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4710A - 무게부담을 저감시킨 손수레 - Google Patents

무게부담을 저감시킨 손수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4710A
KR20170034710A KR1020150133365A KR20150133365A KR20170034710A KR 20170034710 A KR20170034710 A KR 20170034710A KR 1020150133365 A KR1020150133365 A KR 1020150133365A KR 20150133365 A KR20150133365 A KR 20150133365A KR 20170034710 A KR20170034710 A KR 20170034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pedestal
support
ground
vertic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3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1069B1 (ko
Inventor
주명준
Original Assignee
주명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명준 filed Critical 주명준
Priority to KR1020150133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069B1/ko
Publication of KR20170034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4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9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locking against movement by contacting the floor or a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10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wheel axles to increase st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에 물건이 적재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중심 선단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지지대; 및 상기 수직지지대와 연결되는 제1바퀴지지대와 결합하는 제1바퀴를 포함하고, 받침대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작아질 때, 받침대보다 먼저 지면에 닿는 브레이크패드; 및 받침대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지면과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제2바퀴조립체를 포함하는 손수레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게부담을 저감시킨 손수레{HANDCART REDUCING BURDEN OF WEIGHT}
본 발명은 무게부담을 저감시킨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건을 차량으로부터 근거리 운반하기 위해서 손수레 또는 카트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손수레 또는 카트는 통상적으로 한 쌍의 바퀴들과 이 바퀴들의 전방부에 화물이 적재되는 받침대가 구성되며, 그 뒤편으로 적재된 화물들을 지지하기 위한 수직지지대가 입설되어 있다. 이 수직지지대는 받침대와 대략 수직을 이루고 있으며, 그 상단부에는 손잡이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잡고 카트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매장 운영자는 소비자들이 쇼핑을 하는데 편리하도록 다양한 형태의 쇼핑카트를 사용하고 있는데, 일례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3-24447호에서는 유아용 시트 등받이가 필요 이상으로 젖혀지는 것을 차단하여 물품의 손상 및 유아의 부상을 방지하는 쇼핑카트도 개발되었다.
또한, 손수레 또는 카트는 통상적으로 물품을 담아 무게를 견디기 위해 금속재의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진다. 손수레 또는 카트는 다량의 무거운 상품을 싣고 이동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손수레 자체의 무게가 가벼워야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사용하기 편리하고, 무거운 짐을 싣고도 쉽게 끌 수 있는 손수레에 대해 필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휴대가 용이하고 무게부담을 저감시킨 손수레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이하, 본원에 기재된 다양한 구체예가 도면을 참조로 기재된다.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위해서, 다양한 특이적 상세사항, 예컨대, 특이적 형태, 조성물 및 공정 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정의 구체예는 이들 특이적 상세 사항 중 하나 이상을 함께 실행하지 않거나, 또는 다른 공지된 방법 및 형태와 함께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공지된 공정 및 제조 기술은 본 발명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특정의 상세사항으로 기재되지 않는다. "한 가지 구체예" 또는 "구체예"에 대한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한 참조는 구체예와 결부되어 기재된 특별한 특징, 형태, 조성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친 다양한 위치에서 표현된 "한 가지 구체예에서" 또는 "구체예"의 상황은 반드시 본 발명의 동일한 구체예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추가로, 특별한 특징, 형태, 조성,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서 어떠한 적합한 방법으로 조합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특별한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에 사용된 모든 과학적 및 기술적인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면에 물건이 적재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중심 선단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지지대; 및 상기 수직지지대와 연결되는 제1바퀴지지대와 결합하는 제1바퀴를 포함하고, 받침대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작아질 때, 받침대보다 먼저 지면에 닿는 브레이크패드; 및 받침대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지면과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제2바퀴조립체를 포함하는 손수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브레이크패드는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상기 수직지지대와 연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1바퀴의 곡률에 대향하도록 경사면을 갖고, 하면이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면과 직각을 이룬다. 또한, 상기 제2바퀴조립체는 나사 형상의 제1리테이너의 말단에 결합되는 각도조정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바퀴조립체는 상기 받침대와 연결되어 회동함으로써 각도를 조정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2바퀴조립체는 일측이 상기 받침대와 나사고정 결합하여 타측에 가이드홀을 구비하여 상기 제1리테이너가 삽입되어 상기 각도조정홀을 통과하는 지지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바는 상기 가이드홀 내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1리테이너는 말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와셔를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홀 내에서 상하로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레일, 제1연결축, 제2연결축, 연결부재, 및 제3바퀴를 포함하는 제3바퀴조립체를 상기 수직지지대에 수평 방향으로 추가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수직지지대와 연결되고, 상기 제1연결축 및 상기 제2연결축이 상기 가이드레일 상을 슬라이딩되고, 연결부재가 상기 제1연결축 및 상기 제2연결축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 및 고정하고, 제3바퀴는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하고 지면 상에서 회전한다.