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6863A - 모바일 단말기용 스케줄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용 스케줄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6863A
KR20110116863A KR1020100036524A KR20100036524A KR20110116863A KR 20110116863 A KR20110116863 A KR 20110116863A KR 1020100036524 A KR1020100036524 A KR 1020100036524A KR 20100036524 A KR20100036524 A KR 20100036524A KR 20110116863 A KR20110116863 A KR 20110116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chedule
mobile terminal
rout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6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훈
Original Assignee
(주)케이지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지아이 filed Critical (주)케이지아이
Priority to KR1020100036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6863A/ko
Publication of KR20110116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68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23Multimodal routing, i.e. combining two or more modes of transportation, where the modes can be any of, e.g. driving, walking, cycling, public transpor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06Q10/047Optimisation of routes or paths, e.g. travelling salesman probl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에서 위치를 기반으로 실시간 상황을 적시에 적용가능하도록 해주는 사용자 친화형 스케줄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언제 어디서나 약속 시간을 늦지않게 보장해주고, 사용자 친화적인 아이콘이나 그림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적절한 행동을 결정할 수 있게 해주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밀착 도구인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와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이용하며, 또한 각종 서버에서 지도, POI, LBS, DB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받아 실시간 교통 상황, 도로 정보, 교통편 정보 등을 이용하여 최적의 이동 경로를 생성한다. 이동 경로가 생성되면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이동 경로 안내를 시작하며, 안내를 하는 동안 돌발 상황에서도 약속 시간을 정확히 지켜주도록 실시간으로 각종 상황 정보를 반영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어떠한 상황에서도 약속 시간을 정확하게 지킬 수 있도록 하여 신뢰성을 향상시켜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용 스케줄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scheduler system for mobile terminal and manag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용 스케줄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양한 정보 및 서비스를 모바일 단말기에 제공하고, 모바일 단말기에서는 개인 정보와 측정된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최적의 이동 경로를 생성하고 안내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어떠한 상황에서도 약속 시간을 정확하게 지킬 수 있도록 하여 신뢰성을 향상시켜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용 스케줄러 및 그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널리 이용되는 스케줄러는 종이에 인쇄한 형태나 PC에 저장해서 사용하는 형태로 제공되는데 종이 형태의 스케줄러는 언제 어디서나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정확한 작업 날짜를 모를 때 스케줄 데이터를 오래 검색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PC에 저장하는 스케줄러는 스케줄 데이터의 검색을 손쉽게 해주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PC가 없는 환경에서는 사용할 수 없으며,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스케줄러의 단점은 근래에 들어 휴대 간편성과 검색 용이성을 가진 모바일 단말기의 등장으로 해결될 전망이지만 종래의 스케줄러 형태에서 벗어나지 못한 상태이다.
특히 현재 사용되는 스케줄러는 약속, 작업 등을 저장하고 알려주는 역할에만 충실한 수동형으로 사용자들은 아이폰, 안드로이드를 탑재한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이 확대됨에 따라 수동적으로 약속, 작업 등을 저장하는데 만족하지 않고 좀 더 발전적인 스케줄러를 요구하고 있다.
