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6500A -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사출 성형 물품 및 사출 성형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사출 성형 물품 및 사출 성형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6500A
KR20170026500A KR1020177002000A KR20177002000A KR20170026500A KR 20170026500 A KR20170026500 A KR 20170026500A KR 1020177002000 A KR1020177002000 A KR 1020177002000A KR 20177002000 A KR20177002000 A KR 20177002000A KR 20170026500 A KR20170026500 A KR 20170026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thylene
propylene
componen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2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앤 투베르퀴아
라우라 위버
샌토시 바위스카
그렉 리
Original Assignee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70026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65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08L53/025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modif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8Co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83EVA, i.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4Copolymers of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6EPM, i.e. ethylene-propylene copolymers; EPDM, i.e. ethylene-propylene-diene copolymers; EPT, i.e. ethylene-propylene ter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31Refra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41Crystal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63D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7Hard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2Brushes
    • B29L2031/425Toothbru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8Wearing apparel
    • B29L2031/50Footwear, e.g. shoes or par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하기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a) 0.860 g/cc 내지 0.870 g/cc의 밀도를 갖는 프로필렌/에틸렌 인터폴리머; (b) 하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프로필렌계 폴리머: 호모폴리머 폴리프로필렌, 랜덤 프로필렌/α-올레핀 인터폴리머 및 이의 임의의 조합 (여기서 상기 프로필렌계 폴리머는 0.885 g/cc 이상의 밀도를 가짐); (c) 가소제; 및 (d) 하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3 폴리머: (i) -40°C 이상의 Tg (고무 블록)을 갖는 스티렌계 에틸렌/부틸렌 트리블록 코폴리머, (ii) 상기 조성물의 중량을 기반으로, 15 중량% 미만인 에틸렌/α-올레핀/디엔 인터폴리머,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iii)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및 (iv) 이의 임의의 조합.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출 성형 물품 및 사출 성형 물품의 제조 방법이 추가로 제공된다.

Description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사출 성형 물품 및 사출 성형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A COMPOSITION, INJECTION MOLDED ARTICLE MADE THEREFROM AND PROCESS TO MAKE INJECTION MOLDED ARTICLE}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사출 성형 물품, 및 사출 성형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투명 가요성 PVC는 다양한 제품에서 사용되며, 최종 소비자 및 제조사는 보다 가벼운 중량의, 프탈레이트가 없는 폴리머의 선택을 선호한다. 그러한 제품 중 하나는 신발류이며, 특히 부츠이다.
그러한 제품은 전형적으로 사출 성형되어 모듈러스 제어 및 온도 내성, 낮은 점착성, 및 적어도 85 °C DSC의 재-결정화 온도 (Tc)를 수득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유동 특성, 투명성, 또는 Tc에 부정적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65 미만의 쇼어 A 경도를 갖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사출 성형 물품, 및 사출 성형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하기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한다: (a) 0.860 내지 0.870 g/cc의 밀도를 갖는 프로필렌/에틸렌 인터폴리머; (b) 하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프로필렌계 폴리머: 호모폴리머 폴리프로필렌, 랜덤 프로필렌/α-올레핀 및 이의 조합 (여기서, 상기 프로필렌계 폴리머는 0.885 g/cc 이상의 밀도를 가짐); (c) 가소제; 및 (d) 하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3 폴리머: (i) -40°C 이상의 Tg (고무 블록)을 갖는 스티렌계 에틸렌/부틸렌 트리블록 코폴리머, (ii) 상기 조성물의 중량을 기반으로, 15 중량% 미만인 에틸렌/α-올레핀/디엔 인터폴리머, (iii)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및 (iv) 이의 임의의 조합.
도 1은 DSC 곡선 및 2개의 KRATON 폴리머의 Tg을 예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사출 성형 물품, 및 사출 성형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다.
용어 "폴리머"는,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동일한 또는 상이한 유형이든 아니든, 모노머의 중합에 의해 제조된 폴리머성 화합물을 언급한다.  일반 용어 폴리머 따라서 (미량의 불순물이 폴리머 구조속에 편입될 수 있는 있음을 포함해서, 단 하나의 유형의 모노머로부터 제조된 폴리머를 언급하는데 이용된) 용어 호모폴리머, 및 이하에 정의된 바와 같이 용어 인터폴리머를 포함한다.  미량의 불순물, 예를 들어, 촉매 잔류물은 폴리머 속 및/또는 내에 편입될 수 있다.  
용어 "인터폴리머"는,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유형의 모노머의 중합에 의해 제조된 폴리머를 언급한다. 일반 용어 인터폴리머는 (2개의 상이한 유형의 모노머로부터 제조된 폴리머를 언급하는데 이용된) 코폴리머, 및 2 초과의 상이한 유형의 모노머로부터 제조된 폴리머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에틸렌계 폴리머"는 폴리머의 중량을 기준으로, 대부분의 양의 중합된 에틸렌 모노머 (폴리머의 중량 기준)를 포함하고, 임의로, 적어도 하나의 코모노머를 함유할 수 있는 폴리머를 가리킨다. 
본원에 사용된 것으로서, 용어 "에틸렌/α-올레핀 인터폴리머"는 대부분의 양의 중합된 에틸렌 모노머(인터폴리머의 중량을 기준으로 함), 및 적어도 하나의 α-올레핀을 포함하는 인터폴리머를 말한다.   
본원에 사용된 것으로서, 용어 "에틸렌/α-올레핀 코폴리머"는, 대부분의 양의 중합된 에틸렌 모노머(코폴리머의 중량을 기준으로 함), 및 단지 2개의 모노머 유형으로서 α-올레핀을 포함하는 코폴리머를 말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프로필렌-기반 폴리머"는 폴리머의 중량을 기준으로, 대부분의 양의 중합된 프로필렌 모노머 (폴리머의 중량 기준)를 포함하고, 임의로, 적어도 하나의 코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는 폴리머를 가리킨다. 
본원에 사용된 것으로서, 용어 "프로필렌/α-올레핀 인터폴리머"는 대부분의 양의 중합된 프로필렌 모노머(인터폴리머의 중량을 기준으로 함), 및 적어도 하나의 α-올레핀을 포함하고, 상기 α-올레핀은 에틸렌을 포함하는, 인터폴리머를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것으로서, 용어 "프로필렌/α-올레핀 코폴리머"는, 대부분의 양의 중합된 프로필렌 모노머(코폴리머의 중량을 기준으로 함), 및 단지 2개의 모노머 유형으로서 α-올레핀을 포함하고, 상기 α-올레핀은 에틸렌을 포함하는, 코폴리머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구성하는 물질 뿐만 아니라 상기 조성물의 물질로부터 형성된 반응 생성물 및 분해 생성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용어들 "포함하는(comprising)", "포함하는(including)", "갖는", 및 이의 파생어는, 임의의 부가적인 성분, 단계 또는 절차가, 동등체가 명시적으로 개시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이의 존재를 배제하고자 의도되지 않는다. 어떠한 의심도 피하기 위해, 용어 "포함하는"을 사용하여 청구된 모든 조성물들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폴리머성이든 그렇지 않든 간에, 임의의 추가의 첨가제, 보조제, 또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반해서, 용어,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은 작동성에 필수적이지 않은 것들을 제외하고, 임의의 다른 성분, 단계, 또는 절차를 어떠한 계속되는 설명의 범위로부터 배제한다.  용어 "이루어지는"은 명시적으로 기술되거나 열거되지 않은 임의의 성분, 단계, 또는 절차를 배제한다. 
용어 “프로필렌/에틸렌 코폴리머”는,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중합 형태로, (i) 대부분의 중량 퍼센트의 프로필렌 모노머, 및 (ii) 에틸렌 모노머. “랜덤 프로필렌/에틸렌 코폴리머”는 폴리머 쇄 내 랜덤 또는 통계 분포에 존재하는 에틸렌 모노머의 개별 반복 단위를 갖는 폴리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하기를 포함한다: (a) 0.860 내지 0.870 g/cc의 밀도를 갖는 프로필렌/에틸렌 인터폴리머; (b) 하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프로필렌계 폴리머: 호모폴리머 폴리프로필렌, 랜덤 프로필렌/α-올레핀 및 이의 조합 (여기서, 상기 프로필렌계 폴리머는 0.885 g/cc 이상의 밀도를 가짐); (c) 가소제; 및 (d) 하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3 폴리머: (i) -40°C 이상의 Tg (고무 블록)을 갖는 스티렌계 에틸렌/부틸렌 트리블록 코폴리머, (ii) 상기 조성물의 중량을 기반으로, 15 중량% 미만인 에틸렌/α-올레핀/디엔 인터폴리머,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또는 이의 조합 (iii)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및 (iv) 이의 임의의 조합.
