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9085A - 안면 보호 실드용 투명 필름 - Google Patents

안면 보호 실드용 투명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9085A
KR20170039085A KR1020167035515A KR20167035515A KR20170039085A KR 20170039085 A KR20170039085 A KR 20170039085A KR 1020167035515 A KR1020167035515 A KR 1020167035515A KR 20167035515 A KR20167035515 A KR 20167035515A KR 20170039085 A KR20170039085 A KR 20170039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resin layer
transparent resin
transparent film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5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4982B1 (ko
Inventor
마사야스 가키누마
기미타카 니시무라
사토시 가와무라
히데키 데라시마
에이지 오타
?이치 가지야
šœ이치 가지야
준 사사키
기요아키 다니후지
Original Assignee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39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84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with protection for the eyes, e.g. using shield or vi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45Eye-shades or visors; Shields beside, between or below the e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1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8Anti-reflection coatings having sub-optical wavelength surface structures designed to provide an enhanced transmittance, e.g. moth-eye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8Coatings for keeping optical surfaces clean, e.g. hydrophobic or photo-catalytic fil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0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to keep optical surfaces clean, e.g. by preventing or removing dirt, stains, contamination,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8Refra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1/00Optical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투명성이 향상되고, 또한 비장착자로부터의 시인성이 향상된 안면 보호 실드용 투명 필름을 제공한다. 가요성을 갖는 투명 기재와, 투명 기재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적층되고, 가시광 파장 이하의 피치로 복수 형성된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구조체를 표면에 갖는 투명 수지층을 구비하고, 투명 기재 및 투명 수지층의 굴절률은 상이하고, 투명 기재와 투명 수지층의 계면은 요철 형상인 안면 보호 실드용 투명 필름.

Description

안면 보호 실드용 투명 필름{TRANSPARENT FILM FOR FACE PROTECTIVE SHIELD}
본 기술은, 비산물 및 비래물로부터 장착자의 안면을 보호하면서, 장착자에게 있어서 필요한 시계 (視界) 를 확보하는 안면 보호 실드에 사용되는 투명 필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외과 수술 등에 있어서, 아이 실드가 형성된 마스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 에는, 아이 실드로서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을 안면 마스크에 장착한 구조를 갖는 안면 실드 마스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아이 실드에 있어서, 가요성을 갖는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의 굴절률은 일반적으로 1.3 이상이기 때문에, 플라스틱 필름과 공기의 계면에서는 광의 반사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아이 실드를 형성하는 플라스틱 필름은, 굴절률이 1.58 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그 아이 실드와 공기의 계면에서의 광의 반사율은, 예를 들어 5.05 % 이고, 아이 실드의 표리 각각에서의 반사를 고려하면, 합계로 입사광의 10.1 % 가 반사광이 된다. 그 때문에, 매우 광 강도가 높은 조명 (예를 들어, 조도 140,000 럭스 이상) 이 사용되는 외과 수술실 등에서는, 반사광의 강도도 높아진다.
그래서,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2 에는, 광 강도가 높은 외과 조명하에서 사용되는 외과용 페이스 실드의 표면에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투명 또는 반투명한 기재의 표면에 반사 방지 특성 및 방담 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코팅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동(同) 문헌에서 개시된 코팅 조성물로 피복된 필름의 광 투과율은, 미피복된 필름의 광 투과율에 대하여 11 ∼ 11.2 % 증가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7811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202881호
그러나,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코팅 조성물로 피복된 필름의 파장 550 ㎚ 의 광에 대한 광 투과율은 97.0 % 정도로서, 여전히 3 % 가까운 반사광이 발생하였다.
그 때문에, 아이 실드, 페이스 실드 등의 안면 보호 실드로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코팅 조성물로 피복된 필름은, 반사 방지 특성이 충분하지 않았다.
한편으로, 안면 보호 실드에 사용되는 투명 필름의 반사 방지 특성이 현저하게 향상된 경우, 투명 필름의 존재를 시인하는 것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안면 보호 실드의 제조시에 있어서의 투명 필름의 취급 용이성이 저하된다. 또, 장착자가 안면 보호 실드를 장착하고 있는 경우, 안면 보호 실드의 장착 유무를 비장착자가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안전 확인 상의 편리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외과 수술 등에 있어서 안면 보호 실드를 장착한 장착자의 안면의 땀을 비장착자가 닦는 경우, 비장착자로부터는 안면 보호 실드의 유무를 시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땀을 닦는 작업을 실시하기 어려워졌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바는, 투명성을 보다 향상시키면서, 또한 비장착자로부터의 시인성을 향상시킨, 신규하고 또한 개량된 안면 보호 실드용 투명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어느 관점에 의하면, 가요성을 갖는 투명 기재와, 상기 투명 기재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적층되고, 가시광 파장 이하의 피치로 복수 형성된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구조체를 표면에 갖는 투명 수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투명 기재 및 상기 투명 수지층의 굴절률은 상이하고, 상기 투명 기재와 상기 투명 수지층의 계면은 요철 형상인 안면 보호 실드용 투명 필름이 제공된다.
상기 투명 기재 및 상기 투명 수지층의 파장 589 ㎚ 의 광에 대한 굴절률의 차는, 0.05 이상이어도 된다.
상기 요철 형상은, 고저차가 0.1 ∼ 9.5 ㎛ 의 범위 내이고, 피치가 1 ∼ 100 ㎜ 의 범위 내여도 된다.
상기 투명 수지층은, 상기 투명 기재의 양면에 적층되어도 된다.
상기 투명 수지층은, 친수성 관능기를 갖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이어도 된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상기 안면 보호 실드용 투명 필름이 장착된 안면 보호 실드가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투명성이 보다 향상되고, 또한 비장착자로부터의 시인성이 향상된 안면 보호 실드용 투명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을 적용한 안면 보호 실드는, 장착자에 대하여, 현저하게 밝은 시계를 확보할 수 있고, 또 비장착자로부터 장착 유무가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투명 필름을 두께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 는 동 실시형태에 관련된 투명 필름을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 은 제 1 변형예에 관련된 투명 필름을 두께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 는 제 2 변형예에 관련된 투명 필름을 두께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의 일례이다.
도 5 는 제 2 변형예에 관련된 투명 필름을 두께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의 다른 예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안면 보호 실드의 평면도이다.
도 7 은 동 실시형태에 관련된 안면 보호 실드를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실시예 3 에 관련된 투명 필름에 있어서, 필름 폭 방향에 대하여 투명 기재의 두께의 변동을 플롯한 그래프도이다.
