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6737B1 - 단말,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단말,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6737B1
KR101806737B1 KR1020160118083A KR20160118083A KR101806737B1 KR 101806737 B1 KR101806737 B1 KR 101806737B1 KR 1020160118083 A KR1020160118083 A KR 1020160118083A KR 20160118083 A KR20160118083 A KR 20160118083A KR 101806737 B1 KR101806737 B1 KR 101806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egory
control target
control
layer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8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335A (ko
Inventor
상효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60118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6737B1/ko
Publication of KR20170002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이하의 실시예는 단말 및 단말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에 관한 것이다. 전체 제어 대상 기기들의 상태를 나타내는 통합 정보 화면을 포함하는 제1 레이어를 통해, 제1 카테고리의 명칭, 제1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제어 대상 기기들의 수, 제1 카테고리 내에 제어 대상 기기들의 특정 상태 및 특정 상태에 해당하는 제어 대상 기기들의 수를 표시하는 제1 유형의 그리드 셀; 및 제2 카테고리의 명칭 및 제2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제어 대상 기기의 희망 상태 및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제2 유형의 그리드 셀; 제1 레이어의 일측에 통합 제어 화면의 노출을 가이드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및 제어 대상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통합 제어 화면을 포함하는 제2 레이어를 통해, 제1 카테고리 및 제2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제어 대상 기기들의 상태를 전체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전체 제어 버튼; 및 각 카테고리 내의 각 제어 대상 기기의 상태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개별 제어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TERMINAL, OPERATION METHOD OF TERMINAL, AND APPLICATION}
이하의 실시예는 단말, 단말의 동작 방법 및 단말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물들이 서로 통신을 수행하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술이 발달하고 있다. 스마트 홈, 스마트 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물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원거리에서도 사물들을 제어할 수 있고, 사물들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 공보 제10-2011-0047764호(발명의 명칭: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출원인: 삼성전자 주식회사)에는 이동 단말이 홈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홈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들의 리스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장치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장치의 상태 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선택된 장치에게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장치로부터 상기 선택된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상태 정보 및 상기 선택된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이 개시된다.
실시예들은 사물 간 통신을 지원하고, 사물 간 통신을 이용하여 사물을 제어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들은 사물을 제어하기 위한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전체 제어 대상 기기들의 상태를 나타내는 통합 정보 화면을 포함하는 제1 레이어를 통해, 제1 카테고리의 명칭, 상기 제1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제어 대상 기기들의 수, 상기 제1 카테고리 내에 제어 대상 기기들의 특정 상태 및 상기 특정 상태에 해당하는 제어 대상 기기들의 수를 표시하는 제1 유형의 그리드 셀; 및 제2 카테고리의 명칭 및 상기 제2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제어 대상 기기의 희망 상태 및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제2 유형의 그리드 셀; 상기 제1 레이어의 일측에 통합 제어 화면의 노출을 가이드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대상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통합 제어 화면을 포함하는 제2 레이어를 통해, 상기 제1 카테고리 및 제2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제어 대상 기기들의 상태를 전체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전체 제어 버튼; 및 상기 각 카테고리 내의 각 제어 대상 기기의 상태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개별 제어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카테고리는, 스위치, 콘센트, 센서 및 도어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카테고리는, 보일러, 에어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레이어를 통해 상기 전체 제어 버튼 및 상기 개별 제어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통합 제어 화면의 상기 전체 제어 버튼 및 상기 개별 제어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 상태를 갱신하고, 상기 통합 정보 화면 내 상기 제1 유형의 그리드 셀 및 상기 제2 유형의 그리드 