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8409A - 변좌 시트 - Google Patents
변좌 시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28409A KR20170028409A KR1020177003215A KR20177003215A KR20170028409A KR 20170028409 A KR20170028409 A KR 20170028409A KR 1020177003215 A KR1020177003215 A KR 1020177003215A KR 20177003215 A KR20177003215 A KR 20177003215A KR 20170028409 A KR20170028409 A KR 201700284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t
- seat
- cutting
- separating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6—Devices for fastening baths to floors or walls; Adjustable bath feet ; Lining panels or attachment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4—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 A47K13/16—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of single sheets of paper or plastic foil or film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4—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 A47K13/18—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of paper or plastic webs
- A47K13/20—Dispensers therefor with cutt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시트 본체와 절단 분리부를 자동적으로 절단 분리할 수 있는 변좌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변좌 시트 S는, 시트 본체(1)와, 시트 본체(1)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2)와, 당해 개구부(2)의 내측 에지부(21)로부터 절단 분리되는 절단 분리부(3)를 구비하고, 절단 분리부(3)는 개구부(2)의 우측 사선 후방측 및/또는 좌측 사선 후방측의 내측 에지부(21)에 있어서 시트 본체(1)에 연결된 절단 분리용 연결부(323)를 구비한다. 이것에 의하면, 절단 분리부(3)가 사전에 절단 분리되는 일 없이 변좌 시트 S가 변좌 T에 적재된 후, 시트 본체(1)의 후방부(13)가 변좌 T에 앉는 사용자의 둔부 D로부터 후방으로의 압력을 받음으로써, 절단 분리용 연결부(323)가 개구부(2)의 내측 에지부(21)로부터 절단되기 때문에, 시트 본체(1)로부터 절단 분리부(3)를 자동적으로 절단 분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양변기의 변좌에 적재하여 사용하는 변좌 시트에 관한 것이다.
공공 화장실에서 양변기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피부가 직접 접촉되는 변좌는 청결, 위생적으로 유지되고 있을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공공 화장실에 설치되어 있는 양변기는, 변좌를 청결, 위생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특별한 대책이 실시된 것은 매우 드물어, 사용자는 자신의 피부가 변좌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종이로 만든 변좌 시트 등을 변좌에 올려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소재의 중앙부에, 개구부 또는 개구부 형성용 절입선이 마련된 변좌용 시트에 있어서, 시트 소재의 개구부 또는 절입선을 포함하는 중앙 부분과, 이 중앙 부분의 양측 개구부 또는 절입선이 없는 외측 부분이 겹치도록, 시트 소재를 소정 방향의 선분을 따라 띠 형상으로 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용 시트가 제안되어 있다.
이 변좌 시트는, 시트의 중앙부에 말굽형의 절입선으로 둘러싸인 절단 분리부가 마련되어 있고, 절단 분리부가 시트 본체로부터 수하되어 전방측 또는 후방측의 변기 내면에 부착되기 때문에, 용변 후에 절단 분리부가 세정수의 흐름에 인입되고, 인입된 절단 분리부가 시트 본체를 인입하여, 변좌 시트를 변좌로부터 자동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변좌 시트는, 포장 주머니로부터 취출되어, 절입선을 따라 시트 본체로부터 절단 분리부가 손으로 절단 분리되고, 시트 본체의 내측연부로부터 절단 분리부가 수하된 후, 변좌에 적재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시트 본체로부터 절단 분리부를 절단 분리할 때, 조금씩 위치를 비켜가면서 절입선의 양측을 손으로 잡아당기는 동작을 반복해야만 하므로, 변좌 시트의 절단 분리 작업이 번거로웠다.
또한, 절단 분리부를 시트 본체로부터 수하시키기 위한 수하용 연결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변좌 시트가 적재될 때, 변좌 시트로부터 절단 분리부가 수하되어 있기 때문에, 절단 분리부가 공기 저항 등에 의해 흔들리는 중에, 절단 분리부가 변기 내면의 소정 개소에 부착되도록 겨냥하면서 변좌 시트를 적재할 필요가 있어, 변좌 시트의 적재 작업이 어려웠다.