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서 회전 이동하는 가이드바퀴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바퀴와 상기 제1연결축 또는 상기 제2연결축을 연결하는 탄성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복수의 고정홀이 서로 이격되어 일렬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제어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리테이너가 상기 고정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서 상기 제1연결축 또는 상기 제2연결축의 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상기 탄성제어부는 내측에 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고정홀로부터 상기 제2리테이너를 삽입 또는 인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바퀴조립체는 손잡이에 회동에 의해 회전하는 잠금레버; 상기 잠금레버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잠금레버에 의해 일측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타측면이 톱니형상으로 형성되는 제어레버; 상기 제어레버의 회전에 의해 수축하고, 상기 제어레버의 상부에 위치하는 스프링; 상기 제어레버의 톱니형상과 맞물리려, 회전운동이 제어되는 톱니바퀴; 및 상기 톱니바퀴의 회전축을 공유하는 제2바퀴를 포함한다. 손잡이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잠금레버가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락을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패드는 내부에 스프링, 제4바퀴지지대, 및 제4바퀴를 추가로 포함하여, 손수레를 수직으로 세우는 경우, 상기 스프링이 완전 수축하여, 상기 브레이크패드의 내부에 상기 제4바퀴가 수용되어 상기 브레이크패드가 지면에 닿아 마찰력을 발생하고, 손수레를 기울여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스프링이 이완하여, 상기 브레이크패드의 외부로 상기 제4바퀴가 노출되어, 지면 상에서 회전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받침대의 일측 모서리에 수직으로 수직지지대를 설치하고, 수직지지대와 제1바퀴를 결합하는 단계, 브레이크패드를 받침대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작아질 때, 받침대보다 먼저 지면에 닿도록 설치하는 단계, 및 제2바퀴조립체를 받침대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지면과의 각도를 조정하도록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손수레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직지지대와 연결되고, 상기 제1연결축 및 상기 제2연결축이 상기 가이드레일 상을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제1연결축 및 상기 제2연결축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 및 고정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하고 지면 상에서 회전하는 제3바퀴를 설치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손수레를 기울여서 이동시 제2바퀴조립체를 지면에 닿도록 각도 조절 및 고정하고, 제3바퀴조립체를 지면에 닿도록 각도 조절 및 고정하고, 제1항에 따른 손수레를 수직으로 세울 때는 브레이크패드에 의해 정지되는 손수레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부담을 저감시킨 손수레는 받침대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작아질 때, 받침대보다 먼저 지면에 닿는 브레이크패드를 포함하여 정차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부담을 저감시킨 손수레는 각도조정홀 및 리테이너를 사용하여, 받침대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지면과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제2바퀴조립체를 포함하여 받침대 상의 물건의 하중 부담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부담을 저감시킨 손수레는 수직지지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는 제3바퀴조립체를 포함하여 수직지지대에 실린 하중 부담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게부담을 저감시킨 손수레는 톱니바퀴 및 레버를 사용하여, 받침대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지면과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제2바퀴조립체를 포함하여 받침대 상의 물건의 하중 부담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게부담을 저감시킨 손수레는 받침대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작아질 때, 받침대보다 먼저 지면에 닿는 브레이크패드를 포함하여 정차가 용이하며, 브레이크패드 내부에 스프링 및 바퀴를 구비함으로써 무게 분산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100)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100)의 제2바퀴각도조정부(120)를 회전 및 고정한 것을 묘시하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100)의 제2바퀴각도조정부(120), 지지바(130), 및 제1리테이너(140)를 도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100)의 제3바퀴조절부(150)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100)의 제3바퀴조절부(150)를 접었을 경우를 묘사하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100)의 제3바퀴조절부(150)를 묘사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100)의 제3바퀴조절부(150)를 구동방식을 묘사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200)의 제2바퀴각도조정부(220)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300)의 브레이크패드(310)의 구동방식을 묘사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400)의 브레이크패드(410)를 묘사하는 부분 측면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가 용이하고 무게부담을 저감시킨 손수레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실시예 1: 무게부담을 저감시킨 손수레(100)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부담을 저감시킨 손수레(100)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100)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100)의 제2바퀴각도조정부(120)를 회전 및 고정한 것을 묘시하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100)의 제2바퀴각도조정부(120), 지지바(130), 및 제1리테이너(140)를 도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100)의 제3바퀴조절부(150)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100)의 제3바퀴조절부(150)를 접었을 경우를 묘사하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100)의 제3바퀴조절부(150)를 묘사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100)는 수직지지대(10), 받침대(20), 제1바퀴지지대(30), 제1바퀴(40), 브레이크패드(110), 제2바퀴각도조정부(120), 지지바(130), 제1리테이너(140), 및 제3바퀴조절부(15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100)는 상면에 물건이 적재되는 받침대(20); 상기 받침대(20)의 중심 선단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지지대(10); 및 상기 받침대(20)와 연결하는 제1바퀴지지대(30)와 결합하는 제1바퀴(40)를 포함한다.
