413/12Biaxial compens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고 100℃보다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가지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보호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는 스티렌 또는 스티렌 유도체로부터 유래되는 제1 구조 단위, 말레이미드, 말레무수물, 아크릴로니트릴, 이들의 유도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유래되는 제2 구조 단위, 그리고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유래되는 제3 구조 단위로 이루어진 3원 공중합체인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과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과 표시 장치{OPTICAL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과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평판 표시 장치는 스스로 발광하는 발광 표시 장치와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는 수광형 표시 장치로 나눌 수 있으며, 이들의 화질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광학 필름이 사용된다.
그러나 현재 개발되어 있는 광학 필름은 광학적 내구성이 약하여 표시 품질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광학 필름 자체의 두께가 두꺼워 표시 장치의 박형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일 구현예는 광학적 내구성을 개선하고 얇은 두께를 구현할 수 있는 광학 필름을 제공한다.
다른 구현예는 상기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구현예는 상기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편광자, 그리고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고 100℃보다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가지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보호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는 스티렌 또는 스티렌 유도체로부터 유래되는 제1 구조 단위, 말레이미드, 말레무수물, 아크릴로니트릴, 이들의 유도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유래되는 제2 구조 단위, 그리고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유래되는 제3 구조 단위로 이루어진 3원 공중합체인 광학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보호 필름은 하기 관계식 1 및 2의 굴절률을 만족할 수 있다.
[관계식 1]
nz1 > nx1
[관계식 2]
nz1 > ny1
상기 관계식 1 및 2에서,
nx1은 보호 필름의 지상축에서의 굴절률이고,
ny1은 보호 필름의 진상축에서의 굴절률이고,
nz1은 보호 필름의 지상축 및 진상축에 수직 방향의 굴절률이다.
상기 보호 필름은 하기 관계식 3 및 4의 위상차를 만족할 수 있다.
[관계식 3]
-60nm ≤ Ro1(550nm)≤60nm
[관계식 4]
-200nm≤Rth1(550nm)<-10nm
상기 관계식 3 및 4에서,
Ro1(550nm)는 550nm에서 보호 필름의 면내 위상차이고,
Rth1(550nm)는 550nm에서 보호 필름의 두께 방향 위상차이다.
상기 보호 필름은 하기 관계식 5의 굴절률을 만족할 수 있다.
[관계식 5]
ny1 < nx1 = nz1
상기 관계식 5에서,
nx1은 보호 필름의 지상축에서의 굴절률이고,
ny1은 보호 필름의 진상축에서의 굴절률이고,
nz1은 보호 필름의 지상축 및 진상축에 수직 방향의 굴절률이다.
상기 보호 필름은 하기 관계식 6과 7의 위상차를 만족할 수 있다.
[관계식 6]
110nm≤ Ro1(550nm)≤300nm
[관계식 7]
-300nm ≤ Rth1(550nm)≤0nm
상기 관계식 6 및 7에서,
Ro1(550nm)는 550nm에서 보호 필름의 면내 위상차이고,
Rth1(550nm)는 550nm에서 보호 필름의 두께 방향 위상차이다.
상기 제1 구조 단위는 스티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 스티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스티렌, 할로겐 스티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 스티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니트로 스티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 스티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카르복실 스티렌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조 단위, 상기 제2 구조 단위 및 상기 제3 구조 단위는 상기 3원 공중합체에 대하여 각각 약 10몰% 내지 50몰%, 약 10몰% 내지 40몰% 및 약 10몰% 내지 80몰%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는 약 110℃ 내지 150℃의 유리전이온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은 약 1.1배 내지 5.0배 연신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은 2축 연신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은 약 5㎛ 내지 3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편광자와 상기 보호 필름은 서로 접해 있거나 점착제에 의해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은 상기 보호 필름의 일면에 위치하는 λ/4 위상차 또는 λ/2 위상차를 가지는 보상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상 필름은 하기 관계식 8 및 9의 굴절률을 만족할 수 있다.
[관계식 8]
nx2 > ny2
[관계식 9]
nx2 > nz2
상기 관계식 8 및 9에서,
nx2는 보상 필름의 지상축에서의 굴절률이고,
ny2는 보상 필름의 진상축에서의 굴절률이고,
nz2는 보상 필름의 지상축 및 진상축에 수직 방향의 굴절률이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편광자를 준비하는 단계, 스티렌 또는 스티렌 유도체로부터 유래되는 제1 구조 단위, 말레이미드, 말레무수물, 아크릴로니트릴, 이들의 유도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유래되는 제2 구조 단위 및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유래되는 제3 구조 단위로 이루어진 3원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100℃보다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가지는 고분자를 용융 압출하고 연신하여 보호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편광자와 상기 보호 필름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고분자를 용융 압출하는 단계는 약 200℃ 내지 350℃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고, 상기 고분자를 연신하는 단계는 상기 고분자의 유리 전이 온도±30℃에서 수행할 수 있다.
표시 특성 및 광학적 내구성을 개선하고 박형 광학 필름 및 박형 표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광학 필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광학 필름의 외광 반사 방지 원리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3은 일 구현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일 구현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구현예들에 대하여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권리 범위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본 명세서에서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치환된'이란, 화합물 또는 작용기 중의 수소 원자가 할로겐 원자(F, Br, Cl, 또는 I),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아미노기, 아지도기, 아미디노기, 히드라지노기, 히드라조노기, 카르보닐기, 카르바밀기, 티올기, 에스테르기, 카르복실기나 그의 염, 술폰산기나 그의 염, 인산이나 그의 염, C1 내지 C20 알킬기, C2 내지 C20 알케닐기, C2 내지 C20 알키닐기, C6 내지 C30 아릴기, C7 내지 C30 아릴알킬기, C1 내지 C30 알콕시기, C1 내지 C20 헤테로알킬기, C3 내지 C20 헤테로아릴알킬기, C3 내지 C30 사이클로알킬기, C3 내지 C15의 사이클로알케닐기, C6 내지 C15 사이클로알키닐기, C3 내지 C30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된 치환기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일 구현예에 따른 광학 필름을 설명한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광학 필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일 구현예에 따른 광학 필름(100)은 편광자(110) 및 편광자(1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위치하는 보호 필름(120)을 포함한다.