또한, 절단 분리부가 변기 내면의 예기치 못한 개소에 부착되어 버리면, 적재 후에 절단 분리부에 끌어당겨지도록 하여 시트 본체가 정규 위치로부터 어긋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절입선을 따라 절단 분리부를 절단 분리할 때, 수하용 연결부까지도 잘못하여 절단 분리해 버릴 우려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시트 본체로부터 절단 분리부를 자동적으로 절단 분리할 수 있는 변좌 시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시트 본체와, 시트 본체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와, 당해 개구부의 내측 에지부로부터 절단 분리되는 절단 분리부를 구비한 변좌 시트이며,
상기 절단 분리부는, 상기 개구부의 우측 사선 후방측 및/또는 좌측 사선 후방측의 상기 내측 에지부에 있어서 상기 시트 본체에 연결된 절단 분리용 연결부를 구비함과 함께, 후방측 에지부가 우측 사선 후방으로 돌출된 우측 산형부와 좌측 사선 후방으로 돌출된 좌측 산형부가 배열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절단 분리부가 사전에 절단 분리되는 일 없이 변좌 시트가 변좌에 적재된 후, 시트 본체의 후방부가 변좌에 앉는 사용자의 둔부로부터 후방으로의 압력을 받음으로써, 절단 분리용 연결부가 개구부의 내측 에지부로부터 절단되기 때문에, 시트 본체로부터 절단 분리부를 자동적으로 절단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단 분리부는, 평면에서 볼 때 하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사용자는 당해 하트 형상으로써 변좌 시트의 전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음과 함께, 하트 형상에 의한 의장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단 분리용 연결부는, 상기 절단 분리부의 무게 중심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절단 분리부의 최전단부로부터 90도에서 180도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둔부의 압력이 커지는 위치에 절단 분리용 연결부가 위치하기 때문에, 절단 분리용 연결부가 개구부의 내측 에지부로부터 절단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절단 분리용 연결부는, 1㎜ ~ 5㎜의 범위 내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절단 분리용 연결부가 1㎜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절단 분리부를 시트 본체에 확실하게 임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절단 분리용 연결부가 5㎜ 이하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절단 분리용 연결부가 개구부의 내측 에지부로부터 절단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절단 분리부는, 상기 개구부의 전방측의 상기 내측 에지부에 수하용 연결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절단 분리용 연결부가 상기 개구부의 내측 에지부로부터 절단 분리됨으로써, 상기 절단 분리부가 상기 수하용 연결부로부터 현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절단 분리부가 변기 내면에 확실하게 부착되기 때문에, 용변 후에 절단 분리부가 세정수의 흐름에 인입되고, 인입된 절단 분리부가 수하용 연결부를 통하여 시트 본체를 인입하여, 변좌 시트를 변좌로부터 자동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하용 연결부는, 상기 개구부의 우측 사선 전방측 또는 좌측 사선 전방측의 상기 내측 에지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절단 분리부는 상기 개구부의 우측 사선 전방측 또는 좌측 사선 전방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소변이 부착된 절단 분리부가 사용자의 시야에 들어오는 일이나, 사용자가 남성일 경우에 절단 분리부와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하는 등의 사용자의 불쾌함을 경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단 분리부가 사전에 절단 분리되는 일 없이 변좌 시트가 변좌에 적재된 후, 시트 본체의 후방부가 변좌에 앉는 사용자의 둔부로부터 후방으로의 압력을 받음으로써, 절단 분리용 연결부가 개구부의 내측 에지부로부터 절단되기 때문에, 시트 본체로부터 절단 분리부를 자동적으로 절단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조금씩 위치를 비켜가면서 절입선의 양측을 손으로 잡아당기는 동작을 반복하지 않더라도, 시트 본체로부터 절단 분리부를 자동적으로 절단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변좌 시트의 절단 분리 작업이 불필요해져서 편리하다.
