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7729A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7729A
KR20130097729A KR1020137004341A KR20137004341A KR20130097729A KR 20130097729 A KR20130097729 A KR 20130097729A KR 1020137004341 A KR1020137004341 A KR 1020137004341A KR 20137004341 A KR20137004341 A KR 20137004341A KR 20130097729 A KR20130097729 A KR 20130097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ata
data
information
recorded
recorded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4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 이시무라
마사키 요시무라
마사키 이토
도시히코 마츠모토
다카히로 치바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97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7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5Query exec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7PVR [Personal Video Record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3Querying
    • G06F16/632Query formul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4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the audio stream,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audi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8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for searching program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2Data stored in the client, e.g. viewing habits, hardware capabilities, credit card num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콘텐츠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또한 버퍼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에 새로운 콘텐츠 데이터를 덮어쓸 수 있다. 버퍼 제어기는 또한 검색 요구를 나타내는 커맨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버퍼 제어기는 커맨드 신호에 응답하여, 덮어쓰기를 정지할 수 있다. 또한, 장치는 결과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표현된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게 하는 표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특히, 콘텐츠의 시청 중에 재생된 곡의 정보를 보다 확실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한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시청 중에 마음에 드는 곡이 배경 음악(BGM)으로서 재생되는 경우, 통상, 사용자는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해서 광고(CM) 명칭 등을 검색 키로서 검색을 행하고, 곡의 정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조작은 번잡하고, 사용자가 마음에 들었을 때 즉시 검색을 하지 않으면, 곡이 재생되고 있었던 광고를 잊어버릴 수 있다.
일본 특개 제2010-166123호 공보
오디오 기록 기능과,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곡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는 기능을 TV에 탑재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마음에 드는 곡이 BGM으로서 재생되는 경우, 사용자는 리모콘 등을 조작해서 TV가 기록을 개시하게 하여,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곡에 관한 정보의 검색을 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예를 들어, 리모콘을 찾는데 시간과 노력이 들고, 마음에 드는 곡이 끝나는 전에 오디오 기록을 개시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오디오 데이터를 항상 기록해 놓고, 사용자가 지시하면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해서 검색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당연히, 오디오 데이터를 항상 기록하는데 사용하는 메모리로서 어느 정도의 용량의 메모리를 준비해야 할 필요가 있는 지가 문제가 된다. 또한, 메모리에 기억된 오디오 데이터를 언제 소거해야 하는 지도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콘텐츠의 시청 중에 재생된 곡의 정보를 보다 확실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콘텐츠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장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또한 버퍼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에 새로운 콘텐츠 데이터를 덮어쓸 수 있다. 버퍼 제어기는 또한 검색 요구를 나타내는 커맨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버퍼 제어기는 커맨드 신호에 응답하여, 덮어쓰기를 정지할 수 있다. 또한, 장치는 결과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표현된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게 하는 표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프로세서는 장치가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방법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에 새로운 콘텐츠 데이터를 덮어쓰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또한 검색 요구를 나타내는 커맨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법은 커맨드 신호에 응답하여, (i) 덮어쓰기를 정지하는 단계, 및 (ii)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표현된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게 하는 표시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콘텐츠의 시청 중에 재생된 곡의 정보를 보다 확실하게 검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TV를 포함하는 검색 시스템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TV의 화면 표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검색 중에 TV의 검색중의 화면 표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TV의 검색 결과의 화면 표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TV의 예시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제어기의 예시적인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검색 서버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검색 서버에 의한 매칭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TV의 기록 제어 처리에 대해서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3은 TV의 검색 처리에 대해서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4는 검색 결과의 화면 표시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검색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TV(1)를 포함하는 검색 시스템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의 검색 시스템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3)를 통해서 결합된 TV(1)(즉, 장치)와 검색 서버(2)(즉, 장치)로 구성된다.
TV(1)는 디지털 지상파 방송, BS(Broadcasting Satellite: 방송 위성)/CS(Communications Satellite: 통신 위성) 디지털 방송 등을 수신하고, 텔레비전 프로그램 데이터를 재생해서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화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텔레비전 프로그램 오디오를 하나 이상의 스피커로부터 출력한다. 또한, TV(1)는 BD(Blu-ray(상표) Disc) 또는 다른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예를 들어 영화의 데이터 등의 데이터를 재생해서 영화의 화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영화의 오디오도 하나 이상의 스피커로부터 출력한다.
