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4765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4765A
KR20170024765A KR1020150120181A KR20150120181A KR20170024765A KR 20170024765 A KR20170024765 A KR 20170024765A KR 1020150120181 A KR1020150120181 A KR 1020150120181A KR 20150120181 A KR20150120181 A KR 20150120181A KR 20170024765 A KR20170024765 A KR 20170024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inner case
grill
plat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0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2074B1 (ko
Inventor
서현우
신상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0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074B1/ko
Priority to EP16185444.3A priority patent/EP3144612B1/en
Priority to EP17203206.2A priority patent/EP3321616B1/en
Priority to EP19171947.5A priority patent/EP3553429B1/en
Priority to US15/248,096 priority patent/US10386108B2/en
Priority to CN201610730844.0A priority patent/CN106482424B/zh
Publication of KR20170024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4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074B1/ko
Priority to US16/503,111 priority patent/US1134659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7Evaporator fa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25D19/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with respect to movable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3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an assembly of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4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moulding, e.g. moulding in situ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fluids through the insulat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11Fan speed control
    • F25B2600/112Fan speed control of evaporato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25D2201/126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of cellula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6L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 금속으로 이루어진 금속플레이트가 냉장고의 이너케이스의 상면 및 측면의 내면에 부착되어, 고내에 냉기가 오래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고내의 청결도를 향상시키는 냉장고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장실과 냉동실로 구분되며,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의 냉기를 보존하기 위해 냉장고의 전면으로 도어가 설치된다. 그리고, 냉장고의 고내, 특히, 냉장실과 같은 수용공간의 경우 냉기가 오랫동안 순환되어야 하는 특징이 있다.
종래의 냉장고 내의 냉장실과 냉동실은 고내가 플라스틱 등의 고분자물질로 이루어져 있었다. 종래의 냉장고와 같이 고내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경우, 사용자가 고내에 저장물을 넣거나 꺼내는 과정에서 쉽게 때가 타거나 더러워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수시로 고내의 클리닝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내에 수용되는 냉기량이 적어, 음식물의 신선도가 오래 지속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고내의 플라스틱에 금속물질이 도금된 냉장고나, 고내 후방에 형성된 덕트가 금속으로 이루어진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냉장고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종래의 금속물질이 도금된 냉장고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고내에 저장물을 넣거나 꺼내는 과정 또는 고내를 청소하는 과정에서 플라스틱에 도금된 금속물질이 벗겨지게 된다. 금속물질의 도금이 벗겨지면서 고내의 미관을 해치게 되고, 청소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금속자체가 내부에 결합된 경우에 비해서 고내의 냉기보유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고내 후방에 형성된 덕트가 금속으로 이루어진 냉장고의 경우에도, 후방에만 금속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내 전체에 금속플레이트가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고내에 유지되는 냉기가 적어, 내부의 냉기보유력이 부족한 문제가 있다. 또한, 후방에만 덕트가 존재하기 때문에 고내의 냉기순환이 부족한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냉장고 고내 전체에 금속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냉장고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냉장고 고내 전체에 금속플레이트가 결합된 냉장고의 경우, 한국 특허출원번호 10-2008-0006481호가 참조된다. 이러한 냉장고의 경우,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첫째, 냉장고 이너케이스의 상면 또는 측면에 금속플레이트를 일반적인 방식을 사용하여 결합시키는 경우, 금속플레이트 자체의 무게에 따른 하중에 의해 금속플레이트가 하방 또는 측방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하여, 사용자가 고내에 저장된 저장물을 꺼내면서 부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냉장고 이너케이스의 상면에 부착된 금속플레이트의 경우, 이너케이스로부터 떨어지지 않는다 하더라도, 금속 무게의 하중에 의해 금속플레이트의 중앙부가 하방으로 쳐짐에 따라, 고내의 미관을 해치고 저장공간이 부족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냉장고 이너케이스 내부의 전체면에 금속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경우, 이너케이스의 일측 또는 양 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냉장고 도어(또는 냉동실 도어, 이하에서는 냉장실 도어로 설명)가 닫히면서, 금속플레이트와 냉장고 도어가 간섭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냉장고 도어에 손상이 발생하거나, 금속플레이트에 흠집이 생기는 등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넷째, 이너케이스의 전단과 금속플레이트의 전단이 서로 일치하도록 금속플레이트가 이너케이스에 결합되게 된 경우, 냉장고 도어가 닫하면 금속플레이트가 보유하는 냉기가 냉장고 도어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냉장실 또는 냉동실 내부의 냉기보유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전력낭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저장물의 신선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다섯째, 금속플레이트와 이너케이스를 나사 등을 사용하여 결합하는 경우, 금속플레이트 및 이너케이스에 각각 개구를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금속플레이트에 형성된 개구의 마감처리 미비나 고내에서 형성된 냉기에 따른 습기의 고임에 의해, 금속플레이트에 형성된 개구의 내주면에 녹이 생기거나 고내로 금속가루 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함과 더불어, 고내의 냉기순환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제안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아우터케이스, 상기 아우터케이스 내부에 형성되어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이너케이스 및 상기 이너케이스의 상부 및 양측 내면에 결합되는 금속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금속플레이트는 전단이 상기 이너케이스의 전단으로부터 제1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이너케이스의 상부 및 양측 내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아우터케이스, 상기 아우터케이스 내부에 형성되어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이너케이스 및 상기 이너케이스의 상부 및 양측 내면에 결합되는 금속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이너케이스는, 상부에 형성되어 발포제가 주입되는 다 수의 주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다 수의 주입홀로 발포제를 각각 주입하면, 상기 이너케이스의 상부와 상기 상부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발포제를 충진되어 상기 이너케이스의 상부 내면과 상기 상부플레이트가 전체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고내가 고분자물질이 아닌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고내에 저장물을 넣거나 꺼내는 과정에서 쉽게 때가 타거나 더러워지지 않을 뿐 아니라, 더러워진 경우에도 고내의 청소가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둘째, 고내에 금속이 도금되지 않고 금속플레이트 자체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저장물을 꺼내더라도 금속이 벗겨지는 일이 없을 뿐 아니라, 전체적으로 고내의 미관이 수려해지고, 금속의 빛 반사력에 의해 고내의 발광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금속플레이트에 개구가 아닌 일체형으로 외부로 돌출된 결합리브가 다수개 형성되고, 다 수의 결합리브가 이너케이스에 형성된 결합개구에 끼움결합함으로써, 금속플레이트에 녹이 슬거나 금속가루가 고내로 떨어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넷째, 이너케이스의 상부 및 측면에 결합되는 금속플레이트 중에서, 측면플레이트는 상부플레이트의 양측단에 의해 지지되고, 상부플레이트는 그릴부에 의해 전단이 지지됨에 따라, 각 금속플레이트 간에 결합리브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지지력이 형성됨으로써, 금속플레이트가 이너케이스에 더욱 단단하게 결합되어 고내로 금속플레이트가 떨어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상부플레이트에 형성된 다 수개의 주입홀에 발포제가 주입됨에 따라, 상부플레이트와 이너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발포제가 주입되어, 냉각효율이 높아짐과 동시에 상부플레이트의 중앙부가 무게에 따른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금속플레이트의 전단이 이너케이스의 전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됨에 따라, 냉장실 도어 또는 냉동실 도어가 닫히면서 금속플레이트와 간섭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금속플레이트가 보유하고 있는 냉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고내의 냉기량이 늘어남으로써, 실질적인 냉장고의 단열력이 높아짐에 따라 고내에 저장된 저장물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이너케이스의 내면 후방에 덕트가 형성되고, 추가적으로 이너케이스 상부에 상부덕트가 결합됨에 따라, 고내의 후측과 상측에서 냉기가 2중으로 공급됨에 따라, 고내의 냉기순환이 활발함에 일어나고, 따라서 고내의 저장물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본체의 전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본체 중 후방덕트가 제거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냉장고 본체 중 아우터케이스가 제거된 후방사시도.