또한, 절단 분리부를 시트 본체로부터 수하시키기 위한 수하용 연결부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변좌 시트가 적재될 때, 변좌 시트로부터 절단 분리부가 수하되지 않기 때문에, 절단 분리부가 변기 내면의 소정 개소에 부착되도록 겨냥하지 않더라도, 변좌 시트를 변좌에 단순히 적재하기만 해도 되어, 변좌 시트의 적재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절단 분리부가 변기 내면의 예기치 못한 개소에 부착되는 일도 없기 때문에, 적재 후에 절단 분리부에 끌어당겨지도록 하여 시트 본체가 정규의 위치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절입선을 따라 시트 본체로부터 절단 분리부를 손으로 절단 분리하는 일도 없기 때문에, 수하용 연결부도 잘못하여 절단 분리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방측 에지부가 우측 사선 후방으로 돌출된 우측 산형부와 좌측 사선 후방으로 돌출된 좌측 산형부가 배열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첫번째, 변좌 시트가 변좌에 적재되었을 경우에, 내측 에지부의 우측 사선 후방측 및 좌측 사선 후방측에 형성된 절단 분리용 연결부가, 변좌의 외측에 가까운 위치(변좌의 개구부로부터 후방으로 멀어진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둔부가 변좌로부터 압력을 받아서 후방으로 비어져 나왔을 때, 절단 분리용 연결부는 후방으로 비어져 나온 둔부부터 후방으로 압력을 받아, 확실하게 절단 분리된다.
두번째, 사용자는, 후방측 에지부가 우측 사선 후방으로 돌출된 우측 산형부와 좌측 사선 후방으로 돌출된 좌측 산형부가 배열된 형태로 형성된 형상으로부터 엉덩이를 연상할 수 있으므로, 직감적으로 변좌 시트의 전후를 파악할 수 있고, 일부러 설명서를 참조하는 일 없이 바로 변좌 시트를 변좌에 적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좌 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변좌 시트의 수하용 연결부를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변좌 시트의 절단 분리용 연결부를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변좌 시트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V-V선에 따른, (a) 사용자가 변좌에 앉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종단면도, (b) 사용자가 변좌에 앉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종단면도, (c) 사용자가 변좌에 앉은 직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변좌 시트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변좌 시트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변좌 시트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변좌 시트의 수하용 연결부를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변좌 시트의 절단 분리용 연결부를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변좌 시트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V-V선에 따른, (a) 사용자가 변좌에 앉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종단면도, (b) 사용자가 변좌에 앉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종단면도, (c) 사용자가 변좌에 앉은 직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변좌 시트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변좌 시트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변좌 시트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변좌 시트 S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 ~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가 변좌 T의 정면에 섰을 경우에 있어서, 변좌 T의 앞측(도 1의 하측)을 「전방측」, 변좌 T의 안측(도 1의 상측)을 「후방측」, 변좌 T의 우측(도 1의 우측)을 「우측」, 전좌 T의 좌측(도 1의 좌측)을 「좌측」이라고 정의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자란, 일반적인 양변기의 변좌 T에 앉아서 배변할 수 있는 크기의 둔부 D를 가진 사람, 구체적으로는 폭이 약 240㎜ 이상인 둔부 D를 갖는 사람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이 변좌 시트 S는, 양식 변소에 있어서의 용변에 사용되고, 사용자의 피부가 직접 변좌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변좌에 적재되는 변좌 시트이다. 이 변좌 시트 S는, 직사각형의 얇은 부직포 또는 종이로 이루어지고,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 본체(1)와, 시트 본체(1)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2)와, 개구부(2)의 내측 에지부(21)로부터 현수되는 절단 분리부(3)를 구비한다.
이 상기 시트 본체(1)는, 변좌 T에 적재되는 부분이며, 변좌 T를 전면적으로 덮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세로의 길이가 435㎜, 가로의 길이가 400m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2)는, 변을 통과시켜서 배출하는 배변 구멍이며, 변좌 T의 개구부 T1의 주연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무게 중심 위치 G를 통하는 세로의 길이가 203㎜, 무게 중심 위치 G를 통하는 가로의 길이가 165㎜, 최대의 가로의 길이가 205㎜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단 분리부(3)는, 시트 본체(1)로부터 잘려내어짐으로써 개구부(2)와 동일 크기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절단 분리부(3)와 시트 본체(1)를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변좌 시트 S의 제작이 용이해져, 제조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절단 분리부(3)의 무게 중심 위치 G보다 전방측의 주연부를 전방측 에지부(31)라 하고, 무게 중심 위치 G보다 후방측의 절단 분리부(3)의 주연부를 후방측 에지부(32)라고 한다.
