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5272A -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5272A
KR20170035272A KR1020150134170A KR20150134170A KR20170035272A KR 20170035272 A KR20170035272 A KR 20170035272A KR 1020150134170 A KR1020150134170 A KR 1020150134170A KR 20150134170 A KR20150134170 A KR 20150134170A KR 20170035272 A KR20170035272 A KR 20170035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data
real
user terminal
ro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4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9657B1 (ko
Inventor
송석훈
Original Assignee
송석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석훈 filed Critical 송석훈
Priority to KR1020150134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657B1/ko
Publication of KR20170035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23Multimodal routing, i.e. combining two or more modes of transportation, where the modes can be any of, e.g. driving, walking, cycling, public transpor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92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employing speed data or traffic data, e.g. real-time or historic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44Landmark guidance, e.g. using POIs or conspicuous other obj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79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 G01C21/3685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the POI's being parking facili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1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information related to real-time traffic, weather, or environmental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사용자 단말로부터 시간 및 장소를 포함하는 스케줄 데이터와, 현재 시간과 매핑된 실시간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실시간 위치 정보 및 스케줄 데이터에 기반하여 경로 데이터 및 소요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교통상황 수집 서버로부터 경로 데이터의 경로에 존재하는 교통상황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교통상황 데이터와, 사용자 단말의 실시간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경로 데이터 및 소요 시간을 재산출하는 단계, 스케줄 데이터에 포함된 스케줄 시간으로부터 재산출된 소요 시간 이전에 사용자 단말로 재산출된 경로 데이터 및 소요 시간을 전송하여 알림 메세지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REAL-TIME NAVIGATING SERVICE}
본 발명은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 및 스마트 패드의 보급이 대중화되면서 다수의 사용자들이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네비게이션을 이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으나, 네비게이션은 사용자가 경로를 검색할 경우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도착 예정 시간 및 경로를 산출할 뿐, 스케줄에 따른 출발 시각을 알려주지 않아 사용자가 별도로 출발 예정 시각을 체크해야 한다.
이때, 스케줄 기능과 연계한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스케줄에 따라 알람을 알려주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06-0081193호(2006.07.12 공개)에는, 도착 시간 및 약속 시간에 대한 정보가 설정되는 경우, 약속 시간에 대한 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약속 시간에 대한 정보만을 표시할 뿐, 실시간 교통 상황 및 사용자의 위치를 고려한 경로 안내의 구성은 개시되어 있지 않고, 약속 시간에 대한 시간 정보만을 표시할 뿐, 사용자가 교통 상황 및 현재 위치를 고려하여 언제 출발을 해야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구성은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및 교통 상황을 기반으로 도착 예정 시간 및 경로를 산출 및 검색하고, 산출 및 검색된 시간 및 경로에 따라 출발 예정 시각을 산출하며, 산출된 출발 예정 시간에 따라 알람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인지하지 않고 있더라도 알람으로 사용자가 약속 및 출발 시간을 인지하도록 하는,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시간 및 장소를 포함하는 스케줄 데이터와, 현재 시간과 매핑된 실시간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실시간 위치 정보 및 스케줄 데이터에 기반하여 경로 데이터 및 소요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교통상황 수집 서버로부터 경로 데이터의 경로에 존재하는 교통상황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교통상황 데이터와, 사용자 단말의 실시간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경로 데이터 및 소요 시간을 재산출하는 단계, 스케줄 데이터에 포함된 스케줄 시간으로부터 재산출된 소요 시간 이전에 사용자 단말로 재산출된 경로 데이터 및 소요 시간을 전송하여 알림 메세지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교통 상황 수집 서버로부터 수신된 다양한 변수 및 정보를 반영하여 실시간 경로 및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시간에 따라 출발 예정 시각을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예정된 장소 및 시간에 정확하게 도착할 수 있도록 하고, 비서와 같이 출발 예정 시각을 알려줌으로써, 바쁜 현대인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가 구현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00),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과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4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4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은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400)와 