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7825A - 릴리프 밸브 - Google Patents

릴리프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7825A
KR20170037825A KR1020160121230A KR20160121230A KR20170037825A KR 20170037825 A KR20170037825 A KR 20170037825A KR 1020160121230 A KR1020160121230 A KR 1020160121230A KR 20160121230 A KR20160121230 A KR 20160121230A KR 20170037825 A KR20170037825 A KR 20170037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axial direction
pressure
hole
main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1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토시 이와사키
아키노리 아베
Original Assignee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37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78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24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20Excess-flow valves
    • F16K17/22Excess-flow valves actuated by the difference of pressure between two places in the flow line
    • F16K17/24Excess-flow valves actuated by the difference of pressure between two places in the flow line acting directly on the cutting-off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67Valves or distribu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2Valve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50Pressure control
    • F15B2211/505Press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essure control means
    • F15B2211/50509Press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essure control means the pressure control means controlling a pressure upstream of the pressure control means
    • F15B2211/50518Press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essure control means the pressure control means controlling a pressure upstream of the pressure control means using pressure relief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afety Valves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고압 유체의 유체압이 메인 밸브의 동작 방향과 비평행한 방향으로부터 메인 밸브에 작용하는 릴리프 밸브를 간이하게 구성한다.
릴리프 밸브(10)는,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일측을 향해 끝이 가느다란 테이퍼 부분(55)을 갖는 메인 밸브(50)와,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메인 밸브를 수용하는 수용 구멍(H)이 형성된 밸브 본체(20)를 갖는다. 밸브 본체는, 축선 방향 일측으로 이동한 메인 밸브의 테이퍼 부분이 맞닿는 밸브 시트(31)를 갖는다. 축선 방향 일측으로부터 수용 구멍에 연통되는 저압 통로(LP)와, 축선 방향과 비평행한 방향으로부터 수용 구멍에 연통되는 고압 통로(HP)가 밸브 본체에 설치되어 있다. 밸브 폐쇄 상태에 있어서, 저압 통로와 고압 통로는 차단되어, 고압 통로 내의 유체가 메인 밸브의 테이퍼 부분에 작용한다. 밸브 개방 상태에 있어서, 저압 통로와 고압 통로는 연통된다.

Description

릴리프 밸브 {RELIEF VALVE}
본 발명은, 릴리프 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와는 상이한 배치를 가능하게 하는 릴리프 밸브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밸런스형 릴리프 밸브는, 메인 밸브의 동작에 앞서 동작하는 서브 밸브를 설치함으로써, 우수한 응답성을 발휘할 수 있다. 밸런스형 릴리프 밸브에서는, 메인 밸브 및 서브 밸브, 나아가, 서브 밸브를 동작시키기 위한 피스톤이,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동작하고, 또한 고압 유체의 유체압은, 메인 밸브의 동작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부터 당해 메인 밸브에 작용한다. 이러한 릴리프 밸브에 의하면, 다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릴리프 밸브를 비교적 간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11-159648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릴리프 밸브는, 유압 기기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고압 유체의 유체압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된다. 릴리프 밸브의 설치 환경에 따라서는, 이러한 양태에서의 설치가 곤란해지는 상황도 상정된다. 본원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고압 유체의 유체압이 메인 밸브의 동작 방향과 비평행한 방향으로부터 메인 밸브에 작용하는 릴리프 밸브를 간이하게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릴리프 밸브는,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을 향해 끝이 가느다란 테이퍼 부분을 갖는 메인 밸브와,
상기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메인 밸브를 수용하는 수용 구멍이 형성된 밸브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본체는,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일측으로 이동한 상기 메인 밸브의 상기 테이퍼 부분이 맞닿는 밸브 시트를 갖고,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수용 구멍에 연통되는 저압 통로와, 상기 축선 방향과 비평행한 방향으로부터 상기 수용 구멍에 연통되는 고압 통로가 상기 밸브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테이퍼 부분이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밸브 시트에 착좌한 밸브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저압 통로와 상기 고압 통로는 차단되어, 상기 고압 통로 내의 유체가 상기 메인 밸브의 테이퍼 부분에 작용하고,
상기 테이퍼 부분이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타측으로 상기 밸브 시트로부터 이격된 밸브 개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저압 통로와 상기 고압 통로는 연통된다.
본 발명에 의한 릴리프 밸브가,
상기 메인 밸브의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타측에 형성된 배압실을 개폐하는 서브 밸브와,
상기 메인 밸브에 동작 가능하게 지지된 피스톤을 더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고압 통로 내의 유체로부터의 작용에 의해, 상기 배압실을 개방하도록 상기 서브 밸브를 압박하고,
상기 고압 통로 내의 유체를 상기 배압실로 스로틀을 통해 유도하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릴리프 밸브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밸브에는, 상기 피스톤을 상기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 가능한 보유 지지 구멍과, 상기 보유 지지 구멍과 교차하고 또한 상기 고압 통로와 연통되는 유도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릴리프 밸브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메인 밸브의 상기 보유 지지 구멍 내에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의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일측이 되는 일측 단부는, 상기 유도 구멍 내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릴리프 밸브에 있어서, 상기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유로를 이루는 중공부가 상기 피스톤에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는, 상기 유도 구멍 내에 개구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릴리프 밸브에 있어서, 상기 유도 구멍은, 상기 축선 방향에 직교하여 연장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릴리프 밸브가,
상기 배압실을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타측으로부터 구획하는 격벽 블록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격벽 블록에는, 상기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타측이 되는 상기 관통 구멍의 개구 테두리부가, 상기 서브 밸브를 수용하는 밸브 시트를 형성하고,
상기 피스톤의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타측이 되는 타측 단부는, 상기 관통 구멍 내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압 유체의 유체압이 메인 밸브의 동작 방향과 비평행한 방향으로부터 작용하는 릴리프 밸브를 간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릴리프 밸브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릴리프 밸브가 적용되는 유압 기기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 고압 통로에 연통되는 오일 유로 내의 압력이 설정값 이상으로 된 경우에, 고압 통로를 저압 통로에 연통시키는 릴리프 밸브(10)에 대해 설명한다. 이 릴리프 밸브(10)에서는, 오일 유로 내의 압력이 설정값보다 커진 경우, 당해 유압 유로 내의 오일이, 고압 통로(HP)로부터 저압 통로(LP)로 흘러, 저압 통로(LP)에 연통된 오일 유로로 배출된다. 이에 의해, 고압 통로에 연통되는 오일 유로 내의 압력을 설정값 미만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건에서 사용하는 「고압」 및 「저압」이라 함은, 2개의 유체의 압력을 비교한 경우에, 당해 유체가 사용되는 기기 전체의 구성이나 용도에 의존하여 통상의 경향으로서 고압이 되는 압력에 대해 「고압」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저압이 되는 부위에 대해 「저압」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따라서, 「고압 통로」내의 유체의 압력은, 「저압 통로」내의 유체의 압력보다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지만, 반드시 항상 저압 통로 내의 압력보다 높게 유지되어 있지는 않아도 된다.
