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3619A - 조립식 교량 - Google Patents

조립식 교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3619A
KR20170023619A KR1020150119023A KR20150119023A KR20170023619A KR 20170023619 A KR20170023619 A KR 20170023619A KR 1020150119023 A KR1020150119023 A KR 1020150119023A KR 20150119023 A KR20150119023 A KR 20150119023A KR 20170023619 A KR20170023619 A KR 20170023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horizontal
line
pair
horizont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9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3701B1 (ko
Inventor
김성태
김명환
서정일
이승수
임태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김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김명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Priority to KR1020150119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701B1/ko
Publication of KR20170023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조립식 교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양측 지점부에 선,후단이 올려져 보행자 및 차량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교량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여 밀착고정되도록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조립되는 복수개의 수평재를 갖추어 보행자의 보행 및 차량이동이 가능한 좌우한쌍의 통행로 ; 상기 좌우한쌍의 통행로사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부재 ; 상기 좌우한쌍의 통행로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앵커볼트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양측 지점부에 각각 올려지는 선,후단 기초콘크리트를 갖추어 상기 통행로를 지지하는 기초 지지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식 교량{Assembly Type Bridge}
본 발명은 분해 및 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교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계곡이나 산간지역의 고소위치까지 구성자재 및 부품의 운반이 용이하고, 환경이 열악한 산간지역에서 조립 및 해체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시공지역을 연결하는 연결통로가 사유지의 토지를 점유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립식 교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로 이루어지며 상부 구조물은 교량의 통과하중을 지지하고 통행로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교량을 가설함에 있어서 시공기간 및 비용은 상부 구조물의 가설공정에 의하여 좌우된다.
그리고 한시적으로 이용되는 가설교는 설치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하고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형강을 이용하여 상부구조물을 조립하고, 하부 구조물인 교각과 상부 구조물인 트러스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가설교는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교각을 평행하게 하부 H빔으로 설치하고, 하부 H빔 사이에는 "L" 자 형상의 트러스를 "X" 자 형상으로 교차하게 시공함으로써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는 방식으로 시공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116597호에는 자재를 운반하거나 임시통행을 위한 우회도로를 위하여 설치되는 가설교가 게시되어 있으나 전체적인 구성이 복잡하고, 설치 및 해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산간지역의 폭이 좁은 계곡이나 산림지역에서 벌목한 나무를 차량을 이용하여 운반이송하는 임도와 같은 도로에서 차량이나 사람이 안전하게 건너기 위한 임시 가설교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임시로 설치되는 교량인 가교는 전체적인 구성 부품수 및 자재가 많고,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자재 및 부품을 산간지역의 시공지역까지 운반하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고소에 위치한 시공지역에서 상부구조물과 교각을 설치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또한, 건축물을 시공하는 구간에서 차량이 통행하는 주 도로에서 공사구간까지 차량이 통행하게 되는 연결도로를 시공해야 하는데, 이러한 연결도로가 타인의 토지를 불가피하게 점유하게 되면, 점유하게 되는 토지면적만큼 토지소유자에게 점유 사용비용을 추가로 지불해야만 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시공비용을 증가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계곡이나 산간지역의 고소위치까지 구성자재 및 부품의 운반이 용이하고, 환경이 열악한 산간지역에서 조립 및 해체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시공지역을 연결하는 연결통로가 사유지의 토지를 점유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립식 교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양측 지점부에 선,후단이 올려져 보행자 및 차량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교량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여 밀착고정되도록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조립되는 복수개의 수평재를 갖추어 보행자의 보행 및 차량이동이 가능한 좌우한쌍의 통행로 ; 상기 좌우한쌍의 통행로사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부재 ; 를 포함하고, 상기 통행로는 복수개의 수평재중 최외측 수평재의 수직면에 밀착고정되도록 상기 볼트부재에 의해서 조립되는 수직판과, 상기 수평재의 상부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상기 수직판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는 