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8154A - 동화상 재생 장치, 동화상 배포 서버, 동화상 재생 방법, 동화상 배포 방법,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 및 동화상 배포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동화상 재생 장치, 동화상 배포 서버, 동화상 재생 방법, 동화상 배포 방법,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 및 동화상 배포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8154A
KR20170038154A KR1020160120820A KR20160120820A KR20170038154A KR 20170038154 A KR20170038154 A KR 20170038154A KR 1020160120820 A KR1020160120820 A KR 1020160120820A KR 20160120820 A KR20160120820 A KR 20160120820A KR 20170038154 A KR20170038154 A KR 20170038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image
image data
file
information
moving pi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0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1460B1 (ko
Inventor
아츠시 오구치
?스케 고바야시
šœ스케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38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8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for searching program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04N21/4325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by playing back content from the storag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3Cache mem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04N21/23106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involving cach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04N21/23109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by placing content in organized collections, e.g. EPG data reposit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locally within server, e.g. reading video streams from disk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58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for generating a list of items to be played back in a given order, e.g. playlist, or scheduling item distribution according to such li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8Content descriptor database or directory service for end-user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5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list of items to be played back in a given order, e.g. play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7Control signaling between network components and server or cli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e.g. controlling the quality of the video stream, by dropping packets, protecting content from unauthorised alteration within the network, monitoring of network load, bridging between two different networks, e.g. between IP and wireless
    • H04N21/64723Monitoring of network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network load
    • H04N21/64738Monitoring network characteristics, e.g. bandwidth, congestion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4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 H04N21/815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comprising still images, e.g. texture, background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6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by decomposing the content in the time domain, e.g. in time seg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동화상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재생 개시까지의 대기 시간을 단축시킨다.
복수의 파일로 분할된 동화상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여 재생하는 동화상 재생 장치(3)는, 제어부(320)와, 기억부(340)를 포함한다. 제어부(320)는, 외부 장치(2)로부터 소정의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장면 정보)를 취득하였을 때에, 취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동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최초에 재생시키는 파일(선두 파일)을 특정하고, 특정한 파일을 외부 장치(2)로부터 취득한다. 기억부(340)는, 외부 장치(2)로부터 취득한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 및 최초에 재생시키는 파일을 기억한다.

Description

동화상 재생 장치, 동화상 배포 서버, 동화상 재생 방법, 동화상 배포 방법,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 및 동화상 배포 프로그램{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 VIDEO IMAGE DISTRIBUTION SERVER, METHOD OF REPRODUCING VIDEO IMAGE, METHOD OF DISTRIBUTING VIDEO IMAGE, VIDEO IMAGE REPRODUCTION PROGRAM AND VIDEO IMAGE DISTRIBUTION PROGRAM}
본 발명은 동화상 재생 장치, 동화상 배포 서버, 동화상 재생 방법, 동화상 배포 방법,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 및 동화상 배포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동화상을 배포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스트리밍 배포가 있다. 스트리밍 배포에 있어서는, 1개의 동화상 데이터를 복수의 세그먼트 파일(분할 파일)로 분할하여,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동화상 재생 장치(클라이언트)에 대하여 순차 배포한다. 동화상 재생 장치에서는, 수신한 세그먼트 파일을 시계열로 순차 재생한다.
스트리밍 배포는,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 등의 전용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행하는 배포 방식과,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를 이용하여 행하는 배포 방식으로 대별된다.
HTTP를 이용한 스트리밍 배포는, 웹(web) 서버만으로 동화상 등을 배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HTTP를 이용한 스트리밍 배포에서는 캐쉬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배포 서버(웹 서버)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최근, HTTP를 이용한 스트리밍 배포 서비스가 주목되어, 증가하고 있다.
HTTP를 이용한 스트리밍 배포의 규격에는, 예컨대, HLS(HTTP Live Stream, 예컨대 특허문헌 1을 참조)이나, MPEG-DASH(MPEG-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등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3-089977호 공보
전술한 스트리밍 배포에 있어서, 동화상 재생 장치는, 동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선두의 세그먼트 파일, 또는 지정한 장면의 선두가 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세그먼트 파일의 수신이 완료되고 나서 재생을 개시한다. 그 때문에, 동화상 재생 장치에서는, 오퍼레이터에 의한 배포를 희망하는 동화상 데이터나 장면을 선택하는 조작을 접수하고 나서 재생을 개시할 때까지 수초의 대기 시간이 생긴다.
동화상 데이터를 복수의 세그먼트 파일에 분할할 때에는, 예컨대, 동화상 데이터의 선두로부터 소정의 시간 길이마다 구획지어 분할하고 있다. HLS나 MPEG-DASH 등에 있어서는, 예컨대, 시간 길이(재생 시간)가 10초 전후인 세그먼트 파일로 분할하고 있다.
1개의 세그먼트 파일의 재생 시간이 10초이며, 세그먼트 파일의 전송 시간이 재생 레이트의 2배라고 하면, 세그먼트 파일의 전송 시간은 5초가 된다. 그 때문에, 동화상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대기 시간은 5초가 된다. 이 대기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각 세그먼트 파일의 시간 길이(재생 시간)를 짧게 하면 좋지만, 반면, 세그먼트 파일의 수가 증대하여 동화상 재생 장치와 배포 서버 사이에서의 통신 횟수가 증가한다. 그 때문에, 세그먼트 파일의 시간 길이를 짧게 한 경우, 배포 서버의 부하가 증대한다.
하나의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동화상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재생 개시까지의 대기 시간을 단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나의 양태로는, 복수의 파일로 분할된 동화상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여 재생하는 동화상 재생 장치는, 제어부와, 기억부를 구비한다. 제어부는, 외부 장치로부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였을 때에, 취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동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최초에 재생되는 파일을 특정하고, 특정된 파일을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한다. 기억부는,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된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 및 최초에 재생되는 파일을 기억한다.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동화상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재생 개시까지의 대기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동화상 배포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세그먼트 파일군의 생성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세그먼트 파일군의 생성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세그먼트 파일군의 생성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플레이 리스트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동화상 데이터의 배포 방법을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의 배포 서버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장면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의 동화상 재생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기억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의 검색 처리를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1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의 동화상의 재생 처리를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13은 플레이어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선수 선택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는 선두 파일을 미리 판독하는 방법의 별도의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그 1)이다.
도 15b는 선두 파일을 미리 판독하는 방법의 별도의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그 2)이다.
도 16은 플레이어 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섬네일을 표시하는 경우의 장면 정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섬네일의 생성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특정 선수가 출장하고 있는 시합의 검색 결과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의 배포 서버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배포 서버에 있어서의 배포 관리부의 기억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의 동화상 재생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의 검색 처리를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24a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의 동화상의 재생 처리를 설명하는 시퀀스도(그 1)이다.
도 24b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의 동화상의 재생 처리를 설명하는 시퀀스도(그 2)이다.
도 25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동화상 배포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화상 배포 시스템(1)은, 배포 서버(2)와, 복수의 동화상 재생 장치(클라이언트)(3)를 포함한다. 복수의 동화상 재생 장치[3(3A, 3B, 3C)]는, 각각,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4)를 통해 배포 서버(2)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배포 서버(2)는, 복수 종류의 동화상 데이터와, 각 동화상 데이터의 플레이 리스트를 유지한다. 동화상 재생 장치(3)는, 통신 네트워크(4)를 통해 배포 서버(2)(외부 장치)로부터 원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동화상 데이터를 재생한다.
동화상 배포 시스템(1)은, 예컨대, HLS나 HDS(HTTP Dynamic Streaming) 등의 HTTP를 이용한 스트리밍 배포에 대응하고 있다.
배포 서버(2)에서는, 비디오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로 촬상한 1개의 동화상 데이터(원화(原畵) 데이터)를 복수의 파일로 분할하여 유지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분할 파일을 세그먼트 파일이라고 부른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1개의 동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복수의 세그먼트 파일의 조를 세그먼트 파일군이라고 부른다. 1조의 세그먼트 파일군에 있어서의, 각 세그먼트 파일의 파일명과, 동화상 내의 재생 시각의 대응 관계는, 플레이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다. 세그먼트 파일군 및 플레이 리스트는, 예컨대, 배포 서버(2)와는 별개로 마련한 생성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생성한다.
배포 서버(2)는, 동화상 재생 장치(3)로부터 요구된 동화상 데이터(세그먼트 파일군)를 세그먼트 파일 단위로 동화상 재생 장치(3)에 배포(송신)한다. 본 명세서에서 예시하는 동화상 배포 시스템(1)에서는, 동화상 재생 장치(3)가 동화상 데이터의 배포를 요구하고 나서 동화상 데이터의 재생을 개시하기까지의 대기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예컨대,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은 세그먼트 파일군을 배포 서버(2)에 저장해 둔다.
도 2는 세그먼트 파일군의 생성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동화상 데이터로부터 세그먼트 파일군을 생성하는 생성 장치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촬상 장치로부터 취득한 원화 데이터(500)에 대하여 장면 설정을 행하고, 각 장면의 선두가 되는 프레임(SS0, SS1, SS2, ···)을 추출한다. 장면 설정은, 기지의 설정 방법 중 어느 하나로 행하면 좋다. 예컨대, 오퍼레이터가 수동으로 장면을 설정하여도 좋고, 기지의 장면 검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자동적으로 장면을 설정하여도 좋다.
다음에, 생성 장치는, 원화 데이터(500)를 제1 시간 길이(TL1)의 세그먼트 파일(SF0, SF1, SF2, SF3, SF4, ···)로 분할한 제1 세그먼트 파일군(501)을 생성한다. 제1 시간 길이(TL1)는, 원화 데이터(500) 내의 시각 정보에 기초한 1개의 세그먼트 파일의 재생 시간의 길이이다. 제1 시간 길이(TL1)는, 배포 서버(2)로부터 동화상 재생 장치(3)에의 세그먼트 파일의 전송 빈도의 증대에 의한 처리 부하의 증대를 억제하고, 또한 동화상 재생 장치(3)에서의 대기 시간의 증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시간 길이(예컨대 10초)로 한다.
다음에, 생성 장치는, 제1 세그먼트 파일군(501)에 있어서의 각 세그먼트 파일 중의, 장면 선두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세그먼트 파일을 제2 시간 길이(TL2)의 복수의 세그먼트 파일로 재분할하여, 제2 세그먼트 파일군(502)을 생성한다. 도 2에 나타낸 제1 세그먼트 파일군(501)에서는, 선두의 세그먼트 파일(SF0), 선두로부터 4번째의 세그먼트 파일(SF3) 및 6번째의 세그먼트 파일이 장면의 선두를 포함하고 있다. 그 때문에, 생성 장치는, 제1 세그먼트 파일군(501)에 있어서의 선두의 세그먼트 파일(SF0), 4번째의 세그먼트 파일(SF3) 및 6번째의 세그먼트 파일 등을, 제2 시간 길이(TL2)의 세그먼트 파일로 재분할한다.
제1 시간 길이(TL1)와 제2 시간 길이(TL2)의 관계는 임의이며, 도 2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2 시간 길이(TL2)를 제1 시간 길이(TL1)의 1/5로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예컨대, 제1 세그먼트 파일군(501)에 있어서의 선두의 세그먼트 파일(SF0)은, 제2 시간 길이(TL2)의 5개의 세그먼트 파일(SF00, SF01, SF02, SF03, SF04)로 분할된다.
또한, 세그먼트 파일군은,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은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은 방법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도 3은 세그먼트 파일군의 생성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세그먼트 파일군의 생성 방법에서는, 생성 장치는, 먼저, 촬상 장치로부터 취득한 원화 데이터(500)에 대하여 장면 설정을 행하고, 각 장면의 선두가 되는 프레임(SS0, SS1, SS2, ···)을 추출한다.
다음에, 생성 장치는, 원화 데이터(500)를 제1 시간 길이(TL1)의 세그먼트 파일로 분할한 제1 세그먼트 파일군(501)과, 원화 데이터(500)를 제2 시간 길이(TL2)의 세그먼트 파일로 분할한 제3 세그먼트 파일군(503)을 생성한다. 이때, 제1 시간 길이(TL1)와 제2 시간 길이(TL2)는, 예컨대, 제1 시간 길이(TL1)가 제2 시간 길이(TL2)의 정수배(N을 정수로 하였을 때에 TL1=N×TL2)가 되도록 한다. 도 3에 나타낸 예에서는, TL1=5×TL2, 즉 제2 시간 길이(TL2)를 제1 시간 길이(TL1)의 1/5로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1 시간 길이(TL1)를 10초로 한 경우, 제2 시간 길이(TL2)는 2초가 된다.
다음에, 생성 장치는, 제1 세그먼트 파일군(501)으로부터 장면 선두를 포함하는 세그먼트 파일을 추출하고, 상기 장면 선두를 포함하는 세그먼트 파일을 제3 세그먼트 파일군(503)의 세그먼트 파일로 대체한다. 도 3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1 세그먼트 파일군(501)에 있어서의 선두의 세그먼트 파일(SF0)이, 제3 세그먼트 파일군(503)에 있어서의 선두로부터 5개의 세그먼트 파일(SF00, SF01, SF02, SF03, SF04)로 대체된다. 이 세그먼트 파일의 대체에 의해, 도 3에 나타낸 제1 세그먼트 파일군(501)은, 도 2의 제2 세그먼트 파일군(502)과 같이 된다.
또한, 세그먼트 파일군을 생성할 때의 1개의 세그먼트 파일의 시간 길이는,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시간 길이(TL1)의 세그먼트 파일을 복수의 세그먼트 파일로 재분할할 때에는, 제1 시간 길이(TL1)의 세그먼트 파일에 있어서의 파일 선두로부터 장면 선두까지의 시간에 따라 시간 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세그먼트 파일로 분할하여도 좋다.
또한, 세그먼트 파일군을 생성할 때에는, 예컨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면 선두의 프레임이 세그먼트 파일의 선두가 되도록 원화 데이터(504)를 분할하여도 좋다.
도 4는 세그먼트 파일군의 생성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세그먼트 파일군의 생성 방법에서는, 생성 장치는, 먼저, 촬상 장치로부터 취득한 원화 데이터(504)에 대하여 장면 설정을 행하고, 각 장면의 선두가 되는 프레임(SS0, SS1, SS2, ···)을 추출한다.
다음에, 생성 장치는, 장면마다, 장면 선두로부터 제1 시간 길이(TL1)의 세그먼트 파일로 분할해 간다. 1장면의 분할에 있어서 장면 내의 나머지 시간(TL3)이 제1 시간 길이(TL1) 이하가 된 경우, 생성 장치는, 나머지 시간(TL3)의 데이터를, 그 장면의 최후의 세그먼트 파일로 한다.
다음에, 생성 장치는, 장면마다, 선두의 제1 시간 길이(TL1)의 세그먼트 파일을 제2 시간 길이(TL2)의 복수의 세그먼트 파일로 재분할하여 제4 세그먼트 파일군(505)을 생성한다. 이때도, 제1 시간 길이(TL1)와 제2 시간 길이(TL2)의 관계는 임의이며, 도 4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2 시간 길이(TL2)를 제1 시간 길이(TL1)의 1/5로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예컨대, 장면(0)은, 장면 선두(SS0)로부터 제1 시간 길이(TL1)까지의 구간이 제2 시간 길이(TL2)의 5개의 세그먼트 파일(SF00, SF01, SF02, SF03, SF04)로 분할된다. 그리고, 장면(0)에 있어서의 5개째의 세그먼트 파일(SF04)보다 뒤의 부분은, 제1 시간 길이(TL1)의 세그먼트 파일(SF1)과, 나머지의 시간 길이(TL3)의 세그먼트 파일(SF2)로 분할된다. 또한, 예컨대, 장면(1)은, 장면 선두(SS1)로부터 제1 시간 길이(TL1)까지의 구간이 제2 시간 길이(TL2)의 5개의 세그먼트 파일(SF30, SF31, SF32, SF33, SF34)로 분할된다. 그리고, 장면(1)에 있어서의 5개째의 세그먼트 파일(SF34)보다 뒤의 부분은, 제1 시간 길이(TL1)의 세그먼트 파일(SF4)과, 나머지의 시간 길이의 세그먼트 파일(SF5)로 분할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생성한 세그먼트 파일군(배포용의 동화상 데이터)은, 배포 서버(2)에 저장된다. 이때, 생성 장치 또는 배포 서버(2)는, 동화상 데이터마다,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은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한다. 플레이 리스트는, 세그먼트 파일군과 함께 배포 서버(2)에 저장된다.
도 5는 플레이 리스트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5에는, 도 2에 나타낸 제2 세그먼트 파일군(502)에 대한 플레이 리스트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레이 리스트(251)에는, 세그먼트 파일군에 포함되는 세그먼트 파일마다, 세그먼트 번호와, 세그먼트 파일의 저장 장소를 나타내는 URL과, 선두 시각을 관련시킨 정보가 등록된다. 세그먼트 번호는, 세그먼트 파일군(동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선두의 세그먼트 파일로부터 순서를 붙인 번호이다. 예컨대, 세그먼트 번호 0-0부터 0-4까지는, 각각, 도 2에 나타낸 세그먼트 파일 SF00부터 SF04까지를 나타내는 세그먼트 번호이다. 또한, 세그먼트 번호 1은, 도 2에 나타낸 세그먼트 파일(SF1)을 나타내는 세그먼트 번호이다.