도 2에는, 릴리프 밸브(10)가 적용되는 유압 기기(90)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 유압 기기(90)는, 액추에이터(91)와, 액추에이터(91)를 구동하는 유압 회로(92)를 포함하는 건설 기계이다. 유압 회로(92)는, 방향 전환 밸브로서의 스풀 밸브(93)와, 스풀 밸브(93)에 고정된 전자 비례 밸브(96)와 릴리프 밸브(10)를 갖고 있다. 스풀 밸브(93)는, 밸브 블록(94)과, 밸브 블록(94)의 스풀 수용 구멍(SH) 내에 설치된 스풀(95)을 갖고 있다. 스풀(95)은, 가늘고 긴 형상의 부재이다. 스풀(95)은, 밸브 블록(94) 내에 있어서, 그 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결과, 밸브 블록(94)은, 전체적으로 가늘고 긴 윤곽을 갖고 있다.
밸브 블록(94)은, 공급 통로(SL), 탱크 통로(TL), 액추에이터 통로(AL)를 갖고 있다. 공급 통로(SL)는, 펌프 등의 유압원에 연통되어 있고, 통상 고압으로 유지되고 있다. 액추에이터 통로(AL)는, 스풀 수용 구멍(SH)으로 연결되어 있다. 스풀(95)에는, 절결이 형성되어 있다. 스풀(95)이 동작함으로써, 공급 통로(SL)가 액추에이터 통로(AL)에 접속된다. 밸브 블록(94)은 스풀(95)의 양단부를 각각 수용하는 한 쌍의 압력실을 갖고 있다.
각 압력실에 대응하여 설치된 전자 비례 밸브(96)는, 대응하는 압력실에의 제어 오일의 급배를 제어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릴리프 밸브(10)는 액추에이터 통로(AL) 및 탱크 통로(TL)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릴리프 밸브(10)는 액추에이터 통로(AL) 내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 이상이 된 경우에, 액추에이터 통로(AL) 내의 오일을 탱크 통로(TL)에 접속한다.
일반적으로, 전자 비례 밸브나 릴리프 밸브는, 그 밸브체가 동작하는 방향으로 가늘고 긴 윤곽을 갖게 된다. 통상, 구동용 전자 비례 밸브에서는, 당해 전자 비례 밸브의 밸브체의 동작 방향을, 피구동체(예를 들어, 스풀 밸브(93))의 동작 방향으로 정렬시켜 배치하는 것이, 전자 비례 밸브의 구성의 간이화 및 강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마찬가지로, 릴리프 밸브에 대해서도, 당해 릴리프 밸브의 밸브체의 동작 방향이 고압 통로로부터 유체압이 작용되는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것이, 릴리프 밸브의 구성의 간이화 및 강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스풀 밸브(93)의 설치 환경에 따라서는, 스풀 밸브(9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스풀 밸브(93)로부터 연장되도록, 전자 비례 밸브(96)나 릴리프 밸브(10)를 배치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는, 전자 비례 밸브(96) 및 릴리프 밸브(10)는 그 길이 방향이 스풀 밸브(93)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도록, 스풀 밸브(93)에 장착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릴리프 밸브(10)는 축선 방향(AD)으로 가늘고 긴 윤곽을 갖고 있다. 축선 방향(AD)은, 후술하는 메인 밸브(50)가 동작하는 방향이다. 그리고, 도시된 릴리프 밸브(10)에는, 고압 유체의 유체압이 메인 밸브의 동작 방향(AD)과 비평행한 방향으로부터 작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 릴리프 밸브(10)는, 고압 유체인 액추에이터 통로(AL)로부터의 오일을 축선 방향(AD)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받아, 필요에 따라서, 이 오일을 축선 방향(AD)에 대면하는 탱크 통로(TL)로 배출한다.
여기서 설명하는 릴리프 밸브(10)는, 이러한 사용 양태에 대해 적합한 구성을 갖고 있다. 즉, 여기서 설명하는 릴리프 밸브(10)는, 고압 유체의 유체압이 메인 밸브의 동작 방향과 비평행한 방향으로부터 작용되어 동작하는 릴리프 밸브이며, 이 릴리프 밸브(10)에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그 구성을 간이화하기 위한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이하, 릴리프 밸브(10)에 대해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리프 밸브(10)는, 수용 구멍(H)이 형성된 밸브 본체(20)와, 밸브 본체(20)의 수용 구멍(H) 내에 배치된 메인 밸브(50)를 갖고 있다. 메인 밸브(50)는, 밸브 본체(20) 내에서 축선 방향(AD)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밸브 본체(20)에는,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일측으로부터 수용 구멍(H)에 연통되는 저압 통로(저압 포트)(LP)와, 축선 방향(AD)과 비평행한 방향으로부터 수용 구멍(H)에 연통되는 고압 통로(고압 포트)(HP)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 본체(20)가, 수용 구멍(H)에 있어서의 일측(도 1에 있어서의 하측)으로 이동한 밸브 폐쇄 상태에서, 고압 통로(HP)는 저압 통로(LP)로부터 차단된다. 밸브 본체(20)가, 수용 구멍(H)에 있어서의 타측(도 1에 있어서의 상측)으로 이동한 밸브 개방 상태에서, 고압 통로(HP)는 저압 통로(LP)와 연통된다. 여기서 고압 통로(HP)는, 도 2에 있어서의 액추에이터 통로(AL)와 접속한다. 한편, 저압 통로(LP)는, 도 2에 있어서의 탱크 통로(TL)와 접속한다.