상기 절단 분리부(3)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 사선 전방측의 전방측 에지부(31)에 수하용 연결부(311)를 구비하고, 수하용 연결부(311)는 개구부(2)의 우측 사선 전방측의 내측 에지부(21)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절단 분리부(3)는, 시트 본체(1)가 변좌 T에 적재되었을 때, 전방측의 변기 내면 I에 접촉 가능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시트 본체(1)를 변좌에 적재했을 때, 절단 분리부(3)는 수하용 연결부(311)를 기단부로 하여 하방으로 수하되어, 변기 전방측의 변기 내면 I에 부착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수하용 연결부(31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전단부가 개구부(2)의 내측 에지부(21)의 최전단부(331)로부터 1㎝ ~ 15㎝(L)의 범위 내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절단 분리부(3)를 전방측의 변기 내면 I에 보다 확실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하용 연결부(31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 ~ 10㎝(W)의 범위 내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수하용 연결부(311)의 길이를 1㎝ 이상으로 함으로써, 수하용 연결부(311)가 세정수의 흐름에 인입되었을 때,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하용 연결부(311)의 길이를 5㎝ 이하로 함으로써, 수하용 연결부(311)가 꺾여 구부러지기 쉬워져, 절단 분리부(3)를 전방측의 변기 내면 I에 한층 더 확실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하용 연결부(311)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1㎜ 정도의 절취선이 3㎜ 정도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수하용 연결부(311)가 꺾여 구부러지기 쉬워져, 절단 분리부(3)를 전방측의 변기 내면 I에 한층 더 확실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절단 분리부(3)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측 에지부(32)가 사용자의 후방측 둔부 D를 따르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방측 에지부(32)는, 우측 사선 후방으로 돌출된 우측 산형부(321)와 좌측 사선 후방으로 돌출된 좌측 산형부(322)가 배열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 산형부(321)는, 전방측 에지부(31)의 우측 후단부로부터 완만하게 좌측 방향으로 만곡되면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신장부(321a)와, 제1 신장부(321a)의 선단으로부터 완만하게 좌측 방향으로 만곡되면서 좌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신장부(321b)와, 제2 신장부(321b)의 선단으로부터 완만하게 전방으로 만곡되면서 좌측 사선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3 신장부(321c)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좌측 산형부(322)는, 우측 산형부(321)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방측 에지부(31)의 좌측 후단부로부터 완만하게 우측 방향으로 만곡되면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신장부(322a)와, 제1 신장부(321a)의 선단으로부터 완만하게 우측 방향으로 만곡되면서 우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신장부(322b)와, 제2 신장부(322b)의 선단으로부터 완만하게 전방으로 만곡되면서 우측 사선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3 신장부(322c)를 구비하고 있다. 이 우측 산형부(321)와 좌측 산형부(322)는, 후방측 에지부(32)의 중앙에 있어서, 완만한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 좌우 연결부(32a)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단 분리부(3)는, 우측 사선 후방측 및 좌측 사선 후방측의 후방측 에지부(32)에 절단 분리용 연결부(323)를 구비하고 있다. 절단 분리용 연결부(323)는, 각각 길이가 1㎜ ~ 5㎜ 정도, 바람직하게는 1㎜ ~ 3㎜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2㎜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우측 사선 후방측의 절단 분리용 연결부(323)는, 개구부(2)의 우측 사선 후방측의 내측 에지부(21)에 위치하고, 좌측 사선 후방측의 절단 분리용 연결부(323)는 개구부(2)의 좌측 사선 후방측의 내측 에지부(21)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절단 분리부(3)가 사전에 절단 분리되는 일 없이 변좌 시트 S가 변좌 T에 적재된 후, 시트 본체(1)의 후방부(13)가 변좌 T에 앉는 사용자의 둔부 D로부터 후방으로의 압력을 받음으로써, 절단 분리용 연결부(323)가 개구부(2)의 내측 에지부(21)로부터 인열되듯이 절단되기 때문에, 시트 본체(1)로부터 절단 분리부(3)를 자동적으로 절단 분리할 수 있다. 