셀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된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합 정보 화면 내 상기 제1 유형의 그리드 셀 및 상기 제2 유형의 그리드 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의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레이어에 상기 제1 레이어를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제2 레이어의 상기 통합 제어 화면의 노출을 가이드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레이어를 최소화하여 상기 제2 레이어의 통합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최소화된 제1 레이어에 상기 제1 레이어를 복원함으로써 상기 통합 정보 화면의 노출을 가이드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최소화된 제1 레이어를 복원함으로써 상기 제1 레이어의 통합 정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에서 전체 제어 대상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통합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체 제어 대상 기기들을 분류하는 카테고리를 일방향으로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카테고리 별로 각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제어 대상 기기들의 상태를 전체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전체 제어 버튼 및 상기 각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제어 대상 기기들의 상태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개별 제어 버튼을 상기 각 카테고리에 대응하여 상기 일방향의 수직방향으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합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체 제어 대상 기기들의 상태를 특정 모드에 대응하여 설정된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모드 제어 버튼을 상기 통합 제어 화면 내 일측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체 제어 대상 기기들을 분류하는 카테고리를 상기 일방향으로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각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제어 대상 기기들의 전체 수 및 상기 전체 수 중 특정 상태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기기들의 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체 제어 버튼 및 상기 개별 제어 버튼은, 상기 통합 제어 화면 내에서 상기 일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개별 제어 버튼은, 대응하는 제어 대상 기기의 상태에 따라 표시되는 형태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특정 모드는, 실내 모드, 취침 모드 및 외출 모드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실시예들을 통해 사물 간 통신을 지원하고, 사물 간 통신을 이용하여 사물을 제어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사물을 제어하기 위한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 대상 기기가 다수이어서 표시 및 제어가 복잡함이 없이 상태 정보를 종합적으로 표시하는 통합 정보 화면 및 복수의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통합 제어 화면으로 구성함으로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다수의 제어 대상기기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고, 다수의 제어 대상 기기를 용이하게 통합 제어 및 개별 제어가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상태 조회 및 제어를 하기 위한 제어 대상 기기를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 제어 화면에서 상태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대상 기기의 물리적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해제를 위한 제어 동작을 입력 받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일실시예에 따른,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정보 화면 및 상태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통합 제어 화면에 대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댁 내에서 사용자가 가입한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댁 내의 사물들이 서로 통신할 수 있어야 한다. 댁 내의 사물들 자체가 통신하는 것은 아니고, 댁 내의 사물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기기가 통신하여 댁 내의 사물 인터넷 서비스가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대상 기기는 전등에 대응하는 스위치, 현관문에 대응하는 도어락, 또는 창문에 대응하는 열림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댁 내의 사물 인터넷 서비스가 실현되기 위해 제어 대상 기기의 등록이 필요하다.
단말은 무선 네트워크 장비 스캐닝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수행 결과를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단말은 제어 대상 기기의 등록을 위해 무선 네트워크 장비와 무선 연결(예를 들어, 와이파이)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장비는,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일 수 있다. 무선 연결을 위해 비밀번호가 입력될 수 있고, 입력된 비밀번호에 기초하여 단말의 사용자가 인증될 수 있다.
단말과 무선 네트워크 장비의 무선 연결에 기초하여, 단말은 허브를 검색할 수 있다. 무선 연결에 기초하여, 허브 검색을 위한 버튼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고, 단말은 버튼에 대한 입력을 감지하여 허브를 검색할 수 있다. 허브는 무선 네트워크 장비의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는 물리적 또는 논리적 장치로서, 제어 대상 기기와 무선 네트워크 장비 사이의 무선 통신(예를 들어, Z-Wave)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브는 무선 네트워크 장비의 USB 포트에 연결되는 동글(dongle)일 수 있다. 허브는 무선 네트워크 장비의 하나로 볼 수 있다.
