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496B1 - 교량용 조립 블록식 비상대피계단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교량용 조립 블록식 비상대피계단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496B1
KR101295496B1 KR1020130003971A KR20130003971A KR101295496B1 KR 101295496 B1 KR101295496 B1 KR 101295496B1 KR 1020130003971 A KR1020130003971 A KR 1020130003971A KR 20130003971 A KR20130003971 A KR 20130003971A KR 101295496 B1 KR101295496 B1 KR 101295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evacuation
bridge
stairs
block
stair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3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정
Original Assignee
최인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인정 filed Critical 최인정
Priority to KR1020130003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4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대피계단 설치높이에 관계없이 일정한 규격으로 제작, 시공이 가능하고, 공장에서 블록으로 제작된 비상대피계단을 현장으로 운반이 가능토록 규격을 최소화고, 현장에 반입된 비상대피계단 블록은 블록과 블록을 볼트체결만으로 간단하게 시설물이 가설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비상대피계단에 압축력을 도입함으로써 전도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교량용 조립 블록식 비상대피계단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교량용 조립 블록식 비상대피계단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교량측에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비상대피계단에 있어서, 비상대피계단을 지지하기 위해 기초 지반에 시공된 기초콘크리트와; 기초콘크리트의 상면에 상방으로 순차적으로 조립 적층되어 교량의 슬래브 위치까지 시공되는 복수개 이상의 비상대피계단용 블록과; 상하로 이웃하게 적층된 2개의 비상대피계단용 블록에 연결 조립되는 하나 이상의 분리형 계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량용 조립 블록식 비상대피계단 및 그 시공방법{Built-up emergency shelter stairs block for bridge}
본 발명은 교량용 조립 블록식 비상대피계단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도나 전철 또는 도로 등의 교량에서 사고발생시 운전자나 이용자가 긴급하게 교량을 벗어나 대피할 수 있는 시설물로서 비상대피계단의 상단은 교량 슬래브와 연결되어 교량에서 사람의 진입이 가능하며, 비상대피계단의 하단은 지상과 연결되어 신속하게 대피함으로써 재산과 생명을 보호할 수 있는 교량용 비상대피계단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교통수단의 발전이 가속화되면서 철도나 전철 또는 도로 등에 설치되는 교량이 대형화, 특수화, 장대화 되는 추세로 교량 높이가 지상에서 20m~30m은 보통이고 80m까지 고공으로 건설되는 교량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교량에서 만에 하나 기차나 전철 또는 자동차등의 사고가 발생한다면 운전자나 이용자는 신속하게 교량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 이때 운전자나 이용자는 비상대피계단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교량하부 지상으로 대피가 가능토록 비상대피계단이 요구된다.
비상대피계단 시설은 교량높이에 따라 비상대피계단도 같이 높아져야 하기 때문에 설치높이에 따라 바람의 영향인 풍하중 또는 갑작스런 돌풍으로 인한 전도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높이에 비례하여 비상대피계단의 기초폭 또한 커져야 할 것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자재를 현장으로 반입 후 현장에서 직접 절단 및 제작이 이루어져 품질확보 및 시공이 매우 불리하며, 기상조건에 따른 공기지연 등 많은 단점들로 인하여 공사비가 많이 발생되어 비경제적이고 이러한 여러 가지 이유로 불편한 사항이 많았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9-0061760호로서, 철도교량용 비상계단이 제시되어 있다. 이는 철도교량의 슬래브에 연결되는 입구부; 철도교량의 하부 지면에 마련되는 출구부; 상기 입구부와 출구부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의 전환부; 및 상기 입구부와 전환부, 전환부와 전환부, 전환부와 출구부 사이에 마련되는 단위계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교량의 하부 공간을 최대한 이용하여 선로보수작업 중 열차를 피하기 위한 시설로 사용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풍하중이나 돌풍으로 인해 시설물의 전도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제시되어 있지 않으며, 규격화된 조립식 방식이 아니므로 품질 확보가 어렵고, 기상 조건에 따른 공기 지연이 발생될 수 있다.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989111호
