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3826A - 단말,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단말,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3826A
KR20170033826A KR1020170031792A KR20170031792A KR20170033826A KR 20170033826 A KR20170033826 A KR 20170033826A KR 1020170031792 A KR1020170031792 A KR 1020170031792A KR 20170031792 A KR20170031792 A KR 20170031792A KR 20170033826 A KR20170033826 A KR 20170033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control
control target
terminal
targe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1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2838B1 (ko
Inventor
상효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70031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838B1/ko
Publication of KR20170033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이하의 실시예는 단말, 단말의 동작 방법과 단말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에 관한 것이다. 단말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단말과 무선 연결된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어 대상 기기의 목록 정보를 출력하여, 상기 모드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 대상 기기의 제어 정보의 설정에 대한 선택 입력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모드의 실행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 상기 실행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실행 명령에 따라, 상기 서버가 상기 제어 대상 기기를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TERMINAL, OPERATION METHOD OF TERMINAL, AND APPLICATION}
이하의 실시예는 단말, 단말의 동작 방법과 단말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물들이 서로 통신을 수행하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술이 발달하고 있다. 스마트 홈, 스마트 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물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원거리에서도 사물들을 제어할 수 있고, 사물들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 공보 제10-2011-0047764호(발명의 명칭: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출원인: 삼성전자 주식회사)에는 이동 단말이 홈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홈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들의 리스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장치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장치의 상태 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선택된 장치에게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장치로부터 상기 선택된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상태 정보 및 상기 선택된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이 개시된다.
실시예들을 통해, 사물 간 통신을 지원하고, 사물 간 통신을 이용하여 사물을 제어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들은 모드 별로 사물의 동작을 설정하고, 모드 실행 시 설정에 따라 사물의 동작을 제어한다.
단말의 사용자로부터 특정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과 무선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의 설정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모드의 실행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 상기 실행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실행 명령에 따라, 상기 서버가 상기 제어 대상 기기를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일측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제어 대상 기기의 특정 상태 또는 상태 변경에 따른 알림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모드의 실행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모드를 나타내는 아이콘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모드의 실행 안내 메시지를 상기 단말의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모드의 실행 명령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기기를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하는 동안, 타 모드의 실행 및 상기 제어 대상 기기의 개별 제어가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모드의 실행 명령에 따른 대상 기기의 제어 실행이 완료되었다는 정보를 수신하면, 타 모드의 실행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모드의 해제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제어 대상 기기의 개별 제어를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의 설정에 대한 선택 입력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추천 모드 제어 실행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추천모드 제어 실행 문구의 선택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의 설정에 대한 선택 입력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추천 모드 제어 실행 정보는, 상기 서버가 상기 단말의 계정에 등록되어 있는 제어 대상 기기 및 해당 제어 정보가 기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추출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추천 모드 제어 실행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해 사용자가 설정된 명칭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을 통해, 사물 간 통신을 지원하고, 사물 간 통신을 이용하여 사물을 제어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모드 별로 사물의 동작을 설정하고, 모드 실행 시 설정에 따라 사물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모드 별 제어 수행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어 대상 기기가 다수이어서 조작이 어려운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모드 별 제어가 실행 중일 때에는 제어 대상 기기의 상태 정보 조회는 가능하게 하나 개별 제어는 불가하도록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시킴으로써 모드 제어 상태를 용이하게 직관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리고, 불완전한 제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수의 제어 대상 기기 별로 모드 별 설정을 번거롭지 않도록 추천 모드 제어 실행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모드 별 제어 설정이 용이하게 한다.
특정 모드에서만 특정 제어 대상 기기의 상태 변경이 발생했을 경우에 단말에 푸시 알림을 통해 알려줌으로써 많은 제어 대상 기기의 상태 변경 중 중요 사항에 대해서만 쉽고 빠르게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모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대상 기기를 등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단말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과 통신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모드 실행 이전 화면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취침 모드 실행 명령이 입력되어 실행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모드의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모드의 다른 설정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모드 실행의 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댁 내에서 사용자가 가입한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댁 내의 사물들이 서로 통신할 수 있어야 한다. 댁 내의 사물들 자체가 통신하는 것은 아니고, 댁 내의 사물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기기가 통신하여 댁 내의 사물 인터넷 서비스가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대상 기기는 전등에 대응하는 스위치, 현관문에 대응하는 도어락, 또는 창문에 대응하는 열림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댁 내의 사물 인터넷 서비스가 실현되기 위해 제어 대상 기기의 등록이 필요할 수 있다.