연결될 수 있고, 역으로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200)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0)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00),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도 1에 도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100)은,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목적지까지의 거리 및 경로를 예상하여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현재 교통 상황 및 경로에 따른 실시간 도착 예상 시간을 출력할 수 있고, 실시간 도착 예상 시간에 따른 출발 예정 시간을 알람으로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직장 및 집의 위치 및 시간과 같은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직장까지 도착해야 하는 시간 및 현재 교통 상황에 기반하여 일어나야 할 시간인 기상 알람 시간을 조정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수신된 정보 및 데이터에 기반하여 알람 및 알림 시각을 조정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를 사용자가 보유한 복수의 단말과 연동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자동 또는 수동으로 업데이트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 실시간 위치 변동에 따른 도착 경로 및 도착 시간을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소요 시간에 기반하여 조정된 출발 시간을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스케줄 정보와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 및 업데이트된 위치 및 스케줄 정보를 이용하여 도착 예상 시간을 산출하고, 소요 시간에 따른 출발 시각을 알람으로 출력하도록 사용자 단말(10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교통 상황 수집 서버(400)로부터 실시간 교통 상황 및 공사 상황 등의 변수 정보를 수집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실시간으로 발생되거나 미리 예정된 교통 상황에 따른 소요 시간을 재산출하여 출발 시간을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시간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에서 알람이 울리도록 제어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교통 상황 수집 서버(400)에서 교통 사고 또는 공사 정보가 업데이트되는 경우, 교통 사고의 종류, 위치, 공사의 종류 및 위치에 따른 지연 시간을 산출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교통 사고의 종류 및 위치, 공사의 종류 및 위치에 따라 기 설정되어 매핑된 지연 시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하여 지난 사고의 종류 및 위치, 공사의 종류 및 위치에 따른 교통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데이터마이닝 등과 같은 패턴 추출 알고리즘 및 연산을 통하여 지연 구간, 종류 등에 따른 지연 시간을 추출하고, 추출된 지연 시간을 사고의 종류 및 위치, 공사 종류 및 위치에 따른 지연 시간을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시간에 동기화된 이동 패턴을 추출하여 수집 및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의 패턴에 따른 스케줄 정보에 따라 알람 메세지를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교통 상황 수집 서버(400)는, 교통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교통 상황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교통 상황 수집 서버(400)는, CCTV, 119 교통 사고 신고, 112 교통 사고 신고, 보험사 사고 신고 접수, 교통 방송, 공사 예정 구간 알림 페이지 등을 통하여 실시간 교통 상황, 사고 상황 및 공사 상황을 수집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교통 상황 수집 서버(400)는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교통 상황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이에 대한 피드백으로 교통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교통 상황 수집 서버(4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가 구현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신부(310), 산출부(320), 추출부(330), 재산출부(340) 및 출력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 또는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해당 서비스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프로그램이 사용자 단말(1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이때, 네트워크(200) 연결은 사용자 단말(100),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400)가 네트워크(200)로 연결되어 있는 단말과 통신을 위해 통신 접점에 통신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통신 객체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신부(3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시간 및 장소를 포함하는 스케줄 데이터와, 현재 시간과 매핑된 실시간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스케줄 데이터는 예를 들어, 2015년9월30일 저녁8시 강남역 친구와 저녁 약속, 2015년 9월31일 클라이언트와 미팅, 삼성역 xxx사옥 등의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스케줄 데이터는 장소 및 시간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하거나, 사용자 단말(100)에서 전화 정보, 스케줄 정보, 통화 정보를 수집하여 자동으로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현재 시간과 매핑된 실시간 위치 정보는, 현재 사용자가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일 약속이 8시에 강남역에서 있는데,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이동하고 있는 경우, 현재 시간에 매핑된 위치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강남역에 위치한 직장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가 아니라, 출장으로 대전에서 평촌으로 이동하는 경우 등일 수 있다.