도 5는 도 4의 냉장고 본체의 측단면도.
도 6은 도 4의 냉장고 본체 중 상부덕트가 제거된 전방사시도.
도 7은 도 6의 냉장고 본체의 내부의 상측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4의 냉장고 본체의 금속플레이트, 상부덕트 및 그릴부의 분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본체의 구성 중 이너케이스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본체의 구성 중 이너케이스의 상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본체의 구성 중 이너케이스의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본체의 구성 중 금속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13은 금속플레이트의 구성 중 상부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14는 금속플레이트의 구성 중 측면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15는 도 5의 B 부분의 측단면도.
도 16은 도 5의 C 부분의 측단면도.
도 17은 도 5의 D 부분의 정단면도.
도 18은 도 3의 A 부분의 결합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상단면도.
도 20은 도 19의 E 부분의 확대도.
도 21은 도 8의 a-a’ 부분의 단면도.
도 22는 도 21의 F 부분의 확대도.
도 23은 도 22의 c-c’ 부분의 측단면도.
도 24는 도 8의 b-b’ 부분의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흐르는 유로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6은 도 25의 G 부분의 확대도.
도 27은 도 25의 H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이너케이스 전단과 금속플레이트 전단사이의 거리에 따른 단열부하 증가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조나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래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너케이스가 구성하는 공간 중 냉장실의 내면에 금속플레이트(200)가 배치된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냉장고는 냉장실 및 냉동실 어디에도 금속플레이트(200)가 결합 가능하고, 냉장고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게 적용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양 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11) 및 냉동실 도어(12)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에는 저장물의 냉동 저장을 위한 냉동실 및 냉장 저장을 위한 냉장실이 포함되고,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은 상기 냉동실 도어 및 상기 냉장실 도어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저장실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저장박스(14)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저장박스에는 야채 및 과일 등과 같은 저장물이 저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저장실을 다 수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선반(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반(13)에는 저장물이 안착되어 상기 저장실에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도어에는 저장물이 수납되도록 하는 도어 바스켓(15)이 제공될 수 있다.
도면상에 도시된 냉장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도시된 것으로, 도면에 한정되지 않게 상기 도어 바스켓은 냉장실 도어의 양 측에도 모두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저장박스 및 상기 선반은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에 모두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본체의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본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본체의 전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본체 중 후방덕트가 제거된 전방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냉장고 본체 중 아우터케이스가 제거된 후방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냉장고 본체의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4의 냉장고 본체 중 상부덕트가 제거된 전방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냉장고 본체의 내부 상측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4의 냉장고 본체의 금속플레이트, 상부덕트 및 그릴부의 분해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본체(10)의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100),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 내부에 형성된 이너케이스(200),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내면에 부착된 금속플레이트(300),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후면과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의 후면 사이에 배치되어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700), 상기 증발기(7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700)로부터 생성된 냉기에 풍량을 공급하여 냉기를 이동시키는 멀티팬(900), 상기 이너케이스(200) 상부의 전단 및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발기(700)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면을 통해 내부로 공급하는 상부덕트(600), 상기 이너케이스(200) 후측 내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700)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로 공급하는 후방덕트(500) 및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부 내면에 배치된 그릴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는 상기 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로써, 일 예로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는 박스 형태로 내부 공간에 상기 이너케이스(200)가 배치되고, 양 측단 전면에 상기 냉장실 도어(11) 및 냉동실 도어(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00)는 상기 아우터케이스(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냉장실 및 냉동실, 즉 고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너케이스(200)는 고내를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구획할 수 있는 구획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케이스(200)는 플라스틱이 사출되어 전면이 개구된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00)에는 냉장고의 저장박스, 선반 등이 장착될 수 있는 레일 등이 부착되기 위한 돌기나 홈 등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이너케이스(200)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이하 ABS :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금속플레이트(3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금속플레이트(3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부 및 측부 내면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결합되는 내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바스켓 또는 선반 등이 결합되기 위한 레일이 장착되는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된 경우, 상기 금속플레이트에도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플레이트(300)는 스테인리스스틸(STS : Stainless Steel)로 이루어진 클래드(Clad)일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금속플레이트(300)는 전단이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제1 간격(d)만큼 이격된 위치의 상부 및 측부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금속플레이트(300)의 전단이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전단으로부터 제1 간격(d)만큼 이격된 경우의 자세한 결합관계 및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증발기(7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너케이스(200)가 형성한 고내에 공급될 냉기를 생성한다. 상세히,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내부 후단에는 상기 증발기(700)가 형성되고, 상기 증발기(700)의 전방에는 상기 증발기(700)가 외부에서 육안으로 보이지 않도록 커버하는 차폐커버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모터(800)는 상기 증발기(7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700)로부터 생성되는 냉기가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서 원활하게 순환하도록 한다. 상기 증발기(700)로부터 생성된 냉기는 상기 팬모터(800)를 통해 순환하면서 후술할 상부덕트(600) 및 후방덕트(500)를 통해 상기 이너케이스(200)가 형성하는 고내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상부덕트(6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부 전단 및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내부 공간에 냉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부덕트(600)는 내부에 냉기가 흐르는 통로, 즉,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덕트(600)의 일단(601)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전단으로부터 제1 간격(d)만큼 이격된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부 임의의 위치에 결합될 수 있고, 타단(602)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후단 임의의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증발기(700)에서 생성된 냉기는 상기 상부덕트(600)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통해 상기 상부덕트(600)의 타단(602)으로부터 일단(601) 방향으로 가이드되어,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 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이너케이스의 상부에 두 개의 상부덕트가 결합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상부덕트는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이 상기 이너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방덕트(5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후측 내면에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700)가 생성한 냉기를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고내로 공급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후방덕트(5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후측 내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고, 이격된 공간에서 순환하는 냉기를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고내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덕트(500)는 상기 금속플레이트와 가시적인 미관효과를 뛰어나게 할 뿐만 아니라, 냉기 보유력을 오래 지속시키기 위하여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덕트(500)에는 후방에서 흐르는 냉기를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 