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3810A - 브레이징용 Ni기 비정질 합금 리본 및 그것을 사용한 스테인리스강제 접합물 - Google Patents

브레이징용 Ni기 비정질 합금 리본 및 그것을 사용한 스테인리스강제 접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3810A
KR20170023810A KR1020167034123A KR20167034123A KR20170023810A KR 20170023810 A KR20170023810 A KR 20170023810A KR 1020167034123 A KR1020167034123 A KR 1020167034123A KR 20167034123 A KR20167034123 A KR 20167034123A KR 20170023810 A KR20170023810 A KR 20170023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bon
brazing
present
stainless steel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4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토 요시자와
세이신 우에다
Original Assignee
히타치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23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81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33Ni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23K35/304Ni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with Cr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33Ni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004Resistance sold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008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23K1/0012Brazing heat exch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02Soldering by means of induction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9/00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 C22C19/03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 C22C19/05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9/00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 C22C19/03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 C22C19/05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 C22C19/051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and Mo or W
    • C22C19/055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and Mo or W with the maximum Cr content being at least 20% but less than 3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9/00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 C22C19/03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 C22C19/05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 C22C19/058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without Mo and W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45/00Amorphous alloys
    • C22C45/04Amorphous alloys with nickel or cobalt as the major constitu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06Veh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종래의 브레이징용 Ni기 비정질 합금 리본의 조성을 개량하고, 리본을 제조할 때의 주조 노즐의 폐색 및 취화를 억제함으로써 가공성을 개선하는 것, 및 열교환기 등에 사용되는 스테인리스강제 접합물의 내식성 및 접합강도를 개선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성식:Ni100 -d-x-y-z-f-gCrdPxSiyBzCfNg(질량%로, 22.00≤d≤29.00, 4.00≤x≤8.00, 1.00≤y≤7.00, 0<z≤0.20, 0.005≤f≤0.100, 0.001≤g≤0.050 및 7.00≤x+y≤13.00임)으로 표시되는 조성을 가지고 이루어지는 브레이징용 Ni기 비정질 합금 리본 및 그것을 사용하여 브레이징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스테인리스강제 접합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브레이징용 Ni기 비정질 합금 리본 및 그것을 사용한 스테인리스강제 접합물{Nickel-based amorphous alloy ribbon for brazing, and stainless steel joined object using same}
본 발명은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제 부재의 브레이징에 적합한 브레이징용 Ni기 비정질 합금 리본에 관한 것이며, 또한 그것을 사용한 스테인리스강제 접합물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자동차 등의 배기가스 재순환장치(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의 열교환기(EGR 쿨러) 등에 있어서 오스테나이트계나 페라이트계 등의 스테인리스강제 부재의 브레이징에 의한 접합 구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저비용화를 목적으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이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종래 전술한 스테인리스강제 부재의 브레이징에 사용되는 경납은 오로지 Ni(니켈)기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Ni기 합금 분말 및 Ni기 비정질 합금 리본이 있다. 분말상의 경납은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사용 시에 통상 페이스트화된다. 리본형상의 경납은 페이스트화될 필요는 없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간편하다. 또한 분말을 포함하는 페이스트화된 경납에 비해 리본형상의 경납은 용융이 빠르고, 유동성이 좋아 습윤 확산성 및 침투성이 높으며, 불순물 및 기포의 혼입이 적고, 프레스, 벤딩 및 절단 등의 기계적 가공이 용이하며, 예를 들면 코일형상으로 감음으로써 연결 공급이나 자동 공급이 용이하고, 브레이징을 행하는 노(爐)의 내부 오염이 적어 노의 수명이 길며, 또한 비산에 의한 건강피해 리스크가 작다는 등의 이점이 있어 그 유효성은 높다.
일반적으로 Ni기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경납은 주성분인 Ni에 대해 내식성 향상을 목적으로 Cr(크롬)을 첨가한 것이나 브레이징 온도를 낮추기 위해서 저융점화를 목적으로 B(보론 또는 붕소)나 P(인)를 첨가한 것이 있다. 예를 들면 JIS나 AWS로 규격화되어 있는 표 1에 나타내는 BNi-2는 B를 포함하는 대표적인 Ni기 경납이며, BNi-7은 P를 포함하는 대표적인 Ni기 경납이다. 또한 BNi-5는 Si(규소)를 포함하는 대표적인 Ni기 경납이며, B나 P를 거의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융점이 높고 또한 비교적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는다.