따라서 본 발명은 비상대피계단 설치높이에 관계없이 일정한 규격으로 제작, 시공이 가능하고, 공장에서 블록으로 제작된 비상대피계단을 현장으로 운반이 가능토록 규격을 최소화하고, 현장에 반입된 비상대피계단 블록은 블록과 블록을 볼트체결만으로 간단하게 시설물이 가설할 수 있도록 한 교량용 조립 블록식 비상대피계단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앵커체(또는 락볼트)를 비상대피계단 기초지반에 설치하여 비상대피계단 최상단에서 PC강연선을 긴장 및 정착시켜 비상대피계단에 압축력을 도입함으로써 전도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교량용 조립 블록식 비상대피계단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교량측에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비상대피계단에 있어서,
비상대피계단을 지지하기 위해 기초 지반에 시공된 기초콘크리트와;
기초콘크리트의 상면에 상방으로 순차적으로 조립 적층되어 교량의 슬래브 위치까지 시공되는 복수개 이상의 비상대피계단용 블록과;
상하로 이웃하게 적층된 2개의 비상대피계단용 블록에 연결 조립되는 하나 이상의 분리형 계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비상대피계단용 블록은 이웃한 두 교각의 사이에 위치되어 대략 Y자 형태로 적층 배치되고 중간 높이에 설치된 양방향 진입통로를 매개로 연결되어져 교량의 양측에서 동시 대피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비상대피계단용 블록은 각기 사각 영역의 각 모서리에 위치하는 모두 4개의 기둥부재와; 4개의 기둥부재에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단과 하단에 연결되어 있는 상, 하단 수평보와; 각기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상단 수평보와 하단 수평보에 각기 연결되어 있는 상, 하단 가로보와; 분리형 계단과 어긋나게 위치되어 상단 가로보와 하단 가로보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일체형 계단과; 상단 가로보와 상단 수평보에 연결 지지되어 있는 상단 계단참과; 하단 가로보와 하단 수평보에 연결 지지되어 있는 하단 계단참과; 상단 수평보 하단 수평보에 역V자 형태로 배치되어 볼트 조립되어 있는 상하단 수평보 연결브레이싱과; 4개의 기둥부재의 각기 상하단에 접합되어 있는 기둥 이음판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체형 계단, 상단 계단참 및 하단 계단참에는 각기 난간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기초콘크리트의 하방측 기초 지반에 시공된 락볼트 또는 앵커체와;
기초콘크리트내 쉬스관을 삽입하여 일단이 앵커체에 연결되고 타단이 기둥부재(202)의 최상단에 긴장되어 정착된 PC 강연선과;
최상측 기둥부재의 상단에 PC 강연선을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장치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최하부측 비상대피계단용 블록과 기초 지반과의 사이에 분리형 계단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양방향 진입통로는 양단이 각기 하부측 비상대피계단용 블록에 진입통로 지지대를 통하여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조립 블록식 비상대피계단의 시공 방법은,
기초 지반에 앵커체를 시공하는 단계와;
교량의 일측 기초 지반에 앵커체의 상부로 기초콘크리트를 시공하는 단계와;
기초콘크리트의 상면에 상방으로 순차적으로 교량의 슬래브 위치까지 복수개 이상의 비상대피계단용 블록을 상호 볼트 조립하여 조립 적층하는 단계와;
상하로 이웃하게 적층되는 2개의 비상대피계단용 블록을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분리형 계단을 상, 하단 가로보에 연결 조립하는 단계와;
기초콘크리트의 하부측에 시공된 앵커체에 연결된 PC 강연선을 기초콘크리트내 쉬스관을 삽입시켜 최상측 기둥부재의 최상단에 긴장되게 정착시켜 전체의 비상대피계단용 블록에 압축력을 도입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비상대피계단용 블록간에 V자 형태로 블록 보강 연결브레이싱이 연결되어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비상대피계단용 블록을 이웃한 두 교각의 사이에 위치시켜 대략 Y자 형태로 적층 배치하되, 중간 높이에 양방향 진입통로를 설치하여 비상대피계단용 블록을 Y자 형태로 시공하여 교량의 양측에서 동시 대피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조립 블록식 비상대피계단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하면, 앵커체(또는 락볼트) 및 PC강연선을 이용하여 비상대피계단에 압축력을 도입함으로써 전도에 대한 안정성이 확보됨에 따라 비상대피계단 설치높이에 관계없이 표준화된 일정한 규격으로 제작, 시공이 가능하여 시간과 비용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공장에서 블록으로 제작된 비상대피계단은 현장으로 운반이 가능토록 규격을 최소화하여 품질확보 및 공기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에 반입된 비상대피계단 블록은 블록과 블록을 볼트체결만으로 간단하게 비상대피계단 시설물을 가설할 수 있는 등 설계에서부터 제작, 운반, 시공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장점들로 경제적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조립 블록식 비상대피계단의 시공상태도.