동화상 재생 장치(3)의 오퍼레이터가 동화상 재생 장치(3)를 조작하여 시청하는 동화상을 선택하면, 동화상 재생 장치(3)는, 배포 서버(2)에 동화상 데이터(세그먼트 파일군)의 배포 요구를 송신한다. 배포 요구를 수신한 배포 서버(2)는, 배포 요구에서 지정된 동화상 데이터의 플레이 리스트를 참조하여, 선두의 세그먼트 파일로부터 순서대로 동화상 재생 장치(3)에 송신한다. 이때, 배포 서버(2)는, 먼저, 제2 시간 길이(TL2)의 세그먼트 파일, 즉 제1 시간 길이(TL1)로 분할한 세그먼트 파일과 비교하여 시간 길이가 짧은 세그먼트 파일을 동화상 재생 장치(3)에 송신한다.
도 6은 동화상 데이터의 배포 방법을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또한, 도 6에는, 동화상 재생 장치(3)가 도 5의 플레이 리스트와 대응한 동화상 데이터(세그먼트 파일군)의 배포을 동화상의 선두로부터 요구한 경우의 시퀀스도를 나타내고 있다.
오퍼레이터가 동화상 재생 장치(3)에 대하여 소정의 조작을 행하여 시청하는 동화상을 확정하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화상 재생 장치(3)로부터 배포 서버(2)에 배포 요구가 송신된다(단계 S101).
배포 요구를 수신한 배포 서버(2)는, 배포 요구에서 지정된 동화상 데이터의 플레이 리스트를 판독하여, 플레이 리스트에 따라 최초에 재생시키는 세그먼트 파일을 동화상 재생 장치(3)에 송신한다(단계 S102). 도 5의 플레이 리스트(251)에 따라 세그먼트 파일을 송신하는 경우, 최초에 재생시키는 세그먼트 파일은, 세그먼트 번호 0-0의 세그먼트 파일(SF00)이다. 그 때문에, 배포 서버(2)는, 세그먼트 번호 0-0과 관련시킨 URL에 액세스하여 세그먼트 파일(SF00)을 판독하여, 동화상 재생 장치(3)에 송신한다. 또한 이때, 배포 서버(2)는, 세그먼트 파일(SF00)과 함께 플레이 리스트를 동화상 재생 장치(3)에 송신한다.
배포 서버(2)로부터 세그먼트 파일(SF00) 및 플레이 리스트를 수신한 동화상 재생 장치(3)는, 수신한 세그먼트 파일의 재생을 개시하며, 2번째로 재생하는 세그먼트 파일의 전송 요구를 배포 서버(2)에 송신한다(단계 S103).
2번째의 세그먼트 파일의 전송 요구를 수신한 배포 서버(2)는, 전송 요구에 따라 2번째로 재생시키는 세그먼트 파일을 동화상 재생 장치(3)에 송신한다(단계 S104). 플레이 리스트에 있어서의 2번째의 세그먼트 파일은, 세그먼트 번호 0-1의 세그먼트 파일(SF01)이다. 그 때문에, 배포 서버(2)는, 세그먼트 파일(SF01)을 판독하여 동화상 재생 장치(3)에 송신한다.
그 후, 동화상 재생 장치(3)는, 배포 서버(2)로부터 세그먼트 파일을 수신할 때마다, 다음 세그먼트 파일의 전송 요구를 배포 서버(2)에 송신한다(단계 S105∼S112).
여기서, 최초의 세그먼트 파일(SF00)의 시간 길이[제2 시간 길이(TL2)]는 2초라고 한다. 이 경우, 배포 서버(2)와 동화상 재생 장치(3) 사이에 있어서의 세그먼트 파일의 전송 속도가 세그먼트 파일의 재생 레이트의 2배라고 하면, 최초의 세그먼트 파일(SF00)의 전송 시간은 약 1초이다. 그 때문에, 동화상 재생 장치(3)는, 배포 요구를 송신한 시각(T0)으로부터 1초 후의 시각(T0+1)의 부근에서 최초의 세그먼트 파일(SF00)의 재생을 개시한다.
따라서, 배포 개시 시부터 제1 시간 길이(TL1)(10초)의 세그먼트 파일을 배포 서버(2)로부터 동화상 재생 장치(3)에 송신하는 경우에 비해서, 동화상의 배포를 요구하고 나서 동화상의 재생이 개시되기까지의 대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나타낸 제1 세그먼트 파일군(501)과 같이 선두의 세그먼트 파일(SF0)이 제1 시간 길이(10초)인 경우, 최초의 세그먼트 파일(SF0)의 전송 시간은 약 5초가 된다. 그 때문에, 동화상 재생 장치(3)는, 배포 요구를 송신한 시각(T0)으로부터 약 5초 후에 최초의 세그먼트 파일(SF0)의 재생을 개시하게 된다.
또한, 최초의 세그먼트 파일(SF00)의 재생을 개시한 시각(T0+1)으로부터 1초 후의 시각(T0+2)의 부근에서, 동화상 재생 장치(3)는, 2번째의 세그먼트 파일(SF01)의 수신을 완료한다. 이때, 동화상 재생 장치(3)는, 아직 최초의 세그먼트 파일(SF00)을 재생하고 있다. 그 때문에, 동화상 재생 장치(3)는, 최초의 세그먼트 파일(SF00)의 재생이 끝나기까지의 약 1초간, 수신한 2번째의 세그먼트 파일(SF01)을 버퍼에서 유지한다. 또한, 2번째의 세그먼트 파일(SF01)을 수신한 후, 동화상 재생 장치(3)는, 계속해서 3번째의 세그먼트 파일의 전송 요구를 배포 서버(2)에 송신하고 있다. 그 때문에, 2번째의 세그먼트 파일의 수신 완료 시각의 약 1초 후, 즉 최초의 세그먼트 파일(SF00)의 재생이 종료되는 시각(T0+3)의 부근에서 3번째의 세그먼트 파일의 수신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세그먼트 파일의 시간 길이가 2초이며, 전송 속도가 재생 레이트의 2배라고 하면, 세그먼트 파일을 1개 수신할 때마다, 수신 완료 시각부터 수신이 완료된 세그먼트 파일의 재생이 종료하는 시각까지의 마진은 약 1초씩 증가한다. 따라서, 도 5의 플레이 리스트(251)에 기초하여 송신되는 세그먼트 번호 0-4의 세그먼트 파일(SF04)의 수신 완료 시각에 있어서의 마진은 약 5초가 된다. 즉, 장면(0)의 선두로부터 5개째의 세그먼트 파일이 되는 세그먼트 번호 0-4의 세그먼트 파일(SF04)의 재생이 종료하는 시각은, 수신 완료 시각의 약 5초 후의 시각(T0+10)의 부근이 된다.
세그먼트 파일의 전송 속도가 세그먼트 파일의 재생 레이트의 2배인 경우, 시간 길이가 10초인 세그먼트 파일의 전송 시간은 약 5초이다. 즉, 세그먼트 번호 0-4의 세그먼트 파일(SF04)을 수신한 후, 계속해서 세그먼트 번호 1의 세그먼트 파일(SF1)을 요구하면, 세그먼트 파일(SF04)의 재생이 종료하는 시각과 세그먼트 파일(SF1)의 수신 완료 시각이 거의 일치한다. 따라서, 세그먼트 번호 0-4의 세그먼트 파일(SF04)의 재생 종료로부터 세그먼트 번호 1의 세그먼트 파일(SF1)의 재생 개시까지의 대기 시간은, 거의 0이 된다.
또한, 세그먼트 번호 0-4의 세그먼트 파일(SF04)을 송신한 후, 배포 서버(2)로부터 동화상 재생 장치(3)에 송신하는 세그먼트 파일은, 시간 길이가 제2 시간 길이(TL2)의 5배인 세그먼트 파일이 된다. 그 때문에, 배포 서버(2)와 동화상 재생 장치(3) 사이에서의 세그먼트 파일의 전송 빈도의 증대를 억제하여, 배포 서버(2)의 처리 부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예시하는 동화상 배포 시스템(1)에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동화상 재생 장치(3)에 동화상의 검색 결과 등을 표시할 때에 동화상 재생 장치(3)에 최초에 재생시키는 세그먼트 파일을 미리 판독한다. 이에 의해, 동화상 재생 장치(3)에서는, 재생하는 동화상을 선택하고 나서 동화상의 재생이 개시되기까지의 대기 시간이 더욱 단축된다.
[제1 실시형태]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의 배포 서버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배포 서버(2)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포 관리부(210)와, 통신부(220)와, 웹 페이지 기억부(230)와, 장면 정보 기억부(240)와, 플레이 리스트 기억부(250)와, 동화상 데이터 기억부(260)를 구비한다.
배포 관리부(210)는, 배포 서버(2)가 배포하는 동화상 데이터(세그먼트 파일군)의 관리, 동화상 배포 장치(3)에의 세그먼트 파일의 송신에 대한 관리 등을 행한다. 통신부(220)는, 통신 네트워크(4)를 통한 동화상 재생 장치(3)와의 통신을 행한다.
웹 페이지 기억부(230)는, 동화상 재생 장치(3)에 표시시키는 플레이어 화면이나 검색 화면 등의 웹 페이지를 기억한다. 장면 정보 기억부(240)는, 동화상의 검색에 이용하는 각 동화상 데이터(세그먼트 파일군)의 장면 정보를 기억한다. 플레이 리스트 기억부(250)는, 각 동화상 데이터의 플레이 리스트를 기억한다. 동화상 데이터 기억부(260)는, 동화상 데이터를 기억한다.
도 8은 장면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면 정보 기억부(240)에 기억시키는 동화상의 장면 정보(241)는, 장면 번호와, 플레이 리스트의 URL과, 장면 선두의 시각과, 복수의 키워드를 포함한다.
장면 번호는, 장면 정보(241)에 포함되는 복수의 장면 정보를 식별하는 일련 번호 등의 식별자이다. 플레이 리스트의 URL은, 플레이 리스트 기억부(250)에 기억시킨 플레이 리스트 중 상기 장면을 포함하는 동화상 데이터의 플레이 리스트를 특정하는 정보이다. 장면 선두의 시각은, 동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상기 장면의 선두의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복수의 키워드(키워드 1, 키워드 2, 키워드 3, ···)는, 상기 장면의 특징을 나타내는 문자열이다. 예컨대, 야구 시합의 동화상을 타자마다 장면 분할한 경우의 장면 정보(241)에는, 키워드로서 타자명, 투수명, 결과, 코스, 구종, 타구의 방향 등이 등록된다.
도 9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의 동화상 재생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동화상 재생 장치(3)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 조작부(310)와, 제어부(320)와, 통신부(330)와, 기억부(340)와, 재생 처리부(350)와, 표시부(360)와, 스피커(370)를 구비한다.
입력 조작부(310)는, 동화상을 시청하기 위해 오퍼레이터가 행하는 입력 조작 등의 각종의 입력 조작을 접수한다. 오퍼레이터가 행하는 입력 조작은, 동화상을 시청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동(실행)시키는 조작, 동화상을 검색하는 조작, 시청하는 동화상을 선택하는 조작을 포함한다.
제어부(320)는, 입력 조작부(310)에서 접수한 입력 조작에 기초하여 동화상 재생 장치(3)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320)가 제어하는 동작은, 동화상의 검색 요구나 배포 요구를 배포 서버(2)에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320)가 제어하는 동작은, 배포 서버(2)로부터 취득한 장면 정보, 플레이 리스트 및 동화상 데이터(세그먼트 파일)를 기억부(340)에 기억시키는 동작 및 재생 처리부(350)에 세그먼트 파일의 재생 처리를 행하게 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통신부(330)는 통신 네트워크(4)를 통한 배포 서버(2)와의 통신을 행한다.
기억부(340)는 배포 서버(2)로부터 취득한 웹 페이지, 장면 정보, 플레이 리스트 및 세그먼트 파일 등을 기억한다.
재생 처리부(350)는 기억부(340)에 기억시킨 세그먼트 파일의 재생 처리 등을 행한다.
표시부(360)는 웹 페이지나 재생 처리부(350)에 있어서 재생한 동화상을 표시한다. 스피커(370)는 재생 처리부(350)에 의해 재생한 음성을 출력한다.
도 10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기억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화상 재생 장치(3)의 기억부(340)는, 예컨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이아웃 정보 기억부(341)와, 검색 결과 기억부(342)와, 동화상 데이터 기억부(343)를 포함한다.
웹 페이지 기억부(341)는, 동화상의 시청에 이용하는 플레이어 화면 등의 웹 페이지를 기억한다.
검색 결과 기억부(342)는, 동화상의 검색 결과를 기억한다. 검색 결과 기억부(342)에는, 오퍼레이터가 지정한 키워드를 포함하는 장면 정보와, 상기 장면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장면 선두의 세그먼트 파일의 조를 하나의 검색 결과로서 기억한다. 장면 선두의 세그먼트 파일은, 장면 정보에 포함되는 플레이 리스트의 URL과, 장면 선두의 시각에 기초하여 특정된다. 도 10에는, 검색 결과 기억부(342)에 기억시키는 검색 결과의 예로서, 제1 검색 결과(342-1)와, 제2 검색 결과(342-2)의 2개의 검색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제1 검색 결과(342-1)는, 장면 정보(241) 내의 어떤 키워드를 포함하는 장면 정보(342-1a)와, 상기 장면 정보(342-1a)에 의해 특정되는 장면 선두의 세그먼트 파일(342-1b)을 포함한다. 제2 검색 결과(342-2)는, 장면 정보(241) 내의 어떤 키워드를 포함하는 별도의 장면 정보(342-2a)와, 상기 장면 정보(342-2a)에 의해 특정되는 장면 선두의 세그먼트 파일(342-2b)을 포함한다.
동화상 데이터 기억부(343)는, 배포 서버(2)로부터 동화상 데이터(세그먼트 파일군)를 취득하여 재생할 때, 재생 중의 세그먼트 파일의 시간적으로 뒤가 되는 세그먼트 파일을 기억한다.
[동화상을 검색하는 처리의 예]
도 1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의 검색 처리를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동화상 재생 장치(3)는, 예컨대, 입력 조작부(310)에 있어서 오퍼레이터에 의한 소정의 입력 조작을 접수하면, 동화상을 시청하기 위한 플레이어 화면을 표시부(360)에 표시시킨다. 오퍼레이터에 의한 소정의 입력 조작은, 예컨대, 웹 브라우저를 기동시키는 조작 및 웹 브라우저에 플레이어 화면의 웹 페이지를 표시시키는 조작을 포함한다. 플레이어 화면은, 동화상을 표시하는 동화상 표시 영역, 시청 가능한 동화상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리스트 표시 영역, 동화상의 검색을 행하기 위한 검색 영역 등을 포함한다.
플레이어 화면이 표시된 상태로, 오퍼레이터가 입력 조작부(310)를 조작하여 검색 조건을 입력하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 조작부(310)로부터 제어부(320)에 검색 조건이 송신된다(단계 S201).
검색 조건을 수신한 제어부(320)는, 검색 조건이 부가된 플레이어 화면을 표시부(360)에 표시시키며(S202), 배포 서버(2)에 검색 요구를 송신한다(단계 S203). 단계 S203에 있어서 배포 서버(2)에 송신하는 검색 요구는, 검색 조건을 포함한다.
검색 요구를 수신한 배포 서버(2)는, 검색 요구에 포함되는 검색 조건에 기초하여 장면 정보 기억부(240)의 장면 정보(241)를 검색한다(단계 S204). 장면 정보(241) 내에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장면 정보가 있는 경우, 배포 서버(2)는, 그 장면 정보를 추출하여 동화상 재생 장치(3)에 송신한다(단계 S205). 도 11에는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장면 정보가 없는 경우, 배포 서버(2)는,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장면 정보가 없는 것을 통지하는 정보를 동화상 재생 장치(3)에 송신한다.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장면 정보를 수신한 동화상 재생 장치(3)에서는, 제어부(320)가, 수신한 장면 정보를 이용하여 동화상의 플레이 리스트를 특정한다(단계 S206). 단계 S206에 있어서, 제어부(320)는, 장면 정보에 포함되는 플레이 리스트의 URL(도 8을 참조)을 판독함으로써 동화상의 플레이 리스트를 특정한다.
동화상의 플레이 리스트를 특정하면, 동화상 재생 장치(3)[제어부(320)]는, 배포 서버(2)에 플레이 리스트의 전송 요구를 송신한다(단계 S207). 플레이 리스트의 전송 요구는, 장면 정보로부터 판독한 플레이 리스트의 URL을 포함한다.