도 9a 는 평탄한 투명 기재 상에 형성된 기저층의 두께를 0 ∼ 10 ㎛ 의 범위에서 변화시킨 경우의 L* 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도 9b 는 평탄한 투명 기재 상에 형성된 기저층의 두께를 0 ∼ 10 ㎛ 의 범위에서 변화시킨 경우의 a* 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도 9c 는 평탄한 투명 기재 상에 형성된 기저층의 두께를 0 ∼ 10 ㎛ 의 범위에서 변화시킨 경우의 b* 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투명」하다는 것은, 예를 들어, 가시광 대역 (구체적으로는 360 ㎚ ∼ 830 ㎚) 에 있어서, 입사광의 약 70 % 이상을 투과시키고, 광의 흡수가 입사광의 약 30 % 미만인 것을 나타낸다.
<1. 안면 보호 실드용 투명 필름>
<1.1. 개요>
먼저,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안면 보호 실드용 투명 필름 (이하, 간단히 투명 필름이라고도 한다) 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안면 보호 실드용 투명 필름 (1A) 을 두께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 는 안면 보호 실드용 투명 필름 (1A) 을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본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투명 필름 (1A) 은, 가요성을 갖는 투명 기재 (10) 와, 가시광 파장 이하의 피치로 복수 형성된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구조체 (이른바 모스아이 구조) 를 갖는 투명 수지층 (20) 을 적층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안면 보호 실드에 투명 필름 (1A) 을 사용하는 경우, 투명 필름 (1A) 의 표리는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투명 필름 (1A) 의 투명 기재 (10) 를 구비하는 면, 및 투명 수지층 (20) 을 구비하는 면 중 어느 것을 장착자측을 향하게 하여 안면 보호 실드를 형성해도 된다.
또, 투명 기재 (10) 와 투명 수지층 (20) 은 굴절률이 상이하고, 또한 투명 기재 (10) 와 투명 수지층 (20) 의 계면은 요철 형상이다 (투명 기재 (10) 와 투명 수지층 (20) 의 계면은 굴곡을 갖는다고도 한다). 또한, 투명 기재 (10) 와 투명 수지층 (20) 의 계면 형상은, 예를 들어, 투명 필름 (1A) 을 필름면에 수직인 면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절단면에서 관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투명 필름 (1A) 은, 투명 수지층 (20) 의 표면에 가시광 파장 이하의 피치로 복수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구조체 (이른바, 모스아이 구조) 를 형성함으로써, 반사 방지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투명 필름 (1A) 은, 투명 기재 (10) 의 굴절률과 투명 수지층 (20) 의 굴절률을 상이하게 하고, 또한 투명 기재 (10) 와 투명 수지층 (20) 의 계면에 요철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투명 필름 (1A) 에 대하여, 비장착자에게만 관찰 가능한 무지개색의 반사 모양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들 구성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안면 보호 실드용 투명 필름 (1A) 은, 투명성을 보다 향상시키면서, 또한 비장착자로부터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2. 투명 필름의 각 구성>
(투명 수지층)
투명 수지층 (20) 은, 가시광의 파장 이하의 피치로 2 차원적으로 복수 배치 형성된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구조체 (21) (모스아이 구조) 와, 개개의 구조체 (21) 를 지지하고, 구조체 (21) 와 일체로 형성된 기저층 (22) 을 갖는다. 이와 같은 모스아이 구조에 의해, 투명 수지층 (20) 은, 반사 방지 특성을 구비할 수 있다.
모스아이 구조를 구성하는 복수의 구조체 (21) 는, 투명 필름 (1A) 의 필름면에 대하여 볼록하거나 또는 오목한 구조체이다. 구조체 (21) 의 입체 형상은, 어떠한 형상이어도 되는데, 예를 들어, 조종 (釣鐘) 형상, 타원 원뿔대 형상 등으로 할 수 있다. 또, 필름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서 본 구조체 (21) 의 평면 형상도, 어떠한 형상이어도 되는데,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등으로 할 수 있다.
또, 구조체 (21) 의 높이 (H1) 는, 바람직하게는 180 ㎚ 이상 3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90 ㎚ 이상 30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90 ㎚ 이상 230 ㎚ 이하이다. 구조체 (21) 의 높이가 이와 같은 범위의 값인 경우, 투명 필름 (1A) 의 반사 방지 특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투명 수지층 (20) 의 모스아이 구조를 전사법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 전사 후에 투명 수지층 (20) 을 원형 (元型) 으로부터 이형할 때의 이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구조체 (21) 의 높이는 각각에서 상이해도 된다.
모스아이 구조를 구성하는 복수의 구조체 (21) 의 배치 형성 패턴은, 예를 들어,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조체 (21) 를 X 방향으로 배열시킨 각 트랙 (T1, T2, T3) 이 Y 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열된 패턴이다. 도 2 에 있어서, P1 은 X 방향의 트랙 내의 구조체 (21) 의 피치 (이하, 도트 피치라고도 한다) 이고, P2 는 인접하는 트랙 간의 구조체 (21) 의 피치이고, TP 는 각 트랙의 피치 (이하, 트랙 피치라고 한다) 이다. 또, UC 는 도 2 에서 나타낸 배치 형성 패턴에 있어서의 단위 격자이다.
여기서, 구조체 (21) 의 트랙 내의 도트 피치 (P1), 및 트랙 간의 피치 (P2) 는, 각각 반사 방지를 의도하는 가시광의 파장 이하가 되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어, P1 및 P2 는 100 ㎚ ∼ 830 ㎚ 여도 된다.
또, 도 2 에 나타내는 구조체 (21) 의 배치 형성 패턴에서는, 인접하는 트랙 (T1, T2, T3) 끼리에서, 구조체 (21) 의 위치가 트랙마다 도트 피치 (P1) 의 1/2 씩 어긋나 있다. 이로써, 도 2 에 나타내는 구조체 (21) 의 배치 형성 패턴에서는, 구조체 (21) 가 육방 격자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구조체 (21) 의 배치 형성 패턴은, 도 2 에서 나타낸 육방 격자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조체 (21) 의 배치 형성 패턴은, 어떠한 2 차원 패턴이어도 되는데, 예를 들어, 사방 격자상이어도 되고, 랜덤이어도 된다.
여기서, 투명 수지층 (20) 의 평면에서 봤을 때에 있어서의 구조체 (21) 의 충전율 (평균 충전율) 은, 100 % 를 상한으로 하여, 40 % 이상이 바람직하고, 65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73 %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86 % 이상이 가장 바람직하다. 구조체 (21) 의 충전율을 상기 서술한 범위로 함으로써, 반사 방지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구조체 (21) 의 충전율은, 이하와 같이 하여 구할 수 있다.