고내로 공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토출개구(5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부(8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부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그릴부(800)는 전단(810)이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부 내면에 연결되고, 후단(820)은 상기 금속플레이트(300)의 전단이 연결되어, 상기 상부덕트(600)를 통해 공급되는 냉기를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 공간에 분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릴부(800)는 테두리를 이루는 긴 바 형태의 프레임에 장변방향으로 연장된 다 수개의 그릴이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부(800)는 상기 그릴부(800)의 양 측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두 개의 제1 그릴돌출부(830) 및 상기 두 개의 제1 그릴돌출부(830)사이의 위치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2 그릴돌출부(8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릴부(800)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결합관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아래에서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및 상기 금속플레이트(3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본체의 구성 중 이너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상면도이며, 도 11은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본체의 구성 중 금속플레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금속플레이트의 구성 중 상부플레이트의 사시도이며, 도 14는 금속플레이트의 구성 중 측면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3, 도 4, 도 5 및 도 9 내지 14를 참조하면, 상기 이너케이스(200)는 전면이 개구된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이너케이스(200)는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부(210), 상기 상면부(210)의 양 측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두 개의 측면부(220), 상기 상면부(210)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후면부(230) 및 상기 두 개의 측면부(220)와 상기 후면부(230) 각각의 하단을 연결하는 저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플레이트(300)는 상기 상면부(210)의 내면에 결합되는 상부플레이트(310) 및 상기 두 개의 측면부(220) 내면에 각각 결합되는 두 개의 측면플레이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플레이트(310) 및 상기 두 개의 측면플레이트(320)에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에 형성된 다 수개의 결합개구(212, 213, 221, 232)와 결합되기 위한 다 수개의 결합리브(311, 312, 321, 3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금속플레이트(300)에 개구를 형성하지 않고 돌출된 부분을 절곡시켜 결합리브를 형성함으로써, 후에 금속플레이트(300)가 장착된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형성되는 냉기에 따른 습기에 의해 상기 금속플레이트(300)의 개구부분을 통해 상기 금속플레이트(300)에 녹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상면부(210)는 다 수개의 주입홀(211), 제1 결합개구(212), 제2 결합개구(213), 하나 이상의 제1 덕트개구(215), 하나 이상의 제2 덕트개구(214), 그릴고정부(216) 및 그릴삽입구(2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 수개의 주입홀(211)은 상기 상면부(210)를 관통하는 개구 형태로 형성되어, 소량의 발포제가 각각 주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다 수개의 주입홀(211)에 소량의 발포제가 주입되면, 상기 상면부(210)의 하면과 상기 상부플레이트(310) 상면 사이의 공간에 발포제가 충진되고, 발포제에 의해 상기 상부플레이트(310)의 상면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상기 상면부(210) 하면에 부착되게 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310)는 무게가 무거운 금속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만약 발포제가 없다면 상부플레이트(310)의 중앙부가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쳐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 수개의 주입홀(211) 각각에 소정의 발포제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상부플레이트(310)는 쳐지지 않고 상기 상면부(21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 수개의 주입홀(211)은 소량의 발포제가 주입되면, 발포제가 다시 외부로 배출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다 수개의 주입홀(211) 크기는, 상기 다 수개의 주입홀(211)에 주입된 소량의 발포제가 외부로 재배출되어 새지 않도록 하는 크기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발포제가 외부로 새지 않으면서 고내의 단열력을 유지시킴과 동시에, 상부플레이트(310)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면부(210)를 단단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 결합개구(212)는 상기 상면부(210)의 양 측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결합개구(212)는 상기 상면부(210)의 양 측 상면에서 측면 테두리 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결합개구(212)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개구일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개구(213)는 상기 상면부(210)의 후단에서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결합개구(213)는 상기 상면부(210)의 후단 상면에서 후단 테두리 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덕트결합개구(215)는 상기 상면부(210)의 전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상부덕트(600)의 일단(601)이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덕트결합개구(215)는 상기 상부덕트(600)의 일단(60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상면부(210)의 전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덕트결합개구(214)는 상기 상면부(210)의 후단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상부덕트(600)의 타단(602)이 결합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덕트결합개구(214)는 상기 상부덕트(600)의 타단(60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상면부(210)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증발기로부터 생성되는 냉기가 유입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면부(210)의 후단은 지면에 수평한 제1 면(210a)과, 상기 제1 면(210a)으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는 상면절곡부(210b) 및 상기 상면절곡부(210b)로부터 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고, 일단이 상기 후면부(230)의 상단과 연결되는 상면후단부(210c)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덕트결합개구(214)는 상기 상면후단부(210c)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고정부(216)는 상기 상면부(200)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제1 간격(d)만큼 이격된 위치의 상면에 배치되고, 하부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그릴부(800)가 고정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세히, 상기 그릴고정부(216)는 상기 상면부(210)의 전단으로부터 제1 간격(d)만큼 이격된 위치의 양 측단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어, 상기 그릴부(8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그릴고정부(216)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덕트결합개구(215)가 형성된 곳으로부터 측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삽입구(217)는 상기 그릴부(80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로, 상기 상면부(210)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제1 간격(d)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상면부(210)의 전단 테두리를 따라 이격되도록 상기 상면부(210)에 다 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고정부(216)와 상기 그릴삽입구(217)에 상기 그릴부(800)가 결합되는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두 개의 측면부(220)는 제3 결합개구(221) 및 함몰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결합개구(221)는 상기 두 개의 측면부(220)의 전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나 이상의 제3 결합개구(221)는 상기 두 개의 측면부(220)의 전단으로부터 제1 간격(d)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측면부(220)의 전단 테두리 방향을 따라, 즉,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222)는 상기 두 개의 측면부(220)의 내면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함몰부(222)는, 상기 두 개의 측면부(220)가 전단으로부터 제1 간격(d)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외측으로 상기 측면플레이트(320)가 가진 폭의 깊이만큼 절곡되고, 다시 후방으로 절곡됨으로써 상기 측면플레이트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측면플레이트가 삽입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상기 후면부(230)는 제1 결합홈(2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홈(231)은 상기 후면부(231)의 내면 중 상기 측면플레이트(320)의 후단 일부가 배치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결합홈(231)은 상기 후면부(230)의 내면에서 후방 및 하방으로 함몰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금속플레이트(300)의 상기 상부플레이트(310)는 상기 상면부(210)의 전단으로부터 제1 간격(d) 이상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상면부(210)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부플레이트(310)는 전단에서 후단 사이의 길이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면부(210)의 전단에서 후단 사이의 길이보다 짧은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이는 냉장고 도어가 닫히는 경우, 상기 상부플레이트(310)의 전단과 상기 냉장고 도어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상부플레이트(310)는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리브(311) 및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리브(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리브(311)는 상기 상부플레이트(310)의 상면 양 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후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1 결합리브(311)의 개수는 상기 제1 결합개구(212)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결합리브(311)는 상기 상부플레이트(310)의 양 측면 