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712Y1 - 손수레 - Google Patents

손수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712Y1
KR200493712Y1 KR2020190004849U KR20190004849U KR200493712Y1 KR 200493712 Y1 KR200493712 Y1 KR 200493712Y1 KR 2020190004849 U KR2020190004849 U KR 2020190004849U KR 20190004849 U KR20190004849 U KR 20190004849U KR 200493712 Y1 KR200493712 Y1 KR 2004937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frame
rotation
hand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8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중
Original Assignee
김우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중 filed Critical 김우중
Priority to KR20201900048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7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7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7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62B5/067Stowable or retractable handle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0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 B62B2205/24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to hold in the fold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2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adjustable in length or 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04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 B62B2301/046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with means restricting the rotation about that axis
    • B62B2301/0463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with means restricting the rotation about that axis by blocking the rotation at a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상면에 화물이 적재되도록 마련된 적재부; 상기 적재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적재부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핸들부; 및 상기 적재부의 일측에 결합되되, 상기 핸들부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삽입 고정홀이 형성되어 상기 핸들부를 선택적으로 지지 고정하는 회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손수레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손수레{HANDTRUCK}
본 고안은 손수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되는 핸들부를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하도록 이루어진 회동 제어부가 구비된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수레는 사람이 들기에 무겁거나 부피가 큰 화물을 편리하게 옮기기 위해 사용되는 수송 수단이다. 이러한 손수레는 주로 적재하게 되는 화물의 크기나 부피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다.
도 1은 종래의 손수레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실내에서 가벼운 화물을 옮기는데 주로 사용되는 손수레(10)는 통상적으로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 프레임(20)과 적재 프레임(20)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핸들(30)로 구성된다.
이러한 손수레(10)는 주로 박스나 바구니에 화물을 담은 후에, 박스나 바구니를 적재 프레임(20) 상부에 적재하여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손수레(10)는 핸들(30)이 적재 프레임(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않아 핸들(30)을 이용하여 손수레(10)를 이동시킬 때, 핸들(30)이 덜컹거리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손수레(1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핸들(30)을 적재 프레임(20)에 접하게 회전시킨 상태에서 손수레(10)를 벽에 수직으로 기대어 보관한다. 그러나 종래의 핸들(30)은 적재 프레임(20) 측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핸들(30)이 적재 프레임(20)에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핸들(30)을 접은 상태에서 손수레(10)를 들고 계단과 같은 장소를 오를 경우, 핸들(30)이 덜컹거리게 되어 손수레(10)를 옮김에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손수레(10)에 구비된 바퀴(40)는 손수레(10)의 전진과 후진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시, 바퀴(40)가 180°로 회전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화물을 적재한 손수레(10)가 엘리베이터 내부로 진입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외부로 이동될 경우, 엘리베이터 내부 이동 방향으로 위치되어 있던 바퀴(40)는 180° 회전이 이루어진 후, 손수레(10)는 엘리베이터 외부 이동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바퀴(40)의 회전으로 인해 적재 프레임(20)에 적재된 화물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핸들이 안정적으로 적재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지고, 손수레의 전진과 후진이 이루어질 시 바퀴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 손수레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선행문헌 1 :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8541호 (2004.01.05)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회전되는 핸들부를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하도록 이루어진 회동 제어부가 구비된 손수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상면에 화물이 적재되도록 마련된 적재부; 상기 적재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적재부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핸들부; 및 상기 적재부의 일측에 결합되되, 상기 핸들부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삽입 고정홀이 형성되어 상기 핸들부를 선택적으로 지지 고정하는 회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손수레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동 