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2196A -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2196A
KR20170032196A KR1020160117562A KR20160117562A KR20170032196A KR 20170032196 A KR20170032196 A KR 20170032196A KR 1020160117562 A KR1020160117562 A KR 1020160117562A KR 20160117562 A KR20160117562 A KR 20160117562A KR 20170032196 A KR20170032196 A KR 20170032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sphate
acid
ceramide
group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7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문
송영숙
박선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170032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1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세라마이드; 포화지방산 군, 불포화지방산 군 및 알킬 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pH 조절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본 출원은 2015년 9월 14일에 한국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 출원 제 10-2015-0129544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최외각 보호막인 피부 각질층은 크게 피부 각질세포와 피부 세포간지질로 구성되어 있고, 이 중 피부 세포간지질은 각질세포 사이를 채워 각질층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 세포간지질이 약화될 경우 피부 각질층 전체가 약화되어 피부 건강을 해치는 요인이 된다. 피부 세포간지질은 크게 세라마이드(Ceramide), 콜레스테롤(Cholesterol), 자유지방산(Free fatty acid)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세라마이드는 피부 세포간지질 특유의 라멜라 구조(Lamellar structure)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수분 증발을 억제하는 강력한 보습 능력을 발휘하여 피부 장벽 기능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고, 피부에 도포되었을 때 피부 보습력 및 재생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로 인하여 의약 및 화장품 산업에서 많은 연구자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세라마이드는 라멜라 구조 형성을 촉발시키는 특이한 성질 때문에 제형 내에서 경시적으로 점도, 경도를 상승시키는 젤화 현상이 쉽게 나타나며, 그 자체로도 쉽게 결정을 형성하여, 제형에 적용하였을 때 석출 및 침전이 발생하기 쉬워, 실제 화장품 산업에 많이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현재 시장에 출시되어 운영되고 있는 세라마이드 함유 제품은 주로 다음의 종류와 같다. 1) 실제 인체의 세라마이드와 구조가 유사하고 용해도가 더 향상된 유사 세라마이드(Pseudo-ceramide) 사용 제품, 2) 세라마이드를 극소량 함유한 제품, 3) 안정화를 위해 고함량의 오일 및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크림 제품, 및 4) 리포좀 혹은 고압유화방식을 통한 나노 리포좀 내에 포집하는 등의 안정화 원료를 먼저 만들고 이를 제형에 적용하는 제품 등이 있다.
그러나, 유사 세라마이드를 사용한 제품은 실제 인간 피부에 존재하는 세라마이드와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피부 안전성 측면에서 100% 확신할 수 없으며, 그 효능에 대해서도 의문시되고 있다. 또한 극소량 사용한 제품의 경우 실제적인 효과가 없어 의미가 없으며, 세라마이드를 함유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안정화를 위하여 계면활성제와 오일을 고함량 함유하고 있고, 이로 인하여 점도가 높은 크림 형태의 제품으로 그 응용이 제한되고 있다. 또한, 리포좀 또는 나노리포좀 등의 안정화 원료를 사용하는 경우, 추가적인 설비와 공정이 필요하고 이 또한 함량의 제한이 있으며 경제성이 떨어져 바람직한 방법이라고 할 수 없다.
한편, 최근 화장품 시장에서는 풍부한 수분감과 산뜻한 사용감을 가지면서 보습력은 뛰어난 제품들의 선호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러한 사용감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점도를 가능한 낮추고, 오일의 조성 또한 최대한 낮추면서 가벼운 사용감의 오일을 주로 사용하여 젤타입의 화장료를 구현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이러한 조건들은 세라마이드를 안정화시키기 어려운 조건이다. 그 이유는 세라마이드를 안정화 시키기 위하여 위해 많은 양의 오일과 계면활성제가 필요하며, 이는 무거운 사용감으로 이어지고, 이는 점도, 경도가 높아지는 결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크림 제형에는 물론, 종래의 기술로는 적용이 어려운 산뜻하고 가벼운 사용감의 저점도 반투명 젤타입 화장료에도 제한 없이 적용이 가능한 새로운 세라마이드 안정화 기술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 공보 제2008-0086620호
본 명세서의 목적은 세라마이드를 분리 및/또는 석출되지 않고, 제형 내에 안정하게 유지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산뜻하고, 가벼운 사용감의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는 세라마이드; 포화지방산 군, 불포화지방산 군 및 알킬 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pH 조절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는 세라마이드; 포화지방산 군, 불포화지방산 군 및 알킬 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보조 계면활성제; 및 pH 조절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용매를 더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화장료 조성물은 저점도를 가져, 산뜻하고, 가벼운 사용감을 갖는다.