테두리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결합리브(311)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상면부(210)에 형성된 상기 제1 결합개구(212)의 이격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결합리브(311)는 상기 상부플레이트(310)의 양 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311a)와, 상기 제1 돌출부(311a)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된 제1 절곡부(311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절곡부(311b)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중앙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휘어질 수 있고, 휘어진 부분의 일면에는 상기 제1 절곡부(311b)의 연장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제1 절곡부(311b)가 휘지 않도록 강도를 부여하는 제1 강화부(311c)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결합개구(212)에 상기 제1 결합리브(311)가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1 절곡부(311b)가 탈착과정에서 쉽게 휘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결합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제2 결합리브(312)는 상기 상부플레이트(310)의 상면 후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소정의 폭을 가진 후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결합리브(312)는 상기 제2 결합개구(213)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상부플레이트(310)의 후단 테두리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결합리브(312)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상면부(210)에 형성된 상기 제2 결합개구(213)의 이격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 결합리브(312)는 상기 상부플레이트(310)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312a) 및 상기 제2 돌출부(312a)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312b. 312c)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312b, 312c)는 상기 제2 결합리브(312)가 상기 제2 결합개구(213)에 삽입될 때, 탄성변형하여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제2 절곡부(312b, 312c)의 일부는 다 수의 절곡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절곡부(312b, 312c)는 상기 돌출부로부터 후방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절곡되었다가(312b), 다시 상방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절곡(312c)될 수 있다. 이러한 다 수의 절곡부위에 의해 상기 제2 절곡부(312b, 312c)는 상기 제1 돌출부(312a)를 축으로 상하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다.
상기 금속플레이트(300)의 상기 두 개의 측면플레이트(320)는 상기 측면부(220)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제1 간격(d)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측면부(220)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두 개의 측면플레이트(320)는 전단에서 후단 사이의 길이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측면부(220)의 전단에서 후단 사이의 길이보다 제1 간격(d)만큼 짧은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이는 냉장고 도어가 닫히는 경우, 상기 두 개의 측면플레이트(320)의 전단과 상기 냉장고 도어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두 개의 측면플레이트(320)는 각각 하나 이상의 제3 결합리브(321) 및 하나 이상의 제4 결합리브(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결합리브(321)는 상기 측면플레이트(320)가 상기 측면부(220)와 결합되는 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후크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 결합리브(321)의 개수는 상기 제3 결합개구(221)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3 결합리브(321)는 상기 측면플레이트(320)의 일면 전단에서 상기 측면플레이트(320)의 전단 테두리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 결합리브(321)의 이격거리는 상기 측면부(220)에 형성된 상기 제3 결합개구(221)의 이격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3 결합리브(321)는 상기 측면플레이트(320)의 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제3 돌출부(321a) 및 상기 제3 돌출부(321a)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된 제3 절곡부(321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절곡부(321b)의 상부는 상기 측면플레이트(320)의 후방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휘어질 수 있다. 이는, 상기 제3 결합개구(221)에 상기 제3 결합리브(321)가 용이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3 절곡부(321b)가 쉽게 휘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3 결합리브(321)와 상기 제3 결합개구(221)간의 결합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제4 결합리브(322)는 상기 측면플레이트(320)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의 일부가 측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제4 결합리브(322)의 개수는 상기 제1 결합홈(231)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4 결합리브(322)는 상기 측면플레이트(320)의 후단에서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4 결합리브(322)의 이격거리는 상기 후면부(230)의 내면에 형성된 상기 제1 결합홈(231) 간의 이격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4 결합리브(322)는 상기 측면플레이트(320)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제4 돌출부(322a) 및 상기 제4 돌출부(322a)로부터 측방으로 절곡된 제4 절곡부(322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절곡부(322b)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4 돌출부(322a)의 상하길이보다 길 수 있다. 이는 상기 제4 절곡부(322b) 중 상기 제4 돌출부(322a)의 상하 길이보다 긴 부분이 상기 제1 결합홈(23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결합홈(231)의 내면에 간섭됨으로써 외부로 쉽게 탈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4 절곡부(322b)의 하부는 후방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절곡될 수 있는데, 이 역시 상기 제1 결합홈(231)의 내면에 용이하게 결함됨과 동시에 쉽게 휘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래에서는, 상기 이너케이스, 상기 금속플레이트 및 상기 그릴부의 결합관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5는 도 5의 B 부분의 측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5의 C 부분의 측단면도이며, 도 17은 도 5의 D 부분의 정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3의 A 부분의 결합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상단면도이며, 도 20은 도 19의 E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1은 도 8의 a-a’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F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23은 도 22의 c-c’ 부분의 측단면도이며, 도 24는 도 8의 b-b’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24를 참조하면,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기 상면부(210)의 하면에 상기 금속플레이트(300)의 상기 상부플레이트(310)를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플레이트(310)를 상기 상면부(210)의 하면에 배치시킨 뒤 상방으로 밀면, 상기 상부플레이트(310)에 형성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리브(311)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결합개구(212)에 각각 삽입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결합리브(311)의 상기 제1 절곡부(311b)는 상기 상면플레이트(310)의 중앙부로 소정의 각도만큼 휘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결합개구(212)에 상기 제1 절곡부(311b)가 간섭되더라도 상기 제1 절곡부(311b)가 휘어진 경사면을 통해 상기 제1 결합개구(212)에 쉽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리브(312)의 상기 제2 절곡부(312b, 312c)는 상기 상면부(210)의 하면에 눌려짐으로써 일시적으로 하방으로 탄성변형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상부플레이트(310)를 후방으로 밀면 상기 제1 결합리브(311)의 상기 제1 절곡부(311b)가 상기 상면부(210)의 상면 일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2 결합리브(312)의 상기 제2 절곡부(312b)가 상방으로 탄성변형하면서 상기 제2 결합개구(213)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상부플레이트(310)가 상기 상면부(210)의 하면에 1차적으로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상면부(210)의 전단으로부터 제1 간격(d) 이상 이격된 거리에 상기 상부플레이트(310)의 전단이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상면부(210)에 형성된 상기 다 수개의 주입홀(211)에 소량의 발포제를 각각 주입하면, 상기 발포제가 상기 상면부(21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310) 사이의 공간에 주입되어 상기 상면부(21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310)를 2차적으로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두 개의 측면플레이트(320)를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기 두 개의 측면부(220)의 내면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두 개의 측면플레이트(320)를 상기 두 개의 측면부(220) 방향으로 각각 밀면, 각 측면플레이트(320)의 일면 전단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3 결합리브(321)가 각 측면부(220)의 전단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3 결합개구(221)에 각각 삽입되고, 각 측면플레이트(320)의 후단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4 결합리브(322)가 후면부(230)의 내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결합홈(231)에 삽입되어 상기 측면플레이트(320)를 상기 측면부(220)에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측면플레이트(320)의 하단은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서 냉장실과 냉동실을 구획하는 구획벽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두 개의 측면플레이트(320)를 상기 두 개의 측면부(220)에 결합시키면, 상기 제3 결합리브(321)의 상기 제3 돌출부(321a)의 하면 및 상기 제3 절곡부(321b)의 일면이 상기 제3 결합개구(221)의 내주면과 상기 측면부(220)의 타면 일부와 각각 접촉하고, 상기 제4 결합리브(322)의 상기 제4 절곡부(322b)의 휘어진 부분이 상기 제1 결합홈(231)의 하측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측면플레이트(320)가 상기 측면부(220)에 의해 지지된다.