Figure pct00001
또한 전술한 BNi-5계의 조성에 비정질 형성능을 갖는 B를 첨가하여 비정질 합금화한 리본형상의 경납과, 추가로 P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타원소를 함유하는 리본형상의 경납이 실용화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스테인리스강의 브레이징에 유용한 것으로서 Ni-Cr-Si-B계의 유리질 연성 Ni기 브레이징 포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Ni-Cr-Si-B-P계 및 Ni-Cr-Si-B-P-M1(M1은 Fe(철), Co(코발트)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M2(M2는 Mo(몰리브덴), Nb(니오브), Ta(탄탈), W(텅스텐), Cu(구리)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C(탄소)계의 비정질 연성 Ni기 브레이징 포일과, 상기 브레이징 포일을 사용해서 스테인리스강제 부품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열교환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Ni-Cr-Si-B-P-Fe계의 유리질 연성 Ni기 브레이징 포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4에는 Ni-Cr-Si-B-P-Fe-Mo-Cu계의 무정형 전성(展性) 브레이징용 합금 포일 및 상기 브레이징용 합금 포일을 사용해서 스테인리스강제 부품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열교환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B는 불순물 원소로서 간주되어 실질적으로 B를 함유하고 있지 않은 경납도 있고, 분말, 포일 또는 봉 등의 형태로 사용 가능하여 스테인리스강의 브레이징에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5에는 Ni-Cr-Si-P계 및 Ni-Cr-Si-P-Mo계의 Ni기 내열경납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6에는 Ni-Cr-Si-P-M3(M3는 Al(알루미늄), Ca(칼슘), V(바나듐) 및 미쉬 메탈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계, 및 이 계에 대해서 추가로 Fe, Co 및 Mo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조성계의 Ni기 내열경납이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4543135호 명세서(청구항 1, 5) 일본국 특허공표 제2011-501700호 공보(청구항 1, 2, 26) 미국 특허 제4302515호 명세서(청구항 1, 3) 일본국 특허공표 제2009-545451호 공보(청구항 8, 19, 33) 일본국 특허공개 평9-225679호 공보(청구항 1, 2,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2-144080호 공보(청구항 1, 2,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전술한 바와 같이 각종 경납이 알려져 있는데, 예를 들면 BNi-2에는 저Cr이기 때문에 부식을 일으키기 쉽고, 습윤 확산성이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으며, 또한 기재(스테인리스강)로의 B의 확산에 기인하여 기재의 강도 및 내식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는 등의 문제나 불만이 있다. 또한 BNi-5에는 유동성 및 습윤 확산성이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고, 용융된 경납의 접합부로의 침투 부족에 기인하여 접합 불량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브레이징 온도가 비교적 고온이기 때문에 기재(스테인리스강)의 결정립의 조대화에 기인하여 기재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는 등의 문제나 불안이 있다. 또한 BNi-7에는 BNi-2나 BNi-5에 비해 접합강도가 낮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Ni기 비정질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리본형상의 경납은 분말상의 경납보다도 사용하기 쉽고, 비정질화 및 저융점화를 위해 B를 많이 포함하는 것이 많다. 이 B에 관하여는 최근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이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여기서 경납에 포함되는 B는 기재(스테인리스강)에 확산되어 Cr 붕화물을 생성하고, 이 Cr 붕화물의 생성에 의한 주위 Cr 농도의 저하에 기인하여 기재가 부식되는 문제가 중요시되게 되었다. 이 대책으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5 및 6에 개시되는 Ni-Cr-Si-P계, Ni-Cr-Si-P-Mo계, 또는 Ni-Cr-Si-P-M3(M3는 Al, Ca, V 및 미쉬 메탈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계의 조성을 가지고 이루어지는 경납이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5 및 6에 개시되는 경납은 리본형상의 경납을 제조하기 위한 비정질화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같은 조성의 용융 금속을 사용하여 리본형상으로 형성하려고 해도 주조 노즐의 폐색이 일어나기 쉬워져 리본형상으로 형성하기 어렵고, 설령 리본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었다고 하더라도 취화(脆化)에 의한 붕괴나 표면 거칠기가 큰 것에 기인하는 브레이징 강도 저하 등의 문제가 있다. 즉, 종래 경납에 포함되는 B의 확산에 기인하는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의 부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Ni기 비정질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리본형상의 경납은 실용화되어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조 노즐이 폐색되기 어렵고, 리본이 취화되지 않아 인성이 우수하며, 또한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의 부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브레이징용 Ni기 비정질 합금 리본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그 브레이징용 Ni기 비정질 합금 리본을 사용한 접합강도가 높은 스테인리스강제 접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과제에 대해서 검토하여, 주성분인 Ni에 대한 Cr, P, Si, B, C 및 N의 함유량의 균형이 비정질화, 리본의 인성, 주조 노즐의 폐색, 브레이징부의 접합강도 및 그 근방의 내식성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상도하였다.
즉, 본 발명은 조성식:Ni100 -d-x-y-z-f-gCrdPxSiyBzCfNg(질량%로, 22.00≤d≤29.00, 4.00≤x≤8.00, 1.00≤y≤7.00, 0<z≤0.20, 0.005≤f≤0.100, 0.001≤g≤0.050 및 7.00≤x+y≤13.00임)으로 표시되는 조성을 가지고 이루어지는 브레이징용 Ni기 비정질 합금 리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0.01≤z≤0.1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7.00≤x+y≤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Ni의 일부를 10.00 질량% 이하의 Mo로 치환할 수 있다.
또한 Ni의 일부를 5.00 질량% 이하의 Cu로 치환할 수 있다.
또한 Ni의 일부를 1.00 질량% 이하의 V, Nb 및 Ta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원소로 치환할 수 있다.
또한 Ni의 일부를 25.00 질량% 이하의 Fe로 치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00 질량% 이하의 Mo, 상기 1.50 질량% 이하의 Cu, 상기 1.00 질량% 이하의 V, Nb 및 Ta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원소, 및 상기 25.00 질량% 이하의 Fe 중 2종 또는 2종 이상의 원소를 선택하여 Ni의 일부와 치환할 수 있다.
또한 액상선 온도(TL)가 900℃에서 1,05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브레이징용 Ni기 비정질 합금 리본을 사용하여 브레이징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스테인리스강제 접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브레이징용 Ni기 비정질 합금 리본은 그 조성을 가지고 이루어지는 용융 금속(용탕)을 사용함으로써 주조 노즐의 폐색을 저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비정질화를 안정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인성이 향상되어 리본의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브레이징용 Ni기 비정질 합금 리본을, 예를 들면 열교환기 등에 사용되는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의 브레이징에 적용시킴으로써, 브레이징 후의 기재(스테인리스강)의 접합부 근방의 내식성 및 접합강도가 양호한 스테인리스강제 접합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중요한 특징은 브레이징용 Ni기 비정질 합금 리본을 이루는 조성의 균형에 있고, 주성분인 Ni에 대한 Cr, P, Si, B, C 및 N의 함유량의 균형을 적정화한 것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브레이징용 Ni기 비정질 합금 리본(이하, 「본 발명의 리본」이라 한다.)은 조성식:Ni100 -d-x-y-z-f- gCrdPxSiyBzCfNg(질량%로, 22.00≤d≤29.00, 4.00≤x≤8.00, 1.00≤y≤7.00, 0<z≤0.20, 0.005≤f≤0.100, 0.001≤g≤0.050 및 7.00≤x+y≤13.00임)으로 표시되는 조성을 가지고 이루어진다.
아래에 본 발명의 리본에 있어서 주성분인 Ni(니켈)에 대해 첨가하는 각 원소의 함유 균형을 적정화하기 위한 각 첨가 원소의 함유량의 범위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리본에 포함되는 Ni를 제외한 원소(첨가 원소)의 주된 유효성 및 유해성을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각 첨가 원소의 함유 균형이 적정화된 리본」이란, 예를 들면 표 2에 나타내는 「목적으로 하는 작용 효과 등」을 얻는 관점에서 각 첨가 원소의 함유량을 선택적으로 조정한 결과, 그 목적으로 하는 작용 효과 등을 얻을 수 있었던 조성을 가지고 이루어지는 리본을 의도한다.