또한, 본 명세서의 화장료 조성물은 분리 및/또는 석출되지 않고 제형 내에 안정하게 함유할 수 있는 세라마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험예 1에 따른 실시예 1(왼쪽)과 비교예 1(오른쪽)의 화장료 조성물의 성상을 비교한 도이다.
도 2는 실험예 2에 따른 실시예 2와 실시예 3의 화장료 조성물의 성상을 비교한 도이다.
도 3은 실험예 4에 따른 실시예 2와 4의 화장료 조성물의 성상을 비교한 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는 세라마이드; 포화지방산 군, 불포화지방산 군 및 알킬 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pH 조절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세라마이드는 피부 보습력 및 각질층을 유지하는 효과를 가져, 피부의 보습을 부여하고, 피부의 재생을 촉진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세라마이드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5.0 중량%이다.
상기 세라마이드의 함량이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세라마이드의 활성이 미약하고,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세라마이드의 안정성이 떨어져, 석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범위 내에서 세라마이드의 피부에 보습을 부여하고, 피부의 재생을 촉진 시키는 효과를 유지하면서, 조성물 내에서 세라마이드가 분리 및 석출되지 않고 안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세라마이드는 세레브로사이드; 및 세라마이드 유도체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레브로사이드는 동·식물 기원인 물질이며, 상기 세라마이드 유도체는 동·식물 기원 또는 효모 기원인 물질로, 세라마이드 I, 세라마이드 II, 세라마이드 III, 세라마이드 IIIB, 세라마이드 IV, 세라마이드 V, 세라마이드 VI의 유도체 등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세라마이드는 세레브로사이드; 세라마이드 I; 세라마이드 II; 세라마이드 III; 세라마이드 IIIB; 세라마이드 IV; 세라마이드 V; 및 세라마이드 V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한다.
다만, 세라마이드는 일반적인 PEG 계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내에서는 세라마이드의 재결정으로 인하여, 조성물 내에서 분리 또는 석출이 된다. 상기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극성 오일 혹은 극성 용매의 함량을 높이거나, 계면활성제를 많이 포함하고 점·경도를 많이 높여, 안정성을 확보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나, 이는 화장료 조성물로의 중요한 감성적 요소인 사용감이 좋지 않은 결과로 이어진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포화지방산 군, 불포화지방산 군 및 알킬 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상기 음이온 계면 활성제 및 세라마이드는 구조체를 형성한다.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에 의하여 형성된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구조체는 세라마이드 조성물 내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1 중량% 내지 5.0 중량% 수준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세라마이드 구조체가 만들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5.0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석출될 수 있고,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pH 조절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포화지방산 군, 불포화지방산 군 및 알킬 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pH에 따라 거동이 변화하는 특성을 보이는데, 구체적으로 pH가 각각 고유의 pKa 값보다 얼마나 높은지 낮은지에 따라 음이온화 되는 정도가 달라지게 되고, 이는 각 계면활성제 분자의 실질적 임계 패킹 파라미터(Critical Packing Parameter)를 조절하는 효과를 나타내어 계면활성력과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구조체 형성 정도가 달라지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pH 조절제는 pH 조절을 통해서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적절하게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구조체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이중층(bilayer)의 형성이 용이하고, 나노 구조체의 형성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pH는 5.0 내지 13일 수 있고, 6.5 내지 13 일 수 있다. 