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3077A - 고속 경화성 시멘트 방수막을 위한 에멀젼 폴리머 2-성분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속 경화성 시멘트 방수막을 위한 에멀젼 폴리머 2-성분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3077A
KR20170023077A KR1020177001145A KR20177001145A KR20170023077A KR 20170023077 A KR20170023077 A KR 20170023077A KR 1020177001145 A KR1020177001145 A KR 1020177001145A KR 20177001145 A KR20177001145 A KR 20177001145A KR 20170023077 A KR20170023077 A KR 20170023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composition
aqueous emulsion
weight
emulsion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1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7591B1 (ko
Inventor
제니퍼 로우
마가리타 페렐로
마르크 슈미츠
유우코 비예리케
Original Assignee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롬 앤드 하아스 컴패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롬 앤드 하아스 컴패니 filed Critical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70023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5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6Aluminous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42Magnesium silicates, e.g. talc, sepiol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36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4B14/022 and C04B14/04 - C04B14/34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8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 C04B18/24Vegetable refuse, e.g. rice husks, maize-ear refuse; Cellulosic materials, e.g. paper, cork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76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grain distrib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8Acids or salts thereof
    • C04B22/14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sulfur in the anion, e.g. sulfides
    • C04B22/142Sulfates
    • C04B22/143Calcium-sulf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04Carboxylic acids; Salts, anhydrides or esters thereof
    • C04B24/06Carboxylic acids; Salts, anhydrides or esters thereof containing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52Nitrogen containing polymers, e.g. polyacrylamides, polyacrylo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6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ethylenically unsaturated dicarboxylic acid polymers, e.g. maleic anhydride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88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three different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38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C04B24/383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4Portland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14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 C04B28/145Calcium sulfate hemi-hydrate with a specific crystal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0/00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 C04B40/06Inhibiting the setting, e.g. mortars of the deferred action type containing water in breakable containers ; Inhibiting the action of active ingredients
    • C04B40/0641Mechanical separation of ingredients, e.g. accelerator in breakable microcapsules
    • C04B40/065Two or more component morta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0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5098Cerm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02Portland 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32Aluminous cements
    • C04B7/323Calcium aluminosulfate cements, e.g. cements hydrating into ettringi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45Polymers chosen for thei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 C04B2103/0065Polymers characterised by thei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7Water resistance, i.e. waterproof or water-repell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34Non-shrinking or non-cracking materials
    • C04B2111/343Crack resistant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정된 유리 전이 온도(Tg)가 -20℃ 내지 0℃이고, 총 모노머 고형분을 기준으로 한 모노머의 중량%로서, (i) 60 내지 89.9 중량%의 1종 이상의 비이온성 (메트)아크릴 모노머, (ii) 10 내지 40 중량%의 1종 이상의 비닐 방향족 모노머, 및 (iii) 0.1 내지 2.0 중량%의, 이타콘산, 메타크릴산, α,β-불포화 C3 내지 C6 카르복실산의 아미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모노머의 공중합 생성물인 1종 이상의 아크릴계 수성 에멀젼 코폴리머를 성분 A)로서 포함하고(여기서, 상기 수성 에멀젼 코폴리머는 아스코르브산 환원제의 적어도 1종의 잔기이거나 또는 이타콘산을 포함하는 모노머 (iii)의 공중합 생성물임), 수경성 시멘트 및 고 알루미나 함량 시멘트의 고속 경화성 건조 혼합 분말 조성물을 별도의 성분 B)로서 포함하는 2-성분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속 경화성 시멘트 방수막을 위한 에멀젼 폴리머 2-성분 조성물{EMULSION POLYMER TWO-COMPONENT COMPOSITIONS FOR FAST CURING CEMENTITIOUS WATERPROOFING MEMBRANES}
본 발명은, 측정된 유리 전이 온도(Tg)가 -40 내지 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0℃이고 환원제의 잔기를 포함하는 1종 이상의 아크릴계 수성 에멀젼 코폴리머를 성분 A)로서 포함하고, 수경성 시멘트 및 고 알루미나 함량 시멘트의 고속 경화성 건조 혼합 분말 조성물을 별도의 성분 B)로서 포함하는 시멘트성 방수막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2-성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2-성분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A) 수성 에멀젼 코폴리머는 총 모노머 고형분을 기준으로 (i) 60 내지 89.9 중량%의 1종 이상의 비이온성 (메트)아크릴 모노머, (ii) 10 내지 40 중량%의 1종 이상의 비닐 방향족 모노머, 및 (iii) 0.1 내지 2.0 중량%의, 이타콘산, 메타크릴산, α,β-불포화 C3 내지 C6 카르복실산의 아미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모노머의 공중합 생성물이고, 상기 수성 에멀젼 코폴리머는 아스코르브산 환원제의 적어도 1종의 잔기이거나 또는 이타콘산과 α,β-불포화 C3 내지 C6 카르복실산의 아미드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모노머 (iii)의 공중합 생성물이다.
방수막은 욕실, 테라스, 수영장 및 수조의 타일 아래에 있는 지지 및 실러 층으로 사용된다.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OPC) 또는 표준 2-성분 시멘트 방수막 조성물에서, 충분한 두께와 방수 품질을 얻기 위해서는 2개의 모르타르 층을 도포해야한다. 건조 혼합에서 OPC를 사용할 때, 두 번째 층을 도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최소 24시간 후이다.