단말은 무선 네트워크 장비 스캐닝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수행 결과를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단말은 제어 대상 기기의 등록을 위해 무선 네트워크 장비와 무선 연결(예를 들어, 와이파이)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장비는,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일 수 있다. 무선 연결을 위해 비밀번호가 입력될 수 있고, 입력된 비밀번호에 기초하여 단말의 사용자가 인증될 수 있다.
단말과 무선 네트워크 장비의 무선 연결에 기초하여, 단말은 허브를 검색할 수 있다. 무선 연결에 기초하여, 허브 검색을 위한 버튼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고, 단말은 버튼에 대한 입력을 감지하여 허브를 검색할 수 있다. 허브는 무선 네트워크 장비의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는 물리적 장치로, 제어 대상 기기와 무선 네트워크 장비 사이의 무선 통신(예를 들어, Z-Wave)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브는 무선 네트워크 장비의 USB 포트에 연결되는 동글(dongle)일 수 있다. 허브는 무선 네트워크 장비의 하나로 볼 수 있다.허브 검색을 위한 버튼에 대한 입력이 있는 경우, 단말은 허브 검색 중임을 무선 네트워크 장비에게 알릴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장비는 단말에게 무선 네트워크 장비 정보(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장비의 시리얼 넘버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 장비의 맥 주소) 및 허브 정보(예를 들어, 허브의 시리얼 넘버)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단말의 사용자가 가입한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계정 정보 및 무선 네트워크 장비의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에게 청약 장치 리스트를 요청할 수 있다. 서버는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계정 정보 및 무선 네트워크 장비의 정보에 대응하는 청약 장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물 인터넷 서비스에 가입 시, 대리점 판매자 또는 고객센터에서는 서버에 사용자가 향후 등록 절차를 통해 이용하게 될 제어 대상 기기 정보를 사용자의 정보와 매칭하여 청약 장치 리스트로 사전 등록하게 되며, 해당 제어 대상 기기의 배송/설치/이용 중 분실 또는 도난에 따른 오용을 방지하게 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단말의 모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대상 기기를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110)에서, 단말은 제어 대상 기기 리스트를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노출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청약 장치 리스트에 제어 대상 기기 리스트가 포함될 수 있다. 단말은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어 대상 기기 리스트를 디스플레이에 노출할 수 있다.
제어 대상 기기 리스트는 복수의 제어 대상 기기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 정보는, 예를 들어, 복수의 제어 대상 기기들 각각의 카테고리, 모델명, 시리얼 넘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테고리는 제어 대상 기기의 종류를 나타낸 것으로, 예를 들어, 스위치, 콘센트, 열림 센서, 전력 측정기, 가스락, 도어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대상 기기 리스트는 제어 대상 기기의 개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 대상 기기 리스트는 동일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제어 대상 기기의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의 제어 대상 기기가 몇 개 있는지, 콘센트의 제어 대상 기기가 몇 개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제어 대상 기기 리스트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단계(120)에서, 단말은 제어 대상 기기 리스트에 대한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물리적 공간에 위치한 제어 대상 기기의 페어링을 위한 트리거링 버튼을 표시한다.
제어 대상 기기 리스트에서 선택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기기와 무선 네트워크 장비 사이의 페어링을 위한 트리거링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트리거링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기기와 무선 네트워크 장비 또는 허브 간 페어링 절차를 진행한다.
단계(130)에서, 단말은 제어 대상 기기의 페어링을 기초로 제어 대상 기기를 등록한다.
