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5001A -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5001A
KR20170035001A KR1020150133447A KR20150133447A KR20170035001A KR 20170035001 A KR20170035001 A KR 20170035001A KR 1020150133447 A KR1020150133447 A KR 1020150133447A KR 20150133447 A KR20150133447 A KR 20150133447A KR 20170035001 A KR20170035001 A KR 20170035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unit
current
value
vehicl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3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3379B1 (ko
Inventor
김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50133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3379B1/ko
Priority to DE102016011362.6A priority patent/DE102016011362B4/de
Priority to US15/272,377 priority patent/US10011252B2/en
Priority to CN201610844678.7A priority patent/CN106985808B/zh
Publication of KR20170035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2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vehicle inclination or change of direction, e.g. negotiating bends
    • B60T8/245Longitudinal vehicle incl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2Determining control parameters used in the regulation, e.g. by calculations involving measured or detected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62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characterised by specified functions of the control system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60T17/221Procedure or apparatus for checking or keeping in a correct functioning condition of brak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60T7/12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for locking of revers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2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vehicle inclination or change of direction, e.g. negotiating b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5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means for changing the coefficient of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06Hill holder; Start aid systems on inclined r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6/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working conditions, e.g. wear, temperature
    • F16D2066/001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브레이크 동작(apply)시에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브레이크 장치와 브레이크 마찰재간의 제 1 현재 열에너지 산출 정보를 입력받고, 브레이크 해제(release)시에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브레이크 장치와 브레이크 마찰재간의 제 2 현재 열에너지 산출 정보를 입력받으며,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현재 경사도 값을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된 제동 압력 값과 브레이크 마찰재의 마찰 계수 값 및 바퀴의 속도 값을 포함하는 제 1 현재 열에너지 산출 정보, 및 대기 온도 값과 브레이크 장치의 온도 값 및 바퀴의 속도 값을 포함하는 제 2 현재 열에너지 산출 정보간의 차이 정보를 기초로 현재 브레이크 장치의 온도 값을 추정하는 추정부; 추정된 현재 브레이크 장치의 온도 값 및 현재 경사도 값에 따라 설정된 목표 제동력 값에 맞춰 다시 체결(Re-clamping force)하도록 브레이크 장치와 브레이크 마찰재간의 제동력을 보상시키는 보상부; 및 제 1 현재 열에너지 산출 정보와 제 2 현재 열에너지 산출 정보 및 현재 경사도 값을 공급받고, 추정부에 추정 명령을 전달하며, 보상부에 보상 명령을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브레이크 장치는 주차시 또는 정차시의 차량을 제동하도록 제공되었다.
그런데, 종래 브레이크 장치는 경사도 상황에서의 주차시 또는 정차시에, 시간의 흐름에 따라 주차력 또는 정차력이 떨어지므로, 주차 기능 또는 정차 기능을 효율적으로 유지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종래 브레이크 장치는 주차 이후 또는 정차 이후에 주차 상태 또는 정차 상태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주차의 편리함 또는 정차의 편리함을 향상시키는데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주차 이후 또는 정차 이후에 제동력을 보상시켜 제동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개선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 오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주차시 또는 정차시의 현재 제동 상태에 대한 불안감을 억제시키면서 주차의 편리함 또는 정차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개선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 오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운전자에게 현재 주차 상태 또는 현재 정차 상태가 불안정함을 식별시켜 초기 대응을 빠르게 하며, 운전자에게 현재 주차 상태 또는 현재 정차 상태가 안정함을 식별시켜 주차의 신뢰성 또는 정차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는 개선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 오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차량 유지 보수를 위한 유지 보수 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키면서, 교통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는 개선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 오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제동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주차시 또는 정차시의 현재 제동 상태에 대한 불안감을 억제시킬 수가 있는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주차의 편리함 또는 정차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초기 대응을 빠르게 할 수가 있는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주차의 신뢰성 또는 정차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유지 보수 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가 있는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유지 보수 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키면서, 교통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는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브레이크 동작(apply)시에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브레이크 장치와 브레이크 마찰재간의 제 1 현재 열에너지 산출 정보를 입력받고, 브레이크 해제(release)시에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브레이크 장치와 브레이크 마찰재간의 제 2 현재 열에너지 산출 정보를 입력받으며,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현재 경사도 값을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된 제동 압력 값과 브레이크 마찰재의 마찰 계수 값 및 바퀴의 속도 값을 포함하는 제 1 현재 열에너지 산출 정보, 및 대기 온도 값과 브레이크 장치의 온도 값 및 바퀴의 속도 값을 포함하는 제 2 현재 열에너지 산출 정보간의 차이 정보를 기초로 현재 브레이크 장치의 온도 값을 추정하는 추정부; 추정된 현재 브레이크 장치의 온도 값 및 현재 경사도 값에 따라 설정된 목표 제동력 값에 맞춰 다시 체결(Re-clamping force)하도록 브레이크 장치와 브레이크 마찰재간의 제동력을 보상시키는 보상부; 및 제 1 현재 열에너지 산출 정보와 제 2 현재 열에너지 산출 정보 및 현재 경사도 값을 공급받고, 추정부에 추정 명령을 전달하며, 보상부에 보상 명령을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브레이크 장치는 디스크 브레이크와 드럼 브레이크중 적어도 하나일 수가 있다.
또한, 브레이크 마찰재는 브레이크 패드와 브레이크 라이닝중 적어도 하나일 수가 있다.