제어부는, 상기 핸들부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삽입 고정홀이 형성된 한 쌍의 회동 고정부재; 이격된 한 쌍의 상기 회동 고정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나사부재와 머리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나사부재는 상기 적재부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머리부재는 상기 적재부의 하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된 고정볼트; 상기 나사부재에 관통 삽입되되, 일단은 상기 회동 고정부재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머리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회동 고정부재를 상기 적재부의 하면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스프링; 및 상기 연결부재를 미리 정해진 힘 이상으로 가압하며 상기 회동 고정부재와 연결부재를 상기 적재부의 하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누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동 고정부재에는 상기 삽입 고정홀로 삽입되는 상기 핸들부를 지지하는 흔들림 방지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적재부에 결합되며, 상기 적재부로부터 회전되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회전바; 및 한 쌍의 상기 회전바를 연결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에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미끄럼 방지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핸들부가 상기 적재부와 수평 상태로 회전될 시,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는 상기 적재부의 타측면에 탄성 가압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의 하부에 구비된 캐스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캐스터는, 바퀴; 상기 바퀴의 중심을 관통 삽입하는 중심축의 양단부와 각각 결합되는 레그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바퀴를 지지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상부에 구비되며, 베어링에 의해 상기 브라켓이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적재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며, 회전을 통해 상기 레그 프레임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브라켓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지부는, 일단부에 형성된 체결홀에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되며, 상기 체결부재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제1 수평 프레임; 상기 제1 수평 프레임의 타단부로부터 수직하게 연결되는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결되는 손잡이 프레임; 상기 제1 수평 프레임과 이격되는 제2 수평 프레임; 및 상기 제1 수평 프레임과 제2 수평 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제2 프레임이 삽입되는 삽입 공간부를 형성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레그 프레임이 삽입되는 결합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적재부의 타단부에 결합된 고정 스프링은 상기 손잡이 프레임과 연결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메인 적재 플레이트; 상기 메인 적재 플레이트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메인 적재 플레이트와의 간격 조정이 이루어지는 제1 적재 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 적재 플레이트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메인 적재 플레이트와의 간격 조정이 이루어지는 제2 적재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부는 길이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손수레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핸들부에는 탄성 재질의 파지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파지부는 핸들부가 적재부 측으로 회전되어, 핸들부와 적재부가 수평을 이루는 상태 즉, 접힌 상태에서 파지부는 적재부의 측면에 탄성 가압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핸들부가 접힌 상태에서 핸들부의 흔들림이나 덜렁거림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핸들부를 접은 상태에서 손수레를 들고 계단과 같은 장소를 오를 경우, 이동이 편리하다.
그리고 손수레에는 삽입 고정홀이 형성된 회동 제어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회동 제어부는 핸들부가 적재부 측으로부터 회전되어 적재부에 수직하도록 회전된 상태, 즉 펴진 상태에서 핸들부의 양단부는 삽입 고정홀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핸들부의 양단부가 삽입 고정홀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핸들부는 회동 제어부에 견고히 지지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손수레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핸들부의 덜컹거림이 방지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캐스터에는 브라켓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 회전 방지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회전 방지부는 바퀴의 전진과 후진이 이루어질 시, 바퀴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바퀴가 전진 이동하는 상태에서 후진되거나 후진 이동하는 상태에서 전진될 시, 바퀴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이용시, 회전 방지부를 통해 바퀴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 또는 실용실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의 구성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손수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부가 펴진 상태에서의 손수레의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부가 접힌 상태에서의 손수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수레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동 제어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재부의 길이가 가변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스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스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방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방지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방지부가 