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3492A - 지폐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지폐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3492A
KR20170033492A KR1020150131133A KR20150131133A KR20170033492A KR 20170033492 A KR20170033492 A KR 20170033492A KR 1020150131133 A KR1020150131133 A KR 1020150131133A KR 20150131133 A KR20150131133 A KR 20150131133A KR 20170033492 A KR20170033492 A KR 20170033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boundary line
bill
processing apparatus
s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5715B9 (ko
KR102405715B1 (ko
Inventor
정대식
Original Assignee
기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1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715B1/ko
Publication of KR20170033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715B1/ko
Publication of KR10240571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715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D11/0039
    • G07D11/0048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투입되는 지폐의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검출 데이터를 처리하여 지폐의 기울어짐(skew)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기울어짐 정보에 근거하여 지폐처리장치의 투입부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폐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BANKNOTE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폐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폐 정보를 통해 지폐처리장치의 상태를 파악하는 지폐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폐처리장치는 지폐의 매수를 자동으로 세는 지폐계수기, 지폐의 분류 및 식별 기능을 수행하는 지폐정사기, 지폐리싸이클러, 위폐감별기, 수표처리기, 입출금기, ATM(Automatic Teller Machine) 등을 포함하며 지폐를 계수할 수 있는 장치를 폭넓게 포함한다.
요즘의 지폐처리장치는 다양한 역할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도록 개발되어 지폐를 계수할 뿐만 아니라 신권 및 구권 인식, 위조지폐 및 훼손지폐 검지 등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지폐처리장치는 지폐나 수표와 같은 종이 형태의 금전을 처리하는 장치로서, 사용자가 소정 매수의 지폐를 투입부에 올려놓으면 자동으로 작동하여 지폐의 수량을 계수하거나 특정 기준에 따라 분류한 후, 이를 적재부로 배출하면서 계수된 지폐수량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 지폐처리장치가 처리하는 지폐는 현금뿐만 아니라 지엽류, 은행권, 수표, 어음, 유가증권, 증서, 매체(medium), 종이, 상품권, 쿠폰, 티켓, 상표부착물 및 신분증 등에도 해당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107331(2007.11.07.공개, 지폐 감별기)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지폐처리장치의 투입부의 안정성은 지폐처리장치의 성능 및 품질에 큰 영향을 준다. 즉, 투입부의 일정한 투입 성능은 안정적인 지폐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요인이기 때문에, 지폐처리장치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것은 지폐처리장치의 성능 및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지폐처리장치들은 투입되는 지폐를 처리하고 그 처리 결과만을 출력하는 정도의 기능에만 중점을 두고 있을 뿐, 그 처리 정보를 이용하여 지폐처리장치 자체의 상태를 파악하고 대응하는 기능에는 미흡한 점이 많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지폐처리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투입되는 지폐의 정보를 이용해 지폐처리장치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지폐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폐처리장치는 투입되는 지폐의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검출 데이터를 처리하여 지폐의 기울어짐(skew)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기울어짐 정보에 근거하여 지폐처리장치의 투입부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어짐 정보로 지폐취득 영상으로부터 알고리즘을 통해 계산된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linearity) 또는 지폐 경계라인의 기울기(slant) 중 하나 이상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 데이터를 처리하여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이미지에 따른 지폐의 경계라인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 또는 지폐 경계라인의 기울기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폐 경계 검출을 위한 후보점을 설정하고, 각 방향별 경계 후보점에 대한 기준직선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각 방향별 기준직선에 근거하여 상기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 또는 지폐 경계라인의 기울기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각 방향별로 복수개의 경계 라인 후보점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허프 변환(hough transform)을 이용하여 상기 각 방향별 후보점에 대한 기준직선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각 방향별 지폐 경계 라인 후보점과 기준 직선 사이의 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각 방향별 기준직선의 기울기에 근거하여 상기 지폐 경계라인의 기울기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폐 기울어짐 정보 또는 상기 지폐 경계라인의 후보점의 직전도가 미리 설정된 허용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지폐처리장치가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지폐처리장치의 투입부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폐처리장치의 투입부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지폐의 기울어짐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투입부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폐처리장치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지폐처리장치의 이상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제어부가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linearity) 및 기울기(slant)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 및 기울기가 미리 설정된 허용범위에서 벗어나면, 상기 제어부가 지폐처리장치의 이상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 및 기울기가 미리 설정된 허용범위에서 벗어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 및 기울기에 근거하여 지폐처리장치의 투입부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폐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투입되는 지폐의 정보를 통해 지폐의 기울어짐 정보를 획득하고, 이에 따라 지폐처리장치의 이상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지폐처리장치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여 지폐처리장치의 성능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a, 2b, 2c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경계검출을 위한 후보점을 설정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허용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폐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2a, 2b, 2c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경계검출을 위한 후보점을 설정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3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허용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는 제어부(100), 센서부(110) 및 투입부(120)를 포함한다.