먼저, 투명 수지층 (20) 의 표면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 (SEM :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을 사용하여, 투명 필름 (1A) 의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촬영한다. 다음으로, 촬영한 SEM 사진으로부터 무작위로 배열 패턴의 단위 격자 (UC) 를 선출하고, 단위 격자 (UC) 의 각 변의 길이를 산출하기 위해, 구조체 (21) 의 도트 피치 (P1) 및 트랙 피치 (TP) 를 측정한다. 계속해서, 측정한 도트 피치 (P1), 트랙 피치 (TP) 로부터 단위 격자의 면적 (SUNIT) 을 산출한다. 또한, 구조체 (21) 의 배치 형성 패턴이 육방 격자상 또는 준육방 격자상인 경우, SUNIT 는 P1 × 2TP 로 산출할 수 있다. 또, 단위 격자 (UC) 의 중앙에 위치하는 구조체 (21) 의 바닥면의 면적 (SDOT) 을 화상 처리에 의해 측정한다. 이들 측정 결과로부터 이하의 식으로 충전율을 구할 수 있다.
충전율 = (SDOT/SUNIT) × 100
상기 서술한 충전율의 산출을, 촬영한 SEM 사진으로부터 무작위로 선출된 복수 지점 (예를 들어, 10 개 지점) 의 단위 격자에 대해 실시하고, 산출된 충전율의 평균을 산출함으로써, 구조체 (21) 의 충전율을 구할 수 있다.
또한, 충전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인접하는 구조체 (21) 의 하부끼리를 접합시키는 것, 또는 구조체 (21) 의 바닥면의 형상을 조정하여 투명 수지층 (20) 의 평면에서 봤을 때에 있어서의 비구조체 부분의 면적을 저감시키는 것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기저층 (22) 은, 구조체 (21) 와 일체로 형성되고, 개개의 구조체 (21) 를 지지한다. 기저층 (22) 의 두께는, 투명 기재 (10) 와 투명 수지층 (20) 의 계면의 요철 형상에 대응하여 변화한다. 기저층 (22) 의 평균 두께 (H2) 는, 바람직하게는 0.5 ∼ 1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7 ㎛ 이다.
또한, 기저층 (22) 의 평균 두께 (H2) 는, 예를 들어, 디지털 측장기 ((주) 미츠토요 제조의 라이트매틱 VL-50S-B) 를 사용하여 투명 필름 (1A) 의 막두께를 복수 회 (예를 들어, 10 회 등) 측정하여 산출한 평균 막두께로부터, 구조체 (21) 의 높이 (H1) (설계값) 및 투명 기재 (10) 의 막두께 (H3) 를 뺌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기저층 (22) 의 평균 두께 (H2) 의 측정은, 필름 폭의 최장변에 평행한 방향으로, 그 최장변의 길이의 약 10 % 또는 약 3 ㎜ 마다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투명 수지층 (20) 은, 투명한 유기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투명 수지층 (20) 에 구조체 (21) 를 형성하기 위해 전사법을 사용하는 경우, 투명 수지층 (20) 은, 경화성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수지층 (20) 은, 경화 후의 광 투과율이 높고, 굴절률이 후술하는 소정 범위 내의 값이고, 또한 친수성을 갖는 경화성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투명 수지층 (20) 을 구성하는 경화성 수지의 굴절률 (나트륨의 D 선 (파장 589 ㎚) 에서 측정) 은, 1.40 이상 2.00 이하가 바람직하고, 1.43 이상 2.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경화 후의 굴절률이 높은 수지는, 경화 전의 점성이 높다. 따라서, 경화성 수지의 굴절률이 2.00 을 초과하는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사법으로 투명 수지층 (20) 의 표면에 구조체 (21) 를 형성할 때, 원하는 형상의 구조체 (21) 를 형성하기 곤란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투명 수지층 (20) 을 구성하는 경화성 수지가 친수성을 갖는 경우, 투명 필름 (1A) 이 습기에 의해 잘 흐려지지 않게 된다. 이로써, 투명 필름 (1A) 을 사용하여 형성된 안면 보호 실드가 장착자의 안면에 장착되었을 때, 투명 필름 (1A) 이 피착자의 숨 등으로 흐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친수성을 갖는 경화성 수지로는, 예를 들어, 친수성 관능기를 갖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명 수지층 (20) 의 표면에 친수성을 갖는 피막을 형성함으로써 투명 수지층 (20) 에 친수성을 부여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은 경우, 투명 수지층 (20) 의 표면에 형성된 모스아이 구조가 친수 피막에 의해 메워져, 반사 방지 특성이 저해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투명 수지층 (20) 을 구성하는 경화성 수지로는, 구체적으로는, 단관능 모노머, 2 관능 모노머, 또는 다관능 모노머를 광중합 개시제로 중합시킨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단관능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실산류 모노머 (아크릴산 등), 하이드록시류 모노머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등), 알킬 또는 지환류 모노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t-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등), 기타 기능성 모노머 (2-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아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에틸카르비톨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일모르폴린,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아크릴아미드, N-비닐피롤리돈, 2-(퍼플루오로옥틸)에틸아크릴레이트, 3-퍼플루오로헥실-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3-퍼플루오로옥틸-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퍼플루오로데실)에틸아크릴레이트, 2-(퍼플루오로-3-메틸부틸)에틸아크릴레이트, 2,4,6-트리브로모페놀아크릴레이트, 2,4,6-트리브로모페놀메타크릴레이트, 2-(2,4,6-트리브로모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등) 등을 들 수 있다.
2 관능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디알릴에테르,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다관능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관능 모노머, 2 관능 모노머, 및 다관능 모노머 중에서도,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하이드록시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등의 친수성기를 갖는 모노머를 중합시킨 경화성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모노머를 중합시키는 광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밖에도, 투명 수지층 (20) 을 형성하는 경화성 수지의 경화 전 조성물에는, 무기 미립자 및 유기 미립자 등의 필러가 함유되어도 된다. 무기 미립자로는, 예를 들어, SiO2, TiO2, ZrO2, SnO2, Al2O3 등의 금속 산화물 미립자를 들 수 있다. 유기 미립자로는, 투명한 유기 수지로 형성된 수지 미립자를 들 수 있다.
또, 투명 수지층 (20) 을 형성하는 경화성 수지의 경화 전 조성물에는, 레벨링제, 표면 조정제, 소포제 등의 기능성 첨가제가 첨가되어도 된다.