브라켓을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고안에서 상부와 하부는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부가 펴진 상태에서의 손수레의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부가 접힌 상태에서의 손수레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수레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동 제어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재부의 길이가 가변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설명에 앞서, 도 2 내지 도 6에서의 적재부(100)는 메인 적재 플레이트(110)으로부터 간격 조정이 이루어지는 제1 적재 플레이트(120) 및 제2 적재 플레이트(130)가 구비된 형태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적재부(100)는 설명을 위한 하나의 예일 뿐, 적재부(100)가 반드시 메인 적재 플레이트(110), 제1 적재 플레이트(120) 및 제2 적재 플레이트(130)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인 아니다. 즉, 적재부(100)는 단일 형태의 적재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도 있고, 2개의 적재 플레이트, 4개의 적재 플레이트 등 다양한 개수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수레(1000)는 적재부(100), 핸들부(200), 회동 제어부(300) 및 캐스터(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재부(100)는 상면에 화물이 적재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적재부(100)는 메인 적재 플레이트(110), 제1 적재 플레이트(120) 및 제2 적재 플레이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적재 플레이트(120)는 메인 적재 플레이트(110)의 일측에 구비되며, 메인 적재 플레이트(110)와의 간격 조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 적재 플레이트(130)는 메인 적재 플레이트(110)의 타측에 구비되며, 메인 적재 플레이트(110)와의 간격 조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1 적재 플레이트(120)와 제2 적재 플레이트(130)는 메인 적재 플레이트(110)를 기준으로 메인 적재 플레이트(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또는 메인 적재 플레이트(11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적재 플레이트(120)와 제2 적재 플레이트(130)의 선택적인 이동을 통해 적재부(100)의 전체 길이는 가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재부(100)는 전체 길이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적재부(100) 상에 안착되는 화물의 크기에 따라 사용자는 적재부(100)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핸들부(200)는 적재부(100)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핸들부(200)에 구비된 한 쌍의 회전바(210)는 회전핀(201)에 의해 적재부(100)에 결합되며, 회전핀(201)을 기준으로 회전바(210)는 적재부(100)로부터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바(210)는 제1 적재 플레이트(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핸들부(200)는 적재부(100)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수레(1000)를 보관할 시, 회전바(210)를 적재부(100)에 대해 수평 상태로 회전시켜 손수레(1000)의 보관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회전바(210)와 적재부(100)가 수평 상태를 이루는 즉, 핸들부(200)가 접힌 상태에서는 회전바(210)에 연결된 파지부(220)가 제2 적재 플레이트(130)의 측면에 탄성 가압된다.
즉, 이와 같은 파지부(220)에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의 미끄러짐 방지부재(221)가 구비됨에 따라 핸들부(200)가 접힌 상태에서는 미끄러짐 방지부재(221)가 적재부(100)의 측면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즉, 핸들부(200)가 접힌 상태에서는 미끄러짐 방지부재(221)에 의해 핸들부(200)의 덜컹거림이나 이동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핸들부(200)가 적재부(100)로부터 회전되어 적재부(100)와 핸들부(200)가 수직을 이루는 핸들부(200)가 펴진 상태에서는 핸들부(200)가 회동 제어부(300)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핸들부(200)를 잡은 상태에서 손수레(1000)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핸들부(200)의 덜컹거림과 같은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손수레(1000)의 방향 전환을 비롯한 이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손수레(1000)에는 미끄러짐 방지부재(221)와 회동 제어부(300)가 구비됨에 따라 핸들부(200)가 접힌 상태에서는 미끄러짐 방지부재(221)에 의해 핸들부(200)의 흔들림 발생이 방지되고, 핸들부(200)가 펴진 상태에서는 회동 제어부(300)에 의해 핸들부(200)의 흔들림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회동 제어부(300)는 제1 적재 플레이트(120)의 하부에 구비되어 회전되는 핸들부(200)를 선택적으로 지지 고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회동 제어부(300)는 회동 고정부재(310), 흔들림 방지부재(320), 연결부재(330), 고정볼트(340), 가압 스프링(350) 및 누름부재(3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동 고정부재(310)는 한 쌍을 이루며, 제1 적재 플레이트(120)의 하부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이와 같은 회동 고정부재(310)에는 삽입 고정홀(311)이 형성되어, 핸들부(200)가 펴진 상태에서 회전바(210)의 단부는 삽입 고정홀(31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렇게 회전바(210)의 단부가 삽입 고정홀(311)에 삽입된 상태에서 흔들림 방지부재(320)는 회전바(210)를 견고하게 지지 고정시킨다. 즉, 흔들림 방지부재(320)는 삽입 고정홀(311)에 삽입된 회전바(210)의 흔들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흔들림 방지부재(320)는 회동 고정부재(310)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며, 삽입 고정홀(311)에 삽입되는 회전바(210)를 지지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연결부재(330)는 이격된 한 쌍의 회동 고정부재(310)를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볼트(340)는 나사부재(341)와 머리부재(34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나사부재(341)의 일단부는 회동 고정부재(310)에 형성된 관통홀(312)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적재 플레이트(120)의 하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나사부재(341)의 타단부와 연결된 머리부재(342)는 제1 적재 플레이트(120)의 하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된다.