게다가, 절단 분리부(3)의 후방측 에지부(32)가, 사용자가 변좌 T에 앉을 때의 사용자 둔부 D의 형상을 따르기 때문에, 시트 본체(1)의 후방부(13)는 변좌 T에 앉는 사용자의 둔부 D로부터 더욱 확실하게 후방으로의 압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절단 분리부(3)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단 분리용 연결부(323)가 절단 분리부(3)의 무게 중심 위치 G를 중심으로 하여, 절단 분리부(3)의 최전단부(331)로부터의 각도 θ가 90도에서 180도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절단 분리용 연결부(323)는, 각도 θ가 100도에서 180도의 범위 내에,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도 θ가 130도에서 140도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좋다. 이것에 의하면, 둔부 D의 압력이 커지는 위치에 절단 분리용 연결부(323)가 위치하기 때문에, 절단 분리용 연결부(323)가 개구부(2)의 내측 에지부(21)로부터 절단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절단 분리용 연결부(323)는 길이가 1㎜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절단 분리부(3)를 시트 본체(1)에 확실하게 임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절단 분리용 연결부(323)는, 길이가 5㎜ 이하,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이하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절단 분리용 연결부(323)가 개구부(2)의 내측 에지부(21)로부터 한층 절단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절단 분리용 연결부(323)는, 길이 방향으로 절취선이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절단 분리용 연결부(323)가 개구부(2)의 내측 에지부(21)로부터 한층 더 절단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절단 분리부(3)는, 전단부(33)가 예각을 이루어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절단 분리부(3)의 전방측이 경량이 되어 절단 분리부(3)의 무게 중심 위치 G가 후방측에 가깝기 때문에, 절단 분리부(3)가 수하용 연결부(311)로부터 현수되기 쉬워진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절단 분리부(3)는 상기와 같은 형상의 전방측 에지부(31)와 후방측 에지부(32)를 구비함으로써 평면에서 볼 때 하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당해 평면에서 볼 때 하트 형상으로 변좌 시트 S의 전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음과 함께, 하트 형상에 의한 의장적 효과를 발휘한다.
이하, 변좌 시트 S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조자는 변좌 시트 S를 접어, 1매 또는 복수매를 포장 주머니에 포장하여 패키지화한다.
이어서, 패키지화된 변좌 시트 S를 구입한 사용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식 변소에 있어서, 포장 주머니로부터 변좌 시트 S를 취출하여 확장한 후, 변좌 T를 덮도록 하여 적재한다. 이때 사용자는, 변좌 시트 S의 전방측(평면에서 볼 때 하트 형상의 예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측)을 변좌 T의 앞측으로 하고, 또한 변좌 시트 S의 후방측[평면에서 볼 때 하트 형상의 2개의 산형부(321, 322)가 형성되어 있는 측]을 변좌 T의 안측으로 하여, 변좌 시트 S의 개구부(2)의 내측 에지부(21)가 변좌 T의 개구부 T1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평면 방향의 위치를 조정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변좌 히트 S가 평면에서 볼 때 하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변좌 시트 S의 전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절단 분리부(3)의 절단 분리용 연결부(323)는 시트 본체(1)에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고, 절단 분리부(3)는 아직 하방으로 현수되어 있지 않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절단 분리부(3)를 시트 본체(1)로부터 수하시키기 위한 수하용 연결부(311)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변좌 시트 S가 적재될 때, 변좌 시트 S로부터 절단 분리부(3)가 수하되지 않기 때문에, 절단 분리부(3)가 변기 내면 I의 소정 개소에 부착되도록 겨냥하지 않더라도, 절단 분리부(3)를 사전에 절단 분리하는 일 없이, 변좌 시트 S를 변좌 T에 단순히 적재하기만 해도 되어, 변좌 시트 S의 적재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절단 분리부(3)가 변기 내면 I의 예기치 못한 개소에 부착되는 일도 없기 때문에, 적재 후에 절단 분리부(3)에 절단 분리부에 끌어당겨지도록 하여 시트 본체(1)가 정규의 위치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착의를 내리고, 변좌 시트 S가 적재된 변좌 T에 앉는다. 이때, 변좌 T에 둔부 D를 하강시키면, 도 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 본체(1)의 우측 중앙부(11)가 사용자의 좌측 다리 허벅지 TH와 변좌 T의 사이에서 협지 가압되어 변좌 T 상에서 고정됨과 함께, 시트 본체(1)의 좌측 중앙부(12)가 우측 다리의 허벅지 TH와 변좌 T의 사이에서 협지 가압되어 변좌 T 상에서 고정된다.
그리고, 둔부 D를 더욱 하강시키면, 도 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 본체(1)의 후방측 에지부(32)가, 사용자의 둔부 D에 상방으로부터 덮인 상태가 된다.