(투명 기재)
투명 기재 (10) 는, 가요성을 갖는 투명 수지로 형성되고, 투명 수지층 (20) 을 지지한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투명 필름 (1A) 에 있어서, 투명 기재 (10) 와 투명 수지층 (20) 의 계면은 요철 형상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투명 기재 (10) 의 투명 수지층 (20) 측의 표면에는, 요철 형상이 형성된다. 이 요철 형상에 의해, 투명 수지층 (20) 의 기저층 (22) 에 두께 불균일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투명 필름 (1A) 은, 비장착자로부터만 관찰 가능한 반사 모양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요철 형상이란, 예를 들어, 요철의 고저차가 구조체 (21) 의 높이에 대하여 1/3 배 이상이고, 요철의 피치가 구조체 (21) 의 배치 형성 패턴의 피치보다 100 배 이상 긴 파상 (波狀) 형상인 것을 나타낸다.
요철 형상의 고저차 (Hw) 는, 기저층 (22) 의 평균 두께에 따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기저층 (22) 의 평균 두께 (H2) 가 1.5 ㎛ 미만인 경우, 요철 형상의 고저차 (Hw) 는 0.1 ∼ 1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기저층 (22) 의 평균 두께 (H2) 가 1.5 ㎛ 이상 5 ㎛ 미만인 경우, 고저차 (Hw) 는 0.1 ㎛ ∼ 4.5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저층 (22) 의 평균 두께 (H2) 가 5 ㎛ 이상 10 ㎛ 이하인 경우, 고저차 (Hw) 는 0.1 ∼ 9.5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요철 형상의 피치는, 비장착자로부터만 관찰 가능한 무지개색의 반사 모양을 보이기 쉽게 하기 위해, 1 ∼ 100 ㎜ 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5 ∼ 50 ㎜ 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투명 기재 (10) 와 투명 수지층 (20) 의 계면이 갖는 요철 형상은, 투명 필름 (1A) 의 시인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넓은 영역에 걸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전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투명 기재 (10) 의 평균 두께 (H3) 는, 투명 필름 (1A) 의 사용 방법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예를 들어, 투명 필름 (1A) 을 안면 마스크에 고정시킴으로써 안면 보호 실드가 형성되는 경우, 투명 기재 (10) 의 평균 두께 (H3) 는, 10 ㎛ 이상 50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0 ㎛ 이상 500 ㎛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 이상 300 ㎛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투명 기재 (10) 의 평균 두께 (H3) 가 10 ㎛ 이상인 경우, 투명 필름 (1A) 을 사용하여 형성된 안면 보호 실드는, 비산물 또는 비래물에 대하여 충분한 보호 성능을 가질 수 있다. 또, 투명 기재 (10) 의 평균 두께 (H3) 가 500 ㎛ 이하인 경우, 투명 필름 (1A) 을 경량화할 수 있다. 또, 투명 필름 (1A) 의 가요성이 높아짐으로써, 투명 필름 (1A) 을 곡면 형상으로 변형하는 것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안면 보호 실드의 보호 부재로서의 장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평균 두께 (H3) 는, 공지된 방법으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예를 들어, 디지털 측장기 ((주) 미츠토요 제조의 라이트매틱 VL-50S-B) 를 사용하여, 복수 회 (예를 들어, 10 회 등) 측정하였을 때의 평균값을 사용할 수 있다.
또, 투명 기재 (10) 의 굴절률은, 투명 수지층 (20) 의 굴절률에 대하여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투명 기재 (10) 및 투명 수지층 (20) 의 파장 589 ㎚ 의 광에 있어서의 굴절률의 차는, 0.05 이상 0.3 이하가 바람직하고, 0.05 이상 0.2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투명 기재 (10) 의 굴절률과 투명 수지층 (20) 의 굴절률 사이에 차를 형성함으로써, 투명 수지층 (20) 의 기저층 (22) 에 두께 불균일을 형성한 것과 더불어, 기저층 (22) 의 표리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을 간섭시킬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구조체 (21) 에 의해 굴절률이 완만하게 변화하고 있는 층 (즉, 투명 수지층 (20) 으로부터 기저층 (22) 을 제외한 층) 과 기저층의 계면의 반사광, 및 투명 기재 (10) 와 기저층 (22) 의 계면의 반사광을 간섭시킬 수 있게 된다. 또, 기저층 (22) 에 의해 발생하는 간섭의 정도는, 기저층 (22) 이 두께 불균일을 갖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변화한다.
이로써, 투명 필름 (1A) 에서는, 무지개색의 반사 모양이 시인되게 된다. 단, 그 무지개색의 반사 모양은, 투명 필름 (1A) 을 사용한 안면 보호 실드를 장착하는 장착자에게는 시인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투명 필름 (1A) 은, 투명 필름 (1A) 을 사용한 안면 보호 실드의 장착자에 대하여, 밝아 보기 쉬운 시계를 제공하면서, 비장착자로부터의 시인성을 향상시켜,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투명 기재 (10) 의 형성 재료로는, 예를 들어, 투명 수지층 (20) 과는 상이한 굴절률을 구비한 공지된 다양한 투명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투명 기재 (10) 의 형성 재료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 : PET), 폴리카보네이트 (Polycarbonate : PC),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스티렌 중합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스티렌 공중합체, 메틸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우레탄,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COC) 등을 들 수 있다. 또, 내열성을 고려하는 경우, 투명 기재 (10) 의 형성 재료로서 아라미드계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투명 기재 (10) 의 형성 재료로서 가요성을 갖는 박막 유리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안면 보호 실드용 투명 필름 (1A) 은,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구조체 (21) 를 가시광 파장 이하의 피치로 복수 형성한 투명 수지층 (20) 을 투명 기재 (10) 의 표면에 갖는다. 이로써, 본 발명에 관련된 투명 필름 (1A) 은, 매우 강도가 높은 조명하에서도 반사광을 줄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파장 550 ㎚ 의 광에 대한 광 투과율을 98.5 %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투명 필름 (1A) 은, 투명 기재 (10) 와 투명 수지층 (20) 의 계면이 요철 형상이기 때문에, 구조체 (21) 를 지지하는 기저층 (22) 의 두께가 변화하고 있고, 또한 투명 기재 (10) 와 투명 수지층 (20) 의 굴절률이 상이하다. 이로써, 본 발명에 관련된 투명 필름 (1A) 에서는, 기저층 (22) 에 의해 반사광이 간섭하여, 무지개색의 반사 모양이 관찰되게 된다. 이와 같은 반사 모양은, 투명 필름 (1A) 을 사용한 안면 보호 실드의 비장착자에게만 관찰되고, 장착자에게는 관찰되지 않기 때문에, 투명 필름 (1A) 은, 장착자의 시계를 확보하면서, 비장착자로부터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안면 보호 실드용 투명 필름 (1A) 에 있어서, 비장착자로부터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투명 필름 (1A) 에 프레임을 부착하거나, 부분적으로 인쇄를 실시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 제조 비용이 증가한다.