단말은 제어 대상 기기 리스트에 대한 선택 입력 및 제어 대상 기기가 위치한 물리적 공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등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록 정보는, 제어 대상 기기의 식별 정보 및/또는 물리적 공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대상 기기 리스트에 대한 선택 입력을 기초로 단말은 제어 대상 기기의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대상 기기 리스트는 제어 대상 기기의 카테고리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식별 정보는 제어 대상 기기의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어 대상 기기 리스트에서 스위치를 선택하는 경우, 등록 정보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제어 대상 기기가 위치한 물리적 공간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대상 기기가 페어링된 경우, 단말은 제어 대상 기기가 위치한 물리적 공간의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단말은 페어링된 제어 대상 기기가 댁 내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어링된 제어 대상 기기는 댁 내에서 안방, 거실, 화장실, 베란다 등 중에서 어느 하나에 위치할 수 있고, 사용자는 페어링된 제어 대상 기기가 거실에 위치함을 입력할 수 있다. 단말은 페어링된 제어 대상 기기가 위치한 물리적 공간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 대상 기기의 추가 식별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 대상 기기의 이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거실에 위치한 스위치의 이름을 "중앙 형광등"으로 설정할 수 있고, 화장실에 위치한 스위치의 이름을 "화장실 전등"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베란다 창문에 위치한 열림 센서의 이름을 "베란다 창문"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등록 정보는 제어 대상 기기의 카테고리, 물리적 공간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제어 대상 기기의 추가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등록 정보를 단말과 통신하는 서버에 전송하여 서버에서 관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서버는 이벤트에 따라 등록된 제어 대상 기기의 상태를 변경하거나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등의 제어를 수행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단말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210) 내지 단계(230)은 모드의 설정 방법이며,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계(210)에서, 단말은 단말의 사용자로부터 단말과 무선 연결된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모드를 선택한다. 제어 대상 기기는 앞서 도 1의 등록 방법을 통해 등록된 제어 대상 기기에 해당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모드는, 실내 모드, 취침 모드, 외출 모드 등의 다양한 모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 모드는 사용자가 실내에 있을 때 실행되고, 취침 모드는 사용자가 취침에 들 때 실행되고, 외출 모드는 사용자가 댁에서 바깥으로 외출 시에 실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실행 명령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다.
댁 내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있어서, 다양한 모드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서 수신되는 실행 명령에 대응하는 모드에 따라 제어 대상 기기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모드를 제공하기 위해 각 모드에 대한 제어 대상 기기의 설정이 필요하며, 사용자로부터 설정이 필요한 모드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면 해당 모드에 대응하여 제어 대상 기기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도 6의 화면(610)은 단말의 사용자로부터 단말과 무선 연결된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모드를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모드 설정을 위해,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모드 설정" 메뉴를 탭(Tap)하여 화면(610)의 모드 설정 메뉴를 실행시킬 수 있다. 화면(6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침 모드", "실내 모드" 및 "외출 모드" 등의 모드 선택 버튼(601)을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설정이 필요한 모드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는다.
단계(220)에서, 단말은 제어 대상 기기의 목록 정보를 출력하여, 모드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기기의 모드 별 제어 정보의 설정에 대한 선택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한다.
일실시예에서, 제어 대상 기기의 목록 정보는 앞서 설명한 도 1의 제어 대상 기기의 등록 방법을 통해 등록된 제어 대상 기기의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록 정보는 단말에 등록 시 사용자가 등록한 제어 대상 기기의 명칭, 각각의 카테고리, 모델명 및 시리얼 넘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테고리는 제어 대상 기기의 종류를 나타낸 것으로, 예를 들어, 스위치, 콘센트, 열림 센서, 전력 측정기, 가스락, 도어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목록 정보는 카테고리 별로 표시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최근 등록된 순서, 이름 순서, 설치 장소 단위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도 6의 화면(610)에는 "스위치", "콘센트", "열림센서", "가스락", "도어락", "보일러" 등의 카테고리 선택 버튼(602)이 제공된다.
이후 화면(620)은, 모드 선택 버튼(601)을 통해 실내모드가 선택된 후 "스위치"에 대해서 카테고리 선택 버튼(602)을 선택한 이후 "스위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기기를 상세 설정하기 위한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실시예에서, "스위치"에 대해서 선택이 입력되면, 화면 전환 또는 드롭다운(Dropdown) 형식으로 해당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제어 대상 기기 목록이 표시되면서, 특정 제어 대상 기기의 모드 별 제어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 인터페이스가 표시된다.
"스위치"에 대응하여, "안방 스위치", " 거실 스위치" 등으로 분류되며, 각각 "중앙형광등 버튼", "사이드등 버튼" 및 "오른쪽등 버튼", "왼쪽등 버튼" 등 등록된 제어 대상 기기에 해당하는 모든 스위치와 각각의 스위치의 제어 버튼(603)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 버튼(603)의 상태에 따라 해당 스위치의 설정이 켜져 있는지 또는 꺼져 있는지를 나타내고 있고, 예컨대 제어 버튼(603)의 위치가 우측으로 이동되어 있는 경우 스위치 설정이 켜져 있으며, 좌측으로 이동되어 있는 경우 스위치 설정이 꺼져 있는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설정이 켜져 있는 경우만 해당 모드에서 제어대상 기기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다.