센서부(110)는 복수개의 센서들을 구비하고 투입되는 지폐를 판별하기 위한 특징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10)는 지폐처리장치에 투입되는 지폐의 표면의 이미지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이미지센서(미도시)를 포함하여 지폐의 이미지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센서로는 컨택트 이미지 센서 등 지폐의 이미지를 취득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종류의 이미지센서가 적용될 수 있으며, 듀얼타입 이미지센서 또는 싱글타입 이미지센서 등 어떤 것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센서부(110)는 자외선 센서, 자기 센서, 두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투입부(120)는 지폐처리장치로 지폐를 이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입부(120)는 지폐 투입구(미도시)에 있는 지폐를 킥커 롤러(kicker roller)(미도시)를 이용해 픽업하여 메인 피드 롤러(main feeder roller)(미도시)를 이용해 내부의 지정된 경로로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롤러 반대편에 지폐가 한 장씩 투입되게 하는 리버스 롤러(reverse roller)(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롤러들은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있을 수 있다(즉 좌측에는 좌측 메인 피드 롤러와 좌측 리버스 롤러가 구비될 수 있고, 우측에는 우측 메인 피드 롤러와 우측 리버스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센서부(110)의 검출 데이터를 처리하여 지폐의 기울어짐(skew)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기울어짐 정보에 근거하여 지폐처리장치의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지폐의 권 종 분류 등의 분석을 위해 수행되는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획득될 수 있는 지폐의 기울어짐 정보에 근거하여 지폐처리장치의 상태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어부(100)는 지폐의 기울어짐 정보에 근거하여 지폐처리장치의 투입부(120)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투입부(120)의 상기 롤러들 사이의 간격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등, 투입부(120)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지폐 투입구에 지폐를 잘 정렬하여 적재하더라도 지폐가 투입부(120)를 통과하면서 그 지폐가 기울어지거나 지폐 취득 이미지 자체가 늘어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지폐의 위치가 기울어지거나 지폐 취득 이미지 자체가 늘어나는 경우가 발생하면, 지폐의 분석 정확도가 저하될 수 있으므로, 제어부(100)는 지폐의 기울어짐 정보에 근거하여 지폐처리장치의 투입부(120)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지폐의 기울어짐 정보는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linearity) 또는 지폐 경계라인의 기울기(slant)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는 지폐의 경계라인의 곧은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고, 지폐의 기울기는 지폐가 중심을 기준으로 얼마나 기울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센서부(110)의 검출 데이터를 처리하여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이미지에 따른 지폐의 경계라인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소정의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 또는 지폐 경계라인의 기울기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센서부(110)에 의해 검출된 아날로그 데이터에 대한 디지털화 및 전처리 과정을 거쳐서 분석 가능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이미지에서 식별할 수 있는 지폐의 경계라인에 근거하여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 또는 지폐 경계라인의 기울기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a, 2b, 2c에서 볼 수 있듯이, 제어부(100)는 지폐의 경계라인에 대한 경계 검출을 위한 후보점을 설정하고, 각 방향별 후보점에 대한 기준직선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각 방향별 기준직선에 근거하여 상기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 또는 지폐 경계라인의 기울기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지폐의 경계라인을 복수개의 지점으로 균등 분할하는 방식으로 지폐의 경계라인에 대한 경계 검출을 위한 후보점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렇게 설정된 각 방향별 후보점에 대한 기준직선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도 2a, 2b, 2c에서 볼 수 있는 각 방향별 후보점에 대한 기준직선(4개의 기준직선)을 산출할 수 있으며, 각 방향별 후보점에 대한 최소제곱직선을 계산하는 방식으로 각 방향별 기준직선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회귀분석 등의 방식을 통해 각 방향별 기준직선을 산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허프 변환(hough transform) 등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이렇게 산출된 각 방향별 기준직선과 각 방향별 후보점 사이의 위치관계에 근거하여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각 방향별 후보점과 기준직선 사이의 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를 산출할 수 있으며, 거리의 합을 계산하거나 RMS(Root Mean Square)값을 계산하는 방식 등으로 상기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를 산출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는 각 방향별 후보점이 해당 방향의 기준직선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2a와 2b에 도시된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는 0에 가까운 값을 가질 수 있으나, 도 2c에 도시된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는 0보다 상당히 큰 값을 가지게 된다.
