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3653A - 펠릿 난로 - Google Patents

펠릿 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3653A
KR20170033653A KR1020150131674A KR20150131674A KR20170033653A KR 20170033653 A KR20170033653 A KR 20170033653A KR 1020150131674 A KR1020150131674 A KR 1020150131674A KR 20150131674 A KR20150131674 A KR 20150131674A KR 20170033653 A KR20170033653 A KR 20170033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ace
air
pellets
pelle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8592B1 (ko
Inventor
송일석
Original Assignee
송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일석 filed Critical 송일석
Priority to KR1020150131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592B1/ko
Publication of KR20170033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5Fireboxes; Frames; Hoods; Heat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5Fireboxes; Frames; Hoods; Heat reflectors
    • F24B1/1957Heat refle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펠릿 연소에 필요한 공기 일부를 이용하여 펠릿을 화덕에 공급하는 부분에서 에어 커튼을 형성하여 화덕에서 생긴 열이 화덕에 공급되지 않은 펠릿으로 전달되지 않게 차단함으로써, 연소가 되지 않고 대기중인 펠릿이 탄화되거나 화덕에서 불이 옮겨 붙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리 없앨 수 있게 한 펠릿 난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처럼 화덕에 공급되는 공기 중에서 과잉 공기가 연소가 되지 않고 바로 연통을 통해 펠릿 난로 외부로 배출되게 구성함으로써, 펠릿이 급격하게 타는 것을 막아 안전하면서도 적절한 속도로 펠릿이 연소 되어 연소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 펠릿 난로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펠릿 난로{PALLET HEATER}
본 발명은 펠릿 난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덕에 펠릿 연소를 위해 공급하는 공기 일부를 화덕과 본체 사이로 공급하여 에어 커튼을 형성하게 구성함으로써, 화덕의 열기로 이 화덕에 공급되지 않고 이송 스크루에 남아있는 펠릿이 탄화되거나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화덕에 과잉 공기가 공급이 되는 경우 공기 일부가 본체의 연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하여 안정적으로 난로를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등에서 난방용으로 사용하는 난로는 보통 사용하는 연료에 따라 가스난로, 화목 난로, 기름난로, 그리고 펠릿 난로 등 다양하게 구분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화목 난로와 펠릿 난로는 불필요한 목재 등을 원료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료비가 적게 들어 근래 많이 보급되어 있다.
특히, 펠릿 난로는, 보통 지름이나 한 변의 길이가 대략 1~3㎝ 정도로 압축하여 작은 덩어리 형태로 제작하므로, 펠릿을 쉽게 보관할 수 있고 펠릿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어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펠릿 난로는,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4와 같이, 다양한 구성으로 개발되어 사용된다.
특허문헌 1은, 펠릿 난로에 관한 것으로, 연료가 저장되는 연료부 및 상기 연료부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연료를 연소시키는 연소부를 포함하는 펠릿난로에 있어서, 상기 연료부는, 일단에 형성된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루가 내장되고 연료탱크와 연결된 호퍼에서 유입되는 연료를 상기 연소부로 공급하기 위한 연료 공급관을 포함하며, 상기 연소부는, 상기 연료 공급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연료를 수용하고 수용된 연료가 연소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버너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공급관은, 상기 연소부로 상기 연료가 배출되는 일 단의 높이가 타 단의 높이보다 높도록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2는,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스배출공이 형성되는 열교환공간으로 구분되어 형성되는 케이싱과; 상기 펠릿공급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펠릿투입공으로부터 펠릿을 공급받는 펠릿공급부와; 상기 열교환공간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펠릿공급부로부터 펠릿을 공급받아 연소시키는 펠릿연소부와; 상기 펠릿연소부와 상기 가스배출공을 연결하며, 상기 열교환공간의 내부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펠릿연소부에서 발생된 연소가스를 이동시키며 외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열교환관과; 상기 열교환관의 경로 상에 결합되며, 상기 연소가스의 열을 이용해 음식물을 가열하는 오븐부를 포함한다.