상기 브레이크패드(110)는 수직지지대(10)의 하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상기 수직지지대(10)와 연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1바퀴(40)의 곡률에 대향하도록 경사면을 갖고, 하면이 상기 수직지지대(10)의 하면과 직각을 이룬다. 상기 브레이크패드(110)는 받침대(20)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작아질 때, 받침대(20)보다 먼저 지면에 닿는다. 따라서, 상기 브레이크패드(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100)를 수직으로 세울 수 있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패드(110)는 무거운 물건이 적재된 상태에서, 기울였던 수직지지대(10)를 수직으로 세움으로써 손수레(100)를 정차시킬 때, 지면과의 마찰력이 작용하여 손수레(100)를 용이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바퀴각도조정부(120)는 조절케이스(121), 회전축(122), 각도조정홀(123), 제2바퀴지지대(124), 및 제2바퀴(125)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2바퀴각도조정부(120)는 받침대(20)와 연결되어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정차시, 수직지지대(10)를 지면과 수직하게 세워서 받침대(20)에 물건을 올릴 때, 무게 중심이 제2바퀴각도조정부(220)에 의해 수직지지대(10) 쪽으로 기울어지므로, 수직지지대(10) 밖으로 물건이 쏟아지는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바퀴각도조정부(120)는 받침대(20)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느끼는 손수레(200)의 하중 부담을 줄여줄 수 있다.
상기 조절케이스(121)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부채꼴 형상의 중심각 부위에 회전축(122)과 연결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조절케이스(121)은 호를 따라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각도조정홀(123)을 포함한다. 상기 조절케이스(121)은 회전축(12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어서, 받침대(20)와 제2바퀴각도조정부(120)가 이루는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22)은 조절케이스(121)의 중심각 부위의 구멍에 삽입 결합되어, 받침대(20)와 제2바퀴각도조정부(120)를 연결시켜준다. 상기 각도조정홀(123)은 조절케이스(121) 상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구멍으로서, 서로 이격되어 조절케이스(121)의 호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도조정홀(123)은 받침대(20)에 대한 제2바퀴각도조정부(120)의 각도를 조정하고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각도조정홀(123)은 제1리테이너(140)가 삽입된다.
상기 제2바퀴지지대(124)는 일단에 조절케이스(121)과 연결되고, 타단에 제2바퀴(125)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바퀴지지대(124)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받침대(20)의 측면 상에서 회전축(122)을 따라 상하 동작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바퀴지지대(124)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받침대(20)의 하면 중앙에 위치하여 회전축(122)을 따라 상하 동작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바퀴지지대(124)는 제2바퀴(125)와의 연결부위가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손수레(100)를 정차할 때에는 제2바퀴(125)를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바퀴(125)는 제2바퀴지지대(124)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제2바퀴지지대(124)의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130)는 제1리테이너(140)가 제2바퀴각도조정부(120) 및 지지바(130)에 동시에 관통하여 삽입되어, 제2바퀴각도조정부(120)의 회동에 대하여 조정될 각도로 고정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바(130)는 일측에 구멍이 형성되어, 고정나사(133)가 이 구멍을 통과하여 받침대(20) 상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지지바(130)는 타측에 가이드홀(131)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바(130)는 제1리테이너(140)가 가이드홀(131) 및 각도조정홀(123)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바(130)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은 고정나사(133)와 결합하고, 타측 하면이 받침대(20)와 접촉하고, 타측 상면이 제2바퀴각도조정부(120)와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지지바(130)는 구부러진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은 고정나사(133)와 결합하고, 타측 하면이 받침대(20)와 접촉된 제2바퀴각도조정부(120)와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3 참조). 상기 가이드홀(131)은 지지바(13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구멍으로, 내측면이 단차를 이루어 형성되어, 와셔(141)를 구비한 제1리테이너(140)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가이드홀(131)은 형상이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와셔(141)를 구비한 제1리테이너(140)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면 바람직하다.