허브 검색을 위한 버튼에 대한 입력이 있는 경우, 단말은 허브 검색 중임을 무선 네트워크 장비에게 알릴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장비는 단말에게 무선 네트워크 장비 정보(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장비의 시리얼 넘버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 장비의 맥 주소) 및 허브 정보(예를 들어, 허브의 시리얼 넘버)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단말의 사용자가 가입한 사물 인터넷 서비스의 계정 정보 및 무선 네트워크 장비의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에게 청약 장치 리스트를 요청할 수 있다. 서버는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계정 정보 및 무선 네트워크 장비의 정보에 대응하는 청약 장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물 인터넷 서비스에 가입 시, 대리점 판매자 또는 고객센터에서는 서버에 사용자가 향후 등록 절차를 통해 이용하게 될 제어 대상 기기 정보를 사용자의 정보와 매칭하여 청약 장치 리스트로 사전 등록하게 되며, 해당 제어 대상 기기의 배송/설치/이용 중 분실 또는 도난에 따른 오용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있어서, 단말에서 상태 조회 및 제어를 하기 위한 제어 대상 기기를 기기를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110)에서, 단말은 제어 대상 기기 리스트를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노출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청약 장치 리스트에 제어 대상 기기 리스트가 포함될 수 있다. 단말은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어 대상 기기 리스트를 디스플레이에 노출할 수 있다.
제어 대상 기기 리스트는 복수의 제어 대상 기기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 정보는, 예를 들어, 복수의 제어 대상 기기들 각각의 카테고리, 모델명, 시리얼 넘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테고리는 제어 대상 기기의 종류를 나타낸 것으로, 예를 들어, 스위치, 콘센트, 열림 센서, 전력 측정기, 가스락, 도어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대상 기기 리스트는 제어 대상 기기의 개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 대상 기기 리스트는 동일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제어 대상 기기의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의 제어 대상 기기가 몇 개 있는지, 콘센트의 제어 대상 기기가 몇 개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제어 대상 기기 리스트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단계(120)에서, 단말은 제어 대상 기기 리스트에 대한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물리적 공간에 위치한 제어 대상 기기의 페어링을 위한 트리거링 버튼을 표시한다.
제어 대상 기기 리스트에서 선택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기기와 무선 네트워크 장비 사이의 페어링을 위한 트리거링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트리거링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기기와 무선 네트워크 장비 또는 허브 간 페어링 절차를 진행한다.
단계(130)에서, 단말은 제어 대상 기기의 페어링을 기초로 제어 대상 기기를 등록한다.
단말은 제어 대상 기기 리스트에 대한 선택 입력 및 제어 대상 기기가 위치한 물리적 공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등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록 정보는, 제어 대상 기기의 식별 정보 및/또는 물리적 공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대상 기기 리스트에 대한 선택 입력을 기초로 단말은 제어 대상 기기의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대상 기기 리스트는 제어 대상 기기의 카테고리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식별 정보는 제어 대상 기기의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어 대상 기기 리스트에서 스위치를 선택하는 경우, 등록 정보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제어 대상 기기가 위치한 물리적 공간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대상 기기가 페어링된 경우, 단말은 제어 대상 기기가 위치한 물리적 공간의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단말은 페어링된 제어 대상 기기가 댁 내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어링된 제어 대상 기기는 댁 내에서 안방, 거실, 화장실, 베란다 등 중에서 어느 하나에 위치할 수 있고, 사용자는 페어링된 제어 대상 기기가 거실에 위치함을 입력할 수 있다. 단말은 페어링된 제어 대상 기기가 위치한 물리적 공간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 대상 기기의 추가 식별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 대상 기기의 이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거실에 위치한 스위치의 이름을 "중앙 형광등"으로 설정할 수 있고, 화장실에 위치한 스위치의 이름을 "화장실 전등"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베란다 창문에 위치한 열림 센서의 이름을 "베란다 창문"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등록 정보는 제어 대상 기기의 카테고리, 물리적 공간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제어 대상 기기의 추가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등록 정보를 단말과 통신하는 서버에 전송하여 서버에서 관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서버는 이벤트에 따라 등록된 제어 대상 기기의 상태를 변경하거나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등의 제어를 수행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일실시예에 따른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정보 화면 및 상태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통합 제어 화면에 대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통합 정보 화면>