편광자(110)는 비편광된 광(incident unpolarized light)을 편광시킬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요오드 및/또는 이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수지일 수 있다. 편광자(110)는 예컨대 연신 필름일 수 있다.
보호 필름(120)은 편광자(110)를 기계적 물리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양호한 광 투과율 및 헤이즈를 가질 수 있다. 보호 필름(120)은 예컨대 약 70% 이상의 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고 약 3% 이하의 헤이즈를 가질 수 있다. 보호 필름(120)은 상기 범위 내에서 예컨대 약 80 내지 100%의 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고 약 0.01 내지 2%의 헤이즈를 가질 수 있다.
보호 필름(120)은 이방성 고분자 필름일 수 있다.
보호 필름(120)은 예컨대 음의 복굴절을 가지는 고분자 필름일 수 있다.
일 예로, 보호 필름(120)은 하기 관계식 1 및 2의 굴절률을 만족할 수 있다.
[관계식 1]
nz1 > nx1
[관계식 2]
nz1 > ny1
상기 관계식 1 및 2에서,
nx1은 보호 필름(120)의 면내 굴절률이 가장 큰 방향(이하, '지상축(slow axis)'이라 한다)에서의 굴절률이고,
ny1은 보호 필름(120)의 면내 굴절률이 가장 작은 방향(이하, '진상축(fast axis)'이라 한다)에서의 굴절률이고,
nz1은 보호 필름(120)의 지상축 및 진상축에 수직 방향의 굴절률이다.
상기 관계식 1 및 2의 굴절률 관계를 만족함으로써 시야각 의존성을 줄이는 보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보호 필름(120)은 하기 관계식 1a의 굴절률을 만족할 수 있다.
[관계식 1a]
nz1 > nx1 = ny1
상기 관계식 1a에서 nx1 ny1는 완전히 동일한 경우 외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도 포함되며, 예컨대 nx1과 ny1의 굴절률 차이가 nx1 또는 ny1의 약 10% 이하, 상기 범위 내에서 예컨대 약 5% 이하인 경우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로 볼 수 있다.
상기 관계식 1a를 만족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면내 등방성을 가질 수 있다.
보호 필름(120)은 위상차를 가질 수 있다.
보호 필름(120)의 위상차는 면내 위상차(Ro1)와 두께 방향 위상차(Rth1)로 나타낼 수 있다. 보호 필름(120)의 면내 위상차(Ro1)는 보호 필름(120)의 면내 방향으로 발생하는 위상차로, Ro1=(nx1-ny1)d1 로 표현될 수 있다. 보호 필름(120)의 두께 방향 위상차(Rth1)는 보호 필름(120)의 두께 방향으로 발생하는 위상차로, Rth1={[(nx1+ny1)/2]-nz1}d1으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d1은 보호 필름(120)의 두께이다.
보호 필름(120)은 nx1, ny1, nz1 및/또는 두께를 변화하여 소정 범위의 면내 위상차 및 두께 방향 위상차를 가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관계식 1 및 2의 굴절률을 만족하는 보호 필름(120)은 예컨대 하기 관계식 3과 4의 위상차를 만족할 수 있다.
[관계식 3]
-60nm ≤Ro1(550nm)≤60nm
[관계식 4]
-300nm≤Rth1(550nm)<-10nm
상기 관계식 3 및 4에서,
Ro1(550nm)는 550nm에서 보호 필름의 면내 위상차이고,
Rth1(550nm)는 550nm에서 보호 필름의 두께 방향 위상차이다.
상기 관계식 3 및 4를 만족함으로써 두께 방향 위상차를 감소 또는 상쇄시킴으로써 시야각 의존성을 줄여 보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보호 필름(120)은 예컨대 하기 관계식 3a-1 및/또는 4a-1의 위상차를 만족할 수 있다.
[관계식 3a-1]
-10nm<Ro1(550nm)<10nm
[관계식 4a-1]
-200nm≤Rth1(550nm)≤-20nm
상기 범위 내에서, 보호 필름(120)은 예컨대 하기 관계식 3a-2 및/또는 4a-2의 위상차를 만족할 수 있다.
[관계식 3a-2]
-5nm≤Ro1(550nm)≤5nm
[관계식 4a-2]
-190nm≤Rth1(550nm)≤-30nm
상기 범위 내에서, 보호 필름(120)은 예컨대 하기 관계식 3a-3 및/또는 4a-3의 위상차를 만족할 수 있다.
[관계식 3a-3]
0nm≤Ro1(550nm)≤5nm
[관계식 4a-3]
-180nm≤Rth1(550nm)<-40nm
다른 일 예로, 보호 필름(120)은 하기 관계식 5의 굴절률을 만족할 수 있다.
[관계식 5]
ny1 < nx1 = nz1
상기 관계식 5에서,
nx1은 보호 필름의 지상축에서의 굴절률이고,
ny1은 보호 필름의 진상축에서의 굴절률이고,
nz1은 보호 필름의 지상축 및 진상축에 수직 방향의 굴절률이다.
상기 관계식 5에서 nx1 nz1는 완전히 동일한 경우 외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도 포함되며, 예컨대 nx1과 nz1의 굴절률 차이가 nx1 또는 nz1의 약 10% 이하, 상기 범위 내에서 예컨대 약 5% 이하인 경우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로 볼 수 있다.
상기 관계식 5의 굴절률을 만족하는 보호 필름(120)은 예컨대 하기 관계식 6과 7의 위상차를 만족할 수 있다.