제1리테이너(140)는 나사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손으로 잡아당겨 구멍에 용이하게 체결하도록 형성되고, 가이드홀(131)의 내측 상에서 상하 동작시 가이드홀(13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와셔(141)를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제1리테이너(140)는 가이드홀(131)을 통과하는 둘레면에 지지스프링(132)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스프링(132)은 제1리테이너(140)를 상하로 동작하여 각도조정홀(123)에 삽입 또는 인출할 때,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와셔(141)는 가이드홀(131) 내에 위치하도록 제1리테이너(140)의 측면에 형성되고, 지지스프링(132)의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수직지지대(10)의 상부에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작동레버를 장착할 수 있다. 제1리테이너(140)에 와이어나 로드를 연결하여, 작동레버를 통해 제1리테이너(140)를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3바퀴조절부(150)는 가이드레일(151), 제1연결축(152), 제2연결축(153), 연결부재(154), 제3바퀴(155), 가이드바퀴(156), 탄성제어부(157), 제2리테이너(158), 및 고정홀(159)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3바퀴조절부(150)는 수직지지대(10)와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제3바퀴조절부(150)는 수직지지대(10)를 기울여서 손수레(100)를 이동시킬 때, 수직지지대(10)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느끼는 손수레(100)의 하중 부담을 줄여줄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151)은 수직지지대(10)에 수평되도록 연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51)은 내부가 중공인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면 상에 레일홈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151)은 내측에 가이드바퀴(156)가 수용되어, 가이드레일(15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151)은 레일홈의 대향하는 측면에 복수개의 고정홀(159)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고정홀(159)은 레일홈에 대향하는 가이드레일(151) 측면 상에 형성된다. 상기 고정홀(159)은 복수개로 형성되어, 이들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바퀴(156)는 한쌍 또는 두쌍으로 형성되며, 각각 제1연결축(152) 또는 제2연결축(153)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바퀴(156)가 한쌍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제1연결축(152)에만 결합되고, 제2연결축(153)은 가이드레일(151) 일단에 고정되어 있어, 가이드레일(151) 상에서 제1연결축(152)만 이동 가능하다. 또는, 상기 가이드바퀴(156)가 두쌍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각각 제1연결축(152) 및 제2연결축(153)에 연결되어, 가이드레일(151) 상에서 제1연결축(152) 및 제2연결축(153)이 모두 이동 가능하다. 상기 제1연결축(152) 및 상기 제2연결축(153)이 가이드바퀴(156)를 통하여 상기 가이드레일(151) 상을 슬라이딩된다. 가이드레일(151) 상에서 회전 이동하는 가이드바퀴(156)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제1연결축(152)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은 가이드바퀴(156)와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연결부재(154)와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연결축(153)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은 가이드바퀴(156)와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가이드레일(151)의 일단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연결부재(154)와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연결축(152) 및 상기 제2연결축(153)은 가이드레일(151)과 함께 삼각형상을 형성하여, 손수레(100)가 기울어졌을 때, 지면에 닿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사용자의 하중 부담을 줄여줄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54)는 제1연결축(152) 및 제2연결축(153)의 일단에 결합되어 형성되고, 제1연결축(152) 및 제2연결축(153)이 회동하는 축으로 작용하여, 경첩과 같이 작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154)는 타측에 제3바퀴(155)와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154)는 내부에 제1연결축(152) 및 제2연결축(153)의 각도를 조절 및 고정하기 위한 락 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바퀴(155)는 상기 연결부재(154)와 결합하고 지면 상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탄성제어부(157)는 가이드바퀴(156)와 제1연결축(152) 또는 제2연결축(153)을 연결한다. 상기 탄성제어부(157)는 연결부재(154)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1연결축(152) 및 제2연결축(153)이 서로 대향하여 경첩과 같이 작동함으로써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제어부(157)는 가이드바퀴(156)의 내측면에 가이드바퀴(156)와 별개로 회전할 수 있는 원판형상의 부재와 연결되어 있고, 이 원판형상의 부재의 내부에 사각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사각형상의 홈에 스프링 및 탄성제어부(157)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탄성제어부(157)는 내측에 스프링을 포함하여, 고정홀(159)로부터 제2리테이너(158)를 탄성력에 의해 삽입 또는 인출할 수 있다.