플레이 리스트의 전송 요구를 수신한 배포 서버(2)는, 전송 요구에 포함되는 플레이 리스트의 URL에 기초하여 플레이 리스트 기억부(250)로부터 판독한 플레이 리스트를 동화상 재생 장치(3)에 송신한다(단계 S208).
플레이 리스트를 수신한 동화상 재생 장치(3)에서는, 제어부(320)가, 장면 정보와 플레이 리스트를 이용하여, 장면 정보와 대응하는 장면 선두의 세그먼트 파일(선두 파일)을 특정한다(단계 S209). 단계 S209에 있어서, 제어부(320)는, 장면 정보에 포함되는 장면 선두의 시각을 판독한 후, 플레이 리스트로부터 장면 선두의 시각이 포함되는 세그먼트 파일의 URL을 판독한다.
선두 파일을 특정하면, 동화상 재생 장치(3)[제어부(320)]는, 배포 서버(2)에 선두 파일의 전송 요구를 송신한다(단계 S210). 선두 파일의 전송 요구는, 플레이 리스트로부터 판독한 세그먼트 파일의 URL을 포함한다.
선두 파일의 전송 요구를 수신한 배포 서버(2)는, 전송 요구에 포함되는 세그먼트 파일의 URL에 기초하여 동화상 데이터 기억부(260)로부터 판독한 세그먼트 파일을 선두 파일로서 동화상 재생 장치(3)에 송신한다(단계 S211).
선두 파일을 수신한 동화상 재생 장치(3)에서는, 제어부(320)가, 먼저, 장면 정보와 선두 파일의 조를, 검색 결과로서 기억부(340)의 검색 결과 기억부(342)에 기억시킨다(단계 S212). 또한, 제어부(320)는, 취득한 장면 정보가 부가된 플레이어 화면을 표시부(360)에 표시시킨다(단계 S213).
또한, 배포 서버(2)에 있어서의 단계 S204의 검색에 의해 복수의 장면 정보가 추출된 경우, 배포 서버(2)와 동화상 재생 장치(3) 사이에서는, 추출된 장면 정보의 각각에 대하여 단계 S205∼S213의 처리가 행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동화상 배포 시스템(1)에서는, 동화상 재생 장치(3)를 이용하여 동화상의 검색을 하였을 때에, 동화상 재생 장치(3)는,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장면에 대한 장면 정보와 함께, 상기 장면의 선두를 포함하는 세그먼트 파일을 취득한다. 즉, 동화상 재생 장치(3)는, 동화상의 검색을 하였을 때에, 동화상의 재생 지시를 미접수의 상태(재생 지시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검색 결과와 대응하는 동화상의 세그먼트 파일(선두 파일)을 미리 판독한다. 본 실시형태의 동화상 배포 시스템(1)에서 배포하는 동화상 데이터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면 선두를 포함하는 세그먼트 파일의 시간 길이(TL2)가 상기 장면 내의 미리 정해진 개수의 세그먼트 파일을 재생한 후에 재생되는 세그먼트 파일의 시간 길이(TL1)보다 짧다. 그 때문에, 장면 선두를 포함하는 세그먼트 파일은 용량이 작아, 배포 서버(2)로부터 동화상 재생 장치(3)에 송신할 때에 네트워크에 관한 부하가 억제된다. 따라서,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장면 정보가 복수 추출된 경우라도, 동화상 재생 장치(3)는, 네트워크에 가해지는 부하의 증대를 막으면서 장면 선두를 포함하는 세그먼트 파일을 취득할 수 있다.
[동화상을 재생하는 처리의 예]
도 1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의 동화상의 재생 처리를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상기 검색 처리에 의해 얻어진 검색 결과가 동화상 재생 장치(3)에 표시된 상태로, 오퍼레이터가 재생(시청)하는 동화상을 지정하는 조작을 행하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320)에 지정 정보가 입력된다(단계 S301). 지정 정보는, 오퍼레이터가 지정한 동화상 데이터의 장면 정보를 포함한다.
지정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320)는, 기억부(340)의 검색 결과 기억부(342)에 액세스하여 장면 정보를 판독한다(S302, S303).
장면 정보를 판독한 후, 제어부(320)는, 재생 처리부(350)에 재생 개시 명령을 출력하며(단계 S304), 장면 정보에 기초하여 재생하는 동화상 데이터의 플레이 리스트를 특정한다(단계 S321). 재생 처리부(350)에 출력하는 재생 개시 명령은, 판독한 장면 정보와 대응시킨 장면 선두의 세그먼트 파일(선두 파일)을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제어부(320)로부터의 재생 개시 명령이 입력된 재생 처리부(350)는, 기억부(340)의 검색 결과 기억부(342)에 액세스하여, 재생 개시 명령에서 지정된 선두 파일을 판독한다(단계 S305, S306). 그 후, 재생 처리부(350)는, 판독한 선두 파일의 재생을 개시하고(단계 S307), 재생 신호를 표시부(360) 및 도시하지 않는 스피커에 출력한다(단계 S308).
한편, 재생 개시 명령을 출력한 제어부(3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단계 S321에 있어서 재생하는 동화상 데이터의 플레이 리스트를 특정한다. 단계 S321에 있어서, 제어부(320)는, 장면 정보에 포함되는 플레이 리스트의 URL(도 8을 참조)을 판독함으로써 동화상의 플레이 리스트를 특정한다.
동화상의 플레이 리스트를 특정하면, 동화상 재생 장치(3)[제어부(320)]는, 배포 서버(2)에 플레이 리스트의 전송 요구를 송신한다(단계 S322). 플레이 리스트의 전송 요구는, 장면 정보로부터 판독한 플레이 리스트의 URL을 포함한다.
플레이 리스트의 전송 요구를 수신한 배포 서버(2)는, 전송 요구에 포함되는 플레이 리스트의 URL에 기초하여 플레이 리스트 기억부(250)로부터 판독한 플레이 리스트를 동화상 재생 장치(3)에 송신한다(단계 S323).
플레이 리스트를 수신한 동화상 재생 장치(3)에서는, 제어부(320)가, 장면 정보와 플레이 리스트를 이용하여, 재생 중의 세그먼트 파일(선두 파일)에 계속되는 세그먼트 파일(후속 파일)을 특정한다(단계 S324). 단계 S324에 있어서, 제어부(320)는, 장면 정보에 포함되는 장면 선두의 시각에 기초하여, 플레이 리스트에 있어서 장면 선두의 시각이 포함되는 세그먼트 파일의 시간적으로 뒤가 되는 세그먼트 파일의 URL을 판독한다.
후속 파일을 특정하면, 동화상 재생 장치(3)[제어부(320)]는, 배포 서버(2)에 2번째로 재생하는 세그먼트 파일(다음 파일)의 전송 요구를 송신한다(단계 S325).
다음 파일의 전송 요구를 수신한 배포 서버(2)는, 전송 요구에 포함되는 세그먼트 파일의 URL에 기초하여 동화상 데이터 기억부(260)로부터 판독한 세그먼트 파일을, 다음 파일로서 동화상 재생 장치(3)에 송신한다(단계 S326).
다음 파일을 수신한 동화상 재생 장치(3)에서는, 제어부(320)가, 수신한 다음 파일을 기억부(340)의 동화상 데이터 기억부(343)에 기억시킨다(단계 S327). 여기서, 수신한 다음 파일이 선두 파일의 다음에 재생하는 세그먼트 파일인 경우,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 파일의 수신이 완료한 시점에서는 동화상 재생 장치(3)는 아직 선두 파일을 재생하고 있다. 그 때문에, 동화상 재생 장치(3)는, 수신한 다음 파일을 동화상 데이터 기억부(343)에 기억시킨다.
또한, 도 12에는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단계 S327에 있어서 다음 파일을 동화상 데이터 기억부(343)에 기억한 후, 제어부(320)는, 단계 S325∼S327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2번째의 세그먼트 파일을 수신한 후의 단계 S325에서 송신되는 다음 파일의 전송 요구는, 선두 파일보다 시간적으로 뒤이며, 또한 아직 취득하지 않은 세그먼트 파일 중 시간적으로 가장 빠른 세그먼트 파일의 URL을 포함한다.
또한, 재생 처리부(350)는, 선두 파일의 재생이 종료하기 조금 전에, 기억부(340)의 동화상 데이터 기억부(343)에 액세스하여 다음 파일을 판독한다(단계 S309, S310). 그리고, 선두 파일의 재생이 종료함과 동시에 다음 파일의 재생을 개시한다. 이후, 재생 처리부(350)는, 세그먼트 파일의 재생이 종료하기 직전에 기억부(340)의 동화상 데이터 기억부(343)에 액세스하여 다음에 재생하는 세그먼트 파일을 판독하여, 순차 재생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재생 장치(3)는, 동화상을 재생할 때, 자장치의 기억부(340)에 기억시킨 장면 선두를 포함하는 세그먼트 파일(선두 파일)로부터 재생을 개시한다. 그리고, 선두 파일의 재생 중에 배포 서버(2)로부터 다음 세그먼트 파일을 취득하고, 이후, 재생 중의 세그먼트 파일보다 시간적으로 뒤가 되는 세그먼트 파일을 순차 배포 서버(2)로부터 취득한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동화상 재생 장치(3)에 있어서 재생하는 동화상을 지정하고 나서 재생이 개시되기까지의 대기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배포 서버(2)는, 먼저 선두 파일을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개수의 시간 길이가 짧은 세그먼트 파일을 동화상 재생 장치(3)에 송신한다. 그리고, 동화상 재생 장치(3)에 있어서 충분한 마진이 확보된 후, 배포 서버(2)는, 시간 길이가 긴 세그먼트 파일을 송신한다. 그 때문에, 배포 서버(2)와 동화상 재생 장치(3) 사이에서의 세그먼트 파일의 전송 빈도의 증대를 억제하여, 배포 서버(2)의 처리 부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배포 서버(2)의 기능적 구성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일부의 구성을 변경하여도 좋으며, 다른 구성을 부가하여도 좋다. 또한, 예컨대, 동화상 데이터 기억부(260)는, 배포 서버(2)와는 별도의 서버에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도 11의 검색 처리는 일례에 지나지 않고,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배포 시스템(1)의 검색 처리는, 필요에 따라 도 11의 검색 처리에 있어서의 일부의 처리의 순서나 내용을 변경하여도 좋고, 도 11의 검색 처리에 다른 처리를 부가하여도 좋다. 예컨대, 배포 서버(2)로부터 장면 정보(검색 결과)를 취득하였을 때에, 취득한 장면 정보가 기억부(340)의 검색 결과 기억부(342)에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부가하여도 좋다. 배포 서버(2)로부터 취득한 검색 결과(장면 정보)에 검색 결과 기억부(342)에서 기억하고 있는 장면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장면 정보와 대응하는 장면 선두의 세그먼트 파일을 배포 서버(2)로부터 취득하는 처리를 생략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검색 조건을 변경한 경우에, 동화상 재생 장치(3)가, 취득이 완료된 장면 선두의 세그먼트 파일을 재차 취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배포 서버(2)와 동화상 재생 장치(3) 사이에서의 불필요한 세그먼트 파일의 전송에 의한 통신 네트워크(4)의 트래픽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동화상의 재생 처리는 일례에 지나지 않고,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배포 시스템(1)의 재생 처리는, 필요에 따라 도 12의 재생 처리에 있어서의 일부의 처리의 순서나 내용을 변경하여도 좋고, 도 12의 재생 처리에 다른 처리를 부가하여도 좋다.
또한, 도 5의 플레이 리스트(251)는, 동화상 배포 시스템(1)에서 이용하는 플레이 리스트의 일례에 지나지 않고, 세그먼트 데이터의 배포 형태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컨대, 동화상 재생 장치(3)가 도 5의 플레이 리스트에 따라 어떤 장면으로부터 재생되는 경우, 동화상 재생 장치(3)와 배포 서버(2) 사이에서는, 다음 장면으로 전환할 때마다, 시간 길이가 짧은 세그먼트 파일을 전송하게 된다. 한편, 도 3에 나타낸 1개의 원화 데이터(500)로부터 생성한 제1 세그먼트 파일군(501)과 제2 세그먼트 파일군(503)을 동화상 데이터 기억부(260)에 기억시킨 경우, 제1 시간 길이(TL1)마다, 배포하는 세그먼트 파일을 전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예컨대, 동화상 재생 장치(3)가 재생을 개시한 장면의 선두로부터 미리 정해진 개수의 세그먼트 파일만을 제2 세그먼트 파일군(503)으로부터 판독하고, 후속의 세그먼트 파일은 제1 세그먼트 파일군으로부터 판독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플레이 리스트는, 예컨대, 2번째 이후의 장면의 선두 부분에 제2 세그먼트 파일군에 있어서의 세그먼트 파일의 URL과, 제1 세그먼트 파일군에 있어서의 세그먼트 파일의 URL을 병기한 구성이어도 좋다. 이러한 플레이 리스트를 이용하는 경우, 예컨대, 동화상 재생 장치(3)의 제어부(320)는, 장면 정보에 있어서의 장면 선두의 시각을 포함하는 세그먼트 파일로부터 미리 정해진 개수의 세그먼트 파일만을 제2 세그먼트 파일군으로부터 취득하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예컨대, 장면 정보마다, 상기 장면 정보에 있어서의 장면 선두를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개수의 세그먼트 파일의 URL만을 제2 세그먼트 파일군의 세그먼트 파일의 URL로 한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하여 플레이 리스트 기억부(250)에 기억시켜도 좋다. 이 경우, 배포 서버(2)는, 하나의 동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작성한 복수의 플레이 리스트로부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장면 정보 혹은 배포 요구에 포함되는 장면 정보와 관련시킨 플레이 리스트를 추출하여 동화상 재생 장치(3)에 송신한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배포 시스템(1)의 구체예로서, 야구 시합의 동화상을 배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의 동화상 재생 장치(3) 및 배포 서버(2)의 동작을 설명한다.
[플레이어 화면의 예]
도 13은 플레이어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레이어 화면(6)은, 선수 표시 영역(601. 602)과, 시합일 표시 영역(603, 604)과, 코스 표시 영역(605)과, 구종 표시 영역(606)과, 방향 표시 영역(607)을 포함한다. 또한, 플레이어 화면(6)은, 검색 결과 표시 영역(608)과, 동화상 표시 영역(609)과, 재생 버튼(610)과, 인덱스 버튼(611)과, 슬로우 재생 버튼(612)과, 홈 버튼(613)을 포함한다.
선수 표시 영역(601, 602)은, 시청하는 동화상에 비치고 있는 타자 및 투수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선수 표시 영역(601, 602)은, 선수를 선택하는 선수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는 표시 전환 버튼으로서도 기능한다.
시합일 표시 영역(603, 604)은, 시청하는 시합의 개최일에 대한 검색 조건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시합일 표시 영역(603, 604)은, 시합의 개최일의 기간을 선택하는 시합일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는 표시 전환 버튼으로서도 기능한다.
코스 표시 영역(605)은, 투수가 던진 볼의 코스에 대한 검색 조건을 표시하는 영역이며, 5×5 매스의 코스 지정부가 표시된다. 코스 표시 영역(605)은, 예컨대, 검색 대상으로 지정된 코스와 대응하는 매스의 색과, 지정되지 않은 코스와 대응하는 매스의 색을 바꿈으로써, 검색 조건(즉 어떤 코스가 검색 대상으로 지정되어 있는지)을 제시한다. 코스 표시 영역(605)은, 검색 대상의 코스를 선택하는 코스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는 표시 전환 버튼으로서도 기능한다.
구종 표시 영역(606)은, 투수가 던진 볼의 구종에 대한 검색 조건을 표시하는 영역이며, 시합 중에 투수가 던진 볼의 구종과 그 비율을 나타내는 원 그래프가 표시된다. 구종 표시 영역(606)은, 예컨대, 검색 대상으로 지정된 구종과 대응하는 부채꼴 영역의 색과, 지정되지 않은 구종과 대응하는 부채꼴 영역의 색을 바꿈으로써, 검색 조건(즉 어떤 구종이 검색 대상으로 지정되어 있는지)을 제시한다. 구종 표시 영역(606)은, 검색 대상의 구종을 선택하는 구종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는 표시 전환 버튼으로서도 기능한다.
방향 표시 영역(607)은, 타구의 방향에 대한 검색 조건을 표시하는 영역이며, 야구의 그라운드를 나타내는 부채꼴의 그림이 표시된다. 부채꼴의 그림은, 야수가 포구한 위치나 홈런인 것을 나타내는 복수개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구종 표시 영역(606)은, 예컨대, 검색 대상으로 지정된 방향과 대응하는 영역의 색과, 지정되지 않은 방향과 대응하는 영역의 색을 바꿈으로써, 검색 조건(즉 어떤 방향이 검색 대상으로 지정되어 있는지)을 제시한다. 방향 표시 영역(607)은, 검색 대상의 방향을 선택하는 방향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는 표시 전환 버튼으로서도 기능한다.
