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4209A - 폐차잔재 재활용 처리시스템 및 재활용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폐차잔재 재활용 처리시스템 및 재활용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4209A
KR20170034209A KR1020150132598A KR20150132598A KR20170034209A KR 20170034209 A KR20170034209 A KR 20170034209A KR 1020150132598 A KR1020150132598 A KR 1020150132598A KR 20150132598 A KR20150132598 A KR 20150132598A KR 20170034209 A KR20170034209 A KR 20170034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plastics
waste
pulverized
screen
plas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2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2689B1 (ko
Inventor
류병우
Original Assignee
(주)조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조양 filed Critical (주)조양
Priority to KR1020150132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2689B1/ko
Publication of KR20170034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4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02C23/14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with more than one sepa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16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차잔재 재활용 처리시스템 및 재활용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폐자동차의 파쇄 잔재물인 폐차잔재(ASR: Automobile Shredder Residue)에서 1,2차 처리장치에 의해 고무나 플라스틱과 같은 폐플라스틱류를 분리 선별함은 물론 사출 성형기에서 성형 가능한 최소 사이즈로 분쇄 처리하되, 상기 폐차잔재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섬유, 스폰지, 철, 비철금속, 흙, 유리 등)을 제거하고 순수 고무나 플라스틱과 같은 페플라스틱류를 분리 선별하여 재활용하므로서 환경오염 문제를 최소화하고, 자원 재활용에 의한 경제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재생 합성수지 원료의 품질 및, 상기 재생 합성수지 원료로 성형되는 제품의 품질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폐차잔재 재활용 처리시스템 및 재활용 처리방법{Recycling disposal system of disused car-leavings and recycling disposa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폐자동차의 파쇄 잔재물인 폐차잔재(ASR: Automobile Shredder Residue)에서 고무나 플라스틱과 같은 폐플라스틱류를 분리 선별함은 물론 사출 성형기에서 성형 가능한 최소 사이즈로 분쇄 처리하여 재생 합성수지 원료로 재활용하도록 하는 폐차잔재 재활용 처리시스템 및 재활용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산업의 규모가 점차 커지면서 폐자동차(ELV: End of Life Vehicle)의 처리에 대한 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다.