이하, 방송된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재생하고 출력하는 경우에 대해 주로 설명하지만, 이와 같이, TV(1)는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로 구성되는 각종 콘텐츠를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TV(1)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는 사용자에 의해, 곡에 관한 정보, 즉 그때 재생되고 있는 곡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도록 지시된 경우, 검색 서버(2)에 액세스해서 검색을 행하고, 곡 명이나 아티스트 명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텔레비전 프로그램 본편의 오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 본편의 사이에 삽입되는 CM의 오디오에는 BGM으로서 곡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도2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재생 중에 TV(1)의 화면 표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하는 것 같이,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화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오디오도 출력하고 있을 경우에, 곡 정보를 검색하는 것이 사용자에 의해 지시되었을 때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의 좌측에 도시하는 음표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BGM으로서 소정의 곡이 재생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곡 정보를 검색하는 것의 지시는 예를 들어, 리모콘을 이용해서 행해진다.
TV(1)는 소정의 용량의 링 버퍼를 포함하고,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시청 중,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오디오 데이터를 항상 기록하고 있다. TV(1)는 곡 정보를 검색하는 것이 지시된 경우, 링 버퍼에 기록해 둔 오디오 데이터의 해석을 행하고, 검색이 지시되었을 때에 재생하고 있던 곡의 특징 데이터를 생성한다.
TV(1)는 생성한 특징 데이터를 검색 서버(2)에 송신하고, 검색이 지시되었을 때에 재생되고 있던 곡의 곡 정보의 검색을 요구한다. 검색을 요구한 후, TV(1)에는 곡 정보의 검색중인 것을 나타내는 아이콘 I가 표시되는데, 이는 도 3에 도시하는 것 같이,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화상과 겹친다.
복수의 곡의 각각에 대해서, 검색 서버(2)는 곡 명, 아티스트 명, 곡을 포함하는 앨범 명 등의 곡 정보를, 곡의 특징 데이터와 연계하여 관리한다. 검색 서버(2)는 검색의 요구와 함께 TV(1)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특징 데이터를 수신하고, TV(1)로부터 송신되어 온 특징 데이터와, 미리 관리하고 있는 각각의 곡의 특징 데이터를 매칭함으로써 검색 결과의 곡을 특정한다. 검색 서버(2)는 특정한 곡의 곡 정보를 TV(1)에 송신한다.
TV(1)는 검색 서버(2)로부터 송신되어 온 곡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곡 정보의 콘텐츠를 검색 결과로서 표시한다.
도 4는 검색 결과의 화면 표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의 예에서는 곡 명 "music#1", 아티스트 명 "artist#1" 및 앨범 명 "album#1"은 사용자에 의해 검색이 지시되었을 때에 재생되고 있던 곡의 곡 정보로서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시청 중에 마음에 드는 곡이 재생되고 있었을 경우, 검색을 지시함으로써, 사용자는 마음에 드는 곡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오디오 데이터의 상시 기록이 행해지고 있기 때문에, 리모콘을 찾는데도 시간 및 노력이 들고, 곡이 시작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검색을 지시한 경우에도, 기록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검색을 행하게 할 수 있다.
오디오 데이터의 상시 기록에 이용되는 기록 매체 (즉, 메모리)가 링 버퍼이기 때문에, 필요 이상으로 기록 용량이 큰 기록 매체를 준비해 둘 필요는 없다. 링 버퍼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각 장치의 구성
도 5는 TV(1)의 하드웨어 구성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신호 수신부(11)는 도시하지 않는 안테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A/D 변환 처리, 복조 처리 등을 실시해서 얻어진 텔레비전 프로그램 데이터(즉, 콘텐츠 데이터)를 AV 디코더(12)에 출력한다. 텔레비전 프로그램 데이터에는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된다. BD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를 TV(1)에서 재생할 경우, AV 디코더(12)에는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 콘텐츠의 데이터가 입력된다.
AV 디코더(12)는 신호 수신부(11)로부터 공급된 텔레비전 프로그램 데이터에 포함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디코딩해서 얻어진 데이터를 표시 제어기(13)에 출력한다. AV 디코더(12)에서는 예를 들어 압축 데이터의 압축 해제와, 비압축 데이터의 재생이 행해진다.
또한, AV 디코더(12)는 신호 수신부(11)로부터 공급된 텔레비전 프로그램 데이터에 포함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디코딩해서 얻어진 데이터를 출력한다. AV 디코더(12)로부터 출력된 비압축의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출력 제어기(15)와 링 버퍼(17)에 공급된다.
표시 제어기(13)는 AV 디코더(12)로부터 공급된 비디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 표시 장치)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14)에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화상을 표시한다.