검색 결과 표시 영역(608)에는, 검색 결과로서 취득한 상기 각종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장면 정보(608-1, 608-2, 608-3)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장면 정보(608-1, 608-2, 608-3)는, 각각의 장면 정보(도 8을 참조)에 있어서의 키워드의 몇 가지인가를 소정의 방법으로 가시화한 것이다. 또한,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장면이 많아 검색 결과 표시 영역(608)에 모든 장면 정보를 표시할 수 없는 경우, 예컨대, 상하 방향의 스크롤에 의해 검색 결과 표시 영역(608)에 표시시키는 장면 정보를 전환할 수 있다.
동화상 표시 영역(609)은, 검색 결과 표시 영역(608)에 표시된 장면 정보(608-1, 608-2, 608-3) 중 어느 하나와 대응하는 장면(동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도 13에 나타낸 플레이어 화면(6)에서는, 검색 결과 표시 영역(608)에 표시된 장면 정보(608-1)와 대응하는 장면(동화상)을 표시하고 있다. 동화상 표시 영역(609)에 표시된 장면이 어떤 장면 정보와 대응할지는, 예컨대, 동화상 표시 영역(609)과 장면 정보 표시 영역을 내포하는 프레임형의 강조 표시에 의해 제시한다.
재생 버튼(610)은, 동화상 표시 영역(609)에 표시된 장면으로부터 동화상의 재생을 개시시키는 버튼이다. 인덱스 버튼(611)은, 재생 중의 동화상의 장면 선두로 되돌아갈 때에 사용하는 버튼이다. 슬로우 재생 버튼(612)은, 동화상을 슬로우 재생, 예컨대 동화상 데이터 내의 시각 정보에 기초한 재생 속도의 1/2의 재생 속도로 동화상을 재생시킬 때에 사용하는 버튼이다. 동화상 재생 장치(3)의 오퍼레이터가 재생 버튼(610), 인덱스 버튼(611) 및 슬로우 재생 버튼(612) 중 어느 하나를 누르는 조작을 행하면, 동화상 재생 장치(3)는, 누른 버튼과 대응하는 재생 처리를 행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재생 버튼(610)은, 동화상의 재생을 개시시킨 후, 예컨대, 동화상의 재생을 일시정지시키는 일시 정지 버튼으로 표시가 전환된다. 동화상 재생 장치(3)의 오퍼레이터가 일시 정지 버튼을 누르는 조작을 행하면, 동화상 재생 장치(3)는, 동화상의 재생을 정지하며, 표시하고 있던 일시 정지 버튼을 재생 버튼(610)의 표시로 되돌린다.
홈 버튼(613)은, 동화상 재생 장치(3)의 표시부(360)의 표시를, 예컨대, 동화상의 배포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의 홈 화면으로 전환하는 표시 전환 버튼이다.
플레이어 화면(6)은, 예컨대, 동화상 재생 장치(3)에 있어서 웹 브라우저를 기동시키고, 소정의 조작에 의해 배포 서버(2)의 웹 페이지 기억부(230)로부터 웹 페이지를 취득함으로써, 표시부(360)에 표시된다. 또한, 검색 결과 표시 영역(608)의 장면 정보(608-1, 608-2, 608-3)나 동화상 표시 영역(609)의 동화상은, 플레이어 화면(6)이 표시된 상태로 오퍼레이터가 검색 조건을 입력하는 조작을 행함으로써 표시된다. 검색 조건을 입력하는 조작 중 하나는, 선수 표시 영역(601, 602)을 누르는 조작이다. 오퍼레이터가 플레이어 화면(6)에 있는 2개의 선수 표시 영역(601, 602) 중 어느 하나를 누르는 조작을 행하면, 표시부(360)에는, 선수를 선택하는 화면이 표시된다.
[선수를 선택하는 화면의 예]
도 14는 선수 선택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화상 재생 장치(3)의 오퍼레이터가 플레이어 화면(6)의 선수 표시 영역(601, 602) 중 어느 하나를 누르는 조작을 행하면, 동화상 재생 장치(3)는, 배포 서버(2)로부터 선수를 선택하는 화면의 웹 페이지를 취득한다. 그리고, 동화상 재생 장치(3)의 표시부(360)에는, 예컨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선수 선택 화면(700)이 표시된다.
선수 선택 화면(700)은, 선택 선수 표시 영역(701, 702)과, 팀 선택 영역(703)과, 포지션 선택 영역(704)과, 선수 표시 영역(705)과, 백 버튼(706)을 포함한다.
선택 선수 표시 영역(701, 702)은, 선택한 선수가 표시되는 영역이다. 선택 선수 표시 영역(701, 702)은, 선수를 지정하는 버튼을 겸하고 있고, 예컨대, 오퍼레이터가 선택 선수 표시 영역(701)을 누르는 조작을 행하면, 선택 선수 표시 영역(701)에 표시시키는 선수의 선택이나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팀 선택 영역(703)은, 선수의 소속팀을 선택하는 영역이며, 도 13에 나타낸 예에서는, 팀 A부터 팀 F까지의 6개의 팀에서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팀 선택 영역(703)은, 팀을 지정하는 버튼을 겸하고 있고, 예컨대, 오퍼레이터가 팀명이 표시된 6개의 영역 중 어느 하나를 누르는 조작을 행하면, 팀명이 지정된다.
포지션 선택 영역(704)은, 선수의 포지션을 선택하는 영역이며, 도 13에 나타낸 예에서는, 모든 포지션(ALL), 투수, 포수, 내야수 및 외야수 중에서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포지션 선택 영역(704)은, 포지션을 지정하는 버튼을 겸하고 있고, 예컨대, 오퍼레이터가 5개의 영역 중 어느 하나를 누르는 조작을 행하면, 선수의 포지션이 지정된다.
선수 표시 영역(705)은, 선택한 팀에 있어서 선택한 포지션으로 등록되어 있는 선수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선수 표시 영역(705)에는, 해당하는 선수의 이름, 등번호, 투타의 좌우 정보, 얼굴 사진 등을 포함하는 선수 정보가 표시된다. 선수 정보는, 예컨대, 배포 서버(2)의 웹 페이지 기억부(230)에 기억시켜 둔다. 각 선수 정보는, 선수를 선택하는 버튼을 겸하고 있고, 오퍼레이터가 선수 정보 중 어느 하나를 누르는 조작을 행하면, 해당 선수가 선택 선수 표시 영역(701 또는 702)에 표시된다.
백 버튼(706)은, 선택하는 선수의 조합을 확정한 경우 등에, 동화상 재생 장치(3)의 표시부(360)의 표시를 플레이어 화면(6)으로 전환하는 표시 전환 버튼이다.
또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오퍼레이터가 시합일 표시 영역(603, 604), 코스 표시 영역(605), 구종 표시 영역(606) 및 방향 표시 영역(607)을 누르는 조작을 행하면, 각각의 조작과 대응한 선택 화면이 동화상 재생 장치(3)의 표시부(360)에 표시된다. 그리고, 오퍼레이터가 소정의 조작에 의해 검색 조건을 선택(지정)한 후, 백 버튼을 누르는 조작을 행하면, 검색 조건이 확정되고, 동화상 재생 장치(3)의 표시부(360)의 표시가 플레이어 화면(6)으로 전환된다.
이렇게 하여 각종 검색 조건이 입력되면, 동화상 재생 장치(3)는, 입력된 검색 조건을 포함하는 검색 요구를 배포 서버(2)에 송신한다.
검색 요구를 수신한 배포 서버(2)는, 검색 요구에 포함되는 검색 조건에 기초하여 장면 정보 기억부(240)의 장면 정보(241)를 검색한다. 그리고, 장면 정보 기억부(240)로부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장면 정보를 추출한 경우, 배포 서버(2)는, 추출한 장면 정보를 동화상 재생 장치(3)에 송신한다. 그 후, 동화상 재생 장치(3)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신한 장면 정보를 표시부(360)에 표시시키며, 수신한 장면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장면의 선두를 포함하는 세그먼트 파일을 취득한다. 즉, 동화상 재생 장치(3)는, 동화상의 재생 지시를 미접수의 상태로, 예컨대, 도 13에 나타낸 플레이어 화면(6)의 검색 결과 표시 영역(608)에 표시하는 검색 결과(장면 정보)와 대응한 장면 선두를 포함하는 세그먼트 파일을 미리 판독한다. 그 때문에, 오퍼레이터가 검색 결과 표시 영역(608)에 표시된 장면 정보를 선택하여 재생 버튼(610)을 누르는 조작을 하면, 동화상 재생 장치(3)는, 자신의 기억부(340)에 기억시킨 장면 선두의 세그먼트 파일의 재생을 개시하게 된다.
또한, 배포 서버(2)가 유지하는 동화상 데이터는, 도 2에 나타낸 제2 세그먼트 파일군(502)과 같이 장면 선두의 세그먼트 파일의 시간 길이를 짧게 하고 있다. 그 때문에,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장면이 복수 추출된 경우라도, 미리 판독하는 세그먼트 파일의 전송 지연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가 재생을 개시하는 조작을 행하고 나서 배포 서버(2)에 장면 선두의 세그먼트 파일의 송신을 요구하는 경우에 비해서, 재생을 개시하는 조작을 행하고 나서 재생이 개시되기까지의 대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배포 서버(2)가 유지하는 동화상 데이터는, 장면 선두를 포함하는 세그먼트 파일로부터 미리 정해진 개수의 세그먼트 파일만, 미리 정해진 개수의 세그먼트 파일의 다음에 재생시키는 세그먼트 파일의 시간 길이보다 짧게 하고 있다. 즉, 시간 길이가 짧은 세그먼트 파일을 전송하는 것은 장면 선두부터의 1∼수회만이기 때문에, 배포 서버(2)와 동화상 재생 장치(3) 사이에서의 세그먼트 파일의 전송 빈도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동화상 배포 시스템(1)에서는, 세그먼트 파일의 전송 빈도의 증대에 의한 배포 서버(2)의 처리 부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동화상 재생 장치(3)의 기억부(340)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면 정보 및 선두 파일을 검색 결과 기억부(342)에 기억시키고, 재생 중의 동화상에 있어서의 후속의 세그먼트 파일을 동화상 데이터 기억부(343)에 기억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예컨대, 스트리밍 배포에 있어서 배포 서버(2)로부터 취득한 동화상 데이터(세그먼트 파일)가 재생 후에 동화상 데이터 기억부(343)로부터 삭제되는 경우라도, 검색 결과와 대응한 장면 선두의 세그먼트 파일은 유지된다. 따라서, 재생하는 동화상을 변경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라도, 동화상 재생 장치(3) 자신이 유지하고 있는 장면 선두의 세그먼트 파일로부터 재생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같이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장면 정보를 취득한 시점에서 장면 정보에 기초하여 장면 선두의 세그먼트 파일을 취득하는 경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장면 정보의 수에 비례하여 취득하는 세그먼트 파일의 수가 증가한다. 그 때문에,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장면 정보의 수가 많은 경우, 동화상 재생 장치(3)에 있어서의 장면 선두의 세그먼트 파일을 취득하는 처리가 집중하여 처리 부하가 증대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동화상 재생 장치(3)는, 예컨대, 도 15a 및 도 15b에 나타낸 것과 같은 처리를 행하여, 장면 정보가 검색 결과 표시 영역에 표시된 시점에서 장면 선두의 세그먼트 파일을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장면 선두의 세그먼트 파일을 취득하는 방법의 다른 예]
도 15a는 선두 파일을 미리 판독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그 1)이다. 도 15b는 선두 파일을 미리 판독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그 2)이다.
도 1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화상 재생 장치(3)는, 먼저, 검색 조건을 접수한다(단계 S801). 다음에, 동화상 재생 장치(3)는, 검색 조건을 배포 서버(2)에 송신하여,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장면 정보를 취득한다(단계 S802). 다음에, 동화상 재생 장치(3)는, 취득한 장면 정보에 기초하여 플레이 리스트를 취득한다(단계 S803). 단계 S802에 있어서 복수의 장면 정보를 취득하고 있는 경우, 동화상 재생 장치(3)는, 취득한 각 장면 정보의 플레이 리스트를 순차 취득한다.
다음에, 동화상 재생 장치(3)는, 취득한 장면 정보의 수, 즉 검색에 의한 히트 건수가 임계값(TH)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804). 단계 S804의 판정에 이용하는 임계값(TH)은, 플레이어 화면(6)의 검색 결과 표시 영역(608) 내에 한번에 표시 가능한 장면 정보의 수로 한다. 임계값(TH)은, 고정값이어도 좋고, 플레이어 화면(6)의 표시 사이즈 등에 따라 변동하는 값이어도 좋다.
히트 건수가 임계값(TH) 이하인 경우(단계 S804; Yes), 동화상 재생 장치(3)는, 취득한 모든 장면 정보의 표시 및 선두 파일의 취득을 행한다(단계 S805). 한편, 히트 건수가 임계값(TH)보다 많은 경우(단계 S804; No), 동화상 재생 장치(3)는, 취득한 장면 정보 중 상위 TH개의 장면 정보의 표시 및 선두 파일의 취득을 행한다(단계 S806). 단계 S806에 있어서, 동화상 재생 장치(3)는, 예컨대, 장면 정보의 취득순으로 1번째부터 TH번째까지의 장면 정보를 상위 TH개의 장면 정보로 한다.
그 후, 동화상 재생 장치(3)는,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생하는 동화상이 지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807). 동화상이 지정된 경우(단계 S807; Yes), 동화상 재생 장치(3)는, 지정된 동화상의 재생을 개시한다(단계 S808). 또한 이때, 동화상 재생 장치(3)는, 검색 결과를 스크롤하는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809). 한편, 동화상이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807; No), 동화상 재생 장치(3)는, 단계 S808의 처리를 스킵하고 단계 S809의 판정을 행한다.
검색 결과를 스크롤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단계 S809; Yes), 동화상 재생 장치(3)는, 계속해서 스크롤 후에 표시된 장면 정보와 대응하는 선두 파일을 전부 취득 완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810). 선두 파일을 취득하지 않은 장면 정보가 있는 경우(단계 S810; No), 동화상 재생 장치(3)는, 미취득의 선두 파일을 취득한다(단계 S811). 미취득의 선두 파일을 취득한 후, 동화상 재생 장치(3)는, 검색을 종료할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812).
한편, 검색 결과를 스크롤하는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단계 S809; No), 동화상 재생 장치(3)는, 단계 S810의 판정 및 단계 S811의 처리를 스킵하고 단계 S812의 판정을 행한다. 또한, 스크롤 조작이 행해졌지만 현재 표시되고 있는 장면 정보와 대응하는 선두 파일을 전부 취득 완료한 경우(단계 S810; Yes), 동화상 재생 장치(3)는, 단계 S811의 처리를 스킵하고 단계 S812의 판정을 행한다.
단계 S812에 있어서, 동화상 재생 장치(3)는, 예컨대, 플레이어 화면(6)의 홈 버튼(613)을 누르는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검색을 종료하는 경우(단계 S812; Yes), 동화상 재생 장치(3)는, 검색 처리를 종료한다.
검색을 계속하는 경우(단계 S812; No), 동화상 재생 장치(3)는, 검색 조건이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813). 검색 조건이 변경된 경우(단계 S813; Yes), 동화상 재생 장치(3)가 행하는 처리는, 도 15a의 단계 S801로 되돌아간다. 검색 조건에 변경이 없는 경우(단계 S813; No), 동화상 부호화 장치(3)가 행하는 처리는, 단계 S807로 되돌아간다. 이후, 동화상 재생 장치(3)는, 검색을 종료할 때까지, 단계 S801부터 S813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와 같이, 도 15a 및 도 15b에 나타낸 선두 파일의 미리 판독하는 방법에서는,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장면 정보 중 동화상 재생 장치(3)의 표시부(360)에 표시된 장면 정보와 대응하는 장면 선두의 세그먼트 파일만을 순차 취득한다. 그 때문에,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장면 정보가 다수 추출된 경우에 다수의 세그먼트 파일을 취득하는 것에 따른, 동화상 재생 장치(3)의 처리 부하의 증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5a 및 도 15b의 흐름도는 일례에 지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일부의 처리의 순서나 내용을 변경하여도 좋다. 예컨대, 플레이 리스트를 취득하는 단계 S803은, 단계 S805 또는 S806에 내포시켜, 플레이어 화면(6)의 검색 결과 표시 영역(608)에 표시시키는 장면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플레이 리스트만을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동화상 재생 장치(3)의 표시부(360)에 표시시키는 플레이어 화면(6)은, 도 13에 예시한 레이아웃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컨대, 플레이어 화면(6)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색 결과 표시 영역(608)에 장면 정보와 함께 각 장면의 섬네일을 표시하여도 좋다.
[섬네일의 표시 방법 및 생성 방법의 예]
도 16은 플레이어 화면의 별도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섬네일을 표시하는 경우의 장면 정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6에는, 플레이어 화면(6)의 예로서, 야구 시합의 동화상을 재생(시청)하는 경우의 검색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플레이어 화면(6)은, 도 13에 나타낸 플레이어 화면(6)과 마찬가지로, 시합일 표시 영역(603, 604)과, 코스 표시 영역(605)과, 구종 표시 영역(606)과, 방향 표시 영역(607)을 포함한다. 또한, 플레이어 화면(6)은, 검색 결과 표시 영역(608)과, 동화상 표시 영역(609)과, 재생 버튼(610)과, 인덱스 버튼(611)과, 슬로우 재생 버튼(612)과, 홈 버튼(613)을 포함한다. 또한, 도 16에서는 생략하고 있지만, 플레이어 화면(6)은, 선수 표시 영역(601, 602)을 포함한다.