수평판으로 이루어지는 보조수평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량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행로를 지지하는 기초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초 지지부는 상기 좌우한쌍의 통행로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앵커볼트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양측 지점부에 각각 올려지는 선,후단 기초콘크리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행로는 서로 접하는 수평재의 수직면에 형성된 연결공을 통한 연결부재의 체결작업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재에 관통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통행로는 상기 개구부를 덮어 가리는 덮개판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후단 기초콘크리트와 상기 통행로사이에는 수직방향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흡수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탄성패드가 다층으로 적층된 탄성체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초 지지부는 상기 선,후단 기초콘크리트의 성형시 일단이 일체로 고정되는 일정길이의 보조 앵커볼트와, 상기 선,후단 기초콘크리트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 노출되어 체결공을 통과하는 보조 앵커볼트의 타단과 너트부재로서 결합되는 수평프레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후단 기초콘크리트는 상기 앵커볼트와 결합되는 통행로의 선,후단이 올려져 배치되도록 일정깊이 함몰형성된 배치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행로는 상기 수평재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하부단이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난간용 수직바와, 상기 복수개의 난간용 수직바의 상단과 교차하면서 상기 수평재와 나란하도록 연결되는 난간용 수평바로 이루어지는 난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부재에 올려져 좌우한쌍으로 배치된 통행로사이에 형성되는 개방된 공간을 덮는 중앙 덮개판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통행로를 구성하는 수평재와 통행로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통행로의 선,후단을 지점부에 위치고정하는 기초 콘크트리트를 계곡이나 산간지역의 고소위치까지 운반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환경이 열악한 산간지역에서 이들 구성부품 및 자재들의 조립 및 해체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임시로 차량이나 보행자가 통행할 수 있는 임시통로인 교량을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2) 시공지역을 연결하는 연결통로가 사유지의 토지를 점유하는 경우에도 임시로 설치되는 교량의 지점부가 지면에 접하여 점유하게 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토지사용에 따른 점유비용을 줄여 전체적인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교량을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교량을 상부에서 바라본 상세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교량의 하부에서 바라본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교량을 도시한 분해 시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교량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a 와 도 6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교량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교량의 기초지지부에 대한 상세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교량(10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양측 지점부(A,B)에 선,후단이 올려져 보행자 및 차량의 통행이 가능하고,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좌우 한쌍의 통행로(110), 연결부재(120) 및 기초 지지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좌우한쌍의 통행로(110)는 보행자의 보행 및 차량이동이 가능한 바닥판을 형성하도록 복수개의 수평재(111)를 서로 인접하여 접하도록 배치한 다음, 상기 복수개의 수평재(111)가 밀착고정되도록 이들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체결부재(113)에 의해서 조립되는 것이다.
상기 통행로(110)는 보행자나 차량의 바퀴가 통과할 수 있는 최소한의 폭을 갖도록 한쌍의 수평재(111)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수평재(111)는 대략 사각단면상의 중공형 사각 파이프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체결부재(113)는 서로 접하도록 배열된 복수개의 수평재(111)의 수직면에 형성된 체결공을 관통하는 일정길이의 볼트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수평재(111)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관통되어 노출되는 체결부재의 단부에는 너트부재(113a)를 체결한다.
상기 통행로(110)의 일측에는 복수개의 수평재(111)중 최외측 수평재의 수직면에 밀착고정되도록 상기 체결부재(113)에 의해서 조립되는 수직판(118a)과, 상기 수평재의 상부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상기 수직판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는 수평판(118b)으로 이루어져 상기 통행로의 폭을 확장시키는 보조수평재(118)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통행로는 서로 접하는 수평재의 수직면에 형성된 연결공을 통하여 체결되어 복수개의 수평재를 가고정하는 연결부재(114a)를 외부노출시키도록 관통된 개구부(114)를 상기 수평재의 상부면에 형성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개구부(114)를 통해 외부노출되는 연결공으로 연결부재(114a)를 삽입하여 체결함으로써 서로 나란하게 접하는 복수개의 수평재(111)를 1차로 가조립한 다음, 상기 복수개의 수평재의 수직면에 형성된 체결공을 폭방향으로 동시에 관통하는 체결부재(113)를 체결함으로써 복수개의 수평재를 2차로 완전조립하여 좌우한쌍의 통행로(110) 중 어느 하나를 조립완성하게 된다.