그리고 스케줄러가 약속에 대한 통보를 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경험에 기반한 교통편을 선택하거나 웹에서 교통편 및 경로를 찾아야 하는데 웹에서 찾는 교통편 및 경로는 사용자가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를 지정해주어야 하며, 노선도, 최단거리 경로, 각 교통편의 정해진 시간을 계산한 최소시간 경로, 교통비가 가장 적게 드는 경로 등을 사용자 스스로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게다가 사고, 공사 등의 돌발 상황을 적용하지 못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예측 시간에 약속 장소에 도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며, PC 상의 웹 연동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운영되는 웹 환경에 맞춰야 하므로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작업은 기기적인 제약 때문에 사용자가 이용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모바일 단말기에 적합한 스케줄러를 고안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양한 정보 및 서비스를 모바일 단말기에 제공하고, 모바일 단말기에서는 개인 정보와 측정된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최적의 이동 경로를 생성하고 안내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어떠한 상황에서도 약속 시간을 정확하게 지킬 수 있도록 하여 신뢰성을 향상시켜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용 스케줄러 및 그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며,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는 사용자 사이트와, 상기 사용자 사이트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스케줄을 관리하는 메인서버로 이루어진 모바일 단말기용 스케줄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는, 버스 정보, 지하철 정보, 교통상황 정보 및 사용자 제보 정보를 관리하는 교통 경로 설정 관리 서버, 및 사용자의 걷기속도, 달리기 속도 등 이동에 관계된 정보를 관리하는 개인 정보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는 사용자 사이트와, 상기 사용자 사이트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스케줄을 관리하는 메인서버로 이루어진 모바일 단말기용 스케줄러 관리 방법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된 스케줄러가 작동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기입력시킨 지정 범위 내의 스케줄을 모바일 단말기 화면에 출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화면에 출력된 스케줄의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스케줄을 알려주고 최적의 이동 경로를 생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스케줄의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 지정 시간 범위 내의 스케줄을 화면에 표시한 상태에서 입력, 검색, 삭제 기능을 선택하되, 스케줄 입력 기능은 새로 입력되는 스케줄이 기존의 스케줄과 충돌이 발생하는지 확인하고, 스케줄 충돌이 발생하면 스케줄러는 사용자에게 충돌을 알려주어 상대방과 약속 스케줄을 조정하여 스케줄 입력을 재시도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최적의 이동 경로를 생성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현재 위치를 측정하고, 사용자가 선호하는 교통편을 선택하되 해당 교통 수단에 따른 최적의 이동 경로를 생성하고, 선호 교통 수단이 없는 경우에는 이용 가능한 모든 이동 경로를 생성한 후 여러 개의 이동 경로가 생성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임의로 이동 경로를 선택하며, 선택한 이동 경로를 모바일 단말기 화면에 지도, 이동 수단, 이동 소요 시간 등을 표시하고, 사용하려는 교통 수단의 현재 위치, 도착시간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최적의 이동 경로 생성후 사용자가 경로를 선택하면 이동 경로 안내가 시작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이동 경로 안내에서는, 상기 사용자가 목적지까지 이동할 때 상기 이동 경로 생성에서 만들어진 계획대로 진행되어 이동 시간이 충분하다면 약속한 상대방의 위치를 검색하고, 상대방이 사용자가 설정한 일정 범위 내에 있다면 화면에 상대방 위치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위치를 상대방에게 알려주며, 상대방을 만났거나 약속 시간이 지난 약속 종료 상태가 되면 이동 경로 안내를 종료하고, 일정 시간 간격이나 이동 경로 변경이 필요없는 돌발 상황일 경우 화면에 상황 아이콘을 표시해주며, 교통사고, 공사, 전철 사고, 갑작스런 기상 변화 등으로 이동 경로를 변경해야 한다면 최적의 이동 경로 생성 기능을 수행하여 새로운 이동 경로를 선택하여 이동 경로 안내를 다시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 및 그 방법에 따라, 우선적으로 UI(User Interface)를 단순하고 직감적으로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사용 편의성과 스케줄러에 대한 접근 용이성을 제공하며, 실시간으로 교통편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돌발 상황으로 인한 해결책을 자동으로 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어떠한 상황에서도 약속 시간을 정확하게 지킬 수 있도록 해준다.
게다가 교통편의 실시간 연계로 사용자의 방황으로 인한 시간 낭비를 없애주며,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성으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으므로 상대방에게 자신의 위치를 알려주거나 상대방의 위치를 모바일 단말기에서 인식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고, 스케줄 충돌을 자동으로 검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중복 약속이나 실행할 수 없는 약속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아동 모바일 단말기용 스케줄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 와 도 3 은 도 1 에 따른 모바일 스케줄러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4 는 도 1 에 따른 모바일 스케줄러 대기 상태를 도시한 상태 흐름도.
도 5 는 도 1 에 따라 충돌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스케줄 관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 6 은 도 1 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이동 환경을 고려한 최적의 이동 경로를 생성하기 흐름도.
