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5424A - 이송대차 - Google Patents

이송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5424A
KR20170035424A KR1020150134178A KR20150134178A KR20170035424A KR 20170035424 A KR20170035424 A KR 20170035424A KR 1020150134178 A KR1020150134178 A KR 1020150134178A KR 20150134178 A KR20150134178 A KR 20150134178A KR 20170035424 A KR20170035424 A KR 20170035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roller
seating groove
loading unit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4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봉규
안만수
Original Assignee
(주)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천일 filed Critical (주)천일
Priority to KR1020150134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5424A/ko
Publication of KR20170035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4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 B62B3/1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the object being of cylindrical shape, e.g. barrels, buckets, dust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62B3/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 B62B3/06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manu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02Cylindrically-shaped articles, e.g. drums, barrels, fl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70Comprising means for facilitating loading or unloading
    • B62B2203/74Comprising means for facilitating loading or unloading rolling means, e.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대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형의 안착홈을 갖는 적재부가 높낮이 조절수단에 의해 승하강 이동될 수 있도록 된 이송대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송대차는, 적재부상판(110)과 하부면에 다수 개의 바퀴(121)가 설치된 적재부하판(120)로 구성되어진 적재부(100); 상기 적재부(100)의 상부면에 원형의 롤 또는 파이프류의 적재물을 안착시키기 위해 호형으로 양측이 개방되어 형성된 안착홈(130); 상기 안착홈(130)의 길이방향 양측에 그 안착홈(130)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롤러(140); 상기 롤러(140)와 이격되도록 설치되어지되 상기 롤러(140)보다 작은 구경의 원형 적재물을 안착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홈(130)의 중앙부 내측에 설치된 보조롤러(150); 적재부(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대차의 방향전환을 유도하는 핸들(200); 상기 적재부상판(110)과 상기 적재부하판(120)의 사이에 상기 적재부상판(110)을 승하강 시키는 높이조절수단(300)을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송대차 {Transfer Cart}
본 발명은 이송대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재부에 호형의 안착홈을 갖는 이송대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송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 각종 기계와 전자제품, 건축현장에서 사용되는 건축부재 및 가구와 같은 중량물을 안치한 상태로 적작은 힘으로 중량물을 이송하는데 이송대차를 사용한다.
이러한, 종래의 이송대차는 중량물을 이송하기 위해서 중량물이 적재되는 판형상의 대차의 하부에 중량물과 대차를 이송하는 대차바퀴를 복수로 형상하고, 대차의 일측 상부에 작업자가 이송대차의 방향전환을 유도할 수 있도록 손잡이를 설치하여 중량물을 목표로 이송하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이송대차는 중량물의 형태와 종류 및 중량에 따라 추가로 인력이 필요하거나 적재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원형의 롤 또는 파이프 등의 중량물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지지하거나 와이어 등을 사용하여 고정하는 등의 수고가 따를 뿐 아니라 이송중에 중량물이 이탈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롤 형상의 중량물을 이송하기 위한 롤 전용의 이송대차 등이 개발되어 산업현장에서 이용되고 있지만, 이는 일반적인 이송대차의 역할로는 쓰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공개공보 제 0002945호(2009.03.25, 물품 운반용 대차) 특허공개공보 제 0031681호(2015.03.25, 롤 이동 대차)
본 발명의 목적은 중량물을 이송하는 이송대차의 적재부에 호형의 안착홈을 형성함으로써 일반적인 화물, 각종 기계와 전자제품, 건축현장에서 사용되는 건축부재 및 가구와 같은 중량물은 물론 원형의 롤 또는 파이프 등의 중량물을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하고, 중량물의 적재/하차 시에 이동을 용이하도록 한 이송대차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송대차는, 적재부상판(110)과 하부면에 다수 개의 바퀴(121)가 설치된 적재하부(120)로 구성되어진 적재부(100); 상기 적재부(100)의 상부면에 원형의 롤 또는 파이프류의 적재물을 안착시키기 위해 호형으로 양측이 개방되어 형성된 안착홈(130); 상기 안착홈(130)의 길이방향 양측에 그 안착홈(130)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롤러(140); 상기 롤러(140)와 이격되도록 설치되어지되 상기 롤러(140)보다 작은 구경의 원형 적재물을 안착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홈(130)의 중앙부 내측에 설치된 보조롤러(150); 적재부(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대차의 방향전환을 유도하는 핸들(200); 상기 적재부상판(110)과 상기 적재하부(120)의 사이에 상기 적재부상판(110)을 승하강 시키는 높이조절수단(300)을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이송대차에 따르면, 일반적인 화물, 각종 기계와 전자제품, 건축현장에서 사용되는 건축부재 및 가구와 같은 중량물은 물론, 이송대차의 적재부에 형성된 호형의 안착홈에 원형의 