또한, 브레이크 동작(apply) 모드시에, 현재 브레이크 상태가 차량의 정차 상태 또는 주차 상태를 유지하지 않으면, 현재 브레이크 상태가 불안정함을 식별시키는 식별부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목표 제동력 값에 맞춰 다시 체결할 때에, 현재 브레이크 상태가 안정함을 식별시키는 식별부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운전자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하고, 브레이크 동작(apply) 모드시에, 현재 브레이크 상태가 차량의 정차 상태 또는 주차 상태를 유지하지 않으면, 현재 브레이크 상태가 불안정함을 운전자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식별하도록 운전자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통신 신호를 전달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운전자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하고, 목표 제동력 값에 맞춰 다시 체결할 때에, 현재 브레이크 상태가 안정함을 운전자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식별하도록 운전자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통신 신호를 전달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브레이크 장치는 이미 설정된 고유 번호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단말기와 통신하며, 목표 제동력 값에 맞춰 다시 체결하는 동작이 일정 시간 동안 일정 횟수의 범위를 벗어나면,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단말기에서 고유 번호를 소유한 해당 브레이크 장치로 출동하도록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단말기에 통신 신호를 전달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위성 항법 장치와 통신하고, 목표 제동력 값에 맞춰 다시 체결하는 동작이 일정 시간 동안 일정 횟수의 범위를 벗어나면, 위성 항법 장치에 의해 인근의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도록 위성 항법 장치에 통신 신호를 전달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검색된 인근의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위치 정보를 식별시키는 식별부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식별된 인근의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위치 정보중 원하는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위치 정보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선택된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해당 차량 유지 보수 센터에 도착시키도록 네비게이션 장치에 네비게이션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위성 항법 장치와 통신하고, 목표 제동력 값에 맞춰 다시 체결하는 동작이 일정 시간 동안 일정 횟수의 범위를 벗어나면, 위성 항법 장치에 의해 검색된 인근의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검색된 인근의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출동 명령에 대한 수락 여부 정보를 식별시키는 식별부를 더 포함하고; 식별된 출동 명령에 대한 수락 여부 정보중 출동 명령을 요청하도록 선택하거나, 출동 명령을 요청하지 않도록 선택하는 선택부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브레이크 동작(apply)시에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브레이크 장치와 브레이크 마찰재간의 제 1 현재 열에너지 산출 정보를 입력받고, 브레이크 해제(release)시에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브레이크 장치와 브레이크 마찰재간의 제 2 현재 열에너지 산출 정보를 입력받는 제 1 입력 단계; 입력된 제동 압력 값과 브레이크 마찰재의 마찰 계수 값 및 바퀴의 속도 값을 포함하는 제 1 현재 열에너지 산출 정보, 및 대기 온도 값과 브레이크 장치의 온도 값 및 바퀴의 속도 값을 포함하는 제 2 현재 열에너지 산출 정보간의 차이 정보를 기초로 현재 브레이크 장치의 온도 값을 추정하는 추정 단계;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현재 경사도 값을 입력받는 제 2 입력 단계; 및 추정된 현재 브레이크 장치의 온도 값 및 현재 경사도 값에 따라 설정된 목표 제동력 값에 맞춰 다시 체결(Re-clamping force)하도록 브레이크 장치와 브레이크 마찰재간의 제동력을 보상시키는 보상 단계를 포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제동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주차시 또는 정차시의 현재 제동 상태에 대한 불안감을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주차의 편리함 또는 정차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초기 대응을 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주차의 신뢰성 또는 정차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유지 보수 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유지 보수 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키면서, 교통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가 브레이크 장치 및 브레이크 마찰재와 감지 장치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차량 제어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보상부에 t1 ~ tx 시점 동안의 온도 값 및 현재 경사도 값에 따라 설정된 목표 제동력 값을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가 브레이크 장치 및 브레이크 마찰재와 감지 장치에 연결되고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는 상태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차량 제어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가 브레이크 장치 및 브레이크 마찰재와 감지 장치에 연결되고 단말기와 통신하는 상태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차량 제어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가 브레이크 장치 및 브레이크 마찰재와 감지 장치에 연결되고 위성 항법 장치와 통신하는 상태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차량 제어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가 브레이크 장치와 브레이크 마찰재 및 감지 장치에 연결되고 네비게이션 장치 및 위성 항법 장치와 통신하는 상태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한 차량 제어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가 브레이크 장치와 브레이크 마찰재 및 감지 장치에 연결되고 단말기 및 위성 항법 장치와 통신하는 상태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2는 도 21에 도시한 차량 제어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가 브레이크 장치 및 브레이크 마찰재와 감지 장치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차량 제어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보상부에 t1 ~ tx 시점 동안의 온도 값 및 현재 경사도 값에 따라 설정된 목표 제동력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는 입력부(102)와 추정부(104) 및 보상부(106)와 제어부(108)를 포함한다.
입력부(102)는 브레이크 동작(apply)시에 감지 장치(50)에서 감지한 브레이크 장치(10)와 브레이크 마찰재(30)간의 제 1 현재 열에너지 산출 정보를 입력받는다.
또한, 입력부(102)는 브레이크 해제(release)시에 감지 장치(50)에서 감지한 브레이크 장치(10)와 브레이크 마찰재(30)간의 제 2 현재 열에너지 산출 정보를 입력받는다.
또한, 입력부(102)는 감지 장치(50)에서 감지한 현재 경사도 값을 입력받는다.
이때, 입력부(102)는 감지 장치(50)에서 감지한 주차 상태 또는 정차 상태의 현재 경사도 값을 입력받을 수가 있다.
여기서, 제 1 현재 열에너지 산출 정보는 제동 압력 값과 브레이크 마찰재(30)의 마찰 계수 값 및 바퀴의 속도 값을 포함할 수가 있고, 바퀴의 반지름 값 및 디스크의 반지름 값과 브레이크 마찰재(30)의 면적 값 및 브레이크 장치(10)의 질량 값과 브레이크 장치(10) 재료의 열 특성 계수 값을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제 2 현재 열에너지 산출 정보는 대기 온도 값과 브레이크 장치(10)의 온도 값 및 바퀴의 속도 값을 포함할 수가 있고, 브레이크 장치(10)의 면적 값과 브레이크 장치(10)의 질량 값 및 브레이크 장치(10) 재료의 열 특성 계수 값을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브레이크 장치(1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크 브레이크(미도시)와 드럼 브레이크(미도시)중 적어도 하나일 수가 있고, 브레이크 마찰재(3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브레이크 패드(미도시)와 브레이크 라이닝(미도시)중 적어도 하나일 수가 있다.
추정부(104)는 입력부(102)에 입력된 제 1 현재 열에너지 산출 정보 및 제 2 현재 열에너지 산출 정보간의 차이 정보를 기초로 현재 브레이크 장치(10)의 온도 값을 제어부(108)의 제어에 따라 추정한다.
보상부(106)는 추정부(104)에 의해 추정된 현재 브레이크 장치(10)의 온도 값 및 현재 경사도 값에 따라 설정된 목표 제동력 값(TB)에 맞춰 다시 체결(Re-clamping force)하도록 브레이크 장치(10)와 브레이크 마찰재(30)간의 제동력을 제어부(108)의 제어에 따라 보상시킨다.
일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 제동력 값(TB)은 t1 ~ t2 시점 동안의 온도 값 및 현재 경사도 값에 따라 1회 다시 체결할 필요가 있는 상태(1st Apply)일 수가 있고, t2 ~ t3 시점 동안의 온도 값 및 현재 경사도 값에 따라 2회 다시 체결할 필요가 있는 상태(2nd Apply)일 수가 있으며, t3 ~ tx 시점에서의 온도 값 및 현재 경사도 값에 따라 3회 다시 체결할 필요가 있는 상태(3nd Apply)일 수가 있다.
제어부(108)는 입력부(102)로부터 출력되는 제 1 현재 열에너지 산출 정보와 제 2 현재 열에너지 산출 정보 및 현재 경사도 값을 공급받고, 추정부(104)에 추정 명령을 전달하며, 보상부(106)에 보상 명령을 전달한다.
이때, 입력부(102)와 추정부(104) 및 보상부(106)와 제어부(108)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차량에 적용되는 메인 컴퓨터로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입력 및 현재 브레이크 장치(10)의 온도 값을 추정하면서 브레이크 장치(10)와 브레이크 마찰재(30)간의 제동력을 보상시키기 위한 통상적인 ECU(Electric Control Unit, 미도시)에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입력부(102)와 추정부(104) 및 보상부(106)와 제어부(108)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단일 칩 내부에 프로세서와 메모리 및 입출력 장치를 갖춰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입력 및 현재 브레이크 장치(10)의 온도 값을 추정하면서 브레이크 장치(10)와 브레이크 마찰재(30)간의 제동력을 보상시키기 위한 통상적인 MCU(Micro Control Unit, 미도시)에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입력부(102)와 추정부(104) 및 보상부(106)와 제어부(108)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차량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입력 및 현재 브레이크 장치(10)의 온도 값을 추정하면서 브레이크 장치(10)와 브레이크 마찰재(30)간의 제동력을 보상시킬 수 있는 모든 제어 수단과 입력 수단 및 추정 수단과 보상 수단이면 가능하다.
여기서, 입력부(102)와 추정부(104) 및 보상부(106)와 제어부(108)는 통합형으로 ECU(미도시) 또는 MCU(미도시)에 제공될 수가 있고, 분리형으로 ECU(미도시) 또는 MCU(미도시)에 제공될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를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차량 제어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 도 4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2의 100)의 차량 제어 방법(400)은 제 1 입력 단계(S402)와 추정 단계(S404) 및 제 2 입력 단계(S406)와 보상 단계(S408)를 포함한다.
먼저, 제 1 입력 단계(S402)는 브레이크 동작(apply)시에 감지 장치(도2의 50)에서 감지한 브레이크 장치(도2의 10)와 브레이크 마찰재(도2의 30)간의 제 1 현재 열에너지 산출 정보를 입력부(도2의 102)에서 입력받는다.