산출부(320)는, 실시간 위치 정보 및 스케줄 데이터에 기반하여 경로 데이터 및 소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스케줄 데이터는 기 설정된 약속 시간일 수 있고, 실시간 위치 정보는 실시간으로 변동되는 사용자의 위치일 수 있다. 여기서, 실시간으로 변동되는 사용자의 위치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 기 설정된 경로만을 산출하고,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언제 출발하고 어떠한 경로로 가야하는지를 정확히 알려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와 스케줄 데이터를 함께 고려하여 산출부(320)는, 사용자가 약속 장소까지 가야하는 경로 데이터와 소요 시간을 실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다.
추출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교통상황 수집 서버(400)로부터 경로 데이터의 경로에 존재하는 교통상황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추출부(330)는, 예를 들어 3 가지의 상황을 고려하여 교통상황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선, 교통 사고가 발생하여 지연이 발생한 교통상황 데이터를 추출하는 경우, 두 번째로 주말, 주중, 낮, 오후 등의 일반적인 패턴에 따른 교통상황 데이터를 추출하는 경우, 마지막으로 기 공지된 공사나 행사 등과 같은 상황을 고려하여 교통상황 데이터를 추출하는 경우일 수 있다.
우선, 첫 번째의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집에서 직장까지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1 시간 거리이고, 직장의 출근 시간이 9 시라고 가정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8 시 또는 8 시보다 기 설정된 시간 이전 예를 들어, 사용자가 준비해야 하는 시간 이전에 알람을 울릴 것이다. 이때, 8시 30분에 교통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는 추출부(330)는 해당 상황을 이미 고려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하지만, 교통 사고의 종류 및 위치에 따른 데이터베이스가 존재하는 경우, 지연 상태를 예상할 수는 있다. 예를 들어, 2중 추돌 사고가 사용자의 경로에 포함되었고, 해당 추돌 사고가 7시에 발생했으며, 2중 추돌 사고가 사용자의 경로의 특정 지점에서 해결되는 시간은 2 시간이고, 해결되기까지 지연되는 지연 시간은 1 시간 경로에 30분이라는 데이터가 수집 및 데이터마이닝될 수 있다. 따라서, 8시에 알람을 울리지 않고, 30분 지연 시간을 고려하여 7시 30분에 알람을 울릴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추출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교통상황 수집 서버(400)로부터 경로 데이터의 경로에 존재하는 교통상황 데이터를 추출할 때, 적어도 하나의 교통상황 수집 서버(400)로부터 수집된 콘텐츠에 기반하여 경로 데이터의 경로에 존재하는 차량의 속도 및 밀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차량의 속도 및 밀도와 콘텐츠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속도 및 밀도에 따른 지연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지연 시간 보다 이전에 알람을 울릴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콘텐츠는 동영상 또는 이미지일 수 있고, 예를 들어 CCTV일 수 있다. 이때, CCTV에 포함된 차량의 밀도 및 속도를 고려하여 차량의 흐름을 추정할 수 있고, 해당 위치의 평균 밀도 및 속도와 비교하여 어느 정도의 정체 및 지연 시간이 발생하는지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전 9시에 매핑된 평균 속도 및 밀도가 60Km/h 및 40%라고 가정하고, 현재 오전 9시에 평균 속도 및 밀도가 증가된 경우, 증가된 비율에 기반하여 정체 및 지연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밀도는 한 화면에 포함된 차량 대수에 기초할 수 있고, 속도는 한 화면이 포함하는 거리 및 해당 거리를 지나는 시간에 기반하여 산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두 번째의 경우에는, 추출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교통상황 수집 서버(400)로부터 경로 데이터의 경로에 존재하는 교통상황 데이터를 추출할 때, 적어도 하나의 교통상황 수집 서버(400)로부터 추출된 교통상황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그리고, 추출부(330)는, 데이터베이스화된 교통상황 데이터를 빅 데이터 기반으로 패턴을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패턴을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추출된 패턴은 지점 뿐만 아니라 시간에도 동기화되어 매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주중이라고 할지라도 금요일과 월요일, 또한 수요일과 같은 날의 정체 상황이 다르고, 동일한 월요일이라고 할지라도 아침 7시와 9시, 저녁 6시와 10시 등과 같이 정체 상황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추출부(330)는,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매핑된 패턴을 교통상황 데이터로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추출부(330)는 지점 뿐만 아니라 시간 및 요일에 따라 분류되도록 추출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3 번째의 경우, 추출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교통상황 수집 서버(400)로부터 경로 데이터의 경로에 존재하는 교통상황 데이터를 추출할 때, 적어도 하나의 교통상황 수집 서버(400)로부터 대중교통의 운행 변경 정보 , 운행 정보 또는 공사 구간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또한, 추출부(330)는, 수집된 운행 변경 정보, 운행 정보 또는 공사 구간 정보를 교통상황 데이터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철이 공사중이라거나 행사 등으로 혼잡이 예상되는 경우와 같이 미리 설정 및 공지된 경우일 수 있다.