특정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하기를 포함한다: 모두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반으로, 25 내지 80 중량%의 성분 (a); 2 내지 25 중량%의 성분 (b), 5 내지 40 중량%의 성분 (c), 및 1 내지 20 중량%의 성분 (d). 25 내지 80 중량%의 프로필렌/α-올레핀 인터폴리머(성분(a))의 양의 모든 개개의 값 및 소범위가 본원에 포함되며 본원에 개재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성분(a)의 양은 25, 35, 45, 55, 65, 또는 75 중량%의 하한치 내지 30, 40, 50, 60, 70 또는 80 중량%의 상한치의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성분(a)의 양은 25 내지 80 중량%, 또는 대안적으로, 25 내지 45 중량%, 또는 대안적으로, 55 내지 80 중량%, 또는 대안적으로, 35 내지 60 중량%, 또는 대안적으로, 30 내지 70 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2 내지 25 중량%의 제2 폴리머 (성분(b))의 양의 모든 개개의 값 및 소범위가 본원에 포함되며 본원에 개재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성분(b)의 양은 2, 12, 17, 22 또는 24 중량%의 하한치 내지 4, 14, 18, 23 또는 25 중량%의 상한치의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성분(b)의 양은 2 내지 25 중량%, 또는 대안적으로, 2 내지 15 중량%, 또는 대안적으로, 15 내지 25 중량%, 또는 대안적으로, 8 내지 20 중량%, 또는 대안적으로, 12 내지 22 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제2 폴리머
5 내지 40 중량%의 가소제 (성분(c))의 양의 모든 개개의 값 및 소범위가 본원에 포함되며 본원에 개재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성분(c)의 양은 5, 15, 25 또는 35 중량%의 하한치 내지 7, 17, 27, 37 또는 40 중량%의 상한치의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성분(c)의 양은 5 내지 40 중량%, 또는 대안적으로, 5 내지 25 중량%, 또는 대안적으로, 25 내지 40 중량%, 또는 대안적으로, 15 내지 30 중량%, 또는 대안적으로, 17 내지 35 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1 내지 20 중량%의 제3 폴리머 성분(d)의 양의 모든 개개의 값 및 소범위가 본원에 포함되며 본원에 개재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성분(d)의 양은 1, 4, 7, 10, 13, 16 또는 19 중량%의 하한치 내지 2, 5, 8, 11, 14, 17 또는 20 중량%의 상한치의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성분(d)의 양은 1 내지 20 중량%, 또는 대안적으로, 12 내지 20 중량%, 또는 대안적으로, 1 내지 13 중량%, 또는 대안적으로, 6 내지 18 중량%, 또는 대안적으로, 9 내지 15 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본원에 개시된 임의의 구현에에 따른 조성물을 제공하며, 단, 상기 조성물은 60 이하의 쇼어 A 경도를 나타낸다. 60 중량% 이하의 모든 개개의 수치 및 하위범위가 본원에 포함되고 본원에 개시된다. 예를 들면, 조성물의 쇼어 A 경도는 60 이하, 또는 대안으로서, 55 이하, 또는 대안으로서, 50 이하, 또는 대안으로서, 45 이하, 또는 대안으로서, 35 이하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본원에 개시된 임의의 구현에에 따른 조성물을 제공하며, 단, 상기 조성물은 3.2 mm 두께의 사출 성형 플라크 상에서 측정 시, 30 퍼센트 미만의 총 헤이즈를 나타낸다. 30 중량% 미만의 모든 개개의 값 및 소범위가 본원에 포함되고 개재되어 있다. 예를 들면, 조성물의 총 헤이즈는 30 중량% 미만, 또는 대안으로서, 29 중량% 미만, 또는 대안으로서, 28 중량% 미만, 또는 대안으로서, 27 중량% 미만, 또는 대안으로서, 26 중량% 미만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본원에 개시된 임의의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을 제공하고, 단, 상기 조성물은 75 내지 95 °C의 결정화도 온도 (Tc)를 나타낸다. 75 내지 95 °C의 모든 개개의 값 및 소범위가 본원에 포함되며 본원에 개재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Tc는 75, 80, 85, 또는 90 °C의 하한치 내지 77, 82, 87, 92, 또는 95 °C의 상한치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의 Tc는 75 내지 95 °C, 대안적으로, 75 내지 90 °C, 또는 대안적으로 80 내지 95 °C, 또는 대안적으로 80 내지 90 °C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본원에 개시된 임의의 구현에에 따른 조성물을 제공하며, 단, 상기 조성물은 20 내지 35 J/g의 ΔHm을 나타낸다. 20 내지 35 J/g의 모든 개별적인 값 및 하위범위는 본원에서 포함되고 본원에서 개시되며; 예를 들어, ΔHm은 하한 20, 22, 24, 26, 28, 30, 32, 또는 34 J/g 내지 상한 21, 23, 25, 27, 29, 31, 33 또는 35 J/g일 수 있다. 예를 들면, ΔHm은 20 내지 35 J/g, 또는 대안적으로, 20 내지 29 J/g, 또는 대안적으로, 29 내지 35 J/g, 또는 대안적으로, 22 내지 30 J/g, 또는 대안적으로, 23 내지 33 J/g의 범위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본원에 개시된 임의의 구현에에 따른 조성물을 제공하며, 단, 상기 조성물은 20 g/10분 초과의 용융 유동 속도 (“MFR”)를 나타낸다 (190 °C, 2.16kg에서 측정시). 20 g/10분 초과의 모든 개개의 값 및 소범위가 본원에 포함되고 개재되어 있다. 예를 들어, MFR은 40 g/10분 초과, 대안적으로, 60 g/10분 초과, 대안적으로, 80 g/10분 초과, 대안적으로, 100 g/10분 초과, 또는 대안적으로 120 g/10분 초과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원은 본원에 개시된 임의의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을 제공하며, 단, 성분 (a), (b), 및 (c)의 총 함량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반으로, 90 중량% 이상이다. 90 중량% 이상의 모든 개개의 수치 및 하위범위가 본원에 포함되고 본원에 개시된다. 예를 들어, 성분 (a), (b), 및 (c)의 총 함량은, 90, 92, 94 또는 95 중량% 초과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본원에 개시된 임의의 구현에에 따른 조성물을 제공하며, 단, 상기 조성물은 추가로 흄드 실리카 및/또는 침전 실리카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본원에 개시된 임의의 구현에에 따른 조성물을 제공하며, 단, 상기 조성물은 추가로 성형 방출 제제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상기 성형 방출 제제는 올레아미드를 포함한다.
프로필렌/α-올레핀 인터폴리머 (성분 (a))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프로필렌/α-올레핀 인터폴리머”, “α-올레핀”은 에틸렌, 뿐만 아니라 보다 높은 탄소수의 α-올레핀, 예컨대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을 포함한다.
본원에 따른 사출 성형 물품에 적합한 조성물은 프로필렌/α-올레핀 인터폴리머 조성물 (PBE)의 50 내지 80 중량 퍼센트, 예를 들어 55 내지 65 중량 퍼센트를 포함한다. 프로필렌/α-올레핀 인터폴리머 조성물은 프로필렌/α-올레핀 인터폴리머 폴리머를 포함하고, 임의로 하나 이상의 폴리머, 예를 들어, 랜덤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 (RCP)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특정 구현예에서, 프로필렌/알파-올레핀 코폴리머는 실질적인 동일배열 프로필렌 서열(isotactic propylene sequence)를 특징으로 한다. "실질적으로 동일배열 프로필렌 서열"는, 이 서열가 약 0.85 초과; 대안적으로 약 0.90 초과; 또 다르게 대안적으로 약 0.92 초과; 및 또 다르게 대안적으로 약 0.93 초과의, 13C NMR에 의해 측정된 동일배열 트라이어드(triad) (mm)를 가짐을 의미한다.  동일배열 트리애드는 당해 분야에 잘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5,504,172호 및 국제 공보 제WO 00/01745호에 기술되어 있고, 이는 13C NMR 스펙트럼에 의해 측정된, 코폴리머 분자쇄내 트리애드 단위의 측면에서 동일배열 서열를 말한다. 
프로필렌/알파-올레핀 코폴리머는, ASTM D-1238(230℃/2.16Kg에서)에 따라 측정된, 0.1 내지 25 g/10분의 범위의 용융 유동 속도를 가질 수 있다.  모든 개개 값 및 0.1 내지 25 g/10분의 소범위가 본원에 포함되고 본원에 개재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용융 유동 속도는 0.1 g/10분, 0.2 g/10분, 0.5 g/10분, 2 g/10분, 4 g/10분, 5 g/10분, 10 g/10분, or 15 g/10분 내지 25 g/10분, 20 g/10분, 18 g/10분, 15 g/10분, 10 g/10분, 8 g/10분, 또는 5 g/10분의 상한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필렌/α-올레핀 코폴리머는 0.1 내지 20 g/10분; 또는 0.1 내지 18 g/10분; 또는 0.1 내지 15 g/10분; 또는 0.1 내지 12 g/10분; 또는 0.1 내지 10 g/10분; 또는 0.1 내지 5 g/10분; 또는 0.1 내지 2 g/10분의 용융 유동 속도를 가질 수 있다.    