Figure pct00002
표 2에 있어서, 예를 들면 리본 제조의 용이성을 높이는 경우는 (가)~(다)의 작용 효과를 얻는 관점에서 각 첨가 원소 및 그의 함유량을 선택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관점에서 (가)를 고려할 때 B나 P를 적정하게 포함하면 상당히 유효하고, Si나 Cr을 적정하게 포함하면 약간 유효하다. 또한 (나)를 고려할 때 B나 P를 적정하게 포함하면 상당히 유효하고, Si를 적정하게 포함하면 약간 유효하지만, Cr을 포함하면 유해 또는 유해의 가능성이 있다. 또한 (다)를 고려할 때 B를 적정하게 포함하면 상당히 유효하고, P 및 Si를 적정하게 포함하면 약간 유효하지만, Cr을 포함하면 유해 또는 유해의 가능성이 있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브레이징의 용이성을 높이는 경우에는 (라) 또는 (마)의 작용 효과를 얻는 관점에서 각 첨가 원소 및 그의 함유량을 선택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관점에서 (라)를 고려할 때 B와 Si를 적정하게 포함하면 상당히 유효하고, P나 C를 적정하게 포함하면 약간 유효하다. 또한 (마)를 고려할 때 P를 적정하게 포함하면 상당히 유효하고, B를 적정하게 포함하면 유효하며, Si 및 C를 적정하게 포함하면 약간 유효하지만, Cr을 포함하면 유해 또는 유해의 가능성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브레이징 접합부의 신뢰성을 높이는 경우에는 (바) 또는 (사)의 작용 효과를 얻는 관점에서 각 첨가 원소 및 그의 함유량을 선택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관점에서 (바)를 고려할 때 Cr을 적정하게 포함하면 상당히 유효하고, N을 적정하게 포함하면 약간 유효하지만, B와 C를 포함하면 유해하고, P를 포함하면 유해 또는 유해의 가능성이 있다. 또한 (사)를 고려할 때 B나 P 또는 Si를 적정하게 포함하면 유효하고, C를 적정하게 포함하면 약간 유효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리본의 조성을 결정하고자 할 때는, 예를 들면 표 2에 나타내는 (가)~(다)의 작용 효과뿐만 아니라, (라), (마) 및 (바), (사)의 작용 효과도 얻을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주성분인 Ni에 대해 첨가하는 각 원소의 함유 균형을 적정화하기 위한 각 첨가 원소의 함유량의 범위를 결정할 때는, 예를 들면 표 2에 나타내는 목적으로 하는 작용 효과 등에 따라 유효성 및 유해성 등을 충분히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중시하는 작용 효과가 있는 경우는 그에 따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리본에 포함되는 Ni를 제외한 원소(첨가 원소)의 적정한 함유량의 범위와 그의 이유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리본(Ni기 비정질 합금 리본)에 있어서 특히 적정하게 포함해야 하는 원소는 리본 제조의 용이성을 높여 건전한 리본을 얻기 위해 중요하며, 또한 비정질 형성능을 갖는 B 및 P와, 이들 원소의 작용을 도울 수 있는 Si이다. 여기서 B는 비정질 형성능을 갖는 저명한 첨가 원소인데,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기재의 브레이징에 있어서는 기재의 내부에 확산되어 Cr 붕화물을 생성함으로써 기재가 부식되기 쉬워지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즉, B는 비정질화의 관점에서는 유효하지만, 브레이징의 관점에서는 기재의 내식성을 열화(劣化)시키는 점에서 유해하다는 상반적인 작용을 초래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상반적인 작용을 감안하여 다른 첨가 원소와의 함유 균형이 중요한 것을 발견하였으며, 아래에 각 첨가 원소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Bz:0<z≤0.20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있어서 B(보론 또는 붕소)는 그의 함유량을 질량%로 표시하는 z를 0<d≤0.20의 범위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z가 0(제로), 즉 B를 전혀 함유하지 않는 경우는 비정질화가 불충분해지기 때문에 리본의 취화 억제가 곤란해진다. 한편 z가 0.20을 초과하면 브레이징 후의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기재가 부식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B를 0.20 질량% 이하로 함유시킴으로써 비정질 형성능의 확보와 함께, 브레이징 후 기재의 내식성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고 경납(brazing filler metal)의 습윤 확산성 향상에 의한 브레이징 접합의 기계적 강도의 향상 및 리본 제조 시 주조 노즐의 폐색 억제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z≥0.01의 범위로 설정하여 비정질 형성능을 확보하고, z≤0.15의 범위로 설정하여 기재의 부식을 억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B의 함유량을 적정하게 함으로써 리본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타원소의 함유 균형에 따라서는, 예를 들면 400 ㎫ 이상의 인장강도가 얻어지는 등 브레이징의 접합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Px:4.00≤x≤8.00
본 발명에 있어서 P(인)는 전술한 B와 마찬가지로 비정질 형성능을 갖는 첨가 원소로, 그의 함유량을 질량%로 표시하는 x는 4.00≤x≤8.00의 범위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P는 본 발명의 리본의 융점을 저감시키는 작용 효과도 얻을 수 있다. x가 4.00 미만이면 비정질화의 작용 효과가 저감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x가 4.00 미만이면 액상선 온도 TL이 상승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x가 8.00을 초과하면 리본의 취화가 현저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액상선 온도 TL이 높은 경납은 브레이징 온도를 높게 설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브레이징 접합부나 그 근방의 기재(스테인리스강)의 결정립이 성장하여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등의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Siy:1.00≤y≤7.00
본 발명에 있어서 Si(규소)는 B 및 P에 의한 비정질화를 돕는 작용 효과를 얻기 위한 첨가 원소로, 그의 함유량을 질량%로 표시하는 y는 1.00≤y≤7.00의 범위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Si는 본 발명의 리본이 경납으로서 사용되었을 때의 습윤 확산성을 향상시키는 작용 효과도 얻을 수 있다. y가 1.00 미만이면 비정질화를 돕는 작용 효과가 저감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y가 1.00 미만이면 용융된 경납의 습윤 확산성이 불충분해져 보이드가 발생하기 쉬워지고, 그 보이드에 기인하여 브레이징 접합부의 접합강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y가 7.00을 초과하면 리본이 취화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PxSiy:7.00≤x+y≤13.00
본 발명에 있어서 P 및 Si는 전술한 바와 같이 Px:4.00≤x≤8.00 및 Siy:1.00≤y≤7.00을 만족시키고, 또한 P 및 Si의 총 함유량을 질량%로 표시하는 x+y는 7.00≤x+y≤13.00의 범위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x+y가 7.00 미만이면 전술한 비정질화되는 작용 효과 또는 비정질화를 돕는 작용 효과가 저감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x+y가 13.00을 초과하면 리본의 취화 억제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x+y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8.00≤x+y≤10.00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기재의 브레이징 접합부의 내식성 향상 등에 유효한 Cr, C 및 N에 대해서 설명한다.