즉, 서로 접하여 나란하게 배열된 복수개의 수평재(111)는 상기 체결부재(113)와 연결부재(114a)의 체결력에 의해서 보행자의 보행 및 차량이동이 가능한 일정폭의 바닥판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일체로 조립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를 1차로 체결하여 복수개의 수평재를 가조립한 다음 상기 체결부재를 2차로 체결하여 복수개의 수평재를 완전조립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체결부재를 1차로 체결하고, 상기 연결부재를 2차로 체결하는 방식에 의해서 통행로를 조립완성할 수도 있다.
좌우한쌍의 통행로(110)는 차량이동시 이에 올려지는 바퀴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폭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구부(114)는 상기 수평재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연결부재(114a)의 체결작업이 가능하도록 복수개 관통형성되는바, 상기 통행로(110)의 상부면에는 상기 개구부(114)를 덮어 외부노출되지 않도록 덮는 판상의 덮개판(115)을 추가로 구비하며, 이러한 덮개판(115)은 보행자의 통행 및 차량의 통행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통행로에 위치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120)는 차량 통행이 가능하도록 좌우한쌍으로 배치된 통행로(110)사이를 연결하도록 상기 통행로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 구비되는 일정길이의 형강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120)는 상기 좌우한쌍의 통행로(110)의 내측에 고정설치된 연결브라켓(123)을 매개로 하여 다른 체결부재에 의해서 양단이 조립되고, 수직판(121)과 수평판(122)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직각단면상의 형강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좌우한쌍의 통행로(110) 사이에는 상기 수평재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연결부재(120)에 올려져 좌우한쌍으로 배치된 통행로(110)사이에 형성되는 개방된 공간을 덮는 중앙 덮개판(124)을 포함하고, 상기 좌우한쌍의 통행로(110) 사이에 배치되어 연결부재(120)에 얹혀지는 중앙 덮개판(124)은 상기 통행로의 전체길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는 사각판상의 목재판 또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중앙 덮개판(124)에 의해서 좌우한쌍의 통행로사이의 공간을 덮음으로써, 상기 보행자의 보행 및 차량의 통행시 보행자나 차량이 개방된 공간으로 실족하거나 이탈하게 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여 안전한 보행 및 통행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연결브라켓(123)은 상기 통행로(110)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수평재 중 최내측 수평재에 조립된 보조 수평재(118)에 고정설치되는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복수개의 수평재중 내측 수평재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기초 지지부(130)는 좌우한쌍의 통행로(110)의 선,후단을 지점부(A,B)에서 침하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좌우한쌍의 통행로(110)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앵커볼트(131)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어 상기 지점부(A,B)에 각각 올려지는 선,후단 기초콘크리트(132)를 포함한다.
상기 앵커볼트(131)는 콘크리트소재로 하여 프리캐스팅된 대략 직육면체상의 선,후단 기초콘크리트(132)에 성형시 절곡된 하단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통행로(110)의 수평재(111)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해 너트부재가 결합되는 상단이 일정길이의 볼트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선,후단 기초콘크리트(132)는 상기 앵커볼트(131)와 결합되는 통행로(110)의 선,후단이 올려져 배치되도록 일정깊이 함몰형성된 배치홈(132a)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점부(A,B)에 놓여지는 선,후단 기초콘크리트(132)의 앵커볼트(131)는 상기 통행로의 수평재(111)에 관통형성된 체결공을 통해 상단이 수직하게 진입되고, 노출되는 상단에 체결되는 너트부재에 의해서 상기 통행로(110)의 선,후단과 기초콘크리트(132)는 서로 일체로 조립되어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선,후단 기초콘크리트(132)와 상기 통행로(110)사이에는 차량통행시 수직방향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무소재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탄성패드(133a)가 다층으로 적층된 탄성체(133)를 구비하며, 상기 배치홈(132a)에서 배치되는 탄성체(133)에는 상기 앵커볼트(131)가 관통되는 관통홀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탄성체(133)는 고무소재와 같은 복수개의 탄성패드가 다층으로 적층된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직육면체상의 단일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초 지지부(130)는 상기 선,후단 기초콘크리트(132)의 성형시 일단이 일체로 고정되는 일정길이의 보조 앵커볼트(135)와, 상기 선,후단 기초콘크리트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 노출되어 체결공을 통과하는 보조 앵커볼트(135)의 타단과 너트부재로서 결합되는 수평프레임(136)을 갖춤으로써, 상기 수평프레임에 의해서 서로 인접하는 좌우한쌍의 선단 기초콘크리트사이의 간격과 서로 인접하는 후단 기초콘크리트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 앵커볼트가 