플레이어 화면(6)의 검색 결과 표시 영역(608)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장면 정보를 장면마다 표시한다. 이때, 각 장면의 장면 정보(608-1, 608-2, 608-3)에는, 각각,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장면의 섬네일(608-1a, 608-2a, 608-3a)을 표시하여도 좋다. 섬네일(608-1a, 608-2a, 608-3a)은, 예컨대, 동화상 데이터(세그먼트 파일군)에 있어서의 각 장면의 선두의 프레임을 추출하여 작성한 화상을 이용한다. 섬네일(608-1a, 608-2a, 608-3a)은, 예컨대, 배포 서버(2)의 동화상 데이터 기억부(260)에 동화상 데이터와 함께 기억시켜 둔다.
또한, 플레이어 화면(6)에 장면 정보와 함께 섬네일을 표시시키는 경우, 예컨대, 도 17에 나타내는 장면 정보(241)와 같이, 각 장면의 장면 정보에 섬네일의 URL을 등록해 둔다.
장면 정보에 섬네일의 URL을 등록한 경우, 동화상 재생 장치(3)의 제어부(320)는, 예컨대, 도 11에 나타낸 선두 파일을 취득하는 처리(단계 S210, S211)을 행할 때에, 동시에 섬네일을 취득한다. 또한, 제어부(320)는, 단계 S213에 있어서 취득한 장면 정보를 표시부(360)에 표시시킬 때에, 섬네일도 표시부(360)에 표시시킨다. 또한, 제어부(320)는, 단계 S212에 있어서, 장면 정보 및 선두 파일과 함께 섬네일을 기억부(340)에 기억시켜도 좋다.
또한, 섬네일(608-1a, 608-2a, 608-3a)은, 각 장면의 선두의 프레임에 한정되지 않고, 동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다른 프레임을 추출하여 작성하여도 좋다. 예컨대, 야구 시합의 동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각 장면이 투수의 1회의 투구를 단위로 하여 설정되어 있는 경우, 각 장면의 선두의 프레임을 추출하여 생성한 섬네일은, 투수가 투구 동작을 개시하였을 때의 화상이 된다. 이 경우, 각 장면의 섬네일은 거의 동일한 구도가 되어, 섬네일에 의한 장면의 판별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각 장면이 투수의 1회의 투구를 단위로 하여 설정되어 있는 경우, 예컨대, 장면 선두보다 시간적으로 조금 전이 되는, 투수가 투구 동작을 개시하기 전의 프레임을 섬네일로서 이용하여도 좋다.
도 18은 섬네일의 생성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투수의 1회의 투구를 단위로서 각 장면을 설정하고 있는 경우, 예컨대, 도 18에 나타낸 동화상 데이터(세그먼트 파일군)(504)에 있어서의 장면(m)의 선두의 프레임(SSm)과, 다음 장면(m+1)의 선두의 프레임(SSm+1)은, 모두 투수가 투구 동작을 개시한 구도가 된다. 그 때문에, 각 장면(SSm, SSm+1)의 선두의 프레임을 추출하여 생성한 섬네일(801, 802)은, 거의 동일한 구도가 되어, 섬네일(801, 802)에 의한 장면의 판별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장면 선두의 프레임이 거의 동일한 구도가 되는 경우, 예컨대,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면 선두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세그먼트 파일에 있어서의 선두의 프레임을 섬네일로 한다. 장면(m)의 선두의 프레임(SSm)을 포함하는 세그먼트 파일(SFn0)의 선두의 프레임 및 장면(m+1)의 선두의 프레임(SSm+1)을 포함하는 세그먼트 파일(SFn+20)의 선두의 프레임은, 각각, 투수가 투구 동작을 개시하기 전의 프레임이다. 덧붙여, 장면(m)의 선두의 프레임(SSm)과 그 프레임을 포함하는 세그먼트 파일(SFn0)의 선두의 프레임의 시각의 차(TP4-TP3)는, 장면(m+1)의 선두의 프레임(SSm+1)과 그 프레임을 포함하는 세그먼트 파일(SFn+20)의 선두의 프레임의 시각의 차(TP6-TP5)보다 짧다. 그 때문에, 장면(m)의 선두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세그먼트 파일(SFn0)의 선두의 프레임과, 장면(m+1)의 선두의 프레임(SSm+1)을 포함하는 세그먼트 파일(SFn+20)의 선두의 프레임은, 상이한 구도일 가능성이 높다. 즉, 세그먼트 파일(SFn0)의 선두의 프레임을 추출하여 생성한 섬네일(803)과, 세그먼트 파일(SFn+20)의 선두의 프레임을 추출하여 생성한 섬네일(804)은, 상이한 구도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장면 선두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세그먼트 파일에 있어서의 선두의 프레임을 각 장면의 섬네일로서 이용함으로써, 각 장면의 섬네일의 구도에 차이가 생기기 쉬워져, 섬네일을 이용한 장면의 판별이 용이해진다.
또한, 장면 선두의 프레임보다 시간적으로 전의 프레임을 섬네일로 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을 포함하는 세그먼트 파일의 선두의 프레임에 한정되지 않고, 더욱 시간적으로 전의 프레임을 섬네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장면 선두의 프레임이 세그먼트 파일의 선두가 되도록 동화상 데이터를 분할한 세그먼트 파일군의 경우, 예컨대, 장면 선두의 프레임의 1초 전의 프레임을 섬네일로 하여도 좋다.
[검색 화면의 다른 예]
동화상 재생 장치(3)를 이용하여 야구 시합의 동화상을 검색할 때에는, 예컨대, 플레이어 화면(6)에서 선택한 한 사람의 선수가 출장하고 있는 시합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도 19는 특정 선수가 출장하고 있는 시합의 검색 결과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컨대, 플레이어 화면(6)에는, 도 13에 나타낸 선수 표시 영역(601, 602), 시합일 표시 영역(603, 604), 코스 표시 영역(605) 등 외에, 도시하지 않는 시합 검색 버튼을 포함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시합 검색 버튼은, 예컨대, 표시부(360)의 표시를, 플레이어 화면(6)으로부터, 어떤 한 사람의 선수가 출장하고 있는 시합을 검색하는 화면으로 전환하기 위한 버튼이다. 동화상 재생 장치(3)의 오퍼레이터가 시합 검색 버튼을 누르는 조작을 행한 경우, 동화상 재생 장치(3)의 제어부(320)는, 예컨대, 도 19에 나타낸 것과 같은 출장 시합 선택 화면(720)을 표시부(360)에 표시시킨다.
출장 시합 선택 화면(720)은, 선수 표시 영역(721)과, 성적 표시 영역(722)과, 시합 정보 표시 영역(723)과, 제1 버튼(724)과, 제2 버튼(725)과, 백 버튼(726)을 포함한다.
선수 표시 영역(721)은, 선택한 선수가 표시되는 영역이다. 선택 선수 표시 영역(721)은 선수를 지정하는 버튼을 겸하고 있고, 예컨대, 오퍼레이터가 선택 선수 표시 영역(701)을 누르는 조작을 행하면, 도 14에 나타낸 것과 같은 선수 선택 화면(700)으로 표시가 전환한다.
성적 표시 영역(722)은, 선택한 선수의 성적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선수의 성적은, 예컨대, 선수 선택 화면(700)에 표시되는 선수 정보와 대응시켜 배포 서버(2)의 웹 페이지 기억부(230)에 기억시켜 둔다.
시합 정보 표시 영역(723)은, 선택한 선수가 출장한 시합에 대한 정보[시합 정보(723-1, 723-2, 723-3, 723-4, 723-5)]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시합 정보는, 예컨대, 개최일이나 대전팀, 그 시합의 타격 성적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시합 정보는, 예컨대, 선수 선택 화면(700)에 표시되는 선수 정보와 대응시켜 배포 서버(2)의 웹 페이지 기억부(230)에 기억시켜 둔다. 또한, 시합 정보에는, 예컨대, 그 시합의 동화상 데이터로부터 생성한 섬네일을 표시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섬네일을 표시시키는 경우, 각 시합 정보의 섬네일이 거의 동일한 구도가 되지 않 도록, 섬네일로서 이용하는 프레임을 장면의 선두와는 상이한 시각의 프레임으로 하여도 좋다. 시합 정보 표시 영역(723)에 표시되는 시합 정보(723-1, 723-2, 723-3, 723-4, 723-5)는, 각각, 재생하는 동화상(시합)을 지정하는 버튼을 겸하고 있다.
제1 버튼(724)은, 출장 시합 선택 화면(720)의 표시를, 현재 표시되지 않은 시합 정보로 전환하는 표시 전환 버튼이다. 제2 버튼(725)은, 선택한 선수가 최근에 출장한 시합의 시합 정보를 출장 시합 선택 화면(720)에 표시시키는 표시 전환 버튼이다. 백 버튼(726)은, 출장 시합 선택 화면(720)으로부터 플레이어 화면(6)으로 표시를 되돌리는 표시 전환 버튼이다.
동화상 재생 장치(3)의 표시부(360)에 플레이어 화면(6)이 표시된 상태로, 오퍼레이터가 도시하지 않은 시합 검색 버튼을 누르는 조작을 행하면, 표시부(360)에는, 출장 시합 선택 화면(720)이 표시된다. 또한, 출장 시합 선택 화면(720)을 표시한 시점에서는, 예컨대, 선수 표시 영역(721) 및 성적 표시 영역(722)은 공란으로 되어 있고, 시합 정보 표시 영역(723)에 시합 정보(723-1, 723-2, 723-3, 723-4, 723-5)는 표시되어 있지 않다.
그 후, 오퍼레이터가 선수 표시 영역(721)을 누르는 조작을 행하면, 동화상 재생 장치(3)의 표시부(360)에는, 도 14에 나타낸 것과 같은 선수 선택 화면(700)이 표시된다. 그리고, 오퍼레이터가 선수를 선택하고 확정하는 조작을 행하면, 예컨대, 선수 선택 화면(700)이 꺼지고, 출장 시합 선택 화면(720)의 선수 표시 영역(721)에 선택한 선수가 표시되며, 성적 표시 영역(722)에 그 선수의 최근의 성적이 표시된다.
이때, 동화상 재생 장치(3)는, 선수 표시 영역(721)에 표시된 선수의 선수명을 검색 조건으로 하는 검색 요구를 배포 서버(2)에 송신하고, 그 선수가 출장한 시합의 동화상에 대한 정보를 취득한다. 동화상 재생 장치(3)는, 취득한 정보를 시합 정보로서 시합 정보 표시 영역(723)에 표시한다. 그리고, 오퍼레이터가 시합 정보(723-1, 723-2, 723-3, 723-4, 723-5) 중 어느 하나를 누르는 조작을 행하면, 동화상 재생 장치(3)와 배포 서버(2) 사이에서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은 검색 처리가 행해진다. 이때 행해지는 검색 처리에서는, 동화상 재생 장치(3)는, 먼저, 누른 시합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시합에서 등판한 투수의 투수명 및 선수 표시 영역(721)에 표시한 선수의 선수명을 검색 조건으로 하는 검색 요구를 배포 서버(2)에 송신한다. 그 후, 동화상 재생 장치(3)와 배포 서버(2) 사이에서는, 도 11에 나타낸 검색 처리가 행해지고, 동화상 재생 장치(3)의 표시부(360)에는,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장면 정보를 포함하는 플레이어 화면(6)이 표시된다.
또한, 도 19에 나타낸 출장 시합 선택 화면(720)은, 선택한 선수가 타석에 선 시합을 선택하는 화면의 일례이다. 출장 시합 선택 화면(720)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선택한 선수(투수)가 등판한 시합을 선택하는 화면이어도 좋다.
〔제2 실시형태〕
도 20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의 배포 서버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배포 서버(2)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포 관리부(210)와, 통신부(220)와, 웹 페이지 기억부(230)와, 장면 정보 기억부(240)와, 플레이 리스트 기억부(250)와, 동화상 데이터 기억부(260)를 구비한다.
배포 관리부(210)는, 배포 서버(2)가 배포하는 동화상 데이터(세그먼트 파일군)의 관리, 동화상 배포 장치(3)에의 세그먼트 파일의 송신에 대한 관리 등을 행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배포 서버(2)의 배포 관리부(210)는, 제어부(211)와, 기억부(212)를 포함한다. 배포 관리부(210)의 제어부(211)는, 동화상 재생 장치(3)로부터의 검색 요구에 따른 검색 처리 및 동화상 재생 장치(3)로부터의 배포 요구에 따른 배포 처리를 포함하는, 각종 처리를 행한다. 배포 관리부(210)의 기억부(212)는, 동화상 재생 장치(3)에 송신한 검색 결과(장면 정보)와, 상기 장면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되는 장면 선두의 세그먼트 파일을 기억한다.
통신부(220)는, 통신 네트워크(4)를 통한 동화상 재생 장치(3)와의 통신을 행한다.
웹 페이지 기억부(230)는, 동화상 재생 장치(3)에 표시시키는 플레이어 화면이나 검색 화면 등의 웹 페이지를 기억한다.
장면 정보 기억부(240)는, 동화상의 검색에 이용하는 각 동화상 데이터(세그먼트 파일군)의 장면 정보로서, 예컨대, 도 8에 나타낸 장면 정보(241)를 기억한다.
플레이 리스트 기억부(250)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은 각 동화상 데이터의 플레이 리스트를 기억한다.
동화상 데이터 기억부(260)는, 동화상 데이터를 기억한다.
도 21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배포 서버에 있어서의 배포 관리부의 기억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배포 관리부(210)의 기억부(212)는, 상기한 바와 같이, 동화상 재생 장치(3)에 송신한 검색 결과(장면 정보)와, 상기 장면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장면 선두의 세그먼트 파일을 기억한다. 기억부(212)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색 결과 기억부(9)를 포함한다. 검색 결과 기억부(9)에는, 동화상 재생 장치(3)마다(클라이언트마다) 검색 결과(901, 902, 903)가 기억된다. 여기서, 1개의 동화상 재생 장치(3)에 대한 검색 결과는,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장면 정보와, 그 장면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장면 선두의 세그먼트 파일의 조를 하나의 검색 결과로서, 검색 결과 기억부에 기억시킨다. 장면 선두의 세그먼트 파일은, 장면 정보에 포함되는 플레이 리스트의 URL과, 장면 선두의 시각에 기초하여 특정된다.
도 21에는 기억부(212)에 기억시키는 검색 결과의 예로서, 제1 동화상 재생 장치용의 검색 결과(901)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검색 결과(901)는, 예컨대, 제1 검색 결과(901-1)와, 제2 검색 결과(902-2)를 포함한다.
제1 검색 결과(901-1)는, 어떤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장면 정보(901-1a)와, 그 장면 정보(901-1a)에 의해 특정되는 장면 선두의 세그먼트 파일(901-1b)을 포함한다. 또한, 제2 검색 결과(901-2)는, 어떤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다른 장면 정보(901-2a)와, 그 장면 정보(342-2a)에 의해 특정되는 장면 선두의 세그먼트 파일(902-2b)을 포함한다.
도 22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의 동화상 재생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동화상 재생 장치(3)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 조작부(310)와, 제어부(380)와, 통신부(330)와, 기억부(390)와, 재생 처리부(350)와, 표시부(360)와, 스피커(370)를 구비한다.
입력 조작부(310)는, 동화상을 시청하기 위해 오퍼레이터가 행하는 입력 조작 등의 각종 입력 조작을 접수한다. 오퍼레이터가 행하는 입력 조작은, 동화상을 시청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동(실행)시키는 조작, 동화상을 검색하는 조작, 시청하는 동화상을 선택하는 조작을 포함한다.
제어부(380)는, 입력 조작부(310)에서 접수한 입력 조작에 기초하여 동화상 재생 장치(3)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380)가 제어하는 동작은, 동화상의 검색 요구나 배포 요구를 배포 서버(2)에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380)가 제어하는 동작은, 배포 서버(2)로부터 취득한 검색 결과(장면 정보)를 기억부(390)에 기억시키는 동작, 동화상 데이터(세그먼트 파일)를 취득하는 동작 및 재생 처리부(350)에 동화상 데이터의 재생 처리를 행하게 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통신부(330)는 통신 네트워크(4)를 통한 배포 서버(2)와의 통신을 행한다.
기억부(390)는 배포 서버(2)로부터 취득한 웹 페이지, 장면 정보, 동화상 데이터(세그먼트 파일) 등을 기억한다.
재생 처리부(350)는 기억부(390)에 기억시킨 세그먼트 파일의 재생 처리 등을 행한다.