도 2는 도 1의 교량용 조립 블록식 비상대피계단에 있어 기본 골결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교량용 조립 블록식 비상대피계단에 적용되는 기본 블록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에서 본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조립 블록식 비상대피계단의 시공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교량용 조립 블록식 비상대피계단의 시공상태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계단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조립 블록식 비상대피계단의 시공상태를 나타내고, 도 2는 도 1의 교량용 조립 블록식 비상대피계단에 있어 기본 골결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교량(5)의 일측 기초 지반(1)에 시공된 기초콘크리트(10)에 복수개 이상의 비상대피계단용 블록(20a, 20b 또는 20c)이 조립식으로 적층 시공되고, 상하로 이웃하게 적층된 2개의 비상대피계단용 블록(20a와 20b 또는 20b와 20c)에 연결 조립되는 하나 이상의 분리형 계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비상대피계단용 블록(20a, 20b 또는 20c)은 동일한 구조와 일정한 규격을 갖고 강재로 제작되어져 있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비상대피계단용 블록의 구성이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교량용 조립 블록식 비상대피계단에 적용되는 기본 블록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분리형 계단(30)을 에워싸는 사각 영역의 각 모서리에 위치하는 모두 4개의 기둥부재(202)와, 4개의 기둥부재(202)에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단과 하단에 연결되어 있는 상, 하단 수평보(204,206)와, 각기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상단 수평보(204,204)와 하단 수평보(206,206)에 각기 연결되어 있는 상, 하단 가로보(208,210)와, 분리형 계단(30)과 어긋나게 위치되어 상단 가로보(208)와 하단 가로보(210)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일체형 계단(212)과, 상단 가로보(208)와 상단 수평보(204)에 연결 지지되어 있는 상단 계단참(213)과, 하단 가로보와 하단 수평보에 연결 지지되어 있는 하단 계단참(215)과, 상단 수평보(204)와 하단 수평보(206)에 역V자 형태로 배치되어 볼트 조립되어 있는 상하단 수평보 연결브레이싱(214)과, 4개의 기둥부재(202)의 각기 상하단에 접합되어 있는 기둥 이음판(216)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하단 수평보 연결브레이싱(214)은 상단 수평보(204)의 중앙에 접합된 브레이싱 연결판(205b)과 하단 수평보(206)의 단부측에 접합되어 있는 브레이싱 연결판(207)에 연결된다.
또한 일체형 계단(212), 상단 계단참(213) 및 하단 계단참(215)에는 각기 난간(212a, 213a, 215a)이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비상대피계단은 압축력을 도입하여 전도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앵커체(40)(또는 락볼트), PC 강연선(42) 및 정착장치(44)가 구비된다.
앵커체(40)는 기초콘크리트(10)의 하방측 기초 지반에 시공되고, PC 강연선(42)은 기초콘크리트(10)내 쉬스관(12)을 삽입하여 일단이 앵커체(40)에 연결되고 타단이 기둥부재(202)의 최상단에 위치된 정착장치(44)에 연결된다.
정착장치(44)는 도 2와 같이 정착판(441), 정착판(441)에 정착되어 있는 웨지 하우징(442), 웨지 하우징(442)내에 분할되어 삽입되어 있는 웨지(443)로 구성된다. 웨지(443)는 웨지 하우징(442)과 테이퍼 결합되어 PC 강연선(42)을 고정한다.
이때 최하부측 비상대피계단용 블록(20a)과 기초 지반(1)과의 사이에 분리형 계단(3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교량용 비상대피계단의 시공 방법을 도 6a 및 도 6b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조립 블록식 비상대피계단의 시공순서도를 나타낸다.
먼저, 도 6a와 같이 기초콘크리트(10)가 시공될 기초 지반내에 앵커체(40)를 시공한다.
