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9180A -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9180A
KR20170029180A KR1020150126178A KR20150126178A KR20170029180A KR 20170029180 A KR20170029180 A KR 20170029180A KR 1020150126178 A KR1020150126178 A KR 1020150126178A KR 20150126178 A KR20150126178 A KR 20150126178A KR 20170029180 A KR20170029180 A KR 20170029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ub
sensing
input devic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시현
이정엄
민정상
홍기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6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9180A/ko
Priority to US14/956,156 priority patent/US10802701B2/en
Priority to CN201610096621.3A priority patent/CN106502555B/zh
Publication of KR20170029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1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B60K35/1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B60K37/02Arrangement of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6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B60K2350/1024
    • B60K2350/104
    • B60K2360/126
    • B60K2360/14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7Pen manipulated menu

Abstract

압력이 가해졌을 때의 터치 위치에 따라 표시되는 UI를 제어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UI(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터치를 감지하는 오목 영역이 마련되고, 상기 오목 영역이 상기 UI에 따라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되는 터치 입력장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 및 상기 압력 감지부에 의해 상기 압력이 감지될 때,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상기 터치를 감지한 서브 영역에 따라 상기 UI가 조작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방법{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오목 영역이 마련되는 터치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차량에 대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차량이 수행하는 기본적인 기능인 주행 이외에도 탑승자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이처럼 차량이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다양해지면서, 운전자의 차량에 대한 조작 부하가 증가할 수 있다. 조작 부하의 증가는 운전자의 운전에 대한 집중도를 저하시켜 안전 운전을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또한, 기능의 수가 증가할수록 조작의 곤란성이 증가할 수 있어, 차량의 조작이 미숙한 운전자는 차량이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운전자의 조작 부하 및 조작의 곤란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차량용 입력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이와 같은 차량용 입력장치 의 대표적인 예로서 운전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입력장치가 있다. 운전자는 복잡한 조작 없이, 터치 입력장치를 터치함으로써 차량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이 가해졌을 때의 터치 위치에 따라 표시되는 UI를 제어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UI(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터치를 감지하는 오목 영역이 마련되고, 상기 오목 영역이 상기 UI에 따라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되는 터치 입력장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 및 상기 압력 감지부에 의해 상기 압력이 감지될 때,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상기 터치를 감지한 서브 영역에 따라 상기 UI가 조작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 감지부는, 상기 터치 입력장치를 통해 가해지는 상기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 감지부는, 상기 터치 입력장치에서 오목 영역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상기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입력장치는, 상기 오목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상기 UI의 오브젝트(Object) 배열방식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입력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상기 UI가 제 1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오목 영역이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의 경계선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입력장치는, 상기 오목 영역이 상기 UI에서 현재 활성화된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터치를 감지하는 제 1 서브 영역, 상기 UI에서 상기 현재 활성화된 오브젝트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에 위치한 오브젝트를 활성화시키는 터치를 감지하는 제 2 서브 영역, 및 상기 UI에서 상기 현재 활성화된 오브젝트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오브젝트를 활성화시키는 터치를 감지하는 제 3 서브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입력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상기 UI가 미리 정해진 기준점을 둘러싸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오목 영역의 중심을 지나는 경계선에 의해 상기 오목 영역이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입력장치는, 상기 오목 영역이 상기 UI에서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각각을 선택하는 터치를 감지하는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를 감지한 서브 영역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수신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표시된 UI를 조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를 감지하는 오목 영역이 마련되는 터치 입력장치; 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UI(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UI에 따라 상기 오목 영역을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압력이 감지될 때, 상기 오목 영역에서 터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상기 터치를 감지한 서브 영역에 따라 상기 UI를 조작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입력장치를 통해 가해지는 상기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입력장치에서 오목 영역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상기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I에 따라 상기 오목 영역을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되는 UI의 오브젝트(Object) 배열방식에 따라 상기 오목 영역을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I에 따라 상기 오목 영역을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UI가 제 1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의 경계선에 의해 상기 오목 영역을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I에 따라 상기 오목 영역을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오목 영역을 상기 UI에서 현재 활성화된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터치를 감지하는 제 1 서브 영역, 상기 UI에서 상기 현재 활성화된 오브젝트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에 위치한 오브젝트를 활성화시키는 터치를 감지하는 제 2 서브 영역, 및 상기 UI에서 상기 현재 활성화된 오브젝트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오브젝트를 활성화시키는 터치를 감지하는 제 3 서브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I에 따라 상기 오목 영역을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되는 상기 UI가 미리 정해진 기준점을 둘러싸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오목 영역의 중심을 지나는 경계선에 의해 상기 오목 영역을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I에 따라 상기 오목 영역을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오목 영역이 상기 UI에서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각각을 선택하는 터치를 감지하는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상기 터치를 감지한 서브 영역에 따라 상기 UI를 조작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를 감지한 서브 영역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UI를 조작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의 일 실시에 따르면, 압력이 가해지는 위치와 무관하게 터치 위치를 기초로 UI를 제어하므로, 보다 정확한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표시되는 UI에 따라 터치를 감지하는 영역을 분할함으로써, 탑승자에게 다양한 UI에 최적화 된 입력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도 5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5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B-B 방향 단면도이다.