고속 경화성 시멘트 칼슘 알루미나 시멘트(CAC)를 사용하여 더욱 빠른 경화 방수막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고속 경화성 시멘트 조성물에서 에멀젼 폴리머를 사용할 때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습윤 모르타르가 매우 빠르게 두꺼워짐에 따라, 적용성과 작업성은 매우 어려워진다; 즉, 포트 수명은 수용할 수 없을 정도로 짧고, 생성된 방수막은 너무 단단하여 유연성이 부족하고 종종 균열이 생겨 방수성이 없다.또한, 고속 경화성 방수막 조성물에서, 에멀젼 폴리머는 건조/습윤 조건에서 충분한 균열 브릿징(crack bridging)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유연성을 제공하지 못한다. 생성된 방수막의 강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매우 비싼 방법 중 하나는 에멀젼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를 낮추어 부드럽고 더욱 유연하게 하고 폴리머 대 시멘트 비율을 상당히 증가시키는 것이다.
효과적인 속 건성 방수막은 도포기로 제 1 및 제 2 방수막 층을 도포한 후 동일한 작업일 내에 생성된 방수막 상에 타일 층을 도포할 수 있게 한다.
바초(Bacho) 등의 미국 특허 제 6,423,805 호는 모노머 혼합물의 전체 고형분을 기준으로 1 내지 3 중량%의, α,β-불포화 C3 내지 C6 카르복실산의 아미드 및 N-비닐 락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모노머와 1 중량% 이상의 하나 이상의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를 가지는 1종 이상의 비닐 또는 아크릴 모노머들의 모노머 혼합물의 중합된 생성물을 포함하는 아크릴 또는 비닐 수성 에멀젼 폴리머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조성물은 그라우트 및 심지어 방수막과 같은 다양한 표준 시멘트 조성물에서 개선된 개방 시간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상기 조성물은 OPC 또는 일반 시멘트를 포함하고, 24 시간 후 강도의 발달을 가능하게 하지만, 바초 등은 방수막을 형성하기 위해 경화될 때 균열되지 않는 고속 경화성 시멘트 조성물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자들은 습윤 모르타르 조성물을 폴리머의 Tg를 감소시키지 않거나 또는 조성물 중의 폴리머 대 시멘트 비율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고속 경화성 방수막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게 하는 한편, 최종 경화된 방수막의 허용가능한 모르타르 포트 수명 및 유연성을 가능하게 하여 경화시 균열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고속 경화성 건조 혼합물 및 에멀젼 폴리머 첨가제의 2-성분 조성물을 제공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노력했다.
1. 본 발명에 따르면, 2-성분 조성물은, 측정된 유리 전이 온도(Tg)가 -40 내지 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0℃,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이고 환원제의 잔기, 바람직하게는 아스코르브산 예를 들어 이소아스코르브산을 포함하는 1종 이상의 수성 에멀젼 코폴리머를 성분 A)로서 포함하고, 수경성 시멘트 및 고 알루미나 함량 시멘트의 고속 경화성 건조 혼합 분말 조성물을 별도의 성분 B)로서 포함하고, 여기서 성분 A)의 수성 에멀젼 코폴리머는, 총 모노머 고형분을 기준으로 (i) 60 내지 89.9 중량%, 또는 바람직하게는, 67.5 내지 89.5 중량%의 1종 이상의 비이온성 (메트)아크릴 모노머, (ii) 10 내지 40 중량%, 또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중량%의 1종 이상의 비닐 방향족 모노머, 및 (iii) 0.1 내지 2.0 중량%, 또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25 중량%의, 이타콘산, 메타크릴산, α,β-불포화 C3 내지 C6 카르복실산의 아미드,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아미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모노머의 공중합 생성물이며, 단, 상기 수성 에멀젼 코폴리머는 아스코르브산 환원제의 적어도 1종의 잔기를 갖거나 또는 이타콘산과 α,β-불포화 C3 내지 C6 카르복실산의 아미드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모노머 (iii)의 공중합 생성물이다.
2. 본 발명의 항목 1에 있어서, 성분 A)의 수성 에멀젼 코폴리머가 α,β-불포화 C3 내지 C6 카르복실산의 1종 이상의 아미드를 포함하는 모노머 (iii)의 공중합 생성물인 경우, 이는 (iv) 1종 이상의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 생성물을 추가로 포함한다.
3. 본 발명의 항목 2에 있어서, 성분 (A)의 수성 에멀젼 코폴리머는 총 모노머 고형분을 기준으로 (iv) 0.1 내지 1.5 중량%, 또는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1 중량%의 1종 이상의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생성물을 포함한다.
4. 본 발명의 항목 1, 2 또는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성분 (A)의 수성 에멀젼 코폴리머는 (i) (C1 내지 C18)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C5 내지 C10) 사이클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메트)아크릴로니트릴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타크릴로니트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비이온성 (메트)아크릴 모노머들의 공중합 생성물을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i) 1종 이상의 비이온성 (메트)아크릴 모노머는 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이들의 혼합물, 및 이들과 또 다른 비이온성 (메트)아크릴 모노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5. 본 발명의 항목 1, 2, 3 또는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2-성분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성분 A)의 1종 이상의 수성 에멀젼 코폴리머의 고형분으로서 10 내지 60 중량%, 또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중량%,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 중량%를 포함한다.
6. 본 발명의 항목 1, 2, 3, 4 또는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성분 (A)의 수성 에멀젼 코폴리머는 (ii) 스티렌, 알킬 치환된 스티렌, 또는 바람직하게는 스티렌, 비닐 톨루엔, 알파-메틸 스티렌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비닐 방향족 모노머들의 공중합 생성물을 포함한다.