그리고 가압 스프링(350)은 나사부재(341)에 관통 삽입된다. 이러한 가압 스프링(350)의 일단은 회동 고정부재(310)에 지지되고, 타단은 머리부재(342)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동 고정부재(310)를 제1 적재 플레이트(120)의 하면 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즉, 압축 상태의 가압 스프링(350)에는 복원력이 작용하게 되어, 회동 고정부재(310)를 제1 적재 플레이트(120)의 하면 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누름부재(360)는 연결부재(330)의 가압을 통해 연결부재(330) 및 연결부재(330)와 연결된 회동 고정부재(310)의 높낮이를 조정하도록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누름부재(360)를 통해 회동 고정부재(310)를 적재부(100)의 하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이 회동 고정부재(310)를 적재부(100)의 하면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가압 스프링(350)의 탄성력보다 더 큰 경우, 회동 고정부재(310)는 누름부재(360)에 의해 적재부(100)의 하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높낮이 조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누름부재(360)와 가압 스프링(350)을 통해 사용자는 회동 고정부재(310)의 높낮이를 조정함으로써, 핸들부(200)를 펴진 상태 또는 접힌 상태로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도 5를 통해 접힌 상태의 핸들부(200)가 펴진 상태의 핸들부(200)로 조정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는 접힌 상태의 핸들부(200)를 세우게 된다.
이러한 핸들부(200)는 회전핀(20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핸들부(200)가 회전핀(20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핸들부(200)의 단부는 회동 고정부재(310)와의 걸림이 발생된다. 즉, 가압 스프링(350)에 의해 적재부(100)의 하면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회동 고정부재(310)는 누름부재(360)에 의해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회동 고정부재(310)의 단부가 삽입 고정홀(311)에 삽입될 수 없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다음으로, 사용자는 누름부재(360)를 미리 정해진 힘 이상으로 가압하여 연결부재(330)를 비롯한 회동 고정부재(310)를 적재부(100)의 하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누름부재(360)의 가압을 통해 핸들부(200)는 적재부(100)에 대해 수직하도록 회전되며, 핸들부(200)의 단부는 삽입 고정홀(311)에 삽입 가능한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미리 정해진 힘 이상으로 가압하고 있던 누름부재(360)를 놓게 되면, 가압 스프링(350)은 탄성력에 의해 회동 고정부재(310)를 핸들부(200)의 하면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핸들부(200)의 단부는 삽입 고정홀(311)에 삽입되며, 핸들부(200)는 흔들림 방지부재(320)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펴진 상태의 핸들부(200)가 접힌 상태의 핸들부(200)로 조정되는 과정은 상기 과정의 역순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스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스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방지부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방지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방지부가 브라켓을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캐스터(400)는 적재부(100)의 하면에 장착되어 바닥으로부터 구름 이동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캐스터(400)는 적재부(100)의 하부에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적재부(100)의 하부에 4개의 캐스터(400)가 구비된 형태를 일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4개의 캐스터(4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회전 방지부(450)가 구비된 형태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회전 방지부(450)가 구비되는 캐스터(400)는 회전핀(201)이 결합된 제1 적재 플레이트(120)의 반대편에 구비된 제2 적재 플레이트(130)에 결합된 캐스터(400)에 구비된 형태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회전 방지부(450)에 구비된 손잡이 프레임(480)은 제2 적재 플레이트(130)에 고정된 고정 스프링(455)과 결합된다. 여기서 고정 스프링(455)은 회전 방지부(450)가 풀림 상태인, 즉 바퀴(410)의 회전이 자유롭도록 회전 방지부(450)가 바퀴(410)의 회전을 제어하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 방지부(450)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 스프링(455)은 손수레(1000)가 이동 중인 과정에서 회전 방지부(450)가 덜렁거리거나 흔들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시 도 7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캐스터(400)는 바퀴(410), 브라켓(420), 회전체(430), 베이스 플레이트(440), 회전 방지부(450) 및 고정 스프링(45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캐스터(400)에는 바퀴(410)가 구비되어, 캐스터(400)가 장착된 손수레(1000)는 구름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브라켓(420)은 바퀴(410)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브라켓(420)은 바퀴(410)의 중심을 관통 삽입하는 중심축(411)의 양단부에 결합되며, 바퀴(410)를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브라켓(420)은 레그 프레임과 연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레그 프레임은 제1 레그(421)와 제2 레그(4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레그(421)와 제2 레그(422)는 한 쌍을 이루며, 바퀴(410)를 지지하게 된다.