다음으로, 상기 두 개의 측면플레이트(320)의 각 상단은 상기 상부플레이트(310)의 양 측단에 의해 의해 하부에서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플레이트(310)의 양 측단이 상기 두 개의 측면플레이트(320)의 각 상단의 하면에 접촉하여 상기 측면플레이트(320)를 상기 상부플레이트(310)가 지지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부플레이트(310)는, 상기 상면부(210)와 결합될 경우 상기 상면부(210)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상면부(210)의 내면을 차폐하는 제1 면(310a)과, 상기 제1 면(310a)과 평행하고 상기 제1 면(310a)의 연장방향과 반대되는 연장방향을 가지도록 상기 제1 면(310a)의 양 단에서 밴딩된 측단부(310d)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결합리브(311)는 상기 측단부(310d)의 끝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플레이트(320)는, 상기 측면부(220)와 결합될 경우 상기 측면부(220)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측면부(220)의 내면을 차폐하는 제2 면(320a)과, 상기 제2 면(320a)의 상단에서 상기 측면부(220)와 상기 상면부(210)가 연장되는 내면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절곡되는 상단부(320c)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단부(320c)는 상기 제2 면(320a)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상면부(210)와 평행한 형태의 제1 상단부(320d)와, 상기 제1 상단부(320d)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절곡된 제2 상단부(320e)와, 상기 제2 상단부(320e)에서 상기 제1 상단부(320d)와 평행하고, 상기 제1 상단부(320d)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상단부(320f)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3 상단부(320f)와 상기 제2 상단부(320e)가 연결되는 절곡부분에 상기 상부플레이트(310)의 상기 측단부(310d)가 배치되고, 상기 측단부(310d)가 상기 제3 상단부(320f)의 하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310)의 양 측단이 상기 측면플레이트(320)의 상단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릴부(800)는 후단(820)이 상기 상부플레이트(310)의 전단과 연결되고, 전단(810)이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전단과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그릴부(800)의 양 측단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각각 형성된 상기 제1 그릴돌출부(830)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전단으로부터 제1 간격(d)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양 측단 상면에 각각 배치되어 하부에 홈이 형성된 상기 그릴고정부(216)에 끼움결합 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제1 그릴돌출부(830)의 외면 일부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제1 홈(830a)이 형성되고, 상기 그릴고정부(216)에 형성된 홈, 즉 상기 그릴고정부(216)의 내면 일부에는 상기 제1 홈(830a)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1 돌기(216a)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그릴돌출부(830)가 상기 그릴고정부(216)의 내면에 끼움결합될 때, 상기 제1 홈(830a)에 상기 제1 돌기(216a)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 그릴돌출부(830)가 상기 그릴고정부(216)에 고정되고, 이에 따라 상기 상면부(210) 하면에 상기 그릴부(80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그릴돌출부(830) 사이에서 상기 그릴부(800)의 전단테두리 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다 수개의 제2 그릴돌출부(840)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면부(210)에 형성된 다 수개의 그릴삽입구(217)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상기 그릴부(800)가 상기 상면부(210)의 하면에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릴부(800)의 후단(820)과 상기 상면부(210)의 하면 사이에는 상하간격이 존재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310)의 전단이 상기 그릴부(800)의 후단 상면에 접촉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부플레이트(310)는 상기 제1 면(310a)과, 상기 제1 면(310a)의 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연장부(310b)와, 상기 제1 연장부(310b)로부터 상기 제1 면(310a)과 평행하고 전방으로 절곡된 제1 전단부(310c)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전단부(310c)가 상기 그릴부(800)의 후단과 상기 상면부(210)의 하면 사이의 이격공간에 배치될 수 있고, 상세히 상기 제1 전단부(310c)의 하면이 상기 그릴부(800)의 후단(820)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그릴부의 후단(8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요약하면, 상기 측면플레이트(320)는 상기 제3 결합리브(321) 및 상기 제4 결합리브(322)에 의해 측면부(220)에 결합되고, 상기 구획벽에 하단이 안착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310)의 양 측단에 상단이 안착되어 지지됨으로써, 상기 측면부(220)에 단단하게 결합되어 금속의 무게에 따른 하중에 의해 이격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플레이트(31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면부(210)에 제1 결합리브(212), 제2 결합리브(213) 및 주입홀(211)을 통해 주입된 발포제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그릴부(800)의 후단(820)에 전단이 안착되어 지지됨으로써, 상기 상면부(210)에 단단하게 결합되어 금속의 무게에 따른 하중에 의해 쳐지거나 이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의 결합관계와 지지관계에 의해 상기 금속플레이트(300)가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면에 단단하게 밀착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측면부(220)의 내면에는, 상기 측면플레이트(320)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측면플레이트(3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함몰된 함몰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함몰부(222)의 함몰 깊이는 상기 측면플레이트(320)의 폭과 동일한 깊이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측면플레이트(320)는 상기 측면부(220)의 함몰부(2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부(3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측면플레이트(320)는 상기 제2 면(320a)으로부터 상기 제2 면(320a)과 평행하고 상기 제2 면(320a)의 연장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밴딩된 제2 전단부(32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플레이트(320)가 상기 측면부(220)의 내면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함몰부(222)의 내면과 상기 제2 전단부(320b)의 일면이 접촉하게 되고, 상기 제2 전단부(320b)의 폭만큼 상기 측면플레이트(320)와 상기 측면부(2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측면플레이트(320)와 상기 측면부(2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후에 발포재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함몰부(222)에 상기 측면플레이트(310)가 삽입되어 상기 측면부(22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측면부(220)의 내면과 상기 측면플레이트(320)의 내면은 절곡된 부분이나 이격된 부분없이 스무스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면플레이트(310)와 측면부(220)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처럼 보이는 미관효과가 있다.