체결되도록 상기 수평프레임(136)의 양단에 관통형성되는 체결공은 좌우한쌍로 이루어지는 선,후단 기초콘크리트들간의 폭간격을 넓히거나 좁혀 조절할 수 있도록 장공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좌우한쌍의 통행로(110)에는 이를 보행하는 보행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재(111)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통행로를 구성하는 최외측 수평재(111) 또는 보조수평재(118)에 하부단이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난간용 수직바(141)와, 상기 복수개의 난간용 수직바(141)의 상단과 대략 직각으로 교차하면서 상기 수평재와 나란하도록 연결되는 난간용 수평바(142)로 이루어지는 난간(143)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산간계곡과 같은 시공부위에서 양측 지점(A,B)사이에 침하를 방지하도록 선,후단 기초콘크리트(132)가 올려지고, 좌우한쌍의 선,후단 기초콘트리트들간의 폭간격이 상기 수평프레임에 의해서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복수개의 수평재(111)가 일체로 결합되고, 좌우한쌍로 이루어지는 통행로(110)의 선,후단이 상기 선,후단 기초콘크리트에 올려져 배치된 다음 앵커볼트에 의해서 결합되고, 서로 인접하는 좌우한쌍의 보행로사이의 공간이 중앙 덮개판에 의해서 덮어져 조립식 교량이 완성되면, 보행자는 통행로를 통하여 안전하게 보행이동하게 되고, 차량의 바퀴는 상기 좌우한쌍의 보행로(110)를 통과하여 주행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통행로(110)의 선,후단에 전달되는 외력은 상기 선,후단 기초콘크리트와 통행로사이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탄성패드(133a)가 적층된 탄성체(133)에 의해서 흡수되어 수평재의 변형 및 파손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좌우한쌍의 통행로(110)사이의 공간을 덮는 중앙 덮개판(124)과, 상기 통행로의 외측에 구비되는 난간(143)에 의해서 상기 통행로를 따라 보행하는 보행자가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0 : 통행로
111 : 수평재
113 : 체결부재
114 : 개구부
114a : 연결부재
115 : 덮개판
118 : 보조 수평재
120 : 연결부재
123 : 연결브라켓
124 : 중앙덮개판
130 : 기초지지부
131 : 앵커볼트
132 : 선,후단 기초콘크리트
133a : 탄성패드
133 : 탄성체
143 : 난간

Claims (9)

  1. 양측 지점부에 선,후단이 올려져 보행자 및 차량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교량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여 밀착고정되도록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조립되는 복수개의 수평재를 갖추어 보행자의 보행 및 차량이동이 가능한 좌우한쌍의 통행로 ;
    상기 좌우한쌍의 통행로사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부재 ; 를 포함하고,
    상기 통행로는 복수개의 수평재중 최외측 수평재의 수직면에 밀착고정되도록 상기 볼트부재에 의해서 조립되는 수직판과, 상기 수평재의 상부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상기 수직판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는 수평판으로 이루어지는 보조수평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행로를 지지하는 기초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초 지지부는 상기 좌우한쌍의 통행로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앵커볼트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양측 지점부에 각각 올려지는 선,후단 기초콘크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행로는 서로 접하는 수평재의 수직면에 형성된 연결공을 통한 연결부재의 체결작업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재에 관통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행로는 상기 개구부를 덮어 가리는 덮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량.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후단 기초콘크리트와 상기 통행로사이에는 수직방향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흡수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탄성패드가 다층으로 적층된 탄성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량.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지지부는 상기 선,후단 기초콘크리트의 성형시 일단이 일체로 고정되는 일정길이의 보조 앵커볼트와, 상기 선,후단 기초콘크리트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 노출되어 체결공을 통과하는 보조 앵커볼트의 타단과 너트부재로서 결합되는 수평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량.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후단 기초콘크리트는 상기 앵커볼트와 결합되는 통행로의 선,후단이 올려져 배치되도록 일정깊이 함몰형성된 배치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행로는 상기 수평재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하부단이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난간용 수직바와, 상기 복수개의 난간용 수직바의 상단과 교차하면서 상기 수평재와 나란하도록 연결되는 난간용 수평바로 이루어지는 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량.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 올려져 좌우한쌍으로 배치된 통행로사이에 형성되는 개방된 공간을 덮는 중앙 덮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량.