프로필렌/알파-올레핀 코폴리머는 적어도 1 중량 퍼센트 (적어도 2 J/g의 융해열) 내지 20 중량 퍼센트 (33 J/g 미만의 융해열) 범위의 결정화도를 갖는다.  1 중량 퍼센트 (적어도 2 J/g의 융해열) 내지 20 중량 퍼센트 (33 J/g 미만의 융해열)의 모든 개별적인 값 및 부분범위가 본원에 포함되며 본원에 개시된다; 예를 들면, 결정화도는 1 중량 퍼센트 (적어도 2 J/g의 융해열), 2.5 퍼센트 (적어도 4 J/g의 융해열), 또는 3 퍼센트 (적어도 5 J/g의 융해열)의 하한에서부터 20 중량 퍼센트 (33 J/g 미만의 융해열), 16 중량 퍼센트 (26 J/g 미만의 융해열), 12 중량 퍼센트 (20 J/g 미만의 융해열) 또는 7 중량 퍼센트 (11 J/g 미만의 융해열)의 상한까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필렌/알파-올레핀 코폴리머는 적어도 1 중량 퍼센트 (적어도 2 J/g의 융해열) 내지 20 중량 퍼센트 (33 J/g 미만의 융해열) 범위의 결정화도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프로필렌/알파-올레핀 코폴리머는 적어도 1 중량 퍼센트 (적어도 2 J/g의 융해열) 내지 15 중량 퍼센트 (24.8 J/g 미만의 융해열) 범위의 결정화도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프로필렌/알파-올레핀 코폴리머는 적어도 1 중량 퍼센트 (적어도 2 J/g의 융해열) 내지 7 중량 퍼센트 (11 J/g 미만의 융해열) 범위의 결정화도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프로필렌/알파-올레핀 코폴리머는 적어도 1 중량 퍼센트 (적어도 2 J/g의 융해열) 내지 5 중량 퍼센트 (8.3 J/g 미만의 융해열) 범위의 결정화도를 가질 수 있다.  결정화도는 시차 주사 열량측정(DSC) 방법으로 측정한다. 
프로필렌/α-올레핀 코폴리머는 80° C 미만의, 예를 들어, 25 내지 75° C의, 대안적으로, 40 내지 70° C의 DSC 용융점 (제2 가열)을 갖는다.
프로필렌/알파-올레핀 코폴리머는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및 하나 이상의 알파-올레핀 코모노머로부터 유도된 폴리머 단위를 포함한다.  프로필렌/알파-올레핀 코폴리머를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예시적인 코모노머는 C2, 및 C4 내지 C10 알파-올레핀류; 예를 들면, C2, C4, C6 및 C8 알파-올레핀류이다.
일 구현예에서, 프로필렌/알파-올레핀 코폴리머는 하나 이상의 알파-올레핀 코모노머 유래의 9 내지 40 중량 퍼센트 단위를 포함한다.  모든 개개의 값 및 9 내지 40 중량 퍼센트의 소범위가 본원에 포함되고 본원에 개재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알파-올레핀 코모노머로부터 유도된 단위의 중량 퍼센트는 9, 10, 11, 12 또는 13 중량 퍼센트의 하한치 내지 40, 35, 30, 27, 20, 또는 15 중량 퍼센트의 상한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필렌/알파-올레핀 코폴리머는 하나 이상의 알파-올레핀 코모노머로부터 유도된 9 내지 35 중량 퍼센트 단위를 포함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프로필렌/알파-올레핀 코폴리머는 하나 이상의 알파-올레핀 코모노머로부터 유도된 10 내지 25 중량 퍼센트 단위를 포함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알파-올레핀 코모노머로부터 유도된 프로필렌/알파-올레핀 코폴리머는 10 내지 20 중량 퍼센트 단위를 포함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알파-올레핀 코모노머로부터 유도된 프로필렌/알파-올레핀 코폴리머는 10 내지 15 중량 퍼센트 단위를 포함한다.     
프로필렌/알파-올레핀 코폴리머는, 3.5 이하; 대안으로 3.0 이하; 또는 다른 대안으로 1.8 내지 3.0의 수 평균 분자량으로 나눈 중량 평균 분자량(Mw/Mn)으로 정의된, 분자량 분포(MWD)를 갖는다.  
이러한 프로필렌/알파-올레핀 코폴리머는 또한 미국 특허 제6,960,635호 및 제6,525,157호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며, 이는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이러한 프로필렌/알파-올레핀 코폴리머는 업자(The Dow Chemical CoMPany)로부터 상표명 VERSIFYTM 또는 업자(ExxonMobil Chemical CoMPany)로부터 상표명 VISTAMAXXTM 하에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프로필렌/알파-올레핀 코폴리머는 (A)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60 내지 91 미만,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0 및 더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0 중량 퍼센트, 및 (B) 에틸렌 및/또는 C4-10 α-올레핀 중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유도된 단위 9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및 15 중량 퍼센트 단위를 포함하고; 평균 적어도 0.001, 바람직하게는 평균 적어도 0.005 및 더 바람직하게는 평균 적어도 0.01개의 장쇄 분지/1000개 총 탄소를 함유함을 추가의 특징으로 한다. 프로필렌/알파-올레핀 코폴리머에서의 장쇄 분지의 최대 수는 중요하지 않지만, 전형적으로 3개 장쇄 분지/1000개 총 탄소를 초과하지 않는다.  용어 장쇄 분지는, 프로필렌/알파-올레핀 코폴리머와 관련하여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쇄 분지보다 적어도 하나의 (1) 탄소가 더 많은 사슬 길이를 나타내고, 단쇄 분지는, 프로필렌/알파-올레핀 코폴리머와 관련하여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코모노머에서 탄소의 수보다 두 개 (2) 탄소가 더 적은 사슬 길이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프로필렌/1-옥텐 인터폴리머는 길이에 적어도 7개 (7) 탄소의 장쇄 분지를 지닌 골격을 갖지만, 이들 골격은 또한 길이에 단지 6개 (6) 탄소의 단쇄 분지를 갖는다.  그와 같은 프로필렌/알파-올레핀 코폴리머는 미국 임시특허 출원 제60988,999호 및 국제특허출원 제PCT/US08/082599호에서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로 기재되어 있고, 이의 각각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본원에 개시된 임의의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을 제공하고, 단, 성분 (a)는 하나 이상의 하기 특성을 갖는다: 밀도 0.86 내지 0.87 g/cc, 결정화도 2 내지 12 중량%, ΔHm 0 내지 22 J/g, 80 °C 미만의 Tm, 9 중량% 초과의 α-올레핀 코모노머 함량, 및 0.5 내지 30 g/10분의 용융 유동 속도.
0.86 내지 0.87 g/cc의 성분 (a) 밀도의 모든 개별적인 값 및 하위범위는 본원에서 포함되고 본원에서 개시되며; 예를 들어, 성분 (a) 밀도는 하한 0.86, 0.862, 0.864, 0.866, 또는 0.868 g/cc 내지 상한 0.861, 0.863, 0.865, 0.867, 0.869 또는 0.87 g/cc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성분 (a) 밀도는 0.86 내지 0.87 g/cc, 또는 대안적으로, 0.860 내지 0.868 g/cc, 또는 대안적으로, 0.863 내지 0.867, 또는 대안적으로, 0.865 내지 0.87 g/cc의 범위일 수 있다.
2 내지 12 중량%(중량%)의, 성분 (a) 결정화도의 모든 개개의 값 및 소범위가 본원에 포함되며 본원에 개재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결정화도는 2, 4, 6, 8 또는 10 중량%의 하한치 내지 3, 5, 7, 9, 11 또는 12 중량%의 상한치의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성분 (a)의 결정화도는 2 내지 12 중량%, 또는 대안적으로, 2 내지 7 중량%, 또는 대안적으로, 6 내지 12 중량%, 또는 대안적으로, 4 내지 10 중량%, 또는 대안적으로, 3 내지 11 중량%일 수 있다.
0 내지 22 그램 당 줄 (J/g)의, 융해열 (ΔHm)의 모든 개개의 값 및 소범위가 본원에 포함되며 본원에 개재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상기 ΔHm은 0, 4, 8, 12, 16, 또는 20 J/g의 하한치 내지 2, 6, 10, 14, 18 또는 22 J/g의 상한치의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ΔHm은 0 내지 22 J/g, 또는 대안적으로, 0 내지 11 J/g, 또는 대안적으로, 11 내지 22 J/g, 또는 대안적으로, 5 내지 17 J/g, 또는 대안적으로, 8 내지 19 J/g의 범위일 수 있다.
80 °C 미만의 DSC 용융점의 모든 개개의 값 및 소 범위가 본원에 포함되며 본원에 개재되어 있다. 예를 들면, Tm은 80 °C 미만, 또는 대안에서, 70 °C 미만, 또는 대안에서, 60 °C 미만, 또는 대안에서, 50 °C 미만, 또는 대안에서, 40 °C 미만, 또는 대안에서, 30 °C 미만일 수 있다.