그 다음, 교량(5)의 일측 기초 지반(1)에 기초콘크리트(10)를 시공한다.
그 다음, 도 6a(나) 및 도 6b의(다),(라)와 같이 기초콘크리트(10)의 상면에 상방으로 교량의 슬래브 위치까지 복수개 이상의 비상대피계단용 블록(20a, 20b 또는 20c)을 순차적으로 상호 볼트 조립하여 조립 적층한다.
즉, 1단의 비상대피계단용 블록(20a), 2단의 비상대피계단용 블록(20b), 3단의 비상대피계단용 블록(20a, 20b 또는 20c)을 각 기둥부재(202)의 기둥이음판(216)을 볼트 조립하여 순차적으로 적층해 나간다. 이때 교량의 높이에 따라 그 이상의 비상대피계단용 블록이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각 단의 비상대피계단용 블록(20a, 20b 또는 20c)의 가설 후 분리형 계단(30)이 설치된다. 분리형 계단(30)은 상, 하단 가로보(208,210)에 연결 조립된다.
또한 2단 비상대피계단용 블록(20b)부터 시공된 후에는 도 6b와 같이 V자 형태로 블록 보강 연결브레이싱(219)이 설치되어 상하로 이웃한 비상대피계단용 블록을 보강연결하면서 조립이 이루어진다.
그 다음, 기초콘크리트(10)의 하부측에 시공된 앵커체(40)에 연결된 PC 강연선(42)을 기초콘크리트(10)내 쉬스관(12)을 삽입시켜 최상측 기둥부재(202)의 최상단 정착장치(40)에 긴장되게 정착시킨다. 따라서 전체의 비상대피계단용 블록에 압축력이 도입되어 전도에 대한 안전성이 확보된다.
이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조립 블록식 비상대피계단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하면, 앵커체(40)(또는 락볼트) 및 PC강연선(42)을 이용하여 비상대피계단에 압축력을 도입함으로써 전도에 대한 안정성이 확보됨에 따라 비상대피계단 설치높이에 관계없이 표준화된 일정한 규격으로 제작, 시공이 가능하여 시간과 비용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공장에서 블록으로 제작된 비상대피계단은 현장으로 운반이 가능토록 규격을 최소화 하여 품질확보 및 공기단축이 가능하며, 현장에 반입된 비상대피계단 블록은 블록과 블록을 볼트체결만으로 간단하게 비상대피계단 시설물을 가설할 수 있는 등 설계에서부터 제작, 운반, 시공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장점들로 경제적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7에서와 같이 교량(5)의 양측에서 모두 대피가 가능하도록 조립 블록식 비상대피계단을 대략 Y자 형태로 적층 배치하여 시공할 수도 있다. 즉, 비상대피계단용 블록(20a, 20b 또는 20c)을 이웃한 두 교각의 사이에 위치시킨 후 최상측 비상대피계단용 블록(20c)에 양방향 진입통로(60)를 설치하고, 양방향 진입통로(60)의 양쪽으로 다시 비상대피계단용 블록(20a,20b)을 조립식으로 적층 시공하여 이루어진다. 양방향 진입통로(60)는 안전 난간(62)을 갖는다,
이때 양방향 진입통로(60)를 기준으로 하부측과 상부측의 비상대피계단용 블록의 적층 조립 개수는 특정하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양방향 진입통로(60)의 설치 보강을 위해 양방향 진입통로(60)는 양단이 각기 하부측 비상대피계단용 블록(20a)에 진입통로 지지대(70)를 매개로 지지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진입통로 지지대(70)는 볼트 조립 또는 용접으로 접합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기초콘크리트
20a,20b,20c: 비상대피계단용 블록
30: 분리형 계단
40: 앵커체
42: PC 강연선
44: 정착장치
204,206: 상,하단 수평보
208,210: 상,하단 가로보
212: 일체형 계단
212a, 213a, 215a: 난간
213: 상단 계단참
214: 상하단 수평보 연결브레이싱
215: 하단 계단참
219: 블록 보강 연결브레이싱

Claims (10)

  1. 교량(5)측에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비상대피계단에 있어서,
    비상대피계단을 지지하기 위해 기초 지반에 시공된 기초콘크리트(10)와;
    기초콘크리트(10)의 상면에 상방으로 순차적으로 조립 적층되어 교량의 슬래브 위치까지 시공되는 복수개 이상의 비상대피계단용 블록(20a,20b 또는 20c)과;
    상하로 이웃하게 적층된 2개의 비상대피계단용 블록(20a와 20b 또는 20b와 20c)에 연결 조립되는 하나 이상의 분리형 계단(30)과;
    기초콘크리트(10)의 하방측 기초 지반에 시공된 락볼트 또는 앵커체(40)와;
    기초콘크리트(10)내 설치된 쉬스관(12) 내부에 삽입시켜 일단이 앵커체(40)에 연결되고 타단이 기둥부재(202)의 최상단에 긴장되어 정착된 PC 강연선(42)과;
    최상측 기둥부재(202)의 상단에 PC 강연선(42)을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장치(44)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조립 블록식 비상대피계단.