또한, 릴리프 밸브(10)는, 밸런스형 릴리프 밸브로서 구성되어 있다. 즉, 릴리프 밸브(10)는 메인 밸브(50)에 앞서 동작하는 서브 밸브(70)와, 서브 밸브(70)에 작용하는 피스톤(6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피스톤(60) 및 서브 밸브(70)도, 밸브 본체(2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특히, 서브 밸브(70)는 밸브 본체(20)의 서브 밸브 수용 구멍(VH)에 수용되어 있다. 릴리프 밸브(10)는, 밸브 본체(20)에서 수용 구멍(H) 및 서브 밸브 수용 구멍(VH)을 구획하는 격벽 블록(40)을 더 갖고 있다.
이상의 밸브 본체(20) 및 격벽 블록(40)은, 전형적으로는 메인 밸브(50), 피스톤(60) 및 서브 밸브(70)와 함께, 내구성을 갖는 금속에 의해 제조된다. 또한, 릴리프 밸브(10)는, 각 구성 요소의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 부재(예를 들어, O링)(81, 82)와, 당해 릴리프 밸브(10)가 설치되는 개소의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 부재(예를 들어, O링)(83, 84, 85)를 더 갖고 있다.
이하, 릴리프 밸브(10)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밸브 본체(20) 및 격벽 블록(40)에 대해 설명한다.
밸브 본체(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용 구멍(H)과, 서브 밸브 수용 구멍(VH)과, 수용 구멍(H)을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일측에 개방하는 저압 통로(LP)와, 수용 구멍(H)을 축선 방향(AD)과 비평행한 방향, 도시된 예에서는 축선 방향(AD)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용 구멍(H)을 개방하는 고압 통로(HP)를 갖고 있다. 일례로서, 단면 원 형상의 고압 통로(HP)가, 밸브 본체(20)에 복수 설치된다. 복수의 고압 통로(HP)는, 축선 방향(AD)을 중심으로 한 원주 상에 등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수용 구멍(H), 서브 밸브 수용 구멍(VH), 고압 통로(HP) 및 저압 통로(LP)는, 일례로서, 원통 형상의 내측 윤곽을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밸브 본체(20)는, 통 형상의 베이스(22)와, 베이스(22)에 고정된 소켓(24) 및 조정 나사 부재(26)를 갖고 있다. 소켓(24)은,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일측으로부터 베이스(22)에 고정되어 있다. 소켓(24)은, 통 형상의 부재이다. 소켓(24)에, 고압 통로(HP) 및 저압 통로(LP)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22) 및 소켓(24)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 내에, 격벽 블록(40)이 설치되어 있다. 소켓(24)과 격벽 블록(40)에 의해, 수용 구멍(H)이 구획되어 있다. 수용 구멍(H) 중 메인 밸브(50)보다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일측이 되는 영역은, 저압 통로(LP)에 연통된다. 한편, 수용 구멍(H) 중의 메인 밸브(50)보다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타측이 되는 영역은, 배압실(BP)을 형성하고 있다. 배압실(BP)은, 밸브 본체(20)의 내주면, 격벽 블록(40) 및 메인 밸브(50)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조정 나사 부재(26)는,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타측으로부터 베이스(22)에 고정되어 있다. 조정 나사 부재(26)는, 베이스(22)의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타측에의 개구를 폐쇄하고 있다. 조정 나사 부재(26)는, 한쪽의 개구가 폐쇄된 통 형상의 부재이다. 조정 나사 부재(26)의 외주면에는 수나사(26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나사(26a)는, 베이스(22)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22a)와 나사 결합된다. 베이스(22)와 격벽 블록(40)과 조정 나사 부재(26)에 의해, 서브 밸브 수용 구멍(VH)이 구획되어 있다. 베이스(22)에는, 배출 통로(DP)가 설치되어 있다. 배출 통로(DP)는, 서브 밸브 수용 구멍(VH) 내의 오일을 배출한다. 배출 통로(DP)는, 릴리프 밸브(10)의 외부에 있어서, 저압 통로(LP)에 연통되어 있어도 된다.
조정 나사 부재(26)를 베이스(22)에 대해 상대 회전시킴으로써, 조정 나사 부재(26)의 베이스(22)에 대한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상대 위치가 변화된다. 즉, 베이스(22)에의 조정 나사 부재(26)의 나사 결합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서브 밸브 수용 구멍(VH)의 축선 방향(AD)을 따른 내치수를 조절할 수 있다.
조정 나사 부재(26)의 수나사(26a)에는, 너트(28)도 나사 결합되어 있다. 너트(28)는, 베이스(22)보다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타측에 위치하고 있다. 너트(28)가, 조정 나사 부재(26)의 수나사(26a)에 나사 결합되고, 또한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타측으로부터 베이스(22)에 접촉함으로써, 조정 나사 부재(26)의 베이스(22)에 대한 회전을 방지하고, 이에 의해 조정 나사 부재(26)의 베이스(22)에 대한 상대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격벽 블록(40)은, 도시된 예에 있어서, 소켓(24)의 내주면에 형성된 단차부(24a)와, 베이스(22)의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일측 단부면(22b)에 맞닿아 위치 결정되어 있다. 관통 구멍(41)은, 축선 방향(AD)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격벽 블록(40)에는, 관통 구멍(41)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41)의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일측 단부는, 수용 구멍(H) 내에 개구되고, 관통 구멍(41)의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타측 단부는, 서브 밸브 수용 구멍(VH) 내에 개구되어 있다.
다음으로, 메인 밸브(50) 및 피스톤(60)에 대해 설명한다.