[관계식 6]
110nm≤ Ro1(550nm)≤300nm
[관계식 7]
-300nm ≤ Rth1(550nm)≤ 0
상기 관계식 6 및 7에서,
Ro1(550nm)는 550nm에서 보호 필름의 면내 위상차이고,
Rth1(550nm)는 550nm에서 보호 필름의 두께 방향 위상차이다.
보호 필름(120)은 예컨대 음의 복굴절을 가지는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는 예컨대 스티렌 또는 스티렌 유도체로부터 유래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티렌 또는 스티렌 유도체로부터 유래되는 구조 단위는 예컨대 스티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 스티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스티렌, 할로겐 스티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 스티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니트로 스티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 스티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카르복실 스티렌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유래되는 구조 단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스티렌 또는 스티렌 유도체로부터 유래되는 구조 단위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 스티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20 아릴 스티렌, 하나 또는 두 개의 할로겐 원소로 치환된 스티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5 메톡시 스티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니트로 스티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 스티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카르복실 스티렌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유래되는 구조 단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분자는 예컨대 말레이미드, 말레무수물, (메타)아크릴로니트릴, 이들의 유도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유래되는 구조 단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말레이미드로부터 유래되는 구조 단위는 예컨대 말레이미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 말레이미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사이클로알킬 말레이미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말레이미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유래되는 구조 단위일 수 있으며, 예컨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 말레이미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20 사이클로알킬 말레이미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20 아릴 말레이미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유래되는 구조 단위일 수 있다. 말레이미드로부터 유래되는 구조 단위는 예컨대 N-치환된 말레이미드로부터 유래되는 구조 단위일 수 있으며, 예컨대 N-메틸말레이미드, N-에틸말레이미드, N-이소프로필말레이미드, N-부틸말레이미드, N-이소부틸말레이미드, N-t-부틸말레이미드, N-n-헥실말레이미드, N-라우릴말레이미드, N-사이클로헥실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N-(2-메틸페닐)말레이미드, N-(2-에틸페닐)말레이미드, N-(2-n-프로필페닐)말레이미드, N-(2-이소프로필페닐)말레이미드, N-(2,6-디메틸페닐)말레이미드, N-(2,6-디에틸페닐)말레이미드, N-(2,6-디이소프로필페닐)말레이미드, N-(2-클로로페닐)말레이미드, N-(2-브로모페닐)말레이미드, N-(2-바이페닐)말레이미드, N-(2-시아노페닐)말레이미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유래되는 구조 단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말레이미드, 말레무수물, (메타)아크릴로니트릴, 이들의 유도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유래되는 구조 단위를 더 포함함으로써 보호 필름(120)의 유리전이온도를 높여 내열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보호 필름(120)의 유리전이온도는 예컨대 약 100℃보다 높을 수 있고, 상기 범위 내에서 예컨대 약 110℃ 내지 150℃일 수 있고, 상기 범위 내에서 예컨대 약 120℃ 내지 140℃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는 예컨대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유래되는 구조 단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유래되는 구조 단위는 예컨대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알킬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카르복시알킬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알킬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일옥시알킬숙신산, 메타크릴로일옥시알킬숙신산, 아크릴로일옥시알킬프탈산, 메타크릴로일옥시알킬프탈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유래되는 구조 단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분자는 예컨대 약 5x103 내지 5x106 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분자는 상기 범위 내에서 예컨대 약 5x104 내지 5x105 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고분자는 스티렌 또는 스티렌 유도체로부터 유래되는 구조 단위; 말레이미드, 말레무수물, 아크릴로니트릴, 이들의 유도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유래되는 구조 단위; 그리고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유래되는 구조 단위로 이루어진 3원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이때, 예컨대 스티렌 또는 스티렌 유도체로부터 유래되는 구조 단위; 말레이미드, 말레무수물, 아크릴로니트릴, 이들의 유도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유래되는 구조 단위; 그리고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유래되는 구조 단위는 3원 공중합체에 대하여 각각 약 10몰% 내지 50몰%, 약 10몰% 내지 40몰% 및 약 10몰% 내지 80몰%로 포함될 수 있다.
보호 필름(120)은 전술한 고분자를 용융 압출하여 시트 형태로 준비한 후 소정의 연신률로 연신하여 준비될 수 있다. 상기 용융 압출은 상기 고분자의 용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예컨대 약 200℃ 내지 35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연신은 상기 고분자의 유리전이온도 또는 그 이상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고분자의 유리전이온도±3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보호 필름(120)은 예컨대 2축 연신될 수 있으며, 예컨대 MD 방향 및 TD 방향으로 연신될 수 있다. 보호 필름(120)은 약 1.1배 내지 5.0배로 연신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예컨대 약 1.2배 내지 3.0배로 연신될 수 있다.
보호 필름(120)은 예컨대 약 80㎛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예컨대 약 5㎛ 내지 60㎛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범위 내에서 예컨대 약 5㎛ 내지 50㎛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범위 내에서 예컨대 약 5㎛ 내지 30㎛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범위 내에서 예컨대 약 5㎛ 내지 25㎛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편광자(110)와 보호 필름(120)은 서로 접해 있거나 점착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보호 필름(120)은 편광자(1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보호 필름(120)이 편광자(110)의 일면에 위치하는 경우 편광자(110)의 다른 일면에 투명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투명 필름은 예컨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riacetylcellulose, TAC)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학 필름(100)은 보호 필름(120)의 일면에 위치하는 보상 필름(13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보상 필름(130)은 λ/4 위상차 필름 또는 λ/2 위상차 필름일 수 있다.
보상 필름(130)은 예컨대 하기 관계식 8 및 9의 굴절률을 만족할 수 있다.