오디오 출력 제어기(15)는 AV 디코더(12)로부터 공급된 오디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텔레비전 프로그램 오디오를 하나 이상의 스피커(16)로부터 출력시킨다. 곡(음악)은 텔레비전 프로그램 오디오에 BGM으로서 적절히 포함된다.
링 버퍼(17)는 AV 디코더(12)로부터 공급된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한다. 링 버퍼(17)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는 제어기(19)에 의해 버스(18)를 통해 적절히 판독된다.
도 6은 링 버퍼(17)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밴드는 링 버퍼(17)의 기록 영역 전체를 나타낸다. 링 버퍼(17)의 기록 영역의 용량은, 예를 들어,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오디오 데이터가 스테레오 데이터일 경우, L 채널의 데이터와 R 채널의 데이터를 각각 몇 초 분량만 기록할 수 있는 용량이라고 한다.
AV 디코더(12)로부터 공급된 오디오 데이터는 위치 P1, 즉 기록 영역의 선두 위치부터 순서대로 기록된다. L 채널의 데이터와 R 채널의 데이터가 수 ms 등의 소정의 시간 분량의 데이터 단위로 교대로, 하나 이상의 스피커(16)로부터 출력되는 순서대로, 오디오 데이터가 기록된다. 도 6의 예에서는, 위치 P1로부터 기록이 개시되어, 사선으로 표시된 위치 P2의 영역까지가 이미 기록된 영역으로 간주된다.
도 7에 도시하는 것 같이, 이미 기록된 영역의 위치가 위치 P3까지 진행하고, 빈 영역이 없어졌을 때, AV 디코더(12)로부터 공급된 오디오 데이터는 도 8에 도시하는 것 같이, 먼저 기록된 데이터에 순서대로 덮어쓰는 형태로 링 버퍼(17)에 기록된다. 도 8에서, 도트로 표시된 위치 P1부터 위치 P11까지의 영역은 이미 기록된 데이터에 덮어쓰는 형태로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 영역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TV(1)에서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재생 중에, 링 버퍼(17)를 이용하여, 재생 중인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오디오 데이터의 상시 기록이 행해진다.
도 5의 설명으로 돌아가면, 제어기(19)는 수광부(20)로부터 공급된 정보에 따라, TV(1)의 전체의 동작을 버스(18)를 통해서 제어한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재생 중에 곡 정보를 검색하는 것이 사용자에 의해 지시된 경우, 제어기(19)는 링 버퍼(17)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을 제어하는 동시에, 링 버퍼(17)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도 하고, 곡 정보의 검색을 행한다.
수광부(20)는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 조작의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어기(19)에 출력한다.
통신부(21) (즉, 소프트웨어 모듈, 하드웨어 모듈,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의 조합)는 네트워크(3)를 통해서 검색 서버(2)와 통신하고, 제어기(19)에 의한 제어에 따라, 검색 서버(2)에 특징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통신부(21)는 검색 서버(2)로부터 송신되어 온 곡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기(19)에 출력한다.
도 9는 제어기(19)의 기능 구성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하는 기능부들 중 적어도 일부는 제어기(19)에 포함된 도시하지 않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된다. 제어기(19)는 버퍼 제어기(31), 특징 데이터 해석기(32), 검색부(33) 및 검색 결과 표시부(34)로 구성된다. 수광부(20)로부터 출력된 정보는 버퍼 제어기(31)에 입력된다.
버퍼 제어기(31)는 링 버퍼(17)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을 제어한다. 곡 정보의 검색이 사용자에 의해 지시된 경우, 버퍼 제어기(31)는 링 버퍼(17)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을 중단(suspend)시켜, 그때 기록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링 버퍼(17)로부터 판독한다.
예를 들어, 도 8의 위치 P11의 영역까지 오디오 데이터가 기록되었을 때 곡 정보(즉, 콘텐츠에 관한 정보)의 검색이 지시된 경우, 버퍼 제어기(31)는 위치 P11 이후의 영역에 오디오 데이터를 덮어쓰는 기록을 행하지 않지만, 그때 기록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된 순서대로 판독한다. 즉, 버퍼 제어기(31)는 위치 P11부터 위치 P3까지의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순서대로 판독한 다음, 위치 P1부터 위치 P11까지의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순서대로 판독한다.
버퍼 제어기(31)는 링 버퍼(17)로부터 판독한 오디오 데이터를 특징 데이터 해석기(32)에 출력한다. 따라서, 링 버퍼(17)의 기록 영역에 기록될 수 있는 몇 초 분량의 가치 있는 오디오 데이터가 특징 데이터 해석기(32)에 공급된다.