각 스위치의 설정된 상태에 대해서 설정 알림(604)을 통해 단말에 표시 가능하고, 실시예에서, "사이드등 버튼"에 대해서 꺼져있는 제어 버튼(603)을 켜지도록 선택 입력할 수 있고, 화면(6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등 버튼"의 제어 버튼(603)에 대응하여 설정 알림(604)의 표시 내용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 알림(604)은 설정 값을 표시할 수 있다. 화면(630)과 같이, 설정을 변경하는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해서 단말의 일측에 토스트 메시지(605)를 제공하여, 설정 변경 내용을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실내 모드에서 안방스위치-사이드등 이 켜지도록 설정된 것이다.
또한 선택된 모드에서 선택된 제어대상기기의 상태 정보 변경에 따라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 알림을 받을지에 대해서도 설정할 수 있다
단계(230)에서, 단말은 제어 대상 기기의 모드 별 제어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제어 대상 기기 각각에 대한 제어 정보는 단말과 와이파이, 무선 데이터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연결된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이후 단계(240)에서 단계(250)은 사용자가 모드 제어를 하는 방법이며,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계(240)에서,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모드의 실행 명령을 수신한다.
실시예에서, 단말의 디스플레이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드의 실행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 모드, 취침 모드, 외출 모드 등의 실행에 대한 실행 버튼을 화면의 일측에 표시할 수 있으며, 해당 버튼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실행 버튼에 대응하는 모드에 대해 실행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도 4는 모드 실행 이전 화면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화면(410)의 상단에 모드 제어를 위한 버튼(401)이 구비될 수 있으며, 통합 제어 화면(402)을 표시할 수 있다. 통합 제어 화면(402)은 단말에 등록된 복수의 제어대상기기의 현재의 상태 정보 및 제어 할 수 있는 메뉴(인터페이스)를 동시에 표시하는 것으로 제어 대상 기기의 카테고리를 상하로 배치하고, 동일 카테고리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제어 대상 기기를 각각으로 개별로 세로로 배치하여, 각각의 제어 대상 기기의 상태 정보(물리적 ON/OFF 상태)가 시각적으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도 5는 취침 모드 실행 명령이 입력되어 실행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제공되는 모드 중 "취침 모드"의 실행을 위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화면(510)에서 취침 모드의 실행 버튼(501)을 선택 입력하여 "취침 모드"의 제어의 실행에 대한 안내 팝업(502)이 출력될 수 있다. 팝업(502)은 제어 대상 기기의 제어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며, 모드 실행 이후에는 개별 제어가 불가하다는 안내를 포함할 수 있다. 팝업(502)에 대해서 단말에 "취소" 버튼을 선택 입력하면, "취침 모드"의 실행이 취소되고, "모드제어하기" 버튼을 선택 입력하면 "취침 모드"의 실행이 시작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자로부터 해당 모드에 대해 제어를 할 제어 대상 기기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안내와 함께 해당 모드에 대해 제어를 수행할 제어 대상 기기를 설정하기 위해 단계(220)로 진행되어 설정 인터페이스를 단말에 출력할 수 있다.
단계(250)에서, 단말은 서버로 선택된 모드의 실행 명령을 전송한다.
실시예에서, 단말은 실행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실행 명령을 수신한 서버는, 실행 명령을 전송한 단말에 대응하여 저장된 제어 대상 기기의 모드 별 제어 정보를 불러올 수 있으며,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AP를 통해 무선 연결된 제어 대상 기기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센트" 카테고리의 제어 대상 기기에 포함되는 '거실 TV', '안방 충전기', '안방 멀티탭', '컴퓨터' 등에 대해서, '거실 TV', '안방 충전기'는 ON으로 설정하고, '안방 멀티탭', '컴퓨터'는 OFF로 설정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에 대응하도록 제어 대상 기기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특정 모드 변경에 따른 제어 대상 기기의 제어 실행 중에는 타 모드의 실행이나, 제어 대상 기기의 개별 제어를 비활성화하여 모드 별 제어 시 완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 특정 모드 변경에 따른 제어 대상 기기의 제어가 완료되면, 해당 모드의 해제 및 타 모드의 실행이 가능하게 하며, 제어 대상 기기의 개별 제어의 비활성화 상태는 해당 모드의 해제 시까지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모드 제어 실행 중에는 제어 대상 기기의 상태 정보 조회는 가능하게 하면서, 제어 대상 기기의 개별 제어를 비활성화함으로써 모드 제어의 완결성을 유지 하게 한다.