0.5 내지 30 g/10분의 용융 유동 속도 (MFR)의 모든 개별적인 값 및 하위범위는 본원에서 포함되고 본원에서 개시되며; 예를 들어, MFR은 하한 0.5, 5, 10, 15, 20 또는 25 g/10분 내지 상한 1, 8, 13, 17, 23, 27 또는 30 g/10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성분 (a)는 0.5 내지 30 g/10분, 또는 대안적으로, 0.5 내지 15 g/10분, 또는 대안적으로, 15 내지 0 g/10분, 또는 대안적으로, 12 내지 22 g/10분, 또는 대안적으로, 15 내지 20 g/10분의 범위의 MFR을 가질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프로필렌/α-올레핀 코폴리머는, 3.5 이하; 대안으로 3.0 이하; 또는 다른 대안으로 1.8 내지 3.0의 수 평균 분자량으로 나눈 중량 평균 분자량(Mw/Mn)으로 정의된, 분자량 분포(MWD)를 갖는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프로필렌/α-올레핀 코폴리머는 (A)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60 내지 100 미만,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9 및 더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9 중량 퍼센트, 및 (B) 에틸렌 및/또는 C4-10 α-올레핀 중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유도된 단위 제로 초과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더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6 및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4 내지 및 15 중량 퍼센트를 포함하고; 평균 적어도 0.001, 바람직하게는 평균 적어도 0.005 및 더 바람직하게는 평균 적어도 0.01개의 장쇄 분지/1000개 총 탄소를 함유함을 추가의 특징으로 한다. 프로필렌/α-올레핀 코폴리머에서의 장쇄 분지의 최대 수는 중요하지 않으나, 전형적으로 3 장쇄 분지/1000 총 탄소를 초과하지 않는다. 프로필렌-α-올레핀 코폴리머와 관련하여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장쇄 분지는 프로필렌-α-올레핀 코폴리머와 관련하여 본원에서 사용되는 단쇄 분지, 및 단쇄 분지보다 많은 적어도 하나의 (1) 탄소의 사슬 길이와 관련되고, 코모노머에서의 탄소의 수보다 적은 2개의 (2) 탄소의 사슬 길이와 관련된다. 예를 들면, 프로필렌/1-옥텐 인터폴리머는 길이에 적어도 7개 (7) 탄소의 장쇄 분지를 지닌 골격을 갖지만, 이들 골격은 또한 길이에 단지 6개 (6) 탄소의 단쇄 분지를 갖는다. 그와 같은 프로필렌/α-올레핀 코폴리머는 미국 임시특허 출원 제60988,999호 및 국제특허출원 제PCT/US08/082599호에서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로 기재되어 있고, 이의 각각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프로필렌/α-올레핀 인터폴리머는, 일부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첨가제는 대전방지제, 색상 증진제, 염료, 윤활제, 충전제, 안료, 1차 항산화제, 2차 항산화제, 가공 보조제, UV 안정화제,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필렌/α-올레핀 인터폴리머 조성물은, 첨가제의 임의의 양을 함유할 수 있다. 프로필렌/α-올레핀 조성물은, 프로필렌/α-올레핀 인터폴리머 및 하나 이상의 첨가제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이러한 첨가제의 조합된 중량당 약 0 내지 약 20 퍼센트를 포괄(compromise)할 수 있다.
제2 폴리머 (성분 (b))
조성물은 하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2 폴리머를 포함한다: 호모폴리머 폴리프로필렌 (hPP), 랜덤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 (RCPP),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
특정 구현예에서, 성분 (b)는 하기 특성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낸다: 4 내지 10 MPa의 항복 인장 강도; 및 5 내지 15의 항복 연신율.
4 내지 10 MPa의 항복 인장 강도의 모든 개별적인 값 및 하위범위는 본원에서 포함되고 본원에서 개시되며; 예를 들어, 상기 인장 강도는 하한 4, 6 또는 8 MPa 내지 상한 5, 7, 9 또는 1 MPa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성분 (b)의 인장 강도는 4 내지 10 MPa, 또는 대안적으로, 4 내지 6 MPa, 또는 대안적으로, 6 내지 10 MPa, 또는 대안적으로, 5 내지 7 MPa의 범위일 수 있다.
5 내지 15%의 항복 연신율의 모든 개별적인 값 및 하위범위는 본원에서 포함되고 본원에서 개시되며; 예를 들어, 점도는 하한 5, 7, 9, 11, 또는 13 % 내지 상한 6, 8, 10, 13, 14 또는 15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항복 연신율은 5 내지 15 %, 또는 대안적으로, 5 내지 10 %, 또는 대안적으로, 10 내지 15 %, 또는 대안적으로, 7 내지 12 %, 또는 대안적으로, 6 내지 14 %의 범위일 수 있다.
900 내지 1500 MPa의 휨 모듈러스의 모든 개별적인 값 및 하위범위는 본원에서 포함되고 본원에서 개시되며; 예를 들어, 휨 모듈러스는 하한 900, 1100 또는 1300 MPa 내지 상한 1000, 1200, 1400 또는 1500 MPa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휨 모듈러스는 900 내지 1500 MPa, 또는 대안적으로, 900 내지 1200 MPa, 또는 대안적으로, 1200 내지 1500 MPa, 또는 대안적으로, 1100 내지 1400 MPa, 또는 대안적으로, 1000 내지 1300 MPa의 범위일 수 있다.
20 내지 65 J/m의 노치(notched) Izod 충격 강도의 모든 개별적인 값 및 하위범위는 본원에서 포함되고 본원에서 개시되며; 예를 들어, 점도는 하한 20, 30, 40 50 또는 60 J/m 내지 상한 25, 35, 45, 55 또는 65 J/m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노치(notched) Izod 충격 강도는 20 내지 65 J/g, 또는 대안적으로, 20 내지 45 J/g, 또는 대안적으로, 44 내지 65 J/g, 또는 대안적으로, 30 내지 55 J/g, 또는 대안적으로, 35 내지 60 J/g의 범위일 수 있다.
호모폴리머 폴리프로필렌
임의의 호모폴리머 폴리프로필렌은 상기 조성물의 구현예에서 사용될 수 있그며, 이는 결정질 및 비-결정질 호모폴리머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한다. 참조: 미국 특허 번호 5,483,002 및 EP 643100, 이 둘 모두의 개시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편입되어 있고, 이는 하기를 교시한다: 반-결정질 호모폴리머 폴리프로필렌 (125 내지 165 °C의 용융점을 가짐), 반-결정질 호모폴리머 폴리프로필렌 (130 °C 미만의 용융점을 가짐), 비-결정질 호모폴리머 폴리프로필렌 (-10 °C 이하의 유리 전이 온도), 및 이의 배합물 (이의 임의의 것은 상기 조성물의 다양한 구현예에서 사용될 수 있음).
본 발명에서 유용한 예시적 hPP은 LyondellBasell, Inc으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다양한 등급의 PROFAX를 포함한다.
랜덤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
랜덤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과 추가 중합 가능한 하나 이상의 기타 모노머와 중합된 프로필렌을 포함한다. 기타 모노머는 바람직하게 올레핀, 더욱 바람직하게는 α-올레핀 (에틸렌 포함).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또는 RCH=CH2의 구조를 갖는 올레핀이고, 여기서 R은 지방족 또는 방향족이고, 적어도 2개의, 바람직하게는 18개 미만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 본 분야의 기술 중 탄화수소 올레핀 모노머는, 이의 적어도 하나가 α-올레핀 모노머와 중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을 갖는 탄화수소를 포함한다.
프로필렌과의 중합에 적합한 α-올레핀은 1-부텐, 1-펜텐, 1-헥센, 1-옥텐, 1-노넨, 1-데센, 1-유니데센(unidecene), 1-도데센 등 뿐만 아니라 4-메틸-1-펜텐, 4-메틸-1-헥센, 5-메틸-1-헥센, 비닐사이클로헥산 및 스티렌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α-올레핀은 에틸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을 포함한다.
임의로, RCPP는 바람직하게는 디엔 또는 트리엔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이중 결합을 갖는 모노머를 포함한다. 적합한 디엔 및 트리엔 코모노머는 하기를 포함한다: 7-메틸-1,6-옥타디엔, 3,7-디메틸-1,6-옥타디엔, 5,7-디메틸-1,6-옥타디엔, 3,7,11-트리메틸-1,6,10-옥타트리엔, 6-메틸-1,5-헵타디엔, 1,3-부타디엔, 1,6-헵타디엔, 1,7-옥타디엔, 1,8-노나디엔, 1,9-데카디엔, 1,10-운데카디엔, 노보넨, 테트라사이클로도데센, 또는 이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부타디엔, 헥사디엔, 및 옥타디엔, 가장 바람직하게는 1,4-헥사디엔, 1,9-데카디엔, 4-메틸-1,4-헥사디엔, 5-메틸-1,4-헥사디엔, 디사이클로펜타트리엔(dicyclopentactiene), 및 5-에틸리덴-2-노보넨.
제3 폴리머 (성분 (d))
상기 조성물은 하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3 폴리머를 포함한다: (i) -50°C 이상의 Tg (고무 블록)을 갖는 스티렌계 에틸렌/부틸렌 트리블록 코폴리머, (ii) 하기 조성물의 중량을 기반으로, 15 중량% 이하의 하기 조성물: 에틸렌/α-올레핀/디엔 인터폴리머, 0.850 내지 0.870 g/cc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또는 이의 조합; (iii)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및
(iv) 이들의 임의의 조합.
일 구현예에서, 제3 폴리머는 고무 블록의 Tg는 -50°C 이상이도록 하는 부틸렌 함량을 갖는 하나 이상의 스티렌계 에틸렌/부틸렌 트리블록 코폴리머이다. -50 °C 초과의 Tg의 모든 개개의 값 및 소범위가 본원에 포함되며 본원에 개재되어 있다. 예를 들면, 코폴리머의 고무 블록의 Tg는 -50 °C 초과, 또는 대안에서, -49 °C 초과, 또는 대안에서, -48 °C 초과, 또는 대안에서, -47 °C 초과, 또는 대안에서, -46 °C 초과, 또는 대안에서, -45 °C 초과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스티렌계 에틸렌/부틸렌 트리블록 코폴리머는 하기를 가질 수 있다: 2 내지 25 g/10분의 MFR (230 °C, 2.16 kg에서 측정시) 2 내지 25 g/10분의 코폴리머의 MFR의 모든 개개의 값 및 소범위가 본원에 포함되며 본원에 개재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MFR은 2, 7, 12, 17, 22, 또는 24 g.10분의 하한치 내지 4, 9, 14, 19, 24 또는 25 g/10분의 상한치의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코폴리머의 MFR은 2 내지 25 g/10분, 또는 대안적으로, 2 내지 14 g/10분, 또는 대안적으로, 13 내지 25 g/10분, 또는 대안적으로, 7 내지 20 g/10분, 또는 대안적으로, 5 내지 15 g/10분일 수 있다.