특징 데이터 해석기(32)는 버퍼 제어기(31)로부터 공급된 오디오 데이터를 해석하고, 특징 데이터를 생성한다. 특징 데이터 해석기(32)에 의한 오디오 데이터의 해석은 검색 서버(2)가 관리하는 특징 데이터의 생성 시에 이용된 해석 알고리즘과 동일한 알고리즘으로 행해진다. 특징 데이터 해석기(32)는 해석에 의해 얻어진 특징 데이터를 검색부(33)에 출력한다.
검색부(33)는 특징 데이터 해석기(32)로부터 공급된 특징 데이터를 통신부(21)를 제어해서 검색 서버(2)에 송신하고, 곡 정보의 검색을 요구한다. 검색부(33)는, 검색 서버(2)로부터 송신되어 통신부(21)에서 수신된 곡 정보를 취득한다. 검색부(33)는 취득한 곡 정보를 검색 결과 표시부(34)에 출력한다.
검색 결과 표시부(34)는 검색부(33)로부터 공급된 곡 정보를 표시 제어기(13)에 출력하고,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 같은 검색 결과의 화면을 표시한다.
도 10은 검색 서버(2)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것 같이, 검색 서버(2)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된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51), ROM(Read Only Memory)(52), 및 RAM(Random Access Memory)(53)은 버스(54)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버스(54)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55)가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55)에는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력부(56)와, 표시부, 하나 이상의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지는 출력부(57)가 접속된다. 또한, 하드 디스크, 불휘발성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록부(58), 네트워크(3)를 통해서 TV(1)와 통신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통신부(59), 및 착탈식 매체(61)를 구동하는 구동기(60)가 입출력 인터페이스(55)에 접속된다.
기록부(58)에는, 복수의 곡 각각에 대해서, 곡 명, 아티스트 명, 곡을 포함하는 앨범 명 등의 곡 정보가, 각각의 곡의 오디오 데이터를 해석함으로써 생성된 특징 데이터와 연계해서 기록된다.
검색의 요구와 함께 TV(1)로부터 송신되어 온 특징 데이터가 통신부(59)에서 수신되었을 때, CPU(51)는 수신된 특징 데이터를, 검색 결과의 곡의 특징 데이터로서 취득한다. CPU(51)는 취득한 특징 데이터와, 기록부(58)에 기록되어 있는 각각의 곡의 특징 데이터를 매칭하고, 검색 결과의 곡을 특정한다. CPU(51)는 특정한 곡의 곡 정보를 기록부(58)로부터 판독하고, 이를 검색 결과로서 통신부(59)로부터 TV(1)에 송신한다.
도 11은 검색 서버(2)에 의한 매칭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의 우측에 도시하는 밴드는 각각의 곡의 오디오 데이터 전체에 기초로 해서 생성된 특징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11의 예에서는, music#1 내지 #n의 특징 데이터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11의 좌측에 도시하는 특징 데이터 D는 TV(1)로부터 송신되어 온 특징 데이터를 나타낸다.
검색 서버(2)에 의한 매칭은 예를 들어, music#1 내지 #n의 각각의 곡을 타겟으로 삼고, 특징 데이터 D와, 타겟 곡의 특징 데이터 전체 중 각 구간의 특징 데이터 간의 일치도(즉, 유사성)를 계산함으로써 행해진다. 특징 데이터 D와의 일치도를 계산하게 되는 구간은 TV(1)의 링 버퍼(17)에 기록 가능한 시간 분량과 등가인 전체 타겟 곡으로부터의 오디오 데이터의 분량의 특징을 나타내는 구간이며, 위치를 순차적으로 시프팅함으로써 설정된다.
검색 서버(2)의 CPU(51)는, 예를 들어, 특징 데이터 D와의 일치도가 임계치보다 높은 특징 데이터의 구간을 포함하는 곡을 검색 결과의 곡으로서 특정한다. CPU(51)는 특정한 곡의 곡 정보를 기록부(58)로부터 판독해서 이를 TV(1)에 송신한다.
TV(1)의 동작
도 12의 플로우 챠트를 참조하여, 링 버퍼(17)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을 제어하는 TV(1)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에서의 처리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시청 중에 반복해서 행해진다.
단계 S1에서, AV 디코더(12)는 신호 수신부(11)로부터 공급된 텔레비전 프로그램 데이터에 포함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단계 S2에서, 버퍼 제어기(31)는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도 6 내지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링 버퍼(17)에 기록시킨다.