[관계식 8]
nx2 > ny2
[관계식 9]
nx2 > nz2
상기 관계식 8 및 9에서,
nx2는 보상 필름(130)의 지상축에서의 굴절률이고,
ny2는 보상 필름(130)의 진상축에서의 굴절률이고,
nz2는 보상 필름(130)의 지상축 및 진상축에 수직 방향의 굴절률이다.
상기 관계식 8 및 9의 굴절률을 만족함으로써 편광자(110)를 통과한 선편광된 광을 보호 필름(120)과 조합하여 원편광으로 바꿈으로써 보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광학 필름(100)은 반사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보상 필름(130)은 하기 관계식 8a의 굴절률을 만족할 수 있다.
[관계식 8a]
nx2 > ny2 = nz2
상기 관계식 8a에서 ny2 nz2는 완전히 동일한 경우 외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도 포함되며, 예컨대 ny2와 nz2의 굴절률 차이가 ny2 또는 nz2의 약 10% 이하, 상기 범위 내에서 예컨대 약 5% 이하인 경우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로 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관계식 8 및 9의 굴절률을 만족하는 보상 필름(130)은 예컨대 하기 관계식 10 및 11의 위상차를 만족할 수 있다.
[관계식 10]
110nm≤ Ro2(550nm)≤160nm
[관계식 11]
-250nm≤ Rth2(550nm)≤250nm
상기 관계식 10 및 11에서,
Ro2(550nm)는 550nm에서 보상 필름의 면내 위상차이고,
Rth2(550nm)는 550nm에서 보상 필름의 두께 방향 위상차이다.
일 예로, 상기 관계식 8 및 9의 굴절률을 만족하는 보상 필름(130)은 예컨대 하기 관계식 12 및 13의 위상차를 만족할 수 있다.
[관계식 12]
230nm≤ Ro2(550nm)≤300nm
[관계식 13]
-250nm≤ Rth2(550nm)≤250nm
광학 필름(100)은 표시 장치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보상 기능이 추가된 편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광학 필름(100)은 표시 장치의 화면부 측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광이 반사되는 것(이하 '외광 반사'라 한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외광 반사에 의한 시인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광학 필름의 외광 반사 방지 원리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입사되는 비편광된 광은 편광자(110)를 통과하면서 두 개의 편광 직교 성분 중 하나의 편광 직교 성분, 즉 제1 편광 직교 성분만이 투과되고, 편광된 광은 보호 필름(120) 및 선택적으로 보상 필름(130)을 통과하면서 원편광으로 바뀔 수 있다. 상기 원편광된 광은 기판, 전극 등을 포함한 표시 패널(50)에서 반사되면서 원편광 방향이 바뀌게 되고 상기 원편광된 광이 선택적으로 보상 필름(130)과 보호 필름(120)을 다시 통과하면서 두 개의 편광 직교 성분 중 다른 하나의 편광 직교 성분, 즉 제2 편광 직교 성분만이 투과될 수 있다. 상기 제2 편광 직교 성분은 편광자(110)를 통과하지 못하여 외부로 광이 방출되지 않으므로 외광 반사 방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광학 필름(100)은 보호 필름(120)의 일면에 위치하는 보정층(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정층은 예컨대 색 변이 방지층(color shift resistant laye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학 필름(100)은 가장자리를 따라 뻗어 있는 차광층(light blocking layer)(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광층은 광학 필름(100)의 둘레를 따라 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편광자(110)와 보호 필름(120) 사이 및/또는 보호 필름(120)과 보상 필름(1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차광층은 불투명한 물질, 예컨대 검은색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차광층은 검은색 잉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현예에 따른 광학 필름(100)은 보상 기능이 추가된 보호 필름(120)을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보상 필름 없이 시야각 개선과 같은 보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구현예에 따른 광학 필름(100)은 보상 기능이 추가된 보호 필름(120)을 구비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보상 필름을 생략할 수 있어서 광학 필름의 총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얇은 광학 필름을 구현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박형 표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보호 필름(120)의 내열성을 강화함으로써 공정 중 및/또는 구동 중에 발생하는 열에 의해 광학 필름(100)의 광학적 특성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다.
또한, 보호 필름(120)이 용융 압출과 같은 공정에 의해 준비될 수 있으므로 기존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와 같은 보호 필름과 달리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조 비용 및 단가를 줄일 수 있다.
전술한 광학 필름(100)은 다양한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그리고 표시 패널의 일면에 위치하는 광학 필름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은 액정 표시 패널 또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표시 장치의 일 예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일 구현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일 구현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패널(400), 그리고 유기 발광 패널(400)의 일면에 위치하는 광학 필름(100)을 포함한다.
유기 발광 패널(400)은 베이스 기판(410), 하부 전극(420), 유기 발광층(430), 상부 전극(440) 및 봉지 기판(45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410)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하부 전극(420) 및 상부 전극(440) 중 하나는 애노드(anode)이고 다른 하나는 캐소드(cathode)일 수 있다. 애노드는 정공(hole)이 주입되는 전극으로, 일 함수(work function)가 높고 발광된 빛이 외부로 나올 수 있는 투명 도전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ITO 또는 IZO 일 수 있다. 캐소드는 전자(electrode)가 주입되는 전극으로, 일 함수가 낮고 유기 물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도전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알루미늄(Al), 칼슘(Ca) 및 바륨(Ba)에서 선택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430)은 하부 전극(420)과 상부 전극(440)에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빛을 낼 수 있는 유기 물질을 포함한다.