롤 또는 파이프 등의 중량물의 유동을 최소화시켜 안정적으로 적재하여 이송할 수 있게되며, 적재된 중량물을 원하는 높이로 승강시켜 하차할 수 있으며, 안착홈에 형성된 롤러에 의해 중량물을 보다 용이하게 적재/하차를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대차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서 적재부상판의 부분단면을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대차 제1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상기 도 1에서 롤러에 대구경 파이프가 안착된 단면을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상기 도 1에서 보조롤러에 소구경 파이프가 안착된 단면을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대차 제1실시예의 안착부에서 파이프를 이동시키는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대차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송대차 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송대차는 일반적인 화물, 각종 기계와 전자제품, 건축현장에서 사용되는 건축부재 및 가구와 같은 중량물은 물론 이송대차의 적재부(100)에 형성된 호형의 안착홈(130)에 원형의 롤 또는 파이프 등의 중량물을 적재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한 적재부(100), 상기 적재부(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대차의 방향전환을 유도하는 핸들(20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적재부(100)는 상부 표면에 적재물을 적재하는 것으로, 그 재질은 금속, 합성수지, 목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이송대차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부면에 다 수개의 바퀴(121)가 설치되며 상기 바퀴(121)는 이송대차에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캐스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외에 다른 바퀴를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적재부(100)의 일측에는 작업자의 인력으로 대차를 밀어 움직이고 방향전환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핸들(200)이 설치되고, 상기 핸들(200)의 형상은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적재부(100)의 상부면에는 원형의 롤 또는 파이프류의 중량물을 적재하였을 때 적재부(100)에서 구르거나 이탈하지 않도록 안착시키기 위해 호형으로 이송대차의 이동방향의 좌우 양측이 개방되어 형성된 안착홈(13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착홈(130)의 형성된 크기는 상기 적재부(100)의 전체면적을 차지하지 않는 것으로 하며, 그 이유는 상기 적재부(100)의 상부면에서 안착홈(130)을 제외한 면적에 하면이 평평한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적재부(100)의 제 1실시 예로는 상기 안착홈(130)이 형성된 적재부상판(110)과, 하부에 다수 개의 바퀴(121)가 설치된 적재부하판(120)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각 형성된 적재부상판(110)과 적재부하판(120)의 사이에 상기 적재부상판(110)을 승하강 시키는 높이조절수단(3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수단(300)은 상기 적재부하판(120)의 상부면에 하단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적재부상판(110)의 하부면에 상단이 고정 설치되어 그 적재부상판(110)을 상/하 높이조절할 수 있는 것이면 모두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프트암(310)이 X자형으로 힌지 연결되어 작키(320)의 작동 방향에 따라 신장 및 단축되는 펜터그래프형리프트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펜터그래프형리프트는, 작키(320)의 로드가 인출되면 신장되면서 적재부상판(110)을 상부로 밀어 올리고, 작키(320)의 로드가 인입되면 단축시키면서 적재부상판(110)을 하부로 끌어 내려준다.
상기의 펜터그래프형리프트의 신장 및 단축은, 작키(320)의 작동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작키(320)의 작동은 그 작키(320)와 연결되는 작키작동발판(321)으 작동으로 이루어짐으로 적재부상판(110)의 높/낮이를 작업자가 작키작동발판(321) 작동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작키(320)의 작동은 작키작동발판(320)을 작업자가 상하 왕복운동시키면 그에 따라 작키(320)가 작동되어 로드가 인출되며, 인출된 로드를 인입하고자 할 때에는 작키압력해체 키를 작동시키면 작키(320)의 압력이 해제되면서 로드가 원위치 된다.
이는 작키를 작동시키는 통상의 방법이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펜터그래프형리프트를 형성하는 각각의 구성은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이는 이미 알려진 공지의 구성이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상기 높이조절수단(300)을 형성하는 펜터크래프형리프트는, 상호 마주보게 한쌍으로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홈(130)의 길이방향 양측에 그 안착홈(130)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롤러(140)가 안착되는 상부가 개방된 롤러삽입홈(141)이 형성되고, 상기 롤러삽입홈(141)에 각각 롤러(140)가 설치되며, 상기 롤러(140)의 회전방향이 상기 안착홈(130)의 길이방향과 동일방향을 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롤러(140)의 회전방향을 안착홈(130)의 길이방향과 동일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하는 이유는 상기 안착홈(130)과 적재물의 마찰을 줄여서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안착홈(130)에 롤이나 파이프 등의 중량물을 적재하거나 또는 하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롤러(140)보다 작은 구경의 롤 또는 파이프류의 원형 적재물을 안착할 수 있도록 안착홈(130)의 길이방향 양측에 그 안착홈(130)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상기 롤러(140)와 이격되도록 상기 안착홈(130)의 중앙부 내측으로 보조롤러삽입홈(151)이 형성되고, 그 보조롤러삽입홈(151)에 각각 보조롤러(140)가 설치되며, 상기 보조롤러(150)의 회전방향이 상기 안착홈(130)의 길이방향과 동일방향을 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보조롤러(150)의 회전방향을 안착홈(130)의 길이방향과 동일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하는 이유는 상기 롤러(140)의 설치 각도를 구성하는 이유와 같다.