메인 밸브(50)는, 밸브 본체(20)의 수용 구멍(H) 내에 축선 방향(AD)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메인 밸브(50)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심 축선(CA)을 갖고 있다. 일례로서, 메인 밸브(50)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윤곽을 갖고, 중심 축선(CA)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중심 축선(CA)은, 축선 방향(AD)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상술한 격벽 블록(40)의 관통 구멍(41)은, 그 중심 축선이, 메인 밸브(50)의 중심 축선(CA)과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메인 밸브(50)에는, 축선 방향(AD)으로 연장되는 보유 지지 구멍(51)과, 보유 지지 구멍(51)과 교차하는 유도 구멍(52)이 형성되어 있다. 보유 지지 구멍(51)은 중심 축선(CA) 상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유도 구멍(52)은 축선 방향(AD)과 비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유도 구멍(52)은 축선 방향(AD)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유도 구멍(52)은, 메인 밸브(50)의 축선 방향(AD)으로 연장된 측면 상에서 개구되어 있다. 유도 구멍(52)은, 고압 통로(HP)와 연통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축선 방향(AD)을 따른 메인 밸브(50)의 위치에 의존하는 일 없이, 유도 구멍(52)과 고압 통로(HP)의 연통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복수의 고압 통로(HP)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중심 축선(CA)으로부터 방사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유도 구멍(52)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메인 밸브(50)의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타측 단부면에, 오목부(53)가 형성되어 있다.
메인 밸브(50)는,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일측의 단부에,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일측을 향해 끝이 가느다란 테이퍼 부분(55)을 갖고 있다. 테이퍼 부분(55)은, 메인 밸브(50)가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일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밸브 본체(20)에 맞닿는다. 테이퍼 부분(55)은, 밸브 본체(20) 중 저압 통로(LP)를 형성하는 벽부의 주연에 주위 형상으로 맞닿는다. 즉, 밸브 본체(20) 중의 저압 통로(LP)를 형성하는 벽부의 주연부는, 밸브 시트(31)를 이루고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메인 밸브(50)가,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일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테이퍼 부분(55)이 밸브 본체(20)의 밸브 시트(31)에 착좌한다. 이 상태가, 릴리프 밸브(10)의 밸브 폐쇄 상태이다. 밸브 폐쇄 상태에 있어서, 저압 통로(LP)와 고압 통로(HP)는 서로로부터 차단된다. 한편, 메인 밸브(50)가,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타측으로 이동하면, 테이퍼 부분(55)이 밸브 본체(20)의 밸브 시트(31)로부터 이격되어, 고압 통로(HP)와 저압 통로(LP)가 연통된다. 이 상태가, 릴리프 밸브(10)의 밸브 개방 상태이다.
또한, 도시된 예에 있어서, 고압 통로(HP)를 형성하는 밸브 본체(20)의 벽부와, 고압 통로(HP)를 형성하는 밸브 본체(20)의 벽부 사이에, 축선 방향(AD)에 대해 경사진 경사벽부(30)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벽부(30)는,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일측을 향해 직경 축소되어 있다. 경사벽부(30)의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일측 단부에서의 내주 형상은, 메인 밸브(50)의 테이퍼 부분(55)의 일측 단부에서의 외주 형상보다 크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밸브 폐쇄 상태에 있어서, 테이퍼 부분(55)의 일측 단부는, 경사벽부(30)를 관통하여, 저압 통로(LP)까지 들어갈 수 있다. 한편, 경사벽부(30)의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일측 단부에서의 내주 형상은, 메인 밸브(50)의 테이퍼 부분(55)의 타측 단부에서의 외주 형상보다 작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밸브 폐쇄 상태에 있어서, 테이퍼 부분(55)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의 사이가 되는 중간 부분이, 밸브 시트(31)를 이루는 경사벽부(30)의 일측 단부에 주위 형상으로 맞닿을 수 있다.
또한, 밸브 본체(20)의 경사벽부(30)는, 메인 밸브(50)의 테이퍼 부분(55)보다, 축선 방향(AD)에 대해 큰 각도로 경사져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폐쇄 상태에 있어서, 테이퍼 부분(55) 중, 밸브 시트(31)보다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타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고압 통로(HP)로 연결되어 있고, 고압 통로(HP) 내의 오일은, 이 테이퍼 부분(55)에 작용한다. 테이퍼 부분(55)이,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일측을 향해 끝이 가느다란 형상이므로, 고압 통로(HP) 내의 오일은, 축선 방향(AD)을 따라 타측을 향해 압박하도록, 즉, 밸브 시트(31)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메인 밸브(50)에 작용한다.
다음으로, 피스톤(60)은, 메인 밸브(50)에 의해 축선 방향(AD)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다. 피스톤(60)은, 메인 밸브(50)의 보유 지지 구멍(51)에 삽입되어 있다. 피스톤(60)은, 보유 지지 구멍(51) 내에서, 중심 축선(CA) 상을 이동할 수 있다. 피스톤(60)은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일측에 위치하는 일측 통 형상부(61)와,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타측에 위치하는 타측 축 형상부(62)와, 일측 통 형상부(61) 및 타측 축 형상부(62)의 사이에 위치하는 플랜지부(63)를 갖고 있다. 피스톤(60)은,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타측으로부터 보유 지지 구멍(51)에 삽입되어 있다. 일측 통 형상부(61)가, 보유 지지 구멍(51) 내에 위치하고 있다. 플랜지부(63)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부위이다. 플랜지부(63)는, 일측 통 형상부(61) 및 타측 축 형상부(62)보다 큰 외치수를 갖고 있다. 플랜지부(63)는, 보유 지지 구멍(51)의 내치수보다 큰 외치수를 갖고 있어, 보유 지지 구멍(51) 내에 들어갈 수는 없다. 즉, 플랜지부(63) 및 타측 축 형상부(62)는, 메인 밸브(50)보다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타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플랜지부(63)는, 격벽 블록(40)의 관통 구멍(41)의 내치수보다 큰 외치수를 갖고 있어, 관통 구멍(41) 내에 들어갈 수는 없다. 즉, 플랜지부(63)는 격벽 블록(40)보다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일측에 위치하고 있다. 타측 축 형상부(62)는, 일측 통 형상부(61)와 동축 상에 배치되고, 따라서, 중심 축선(CA) 상을 연장하고 있다. 타측 축 형상부(62)는, 격벽 블록(40)의 관통 구멍(41)에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일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있다. 타측 축 형상부(62)의 외치수는, 관통 구멍(41)의 내치수보다 작다. 타측 축 형상부(62)와 관통 구멍(41)의 사이에는, 오일이 통과 가능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릴리프 밸브(10)는, 피스톤(60)을 메인 밸브(50)에 대해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타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로서, 코일 형상의 압력 조절 스프링(45)을 갖고 있다. 피스톤(60)의 일측 통 형상부(61)는 압력 조절 스프링(45)을 삽입 관통하여, 보유 지지 구멍(51) 내에 진입하고 있다. 따라서, 압력 조절 스프링(45)은 메인 밸브(50)의 오목부(53)의 저면과, 피스톤(60)의 플랜지부(63) 사이에, 피스톤(60) 상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이 결과, 압력 조절 스프링(45)은 피스톤(60)을 메인 밸브(50)에 대해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타측으로 가압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밸브(50)에는 오목부(53)가 형성되어 있다. 메인 밸브(50)가,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타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플랜지부(63) 및 압력 조절 스프링(45)은, 이 오목부(53)에 들어갈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부(63) 및 압력 조절 스프링(45)이 메인 밸브(50)의 축선 방향(AD)으로의 이동을 저해하는 일은 없다.