종래 폐자동차는 해체 과정을 통해 유용한 부품을 우선 회수한 다음 나머지 차체를 압축한다. 그리고 압축한 차체는 슈레더(shredder) 공정을 거쳐 철, 비철금속 등의 유가금속을 회수하고 나면 재이용이 곤란한 폐자동차의 파쇄 잔재물인 폐차잔재(ASR: Automobile Shredder Residue)가 남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폐차잔재(ASR)는 폐자동차에서 약 25% 정도가 나오는데, 상기 폐차잔재는 고무, 플라스틱류가 약 79%, 섬유, 스폰지류가 13%, 철, 비철금속이 약 4%, 흙, 유리가 약 4%정도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폐차잔재(ASR)는 종래 전량 소각이나 매립 처리하므로 각종 유해 물질을 발생시켜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하였고, 이에 폐차잔재의 소각이나 매립 처리에 대한 환경 규제가 나오면서 폐차잔재의 처리가 여러 가지 곤란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상기 폐차잔재(ASR)를 소각 처리는 경우에 환경 규제를 통과하기 위해서 각종 유해물질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여러 시설이 소각 설비에 추가되면서 전체 소각 설비가 복잡해 질뿐 아니라 소각 처리 비용도 급증하게 되는 비 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 폐차잔재(ASR)에서 재생 합성수지 원료로 재활용 가능한 고무나 플라스틱과 같은 폐플라스틱류를 분리 선별함은 물론 재활용 가능하게 가공하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 제10-1502078호 특허문헌 2: 공개특허 제10-2013-0141126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폐자동차의 파쇄 잔재물인 폐차잔재(ASR: Automobile Shredder Residue)에서 고무나 플라스틱과 같은 폐플라스틱류를 분리 선별함은 물론 사출 성형기에서 셩형 가능한 최소 사이즈로 분쇄 처리하여 재생 합성수지 원료로 재활용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상기 폐차잔재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섬유, 스폰지, 철, 비철금속, 흙, 유리 등)을 제거하고 순수 고무나 플라스틱과 같은 페플라스틱류를 분리 선별하도록 하므로 재생 합성수지 원료의 품질을 우수하게 제공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폐자동차의 파쇄 잔재물인 폐차잔재(ASR: Automobile Shredder Residue를 정량 공급하는 제1 정량공급장치와, 상기 폐차잔재에서 유리, 토사를 선별하여 제거하는 제1 선별기와, 상기 폐차잔재에서 철 소재를 전자석에 의해 분리하여 제거하는 자석 벨트와, 상기 폐차잔재를 소정 크기 이하로 분쇄하는 제1 고속 분쇄기와, 상기 분쇄 폐차잔재를 진동에 의해 종류별로 분리 이동하는 진동 컨베이어와, 상기 분쇄 폐차잔재에서 중량물(비철금속)과 유리, 토사 및 스폰지, 부직포를 각각 선별 제거하여 고무, 플라스틱과 같은 폐플라스틱류를 선별하는 제2 선별기로 구성된 1차 처리장치와;
상기 1차 처리장치에서 선별된 폐차잔재의 폐플라스틱류를 정량 공급하는 제2 정량공급장치와, 상기 폐플라스틱류를 소정 크기 이하로 다시 분쇄하는 제2 고속분쇄기와, 상기 분쇄 폐플라스틱류에서 이물질, 부직포를 풍력에 의해 선별 제거하는 지그재그 풍력 선별기와, 상기 분쇄 폐플라스틱류에서 목재와 철, 비철금속을 카메라와 레이저를 이용하여 분리 제거하는 광학 선별기 및, 상기 분쇄 폐플라스틱류를 스크린에 의해 크기별로 선별하는 제3 선별기로 구성된 상기 2차 처리장치로 이루어진 폐차잔재 재활용 처리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상기 제3 선별기는 2단 스크린을 구성하여 0~2mm, 2-4mm, 5mm 이상의 폐플라스틱류를 각각 분리 선별하되, 상기 5mm 이상의 폐플라스틱류는 제3 고속 분쇄기에 의해 다시 분쇄한 후 제3 선별기로 재 공급하여 0~2mm, 2-4mm의 폐플라스틱류로 분리하여 선별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폐자동차의 파쇄 잔재물인 폐차잔재(ASR)를 정량 공급하는 공급과정과, 상기 폐차잔재에서 유리, 토사를 진동 선별기에 의해 선별하여 제거하는 1차 선별과정과, 상기 폐차잔재에서 철 소재를 전자석을 이용하여 분리 제거하는 금속 분리과정과, 상기 폐차잔재를 분쇄하는 분쇄과정과, 상기 분쇄 폐차잔재를 진동 컨베이어에 의해 종류별로 분리하며 이동하는 분리 이동과정과, 상기 폐차잔재를 스크린과 진동 기능에 의해 중량물(비철금속)과 유리, 토사를 선별 제거하고 브로에 의한 흡입 기능에 의해 스폰지, 부직포를 선별 제거하여 고무, 플라스틱과 같은 폐플라스틱류를 선별하는 2차 선별과정의 1차 처리 공정과;