도 6 및 7은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a 및 8b는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부가 마련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UI를 예시하는 도면이며, 도 10a 및 10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UI를 예시하는 도면이며, 도 12a 및 12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UI를 예시하는 도면이며, 도 13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같이, 차량의 일 실시예는 차량(1)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차량(1)을 이동시키는 차륜(21, 22), 차량(1)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14), 차량(1) 내부의 운전자에게 차량(1)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17), 운전자에게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8, 19)를 포함한다.
차륜(21, 22)은 차량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21),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22)을 포함하며, 전륜(21) 또는 후륜(22)은 후술할 구동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본체(1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어(14)는 본체(1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가 차량(1)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킨다.
전면 유리(17)는 본체(1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윈드쉴드 글라스(Windshield Glass)라고도 한다.
또한, 사이드 미러(18, 19)는 본체(10)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18)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19)를 포함하며,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은 운전자 등이 탑승하는 시트(11)와, 기어 박스(20), 센터페시아(30) 및 스티어링 휠(40) 등이 마련된 대시보드(50)(dashboard), 및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 박스(20)에는 차량(1) 변속을 위한 변속 레버(24)와, 차량(1)의 기능 수행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입력장치(100, 200)가 설치될 수 있다. 터치 입력장치에 대하여는 후술하도록 한다.
대시보드(50)에 마련된 스티어링 휠(40)은 차량(1)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림(41) 및 차량(1)의 조향 장치와 연결되고 림(41)과 조향을 위한 회전축의 허브를 연결하는 스포크(4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스포크(42)에는 차량(1) 내의 각종 장치, 일례로 오디오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장치(42a, 42b)가 형성될 수 있다.
대시보드(50)에 마련된 센터페시아(30)에는 공조 장치(31), 시계(32), 오디오 장치(33) 및 디스플레이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공조 장치(31)는 차량(1) 내부의 온도, 습도, 공기의 청정도,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차량(1)의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한다. 공조 장치(31)는 센터페시아(30)에 설치되고 공기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31a)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30)에는 공조 장치(31) 등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운전자 등의 탑승자는 센터페시아(130)에 배치된 버튼을 이용하여 공조 장치(31)를 제어할 수 있다.
시계(32)는 공조 장치(31)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주위에 마련될 수 있다.
오디오 장치(33)는 오디오 장치(33)의 기능 수행을 위한 다수의 버튼들이 마련된 조작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33)는 라디오 기능을 제공하는 라디오 모드와 오디오 파일이 담긴 다양한 저장매체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미디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4)는 운전자에게 차량(1)과 관련된 정보를 이미지, 또는 텍스트의 형태로 제공하는 UI(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34)는 센터페시아(30)에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의 설치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는 차량(1)의 센터페시아(30)와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의 자세한 동작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34)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RT(Cathode Ray Tube)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대시보드(50)는 차량(1)의 주행 속도, 엔진 회전 수 또는 연료 잔량 등을 표시할 수 있는 각종 계기판 및 각종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글로브 박스(globe box)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차량(1)의 내부에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60)가 마련될 수 있다. 스피커는 차량(1)과 관련된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이 권장 주행방법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출력신호를 수신하면, 스피커(60)는 해당 출력신호에 대응되는 권장 주행방법을 음향을 통해 출력하여 탑승자에게 알릴 수 있다.
한편, 차량은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를 통해 UI를 제공하고, 상술한 터치 입력장치를 통해 운전자가 입력한 제어명령에 따라 UI를 조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UI 조작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UI를 조작하기 위해, 차량은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입력장치(100, 200);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300); U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34); 터치 및 압력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이 저장되는 저장부(500); 및 터치 및 압력에 따라 표시되는 UI를 조작하도록 디스플레이(34)를 제어하는 제어부(400); 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입력장치는 운전자를 포함하는 탑승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터치 입력장치는 내부 방향으로 오목한 영역이 마련되고, 오목 영역에서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통해, 터치 입력장치의 여러 가지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4c에 개시된 터치 입력장치는 탑승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부(110)와, 터치부(110)의 주위를 둘러싸는 테두리부(120)를 포함한다.
터치부(110)는 탑승자가 손가락 또는 터치펜 등의 포인터로 접촉하거나 근접하는 경우 신호가 생성되는 터치패드일 수 있다. 탑승자는 터치부(110)에 미리 정해진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여 원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터치패드는 그 명칭에 불구하고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터치필름 또는 터치시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드는 스크린에 터치가 가능한 디스플레이(34) 장치인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포인터가 터치패드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한 상태에서 포인터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을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하고, 포인터가 터치패드에 접촉하는 경우 위치를 인식하는 것을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한다. 이 때,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는 포인터가 터치패드에 근접할 때 포인터가 터치패드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일 수 있다.