한편, 본 발명에 관련된 투명 필름 (1A) 은, 투명 기재 (10) 의 표면의 요철 형상을, 예를 들어, 투명 기재 (10) 로서 사용하는 필름의 제조시에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는 닙 롤러를 사용함으로써, 또는 투명 기재 (10) 를 표면 처리함으로써, 저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련된 투명 필름 (1A) 은, 제조 비용의 상승도 억제할 수 있다.
<1.3. 투명 필름의 제조 방법>
투명 필름 (1A) 의 제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는 투명 기재 (10) 상에 투명 수지층 (20) 을 형성하고, 전사법 등에 의해 투명 수지층 (20) 에 구조체 (21) 를 형성함으로써 투명 필름 (1A) 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투명 기재 (10) 로서 사용하는 수지 시트를 준비한다. 수지 시트는, 예를 들어, 성형시에 요철 형상을 갖는 닙 롤러를 사용함으로써, 표면에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수지 시트의 요철 형상이 형성된 표면에 미경화된 자외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고, 도포면을 모스아이 구조가 형성된 원반에 밀착시킨 후, 자외선 등을 조사함으로써 자외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킨다. 계속해서, 자외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경화된 후, 수지 시트를 원반으로부터 박리함으로써, 투명 필름 (1A) 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란, 자외선 경화성 수지, 광중합 개시제, 기타 필러, 첨가제 등이 혼합된 것이다.
또, 모스아이 구조가 형성된 원반은, 이하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국제공개 2012/133943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먼저, 롤상의 유리 원반에 레지스트를 도포한 후, 레이저광을 사용한 포토 리소그래피로 패터닝함으로써, 표면에 미세한 요철 패턴 (모스아이 구조) 이 형성된 원반을 제조해도 된다. 또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053496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기판을 양극 산화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양극 산화 포러스 알루미나 기판을 원반으로서 사용해도 된다.
<1.4. 투명 필름의 변형예>
계속해서, 도 3 ∼ 도 5 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투명 필름의 다양한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은 본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관련된 투명 필름을 두께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5 는 본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관련된 투명 필름을 두께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 1 변형예)
제 1 변형예에서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필름 (1B) 은, 표리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는 투명 수지 시트 (10a) 의 편면에 표면 처리층 (10b) 이 형성되고, 표면 처리층 (10b) 상에 투명 수지층 (20) 이 형성되어 있다. 또, 표면 처리층 (10b) 의 투명 수지층 (20) 측의 표면에는,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표면 처리층 (10b) 은, 투명 수지 시트 (10a) 와 투명 수지층 (20) 의 접착성을 높이는 앵커코트층 또는 프라이머층으로서 기능한다. 표면 처리층 (10b) 은, 예를 들어, 오르가노알콕시메탈 화합물,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우레탄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공층으로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표면 처리층 (10b) 의 표면에 소정의 요철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는 도공 롤을 사용하여, 표면 처리층 (10b) 을 도공하면 된다.
(제 2 변형예)
제 2 변형예에서는,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기재 (10) 의 양면에 투명 수지층 (20) 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경우, 투명 기재 (10) 와 투명 수지층 (20)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의 계면이 요철 형상이면 된다.
예를 들어, 도 4 에 나타내는 투명 필름 (1C) 에서는, 투명 기재 (10) 의 양면에 투명 수지층 (20) 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5 에 나타내는 투명 필름 (1D) 에서는, 투명 기재 (10) 의 양면에 표면 처리층 (10b) 을 개재하여 투명 수지층 (20) 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투명 기재 (10) 의 양면에 투명 수지층 (20) 을 형성함으로써, 외과 수술용 조명 등의 매우 조도가 강한 경우에도 반사광을 억제하여, 투명 필름 (1C, 1D) 의 광 투과율을 99 %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투명성이 매우 높은 투명 필름 (1C, 1D) 에서는, 시인성 및 취급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투명 기재 (10) 와 투명 수지층 (20) 의 계면을 요철 형상으로 하여 무지개색의 반사 모양이 관찰되도록 하는 의의가 특히 높다.
또한, 투명 기재 (10) 의 양측의 투명 수지층 (20) 에 있어서, 각각의 투명 수지층 (20) 에 형성되는 구조체 (21) 는, 형상, 높이, 피치 등이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고, 상이해도 된다.
또한, 투명 기재 (10) 의 일방의 면에 형성된 투명 수지층 (20) 의 구조체 (21) 의 높이를 H1a, 투명 기재 (10) 의 평균 두께를 H3, 투명 기재 (10) 의 타방의 면에 형성된 구조체 (21) 의 높이를 H1b 로 한 경우, 안면 보호 실드에 있어서 실드재를 고정화하고, 변형이 없는 안정적인 시계를 얻기 위해서는, H1a : H3 : H1b = 18 ∼ 30 : 800 ∼ 300000 : 18 ∼ 30 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H1a : H3 : H1b = 18 ∼ 30 : 1000 ∼ 50000 : 18 ∼ 30 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2. 안면 보호 실드>
다음으로, 도 6 및 도 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투명 필름을 사용한 안면 보호 실드에 대해 설명한다. 안면 보호 실드는, 예를 들어, 의료 종사자 등이 안면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고글형, 안면 마스크형, 선 바이저형 등의 투명 실드재이다. 이와 같은 안면 보호 실드는, 본 발명에 관련된 투명 필름을 안면 마스크 등에 자유롭게 고착 또는 착탈할 수 있게 장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투명 필름을 장착하는 대상은, 안면 마스크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련된 투명 필름을 선 바이저형의 쓰개에 장착해도 되고, 안면 보호 실드의 형태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에 관련된 투명 필름 (1) 을 아이 실드 (73) 로서 안면 마스크 (71) 에 고착시킨 안면 보호 실드 (70) 의 평면도이다. 또, 도 7 은 도 6 에 나타낸 안면 보호 실드 (70) 가 안면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면 마스크 (71) 는, 착용자의 코, 입 및 턱의 일부를 덮고, 끈 (72) 등으로 안면에 유지된다. 안면 마스크 (71) 로는, 임의의 의료용 안면 마스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통기성을 갖고, 또한 세균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다층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아이 실드 (73) 는, 본 발명에 관련된 투명 필름 (1) 으로 형성되고, 착용자의 눈에 액체나 비산물이 비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안면 마스크 (71) 와 접합 영역 (74a, 74b) 에서 고착되어 있다.