재산출부(340)는, 추출된 교통상황 데이터와, 사용자 단말(100)의 실시간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경로 데이터 및 소요 시간을 재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재산출부(340)는,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고려하고, 추출부(330)에서 추출한 교통 상황에 따라 도착 예상 시간 및 출발 시간 알람을 재설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에 너무 많은 앱이 실행되고 있거나, GPS 잡히지 않는 경우에는 배터리 소모 및 메모리 사용량이 급격하게 늘어날 수 있다. 따라서, 재산출부(340)에서 추출된 교통상황 데이터와, 사용자 단말(100)의 실시간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경로 데이터 및 소요 시간을 재산출할 때,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실시간 위치가 기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여 이동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즉,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고려할 때, 사용자가 어느 정도 움직였는지, 해당 이동 거리가 경로를 재설정하거나 도착 예상 시간 또는 출발 예정 시각을 재산출해야할 정도인지, 교통 상황의 지연이 발생한 정도가 역시 이동 경로를 재설정해야 하거나, 도착 예상 시간 또는 출발 예정 시각을 재산출해야 할 정도인지를 고려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을 실행할 때, 너무 많은 전원을 소모하거나 메모리를 차지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발열이 발생하거나, 실행 속도가 느려지거나, 심지어는 정지하는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해당 앱을 사용할 때, 발열, 정지, 속도 느려짐 등과 같은 현상을 겪을 경우, 사용자는 해당 앱을 지우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할 수 있고, 해당 앱에 대한 신뢰 뿐만 아니라 이를 만든 회사 및 배포 회사까지 신뢰가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위치가 이동 경로 또는 출발 시각을 변경해야 할 정도인지의 여부, 교통 상황의 변경이 역시 이동 경로 또는 출발 시각을 변경해야 할 정도인지의 여부를 파악하고, 네트워킹 자원량 및 컴퓨팅 자원량을 고려하여 재산출 여부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재산출부(34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네트워킹 자원 및 컴퓨팅 자원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네트워킹 자원 및 컴퓨팅 자원이 기 설정된 네트워킹 요구량 및 컴퓨팅 요구량 미만인 경우, 사용자 단말(100)에서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종료되도록 제어하고, 추출된 교통상황 데이터와, 업데이트된 실시간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경로 데이터 및 소요 시간을 재산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의 실시간 위치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의 가속도 센서에서 감지된 속도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기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활성화된 위치 센서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또한, 경로 데이터는 자동차 경로 또는 대중교통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경로 데이터가 자동차 경로인 경우, 스케줄 데이터에 포함된 스케줄 위치의 기 설정된 거리 이전에, 스케줄 위치의 주차장의 방향 및 위치가 자동차가 이동하는 방향 및 속도를 기준으로 사용자 단말(100)에서 출력되고, 대중교통 경로인 경우, 스케줄 데이터에 포함된 스케줄 위치의 기 설정된 거리 이전에, 스케줄 위치 및 방향이 사용자 단말(100)이 이동하는 속도 및 방향을 기준으로 사용자 단말(100)에서 출력될 수 있다. 즉, 차량으로 이동할 때 "목적지에 도착하였습니다"라는 안내만 출력될 뿐, 정확히 어느 지점인지, 왼쪽인지 오른쪽인지 정확하게 알려주지 않아 주차장을 찾거나 정확한 목적지를 찾기 위해 간판을 찾아 헤메이며 두 번 또는 세 번씩 목적지 주변을 선회하는 경우가 많고, 또는 간판을 찾기 위하여 교통 흐름에 지장을 줄 수도 있고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어느 방향인지, 어느 간판 이후에 바로 진입을 해야하는지를 알려줄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에서 스케줄 위치는 증강 현실 기반으로 오버레이되고, 스케줄 위치의 기 설정된 거리 이전에 경로 데이터의 경로에 포함된 객체 지점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되, 객체 지점은 적어도 하나의 지점 표시(Sign)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증강 현실은 사용자 단말(100)이 차량의 전방을 향하고 있는 등 주변을 탐색할 수 있는 상황인 경우에만 활성화되거나 컴퓨팅 자원이나 네트워킹 자원이 기 설정된 자원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활성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교통상황 