그리고, 둔부 D를 더욱 하강시키면, 도 5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 본체(1)의 우측 중앙부(11) 및 좌측 중앙부(12)가 사용자의 좌측 다리 허벅지 TH와 변좌 T의 사이에서 협지 가압되어 변좌 T 상에서 고정되어 있는 중에, 시트 본체(1)의 후방부(13)가 사용자의 둔부 D와 변좌 T의 사이에서 협지 가압되면서 후방[도 5의 (c)의 화살표의 방향]으로의 압력을 받는다. 이로 인해 절단 분리용 연결부(323)가 개구부(2)의 내측 에지부(21)로부터 인열되듯이 절단되기 때문에, 시트 본체(1)로부터 절단 분리부(3)를 자동적으로 절단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금씩 위치를 비켜가면서 절입선의 양측을 손으로 잡아당기는 동작을 반복하지 않더라도, 시트 본체(1)로부터 절단 분리부(3)를 자동적으로 절단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변좌 시트 S의 절단 분리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편리하다.
또한, 사용자가 절입선을 따라 시트 본체(1)로부터 절단 분리부(3)를 손으로 절단 분리하는 일도 없기 때문에, 수하용 연결부(311)까지도 잘못해서 절단 분리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부터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단 분리용 연결부(323)가 시트 본체(1)로부터 절단 분리된 것에 의해, 절단 분리부(3)가 수하용 연결부(311)를 기단부로 하여 하방으로 수하되고, 전방측의 변기 내면 I에 부착된다. 이때, 절단 분리부(3)는 개구부(2)의 우측 사선 전방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소변이 부착된 절단 분리부(3)가 사용자의 시야에 들어오는 것이나, 사용자가 남성일 경우에 절단 분리부(3)와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는 등 사용자의 불쾌함을 경감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절단 분리부(3)가 수하되어 형성된 개구부(2)를 통하여 배변을 행한다. 그리고, 화장지로 엉덩이를 닦고, 사용한 화장지를 변기 내에 떨어뜨린다.
마지막으로 사용자는, 기립하여 둔부 D를 변좌 시트 S로부터 이격하고, 세정수를 흐르게 한다. 그러면, 변기 내면 I에 부착된 절단 분리부(3)가 세정수에 의해 인입되고, 인입된 절단 분리부(3)가 수하용 연결부(311)를 통하여 시트 본체(1)를 인입하기 때문에, 변좌 시트 S를 변좌 T로부터 자동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쾌적하며 또한 위생적으로 변좌 T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4부터 도 8까지에 있어서, 시트 본체(1)가 평평한 판상으로 표기되어 있지만, 이것은 설명의 편의상의 것으로서, 실제로는, 시트 본체(1)의 주연부가 변좌 T의 외측의 에지부를 따라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절단 분리부(3)는 시트 본체(1)로부터 잘려내어짐으로써 개구부(2)와 동일 크기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동일 크기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절단 분리부(3)는 평면에서 볼 때 하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평면에서 볼 때 하트 형상으로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수하용 연결부(311)는, 우측 사선 전방측의 전방측 에지부(31)에 형성된다고 했지만, 좌측 사선 전방측의 전방측 에지부(31)에 마련되어도 되고, 수하용 연결부(311)가 마련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수하용 연결부(311)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다고 했지만, 반드시 절취선이 형성되지는 않아도 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도시한 실시 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본 발명과 동일한 범위 내에 있어서, 또는 균등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6)
- 시트 본체와, 시트 본체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와, 당해 개구부의 내측 에지부로부터 절단 분리되는 절단 분리부를 구비한 변좌 시트이며,
상기 절단 분리부는, 상기 개구부의 우측 사선 후방측 및/또는 좌측 사선 후방측의 상기 내측 에지부에 있어서 상기 시트 본체에 연결된 절단 분리용 연결부를 구비함과 함께, 후방측 에지부가 우측 사선 후방으로 돌출된 우측 산형부와 좌측 사선 후방으로 돌출된 좌측 산형부가 배열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시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분리부는, 평면에서 볼 때 하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변좌 시트.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분리용 연결부는, 상기 절단 분리부의 무게 중심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절단 분리부의 최전단부로부터 90도에서 180도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 변좌 시트.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분리용 연결부는, 1㎜ ~ 5㎜의 범위 내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는, 변좌 시트.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분리부는, 상기 개구부의 내측 에지부에 수하용 연결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절단 분리용 연결부가 상기 개구부의 내측 에지부로부터 절단 분리됨으로써, 상기 수하용 연결부로부터 현수되는, 변좌 시트.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하용 연결부는, 상기 개구부의 우측 사선 전방측 또는 좌측 사선 전방측의 상기 내측 에지부에 마련되어 있는, 변좌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4193519A JP5665248B1 (ja) | 2014-09-24 | 2014-09-24 | 便座シート |