7. 본 발명의 항목 1, 2, 3, 4, 5 또는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성분 A)의 수성 에멀션 코폴리머 중의 환원제 잔기는 수성 에멀션 코폴리머를 제조하는 데 사용된 총 모노머 고형분을 기준으로 0.1 내지 0.5 중량%, 또는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8. 본 발명의 항목 1, 2, 3, 4, 5, 6 또는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고속 경화성 건조 혼합 분말 조성물 성분 B)는 성분 B) 중의 총 고형분을 기준으로 1 내지 35 중량%, 또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중량%,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5 중량%의 고 알루미나 함량 시멘트를 포함한다.
9. 본 발명의 항목 1, 2, 3, 4, 5, 6, 7 또는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고속 경화성 건조 혼합 분말 조성물 성분 B)는 성분 B) 중의 총 고형분을 기준으로 0 내지 15 중량%, 또는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0 중량%,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상의 황산칼슘을 포함한다.
10. 본 발명의 항목 1, 2, 3, 4, 5, 6, 7, 8 또는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고속 경화성 건조 혼합 분말 조성물 성분 B)는 15 내지 65 중량%, 또는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50 중량%의 수경성 시멘트 예를 들어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를 포함한다.
11. 본 발명의 항목 1, 2, 3, 4, 5, 6, 7, 8, 9 또는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고속 경화성 건조 혼합 분말 조성물 성분 B)는 성분 B) 중의 총 고형분을 기준으로 30 내지 85 중량%, 또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중량%의 1종 이상의 비-시멘트성 충전제, 예컨대 모래, 활석, 점토 또는 실리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방수막의 제조 방법은 상기 본 발명의 항목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성분 A) 및 B)를 조합하여 습윤 모르타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습윤 모르타르를 기재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모르타르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모든 온도 및 압력 단위는 실온 및 표준 압력(STP)이다. 인용된 모든 범위는 포괄적이며 조합가능하다.
괄호로 구성된 모든 문구는 괄호 안에 포함된 물질과 그의 부재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레이트"라는 문구는, 번갈아서,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건조 혼합물"은 저장 안정성이고 반응을 피하기에 충분히 건조하기 때문에 잔류하는 시멘트를 포함하는 자유 유동 분말을 의미한다. 건조 혼합물은 무수 충전제가 건조 혼합물로 하여금 저장시에 경화되거나 "블록(block)"화되지 않도록 하는 한 무수 황산칼슘와 같은 무수 충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화된 건조 혼합물은 더 이상 자유 유동성 분말이 아니므로 폐기해야 한다.
본원에서 "EN"이라는 용어는 [de Normen durch Beuth Verlag GmbH, Berlin, DE (Alleinverkauf)]에서 발행한 유럽 규범(European Norm)을 의미한다. "DIN"이라는 용어는 [Beuth Verlag GmbH]에 의해 출판된 EN의 독일어 버전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유리 전이 온도" 또는 "Tg"는 열량 측정 곡선을 생성하기 위해 시차 주사 열량계 또는 폴리머 샘플의 DSC를 사용하여 -90℃ 내지 150℃에서 분당 10℃의 가열 속도로 측정된 양을 의미하며, Tg는 곡선 굴곡의 중간 지점에서 취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경화"는 플라스틱 시멘트 페이스트의 고형화를 의미한다. 문헌[Concrete - Microstructure, Properties, & Materials, 3rd edition, P. Kumar Mehta et al., page 220] 참조. 초기 경화라고 불리는 고형화의 시작은 페이스트가 작동하지 않는 시점을 표시한다. 페이스트는 갑자기 고형화되지 않지만, 완전히 단단해 지려면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 고형화까지 걸린 시간은 최종 경화를 나타낸다.
본원에서 사용된 문구 "총 고형분"은 건조된 방수막에 남아있는 모든 비-휘발성 물질을 의미한다. 따라서, 물, 암모니아와 같은 휘발성 가스 및 임의의 휘발성 용매를 배제한다. 용어 "휘발성"은 일반적으로 대기압 및 약 7℃ 내지 약 45℃의 실외 온도를 포함하는 사용 조건 하에서 비등하거나 증발하거나 또는 가스 상태로 존재하는 것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wt.%"는 중량%를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은 수성 에멀젼 코폴리머 성분 및 고속 경화성 고 알루미나 함량의 시멘트 성분을 포함하는 2-성분 조성물이 방수 및 가요성 방수막을 제공하도록 결합될 때 신속히 경화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기 조성물은 우수한 방수 성능, 가요성 및 균열 브릿징 및 수 팽윤 후의 신장을 가능하게 한다. 기계적 응력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균열을 브릿징하기 위해 유연성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방수막은 균열 브릿징을 제공하고, 석조의 균열을 연장하여 이들 균열을 메울 수 있다. 방수를 위해 막으로 덮인 콘크리트 벽에 기계적 응력이 나타나면, 방수막이 응력과 함께 움직여 생성된 균열을 덮어 방수 표면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수성 에멀젼 코폴리머는 또한 충분한 포트 수명을 제공하면서, 도포기가 0.5 내지 2시간 내에 조성물의 제 1 층의 상부에 방수막 조성물의 새로운 층을 도포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수성 에멀젼 코폴리머의 경우, 모노머 혼합물은 1종 이상의 비닐 방향족 모노머 (ii)를 총 모노머 혼합물 고형분을 기준으로 0 내지 40 중량%, 또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중량%,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수성 에멀젼 코폴리머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점도 및 물 공급 가능성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2 중량% 초과의 아미드 첨가를 피하기 위해, 본 발명의 수성 에멀젼 코폴리머는 이러한 코폴리머가 (iii) α,β-불포화 C3 내지 C6 카르복실산의 아미드로 구성된 1종 이상의 모노머의 공중합 생성물인 경우 1 중량% 이하의 1종 이상의 하이드록시-(C1 내지 C8)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바람직하게는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공중합 생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성분 A)의 수성 에멀젼 코폴리머는 총 모노머 고형분을 기준으로 총 15 중량% 이하, 또는 바람직하게는 7 중량% 이하의 다른 모노머 예를 들어 부타디엔, 이소프렌, 이소부틸렌, 에틸렌, 프로필렌, 비닐 아세테이트, (C1-C12)카르복실산의 다른 비닐 에스테르의 공중합 생성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성 에멀젼 코폴리머는 당해 분야에 통상적인 바와 같이 수성 개시제의 존재하에 자유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의 통상적인 수성 에멀젼 중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수성 에멀젼 공중합은 예를 들어 물, 모노머 및 1종 이상의 유화제 및/또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모노머 혼합물 또는 바람직하게는 모노머 에멀젼이 중합 용기에 공급되고 개시제의 존재하에 중합되는 점진적 부가 공중합을 포함할 수 있다.