특허문헌 3은 펠릿 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 펠릿투입공이 형성되는 펠릿공급공간과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스 배출공이 형성되는 열교환공간으로 구분되어 형성되는 케이싱과; 상기 열교환공간의 하부에 구비되어 펠릿이 연소가 되는 연소실과; 상기 펠릿공급공간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펠릿 투입공에서 유입된 펠릿을 상기 연소실로 공급하는 펠릿공급부와; 상기 연소실에 구비되며, 상기 펠릿 공급부로부터 펠릿을 공급받아 연소시키는 펠릿연소부와; 상기 연소실과 연결되어 상기 펠릿의 연소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이동되며 외기와 열교환되는 제1이동관과; 상기 제1이동관과 연결되며, 상기 연소가스의 열을 이용해 음식물을 가열하는 오븐부와; 상기 오븐부와 연결되며 상기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며 외기와 열교환시키는 제2이동관을 포함한다.
특허문헌 4는, 연기의 역류가 방지되는 펠릿공급장치를 구비한 펠릿 난로에 관한 것으로, 펠릿이 저장되는 펠릿저장부와, 상기 펠릿이 연소가 되도록 저부에 펠릿연소부가 설치된 연소실과, 상기 펠릿의 연소시 발생된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며 외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관이 형성된 본체 케이싱; 및, 상기 본체 케이싱에 설치되어 상기 펠릿 저장부로부터 상기 펠릿을 공급받아 상기 펠릿연소부에 공급하는 펠릿공급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펠릿공급장치는, 상기 연소실과 접하도록 병렬로 형성되며, 하부가 상기 연소실의 하부와 연통되며, 지그재그형태의 곡선유로를 갖는 펠릿낙하챔버; 및, 상기 펠릿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펠릿을 공급받아 상기 펠릿낙하챔버의 개방된 상부에 상기 펠릿을 이송하여 배출시키는 이송스크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이런 기존의 펠릿 난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펠릿이 스크루와 같은 이송 통로를 통해 이송되어 화덕의 위나 옆에서 그 안으로 들어가게 구성된다. 이에, 스크루로 이송되는 펠릿이 탄화되거나 화재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2) 즉, 펠릿 난로는 화덕에 일정량의 펠릿을 집어넣은 다음 펠릿이 다 탈 때까지 펠릿을 공급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화덕과 가까이 있는 펠릿의 경우 화덕에서 생긴 열 때문에 펠릿이 탄화되거나 불이 붙어 화재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3) 이에 화덕이나 펠릿 난로 내부가 파손되거나 펠릿 난로 외부로 열기가 전달되어 주변에 화재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4) 한편, 종래 펠릿 난로는 에어 블로어를 통해 화덕에서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는 데, 이때 공급 공기가 너무 많으면 펠릿이 너무 빨리 타들어 가면서 열효율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펠릿 소모량을 늘려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든다.