이상 상기 이너케이스, 상기 금속플레이트 및 상기 그릴부의 결합관계를 기술하였다. 아래에서는 상기 이너케이스, 상기 상부덕트 및 상기 후방덕트의 결합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흐르는 유로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6은 도 25의 G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27은 도 25의 H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 도 7, 도 25 내지 27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덕트(6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기 상면부(210)에 형성된 제1 덕트결합개구(215)에 일단(601)이 결합되고, 상기 제2 덕트결합개구(214)에 타단(602)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덕트(600)가 상기 상면부(210)에 결합되면, 상기 상부덕트(600)의 내부에는 일단(601)으로부터 타단(602)까지 통로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 덕트결합개구(214)로부터 상기 통로를 통해 상기 제1 덕트결합개구(215)까지 냉기가 흐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덕트(600)의 일단(601)이 결합되는 상기 제1 덕트결합개구(215) 및 상기 제2 덕트결합개구(214)의 하측에 상기 그릴부(8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그릴부(800)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기 상면부(210)에 결합되는 상세한 구성은 전술한 바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제2 덕트결합개구(215)로부터 상기 제1 덕트결합개구(214)까지 가이드된 냉기는 상기 그릴부(800)를 통해 고내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덕트(5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기 후면부(230)와 평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후면부(230)로부터 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후방덕트(500)는 상기 후면부(230)의 내면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차폐함과 동시에, 상기 이너케이스(200)와 상기 후방덕트(500) 사이의 공간을 통해 냉기가 흐르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후방덕트(500)의 상세한 구성은 전술한 바, 생략한다.
아래에서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상기 후방덕트(500) 및 상기 상부덕트(600)의 결합에 따른 냉기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증발기로부터 생성된 냉기는 상기 증발기의 상부에 배치된 멀티팬에 의해 상기 후방덕트(500) 및 상기 이너케이스(200) 사이의 공간으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후방덕트(500) 및 상기 이너케이스(200) 사이의 공간으로 공급된 냉기의 일부는 상기 후방덕트(50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토출개구(510)를 통해 전방으로 토출되면서 고내에 공급된다.
또한, 나머지 냉기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면부(210) 후단에 형성된 상기 제2 덕트결합개구(214)로 이동하고, 상기 제2 덕트결합개구(214)에 결합된 상기 상부덕트(600)의 타단(602)으로 가이드된다. 상기 상부덕트(600)의 타단(602)으로 가이드된 냉기는 상부덕트(600) 내부에 형성된 통로를 통해 상기 상부덕트(600)의 일단(601)으로 가이드되고, 상기 상부덕트(600)의 일단(601)이 결합된 상기 제1 덕트결합개구(215) 및 상기 그릴부(800)를 통해 고내로 토출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고내에 후방 및 상방에서 냉기가 2중으로 공급되어, 냉장고 도어에 배치된 저장물도 충분한 냉기를 공급받아 신선함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금속플레이트가 이너케이스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이너케이스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제1 간격만큼 이격된 영역에 상기 금속플레이트의 전단이 배치되는데, 상기 제1 간격에 따른 단열부하 증가율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이너케이스 전단과 금속플레이트 전단사이의 거리에 따른 단열부하 증가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그래프에서 X축은 제1 간격의 길이를 의미하고, Y축은 단열부하 증가율의 측정값을 의미한다.
상기 단열부하 증가율이란, 외부의 열을 차단하거나,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부하의 증가율을 뜻하는 것으로, 단열부하 증가율이 낮을수록 단열성이 뛰어나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8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상기 금속플레이트의 전단과 상기 이너케이스의 전단 사이의 제1 간격(d)이 0mm인 경우, 즉, 금속플레이트의 전단과 상기 이너케이스 전단이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평균 단열부하 증가율은 2.80%로 측정되었다. 그러나, 상기 제1 간격(d)이 2mm인 경우, 평균 단열부하 증가율은 1.70%로 동일한 경우에 비해 낮게 측정되었다. 상기 제1 간격(d)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평균 단열부하 증가율이 낮아졌고, 실제로 제1 간격(d)의 길이가 12mm인 경우 평균 단열부하 증가율이 1% 이하로 측정되었고, 40mm인 경우에는 0.75%로 측정되었다. 이는, 금속플레이트의 전단과 이너케이스의 전단 사이의 간격이 좁을수록 냉장고 도어가 닫히는 경우, 금속플레이트의 전단과 냉장고 도어가 맞물리게 되고, 이에 따라 금속플레이트가 보존하고 있는 냉기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른 결과로 확인된다.
그러나, 제1 간격(d)이 40mm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평균 단열부하 증가율이 다시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실제로, 제1 간격(d)이 45mm인 경우에는 평균 단열부하 증가율이 1.0%를 초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금속플레이트의 전단과 이너케이스 전단 사이의 거리가 일정간격 이상 벌어지게 되면, 금속플레이트의 면적이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금속플레이트에 보존되는 냉기량이 줄어듬에 따라, 단열성은 유지되나, 고내의 냉기량이 줄어듬에 따른 결과로 확인된다.