도 7 은 도 1 에 따라 돌발상황에 능동적인 대처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 경로 안내를 도시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스케줄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 부호 10 으로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스케줄러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는 사용자 사이트(12)와, 이 사용자 사이트(12)와 네트워크(14)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스케줄을 관리하는 메인서버(16)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모바일 단말기는 와이파이(Wi-Fi) 기능과 같이 무선 인터넷이 가능한 휴대성을 가진 모바일 폰, 넷북, 아이패드 같은 태블릿형 컴퓨터 등을 포함하며 모바일 단말기에는 스케줄러가 탑재되어 항상 수행되고 있고, 개인정보, 스케줄 목록, 이동 경로, 위치 정보 등의 데이터를 보관하고 사용하기 위한 데이터 관리 모듈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서버(16)는, 버스 정보 서버(22), 지하철 정보 서버(24), 교통 상황 정보 서버(26) 및 사용자 제보 정보 서버(28)에서 전송하는 정보를 가공 및 관리하는 교통 경로 설정 관리 서버(18)와, 사용자의 걷기속도, 달리기 속도 등 이동에 관계된 정보를 관리하는 개인 정보 관리 서버(20)를 포함하는데 상기 개인 정보 관리 서버(20)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ㅇD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메인 서버(16)에는 버스 정거장, 주차장, 지하철 역 등을 관리하는 POI 서버,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LBS 서버, 지도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도 서버, 스케줄 자료를 보관하거나 데이터를 관리하는 DB 서버, 모바일 단말기를 위해 가공된 데이터 및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모바일 매니저 등 스케줄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각종 서버들로 구성되며 이러한 서버들은 모바일 단말기의 하드웨어적인 제약이나 저장 공간의 제약 등으로 인해 필요하며, 기구축된 각종 데이터 및 서비스들을 스케줄러가 요구시 제공해 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버스 정보는 종합버스관리 서버(22), 지하철은 지하철 정보 관리 서버(24), 교통 상황 및 사고 상황은 경찰청 서버와 연관된 교통 상황 정보 서버(26), 및 사용자 제보 정보 관리 서버(28) 등에서 전송받는데 이것은 총칭해서 POI 관리 서버, DB 관리 서버, GIS 서버, LBS 서버 등으로 칭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스케줄러 시스템(10)의 작동방법을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적으로 상기 메인 서버(16)에서 제공하는 스케줄러는 도 2 와 같은 직관적인 아이콘, 그림 등을 사용하여 화면에 스케줄 내용과 함께 출력하여 사용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마련하는데 이러한 화면에는 네 개의 스케줄이 표시되어 있는데 터치하면 각각에 대한 스케줄의 상세 내용이 표시된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스케줄러는 항상 대기 상태이며,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는 모바일 단말기에 보관하며, 사용자 요구시 특정 서버에 저장 가능하며 안내를 위한 화면은 도 3 과 같이 지도를 바탕으로 목적지 표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스케줄러 대기 상태에서 보여지는 스케줄은 사용자가 지정한 시간 범위 내의 스케줄을 대상으로 하는데 사용자는 시간 범위를 전체 시간으로 할 수도 있고, 하루 단위, 일주일 단위 등 사용자 편의에 따라 여러 형태가 가능하다(S10).
스케줄러 대기 상태에서 발생하는 사건(S11)은 기존의 스케줄러와 유사한 스케줄 관리 기능(S12)이거나 약속 장소로 이동해야 함을 알려주는 알림 기능(S13) 두가지이다.
스케줄의 입력, 검색, 삭제 등의 기능을 수행하려면 후술할 스케줄 관리 기능(S12)을 수행하며 빠른 약속 시간 순으로 정렬된 스케줄 중에서 수행되어야 할 스케줄이 있다면 약속 장소로 이동 시작을 수행해야 한다.
이동 수행 기능은 이동 경로 안내 기능과 최적의 이동 경로 생성 두 가지로 나눠볼 수 있으며 교통편 및 이동 경로를 먼저 지정해야 하므로 최적의 이동 경로 생성 기능(S14)을 수행한다.
그리고 도 5 에서 처럼 사용자 지정 시간 범위 내의 스케줄을 화면에 표시한 상태(S16)에서 입력, 검색, 삭제 기능을 선택(S17)하고, 검색과 삭제는 기존의 스케줄러와 동일하다(S21,S22,S23,S24).
스케줄 입력 기능(S18)은 새로 입력되는 스케줄이 기존의 스케줄과 충돌이 발생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스케줄을 시간으로 검색하여 겹치는 부분이 있는지 확인하는 작업과 인천에서 약속이 종료된 후 두 시간 이내에 제주도에서 두 번째 스케줄을 수행해야 하는 원거리 검색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S19).