한국공개실용 제20-2014-0005597호 (공개일 : 2014.10.29) 한국등록실용 제0476340호 (등록일 : 2015.02.10) 한국등록실용 제0476341호 (등록일 : 2015.02.10) 한국등록특허 제1529432호 (등록일 : 2015.06.10)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펠릿 연소에 필요한 공기 일부를 이용하여 펠릿을 화덕에 공급하는 부분에서 에어 커튼을 형성하여 화덕에서 생긴 열이 화덕에 공급되지 않은 펠릿으로 전달되지 않게 차단함으로써, 연소가 되지 않고 대기중인 펠릿이 탄화되거나 화덕에서 불이 옮겨 붙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리 없앨 수 있게 한 펠릿 난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처럼 화덕에 공급되는 공기 중에서 과잉 공기가 연소가 되지 않고 바로 연통을 통해 펠릿 난로 외부로 배출되게 구성함으로써, 펠릿이 급격하게 타는 것을 막아 안전하면서도 적절한 속도로 펠릿이 연소 되어 연소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 펠릿 난로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펠릿 난로는, 미리 정한 크기로 이루어지며, 바닥에는 이송시킬 수 있게 캐스터(110)를 갖춘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 위에 설치되며, 내부에 화덕(210)을 갖춘 중공의 본체(200); 상기 본체(200) 외부에서 펠릿을 화덕(210)에 공급할 수 있게 베이스(100)에 장착된 이송 스크루(300); 상기 이송 스크루(300) 위에 장착되어 펠릿을 공급하는 호퍼(400); 및 본체(200) 외부에서 상기 화덕(210)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베이스(100)에 설치된 에어 블로어(500)를 포함하되;, 상기 에어 블로어(500)에는 상기 화덕(210)에 공기 공급을 위한 메인 관(510)과, 펠릿이 화덕(210)에 투하되는 위치에서 본체(200)와 화덕(210) 사이에 에어 커튼을 형성할 수 있게 공기를 분기시켜 주는 분기 관(520)이 연결되며;, 상기 메인 관(510)에는 과잉 공기가 본체(200)에 구성된 연통(220)으로 직접 연결되어 배출할 수 있도록, 화덕(210)에서 연통(220)까지 연장된 보조관(511)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메인 관(510)에는, 상기 분기 관(520)으로 공기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판(512)을 더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분기 관(520)은, 상기 이송 스크루(300)를 통해 화로(210) 안으로 펠릿이 떨어지는 위치 위에서 아래로 에어 커튼을 형성할 수 있게 이송 스크루(300) 끝의 위에서 아래로 공기 분출이 이루어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펠릿 난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펠릿을 화덕에 공급하는 부분에서, 본체와 화덕 사이에 에어 커튼을 형성하고, 이 에어 커튼이 화덕에서 생긴 열이 연소 대기 중인 펠릿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해 준다.
(2) 이에, 연소 대기 중인 펠릿이 탄화되거나 미리 연소가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펠릿에 불이 붙으면서 호퍼까지 번져 펠릿 난로 주변에서의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3) 특히, 화덕에서 펠릿을 연소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기 일부를 분기하여 에어 커튼을 구성하므로, 추가 구성을 최소화하면서도 이처럼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4) 신규 제작하는 펠릿 난로뿐만 아니라 이미 설치되어 사용 중인 펠릿 난로에도 간단한 설계 변경을 통해 이처럼 에어 커튼을 형성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저렴하면서도 안전성을 높인 펠릿 난로를 제작할 수 있다.
(5) 한편, 이처럼 펠릿을 연소시키기 위해 화덕에 공급한 공기가 과잉 공급되었을 때, 그 일부를 바로 연통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적절한 온도와 연소 속도로 펠릿을 태울 수 있어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펠릿 난로의 전체 구성이 상호 연결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펠릿 난로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펠릿 난로에서 공기의 분기 흐름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펠릿 난로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베이스(100), 실제 펠릿을 연소하는 공간인 본체(200), 펠릿을 본체(20)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 스크루(300), 펠릿을 공급하기 위한 호퍼(400), 본체(200) 내에서 펠릿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블로어(500)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에어 블로어(500)의 공기 일부를 펠릿이 화덕(210)으로 투입되는 곳에서 본체(200)와 화덕(210) 사이에 에어 커튼을 형성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화덕(210)에서 생긴 열이 이 화덕(210)에 투입되지 않은 펠릿으로 열 전달되어 탄화되거나 연소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덕(210)에 과잉 공기가 공급되더라도 과잉 공기를 연통을 통해 바로 본체(200)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화덕(210)에서의 