터치패드는 저항막 방식, 광학 방식, 정전용량 방식, 초음파 방식, 또는 압력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즉,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터치패드를 사용할 수 있다.
테두리부(120)는 터치부(110)의 주위를 둘러싸는 부분을 의미하며, 터치부(110)와 별도의 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테두리부(120)에는 터치부(110)를 둘러싸는 키 버튼 또는 터치 버튼(121)이 위치할 수 있다. 즉, 탑승자는 터치부(110)에서 터치를 통해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고, 터치부(110) 주위의 테두리부(120)에 마련되는 버튼(121)을 이용하여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개시된 터치 입력장치는 탑승자의 손목을 지지하는 손목 지지수단(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손목 지지수단(130)은 터치부(110) 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이는 탑승자가 손목 지지수단(130)에 손목을 지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터치부(110)를 터치할 때 손목이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자의 근곤격계 질환을 방지하고 보다 편안한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부(110)는 테두리부(120)와의 경계선 보다 낮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터치부(110)의 터치면이 터치부(110)와 테두리부(120)의 경계선 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면이 테두리부(120)와의 경계선에서부터 아래로 경사지도록 마련되거나, 테두리부(120)와의 경계선과 단차를 두고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4c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부(110)는 오목한 곡면 영역을 포함하는 곡면부를 포함한다.
터치부(110)가 테두리부(120)와의 경계선 보다 낮은 부분을 포함함으로써 탑승자가 터치부(110)의 영역 및 경계를 촉감에 의해 인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터치 입력장치는 터치부(110)의 중앙 부분에서 터치의 감지율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탑승자가 터치를 입력하는 경우에 촉감에 의해 직관적으로 터치 영역 및 경계를 인지할 수 있어, 탑승자가 정확한 위치에 터치를 입력할 수 있고, 그 결과 터치의 입력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터치부(110)는 오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오목이란 요입(凹入) 또는 함몰된 형상을 의미하며, 둥그스름하게 들어가는 형상뿐만 아니라 경사지거나 단차지도록 들어가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터치부(110)는 오목한 곡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터치부(110)의 곡면은 서로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중앙부의 곡률은 작고(곡률반경이 큰 것을 의미), 외곽부의 곡률은 크게(곡률반경이 작은 것을 의미) 제공될 수 있다.
터치부(110)가 곡면을 포함함으로써 터치를 입력할 때에 탑승자가 느끼는 터치감(또는 조작감)이 상승할 수 있다. 터치부(110)의 곡면은 사람이 손목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손가락을 움직이거나 손가락을 핀 채로 손목을 회전시키거나 비트는 등의 동작을 할 때 손가락 끝의 움직임이 그리는 궤적과 유사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터치부(110)는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터치부(110)가 원형으로 마련되는 경우 오목한 곡면 영역을 형성하기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터치부(110)가 원형으로 마련됨으로써 탑승자가 촉감으로 원형 터치부(110)의 터치 영역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롤링 또는 스핀 동작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터치부(110)가 곡면으로 마련됨으로써 탑승자는 직관적으로 손가락이 터치부(110)의 어느 위치에 위치하는지를 알 수 있다. 터치부(110)가 곡면으로 마련됨으로써 터치부(110)의 어느 지점에서도 기울기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탑승자는 손가락을 통해 느껴지는 기울기 감각을 통해 직관적으로 손가락이 터치부(110)의 어느 위치에 위치하는지를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탑승자가 터치부(110) 이외의 곳에 시선을 고정한 상태에서 터치부(110)에 제스처를 입력하는 때에, 손가락이 터치부(110)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탑승자가 원하는 제스처를 입력하도록 도와줄 수 있으며, 제스처의 입력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a 내지 4c와는 달리, 터치 입력장치의 오목 영역이 중앙과 외곽으로 구분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5c를 참조하여, 터치 입력장치의 오목 영역이 중앙의 제스처 입력부와 외곽의 스와이핑 입력부로 구분되는 경우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5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5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B-B 방향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5c의 터치 입력장치(200)는 탑승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부(210, 220)와, 터치부(210, 220)의 주위를 둘러싸는 테두리부(230)를 포함한다.
터치부가 터치를 감지하는 방식은 도 4a 내지 4c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테두리부(230)는 터치부(210, 220)의 주위를 둘러싸는 부분을 의미하며, 터치부(210, 220)와 별도의 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테두리부(230)에는 터치부(210, 220)를 둘러싸는 키 버튼(232a, 232b) 또는 터치 버튼(231a, 231b, 231c)이 위치할 수 있다. 즉, 탑승자는 터치부(210, 220)에서 제스처를 입력할 수도 있고, 터치부(210, 220) 주위의 테두리부(230)에 마련되는 버튼(231, 232)을 이용하여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도 4a 내지 4c와 같이, 터치 입력장치(200)는 제스처 입력수단의 하부에 위치하여 탑승자의 손목을 지지하는 손목 지지수단(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터치부(210, 220)는 테두리부(230)와의 경계선 보다 낮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터치부(210, 220)의 터치면이 터치부(210, 220)와 테두리부(230)의 경계선 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면이 테두리부(230)와의 경계선에서부터 아래로 경사지도록 마련되거나, 테두리부(230)와의 경계선과 단차를 두고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부(210, 220)는 오목한 곡면 형상을 포함하는 제스처 입력부(210)를 포함한다.