또, 아이 실드 (73) 는, 안면 마스크 (71) 의 폭에 대하여 충분히 큰 폭을 가져, 착용자의 눈 주위를 넓게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갖고 있다. 또, 아이 실드 (73) 는, 하변 중앙에 패임부 (75) 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패임부 (75) 가 있음으로써, 아이 실드 (73) 는, 안면 보호 실드 (70) 를 안면에 착용한 경우, 착용자의 코의 주위에서 구부러져, 안면을 따른 곡면이 될 수 있다.
접합 영역 (74a, 74b) 은, 착용시에 코의 측방이 되는 안면 마스크 (71) 의 좌우 양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접합 영역 (74a, 74b) 에 있어서의 아이 실드 (73) 와 안면 마스크 (71) 의 고착 방법으로는, 초음파 용착, 열 접착, 리벳 등의 기계적 접합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접합 영역 (74a, 74b) 의 크기는, 아이 실드 (73) 를 고정시킬 수 있는 크기이면 되며, 예를 들어, 폭 3 ∼ 15 ㎜, 길이 5 ∼ 30 ㎜ 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합 영역 (74a, 74b) 에 의해, 아이 실드 (73) 를 끈 (72) 으로 안면에 가압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안면 보호 실드 (70) 의 착탈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다음의 공정에 의해 투명 기재의 양면에 모스아이 구조가 형성된 투명 수지층을 갖고, 투명 수지층과 투명 기재 사이의 계면이 요철 형상인 (즉, 계면이 굴곡을 갖는) 투명 필름을 제조하였다.
먼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종형이고 바닥면이 타원형인 구조체 (21) 가 육방 격자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투명 수지층 (구조체의 높이 (H1) = 250 ㎚, 트랙 내의 구조체 피치 (P1) = 230 ㎚, 트랙 간의 구조체 피치 (P2) = 153 ㎚, 트랙 피치 (TP) = 153 ㎚) 을 제조하기 위한 원반을, 국제공개 2012/133943호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또, 투명 기재로서, 표 1 에 나타내는 수지로 형성된 투명 필름을 준비하였다. 또한,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에 관련된 투명 필름의 요철 형상의 피치는 1 ∼ 100 ㎜ 의 범위 내이고, 고저차는 0.1 ∼ 9.5 ㎛ 의 범위 내였다.
또, 각 투명 기재의 굴절률 (파장 589 ㎚ (나트륨의 D 선)) 을 아베 굴절률계 ((주) 아타고 제조) 에 의해 측정하였다.
원반 상에 친수기를 갖는 UV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수 방울 떨어뜨리고, 원반에 투명 기재를 압착시키고, UV 조사하였다. 여기서, 친수기를 갖는 UV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다이셀·사이텍 (주) 제조의 EBECRYL9270) 와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크릴레이트 (사토마 (주) 제조의 SR550) 를 7 : 3 의 질량비로 혼합한 것에, 광중합 개시제 이르가큐어 184 (BSAF·재팬 (주) 제조) 를 UV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총 질량에 대하여 3 질량% 첨가한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UV 조사는, 투명 기재측으로부터 1000 mJ 의 자외선을 1 분간 조사함으로써 실시하였다.
UV 조사에 의해 UV 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킨 후, 원반으로부터 투명 필름을 이형하여,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투명 기재의 일면에 투명 수지층이 형성된 투명 필름을 얻었다. 동일한 순서로, 투명 기재 (10) 의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에도 투명 수지층을 형성하여,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투명 기재의 양면에 투명 수지층이 형성된 투명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의 투명 필름에 대해, 투명 수지층의 굴절률 (파장 589 ㎚ (나트륨의 D 선)) 을 아베 굴절률계 ((주) 아타고 제조) 에 의해 측정한 결과, 1.53 이었다.
[비교예 2]
투명 수지층과 투명 기재 사이에 굴절률차가 있고, 투명 수지층과 투명 기재 사이의 계면이 요철 형상이 아니라 평탄한 투명 필름을 다음의 공정에 의해 제조하였다.
먼저, 실시예 2 와 동일한 투명 기재 (PC, 굴절률 1.58) 에 UV 경화성 수지를 수 방울 떨어뜨리고, 평탄한 유리판을 가압하고 UV 조사하였다. UV 경화성 수지로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다이셀·사이텍 (주) 제조의 EBECRYL9270) 와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크릴레이트 (사토마 (주) 제조의 SR550) 를 혼합한 것에, 광중합 개시제 이르가큐어 184 (BSAF·재팬 (주) 제조) 를 UV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총 질량에 대하여 3 중량% 첨가한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또한, 우레탄아크릴레이트와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크릴레이트의 혼합비는, UV 경화성 수지의 경화물의 굴절률이 1.58 이 되도록 조정하였다.
UV 조사는, 투명 기재측으로부터 1000 mJ 의 자외선을 1 분간 조사함으로써 실시하였다. 이로써, 투명 기재 상에 동등한 굴절률을 갖는 평탄한 UV 경화 수지층을 얻었다. 이 UV 경화 수지층의 고저차를 상기 서술한 바와 동일하게 측정한 결과, 고저차는 0.1 ㎛ 미만이었다.
다음으로, 평탄한 UV 경화 수지층 상에 실시예 1 과 동일한 순서로 투명 수지층 (굴절률 1.53) 을 형성함으로써, 투명 수지층과 하지의 UV 경화 수지층 및 투명 기재 사이에서 굴절률차가 있고, 투명 수지층과 UV 경화 수지층의 계면이 요철 형상이 아니라 평탄한 투명 필름을 얻었다.
[광 투과율, Haze 및 시인성의 평가]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 에 관련된 투명 필름에 대해, 광 투과율 및 Haze (탁도) 를 헤이즈미터 ((주) 무라카미 색채 기술 연구소 제조의 HM-150) 에 의해 측정하였다.
시인성의 평가는, 이하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먼저, 필름면이 관찰자의 정면을 향하도록 투명 필름을 설치하고, 투명 필름 및 관찰자의 중간점의 머리 상에 조명광으로서 백색 형광등을 설치하였다. 다음으로, 백색 형광등의 조도를 2000 럭스 또는 500 럭스로 하여, 관찰자에게 투명 필름을 관찰시켰다. 이 경우의 관찰자로부터의 투명 필름의 시인 용이성 (시인성) 을, 반사 모양에 의해 투명 필름을 시인하기 쉬운「1」에서, 투명 필름을 시인할 수 없는「5」의 5 단계로 평가하였다.