또한 제어부(100)는 각 방향별 기준직선의 기울기에 근거하여 상기 지폐 경계라인의 기울기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각 방향별 기준직선의 교점들(4개)에 따른 대각선과 각각의 기준직선이 이루는 각의 평균값을 구하는 방식으로 상기 지폐의 기울기를 산출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지폐의 기울기를 산출하는 방식은 이러한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방향별 기준직선이 중심을 기준으로 얼마나 기울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를 산출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2a에 도시된 지폐의 기울기는 0에 가까운 값을 가질 수 있으나, 도 2b에 도시된 지폐의 기울기는 0보다 상당히 큰 값을 가지게 된다. 또한 도 2c에 도시된 지폐의 경우 위쪽 기준직선에 의해 0보다 큰 값의 기울기를 가지게 되나, 도 2b에 도시된 지폐의 기울기보다는 작은 값의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0)는 지폐처리장치의 상태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 판단 시, 기울어짐 정보가 미리 설정된 허용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지폐처리장치가 이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나 지폐 경계라인의 기울기가 허용범위를 벗어나면 지폐처리장치의 투입부(120)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2b나 도 2c에 도시된 지폐와 같은 데이터가 산출될 경우, 투입부(120)에 이상이 있어 지폐의 위치가 기울어지거나 지폐 취득 영상자체가 늘어나는 경우가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허용범위는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나 지폐 경계라인의 기울기 각각에 대해서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타원의 형태와 같이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와 지폐 경계라인의 기울기에 대한 허용범위가 영역의 형태로 함께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하나의 지폐 경계라인에 대한 직진도나 기울기만을 가지고 지폐처리장치의 상태에 이상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도 있으나, 다수의 지폐에 대한 누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폐처리장치의 상태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허용범위를 벗어나는 지폐의 누적횟수가 일정횟수 이상이 되면, 지폐처리장치의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00)는 서버(미도시) 등의 운영 장비에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서버는 다수의 지폐처리장치로부터 획득되는 데이터를 통해 통계결과를 산출해내어 이를 지폐처리장치의 설계 등에 활용할 수 있게 하거나, 지폐처리장치의 피드백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00)는 지폐처리장치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지폐처리장치의 이상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를 통해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나 지폐 경계라인의 기울기를 도시하는 방식으로 또는 직접적인 점검 요청 메시지를 출력시키는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지폐처리장치의 이상 상태를 알릴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지폐처리장치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기울어짐 정보에 근거하여 투입부(120)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지폐처리장치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투입부(120)의 갭(gap)을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투입부(120)의 갭을 조정한다함은 지폐가 투입되는 입구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이나 메인 피드 롤러와 리버스 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지폐를 투입부(120)에 올려놓는 시점, 즉 투입 모터를 동작시키는 명령을 출력하는 시점에 투입부(120)를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는 투입부(120)의 갭을 조정할 수 있는 갭 조정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때 투입부(120)의 갭을 조정하는 것은, 좌측열에 구비된 롤러들의 간격과 우측열에 구비된 롤러들의 간격이 서로 균형 잡힐 수 있게끔 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나 지폐 경계라인의 기울기의 크기와 부호에 따라 지폐가 어느 방향으로 기울어졌는지 또는 지폐 취득 이미지가 어느 방향으로 늘어났는지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나 지폐 경계라인의 기울기에 따라 지폐가 투입되는 입구의 간격을 조정하거나, 양쪽에 구비된 메인 피드 롤러와 리버스 롤러 중 어느 한쪽의 간격을 조정하여 양쪽이 균일해지도록 조정한다면, 지폐의 위치가 기울어지거나 지폐 취득 이미지 자체가 늘어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지폐가 정상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폐처리장치의 성능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00)는 먼저 투입되는 지폐의 취득 정보로부터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 및 기울기 정보를 획득한다(S200).