단계 S3에서, 버퍼 제어기(31)는 수광부(20)로부터 공급된 정보에 기초하여, 곡 정보의 검색이 사용자에 의해 지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곡 정보의 검색이 사용자에 의해 지시되지 않았다고 단계 S3에서 판정된 경우, 처리는 단계 S1로 복귀되고, 단계 S1 및 그 이후의 처리가 행해진다.
반면에, 곡 정보의 검색이 사용자에 의해 지시되었다고 단계 S3에서 판정했을 경우(즉, 버퍼 제어기(31)가 검색 요구를 나타내는 커맨드 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 단계 S4에서, 버퍼 제어기(31)는 링 버퍼(17)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을 중단시킨다. 버퍼 제어기(31)는 그때 기록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링 버퍼(17)로부터 판독한다.
단계 S5에서, 특징 데이터 해석기(32)는 버퍼 제어기(31)에 의해 판독된 오디오 데이터를 해석하고, 특징 데이터를 생성한다.
단계 S6에서, 버퍼 제어기(31)는 링 버퍼(17)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을 재개시킨다. 그 후, 단계 S1 및 그 후의 처리가 반복해서 행해진다.
예를 들어, 도 8의 상태에서 곡 정보의 검색이 사용자에 의해 지시되어,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의 해석이 행해졌을 경우, 위치 P11을 개시 위치로 해서,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이 재개된다. 재개 후에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는 이미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에 덮어쓰는 형태로, 위치 P11부터 위치 P3까지의 영역에 기록되고, 다시 한번, 그 영역과 P1 및 그 후의 영역에 기록된다.
그 다음, 도 13의 플로우 챠트를 참조하여, 곡 정보의 검색을 행하는 TV(1)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에서의 처리는 예를 들어, 도 12의 단계 S5에서 오디오 데이터가 해석되고 특징 데이터가 생성될 때마다 행해진다.
단계 S11에서, 검색부(33)는 특징 데이터 해석기(32)에 의해 생성된 특징 데이터를 검색 서버(2)에 송신하고, 곡 정보의 검색을 요구한다. TV(1)로부터의 특징 데이터를 수신한 검색 서버(2)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매칭이 행해진다. 검색 결과의 곡의 곡 정보는 검색 서버(2)로부터 TV(1)로 송신된다.
단계 S12에서, 검색부(33)는 검색 서버(2)로부터 송신되어, 통신부(21)에서 수신된 곡 정보를 취득한다.
단계 S13에서, 검색 결과 표시부(34)는 검색부(33)에 의해 취득된 곡 정보를 표시 제어기(13)에 출력하고(즉, 표시 신호를 생성하고), 곡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도 4을 참조하여 설명한 검색 결과의 화면을 표시하게 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시청 중에 마음에 드는 곡이 재생되었을 경우, 사용자는 단지 리모콘을 조작해서 검색을 지시함으로써, 마음에 드는 곡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4는 특징 데이터 해석기(32)에 의해 생성된 특징 데이터가 복수의 곡의 특징을 나타내는 경우에 검색 결과의 화면의 표시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사용자가 검색을 지시한 타이밍이, 어떤 곡으로부터 다음 곡으로 곡이 바뀌는 직후의 타이밍일 경우, 특징 데이터 해석기(32)에 의해 생성되는 특징 데이터는, 먼저 재생되고 있던 곡과, 그 다음으로 재생되고 있던 곡의 2개의 곡의 특징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된다. 이 경우, 검색 서버(2)에서 복수의 곡이 검색 결과의 곡으로서 특정되어, 각각의 곡의 곡 정보가 TV(1)에 송신된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하는 것 같이, 시각 t1부터 시각 t2까지 광고 CM#1이 방송되고(광고 CM#1의 화상이 표시되는 동시에 광고 CM#1의 오디오가 출력됨), 시각 t2부터 시각 t3까지 광고 CM#2가 방송되는 경우를 고려한다. 광고 CM#1과 CM#2의 양쪽에서, BGM으로서 소정의 곡이 재생되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광고 CM#2의 방송 개시 직후의 시각 t12에서 곡 정보의 검색이 지시되었을 때, 링 버퍼(17)에는 시각 t11부터 시각 t2까지의 광고 CM#1의 오디오 데이터와, 시각 t2부터 시각 t12까지의 광고 CM#2의 오디오 데이터가 기록된다. 특징 데이터 해석기(32)에서는, 링 버퍼(17)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광고 CM#1의 일부 구간의 오디오 데이터의 특징을 나타내는 데이터와, 광고 CM#2의 일부 구간의 오디오 데이터의 특징을 나타내는 데이터로 구성되는 특징 데이터가 생성된다.