상기 제2리테이너(158)는 상기 탄성제어부(157)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가이드레일(151)의 고정홀(159)에 삽입되어, 제1연결축(152) 또는 제2연결축(153)의 위치를 고정시켜준다. 상기 제2리테이너(158)는 제1연결축(152) 또는 제2연결축(153)을 연결부재(154) 방향으로 당겨, 탄성제어부(157)의 스프링이 완전 수축시켰을 때 고정홀(159)로부터 인출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 무게부담을 저감시킨 손수레(2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부담을 저감시킨 손수레(200)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200)의 제2바퀴각도조정부(220)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200)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수직지지대(10), 받침대(20), 제1바퀴지지대(30), 제1바퀴(40), 브레이크패드(110), 제2바퀴각도조정부(220), 및 제3바퀴조절부(15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200)는 도 1 내지 도 7에 따른 손수레(100)와, 제2바퀴각도조정부(220)의 구조가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200)는 제2바퀴각도조정부(22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손수레(200)는 도 1 내지 도 7에 따른 손수레(100)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2바퀴각도조정부(220)는 조절케이스(221), 제1톱니바퀴(222), 제2톱니바퀴(223), 제어레버(224), 잠금레버(225), 회전락(226), 및 스프링(227)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2바퀴각도조정부(220)는 받침대(20)와 연결되어 회동할 수 있다. 정차시, 수직지지대(10)를 지면과 수직하게 세워서 받침대(20)에 물건을 올릴 때, 무게 중심이 제2바퀴각도조정부(220)에 의해 수직지지대(10) 쪽으로 기울어지므로, 수직지지대(10) 밖으로 물건이 쏟아지는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바퀴각도조정부(220)는 받침대(20)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느끼는 손수레(200)의 하중 부담을 줄여줄 수 있다. 상기 제2바퀴각도조정부(220)는 손잡이(225a)를 회동하여 회전축(223a)에 다중단계의 제어가 가능한 제2톱니바퀴(223)를 병설하고, 제2톱니바퀴(223)에 맞물려 제2톱니바퀴(223)를 한 방향으로만 돌아가게 하고 반대 방향으로는 제어하는 제어레버(224)와, 제어레버(224)가 제2톱니바퀴(223)와 맞물리게 하거나 맞물리지 않게 하는 잠금레버(225)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손잡이(225a)는 잠금레버(225)로부터 조절케이스(221)의 외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225a)는 잠금레버(225)의 상면 중앙에서 'C'쪽으로 치우쳐져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225a)는 'A' 또는 'B'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잠금레버(225)도 'A' 또는 'B'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잠금레버(225)는 조절케이스(221)에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잠금레버(22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제어레버(224)를 'A' 방향으로 밀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회전락(226)는 조절케이스(221)에 설치되고, 잠금레버(225)가 더 이상 'B' 방향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지지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레버(224)는 일측면이 제2톱니바퀴(223)와 동일한 톱니 형태로 형성되어, 제2톱니바퀴(223)와 맞물려지게 되어 있으며, 타측면은 제어레버(224)의 회전축(224a)을 중심으로 'A' 또는 'B'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어레버(224)는 'A' 방향으로 위치된 스프링(227)의 텐션에 의하여 항상 'B'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225a)는 'A' 방향으로 회동하면 잠금레버(22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제어레버(224)를 'A'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어레버(224)는 제2톱니바퀴(223)와 분리되어, 제2톱니바퀴(223)의 회전이 자유로워진다.
상기 제2톱니바퀴(223)는 조절케이스(221)에 설치된 손잡이(225a)의 회전에 의하여 'A' 또는 'B'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있다. 손잡이(225a)를 'B' 방향으로 당기면 제어레버(224)와 접촉하고 있는 제2톱니바퀴(223)는 'A'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반대로 브레이크레버(13) 손잡이(225a)를 놓으면 손잡이는 'A' 방향으로 회동하고 제어레버(224)와 접촉하고 있는 제2톱니바퀴(223)는 'B'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제1톱니바퀴(222)는 제2바퀴지지대(124)의 일단이 제1톱니바퀴(222)의 회전축(222a)과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톱니바퀴(222)는 제2톱니바퀴(223)와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톱니바퀴(222)의 병설 없이, 제2바퀴지지대(124)의 일단에 결합된 것이 제2톱니바퀴(223)의 회전축(223a)이어도 좋다.
실시예 3: 무게부담을 저감시킨 손수레(3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부담을 저감시킨 손수레(300)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300)의 브레이크패드(310)의 구동방식을 묘사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300)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수직지지대(10), 받침대(20), 제1바퀴지지대(30), 제1바퀴(40), 브레이크패드(310), 제2바퀴각도조정부(120), 및 제3바퀴조절부(15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300)는 도 1 내지 도 7에 따른 손수레(100), 브레이크패드(310)의 구조가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300)는 브레이크패드(31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손수레(300)는 도 1 내지 도 7에 따른 손수레(100) 및 도 8에 따른 손수레(200)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브레이크패드(310)는 내부에 스프링(311), 제4바퀴지지대(312), 및 제4바퀴(313)를 포함한다.
