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9373A - 용융로의 아일랜드 위치검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용융로의 아일랜드 위치검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29373A KR20170029373A KR1020160067582A KR20160067582A KR20170029373A KR 20170029373 A KR20170029373 A KR 20170029373A KR 1020160067582 A KR1020160067582 A KR 1020160067582A KR 20160067582 A KR20160067582 A KR 20160067582A KR 20170029373 A KR20170029373 A KR 201700293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sland
- image
- seed
- singularities
- intersection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30—CRYSTAL GROWTH
- C30B—SINGLE-CRYSTAL GROWTH;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EUTECTIC MATERIAL OR UNIDIRECTIONAL DEMIXING OF EUTECTOID MATERIAL; REFINING BY ZONE-MELTING OF MATERIAL; PRODUCTION OF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PPARATUS THEREFOR
- C30B29/00—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ir shape
- C30B29/10—Inorganic compounds or compositions
- C30B29/16—Oxides
- C30B29/20—Aluminium oxides
-
- C—CHEMISTRY; METALLURGY
- C30—CRYSTAL GROWTH
- C30B—SINGLE-CRYSTAL GROWTH;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EUTECTIC MATERIAL OR UNIDIRECTIONAL DEMIXING OF EUTECTOID MATERIAL; REFINING BY ZONE-MELTING OF MATERIAL; PRODUCTION OF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PPARATUS THEREFOR
- C30B15/00—Single-crystal growth by pulling from a melt, e.g. Czochralski method
- C30B15/20—Controlling or regulating
- C30B15/22—Stabilisation or shape controlling of the molten zone near the pulled crystal; Controlling the section of the crystal
- C30B15/26—Stabilisation or shape controlling of the molten zone near the pulled crystal; Controlling the section of the crystal using television detectors; using photo or X-ray detectors
-
- C—CHEMISTRY; METALLURGY
- C30—CRYSTAL GROWTH
- C30B—SINGLE-CRYSTAL GROWTH;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EUTECTIC MATERIAL OR UNIDIRECTIONAL DEMIXING OF EUTECTOID MATERIAL; REFINING BY ZONE-MELTING OF MATERIAL; PRODUCTION OF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PPARATUS THEREFOR
- C30B17/00—Single-crystal growth onto a seed which remains in the melt during growth, e.g. Nacken-Kyropoulos metho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Image Analysi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잉곳성장로 내부에서 용융체 표면의 유동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곳성장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곳성장로에서 촬영된 용융체 표면의 이미지에서 각 픽셀영역별로 독립적 이진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곳성장로에서 촬영된 용융체 표면의 이미지를 각 픽셀영역 별로 독립적인 이진화를 수행한 후 나타난 이미지
도 6은 도 5의 이미지에서 마스킹(Masking)법을 사용하여 비관심영역을 제거하고 관심영역만 남은 이미지
도 7은 도 6의 이미지에서 로우패스필터(Low pass filter) 및 스몰오브젝터리무브(small object remove)를 통하여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고 허프 변환을 통해 이미지의 점을 파라미터좌표의 선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8은 허프변환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9는 도 8의 파라미터좌표 상에 나타나는 교점을 파라미터공간 상에서 표현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0은 도 9의 파라미터공간 상에서 구한 다수의 제2특이점을 이미지 좌표에서 직선으로 변환하여 아일랜드를 탐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1은 이미지 상에서 결정된 아일랜드의 위치를 도시하는 설명도
8 ; 아일랜드 15 ; 픽셀영역
10,20,30,40,80 ; 이미지 50 ; 파라미터좌표
53 ; 교차점 60 ; 파라미터공간
61~65 ; 제2특이점 71~73 ; 연결라인
100 ; 용융로 150 ; 히팅수단
200 ; 촬영수단 300 ; 시드작동수단
320 ; 시딩로드 340 ; 시드
400 ; 상부커버 500 ; 제어수단
520 ; 표시수단
Claims (10)
- 재료가 용융되는 용융로(100)와,
상기 용융로(100)의 상측에 설치되어 용융체 표면(6)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촬영수단(200)과,
상기 촬영수단(200)이 획득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아일랜드(8)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어수단(500)과,
용융체의 표면(6)에 시드(340)가 접촉하도록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용융로(100)의 상측에 설치된 시드작동수단(300)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수단(500)은