도 5의 팝업(502)의 "모드제어하기" 버튼이 입력되면, 단말은 화면(520)과 같이 "취침 모드"의 제어가 진행 중이고, 몇 퍼센트 진행이 완료되었는지 진행 상황(503)을 단말의 일측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한 모드의 아이콘을 통해 제어 프로그레스(Progress)를 안내하며, 단말의 일측에서 바(bar) 형태나 다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화면(520)에서 "취침 모드"의 실행 버튼을 포함한 "실내 모드" 및 "외출 모드"의 실행 버튼은 비활성화되어 선택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통합 제어 화면(402)에서 표시되는 제어 대상 기기의 아이콘들 또한 각 제어 대상 기기의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버튼의 기능은 비활성화되며, 제어 대상 기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은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등록된 제어 대상 기기의 상태 정보에 따라서 변경 표시할 수 있다.
서버로부터 모드 변경(모드 실행)에 따른 제어 대상 기기의 제어 실행이 완료되었다는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모드의 해제 또는 타 모드의 실행이 가능하게 한다. 모드 변경에 따른 제어 대상 기기의 제어 실행이 완료되었을 경우 제어 대상 기기의 개별 제어를 활성화할 수 있으나, 해당 모드의 해제 시까지 제어 대상 기기의 개별 제어를 비활성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로부터 해당 모드의 해제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단말은 서버로 선택된 모드의 해제 명령을 전송하면서, 등록된 제어 대상 기기의 개별 제어를 활성화 처리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과 통신하는 서버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310) 내지 단계(320)은 모드의 설정 방법이다.
단계(310)에서, 서버는 단말의 사용자로부터 단말과 무선 연결된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모드 및 모드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기기의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댁 내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있어서, 다양한 모드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서 수신되는 실행 명령에 대응하는 모드에 따라 제어 대상 기기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각 모드에 따라 제어 대상 기기의 상태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정보는 예를 들어, "콘센트" 카테고리의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해서, '거실 TV', '안방 충전기', '안방 멀티탭', '컴퓨터' 등이 존재하는 경우, '거실 TV', '안방 충전기'는 ON으로 설정하고, '안방 멀티탭', '컴퓨터'는 OFF로 설정하는 등 제어 대상 기기 각각에 대해서 설정된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320)에서, 서버는 단말에 매칭하여 제어 대상 기기의 모드 별 제어 정보를 저장한다.
실시예에서, 같은 댁 내에서 하나 이상의 단말에 의해서 실행 가능하고, 제어 정보를 전송한 단말 이외에 해당 단말과 연동되는 계정을 가지는 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후 단계(330)에서 단계(340)은 사용자가 모드 제어 요청에 따라 서버가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 하는 방법이다.
단계(330)에서, 서버는 단말로부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모드의 실행 명령을 수신한다.
실시예에서, 서버는 실행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를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의 디스플레이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모드의 실행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340)에서, 서버는 제어 정보에 대응하도록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한다.
실행 명령을 전송한 단말에 대응하여 저장된 제어 정보를 불러올 수 있으며,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AP를 통해 무선 연결된 제어 대상 기기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센트" 카테고리의 제어 대상 기기에 포함되는 '거실 TV', '안방 충전기', '안방 멀티탭', '컴퓨터' 등이 존재하는 경우, '거실 TV', '안방 충전기'는 ON으로 설정하고, '안방 멀티탭', '컴퓨터'는 OFF로 설정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에 대응하도록 제어 대상 기기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입력된 모드에 대해 제어되는 제어 대상 기기의 수가 복수일 경우 순차적으로 제어를 진행하며, 입력된 모드에 대해 제어되는 제어 대상 기기 전부의 제어가 완료되는 경우 서버는 요청한 단말로 모드 변경에 따른 제어 대상 기기의 제어 실행이 완료되었다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제어 대상 기기의 상태 변경에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해 해당 모드의 앱 알림 설정이 되어 있다면 해당 단말에게 상태 변경 알림을 푸시(PUSH)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대상 기기의 상태 정보 변경 알림은 단말 이외에 단말과 연동 가능한 계정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에도 동사에 전송될 수 있다.