JPJP-P-2014-193519 | 2014-09-24 | ||
PCT/JP2014/082422 WO2016046999A1 (ja) | 2014-09-24 | 2014-12-08 | 便座シー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8409A true KR20170028409A (ko) | 2017-03-13 |
Family
ID=52569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03215A KR20170028409A (ko) | 2014-09-24 | 2014-12-08 | 변좌 시트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10064526B2 (ko) |
EP (1) | EP3199080A4 (ko) |
JP (1) | JP5665248B1 (ko) |
KR (1) | KR20170028409A (ko) |
CN (1) | CN106659338A (ko) |
HK (1) | HK1232092A1 (ko) |
WO (1) | WO201604699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00163501A1 (en) * | 2018-11-26 | 2020-05-28 | Barbara Kelch | cushy_tushy |
US20240148201A1 (en) * | 2022-11-03 | 2024-05-09 | Kenneth Williams | Toilet Seat Covering Device And Method Of Use |
Citation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48225Y2 (ko) * | 1986-01-30 | 1988-12-12 | ||
JPS644912U (ko) * | 1987-06-30 | 1989-01-12 | ||
US4875242A (en) * | 1987-10-23 | 1989-10-24 | Alvin S. Haining | Compact toilet seat cover |
JPH01179598U (ko) * | 1988-06-10 | 1989-12-22 | ||
JPH0419299U (ko) * | 1990-06-11 | 1992-02-18 | ||
EP0572699A1 (en) * | 1992-06-04 | 1993-12-08 | Shigeichiro Aihara | A long continuous sheet and a housing case for it |
JPH10276939A (ja) * | 1997-04-01 | 1998-10-20 | Teruo Takano | 便座シート |
JP2000139774A (ja) | 1998-11-06 | 2000-05-23 | Taikoo Kk | 便座用シートカバー |
JP2000175842A (ja) * | 1998-12-14 | 2000-06-27 | Masaya Takinami | 摘み部分が摘み易く一行程で開く便座シ―ト |
KR20000018786U (ko) * | 1999-03-27 | 2000-10-25 | 이민환 | 좌변기용 위생시트 |
CN2493148Y (zh) * | 2001-05-25 | 2002-05-29 | 陈健娜 | 坐便器用一次性卫生垫 |
JP2009090061A (ja) * | 2007-10-03 | 2009-04-30 | Masaichi Nakazato | 便座シート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319032A (fr) | 1902-02-21 | 1902-11-03 | Bonal | Serviette antiseptique destinée aux sièges de commodité |
US1744300A (en) * | 1928-05-29 | 1930-01-21 | Dewaide Hal | Sanitary toilet-seat cover |
US1776333A (en) * | 1930-01-04 | 1930-09-23 | Oates Ralph | Sanitary toilet-seat cover |
DE2953396A1 (de) * | 1979-07-30 | 1981-08-27 | Rainer M. 7827 Löffingen Lutz | Papierauflage als auflageschutz bei toilettensitzbrillen |
CA1174002A (en) * | 1982-07-29 | 1984-09-11 | Mary Maclean | Sanitary toilet seat cover |
JPH0515837Y2 (ko) * | 1987-09-01 | 1993-04-26 | ||
FR2655257A1 (fr) * | 1989-12-05 | 1991-06-07 | Fourlegnie Guillaume | Couverture de protection destinee a recouvrir un siege de water-closet a des fins hygieniques et prophylactiques. |
US20020184701A1 (en) * | 2001-06-12 | 2002-12-12 | Johnson Tracy L. | Toilet seat cover |
CN2766752Y (zh) * | 2004-09-29 | 2006-03-29 | 卢钢 | 一次性座厕卫生纸垫 |
US7254845B1 (en) | 2006-06-30 | 2007-08-14 | Worldwide Integrated Resources, Inc. | Toilet seat cover made of a disposable paper sheet containing finger holes to facilitate easy tearing off of a center portion of the sheet |