또한, 제 1 입력 단계(S402)는 브레이크 해제(release)시에 감지 장치(도2의 50)에서 감지한 브레이크 장치(도2의 10)와 브레이크 마찰재(도2의 30)간의 제 2 현재 열에너지 산출 정보를 입력부(도2의 102)에서 입력받는다.
여기서, 제 1 현재 열에너지 산출 정보는 제동 압력 값과 브레이크 마찰재(도2의 30)의 마찰 계수 값 및 바퀴의 속도 값을 포함할 수가 있고, 바퀴의 반지름 값 및 디스크의 반지름 값과 브레이크 마찰재(도2의 30)의 면적 값 및 브레이크 장치(도2의 10)의 질량 값과 브레이크 장치(도2의 10) 재료의 열 특성 계수 값을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제 2 현재 열에너지 산출 정보는 대기 온도 값과 브레이크 장치(도2의 10)의 온도 값 및 바퀴의 속도 값을 포함할 수가 있고, 브레이크 장치(도2의 10)의 면적 값과 브레이크 장치(도2의 10)의 질량 값 및 브레이크 장치(도2의 10) 재료의 열 특성 계수 값을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이 후, 추정 단계(S404)는 입력부(도2의 102)에 입력된 제 1 현재 열에너지 산출 정보 및 제 2 현재 열에너지 산출 정보간의 차이 정보를 기초로 현재 브레이크 장치(도2의 10)의 온도 값을 제어부(도2의 108)의 제어에 따라 추정부(도2의 104)에서 추정한다.
이 후, 제 2 입력 단계(S406)는 감지 장치(도2의 50)에서 감지한 현재 경사도 값을 입력부(도2의 102)에서 입력받는다.
이 후, 보상 단계(S408)는 추정부(도2의 104)에 의해 추정된 현재 브레이크 장치(도2의 10)의 온도 값 및 현재 경사도 값에 따라 보상부(도2의 106)에 이미 설정된 목표 제동력 값(도3의 TB)에 맞춰 다시 체결(Re-clamping force)하도록 브레이크 장치(도2의 10)와 브레이크 마찰재(도2의 30)간의 제동력을 제어부(도2의 108)의 제어에 따라 보상부(도2의 106)에서 보상시킨다.
일예로, 목표 제동력 값(도3의 TB)은 t1 ~ t2 시점 동안의 온도 값 및 현재 경사도 값에 따라 1회 다시 체결할 필요가 있는 상태(1st Apply)일 수가 있고, t2 ~ t3 시점 동안의 온도 값 및 현재 경사도 값에 따라 2회 다시 체결할 필요가 있는 상태(2nd Apply)일 수가 있으며, t3 ~ tx 시점에서의 온도 값 및 현재 경사도 값에 따라 3회 다시 체결할 필요가 있는 상태(3nd Apply)일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 및 그 제어 방법(400)은 입력부(102)와 추정부(104) 및 보상부(106)와 제어부(108)를 포함하여 제 1 입력 단계(S402)와 추정 단계(S404) 및 제 2 입력 단계(S406)와 보상 단계(S408)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 및 그 제어 방법(400)은 현재 브레이크 장치(10)의 온도 값 및 현재 경사도 값에 따라 목표 제동력 값(TB)에 맞춰 다시 체결하도록 브레이크 장치(10)와 브레이크 마찰재(30)간의 제동력을 보상시킬 수가 있으므로, 제동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500)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2의 100)와 동일하게 입력부(502)와 추정부(504) 및 보상부(506)와 제어부(508)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500)의 입력부(502)와 추정부(504) 및 보상부(506)와 제어부(508)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2의 100)의 입력부(도2의 102)와 추정부(도2의 104) 및 보상부(도2의 106)와 제어부(도2의 108)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500)는 식별부(510)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즉, 식별부(510)는 브레이크 동작(apply) 모드시에, 현재 브레이크 상태가 차량의 정차 상태 또는 주차 상태를 유지하지 않으면, 현재 브레이크 상태가 불안정함을 제어부(508)의 제어에 따라 식별시킨다.
또한, 식별부(510)는 보상부(506)에 의해 브레이크 장치(10)에서 목표 제동력 값(도3의 TB)에 맞춰 다시 체결할 때에, 현재 브레이크 상태가 안정함을 제어부(508)의 제어에 따라 식별시킨다.
이때, 식별부(51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운전자가 차량의 정보나 상태를 식별하기 위해 제공되는 경보기(미도시)와 스피커(미도시) 및 발광 부재(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경보기(미도시)의 경보 동작과 스피커(미도시)의 음성 동작 및 발광 부재(미도시)의 발광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해 현재 브레이크 상태가 불안정함과 현재 브레이크 상태가 안정함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임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식별부(51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저와 기계를 인터페이스시켜 운전자가 차량의 정보나 상태를 파악하도록 탑재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과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HMI 모듈(미도시)의 HMI 메시지 표시 동작 및 HUD 모듈(미도시)의 HUD 메시지 표시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해 현재 브레이크 상태가 불안정함과 현재 브레이크 상태가 안정함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임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500)를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차량 제어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 도 6 및 도 7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5의 500)의 차량 제어 방법(600, 700)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2의 100)의 차량 제어 방법(도4의 400)과 동일하게 제 1 입력 단계(S602, S702)와 추정 단계(S604, S704) 및 제 2 입력 단계(S606, S706)와 보상 단계(S608, S708)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5의 500)의 차량 제어 방법(600, 700)중 제 1 입력 단계(S602, S702)와 추정 단계(S604, S704) 및 제 2 입력 단계(S606, S706)와 보상 단계(S608, S708)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2의 100)의 차량 제어 방법(도4의 400)중 제 1 입력 단계(도4의 S402)와 추정 단계(도4의 S404) 및 제 2 입력 단계(도4의 S406)와 보상 단계(도4의 S408)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이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5의 500)의 차량 제어 방법(600)은 제 1 식별 단계(S601)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일예로, 제 1 식별 단계(S601)는 제 1 입력 단계(S602) 이전에 수행할 수가 있다.
이러한, 제 1 식별 단계(S601)는 브레이크 동작(apply) 모드시에, 현재 브레이크 상태가 차량의 정차 상태 또는 주차 상태를 유지하지 않으면, 현재 브레이크 상태가 불안정함을 제어부(도5의 508)의 제어에 따라 식별부(도5의 510)에서 식별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5의 500)의 차량 제어 방법(700)은 제 2 식별 단계(S710)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일예로, 제 2 식별 단계(S710)는 보상 단계(S708) 이후에 수행할 수가 있다.
이러한, 제 2 식별 단계(S710)는 보상부(도5의 506)에 의해 브레이크 장치(도5의 10)에서 목표 제동력 값(도3의 TB)에 맞춰 다시 체결할 때에, 현재 브레이크 상태가 안정함을 제어부(도5의 508)의 제어에 따라 식별부(도5의 510)에서 식별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500) 및 그 제어 방법(600, 700)은 입력부(502)와 추정부(504) 및 보상부(506)와 제어부(508) 및 식별부(510)를 포함하여 제 1 식별 단계(S601) 및 제 1 입력 단계(S602, S702)와 추정 단계(S604, S704) 및 제 2 입력 단계(S606, S706)와 보상 단계(S608, S708) 및 제 2 식별 단계(S710)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500) 및 그 제어 방법(600, 700)은 현재 브레이크 장치(10)의 온도 값 및 현재 경사도 값에 따라 목표 제동력 값(TB)에 맞춰 다시 체결하도록 브레이크 장치(10)와 브레이크 마찰재(30)간의 제동력을 보상시킬 수가 있으므로, 제동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500) 및 그 제어 방법(600, 700)은 목표 제동력 값(TB)에 맞춰 다시 체결할 때에, 현재 브레이크 상태가 안정함을 식별시킬 수가 있으므로, 주차시 또는 정차시의 현재 제동 상태에 대한 불안감을 억제시킬 수가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가 브레이크 장치 및 브레이크 마찰재와 감지 장치에 연결되고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는 상태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차량 제어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800)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2의 100)와 동일하게 입력부(802)와 추정부(804) 및 보상부(806)와 제어부(808)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800)의 입력부(802)와 추정부(804) 및 보상부(806)와 제어부(808)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2의 100)의 입력부(도2의 102)와 추정부(도2의 104) 및 보상부(도2의 106)와 제어부(도2의 108)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800)는 통신부(812)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즉, 통신부(812)는 제어부(808)의 제어에 따라 운전자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20)와 통신하고, 브레이크 동작(apply) 모드시에, 현재 브레이크 상태가 차량의 정차 상태 또는 주차 상태를 유지하지 않으면, 현재 브레이크 상태가 불안정함을 운전자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20)에서 식별하도록 운전자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20)에 통신 신호를 전달할 수가 있다.