이후 단말로부터 해당 모드를 해제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해당 단말의 계정에 해당하는 정보를 변경 처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단말 이외에 단말과 연동 가능한 계정을 사용하는 다른 단말로부터 실행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서버는 다른 단말에 연동된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를 불러올 수 있고,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AP를 통해 무선 연결된 제어 대상 기기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모드 실행 이전 화면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화면(410)의 상단에 모드 제어를 위한 버튼(401)이 구비될 수 있으며, 통합 제어 화면 (402)을 표시할 수 있다. 통합 제어 화면 (402)은 단말에 등록된 복수의 제어 대상 기기의 현재의 상태 정보 및 제어 할 수 있는 메뉴(인터페이스)를 동시에 표시하는 것으로 제어 대상 기기의 카테고리를 상하로 배치하고, 동일 카테고리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제어 대상기기를 각각으로 개별로 세로로 배치하여, 각각의 제어대상기기의 상태 정보(물리적 ON/OFF 상태)가 시각적으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더불어, 제어 대상 기기의 각 카테고리에 대해서 제어 대상 기기 중 특정 상태(ON 상태) 제어 대상 기기가 몇 개인지 또는 각 카테고리에 대해서 전제 제어 대상 기기 수에 대비한 비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통합 제어 화면(402) 내의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아이콘은 각 제어 대상 기기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것과 동시에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버튼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아이콘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면, ON 상태에서 OFF 상태로, 또는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취침 모드 실행 명령이 입력되어 실행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제공되는 모드 중 "취침 모드"의 실행을 위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화면(510)에서 취침 모드의 실행 버튼(501)을 선택 입력하여 "취침 모드"의 제어의 실행에 대한 안내 팝업(502)이 출력될 수 있다. 팝업(502)은 제어 대상 기기의 제어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며, 모드 실행 이후에는 개별 제어가 불가하다는 안내를 포함할 수 있다. 팝업(502)에 대해서 단말에 "취소" 버튼을 선택 입력하면, "취침 모드"의 실행이 취소되고, "모드제어하기" 버튼을 선택 입력하면 "취침 모드"의 실행이 시작될 수 있다.
모드 선택 시, 해당 모드에 설정된 제어 대상 기기의 상태에 기초하여 실행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서, 사용자로부터 해당 모드에 대한 설정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혹은 설정된 제어 대상 기기의 상태가 모두 OFF 인 경우, 해당 모드에 대해 설정 인터페이스를 단말에 출력할 수 있다.
팝업(502)의 "모드제어하기" 버튼이 입력되면, 단말은 화면(520)과 같이 "취침 모드"의 제어가 진행 중이고, 몇 퍼센트 진행이 완료되었는지 진행 상황(503)을 단말의 일측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한 모드의 아이콘을 통해 제어 프로그레스(Progress)를 안내하며, 단말의 일측에서 바(bar) 형태나 다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화면(520)에서 "취침 모드"의 실행 버튼을 포함한 "실내 모드" 및 "외출 모드"의 실행 버튼은 비활성화되어 선택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통합 제어 화면 (402)에서 표시되는 제어 대상 기기의 아이콘들 또한 각 제어 대상 기기의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버튼의 기능은 비활성화되며, 제어 대상 기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은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등록된 제어 대상 기기의 상태 정보에 따라서 변경 표시 하여, 사용자가 등록된 제어 대상 기기의 상태 조회는 가능하게 하나, 모드 제어나 제어 대상 기기의 개별 제어는 불가하게 처리할 수 있다.
서버로부터 모드 변경에 따른 제어 대상 기기의 제어 실행이 완료되었다는 정보를 수신하면 타 모드의 실행이나, 해당 모드의 해제가 가능하도록 활성화 처리한다.
실시예에서, "취침 모드" 변경에 따른 제어 대상 기기의 제어가 모두 완료된 경우, 단말이 실시간으로 출력하고 있는 화면의 종류에 상관없이 "취침 모드" 변경에 따른 제어 대상 기기의 제어가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토스트(Toast) 메시지를 단말의 일측에 표시할 수 있다.
서버로부터 모드 변경에 따른 제어 대상기기의 제어 실행이 완료되었다는 정보를 수신하더라도 해당 모드 상태이므로, 타 모드의 실행은 가능하게 하나, 제어 대상 기기의 개별 제어는 불가하게 처리하며, 해당 모드 가 해제되는 경우 제어 대상 기기의 개별 제어가 가능하도록 활성화 처리할 수 있다.
화면(530)은 "취침 모드"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기기의 제어 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일례로 "취침 모드"의 제어 중에는, "취침 모드"가 해제 될 때 까지는 "취침 모드"가 제어 중이라는 안내(504)를 디스플레이의 일측에 표시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취침 모드의 실행 버튼(501)을 선택 입력하면 취침 모드가 해제되며, "취침 모드"가 제어 중이라는 안내(504) 문구를 제거하고, 제어 대상 기기의 개별 제어가 가능하도록 활성화 처리하여 통합 제어 화면(402)를 통해 개별 제어가 가능하다.