1차 처리공정에서 선별된 폐차잔재의 폐플라스틱류를 정량 공급하는 공급과정과, 상기 폐플라스틱류를 다시 분쇄하는 분쇄 과정과, 상기 분쇄 폐플라스틱류에서 풍력에 의해 이물질, 부직포를 선별 제거하는 3차 선별과정과, 상기 분쇄 폐플라스틱류에서 광학 선별기에 의해 목재와 철,비철금속을 분리 제거하는 4차 선별과정과, 상기 분쇄 폐플라스틱류를 2단 스크린에 의해 0~2mm와 2~4mm의 폐플라스틱류로 분리 선별하되, 5mm 이상의 폐플라스틱류는 다시 고속 분쇄기에 의해 고속 분쇄한 후 2단 스크린에 의한 선별과정을 반복하여 0~2mm와 2~4mm의 폐플라스틱류로 선별하는 5차 선별과정의 2차 처리 공정을 행하는 폐차잔재 재활용 처리방법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폐자동차의 파쇄 잔재물인 폐차잔재(ASR: Automobile Shredder Residue)에서 1,2차 처리장치에 의해 고무나 플라스틱과 같은 폐플라스틱류를 분리 선별함은 물론 사출 성형기에서 성형 가능한 최소 사이즈로 분쇄 처리하여 재생 합성수지 원료로 재활용하도록 하므로서 환경오염 문제를 최소화하고, 자원 재활용에 의한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특히, 상기 폐차잔재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섬유, 스폰지, 철, 비철금속, 흙, 유리 등)을 제거하고 순수 고무나 플라스틱과 같은 페플라스틱류를 분리 선별하여 재활용하므로 재생 합성수지 원료의 품질 및, 상기 재생 합성수지 원료로 성형되는 제품, 예를 들면 재생 팔렛트와 같은 재생 제품의 품질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1차 처리 공정을 위한 장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장치 구성에 의한 처리 공정을 보여주는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2차 처리 공정을 위한 장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장치 구성에 의한 처리 공정을 보여주는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 장치의 제3선별기를 보여주는 요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한 가공 전 상태의 폐차잔재를 보여주는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한 가공 후 상태의 폐플라스틱류를 보여주는 사진.
먼저, 본 발명의 폐차잔재 재활용 처리시스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자동차의 파쇄 잔재물인 폐차잔재(ASR: Automobile Shredder Residue)의 고무, 플라스틱, 섬유, 스폰지, 철 및 비철금속, 흙, 유리 등에서 1,2차 처리장치(100)(200)에 의해 순수 고무 및 플라스틱과 같은 폐플라스틱류를 선별하고 사출 성형기에서 성형 가능한 최소 사이즈로 분쇄 처리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1차 처리장치(100)는 폐차잔재를 정량 공급하는 제1 정량공급장치(110)와, 상기 폐차잔재에서 유리, 토사를 선별하여 제거하는 제1 선별기(120)와, 상기 폐차잔재에서 철 소재를 전자석에 의해 분리하여 제거하는 자석 벨트(130)와, 상기 폐차잔재를 소정 크기 이하로 분쇄하는 제1 고속 분쇄기(140)와, 상기 분쇄 폐차잔재를 진동에 의해 종류별로 분리 이동하는 진동 컨베이어(150)와, 상기 분쇄 폐차잔재에서 중량물(비철금속)과 유리, 토사 및 스폰지, 부직포를 각각 선별 제거하여 고무, 플라스틱과 같은 폐플라스틱류를 선별하는 제2 선별기(16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선별기(120)는 1단 스크린을 갖는 진동 선별기로서 8mm 스크린을 갖고 있어 유리, 토사를 선별 제거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자석 벨트(130)는 전자석의 자력에 의해 철 소재를 부착시켜 선별 제거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1 고속 분쇄기(140)는 해머 타입의 고속 분쇄기(ZHM, 800/1600)로 30mm 스크린을 갖고 있어 폐차잔재를 30mm 스크린에 통과할 수 있는 크기 이하로 분쇄 처리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2 선별기(160)는 독일 ZERMA(저마)의 제품(HURRIKAN S)으로 5mm의 스크린과 진동 및 흡입 기능을 갖고 있어 분쇄 폐차잔재에서 스크린과 진동 기능에 의해 중량물(비철금속)과 유리, 토사를 선별 제거하고 브로워(165)에 의한 흡입 기능에 의해 스폰지, 부직포를 선별 제거하여 고무, 플라스틱과 같은 폐플라스틱류를 