하부 전극(420)과 유기 발광층(430) 사이 및 상부 전극(440)과 유기 발광층(430) 사이에는 부대층(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부대층은 전자와 정공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정공 전달층(hole transporting layer), 정공 주입층(hole injecting layer),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ng layer) 및 전자 전달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 기판(450)은 유리, 금속 또는 고분자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하부 전극(420), 유기 발광층(430) 및 상부 전극(440)을 봉지하여 외부로부터 수분 및/또는 산소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광학 필름(100)은 빛이 나오는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 기판(410) 측으로 빛이 나오는 배면 발광(bottom emission) 구조인 경우 베이스 기판(4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봉지 기판(450) 측으로 빛이 나오는 전면 발광(top emission) 구조인 경우 봉지 기판(45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 필름(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편광자(110), 보상 기능이 추가된 보호 필름(120), 그리고 선택적으로 보상 필름(130)을 포함한다. 편광자(110), 보호 필름(120) 및 보상 필름(130)은 각각 전술한 바와 같으며, 편광자(110)를 통과한 빛이 유기 발광 패널(400)의 전극 등과 같은 금속에 의해 반사되어 표시 장치의 외측으로 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광에 의한 시인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표시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표시 장치의 일 예로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일 구현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일 구현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500), 그리고 액정 표시 패널(500)의 일면 또는 양면에 위치하는 광학 필름(100)을 포함한다.
액정 표시 패널(500)은 트위스트 네마틱(twist nematic, TN) 모드, 수직 배향(patterned vertical alignment, PVA) 모드, 평면 정렬 스위칭(in plane switching, IPS) 모드, OCB(optically compensated bend) 모드 등일 수 있다.
액정 표시 패널(500)은 제1 표시판(510), 제2 표시판(520) 및 제1 표시판(510)과 제2 표시판(520)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액정층(530)을 포함한다.
제1 표시판(510)은 예컨대 기판(도시하지 않음) 위에 형성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도시하지 않음) 및 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전기장 생성 전극(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표시판(520)은 예컨대 기판(도시하지 않음) 위에 형성되어 있는 색 필터(도시하지 않음) 및 제2 전기장 생성 전극(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색 필터가 제1 표시판(510)에 포함될 수도 있고, 제1 전기장 생성 전극과 제2 전기장 생성 전극이 제1 표시판(510)에 함께 위치할 수도 있다.
액정층(530)은 복수의 액정 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액정 분자는 양 또는 음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질 수 있다. 액정 분자가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는 경우 전기장이 없는 상태에서 그 장축이 제1 표시판(510)과 제2 표시판(520)의 표면에 대하여 거의 평행을 이루도록 배향되고 전기장이 인가된 상태에서 그 장축이 제1 표시판(510)과 제2 표시판(520)의 표면에 대하여 거의 수직을 이루도록 배향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액정 분자가 음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는 경우 전기장이 없는 상태에서 그 장축이 제1 표시판(510)과 제2 표시판(520)의 표면에 대하여 거의 수직하게 배향되고 전기장이 인가된 상태에서 그 장축이 제1 표시판(510)과 제2 표시판(520)의 표면에 대하여 거의 평행하게 배향될 수 있다.
광학 필름(100)는 액정 표시 패널(500)의 외측에 위치하며, 도면에서는 액정 표시 패널(500)의 하부 및 상부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액정 표시 패널(500)의 하부 및 상부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광학 필름(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편광자(110), 보상 기능이 추가된 보호 필름(120) 및 선택적으로 보상 필름(130)을 포함하며, 전술한 바와 같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구현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보호 필름의 제조
제조예 1 내지 9
100㎛ 두께의 용융압출된 폴리(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말레무수물) 3원 공중합체 필름(poly(styrene-methyl methacrylate-maleic anhydride) terpolymer)(DENKA, 일본)(Tg=126)을 약 130℃ 내지 160℃에서 MD 방향 및 TD 방향으로 각각 50 내지 200%로 2축 연신하여 하기 표 1의 위상차를 가지는 약 20㎛ 두께의 보호 필름을 준비한다.
면내 위상차 및 두께 방향 위상차는 Axoscan 장비(Axometrics 사)를 이용하여 측정하며, 측정파장 범위는 400nm 내지 700nm이며, -70도 내지 70도를 5도 간격으로 입사각을 조절하여 광학 필름의 위상차를 측정한다.
굴절률 관계 면내 위상차(Ro1)(nm)
(@ 550nm)
두께 방향 위상차(Rth1)(nm)
(@ 550nm)
제조예 1 nz1 > nx1 = ny1 3 -70
제조예 2 nz1 > nx1 = ny1 5 -100
제조예 3 nz1 > nx1 = ny1 5 -165
제조예 4 nz1 > nx1 = ny1 2 -98
제조예 5 nz1 > nx1 = ny1 2 -80
제조예 6 nz1 > nx1 = ny1 3 -53
제조예 7 ny1 < nx1 = nz1 230 -103
제조예 8 ny1 < nx1 = nz1 125 -57
제조예 9 ny1 < nx1 = nz1 143 -66
* nx1: 보호 필름의 지상축에서의 굴절률
* ny1: 보호 필름의 진상축에서의 굴절률
* nz1: 보호 필름의 지상축 및 진상축에 수직 방향의 굴절률
광학 필름의 제조 I
실시예 1
폴리비닐알코올 필름(PS 60, Kuraray)을 25㎛로 연신하여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준비하고,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양면에 제조예 1에 따른 보호 필름을 각각 부착하여 광학 필름을 제조한다.
실시예 2
폴리비닐알코올 필름(PS 60, Kuraray)을 25㎛로 연신하여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준비하고,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양면에 제조예 7에 따른 보호 필름을 각각 부착하여 광학 필름을 제조한다.
비교예 1
폴리비닐알코올 필름(PS 60, Kuraray)을 25㎛로 연신하여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준비하고,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양면에 TAC 필름(Fuji Film 사 제조)을 각각 부착하여 광학 필름을 제조한다.
평가 1
실시예 1, 2와 비교예 1에 따른 광학 필름의 두께를 비교한다.
그 결과는 표 2와 같다.