표시부(360)는 웹 페이지나 재생 처리부(350)에 있어서 재생한 동화상을 표시한다. 스피커(370)는, 재생 처리부(350)에 의해 재생한 음성을 출력한다.
[동화상을 검색하는 처리의 예]
도 23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의 검색 처리를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동화상 재생 장치(3)는, 예컨대, 입력 조작부(310)에 있어서 오퍼레이터에 의한 소정의 입력 조작을 접수하면, 동화상을 시청하기 위한 플레이어 화면을 표시부(360)에 표시시킨다. 오퍼레이터에 의한 소정의 입력 조작은, 예컨대, 웹 브라우저를 기동시키는 조작 및 웹 브라우저에 플레이어 화면의 웹 페이지를 표시시키는 조작을 포함한다. 플레이어 화면은, 예컨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수 표시 영역(601. 602), 시합일 표시 영역(603, 604), 코스 표시 영역(605), 검색 결과 표시 영역(608), 동화상 표시 영역(609) 등을 포함한다.
플레이어 화면이 표시된 상태로, 오퍼레이터가 입력 조작부(310)를 조작하여 검색 조건을 입력하면,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화상 재생 장치(3)로부터 배포 서버(2)에 검색 요구(검색 조건)이 송신된다(단계 S221).
동화상 재생 장치(3)로부터의 검색 요구를 수신한 배포 서버(2)에서는, 제어부(211)가, 검색 조건에 기초하여 장면 정보 기억부(240)의 장면 정보(241)를 검색한다(단계 S222). 장면 정보(241)에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장면 정보가 있는 경우, 제어부(211)는, 그 장면 정보를 추출하여 동화상 재생 장치(3)에 송신한다(단계 S223, S224). 또한,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장면 정보가 없는 경우, 배포 서버(2)는,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장면 정보가 없는 것을 통지하는 정보를 동화상 재생 장치(3)에 송신한다.
또한,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장면 정보를 추출한 경우, 배포 서버(2)의 제어부(211)는, 상기 장면 정보에 기초하여 동화상 데이터의 플레이 리스트를 특정한다(단계 S225). 단계 S225에 있어서, 제어부(211)는, 장면 정보에 포함되는 플레이 리스트의 URL(도 8을 참조)를 판독함으로써 동화상 데이터의 플레이 리스트를 특정한다.
동화상 데이터의 플레이 리스트를 특정하면, 배포 서버(2)의 제어부(211)는, 플레이 리스트 기억부(250)에 액세스하여 플레이 리스트를 판독한다(단계 S226, S227).
플레이 리스트를 판독한 배포 서버(2)의 제어부(211)는, 장면 정보와 플레이 리스트를 이용하여, 장면 정보와 대응하는 장면 선두의 세그먼트 파일(선두 파일)을 특정한다(단계 S228). 단계 S228에 있어서, 제어부(211)는, 장면 정보에 포함되는 장면 선두의 시각을 판독한 후, 플레이 리스트로부터 장면 선두의 시각이 포함되는 세그먼트 파일의 URL을 판독한다.
선두 파일을 특정하면, 배포 서버(2)의 제어부(211)는, 동화상 데이터 기억부(260)에 액세스하여 선두 파일을 취득한다(단계 S229, S230). 그 후, 배포 서버(2)의 제어부(211)는, 장면 정보와 선두 파일의 조를 동화상 재생 장치(3)와 관련시켜 기억부(212)에 기억시킨다(단계 S231).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동화상 배포 시스템(1)에서는, 동화상 재생 장치(3)를 이용하여 동화상의 장면 검색을 하였을 때에, 배포 서버(2)가 검색 결과(장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장면의 선두를 포함하는 세그먼트 파일을 미리 판독한다. 즉, 배포 서버(2)는, 장면 검색을 하였을 때에, 동화상 재생 장치(3)로부터의 동화상 데이터의 배포 요구를 접수하지 않은 상태로 세그먼트 파일을 취득하여, 배포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배포 서버(2)는, 장면 정보 및 미리 판독한 세그먼트 파일(선두 파일)을 동화상 재생 장치(3)와 관련시켜 유지한다. 즉, 본 실시형태의 동화상 배포 시스템(1)에서는, 미리 판독한 장면 선두를 포함하는 세그먼트 파일을, 장면 정보와 함께 동화상 재생 장치(3)에 송신하는 대신에, 배포 서버(2)에서 동화상 재생 장치(3)와 관련시켜 유지한다.
또한, 배포 서버(2)의 제어부(211)에 의한 단계 S222, S223의 처리에서 복수의 장면 정보가 추출된 경우, 제어부(211)는, 추출된 장면 정보의 각각에 대하여 단계 S224∼S231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복수의 동화상 재생 장치(3)로부터 장면의 검색 요구(검색 조건)를 수신한 경우, 배포 서버(2)의 제어부(211)는, 동화상 재생 장치(3)마다 단계 S222∼S231의 처리를 행하여, 동화상 재생 장치(3)마다 장면 정보와 선두 파일의 조를 기억부(212)에 기억시킨다.
[동화상을 재생하는 처리의 예]
도 24a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의 동화상의 재생 처리를 설명하는 시퀀스도(그 1)이다. 도 24b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의 동화상의 재생 처리를 설명하는 시퀀스도(그 2)이다.
상기 단계 S224의 처리에 의해 배포 서버(2)로부터 검색 결과(장면 정보)를 수신한 동화상 재생 장치(3)는, 플레이어 화면에 검색 결과를 표시한다. 플레이어 화면에 검색 결과가 표시된 동화상 재생 장치(3)에 대하여, 오퍼레이터가 재생하는 동화상을 지정하는 조작을 행하면, 도 2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화상 재생 장치(3)는 배포 서버(2)로 지정 정보를 송신한다(단계 S341). 지정 정보는, 재생하는 동화상의 장면 정보를 포함한다.
지정 정보를 수신한 배포 서버(2)에서는, 제어부(211)가 기억부(212)에 액세스하여, 지정 정보로 지정된 장면 정보 및 선두 파일을 판독한다(단계 S342, S343).
장면 정보 및 선두 파일을 판독하면, 제어부(211)는, 판독한 장면 정보에 기초하여 동화상 재생 장치(3)에 송신(배포)하는 동화상 데이터의 플레이 리스트를 특정한다(단계 S344). 단계 S344에 있어서, 제어부(211)는, 장면 정보에 포함되는 플레이 리스트의 URL(도 8을 참조)을 판독함으로써 플레이 리스트를 특정한다.
플레이 리스트를 특정하면, 제어부(211)는, 플레이 리스트 기억부(250)에 액세스하여, 특정한 플레이 리스트를 판독한다(단계 S345, S346).
플레이 리스트를 판독하면, 제어부(211)는, 장면 정보, 선두 파일 및 플레이 리스트를 동화상 재생 장치(3)에 송신한다(단계 S347).
장면 정보, 선두 파일 및 플레이 리스트를 수신한 동화상 재생 장치(3)에서는, 도 2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380)가 재생 처리부(350)에 재생 개시 명령 및 선두 파일을 출력한다(단계 S348). 재생 처리부(350)는, 수신한 선두 파일로부터 재생을 개시하고(단계 S349), 재생 신호를 표시부(360) 및 도시하지 않는 스피커에 출력한다(단계 S350).
한편, 재생 개시 명령을 출력한 제어부(380)는, 장면 정보 및 플레이 리스트에 기초하여 재생 중의 선두 파일에 계속되는 세그먼트 파일(후속 파일)을 특정한다(단계 S361). 단계 S361에 있어서, 동화상 재생 장치(3)의 제어부(380)는, 장면 정보에 포함되는 장면 선두의 시각에 기초하여, 플레이 리스트에 있어서 장면 선두의 시각이 포함되는 세그먼트 파일의 시간적으로 뒤가 되는 세그먼트 파일의 URL을 판독한다.
후속 파일을 특정하면, 동화상 재생 장치(3)[제어부(380)]는, 2번째로 재생하는 세그먼트 파일의 전송 요구를 배포 서버(2)에 송신한다(단계 S362). 그리고, 배포 서버(2)로부터 2번째로 재생하는 세그먼트 파일을 수신하면, 동화상 재생 장치(3)의 제어부(380)는, 수신한 세그먼트 파일을 기억부(390)에 기억시킨다(단계 S363, S364).
또한, 제어부(380)는, 계속해서 3번째로 재생하는 세그먼트 파일의 전송 요구를 배포 서버(2)에 송신한다(단계 S365). 그리고, 배포 서버(2)로부터 3번째로 재생하는 세그먼트 파일을 수신하면, 동화상 재생 장치(3)의 제어부(380)는, 수신한 세그먼트 파일을 기억부(390)에 기억시킨다(단계 S366, S367).
이 후, 동화상 재생 장치(3)의 제어부(380)는, 배포 서버(2)로부터 후속의 세그먼트 파일을 취득하여 기억부(390)에 기억시키는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단계 S349에 있어서 선두 파일의 재생을 개시한 재생 처리부(350)는, 도 2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두 파일의 재생이 종료하기 조금 전에, 기억부(390)로부터 2번째로 재생하는 세그먼트 파일을 판독한다(단계 S351, S352). 그리고, 선두 파일의 재생이 종료함과 동시에 다음 파일의 재생을 개시한다.
이 후, 동화상 재생 장치(3)의 재생 처리부(350)는, 기억부(390)로부터 판독한 세그먼트 파일의 재생 처리와, 재생 처리가 종료하기 조금 전에 기억부(390)로부터 다음에 재생할 세그먼트 파일을 판독하는 처리를 반복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동화상 배포 시스템(1)에서는, 동화상 재생 장치(3)로부터의 검색 요구에 따라 장면 검색을 행한 배포 서버(2)가, 검색 결과와 대응하는 장면 선두의 세그먼트 파일을 미리 판독한다. 또한, 배포 서버(2)의 동화상 데이터 기억부(260)에 기억시킨 동화상 데이터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면의 선두를 포함하는 세그먼트 파일의 시간 길이를 짧게 하여 데이터량을 적게 하고 있다. 그 때문에, 동화상 재생 장치(3)에 있어서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재생하는 동화상(장면)을 지정한 경우에, 배포 서버(2)는, 지정된 동화상의 장면 선두의 세그먼트 파일을 단시간에 동화상 재생 장치(3)에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동화상 재생 장치(3)에 있어서 재생하는 동화상을 지정하고 나서 재생이 개시되기까지의 대기 시간을 매우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배포 서버(2)는, 먼저 선두 파일을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개수의 시간 길이가 짧은 세그먼트 파일을 동화상 재생 장치(3)에 송신한다. 그리고, 동화상 재생 장치(3)에 있어서 충분한 마진이 확보되면, 배포 서버(2)는, 시간 길이가 긴 세그먼트 파일을 송신한다. 그 때문에, 배포 서버(2)와 동화상 재생 장치(3) 사이에서의 세그먼트 파일의 전송 빈도의 증대를 억제하여, 배포 서버(2)의 처리 부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20의 배포 서버(2)의 기능적 구성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일부의 구성을 변경하여도 좋으며, 다른 구성을 부가하여도 좋다. 또한, 예컨대, 동화상 데이터 기억부(260)는, 배포 서버(2)와는 별도의 서버에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도 23의 검색 처리는 일례에 지나지 않고,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배포 시스템(1)의 검색 처리는, 필요에 따라 도 23의 검색 처리에 있어서의 일부의 처리의 순서나 내용을 변경하여도 좋고, 도 23의 검색 처리에 다른 처리를 부가하여도 좋다.
또한, 도 24a 및 도 24b의 동화상의 재생 처리는 일례에 지나지 않고,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배포 시스템(1)의 재생 처리는, 필요에 따라 도 24a 및 도 24b의 재생 처리에 있어서의 일부의 처리의 순서나 내용을 변경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배포 시스템(1)의 재생 처리는, 도 24a 및 도 24b의 재생 처리에 다른 처리를 부가한 처리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상기 각 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배포 시스템(1)에서는, 동화상 재생 장치(3)의 오퍼레이터가 동화상의 장면 검색을 행하였을 때에, 검색 결과(장면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장면 선두를 포함하는 세그먼트 파일을 동화상 데이터 기억부(260)로부터 판독한다. 그 때문에, 동화상 재생 장치(3)에 있어서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재생하는 동화상을 지정하였을 때에, 판독하여 둔 세그먼트 파일로부터 재생을 개시하게 되어, 동화상 데이터 기억부(260)로부터 세그먼트 파일을 판독하는 처리를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동화상 재생 장치(3)에 있어서 재생하는 동화상을 지정하고 나서 동화상의 재생이 개시되기까지의 대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배포 서버(2)는, 먼저 선두 파일을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개수의 시간 길이가 짧은 세그먼트 파일을 동화상 재생 장치(3)에 송신하고, 동화상 재생 장치(3)에 있어서 충분한 마진이 확보되면 시간 길이가 긴 세그먼트 파일을 송신한다. 그 때문에, 배포 서버(2)와 동화상 재생 장치(3) 사이에서의 세그먼트 파일의 전송 빈도의 증대를 억제하여, 배포 서버(2)의 처리 부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 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배포 시스템(1)은, 동화상 재생 장치(3)에 있어서의 재생 개시까지의 대기 시간을 단축하는 것과, 배포 서버(2)의 부하의 증대를 억제하는 것의 양립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동화상 배포 시스템(1)에 있어서의 배포 서버(2) 및 동화상 재생 장치(3)는, 각각, 컴퓨터와,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된다. 배포 서버(2) 및 동화상 재생 장치(3)로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한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서,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5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포 서버(2)로서 동작시키는 컴퓨터(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001)와, 주기억 장치(1002)와, 보조 기억 장치(1003)와, 입력 장치(1004)와, 표시 장치(1005)를 구비한다. 또한, 컴퓨터(10)는, 통신 인터페이스(1006)와, 기억 매체 구동 장치(1007)를 구비한다. 컴퓨터(10)에 있어서의 상기 하드웨어는, 버스(1010)로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임의의 2점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CPU(1001)는, 각종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컴퓨터(10)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연산 처리 장치이다.
주기억 장치(1002)는, ROM(Read Only Memory)과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한다. ROM에는, 예컨대 컴퓨터(10)의 기동 시에 CPU(1001)가 판독하는 소정의 기본 제어 프로그램 등이 미리 기록되어 있다. 또한, RAM은, CPU(1001)가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에, 필요에 따라 작업용 기억 영역으로서 사용한다. 주기억 장치(1002)의 RAM은, 예컨대, 컴퓨터(10)와 접속된 동화상 재생 장치(3)를 식별하는 정보나, 동화상 재생 장치(3)에 배포하고 있는 동화상 데이터를 나타내는 정보 등의 기억에 이용 가능하다.
보조 기억 장치(1003)는, HDD(Hard Disk Drive) 등의 주기억 장치(1002)에 비해서 대용량의 기억 장치이다. 보조 기억 장치(1003)에는, 웹 페이지, 장면 정보, 플레이 리스트 및 배포용의 동화상 데이터 및 CPU(1001)에 의해 실행되는 각종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각종의 데이터를 기억시킨다. CPU(1001)는, 보조 기억 장치(1003)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며, 필요에 따라 보조 기억 장치(1003)에 기억된 각종 데이터를 판독한다. 또한, CPU(1001)는, 동화상 재생 장치(3)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보조 기억 장치(1003)에 기억된 장면 정보, 플레이 리스트, 동화상 데이터(세그먼트 파일)를 판독하여, 동화상 재생 장치(3)에 전송한다.
입력 장치(1004)는, 예컨대 키보드 장치나 마우스 장치이며, 컴퓨터(10)의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되면, 그 조작 내용에 대응시켜져 있는 입력 정보를 CPU(1001)에 송신한다.
표시 장치(1005)는,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이며, CPU(1001)로부터 송신되는 표시 데이터에 따라 각종 텍스트, 동화상을 표시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006)는, 컴퓨터(10)와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4)를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여, 동화상 재생 장치(3) 등과의 통신을 행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006)는, 예컨대 전술한 세그먼트 파일군을 생성하는 다른 컴퓨터 등과의 통신도 행한다.
기억 매체 구동 장치(1007)는, 도시하지 않는 휴대형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의 판독, 보조 기억 장치(1003)에서 유지하는 데이터 등의 휴대형 기록 매체에의 기록을 행한다. 휴대형 기록 매체로서는, 예컨대, USB(Universal Serial Bus) 규격의 커넥터가 구비되어 있는 플래시 메모리를 이용 가능하다. 또한, 휴대형 기록 매체로서는,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ROM(Digital Versatile Disc Read Only Memory) 등도 이용 가능하다.
컴퓨터(10)는, CPU(1001), 주기억 장치(1002), 보조 기억 장치(1003) 등이 소정의 동화상 배포 프로그램에 따라 협동하여, 동화상의 장면 검색이나 동화상 데이터(세그먼트 파일군)의 배포을 행한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배포 서버(2)로서 동작시키는 경우, 컴퓨터(10)는, 동화상의 장면 검색의 결과를 동화상 재생 장치(3)에 송신할 때에, 검색 결과(장면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장면 선두를 포함하는 세그먼트 파일을 미리 판독한다.