터치부(210, 220)는 오목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음은 도 4a 내지 4c와 같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터치부(210, 220)는 제스처 입력부(210)의 외곽을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마련되는 스와이핑 입력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부(210, 220)가 원형으로 마련되는 경우, 제스처 입력부(210)는 구면의 일부 형상을 할 수 있고, 스와이핑 입력부(220)는 곡면부(210)의 원주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와이핑 입력부(220)는 스와이핑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탑승자는 원형으로 마련되는 스와이핑 입력부(220)를 따라 스와이핑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탑승자는 스와이핑 입력부(220)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스와이핑 제스처를 입력하거나 반시계 방향으로 스와이핑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스와이핑 입력부(220)는 눈금(221)들을 포함할 수 있다. 눈금(221)들은 시각적 또는 촉각적으로 탑승자에게 상대적인 위치를 알려줄 수 있다. 일 예로, 눈금(221)들은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눈금(221)들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자는 스와이핑 동작 도중에 손가락이 지나가는 눈금(221)의 개수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되어 스와이핑 제스처의 길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스와이핑 제스처에서 손가락이 지나가는 눈금(221)의 개수에 따라 디스플레이(34)에 표시되는 커서가 이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4)에 다양한 선택 문자들이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경우 탑승자가 스와이핑 동작을 하면서 하나의 눈금(221)을 지날 때 마다 선택되는 문자가 한 칸씩 옆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5a 내지 5c의 실시예에 따른 스와이핑 입력부(220)의 경사도는 스와이핑 입력부(220)와 제스처 입력부(210)가 만나는 경계에서의 스와이핑 입력부(210)의 접선방향 경사도 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탑승자는 제스처 입력부(210)에서 제스처를 입력하는 때에 스와이핑 입력부(220)의 경사도가 제스처 입력부(210) 보다 더 급하게 제공됨으로써 제스처 입력부(210)를 직관적으로 느낄 수 있다. 한편, 제스처 입력부(210)에서 제스처가 입력되는 도중에는 스와이핑 입력부(220)의 터치가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자가 제스처 입력부(210)에 제스처를 입력하는 도중에 스와이핑 입력부(220)와의 경계에 이르더라도, 제스처 입력부(210)의 제스처 입력과 스와이핑 입력부(220)의 스와이핑 제스처 입력이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터치부(210, 220)는 제스처 입력부(210)와 스와이핑 입력부(22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제스처 입력부(210)와 스와이핑 입력부(220)에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고, 하나의 터치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제스처 입력부(210)와 스와이핑 입력부(220)에 하나의 터치센서가 마련되는 경우, 제어부가 제스처 입력부(210) 터치영역과 스와이핑 입력부(220) 터치영역을 구분함으로써 제스처 입력부(210)의 터치에 의한 신호와, 스와이핑 입력부(220)의 터치에 의한 신호를 구분할 수 있다.