즉, 제1 레그(421)는 바퀴(410)를 관통 삽입하는 중심축(411)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제2 레그(422)는 중심축(411)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바퀴(410)는 레그 프레임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레그(421)와 제2 레그(422)는 한 쌍을 이루되 이격 형성된다. 즉, 제1 레그(421)와 제2 레그(422)는 바퀴(410)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 공간부(425)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바퀴(410)는 제1 레그(421)와 제2 레그(422)에 의해 형성된 수용 공간부(425)에 삽입된 상태에서 바퀴(410)를 관통 삽입하는 중심축(411)은 제1 레그(421)와 제2 레그(422)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프레임은 이격된 제1 레그(421)와 제2 레그(422)의 상단부를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연결 프레임은 제1 프레임(423)과 제2 프레임(42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프레임(423)과 제2 프레임(424)은 연결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되, 제1 프레임(423)은 회전체(430)에 구비되는 베어링(미도시)과 구름 접촉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 프레임(424)은 제1 프레임(423)으로 연장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 프레임(424)은 회전 방지부(450)와 선택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프레임(424)과 회전 방지부(450)의 결합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회전체(430)는 브라켓(420)의 상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회전체(430)에는 복수개의 베어링이 구비되어 브라켓(420)은 회전체(43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전체(430)의 중심 위치는 수직선상을 기준으로 바퀴(410)의 중심 위치와는 다르게 위치된다. 이에, 손수레(1000)의 이동 방향에 따라 바퀴(410)는 회전체(430)를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사용자가 요구하는 방향으로 손수레(1000)는 이동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440)는 회전체(430)의 상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440)는 손수레(1000)에 구비된 적재부(100)의 하면에 결합된다. 따라서, 캐스터(400)는 손수레(1000)에 화물이 안착되는 적재부(100)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회전 방지부(450)는 제1 수평 프레임(460), 수직 프레임(470), 손잡이 프레임(480), 제2 수평 프레임(490) 및 지지 프레임(49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수평 프레임(460)은 체결부재(499)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440)와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수평 프레임(460)의 일단부에는 체결부재(499)가 삽입되는 체결홀(461)이 형성된다. 이에, 체결부재(499)는 체결홀(461)에 삽입된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440)와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때, 체결부재(499)는 너트와 볼트 형태를 이루며, 제1 수평 프레임(460)과 베이스 플레이트(440)를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수평 프레임(460)의 일단부는 체결부재(499)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440)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제1 수평 프레임(460)은 외부로부터 미리 정해진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질 시, 제1 수평 프레임(460)은 회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재(499)에 구비되는 너트와 제1 수평 프레임(460)의 일면 사이에는 탄성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는 외부로부터 미리 정해진 일정 이상의 힘(회전력)이 가해져야지만 제1 수평 프레임(460)이 회전되도록 한다. 즉, 탄성부재는 일정의 탄성 가압력으로 제1 수평 프레임(460)과 너트를 지속적으로 가압하고 있는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일정 미만의 힘이 제1 수평 프레임(460)에 가해지는 경우, 제1 수평 프레임(460)은 회전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미리 정해진 일정 이상의 힘이 회전 방지부(450)에 가해져야지만, 제1 수평 프레임(460)은 체결부재(499)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수평 프레임(46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곡선을 이루는 강도 보강부(46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강도 보강부(462)는 곡선을 이룸에 따라 제1 수평 프레임(460)의 강도를 보강하여, 제1 수평 프레임(460)이 뒤틀리거나 휘어지는 등의 형상 변형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수직 프레임(470)은 제1 수평 프레임(460)의 