스티렌/에틸렌/부틸렌 트리블록 코폴리머 (SEB)는 본 분야에 알려져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제3 폴리머는 상기 조성물의 중량을 기반으로, 15 중량% 이하의 하기 조성물이다: 에틸렌/α-올레핀/디엔 인터폴리머,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0.850 내지 0.870 g/cc의 밀도를 가짐), 또는 이의 조합.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는 에틸렌으로부터 유래된 대부분의 중량 퍼센트 단위를 갖고, 나머지 단위는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래된 코폴리머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는 15 내지 80의 무니 점도를 갖는다. 15 내지 80의 모든 개개의 값 및 소범위가 본원에 포함되고 개재되어 있다. 예를 들면, 무니 점도는 15, 30, 45, 60 또는 75의 하한선으로부터 20, 35, 50, 65, 또는 80의 상한선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제3 폴리머는 0.85 초과 내지 0.88 g/cc 이하의 밀도를 갖는 하나 이상의 에틸렌/α-올레핀/디엔 인터폴리머이다. 0.85 초과 내지 0.88 g/cc 이하의 인터폴리머 밀도의 모든 개별적인 값 및 하위범위는 본원에서 포함되고 본원에서 개시되며; 예를 들어, 상기 밀도는 하한 0.85, 0.857, 0.864, 0.871, 또는 0.878 g/cc 내지 상한 0.855, 0.860, 0.869, 0.875 또는 0.88 g/cc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인터폴리머의 밀도는 0.85 내지 0.88 g/cc, 또는 대안적으로, 0.85 내지 0.864 g/cc, 또는 대안적으로, 0.859 내지 0.88 g/cc, 또는 대안적으로, 0.86 내지 0.87 g/cc, 또는 대안적으로, 0.8555 내지 0.875 g/cc의 범위일 수 있다.
에틸렌/α-올레핀/디엔 인터폴리머에 사용되는 예시적인 디엔은 4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콘주게이트 또는 비-콘주게이트, 직쇄형 또는 분지쇄-, 사이클릭- 또는 폴리사이클릭 디엔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디엔은 1,4-펜타디엔, 1,4-헥사디엔,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디사이클로펜타디엔, 사이클로헥사디엔, 및 5-부틸리덴-2-노르보르넨을 포함한다.
에틸렌/α-올레핀/디엔 인터폴리머에 사용되기 위한 α-올레핀이, 특정 구현예에서, C3-C20 α-올레핀의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서 사용하기 위한 바람직한 α-올레핀은 식 CH2CHR*으로 표시되고, 여기서 R*는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이다. 적합한 α-올레핀의 예는 비제한적으로, 프로필렌, 이소부틸렌,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및 1-옥텐을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α-올레핀은 프로필렌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성분 (d)는 하기 특성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에틸렌/α-올레핀/디엔 인터폴리머이다: 60 내지 80 중량%의 에틸렌 함량; 20 내지 30 중량%의 프로필렌 함량, 및 60 내지 80의 무니 점도 (ML 1+4, 121 °C). 에틸렌/α-올레핀/디엔 인터폴리머의 총 중량을 기반으로, 60 내지 80 중량의 에틸렌 함량의 모든 개별적인 값 및 하위범위는 본원에서 포함되고 본원에서 개시되며; 예를 들어, 에틸렌 함량은 하한 60, 64, 68, 72, 또는 76 중량% 내지 상한 62, 66, 70, 74, 78 또는 80 중량%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에틸렌 함량은 60 내지 80 중량%, 또는 대안적으로, 70 내지 80 중량%, 또는 대안적으로, 60 내지 70 중량%, 또는 대안적으로, 65 내지 75 중량%일 수 있다. 60 내지 80의 무니 점도 (ML 1+4, 121 °C)의 모든 개별적인 값 및 하위범위는 본원에서 포함되고 본원에서 개시되며; 예를 들어, 무니 점도 (ML 1+4, 121 °C)는 하한 60, 64, 68, 72 또는 76 내지 상한 62, 66, 70, 74, 78 또는 80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무니 점도는 60 내지 80, 또는 대안적으로, 70 내지 80, 또는 대안적으로, 60 내지 70, 또는 대안적으로, 66 내지 75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본원에 개시된 임의의 구현예에 따르며, 단, 성분 (d), 제3 폴리머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를 포함하지 않는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본원에 개시된 임의의 구현예에 따르며, 단, 성분 (d), 제3 폴리머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EPDM을 포함하지 않는다.
가소제 (성분 (c))
조성물은 가소제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가소제”는 원하는 일관성으로 유동학적 특성을 변형하는데 사용되는 첨가제를 의미한다. 적합한 가소제는 본 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어, 하기를 포함한다: 예컨대 2염기산 (또는 이의 무수물)과 1가 알코올의 에스테르, 예컨대 o-프탈레이트, 아디페이트, 및 벤조에이트.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 성형 물품에 적합한 배합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가소제의 5 내지 35 중량 퍼센트, 예를 들어 10 내지 30 중량 퍼센트, 또는 대안적으로 20 내지 30 중량 퍼센트를 포함한다.
가소제는 오일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오일은 아로마 오일, 미네랄 오일, 나프텐계 오일, 파라핀 오일, 트리글리세라이드계 식물성 오일 예컨대 피마자 오일, 합성 탄화수소 오일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오일, 실리콘 오일,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백색 미네랄 오일이 바람직하다. 오일은 탄화수소 오일이며, 이는 종종 백색 미네랄 오일, 또는 대안적으로 폴리머 또는 프로세싱 오일로 지칭된다. 이러한 오일은 화학적으로 수소처리된 중 파라핀성 증류액 또는 백색 미네랄 오일로 정의된다. 대부분 사용되는 오일은 거의 없거나 아예 없는 방향족 함량, 50 내지 90%의 파라핀 함량, 및 10 내지 50% 나프텐 함량;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75% 파라핀 함량 및 25 내지 35% 나프텐 함량을 갖는다. 그러한 가소제는 ASTM D-445에 따라 측정시, 40° C에서, 12 내지 70, 예를 들어 15 내지 55 cSt의 범위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적절한 가소제는 비제한적으로 하기를 포함한다: 미네랄 오일 예컨대 탄화수소 미네랄 오일, 예를 들어 PARALUX 6001R (ChevronTexaco으로부터 이용가능함); HYDROBRITE 550 (Sonneborn, Inc.으로부터 이용가능함), LP 200 (Sonneborn으로부터 이용가능함); INDOPOL H-15 (INEOS로부터 이용가능함); RISELLA X 420 (Shell Deutschland Oil GmbH로부터 이용가능함); PLASTHALL 100 (The HallStar CoMPany로부터 이용가능함).
미네랄 오일은 하기를 갖는 백색 미네랄 오일일 수 있다: 1.45 내지 1.49 범위의 굴절률, (ASTM-D 1218에 따라 측정시), 50 내지 90 퍼센트 범위의 파라핀성 탄소 함량 (ASTM-D 3238에 따라 측정시), 10 내지 50 퍼센트 범위의 나프텐계 탄소 함량 (ASTM-D 3238에 따라 측정시), 및/또는 15 내지 400 cSt 범위의 40 ℃에서의 동점도 (ASTM-D 445에 따라 측정시). 
특정 구현예에서, 가소제는 하나 이상의 탄화수소 미네랄 오일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탄화수소 미네랄 오일은 하기 특성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낸다: 15 내지 400 cSt의 40 °C에서의 점도 및 0.85 내지 0.89의 비중. 15 내지 400 cSt의 40 °C에서의 점도의 모든 개별적인 값 및 하위범위는 본원에서 포함되고 본원에서 개시되며; 예를 들어, 점도는 하한 15, 50, 125, 200, 275, 또는 325 내지 상한 20, 100, 175, 250, 350 또는 400 cSt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점도는 15 내지 400 cSt, 또는 대안적으로, 15 내지 200 cSt, 또는 대안적으로, 200 내지 400 cSt, 또는 대안적으로, 150 내지 350 cSt, 또는 대안적으로, 55 내지 250 cSt,의 범위일 수 있다. 0.85 내지 0.89의 비중의 모든 개별적인 값 및 하위범위는 본원에서 포함되고 본원에서 개시되며; 예를 들어, 비중은 하한 0.85, 0.86, 0.87 또는 0.88 내지 상한 0.86, 0.87, 0.88, 또는 0.89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중은 0.85 내지 0.89, 또는 대안적으로, 0.85 내지 0.87, 또는 대안적으로, 0.87 내지 0.89, 또는 대안적으로, 0.86 내지 0.88일 수 있다.