도 7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모드의 다른 설정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정 모드(실내모드) 설정 시, 도 6의 "스위치" 카테고리에 대해서 제어 대상 기기를 설정한 일례에 함께, 타 카테고리에 대해서 제어 대상 기기의 상태를 설정하는 일례를 설명한다.
화면(710)과 같이 "스위치" 카테고리(701)에 대해서 선택이 입력되면, 드롭다운(Dropdown) 메뉴 형식으로 제공되어 아래로 펼쳐진 제어 대상 기기의 목록 정보가 다시 "스위치" 카테고리(701)에 숨겨질 수 있다.
화면(720)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모드 상세 설정이 가능한 카테고리를 ‘스위치-> 콘센트-> 열림센서-> 가스락-> 도어락-> 보일러 순으로 아이콘과 텍스트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그라미 아이콘은 스위치를 나타낼 수 있고, 마름모 아이콘은 콘센트를 나타낼 수 있으며, 사각형 아이콘은 열림 센서를 나타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콘센트" 카테고리(702)에 대해서 선택을 입력할 수 있다.
화면(730)에서 "콘센트" 카테고리(702)에 대한 선택 입력으로 "콘센트"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기기의 목록 정보와 각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 버튼을 제공하는 상세 설정이 가능하다. 실시예에서, "거실 TV 콘센트", "충전기 콘센트", "안방멀티탭 콘센트", "작은방 멀티탭 콘센트", "노트북 콘센트" 등의 제어 대상 기기를 나열하며, 제어 대상 기기에 대응하는 콘센트 목록에 대해서 각 콘센트의 상태를 선택하는 제어 버튼을 제공하여, ‘전원을 연결’할지, ‘전원을 차단’할지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카테고리 중 "열림센서"에 대해서 열림센서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기기의 목록 정보를 제공하고, 각 열림센서에 대해서 상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알림으로 수신할지 여부에 대해서 설정할 수 있다. "가스락" 및 "도어락"의 실시예에서, 가스락의 상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알림으로 수신할지 여부에 대해서 설정할 수 있으며, "보일러" 카테고리에 대해서 ‘전원을 켤지’, ‘전원을 끌지’에 대해서 설정할 수 있다. 즉 특정 모드(실내 모드) 제어 상태에서 해당 특정 모드가 해제되기 전까지 제어 대상 기기("열림센서")의 상태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상태 정보에 대한 알림을 단말이 받을지 여부에 대해 설정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모드 실행의 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화면(810)은 "열림센서"에 대해서 장치의 상세 설정을 위해 제공되는 화면의 일례이다. "스마트 팁"(801)이라는 추천 모드 제어 실행 정보를 표시하는 메뉴를 제공하여 "열림센서"와 모드가 연동 가능한 모드 제어 설정을 편리하게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모드의 실행 시에, 열림센서(제어 대상 기기)의 상태 정보 변경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알림을 받을지에 대해서 손쉽게 설정할 수 있다.
"스마트 팁"(801)에 표시되는 추천 모드 제어 실행 정보는 서버에서 저장된 복수의 제어 실행 정보 중 해당 단말에 대응하여 등록된 제어 대상 기기 및 해당 모드 제어 정보가 기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서버가 판단하여 추출하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는 해당 단말의 계정에 대해 열림센서(사용자가 친숙하도록 열림센서(제어 대상 기기) 등록 시 사용자가 설정한 명칭(거실창)으로 변경 표시)가 제어 대상 기기로 등록되어 있고, 앱 알림 설정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만 해당 추천 모드 제어 실행 정보를 해당 단말로 전송하여 표시하게 한다. 따라서, 열림센서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단말이나, 이미 앱 알림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마트 팁"에 해당 추천 모드 제어 실행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다. 표시된 추천 모드 제어 실행 정보를 선택하면, 사용자가 별도로 모드 설정을 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해당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모드 제어 설정이 가능하다.
"스마트 팁"(801)에 대한 타이틀의 선택을 입력하면, 화면(820)과 같은 모드의 상세 설정이 가능하다.