도 6a는 그리드 형식으로 통합 정보 화면이 제공되는 일례이고, 도 6c는 리스트 형식으로 통합 정보 화면이 제공되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카테고리에 대해서 그리드 형식으로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등록된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상태 정보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각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아이콘 및 카테고리의 명칭이 그리드 형식으로 배치되고, 각 카테고리 내 등록되어 있는 제어 대상 기기의 전체 수 및 특정 상태(ON 상태)인 제어 대상 기기의 수 또는 비율 이 각각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스위치 15개중 5개가 ON 상태이며, ‘콘센트’ 카테고리의 콘센트 12개 중 10개가 ON 상태임을 표시하고 있다. 즉 통합 정보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는 동종(동일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복수의 제어 대상 기기에 상태 정보를 통합하여 주는 것이다. 해당 카테고리의 제어 대상 기기가 단일일 경우에는 실시간 상태 정보를 보여 줄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력측정기’ 카테고리를 통해 실시간 상태 정보로써 소모 전력을 제공할 수 있고, 보일러의 실시간 상태 정보로써 설정 온도 및 실시간 온도를 표시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른 도 6a의 통합정보화면은 표시되는 복수의 카테고리 중 특정 카테고리의 상세 정보를 조회 할 수 있는 카테고리 상세 진입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표시된 카테고리의 명칭을 선택하면 화면이 전환되어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고, 개별적인 제어가 가능한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6a의 통합정보화면은 통합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일종의 레이어로 구성되어 사용자 선택에 따라 다른 화면에 우선 하여 표시될 수 있다.
도 6c는 리스트 형식으로 통합 정보 화면이 제공되는 일례이다. 카테고리(611)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카테고리(611) 각각에 대해서 제어 대상 기기 중 특정 상태(ON 상태)에 속하는 제어 대상 기기의 수 및 OFF 상태인 제어 대상 기기의 수를 표시하는 상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통합 정보 화면에서 통합적으로 표시되는 제어 대상 기기의 상태 정보는 통합 정보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도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 받아 업데이트되어 갱신 표시될 수 있다.
도면에는 표시되지 않았으나, 특정 카테고리에 대해 청약리스트에는 제어 대상기기정보가 있으나, 실제 등록절차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카테고리에는 상태 정보 대신에 등록 가능한 제어 대상 기기가 있다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등록 가능한 기기가 1개 있습니다 등)
<통합 제어 화면>
도 6b의 실시예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며 실제 단말의 디스플레이에서 복수의 제어 대상 기기의 각각의 개별 제어를 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복수의 제어 대상 기기의 각각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며, 동일 카테고리에 복수의 제어 대상 기기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전체 제어가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카테고리(601)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하고, 각 카테고리에 대해서 제어 대상 기기를 좌우로 배치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각 카테고리(601)는 카테고리 명과 해당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제어 대상 기기의 수를 포함하여 표시하고 있다. 부가적으로 해당 제어 대상 기기 중 특정 상태(ON 상태/OFF 상태)인 제어 대상 기기의 수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각 카테고리 별로 전체 제어 버튼(UI)이 제공될 수 있으며, 전체 제어 버튼을 통해 각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전체 제어 대상 기기들을 특정 상태(ON/OFF 상태)로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전체 제어 버튼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면 모든 거실 스위치를 ON 또는 OFF 시킬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전체 제어 버튼은 아이콘의 형태를 통해 전체 전원이 ON 상태인지, 또는 OFF 상태인지 나타낼 수 있다.