그런데, 릴리프 밸브(10)에는, 고압 통로(HP) 내의 오일을 배압실(BP)로 유도하는 유로(65)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이 유로(65)는, 피스톤(60)의 중공부(61a) 및 메인 밸브(50)의 유도 구멍(52)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피스톤(60)의 일측 통 형상부(61)는 중공 통 형상이며, 중공부(61a)를 갖고 있다. 피스톤(60)의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일측에 위치하는 일측 단부(61a)는, 일측 통 형상부(61)에 의해 형성되고, 유도 구멍(52) 내에 개구되어 있다. 한편, 중공부(61a)는, 축선 방향(AD)에 있어서 피스톤(60)의 도중까지밖에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피스톤(60)에는, 중공부(61a)를 측방에 개구시키는 스로틀(6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압 통로(HP) 내의 오일은, 유도 구멍(52) 및 중공부(61a)의 내부를 흘러, 스로틀(66)을 통해 배압실(BP)로 방출된다.
다음으로, 서브 밸브(70)에 대해 설명한다. 서브 밸브(70)는, 베이스(22)와 조정 나사 부재(26)와 격벽 블록(40)에 의해 구획된 수용 구멍(H) 내에 수용되어 있다. 서브 밸브(70)는,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일측에 위치하는 헤드부(71)와,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타측에 위치하는 타측부(72)를 갖고 있다. 헤드부(71)는 원뿔 형상의 윤곽을 갖고 있다. 헤드부(71)는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일측을 향해 끝이 가늘게 되어 있다. 타측부(72)는, 축선 방향(AD)을 따라 연장되는 기둥 형상의 윤곽을 갖고 있다. 서브 밸브(70)는, 그 축선이, 메인 밸브(50)의 중심 축선(CA)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헤드부(71)는, 타측부(72)와의 접속 위치에 있어서, 타측부(72)보다 굵게 되어 있다.
릴리프 밸브(10)는, 서브 밸브(70)를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일측을 향해 가압하는 가압 부재로서, 코일 형상의 조정 스프링(46)을 갖고 있다. 서브 밸브(70)의 타측부(72)는 조정 스프링(46)에 삽입되어 있다. 조정 스프링(46)은, 타측부(72)의 타측면과, 조정 나사 부재(26)의 저면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결과, 조정 스프링(46)은, 서브 밸브(70)를 밸브 본체(20)에 대해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일측으로 가압하고 있다.
서브 밸브(70)의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일측 단부는, 격벽 블록(40)의 관통 구멍(41) 내에 삽입되어 있다. 헤드부(71)의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일측 단부는, 관통 구멍(41)의 내치수보다 가늘다. 헤드부(71)의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타측 단부는, 관통 구멍(41)의 내치수보다 굵다. 따라서, 서브 밸브(70)가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타측으로 가압됨으로써, 서브 밸브(70)가 관통 구멍(41)의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타측이 되는 타측 개구의 주연에 주위 형상으로 맞닿는다. 즉,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타측이 되는 관통 구멍(41)의 개구 테두리부가, 서브 밸브(70)를 수용하는 서브 밸브 밸브 시트(32)를 형성한다. 서브 밸브(70)가 서브 밸브 밸브 시트(32)에 착좌됨으로써, 배압실(BP)이 서브 밸브 수용 구멍(VH)으로부터 구획된다. 즉, 배압실(BP)이, 서브 밸브(70)에 의해 서브 밸브 수용 구멍(VH)으로부터 차단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리프 밸브(10)의 밸브 폐쇄 상태에 있어서, 압력 조절 스프링(45)의 가압력에 의해, 피스톤(60)의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타측 단부는, 격벽 블록(40)의 관통 구멍(41) 내에 있어서, 서브 밸브(70)의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일측 단부에 맞닿아 있다. 단, 압력 조절 스프링(45)의 가압력은, 조정 스프링(46)의 가압력보다 약하다. 따라서, 후술하는 릴리프 동작을 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 서브 밸브(70)는, 서브 밸브 밸브 시트(32)에 착좌된 상태를 유지하여, 배압실(BP)을 폐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릴리프 밸브(1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릴리프 밸브(10)의 밸브 폐쇄 상태에 있어서, 고압 통로(HP)의 오일은, 메인 밸브(50)의 테이퍼 부분(55)에 작용하여, 메인 밸브(50)를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타측으로 가압한다. 그러나, 조정 스프링(46)의 가압력 및 배압실(BP) 내의 압력이, 저압 통로(LP) 내의 압력보다 충분히 높게 설정됨으로써, 고압 통로(HP) 내의 압력이 상정된 통상의 범위 내로 되어 있는 경우, 메인 밸브(50)는 밸브 시트(31)에 착좌된 상태로 유지된다. 즉, 릴리프 밸브(10)는 밸브 폐쇄 상태로 유지되고, 고압 통로(HP)는, 저압 통로(LP)로부터 차단된다.