  2. 제 1항에 있어서,
    비상대피계단용 블록(20a, 20b 또는 20c)은 이웃한 두 교각의 사이에 위치되어 대략 Y자 형태로 적층 배치되고 중간 높이에 설치된 양방향 진입통로(60)를 매개로 연결되어져 교량의 양측에서 동시 대피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조립 블록식 비상대피계단.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비상대피계단용 블록(20a, 20b 또는 20c)은 각기,
    사각 영역의 각 모서리에 위치하는 모두 4개의 기둥부재(202)와;
    4개의 기둥부재(202)에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단과 하단에 연결되어 있는 상, 하단 수평보(204,206)와;
    각기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상단 수평보(204,204)와 하단 수평보(206,206)에 각기 연결되어 있는 상, 하단 가로보(208,210)와;
    분리형 계단(30)과 어긋나게 위치되어 상단 가로보(208)와 하단 가로보(210)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일체형 계단(212)과;
    상단 가로보와 상단 수평보에 연결 지지되어 있는 상단 계단참(213)과;
    하단 가로보와 하단 수평보에 연결 지지되어 있는 하단 계단참(215)과;
    상단 수평보(204)와 하단 수평보(206)에 역V자 형태로 배치되어 볼트 조립되어 있는 상하단 수평보 연결브레이싱(214)과;
    4개의 기둥부재(202)의 각기 상하단에 접합되어 있는 기둥 이음판(216)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조립 블록식 비상대피계단.
  4. 제 3항에 있어서,
    일체형 계단(212), 상단 계단참(213) 및 하단 계단참(215)에는 각기 난간(212a, 213a, 215a)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조립 블록식 비상대피계단.
  5. 삭제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최하부측 비상대피계단용 블록(20a)과 기초 지반과의 사이에 분리형 계단(30)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조립 블록식 비상대피계단.
  7. 제 2항에 있어서,
    양방향 진입통로(60)는 양단이 각기 하부측 비상대피계단용 블록(20a)에 진입통로 지지대(70)를 통하여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조립 블록식 비상대피계단.
  8. 기초 지반에 앵커체(40)를 시공하는 단계와;
    교량(5)의 일측 기초 지반에 앵커체(40)의 상부로 기초콘크리트(10)를 시공하는 단계와;
    기초콘크리트(10)의 상면에 상방으로 순차적으로 교량의 슬래브 위치까지 복수개 이상의 비상대피계단용 블록(20a, 20b 또는 20c)을 상호 볼트 조립하여 조립 적층하는 단계와;
    상하로 이웃하게 적층되는 2개의 비상대피계단용 블록(20a와 20b 또는 20b와 20c)을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분리형 계단(30)을 상, 하단 가로보(208,210)에 연결 조립하는 단계와;
    기초콘크리트(10)의 하부측에 시공된 앵커체(40)에 연결된 PC 강연선(42)을 기초콘크리트(10)내 쉬스관(12)을 삽입시켜 최상측 기둥부재의 최상단에 긴장되게 정착시켜 전체의 비상대피계단용 블록에 압축력을 도입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조립 블록식 비상대피계단의 시공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비상대피계단용 블록(20a, 20b 또는 20c)간에 V자 형태로 블록 보강 연결브레이싱(219)이 연결되어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조립 블록식 비상대피계단의 시공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비상대피계단용 블록(20a, 20b 또는 20c)을 이웃한 두 교각의 사이에 위치시켜 대략 Y자 형태로 적층 배치하되, 중간 높이에 양방향 진입통로(60)를 설치하여 비상대피계단용 블록(20a, 20b 또는 20c)을 Y자 형태로 시공하여 교량의 양측에서 동시 대피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조립 블록식 비상대피계단의 시공 방법.