개별 버튼은 각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제어 대상 기기 각각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제공되며, 각 개별 버튼은 제어 대상 기기의 명칭 및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개별 버튼에 대한 제어 대상 기기의 명칭은 사용자가 제어 대상 기기의 등록 시 등록한 명칭에 해당하며, 수정할 수 있다. 개별 버튼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면 아이콘의 상태가 변경되어 ON에서 OFF 상태로, OFF에서 ON 상태로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통합정보화면과 통합제어화면은 레이어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플릭(Flick)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의 터치 입력에 따라 상하 또는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단에 우선 표시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b는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제어화면에서 동일 카테고리의 복수의 제어 대상 기기의 상태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거실 스위치" 카테고리(301)에 대응하는 목록 정보를 표시하고 있으며, 도 3b는 "콘센트"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목록 정보를 표시하고 있다.
도 3a는 카테고리(301)는 카테고리 명과 해당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거실 스위치의 수를 포함하여 표시하고 있다. 상태 정보(302)를 통해 거실 스위치 중 켜진 스위치의 수 및 꺼진 스위치의 수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개략적인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각 카테고리는 전체 제어 버튼(303)(UI)를 제공할 수 있는데, 전체 제어 버튼(303)을 통해 "거실 스위치"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모든 거실 스위치를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전체 제어 버튼(303)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면 모든 거실 스위치를 특정 상태(ON 또는 OFF) 시킬 수 있는데, 전체 제어 버튼(303)은 아이콘의 형태를 통해 전체 전원이 ON 상태인지, 또는 OFF 상태인지 나타낼 수 있다.
개별 버튼(304)은 각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제어 대상 기기 각각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제공되며, 각 개별 버튼(304)은 제어 대상 기기의 명칭 및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개별 버튼(304)에 대한 제어 대상 기기의 명칭은 사용자가 제어 대상 기기의 등록 시 등록한 명칭에 해당하며,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실 스위치 카테고리는 "중앙형광등", "사이드등" "조명 1" 등 6개의 거실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고, "중앙형광등" 및 "사이드등"은 현재 ON 상태이고, "조명 1"은 OFF 상태임을 개별 버튼(304)의 아이콘을 통해 표시한다. 개별 버튼(304)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면 아이콘의 상태가 변경되어 ON에서 OFF 상태로, OFF에서 ON 상태로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거실 스위치의 제어 대상 기기가 6개임에 반해, 디스플레이에는 3개의 제어 대상 기기의 상태만을 표시하고 있으므로, 단말에 표시되지 않은 제어 대상 기기의 개별 버튼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자는 단말이 디스플레이 일측을 카테고리가 배치되는 방향과 직각의 방향으로 플릭(Flick)(305) 입력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정보(302)가 표시되는 화면의 사이드를 플릭하거나, 개별 버튼(304)이 표시되는 화면을 스크롤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카테코리에 속하는 개별 버튼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단말에 표시되지 않은 제어 대상 기기의 개별 버튼이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b의 카테고리(311)는 "콘센트"라는 카테고리 명과 해당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콘센트의 수를 포함하여 표시하고 있다. 상태 정보(312)를 통해 콘센트들 중 켜진 콘센트의 수 및 꺼진 콘센트의 수를 표시할 수 있다.
"콘센트" 카테고리에 대해서 전체 제어 버튼(313)을 제공될 수 있는데, 전체 제어 버튼(313)을 통해 "콘센트"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모든 콘센트를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전체 제어 버튼(313)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면 모든 콘센트의 전원을 ON 또는 OFF 시킬 수 있는데, 전체 제어 버튼(313)의 아이콘을 통해 전체 전원이 ON 상태인지, 또는 OFF 상태인지 나타낼 수 있다.