따라서, 제1 간격(d)은 12 내지 40mm일 때 가장 뛰어난 단열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에서는, 각 구성이 모두 포함된 냉장고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이 드러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각 구성이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Claims (27)

  1. 아우터케이스;
    상기 아우터케이스 내부에 형성되어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이너케이스; 및
    상기 이너케이스의 상부 및 양측 내면에 결합되는 금속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금속플레이트는 전단이 상기 이너케이스의 전단으로부터 제1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이너케이스의 상부 및 양측 내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케이스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금속플레이트의 전단까지 이격된 거리는 12 내지 4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 및
    전단에는 상기 이너케이스의 상부 내면이 연결되고, 후단에는 상기 금속플레이트의 전단이 연결되도록 배치된 그릴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케이스는
    상면부;
    상기 상면부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두 개의 측면부;
    상기 상면부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된 후면부; 및
    상기 측면부와 상기 후면부의 하단을 연결하는 저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플레이트는 상기 상면부 및 상기 두 개의 측면부 내면에 결합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플레이트는,
    상기 상면부의 내면에 결합되는 상부플레이트; 및
    상기 두 개의 측면부 내면에 각각 결합되는 두 개의 측면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부는,
    상기 상면부의 전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로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는,
    상기 상면부와 평행한 제1 면;
    상기 제1 면의 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된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로부터 상기 제1 면과 평행하도록 전방으로 절곡되도록 연장된 제1 전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릴부의 후단 상면은 상기 제1 전단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부의 양측 상면에는 상부로 돌출되고, 외주면의 일부에 제1 홈이 존재하는 그릴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부의 양측에는 상기 그릴돌출부에 형성된 홈에 대응되는 제1 돌기가 내주면에 형성된 그릴고정부가 형성되어,
    상기 그릴돌출부가 상기 그릴고정부에 삽입되면 상기 제1 홈에 상기 제1 돌기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그릴부가 상기 상면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부로부터 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로부터 생성된 냉기를 이너케이스 내부로 공급하는 후방덕트; 및
    상기 상면부의 전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영역 및 후단에 일단 및 타단이 결합되고,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통로가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상부덕트를 포함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는,
    전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영역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덕트결합개구; 및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증발기로부터 생성된 냉기가 유입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덕트결합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상부덕트의 일단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덕트결합개구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덕트결합개구에 각각 결합되어, 냉기가 상기 제1 덕트결합개구, 상기 상부덕트의 통로 및 상기 제1 덕트결합개구를 통해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부는 상기 상면부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덕트결합개구가 형성된 위치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덕트결합개구를 통해 공급되는 냉기가 상기 그릴부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는,
    상면;
    상기 상면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된 상면절곡부;
    상기 상면절곡부로부터 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고, 일단이 상기 후면부와 연결되는 상면후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덕트결합개구는 상기 상면후단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측면부는 내면의 일부에 상기 측면플레이트의 폭만큼 함몰된 함몰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측면플레이트가 상기 두 개의 측면부에 각각 결합되면, 상기 두 개의 측면플레이트는 상기 함몰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측면플레이트는,
    상기 측면부와 평행한 제2 면; 및
    상기 제2 면과 평행하고 연장방향이 반대되도록 상기 제2 면의 양 단에서 밴딩된 제2 전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플레이트가 상기 측면부에 결합하면, 상기 제2 전단부의 일면이 상기 함몰부의 내면에 접촉하는 냉장고.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덕트를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냉기가 토출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토출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아우터케이스;
    상기 아우터케이스 내부에 형성되어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이너케이스; 및
    상기 이너케이스의 상부 및 양측 내면에 결합되는 금속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이너케이스는,
    상부에 형성되어 발포제가 주입되는 다 수의 주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다 수의 주입홀로 발포제를 각각 주입하면, 상기 이너케이스의 상부와 상기 상부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발포제를 충진되어 상기 이너케이스의 상부 내면과 상기 상부플레이트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다 수의 주입홀은 발포제가 주입되면 외부로 재배출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케이스는
    상기 주입홀이 형성된 상면부;
    상기 상면부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두 개의 측면부;
    상기 상면부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된 후면부; 및
    상기 측면부와 상기 후면부의 하단을 연결하는 저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플레이트는,
    상기 상면부의 내면에 결합되는 상부플레이트; 및
    상기 두 개의 측면부 내면에 각각 결합되는 두 개의 측면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냉장고.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측면플레이트 상단은 상기 상부플레이트 양 측단에 의해 하부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는,
    상기 상면부와 평행한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평행하고 연장방향이 반대되도록 상기 제1 면의 양 단에서 밴딩된 측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플레이트는,
    상기 측면부와 평행한 제2 면;
    상기 제2 면의 상단에서 상기 측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연장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절곡된 상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부의 하면 일부가 상기 측단부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플레이트의 상단부는,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상단부;
    상기 제1 상단부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절곡된 제2 상단부; 및
    상기 제2 상단부의 일단에서 상기 제1 상단부의 연장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3 상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단부는 상기 제3 상단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는,
    양 측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결합개구; 및
    후단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 결합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는,
    양 측에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리브; 및
    후단에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리브를 포함하는 냉장고.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리브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양 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된 제1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절곡부의 일부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중앙방향으로 일정각도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리브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절곡부는 상기 제2 돌출부를 축으로 상하방향 탄성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5.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측면부에는 전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하나 이상의 제3 결합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부에는 내면의 상기 두 개의 측면플레이트의 후단이 배치되는 위치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제1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플레이트는,
    전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일면에서 돌출된 하나 이상의 제3 결합리브; 및
    후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제4 결합리브를 포함하는 냉장고.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결합리브는,