선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2차 처리장치(200)는 1차 처리장치(100)에서 선별된 폐차잔재의 폐플라스틱류를 정량 공급하는 제2 정량공급장치(210)와, 상기 폐플라스틱류를 소정 크기 이하로 다시 분쇄하는 제2 고속 분쇄기(220)와, 상기 분쇄 폐플라스틱류에서 이물질, 부직포를 풍력에 의해 선별 제거하는 지그재그 풍력 선별기(230)와, 상기 분쇄 폐플라스틱류에서 목재와 철, 비철금속을 카메라와 레이저를 이용하여 분리 제거하는 광학 선별기(240) 및, 상기 분쇄 폐플라스틱류를 스크린에 의해 크기별로 선별하는 제3 선별기(250)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 고속 분쇄기(220)는 해머 타입의 고속 분쇄기(ZHM, 800/1200)로 15mm 스크린을 갖고 있어 폐플라스틱류를 15mm 스크린에 통과할 수 있는 크기 이하로 다시 분쇄 처리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지그재그 풍력선별기(230)는 장치 내부에 고속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지그 재그 모양의 수직 칼럼으로 구성되어 상부에서 분쇄 폐플라스틱류를 투입하고 하부에서 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공기가 지그 재그 공기 흐름에 의해 형성된 난류로 분쇄 폐플라스틱류를 해체시키면서 이물질, 부직포를 선별 제거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광학 선별기(240)는 카메라와 레이저를 이용하여 분쇄 폐플라스틱류에서 고무나 플라스틱 이외의 목재와 철, 비철금속을 선별 제거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제3 선별기(250)는 진동 선별기로서 2단 스크린(251)(252)을 구성하여 0~2mm, 2-4mm, 5mm 이상의 폐플라스틱류를 각각 분리 선별하되, 상기 5mm 이상의 폐플라스틱류는 제3 고속 분쇄기(260)에 의해 다시 분쇄한 후 제3 선별기(250)로 재 공급하여 0~2mm, 2-4mm의 폐플라스틱류로 분리하여 선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3 고속 분쇄기(260)는 해머 타입의 고속 분쇄기(GSH, 800/1200)가 적용된다.
또한, 상기 제2 고속 분쇄기(220) 이후에는 폐플라스틱류가 소정 크기 이하로 분쇄되어 분쇄 폐플라스틱류의 이송 및 이물질 배출 등을 위해 석션 및 브로워 장치(300)가 설치 적용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한 작동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폐자동차의 파쇄 잔재물인 폐차잔재(ASR: Automobile Shredder Residue)를 1차 처리장치에 의해 처리한다.
즉, 상기 폐차잔재(ARS), 예를 들면 8ton/h의 폐차잔재를 제1 정량공급장치(110)의 스크류 피더에 의해 제1 선별기(120)로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선별기(120)인 진동 선별기의 8mm 스크린에 의해 폐차자재(ARS)에서 유리, 토사(1.63 ton/h)를 선별 제거하여 켄베이어에 의해 배출하는 것이다.
상기 제1 선별기(120)에 의한 선별 과정을 거친 폐차자재(ARS)는 자석 벨트(130)의 전자석을 이용하여 철 소재를 부착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폐차자재(ARS)에서 철 소재(0.12 ton/h)를 분리하여 제거한다.
상기 자석 벨트(130)에 의한 금속 분리과정을 거친 폐차자재(ARS)는 해머 타입의 제1 고속 분쇄기(140)에서 분쇄하되, 30mm 스크린을 통과하도록 입자 크기를 작게 분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고속 분쇄기(140)에서 분쇄 과정을 거친 분쇄 폐차잔재(ARS)는 진동 컨베이어(150)에 의해 이동하면서 진동에 의해 종류별로 분리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 선별기(160)에서 선별하되, 5mm 스크린 및 진동 기능에 의해 중량물(철, 비철금속)(0.09 ton/h), 유리, 토사(0.83ton/h)를 선별 제거함은 물론 브로워(165)에 의한 흡입 기능으로 스폰지, 부직포(1.56ton/h)를 선별제거하므로 폐차자재에서 고무와 플라스틱과 같은 폐플라스틱류(3.77ton/h)를 분리 선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1차 처리장치(100)에 의해 