추가의 구현예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본원에 개시된 임의의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을 추가로 제공하며, 단, 상기 성분 d의 굴절률(RI)은 성분 a의 굴절률의 +/- 1.2% 이내이다. +/- 1.2%의 모든 개별적인 값 및 하위범위는 본원에서 포함되고 본원에서 개시된다. 예를 들어, 성분 d의 굴절률 (RI)은 성분 a의 굴절률의 +/- 1.2% 이내, 또는 대안적으로, +/- 1.0% 이내, 또는 대안적으로, +/-0.8% 이내일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본원에 개시된 임의의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을 추가로 제공하며, 단, 상기 성분 b의 굴절률(RI)은 성분 a의 굴절률의 +/- 5% 이내이다. +/- 5%의 모든 개별적인 값 및 하위범위는 본원에서 포함되고 본원에서 개시된다. 예를 들어, 성분 b의 굴절률 (RI)은 성분 a의 굴절률의 +/- 5% 이내, 또는 대안적으로, +/- 2% 이내, 또는 대안적으로, +/-2 % 이내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개시된 임의의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을 추가로 제공하며, 단, 성분 d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인터폴리머이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개시된 임의의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을 추가로 제공하며, 단, 성분 d는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이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개시된 임의의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을 추가로 제공하며, 단, 성분 d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인터폴리머 및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의 조합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본 발명에 개시된 임의의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출 성형 물품을 제공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사출 성형 물품은 신발류 또는 신발류의 성분이다.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a) 20 내지 80 중량%의 프로필렌/α-올레핀 인터폴리머 조성물을 선택하는 단계; (b) 2 내지 25 중량%의, 하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2 폴리머를 선택하는 단계: 호모폴리머 폴리프로필렌, 랜덤 프로필렌/α-올레핀 인터폴리머, 정제된 랜덤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 및 이의 조합을 선택하는 단계; (c) 5 내지 40 중량%의 가소제를 선택하는 단계; (d) 하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3 폴리머를 선택하는 단계: (i) 고무 블록의 Tg가 -40°C를 초과하도록 부틸렌 함량을 갖고, 2 내지 25 g/10분 (230°C, 2.16 kg에서 측정시)의 MFR을 갖는 스티렌계 에틸렌/부틸렌 트리블록 코폴리머, (ii) 0.85 초과 내지 0.88 g/cc 이하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디엔 인터폴리머,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 (e) 열의 존재 하에서 상기 a 내지 d 성분을 접촉시키는 단계; (f) 이로써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배합 조성물은 25 퍼센트 미만의 총 헤이즈를 갖는, 상기 형성 단계; 및 (g) 상기 조성물을 성형 물품으로 형성시키는 단계.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사출 성형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이는 추가로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성형 방출 제제를 선택하는 단계 및 a 내지 d 성분 및 상기 성형 방출 제제를 열의 존재 하에서 접촉시키는 단계; 이로써 조성물을 형성시키는 단계 (여기서, 상기 조성물은 25 퍼센트 미만의 총 헤이즈를 가짐); 및 상기 배합 조성물을 형성시키는 단계.
실시예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지만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의도는 아니다. 하기 물질은 본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를 제조하는데 사용되었다:
PE 코폴리머 1 (DE 2400.05, The Dow Chemical CoMPany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함 ) 는 프로필렌/에틸렌 코폴리머 (2 g/10분의 용융 유동 속도 (230 °C, 2.16 kg에서) 및 0.863 g/cc의 밀도를 가짐)이다.
KRATON G1652 SEBS , (Kraton Polymers U.S LLC (Houston, TX, USA)으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함), 은 29.0 내지 30.8 중량%의 폴리스티렌 함량 (폴리머 중량 기반)을 갖는 에틸렌/부틸렌 및 스티렌계 선형 트리블록 코폴리머 (5 g/10분의 용융 유동 속도 (230°C, 5.0 kg) (표적) 및 -54.6°C의 Tg(고무 블록)을 가짐)이다.
KRATON G1645 SEBS , (Kraton Polymers U.S LLC (Houston, TX, USA)으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함), 은 11.5 내지 13.5 중량%의 폴리스티렌 함량을 갖는 에틸렌/부틸렌 및 스티렌계 선형 트리블록 코폴리머 (2 내지 4.5 g/10분의 용융 유동 속도 (230 °C, 2.16 kg) 및 -45.70°C의 Tg(고무 블록)을 가짐)이다.
BRASKEM PP R7021- 50RNA , (Braskem Corp. (Philadelphia, PA, USA)으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함), 은 50 g/10분의 표적 용융 유동 속도 (230 °C, 2.16 kg)을 갖는 랜덤 정제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이다.
AM Fine AX-71 는 알킬 포스페이트계 방출 제제 (490의 평균 분자량, 70 내지 75°C 범위의 용융점 온도를 가짐, Amfine Chemical Corporation (Hopkinsville, KY, USA)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함)이다.
CRODAMIDE VRX는 슬립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빠르게 표면으로 블루밍하는 식물성 공급원으로부터 유래된, 불포화된 1차 아미드 C18이다. Crodamide VRX는 72 - 77 °C에서 용융되고, 이는 Croda Inc. (Edison, NJ, USA)에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HYDROBRITE LP200 (Sonneborn LLC (Parsippany, NJ, USA)으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함)은 40 °C에서의 20.5 cSt 및 0.81-0.89 g/cm3의 밀도의 백색, 고정제 미네랄 오일이다.
NORDEL 4770 (The Dow Chemical CoMPany (Midland, MI, USA)으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함) 은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터폴리머 (70의 무니 점도 (ML 1+ 4 at 125 °C), 70%의 에틸렌 함량, 4.9%의 ENB, 및 34 °C의 표적 Tc를 가짐)이다.
ELVAX 260 는 E.I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DuPont deNemours CoMPany (Wilmington, DE, USA)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수지 (28 중량%의 비닐 아세테이트 코모노머 코모노머 함량 및 6 g/10분 (190°C/2.16kg)의 용융 유동 속도를 가짐)이다.
AXEL INT - 33RTE 는 내부 성형 방출/처리 보조 첨가제 (Axel Plastics Research Laboratories, Inc. (Woodside, NJ, USA)으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함)이다.
본 발명 및 비교 실시예 조성물 및 이의 선택된 특성이 표 1에 나타나 있다.
실시예 비교 실시예 1 비교 실시예 2
실시예 1
비교 실시예 3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 실 시예 4
제형 성분 (중량%)              
PE 코폴리머 1 59.95 48.58 34.062 34.062 34.062 40 30
KRATON G1645     15        
NORDEL 4570IP           10 20
BRASKEM PP R7021-50RNA (rcPP) 10 11.37 10.913 10.913 10.913 10 10
HYDROBRITE LP200 오일 30 40 40 40 40 40 40
CRODAMIDE VRX 슬립 보조제(slip aid) 0.05 0.05       0.05 0.05
KRATON 1652 SEBS       15      
ELVAX 260         15    
AXEL INT-33RTE     0.025 0.025 0.025    
화합물의 특성              
밀도, g/cc 0.88 0.88 0.88 0.89 0.89 0.88 0.88
Sh. 경도(Hardness), 10초 60 52 47 53 54 53 52
헤이즈 (%) 27 28 17 72 28 25 38
노화 후 헤이즈 (%) 24 24 27 76 29 29 40
핑거프린트 1 3 1 1 1 1 1
Tc (DSC, °C) 83 86 89 85 94 83 84
ΔHm (DSC, J/g) 27.0 22.9 14.0 12.7 18.3 16.1 16.6
TMA, -1000 마이크론, °C 98.2 89.4 89.1 93.6 85.7 125 124.9
I2 (230 °C, g/10분) 27 78 148 139 136 20 14
인장 강도, MPa 5.2 4.7 4.8 6.0 6.4 5.2 5.0
파단시 연신율 (%) 468 564 809 879 980 710 766
다이(Die) C 인열 강도 lb/in 214 176 135 153 175 167 148
표 1에 기술된 제형을 하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표 1에 보고된 제형 성분을 하기를 통하여 용융-배합하여 폴리머 펠렛을 생성하였다: 2축 압출기, 수욕기 갖춰진 ZSK 30 mm 압출기, 및 가닥 절단기(strand cutter) 또는 잠수 펠렛화기(under-water pelletization). 압출 조건들은 표 2에서 나타난다.
영역 1 온도 (°C) 110
영역 2 온도 (°C) 140
영역 3 온도 (°C) 140
영역 4 온도 (°C) 140
영역 5 온도 (°C) 140
영역 6 온도 (°C) 150
스크류 속도 (rpm) 225
수욕 온도 (°C) ~5
총 공급 속도 (lbs/hr) 25
제형화된 조성물 (펠렛)을, 표 3에 열거된 조건을 사용하여 단일 샷 주형 기재가 장착된 Krauss Maffei KM 110-390/390 CL 사출 성형 기계 상에서 플라크 (4 인치 x 6 인치 x 0.125 인치)로 사출 성형하였다.
호퍼(Hopper) 영역 온도 (°C) 40
영역 1 온도 (°C) 121
영역 2 온도 (°C) 175
영역 3 온도 (°C) 204
영역 4 온도 (°C) 204
영역 5 온도 (°C) 204
노즐 온도 (°C) 200
주형 온도 (°C) 18
압출기 속도 (rpm) 150
압출기 배압 (바) 15
투여량 (ccm) 75
주사 속도 (ccm/s) 40
주사 속도 (바) 2000
스위치 오버(Switch Over) 위치 (ccm) 15
보유 압력 (바) 250
보유 시간 (s) 30
냉각 시간 (s) 30
RI  절대값
{[(RId - RIa)/RIa] x 100}
절대값
{[(RIb - RIa)/RIa] x 100}
KRATON 1645 (성분 d) 1.489 0.67%
KRATON 1652 (비교용 d) 1.503 1.62%
DE24000.05
(성분 a)
1.479 - -
BRASKEM PP R7021-50RNA (RCPP) (성분 b) 1.503~1.504 1.62-1.67%
NORDEL 4770 (성분 d) 1.480 0.07%
ELVAX 260
(성분 d)
1.486 0.47%
비교 실시예 (비교 실시예) 1 및 비교 실시예 2는, 가열 노화 테스트 (55 °C/5일)을 (각각) 통과 및 비통과한 VERSIFY/RCPP/오일/방출 보조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예시하며, 이로써, 35%가 약 사용할 수 있는 최대량의 가소제라는 것을 표지한다. 제1 폴리머 수지의 포함 (본 발명의 실시예 1 (본 실시예 1))은 점착 구축을 다루며, 경도를 감소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 2는 ELVAX의 사용이 헤이즈를 감소시킨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 3은 가열 노화 시험을 통과하고 낮은 헤이즈를 갖는, 40%의 가소제를 갖는 제형을 나타낸다.