이상의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 1 의 결과를 참조하면, 투명 기재와 투명 수지층 사이에서 굴절률이 상이하고, 또한 투명 기재와 투명 수지층의 계면이 요철 형상인 경우 (실시예 1, 2), 반사 모양에 의해 투명 필름의 시인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투명 기재와 투명 수지층의 굴절률의 차는, 0.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투명 기재와 투명 수지층 사이에서 굴절률이 동일한 경우 (비교예 1), 및 투명 기재와 투명 수지층의 계면이 평탄한 경우 (비교예 2) 에는, 투명 필름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실제로 관찰자의 시계의 대부분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실시예 1, 2 에 관련된 투명 필름을 컷하여, 안면 보호 실드로서 관찰자에게 장착시켜 투명 필름을 통한 시계의 보이는 방식을 확인한 결과, 양호한 시계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또,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투명 기재의 편면에만 투명 수지층이 형성된 투명 필름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실시예 3 에 관련된 투명 필름에 있어서, 투명 기재의 필름 폭 방향의 두께의 변동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필름 폭 방향 600 ㎜ 의 범위에서 20 점 이상의 측정 지점을 형성하고, 디지털 측장기 ((주) 미츠토요 제조의 라이트매틱 VL-50S-B) 를 사용하여, 각 측정 지점을 10 회씩 측정하였다. 도 8 에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도를 나타낸다.
도 8 에 나타내는 그래프도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투명 필름을 구성하는 투명 기재의 표면에는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요철 형상의 요철의 피치는 1 ∼ 100 ㎜ 정도인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투명 기재와 투명 수지층의 계면도, 동일한 요철 형상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투명 기재와 투명 수지층의 계면의 요철 형상은,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방법 이외에도 레이저 현미경 등을 사용함으로써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3 에 관련된 투명 필름의 광 투과율 및 Haze (탁도) 를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측정한 결과, 광 투과율은 94.8 % 이고, Haze 는 0.3 % 였다. 또, 실시예 3 에 관련된 투명 필름의 시인성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한 결과, 반사 모양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여, 시인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3 에 관련된 투명 필름을 안면 보호 실드로서 장착시켜, 장착자에 의해 투명 필름을 통한 시계의 보이는 방식을 확인한 결과, 실시예 1 과 동일한 양호한 시계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투명 기재와 투명 수지층의 계면의 요철 형상의 피치는, 1 ∼ 100 ㎜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기저층의 두께와 투명 필름의 색조 변화]
또한, 투명 기재와 투명 수지층의 계면에 있어서의 요철 형상의 고저차가 어느 정도인 경우에 투명 필름에 있어서 무지개색으로 색조가 변화된 반사 모양이 시인되는지를 검토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투명 기재로서 평탄한 PET (굴절률 1.60) 필름, 또는 PC (굴절률 1.58)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구조체가 형성된 투명 수지층 (굴절률 1.53) 을 투명 기재 상에 적층하여, 시험용 투명 필름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백색 형광등을 시험용 투명 필름에 조사한 경우에 있어서, 0 ∼ 10 ㎛ 의 범위에서 기저층의 두께를 변화시킴으로써, 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명도 L*, 색도 a* 및 b* 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시뮬레이션하였다. 또한, 시뮬레이션에는, TFCalc (SoftwareSpectra Inc. 제조) 를 사용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 9a, 도 9b 및 도 9c 에 나타낸다.
도 9a, 도 9b 및 도 9c 에 나타내는 결과를 참조하면, 투명 필름은, 기저층의 두께가 약 1500 ㎚ 변화할 때마다 주기적으로 색조가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9a, 도 9b 및 도 9c 에 나타내는 결과를 고려하면, 투명 기재와 투명 수지층의 계면이, 기저층의 두께가 0.1 ㎛ 이상 변동되는 요철 형상이면, 비장착자는 투명 필름의 색조의 변화를 시인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요철 형상의 요철의 고저차는, 0.1 ∼ 9.5 ㎛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은 분명하며, 이것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1, 1A, 1B, 1C, 1D : 안면 보호용 투명 필름
10 : 투명 기재
10a : 투명 수지 시트
10b : 표면 처리층
20 : 투명 수지층
21 : 구조체
22 : 기저층
70 : 안면 보호 실드
71 : 안면 마스크
72 : 끈
73 : 아이 실드
74a, 74b : 접합 영역
75 : 패임부

Claims (6)

  1. 가요성을 갖는 투명 기재와,
    상기 투명 기재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적층되고, 가시광 파장 이하의 피치로 복수 형성된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구조체를 표면에 갖는 투명 수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투명 기재 및 상기 투명 수지층의 굴절률은 상이하고,
    상기 투명 기재와 상기 투명 수지층의 계면은 요철 형상인, 안면 보호 실드용 투명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재 및 상기 투명 수지층의 파장 589 ㎚ 의 광에 대한 굴절률의 차는, 0.05 이상인, 안면 보호 실드용 투명 필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형상은, 고저차가 0.1 ∼ 9.5 ㎛ 의 범위 내이고, 피치가 1 ∼ 100 ㎜ 의 범위 내인, 안면 보호 실드용 투명 필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수지층은, 상기 투명 기재의 양면에 적층되는, 안면 보호 실드용 투명 필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수지층은, 친수성 관능기를 갖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인, 안면 보호 실드용 투명 필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안면 보호 실드용 투명 필름이 장착된, 안면 보호 실드.