폐차잔재(ARS)에서 고무와 플라스틱과 같은 폐플라스틱류를 선별한 후 2차 처리장치(200)에서 사출 성형기에서 성형 가능한 최소 사이즈로 분쇄 가공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1차 처리장치(100)에서 분리 선별된 고무와 플라스틱과 같은 폐플라스틱류(3.7ton/h)를 이동 집게로 집어 제2 정량공급장치(210)의 스크류 피터에 의해 제2 고속 분쇄기(220)로 정량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제2 고속 분쇄기(22)에서 분쇄하되, 15mm 스크린을 통과하도록 입자 크기를 작게 분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폐플라스틱류를 분쇄하는 과정에서 다시 이물질, 부직포, 철, 비철금속, 목재 등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분쇄 폐플라스틱류는 석션 및 브로워 장치(300)에 의해 지그 재그 풍력 선별기(230)로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지그 재그 풍력 선별기(230)에서 풍력에 의해 분쇄 폐플라스틱류를 해체시키면서 이물질, 부직포(0.32ton/h)를 분리 배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분쇄 폐플라스틱류는 광학 선별기(240)로 공급하여 카메라와 레이저를 이용하여 목재와 철, 비철금속(0.06ton/h)을 각각 분리 제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분쇄 폐플라스틱류는 지그 재그 풍력 선별기(230)와 광학 선별기(240)를 거치면서 이물질, 부직포, 철, 비철금속, 목재 등을 분리 제거하므로 순수 고무, 플라스틱과 같은 폐플라스틱을 얻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순수 고무, 플라스틱과 같은 폐플라스틱은 제3 선별기(250)인 진동 선별기의 스크린에 의해 크기 별로 분리 선별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3 선별기(250)는 2단 스크린(251)(252)에 의해 0~2mm, 2~4mm, 5mm 이상의 폐플라스틱류를 각각 분리 선별하되, 상기 5mm 이상의 폐플라스틱류는 제3 고속 분쇄기(260)에 의해 다시 분쇄한 후 제3 선별기(250)로 재 공급하여 0~2mm, 2~4mm의 폐플라스틱류로 분리하여 선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폐자동차의 파쇄 잔재물인 폐차잔재(ASR: Automobile Shredder Residue)에서 1,2차 처리장치(100)(200)에 의해 순수 고무나 플라스틱과 같은 폐플라스틱류로 분리 선별함은 물론 사출 성형기에서 성형 가능한 최소 사이즈인 0~2mm, 2~4mm의 폐플라스틱류로 분쇄 처리하여 재생 합성수지 원료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한 본 발명의 폐차잔재 재활용 처리방법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폐자동차의 파쇄 잔재물인 폐차잔재(ASR: Automobile Shredder Residue)의 고무, 플라스틱, 섬유, 스폰지, 철 및 비철금속, 흙, 유리 등에서 1,2차 처리공정에 의해 순수 고무 및 플라스틱과 같은 폐플라스틱류를 선별하고 사출 성형기에서 성형 가능한 최소 사이즈로 분쇄 처리하여 재생 합성수지 원료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1차 처리 공정은 폐자동차의 파쇄 잔재물인 폐차잔재(ASR)를 정량 공급하는 공급과정과, 상기 폐차잔재에서 유리, 토사를 진동 선별기에 의해 선별하여 제거하는 1차 선별과정과, 상기 폐차잔재에서 철 소재를 전자석을 이용하여 분리 제거하는 금속 분리과정과, 상기 폐차잔재를 분쇄하는 분쇄과정과, 상기 분쇄 폐차잔재를 진동 컨베이어에 의해 종류별로 분리하며 이동하는 분리 이동과정과, 상기 폐차잔재를 스크린과 진동 기능에 의해 중량물(비철금속)과 유리, 토사를 선별 제거하고 브로에 의한 흡입 기능에 의해 스폰지, 부직포를 선별 제거하여 고무, 플라스틱과 같은 폐플라스틱류를 선별하는 2차 선별과정에 의해 폐플라스틱류를 선별한 다음 폐플라스틱류를 사출 성형기의 성형 가능한 최소 사이즈로 분쇄 가공하고자 2차 처리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2차 처리 공정은 1차 처리공정에서 선별된 폐차잔재의 폐플라스틱류를 정량 공급하는 공급과정과, 상기 폐플라스틱류를 다시 분쇄하는 분쇄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폐플라스틱류를 