KR1020150119023A 2015-08-24 2015-08-24 조립식 교량 KR101813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023A KR101813701B1 (ko) 2015-08-24 2015-08-24 조립식 교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023A KR101813701B1 (ko) 2015-08-24 2015-08-24 조립식 교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619A true KR20170023619A (ko) 2017-03-06
KR101813701B1 KR101813701B1 (ko) 2017-12-29

Family

ID=58399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023A KR101813701B1 (ko) 2015-08-24 2015-08-24 조립식 교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37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89333A (zh) * 2019-02-19 2019-07-09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用于混凝土水平支撑的型钢栈桥结构及其安装方法
CN114575237A (zh) * 2022-03-04 2022-06-03 安徽佳启建筑有限公司 一种市政水渠改造用临时通行桥梁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8495B2 (ja) * 2002-03-26 2005-10-19 朝日エンヂニヤリング株式会社 床版橋の構造
KR100569028B1 (ko) * 2005-08-08 2006-04-10 지엘기술 (주) 박스형 가설교량
JP4970060B2 (ja) * 2007-01-11 2012-07-0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形鋼を用いた床版または覆工板用の版状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89285B1 (ko) * 2013-09-30 2014-04-25 이유미 단부 격벽 일체형 교대 흉벽 pc블록을 이용한 거더교의 교대 단부 일체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89333A (zh) * 2019-02-19 2019-07-09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用于混凝土水平支撑的型钢栈桥结构及其安装方法
CN114575237A (zh) * 2022-03-04 2022-06-03 安徽佳启建筑有限公司 一种市政水渠改造用临时通行桥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3701B1 (ko) 2017-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2360B1 (ko) 설치시공이 용이한 데크로드 시스템
KR101271446B1 (ko) 교량용 가설 인도교 설치에서의 신축력 흡수와 접합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와셔 플레이트 구조물
KR101203978B1 (ko) 교량의 상부 구조물
KR101546304B1 (ko) 거더와 난간이 조립방식으로 체결되어 트러스구조를 이루는 다리
KR101534833B1 (ko) 통행로 폭이 증가된 확장형 인도교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727124B1 (ko) 행어를 이용한 교량용 보도 및 그 시공 방법과, 경관용 인도교 및 그 시공 방법
KR200432594Y1 (ko) 교량용 가설 인도
KR101523005B1 (ko) 확장형 인도교
KR102027941B1 (ko) 난간기초와 거더가 일체화된 보도교
KR101813701B1 (ko) 조립식 교량
KR101502484B1 (ko) 지지력과 경관성을 향상한 교량 및 이 시공 공법
KR20160113917A (ko) 자전거 통행용 연속 교량
KR101196895B1 (ko) 에프알피 복합재 자전거 전용 도로
KR101691914B1 (ko) 트러스-케이블 복합구조의 거더
KR101457633B1 (ko) 높낮이 조절 및 경사로에 대응되는 틸팅기능을 갖는 보도용 난간
KR101801370B1 (ko) 전단응력이 향상된 자전거도로용 교량 및 그 시공방법
JP7097915B2 (ja) 建物構造物
KR101119488B1 (ko) 조립식 지지구조물
KR101447723B1 (ko) 바닥판과 주형 거더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가설 교량
KR101185431B1 (ko) 교량용 가설인도
KR101635523B1 (ko) 복합 원형 트러스교
KR101018638B1 (ko) 둑을 쌓아 올린 도로나 제방도로 또는 교량에 설치되는 가설인도
JP3991067B1 (ja) 鉄道ホーム間仮設橋
JP3027554B2 (ja) プレハブ橋梁ユニット及びプレハブ橋梁
KR101295496B1 (ko) 교량용 조립 블록식 비상대피계단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