터치 입력장치(200)는 버튼 입력수단(231, 2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버튼 입력수단(231, 232)은 터치부(210, 220)의 주변에 위치할 수 있다. 버튼 입력수단(231, 232)은 탑승자의 터치에 의해 지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터치 버튼(231a, 231b, 231c) 또는 탑승자가 가하는 외력에 의해 위치가 변하면서 지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가압 버튼(232a, 232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내지 5c에서는 터치부가 경사를 가지는 스와이핑 입력부와 곡면 형상의 제스처 입력부로 구분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현되는 터치부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7은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부(210, 220)는 제스처 입력부(210)가 평면 형상으로 마련되고, 스와이핑 입력부(220)가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스처 입력부(210)가 터치부(210, 220) 외부와 터치부(210, 220)의 경계선 보다 낮게 위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터치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터치부는 경사를 가지는 스와이핑 입력부(220)를 제공함으로써, 탑승자는 용이하게 스와이핑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터치부(210, 220)는 제스처 입력부(210)와 스와이핑 입력부(220)가 연속적인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 때, 제스처 입력부(210)의 곡률과 비교하여 스와이핑 입력부(220)의 곡률이 더 크도록 제공된다. 사용자는 곡률의 급격한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터치부(210, 220)에 시선을 두지 않은 상태에서도 스와이핑 입력부(220)와 제스처 입력부(210)를 구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터치 입력장치가 도 5a 내지 5c의 실시예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를 전제로 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압력 감지부(300)는 탑승자가 가하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8a 및 8b는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부가 마련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압력 감지부(300)는 터치 입력장치(200)의 터치부(210, 220), 즉 오목 영역 후면에 마련될 수 있다. 탑승자는 터치부(210, 220)를 터치함과 동시에, 터치부(210, 220)를 가압할 수 있다. 즉, 터치 입력장치(200)는 터치부(210, 220)가 오목하게 형성되는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그 결과, 터치부(210, 220)는 압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터치부(210, 220)의 후면에 마련되는 압력 감지부(300)는 터치부(210, 220)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8a에서는 압력 감지부(300)가 하나 마련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도 8b와 같이 복수 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압력 감지부(300)는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상의 압력이 가해졌는지 여부만을 감지할 수도 있고, 가해진 압력의 정도를 측정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터치 입력장치(200)에서 감지되는 터치와 압력 감지부(300)에서 감지되는 압력을 기초로 디스플레이(34)에서 표시되는 UI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표시되는 UI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장치(200)의 터치부(210, 220), 즉 오목 영역을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그 다음, 제어부(400)는 압력이 감지될 때, 복수의 서브 영역 중 터치를 감지한 서브 영역에 따라 UI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및 10을 참조하여 제어부(400)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UI를 예시하는 도면이며, 도 10a 및 10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와 도 10a의 화살표 d의 방향은 상-하방향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34)는 차량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UI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표시되는 UI는 복수의 오브젝트(Object; I)를 포함하며, 오브젝트란 탑승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목적이 되는 모든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오브젝트는 실시예로서 선택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아이콘(Icon), 선택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폴더, 및 하위 폴더를 포함하는 상위 폴더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내비게이션 관련 UI를 예시하고 있으며, 복수의 오브젝트(I)가 상-하방향으로 배열된다. 또한, 복수의 오브젝트(I) 중 음영 표시가 되어있는 오브젝트(AC)는 선택 가능 상태로 활성화 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도 9의 UI에 대응하여 터치 입력장치(200)의 터치부(210, 220), 즉 오목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도 10a는 도 5a 내지 5c의 터치 입력장치(200)의 평면도이고, 도 10b는 도 5a 내지 5c의 터치 입력장치(200)의 상-하방향 단면도이다.
복수의 오브젝트(I)가 상-하방향으로 배열되는 UI에 대응하여, 제어부(400)는 상-하 방향에 수직인 좌-우 방향의 경계선을 이용하여 터치 입력장치(200)의 오목 영역을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 때, 경계선은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도 10a 및 10b에서 경계선은 두 개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두 개의 경계선을 이용하여, 제어부(400)는 터치 입력장치(200)의 오목 영역을 3개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오목 영역을 현재 활성화된 오브젝트(Ac)를 선택하는 터치를 감지하는 제 1 서브 영역, 현재 활성화된 오브젝트(Ac)로부터 상-하 방향에 위치한 오브젝트(I)를 활성화시키는 터치를 감지하는 제 2 서브 영역, 및 현재 활성화된 오브젝트(Ac)로부터 상-하 방향의 반대 방향인 하-상 방향에 위치한 오브젝트(I)를 활성화시키는 터치를 감지하는 제 3 서브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그 다음, 제어부(400)는 압력이 감지될 때, 터치를 감지한 서브 영역에 따라 UI를 조작하도록 디스플레이(34)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탑승자가 오목 영역을 터치함과 동시에 가압하여 압력 감지부(300)가 이를 감지하는 경우에, 제어부(400)는 터치를 감지한 서브 영역에 따라 UI를 조작할 수 있다.
도 10a 및 10b에서는 탑승자가 제 2 서브 영역을 터치함과 동시에 가압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압력 감지부(300)에서 압력을 감지함과 동시에 제 2 서브 영역에서 터치가 감지되므로, 제어부(400)는 현재 활성화 된 "Address Book" 오브젝트(I)로부터 상-하방향에 위치한 "Previous" 오브젝트(I)를 활성화시키도록 디스플레이(34)를 제어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복수의 오브젝트(I)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UI를 전제로 제어부(400)의 동작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11 및 12를 참조하여 복수의 오브젝트(I)가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UI를 전제로 제어부(4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UI를 예시하는 도면이며, 도 12a 및 12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과 도 12a의 화살표 d의 방향은 좌-우 방향으로 한다.
도 11은 음악재생 관련 UI를 예시하고 있으며, 좌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되감기, 재생, 빨리감기 오브젝트(I)가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다. 또한, 복수의 오브젝트(I) 중 경계가 굵은 선으로 표시된 재생 오브젝트(I)는 선택 가능 상태로 활성화 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도 11의 UI에 대응하여 터치 입력장치(200)의 터치부(210, 220), 즉 오목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도 12a는 도 5a 내지 5c의 터치 입력장치(200)의 평면도이고, 도 12b는 도 5a 내지 5c의 터치 입력장치(200)의 좌-우 방향 단면도이다.