개별 버튼(314)은 "콘센트"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제어 대상 기기 각각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제공되며, 카테고리 내의 각 개별 버튼(314)은 제어 대상 기기의 명칭 및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개별 버튼(314)에 대한 제어 대상 기기의 명칭은 사용자가 제어 대상 기기의 등록 시 등록한 명칭에 해당하며,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센트" 카테고리는 "거실 TV", "안방충전기", "안방멀티탭"을 포함하여 12개의 콘센트를 제어할 수 있고, "거실 TV" 및 "안방멀티탭"은 현재 ON 상태이고, "안방충전기"는 OFF 상태임을 개별 버튼(304)의 아이콘을 통해 표시한다. 개별 버튼(314)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면 아이콘의 상태가 변경되어 ON에서 OFF 상태로, OFF에서 ON 상태로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콘센트가 12개임에 반해, 단말의 디스플레이에는 3개의 제어 대상 기기의 상태만을 표시하고 있으므로, 단말에 표시되지 않은 제어 대상 기기의 개별 버튼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자는 단말이 디스플레이 일측을 플릭(Flick)(315)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정보(312)가 표시되는 화면의 사이드를 플릭하거나, 개별 버튼(314)이 표시되는 화면을 스크롤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동작에 대응하여 해당 카테코리에 속하는 제어 대상 기기의 개별 버튼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단말에 표시되지 않은 제어 대상 기기의 개별 버튼이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b는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제어화면에서 동일 카테코리에 속하는 제어 대상 기기가 1개일 경우 의 물리적 실시간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가스락 카테고리의 가스 밸브를 제어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며, 도 4b는 도어락 카테고리의 현관문을 제어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4a에 의하면, "가스락" 카테고리(401)를 통해 밸브의 열림 혹은 잠김의 물리적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밸브의 상태는 별도로 제공되는 가스락의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제어 버튼(402)은 밸브의 잠김 및 열림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으로, 사용자를 통해 등록된 명칭으로 제공되며, 아이콘은 현재 밸브의 물리적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제어 버튼(402)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면 밸브의 잠김 및 열림 상태를 제어하는데, 실시예에서 밸브가 열린 상태에서 잠김 상태로 제어가 가능하고, 밸브가 잠긴 상태에서는 열림 상태로 제어하지 않도록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밸브의 열림 제어가 불가능 하다는 토스트(Toast)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즉 특정 상태에 있는 제어 대상 기기는 제어가 불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가스락의 상태 정보(403)는 밸브의 열림 및 잠김의 상태, 밸브의 잠금 제어 장치에 구비된 배터리의 상태, 밸브와의 연결 상태 및 주변 온도 상태 등의 정보를 제공하여, 밸브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b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어락" 카테고리(411)를 통해 문에 구비된 도어락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버튼(412)은 "현관문"의 잠김 및 열림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으로, 사용자를 통해 등록된 명칭으로, 예를 들어 "현관문"으로 제공되며, 아이콘은 현재 "현관문"의 물리적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제어 버튼(412)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면 "현관문"의 잠김 및 열림 상태를 제어하는데, 실시예에서 "현관문"이 잠김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제어가 가능하고, "현관문"이 열림 상태에서는 잠김 상태로 제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도어락이 열린 상태에서 잠김 상태로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음에 대해서 토스트 메시지가 단말의 화면에 출력될 수 있다. 도어락을 열기 위해서 도어락의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현관문"의 상태 정보(413)를 디스플레이에 제공함으로써 실시간 개폐 상태, 네트워크 연결 상태 및 도어락에 구비된 배터리의 상태 등을 사용자로 하여금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도록 하여, 도어락의 관리가 용이하도록 한다.
유사한 실시예로서, 보일러의 물리적 ON/OFF 상태를 관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보일러의 ON/OFF 상태, 설정된 난방 온도 및 실내 온도 등을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제공하여 단말에서 보일러의 제어가 가능하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해제를 위한 제어 동작을 입력 받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어락을 열기 위해 제공되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어락을 열기 위해 단말로 제공되는 비밀번호 입력창(510)으로 도어락에 기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도어락의 열기를 취소할 수 있는 닫기 버튼을 제공할 수 있고, 비밀 번호 입력에 오류가 있는 경우에, 하단에 삭제 버튼을 제공하여, 이전 숫자 한 자리씩 삭제 가능하도록 한다.