수집 서버(400)에 교통사고의 신고가 접수된 경우, 접수된 신고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 및 지점을 파악하여 경로 데이터를 재산출하는 경우, 접수된 교통사고의 신고의 종류에 기 매핑된 딜레이 타임을 부과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교통상황 수집 서버(400)로부터 CCTV 콘텐츠가 수집된 경우, 수집된 CCTV 콘텐츠에 포함된 차량의 수, 밀도 및 속도를 추출하여 경로 데이터를 재산출하는 경우, 차량의 수, 밀도 및 속도에 기반하여 딜레이 타임을 부과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경로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서 발생하는 행사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행사 정보에 기 매핑된 딜레이 타임을, 경로 데이터를 재산출하는 경우 부과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케줄 정보를 수집하여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스케줄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100)의 OS(Operating System)에 스케줄 정보 수신 리시버 등록을 하고, 스케줄 정보 입력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애플리케이션이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실행함으로써 수집될 수 있다.
도 2를 통하여 상술한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동작 과정을 도 3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a) 사용자 단말(100)에서 패턴으로 추출되거나 수동으로 입력된 사용자의 패턴과 알람 설정 시각은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사용자 단말(100)과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b)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집으로부터 직장까지의 대중교통경로 및 차량경로를 산출할 수 있고, (c) 적어도 하나의 교통 상황 수집 서버(400)로부터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d) 사용자의 경로에 포함된 다양한 이벤트를 고려하여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도착 예정 시간 및 경로를 수정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의 알람 시각을 재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e)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재설정된 알람 시각에 지연 이유 등을 포함한 알람을 사용자 단말(100)에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f)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스케줄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수집할 수 있는데, 자동으로 수집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에 입력되는 텍스트, 음성, 이미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3의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호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집 및 직장 위치와 같은 패턴 정보를 수집한다(S4100, S4200).
그리고 나서,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과 매핑하여 수집된 정보를 저장하고(S4300), 교통 상황을 수집하여 산출한 경로 데이터 및 도착 예정 시간과, 이에 기반한 출발 예정 시각에 따른 알람을 출력하도록 사용자 단말(100)로 알람 데이터를 전송한다(S4400, S4500).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S4600).
한편,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스케줄 데이터를 수집하고(S4700), 적어도 하나의 교통 상황 수집 서버(400)로부터 교통 상황을 수집한 후(S4800), 실시간 사용자 위치에 변동이 발생한 경우(S4810), 적어도 하나의 교통 상황 수집 서버(400)로부터 교통 상황을 수집하고(S4820), 경로 데이터 및 도착 예정 시간을 업데이트하여(S4830), 알람을 출력한다(S4840).
그리고, 도착 예정 시간에 변동이 발생한 경우(S4900), 경로 데이터 및 도착 예정 시간을 업데이트하여(S4920),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알람이 출력되도록 한다(S4920).
또한,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가 스케줄의 위치인 경우(S4930) 해당 서비스를 종료하도록 한다.
상술한 단계들(S4100~S493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93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4의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3을 통해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시간 및 장소를 포함하는 스케줄 데이터와, 현재 시간과 매핑된 실시간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S5100).