복수의 오브젝트(I)가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UI에 대응하여, 제어부(400)는 좌-우 방향에 수직인 상-하 방향의 경계선을 이용하여 터치 입력장치(200)의 오목 영역을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 때, 경계선은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도 12a 및 12b에서 경계선은 두 개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두 개의 경계선을 이용하여, 제어부(400)는 터치 입력장치(200)의 오목 영역을 3개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오목 영역을 현재 활성화된 오브젝트(Ac)를 선택하는 터치를 감지하는 제 1 서브 영역, 현재 활성화된 오브젝트(Ac)로부터 좌-우 방향에 위치한 오브젝트(I)를 활성화시키는 터치를 감지하는 제 2 서브 영역, 및 현재 활성화된 오브젝트(Ac)로부터 좌-우 방향의 반대 방향인 우-좌 방향에 위치한 오브젝트(I)를 활성화시키는 터치를 감지하는 제 3 서브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그 다음, 제어부(400)는 압력이 감지될 때, 터치를 감지한 서브 영역에 따라 UI를 조작하도록 디스플레이(34)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탑승자가 오목 영역을 터치함과 동시에 가압하여 압력 감지부(300)가 이를 감지하는 경우에, 제어부(400)는 터치를 감지한 서브 영역에 따라 UI를 조작할 수 있다.
도 12a 및 12b에서는 탑승자가 제 3 서브 영역을 터치함과 동시에 가압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압력 감지부(300)에서 압력을 감지함과 동시에 제 3 서브 영역에서 터치가 감지되므로, 제어부(400)는 현재 활성화 된 재생 오브젝트(I)로부터 우-좌 방향에 위치한 되감기 오브젝트(I)를 활성화시키도록 디스플레이(34)를 제어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복수의 오브젝트(I)가 직선 방향으로 배열되는 UI를 전제로 제어부(400)의 동작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13a 및 13b를 참조하여 복수의 오브젝트(I)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배열되는 UI를 전제로 제어부(4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3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UI를 예시하는 도면이며, 도 13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는 복수의 오브젝트(I)가 미리 정해진 기준점(R)을 둘러싸도록 배열된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 때, 기준점(R)은 차량의 제조시에 미리 결정될 수 있으며, 전체 UI의 중심점일 수 있다.
제어부(400)는 도 13a의 UI에 대응하여 터치 입력장치(200)의 터치부(210, 220), 즉 오목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도 13a는 도 5a 내지 5c의 터치 입력장치(200)의 평면도이다.
복수의 오브젝트(I)가 기준점(R)을 둘러싸도록 배열되는 UI에 대응하여, 제어부(400)는 오목 영역의 중심(P)을 지나는 경계선에 의해 오목 영역을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 때, 경계선은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도 13b 에서 경계선은 네 개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네 개의 경계선을 이용하여, 제어부(400)는 터치 입력장치(200)의 오목 영역을 8개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오목 영역을 제 1 오브젝트(I1)를 선택하는 터치를 감지하는 제 1 서브 영역, 제 2 오브젝트(I2)를 선택하는 터치를 감지하는 제 2 서브 영역, ??, 제 8 오브젝트(I8)를 선택하는 터치를 감지하는 제 8 서브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그 다음, 제어부(400)는 압력이 감지될 때, 터치를 감지한 서브 영역에 따라 UI를 조작하도록 디스플레이(34)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탑승자가 오목 영역을 터치함과 동시에 가압하여 압력 감지부(300)가 이를 감지하는 경우에, 제어부(400)는 터치를 감지한 서브 영역에 따라 UI를 조작할 수 있다.
도 13b에서는 탑승자가 제 6 서브 영역을 터치함과 동시에 가압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압력 감지부(300)에서 압력을 감지함과 동시에 제 6 서브 영역에서 터치가 감지되므로, 제어부(400)는 제 6 서브 영역에 대응되는 제 6 오브젝트(I6)를 선택되었음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34)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압력이 감지될 때 터치를 감지한 서브 영역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을 디스플레이(34)에 전송함으로써 디스플레이(34)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400)는 저장부(500)에 미리 저장된 서브 영역과 제어명령의 대응관계를 참조하여 제어명령을 디스플레이(34)에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4)는 수신한 제어명령에 따라 표시중인 UI를 조작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차량의 디스플레이(34)는 UI를 표시할 수 있다. (600) 이렇게 표시되는 UI는 복수의 오브젝트(I)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I)란 탑승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목적이 되는 모든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오브젝트(I)는 실시예로서 선택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아이콘(Icon), 선택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폴더, 및 하위 폴더를 포함하는 상위 폴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오브젝트(I)는 미리 정해진 방식에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오브젝트(I)가 미리 정해진 제 1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도 있고, 미리 정해진 기준점(R)을 둘러싸도록 배열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그 다음, 차량의 제어부(400)는 UI에 따라 터치 입력장치(200)의 오목 영역을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610)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UI의 오브젝트(I) 배열 방식에 따라 오목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오목 영역이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된 후, 압력 감지부(300)는 압력이 감지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620) 이 때, 압력 감지부(300)는 터치 입력장치(200)의 오목 영역을 통해 전달되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압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반복하여 압력이 감지되었는지 확인한다.