또한, 통신부(812)는 제어부(808)의 제어에 따라 운전자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20)와 통신하고, 보상부(806)에 의해 브레이크 장치(10)에서 목표 제동력 값(도3의 TB)에 맞춰 다시 체결할 때에, 현재 브레이크 상태가 안정함을 운전자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20)에서 식별하도록 운전자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20)에 통신 신호를 전달할 수가 있다.
여기서, 통신부(812)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Bluetooth 모듈(미도시)과 Wi-Fi 모듈(미도시) 및 Zigbee 모듈(미도시)과 Wibro 모듈(미도시) 및 Wi-Max 모듈(미도시)과 LTE 모듈(미도시) 및 LTE Advanced 모듈(미도시)과 Li-Fi 모듈(미도시) 및 Beacon 모듈(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20)와 통신을 수행할 수가 있다.
이때,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2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PDA(미도시)와 스마트폰(미도시) 및 태블릿 PC(미도시)와 휴대폰(미도시) 및 노트북(미도시)중 어느 하나일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800)를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차량 제어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 도 10 및 도 11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9의 800)의 차량 제어 방법(1000, 1100)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2의 100)의 차량 제어 방법(도4의 400)과 동일하게 제 1 입력 단계(S1002, S1102)와 추정 단계(S1004, S1104) 및 제 2 입력 단계(S1006, S1106)와 보상 단계(S1008, S1108)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9의 800)의 차량 제어 방법(1000, 1100)중 제 1 입력 단계(S1002, S1102)와 추정 단계(S1004, S1104) 및 제 2 입력 단계(S1006, S1106)와 보상 단계(S1008, S1108)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2의 100)의 차량 제어 방법(도4의 400)중 제 1 입력 단계(도4의 S402)와 추정 단계(도4의 S404) 및 제 2 입력 단계(도4의 S406)와 보상 단계(도4의 S408)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이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9의 800)의 차량 제어 방법(1000, 1100)은 제 1 통신 단계(S1001)와 제 2 통신 단계(S1110)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일예로, 제 1 통신 단계(S1001)는 제 1 입력 단계(S1002) 이전에 수행할 수가 있다.
이러한, 제 1 통신 단계(S1001)는 차량에 제공된 제어부(도9의 808)의 제어에 따라 운전자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도9의 20)와 통신하고, 브레이크 동작(apply) 모드시에, 현재 브레이크 상태가 차량의 정차 상태 또는 주차 상태를 유지하지 않으면, 현재 브레이크 상태가 불안정함을 운전자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도9의 20)에서 식별하도록 운전자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도9의 20)에 통신 신호를 전달할 수가 있다.
또한, 제 2 통신 단계(S1110)는 보상 단계(S1108) 이후에 수행할 수가 있다.
이러한, 제 2 통신 단계(S1110)는 차량에 제공된 제어부(도9의 808)의 제어에 따라 운전자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도9의 20)와 통신하고, 보상부(도9의 806)에 의해 브레이크 장치(도9의 10)에서 목표 제동력 값(도3의 TB)에 맞춰 다시 체결할 때에, 현재 브레이크 상태가 안정함을 운전자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도9의 20)에서 식별하도록 운전자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도9의 20)에 통신 신호를 전달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800) 및 그 제어 방법(1000, 1100)은 입력부(802)와 추정부(804) 및 보상부(806)와 제어부(808) 및 통신부(812)를 포함하여 제 1 통신 단계(S1001) 및 제 1 입력 단계(S1002, S1102)와 추정 단계(S1004, S1104) 및 제 2 입력 단계(S1006, S1106)와 보상 단계(S1008, S1108) 및 제 2 통신 단계(S1110)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800) 및 그 제어 방법(1000, 1100)은 현재 브레이크 장치(10)의 온도 값 및 현재 경사도 값에 따라 목표 제동력 값(TB)에 맞춰 다시 체결하도록 브레이크 장치(10)와 브레이크 마찰재(30)간의 제동력을 보상시킬 수가 있으므로, 제동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800) 및 그 제어 방법(1000, 1100)은 주차 이후 또는 정차 이후에 주차 상태 또는 정차 상태가 원활하게 이루어졌는지를 지속적으로 고민할 필요가 없으므로, 주차의 편리함 또는 정차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800) 및 그 제어 방법(1000, 1100)은 브레이크 동작(apply) 모드시에, 현재 브레이크 상태가 차량의 정차 상태 또는 주차 상태를 유지하지 않으면, 현재 브레이크 상태가 불안정함을 식별시킬 수가 있으므로, 운전자가 현재 주차 상태 또는 현재 정차 상태가 불안정함을 인지할 수가 있어 초기 대응을 빠르게 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800) 및 그 제어 방법(1000, 1100)은 목표 제동력 값(TB)에 맞춰 다시 체결할 때에, 현재 주차 상태 또는 현재 정차 상태가 안정함을 식별시킬 수가 있으므로, 운전자가 현재 주차 상태 또는 현재 정차 상태가 안정함을 인지할 수가 있어 주차의 신뢰성 또는 정차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가 브레이크 장치 및 브레이크 마찰재와 감지 장치에 연결되고 단말기와 통신하는 상태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차량 제어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200)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2의 100)와 동일하게 입력부(1202)와 추정부(1204) 및 보상부(1206)와 제어부(1208)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200)의 입력부(1202)와 추정부(1204) 및 보상부(1206)와 제어부(1208)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2의 100)의 입력부(도2의 102)와 추정부(도2의 104) 및 보상부(도2의 106)와 제어부(도2의 108)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 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200)의 브레이크 장치(10)는 이미 설정된 고유 번호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통신부(1212)는 제어부(1208)의 제어에 따라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단말기(40)와 통신하며, 보상부(1206)에 의해 브레이크 장치(10)에서 목표 제동력 값(도3의 TB)에 맞춰 다시 체결하는 동작이 일정 시간 동안 일정 횟수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제어부(1208)에서 판단하면,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단말기(40)에서 고유 번호를 소유한 해당 브레이크 장치(10)로 출동하도록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단말기(40)에 통신 신호를 전달할 수가 있다.