광학 필름의 두께(㎛)
실시예 1 65
실시예 2 65
비교예 1 105
표 2를 참고하면, 실시예 1, 2에 따른 광학 필름은 비교예 1에 따른 광학 필름과 비교하여 두께가 얇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부터 실시예 1, 2에 따른 광학 필름은 비교예 1에 따른 광학 필름과 비교하여 얇은 광학 필름을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평가 2
실시예 1, 2와 비교예 1에 따른 광학 필름의 신뢰성을 평가한다.
광학 필름의 신뢰성은 고열고습 환경에서 광학 특성의 변화에 의해 평가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60℃, 상대습도 95%의 챔버에서 100시간 동안 방치한 후 광학 필름의 투과도 변화(ΔTs) 및 편광도 변화(ΔPE)로부터 평가한다.
투과도 및 편광도는 UV-VIS spectrophotometer (V-7100, JASCO 사 제조)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그 결과는 표 3과 같다.
투과도 변화(ΔTs)(%) 편광도 변화(ΔPE)(%)
실시예 1 -1.17 -0.17
실시예 2 -1.20 -0.11
비교예 1 +4.99 -13.94
표 3을 참고하면, 실시예 1, 2에 따른 광학 필름은 비교예 1에 따른 광학 필름과 비교하여 고열고습 환경에서 투과도 변화 및 편광도 변화가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부터 실시예 1, 2에 따른 광학 필름은 비교예 1에 따른 광학 필름과 비교하여 신뢰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광학 필름의 제조 II
실시예 3
폴리비닐알코올 필름(PS 60, Kuraray)을 25㎛로 연신하여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준비하고,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일면에 제조예 1에 따른 보호 필름을 부착하고 다른 일면에 TAC 필름(Fuji Film 사 제조)을 부착한다. 이어서 상기 보호 필름의 일면에 λ/4 위상 지연층 (WRS, Teijin사)을 부착하여 광학 필름을 제조한다.
실시예 4
폴리비닐알코올 필름(PS 60, Kuraray)을 25㎛로 연신하여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준비하고,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일면에 제조예 2에 따른 보호 필름을 부착하고 다른 일면에 TAC 필름(Fuji Film 사 제조)을 부착한다. 이어서 상기 보호 필름의 일면에 λ/4 위상 지연층 (WRS, Teijin사)을 부착하여 광학 필름을 제조한다.
비교예 2
폴리비닐알코올 필름(PS 60, Kuraray)을 25㎛로 연신하여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준비하고,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양면에 TAC 필름(Fuji Film 사 제조)을 각각 부착한다. 이어서 상기 보호 필름의 일면에 λ/4 위상 지연층 (WRS, Teijin사)을 부착하여 광학 필름을 제조한다.
표시 장치의 제조
실시예 5
유기 발광 패널(갤럭시 S5 패널, 삼성 디스플레이 제조)의 일면에 실시예 3에 따른 광학 필름을 부착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조한다.
실시예 6
유기 발광 패널(갤럭시 S5 패널, 삼성 디스플레이 제조)의 일면에 실시예 4에 따른 광학 필름을 부착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조한다.
비교예 3
유기 발광 패널(갤럭시 S5 패널, 삼성 디스플레이 제조)의 일면에 비교예 2에 따른 광학 필름을 부착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조한다.
평가 3
실시예 5, 6과 비교예 3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정면에서의 반사율 및 반사색상을 평가한다.
정면에서의 반사율 및 반사색상은 광원 D65, 8도 반사, 수광부 2도 조건으로 광을 공급하면서 분광측색계(CM-3600d, Konica Minolta 社)를 사용하여 평가한다.
반사색상은 CIE-Lab 색 좌표계를 사용하여 표기될 수 있으며, 양수 a*는 적색, 음수 a*는 녹색, 양수 b*는 황색, 음수 b*는 청색을 나타내며, a*와 b*의 절대값이 클수록 색이 진한 정도를 나타낸다.
그 결과는 표 4와 같다.
정면 반사율(%) 정면 반사색상
a* b* Δa*b*
실시예 5 0.6 1.0 -5.5 5.6
실시예 6 0.6 1.1 -5.6 5.7
비교예 3 0.6 1.3 -6.3 6.4
Figure pat00001
표 4를 참고하면, 실시예 5, 6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비교예 3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비교하여 정면에서 동등하거나 그보다 개선된 반사율을 나타내면서 작은 반사색상 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작은 반사색상 값을 가지는 것은 반사에 의한 색감이 검정에 더 가깝고, 색감의 변화가 적은 것을 나타내며 외광 반사에 의한 시인성이 양호한 것을 의미한다.
이로부터 실시예 5, 6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광학 필름의 두께를 줄이면서도 정면에서 동등하거나 개선된 반사율 및 반사색상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로부터 박형의 이점을 가지면서도 표시 특성을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평가 4
실시예 5, 6과 비교예 3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측면에서의 반사율 및 반사색상을 평가한다.
측면에서의 반사율 및 반사색상은 광원 D65, 45도 반사 조건으로 광을 공급하면서 분광측색계(DMS, Display Measurement Systems, Instrument Systems)를 사용하여 평가한다.
그 결과는 표 5와 같다.
측면 반사율(%) 측면 반사색상
a* b* Δa*b*
실시예 5 0.7 -2.6 -1.6 3.1
실시예 6 0.8 -1.1 -4.7 4.8
비교예 3 1.4 -7.1 -3.5 8.0
Figure pat00002
표 5를 참고하면, 실시예 5, 6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비교예 3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비교하여 측면에서 개선된 반사율 및 작은 반사색상 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부터 실시예 5, 6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광학 필름의 두께를 줄이면서도 측면에서 개선된 수준의 반사율 및 반사색상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로부터 박형의 이점을 가지면서도 표시 특성을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광학 필름
110: 편광자
120: 보호 필름
130: 보상 필름

Claims (17)

  1. 편광자, 그리고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고 100℃보다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가지 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보호 필름
    을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는
    스티렌 또는 스티렌 유도체로부터 유래되는 제1 구조 단위,
    말레이미드, 말레무수물, 아크릴로니트릴, 이들의 유도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유래되는 제2 구조 단위, 그리고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유래되는 제3 구조 단위
    로 이루어진 3원 공중합체인 광학 필름.