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지폐처리장치의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제어부(미도시)으로부터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linearity) 및/또는 기울기(slant)를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00)는 상기 단계(S200)에서 획득된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 및/또는 기울기가 미리 설정된 허용범위에서 벗어나면(S210), 지폐처리장치의 이상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린다(S220).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를 통해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나 지폐 경계라인의 기울기를 도시하는 방식으로 또는 직접적인 점검 요청 메시지를 출력시키는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지폐처리장치의 이상 상태를 알릴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지폐처리장치의 이미지 전처리 과정에서 산출되는 지폐 정보(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 및/또는 기울기)를 획득하여 지폐처리장치의 이상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기 단계(S220) 이후, 제어부(100)는 상기 단계(S200)에서 획득된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 및 기울기에 근거하여 지폐처리장치의 투입부(120)를 조정한다(S230).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지폐처리장치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투입부(120)의 갭(gap)을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투입부(120)의 갭을 조정한다함은 지폐가 투입되는 입구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이나 메인 피드 롤러와 리버스 롤러 사이의 간격을 양쪽이 균일해지도록 조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나 지폐 경계라인의 기울기의 크기와 부호에 따라 지폐가 어느 방향으로 기울어졌는지 또는 지폐가 어느 방향으로 늘어났는지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나 지폐 경계라인의 기울기에 따라 지폐가 투입되는 입구의 간격을 조정하거나, 양쪽에 구비된 메인 피드 롤러와 리버스 롤러 중 어느 한쪽의 간격을 조정한다면, 지폐의 위치가 기울어지거나 지폐 취득 영상자체가 늘어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지폐가 정상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폐처리장치의 성능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서 상기 단계(S230)는 상기 단계(S220) 이후에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단계(S230)는 상기 단계(S220)와 동시에 수행되거나, 그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00)는 먼저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한다(S300).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이미지센서(미도시)에 의해 검출된 아날로그 데이터에 대한 디지털화 및 전처리 과정을 거쳐서 분석 가능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00)는 상기 단계(S300)에서 획득된 이미지에 따른 지폐의 경계라인에 대한 경계 검출을 위한 후보점을 설정한다(S310).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지폐의 경계라인을 복수개의 지점으로 균등 분할하는 방식으로 지폐의 경계라인에 대한 경계 검출을 위한 후보점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단계(S310) 이후, 제어부(100)는 각 방향에 대한 기준직선 즉, 각 방향별 경계 검출을 위한 후보점에 대한 기준직선을 산출한다(S320). 즉 제어부(100)는 도 2a, 2b, 2c에서 볼 수 있는 각 방향별 후보점에 대한 기준직선(4개의 기준직선)을 산출할 수 있으며, 각 방향별 후보점에 대한 최소제곱직선을 계산하는 방식으로 각 방향별 기준직선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회귀분석 등의 방식을 통해 각 방향별 기준직선을 산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허프 변환(hough transform) 등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00)는 각 방향별 후보점과 기준직선 사이의 거리에 근거하여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를 산출한다(S330).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각 방향별 후보점과 기준직선 사이의 거리의 합을 계산하거나 RMS(Root Mean Square)값을 계산하는 방식 등으로 상기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여기서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는 각 방향별 후보점이 해당 방향의 기준직선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상기 단계(S330) 이후, 제어부(100)는 각 방향별 기준직선의 기울기에 근거하여 지폐 경계라인의 기울기를 산출한다(S340).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각 방향별 기준직선의 교점들(4개)에 따른 대각선과 각각의 기준직선이 이루는 각의 평균값을 구하는 방식으로 상기 지폐의 기울기를 산출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지폐 경계라인의 기울기를 산출하는 방식은 이러한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방향별 기준직선이 중심을 기준으로 얼마나 기울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를 산출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서 상기 단계(S340)는 상기 단계(S330) 이후에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단계(S340)는 상기 단계(S330)와 동시에 수행되거나, 그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이어서 제어부(100)는 상기 단계(S330)에서 산출된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 및 상기 단계(S340)에서 산출된 지폐 경계라인의 기울기에 근거하여 지폐처리장치의 이상여부를 판단한다(S350).