실시예에서, 도어락에 기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값을 입력해야 도어락의 열림이 가능하며, 비밀번호 입력 후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입력 불일치에 대한 안내 메시지와 함께 계속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비밀번호 입력창(510)을 제공할 수 있고,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도어락의 열림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단말에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210)에서, 단말은 단말과 무선 연결된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목록 정보를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일실시예에서, 제어 대상 기기의 목록 정보에 포함되는 제어 대상 기기는 앞서 설명한 도 1의 제어 대상 기기의 등록 방법을 통해 등록된다.
해당 단계에서 등록된 제어 대상 기기의 목록 정보는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과 무선 연결된 복수의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정보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통합 정보 화면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상태 정보 및 제어를 할 수 있는 통합 제어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로 구현될 수 있다.
단계(220)에서, 단말은 단말의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로 입력되는 목록 정보에 대한 제어 동작의 입력을 수신한다.
이는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합 제어 화면에서 동일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전체 제어 대상 기기를 전체 제어를 위한 선택 입력을 받거나 또는 카테고리 내에서 선택된 개별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를 위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것이다.
더불어, 단계(230)에서, 단말은 제어 동작에 대응하는 제어 결과 화면을 단말의 디스플레이로 제공한다.
단말은 선택된 제어 사항을 서버로 전송하고, 제어 결과를 수신받아 통합상태화면 및 통합제어화면에 갱신하여 표시한다.
만일 특정 제어 대상 기기가 특정 상태일 경우에는 제어가 불가능하다는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만일 특허 제어 대상 기기가 특정 상태일 경우에는 제어 동작의 입력이 되지 않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비활성화 처리할 수도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단말(700)은, 표시부(710), 입력부(720) 및 제공부(730)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710)는, 단말과 무선 연결된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목록 정보를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이는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과 무선 연결된 복수의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정보 화면 및 상기 통합 상태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력(플릭킹 등의 터치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통합 정보 화면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상태 정보 및 제어를 할 수 있는 통합 제어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부(710)를 통해 표시하는 것이다.
입력부(720)는, 단말의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로 입력되는 목록 정보에 대한 제어 동작의 입력을 수신한다.
이는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력부(720)는 통합제어화면에서 동일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전체 제어대상기기를 전체 제어를 위한 선택 입력을 받거나 또는 카테고리내에서 선택된 개별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를 위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것이다.
더불어, 제공부(730)는 제어 동작에 대응하는 제어 화면을 단말의 디스플레이로 제공한다.
단말은 선택된 제어 사항을 서버로 전송하고, 제어 결과를 수신받아 통합상태화면 및 통합제어화면에 갱신하여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만일 특정 제어 대상 기기가 특정 상태일 경우에는 제어가 불가능하다는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전체 제어 대상 기기들의 상태를 나타내는 통합 정보 화면을 포함하는 제1 레이어를 통해,
    제1 카테고리의 명칭, 상기 제1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제어 대상 기기들의 수, 상기 제1 카테고리 내에 제어 대상 기기들의 특정 상태 및 상기 특정 상태에 해당하는 제어 대상 기기들의 수를 표시하는 제1 유형의 그리드 셀;
    제2 카테고리의 명칭 및 상기 제2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제어 대상 기기의 희망 상태 및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제2 유형의 그리드 셀; 및
    상기 제1 레이어의 일측에 통합 제어 화면의 노출을 가이드하는 인터페이스
    를 표시하고,
    상기 제어 대상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통합 제어 화면을 포함하는 제2 레이어를 통해,
    상기 제1 카테고리 및 제2 카테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제어 대상 기기들의 상태를 전체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전체 제어 버튼; 및
    상기 각 카테고리 내의 각 제어 대상 기기의 상태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개별 제어 버튼
    을 표시하고,
    상기 통합 정보 화면 내 상기 제1 유형의 그리드 셀 및 상기 제2 유형의 그리드 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의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테고리는,
    스위치, 콘센트, 센서 및 도어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카테고리는,
    보일러, 에어컨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레이어를 통해 상기 전체 제어 버튼 및 상기 개별 제어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통합 제어 화면의 상기 전체 제어 버튼 및 상기 개별 제어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 상태를 갱신하며, 상기 통합 정보 화면 내 상기 제1 유형의 그리드 셀 및 상기 제2 유형의 그리드 셀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된 상태를 갱신하는,
    어플리케이션.