KR1020130003971A 2013-01-14 2013-01-14 교량용 조립 블록식 비상대피계단 및 그 시공방법 KR101295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971A KR101295496B1 (ko) 2013-01-14 2013-01-14 교량용 조립 블록식 비상대피계단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971A KR101295496B1 (ko) 2013-01-14 2013-01-14 교량용 조립 블록식 비상대피계단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5496B1 true KR101295496B1 (ko) 2013-08-09

Family

ID=49220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3971A KR101295496B1 (ko) 2013-01-14 2013-01-14 교량용 조립 블록식 비상대피계단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4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2867A (ko) * 2019-12-26 2021-07-06 주식회사 삼호인더스트리 조립식 계단
KR102417022B1 (ko) * 2021-10-01 2022-07-05 신준철 교량 점검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293B1 (ko) * 2011-02-28 2011-10-18 주식회사 건화 압착형 방식구 및 이를 이용한 정착장치, 정착장치 설치방법, 앵커체 및 앵커체 시공방법
KR20120131834A (ko) * 2011-05-26 2012-12-05 주식회사 벤트코리아 가설벤트를 이용한 조립식 고하중 안전계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293B1 (ko) * 2011-02-28 2011-10-18 주식회사 건화 압착형 방식구 및 이를 이용한 정착장치, 정착장치 설치방법, 앵커체 및 앵커체 시공방법
KR20120131834A (ko) * 2011-05-26 2012-12-05 주식회사 벤트코리아 가설벤트를 이용한 조립식 고하중 안전계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2867A (ko) * 2019-12-26 2021-07-06 주식회사 삼호인더스트리 조립식 계단
KR102278231B1 (ko) * 2019-12-26 2021-07-16 주식회사 삼호인더스트리 조립식 계단
KR102417022B1 (ko) * 2021-10-01 2022-07-05 신준철 교량 점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037734B1 (ru) Конструкционный модуль для сооружения железобетон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и модульный железобетонный мост
US6543195B2 (en) Composite structural framing system
KR101007708B1 (ko) 세미-힌지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JP2006502330A (ja) プレキャストおよび骨組ブロック要素構造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07245953A (zh) 一种多层桥梁结构的排架装置及交叉施工方法
KR101256130B1 (ko) 프리캐스트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구조물
KR0184558B1 (ko) 조립식 고가도로와 그 시공방법
KR101295496B1 (ko) 교량용 조립 블록식 비상대피계단 및 그 시공방법
KR101654657B1 (ko) 측면빔과 슬래브세그먼트를 이용한 하로교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JP4585614B1 (ja) 合成鋼床版橋の施工方法、並びにリブ付き鋼床版、及び合成鋼床版橋
KR101330177B1 (ko) 강선인장을 이용하는 복공판
KR20080099061A (ko) Psc 교량의 psc 빔 연결용 강가로보
JP2018105091A (ja) 半地下型道路上の人工地盤の構築方法
KR102050553B1 (ko) 합성구조로 제작된 하로형 철도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008555B1 (ko) 지하차도용 복합거더 및 그를 이용한 지하차도
JP2015178710A (ja) 壁高欄施工方法と壁高欄
KR20140065338A (ko) 콘크리트 블록과 강재블록으로 구성되며 블록들의 연결부 접합면 상단의 이격거리와 하단의 이격거리 차이를 이용하여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는 연속지간 하이브리드 거더
US20040231249A1 (en) Platform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CN106592434A (zh) 模块式箱型板梁结构及基于箱型板梁结构的桥体架设方法
KR20150014796A (ko) 압축력이 도입된 교량용 조립 블록식 비상대피계단 및 그 시공방법
KR100656428B1 (ko) 프리캐스트 난간
KR200432268Y1 (ko) 골조와 일체로 제작된 복공판
KR101502496B1 (ko) 조립식 철도승강장
KR102630598B1 (ko) 파형강판 합성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EP0491925B1 (en) Multi-storey car park with floors comprising prefabricated slab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