상기 이미지에서 온도 또는 명도에 관한 다수의 제1특이점을 도출하고, 상기 이미지 상에 존재하는 다수의 상기 제1특이점을 허프변환(Hough transform)에 의해 가상의 파라미터좌표의 선으로 변환한 후, 그 선들이 교차하는 다수의 교차점을 구하며, 상기 가상의 파라미터좌표를 이루는 ρ,θ축과 그 ρ,θ축과 각각 수직인 교차횟수에 관한 축을 가지는 가상의 파라미터공간(60)에서 각 교차점을 표시할 때, 그 교차점들 중에서 상기 가상의 파라미터공간(60) 상의 피크를 이루게 되는 다수의 제2특이점(61~65)을 구하며, 그 다수의 제2특이점(61~65)을 허프변환의 역변환에 의해 다수의 연결라인(71~73)으로 도출하고, 그 다수개의 연결라인(71~73)에 기초하여 아일랜드(8)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로의 아일랜드 위치검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500)은
상기 이미지를 설정된 일정크기의 픽셀영역(15)으로 분할하고, 각 픽셀영역(15)에서 그 픽셀영역(15) 내에 존재하는 픽셀들의 밝기 차이를 서로 비교하며, 그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각 픽셀영역(15) 별로 독립적인 이진화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1특이점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로의 아일랜드 위치검출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500)은
각 픽셀영역(15) 별로 독립적인 이진화를 수행한 후, 마스킹(Masking)법을 사용하여 비관심영역을 제거하고, 로우패스필터(Low pass filter) 및 스몰오브젝터리무브(small object remove)를 통하여 노이즈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1특이점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로의 아일랜드 위치검출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500)은
상기 제2특이점(61~65)이 이루게 되는 상기 연결라인(71~73)에 상기 교차횟수에 의한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이미지 상에서 설정크기의 탐색영역(75)으로 탐색한 결과 상기 탐색영역(75) 내를 지나는 연결라인(71~73)의 가중치를 모두 가산하여 가장 높은 가중치를 가지는 탐색영역(75)에 상기 아일랜드(8)가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로의 아일랜드 위치검출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500)은
상기 시드(340)가 하강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시드접촉영역에, 상기 아일랜드(8)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아일랜드(8)가 상기 시드접촉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시드작동수단(300)이 상기 시드(340)를 용융체 표면(6)으로 하강시키도록 제어하거나,
별도 구비된 표시수단(520)이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로의 아일랜드 위치검출장치 - 용융로(100)에서 아일랜드(8)의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촬영수단(200)에 의해 용융체 표면(6)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1단계,
상기 1단계에서 획득된 이미지에서 온도 또는 명도에 관한 다수의 제1특이점을 도출하는 2단계,
다수의 상기 제1특이점이 서로 연결되어 각각 직선을 이루게 되는 다수의 연결라인(71~73)을 도출하는 3단계,
다수의 상기 연결라인(71~73)이 교차하는 영역 중에서 아일랜드(8)의 위치를 검출하는 4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3단계는
상기 이미지 상에 존재하는 다수의 상기 제1특이점을 허프변환(Hough transform)에 의해 가상의 파라미터좌표의 선으로 변환한 후, 그 선들이 교차하는 다수의 교차점을 구하며, 상기 가상의 파라미터좌표를 이루는 ρ,θ축과, 그 ρ,θ축과 각각 수직인 교차횟수에 관한 축을 가지는 가상의 파라미터공간(60)에서 각 교차점을 표시할 때, 그 교차점들 중에서 상기 가상의 파라미터공간(60) 상의 피크를 이루게 되는 다수의 제2특이점(61~65)을 구하며, 그 다수의 제2특이점(61~65)을 허프변환의 역변환에 의해 다수의 연결라인(71~73)으로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로의 아일랜드 위치검출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에서
상기 이미지를 설정된 일정크기의 픽셀영역(15)으로 분할하고, 각 픽셀영역(15)에서 그 픽셀영역(15) 내에 존재하는 픽셀들의 밝기 차이를 서로 비교하며, 그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각 픽셀영역(15) 별로 독립적인 이진화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1특이점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로의 아일랜드의 위치검출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에서
각 픽셀영역(15) 별로 독립적인 이진화를 수행한 후, 마스킹(Masking)법을 사용하여 비관심영역을 제거하고, 로우패스필터(Low pass filter) 및 스몰오브젝터리무브(small object remove)를 통하여 노이즈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1특이점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로의 아일랜드의 위치검출방법 -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4단계에서
상기 제2특이점(61~65)이 이루게 되는 상기 연결라인(71~73)에 상기 교차횟수에 의한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이미지 상에서 설정크기의 탐색영역(75)으로 탐색한 결과 상기 탐색영역(75) 내를 지나는 연결라인(71~73)의 가중치를 모두 가산하여 가장 높은 가중치를 가지는 탐색영역(75)에 상기 아일랜드(8)가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로의 아일랜드의 위치검출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아일랜드(8)가 시드(340)가 하강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시드접촉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별도 구비된 표시수단(520)이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5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로의 아일랜드 위치검출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680034902.4A CN107743531B (zh) | 2015-09-07 | 2016-09-05 | 熔融炉的岛位置检测装置以及方法 |
PCT/KR2016/009926 WO2017043826A1 (ko) | 2015-09-07 | 2016-09-05 | 용융로의 아일랜드 위치검출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50126188 | 2015-09-07 | ||