이 경우,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형성된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어, 투명하고, 저점도를 갖는 안정화된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이온화되는 분자와 이온화되지 않은 분자가 혼재해서 존재하게 되는데, 이는 두 형태의 분자 사이에 이온 유도 쌍극자 상호작용(Ion-Induced Dipole interaction) 및 수산화기(-OH group)와 음이온성 산소원자 (-O-) 사이의 수소결합(Hydrogen bonding)에 의하여 단단한 구조체를 형성하는 이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온화된 분자에 의해 각 구조체간 정전기적 반발력이 형성되어, 구조체의 유지 및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포화지방산 군은 카프릴릭 애씨드, 카프릭 애씨드, 라우릭 애씨드, 미리스틱 애씨드, 팔미틱 애씨드, 스테아릭 애씨드, 아라키딕 애씨드 및 베헤닉 애씨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한다.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지방산 군은 리놀레익 애씨드, 에이코사펜타에노익 애씨드, 도코사헥사에노익애씨드, 아라키도닉애씨드 및 올레익애씨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한다.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알킬포스페이트 군은 세틸포스페이트, 디세틸포스페이트, 트리세틸포스페이트,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세테아릴포스페이트, 올레일포스페이트, 디올레일포스페이트, 트리올레일포스페이트, 노녹시놀-10포스페이트, 노녹시놀-3포스페이트, 디노녹시놀-4포스페이트, 미리스틸포스페이트, 디미리스틸포스페이트, 라우릴포스페이트, 소듐라우릴포스페이트, 디소듐라우릴포스페이트, 포타슘라우릴포스페이트, 라우레스-1포스페이트, 라우레스-2포스페이트, 라우레스-3포스페이트, 라우레스-4포스페이트, 포타슘라우레스포스페이트, 세테아레스-2포스페이트, 세테스-8포스페이트, 세테스-20포스페이트 및 세테스-10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pH 조절제는 트리에탄올아민, 트로메타민, 소듐하이드록사이드,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시트릭애씨드, 소듐시트레이트, 포타슘시트레이트, 마그네슘시트레이트, 살리실릭애씨드, 글루타믹애씨드, 소듐 포스페이트. 디소듐 포스페이트, 포타슘 포스페이트, 디포타슘 포스페이트, 칼슘 포스페이트, 락틱애씨드, 설프릭애씨드, 석시닉애씨드, 알지닌, 소듐 락테이트, 포타슘 락테이트, 칼슘 락테이트 및 마그네슘 락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보조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 음이온 계면활성제만을 이용하여 형성된 세라마이드 구조체의 안정성에 대한 지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보조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구조체 내의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세라마이드 사이를 더욱 견고하게 하고,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구조체 간의 충돌 등의 외부적인 충격에도 충분한 안정성 및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보조 계면활성제는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레시틴,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아이소스테아릭애씨드, 아이소스테아릴알코올 및 아이소트라이데실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보조 계면활성제는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형성한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구조체를 구형의 구조로 형성되도록 돕고, 구형의 구조가 장시간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보조 계면활성제를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하는 경우에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형성된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구조체의 안정성을 높여 세라마이드가 분리 및/또는 석출되지 않고, 제형 내에서 안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조 계면활성제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1 중량% 내지 5.0 중량% 수준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계면활성제가 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세라마이드 구조체가 만들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5.0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상기 보조 계면활성제가 석출될 수 있고,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매를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수산화기(-OH)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폴리올; 폴리에틸렌글리콜기(PEG: polyethyleneglycol)을 포함하는 용매; 또는 폴리글리세릴기(Polyglyceryl group) 포함하는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글리세린, 프로판디올, 프로필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부탄디올, 부틸렌글라이콜, 헥산디올, 옥탄디올, PEG-4 내지 PEG-800, 글리세레스-7, 글리세레스-8, 글리세레스-12, 글리세레스-15, 글리세레스-18, 글리세레스-20, 글리세레스-26, 글리세레스-31, 메칠글루세스-10, 메칠글루세스-20, 피이지/피피지/폴리부틸렌글라이콜-8/5/3글리세린 및 에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다.