타단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수직 프레임(470)은 제1 수평 프레임(460)과 수직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손잡이 프레임(480)은 수직 프레임(470)의 외측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손잡이 프레임(480)은 사용자가 회전 방지부(450)를 회전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으로 손잡이 프레임(480)을 잡은 상태에서 회전 방지부(450)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 수평 프레임(490)은 제1 수평 프레임(460)과 평행한 상태로 이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 수평 프레임(490)과 수직 프레임(470) 사이에 제1 레그(421) 또는 제2 레그(422) 중 어느 하나의 레그 프레임이 삽입되는 결합 공간부(451)가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 공간부(451)로 삽입되는 레그 프레임은 손수레(1000)가 직진으로 주행함에 있어, 제1 수평 프레임(460)을 체결하고 있는 체결부재(499)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레그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2 수평 프레임(490)과 수직 프레임(470) 사이의 이격 거리는 레그 프레임의 두께와 대응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회전 방지부(450)가 브라켓(420)의 회전을 방지한 상태에서 브라켓(420)의 흔들림 발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레그 프레임이 결합 공간부(451)에 삽입될 시, 회전 방지부(450)는 레그 프레임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제2 수평 프레임(490)의 일단부에는 경사부(491)가 형성된다. 도 10의 (a)에서와 같이 경사부(491)는 브라켓(420)의 회전시, 제2 수평 프레임(490)과의 걸림 또는 부딪힘 발생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 수평 프레임(490)의 타단부에는 라운드부(492)가 형성된다. 이러한 라운드부(492)는 회전 방지부(450)가 브라켓(420)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레그 프레임이 결합 공간부(451)로 부드럽게 안내되도록 한다. 즉, 회전 방지부(450)가 브라켓(420)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레그 프레임은 곡면을 이루는 라운드부(492)를 따라 결합 공간부(451)로 안내되기에, 회전 방지부(450)가 브라켓(420)을 고정시키는 과정은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지지 프레임(495)은 이격된 제1 수평 프레임(460)과 제2 수평 프레임(490)을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 프레임(495)은 회전 방지부(450)와 브라켓(420)의 결합시, 제2 프레임(424)이 삽입되는 삽입 공간부(452)를 형성한다. 즉, 삽입 공간부(452)는 제1 수평 프레임(460)과 제2 수평 프레임(490) 사이의 공간이다.
여기서 지지 프레임(495)은 제2 수평 프레임(490)과 함께 수직 프레임(470)으로부터 이격되며 결합 공간부(451)를 형성하게 된다.
도 10의 (b)는 회전 방지부(450)가 브라켓(420)을 고정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작동 상태도로, 사용자는 회전 방지부(450)를 통해 손수레(1000)의 전진과 후진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바퀴(410)가 180°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회전 방지부(450)를 통해 바퀴(410)가 전진과 후진만 가능하도록 고정시킬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회전 방지부(450)는 바퀴(410)가 전진 이동하는 상태에서 후진되거나 후진 이동하는 상태에서 전진될 시, 바퀴(41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회전 방지부(450)를 통해 바퀴(410)가 회전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 방지부(450)를 통해 브라켓(420)의 회전을 방지시킨 경우, 종래와 달리 손수레(1000)가 엘리베이터의 내부로 진입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의 외부로 이동되더라도 바퀴(410)는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바퀴(410)의 회전으로 인해 화물이 적재부(100)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엘리베이터와 같은 장소에서의 화물 운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수평 프레임(460)이 회전되어 결합 공간부(451)에 레그 프레임의 삽입될 시, 수직 프레임(470)은 결합 공간부(451)로 삽입된 레그 프레임의 외측면에 밀착 고정된다.
그리고 결합 공간부(451)를 형성하는 제2 수평 프레임(490)의 단부면은 결합 공간부(451)로 삽입된 레그 프레임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된다.
여기서 결합 공간부(451)인 수직 프레임(470)과 제2 수평 프레임(490)의 이격 거리는 레그 프레임의 두께와 대응되도록 이루어져 결합 공간부(451)로 삽입된 레그 프레임은 흔들림없이 수직 프레임(470)과 제2 수평 프레임(490)에 의해 지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 공간부(452)를 형성하는 제2 수평 프레임(490)과 지지 프레임(495)의 일면은 제2 프레임(424)에 밀착 고정된다. 여기서 제2 프레임(424)에 밀착 고정되는 제2 수평 프레임(490)과 지지 프레임(495)의 일면은 삽입 공간부(452)를 바라보는 면이 된다.