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나 지폐 경계라인의 기울기가 허용범위를 벗어나면 지폐처리장치의 투입부(120)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단계(S350)의 판단결과, 지폐처리장치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지폐처리장치의 이상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린다(S370).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를 통해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나 지폐 경계라인의 기울기를 도시하는 방식으로 또는 직접적인 점검 요청 메시지를 출력시키는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지폐처리장치의 이상 상태를 알릴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00)는 상기 단계(S330)에서 산출된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 및 상기 단계(S340)에서 산출된 지폐 경계라인의 기울기에 근거하여 지폐처리장치의 투입부(120)를 조정한다(S380).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지폐처리장치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투입부(120)의 갭(gap)을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투입부(120)의 갭을 조정한다함은 지폐가 투입되는 입구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이나 메인 피드 롤러와 리버스 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갭 조정이 메인 피드 롤러와 리버스 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나 지폐 경계라인의 기울기의 크기와 부호에 따라 지폐가 어느 방향으로 기울어졌는지 또는 지폐가 어느 방향으로 늘어났는지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나 지폐의 기울기에 따라 지폐가 투입되는 입구의 간격을 조정하거나, 양쪽에 구비된 메인 피드 롤러와 리버스 롤러 중 어느 한쪽의 간격을 조정한다면, 지폐의 위치가 기울어지거나 지폐 자체가 늘어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지폐가 정상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폐처리장치의 성능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서 상기 단계(S380)는 상기 단계(S370) 이후에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단계(S380)는 상기 단계(S370)와 동시에 수행되거나, 그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투입되는 지폐의 정보를 통해 지폐의 기울어짐 정보를 획득하고, 이에 따라 지폐처리장치의 이상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지폐처리장치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여 지폐처리장치의 성능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제어부
110: 센서부
120: 투입부

Claims (14)

  1. 투입되는 지폐의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검출 데이터를 처리하여 지폐의 기울어짐(skew)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기울어짐 정보에 근거하여 지폐처리장치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지폐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어짐 정보로 지폐취득 영상으로부터 알고리즘을 통해 계산된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linearity) 또는 지폐 경계라인의 기울기(slant) 중 하나 이상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 데이터를 처리하여 지폐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이미지에 따른 지폐의 경계라인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 또는 지폐 경계라인의 기울기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폐의 경계라인 검출을 위한 후보점을 설정하고, 각 방향별 경계라인 후보점에 대한 기준직선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각 방향별 기준직선에 근거하여 상기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 또는 지폐 경계라인의 기울기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 방향별로 복수개의 경계라인 후보점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허프 변환(hough transform)을 이용하여 상기 각 방향별 경계라인 후보점에 대한 기준직선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 방향별 경계라인 후보점과 기준직선 사이의 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 방향별 기준직선의 기울기에 근거하여 상기 지폐 경계라인의 기울기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폐의 기울어짐 정보가 미리 설정된 허용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지폐처리장치가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지폐처리장치의 투입부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폐처리장치의 투입부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지폐의 기울어짐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투입부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폐처리장치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지폐처리장치의 이상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13. 