본 명세서의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고체 상태의 폴리에틸렌글리콜기는 온도를 높혀 녹인 상태로 용매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올을 더 포함한다.
상기 수산화기(-OH)를 포함하는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 세라마이드; 포화지방산 군, 불포화지방산 군, 알킬 포스페이트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음이온 계면활성제; 보조 계면활성제 및 pH 조절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용해시킬 수 있고, 물과 잘 혼합되어, 구조체 내부에 잔여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용매로 폴리올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24시간 동안 25℃에 보관한 후의 점도는 0cps 이상 20,000cps 미만이다. 상기 범위의 점도는 저점도이다. 따라서, 상기 범위 내의 점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은 산뜻하고 가벼운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는 샘플을 제조하여, 하루 동안 25℃에 보관한 후, 브룩필드(Brookfield) 점도계로 Spindle No. 4, 30rpm으로 1분 동안, 상온 조건 하에서 측정한 값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겔, 로션, 에센스, 크림 및 아이크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특히,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낮은 점도를 가지고 있어, 스킨, 로션 또는 에센스 제형의 조성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반투명 제형의 조성물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하기 실시예 등을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체적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하기 표에 나타낸 성분 및 조성비로 제조하였다.
< 실시예 1 및 비교예 1>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지질상의 원료를 교반하면서 50℃ 이상으로 가열 용해하였고, 수상, 지질상의 원료를 교반하면서 50℃ 이상으로 가열 분산하였다. 그 후 수상에 미리 용해시킨 지질상을 투입하여 3분간 유화기(Homogenizer)로 유화한 후 냉각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과 비교하기 위한 비교예 1은 지질상의 원료 중 pH 조절제인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를 포함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1
< 실험예 1> pH에 따른 세라마이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직후의 성상 비교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면서 얻고자 하는 성상인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이 제대로 형성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표 1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제조한 후, 그 성상을 비교하였다.
도 1은 실험예 1에 따른 실시예 1(왼쪽)과 비교예 1(오른쪽)의 화장료 조성물의 성상을 비교한 도이다.
도 1의 결과와 같이, pH 조절제를 포함하지 않고, 포화지방산 군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1의 경우 세라마이드가 석출되어 위에 떠있고, 뿌옇게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pH 조절제 및 포화지방산 군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모두 포함한 실시예 1의 경우 무점성의 투명한 외관을 나타내고, 투명한 저점성의 안정화된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수득됨을 확인할 수 있다.
< 실시예 2 및 3>
실시예 1 및 비교예 1과 비교하기 위하여 하기 표 2의 조성에 따라 제조하였다. 방법은 앞의 방법과 동일하게 하기 표 2의 조성에 따라 지질상의 원료를 교반하면서 50℃ 이상으로 가열 용해하였고, 수상 원료를 교반하면서 50℃ 이상으로 가열 분산하였다. 그 후 수상에 미리 용해시킨 지질상을 투입하여 3분간 유화기(Homogenizer)로 유화 한 후 냉각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또한, 실시예 3은 pH조절제로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를 사용하여 pH를 높게 조절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2]
Figure pat00002
< 실험예 2> 알킬 포스페이트와 pH 조절제에 따른 세라마이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직후의 성상 비교
알킬 포스페이트군을 포함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에 의해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면서 얻고자 하는 성상인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이 제대로 형성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표 2의 실시예를 제조한 후, pH를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고, 그 성상을 비교하였다.
[표 3]
Figure pat00003
도 2는 실험예 2에 따른 실시예 2 및 3의 화장료 조성물의 성상을 비교한 도이다.
pH 조절제인 트로메타민과 알킬 포스페이트를 이용하여 pH를 7.30으로 조절해 제조한 실시예 2(도 2 왼쪽)와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를 pH 조절제로 사용하여 pH를 12.33으로 조절해 제조한 실시예 3(도 2 오른쪽)은 투명한 외관을 보였고, pH 조절제에 의해 투명한 저점성의 세라마이드 안정화 화장료 조성물이 수득됨을 확인할 수 있다.