상기와 같이 롤러(140), 보조롤러(150)가 구성됨에 따라 안착홈(130)에 적재된 파이프를 하차시에 파이프의 직선방향으로 용이하게 하차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 또는 연결 하여야 하는 이송대차 외부의 파이프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해 지는 것이다.
상기 적재부(100)의 제 2실시 예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안착홈(130)이 형성된 한 쌍의 적재다리(161,162)와 상기 각 적재다리(161,162)를 후방에서 지지하는 지지대(163)를 포함하여 지게발 형상으로 구성된 적재다리부(160)와, 하부에 다수 개의 바퀴(121)가 설치된 적재하부(12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적재다리부(160)와 상기 적재하부(120)의 사이에 상기 적재다리부(160)를 승하강 시키는 높이조절수단(40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높이조절수단(400)은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유압작키의 로드에 상기 적재다리부(160)가 연결되고 그 유압작키의 작동에 의해 레일을 따라 승하강 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에서 설명한 펜터크래프형리프트를 사용하여도 되며 상기 적재다리부(160)를 승하강 시킬 수 있는 어떠한 수단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적재다리(161,162)에 형성된 안착홈(130)의 일측에는 그 안착홈(130)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상부가 개방된 롤러삽입홈(141)이 형성되고, 상기 롤러삽입홈(141)에 각각 롤러(140)가 설치되며, 상기 롤러(140)의 회전방향은 상기 안착홈(130)의 길이방향과 동일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롤러(140)보다 작은 구경의 롤 또는 파이프류의 원형 적재물을 안착할 수 있도록 안착홈(130)의 길이방향 양측에 그 안착홈(130)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상기 롤러(140)와 이격되도록 상기 안착홈(130)의 중앙부 내측으로 보조롤러삽입홈(151)이 형성되고, 그 보조롤러삽입홈(151)에 각각 보조롤러(140)가 설치되며, 상기 보조롤러(150)의 회전방향은 상기 안착홈(130)의 길이방향과 동일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롤러(140), 보조롤러(150)의 회전방향이 상기 안착홈(130)의 길이방향과 동일방향을 향하도록 구성하는 이유는 상기 적재부(100)의 제 1실시 예에 형성된 롤러(140), 보조롤러(150)의 회전방향을 구성하는 이유와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적인 화물, 각종 기계와 전자제품, 건축현장에서 사용되는 건축부재 및 가구와 같은 중량물은 물론 이송대차의 적재부에 형성된 호형의 안착홈에 원형의 롤 또는 파이프 등의 중량물을 적재하여 이송할 수 있게 되며, 높이조절수단을 사용하여 적재된 중량물을 원하는 높이로 승강시켜 하차할 수 있고, 안착홈에 형성된 롤러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중량물을 이동 또는 하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적재부 110 : 적재부상판
120 : 적재하부 130 : 안착홈
140 : 롤러 150 : 보조롤러
160 : 적재다리부 200 : 핸들
300,400 : 높이조절수단 310 : 리프트암
320 : 작키 321 : 작키작동발판
P : 대구경파이프 p : 소구경파이프

Claims (7)

  1. 하부면에 다수 개의 바퀴(121)가 설치된 적재부(100)와, 상기 적재부(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대차의 방향전환을 유도하는 핸들(200)로 구성된 이송대차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100)의 상부면에는 이송대차의 진행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원형의 롤 또는 파이프류의 적재물을 안착시키기 위해 호형으로 된 안착홈(1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대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100)는 상기 안착홈(130)이 형성된 적재부상판(110)과, 하부에 다수 개의 바퀴(121)가 설치된 적재부하판(12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적재부상판(110)과 상기 적재부하판(120)의 사이에 상기 적재부상판(110)을 승하강 시키는 높이조절수단(3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대차.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130)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그 안착홈(130)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롤러(140)가 설치되며, 상기 롤러(140)의 회전방향은 상기 안착홈(130)의 길이방향과 동일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대차.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130)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그 안착홈(130)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상기 롤러(140)와 이격되도록 설치되어지되 상기 롤러(140)보다 작은 구경의 원형 적재물을 안착할 수 있도록 보조롤러(150)가 설치되며, 상기 보조롤러(150)의 회전방향은 상기 안착홈(130)의 길이방향과 동일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대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100)는 상기 안착홈(130)이 형성된 한 쌍의 적재다리(161,162)와 상기 각 적재다리(161,162)를 후방에서 지지하는 지지대(163)를 포함하여 지게발 형상으로 된 적재다리부(160)와, 하부에 다수 개의 바퀴(121)가 설치된 적재하부(17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적재다리부(160)와 상기 적재하부(170)의 사이에 상기 적재다리부(160)를 승하강 시키는 높이조절수단(4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대차.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다리(161,162)의 각각의 안착홈(130)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롤러(140)가 설치되며, 상기 롤러(140)의 회전방향은 상기 안착홈(130)의 길이방향과 동일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대차.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다리(161,162) 각각의 안착홈(130)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상기 롤러(140)와 이격되도록 설치되어지되, 상기 롤러(140)보다 작은 구경의 원형 적재물을 안착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홈(130)의 중앙부 내측에 보조롤러(150)가 설치되며, 상기 보조롤러(150)의 회전방향은 상기 안착홈(130)의 길이방향과 동일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대차.