제어부가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linearity) 및 기울기(slant)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 및 기울기가 미리 설정된 허용범위에서 벗어나면, 상기 제어부가 지폐처리장치의 이상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폐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 및 기울기가 미리 설정된 허용범위에서 벗어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지폐 경계라인의 직진도 및 기울기에 근거하여 지폐처리장치의 투입부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50131133A 2015-09-16 2015-09-16 지폐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05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133A KR102405715B1 (ko) 2015-09-16 2015-09-16 지폐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133A KR102405715B1 (ko) 2015-09-16 2015-09-16 지폐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492A true KR20170033492A (ko) 2017-03-27
KR102405715B1 KR102405715B1 (ko) 2022-06-09
KR102405715B9 KR102405715B9 (ko) 2023-04-12

Family

ID=58496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133A KR102405715B1 (ko) 2015-09-16 2015-09-16 지폐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7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06060A (zh) * 2017-04-27 2018-11-13 起山电子株式会社 参考纸币信息本地化系统及纸币清分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6786A (ko) * 2000-10-03 2002-04-12 아끼구사 나오유끼 지엽류 감별 장치
KR20090062115A (ko) * 2007-12-12 2009-06-17 엘지엔시스(주) 매체이미지 검출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한매체취급시스템
KR20140084929A (ko) * 2012-12-27 2014-07-07 한국조폐공사 지폐 인식기용 지폐 스큐 보정장치
KR101453674B1 (ko) * 2013-05-16 2014-10-2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매체 처리 장치 및 매체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6786A (ko) * 2000-10-03 2002-04-12 아끼구사 나오유끼 지엽류 감별 장치
KR20090062115A (ko) * 2007-12-12 2009-06-17 엘지엔시스(주) 매체이미지 검출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한매체취급시스템
KR20140084929A (ko) * 2012-12-27 2014-07-07 한국조폐공사 지폐 인식기용 지폐 스큐 보정장치
KR101453674B1 (ko) * 2013-05-16 2014-10-2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매체 처리 장치 및 매체 처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06060A (zh) * 2017-04-27 2018-11-13 起山电子株式会社 参考纸币信息本地化系统及纸币清分机
CN108806060B (zh) * 2017-04-27 2021-01-12 起山电子株式会社 参考纸币信息本地化系统及纸币清分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5715B9 (ko) 2023-04-12
KR102405715B1 (ko) 2022-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0135B2 (ja) 紙葉類鑑別装置及び紙葉類鑑別方法
US9443140B2 (en) Paper sheets processing apparatus and data transfer method
US20110235893A1 (en) Bank note processing device
JPWO2008096430A1 (ja) 紙幣処理装置
WO2015015588A1 (ja) 紙葉類処理装置
US20070145118A1 (en) Sheet processing method and sheet processing apparatus
US9284144B2 (en) Validator with a dynamic document path height
KR20170033492A (ko) 지폐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2431951A2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sheet processing method
KR100935806B1 (ko) 지폐반송로 게이트 제어방법
RU267770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умажных листов 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бумажных листов
US9336638B2 (en) Media item validation
JP6013232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紙葉類処理装置
US10427818B2 (en) Strapping apparatus, strapping method and paper sheets processing apparatus
CN106780958B (zh) 检测纸币在厚度传感器的检测范围上越界的方法和装置
CN108061919B (zh) 介质进给器金属检测
KR101062315B1 (ko) 위폐판별기능을 갖는 장치 및 위폐판별방법
JP7300520B2 (ja) 紙葉類識別装置、紙葉類処理装置及び紙葉類識別方法
KR101492407B1 (ko) 지폐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197789B1 (ko) 지폐 정사기의 능동적 지간 조절 장치 및 방법
JPH10269399A (ja) 紙幣入出金機及びその紙幣処理方法
JP5216301B2 (ja) 媒体識別装置
JPS6382257A (ja) 紙葉類の判別装置
KR102416334B1 (ko) 지폐 이송 진단 장치
JP4674065B2 (ja) 媒体識別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