Crd:22.00≤d≤29.00
본 발명에 있어서 Cr(크롬)은 브레이징 접합부의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작용 효과를 얻기 위한 첨가 원소로, 그의 함유량을 질량%로 표시하는 d는 22.00≤d≤29.00의 범위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d가 22.00 미만이면 내식성이 저감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d가 29.00을 초과하면 리본이 취화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d가 29.00을 초과하면 주조 노즐이 폐색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Cf:0.005≤f≤0.100
본 발명에 있어서 C(탄소)는 브레이징 시에 용융된 경납의 습윤 확산성을 높여 브레이징의 접합강도를 향상시키는 작용 효과를 얻기 위한 첨가 원소로, 그의 함유량을 질량%로 표시하는 f는 0.005≤f≤0.100의 범위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f가 0.005 미만이면 경납의 습윤 확산성이 불충분해져 브레이징의 접합강도를 향상시키는 작용 효과가 저감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f가 0.100을 초과하면 브레이징 후의 기재에 C가 확산되어 B에 의한 내식성의 열화라는 유해한 작용을 조장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Ng:0.001≤g≤0.050
본 발명에 있어서 N(질소)은 C와 마찬가지로 브레이징 접합부의 Cr에 의한 내식성 향상을 돕는 작용 효과를 얻기 위한 첨가 원소로, 그의 함유량을 질량%로 표시하는 g는 0.001≤g≤0.050의 범위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g가 0.001 미만이면 내식성 향상을 돕는 작용 효과가 저감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g가 0.050을 초과하면 Cr 질화물의 생성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Cr의 결핍영역(Cr 결핍층)이 증가하여 브레이징 접합부의 내식성이 저감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아래에 본 발명의 리본에 있어서 주성분인 Ni의 일부와의 치환이 가능한 원소를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Mo(몰리브덴)는 10.00 질량% 이하면 Ni의 일부와의 치환이 가능하다. Mo는 비정질 형성능을 향상시키는 작용 효과뿐 아니라 내산화성 및 내열성의 향상에도 기여하는 원소이다. 보다 바람직한 Mo의 치환량은 2.00 질량%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한 Mo의 치환량은 0.50~1.50 질량%의 범위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Cu(구리)는 5.00 질량% 이하면 Ni의 일부와의 치환이 가능하다. Cu는 내식성 향상에 기여하는 원소이다. 보다 바람직한 Cu의 치환량은 2.00 질량%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V(바나듐), Nb(니오브) 및 Ta(탄탈)는 그들의 총량으로서 1.00 질량% 이하면 Ni의 일부와의 치환이 가능하다. 이 경우 V, Nb 및 Ta 중 어느 1종 또는 임의의 2종 또는 3종 모두를 선택하여 Ni의 일부와 치환할 수 있다. V, Nb 및 Ta는 기재의 브레이징 접합부 근방의 입계의 내식성 향상에 기여하고, 경납에 포함되는 B의 기재로의 확산을 억제하는 작용 효과를 갖기 때문에, B나 C에 의한 기재의 내식성 열화라는 유해한 작용의 억제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Fe(철)는 25.00 질량% 이하면 Ni의 일부와의 치환이 가능하다. 보다 많은 Fe와 Ni의 일부를 치환할 수 있다면 리본의 제조비용(원료비)을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만, Fe의 치환량이 25.00 질량%를 초과하면 액상선 온도 TL이 상승하여 브레이징 온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Fe의 치환량은 바람직하게는 10.00 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질량%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리본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한, 전술한 이외의 Co(코발트), Mn(망간), O(산소), S(황), Al(알루미늄) 등의 원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리본은 Ni기 비정질 합금 리본이지만, 취화 등에 의해 리본으로서의 형태가 손상되지 않는 한, 조직의 일부에 결정상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리본을 얻기 위한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 또한 그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리본의 특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리본은 종래 알려져 있는 단롤(single-roll)법 등의 액체 급랭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성식:Ni100 -d-x-y-z-f-gCrdPxSiyBzCfNg(질량%로, 22.00≤d≤29.00, 4.00≤x≤8.00, 1.00≤y≤7.00, 0<z≤0.20, 0.005≤f≤0.100, 0.001≤g≤0.050 및 7.00≤x+y≤13.00임)으로 표시되는 조성을 가지고 이루어지는 합금 용융 금속을 1,100℃이상의 온도로 유지하여 주조 노즐로부터 고속 회전하고 있는 구리 합금제의 롤 표면에 분출시킨다. 이때 전술한 조성을 갖는 합금 용융 금속은 주조 노즐의 선단부에 형성된 슬릿 형상의 개구부로부터 분출되고 롤 표면에 접촉하여 순간적으로 급랭되고, 주조 조직이 비정질화된 상태에서 응고되어 장척의 비정질 합금 리본으로 형성된다.