이때, 통신부(1212)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Bluetooth 모듈(미도시)과 Wi-Fi 모듈(미도시) 및 Zigbee 모듈(미도시)과 Wibro 모듈(미도시) 및 Wi-Max 모듈(미도시)과 LTE 모듈(미도시) 및 LTE Advanced 모듈(미도시)과 Li-Fi 모듈(미도시) 및 Beacon 모듈(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단말기(40)와 통신을 수행할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200)를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차량 제어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 도 14와 같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13의 1200)의 차량 제어 방법(1400)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2의 100)의 차량 제어 방법(도4의 400)과 동일하게 제 1 입력 단계(S1402)와 추정 단계(S1404) 및 제 2 입력 단계(S1406)와 보상 단계(S1408)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13의 1200)의 차량 제어 방법(1400)중 제 1 입력 단계(S1402)와 추정 단계(S1404) 및 제 2 입력 단계(S1406)와 보상 단계(S1408)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2의 100)의 차량 제어 방법(도4의 400)중 제 1 입력 단계(도4의 S402)와 추정 단계(도4의 S404) 및 제 2 입력 단계(도4의 S406)와 보상 단계(도4의 S408)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 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13의 1200)의 차량 제어 방법(1400)은 제 3 통신 단계(S1412)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일예로, 제 3 통신 단계(S1412)는 보상 단계(S1408) 이후에 수행할 수가 있다.
즉, 제 3 통신 단계(S1412)는 차량에 제공된 제어부(도13의 1208)의 제어에 따라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단말기(도13의 40)와 통신하고, 보상부(도13의 1206)에 의해 브레이크 장치(도13의 10)에서 목표 제동력 값(도3의 TB)에 맞춰 다시 체결하는 동작이 일정 시간 동안 일정 횟수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제어부(도13의 1208)에서 판단하면,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단말기(도13의 40)를 소유한 관리자가 고유 번호를 소유한 해당 브레이크 장치(도13의 10)로 출동하도록 제어부(도13의 1208)의 제어에 따라 통신부(도13의 1212)에서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단말기(도13의 40)에 통신 신호를 전달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200) 및 그 제어 방법(1400)은 입력부(1202)와 추정부(1204) 및 보상부(1206)와 제어부(1208) 및 통신부(1212)를 포함하여 제 1 입력 단계(S1402)와 추정 단계(S1404) 및 제 2 입력 단계(S1406)와 보상 단계(S1408) 및 제 3 통신 단계(S1412)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200) 및 그 제어 방법(1400)은 현재 브레이크 장치(10)의 온도 값 및 현재 경사도 값에 따라 목표 제동력 값(TB)에 맞춰 다시 체결하도록 브레이크 장치(10)와 브레이크 마찰재(30)간의 제동력을 보상시킬 수가 있으므로, 제동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200) 및 그 제어 방법(1400)은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단말기(40)를 소유한 관리자가 고유 번호를 소유한 해당 브레이크 장치(10)로 출동할 수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200) 및 그 제어 방법(1400)은 브레이크 장치(10)를 유지 보수 하기 위한 유지 보수 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가 있어 유지 보수 비용의 상승을 더욱 억제시킬 수가 있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가 브레이크 장치 및 브레이크 마찰재와 감지 장치에 연결되고 위성 항법 장치와 통신하는 상태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차량 제어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500)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2의 100)와 동일하게 입력부(1502)와 추정부(1504) 및 보상부(1506)와 제어부(1508) 및 식별부(1510)와 통신부(1512)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500)의 입력부(1502)와 추정부(1504) 및 보상부(1506)와 제어부(1508) 및 식별부(1510)와 통신부(1512)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2의 100)의 입력부(도2의 102)와 추정부(도2의 104) 및 보상부(도2의 106)와 제어부(도2의 108) 및 식별부(도2의 110)와 통신부(도2의 112)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 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500)는 통신부(1512)와 식별부(1510)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즉, 통신부(1512)는 제어부(1508)의 제어에 따라 위성 항법 장치(60)와 통신하고, 보상부(1506)에 의해 브레이크 장치(10)에서 목표 제동력 값(도3의 TB)에 맞춰 다시 체결하는 동작이 일정 시간 동안 일정 횟수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제어부(1508)에서 판단하면, 위성 항법 장치(60)에 의해 인근의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도록 제어부(1508)의 제어에 따라 위성 항법 장치(60)에 통신 신호를 전달할 수가 있다.
이때, 통신부(1512)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Bluetooth 모듈(미도시)과 Wi-Fi 모듈(미도시) 및 Zigbee 모듈(미도시)과 Wibro 모듈(미도시) 및 Wi-Max 모듈(미도시)과 LTE 모듈(미도시) 및 LTE Advanced 모듈(미도시)과 Li-Fi 모듈(미도시) 및 Beacon 모듈(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위성 항법 장치(60)와 통신을 수행할 수가 있다.
또한, 식별부(1510)는 위성 항법 장치(60)에 의해 검색된 인근의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위치 정보를 제어부(1508)의 제어에 따라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때, 식별부(151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저와 기계를 인터페이스시켜 운전자가 차량의 정보나 상태를 파악하도록 탑재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과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HMI 모듈(미도시)의 HMI 메시지 표시 동작 및 HUD 모듈(미도시)의 HUD 메시지 표시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해 검색된 인근의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위치 정보를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500)를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차량 제어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 도 17과 같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16의 1500)의 차량 제어 방법(1700)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2의 100)의 차량 제어 방법(도4의 400)과 동일하게 제 1 입력 단계(S1702)와 추정 단계(S1704) 및 제 2 입력 단계(S1706)와 보상 단계(S1708)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16의 1500)의 차량 제어 방법(1700)중 제 1 입력 단계(S1702)와 추정 단계(S1704) 및 제 2 입력 단계(S1706)와 보상 단계(S1708)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2의 100)의 차량 제어 방법(도4의 400)중 제 1 입력 단계(도4의 S402)와 추정 단계(도4의 S404) 및 제 2 입력 단계(도4의 S406)와 보상 단계(도4의 S408)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 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16의 1500)의 차량 제어 방법(1700)은 제 4 통신 단계(S1714)와 제 3 식별 단계(S1716)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일예로, 제 4 통신 단계(S1714)는 보상 단계(S1708) 이후에 수행할 수가 있고, 제 3 식별 단계(S1716)는 제 4 통신 단계(S1714) 이후에 수행할 수가 있다.
즉, 제 4 통신 단계(S1714)는 차량에 제공된 제어부(도16의 1508)의 제어에 따라 위성 항법 장치(도16의 60)와 통신하고, 보상부(도16의 1506)에 의해 브레이크 장치(도16의 10)에서 목표 제동력 값(도3의 TB)에 맞춰 다시 체결하는 동작이 일정 시간 동안 일정 횟수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제어부(도16의 1508)에서 판단하면, 위성 항법 장치(도16의 60)에 의해 인근의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도록 제어부(도16의 1508)의 제어에 따라 통신부(도16의 1512)에서 위성 항법 장치(도16의 60)에 통신 신호를 전달할 수가 있다.
이 후, 제 3 식별 단계(S1716)는 위성 항법 장치(도16의 60)에 의해 검색된 인근의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위치 정보를 제어부(도16의 1508)의 제어에 따라 식별부(도16의 1510)에서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500) 및 그 제어 방법(1700)은 입력부(1502)와 추정부(1504) 및 보상부(1506)와 제어부(1508) 및 식별부(1510)와 통신부(1512)를 포함하여 제 1 입력 단계(S1702)와 추정 단계(S1704) 및 제 2 입력 단계(S1706)와 보상 단계(S1708) 및 제 4 통신 단계(S1714)와 제 3 식별 단계(S1716)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500) 및 그 제어 방법(1700)은 현재 브레이크 장치(10)의 온도 값 및 현재 경사도 값에 따라 목표 제동력 값(TB)에 맞춰 다시 체결하도록 브레이크 장치(10)와 브레이크 마찰재(30)간의 제동력을 보상시킬 수가 있으므로, 제동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500) 및 그 제어 방법(1700)은 브레이크 장치(10)에서 목표 제동력 값(TB)에 맞춰 다시 체결하는 동작이 일정 시간 동안 일정 횟수의 범위를 벗어나면, 인근의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인근의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위치 정보를 식별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500) 및 그 제어 방법(1700)은 운전자가 손쉽게 차량 유지 보수 센터를 찾을 수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500) 및 그 제어 방법(1700)은 차량 유지 보수를 위한 유지 보수 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으므로 유지 보수 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키면서, 교통 사고의 발생을 더욱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가 브레이크 장치와 브레이크 마찰재 및 감지 장치에 연결되고 네비게이션 장치 및 위성 항법 장치와 통신하는 상태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고, 도 19는 도 18에 도시한 차량 제어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800)는 제 5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16의 1500)와 동일하게 입력부(1802)와 추정부(1804) 및 보상부(1806)와 제어부(1808) 및 식별부(1810)와 통신부(1812)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800)의 입력부(1802)와 추정부(1804) 및 보상부(1806)와 제어부(1808) 및 식별부(1810)와 통신부(1812)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5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16의 1500)의 입력부(도16의 1502)와 추정부(도16의 1504) 및 보상부(도16의 1506)와 제어부(도16의 1508) 및 식별부(도16의 1510)와 통신부(도16의 1512)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 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800)는 선택부(1814)와 구동부(1816)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즉, 선택부(1814)는 식별부(1810)로부터 식별된 인근의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위치 정보중 원하는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위치 정보를 선택할 수가 있다.