연소가 급격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연소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10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다른 구성요소들을 위에 장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100)에는 바닥면에 통상의 기술로 제작된 캐스터(110)를 갖춰 펠릿 난로를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켜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20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내부가 빈 중공 형태로 제작되어 베이스(100) 위에 장착되며, 내부에는 펠릿을 받아 연소할 수 있게 화덕(210)이 설치된다. 이때, 화덕(210)은 본체(200) 내부 바닥면의 중앙에 설치하여 화덕(210)에서 연소할 때 발생한 열이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외부로 균일하게 열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20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연소 후에 생긴 연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연통(220)이 구성된다. 이때, 연통(220)은 본체(200)의 측면에 형성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본체(200) 윗면에 형성하여 본체(200) 내부에서 체류하여 위로 올라오는 연기가 자연스럽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본체(200)는, [도 2]와 같이, 한쪽 면에 여닫을 수 있는 문(230)을 장착한다. 문(230)은 펠릿 연소로 화덕(210) 하부에 쌓이는 재를 제거하거나 화덕(210) 등 본체(200)의 내부 수리 등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문(230)에는 투명 점검 창을 갖춰 본체(200)를 볼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화덕(210)에서 펠릿 연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지를 외부에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본체(200)는, [도 1]과 같이, 화덕(210) 위에 연기가 오랫동안 체류하여 열 교환이 오랫동안 이루어질 수 있게 체류 판(240a, 240b)이 장착된다. 체류 판(240a, 240b)은 연기가 오랫동안 체류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하나의 체류 판(240a)은 상하 박스 형태로 형성하되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구성하여 연기가 박스 내부로 유입되었다가 그 옆 벽을 아래로 타고 넘게 하면서 체류 시간을 늘리고, 다른 체류 판(240b)은 적어도 두 장을 본체(200) 내부에 양쪽 테두리 부분을 통해 공기 흐름이 가능하게 설치하되 공기 흐름이 생기는 틈새가 90° 각도만큼 틀어지게 장착하여 공기 흐름이 바뀌도록 구성하여 체류 시간을 늘릴 수 있다.
이송 스크루(30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스크루를 회전시켜 펠릿을 그 길이 방향으로 이송시켜 주기 위한 통상의 기술로 제작된 것을 사용한다. 이때, 상기 스크루(300)는 베이스(100) 위에 장착되며, 그 한쪽 끝이 본체(200)를 관통하게 끼워져서 펠릿을 화덕(210)에 공급할 수 있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이송 스크루(300)는 본체(200) 안으로 관통 설치된 끝이 화덕(210)과 닿지 않고 이송 스크루(300)에서 이송하는 힘을 받아 펠릿이 화덕(210) 안으로 자유 낙하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상기 이송 스크루(300)는 베이스(100)와 수평으로 설치된 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설치 공간과 위치 등을 고려하여 설치 각도나 위치를 다르게 구성할 수도 있다.
호퍼(40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외부에서 펠릿을 공급받아 이송 스크루(300)를 통해 화덕(210)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기이다. 이러한 호퍼(400)는 통상의 기술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며, 상기 이송 스크루(300) 위에 위치하도록 베이스(100)에 설치하여 펠릿이 자유낙하가 되어 이송 스크루(300)에 공급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호퍼(400)는 외주 면,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체(200)와 마주 보는 면에 단열재(410)를 부착함으로써, 본체(200)에서 전달된 열로 호퍼(400)에 보관 중인 펠릿이 열화 되거나 탄화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좋다.
에어 블로어(50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화덕(210)에 공급한 펠릿이 이 화덕(210)에서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외부에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베이스(100)에 장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에어 블로어(500)에는 본체(200)를 관통하여 충분한 공기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화덕(210) 아래까지 메인 관(510)이 구성된다. [도 3]에서, 화덕(210)으로 공급된 공기는 가는 화살표로 표시하고, 화덕(210)에서 연소한 연기는 진한 화살표로 표시한다.