  2. 제1항에서,
    상기 보호 필름은 하기 관계식 1 및 2의 굴절률을 만족하는 광학 필름:
    [관계식 1]
    nz1 > nx1
    [관계식 2]
    nz1 > ny1
    상기 관계식 1 및 2에서,
    nx1은 보호 필름의 지상축에서의 굴절률이고,
    ny1은 보호 필름의 진상축에서의 굴절률이고,
    nz1은 보호 필름의 지상축 및 진상축에 수직 방향의 굴절률이다.
  3. 제2항에서,
    상기 보호 필름은 하기 관계식 3과 4의 위상차를 만족하는 광학 필름:
    [관계식 3]
    -60nm≤Ro1(550nm)≤60nm
    [관계식 4]
    -300nm≤Rth1(550nm)<-10nm
    상기 관계식 3 및 4에서,
    Ro1(550nm)는 550nm에서 보호 필름의 면내 위상차이고,
    Rth1(550nm)는 550nm에서 보호 필름의 두께 방향 위상차이다.
  4. 제1항에서,
    상기 보호 필름은 하기 관계식 5의 굴절률을 만족하는 광학 필름:
    [관계식 5]
    ny1 < nx1 = nz1
    상기 관계식 5에서,
    nx1은 보호 필름의 지상축에서의 굴절률이고,
    ny1은 보호 필름의 진상축에서의 굴절률이고,
    nz1은 보호 필름의 지상축 및 진상축에 수직 방향의 굴절률이다.
  5. 제4항에서,
    상기 보호 필름은 하기 관계식 6과 7의 위상차를 만족하는 광학 필름:
    [관계식 6]
    110nm≤ Ro1(550nm)≤300nm
    [관계식 7]
    -300nm ≤ Rth1(550nm)≤0nm
    상기 관계식 6 및 7에서,
    Ro1(550nm)는 550nm에서 보호 필름의 면내 위상차이고,
    Rth1(550nm)는 550nm에서 보호 필름의 두께 방향 위상차이다.
  6. 제1항에서,
    상기 제1 구조 단위는 스티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 스티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스티렌, 할로겐 스티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 스티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니트로 스티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 스티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카르복실 스티렌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유래되는 광학 필름.
  7. 제1항에서,
    상기 제1 구조 단위, 상기 제2 구조 단위 및 상기 제3 구조 단위는 상기 3원 공중합체에 대하여 각각 10몰% 내지 50몰%, 10몰% 내지 40몰% 및 10몰% 내지 80몰%로 포함되는 광학 필름.
  8. 제1항에서,
    상기 고분자는 110℃ 내지 150℃의 유리전이온도를 가지는 광학 필름.
  9. 제1항에서,
    상기 보호 필름은 1.1배 내지 5.0배 연신되어 있는 광학 필름.
  10. 제9항에서,
    상기 보호 필름은 2축 연신되어 있는 광학 필름.
  11. 제1항에서,
    상기 보호 필름은 5㎛ 내지 30㎛의 두께를 가지는 광학 필름.
  12. 제1항에서,
    상기 편광자와 상기 보호 필름은 서로 접해 있거나 점착제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광학 필름.
  13. 제1항에서,
    상기 보호 필름의 일면에 위치하는 λ/4 위상차 또는 λ/2 위상차를 가지는 보상 필름을 더 포함하는 광학 필름.
  14. 제13항에서,
    상기 보상 필름은 하기 관계식 8 및 9의 굴절률을 만족하는 광학 필름:
    [관계식 8]
    nx2 > ny2
    [관계식 9]
    nx2 > nz2
    상기 관계식 8 및 9에서,
    nx2는 보상 필름의 지상축에서의 굴절률이고,
    ny2는 보상 필름의 진상축에서의 굴절률이고,
    nz2는 보상 필름의 지상축 및 진상축에 수직 방향의 굴절률이다.