종자(seed) 중합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과산화수소, 과산화나트륨, 과산화칼륨, t-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큐멘 하이드로퍼옥사이드, 암모늄 및/또는 알칼리 금속 퍼설페이트, 나트륨 퍼보레이트, 과인산 및 이의 염, 과망간산 칼륨, 과망간산 칼륨, 및 퍼옥시이황산의 암모늄염 또는 알칼리 금속염과 같은 종래의 자유 라디칼 개시제를 전형적으로 총 모노머 고형분을 기준으로 0.01 내지 3.0 중량%, 또는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5 중량%의 수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 나트륨 설폭실레이트 포름알데히드, 아스코르브산, 이소아스코르브산, 황-함유 산의 알칼리 금속 및 암모늄염 예를 들어 아황산나트륨, 바이설파이트, 티오설페이트, 하이드로설파이트, 설파이드, 하이드로설파이드 또는 디티오나이트, 포름아딘설핀산, 하이드록시메탄설폰산, 아세톤 바이설파이트, 아민 예컨대 에탄올아민, 글리콜산, 글리옥실산 수화물, 락트산, 글리세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및 이들 산의 염과 같은 적합한 환원제와 결합된 상기 개시제를 사용하는 산화환원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두 성분이 배합될 때 조성물의 적절한 포트 수명을 보장하고 최종 방수막의 유연성을 보장하기 위해, 수성 에멀젼 코폴리머는 아스코르브산 및/또는 이소아스코르브산을 포함하는 아스코르브산 환원제의 잔기를 포함하거나, 또는 (iii) 이타콘산, 또는 더 바람직하게는 이타콘산 및 아크릴아미드와 같은 α,β-불포화 C3 내지 C6 카르복실산의 1종 이상의 아미드의 혼합물의 공중합 생성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속 경화성 조성물이 충분한 포트 수명을 제공하고 가요성 방수막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수성 에멀젼 코폴리머를 제조하는 방법은 모노머를 공중합시켜 코폴리머를 제조한 후, 코폴리머를 아스코르브산 환원제, 즉 체이스(chase)와 함께 공급하거나 이들을 조합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수성 에멀젼 코폴리머와 조합된 임의의 환원제는 최종 수성 에멀젼 코폴리머에 유지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방수막 고속 경화성 건조 혼합 분말 조성물 성분 B)는 일반적으로 통상의 포틀랜드 시멘트와 같은 7 내지 50 중량%, 예를 들어 30 내지 50 중량%의 수경성 시멘트, 및 15 내지 70 중량%의 비-수경성 또는 비-시멘트성 충전제(예컨대 모래)를 포함한다. 수경성 시멘트 이외에, 성분 B)는 고 알루미나 함량의 시멘트를 포함하고, 황산 칼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고속 경화성 건조 혼합 분말 조성물로 저장되고, 사용할 때까지 건조 상태로 유지되어 반응하지 않아 유동성 분말로서 자유로이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멘트 또는 수경성 결합제의 예는 예를 들어 1종 이상의 통상적인 시판되는 통상의 포틀랜드 시멘트 및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칼슘 알루미네이트 시멘트(CAC)와 같은 1종 이상의 통상의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고 알루미나 함량 시멘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프랑스 케르네오스 에스에이(Kerneos SA)에 의해 제조된 약 70 중량%의 알루미나 함량을 갖는 CAC인 테르날 더블유(Ternal W) 및 중국 하북성 탕샨 폴라 베어 시멘트 캄파니 리미티드(Tangshan Polar Bear Cement Company, Ltd)에 의해 제조된 칼슘 설포알루미네이트 시멘트(CSA)를 들 수 있다.
칼슘 알루미네이트 시멘트와 같은 본 발명의 고 알루미나 함량 시멘트는 고 알루미나 함량 시멘트 예컨대 칼슘 알루미네이트 시멘트의 중량을 기준으로 30 중량% 초과, 또는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55 중량% 초과,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이상의 알루미나(Al2O3) 함량을 가진다.