한편, 고압 통로(HP) 내의 오일의 압력이 상승하면, 이 압력은, 피스톤(60)을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타측으로 가압한다. 고압 통로(HP) 내의 오일의 압력이, 미리 설정한 값 이상이 되면, 피스톤(60)이, 압력 조절 스프링(45)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서브 밸브(70)를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타측으로 밀고, 서브 밸브(70)는 서브 밸브 밸브 시트(32)로부터 이격된다. 이에 의해, 배압실(BP) 내의 오일이 서브 밸브 수용 구멍(VH) 내로 유입된다. 서브 밸브 수용 구멍(VH)으로 유입된 오일은, 배출 통로(DP)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고압 통로(HP)의 오일은, 유도 구멍(52) 및 중공부(61a)로 이루어지는 유로(65)를 경유하여, 배압실(BP) 내로 유입된다. 이 오일의 흐름에 의해, 고압 통로(HP) 내의 압력을 어느 정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오일은, 배압실(BP) 내로 유입될 때, 스로틀(66)을 통과하므로, 배압실(BP) 내의 압력은 저하된다. 고압 통로(HP) 내의 압력이, 미리 설정한 값 이상이 되면 고압 통로(HP)로부터 배압실(BP) 내로 흐르는 오일량이 많아져, 배압실(BP) 내의 압력이 크게 저하된다. 이 결과, 고압 통로(HP) 내의 오일이 메인 밸브(50)의 테이퍼 부분(55)에 작용하여 메인 밸브(50)를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타측으로 미는 힘과, 저압 통로(LP) 내의 오일이 메인 밸브(50)를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타측으로 미는 힘의 총합이, 배압실(BP) 내의 오일이 메인 밸브(50)를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일측으로 미는 힘과, 압력 조절 스프링(45)이 메인 밸브(50)를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일측으로 미는 힘의 총합보다 커진다. 이때, 메인 밸브(50)는,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타측으로 이동하여, 테이퍼 부분(55)이 밸브 시트(31)로부터 이격된다. 릴리프 밸브(10)는, 밸브 개방 상태로 되어, 고압 통로(HP)가 저압 통로(LP)와 연통된다.
릴리프 밸브(10)가, 밸브 개방되면, 고압 통로(HP) 내의 오일이 저압 통로(LP) 내로 흘러, 고압 통로(HP) 내의 압력이 신속하게 저하된다. 이에 의해, 고압 통로(HP) 및 고압 통로(HP)에 연통되는 통로 또는 회로가, 고압에 계속 노출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고압 통로(HP) 내의 오일이 저압 통로(LP)로 흘러, 고압 통로(HP) 내의 압력이 저하되면, 고압 통로(HP) 내의 오일이 메인 밸브(50)의 테이퍼 부분(55)에 작용하여 메인 밸브(50)를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타측으로 미는 힘과, 저압 통로(LP) 내의 오일이 메인 밸브(50)를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타측으로 미는 힘의 총합이, 배압실(BP) 내의 오일이 메인 밸브(50)를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일측으로 미는 힘과, 압력 조절 스프링(45)이 메인 밸브(50)를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일측으로 미는 힘의 총합보다 작아진다. 이때, 메인 밸브(50)는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일측으로 이동하여, 테이퍼 부분(55)이 밸브 시트(31)에 착좌된다. 릴리프 밸브(10)는, 밸브 폐쇄 상태로 되어, 고압 통로(HP)는 저압 통로(LP)로부터 차단된다.
그런데, 저압 통로(LP) 내의 압력이, 고압 통로(HP) 내의 압력보다 높아지는 것도 상정될 수 있다. 이때, 저압 통로(LP)의 압력은, 메인 밸브(50)에 대해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일측으로부터 작용한다. 즉, 저압 통로(LP)의 압력은, 메인 밸브(50)를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타측으로 미는 힘으로서, 매우 효율적으로 메인 밸브(50)에 부하된다. 이에 의해, 메인 밸브(50)가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타측으로 이동하면, 릴리프 밸브(10)는 개방 상태로 된다. 저압 통로(LP)가 고압 통로(HP)와 연통되어, 저압 통로(LP) 내의 오일이 고압 통로(HP)로 유입됨으로써, 저압 통로(LP) 내의 압력을 적정값까지 신속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릴리프 압력, 즉, 릴리프 밸브(10)가 개방되게 되는 고압 통로(HP) 내의 압력 설정값은, 조정 나사 부재(26)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조정 나사 부재(26)의 위치는, 너트(28)를 조정 나사 부재(26)에 대해 푼 후에, 조정 나사 부재(26)를 베이스(22)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조정 나사 부재(26)의 베이스(22)에 대한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조정 스프링(46)이 서브 밸브(70)를 가압하는 가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릴리프 밸브(10)의 릴리프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해 온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릴리프 밸브(10)는,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일측을 향해 끝이 가느다란 테이퍼 부분(55)을 갖는 메인 밸브(50)와, 축선 방향(AD)으로 이동 가능하게 메인 밸브(50)를 수용하는 수용 구멍(H)이 형성된 밸브 본체(20)를 갖고 있다. 밸브 본체(20)는,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일측으로 이동한 메인 밸브(50)의 테이퍼 부분(55)이 맞닿는 밸브 시트(31)를 갖고 있다. 밸브 본체(20)에는,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일측으로부터 수용 구멍(H)에 연통되는 저압 통로(LP)와, 축선 방향(AD)과 비평행한 방향으로부터 수용 구멍(H)에 연통되는 고압 통로(HP)가 설치되어 있다. 테이퍼 부분(55)이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타측으로부터 밸브 시트(31)에 착좌된 밸브 폐쇄 상태에 있어서, 저압 통로(LP)와 고압 통로(HP)는 차단된다. 한편, 테이퍼 부분(55)이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타측으로 밸브 시트(31)로부터 이격된 밸브 개방 상태에 있어서, 저압 통로(LP)와 고압 통로(HP)는 연통된다. 그리고, 이 릴리프 밸브(10)에서는, 밸브 폐쇄 상태에 있어서, 고압 통로(HP) 내의 유체가 메인 밸브(50)의 테이퍼 부분(55)에 작용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고압 유체의 유체압이 메인 밸브(20)의 동작 방향과 비평행한 방향으로부터 작용하는 릴리프 밸브(10)를 간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릴리프 밸브(10)는 축선 방향(AD)을 따른 메인 밸브(50)의 타측에 형성된 배압실(BP)을 개폐하는 서브 밸브(70)와, 메인 밸브(50)에 동작 가능하게 지지된 피스톤(60)을 더 갖고 있다. 