검색 서버(2)에서는, 특징 데이터 해석기(32)에 의해 생성된 특징 데이터와, 각각의 곡의 특징 데이터와의 매칭이 행해지고, 광고 CM#1의 곡과 광고 CM#2의 곡이 검색 결과의 곡으로서 특정된다. 광고 CM#1의 곡의 곡 정보와 광고 CM#2의 곡의 곡 정보가 검색 서버(2)로부터 TV(1)로 송신되어, 검색부(33)에 의해 취득된다.
광고 CM#2의 곡이 재생되고 있을 때 곡 정보의 검색을 사용자가 지시했기 때문에, 검색부(33)에 의해 취득된 광고 CM#1의 곡의 곡 정보와 광고 CM#2의 곡의 곡 정보 중에서, 검색 결과 표시부(34)는 표시 순서에서 광고 CM#2의 곡의 곡 정보를, 광고 CM#1의 곡의 곡 정보보다 먼저 표시한다. 검색 결과가 종 방향으로 배열되어 표시될 경우, 광고 CM#2의 곡의 곡 정보는 예를 들어, 광고 CM#1의 곡의 곡 정보보다 위에 표시된다. 검색 결과가 횡 방향으로 배열되어 표시될 경우, 광고 CM#2의 곡의 곡 정보는 예를 들어, 광고 CM#1의 곡의 곡 정보보다 좌측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곡 정보의 검색을 지시했을 때에 재생되고 있던 곡이 광고 CM#2의 곡이기 때문에, 광고 CM#2의 곡이 검색 서버(2)에 의해 특정된다. 이는 예를 들어, 광고 CM#2의 곡이 특징 데이터 해석기(32)에 의해 생성된 특징 데이터 전체 중에서 후반(latter half)의 데이터와 일치하는 특징 데이터의 구간을 포함한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특징 데이터 해석기(32)에 의해 생성된 특징 데이터 전체 중에서 후반의 데이터는 사용자가 곡 정보의 검색을 지시한 시각을 포함하는 시간대의 특징을 나타내는 데이터다.
검색 결과의 곡으로서 복수의 곡이 특정되었을 경우, 곡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곡 정보의 검색을 지시한 시각을 포함하는 시간대에 재생되고 있던 곡이 어느 곡인 지를 나타내는 정보와 함께, 검색 서버(2)로부터 TV(1)로 송신된다. 검색 결과 표시부(34)는, 검색 서버(2)로부터 송신되어 온 정보에 기초하여, 광고 CM#2의 곡, 즉 사용자가 곡 정보의 검색을 지시한 시각을 포함하는 시간대에 재생되고 있던 곡의 곡 정보를, 광고 CM#1의 곡의 곡 정보 이전에 표시한다.
여기에서, 검색 결과의 화면에 표시되는 곡 정보의 표시 순서를 사용자가 재배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검색 결과의 곡으로서 특정된 각각의 곡에 대해서, 특징 데이터 해석기(32)에 의해 생성된 특징 데이터와의 일치도를 나타내는 정보가 검색 서버(2)로부터 TV(1)로 송신되어, 일치도가 높은 특징 데이터의 구간을 포함하는 곡의 순서대로, 곡 정보가 배열되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변형 예
상기에서, 곡 정보의 검색이 검색 서버(2)에 의해 행해지도록 되어 있지만, TV(1)에 의해 행해지도록 구성될 수도 좋다. 이 경우, TV(1)의 도시하지 않는 기록부에는, 곡 정보가, 각각의 곡의 오디오 데이터를 해석함으로써 생성된 특징 데이터와 연계해서 기록된다. TV(1)는 곡 정보의 검색이 지시되었을 때, 상술된 바와 같이 특징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특징 데이터를, TV(1) 자체에 포함되어 있는 기록부(즉, 메모리)에 기록된 특징 데이터와 매칭함으로써 곡 정보의 검색을 행한다.
또한, 상기에서는, 링 버퍼(17)에 기록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에 기초하는 특징 데이터의 생성이 TV(1)에 의해 행해지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검색 서버(2)에 의해 행해질 수도 있다. TV(1)는, 곡 정보의 검색이 지시된 경우, 링 버퍼(17)에 기록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검색 서버(2)에 송신하고, 곡 정보의 검색을 요구한다.