구리 합금제의 롤은 오로지 바깥둘레의 바로 아래에 수로가 설치된 수랭 롤뿐이며 롤 표면 온도의 범위를 적합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롤의 재질은 오로지 Cu-Be 합금, Cu-Cr 합금, Cu-Zr 합금, Cu-Cr-Zr 합금 또는 Cu-Ni-Si 합금 등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롤의 주속은 15 m/s~35 m/s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롤 표면과 주조 노즐의 선단 사이의 갭은 50 ㎛~250 ㎛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술한 합금 용융 금속을 주조 노즐의 슬릿 형상의 개구부로부터 분출시킬 때 주조 노즐의 선단부나 롤 표면은 아르곤 가스 및 헬륨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 분위기 중, 이산화탄소의 분위기 중, 진공 중 또는 대기 중에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적어도 주조 노즐의 선단부 주위가 불활성 가스 분위기 중이나 진공 중에 있으면 주조 노즐로부터 분출되었을 때 산화되기 쉬운 합금 용융 금속의 산화를 억제하여 주조 노즐의 폐색을 방지할 수 있고, 리본 중에 혼입되는 산소량을 저감시켜 브레이징 접합부의 접합강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주조 노즐의 폐색 억제에는 주조 노즐의 선단부를 적합한 온도로 가열하여 선단부의 온도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리본은 두께 15 ㎛~60 ㎛ 정도, 폭 5 ㎜~500 ㎜ 정도의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리본의 치수는 합금 용융 금속의 조성 및 온도, 주조 노즐의 슬릿 형상 개구부의 치수, 주조 노즐의 선단과 롤 표면의 갭, 롤의 주속, 표면 온도 및 표면 거칠기 등의 여러 조건의 영향을 받아 변동할 수 있다. 경납용 리본으로서 바람직한 두께는 20 ㎛~40 ㎛의 범위로, 브레이징 접합부의 경납 성분의 체적비율이 과잉으로 커져서 접합강도가 저감되는 리스크를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본은 브레이징 접합부에 있어서의 보이드 및 공극의 발생을 방지하여 접합강도의 저감을 방지하기 하기 위해서 리본의 표면성상이 적합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리본은 그의 표면 거칠기가 Ra(산술 평균 거칠기)로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람직한 표면 거칠기를 갖는 리본을 얻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합금 용융 금속이 주조 노즐로부터 분출되고 있는 동안 롤의 표면 연마를 행하여 롤의 표면 거칠기를 적합한 범위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의 표면 거칠기가 지나치게 크면 롤 표면에 대한 합금 용융 금속의 밀착성이 저감되기 때문에 합금 용융 금속이 결정화되기 쉬워져 리본이 취화되기 쉬워진다. 이에 롤의 표면 연마를 행함으로써 롤의 표면 거칠기를 적합한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합금 용융 금속이 롤 표면에 밀착되어 비정질화되기 쉬워진다. 또한 롤의 표면 연마를 행하는 경우는 발생한 연마 가루를 흡인함으로써 롤 표면으로의 연마 가루의 부착을 방지하고, 또한 분출된 합금 용융 금속 중으로의 혼입 및 리본으로의 부착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리본의 표면 거칠기에 관하여 주조 노즐의 선단과 롤 표면의 갭이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표면 거칠기가 작은 리본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갭은 리본의 목표 판 두께의 2배~10배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목표 판 두께의 3배~8배이다. 또한 폭 치수가 큰 광폭의 리본을 얻기 위해서는 합금 용융 금속이 응고되어 롤 표면으로부터 박리되는 리본의 감기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감음으로써 리본의 구부러짐 및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본의 두께 변동(판 두께 변동)이 지나치게 크면 브레이징 시의 접합 상태가 불균일해져버릴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리본의 판 두께 변동은 길이방향의 경우 200 ㎜당, 폭방향의 경우 전체 폭당, 평균 판 두께의 ±10%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평균 판 두께의 ±5% 이내이다. 이와 같이 판 두께 변동이 바람직한 범위로 억제된 리본을 얻기 위해서는 합금 용융 금속이 응고되어 롤 표면으로부터 박리되는 리본의 판 두께를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그 측정값에 기초하는 판 두께나 판 두께 변동값에 대응하여 합금 용융 금속의 주조 노즐로부터의 분출압력(출탕압력) 및 롤의 주속 등의 여러 조건을 제어함으로써, 형성되는 리본의 판 두께나 판 두께 변동이 소정 범위 내의 변동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리본(브레이징용 Ni기 비정질 합금 리본)을 사용하여 브레이징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스테인리스강제 접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리본의 액상선 온도 TL이 900℃~1,050℃의 범위이면 브레이징 온도를 대체로 950℃~1,100℃(TL+50℃ 정도)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브레이징 시에 기재인 스테인리스강의 결정립의 조대화가 억제되어 기계적 강도가 높은 접합 구조(이음매 구조)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리본을 사용한 스테인리스강제 접합물은 본 발명의 리본이 갖는 우수한 작용 효과에 의해 높은 접합강도를 갖는 동시에 내식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은 EGR 쿨러 및 열교환기 등의 실용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항공, 우주, 원자력, 자동차, 전자기기 및 각종 발전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있어서 브레이징 접합된 신뢰성이 높은 부품, 부재, 기기, 장치 및 설비로서의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테인리스강제 접합물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본 발명의 리본을 사용하여 2개의 기재를 브레이징 접합하여 3층 구조의 스테인리스강제 접합물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경납인 본 발명의 리본(이하, 「리본편」이라 한다.)과 오스테나이트계 및 페라이트계 등의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2개의 기재(이하, 「제1 기재」,「제2 기재」라 한다.)를 각각 목적하는 치수로 가공하여 준비한다. 그리고 제1 기재와 제2 기재 사이의 브레이징 예정 개소에 리본편을 사이에 끼워 제1 기재, 리본편 및 제2 기재의 3층 구조(이하, 「피열처리품」이라 한다.)로 하고, 그 피열처리품을 열처리로 내에 배치한다.
이어서 열처리로 내를 진공 중, 아르곤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 분위기 중 또는 수소 가스 분위기 중 등으로 하고, 가열하여 승온시킴으로써 경납인 리본편의 액상선 온도 TL 이상의 온도로 유지한 후에 강온한다. 그 일련의 열처리를 행하는 동안에 제1 기재와 제2 기재 사이에서 경납인 리본편이 용융된 후에 응고되어 제1 기재와 제2 기재가 브레이징 접합된 스테인리스제 접합물을 얻을 수 있다.