US9084517B2 (en) * | 2013-02-05 | 2015-07-21 | Yvonneda Jenkins | Toilet seat cover and method of using same |
JP5654172B1 (ja) * | 2014-08-27 | 2015-01-14 | 昭良 野中 | 便座シート |
-
2014
- 2014-09-24 JP JP2014193519A patent/JP5665248B1/ja active Active
- 2014-12-08 WO PCT/JP2014/082422 patent/WO2016046999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12-08 KR KR1020177003215A patent/KR2017002840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4-12-08 EP EP14902774.0A patent/EP3199080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4-12-08 CN CN201480081062.8A patent/CN106659338A/zh active Pending
- 2014-12-08 US US15/503,248 patent/US10064526B2/en active Active
-
2017
- 2017-06-14 HK HK17105870.5A patent/HK1232092A1/zh unknown
Patent Citation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48225Y2 (ko) * | 1986-01-30 | 1988-12-12 | ||
JPS644912U (ko) * | 1987-06-30 | 1989-01-12 | ||
US4875242A (en) * | 1987-10-23 | 1989-10-24 | Alvin S. Haining | Compact toilet seat cover |
JPH01179598U (ko) * | 1988-06-10 | 1989-12-22 | ||
JPH0419299U (ko) * | 1990-06-11 | 1992-02-18 | ||
EP0572699A1 (en) * | 1992-06-04 | 1993-12-08 | Shigeichiro Aihara | A long continuous sheet and a housing case for it |
JPH10276939A (ja) * | 1997-04-01 | 1998-10-20 | Teruo Takano | 便座シート |
JP2000139774A (ja) | 1998-11-06 | 2000-05-23 | Taikoo Kk | 便座用シートカバー |
JP2000175842A (ja) * | 1998-12-14 | 2000-06-27 | Masaya Takinami | 摘み部分が摘み易く一行程で開く便座シ―ト |
KR20000018786U (ko) * | 1999-03-27 | 2000-10-25 | 이민환 | 좌변기용 위생시트 |
CN2493148Y (zh) * | 2001-05-25 | 2002-05-29 | 陈健娜 | 坐便器用一次性卫生垫 |
JP2009090061A (ja) * | 2007-10-03 | 2009-04-30 | Masaichi Nakazato | 便座シー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70231441A1 (en) | 2017-08-17 |
JP2016063901A (ja) | 2016-04-28 |
US10064526B2 (en) | 2018-09-04 |
CN106659338A (zh) | 2017-05-10 |
EP3199080A1 (en) | 2017-08-02 |
EP3199080A4 (en) | 2018-03-21 |
WO2016046999A1 (ja) | 2016-03-31 |
HK1232092A1 (zh) | 2018-01-05 |
JP5665248B1 (ja) | 2015-02-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50287B2 (en) | Body shaper having crotch opening | |
US20170239075A1 (en) | Female Urinal Apparatus | |
US2690568A (en) | Urinating device | |
KR20170028409A (ko) | 변좌 시트 | |
JP2022182937A5 (ko) | ||
US3225918A (en) | Baby pants for covering diapers | |
US1744300A (en) | Sanitary toilet-seat cover | |
USD923940S1 (en) | Shoulder strap for bag | |
CN102341072A (zh) | 包括加强元件和处理装置的吸收性物品 | |
US20160324379A1 (en) | Toilet seat covering device | |
JP5654172B1 (ja) | 便座シート | |
CN102105128B (zh) | 手持式呕吐袋固定器 | |
WO2013038132A1 (en) | Urostomy pouch with integral closure tap system | |
US11648146B2 (en) | Low profile bedpan | |
KR200485849Y1 (ko) | 분리형 남성속옷 | |
KR101949656B1 (ko) | 좌변기용 위생 시트 | |
US20150052670A1 (en) | Structure of Automatically Tearing a Hole out of a Slip-in Type Sanitary Cover for Toilet Seats | |
USD936283S1 (en) | Disposable hair washing aid for medical purposes | |
JP6679129B2 (ja) | 便座シート | |
JP5754041B1 (ja) | エプロン | |
CN205434115U (zh) | 一种痔疮椅 | |
KR200451621Y1 (ko) | 여성용 소변 보조기 | |
KR101271448B1 (ko) | 휴대용 변기시트커버 | |
JP2007283007A (ja) | 紙おむつ | |
JP2015227524A (ja) | エプロン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