그리고 나서,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실시간 위치 정보 및 스케줄 데이터에 기반하여 경로 데이터 및 소요 시간을 산출한다(S5200).
또한,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교통상황 수집 서버로부터 경로 데이터의 경로에 존재하는 교통상황 데이터를 추출하고(S5300), 추출된 교통상황 데이터와, 사용자 단말의 실시간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경로 데이터 및 소요 시간을 재산출한다(S5400).
마지막으로,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스케줄 데이터에 포함된 스케줄 시간으로부터 재산출된 소요 시간 이전에 사용자 단말로 재산출된 경로 데이터 및 소요 시간을 전송하여 알림 메세지가 출력되도록 한다(S5500).
이와 같은 도 5의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4)

  1.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시간 및 장소를 포함하는 스케줄 데이터와, 현재 시간과 매핑된 실시간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 위치 정보 및 스케줄 데이터에 기반하여 경로 데이터 및 소요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교통상황 수집 서버로부터 상기 경로 데이터의 경로에 존재하는 교통상황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교통상황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실시간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경로 데이터 및 소요 시간을 재산출하는 단계;
    상기 스케줄 데이터에 포함된 스케줄 시간으로부터 상기 재산출된 소요 시간 이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 재산출된 경로 데이터 및 소요 시간을 전송하여 알림 메세지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스케줄 데이터는 상기 재산출된 소요 시간에 기반하여 업데이트되는 것인,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교통상황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실시간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경로 데이터 및 소요 시간을 재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실시간 위치가 기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여 이동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네트워킹 자원 및 컴퓨팅 자원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네트워킹 자원 및 컴퓨팅 자원이 기 설정된 네트워킹 요구량 및 컴퓨팅 요구량 미만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종료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교통상황 데이터와, 상기 업데이트된 실시간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경로 데이터 및 소요 시간을 재산출하는 단계
    를 수행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인,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통상황 수집 서버로부터 상기 경로 데이터의 경로에 존재하는 교통상황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통상황 수집 서버로부터 수집된 콘텐츠에 기반하여 상기 경로 데이터의 경로에 존재하는 차량의 속도 및 밀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차량의 속도 및 밀도와 상기 콘텐츠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수행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인,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통상황 수집 서버로부터 상기 경로 데이터의 경로에 존재하는 교통상황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통상황 수집 서버로부터 추출된 교통상황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된 교통상황 데이터를 빅 데이터 기반으로 패턴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패턴을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매핑된 패턴을 상기 교통상황 데이터로 추출하는 단계
    를 수행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인,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통상황 수집 서버로부터 상기 경로 데이터의 경로에 존재하는 교통상황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통상황 수집 서버로부터 대중교통의 운행 변경 정보 , 운행 정보 또는 공사 구간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운행 변경 정보, 운행 정보 또는 공사 구간 정보를 교통상황 데이터로 추출하는 단계
    를 수행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인,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실시간 위치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가속도 센서에서 감지된 속도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기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활성화된 위치 센서로부터 수집되는 것인,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데이터는 자동차 경로 또는 대중교통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 데이터가 자동차 경로인 경우, 상기 스케줄 데이터에 포함된 스케줄 위치의 기 설정된 거리 이전에, 상기 스케줄 위치의 주차장의 방향 및 위치가 상기 자동차가 이동하는 방향 및 속도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고,
    상기 대중교통 경로인 경우, 상기 스케줄 데이터에 포함된 스케줄 위치의 기 설정된 거리 이전에, 상기 스케줄 위치 및 방향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이동하는 속도 및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는 것인,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스케줄 위치는 증강 현실 기반으로 오버레이되고, 상기 스케줄 위치의 기 설정된 거리 이전에 상기 경로 데이터의 경로에 포함된 객체 지점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되, 상기 객체 지점은 적어도 하나의 지점 표시(Sign)를 포함하는 것인,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통상황 수집 서버에 교통사고의 신고가 접수된 경우, 상기 접수된 신고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 및 지점을 파악하여 상기 경로 데이터를 재산출하는 경우, 접수된 교통사고의 신고의 종류에 기 매핑된 딜레이 타임을 부과하는 것인,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통상황 수집 서버로부터 CCTV 콘텐츠가 수집된 경우, 상기 수집된 CCTV 콘텐츠에 포함된 차량의 수, 밀도 및 속도를 추출하여 상기 경로 데이터를 재산출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수, 밀도 및 속도에 기반하여 딜레이 타임을 부과하는 것인,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경로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서 발생하는 행사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행사 정보에 기 매핑된 딜레이 타임을, 상기 경로 데이터를 재산출하는 경우 부과하는 것인,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케줄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인,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케줄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 단말의 OS(Operating System)에 스케줄 정보 수신 리시버 등록을 하는 단계; 및