열처리로 내에 있어서 리본편은 가열에 의해 결정화되어 비정질이 아닌 상태가 되고, 고상선 온도 TS 이상에서 용융되기 시작하여 브레이징 접합이 시작된다. 브레이징 시의 가열수단으로서는 탄소발열체(carbon heater)에 의한 가열이어도 되고, 고주파 유도 가열이어도 되며, 기재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발열시켜도 된다. 또한 가열수단이나 여러 조건을 선택함으로써 가열 중에 경납에 포함되는 B나 P를 기재에 분산시키고, 경납 부분의 융점을 B나 P의 저감분 만큼을 상승시켜 고화시키는 액상 확산 접합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리본(브레이징용 Ni기 비정질 합금 리본)은 그것을 사용한 본 발명의 스테인리스강제 접합물의 제조에 필요하다면 그에 따라 절단가공, 펀칭가공 또는 벤딩가공 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리본은 브레이징을 행하는 기재로서 스테인리스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Ni기 내열 합금 및 Fe기 합금 등의 각종 금속재료의 브레이징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본 및 그것을 사용한 스테인리스강제 접합물에 대해서 아래의 실시예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나, 본 발명은 그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Ni기 비정질 합금 리본을 단롤장치를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소정의 조성을 갖도록 배합한 원료를 고주파 용해하여 모합금(마스터재)을 제작하고, 그 모합금을 주조 노즐을 하부에 설치한 도가니 내에서 용해하여 합금 용융 금속을 제작하였다. 이어서 그 합금 용융 금속을 Cu-Be계 구리 합금제의 수랭 롤 표면에 분출시켜서 급랭하고 박리하여 표 3에 나타내는 조성을 갖는 폭 20 ㎜, 두께 20 ㎛의 Ni기 합금 리본(이하, 「리본 A」라 한다.)을 제작하였다. 또한 주조 노즐의 선단과 롤 표면 사이의 갭은 80 ㎛로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제작한 리본 A의 형성상이 비정질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리본 A로부터 시험편을 채취하고, 그 시험편을 X선 회절장치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리본 A의 인성을 확인하기 위해 리본 A의 시험편을 180°로 벤딩하는 시험을 행하였다. 이때 리본 A의 시험편이 깨지지 않고 180°로 벤딩되면 인성이 양호하다고 판단하고, 리본 A의 시험편이 깨졌을 때는 취화되어 있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리본 A의 시험편을 사용하여 액상선 온도 TL을 측정하였다.
이들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No.1~15). 또한 표 3에는 비교예 또는 참고예로서 본 발명의 범위 밖이 되는 조성을 갖는 Ni기 합금 리본(No.16~19)에 대한 동일한 결과와 종래의 브레이징용 Ni기 합금 분말(No.20)의 조성 등을 병기하고 있다. 또한 표 3 중 「AM」의 기재는 주상(主相)이 비정질상인 것, 「CR」의 기재는 주상이 결정상인 것, 「○」의 기재는 양호한 인성을 갖는 것, 「×」의 기재는 취화되어 있는 것, 및 「-」의 기재는 평가의 대상이 아닌 것을 의도한다.
Figure pct00003
본 발명의 리본 A(No.1~15)는 모두가 형성상이 비정질상이고, 180°의 벤딩이 가능하여 양호한 인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의 리본(No.16~19)은 모두 형성상이 비정질상이었지만, No.16 및 No.19와 같이 180°의 벤딩이 불가능하여 취화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리본 A는 취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깨지기 어려운 것과, 브레이징 접합을 행하기 전의 기계가공 및 취급의 용이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액상선 온도 TL은 본 발명의 리본 A(No.1~15), 비교예의 리본(No.16~19) 및 참고예의 분말(No.20) 모두가 900℃~1,050℃의 범위에 들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전술한 리본 A는 두께 20 ㎛였으나, 실시예 1에서 설정한 여러 조건 중 일부를 변경하고, 리본 A와 같은 폭(20 ㎜)의 표 4에 나타내는 두께 22 ㎛의 Ni기 합금 리본(이하, 「리본 B」라 한다.)을 Cu-Cr계 합금제의 수랭 롤을 사용하여 단롤법으로 제작하였다. 주조 노즐의 선단과 롤 표면 사이의 갭은 100 ㎛로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작한 리본 B로부터 시험편을 채취하고, X선 회절장치를 사용하는 형성상의 분석과 180°로 벤딩하는 시험을 행하였다. 이에 더하여 리본 B의 시험편을 사용하여 시차열분석(DIFFERENTIAL THERMAL ANALYSIS)(이하, 「DTA」라 한다.)으로 고상선 온도 TS 및 액상선 온도 TL을 측정하였다. DTA 측정은 승온속도를 변경하여 행하고, 용융에 의해 발생하는 흡열 피크가 종료되는 온도를 승온속도 제로에 외삽하여 액상선 온도 TL을 구하였다.
이들의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No.21~24). 또한 표 4에는 비교예 또는 참고예로서 본 발명의 범위 밖이 되는 조성을 갖는 Ni기 합금 리본(No.25~29)에 대한 동일한 결과와 종래의 브레이징용 Ni기 합금 분말(No.30)의 조성 등을 병기하고 있다. 또한 표 4 중 「AM」 및 「CR」의 기재는 표 3과 같은 의미이며, 「○」의 기재는 양호한 인성을 갖는 것, 「×」의 기재는 취화되어 있는 것, 및 「-」의 기재는 평가의 대상이 아닌 것을 의도한다.