특히, 상기 메인 관(510)에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화덕(210)으로 공급되는 공기 일부가 본체(200)와 화덕(210) 사이로 분출되어 에어 커튼을 형성할 수 있게 분기 관(520)이 구성된다. 이때, 분기 관(520)은 그 끝이 본체(200) 안으로 연결된 이송 스크루(300)의 끝단 위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이 위치에서 본체(200)와 화덕(210) 사이로 공기를 분사하여 에어 커튼이 만들어지게 함으로써, 화덕(210)에 투하되지 않은 펠릿에 화덕(210)에서 생긴 열이 전달되지 않게 차단한다. [도 3]에서, 개방된 형상의 화살표는 이송 스크루(300)를 통해 연소가 되지 않은 펠릿이 화덕(210)에 공급되는 경로를, 가는 화살표는 에어 커튼을 형성하기 위해 분기 관(520)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 흐름을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분기 관(520)으로 에어 커튼을 형성하기 위한 공기 일부가 분기가 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관(510)에는, [도 1]과 같이, 유도판(512)을 더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도판(512)은 메인 관(510) 내부에 흐르는 공기를 일부 차단하여 분기 관(520)으로 유입될 수 있게 안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 메인 관(510)에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화덕(210)에서 연통(220)까지 연장된 보조관(511)을 더 구성한다. 이는, 메인 관(510)을 통해 과잉 공기가 화덕(210)에 공급되면 펠릿이 급격하게 연소가 될 우려가 있으므로, 너무 많은 공기가 공급되면 그 일부 공기가 보조관(511)을 통해 본체(200) 외부로 배출되게 구성한다. 이에, 펠릿이 급격하게 연소가 되어 본체(200)를 열화나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펠릿의 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면에서, 중간 크기의 화살표는 화덕(220)에 공급된 공기 일부가 보조관(511)을 통해 연통(220)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보여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펠릿을 화덕에 투하하기 위한 부분에서 이 화덕과 본체 사이에 에어 커튼을 구성하여 화덕에서 생긴 열이 이송 스크루에서 투하되지 않은 펠릿에 전달되는 것을 막아 이 펠릿이 열화나 연소 등으로 생기는 안전사고나 연소 효율이 떨어지는 현상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화덕에 많은 공기가 공급되어 화덕에 공급된 펠릿이 너무 급격하게 타거나 연소가 되지 않도록 과잉 공기 일부를 보조관을 통해 연통으로 배출시켜 주므로, 펠릿의 연소 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다.
100 : 베이스
110 : 캐스터
200 : 본체
210 : 화덕
220 : 연통
230 : 문
300 : 이송 스크루
400 : 호퍼
500 : 에어 블로어
510 : 메인 관
511 : 보조관
512 : 유도판
520 : 분기 관

Claims (3)

  1. 미리 정한 크기로 이루어지며, 바닥에는 이송시킬 수 있게 캐스터(110)를 갖춘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 위에 설치되며, 내부에 화덕(210)을 갖춘 중공의 본체(200); 상기 본체(200) 외부에서 펠릿을 화덕(210)에 공급할 수 있게 베이스(100)에 장착된 이송 스크루(300); 상기 이송 스크루(300) 위에 장착되어 펠릿을 공급하는 호퍼(400); 및 본체(200) 외부에서 상기 화덕(210)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베이스(100)에 설치된 에어 블로어(500)를 포함하되,
    상기 에어 블로어(500)에는 상기 화덕(210)에 공기 공급을 위한 메인 관(510)과, 펠릿이 화덕(210)에 투하되는 위치에서 본체(200)와 화덕(210) 사이에 에어 커튼을 형성할 수 있게 공기를 분기시켜 주는 분기 관(520)이 연결되며,
    상기 메인 관(510)에는 과잉 공기가 본체(200)에 구성된 연통(220)으로 직접 연결되어 배출할 수 있도록, 화덕(210)에서 연통(220)까지 연장된 보조관(511)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 난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관(510)에는,
    상기 분기 관(520)으로 공기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판(512)을 더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 난로.
  3. 제1에 있어서,
    상기 분기 관(520)은,
    상기 이송 스크루(300)를 통해 화로(210) 안으로 펠릿이 떨어지는 위치 위에서 아래로 에어 커튼을 형성할 수 있게 이송 스크루(300) 끝의 위에서 아래로 공기 분출이 이루어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 난로.