한편, 동화상 재생 장치(3)로서 동작시키는 컴퓨터(11)는, CPU(1101)와, 주기억 장치(1102)와, 보조 기억 장치(1103)와, 동화상 처리 장치(1104)와, 입력 장치(1105)와, 표시 장치(1106)를 구비한다. 또한, 컴퓨터(11)는, 통신 인터페이스(1107)와, 기억 매체 구동 장치(1108)를 구비한다. 컴퓨터(11)에 있어서의 상기 하드웨어는, 버스(1110)로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임의의 2점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CPU(1101)는,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컴퓨터(11)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연산 처리 장치이다.
주기억 장치(1102)는 ROM 및 RAM을 포함한다. ROM에는, 예컨대 컴퓨터(11)의 기동 시에 CPU(1101)가 판독하는 소정의 기본 제어 프로그램 등이 미리 기록되어 있다. 또한, RAM은, CPU(1101)가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에, 필요에 따라 작업용 기억 영역으로서 사용한다. 주기억 장치(1102)의 RAM은, 예컨대, 배포 서버(2)로부터 취득한 웹 페이지, 장면 정보, 장면 선두를 포함하는 세그먼트 파일 등의 기억에 이용 가능하다.
보조 기억 장치(1103)는, HDD나 SSD(Solid State Drive) 등의 주기억 장치(1102)에 비해서 대용량의 기억 장치이다. 보조 기억 장치(1103)에는, CPU(1101)에 의해 실행되는 각종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CPU(1101)는, 보조 기억 장치(1103)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며, 필요에 따라 보조 기억 장치(1103)에 기억된 각종 데이터를 판독한다. 보조 기억 장치(1103)는, 예컨대,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지정한 동화상을 재생할 때의 후속 세그먼트 파일의 일시적인 기억(유지)에 이용 가능하다.
동화상 처리 장치(1104)는, 배포 서버(2)로부터 취득한 동화상 데이터(세그먼트 파일)의 재생 처리를 행한다. 동화상 데이터는, 예컨대,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으로부터 정해진 형식으로 부호화(압축)되어 있다. 동화상 처리 장치(1104)는, 부호화된 동화상 데이터(세그먼트 파일)를 복호화하여, 표시 장치(1106)에서 표시 가능한 재생 신호로 변환한다.
입력 장치(1105)는, 예컨대 키보드 장치나 마우스 장치이며, 컴퓨터(11)의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되면, 그 조작 내용에 대응시켜져 있는 입력 정보를 CPU(1101)에 송신한다. 또한, 컴퓨터(11)가 타블렛형의 컴퓨터인 경우, 예컨대, 표시 장치(1106)의 표시면에 겹쳐 배치한 터치 패널을 입력 장치(1105)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시 장치(1106)는,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이며, CPU(1101)나 영상 처리 장치(1104)로부터 송신되는 재생 신호(표시 데이터)에 따라 각종 텍스트, 동화상을 표시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107)는, 컴퓨터(11)와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4)를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여, 배포 서버(2) 등과의 통신을 행한다.
기억 매체 구동 장치(1108)는, 도시하지 않는 휴대형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의 판독, 보조 기억 장치(1103)에서 유지하는 데이터 등의 휴대형 기록 매체에의 기록을 행한다. 휴대형 기록 매체로서는, 예컨대, USB 규격의 커넥터가 구비되어 있는 플래시 메모리를 이용 가능하다. 또한, 컴퓨터(11)가 기억 매체 구동 장치로서 이용 가능한 광 디스크 드라이브를 탑재하고 있는 경우, 휴대형 기록 매체에는, CD-ROM, DVD-ROM 등도 이용 가능하다.
컴퓨터(11)는, CPU(1101), 주기억 장치(1102), 보조 기억 장치(1103), 동화상 처리 장치(1104) 등이 소정의 동화상 배포 프로그램에 따라 협동하여, 배포 서버(2)와의 사이에서 상기와 같은 검색 처리 및 재생 처리를 행한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동화상 재생 장치(3)로서 동작시키는 경우, 컴퓨터(11)는, 배포 서버(2)로부터 취득한 검색 결과(장면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장면 선두를 포함하는 세그먼트 파일을 배포 서버(2)로부터 취득하는 동화상 배포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상 기재한 각 실시예를 포함하는 실시형태에 관해서, 더욱 이하의 부기를 개시한다.
(부기 1)
복수의 파일로 분할된 동화상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여 재생하는 동화상 재생 장치로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였을 때에, 취득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최초에 재생되는 파일을 특정하고, 특정된 상기 파일을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제어부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된 상기 파일을 기억하는 기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 장치.
(부기 2)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킨 상기 파일을 재생순으로 판독하여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재생 처리를 하는 재생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재생의 개시를 지시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재생 처리부에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재생을 개시시키며,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킨 상기 최초에 재생되는 상기 파일의 후속의 파일을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동화상 재생 장치.
(부기 3)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복수의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취득한 경우, 취득된 상기 정보마다, 최초에 재생되는 상기 파일을 특정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동화상 재생 장치.
(부기 4)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 및 재생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복수의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취득한 경우, 취득된 상기 정보 중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최초에 재생되는 상기 파일을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동화상 재생 장치.
(부기 5)
상기 기억부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최초에 재생되는 상기 파일을 기억하는 제1 기억부와,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상기 최초에 재생되는 상기 파일의 후속의 파일을 기억하는 제2 기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동화상 재생 장치.
(부기 6)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되는 동화상 데이터는, 복수의 장면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장면 정보를 취득하였을 때에,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복수의 파일 중, 취득된 장면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장면의 선두를 포함하는 파일을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동화상 재생 장치.
(부기 7)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되는 동화상 데이터는, 복수의 장면이 설정되어 있고,
하나의 상기 장면에 있어서의 장면 선두를 포함하는 상기 파일의 시간 길이가, 상기 장면 선두를 포함하는 파일로부터 미리 정해진 개수의 파일을 재생한 후에 재생되는 상기 파일의 시간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동화상 재생 장치.
(부기 8)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 및 재생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취득된 상기 파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섬네일 데이터로 하는 상기 검색 결과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동화상 재생 장치.
(부기 9)
동화상 데이터의 검색 조건의 지정을 접수하여, 접수된 상기 검색 조건에 따른 검색 요구를 외부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검색 요구에 따른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를 특정하는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 상기 검색 결과에 따른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검색 결과로 특정된 상기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의 각각의 재생 개시 부분에 대응하는 1 또는 복수의 분할 파일을 취득하는 제어부와,
상기 화면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면의 표시 후에, 상기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재생 지시를 받으면, 취득된 상기 분할 파일 중 대응하는 분할 파일을 이용하여 재생을 개시하는 재생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 장치.
(부기 10)
동화상 데이터의 검색 조건의 지정을 접수하여,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화상 데이터의 검색 결과를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할 때에,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플레이 리스트를 취득하고, 취득된 상기 플레이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화상 데이터의 재생 개시 부분에 대응하는 분할 파일을,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화상 데이터의 재생 지시를 미접수의 상태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제어부와,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화상 데이터의 재생 지시에 따라, 취득된 상기 분할 파일을 이용한 동화상 데이터의 재생 처리를 실행하는 재생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 장치.
(부기 11)
복수의 파일로 분할된 동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동화상 데이터 기억부와,
상기 동화상 데이터 기억부에 기억시킨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기억하는 정보 기억부와,
동화상 재생 장치로부터의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검색 요구에 따라 상기 정보 기억부로부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동화상 재생 장치에 송신하는 처리 및 상기 동화상 재생 장치로부터의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배포 요구에 따라 상기 동화상 데이터 기억부에 기억시킨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상기 동화상 재생 장치에 배포하는 처리를 하는 배포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포 관리부는,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상기 동화상 재생 장치에 송신할 때에, 송신되는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최초에 재생되는 파일을 특정하며, 특정된 상기 파일을 상기 동화상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판독하는 제어부와,
상기 동화상 재생 장치에 송신한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동화상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판독한 상기 최초에 재생되는 상기 파일을 기억하는 기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배포 서버.
(부기 12)
상기 배포 관리부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화상 재생 장치로부터의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배포 요구를 수신하면, 상기 배포 관리부의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킨 상기 최초에 재생시키는 상기 파일을 상기 동화상 재생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에 기재된 동화상 배포 서버.
(부기 13)
상기 배포 관리부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최초에 재생시키는 세그먼트 파일의 조를,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송신한 상기 동화상 재생 장치와 관련시켜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에 기재된 동화상 배포 서버.
(부기 14)
상기 동화상 데이터는, 복수의 장면이 설정되어 있고,
하나의 상기 장면에 있어서의 장면 선두를 포함하는 상기 파일의 시간 길이가, 상기 장면 선두를 포함하는 파일로부터 미리 정해진 개수의 파일을 재생한 후에 재생되는 상기 파일의 시간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에 기재된 동화상 배포 서버.
(부기 15)
상기 동화상 데이터 기억부에는, 복수의 장면이 설정된 1개의 동화상 데이터를 선두로부터 제1 시간 길이마다 분할하여 작성한 파일을 포함하는 제1 파일군과,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선두로부터 상기 제1 시간 길이보다 짧은 제2 시간 길이마다 분할하여 작성한 파일을 포함하는 제2 파일군이 기억되어 있고,
상기 배포 관리부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화상 재생 장치로부터의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장면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장면의 선두를 포함하는 상기 파일을 상기 제2 파일군으로부터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에 기재된 동화상 배포 서버.
(부기 16)
상기 배포 관리부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화상 재생 장치로부터의 배포 요구에 따라 상기 파일을 상기 동화상 재생 장치에 순차 송신할 때에, 미리 정해진 개수의 파일을 상기 동화상 재생 장치에 송신할 때까지는 상기 제2 파일군으로부터 판독한 상기 파일을 상기 동화상 재생 장치에 송신하고, 미리 정해진 개수의 상기 파일을 상기 동화상 재생 장치에 송신한 후는 상기 제1 파일군으로부터 판독한 상기 파일을 상기 동화상 재생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5에 기재된 동화상 배포 서버.
(부기 17)
상기 동화상 배포 서버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각 파일과 대응하는 섬네일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포 관리부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상기 파일과 대응한 상기 섬네일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와 함께 상기 섬네일 데이터를 상기 동화상 재생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에 기재된 동화상 배포 서버.
(부기 18)
상기 동화상 배포 서버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로 설정된 복수의 장면의 각각과 대응된 섬네일을 기억하는 기억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배포 관리부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장면 정보와 함께, 상기 장면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장면과 대응된 섬네일을 상기 동화상 재생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에 기재된 동화상 배포 서버.
(부기 19)
상기 섬네일이,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각 장면의 선두의 시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전의 프레임을 추출하여 생성된 화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8에 기재된 동화상 배포 서버.
(부기 20)
복수의 파일로 분할된 동화상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여 재생하는 동화상 재생 방법으로서,
컴퓨터가,
상기 외부 장치에 대하여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검색 조건을 송신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였을 때에, 취득된 상기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한편으로, 취득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최초에 재생되는 상기 파일을 특정하고 그 특정된 상기 파일을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며,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최초에 재생되는 상기 파일을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재생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지정한 경우에,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킨 상기 최초에 재생되는 상기 파일을 판독하여 재생하며, 상기 파일의 후속의 파일을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 방법.
(부기 21)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한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처리에서는, 상기 컴퓨터는,
취득된 상기 정보 중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최초에 재생되는 상기 파일을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0에 기재된 동화상 재생 방법.
(부기 22)
컴퓨터가,
검색 조건의 지정을 접수하여,
접수된 상기 검색 조건에 따른 검색 요구를 외부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검색 요구에 따른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를 특정하는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검색 결과에 따른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검색 결과로 특정된 상기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의 각각의 재생 개시 부분에 대응하는 1 또는 복수의 분할 파일을 취득하는 처리를 개시하고,
상기 화면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면의 표시 후에, 상기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재생 지시를 받으면, 취득된 분할 파일 중 대응하는 분할 파일을 이용하여 재생을 개시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 방법.
(부기 23)
컴퓨터가,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화상 데이터의 검색 결과를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할 때에,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플레이 리스트를 취득하고,
취득된 상기플레이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화상 데이터의 재생 개시 부분에 대응하는 분할 파일을,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화상 데이터의 재생 지시를 미접수의 상태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며,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화상 데이터의 재생 지시에 따라, 취득된 상기분할 파일을 이용한 동화상 데이터의 재생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 방법.
(부기 24)
복수의 파일로 분할된 동화상 데이터를 동화상 재생 장치에 배포하는 동화상 배포 방법으로서,
컴퓨터가,
상기 동화상 재생 장치부터의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검색 요구를 수신하였을 때에, 정보 기억부에 기억시킨 복수의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로부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동화상 재생 장치에 송신하는 한편으로, 송신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최초에 재생시키는 상기 파일을 특정하고 그 특정한 상기 파일을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기억시킨 동화상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판독하여, 송신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최초에 재생시키는 상기 파일을 다른 기억부에 기억시키며,
상기 동화상 재생 장치로부터의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배포 요구를 수신하였을 때에, 상기 다른 기억부에 기억시킨 상기 최초에 재생되는 상기 파일을 상기 동화상 재생 장치에 송신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배포 방법.
(부기 25)
복수의 파일에 분할된 동화상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여 재생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였을 때에, 취득된 상기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한편으로, 취득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최초에 재생되는 상기 파일을 특정하고 그 특정한 상기 파일을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며,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최초에 재생되는 상기 파일을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재생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지정한 경우에,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킨 상기 최초에 재생되는 상기 파일을 판독하여 재생하며, 상기 파일의 후속의 세그먼트 파일을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처리를, 상기컴퓨터에 실행시키는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
(부기 26)
컴퓨터에,
검색 조건의 지정을 접수하여,
접수된 상기 검색 조건에 따른 검색 요구를 외부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검색 요구에 따른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를 특정하는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검색 결과에 따른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며, 해당검색 결과로 특정된 상기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의 각각의 재생 개시 부분에 대응하는 1 또는 복수의 분할 파일을 취득하는 처리를 개시하고,
상기 화면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면의 표시 후에, 상기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재생 지시를 받으면, 취득된 분할 파일 중 대응하는 분할 파일을 이용하여 재생을 개시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
(부기 27)
컴퓨터에,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화상 데이터의 검색 결과를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할 때에,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플레이 리스트를 취득하고,
취득된 상기플레이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화상 데이터의 재생 개시 부분에 대응하는 분할 파일을,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화상 데이터의 재생 지시를 미접수의 상태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며,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화상 데이터의 재생 지시에 따라, 취득된 상기 분할 파일을 이용한 동화상 데이터의 재생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
(부기 28)
복수의 파일에 분할된 동화상 데이터를 동화상 재생 장치에 배포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동화상 배포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동화상 재생 장치로부터의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검색 요구를 수신하였을 때에, 정보 기억부에 기억시킨 복수의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로부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동화상 재생 장치에 송신하는 한편으로, 송신하는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최초에 재생시키는 상기 파일을 특정하고 그 특정된 상기 파일을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기억시킨 동화상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판독하여, 송신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최초에 재생되는 상기 파일을 다른 기억부에 기억시키며,
상기 동화상 재생 장치로부터의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배포 요구를 수신하였을 때에, 상기 다른 기억부에 기억시킨 상기 최초에 재생되는 상기 파일을 상기 동화상 재생 장치에 송신하는,
처리를 상기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동화상 배포 프로그램.
1 동화상 배포 시스템
2 배포 서버
210 배포 관리부
211 제어부
212 기억부
220 통신부
230 웹 페이지 기억부
240 장면 정보 기억부
241 장면 정보
250 플레이 리스트 기억부
251 플레이 리스트
260 동화상 데이터 기억부
3 동화상 재생 장치
310 입력 조작부
320 제어부
330 통신부
340 기억부
342, 9 검색 결과 기억부
343 동화상 데이터 기억부
350 재생 처리부
360 표시부
370 스피커
4 통신 네트워크
500, 504 원화 데이터
501, 502, 503, 505 세그먼트 파일군
6 플레이어 화면
601, 602 선수 표시 영역
603, 604 시합일 표시 영역
605 코스 표시 영역
606 구종 표시 영역
607 방향 표시 영역
608 검색 결과 표시 영역
609 동화상 표시 영역
610 재생 버튼
611 인덱스 버튼
612 슬로우 재생 버튼
700 선수 선택 화면
701, 702 선택 선수 표시 영역
703 팀 선택 영역
704 포지션 선택 영역
705 선수 표시 영역
720 출장 시합 선택 화면
721 선수 표시 영역
722 성적 표시 영역
723 시합 정보 표시 영역
801, 802, 803, 804 섬네일
10, 11 컴퓨터
1001, 1101 CPU
1002, 1102 주기억 장치
1003, 1103 보조 기억 장치
1004, 1105 입력 장치
1005, 1106 표시 장치
1006, 1107 통신 인터페이스
1007, 1108 기억 매체 구동 장치
1010, 1110 버스
1104 동화상 처리 장치

Claims (22)

  1. 복수의 파일로 분할된 동화상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여 재생하는 동화상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였을 때에, 취득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최초에 재생되는 파일을 특정하고, 특정된 상기 파일을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제어부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된 상기 파일을 기억하는 기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킨 상기 파일을 재생순으로 판독하여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재생 처리를 행하는 재생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재생의 개시를 지시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재생 처리부에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재생을 개시시키며,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킨 상기 최초에 재생되는 상기 파일의 후속 파일을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 및 재생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복수의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취득한 경우, 취득된 상기 정보 중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최초에 재생되는 상기 파일을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최초에 재생되는 상기 파일을 기억하는 제1 기억부와,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상기 최초에 재생되는 상기 파일의 후속 파일을 기억하는 제2 기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되는 동화상 데이터는, 복수의 장면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장면 정보를 취득하였을 때에,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복수의 파일 중, 취득된 장면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장면의 선두를 포함하는 파일을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되는 동화상 데이터는, 복수의 장면이 설정되어 있고,
    하나의 상기 장면에 있어서의 장면 선두를 포함하는 상기 파일의 시간 길이가, 상기 장면 선두를 포함하는 파일로부터 미리 정해진 개수의 파일을 재생한 후에 재생되는 상기 파일의 시간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 및 재생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취득된 상기 파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섬네일 데이터로 하는 상기 검색 결과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 장치.