KR1020150134178A 2015-09-22 2015-09-22 이송대차 KR201700354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178A KR20170035424A (ko) 2015-09-22 2015-09-22 이송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178A KR20170035424A (ko) 2015-09-22 2015-09-22 이송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424A true KR20170035424A (ko) 2017-03-31

Family

ID=58500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178A KR20170035424A (ko) 2015-09-22 2015-09-22 이송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542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09950A (zh) * 2018-08-21 2019-01-01 天津泽川工贸有限公司 大型火箭壁板运输车牵引架装置
CN109878561A (zh) * 2019-04-20 2019-06-14 徐州易尚饰家装饰工程有限责任公司 大口径管件平移装置
CN110816616A (zh) * 2019-11-27 2020-02-21 徐州瑞铭源新型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幕墙安装材料的运输装置
KR102225987B1 (ko) * 2020-05-27 2021-03-11 박선출 원단 이송장치
KR102228912B1 (ko) * 2019-12-09 2021-03-17 장채원 롤 이송용 운반장치
KR102281254B1 (ko) * 2020-07-13 2021-07-22 박우용 볏짚이송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09950A (zh) * 2018-08-21 2019-01-01 天津泽川工贸有限公司 大型火箭壁板运输车牵引架装置
CN109878561A (zh) * 2019-04-20 2019-06-14 徐州易尚饰家装饰工程有限责任公司 大口径管件平移装置
CN110816616A (zh) * 2019-11-27 2020-02-21 徐州瑞铭源新型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幕墙安装材料的运输装置
KR102228912B1 (ko) * 2019-12-09 2021-03-17 장채원 롤 이송용 운반장치
KR102225987B1 (ko) * 2020-05-27 2021-03-11 박선출 원단 이송장치
KR102281254B1 (ko) * 2020-07-13 2021-07-22 박우용 볏짚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35424A (ko) 이송대차
JP6105085B2 (ja) 搬送物の搬送システム及び搬送方法
KR20100046326A (ko) 화물 상하차용 컨베이어
WO2015190393A1 (ja) コンテナ昇降搬送装置
JP2006225100A (ja) 搬送補助装置およびこの搬送補助装置を備えた搬送装置
TW201604096A (zh) 貨櫃昇降搬運裝置
KR20100112855A (ko) 자동 수직 적재 장치
JP2006315829A (ja) 自動倉庫
JP3896373B2 (ja) パレット利用の荷搬送装置
JP2008189399A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
JP7217139B2 (ja) 荷物の搬送装置
JP2005057241A (ja) 重い機械のアライメントを補助する位置決め補助具および方法
JP4826900B2 (ja) 荷役作業用設備
KR20170120896A (ko) 레일형 이동 적재장치
JP6587876B2 (ja) 荷役装置
JP5541482B2 (ja) 台車搬送設備
JP7294478B1 (ja) 巻取ロール搬送システム
JP6167923B2 (ja) 物品搬送設備
JP4296046B2 (ja) 重量物搬送装置
US8800746B1 (en) Lift assembly
JP5821823B2 (ja) 物品収納設備
JP2018043816A (ja) 搬送装置及びホイールコンベヤ装置
JP2015081150A (ja) 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JP2011093621A (ja) 重量物搬送装置
KR20180047234A (ko) 전자파 흡수체 유닛의 보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