    상기 측면플레이트의 전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제3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된 제3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절곡부의 일부는 후방으로 일정각도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결합리브는,
    상기 측면플레이트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제4 돌출부; 및
    상기 제4 돌출부로부터 측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결합홈에 끼움결합될 수 있는 제4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절곡부는 후방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50120181A 2015-08-26 2015-08-26 냉장고 KR101872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181A KR101872074B1 (ko) 2015-08-26 2015-08-26 냉장고
EP16185444.3A EP3144612B1 (en) 2015-08-26 2016-08-24 Refrigerator
EP17203206.2A EP3321616B1 (en) 2015-08-26 2016-08-24 Refrigerator
EP19171947.5A EP3553429B1 (en) 2015-08-26 2016-08-24 Refrigerator
US15/248,096 US10386108B2 (en) 2015-08-26 2016-08-26 Refrigerator having outer case and inner case for distributing cool air
CN201610730844.0A CN106482424B (zh) 2015-08-26 2016-08-26 冰箱
US16/503,111 US11346592B2 (en) 2015-08-26 2019-07-03 Refrigerator having outer case and inner case for distributing cool 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181A KR101872074B1 (ko) 2015-08-26 2015-08-26 냉장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586A Division KR101884588B1 (ko) 2018-01-29 2018-01-29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765A true KR20170024765A (ko) 2017-03-08
KR101872074B1 KR101872074B1 (ko) 2018-06-27

Family

ID=56799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0181A KR101872074B1 (ko) 2015-08-26 2015-08-26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386108B2 (ko)
EP (3) EP3553429B1 (ko)
KR (1) KR101872074B1 (ko)
CN (1) CN1064824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77517B1 (en) * 2019-06-28 2020-06-09 Whirlpool Corporation Cross member for an insulated structure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2688A (en) * 1974-06-13 1975-03-25 Whirlpool Co Refrigeration apparatus divider wall mounting means
JPS616172U (ja) * 1984-06-15 1986-01-14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冷蔵庫
JPH11101573A (ja) * 1997-09-26 1999-04-13 Sanyo Electric Co Ltd 冷蔵庫
JP2001108359A (ja) * 1999-10-01 2001-04-20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JP2003083664A (ja) * 2001-09-07 2003-03-19 Sanyo Electric Co Ltd 冷蔵室の天面ダクト開閉機構
JP4093973B2 (ja) * 2004-03-09 2008-06-04 三洋電機株式会社 冷蔵庫
KR20080087326A (ko) * 2007-03-26 2008-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090080618A (ko) * 2008-01-22 2009-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40009647A (ko) * 2012-07-12 2014-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85947A (en) * 1940-02-21 1942-06-09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Refrigeration apparatus
US2310117A (en) * 1941-04-25 1943-02-02 Gen Motors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US2432042A (en) * 1945-10-15 1947-12-02 Seeger Refrigerator Co Refrigerator cabinet construction having means to restrict moisture in the walls of the cabinet
US2957320A (en) * 1959-09-28 1960-10-25 Gen Motors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with magnetic door seal actuated switch
US3440308A (en) * 1965-09-09 1969-04-22 Gen Electric Method of making a refrigerator cabinet assembly
US4369632A (en) * 1979-12-07 1983-01-25 Tyler Refrigeration Corporation Refrigerated merchandiser display case
JPS616172A (ja) 1984-06-20 1986-01-11 株式会社日本製鋼所 射出成形用セラミツクス組成物
FR2639424A1 (fr) * 1988-11-24 1990-05-25 Salaberry Bernard De Meubles de conservation de produits par le froid
JPH0493973A (ja) 1990-08-07 1992-03-2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のクリーニング装置
JPH07269779A (ja) * 1994-03-28 1995-10-20 Toshiba Corp 断熱筐体及び真空断熱パネルの製造方法
JPH0861824A (ja) * 1994-08-26 1996-03-08 Sanyo Electric Co Ltd 冷却貯蔵庫
US5784896A (en) * 1996-10-18 1998-07-28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Freezer or refrigerator construction suitable for food service use
AUPQ459699A0 (en) * 1999-12-09 2000-01-13 Orford Pty Ltd Improved airflow arrangement for a refrigerator
SG106619A1 (en) * 2000-07-21 2004-10-29 Fujitsu General Ltd Electric refrigerator
US6422031B1 (en) * 2001-08-15 2002-07-23 Maytag Corporation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impingement cooling system
JP4869650B2 (ja) 2005-07-28 2012-02-08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箱状組立体における板金結合構造
JP2007064536A (ja) * 2005-08-30 2007-03-15 Hoshizaki Electric Co Ltd 冷却貯蔵庫
US8500225B2 (en) * 2007-03-26 2013-08-06 Lg Electronics Inc. Reinforcing component for refrigerator
KR20100111481A (ko) * 2009-04-07 2010-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20130086936A1 (en) * 2009-12-31 2013-04-1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JP5310929B1 (ja) * 2012-06-20 2013-10-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断熱壁、断熱箱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9132592B2 (en) * 2012-11-19 2015-09-15 General Electric Company Appliance with expanding foam material
US9861213B2 (en) * 2014-11-13 2018-01-09 The Vollrath Company, L.L.C. Forced cold air well with false bottom insert
US9593879B2 (en) * 2015-03-17 2017-03-14 Whirlpool Corporation U-shaped tuck shelf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2688A (en) * 1974-06-13 1975-03-25 Whirlpool Co Refrigeration apparatus divider wall mounting means
JPS616172U (ja) * 1984-06-15 1986-01-14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冷蔵庫
JPH11101573A (ja) * 1997-09-26 1999-04-13 Sanyo Electric Co Ltd 冷蔵庫
JP2001108359A (ja) * 1999-10-01 2001-04-20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JP2003083664A (ja) * 2001-09-07 2003-03-19 Sanyo Electric Co Ltd 冷蔵室の天面ダクト開閉機構
JP4093973B2 (ja) * 2004-03-09 2008-06-04 三洋電機株式会社 冷蔵庫
KR20080087326A (ko) * 2007-03-26 2008-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090080618A (ko) * 2008-01-22 2009-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40009647A (ko) * 2012-07-12 2014-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86108B2 (en) 2019-08-20
KR101872074B1 (ko) 2018-06-27
EP3144612B1 (en) 2018-06-13
EP3553429B1 (en) 2021-09-29
EP3144612A3 (en) 2017-06-14
US11346592B2 (en) 2022-05-31
EP3321616A1 (en) 2018-05-16
US20190323759A1 (en) 2019-10-24
EP3321616B1 (en) 2019-07-31
CN106482424B (zh) 2019-06-07
CN106482424A (zh) 2017-03-08
EP3553429A1 (en) 2019-10-16
EP3144612A2 (en) 2017-03-22
US20170059229A1 (en)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7897B1 (ko) 냉장고
KR101872074B1 (ko) 냉장고
KR101979951B1 (ko) 냉장고
KR101884588B1 (ko) 냉장고
KR101410755B1 (ko) 냉장고의 저장바스켓
US11015860B1 (en) Door bins and door liner interface
KR20100022742A (ko) 냉장고
KR100798941B1 (ko) 냉장고용 야채박스
KR100651308B1 (ko) 냉장고
JP2003240428A (ja) 貯蔵庫
US20240053080A1 (en) Refrigerator
KR20070118790A (ko) 냉장고의 선반
JP2000009376A (ja) 貯蔵庫の配管構造
KR101554038B1 (ko) 냉장고
JP2012102898A (ja) 冷蔵庫
KR20210058214A (ko) 냉장고
KR20230133717A (ko) 수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EP1629239A1 (en) Arrangement for air distribution in a freezer compartment
EP1197713A1 (en) Refrigeration cabinet with internal food storage liner
JPH09159335A (ja) 冷凍冷蔵庫
KR20210058220A (ko) 냉장고
JP3032306B2 (ja) 冷蔵庫
JPH0633931B2 (ja) 引出式扉を有した冷蔵庫
JPH04124580A (ja) 冷蔵庫
JPH06123552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