황산칼슘의 적절한 공급원 또는 형태는 무수물 또는 석고, 경화 형태(반-수화물) 및 건조 형태(이수화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고속 경화성 건조 혼합 분말 조성물은 칼슘 설포알루미네이트 시멘트를 형성한다. 속 건조 물질은 황산 칼슘, 석고 또는 무수화물 및 30 중량% 초과의 알루미나(Al2O3) 함량을 갖는 고 알루미나 함량 시멘트, 클링커(clinker) 및 충전제 예컨대 첨가된 석회석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속 경화성 건조 혼합 분말 조성물 성분 B)는 또한 충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제의 예는 예를 들어 규사 및 석영 모래와 같은 모래, 석영 분말, 탄산 칼슘, 백운석, 규산 알루미늄, 탈크 또는 운모, 또는 경량 충전제 예컨대 경석, 발포 유리, 폭기 콘크리트, 펄라이트 또는 질석을 포함한다. 충전제들의 혼합물도 포함될 수 있다.
충전제는 2-성분 조성물 또는 최종 방수막의 총 고형분의 60 중량%까지 차지할 수 있다.
성분 B)의 고속 경화성 건조 혼합 분말 조성물은 통상적인 양의 다른 통상적인 첨가제, 예를 들어 산화 아연, 수산화 아연 및 아연 하이드록사이드 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하이드록시에틸 메틸 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스 에테르 또는 검과 같은 분말 형태의 1종 이상의 증점제을 포함할 수 있다.
증점제의 적절한 양은 성분 B)의 고속 경화성 건조 혼합 분말 조성물의 총 고형분의 0.01 내지 1 중량%, 또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5 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2-성분 조성물에서, 고형물 대 총 시멘트 고형물(포틀랜드 시멘트 + 고 알루미나 함량 시멘트)의 중량비는 0.4:1 내지 2.5:1, 또는 바람직하게는 0.5:1 내지 1.5:1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방수막의 제조 방법은 (1) 본 발명의 2-성분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2) 이를 물과 혼합하는 단계, 및 (3) 기재에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시멘트 조성물의 농도는 건조 혼합 분말에 첨가된 물에 의해 조정된다. 물은 최종-사용 요건에 따라 원하는 농도를 얻기 위한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적합한 물 대 시멘트(수경성 시멘트 + 고 알루미나 함량 시멘트)의 비율은 0.45:1 내지 0.6:1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건설 산업을 위한 제품에 사용될 수 있으며, 탈지 코트, 균열 격리 막, 밀봉 슬러리 또는 수리용 모르타르 및 외부 단열 마감 시스템(EIFS)의 베이스코트(basecoat)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기재의 예로는 최근 경화된 방수막, 합판, 후판, 수조, 지하실, 단열 패널, 내벽 표면, 강철 보강재, 숙성 콘크리트, 경화 콘크리트, 숙성 모르타르, 경화 모르타르 또는 방음 패널을 들 수 있다.
실시예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제공되며 하기의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모든 부 및 백분율은 중량 기준이며, 모든 온도는 실온(RT)이며, 모든 압력은 표준 압력이다.
합성 실시예 1: 실시예 1의 수성 에멀젼 코폴리머의 제조
멀티-넥(multi-neck) 반응 플라스크에 290g의 탈이온(DI)수, 1.9g의 FES 993(소듐 라우릴에톡시(EO) 에테르 설페이트, 12 EO 유니트, BASF SE, 독일 루드비히샤펜) 및 2.2g의 터지톨(Tergitol) 15-S-40(2차 알콜 에톡실레이트-40 EO 단위, 물 중의 35 중량%, 미시간주 미들랜드의 더 다이 케미칼 캄파니(The Dow Chemical Company))을 채웠다. 이들 넥은 오버헤드 기계식 교반기, 질소 주입구, 열전대, 응축기 및 펌프를 통해 반응물을 첨가하기 위한 2개의 입구를 수용하도록 설치되었다. 물 225g, FES 993 17g, 터지톨 15-S-40 9.3g, 부틸 아크릴레이트(BA) 690g, 스티렌(STY) 280g, 아크릴아미드(AM) 19g 및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HEMA)의 모노머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반응 플라스크를 88 내지 94℃로 가열한 후, 9% 중탄산 나트륨 용액 29g, 모노머 에멀젼 50g 및 10% 과황산나트륨 수용액 10.5g을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발열 후, 모노머 에멀젼 및 4 중량%의 과황산나트륨 수용액 78g을 온도를 87 내지 92℃로 유지하면서 180 내지 240 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공급이 끝난 후, 반응을 80 내지 90℃에서 약 30 분간 유지한 다음 70 내지 77℃로 냉각시켰다. 그 다음, 물 중의 3.3 중량% t-부틸 과산화수소 용액 5g 및 물 중의 3 중량% 나트륨 바이설파이트 용액 6g을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물 중의 8 중량% t-부틸 과산화수소 및 19 중량% 이소아스코르브산 용액 각각 24 g을 펌프를 통해 1 시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60℃로 냉각시키고, 물 중의 9 중량%의 t-부틸 과산화수소 및 9 중량%의 이소아스코르브산 용액 각각 9g을 첨가한 후, 반응을 55 내지 70℃에서 최소 30 분 동안 유지시켰다. 반응 생성물은 55 내지 58%의 고형분 함량 및 5 미만의 pH를 가졌다.