압력이 감지되었다면, 동시에 터치 입력장치(200)에서 감지되는 터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630)상술한 바와 같이, 탑승자는 터치 입력장치(200)의 오목 영역을 가압하여 압력 감지부(300)에 압력을 전달하므로, 필연적으로 터치 입력장치(200)를 터치해야 한다. 따라서, 터치 입력장치(200)는 압력 감지 시점에 발생되는 터치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터치 위치를 확인한 후, 제어부(400)는 확인된 터치 위치가 속하는 서브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640) 제어부(400)는 서브 영역 단위로 UI를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므로, 터치가 발생된 서브 영역을 확인한다.
그 다음, 확인된 서브 영역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650) 이 때, 제어부(400)는 터치가 발생한 서브 영역 마다 서로 다른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제어명령은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디스플레이(34)는 생성된 제어 명령에 따라 표시중인 UI를 제어할 수 있다. (660)예를 들어, 현재 활성화된 오브젝트(Ac)를 선택하는 제어명령을 전달받으면, 디스플레이(34)는 해당 오브젝트(I)가 선택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1: 차량
10: 본체
34: 디스플레이
100, 200: 터치 입력장치
110, 210, 220: 터치부
300: 압력 감지부
400: 제어부

Claims (19)

  1. UI(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터치를 감지하는 오목 영역이 마련되고, 상기 오목 영역이 상기 UI에 따라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되는 터치 입력장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 및
    상기 압력 감지부에 의해 상기 압력이 감지될 때,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상기 터치를 감지한 서브 영역에 따라 상기 UI가 조작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지부는,
    상기 터치 입력장치를 통해 가해지는 상기 압력을 감지하는 차량.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지부는,
    상기 터치 입력장치에서 오목 영역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상기 압력을 감지하는 차량.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장치는,
    상기 오목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상기 UI의 오브젝트(Object) 배열방식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되는 차량.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상기 UI가 제 1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오목 영역이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의 경계선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되는 차량.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장치는,
    상기 오목 영역이 상기 UI에서 현재 활성화된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터치를 감지하는 제 1 서브 영역, 상기 UI에서 상기 현재 활성화된 오브젝트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에 위치한 오브젝트를 활성화시키는 터치를 감지하는 제 2 서브 영역, 및 상기 UI에서 상기 현재 활성화된 오브젝트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오브젝트를 활성화시키는 터치를 감지하는 제 3 서브 영역으로 분할되는 차량.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상기 UI가 미리 정해진 기준점을 둘러싸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오목 영역의 중심을 지나는 경계선에 의해 상기 오목 영역이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되는 차량.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장치는,
    상기 오목 영역이 상기 UI에서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각각을 선택하는 터치를 감지하는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되는 차량.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를 감지한 서브 영역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전송하는 차량.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수신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표시된 UI를 조작하는 차량.
  11. 터치를 감지하는 오목 영역이 마련되는 터치 입력장치; 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UI(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UI에 따라 상기 오목 영역을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압력이 감지될 때, 상기 오목 영역에서 터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상기 터치를 감지한 서브 영역에 따라 상기 UI를 조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입력장치를 통해 가해지는 상기 압력을 감지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입력장치에서 오목 영역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상기 압력을 감지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UI에 따라 상기 오목 영역을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되는 UI의 오브젝트(Object) 배열방식에 따라 상기 오목 영역을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UI에 따라 상기 오목 영역을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UI가 제 1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의 경계선에 의해 상기 오목 영역을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UI에 따라 상기 오목 영역을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오목 영역을 상기 UI에서 현재 활성화된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터치를 감지하는 제 1 서브 영역, 상기 UI에서 상기 현재 활성화된 오브젝트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에 위치한 오브젝트를 활성화시키는 터치를 감지하는 제 2 서브 영역, 및 상기 UI에서 상기 현재 활성화된 오브젝트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오브젝트를 활성화시키는 터치를 감지하는 제 3 서브 영역으로 분할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UI에 따라 상기 오목 영역을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되는 상기 UI가 미리 정해진 기준점을 둘러싸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오목 영역의 중심을 지나는 경계선에 의해 상기 오목 영역을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UI에 따라 상기 오목 영역을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오목 영역이 상기 UI에서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각각을 선택하는 터치를 감지하는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상기 터치를 감지한 서브 영역에 따라 상기 UI를 조작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를 감지한 서브 영역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UI를 조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150126178A 2015-09-07 2015-09-07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2918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178A KR20170029180A (ko) 2015-09-07 2015-09-07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14/956,156 US10802701B2 (en) 2015-09-07 2015-12-01 Vehicle including touch in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CN201610096621.3A CN106502555B (zh) 2015-09-07 2016-02-22 车辆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178A KR20170029180A (ko) 2015-09-07 2015-09-07 차량,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180A true KR20170029180A (ko) 2017-03-15