이와 같이, 회전 방지부(450)는 브라켓(420)을 고정시킴에 있어, 수직 프레임(470)과 제2 수평 프레임(490)은 결합 공간부(451)로 삽입된 레그 프레임을 밀착 고정시키고, 삽입 공간부(452)를 형성하는 제2 수평 프레임(490)과 지지 프레임(495)의 일면은 제2 프레임(424)을 밀착 고정시킴에 따라, 브라켓(420)은 흔들림없이 회전 방지부(45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손수레(1000)에 구비된 캐스터(400)는 회전 방지부(450)의 선택적인 작동에 의해 회전바퀴 형태 또는 고정바퀴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손수레(1000)에 구비된 캐스터(400)를 주로 회전바퀴 형태로 이용하다가 필요에 따라 회전바퀴 형태를 고정바퀴 형태로 전환시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수레(1000)에 구비되는 4개의 캐스터(400)가 회전바퀴 형태인 상태에서 사용자는 핸들부(200)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는 1개의 캐스터(400)를 고정바퀴 형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손수레(1000)를 엘리베이터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시키더라도 핸들부(200)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의 캐스터(400) 바퀴는 고정된 형태를 이루기에, 핸들부(200)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손수레(1000)의 뒤쪽 부분이 출렁거리며 제어가 되지 않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회전 방지부(450)를 이용하여 캐스터(400)를 회전바퀴 형태 또는 고정바퀴 형태로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기에, 손수레(1000) 이용이 편리하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적재부
110: 메인 적재 플레이트
120: 제1 적재 플레이트
130: 제2 적재 플레이트
200: 핸들부
201: 회전핀
210: 회전바
220: 파지부
221: 미끄러짐 방지부재
300: 회동 제어부
310: 회동 고정부재
311: 삽입 고정홀
312: 관통홀
320: 흔들림 방지부재
330: 연결부재
340: 고정볼트
341: 나사부재
342: 머리부재
350: 가압 스프링
360: 누름부재
400: 캐스터
410: 바퀴
411: 중심축
420: 브라켓
421: 제1 레그
422: 제2 레그
423: 제1 프레임
424: 제2 프레임
425: 수용 공간부
430: 회전체
440: 베이스 플레이트
450: 회전 방지부
451: 결합 공간부
452: 삽입 공간부
455: 고정 스프링
460: 제1 수평 프레임
461: 체결홀
462: 강도 보강부
470: 수직 프레임
480: 손잡이 프레임
490: 제2 수평 프레임
491: 경사부
492: 라운드부
495: 지지 프레임
499: 체결부재
1000: 손수레

Claims (7)

  1. 상면에 화물이 적재되도록 마련된 적재부;
    상기 적재부의 하부에 구비된 캐스터;
    상기 적재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적재부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핸들부; 및
    상기 적재부의 일측에 결합되되, 상기 핸들부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삽입 고정홀이 형성되어 상기 핸들부를 선택적으로 지지 고정하는 회동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캐스터는, 바퀴; 상기 바퀴의 중심을 관통 삽입하는 중심축의 양단부와 각각 결합되는 레그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바퀴를 지지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상부에 구비되며, 베어링에 의해 상기 브라켓이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적재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며, 회전을 통해 상기 레그 프레임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브라켓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방지부는, 일단부에 형성된 체결홀에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되며, 상기 체결부재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제1 수평 프레임; 상기 제1 수평 프레임의 타단부로부터 수직하게 연결되는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결되는 손잡이 프레임; 상기 제1 수평 프레임과 이격되는 제2 수평 프레임; 및 상기 제1 수평 프레임과 제2 수평 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브라켓에 구비되는 제2 프레임이 삽입되는 삽입 공간부를 형성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레그 프레임이 삽입되는 결합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적재부의 타단부에 결합된 고정 스프링은 상기 손잡이 프레임과 연결된 것인 손수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제어부는,
    상기 핸들부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삽입 고정홀이 형성된 한 쌍의 회동 고정부재;
    이격된 한 쌍의 상기 회동 고정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나사부재와 머리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나사부재는 상기 적재부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머리부재는 상기 적재부의 하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된 고정볼트;