피스톤(60)은, 고압 통로(HP) 내의 유체로부터의 작용에 의해, 배압실(BP)을 개방하도록 서브 밸브(70)를 압박한다. 고압 통로(HP) 내의 유체를 배압실(BP)로 스로틀(66)을 통해 유도하는 유로(6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릴리프 밸브(10)에서는, 고압 통로(HP) 내의 유체로부터의 작용에 의해, 메인 밸브(50)에 앞서 서브 밸브(70)가 동작한다. 서브 밸브(70)의 동작에 수반하여, 배압실(BP)의 유체압이 저하되고, 이 압력 저하가, 메인 밸브(50)의 동작을 야기한다. 이러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고압 통로(HP) 내의 유체압 상승에 대해 우수한 응답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메인 밸브(50)에는, 피스톤(60)을 축선 방향(AD)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 가능한 보유 지지 구멍(51)과, 보유 지지 구멍(51)과 교차하고 또한 고압 통로(HP)와 연통되는 유도 구멍(5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실시 형태 의하면, 고압 유체의 유체압이 메인 밸브(50)의 동작 방향(AD)과 비평행한 방향으로부터 작용하는 릴리프 밸브(10)에 있어서, 간이한 구성에 의해 고압 유체의 유체압을 피스톤(60)에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피스톤(60)은, 메인 밸브(50)의 보유 지지 구멍(51) 내에 배치되고, 피스톤(60)의 축선 방향(AD)에 있어서의 일측이 되는 일측 단부(60a)는, 유도 구멍(52) 내에 위치한다. 이러한 본 실시 형태 의하면, 고압 유체의 유체압이 메인 밸브(50)의 동작 방향(AD)과 비평행한 방향으로부터 작용하는 릴리프 밸브(10)에 있어서, 간이한 구성을 이용하면서 안정적으로 고압 유체의 유체압을 피스톤(60)에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축선 방향(AD)으로 연장되어 유로(65)를 이루는 중공부(61a)가 피스톤(60)에 형성되어 있다. 중공부(61a)는, 유도 구멍(52) 내에 개구되어 있다. 이러한 본 실시 형태 의하면, 고압 유체의 유체압이 메인 밸브(50)의 동작 방향(AD)과 비평행한 방향으로부터 작용하는 릴리프 밸브(10)에 있어서, 간이한 구성을 이용하면서, 고압 통로(HP) 내의 유체를 안정적으로 배압실(BP)로 유도할 수 있는 유로(65)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유도 구멍(52)은 축선 방향(AD)에 직교하여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본 실시 형태 의하면, 고압 유체의 유체압이 메인 밸브(50)의 동작 방향(AD)과 비평행한 방향으로부터 작용하는 릴리프 밸브(10)에 있어서, 유도 구멍(52)과 고압 통로(HP)의 연통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또한 간이한 구성을 이용하면서 안정적으로 고압 유체의 유체압을 피스톤(60)에 작용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도시하는 일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일 실시 형태에 대해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보유 지지 구멍(51)의 일측 단부가, 유도 구멍(52) 내에 위치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유 지지 구멍(51)의 일측 단부가, 유도 구멍(52)을 횡단하여, 테이퍼 부분(55)을 관통하지 않도록 테이퍼 부분(55) 내까지 연장되어 들어가 있어도 된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는, 피스톤(60)의 일측 단부(60a)가, 보유 지지 구멍(51)의 테이퍼 부분(55) 내에 형성된 부분에 의해서도 지지되고, 또한 중공부(61a)가 유도 구멍(52) 내에 위치하는 부분에 개구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격벽 블록(40)이, 밸브 본체(20)와는 별체로서 설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격벽 블록(40)이 밸브 본체(20)를 이루는 어느 하나의 요소(예를 들어, 베이스(22)나 소켓(24))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HP : 고압 통로
LP : 저압 통로
BP : 배압실
H : 수용 구멍
DP : 배출 통로
AD : 축선 방향
CA : 중심 축선
10 : 릴리프 밸브
20 : 밸브 본체
22 : 베이스
22a : 암나사
22b : 단부면
24 : 소켓
24a : 단차부
26 : 조정 나사 부재
26a : 수나사
28 : 너트
30 : 경사벽부
31 : 밸브 시트
32 : 서브 밸브 시트
40 : 격벽 블록
41 : 관통 구멍
45 : 압력 조절 스프링
46 : 조정 스프링
50 : 메인 밸브
51 : 보유 지지 구멍
52 : 유도 구멍
53 : 오목부
55 : 테이퍼 부분
60 : 피스톤
60a : 일측 단부
60b : 타측 단부
61 : 일측 통 형상부
61a : 중공부
62 : 타측 축 형상부
63 : 플랜지부
65 : 유로
66 : 스로틀
70 : 서브 밸브
71 : 헤드부
72 : 타측부
AL : 액추에이터 통로
TL : 탱크 통로
SL : 공급 통로
VH : 서브 밸브 수용 구멍
90 : 유압 기기
91 : 액추에이터
92 : 유압 회로
93 : 스풀 밸브
94 : 밸브 블록
95 : 스풀
96 : 전자 비례 밸브

Claims (7)

  1.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을 향해 끝이 가느다란 테이퍼 부분을 갖는 메인 밸브와,
    상기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메인 밸브를 수용하는 수용 구멍이 형성된 밸브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본체는,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일측으로 이동한 상기 메인 밸브의 상기 테이퍼 부분이 맞닿는 밸브 시트를 갖고,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수용 구멍에 연통되는 저압 통로와, 상기 축선 방향과 비평행한 방향으로부터 상기 수용 구멍에 연통되는 고압 통로가 상기 밸브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테이퍼 부분이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밸브 시트에 착좌한 밸브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저압 통로와 상기 고압 통로는 차단되어, 상기 고압 통로 내의 유체가 상기 메인 밸브의 테이퍼 부분에 작용하고,
    상기 테이퍼 부분이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타측으로 상기 밸브 시트로부터 이격된 밸브 개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저압 통로와 상기 고압 통로는 연통되는, 릴리프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밸브의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타측에 형성된 배압실을 개폐하는 서브 밸브와,