  15. 표시 패널, 그리고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학 필름
    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편광자를 준비하는 단계,
    스티렌 또는 스티렌 유도체로부터 유래되는 제1 구조 단위, 말레이미드, 말레무수물, 아크릴로니트릴, 이들의 유도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유래되는 제2 구조 단위 및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유래되는 제3 구조 단위로 이루어진 3원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100℃보다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가지는 고분자를 용융 압출하고 연신하여 보호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편광자와 상기 보호 필름을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17. 제16항에서,
    상기 고분자를 용융 압출하는 단계는 200℃ 내지 350℃의 온도에서 수행하고,
    상기 고분자를 연신하는 단계는 상기 고분자의 유리전이온도±30℃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160123920A 2015-10-01 2016-09-27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과 표시 장치 KR1026653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699 2015-10-01
KR20150138699 2015-10-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577A true KR20170039577A (ko) 2017-04-11
KR102665341B1 KR102665341B1 (ko) 2024-05-10

Family

ID=57123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3920A KR102665341B1 (ko) 2015-10-01 2016-09-27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과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53129B2 (ko)
EP (1) EP3153897B1 (ko)
JP (1) JP7270328B2 (ko)
KR (1) KR102665341B1 (ko)
CN (1) CN1069904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803B1 (ko) * 2017-11-07 2020-04-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학필름,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11684324B (zh) * 2018-01-30 2022-05-13 富士胶片株式会社 偏振片、圆偏振片、显示装置
CN111961161A (zh) * 2020-08-27 2020-11-20 聚纶材料科技(深圳)有限公司 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光学薄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7864A (ja) * 2005-03-25 2006-10-05 Tosoh Corp 広視野角補償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透過型液晶表示装置
WO2007061041A1 (ja) * 2005-11-28 2007-05-31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光学フィルム
JP2008262180A (ja) * 2007-03-20 2008-10-30 Asahi Kasei Chemicals Corp 光学材料用樹脂組成物
JP2008262182A (ja) * 2007-03-16 2008-10-30 Asahi Kasei Chemicals Corp 位相差フィルム
KR20100081918A (ko) * 2009-01-06 2010-07-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위상차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150039089A (ko) * 2013-09-30 2015-04-09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용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150055211A (ko) * 2013-11-12 2015-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상 필름, 광학 필름 및 표시 장치
KR20150055210A (ko) * 2013-11-12 2015-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상 필름, 광학 필름 및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3580A (en) 1978-10-17 1980-04-19 Canon Inc Type ring select system printing device
JP2003332068A (ja) 2002-05-15 2003-11-21 Nitto Denko Corp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2006010812A (ja) 2004-06-23 2006-01-12 Tosoh Corp 光学補償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74978B1 (ko) 2005-10-07 2010-08-09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재료용 수지 조성물
JP4068120B2 (ja) * 2005-10-07 2008-03-26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光学補償フィルム
JP5196519B2 (ja) * 2007-03-02 2013-05-15 旭化成イー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機械的性質及び熱的性質に優れる光学フィルム
US9011992B2 (en) 2007-03-29 2015-04-21 Akron Polymer Systems Optical compensation films based on stretched polymer films
JP2008256951A (ja) 2007-04-05 2008-10-23 Nitto Denko Corp 組み合わせ型偏光板
JP2008268720A (ja) 2007-04-24 2008-11-06 Asahi Kasei Chemicals Corp 位相差フィルム
KR101065198B1 (ko) * 2007-09-17 2011-09-19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US7906216B2 (en) * 2007-09-28 2011-03-15 Nitto Denko Corporation Polarizing pl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JP2009275069A (ja) * 2008-05-12 2009-11-26 Nippon Shokubai Co Ltd 光学用延伸フィルムとそれを備える画像表示装置
CN102317333B (zh) * 2009-02-18 2015-06-10 Lg化学株式会社 丙烯酸类树脂组合物和包含该丙烯酸类树脂组合物的光学膜
JP5553580B2 (ja) 2009-08-04 2014-07-16 株式会社カネカ 樹脂組成物、成型体、光学用フィルム、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
JP5912277B2 (ja) * 2010-04-22 2016-04-27 株式会社日本触媒 光学フィルム、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2032696A (ja) * 2010-08-02 2012-02-16 Sumitomo Chemical Co Ltd 複合位相差板、複合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6095264B2 (ja) 2010-12-01 2017-03-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高分子フィルム、位相差フィルム、偏光板、液晶表示装置、及び化合物
KR101347021B1 (ko) * 2011-06-01 2014-0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 필름
WO2013094263A1 (ja) 2011-12-19 2013-06-2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Ipsモード型液晶表示装置
TWI450923B (zh) * 2012-01-18 2014-09-01 Lg Chemical Ltd 光學膜用樹脂組成物、偏光板保護膜及包含其之液晶顯示裝置
US8623960B2 (en) * 2012-01-20 2014-01-07 Lg Chem, Ltd. Resin composition for optical film, and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7864A (ja) * 2005-03-25 2006-10-05 Tosoh Corp 広視野角補償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透過型液晶表示装置
WO2007061041A1 (ja) * 2005-11-28 2007-05-31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光学フィルム
JP2008262182A (ja) * 2007-03-16 2008-10-30 Asahi Kasei Chemicals Corp 位相差フィルム
JP2008262180A (ja) * 2007-03-20 2008-10-30 Asahi Kasei Chemicals Corp 光学材料用樹脂組成物
KR20100081918A (ko) * 2009-01-06 2010-07-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위상차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150039089A (ko) * 2013-09-30 2015-04-09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용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150055211A (ko) * 2013-11-12 2015-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상 필름, 광학 필름 및 표시 장치
KR20150055210A (ko) * 2013-11-12 2015-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상 필름, 광학 필름 및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990458B (zh) 2019-11-15
US20170097455A1 (en) 2017-04-06
EP3153897B1 (en) 2023-12-13
EP3153897A1 (en) 2017-04-12
JP2017068264A (ja) 2017-04-06
KR102665341B1 (ko) 2024-05-10
US10353129B2 (en) 2019-07-16
JP7270328B2 (ja) 2023-05-10
CN106990458A (zh) 2017-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3461B1 (ko) 광학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KR102444610B1 (ko) 반사방지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103498B1 (ko) 보상 필름, 광학 필름 및 표시 장치
KR102103497B1 (ko) 보상 필름, 광학 필름 및 표시 장치
KR101623086B1 (ko) 반사방지필름 및 이를 구비한 유기발광장치
JP2017138608A (ja) 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備えた有機発光装置
US10139534B2 (en) Optical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KR20170114514A (ko) 유기 발광 장치
KR20170033228A (ko) 광학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KR102665341B1 (ko)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과 표시 장치
KR20160065552A (ko) 보상 필름, 광학 필름 및 표시 장치
KR20160079687A (ko) 반사방지필름 및 이를 구비한 유기발광장치
KR101521226B1 (ko) 광학 보상 필름
KR101609278B1 (ko) 반사방지필름 및 이를 구비한 유기발광장치
JP2018092163A (ja) 補償フィルム、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表示装置
KR20170089669A (ko) 보상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81897B1 (ko) 광학 필름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2108556B1 (ko) 편광판, 편광판 세트 및 액정표시장치
KR102118363B1 (ko) 편광판, 편광판 세트 및 액정표시장치
KR102108555B1 (ko) 편광판, 편광판 세트 및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