Figure pct00004
본 발명의 리본 B(No.21~24)는 모두 형성상이 비정질상이고, 양호한 인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의 리본(No.25~29) 중에는 형성상이 결정화되어 있는 것(No.29) 및 형성상이 비정질상이기는 하나 취화되어 있는 것(No.28)이 확인되었다. 또한 P와 Si의 합계(P+Si)가 9.03 질량%인 No.21과 14.12 질량%인 No.29를 비교함으로써 (P+Si)가 과다이면 리본이 결정화되기 쉬워지고, 리본의 취화 억제가 어려워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의 리본 중 No.25(C량 과다), No.28(P량 과다) 및 No.29(P량 과다)의 제조에 있어서는 정도의 차는 있지만 주조 노즐의 일부에 폐색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리본 B는 취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깨지기 어려운 것과, 브레이징 접합을 행하기 전의 기계가공 및 취급의 용이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리본 B(No.21~24)는 고상선 온도 TS가 878℃~959℃의 범위이고, 액상선 온도 TL이 955℃~988℃의 범위였다. 본 발명의 리본 B의 액상선 온도 TL은 모두 전술한 바람직한 액상선 온도 TL의 범위(900℃~1,050℃)에 들어가 있었다. 또한 비교예의 리본(No.25~29)은 고상선 온도 TS가 960℃~1,040℃의 범위이고, 액상선 온도 TL이 988℃~1,127℃의 범위였다. 비교예의 리본의 경우, 전술한 바람직한 액상선 온도 TL의 범위보다도 높은 것이 있었다. 따라서 비교예의 리본의 일부 조성으로도 브레이징이 가능하지만, TS와 TL 양쪽이 비교예의 리본보다도 낮은 범위에 있는 본 발명의 리본 B는 종래보다도 낮은, 예를 들면 TL의 상한치+50℃ 정도를 기준으로 하면 1,000℃~1,040℃의 범위에서 브레이징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기재의 브레이징 접합에 적합한 온도 범위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전술한 실시예 1에 있어서 제작한 본 발명의 리본(No.1~15), 비교용 리본(No.16~19) 및 참고용 분말(No.20)을 사용하여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SUS430)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기재의 브레이징 접합을 진공 중에서 브레이징 온도를 1,080℃로 설정하여 행하였다. 이어서 브레이징 접합하여 제작한 스테인리스강제 접합물(이하, 「접합물」이라 한다.)을 기계가공해서 인장강도를 평가하기 위한 인장 시험편을 제작하여 접합강도 평가를 행하였다. 인장 시험편은 길이방향의 중앙에 원형의 브레이징 접합면을 가지며, 또한 JIS-Z3192(브레이징 이음매의 인장 및 전단 시험방법)로 규정되어 있는 2호 B시험편을 참조하여 제작하였다. 동일하게 접합물로부터 내식성을 평가하기 위한 내식 시험편을 제작하여 부식시험을 행하였다. 내식시험은 내식 시험편을 60℃의 50% 황산 중에 6시간 침지시킨 후에 내식 시험편 중 기재 입계의 부식 유무를 관찰하였다.
이들의 결과를 표 5에, 본 발명의 리본을 사용한 접합물을 No.1~15, 비교예의 리본을 사용한 접합물을 No.16~19 및 참고예의 분말을 사용한 접합물을 No.20에 나타낸다. 또한 표 5 중 「○」의 기재는 양호한 내식성을 갖는 것, 「△」의 기재는 내식성이 약간 낮은 것, 및 「×」의 기재는 내식성이 낮은 것을 의도한다.
Figure pct00005
(1) 인장강도
본 발명의 리본을 사용하여 브레이징 접합한 접합물(No.1~15)은 293 ㎫(No.5)~448 ㎫(No.1)의 범위이고, 비교용 리본을 사용한 접합물(No.16~19)은 288 ㎫(No.19)~411 ㎫(No.17)의 범위였다. 또한 참고용 분말을 사용한 접합물(No.20)은 245 ㎫로 본 발명의 리본보다도 50 ㎫정도 낮아졌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비교용 리본을 사용한 경우보다도 높은 브레이징 접합강도가 요구되는 용도라도, 조성을 선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리본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리본을 사용함으로써 참고용 분말을 사용한 경우보다도 높은 브레이징 접합강도가 얻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내식성
본 발명의 리본을 사용하여 브레이징 접합한 접합물(No.1~15)은 모두 양호한 내식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용 리본을 사용하여 브레이징 접합한 접합물(No.16~19)에는 양호한 내식성을 갖는 것(No.16)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일부에 부식이 보여 내식성이 약간 낮은 것(No.19) 및 명확하게 부식되어 있어 내식성이 낮은 것(No.17, 18)이 확인되었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리본을 사용함으로써 페라이트계 등의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기재의 브레이징 접합에 있어서 양호한 브레이징 접합강도 및 내식성을 갖는 스테인리스강제 접합물이 얻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9)

  1. 조성식:Ni100 -d-x-y-z-f-gCrdPxSiyBzCfNg(질량%로, 22.00≤d≤29.00, 4.00≤x≤8.00, 1.00≤y≤7.00, 0<z≤0.20, 0.005≤f≤0.100, 0.001≤g≤0.050 및 7.00≤x+y≤13.00임)으로 표시되는 조성을 가지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징용 Ni기 비정질 합금 리본.
  2. 제1항에 있어서,
    0.01≤z≤0.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징용 Ni기 비정질 합금 리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7.00≤x+y≤1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징용 Ni기 비정질 합금 리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i의 일부가 10.00 질량% 이하의 Mo로 치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징용 Ni기 비정질 합금 리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i의 일부가 5.00 질량% 이하의 Cu로 치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징용 Ni기 비정질 합금 리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i의 일부가 1.00 질량% 이하의 V, Nb 및 Ta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원소로 치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징용 Ni기 비정질 합금 리본.
  7.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i의 일부가 25.00 질량% 이하의 Fe로 치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징용 Ni기 비정질 합금 리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상선 온도 TL이 900℃에서 1,050℃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징용 Ni기 비정질 합금 리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브레이징용 Ni기 비정질 합금 리본을 사용하여 브레이징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강제 접합물.