KR1020150126188 | 2015-09-0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9373A true KR20170029373A (ko) | 2017-03-15 |
KR101775057B1 KR101775057B1 (ko) | 2017-09-05 |
Family
ID=58402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67582A Active KR101775057B1 (ko) | 2015-09-07 | 2016-05-31 | 용융로의 아일랜드 위치검출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775057B1 (ko) |
CN (1) | CN107743531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66411A (ko) * | 2019-11-28 | 2021-06-07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기계학습 전처리를 통한 원형 플러그의 전기 아연 도금 불량 판별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344742B (zh) * | 2018-04-13 | 2020-06-05 | 太原理工大学 | 一种基于多帧图像运动信息的蓝宝石接种检测装置和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846318A (en) * | 1997-07-17 | 1998-12-08 | Memc Electric Materials, Inc.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growth of a silicon crystal |
EP0903428A3 (de) | 1997-09-03 | 2000-07-19 | Leybold Systems GmbH | Einrichtung und Verfahren für die Bestimmung von Durchmessern eines Kristalls |
CN100436657C (zh) * | 2006-12-28 | 2008-11-26 | 西安理工大学 | 基于霍夫变换的直拉单晶硅棒直径的测量方法 |
CN102517629A (zh) * | 2011-12-15 | 2012-06-27 | 江西旭阳雷迪高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快速准确寻找单晶引晶埚位的方法 |
CN103215641B (zh) * | 2013-04-10 | 2016-05-25 | 江苏双良新能源装备有限公司 | 一种泡生法蓝宝石视频引晶系统及其控制方法 |
KR101481442B1 (ko) * | 2013-10-02 | 2015-01-13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단결정잉곳 성장로의 아일랜드 위치검출장치 및 아일랜드 위치검출방법 |
CN104109904A (zh) * | 2014-05-27 | 2014-10-22 | 上海佳宇信息技术有限公司 | 一种泡生法蓝宝石晶体生长的引晶方法 |
CN104264216A (zh) * | 2014-10-12 | 2015-01-07 | 刘瑜 | 一种高可靠性泡生法蓝宝石晶体生长的自动引晶工艺 |
CN104451862B (zh) * | 2015-01-16 | 2017-09-01 | 苏州恒嘉晶体材料有限公司 | 一种蓝宝石单晶炉和蓝宝石引晶方法 |
CN204434766U (zh) * | 2015-01-16 | 2015-07-01 | 苏州恒嘉晶体材料有限公司 | 一种蓝宝石单晶炉 |
CN104746136B (zh) * | 2015-04-14 | 2017-04-12 | 福建江夏学院 | 一种用于提拉炉的激光监控分析系统 |
-
2016
- 2016-05-31 KR KR1020160067582A patent/KR101775057B1/ko active Active
- 2016-09-05 CN CN201680034902.4A patent/CN107743531B/zh active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66411A (ko) * | 2019-11-28 | 2021-06-07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기계학습 전처리를 통한 원형 플러그의 전기 아연 도금 불량 판별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7743531A (zh) | 2018-02-27 |
CN107743531B (zh) | 2019-12-06 |
KR101775057B1 (ko) | 2017-09-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81442B1 (ko) | 단결정잉곳 성장로의 아일랜드 위치검출장치 및 아일랜드 위치검출방법 | |
TWI447271B (zh) | 控制單晶矽碇之成長程序的方法與裝置 | |
US10472733B2 (en) | Silicon single crystal manufacturing method | |
JP4758383B2 (ja) | 温度測定装置および温度測定方法 | |
Feng et al. | Online defect detec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similarity of the temperature field in the melt pool | |
JP2018055429A (ja) | 物体認識装置および物体認識方法 | |
KR101775057B1 (ko) | 용융로의 아일랜드 위치검출 장치 및 방법 | |
JP5928451B2 (ja) | ガラス溶融炉内監視方法、ガラス溶融炉操作方法、ガラス溶融炉内監視システム | |
KR20160040467A (ko) | 초점 조절 방법 및 그 장치 | |
JP6293505B2 (ja) | 工具検査方法及び工具検査装置 | |
JP6599697B2 (ja) | 画像測定装置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 |
JP2020155060A (ja) | 結球野菜の結球中心の認識方法、認識装置、および収穫機 | |
JP5286337B2 (ja) | 半導体製造装置の管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
JP5651054B2 (ja) | 被計測体の表面異常識別装置 | |
CA2602838A1 (en) | Mining methods and apparatus | |
JP6831306B2 (ja) | 溶滓量測定装置および溶滓量測定方法 | |
AU775147B2 (en) | Method of and apparatus for growing ribbon of crystal | |
KR20170035262A (ko) | 블레이드 균열 정보 저장방법 및 블레이드 균열 예측방법 | |
JP3994954B2 (ja) | 物体検出装置及び物体検出方法 | |
JP2016217913A (ja) | X線検査装置 | |
JP6806845B2 (ja) | ロボットシステムおよびロボット制御方法 | |
JP2011095093A (ja) | 三次元計測装置及び三次元計測方法 | |
IT202100015773A1 (it) | Sistema ottico e metodo per analizzare una superficie | |
JP4484041B2 (ja) | エッジ位置検出装置 | |
WO2025078658A1 (en) | Method of adjusting fiberis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25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8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8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