상기 브레이크패드(310)는 수직지지대(10)의 하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상기 수직지지대(10)와 연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1바퀴(40)의 곡률에 대향하도록 경사면을 갖고, 하면이 상기 수직지지대(10)의 하면과 직각을 이룬다. 상기 브레이크패드(310)는 받침대(20)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작아질 때, 받침대(20)보다 먼저 지면에 닿는다. 따라서, 상기 브레이크패드(3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300)를 수직으로 세울 수 있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패드(310)는 받침대(20)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커질 때, 브레이크부(310)의 내부에 수용된 제4바퀴가 노출되어, 지면 상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브레이크패드(310)는 무거운 물건이 적재된 상태에서, 기울였던 수직지지대(10)를 수직으로 세움으로써 손수레(300)를 정차시킬 때, 지면과의 마찰력이 작용하여 손수레(300)를 용이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손수레(300)를 수직으로 세워서 멈춰있는 경우, 스프링(311)이 완전 수축하여, 브레이크패드(310)의 내부에 제4바퀴(313)가 수용되어 브레이크패드(310)가 지면에 닿아 마찰력을 발생한다.
상기 손수레(300)를 기울여서 이동하는 경우, 스프링(311)이 이완하여, 브레이크패드(310)의 외부로 제4바퀴(313)가 노출되어, 제1바퀴(40)에 부과되는 하중을 줄일 수 있다.
실시예 4: 무게부담을 저감시킨 손수레(4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부담을 저감시킨 손수레(400)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400)의 브레이크패드(410)의 구동방식을 묘사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400)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수직지지대(10), 받침대(20), 제1바퀴지지대(30), 제1바퀴(40), 브레이크부(410), 제2바퀴각도조정부(120), 및 제3바퀴조절부(15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400)는 도 1 내지 도 7에 따른 손수레(100), 브레이크부(410)의 구조가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400)는 브레이크부(41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손수레(400)는 도 1 내지 도 7에 따른 손수레(100) 및 도 8에 따른 손수레(200)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브레이크부(410)는 수직지지대(10)의 하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상기 수직지지대(10)와 연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1바퀴(40)의 곡률에 대향하도록 경사면을 갖고, 하면이 상기 수직지지대(10)의 하면과 직각을 이룬다. 상기 브레이크부(410)는 받침대(20)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작아질 때, 받침대(20)보다 먼저 지면에 닿는다. 따라서, 상기 브레이크부(4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400)를 수직으로 세울 수 있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부(410)는 받침대(20)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커질 때, 브레이크부(410)의 내부에 수용된 제4바퀴(414)가 노출되어, 지면 상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브레이크부(410)는 무거운 물건이 적재된 상태에서, 기울였던 수직지지대(10)를 수직으로 세움으로써 손수레(400)를 정차시킬 때, 지면과의 마찰력이 작용하여 손수레(400)를 용이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부(410)는 지지패드(411), 고정부(412), 제1바퀴브레이크(413), 제4바퀴(414) 및 스프링(415)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패드(411)는 수직지지대(10)의 하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상기 수직지지대(10)와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패드(411)는 받침대(20)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작아질 때, 받침대(20)보다 먼저 지면에 닿는다. 따라서, 상기 지지패드(4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400)를 수직으로 세울 수 있도록 지지한다. 상기 지지패드(411)는 상면 중앙에 홀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홀은 상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되며, 제1바퀴브레이크(413)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패드(411)는 하면 중앙에 홀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홀은 하면으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형성되며, 제4바퀴(414)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드(411)는 상면 중앙의 홀 및 하면 중앙의 홀이 서로 이어지지 않고, 내부가 막혀있는 격막과 같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격막 중앙에 제1바퀴브레이크(413)가 통과하도록 상기 홀들보다 작은 지름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12)는 수직지지대(10)와 지지패드(411)를 결합하도록 나사 결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바퀴브레이크(413)는 상부가 제1바퀴(40)의 곡률에 대향하도록 경사면을 갖고, 중앙부 둘레면이 지지패드(411)에 수용되도록 단차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가 지지패드(411)를 통과할 수 있도록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바퀴브레이크(413)는 하단에 제4바퀴(414)와 결합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4바퀴(414)는 제1바퀴브레이크(413)의 하단에 결합되어 형성되며, 그 지름은 지지패드(411)의 하면 중앙의 홀의 지름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바퀴(414)는 본 발명에 따른 손수레(400)를 수직으로 세워서 멈춰있는 경우, 지지패드(411)의 내부에 제4바퀴(414)가 수용되어 지지패드(411)가 지면에 닿아 마찰력을 발생한다. 또한, 상기 제4바퀴(414)는 본 발명에 따른 손수레(400)를 기울여서 이동하는 경우, 지지패드(411)의 외부로 제4바퀴(414)가 노출되어, 제1바퀴(40)에 부과되는 하중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스프링(415)는 제1바퀴브레이크(413)의 하부 둘레를 둘러싸고 있으며, 제4바퀴(414)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스프링(415)이 본 발명에 따른 손수레(400)를 운행 중에 있을 때, 제4바퀴(414)의 회전에 방해되지 않도록 스프링(415)와 제4바퀴(414) 사이에 위치하고, 제1바퀴브레이크(413)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원반 형상의 브라켓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프링(415)는 탄성력에 의해 제4바퀴(414)를 지지패드(411)의 내부에 수용하거나,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게 해준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400)는 상기 브레이크부(410)를 포함함으로써, 지면과의 마찰력을 높히고, 제1바퀴(40)와 직접 접촉함으로써 브레이크 기능도 하는 효과가 있다.