합성 실시예 2: 실시 예 2의 수성 에멀젼 코폴리머의 제조
공중합은 모노머 에멀젼 중의 아크릴아미드 수준을 반으로 줄이고 이타콘산 10g을 첨가하여 아크릴아미드의 감소된 수준을 보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합성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또한, 이소아스코르브산의 용액을 12 중량%의 나트륨 메타바이설파이트(독일 하일브론의 브뤼게만 케미칼(Bruggemann Chemical))의 수용액으로 대체하였다. 반응 생성물은 55 내지 58%의 고형분 함량 및 5 미만의 pH를 가졌다.
합성 실시예 3: 실시예 3의 수성 에멀젼 코폴리머의 제조
모노머 에멀젼에서 BA의 수준을 820g으로 증가시키면서 STY의 수준을 150g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합성 실시예 1에서와 같이 공중합을 수행하였다.
비교 합성 실시예 1: 비교예 1의 수성 에멀션 코폴리머의 제조
상기 코폴리머는, 이소아스코르브산 용액을 20 중량%의 나트륨 바이설파이트 수용액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합성 실시예 1에서 개시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반응 생성물은 55 내지 58%의 고형분 함량 및 7 미만의 pH를 가졌다.
비교예 2: 수성 에멀젼 코폴리머
하기 표 2에 열거된 모노머 혼합물 및 시약을 갖는 수성 에멀젼 코폴리머는 아크릴 에멀젼 폴리머 종자,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15% 과황산나트륨 수용액의 존재하에 1 단계 점진적 첨가 유화 중합에 의해 제조되었다. 에멀젼 코폴리머를 60 내지 70℃로 냉각시킨 다음, 잔류 모노머에 3 중량%의 t-부틸 과산화수소 및 0.5 중량%의 과산화수소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첨가하고, 동시에 4 중량%의 이소아스코르브산 용액을 0.75 내지 1 시간에 걸쳐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최종 혼합물은 50 내지 55% 범위의 고형분 함량 및 5 이상의 pH를 가졌다.
하기 표 1은 실시예에서 사용된 고속 경화성 건조 혼합 분말 조성물 제형을 개시한다.
표 1: 고속 경화성 건조 혼합 제형
Figure pct00001
표 2: 에멀젼 폴리머 조성물
Figure pct00002
방수막 조성물 또는 모르타르를 제형화하기 위해, 표 2에 나타낸 고형분에 대해 100 중량부의 수성 에멀젼 코폴리머 및 100 중량부의 고속 경화성 건조 혼합 분말 조성물 고형분을 물 77 중량부(습윤 수성 에멀젼 코폴리머 + 추가의 물(필요시))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합시켰다.
고속 경화성 건조 혼합 분말 조성물 성분을 형성하기 위해, 시멘트, 모래, 폴리머 및 증점제를 칭량하고 플라스틱(폴리에틸렌) 백에 넣은 다음, 2 분 동안 손 혼합하고 실온(23℃)에서 24 시간 동안 컨디셔닝하였다. 24 시간 후, 폴리머 및 지시된 양의 물을 2 L 폴리에틸렌 비이커에 첨가하고 4-날개 교반기(직경 75mm)로 200rpm에서 30 초 동안 교반함으로써 수성 에멀젼 코폴리머 성분을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고속 경화성 건조 혼합 분말 성분을 습윤 성분에 45 초 이내에 첨가하였다. 교반기 속도는 물질을 잘 혼합시키기 위해 200에서부터 700 rpm을 통해 1100 rpm까지 지속적으로 증가시켰다. 모든 성분을 배합한 후, 페이스트를 135 초 동안 700 rpm에서 교반하여 모르타르를 형성시켰다.
교반을 완료한 후, 필요시, 아래의 시험 방법에 기재된 바와 같이 모르타르로부터 방수막을 형성하였다.
시험 방법
입자 크기: 입자 크기 측정은 마텍(Matec) CHDF-3000 또는 브룩하벤(Brookhaven) BI90플러스 파티클 사이즈 애널라이저(BI90Plus Particle Size Analyzer)에서 수성 코폴리머 에멀젼의 희석 용액(<5% 고형분)을 사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중량 평균 입자 크기를 나타내었다. 두 측정의 평균을 사용하여 입자 크기를 결정했다.
에멀젼 점도: 60 rpm의 스테인레스스틸 브룩필드(Brookfield) RV-2 스핀들을 갖는 브룩필드 디지털 비스코미터(Brookfield Digital Viscometer)를 사용하여 수성 코폴리머 에멀젼에 대한 점도를 측정하였다. 점도를 측정하기 위해 평균 세 번 측정하였다. 모든 측정은 실온에서 이루어졌다.
외관: 300 x 250mm x 10mm 두께의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플레이트 지지대 위에 놓여 있는 연속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 기재(바이택(BytacTM) VF-81, 펜실베니아주 웨스트 체스터의 에스피아이 서플라이즈(SPI Supplies))의 대향(폭 방향) 면에 고정된 두 개의 200mm x 10mm x 2.2mm 두께의 금속 슬랫(slat)으로 둘러싸인 영역을 덮기 위해 평평한 흙손으로 모르타르 재료를 바름으로써 방수막을 형성하였다. 각각의 막을 건조시키고, 2 개의 슬랫을 제거하고, 2일 후에 막을 필름 기재로부터 조심스럽게 제거하였다. 막은 작은 균열(<5mm 길이), 큰 균열(> 5mm 길이), 깊은 균열 및 전체 외관의 수와 모양에 대해 검사했다. 필름 기재는 기재상에 코팅된 방수막에서 재현될 수 있는 균열이 있는지 검사하여 인장 시험에 영향을 주는 기재 필름에 균열이 없는지를 확인하였다.