< 실시예 4>
실시예 2와 비교하기 위하여 하기 표 3의 조성에 따라 제조하였다. 방법은 앞의 방법과 동일하게 하기 표 4의 조성에 따라 지질상의 원료를 교반하면서 50℃ 이상으로 가열 용해하였고, 수상 원료를 교반하면서 50℃ 이상으로 가열 분산하였다. 그 후, 수상에 미리 용해시킨 지질상을 투입하여 3분간 유화기(Homogenizer)로 유화한 후 냉각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표 4]
Figure pat00004
< 실험예 3> 보조 계면활성제의 추가에 따른 세라마이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직후의 성상 확인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보조 계면활성제인 아이소스테아릭애씨드를 더 추가하여 상기 표 4의 실시예 4를 제조한 후, pH를 측정하였고, 그 성상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pH는 7.41로 측정되었고, 외관은 앞서 제조하였던 실시예 2와 유사한 투명 액상 화정료 조성물이 형성되었다.
< 실험예 4> 세라마이드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도 비교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면서 얻고자 하는 성상인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이 보조 계면활성제에 의해 안정도가 올라가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표 1 ~ 4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조한 후, 그 안정도를 비교하여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pat00005
도 3은 실험예 4에 따른 실시예 2와 4의 화장료 조성물의 성상을 비교한 도이다.
상기 표 5와 같이, pH를 7 이상으로 조절하여 제조한 실시예 2 내지 4는 제조 직후 투명한 액상으로 나타났으며, 상온에서 익일까지 그 외관이 유지되었으나, 보조 계면활성제가 없는 실시예 2(도3 왼쪽) 및 실시예 3은 상온에서 1주 뒤에 석출되어 분리되었다. 하지만, 보조 계면활성제를 추가한 실시예 4(도3 오른쪽)은 2주 이상 안정한 투명 액상의 외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 4와 같이, 세라마이드; 포화지방산 군, 불포화지방산 군 및 알킬 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보조 계면활성제; 및 pH 조절제를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고온 조건에서도 안전하게 성상을 유지하고, 종래와는 달리 사용감에 제약이 없이 산뜻하고 가벼운 사용감의 화장료 조성물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3)

  1. 세라마이드;
    포화지방산 군, 불포화지방산 군 및 알킬 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pH 조절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라마이드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5.0 중량%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라마이드는 세레브로사이드; 세라마이드 I; 세라마이드 II; 세라마이드 III; 세라마이드 IIIB; 세라마이드 IV; 세라마이드 V; 및 세라마이드 V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화지방산 군은 카프릴릭 애씨드, 카프릭 애씨드, 라우릭 애씨드, 미리스틱 애씨드, 팔미틱 애씨드, 스테아릭 애씨드, 아라키딕 애씨드 및 베헤닉 애씨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지방산 군은 리놀레익 애씨드, 에이코사펜타에노익 애씨드, 도코사헥사에노익애씨드, 아라키도닉애씨드 및 올레익애씨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킬포스페이트 군은 세틸포스페이트, 디세틸포스페이트, 트리세틸포스페이트,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세테아릴포스페이트, 올레일포스페이트, 디올레일포스페이트, 트리올레일포스페이트, 노녹시놀-10포스페이트, 노녹시놀-3포스페이트, 디노녹시놀-4포스페이트, 미리스틸포스페이트, 디미리스틸포스페이트, 라우릴포스페이트, 소듐라우릴포스페이트, 디소듐라우릴포스페이트, 포타슘라우릴포스페이트, 라우레스-1포스페이트, 라우레스-2포스페이트, 라우레스-3포스페이트, 라우레스-4포스페이트, 포타슘라우레스포스페이트, 세테아레스-2포스페이트, 세테스-8포스페이트, 세테스-20포스페이트 및 세테스-10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H조절제는 트리에탄올아민, 트로메타민, 소듐하이드록사이드,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시트릭애씨드, 소듐시트레이트, 포타슘시트레이트, 마그네슘시트레이트, 살리실릭애씨드, 글루타믹애씨드, 소듐 포스페이트. 디소듐 포스페이트, 포타슘 포스페이트, 디포타슘 포스페이트, 칼슘 포스페이트, 락틱애씨드, 설프릭애씨드, 석시닉애씨드, 알지닌, 소듐 락테이트, 포타슘 락테이트, 칼슘 락테이트 및 마그네슘 락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보조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보조 계면활성제는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레시틴,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아이소스테아릭애씨드, 아이소스테아릴알코올 및 아이소트라이데실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매를 더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글리세린, 프로판디올, 프로필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부탄디올, 부틸렌글라이콜, 헥산디올, 옥탄디올, PEG-4 내지 PEG-800, 글리세레스-7, 글리세레스-8, 글리세레스-12, 글리세레스-15, 글리세레스-18, 글리세레스-20, 글리세레스-26, 글리세레스-31, 메칠글루세스-10, 메칠글루세스-20, 피이지/피피지/폴리부틸렌글라이콜-8/5/3글리세린 및 에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올을 더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24시간 동안 25℃에서 보관한 후의 점도는 0cps 이상 20,000cps 미만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117562A 2015-09-14 2016-09-12 화장료 조성물 KR201700321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29544 2015-09-14