다시 분쇄하기 때문에 폐플라스틱류에 이물질이 분리되기 때문에 이러한 분쇄 폐플라스틱류에서 풍력에 의해 이물질, 부직포를 선별 제거하는 3차 선별과정과, 상기 분쇄 폐플라스틱류에서 광학 선별기에 의해 목재와 철,비철금속을 분리 제거하는 4차 선별과정를 거쳐 순수한 고무, 플라스틱과 같은 폐플파스틱류를 얻을 다음 5차 선별과정에서 2단 스크린에 의해 0~2mm와 2~4mm의 폐플라스틱류로 분리 선별하되, 5mm 이상의 폐플라스틱류는 다시 고속 분쇄기에 의해 고속 분쇄한 후 2단 스크린에 의한 선별과정을 반복하여 0~2mm와 2~4mm의 폐플라스틱류로 선별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폐자동차의 파쇄 잔재물인 폐차잔재(ASR: Automobile Shredder Residue)에서 순수 고무나 플라스틱과 같은 폐플라스틱류로 분리 선별함은 물론 사출 성형기에서 성형 가능한 최소 사이즈인 0~2mm와 2~4mm의 폐플라스틱류로 분쇄 처리하여 재생 합성수지 원료로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폐차잔재에서 각종 이물질(섬유, 스폰지, 철, 비철금속, 흙, 유리 등)을 제거하고 순수 고무나 플라스틱과 같은 페플라스틱류를 분리 선별하여 재활용하므로 재생 합성수지 원료의 품질 및, 상기 재생 합성수지 원료로 성형되는 제품, 예를 들면 재생 팔렛트와 같은 재생 제품의 품질도 우수하게 얻게 되는 것이다.
100: 1차 처리장치 110: 제1 정량공급장치
120: 제1 선별기 130: 자석 벨트
140: 제1 고속 분쇄기 150: 진동 컨베이어
160: 제2 선별기 200: 2차 처리장치
210: 제2 정량공급장치 220: 제2 고속 분쇄기
230: 지그재그 풍력 선별기 240: 광학 선별기
250: 제3 선별기 251,252: 스크린
260: 제3 고속 분쇄기

Claims (5)

  1. 폐자동차의 파쇄 잔재물인 폐차잔재(ASR: Automobile Shredder Residue를 정량 공급하는 제1 정량공급장치(110)와, 상기 폐차잔재에서 유리, 토사를 선별하여 제거하는 제1 선별기(120)와, 상기 폐차잔재에서 철 소재를 전자석에 의해 분리하여 제거하는 자석 벨트(130)와, 상기 폐차잔재를 소정 크기 이하로 분쇄하는 제1 고속 분쇄기(140)와, 상기 분쇄 폐차잔재를 진동에 의해 종류별로 분리 이동하는 진동 컨베이어(150)와, 상기 분쇄 폐차잔재에서 중량물(비철금속)과 유리, 토사 및 스폰지, 부직포를 각각 선별 제거하여 고무, 플라스틱과 같은 폐플라스틱류를 선별하는 제2 선별기(160)로 구성된 1차 처리장치(100)와;
    상기 1차 처리장치(100)에서 선별된 폐차잔재의 폐플라스틱류를 정량 공급하는 제2 정량공급장치(210)와, 상기 폐플라스틱류를 소정 크기 이하로 다시 분쇄하는 제2 고속분쇄기(220)와, 상기 분쇄 폐플라스틱류에서 이물질, 부직포를 풍력에 의해 선별 제거하는 지그재그 풍력 선별기(230)와, 상기 분쇄 폐플라스틱류에서 목재와 철, 비철금속을 카메라와 레이저를 이용하여 분리 제거하는 광학 선별기(240) 및, 상기 분쇄 폐플라스틱류를 스크린에 의해 크기별로 선별하는 제3 선별기(250)로 구성된 상기 2차 처리장치(2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잔재 재활용 처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속 분쇄기(140)는 30mm 스크린을 갖고 있어 폐차잔재를 30mm 스크린에 통과할 수 있는 크기 이하로 분쇄 처리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2 고속 분쇄기(220)는 15mm 스크린을 갖고 있어 폐플라스틱류를 15mm 스크린에 통과할 수 있는 크기 이하로 다시 분쇄 처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잔재 재활용 처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선별기(250)는 2단 스크린(251)(252)을 구성하여 0~2mm, 2-4mm, 5mm 이상의 폐플라스틱류를 각각 분리 선별하되, 상기 5mm 이상의 폐플라스틱류는 제3 고속 분쇄기(260)에 의해 다시 분쇄한 후 제3 선별기(250)로 재 공급하여 0~2mm, 2-4mm의 폐플라스틱류로 분리하여 선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잔재 재활용 처리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속 분쇄기(220) 이후에는 분쇄 폐플라스틱류의 이송 및 이물질 배출을 위해 석션 및 브로워 장치(300)가 설치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잔재 재활용 처리시스템.