Family

ID=58190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178A KR20170029180A (ko) 2015-09-07 2015-09-07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02701B2 (ko)
KR (1) KR20170029180A (ko)
CN (1) CN106502555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0512A (ko) * 2018-05-28 2019-12-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용 유저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75106A (ko) * 2018-12-11 2020-06-26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장치
KR20220049770A (ko) * 2020-10-15 2022-04-22 현의섭 영역분할 및 이원구동의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7075A (zh) * 2018-08-24 2019-01-01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触控交互方法
US11907463B2 (en) * 2020-05-08 2024-02-20 Accenture Global Solutions Limited Pressure-sensitive machine interface device
CN111994093B (zh) * 2020-07-06 2022-08-16 惠州市德赛西威汽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触摸装置及触摸检测方法
CN115871767A (zh) * 2021-09-29 2023-03-31 奥托立夫开发公司 方向盘和利用方向盘启动车辆内预设功能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2150B2 (ja) 1997-10-06 2008-08-13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載機器の集中制御装置
US6765557B1 (en) * 2000-04-10 2004-07-20 Interlink Electronics, Inc. Remote control having touch pad to screen mapping
KR200263114Y1 (ko) 2001-10-31 2002-02-01 주식회사 서비전자 트랙볼
JP2005216110A (ja) 2004-01-30 2005-08-11 Nissan Motor Co Ltd 情報操作装置
JP2006031653A (ja) 2004-07-16 2006-02-02 Takeki Akamine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の補助的ソフトウェア制御(部分)
KR100811160B1 (ko) * 2005-06-02 2008-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명령을 3차원적으로 입력가능한 전자장치
JP4677893B2 (ja) 2005-12-16 2011-04-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遠隔操作装置
CN101395565B (zh) * 2005-12-30 2012-05-30 苹果公司 以不同模式操作的手持装置及其操作方法
US20070152983A1 (en) * 2005-12-30 2007-07-05 Apple Computer, Inc. Touch pad with symbols based on mode
KR20090074637A (ko) 2008-01-02 2009-07-0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트랙볼이 장착된 리모컨을 이용한 tv 제어방법
US8963844B2 (en) * 2009-02-26 2015-02-24 Tara Chand Singhal Apparatus and method for touch screen user interface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part I
JP5392900B2 (ja) 2009-03-03 2014-01-22 現代自動車株式会社 車載機器の操作装置
US8692815B2 (en) * 2009-11-06 2014-04-08 Bose Corporation Touch-based user interface user selection accuracy enhancement
US20110148762A1 (en) * 2009-12-22 2011-06-23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multi-mode command input
CN102375569B (zh) 2010-08-23 2014-07-02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轨迹球的按压定位方法及装置
EP2852882B1 (en) * 2012-05-21 2021-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user interface using touch screen
CN104471516B (zh) * 2012-07-19 2017-03-08 三菱电机株式会社 显示装置
CN103777876A (zh) * 2012-10-19 2014-05-07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触摸屏显示器页面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1521996B1 (ko) * 2012-11-19 2015-05-28 (주)아이티버스 터치패드 입력장치
JP2014222840A (ja) * 2013-05-14 2014-11-27 船井電機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の遠隔操作方法及び遠隔操作システム
JP5798160B2 (ja) * 2013-08-09 2015-10-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操作装置
CN103761046A (zh) * 2014-01-23 2014-04-30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触摸屏移动终端单手操作的系统及其方法
US20160170507A1 (en) * 2014-12-11 2016-06-16 Honda Motor Co., Ltd. Touch pad module, remote input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remote input system
US9990107B2 (en) * 2015-03-08 2018-06-0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d using menus
CN104636020A (zh) * 2015-03-19 2015-05-20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触摸反馈方法以及触摸反馈终端
CN204480132U (zh) * 2015-04-04 2015-07-15 季燎原 一种便捷式电子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0512A (ko) * 2018-05-28 2019-12-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용 유저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75106A (ko) * 2018-12-11 2020-06-26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장치
KR20220049770A (ko) * 2020-10-15 2022-04-22 현의섭 영역분할 및 이원구동의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502555B (zh) 2022-01-25
US20170068401A1 (en) 2017-03-09
US10802701B2 (en) 2020-10-13
CN106502555A (zh) 2017-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29180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678094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685891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터치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KR101974372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20170060312A1 (en) Touch input device and vehicle including touch input device
KR102263593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10732824B2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074070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696592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CN107305460B (zh) 车辆及其控制方法
KR101889039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69297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665549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764610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70087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24487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901194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459532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29254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681994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170012171A (ko) 터치 입력장치 및 터치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