KR1020150131674A 2015-09-17 2015-09-17 펠릿 난로 KR101738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674A KR101738592B1 (ko) 2015-09-17 2015-09-17 펠릿 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674A KR101738592B1 (ko) 2015-09-17 2015-09-17 펠릿 난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653A true KR20170033653A (ko) 2017-03-27
KR101738592B1 KR101738592B1 (ko) 2017-05-22

Family

ID=58496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674A KR101738592B1 (ko) 2015-09-17 2015-09-17 펠릿 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5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03487A1 (it) * 2019-03-11 2020-09-11 Gruppo Piazzetta Spa Gruppo generatore di calore con nuovo bracie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340B1 (ko) 2002-08-27 2005-03-15 임흥빈 샘플 물질의 분석 방법 및 장치
KR100476341B1 (ko) 2003-06-20 2005-03-18 김정화 세척용 브러시
KR20140005597U (ko) 2014-07-24 2014-10-29 (주)서연 펠릿난로
KR101529432B1 (ko) 2014-06-23 2015-06-29 박종철 연기의 역류가 방지되는 펠릿공급장치를 구비한 펠릿난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230B1 (ko) 2006-09-05 2008-01-21 주식회사 프럼파스트 닥트내 공기량의 조절 및 유도장치
KR101408993B1 (ko) 2013-12-10 2014-06-17 (주)씨엔티 목재 펠릿 난로 온풍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340B1 (ko) 2002-08-27 2005-03-15 임흥빈 샘플 물질의 분석 방법 및 장치
KR100476341B1 (ko) 2003-06-20 2005-03-18 김정화 세척용 브러시
KR101529432B1 (ko) 2014-06-23 2015-06-29 박종철 연기의 역류가 방지되는 펠릿공급장치를 구비한 펠릿난로
KR20140005597U (ko) 2014-07-24 2014-10-29 (주)서연 펠릿난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03487A1 (it) * 2019-03-11 2020-09-11 Gruppo Piazzetta Spa Gruppo generatore di calore con nuovo braciere
WO2020183348A1 (en) * 2019-03-11 2020-09-17 Gruppo Piazzetta S.P.A. Heat generator assembly with a combustion chamber and a brazier
EP4187156A1 (en) 2019-03-11 2023-05-31 Gruppo Piazzetta S.p.A. Heat generator assembly with a combustion chamber and a braz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8592B1 (ko) 2017-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68394B2 (ja) 焼却装置
CN202532448U (zh) 固体燃料锅炉
KR101738592B1 (ko) 펠릿 난로
KR101223319B1 (ko) 고체연료 완전연소방식 보일러
KR101329295B1 (ko) 우드 펠릿 보일러
KR100796434B1 (ko) 연료 저장식 보일러
KR101269663B1 (ko) 우드펠렛 연소장치
KR200481893Y1 (ko) 펠릿 난로
CN104359112B (zh) 一种高温焚烧炉燃烧罩空气幕保护系统
WO2015113513A1 (zh) 固体燃料的燃烧方法及燃烧装置
KR101282581B1 (ko) 폐기물 고형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의 연소장치
KR20120130920A (ko) 펠렛보일러용 버너
KR20110129177A (ko) 농업 난방기용 펠릿연료 연소장치
KR100758115B1 (ko) 연료 저장식 보일러
KR101261519B1 (ko) 목재펠릿 연소장치
KR101729698B1 (ko) 펠릿 스토브
CN218936350U (zh) 一种生物质与燃气的两用炉
KR101581167B1 (ko) 재생수지 펠렛용 발화기
KR20070065563A (ko) 목편 및 톱밥을 원료로 사용하는 스팀 및 온수보일러 장치
KR20140005597U (ko) 펠릿난로
KR100934347B1 (ko) 톱밥 및 펠릿 연료를 이용한 자동 온풍기
KR20150125288A (ko) 펠릿 겸용 수평식 화목 가스화 보일러
JP3197127U (ja) ペレット燃焼装置
KR100948280B1 (ko) 연탄을 이용한 농업용 비닐하우스의 난방장치
CN203249491U (zh) 一种生物质熔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