만약 스케줄 충돌이 발생하면 스케줄러는 사용자에게 충돌을 알려주어 상대방과 약속 스케줄을 조정하여 스케줄 입력을 재시도 하도록 하며(S20) 스케줄 관리 작업이 종료되면 스케줄러 대기 화면을 출력한다.
도 6 에서 처럼 최적의 이동 경로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시작 위치로 하고 약속 장소를 종료 위치로 하는 이동 경로를 생성해야 하기 때문에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현재 위치를 우선적으로 측정한다(S27).
현재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교통편, 목적지까지 소요 시간 및 이동 경로가 달라지므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 측정은 중요한 기능이며, 현재 위치가 측정이 되면 사용자가 선호하는 교통편을 선택해야 하는데 이는 자가용 운전자의 경우 자동차를 가지고 움직이는 것을 선호할 것이고, 제주도를 출장가야 하면 비행기를 선호할 것이기 때문이다(S28).
선호 교통 수단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교통 수단에 따른 최적의 이동 경로를 생성하고, 선호 교통 수단이 없는 경우에는 이용 가능한 모든 이동 경로를 생성한다(S29,S30).
여러 개의 이동 경로가 생성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임의로 이동 경로를 선택G하며, 선택한 이동 경로를 모바일 단말기 화면에 지도, 이동 수단, 이동 소요 시간 등을 표시한다(S31).
이때 상기 메인 서버(16)에서 사용자가 사용하려는 교통 수단의 현재 위치, 도착 시간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되며 최적의 이동 경로 생성 후 사용자가 경로를 선택하면 이동 경로 안내가 시작된다(S32,S33).
도 7 은 이동 경로 안내를 도시한 흐름도로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수집된 현재 위치를 바탕으로 경로 안내를 하는 것이다(S34)).
사용자가 목적지까지 이동할 때 이동 경로 생성에서 만들어진 계획대로 진행되어 이동 시간이 충분하다면(S35) 약속한 상대방의 위치를 검색한다.
이때 상대방이 사용자가 설정한 일정 범위 내에 있다면(S36) 화면에 상대방 위치를 표시하고(S37), 사용자의 위치를 상대방에게 알려주며(S38) 상대방을 만났거나 약속 시간이 지난 약속 종료 상태가 되면 이동 경로 안내를 종료한다.
일정 시간 간격이나 이동 경로 변경이 필요없는 돌발 상황일 경우 화면에 상황 아이콘(화난 아이콘이나 우는 아이콘)을 표시해주는데(S39) 교통사고, 공사, 전철 사고, 갑작스런 기상 변화 등으로 이동 경로를 변경해야 한다면 최적의 이동 경로 생성 기능을 수행하여 새로운 이동 경로를 선택하여 이동 경로 안내를 다시 시작하게 된다(S40).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스케줄러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스케줄러 시스템, 12 : 사용자 사이트,
14 : 네트워크, 16 : 메인서버,
18 : 교통 경로 설정 서버, 20 : 개인 정보 서버,
22 : 버스 정보 서버, 24 : 지하철 정보 서버,
26 : 교통 상황 정보 서버

Claims (5)

  1.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는 사용자 사이트와, 상기 사용자 사이트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스케줄을 관리하는 메인서버로 이루어진 모바일 단말기용 스케줄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는,
    버스 정보, 지하철 정보, 교통상황 정보 및 사용자 제보 정보를 관리하는 교통 경로 설정 관리 서버; 및
    사용자의 걷기속도, 달리기 속도 등 이동에 관계된 정보를 관리하는 개인 정보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스케줄러 시스템.