  8. 동화상 재생 장치에 있어서,
    동화상 데이터의 검색 조건의 지정을 접수하여, 접수된 상기 검색 조건에 따른 검색 요구를 외부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검색 요구에 따른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를 특정하는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 상기 검색 결과에 따른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검색 결과로 특정된 상기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의 각각의 재생 개시 부분에 대응하는 1 또는 복수의 분할 파일을 취득하는 제어부와,
    상기 화면 데이터에 기초한 화면의 표시 후에, 상기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재생 지시를 받으면, 취득된 상기 분할 파일 중 대응하는 분할 파일을 이용하여 재생을 개시하는 재생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 장치.
  9. 동화상 재생 장치에 있어서,
    동화상 데이터의 검색 조건의 지정을 접수하여,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화상 데이터의 검색 결과를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할 때에,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플레이 리스트를 취득하고, 취득된 상기 플레이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화상 데이터의 재생 개시 부분에 대응하는 분할 파일을,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화상 데이터의 재생 지시를 미접수의 상태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제어부와,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화상 데이터의 재생 지시에 따라, 취득된 상기 분할 파일을 이용한 동화상 데이터의 재생 처리를 실행하는 재생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 장치.
  10. 동화상 배포 서버에 있어서,
    복수의 파일로 분할된 동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동화상 데이터 기억부와,
    상기 동화상 데이터 기억부에 기억시킨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기억하는 정보 기억부와,
    동화상 재생 장치로부터의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검색 요구에 따라 상기 정보 기억부로부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동화상 재생 장치에 송신하는 처리 및 상기 동화상 재생 장치로부터의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배포 요구에 따라 상기 동화상 데이터 기억부에 기억시킨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상기 동화상 재생 장치에 배포하는 처리를 하는 배포 관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배포 관리부는,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상기 동화상 재생 장치에 송신할 때에, 송신되는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최초에 재생되는 파일을 특정하며, 특정된 상기 파일을 상기 동화상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판독하는 제어부와,
    상기 동화상 재생 장치에 송신한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동화상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판독한 상기 최초에 재생되는 상기 파일을 기억하는 기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배포 서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포 관리부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화상 재생 장치로부터의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배포 요구를 수신하면, 상기 배포 관리부의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킨 상기 최초에 재생시키는 상기 파일을 상기 동화상 재생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배포 서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 데이터는, 복수의 장면이 설정되어 있고,
    하나의 상기 장면에 있어서의 장면 선두를 포함하는 상기 파일의 시간 길이가, 상기 장면 선두를 포함하는 파일로부터 미리 정해진 개수의 파일을 재생한 후에 재생되는 상기 파일의 시간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배포 서버.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 데이터 기억부에는, 복수의 장면이 설정된 1개의 동화상 데이터를 선두로부터 제1 시간 길이마다 분할하여 작성한 파일을 포함하는 제1 파일군과,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선두로부터 상기 제1 시간 길이보다 짧은 제2 시간 길이마다 분할하여 작성한 파일을 포함하는 제2 파일군이 기억되어 있고,
    상기 배포 관리부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화상 재생 장치로부터의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장면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장면의 선두를 포함하는 상기 파일을 상기 제2 파일군으로부터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배포 서버.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 배포 서버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각 파일과 대응하는 섬네일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포 관리부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상기 파일과 대응한 상기 섬네일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와 함께 상기 섬네일 데이터를 상기 동화상 재생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배포 서버.
  15. 복수의 파일로 분할된 동화상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여 재생하는 동화상 재생 방법에 있어서,
    컴퓨터가,
    상기 외부 장치에 대하여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검색 조건을 송신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였을 때에, 취득된 상기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한편으로, 취득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최초에 재생되는 상기 파일을 특정하고 그 특정된 상기 파일을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며,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최초에 재생되는 상기 파일을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재생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지정한 경우에,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킨 상기 최초에 재생되는 상기 파일을 판독하여 재생하며, 상기 파일의 후속 파일을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 방법.
  16. 동화상 재생 방법에 있어서,
    컴퓨터가,
    검색 조건의 지정을 접수하여,
    접수된 상기 검색 조건에 따른 검색 요구를 외부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검색 요구에 따른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를 특정하는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검색 결과에 따른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검색 결과로 특정된 상기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의 각각의 재생 개시 부분에 대응하는 1 또는 복수의 분할 파일을 취득하는 처리를 개시하고,
    상기 화면 데이터에 기초한 화면의 표시 후에, 상기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재생 지시를 받으면, 취득된 분할 파일 중 대응하는 분할 파일을 이용하여 재생을 개시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 방법.
  17. 동화상 재생 방법에 있어서,
    컴퓨터가,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화상 데이터의 검색 결과를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할 때에,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플레이 리스트를 취득하고,
    취득된 상기 플레이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화상 데이터의 재생 개시 부분에 대응하는 분할 파일을,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화상 데이터의 재생 지시를 미접수의 상태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며,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화상 데이터의 재생 지시에 따라, 취득된 상기 분할 파일을 이용한 동화상 데이터의 재생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재생 방법.
  18. 복수의 파일로 분할된 동화상 데이터를 동화상 재생 장치에 배포하는 동화상 배포 방법에 있어서,
    컴퓨터가,
    상기 동화상 재생 장치로부터의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검색 요구를 수신하였을 때에, 정보 기억부에 기억시킨 복수의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로부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동화상 재생 장치에 송신하는 한편으로, 송신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최초에 재생되는 상기 파일을 특정하고 그 특정된 상기 파일을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기억시킨 동화상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판독하여, 송신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최초에 재생되는 상기 파일을 다른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상기 동화상 재생 장치로부터의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배포 요구를 수신하였을 때에, 상기 다른 기억부에 기억시킨 상기 최초에 재생되는 상기 파일을 상기 동화상 재생 장치에 송신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배포 방법.
  19. 복수의 파일로 분할된 동화상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여 재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상기 외부 장치에 대하여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검색 조건을 송신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였을 때에, 취득된 상기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한편으로, 취득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최초에 재생되는 상기 파일을 특정하고 그 특정된 상기 파일을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며,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최초에 재생되는 상기 파일을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재생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지정한 경우에,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킨 상기 최초에 재생되는 상기 파일을 판독하여 재생하며, 상기 파일의 후속의 세그먼트 파일을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
  20.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검색 조건의 지정을 접수하여,
    접수된 상기 검색 조건에 따른 검색 요구를 외부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검색 요구에 따른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를 특정하는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검색 결과에 따른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검색 결과로 특정된 상기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의 각각의 재생 개시 부분에 대응하는 1 또는 복수의 분할 파일을 취득하는 처리를 개시하고,
    상기 화면 데이터에 기초한 화면의 표시 후에, 상기 복수의 동화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재생 지시를 받으면, 취득된 분할 파일 중 대응하는 분할 파일을 이용하여 재생을 개시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
  21.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화상 데이터의 검색 결과를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할 때에,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플레이 리스트를 취득하고,
    취득된 상기 플레이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화상 데이터의 재생 개시 부분에 대응하는 분할 파일을,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화상 데이터의 재생 지시를 미접수의 상태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하며,
    상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화상 데이터의 재생 지시에 따라, 취득된 상기 분할 파일을 이용한 동화상 데이터의 재생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
  22. 복수의 파일로 분할된 동화상 데이터를 동화상 재생 장치에 배포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동화상 배포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상기 동화상 재생 장치로부터의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검색 요구를 수신하였을 때에, 정보 기억부에 기억시킨 복수의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로부터 검색 조건을 만족시키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동화상 재생 장치에 송신하는 한편으로, 송신되는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최초에 재생되는 상기 파일을 특정하고 그 특정된 상기 파일을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기억시킨 동화상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판독하여, 송신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최초에 재생되는 상기 파일을 다른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상기 동화상 재생 장치로부터의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배포 요구를 수신하였을 때에, 상기 다른 기억부에 기억시킨 상기 최초에 재생되는 상기 파일을 상기 동화상 재생 장치에 송신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동화상 배포 프로그램.
KR1020160120820A 2015-09-29 2016-09-21 동화상 재생 장치, 동화상 배포 서버, 동화상 재생 방법, 동화상 배포 방법,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 및 동화상 배포 프로그램 KR1018514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92063A JP6574974B2 (ja) 2015-09-29 2015-09-29 動画像再生装置、動画像配信サーバ、動画像再生方法、動画像配信方法、動画像再生プログラム、及び動画像配信プログラム
JPJP-P-2015-192063 2015-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154A true KR20170038154A (ko) 2017-04-06
KR101851460B1 KR101851460B1 (ko) 2018-04-23

Family

ID=58407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0820A KR101851460B1 (ko) 2015-09-29 2016-09-21 동화상 재생 장치, 동화상 배포 서버, 동화상 재생 방법, 동화상 배포 방법,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 및 동화상 배포 프로그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631058B2 (ko)
JP (1) JP6574974B2 (ko)
KR (1) KR101851460B1 (ko)
TW (1) TWI6241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47025B2 (ja) * 2016-04-13 2020-08-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20180302680A1 (en) * 2016-12-16 2018-10-18 Google Inc. On-Demand Video Surfing
JP6843655B2 (ja) * 2017-03-09 2021-03-17 キヤノン株式会社 送信装置、受信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8683826B (zh) * 2018-05-15 2021-12-1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视频数据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JP2021180461A (ja) * 2020-05-15 2021-11-18 Run.Edge株式会社 動画再生装置および動画再生方法
US11438287B2 (en) * 2020-06-15 2022-09-06 Interactive Standard LL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reproducing ultra short media content
CN113946373B (zh) * 2021-10-11 2023-06-09 成都中科合迅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负载均衡的虚拟现实多个视频流渲染方法
CN114866514B (zh) * 2022-04-29 2023-02-28 中国科学院信息工程研究所 多用户数据流转控制与处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9977A (ja) 2011-10-13 2013-05-13 Hitachi Ltd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2749A (ja) * 1994-05-17 1995-1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作品提供装置
JP4683253B2 (ja) * 2000-07-14 2011-05-18 ソニー株式会社 Av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2003167813A (ja) * 2001-11-30 2003-06-13 Oki Electric Ind Co Ltd ストリームデータの蓄積・配信方法及びストリームデータの蓄積・配信システム
JP4338357B2 (ja) 2002-05-21 2009-10-07 富士通株式会社 ストリーミング配信システムにおける管理サーバ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467131B1 (en) 2003-09-30 2008-12-16 Google Inc. Method and system for query data caching and optimization in a search engine system
JP4830419B2 (ja) 2005-09-20 2011-12-0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動画像視聴システム、動画像視聴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578261B1 (en) 2007-06-22 2013-11-05 Adobe Systems Incorporated Active preview of hyperlink content in browser supported file-format
EP2182728A4 (en) * 2007-08-01 2012-10-10 Nec Corp MOVEMENT DATA DISTRIBUTION SYSTEM, METHOD AND PROGRAM
US8849838B2 (en) 2008-01-15 2014-09-30 Google Inc. Bloom filter for storing file access history
US20090327236A1 (en) 2008-06-27 2009-12-31 Microsoft Corporation Visual query suggestions
US8553778B2 (en) 2009-03-19 2013-10-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ding scheme for identifying spatial locations of events within video image data
JP2012080417A (ja) * 2010-10-04 2012-04-19 Pioneer Electronic Corp ストリーミング再生装置、ストリーミング再生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9026671B2 (en) * 2011-04-05 2015-05-05 Qualcomm Incorporated IP broadcast streaming services distribution using file delivery methods
US9445136B2 (en) 2011-09-21 2016-09-13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characteristics of segments for network streaming of media data
JP2012043466A (ja) * 2011-11-09 2012-03-01 Sharp Corp データ配信装置、データ配信方法、データ受信装置およびデータ受信方法
US9384298B2 (en) 2011-12-14 2016-07-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viewing web pages associated with search results
JP6006944B2 (ja) * 2012-02-24 2016-10-12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システム、映像表示装置、コンテンツサーバ、及び情報端末装置
JP2013210721A (ja) * 2012-03-30 2013-10-1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942542B1 (en) * 2012-09-12 2015-01-27 Google Inc. Video segment identification and organization based on dynamic characterizations
CN104737231B (zh) * 2012-10-26 2017-10-27 索尼公司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程序和信息处理系统
JP2014175687A (ja) * 2013-03-06 2014-09-22 Hitachi Industry & Control Solutions Ltd 映像配信装置、映像配信方法及び映像配信プログラム
US20140258861A1 (en) 2013-03-08 2014-09-11 James A. Baldwin Content presentation with secondary content skip
US20140282792A1 (en) 2013-03-15 2014-09-18 Cygnus Broadband, Inc. Video streaming with buffer occupancy prediction based quality adaptation
US9756392B2 (en) * 2013-08-29 2017-09-05 Disney Enterprises, Inc. Non-linear navigation of video content
JP2015080164A (ja) * 2013-10-18 2015-04-23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供給装置、コンテンツ供給方法、プログラム、端末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供給システム
KR20150064613A (ko) 2013-12-03 2015-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US9848228B1 (en) * 2014-05-12 2017-12-19 Tunespotter, Inc. System,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generating graphical video clip representations associated with video clips correlated to electronic audio files
US20150334204A1 (en) * 2014-05-15 2015-11-19 Google Inc. Intelligent auto-caching of medi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9977A (ja) 2011-10-13 2013-05-13 Hitachi Ltd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1460B1 (ko) 2018-04-23
TWI624180B (zh) 2018-05-11
US20170366864A1 (en) 2017-12-21
US10631060B2 (en) 2020-04-21
TW201720139A (zh) 2017-06-01
JP2017069708A (ja) 2017-04-06
US10631058B2 (en) 2020-04-21
JP6574974B2 (ja) 2019-09-18
US20170094366A1 (en) 2017-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460B1 (ko) 동화상 재생 장치, 동화상 배포 서버, 동화상 재생 방법, 동화상 배포 방법,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 및 동화상 배포 프로그램
US1089881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virtual objects and/or playable recreations of gameplay
US10071315B2 (en) Content providing method, content providing server, and content providing system
US20090063496A1 (en) Automated most popular media asset creation
JP4025185B2 (ja) メディアデータ視聴装置及びメタデータ共有システム
JP6947985B2 (ja) ゲーム動画編集プログラムならびにゲーム動画編集システム
JP2013529408A (ja)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用メディアフィンガープリント
JP2006174309A (ja) 動画再生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4814849B2 (ja) フレームの特定方法
KR20160088803A (ko) 영상 재생 제어 프로그램, 영상 재생 제어 방법, 영상 배신 서버, 송신 프로그램 및 송신 방법
RU2518497C2 (ru) Сервер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способ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данных и программа
KR101742420B1 (ko) 영상 데이터 파일 생성 프로그램, 영상 데이터 파일 생성 방법 및 영상 데이터 파일 생성 장치
JP2008270908A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3882787B2 (ja) コンテンツ再生制御方法、コンテンツ再生制御システム、サーバ装置、コンテンツ再生制御装置、及びコンテンツ再生制御プログラム
JP7162730B2 (ja) 情報処理装置
JPWO2014065165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処理システム
JP2009212860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5159903A (ja) コンテンツ連動型コメント表示方法及びシステム及びサーバ装置及びクライアント装置及びコメント表示プログラム及びコメント表示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KR101985627B1 (ko) 콘텐츠 객체 이동 궤적의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6067161A (ja) 情報再生装置、情報提供装置、及び表示端末
KR20180108334A (ko) 콘텐츠 객체 이동 궤적의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30097729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JP6828133B1 (ja) コンテンツ生成装置、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コンテンツ生成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生成プログラム
JP2018056811A (ja) 端末装置、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4196009A1 (ja) 動画再生システム、及び動画データのサムネイル画像の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