일예로, 선택부(1814)는 HMI 모듈(미도시)과 HUD 모듈(미도시)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표시되는 인근의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위치 정보중 원하는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위치 정보를 운전자의 손가락 터치 동작으로 선택할 수가 있다.
또한, 구동부(1816)는 선택부(1814)로부터 선택된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해당 차량 유지 보수 센터에 도착시키도록 제어부(1808)의 제어에 따라 네비게이션 장치(80)에 네비게이션 구동 신호를 전달할 수가 있다.
이때, 입력부(1802)와 추정부(1804) 및 보상부(1806)와 제어부(1808) 및 구동부(1816)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차량에 적용되는 메인 컴퓨터로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입력 및 현재 브레이크 장치(10)의 온도 값을 추정하면서 브레이크 장치(10)와 브레이크 마찰재(30)간의 제동력을 보상시키고 네비게이션 장치(80)에 네비게이션 구동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통상적인 ECU(Electric Control Unit, 미도시)에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입력부(1802)와 추정부(1804) 및 보상부(1806)와 제어부(1808) 및 구동부(1816)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단일 칩 내부에 프로세서와 메모리 및 입출력 장치를 갖춰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입력 및 현재 브레이크 장치(10)의 온도 값을 추정하면서 브레이크 장치(10)와 브레이크 마찰재(30)간의 제동력을 보상시키고 네비게이션 장치(80)에 네비게이션 구동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통상적인 MCU(Micro Control Unit, 미도시)에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입력부(1802)와 추정부(1804) 및 보상부(1806)와 제어부(1808) 및 구동부(1816)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차량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입력 및 현재 브레이크 장치(10)의 온도 값을 추정하면서 브레이크 장치(10)와 브레이크 마찰재(30)간의 제동력을 보상시키고 네비게이션 장치(80)에 네비게이션 구동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모든 제어 수단과 입력 수단 및 추정 수단과 보상 수단 및 구동 수단이면 가능하다.
여기서, 입력부(1802)와 추정부(1804) 및 보상부(1806)와 제어부(1808) 및 구동부(1816)는 통합형으로 ECU(미도시) 또는 MCU(미도시)에 제공될 수가 있고, 분리형으로 ECU(미도시) 또는 MCU(미도시)에 제공될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800)를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차량 제어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 도 20과 같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19의 1800)의 차량 제어 방법(2000)은 제 5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16의 1500)의 차량 제어 방법(도17의 1700)과 동일하게 제 1 입력 단계(S2002)와 추정 단계(S2004) 및 제 2 입력 단계(S2006)와 보상 단계(S2008) 및 제 4 통신 단계(S2014)와 제 3 식별 단계(S2016)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19의 1800)의 차량 제어 방법(2000)중 제 1 입력 단계(S2002)와 추정 단계(S2004) 및 제 2 입력 단계(S2006)와 보상 단계(S2008) 및 제 4 통신 단계(S2014)와 제 3 식별 단계(S2016)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5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16의 1500)의 차량 제어 방법(도17의 1700)중 제 1 입력 단계(도17의 S1702)와 추정 단계(도17의 S1704) 및 제 2 입력 단계(도17의 S1706)와 보상 단계(도17의 S1708) 및 제 4 통신 단계(도17의 S1714)와 제 3 식별 단계(도17의 S1716)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 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19의 1800)의 차량 제어 방법(2000)은 제 1 선택 단계(S2018)와 구동 단계(S2020)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일예로, 제 1 선택 단계(S2018)는 제 3 식별 단계(S2016) 이후에 수행할 수가 있고, 구동 단계(S2020)는 제 1 선택 단계(S2018) 이후에 수행할 수가 있다.
즉, 제 1 선택 단계(S2018)는 식별부(도19의 1810)로부터 식별된 인근의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위치 정보중 원하는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위치 정보를 선택부(도19의 1814)에서 선택할 수가 있다.
이 후, 구동 단계(S2020)는 선택부(도19의 1814)로부터 선택된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해당 차량 유지 보수 센터에 도착시키도록 제어부(도19의 1808)의 제어에 따라 구동부(도19의 1816)에서 네비게이션 장치(도19의 80)에 네비게이션 구동 신호를 전달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800) 및 그 차량 제어 방법(2000)은 입력부(1802)와 추정부(1804) 및 보상부(1806)와 제어부(1808) 및 식별부(1810)와 통신부(1812) 및 선택부(1814)와 구동부(1816)를 포함하여 제 1 입력 단계(S2002)와 추정 단계(S2004) 및 제 2 입력 단계(S2006)와 보상 단계(S2008) 및 제 4 통신 단계(S2014)와 제 3 식별 단계(S2016) 및 제 1 선택 단계(S2018)와 구동 단계(S2020)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800) 및 그 제어 방법(2000)은 현재 브레이크 장치(10)의 온도 값 및 현재 경사도 값에 따라 목표 제동력 값(TB)에 맞춰 다시 체결하도록 브레이크 장치(10)와 브레이크 마찰재(30)간의 제동력을 보상시킬 수가 있으므로, 제동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800) 및 그 제어 방법(2000)은 브레이크 장치(10)에서 목표 제동력 값(TB)에 맞춰 다시 체결하는 동작이 일정 시간 동안 일정 횟수의 범위를 벗어나면, 인근의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인근의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위치 정보를 식별시키며, 식별된 인근의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위치 정보중 원하는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위치 정보를 선택하고, 선택된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해당 차량 유지 보수 센터에 도착시킬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800) 및 그 제어 방법(2000)은 운전자가 더욱 손쉽게 차량 유지 보수 센터를 찾을 수가 있고, 원하는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위치에 도착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800) 및 그 제어 방법(2000)은 차량 유지 보수를 위한 유지 보수 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가 있으므로 유지 보수 비용의 상승을 더욱 억제시키면서, 교통 사고의 발생을 더욱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가 브레이크 장치와 브레이크 마찰재 및 감지 장치에 연결되고 단말기 및 위성 항법 장치와 통신하는 상태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고, 도 22는 도 21에 도시한 차량 제어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2100)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2의 100)와 동일하게 입력부(2102)와 추정부(2104) 및 보상부(2106)와 제어부(2108)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2100)의 입력부(2102)와 추정부(2104) 및 보상부(2106)와 제어부(2108)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2의 100)의 입력부(도2의 102)와 추정부(도2의 104) 및 보상부(도2의 106)와 제어부(도2의 108)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 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2100)는 통신부(2112)와 식별부(2110) 및 선택부(2114)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즉, 통신부(2112)는 제어부(2108)의 제어에 따라 위성 항법 장치(60)와 통신하고, 브레이크 장치(10)에서 목표 제동력 값(도3의 TB)에 맞춰 다시 체결하는 동작이 일정 시간 동안 일정 횟수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제어부(2108)에서 판단하면, 제어부(2108)의 제어에 따라 위성 항법 장치(60)에 의해 검색된 인근의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단말기(40)와 통신할 수가 있다.