“성분 d”의 첨가는 배합의 투명성을 보존하는 한편, 오일 편입을 증진하는데 목적이 있다. 배합물의 최적 특성을 보존하기 위하여, 성분들은 혼화성이 요구되고, 굴절률의 상이함은 작아야 한다. 그러한 굴절률의 차이는, “성분 a”와 비교하여, 1% 미만인 것이 요구되는 것이 발견되었다 (참고: 표 4). 주지할 것은, KRATON 1652의 경우, 어떻게 굴절률의 차이가 이러한 요구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여 배합물 헤이즈를 유발하는지에 대한 것이다. KRATON1645와 비교하여, 보다 높은 굴절률의 KRATON 1652는, 미드블록 내에 보다 낮은 부틸렌 함량 및 보다 높은 에틸렌 함량에 기인한다 (용융 피크 (7.4 C)의 존재에 의하여 표지된, 보다 낮은 Tg 및 일정 정도의 결정화도에 의하여 반영됨). 폴리프로필렌 (성분 b)는 낮은 헤이즈 배합을 유발하는 성분 a와 완전히 혼화성이다.
시험 방법
밀도(g/cc)는 이소프로판올 중에서, ASTM-D 792-03, 방법 B에 따라 측정되었다. 시료를 이소프로판올 조 내에서 23 ℃에 8분 동안 측정하여 측정 전 열적 평형을 달성하였다.
쇼어 A 경도를 쇼어 A 전자 경도계 상에 ASTM D2240 당 시험하였다. 중량을 10초간 적용하였다.
헤이즈를, ASTM D-1003에 따라, 0.125” 두께의 사출 성형 플라크 상에서 측정하였다 (실험 섹션 참고).
DSC 결정점 온도 (Tc)는 DSC 냉각 곡선으로부터 유도된다.
융해열은 DSC 용융 곡선으로부터 유도된다.
중량 퍼센트 결정화도는 시차 주사 열량측정(DSC)으로 측정한다.
시차 주사 열량측정(DSC)은 하기를 기반으로 한다. 본원에 보고된 모든 결과는 RCS (냉장 냉각 시스템) 냉각 기기 및 자동 시료주입기가 장착된 TA 인스트루먼트 모델 Q1000 DSC를 통하여 생성하였다. 50 ml/min의 질소 퍼지 기체 유동을 사용하였다. 샘플 (5-10 그램)을 175 °C 및 1500 psi (10.3 MPa) 최대 압력으로 약 15초간 가압하여 박막으로 프레싱하고, 이후 대기압에서 실온까지 공랭시켰다. 약 3 내지 10mg의 재료를 이후 페이퍼 홀 펀치를 사용하여 6mm 직경 원형으로 잘라내고, 0.001 mg 근사치로 칭량하고, 경량 알루미늄 팬 (ca 50mg) 내에 위치시키고, 이후 클림핑하였다. 샘플의 열적 행동을 하기 온도 프로파일로 조사하였다: 임의의 이전의 열적 이력을 제거하기 위해 샘플을 180℃까지 빠르게 가열하고 3 분 동안 등온 유지시켰다. 샘플을 그 다음 10 °C/min 냉각 속도로 -80℃까지 냉각시키고 3 분 동안 -80℃에서 유지시켰다. 샘플을 그 다음 10 °C/min 가열 속도로 180℃까지 가열시켰다. 냉각 및 제2 가열 곡선을 기록하였다.
열기계 분석(TMA)을, 0.89 mm 접촉 직경 프로브가 장착된 TA 인스트루먼트 2940 열기계 분석 기기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 샘플 상에서 수행하였다 (실험 섹션 참고). 1N의 힘을, 0.125" 두께의 사출 성형 플라크로부터 대략 0.2 x 0.2" 로 잘라낸 샘플에 가하였다. 시험을 실온에서 개시하고, 온도를 5 °C/min으로 증가시켰다. 프로브가 샘플 내로 1000 마이크론으로 관통하는 온도가 보고된다.
용융 지수 (I2)를, 2.16 kg의 하중으로, ASTM D-1238-03에 따라 190 또는 230 °C에서 측정하였다.
사출 성형 샘플의 점착성을 정량적 지문 시험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사출 성형 플라크의 표면 상에서의 지문의 외관을, 플라크에 5초간 엄지로 균일하고 단단한 압력을 가함으로써 측정하였고; 플라크를 먼저 7일간 70°C에서 가열 노화시키고, 이후 엄지로의 가압 전에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지문의 외관은 하기 범위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1 = 가시적 지문이 없음, 2 = 경미하게 가시적인 지문이 있음, 및 3 = 분명하게 가시적인 지문이 있음.
최종 인장 강도 및 파단 연신율을 ASTM D638에 따라 수득하였다. 미세인장 시료를 사출 성형 플라크로부터 잘라냈다(실험 섹션 참고).
다이 C-인열 시험을 ASTM D624에 따라 수행하였다. C-인열 시료를 사출 성형 플라크로부터 잘라냈다(실험 섹션 참고).
굴절률 (RI)를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Metricon 프리즘 커플러를 고 정확성(+ 또는 - .001)을 갖는 필름의 굴절률을 측정하는데 사용하였다. 상기 측정은 필름을 통과하여 레이저를 투과시키고, 광-검출기로 반사된 광을 검출함으로써 수행되었다. 필름에 따라, 측정 시간은 10초 내지 75초로 가변적이다. 샘플을 하기에 따라 RI 측정을 위하여 제조하였다: 굴절률를 측정하기 위하여, 펠렛 형태의 폴리머를 30000 lbf에서 카버(Carver) 프레스에서 압축 성형하여 60mil의 두께(1.5mm)를 갖는 2 인치 x 2 인치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용융 단계는 190°C에서 30초간 실시하였고, 이후 냉각을 30초간 24°C에서 실시하였다. 상기 나타난 바와 같이, 표 4는 상기 실시예의 선택된 성분에 대한 RI 를 제공한다.
EPDM 고무의 무니 점도 (ML1+4)를, 1분의 사전가열 시간 및 4분의 로터 작동 시간으로 125C에서 ASTM D1646-04에 따라 측정하였다. 사용된 기기는 알파 테크놀로지(Alpha Technologies)의 무니 점도계 MV2000E이었다.
본 발명은 그의 정신 및 필수적인 속성으로부터 이탈 없이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술한 명세서 보다는 첨부된 청구항들을 참조해야 한다.

Claims (27)

  1. 하기를 포함하는, 조성물:
    (a) 0.860 g/cc 내지 0.870 g/cc의 밀도를 갖는 프로필렌/에틸렌 인터폴리머;
    (b) 하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프로필렌계 폴리머: 호모폴리머 폴리프로필렌, 랜덤 프로필렌/α-올레핀 인터폴리머 및 이의 임의의 조합 (여기서 상기 프로필렌계 폴리머는 0.885 g/cc 이상의 밀도를 가짐);
    (c) 가소제; 및
    (d) 하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3 폴리머;
    (i) -50°C 이상의 Tg (고무 블록)을 갖는 스티렌계 에틸렌/부틸렌 트리블록 코폴리머;
    (ii) 상기 조성물의 중량을 기반으로, 15 중량% 이하의 하기 조성물: 에틸렌/α-올레핀/디엔 인터폴리머,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0.850 g/cc 내지 0.870 g/cc의 밀도를 가짐), 또는 이의 조합;
    (iii)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및
    (iv) 이들의 임의의 조합.
  2. 청구항 1에 있어서, 성분 d의 굴절률(RI)은 성분 a의 굴절률의 +/- 1.2% 이내인, 조성물.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성분 b의 굴절률(RI)은 성분 a의 굴절률의 +/- 5% 이내인,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25 중량% 내지 80 중량%의 성분 (a); 2 중량% 내지 25 중량%의 성분 (b), 5 중량% 내지 40 중량%의 성분 (c), 및 1 중량% 내지 20 중량%의 성분 (d)를 포함하는, 조성물.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b)는 랜덤 프로필렌/α-올레핀 인터폴리머인, 조성물.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폴리머는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인터폴리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조성물.
  7.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폴리머는 -40°C 이상의 Tg (고무 블록), 및 230°C, 2.16 kg에서의, 2 g/10분 내지 25 g/10분의 MFR을 갖는 스티렌계 에틸렌/부틸렌 트리블록 코폴리머인, 조성물.
  8.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폴리머는, 상기 조성물의 중량을 기반으로, 15 중량% 이하의 0.85 g/cc 이상 내지 0.87 g/cc 이하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디엔 인터폴리머인, 조성물.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60 미만의 쇼어 A 경도를 나타내는, 조성물.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3.2 mm 두께의 사출 성형 플라크 상에서 측정 시, 30 퍼센트 미만의 총 헤이즈를 나타내는, 조성물.
  11.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75 °C 내지 95 °C의 Tc를 나타내는, 조성물.