신장/인장 강도: (DIN ISO EN 527-1 및 DIN ISO EN 527-2, 2010년 3월) 위의 외관 검사에서 설명한 대로 각 표시된 재료의 2.6 mm 두께의 막을 만들었다. 23℃/50% 상대 습도(RH)에서 7일 저장, 23℃(RT)/50% RH에서 7일 저장 후 수분 하에 23℃에서 7일 및 23℃(RT)/50% RH에서 28일(7일 후 21일)의 조건에서 시편이 경화되었다. 7일 RT 경화 후, 경화된 막 각각을 DIN ISO EN 527-2 필요 유형 1B(80 mm L x 15 mm W이고 좁은 중앙 섹션은 10mm W 및 20mm L임)에서와 같이 14 개(14 mm)/21 개(21 mm) 덤벨 형태의 시편으로 절단하였다. 각 경화 막의 7 개의 시편을 즉시 시험하였다; 각 경화 막의 7 개의 시편을 RT에서 7일 동안 물에서 경화시킨 다음 시험하였다. 다른 7 개의 시편을 RT와 50% RH에서 21일 더 경화하였다. 시험하기 위해, 시편의 두께와 폭을 시편의 얇은 부분에서 3회 측정하여 연신 전의 단면적을 계산하였다. 연신율 및 인장 시험은 20 mm/분의 속도로 컴퓨터를 통해 제어되고 텍스처 분석기(TA.XT.plus Texture Analyzer, 독일 안스벡의 비노팔 포르슝스베다르프 게엠베하(Winopal Forschungsbedarf GmbH))에서 수행되었다. 각 시편은 텍스처 분석기의 두 클램프(클램프 사이의 거리 60 mm)에 고정하였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클램프 사이의 거리와 시편을 길게 늘리는 데 필요한 힘을 측정했다. 측정값은 최대 힘이었다; 최대 힘에서의 거리와 파손시의 거리(쉽게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파손되기 전의 최대 힘 50%에서의 거리를 측정했다). 이들 수치로부터, 연신율 및 최대 인장 강도, 파단시 연신율, 및 인장 강도 대 연신율로서 플롯된 곡선의 e-모듈러스 또는 기울기를 계산하였다. 표시된 재료 각각에 대해 보고된 값은 테스트 한 각 시편에 대한 판독 값으로부터 계산된 7개 결과의 평균값이었다.
허용 인장 강도(28d)는 0.4 N/mm2(MPa) 이상이다; 허용 연신율율(28d)은 8% 이상이다.
균열 브릿징: EN 14891(2010년 3월)에 따름. 각각의 표시된 모르타르에 대해, 28.9 중량%의 CEM I 52.5R, 57.8 중량%의 석영 모래 F36, 0.3 중량%의 슈퍼플라스티사이저(superplasticiser)(글레늄(GleniumTM) 51, 독일 루드비히샤펜의 바스프(BASF))와 13 중량%의 물의 혼합물로부터 콘크리트 시편(160 x 50 x 12 mm)을 제조하고, 23℃/50% 상대 습도에서 2일 동안 그리고 26 일간 23℃에서 물에서 경화시켰다.
일단 콘크리트 시편이 경화되면 각각의 표시된 새로 제조한 모르타르를 시편의 160 x 50 mm면 중 하나에 3 mm 두께의 금속 틀을 사용하여 하나의 콘크리트 시편에 적용하고 4 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그 다음, 각각의 새로 제조한 모르타르를 동일한 틀을 사용하여 동일한 모르타르가 적용된 시편의 다른 면에 적용하였다. 각 시편은 23℃/50% 상대 습도에서 7일 동안 경화되었다. 경화 후, 경화된 각 시편은 막을 파괴하지 않고 EN 14891(2010년 3월)에 따라 신중하게 깨뜨렸다. 손상되지 않은 막이 있는 깨진 콘크리트 시편을 텍스처 분석기로 0.15 mm/분의 속도로 길게 늘였으며 막 표면을 육안으로 모니터링했다. 보고된 거리는 (1) 최대 힘에서 (2) 첫 번째 균열이 나타날 때였다. 또한 최대 힘이 보고되었다. 허용될 수 있는 결과는 0.4 mm 이상, 바람직하게는 0.4 mm 미만이다.
포트-수명(pot-life): 새로 제조된 모르타르의 포트-수명을 결정하기 위해, 기재된 조성물의 모르타르의 23℃에서의 점도를 5 rpm으로 회전하는 T 스핀들(최대 400 Pa·s, 일반적으로 300 Pa·s에 도달한 후 스핀들 T-E로 변경됨)을 사용하여 23℃ 및 50% 상대 습도에서 헬리패쓰(Helipath) 상에서 브룩필드 헬리패쓰(Brookfield Helipath) 스탠드(미국 메사추세츠 미들보로의 브룩필드 엔지니어링 래보로토리즈 인코포레이티드(Brookfield Engineering Laboratories Inc.))와 결합된 브룩필드 점도계(모델 RVT DV-II, 미국 메사추세츠 미들보로의 브룩필드 엔지니어링 래보로토리즈 인코포레이티드)로 시간에 따라 측정하였다. 각각의 제조된 막을 100 mL 강철 비이커에 채웠다. 이송 도중 기포가 발생하지 않았다. 강철 비이커를 손으로 5회 충격을 가한 다음 표면을 스크레이퍼로 부드럽게 했다. 모르타르가 있는 비이커를 브룩필드 점도계 아래에 놓고 스핀들을 모르타르의 중심에 담갔다. 브룩필드 점도계가 개시되었고 디스플레이에 안정된 그림이 표시되고 약 2초 후, 헬리패쓰 스탠드가 30초 안에 11.5 mm로 내려갔다. 점도는 비이커가 채워진 후 30 초(0 분 = 30 초)에서 측정하였고, 지시된 시간 후에 측정을 반복하였다. 샘플이 건조되거나 외피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강철 비이커를 측정 사이의 휴식 시간 동안 플라스틱 비이커로 덮었다.