이때, 통신부(2112)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Bluetooth 모듈(미도시)과 Wi-Fi 모듈(미도시) 및 Zigbee 모듈(미도시)과 Wibro 모듈(미도시) 및 Wi-Max 모듈(미도시)과 LTE 모듈(미도시) 및 LTE Advanced 모듈(미도시)과 Li-Fi 모듈(미도시) 및 Beacon 모듈(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위성 항법 장치(60) 및 단말기(40)와 통신을 수행할 수가 있다.
또한, 식별부(2110)는 위성 항법 장치(60)에 의해 검색된 인근의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단말기(40)로부터 요청된 출동 명령에 대한 수락 여부 정보를 제어부(2108)의 제어에 따라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때, 식별부(211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저와 기계를 인터페이스시켜 운전자가 차량의 정보나 상태를 파악하도록 탑재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과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HMI 모듈(미도시)의 HMI 메시지 표시 동작 및 HUD 모듈(미도시)의 HUD 메시지 표시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해 검색된 인근의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단말기(40)로부터 요청된 출동 명령에 대한 수락 여부 정보를 식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선택부(2114)는 식별부(2110)로부터 식별된 출동 명령에 대한 수락 여부 정보중 출동 명령을 요청하도록 선택하거나, 출동 명령을 요청하지 않도록 선택할 수가 있다.
일예로, 선택부(2114)는 HMI 모듈(미도시)과 HUD 모듈(미도시)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표시되는 출동 명령에 대한 수락 여부 정보중 출동 명령을 요청하도록 운전자의 손가락 터치 동작으로 선택하거나, 출동 명령을 요청하지 않도록 운전자의 손가락 터치 동작으로 선택할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2100)를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차량 제어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 도 23과 같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22의 2100)의 차량 제어 방법(2300)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2의 100)의 차량 제어 방법(도4의 400)과 동일하게 제 1 입력 단계(S2302)와 추정 단계(S2304) 및 제 2 입력 단계(S2306)와 보상 단계(S2308)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22의 2100)의 차량 제어 방법(2300)중 제 1 입력 단계(S2302)와 추정 단계(S2304) 및 제 2 입력 단계(S2306)와 보상 단계(S2308)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2의 100)의 차량 제어 방법(도4의 400)중 제 1 입력 단계(도4의 S402)와 추정 단계(도4의 S404) 및 제 2 입력 단계(도4의 S406)와 보상 단계(도4의 S408)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 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22의 2100)의 차량 제어 방법(2300)은 제 5 통신 단계(S2322)와 제 4 식별 단계(S2324) 및 제 2 선택 단계(S2326)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일예로, 제 5 통신 단계(S2322)는 보상 단계(S2308) 이후에 수행할 수가 있고, 제 4 식별 단계(S2324)는 제 5 통신 단계(S2322) 이후에 수행할 수가 있으며, 제 2 선택 단계(S2326)는 제 4 식별 단계(S2324) 이후에 수행할 수가 있다.
즉, 제 5 통신 단계(S2322)는 차량에 제공된 제어부(도22의 2108)의 제어에 따라 위성 항법 장치(도22의 60)와 통신하고, 브레이크 장치(10)에서 목표 제동력 값(도3의 TB)에 맞춰 다시 체결하는 동작이 일정 시간 동안 일정 횟수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제어부(도22의 2108)에서 판단하면, 제어부(도22의 2108)의 제어에 따라 통신부(도22의 2112)에서 위성 항법 장치(도22의 60)에 의해 검색된 인근의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단말기(도22의 40)와 통신할 수가 있다.
이 후, 제 4 식별 단계(S2324)는 위성 항법 장치(도22의 60)에 의해 검색된 인근의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단말기(도22의 40)로부터 요청된 출동 명령에 대한 수락 여부 정보를 제어부(도22의 2108)의 제어에 따라 식별부(도22의 2110)에서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 후, 제 2 선택 단계(S2326)는 식별부(도22의 2110)로부터 식별된 출동 명령에 대한 수락 여부 정보중 출동 명령을 요청하도록 선택부(도22의 2114)에서 선택하거나, 출동 명령을 요청하지 않도록 선택부(도22의 2114)에서 선택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2100) 및 그 제어 방법(2300)은 입력부(2102)와 추정부(2104) 및 보상부(2106)와 제어부(2108) 및 식별부(2110)와 통신부(2112) 및 선택부(2114)를 포함하여 제 1 입력 단계(S2302)와 추정 단계(S2304) 및 제 2 입력 단계(S2306)와 보상 단계(S2308) 및 제 5 통신 단계(S2322)와 제 4 식별 단계(S2324) 및 제 2 선택 단계(S2326)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2100) 및 그 제어 방법(2300)은 현재 브레이크 장치(10)의 온도 값 및 현재 경사도 값에 따라 목표 제동력 값(TB)에 맞춰 다시 체결하도록 브레이크 장치(10)와 브레이크 마찰재(30)간의 제동력을 보상시킬 수가 있으므로, 제동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2100) 및 그 제어 방법(2300)은 브레이크 장치(10)에서 목표 제동력 값(TB)에 맞춰 다시 체결하는 동작이 일정 시간 동안 일정 횟수의 범위를 벗어나면, 검색된 인근의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단말기(40)와 통신하고, 검색된 인근의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단말기(40)로부터 요청된 출동 명령에 대한 수락 여부 정보를 식별시키며, 식별된 출동 명령에 대한 수락 여부 정보중 출동 명령을 요청하거나 요청하지 않을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2100) 및 그 제어 방법(2300)은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단말기(40)를 소유한 관리자를 필요에 따라 출동 명령을 요청할 수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2100) 및 그 제어 방법(2300)은 차량 유지 보수를 위한 유지 보수 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가 있으므로 유지 보수 비용의 상승을 더욱 억제시키면서, 교통 사고의 발생을 더욱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Claims (12)

  1. 브레이크 동작(apply)시에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브레이크 장치와 브레이크 마찰재간의 제 1 현재 열에너지 산출 정보를 입력받고, 브레이크 해제(release)시에 상기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브레이크 장치와 브레이크 마찰재간의 제 2 현재 열에너지 산출 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현재 경사도 값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제동 압력 값과 브레이크 마찰재의 마찰 계수 값 및 바퀴의 속도 값을 포함하는 제 1 현재 열에너지 산출 정보, 및 대기 온도 값과 브레이크 장치의 온도 값 및 바퀴의 속도 값을 포함하는 제 2 현재 열에너지 산출 정보간의 차이 정보를 기초로 현재 브레이크 장치의 온도 값을 추정하는 추정부;
    상기 추정된 현재 브레이크 장치의 온도 값 및 상기 현재 경사도 값에 따라 설정된 목표 제동력 값에 맞춰 다시 체결(Re-clamping force)하도록 상기 브레이크 장치와 상기 브레이크 마찰재간의 제동력을 보상시키는 보상부; 및
    상기 제 1 현재 열에너지 산출 정보와 상기 제 2 현재 열에너지 산출 정보 및 상기 현재 경사도 값을 공급받고, 상기 추정부에 추정 명령을 전달하며, 상기 보상부에 보상 명령을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디스크 브레이크와 드럼 브레이크중 적어도 하나인 차량 제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마찰재는 브레이크 패드와 브레이크 라이닝중 적어도 하나인 차량 제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동작(apply) 모드시에, 현재 브레이크 상태가 차량의 정차 상태 또는 주차 상태를 유지하지 않으면, 현재 브레이크 상태가 불안정함을 식별시키는 식별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제동력 값에 맞춰 다시 체결할 때에, 현재 브레이크 상태가 안정함을 식별시키는 식별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운전자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하고, 상기 브레이크 동작(apply) 모드시에, 현재 브레이크 상태가 차량의 정차 상태 또는 주차 상태를 유지하지 않으면, 현재 브레이크 상태가 불안정함을 상기 운전자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식별하도록 상기 운전자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통신 신호를 전달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운전자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하고, 상기 목표 제동력 값에 맞춰 다시 체결할 때에, 현재 브레이크 상태가 안정함을 상기 운전자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식별하도록 상기 운전자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통신 신호를 전달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이미 설정된 고유 번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단말기와 통신하며, 상기 목표 제동력 값에 맞춰 다시 체결하는 동작이 일정 시간 동안 일정 횟수의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단말기에서 상기 고유 번호를 소유한 해당 브레이크 장치로 출동하도록 상기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단말기에 통신 신호를 전달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위성 항법 장치와 통신하고, 상기 목표 제동력 값에 맞춰 다시 체결하는 동작이 일정 시간 동안 일정 