KR1020167035515A 2014-07-23 2015-05-27 안면 보호 실드용 투명 필름 KR1024449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50264 2014-07-23
JP2014150264 2014-07-23
JP2014159228A JP6458392B2 (ja) 2014-07-23 2014-08-05 顔面保護用透明フィルム
JPJP-P-2014-159228 2014-08-05
PCT/JP2015/065283 WO2016013290A1 (ja) 2014-07-23 2015-05-27 顔面保護シールド用透明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085A true KR20170039085A (ko) 2017-04-10
KR102444982B1 KR102444982B1 (ko) 2022-09-19

Family

ID=55162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5515A KR102444982B1 (ko) 2014-07-23 2015-05-27 안면 보호 실드용 투명 필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75572B2 (ko)
EP (1) EP3165358B1 (ko)
JP (1) JP6458392B2 (ko)
KR (1) KR102444982B1 (ko)
TW (1) TWI680869B (ko)
WO (1) WO20160132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31525A1 (en) 2010-05-14 2017-02-02 Racing Optics, Inc. Touch screen shield
US9295297B2 (en) 2014-06-17 2016-03-29 Racing Optics, Inc. Adhesive mountable stack of removable layers
EP3241533A1 (en) * 2016-05-04 2017-11-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 curved eye protection shield for welding protection
JP7202774B2 (ja) * 2017-09-29 2023-01-12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光学体、光学体の製造方法、及び発光装置
EP3508889A1 (en) * 2018-01-09 2019-07-10 Danmarks Tekniske Universitet Anti-fogging transparent surface
FR3081133A1 (fr) * 2018-05-15 2019-11-22 Compagnie Plastic Omnium Piece de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 film de surface eclaire
US11846788B2 (en) 2019-02-01 2023-12-19 Racing Optics, Inc. Thermoform windshield stack with integrated formable mold
EP3917768A4 (en) 2019-02-01 2022-10-26 Racing Optics, Inc. THERMOFORMED WINDSHIELD STACK WITH INTEGRATED MOLDABLE FOOT MOLD
US11364715B2 (en) 2019-05-21 2022-06-21 Racing Optics, Inc. Polymer safety glazing for vehicles
US11648723B2 (en) 2019-12-03 2023-05-16 Racing Opt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non-normal incidence distortion in glazing films
US11548356B2 (en) 2020-03-10 2023-01-10 Racing Optics, Inc. Protective barrier for safety glazing
US11147323B1 (en) * 2020-04-17 2021-10-19 Racing Optics, Inc. Protective face shield attachable to headwear
US11399581B2 (en) * 2020-04-17 2022-08-02 Racing Optics, Inc. Protective face shield attachable to headwear
JP6888154B1 (ja) * 2020-05-01 2021-06-16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フェイスシールドおよびマスク付きフェイスシールド
US11564426B2 (en) * 2020-06-18 2023-01-31 Jmdm Holdings Llc Facial covering system
WO2022004785A1 (ja) * 2020-06-30 2022-01-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透明積層体、画像表示装置、両面反射防止積層体、および顔用透明保護具
CN111838832A (zh) * 2020-09-07 2020-10-30 山东天富非织造材料有限公司 一种变色口罩
US11490667B1 (en) 2021-06-08 2022-11-08 Racing Optics, Inc. Low haze UV blocking removable lens stack
US11307329B1 (en) 2021-07-27 2022-04-19 Racing Optics, Inc. Low reflectance removable lens stack
US11709296B2 (en) 2021-07-27 2023-07-25 Racing Optics, Inc. Low reflectance removable lens stack
US11933943B2 (en) 2022-06-06 2024-03-19 Laminated Film Llc Stack of sterile peelable lenses with low creep
US11812737B1 (en) * 2022-08-03 2023-11-14 Darren Mark Teren Wearable protection device for residential and commercial trash cans and method of use
US11672245B1 (en) * 2022-08-03 2023-06-13 Darren Mark Teren Pest control device for residential trash cans and method of use
US11808952B1 (en) 2022-09-26 2023-11-07 Racing Optics, Inc. Low static optical removable lens stack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0002A (en) * 1984-10-24 1986-07-15 American Optical Corporation Disposable respirator
JPH07178117A (ja) 1993-10-27 1995-07-18 Minnesota Mining & Mfg Co <3M> 調節自在な顔面シールド
JP2010202881A (ja) 1994-12-12 2010-09-16 3M Co 反射防止特性および防曇特性を有するコーティング組成物
KR20110028248A (ko) * 2008-07-07 2011-03-17 소니 주식회사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방현성 편광자, 및 표시 장치
KR20140002095A (ko) * 2011-01-12 2014-01-07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미세 요철 구조체 및 미세 요철 구조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7670A (ja) * 1995-01-27 1996-08-06 Dainippon Printing Co Ltd 表面保護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6026511A (en) * 1997-12-05 2000-02-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tective article having a transparent shield
US7703456B2 (en) 2003-12-18 2010-04-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acemasks containing an anti-fog / anti-glare composition
JPWO2006121102A1 (ja) * 2005-05-13 2008-12-18 三洋電機株式会社 積層光学素子
JP2008158293A (ja) * 2006-12-25 2008-07-10 Nissan Motor Co Ltd 親水性反射防止構造
CN101941001B (zh) * 2009-07-03 2014-04-02 3M创新有限公司 亲水涂层、制品、涂料组合物和方法
JP6049979B2 (ja) * 2009-07-03 2016-12-21 ソニー株式会社 光学素子、および表示装置
JP5760566B2 (ja) 2011-03-23 2015-08-12 ソニー株式会社 光学素子、光学系、撮像装置、光学機器、および原盤
JP6213804B2 (ja) * 2012-08-21 2017-10-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用基材、光学フィルム、偏光板、液晶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20150231854A1 (en) 2012-10-22 2015-08-20 Mitsubishi Rayon Co., Ltd. Layered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article
US20140272295A1 (en) * 2013-03-14 2014-09-18 Sdc Technologies, Inc. Anti-fog nanotextured surfaces and articles contain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0002A (en) * 1984-10-24 1986-07-15 American Optical Corporation Disposable respirator
JPH07178117A (ja) 1993-10-27 1995-07-18 Minnesota Mining & Mfg Co <3M> 調節自在な顔面シールド
JP2010202881A (ja) 1994-12-12 2010-09-16 3M Co 反射防止特性および防曇特性を有するコーティング組成物
KR20110028248A (ko) * 2008-07-07 2011-03-17 소니 주식회사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방현성 편광자, 및 표시 장치
KR20140002095A (ko) * 2011-01-12 2014-01-07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미세 요철 구조체 및 미세 요철 구조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58392B2 (ja) 2019-01-30
EP3165358A4 (en) 2018-03-07
EP3165358A1 (en) 2017-05-10
TWI680869B (zh) 2020-01-01
US10575572B2 (en) 2020-03-03
WO2016013290A1 (ja) 2016-01-28
KR102444982B1 (ko) 2022-09-19
TW201604008A (zh) 2016-02-01
US20170208878A1 (en) 2017-07-27
EP3165358B1 (en) 2020-01-01
JP2016029446A (ja) 201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80869B (zh) 顏面保護罩用透明膜
US11124657B2 (en) Transparent laminate
JP5250107B2 (ja) 反射防止膜、表示装置及び透光部材
EP2947483B1 (en) Optical element for facial protection
JP6469965B2 (ja) 眼鏡用保護具
JP6730871B2 (ja) 光学体、窓材及びロールカーテン
EP2696220A1 (en) Printed material and photographic material
JP6493900B2 (ja) 透明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保護具
JP6655239B2 (ja) 透明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保護具
JP2021144251A (ja) 眼鏡装着者用保護具
JP3183179U (ja) 保護体
EP3633416A1 (en) Antifogging member
JP6949460B2 (ja) 光学体、窓材及びロールカーテン
JP6540840B2 (ja) 顔面保護用光学素子
TW200835940A (en) Light diffusion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23020747A (ja) フェイスシールド
TW202402518A (zh) 膜積層體、膜積層體之製造方法、護具、護具之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