    스케줄 정보 입력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실행함으로써 수집되는 것인,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14.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청구항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KR1020150134170A 2015-09-22 2015-09-22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59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170A KR101759657B1 (ko) 2015-09-22 2015-09-22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170A KR101759657B1 (ko) 2015-09-22 2015-09-22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272A true KR20170035272A (ko) 2017-03-30
KR101759657B1 KR101759657B1 (ko) 2017-07-19

Family

ID=58503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170A KR101759657B1 (ko) 2015-09-22 2015-09-22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96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86981A (zh) * 2017-12-29 2018-07-17 广州斯沃德科技有限公司 车联网的车辆路径规划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KR20220118211A (ko) * 2021-02-18 2022-08-25 사이클롭스 주식회사 스마트폰 내 차량 네비게이션 및 일정관리 어플리케이션과 연계한 주차정보제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131B1 (ko) * 2017-12-09 2023-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교통 정보 제공 방법
KR102515387B1 (ko) * 2017-12-13 2023-03-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서버, 사용자 단말 및 서버의 제어 방법
KR20240022714A (ko) * 2022-08-12 2024-02-20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기 설정된 커스텀 영역에 사용자 단말이 위치함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15702B2 (ja) * 2001-06-29 2011-11-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移動端末に情報を提供する方法、及び情報を提供するセンタ
JP5253055B2 (ja) * 2008-09-08 2013-07-3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起動管理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86981A (zh) * 2017-12-29 2018-07-17 广州斯沃德科技有限公司 车联网的车辆路径规划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CN108286981B (zh) * 2017-12-29 2020-12-22 广州斯沃德科技有限公司 车联网的车辆路径规划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KR20220118211A (ko) * 2021-02-18 2022-08-25 사이클롭스 주식회사 스마트폰 내 차량 네비게이션 및 일정관리 어플리케이션과 연계한 주차정보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9657B1 (ko) 2017-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4308B2 (en) Dynamic scheduling system for planned service requests
KR101759657B1 (ko)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CA2823827C (en) Crowd sourced traffic reporting
US10235884B2 (en) Wireless beacon collision warning system
US8897806B2 (en) Dynamic data publication and dissemination
US9709413B2 (en) Directions based on predicted future travel conditions
US8874363B2 (en) Situation-awar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for a mobile device
US8606517B1 (en) Travel route system and method
US20110178702A1 (en) Optimum travel times
EP28436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US20150048941A1 (en) Excessive-stop alerts in a web based asset tracking system
US11029169B2 (en) Navigation service method for providing unusable route information related to emergency area and server apparatus for the same
CN105338466A (zh) 位置信息获取方法及设备
JP2015230588A (ja) 行動判定装置、行動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2706357A (zh) 设置关注道路的方法及终端
JP2023521115A (ja) 自律運転手動引き継ぎのための予測方法及び装置、及びシステム
EP4357935A1 (en) Map, and map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771041B1 (ko) 일정 관리 서비스 시스템, 그의 휴대 단말 장치,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1830132B1 (ko) 비콘을 이용한 cctv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30049968A (ko) 실시간 교통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일정 알림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230292089A1 (en) Proximity monitoring
JP6508881B2 (ja) 行動判定装置、行動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5379383A (zh) 一种消息提醒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110116863A (ko) 모바일 단말기용 스케줄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CN115396394A (zh) 基于即时通讯的行程分享方法、存储介质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