  2.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는 사용자 사이트와, 상기 사용자 사이트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스케줄을 관리하는 메인서버로 이루어진 모바일 단말기용 스케줄러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된 스케줄러가 작동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기입력시킨 지정 범위 내의 스케줄을 모바일 단말기 화면에 출력시키는 단계;
    상기 단말기 화면에 출력된 스케줄의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스케줄을 알려주고 최적의 이동 경로를 생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스케줄러 관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의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 지정 시간 범위 내의 스케줄을 화면에 표시한 상태에서 입력, 검색, 삭제 기능을 선택하되, 스케줄 입력 기능은 새로 입력되는 스케줄이 기존의 스케줄과 충돌이 발생하는지 확인하고, 스케줄 충돌이 발생하면 스케줄러는 사용자에게 충돌을 알려주어 상대방과 약속 스케줄을 조정하여 스케줄 입력을 재시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스케줄러 관리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의 이동 경로를 생성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현재 위치를 측정하고, 사용자가 선호하는 교통편을 선택하되 해당 교통 수단에 따른 최적의 이동 경로를 생성하고, 선호 교통 수단이 없는 경우에는 이용 가능한 모든 이동 경로를 생성한 후 여러 개의 이동 경로가 생성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임의로 이동 경로를 선택하며, 선택한 이동 경로를 모바일 단말기 화면에 지도, 이동 수단, 이동 소요 시간 등을 표시하고, 사용하려는 교통 수단의 현재 위치, 도착시간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최적의 이동 경로 생성후 사용자가 경로를 선택하면 이동 경로 안내가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스케줄러 관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 안내에서는,
    상기 사용자가 목적지까지 이동할 때 상기 이동 경로 생성에서 만들어진 계획대로 진행되어 이동 시간이 충분하다면 약속한 상대방의 위치를 검색하고, 상대방이 사용자가 설정한 일정 범위 내에 있다면 화면에 상대방 위치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위치를 상대방에게 알려주며, 상대방을 만났거나 약속 시간이 지난 약속 종료 상태가 되면 이동 경로 안내를 종료하고, 일정 시간 간격이나 이동 경로 변경이 필요없는 돌발 상황일 경우 화면에 상황 아이콘(화난 아이콘이나 우는 아이콘)을 표시해주며, 교통사고, 공사, 전철 사고, 갑작스런 기상 변화 등으로 이동 경로를 변경해야 한다면 최적의 이동 경로 생성 기능을 수행하여 새로운 이동 경로를 선택하여 이동 경로 안내를 다시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스케줄러 관리 방법.






KR1020100036524A 2010-04-20 2010-04-20 모바일 단말기용 스케줄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KR201101168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524A KR20110116863A (ko) 2010-04-20 2010-04-20 모바일 단말기용 스케줄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524A KR20110116863A (ko) 2010-04-20 2010-04-20 모바일 단말기용 스케줄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863A true KR20110116863A (ko) 2011-10-26

Family

ID=45031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6524A KR20110116863A (ko) 2010-04-20 2010-04-20 모바일 단말기용 스케줄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68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6261A1 (ko) * 2015-05-20 2016-11-24 주식회사 코노랩스 일정에 관한 알림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6261A1 (ko) * 2015-05-20 2016-11-24 주식회사 코노랩스 일정에 관한 알림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1890B2 (en) Electronic device, server, and control method a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the electronic device
US11521499B2 (en) Interactive and customizable flight planning tool
US9377319B2 (en) Estimating times to leave and to travel
US9488487B2 (en) Route detection in a trip-oriented message data communications system
WO2017193515A1 (zh) 用于推送通知的方法、装置、移动终端及图形用户界面
US20120316772A1 (en)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planning route thereof
US20150002539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isplaying perspective street view map
KR20130017179A (ko)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759657B1 (ko)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US2023015336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10116863A (ko) 모바일 단말기용 스케줄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JP5956120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10631137B2 (en) Client, server, and information sharing system
KR100961471B1 (ko) 경로 맵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WO2014206076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isplaying perspective street view map
CN109408673B (zh) 地图管理方法和管理平台
KR101632703B1 (ko) 실시간 교통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일정 알림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12053665A (ja) スコープ指定によるpoi情報検索端末及びpoi情報検索システム
Schlachter et al. “My Environment”–A Dashboard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on Mobile Devices
US2020007485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20071618A (ja)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520535B2 (ja) 情報配信方法、情報配信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配信装置
JP2014178260A (ja) ログ情報公開システム、ログ情報公開装置、ログ情報公開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50025914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치기반 여행 노트 작성 및 관리 방법
KR20210109759A (ko) 차량용 컨텐츠 기반 경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