KR1020150129544 2015-09-1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1586A Division KR20180105625A (ko) 2015-09-14 2018-09-18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196A true KR20170032196A (ko) 2017-03-22

Family

ID=5849718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562A KR20170032196A (ko) 2015-09-14 2016-09-12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111586A KR20180105625A (ko) 2015-09-14 2018-09-18 화장료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1586A KR20180105625A (ko) 2015-09-14 2018-09-18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7003219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475B1 (ko) * 2018-11-19 2020-11-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난용성 성분 안정화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77246B1 (ko) * 2018-11-19 2022-12-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난용성 성분 안정화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3229987A1 (en) * 2022-05-25 2023-11-30 Neuvian LLC Vagin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exosomes and its uses for improving vaginal health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6620A (ko) 2007-03-23 2008-09-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성타입의 고형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6620A (ko) 2007-03-23 2008-09-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성타입의 고형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625A (ko) 2018-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16728B2 (ja) セラミド分散組成物
CN101181185B (zh) 具有含阳离子基团的辅助乳化剂的可冷制备的、低粘度和稳定性延长的化妆品乳液
JP2012206971A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EP2174646B1 (en) Reverse vesicle
KR20180105625A (ko) 화장료 조성물
KR101577874B1 (ko) 당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유사 지질 조성을 갖는 액정상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6088874A (ja) 化粧料または皮膚外用剤
KR20180023537A (ko) 고함량의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9018177B2 (en) Cosmetic compositions for increasing bioavailability of the active compounds baicalin and/or vitamin C
JP5214872B2 (ja) ベシクル組成物及びそれを配合した皮膚外用剤
KR102248067B1 (ko) 화장료 조성물
JP7063265B2 (ja) クリーム状組成物
JP2017171649A (ja) 高い経皮吸収性を有するリポソー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または皮膚外用剤
JP4778256B2 (ja) 水中油型エマルション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697613B (zh) 化妆料用组合物
JP6356457B2 (ja) セラミド配合外用剤組成物
KR20220091739A (ko) 천연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반투명 제형의 나노에멀젼 및 이를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
JP6606833B2 (ja) セラミド類含有リポソーム分散液
KR102500292B1 (ko) 복합 세라마이드 수분산 조성물
KR20230021435A (ko) 난용성 성분이 안정화된 나노베지클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JP3568983B2 (ja) 養毛剤
JP7364339B2 (ja) 皮膚有効成分の皮膚浸透性を向上した化粧料又は皮膚外用剤
JP2006151818A (ja) 皮膚化粧料
JP5964048B2 (ja) 乳化組成物
GB2464393A (en) Compositions comprising macromolecular assemblies of lipid and surfact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