    상기 메인 밸브에 동작 가능하게 지지된 피스톤을 더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고압 통로 내의 유체로부터의 작용에 의해, 상기 배압실을 개방하도록 상기 서브 밸브를 압박하고,
    상기 고압 통로 내의 유체를 상기 배압실로 스로틀을 통해 유도하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릴리프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밸브에는, 상기 피스톤을 상기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 가능한 보유 지지 구멍과, 상기 보유 지지 구멍과 교차하고 또한 상기 고압 통로와 연통되는 유도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릴리프 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메인 밸브의 상기 보유 지지 구멍 내에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의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일측이 되는 일측 단부는, 상기 유도 구멍 내에 위치하는, 릴리프 밸브.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유로를 이루는 중공부가, 상기 피스톤에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는, 상기 유도 구멍 내에 개구되는, 릴리프 밸브.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구멍은, 상기 축선 방향에 직교하여 연장되는, 릴리프 밸브.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압실을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타측으로부터 구획하는 격벽 블록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격벽 블록에는, 상기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타측이 되는 상기 관통 구멍의 개구 테두리부가, 상기 서브 밸브를 수용하는 밸브 시트를 형성하고,
    상기 피스톤의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타측이 되는 타측 단부는, 상기 관통 구멍 내에 위치하는, 릴리프 밸브.
KR1020160121230A 2015-09-28 2016-09-22 릴리프 밸브 KR201700378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90259 2015-09-28
JP2015190259A JP6655928B2 (ja) 2015-09-28 2015-09-28 リリーフ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825A true KR20170037825A (ko) 2017-04-05

Family

ID=58494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230A KR20170037825A (ko) 2015-09-28 2016-09-22 릴리프 밸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655928B2 (ko)
KR (1) KR20170037825A (ko)
CN (1) CN1068384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1862A1 (ja) * 2019-02-07 2020-08-13 株式会社島津製作所 圧力制御弁
WO2020161900A1 (ja) * 2019-02-08 2020-08-13 株式会社島津製作所 圧力制御弁およびこの圧力制御弁を備えた油圧パイロット式電磁比例コントロールバルブ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9648A (ja) 1997-11-28 1999-06-15 Nabco Ltd バランス形リリーフ弁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458B2 (ko) * 1971-10-30 1977-03-31
JPH03199782A (ja) * 1989-12-28 1991-08-30 Hitachi Constr Mach Co Ltd 圧力制御弁
DE4426385C2 (de) * 1994-07-26 1998-02-26 Mannesmann Sachs Ag Hydraulischer, regelbarer Schwingungsdämpfer
JP2005163860A (ja) * 2003-12-01 2005-06-23 Bosch Rexroth Corp リリーフ機能付き方向切換弁
JP2008115978A (ja) * 2006-11-07 2008-05-22 Yoshitake Inc パイロット式電磁弁
CN203656208U (zh) * 2013-12-20 2014-06-18 杨新葵 先导压差式低能耗大流量电磁阀
CN104075015A (zh) * 2014-06-13 2014-10-01 苏州固基电子科技有限公司 密封电磁阀
CN203906969U (zh) * 2014-06-25 2014-10-29 上海星地环保设备有限公司 电磁阀
CN104455650B (zh) * 2014-09-30 2016-08-17 宁波星箭航天机械有限公司 先导式电磁阀
CN204512613U (zh) * 2015-04-01 2015-07-29 余姚市三力信电磁阀有限公司 利用低功率高推力转换器的电磁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9648A (ja) 1997-11-28 1999-06-15 Nabco Ltd バランス形リリーフ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838400B (zh) 2020-05-05
CN106838400A (zh) 2017-06-13
JP6655928B2 (ja) 2020-03-04
JP2017067095A (ja) 2017-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3035B2 (en) Flow control valve
US6957664B2 (en) Pilot control valve
JP2017524868A (ja) 圧力制限弁
KR20170037825A (ko) 릴리프 밸브
JP2014234829A (ja) 油圧制御装置
US8375992B2 (en) Adjustable pressure control valves
CN111094817B (zh) 带有顺序阀的缸体装置
KR102342222B1 (ko) 유량 조정 밸브 및 밸브 구조체
RU2479757C1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 гидравлических ударных устройств
US20210190222A1 (en) Relief valve
US20180195640A1 (en) Solenoid valve
JP6966961B2 (ja) 制御弁
US20190293196A1 (en) Microfluidic valve
CA2987994A1 (en) Ejector arrangement
KR20140129343A (ko) 연료 분사 펌프
WO2022004425A1 (ja) リリーフ弁
WO2017043252A1 (ja) 複合弁及びそれを用いたソレノイドバルブ
JP2009209999A (ja) 制御弁装置
JP6949580B2 (ja) 油圧制御装置
WO2019172131A1 (ja) 制御弁
US11054049B2 (en) Precision fuel metering check valve cartridge
JP6211805B2 (ja) リリーフバルブ及びそれを備える油圧制御装置
JP2003227459A (ja) 斜板形アキシャルピストンポンプの制御装置
WO2019208047A1 (ja) 電磁比例弁付きキャップ
KR20200099092A (ko) 유량 제어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