    상기 나사부재에 관통 삽입되되, 일단은 상기 회동 고정부재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머리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회동 고정부재를 상기 적재부의 하면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스프링; 및
    상기 연결부재를 미리 정해진 힘 이상으로 가압하며 상기 회동 고정부재와 연결부재를 상기 적재부의 하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누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고정부재에는 상기 삽입 고정홀로 삽입되는 상기 핸들부를 지지하는 흔들림 방지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적재부에 결합되며, 상기 적재부로부터 회전되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회전바; 및
    한 쌍의 상기 회전바를 연결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에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미끄럼 방지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핸들부가 상기 적재부와 수평 상태로 회전될 시,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는 상기 적재부의 타측면에 탄성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메인 적재 플레이트;
    상기 메인 적재 플레이트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메인 적재 플레이트와의 간격 조정이 이루어지는 제1 적재 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 적재 플레이트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메인 적재 플레이트와의 간격 조정이 이루어지는 제2 적재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부는 길이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
KR2020190004849U 2019-11-29 2019-11-29 손수레 KR2004937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849U KR200493712Y1 (ko) 2019-11-29 2019-11-29 손수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849U KR200493712Y1 (ko) 2019-11-29 2019-11-29 손수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712Y1 true KR200493712Y1 (ko) 2021-05-25

Family

ID=76145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849U KR200493712Y1 (ko) 2019-11-29 2019-11-29 손수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712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541Y1 (ko) 2003-10-15 2004-01-16 한기법 개량된 외바퀴 손수레
KR200483259Y1 (ko) * 2015-02-04 2017-04-19 김우중 길이 가변형 손수레
KR101899755B1 (ko) * 2018-03-21 2018-09-17 여신동 바퀴잠금 및 해제가 용이한 카트
KR20190011867A (ko) * 2017-07-25 2019-02-08 경창정공 주식회사 회전형 캐스터
JP2019031140A (ja) * 2017-08-04 2019-02-28 株式会社 日東 台車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541Y1 (ko) 2003-10-15 2004-01-16 한기법 개량된 외바퀴 손수레
KR200483259Y1 (ko) * 2015-02-04 2017-04-19 김우중 길이 가변형 손수레
KR20190011867A (ko) * 2017-07-25 2019-02-08 경창정공 주식회사 회전형 캐스터
JP2019031140A (ja) * 2017-08-04 2019-02-28 株式会社 日東 台車
KR101899755B1 (ko) * 2018-03-21 2018-09-17 여신동 바퀴잠금 및 해제가 용이한 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8775B2 (en) Convertible hand cart with improved locking means
US7694830B1 (en) Bicycle storage and retrieval assembly
US7226073B1 (en) Luggage cart having a telescoping handle with the addition of a foldable supportive wheel assembly
EP1689630B1 (en) Standing board
US8353524B2 (en) Wheeled cart slidable onto horizontal surface
CA1055986A (en) Cart construction
US20100019472A1 (en) Heavy duty wheelbarrow
US20090152826A1 (en) Cargo cart with hitch for wheeled mobility device
US7093841B2 (en) Seating/storage add-on section with holster for shopping cart
US20090250889A1 (en) Hand truck
KR20130065552A (ko) 쇼핑카트
US11273857B2 (en) Tugger cart assembly
US4413833A (en) Two-wheel hand truck
KR200493712Y1 (ko) 손수레
US9156485B1 (en) Leverage cart assembly
KR101183971B1 (ko) 방향 전환이 용이한 슬립 조인트형 3륜 손수레
KR200485301Y1 (ko) 다용도 손수레
KR200492175Y1 (ko) 캐스터 및 그를 갖는 손수레
KR200460971Y1 (ko) 손수레
KR200494623Y1 (ko) 캐스터 및 그를 갖는 손수레
CN110636965A (zh) 手推车
JP3203367U (ja) 縦型重量物の台車
JP3189269U (ja) 柵付き台車
JP2004359014A (ja) 多段積載台車、及び台車用ブレーキ装置
JP6869933B2 (ja) 手押し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