횟수의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위성 항법 장치에 의해 인근의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도록 상기 위성 항법 장치에 통신 신호를 전달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검색된 인근의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위치 정보를 식별시키는 식별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인근의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위치 정보중 원하는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위치 정보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해당 차량 유지 보수 센터에 도착시키도록 네비게이션 장치에 네비게이션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위성 항법 장치와 통신하고, 상기 목표 제동력 값에 맞춰 다시 체결하는 동작이 일정 시간 동안 일정 횟수의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위성 항법 장치에 의해 검색된 인근의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검색된 인근의 차량 유지 보수 센터의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출동 명령에 대한 수락 여부 정보를 식별시키는 식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별된 출동 명령에 대한 수락 여부 정보중 출동 명령을 요청하도록 선택하거나, 상기 출동 명령을 요청하지 않도록 선택하는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12. 브레이크 동작(apply)시에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브레이크 장치와 브레이크 마찰재간의 제 1 현재 열에너지 산출 정보를 입력받고, 브레이크 해제(release)시에 상기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브레이크 장치와 브레이크 마찰재간의 제 2 현재 열에너지 산출 정보를 입력받는 제 1 입력 단계;
    상기 입력된 제동 압력 값과 브레이크 마찰재의 마찰 계수 값 및 바퀴의 속도 값을 포함하는 제 1 현재 열에너지 산출 정보, 및 대기 온도 값과 브레이크 장치의 온도 값 및 바퀴의 속도 값을 포함하는 제 2 현재 열에너지 산출 정보간의 차이 정보를 기초로 현재 브레이크 장치의 온도 값을 추정하는 추정 단계;
    상기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현재 경사도 값을 입력받는 제 2 입력 단계; 및
    상기 추정된 현재 브레이크 장치의 온도 값 및 상기 현재 경사도 값에 따라 설정된 목표 제동력 값에 맞춰 다시 체결(Re-clamping force)하도록 상기 브레이크 장치와 상기 브레이크 마찰재간의 제동력을 보상시키는 보상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KR1020150133447A 2015-09-22 2015-09-22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73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447A KR102373379B1 (ko) 2015-09-22 2015-09-22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E102016011362.6A DE102016011362B4 (de) 2015-09-22 2016-09-20 Fahrzeugsteuerungsvorrichtung und steuerungsverfahren davon
US15/272,377 US10011252B2 (en) 2015-09-22 2016-09-21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610844678.7A CN106985808B (zh) 2015-09-22 2016-09-22 车辆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447A KR102373379B1 (ko) 2015-09-22 2015-09-22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001A true KR20170035001A (ko) 2017-03-30
KR102373379B1 KR102373379B1 (ko) 2022-03-11

Family

ID=58224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3447A KR102373379B1 (ko) 2015-09-22 2015-09-22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11252B2 (ko)
KR (1) KR102373379B1 (ko)
CN (1) CN106985808B (ko)
DE (1) DE102016011362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6355A (ko) * 2017-10-26 2019-05-07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57263B2 (en) * 2017-07-24 2019-10-29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Brake adjustment detection using WSS based thermal measurement
CN110630663B (zh) * 2019-09-20 2021-03-23 广州市李及李科技有限公司 预测刹车片磨损情况的方法及系统
US11358576B2 (en) * 2019-10-25 2022-06-14 Caterpillar Inc. Brake power derating
US11902894B2 (en) * 2020-12-10 2024-02-13 Nokia Technologies Oy Determining radio frequency (RF) conditions using sensing information
EP4166403A1 (en) 2021-10-14 2023-04-19 Hitachi, Ltd. Smart brake system and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3981A (ko) * 2013-05-13 2014-11-21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제동 장치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5020709A (ja) * 2013-07-23 2015-02-02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ブレーキ温度検出装置および電動駐車ブレーキ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63331B1 (es) * 2004-04-29 2007-11-01 Francisco Jav. Ruiz Martinez Mecanismo para la recuperacion de energia en forma de presion neumatica en vehiculos autopropulsados.
SE536326C2 (sv) * 2011-06-27 2013-08-20 Scania Cv Ab Bestämning av körmotstånd för ett fordon
US9493143B2 (en) * 2012-06-01 2016-11-15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locity of a vehicle
KR20150133447A (ko) 2014-05-20 2015-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N104442763B (zh) * 2014-11-20 2017-02-22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纯电动汽车的陡坡缓降系统及其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3981A (ko) * 2013-05-13 2014-11-21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제동 장치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5020709A (ja) * 2013-07-23 2015-02-02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ブレーキ温度検出装置および電動駐車ブレーキ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6355A (ko) * 2017-10-26 2019-05-07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3379B1 (ko) 2022-03-11
CN106985808A (zh) 2017-07-28
US10011252B2 (en) 2018-07-03
CN106985808B (zh) 2019-04-26
US20170080909A1 (en) 2017-03-23
DE102016011362A1 (de) 2017-03-23
DE102016011362B4 (de)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35001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209823B2 (en) Arranging passenger pickups for autonomous vehicles
US20210241188A1 (en) Vehicle ride sharing system and method using smart modules
US20230036199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wireless device application having vehicle interaction
KR101606365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902194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e planning incorporating charging needs
EP3441275B1 (en) Method, device, vehicle, and storage medium for vehicle control
US11074664B1 (en) Using UWB radio to execute a pedestrian-vehicle rendezvous
CN105574321B (zh) 用于动态目的地到达时间的更新的方法和设备
CN102300752A (zh) 用于第二通信装置检测及连接的系统和方法
JP2013225799A (ja) 走行規制プログラム、携帯端末、車両用装置、車両用通信システム
KR20100127499A (ko) 차량의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및 방법
US105551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able geofences working in conjunction with vehicles
JP2020140486A (ja) 車両運行管理システム
KR102460709B1 (ko) 스마트 표지병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TW201408994A (zh) 追蹤導航方法及系統
KR102007333B1 (ko) 차량 고장 판별 장치 및 차량 고장 판별 방법
KR20170049872A (ko) 타이어 압력 추정 장치 및 그 추정 방법
JP2020140718A (ja) 車両運行管理システムおよび車両運行管理方法
KR101734041B1 (ko) 압력 제어 장치 및 그 압력 제어 방법
KR20170009558A (ko) 차량간 블랙박스 영상을 공유하는 내비게이션 단말 장치
US20230391190A1 (en) Synchronized rendering
KR102061147B1 (ko) Epb 장치의 고장 판별 장치 및 그 고장 판별 방법
KR20170009400A (ko) 유압 판별 장치 및 그 유압 판별 방법
KR20170005577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