  12.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20 J/g 내지 35 J/g의 ΔHm을 나타내는, 조성물.
  13. 청구항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20 g/10분 이상의, 230 °C, 2.16kg에서의 용융 유동 속도를 나타내는, 조성물.
  14. 청구항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a)는 하기 특성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조성물: 밀도 0.855 g/cc 내지 0.865 g/cc, 결정화도 2 중량% 내지 12 중량%, ΔHm 0 J/g 내지 22 J/g, 80 °C 미만의 Tm, 9 중량% 초과의 α-올레핀 코모노머 함량, 및 0.5 g/10분 내지 30 g/10분의 용융 유동 속도.
  15. 청구항 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서, 성분 (b)는 하기 특성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조성물: 4 MPa 내지 10 MPa의 항복 인장 강도; 및 5 내지 15의 항복 연신율.
  16. 청구항 1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d)는 하기 특성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에틸렌/α-올레핀/디엔 인터폴리머인, 조성물: 60 중량% 내지 80 중량%의 에틸렌 함량; 20 중량% 내지 30 중량%의 프로필렌 함량, 및 60 내지 80의 무니 점도.
  17. 청구항 1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a), (b) 및 (c)의 총 함량은 90 중량% 이상인, 조성물.
  18. 청구항 1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하나 이상의 탄화수소 미네랄 오일인, 조성물.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 미네랄 오일은 하기 특성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조성물: 15 cSt 내지 400 cSt의 40 °C에서의 점도 및 0.85 g/cm3 내지 0.89 g/cm3 의 비중.
  20. 청구항 1 내지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흄드(fumed) 및/또는 침전(precipitated) 실리카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21. 청구항 1 내지 2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형 방출 제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성형 방출 제제는 올레아미드를 포함하는, 조성물.
  23. 청구항 1 내지 22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는, 물품.
  24. 청구항 1 내지 23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는, 사출 성형 물품.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하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사출 성형 물품: 기질을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상의, 오버몰딩, 신발류 물품, 칫솔 손잡이, 캡, 및 마개(closure) .
  26. 사출 성형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20 중량% 내지 80 중량%의 프로필렌/α-올레핀 인터폴리머 조성물을 선택하는 단계;
    (b) 2 중량% 내지 25 중량%의, 하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2 폴리머: 호모폴리머 폴리프로필렌, 랜덤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 및 임의의 이의 조합을 선택하는 단계;
    (c) 5 중량% 내지 40 중량%의 가소제를 선택하는 단계;
    (d) 하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중량% 내지 20 중량%의 제3 폴리머를 선택하는 단계: (i) -40°C 초과의 Tg (고무 블록)을 갖고/갖거나 2 g/10분 내지 25 g/10분 (230°C, 2.16 kg에서 측정시)의 MFR을 갖는 스티렌계 에틸렌/부틸렌 트리블록 코폴리머, (ii) 0.85 g/cc 초과 내지 0.88 g/cc 이하의 밀도를 갖는 에틸렌/α-올레핀/디엔 인터폴리머,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
    (e) 열(heat)의 존재 하에서 상기 a 성분 내지 d 성분을 접촉시키는 단계;
    (f) 이로써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배합 조성물은 30 퍼센트 미만의 총 헤이즈를 가짐); 및
    (g) 상기 조성물을 성형 물품으로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추가로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성형 방출 제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a 성분 내지 d 성분 및 상기 성형 방출 제제를 열의 존재 하에서 접촉시키는 단계; 이로써 조성물을 형성시키는 단계 (여기서 상기 조성물은 30 퍼센트 미만의 총 헤이즈를 가짐); 및 상기 배합 조성물을 성형 물품으로 형성시키는 단계.
KR1020177002000A 2014-07-03 2015-06-18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사출 성형 물품 및 사출 성형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201700265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20499P 2014-07-03 2014-07-03
US62/020,499 2014-07-03
PCT/US2015/036321 WO2016003657A1 (en) 2014-07-03 2015-06-18 A composition, injection molded article made therefrom and process to make injection molded art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6500A true KR20170026500A (ko) 2017-03-08

Family

ID=53491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000A KR20170026500A (ko) 2014-07-03 2015-06-18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사출 성형 물품 및 사출 성형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738185B2 (ko)
EP (1) EP3164255B1 (ko)
JP (1) JP6800843B6 (ko)
KR (1) KR20170026500A (ko)
CN (1) CN106471053B (ko)
AU (1) AU2015284637B2 (ko)
BR (1) BR112016030129B1 (ko)
WO (1) WO201600365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70620A (zh) * 2017-06-30 2020-02-07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用于光纤电缆的填充组合物
KR20200023383A (ko) * 2017-06-30 2020-03-04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광섬유 케이블용 충전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67034B1 (en) * 2016-05-31 2022-05-11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Resin composition, process for producing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object
EP3555204B1 (en) * 2016-12-19 2023-03-22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onductor jacket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US11512191B2 (en) 2017-11-10 2022-11-29 Avient Corporation Polyolefin elastomer blends for elastomeric films
US20220380497A1 (en) * 2019-12-26 2022-12-01 Dow Global Technologies Llc Ethylene/alpha-olefin interpolymer based compositions with improved balance of cure and processability
FR3111139B1 (fr) * 2020-06-05 2022-05-27 Saint Gobain Ct Recherches Liant pour composition de moulage par injection
EP4189030A1 (en) * 2020-07-29 2023-06-07 Dow Global Technologies LLC Adhesive formulations based on ethylene multi-block interpolymers and functionalized propylene-based polymer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29631B1 (en) 1993-06-07 2002-08-28 Mitsui Chemicals, Inc. Novel transition metal compound, and polymerization catalyst containing it
DE4330661A1 (de) 1993-09-10 1995-03-16 Basf Ag Kälteschlagzähe Propylenpolymerisate
ATE215571T1 (de) * 1995-11-24 2002-04-15 Chisso Corp Propylenzusammensetzung,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polypropylenzusammensetzung und geformte gegenstände
US6525157B2 (en) 1997-08-12 2003-02-25 Exxonmobile Chemical Patents Inc. Propylene ethylene polymers
KR20010072663A (ko) 1998-07-02 2001-07-31 엑손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프로필렌 올레핀 공중합체
US6960635B2 (en) 2001-11-06 2005-11-01 Dow Global Technologies Inc. Isotactic propylene copolymers, their preparation and use
US7662885B2 (en) * 2002-08-12 2010-02-16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Method to make an article comprising polymer concentrate
US7714071B2 (en) * 2004-03-17 2010-05-11 Dow Global Technologies Inc. Polymer blends from interpolymers of ethylene/α-olefins and flexible molded articles made therefrom
KR100920710B1 (ko) 2004-11-25 2009-10-09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 용도
CN101918463B (zh) * 2007-11-19 2012-09-05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长链支化丙烯-α-烯烃共聚物
CN102112541B (zh) * 2008-08-06 2013-06-19 北欧化工公司 以具有苯乙烯系弹性体的聚丙烯化合物为基础的组合物
WO2013096711A1 (en) * 2011-12-21 2013-06-27 Dow Global Technologies Llc High frequency weldable polyolefin compositions including polar polymers
US20150353718A1 (en) 2013-02-28 2015-12-10 Dow Global Technologies Llc A blend composition suitable for injection molding application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70620A (zh) * 2017-06-30 2020-02-07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用于光纤电缆的填充组合物
KR20200023383A (ko) * 2017-06-30 2020-03-04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광섬유 케이블용 충전 조성물
KR20200023381A (ko) * 2017-06-30 2020-03-04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광섬유 케이블용 충전 조성물
CN110770620B (zh) * 2017-06-30 2022-10-18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用于光纤电缆的填充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00843B6 (ja) 2021-01-20
EP3164255A1 (en) 2017-05-10
WO2016003657A1 (en) 2016-01-07
AU2015284637A1 (en) 2017-02-02
JP6800843B2 (ja) 2020-12-16
BR112016030129B1 (pt) 2021-08-24
CN106471053A (zh) 2017-03-01
BR112016030129A2 (pt) 2017-08-22
EP3164255B1 (en) 2020-04-08
JP2017522439A (ja) 2017-08-10
US20190284382A1 (en) 2019-09-19
AU2015284637B2 (en) 2020-01-02
US10738185B2 (en) 2020-08-11
CN106471053B (zh) 2020-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64255B1 (en) A composition, injection molded article made therefrom and process to make injection molded article
US7795366B2 (en) Modified polyethylene compositions
EP1846491B1 (en) Modified polyethylene compositions
KR100938321B1 (ko) 투명 폴리올레핀 조성물
JP5865254B2 (ja) 低温および湿潤用途用の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
KR101206322B1 (ko)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WO2004014998A9 (en) Plasticized polyolefin compositions
EP2961796B1 (en) A blend composition suitable for injection molding applications
KR101185710B1 (ko) 투명성 및 내충격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2008045037A (ja) エアバッグカバー成形体
KR100865255B1 (ko) 내충격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이를 포함하는 제품
JP6339676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含有組成物
JP2016150953A (ja) 成形体、食品容器本体及び食品容器用蓋
JP2008045038A (ja) エアバッグカバー成形体
JP2006176600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成形体およびその用途
WO2015064394A1 (ja) 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並びに成形体及びその劣化抑制法
KR20050075748A (ko) 가소화된 폴리올레핀 조성물
JP2013142140A (ja) エアバックカバー用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およびエアバックカバー
JP2015166470A (ja) 低温および湿潤用途用の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