10: 수직지지대 20: 받침대
30: 제1바퀴지지대 40: 제1바퀴
110, 310: 브레이크패드 120, 220: 제2바퀴각도조정부
130: 지지바 140: 제1리테이너
150: 제3바퀴조절부

Claims (17)

  1. 상면에 물건이 적재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중심 선단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지지대; 및
    상기 수직지지대와 연결되는 제1바퀴지지대와 결합하는 제1바퀴를 포함하고,
    받침대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작아질 때, 받침대보다 먼저 지면에 닿는 브레이크패드; 및
    받침대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지면과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제2바퀴조립체를 포함하는 손수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패드는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상기 수직지지대와 연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1바퀴의 곡률에 대향하도록 경사면을 갖고, 하면이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면과 직각을 이루는 손수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퀴조립체는 나사 형상의 제1리테이너의 말단에 결합되는 각도조정홀을 구비하는 손수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퀴조립체는 상기 받침대와 연결되어 회동함으로써 각도를 조정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손수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퀴조립체는 일측이 상기 받침대와 나사고정 결합하여 타측에 가이드홀을 구비하여 상기 제1리테이너가 삽입되어 상기 각도조정홀을 통과하는 지지바를 포함하는 손수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상기 가이드홀 내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1리테이너는 말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와셔를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홀 내에서 상하로 조작할 수 있는 손수레.
  7.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레일, 제1연결축, 제2연결축, 연결부재, 및 제3바퀴를 포함하는 제3바퀴조립체를 상기 수직지지대에 수평 방향으로 추가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수직지지대와 연결되고, 상기 제1연결축 및 상기 제2연결축이 상기 가이드레일 상을 슬라이딩되고, 연결부재가 상기 제1연결축 및 상기 제2연결축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 및 고정하고, 제3바퀴는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하고 지면 상에서 회전하는 손수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서 회전 이동하는 가이드바퀴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바퀴와 상기 제1연결축 또는 상기 제2연결축을 연결하는 탄성제어부를 구비하는 손수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복수의 고정홀이 서로 이격되어 일렬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제어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리테이너가 상기 고정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서 상기 제1연결축 또는 상기 제2연결축의 위치가 고정되는 손수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제어부는 내측에 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고정홀로부터 상기 제2리테이너를 삽입 또는 인출하는 손수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퀴조립체는
    손잡이에 회동에 의해 회전하는 잠금레버;
    상기 잠금레버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잠금레버에 의해 일측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타측면이 톱니형상으로 형성되는 제어레버;
    상기 제어레버의 회전에 의해 수축하고, 상기 제어레버의 상부에 위치하는 스프링;
    상기 제어레버의 톱니형상과 맞물리려, 회전운동이 제어되는 톱니바퀴; 및
    상기 톱니바퀴의 회전축을 공유하는 제2바퀴를 포함하는 손수레.
  12. 제11항에 있어서,
    손잡이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잠금레버가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락을 추가로 포함하는 손수레.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패드는 내부에 제4바퀴지지대, 스프링 및 제4바퀴를 추가로 포함하여,
    손수레를 수직으로 세우는 경우, 상기 스프링이 완전 수축하여, 상기 브레이크패드의 내부에 상기 제4바퀴가 수용되어 상기 브레이크패드가 지면에 닿아 마찰력을 발생하고, 손수레를 기울여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스프링이 이완하여, 상기 브레이크패드의 외부로 상기 제4바퀴가 노출되어, 지면 상에서 회전하는 손수레.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패드는 수직지지대와 결합되어 있고, 하면이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면과 직각을 이루는 지지패드, 상부가 상기 제1바퀴의 곡률에 대향하도록 경사면을 갖고 중앙부 둘레면이 지지패드에 수용되도록 단차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바퀴브레이크, 제1바퀴브레이크의 하단에 결합하는 제4바퀴, 및 제1바퀴브레이크의 하부 및 제4바퀴의 상부에 위치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제1바퀴브레이크가 지지패드 내부에서 상하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제1바퀴를 추가로 정지시킬 수 있는 손수레.