  5. 폐자동차의 파쇄 잔재물인 폐차잔재(ASR)를 정량 공급하는 공급과정과, 상기 폐차잔재에서 유리, 토사를 진동 선별기에 의해 선별하여 제거하는 1차 선별과정과, 상기 폐차잔재에서 철 소재를 전자석을 이용하여 분리 제거하는 금속 분리과정과, 상기 폐차잔재를 분쇄하는 분쇄과정과, 상기 분쇄 폐차잔재를 진동 컨베이어에 의해 종류별로 분리하며 이동하는 분리 이동과정과, 상기 폐차잔재를 스크린과 진동 기능에 의해 중량물(비철금속)과 유리, 토사를 선별 제거하고 브로에 의한 흡입 기능에 의해 스폰지, 부직포를 선별 제거하여 고무, 플라스틱과 같은 폐플라스틱류를 선별하는 2차 선별과정의 1차 처리 공정과;
    1차 처리공정에서 선별된 폐차잔재의 폐플라스틱류를 정량 공급하는 공급과정과, 상기 폐플라스틱류를 다시 분쇄하는 분쇄 과정과, 상기 분쇄 폐플라스틱류에서 풍력에 의해 이물질, 부직포를 선별 제거하는 3차 선별과정과, 상기 분쇄 폐플라스틱류에서 광학 선별기에 의해 목재와 철,비철금속을 분리 제거하는 4차 선별과정과, 상기 분쇄 폐플라스틱류를 2단 스크린에 의해 0~2mm와 2~4mm의 폐플라스틱류로 분리 선별하되, 5mm 이상의 폐플라스틱류는 다시 고속 분쇄기에 의해 고속 분쇄한 후 2단 스크린에 의한 선별과정을 반복하여 0~2mm와 2~4mm의 폐플라스틱류로 선별하는 5차 선별과정의 2차 처리 공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잔재 재활용 처리방법.
KR1020150132598A 2015-09-18 2015-09-18 폐차잔재 재활용 처리시스템 KR101732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598A KR101732689B1 (ko) 2015-09-18 2015-09-18 폐차잔재 재활용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598A KR101732689B1 (ko) 2015-09-18 2015-09-18 폐차잔재 재활용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209A true KR20170034209A (ko) 2017-03-28
KR101732689B1 KR101732689B1 (ko) 2017-05-04

Family

ID=58495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2598A KR101732689B1 (ko) 2015-09-18 2015-09-18 폐차잔재 재활용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268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07649A (zh) * 2018-08-31 2019-01-01 侯莉芝 一种工厂用废石粉碎装置
CN109663750A (zh) * 2017-10-16 2019-04-23 张家港市爱莎进出口有限公司 一种具有顶部震动除渣机构的核桃色选机
CN112452399A (zh) * 2020-10-30 2021-03-09 重庆贻晨兴工业设计有限责任公司 一种垃圾处理用颚式破碎机及使用方法
CN115301377A (zh) * 2022-06-30 2022-11-08 江苏通用环保集团有限公司 一种垃圾粉碎处理装置
CN117563737A (zh) * 2024-01-17 2024-02-20 云南凯瑞特工程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建筑垃圾处理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1126A (ko) 2012-06-15 2013-12-26 정병태 폐자동차 차체의 철금속류 회수방법
KR101502078B1 (ko) 2014-04-15 2015-03-12 한국기계연구원 친환경 폐차잔재(ars)소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ars 소각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1839A (ja) * 2001-08-30 2003-03-12 Idemitsu Technofine Co Ltd 複合素材の分離方法、この方法により分離された繊維、樹脂およびこの繊維、樹脂を用いた成形品
JP2003236837A (ja) * 2002-02-18 2003-08-26 Jfe Engineering Kk 廃自動車シュレッダーダストのリサイクル方法及び設備
CN102137917B (zh) * 2008-08-08 2016-04-13 太平洋水泥株式会社 可燃性废弃物的燃料化装置及燃料化方法
KR100930324B1 (ko) * 2009-09-07 2009-12-09 주식회사 포스벨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폐목재 및 가연물의 입도·성상별 선별방법
KR101305130B1 (ko) * 2011-07-26 2013-09-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폐차 잔재물의 폴리우레탄 폼 및 섬유 선별 장치
KR101263128B1 (ko) * 2011-08-29 2013-05-15 윤종식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1126A (ko) 2012-06-15 2013-12-26 정병태 폐자동차 차체의 철금속류 회수방법