검색 서버(2)는, 특징 데이터 해석기(32)가 행하는 처리와 마찬가지로, TV(1)로부터 송신되어 온 오디오 데이터를 해석하고, 생성된 특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곡 정보의 검색을 행한다. 검색 서버(2)는 검색 결과의 곡을 특정하고, 특정한 곡의 곡 정보를 TV(1)에 송신한다. TV(1)는 검색 서버(2)로부터 송신되어 온 곡 정보의 콘텐츠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에서는, 곡 정보의 검색이 사용자에 의해 지시되었을 때에 링 버퍼(17)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이 중단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곡 정보의 검색이 사용자에 의해 지시된 시각을 기준으로 해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링 버퍼(17)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이 중단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로 구성되는 콘텐츠의 재생 중에 재생되고 있는 곡의 곡 정보를 검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러나, 라디오에서 재생되고 있는 곡이나, 웹 페이지를 열람하고 있을 때에 재생되고 있는 곡의 곡 정보를 검색할 경우에도 상술한 처리가 적용 가능하다.
프로그램에 대해서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할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전용의 하드웨어에 내장되어 있는 컴퓨터, 또는 대안적으로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 등에 인스톨된다.
인스톨될 프로그램은 광 디스크(CD-ROM(Compact Disc-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 10에 도시된 착탈식 매체(61) (즉,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기록해서 제공된다. 또한,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인터넷 또는 디지털 방송 등의 유선 또는 무선의 전송 매체를 통해 프로그램이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컴퓨터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순서에 따라 시계열로 처리가 행해지는 프로그램일 수 있지만, 병렬로 또는 호출되었을 등 필요한 타이밍에 처리가 행해지는 프로그램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1: TV
2: 검색 서버
19: 제어기
31: 버퍼 제어기
32: 특징 데이터 해석기
33: 검색부
34: 검색 결과 표시부

Claims (20)

  1. 콘텐츠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로서,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에 새로운 콘텐츠 데이터를 덮어쓰고, 검색 요구를 나타내는 커맨드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커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덮어쓰기를 정지하도록 구성된 버퍼 제어기; 및
    상기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표현된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게 하는 표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결과 표시부
    를 포함하는, 콘텐츠 데이터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의 전부인, 콘텐츠 데이터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제어기는, 상기 새로운 콘텐츠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순서대로 상기 새로운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에 순차적으로 덮어쓰도록 구성된, 콘텐츠 데이터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특징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해석기를 포함하는, 콘텐츠 데이터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제어기는, 상기 데이터 해석기가 상기 제1 특징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덮어쓰기를 재개하도록 구성된, 콘텐츠 데이터 처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제1 메모리이고,
    상기 장치는,
    제2 특징 데이터, 및 상기 제2 특징 데이터에 의해 표현된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제2 메모리; 및
    생성된 상기 제1 특징 데이터와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2 특징 데이터 간의 유사성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표현된 상기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검색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데이터 처리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제2 특징 데이터, 및 상기 제2 특징 데이터에 의해 표현된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장치는, 생성된 상기 제1 특징 데이터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2 특징 데이터 간의 유사성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표현된 상기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검색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데이터 처리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의 제1 부분이고,
    상기 장치는 제2 특징 데이터, 및 상기 제2 특징 데이터에 의해 표현된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장치는,
    생성된 상기 제1 특징 데이터와 상기 장치에 의해 저장된 상기 제2 특징 데이터 간의 유사성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제1 부분에 의해 표현된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생성된 제1 특징 데이터와 상기 장치에 의해 저장된 상기 제2 특징 데이터 간의 유사성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의 제2 부분에 의해 표현된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검색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데이터 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의 제1 부분이고,
    상기 결과 표시부는 상기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의 제2 부분에 의해 표현된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게 하는 표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콘텐츠 데이터 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표시부는, 상기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제1 부분에 의해 표현된 상기 콘텐츠에 관한 정보, 및 상기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제2 부분에 의해 표현된 상기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동시에 표시하게 하는 표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콘텐츠 데이터 처리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표시부는, 상기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제1 부분에 의해 표현된 상기 콘텐츠에 관한 정보, 및 상기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제2 부분에 의해 표현된 상기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순차적으로 표시하게 하는 표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콘텐츠 데이터 처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를 상기 결과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데이터 처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콘텐츠 데이터 처리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제1 특징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콘텐츠 데이터 처리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가 링 버퍼를 포함하는, 콘텐츠 데이터 처리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가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 데이터 처리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제어기는, 상기 커맨드 신호에 응답하여, 일정 기간 대기한 다음 상기 덮어쓰기를 정지하도록 구성된, 콘텐츠 데이터 처리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가 곡 명 또는 곡의 아티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 데이터 처리 장치.