실시예에서, 화면(820)은 도 6의 화면(610)에 대응할 수 있으며,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선택된 모드에 대해서 설정하고자 하는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제어 대상 기기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있어서,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단말(900)은, 입력부(910), 전송부(920) 및 명령부(93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910)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단말의 사용자로부터 특정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과 무선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의 설정에 대한 선택 입력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다. 제어 정보는 상기 제어 대상 기기의 특정 상태 또는 상태 변경에 따른 알림 설정 중 하나 일 수 있다. 상태 변경에 따른 알림 설정이란, 해당 모드일 경우 해당 제어 대상기기의 상태 변경이 발생할 경우 서버가 단말에게 상태 정보 알림을 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서버로부터 추천 모드 제어 실행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게 하고, 상기 추천모드 제어 실행 문구의 선택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의 설정에 대한 선택 입력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전송부(920)는 제어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제어 대상 기기 각각에 대한 제어 정보는 단말(900)과 와이파이, 무선 데이터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연결된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명령부(930)는 사용자로부터 모드의 실행 명령을 수신하면, 단말(900)은 서버로 실행 명령을 전송한다.
실시예에서, 단말(900)의 디스플레이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드의 실행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 모드, 취침 모드, 외출 모드 등의 실행에 대한 실행 버튼을 화면의 일측에 표시할 수 있으며, 해당 버튼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실행 버튼에 대응하는 모드에 대해 실행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실행 명령이 수신되면, 단말(900)은 실행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실행 명령을 수신한 서버는, 실행 명령을 전송한 단말(900)에 대응하여 저장된 제어 정보를 불러올 수 있으며,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AP를 통해 무선 연결된 제어 대상 기기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센트" 카테고리의 제어 대상 기기에 포함되는 '거실 TV', '안방 충전기', '안방 멀티탭', '컴퓨터' 등에 대해서, '거실 TV', '안방 충전기'는 ON으로 설정하고, '안방 멀티탭', '컴퓨터'는 OFF로 설정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에 대응하도록 제어 대상 기기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특정 모드의 실행 중에는 타 모드를 실행하거나, 제어 대상 기기를 개별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하여 사용자로부터 모드 실행의 해제 명령이 입력되기 이전까지 모드의 실행을 유지할 수 있다.
제어 대상 기기의 개별 제어를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되더라도 제어 대상 기기의 상태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함으로써 상태 정보는 지속적으로 조회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

  1. 단말의 사용자로부터 특정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과 무선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의 설정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모드의 실행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 상기 실행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실행 명령에 따라, 상기 서버가 상기 제어 대상 기기를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KR1020170031792A 2017-03-14 2017-03-14 단말,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KR101932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792A KR101932838B1 (ko) 2017-03-14 2017-03-14 단말,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792A KR101932838B1 (ko) 2017-03-14 2017-03-14 단말,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1833A Division KR20170002004A (ko) 2015-06-29 2015-06-29 단말,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826A true KR20170033826A (ko) 2017-03-27
KR101932838B1 KR101932838B1 (ko) 2018-12-26

Family

ID=58496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792A KR101932838B1 (ko) 2017-03-14 2017-03-14 단말,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838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5081A (ja) * 2004-07-27 2006-02-09 Asaba Manufacturing Inc 薬液散布用ノズル及び散布器
JP2006350819A (ja) * 2005-06-17 2006-12-28 Toshiba Corp 家電機器制御システム
JP2012178889A (ja) * 2012-06-21 2012-09-13 Sharp Corp 機器制御装置、機器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2838B1 (ko) 2018-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4157B2 (en)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US11334208B2 (en) Control apparatus
KR101958902B1 (ko) 전자기기들의 그룹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EP2689574B1 (en) System and method for appliance control via a network
US9106796B2 (en) Configu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figuring one or more devices having hidden configuration settings
US10120532B2 (en)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US10608837B2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03001146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ubiquitous resources in an intelligent environment
JP5901217B2 (ja) 機器遠隔制御システムおよび機器遠隔制御方法
JP2016149787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端末、サーバ、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721446B2 (ja) 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KR101588595B1 (ko)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통합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
AU2017280957A1 (en) Application icon customization
US944489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idirectional pairing between devices
CN101866541A (zh) 信息通信系统,信息处理设备,信息通信程序和信息通信方法
JP2002290606A (ja)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における接続機器の選択方法
JP2002291039A (ja)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における接続機器の選択方法
KR100575447B1 (ko)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가전기기 제어방법
KR101932838B1 (ko) 단말,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KR20170002004A (ko) 단말,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KR101729845B1 (ko) 단말,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KR101806737B1 (ko) 단말,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KR20170091565A (ko) 단말,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KR101791738B1 (ko) 단말,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KR20220135860A (ko) 스위칭 장치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홈 내 기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