  10. 삭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레이어에 상기 제1 레이어를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제2 레이어의 상기 통합 제어 화면의 노출을 가이드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레이어를 최소화하여 상기 제2 레이어의 통합 제어 화면을 표시하며,
    상기 최소화된 제1 레이어에 상기 제1 레이어를 복원함으로써 상기 통합 정보 화면의 노출을 가이드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최소화된 제1 레이어를 복원함으로써 상기 제1 레이어의 통합 정보 화면을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60118083A 2016-09-13 2016-09-13 단말,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KR101806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8083A KR101806737B1 (ko) 2016-09-13 2016-09-13 단말,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8083A KR101806737B1 (ko) 2016-09-13 2016-09-13 단말,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1827A Division KR101729845B1 (ko) 2015-06-29 2015-06-29 단말,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7057A Division KR20170010036A (ko) 2017-01-16 2017-01-16 단말,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KR1020170096897A Division KR20170091565A (ko) 2017-07-31 2017-07-31 단말,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335A KR20170002335A (ko) 2017-01-06
KR101806737B1 true KR101806737B1 (ko) 2017-12-07

Family

ID=57832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8083A KR101806737B1 (ko) 2016-09-13 2016-09-13 단말,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67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0621A (ja) * 1998-06-25 2000-01-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JP2005352812A (ja) * 2004-06-11 2005-12-22 Sharp Corp 遠隔制御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機器制御装置
WO2014155427A1 (ja) * 2013-03-29 2014-10-02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携帯情報端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0621A (ja) * 1998-06-25 2000-01-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JP2005352812A (ja) * 2004-06-11 2005-12-22 Sharp Corp 遠隔制御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機器制御装置
WO2014155427A1 (ja) * 2013-03-29 2014-10-02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携帯情報端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335A (ko) 2017-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62123B (zh) 使用环境模型的附件管理系统
CN114928508B (zh) 用于基于附件状态生成场景的系统、方法和介质
US10454783B2 (en) Accessory management system using environment model
US9760268B2 (en) Mobile device
RU2620992C2 (ru) Дистанционное управление и системы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KR102070341B1 (ko) 모바일 통신 장치에서의 사용자별 기능 및 데이터
US8250601B2 (en) Configu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figuring one or more devices having hidden configuration settings
JP6743383B2 (ja) 空気調和機
KR101885723B1 (ko) 사용자 정보에 따라 전자 기기 접근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장치
JP6572390B2 (ja) 管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1251312A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接続機器のアクセス管理装置
WO2020142511A1 (en) Interaction with smart-homes having securable occupiable spaces
KR100575447B1 (ko)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가전기기 제어방법
KR101806737B1 (ko) 단말,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KR20170010036A (ko) 단말,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KR101772097B1 (ko) 다중 접속이 가능한 보일러용 컨트롤러
KR101729845B1 (ko) 단말,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KR20170091565A (ko) 단말,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WO2020202439A1 (ja) 空気調和システム、端末装置、空調機操作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空気調和機
KR101932838B1 (ko) 단말,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KR20160050963A (ko) 지능형 홈 에코 시스템의 제어기기 등록용 스마트 단말장치와 그 등록 방법
KR20170002004A (ko) 단말,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KR102319511B1 (ko) IoT 플랫폼의 운영 및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US20230127500A1 (en) Accessory management system using environment model
JP7466438B2 (ja) 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