KR1020167034123A 2014-06-26 2015-05-28 브레이징용 Ni기 비정질 합금 리본 및 그것을 사용한 스테인리스강제 접합물 KR201700238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31017 2014-06-26
JP2014131017 2014-06-26
PCT/JP2015/065418 WO2015198790A1 (ja) 2014-06-26 2015-05-28 ろう付け用Ni基アモルファス合金薄帯、それを用いたステンレス鋼製接合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810A true KR20170023810A (ko) 2017-03-06

Family

ID=54937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4123A KR20170023810A (ko) 2014-06-26 2015-05-28 브레이징용 Ni기 비정질 합금 리본 및 그것을 사용한 스테인리스강제 접합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151639A1 (ko)
EP (1) EP3162909A4 (ko)
JP (1) JP6439795B2 (ko)
KR (1) KR20170023810A (ko)
CN (1) CN106460130A (ko)
WO (1) WO20151987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50643B2 (en) 2016-07-13 2019-10-22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Material joining
JP6860410B2 (ja) 2017-04-25 2021-04-14 山陽特殊製鋼株式会社 微量のVを含有するNi−Cr基合金ろう材
CN109623201B (zh) * 2019-01-18 2021-07-16 大连理工大学 一种用于镍基高温合金钎焊的镍基钎料及其制备方法
TR201903983A2 (tr) * 2019-03-18 2019-04-22 Sentes Bir Metalurji Kimya Enerji Uert Ve Ageri Doen Tek San Tic A S Ni̇kel esasli sert lehi̇mleme alaşimi
CN111822900A (zh) * 2020-07-24 2020-10-27 曹怡 一种镍基合金及其制备方法和焊带
CN115846935A (zh) * 2022-12-19 2023-03-28 安徽工程大学 一种稀土y掺杂的镍基钎料、制备方法及其钎焊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2515A (en) 1979-02-01 1981-11-24 Allied Corporation Nickel brazed articles
US4543135A (en) 1982-11-15 1985-09-24 Allied Corporation Nickel high-chromium base brazing filler metal for high temperature applications
JPH09225679A (ja) 1996-02-20 1997-09-02 Fukuda Metal Foil & Powder Co Ltd ぬれ性・耐食性に優れたNi基耐熱ろう材
JP2002144080A (ja) 2000-11-15 2002-05-21 Fukuda Metal Foil & Powder Co Ltd Ni基耐熱ろう材
JP2009545451A (ja) 2006-08-01 2009-12-24 ファキュウムシュメルゼ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ンパニー カーゲー 鑞付け用ニッケル基合金及び鑞付け法
JP2011501700A (ja) 2007-10-15 2011-01-13 ヴァキュームシュメルツェ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ンパニー カーゲー ニッケル基ろう付け箔及びろう付け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85940A (ja) * 1989-01-11 1990-07-20 Nippon Steel Corp 酸化雰囲気中での接合が可能な液相拡散接合用合金箔
JP2547877B2 (ja) * 1989-12-28 1996-10-23 日本冶金工業 株式会社 高耐食性溶接棒用高Ni合金
JP3243184B2 (ja) * 1996-07-12 2002-01-0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酸化雰囲気中で接合可能な液相拡散接合用合金箔
SE524928C2 (sv) * 2001-06-05 2004-10-26 Alfa Laval Corp Ab Järnbaserat lodmaterial för sammanfogning av element genom lödning samt lödd produkt framställd härmed
CN101898283A (zh) * 2009-06-01 2010-12-01 李昕 用于钎焊的低温镍基钎料
JP5546836B2 (ja) * 2009-11-26 2014-07-09 山陽特殊製鋼株式会社 Ni−Fe基合金ろう材
CN103079752A (zh) * 2010-09-13 2013-05-01 福田金属箔粉工业株式会社 钎焊用镍基耐盐酸腐蚀合金
WO2013077113A1 (ja) * 2011-11-24 2013-05-30 福田金属箔粉工業株式会社 濡れ広がり性と耐食性に優れたNi-Cr系ろう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2515A (en) 1979-02-01 1981-11-24 Allied Corporation Nickel brazed articles
US4543135A (en) 1982-11-15 1985-09-24 Allied Corporation Nickel high-chromium base brazing filler metal for high temperature applications
JPH09225679A (ja) 1996-02-20 1997-09-02 Fukuda Metal Foil & Powder Co Ltd ぬれ性・耐食性に優れたNi基耐熱ろう材
JP2002144080A (ja) 2000-11-15 2002-05-21 Fukuda Metal Foil & Powder Co Ltd Ni基耐熱ろう材
JP2009545451A (ja) 2006-08-01 2009-12-24 ファキュウムシュメルゼ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ンパニー カーゲー 鑞付け用ニッケル基合金及び鑞付け法
JP2011501700A (ja) 2007-10-15 2011-01-13 ヴァキュームシュメルツェ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ンパニー カーゲー ニッケル基ろう付け箔及びろう付け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62909A4 (en) 2018-02-21
US20170151639A1 (en) 2017-06-01
CN106460130A (zh) 2017-02-22
EP3162909A1 (en) 2017-05-03
JP6439795B2 (ja) 2018-12-19
WO2015198790A1 (ja) 2015-12-30
JPWO2015198790A1 (ja) 2017-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39795B2 (ja) ろう付け用Ni基アモルファス合金薄帯、それを用いたステンレス鋼製接合物
EP3259095B1 (en) Nickel based alloy suitable for brazing super austenitic steel
Dupont et al. Microstructural evolution and weldability of dissimilar welds between a super austenitic stainless steel and nickel-based alloys
JP5008969B2 (ja) 液相拡散接合用合金
KR101862061B1 (ko) 납땜용 니켈기 염산 내식합금
KR101651400B1 (ko) 내식성이 우수한 니켈 납땜재
CN103418930A (zh) Ni基合金焊接金属、带状电极和焊接方法
EP0306578A1 (en) Ferritic stainless steel and process for producing
KR101812618B1 (ko) 철-크롬계 브레이징 용가재
CN111183239B (zh) 奥氏体系不锈钢焊接金属以及焊接结构物
KR19990036151A (ko) 산화분위기중에서 접합 가능한 Fe기 재료의 액상 확산 접합용 Fe기 합금 박
EP3204185B1 (en) A brazing material for brazing articles of austenitic stainless steel and method therefore
JP2733016B2 (ja) 酸化雰囲気中で接合可能な耐熱材料用液相拡散接合合金箔
KR20170103978A (ko) 브레이징 합금
CN102061428B (zh) 焊接热影响部的韧性优异的钢材的制造方法
JP5576640B2 (ja) 溶接熱影響部の靭性に優れた鋼材
KR20000023754A (ko) 산화분위기 중에서 접합 가능한 액상 확산 접합용 합금 호일
Fujiwara et al. Weldability of Zr50Cu30Al10Ni10 bulk glassy alloy by small-scale resistance spot welding
CN111225991A (zh) 奥氏体系不锈钢焊接金属以及焊接结构物
JP2008081758A (ja) スポット溶接継手強度の高い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2227595A (ja) ろう付け接合用ろう薄帯
EP4296397A1 (en) Submerged arc welded joint
TWI745631B (zh) 銀釺料及使用該銀釺料之接合方法
JP2004001065A (ja) 鉄系低融点接合用の合金
JPH069747B2 (ja) 酸化雰囲気中で接合可能なCr含有材料の液相拡散接合用合金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