  15. 받침대의 일측 모서리에 수직으로 수직지지대를 설치하고, 수직지지대와 제1바퀴를 결합하는 단계,
    브레이크패드를 받침대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작아질 때, 받침대보다 먼저 지면에 닿도록 설치하는 단계, 및
    제2바퀴조립체를 받침대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지면과의 각도를 조정하도록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손수레 제조 방법.
  16. 제15에 있어서,
    수직지지대와 연결되고, 상기 제1연결축 및 상기 제2연결축이 상기 가이드레일 상을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제1연결축 및 상기 제2연결축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 및 고정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하고 지면 상에서 회전하는 제3바퀴를 설치하는 손수레 제조 방법.
  17. 제1항에 따른 손수레를 기울여서 이동시 제2바퀴조립체를 지면에 닿도록 각도 조절 및 고정하고,
    제3바퀴조립체를 지면에 닿도록 각도 조절 및 고정하고,
    제1항에 따른 손수레를 수직으로 세울 때는 브레이크패드에 의해 정지되는 손수레 사용 방법.
KR1020150133365A 2015-09-21 2015-09-21 무게부담을 저감시킨 손수레 KR101731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365A KR101731069B1 (ko) 2015-09-21 2015-09-21 무게부담을 저감시킨 손수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365A KR101731069B1 (ko) 2015-09-21 2015-09-21 무게부담을 저감시킨 손수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710A true KR20170034710A (ko) 2017-03-29
KR101731069B1 KR101731069B1 (ko) 2017-04-27

Family

ID=58498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3365A KR101731069B1 (ko) 2015-09-21 2015-09-21 무게부담을 저감시킨 손수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10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1208B1 (ko) * 2018-12-27 2019-06-20 송재호 접이식 핸드카트
KR102027733B1 (ko) * 2019-03-29 2019-10-01 송재호 접이식 사륜 핸드카트
KR102259979B1 (ko) * 2019-11-29 2021-06-01 추승수 탄성지지체를 구비한 핸드트럭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7124A (ko) 2019-02-07 2020-08-18 김용수 전동마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2152A (ja) * 2000-06-28 2002-01-15 Hiroe Tsunoda 作業用運搬車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1208B1 (ko) * 2018-12-27 2019-06-20 송재호 접이식 핸드카트
WO2020138827A1 (ko) * 2018-12-27 2020-07-02 송재호 접이식 핸드카트
CN111376958A (zh) * 2018-12-27 2020-07-07 宋栽豪 折叠式拉杆车
US10974752B2 (en) 2018-12-27 2021-04-13 Jae Ho Song Folding handcart
CN111376958B (zh) * 2018-12-27 2022-02-08 宋栽豪 折叠式拉杆车
KR102027733B1 (ko) * 2019-03-29 2019-10-01 송재호 접이식 사륜 핸드카트
WO2020204517A1 (ko) * 2019-03-29 2020-10-08 송재호 접이식 사륜 핸드카트
US11110948B2 (en) 2019-03-29 2021-09-07 Jae Ho Song Four-wheeled folding handcart
KR102259979B1 (ko) * 2019-11-29 2021-06-01 추승수 탄성지지체를 구비한 핸드트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1069B1 (ko)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1069B1 (ko) 무게부담을 저감시킨 손수레
US9969411B2 (en) Hand truck
US20130056962A1 (en) Handcart
TWI743014B (zh) 軟管運送推車
KR101555859B1 (ko) 상판의 절첩장치
US20190322205A1 (en) A carriage for moving a wheeled object
US20180235363A1 (en) Height adjustable system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KR101929833B1 (ko) 동적 평형차용 제어기구
KR20100031189A (ko) 접이식 손수레
KR200421626Y1 (ko) 손수레제동장치
KR20150029142A (ko) 운반용 카트
KR101183971B1 (ko) 방향 전환이 용이한 슬립 조인트형 3륜 손수레
EP1970296B1 (en) Foldable bicycle
JP3203367U (ja) 縦型重量物の台車
KR101147796B1 (ko) 보조바퀴가 구비된 운반용 수레
KR200431212Y1 (ko) 손잡이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카트
KR20140017710A (ko) 절첩식 카트
KR20110005670A (ko) 본체의 무게중심 조정기능을 갖는 외바퀴형 손수레
KR200492175Y1 (ko) 캐스터 및 그를 갖는 손수레
KR101808965B1 (ko) 쇼핑용 카트
KR101849471B1 (ko) 공항용 카트
JP6461701B2 (ja) 投光器
KR20120005626U (ko) 손잡이 각도 조절이 가능한 손수레
KR200493712Y1 (ko) 손수레
JP2010075328A (ja) ハンドル付キャリー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