KR101502078B1 (ko) 2014-04-15 2015-03-12 한국기계연구원 친환경 폐차잔재(ars)소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ars 소각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63750A (zh) * 2017-10-16 2019-04-23 张家港市爱莎进出口有限公司 一种具有顶部震动除渣机构的核桃色选机
CN109107649A (zh) * 2018-08-31 2019-01-01 侯莉芝 一种工厂用废石粉碎装置
CN112452399A (zh) * 2020-10-30 2021-03-09 重庆贻晨兴工业设计有限责任公司 一种垃圾处理用颚式破碎机及使用方法
CN115301377A (zh) * 2022-06-30 2022-11-08 江苏通用环保集团有限公司 一种垃圾粉碎处理装置
CN117563737A (zh) * 2024-01-17 2024-02-20 云南凯瑞特工程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建筑垃圾处理设备
CN117563737B (zh) * 2024-01-17 2024-03-22 云南凯瑞特工程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建筑垃圾处理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2689B1 (ko) 2017-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2689B1 (ko) 폐차잔재 재활용 처리시스템
RU2150385C1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смесей пластмасс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ереработки смесей пластмасс
US5443157A (en) Automobile shredder residue (ASR) separation and recycling system
US64224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recyclable products
US69740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recyclable products
KR101305130B1 (ko) 폐차 잔재물의 폴리우레탄 폼 및 섬유 선별 장치
US5080291A (en) Method of recycling automobile waste residue
US8226019B2 (en) Systems for isotropic quantization sorting of automobile shredder residue to enhance recovery of recyclable resources
JP2008013698A (ja) 産業廃棄物シュレッダーダストを用いた固形燃料およびそれを製造する方法
KR102121874B1 (ko) 트롬멜을 이용한 폐차잔재물 복합선별 시스템 및 복합선별 방법
JP4921686B2 (ja) シュレッダー残滓の処理装置及び方法
JP2008232522A (ja) シュレッダダストの処理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4970702B2 (ja) シュレッダー残滓を処理する装置及び方法並びに生じた粒状物フラクションの使用
JP4939725B2 (ja) シュレッダー残滓を処理する装置及び方法並びに生じた繊維屑フラクションの使用
KR101976775B1 (ko) 폐차잔재 재활용 처리장치
KR101665501B1 (ko) 폐차 잔재물 선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별방법
AU20172007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mixed waste
KR20040104058A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양질의 골재 생산장치 및 방법
KR102358583B1 (ko) 순환골재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순환골재 재생방법
JP4964178B2 (ja) シュレッダダストの処理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US20210277498A1 (en) Method, process, and system of using a mill to separate metals from fibrous feedstock
KR100595006B1 (ko) 건설폐기물 처리시스템
KR20190036283A (ko) 폐차잔재 재활용 풍력선별기
RU2463160C2 (ru) Способ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ереработки пластмассовых отходов, бедных металлами
KR102554008B1 (ko) 비철금속을 포함한 고철의 자동선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