  19. 콘텐츠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에 새로운 콘텐츠 데이터를 덮어쓰는 단계;
    검색 요구를 나타내는 커맨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커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덮어쓰기를 정지하는 단계; 및
    상기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표현된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게 하는 표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데이터 처리 방법.
  20.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콘텐츠 데이터 처리 방법을 장치가 수행하게 하는 상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에 새로운 콘텐츠 데이터를 덮어쓰는 단계;
    검색 요구를 나타내는 커맨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커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덮어쓰기를 정지하는 단계; 및
    상기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표현된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게 하는 표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137004341A 2010-09-02 2011-08-24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300977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96312 2010-09-02
JP2010196312A JP2012053722A (ja) 2010-09-02 2010-09-02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CT/JP2011/004696 WO2012029252A1 (en) 2010-09-02 2011-08-24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729A true KR20130097729A (ko) 2013-09-03

Family

ID=45772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4341A KR20130097729A (ko) 2010-09-02 2011-08-24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30151544A1 (ko)
EP (1) EP2596445A1 (ko)
JP (1) JP2012053722A (ko)
KR (1) KR20130097729A (ko)
CN (1) CN103081495A (ko)
BR (1) BR112013004238A2 (ko)
RU (1) RU2013108076A (ko)
WO (1) WO20120292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05065A1 (en) * 2015-10-09 2017-04-13 Clean Energy Labs, Llc Passive radiator with dynamically adjustable resonant frequency
US10643637B2 (en) * 2018-07-06 2020-05-05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 Retroactive sound identif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84596A (en) * 2000-10-23 2003-07-30 Ntt Comm Corp Musical composition recognition method and system, storage medium where musical composition program is stored, commercial recognition method and system,
CN1816982B (zh) * 2003-07-14 2012-10-10 索尼株式会社 信息提供方法
US7631036B2 (en) * 2003-07-14 2009-12-08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device, and program
JP2005274992A (ja) * 2004-03-25 2005-10-06 Sony Corp 楽曲識別用情報検索システム、楽曲購入システム、楽曲識別用情報取得方法、楽曲購入方法、オーディオ信号処理装置およびサーバ装置
JP4556789B2 (ja) * 2005-07-07 2010-10-06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再生方法および再生プログラム
JP2007172138A (ja) * 2005-12-20 2007-07-05 Sony Corp コンテンツ再生装置、リスト修正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及びリスト修正方法
JP2007194909A (ja) * 2006-01-19 2007-08-02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録画装置、録画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771857B2 (ja) * 2006-05-17 2011-09-14 三洋電機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
JP2010212810A (ja) * 2009-03-06 2010-09-2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通信端末、伝送方法及び伝送システム
US20110087965A1 (en) * 2009-10-14 2011-04-1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for setting up a list of audio files for a mobile device
US9514476B2 (en) * 2010-04-14 2016-12-06 Viacom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covering artis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53722A (ja) 2012-03-15
RU2013108076A (ru) 2014-08-27
US20130151544A1 (en) 2013-06-13
BR112013004238A2 (pt) 2016-07-12
EP2596445A1 (en) 2013-05-29
WO2012029252A1 (en) 2012-03-08
CN103081495A (zh) 2013-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4908B1 (en) Systems and methods of transitioning from buffering video to recording video
KR101727336B1 (ko)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제어 방법
JP4650552B2 (ja) 電子機器、コンテンツ推薦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260108B2 (en)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and recording and reproduction method
US20090222849A1 (en) Audiovisual Censoring
JPWO2007039994A1 (ja) ダイジェスト作成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6086637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814849B2 (ja) フレームの特定方法
JP2010055501A (ja) 情報提供サーバ、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8131413A (ja) 映像記録再生装置
JP4586343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20220353567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trick function viewing of media content
JP2007318200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KR100716967B1 (ko) 텔리비젼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전용 탐색기 및 그 방법
KR101187787B1 (ko) 키 프레임을 이용하여 동영상을 검색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30336636A1 (en) Advanced recording options for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 systems
KR20130097729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JP2012134840A (ja) 録画再生装置
JP2005328401A (ja) 情報提供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KR20060119153A (ko) 미녹화된 방송 프로그램 부분의 녹화 방법 및 장치
JP5355749B1 (ja)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2007288391A (ja) ハードディスク装置
JP2011166252A (ja) テレビ受像機
US201300577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 broadcast
KR100616167B1 (ko) Pvr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