하기 표 3의 각각의 표시된 시간에서, 점도 판독 값은 5, 15 및 25초 후에 취했다. 30초 후에 헬리패쓰 스탠드가 "위"로 전환되었고 35, 45 및 55초에서 점도를 읽었다. 아래의 표 3에 표시된 각 시간에 대해, 보고된 점도는 6개의 판독 값의 평균이었다.
포트-수명은 점도가 1000 Pa·s 초과의 점도에 도달하면 끝난다. 허용되는 포트-수명은 최소 120분이다.
밀도: 혼합 직후, 모르타르를 부피와 중량이 알려진 100 mL 강철 비이커 용기(내경: 54 mm, 높이:(내부): 43.7 mm, 벽 두께: 1.6 mm)에 넣고 탬핑 다운 후 중량을 쟀다. 모르타르의 밀도는 상기 중량을 모르타르의 체적으로 나눈 값이다.
두 번째 층을 적용하는 데 필요한 시간: 지시된 새로 제조한 모르타르를 석회석 벽돌 위에 한 층의 1.3 mm 두께로 적용했다. 매 5분마다 손가락 끝 시험으로 막의 신선도를 확인했다. 막을 손가락 끝으로 설정하면, 두 번째 층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 시간을 기록했다.
물 불투과성: EN 12390-8(2010년 3월)에 따름. 시험 표면의 이면에 있는 석회석 벽돌에 구멍을 뚫었다(시험 표면에서 거의 1 cm 정도 뚫음). 표시된 새로 제조한 모르타르는 석회석 벽돌의 한 층에 1.3 mm 두께로 적용되었다. 4시간 후 새로 제조한 모르타르의 두 번째 층을 첫 번째 층에 1.3 mm를 더하고 23℃ 및 50% 상대 습도에서 7일간 건조시켰다. 뚫린 구멍에 물 표시 용지(워토르(Wator) 90610, 독일 뒤렌 마허레이-나겔(Macherey-Nagel))를 넣고 석회석이 있는 막을 물 불투과성 시험기(공급자: 독일 베를린의 테스팅 블룸 앤드 포이에르헤르트 게엠베하(TESTING Bluhm & Feuerherdt GmbH))에 넣고 1.5 bar의 정수압을 4일 동안 막에 가했다. 물 흡수량이 25 mL 미만이면 압력은 5 bar까지 상승시켰다. 흡수가 더 높으면 압력을 1.5 bar에서 추가로 3일 동안 유지하였다. 7일 후, 물 표시 용지를 확인했다. 막 아래에 습기가 보이지 않으면 테스트가 통과된 것이다. 병행하여, 물 불투과성 시험기의 보정된 실린더로부터 시간에 따른 물 손실을 판독하였다. 대부분의 경우, 7일 노출 후의 물 손실량이 40 mL 미만이면 막은 물 불투과성이다.
아래의 표 3은 표시된 각 모르타르 또는 막에 대한 시험 결과를 보여준다.
하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는 두 번째 모르타르 층이 첫 번째 도포 층에 대해 50분 이내에 도포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비교예보다 훨씬 빠르다. 그러나, 비교예 1 모르타르는 경화시 균열을 발생시키는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2 및 3의 모르타르는 경화시 균열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한, 고속 경화성 모르타르의 점도 발달은 본 발명의 모르타르 조성물이 허용 가능한 긴 포트-수명을 갖는 것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2 및 3의 모르타르로 제조된 막은 최대 힘뿐만 아니라 최대 힘 및 파열시 극적으로 증가된 연신율을 나타낸다. 최종적으로, 실시예 1 및 2의 모르타르로 제조된 막은 비교예 1 및 2와 비교할 때 최대 힘 및 파열시의 변형 측면에서 극적으로 개선된 균열 브릿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조성물은 -20℃ 이상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수한 포트-수명 및 신속한 경화를 갖는 우수한 방수막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표 3: 결과
Figure pct00003

Claims (10)

  1. 측정된 유리 전이 온도(Tg)가 -40 내지 0℃이고 환원제의 잔기를 포함하는 1종 이상의 수성 에멀젼 코폴리머를 성분 A)로서 포함하고, 수경성 시멘트 및 고 알루미나 함량 시멘트의 고속 경화성 건조 혼합 분말 조성물을 별도의 성분 B)로서 포함하는, 방수막(waterproofing membrane)을 제조하기 위한 2-성분 조성물로서,
    성분 A)의 수성 에멀젼 코폴리머는, 총 모노머 고형분을 기준으로 한 모노머의 중량%로서, (i) 60 내지 89.9 중량%의 1종 이상의 비이온성 (메트)아크릴 모노머, (ii) 10 내지 40 중량%의 1종 이상의 비닐 방향족 모노머, 및 (iii) 0.1 내지 2.0 중량%의, 이타콘산, 메타크릴산, α,β-불포화 C3 내지 C6 카르복실산의 아미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모노머의 공중합 생성물이고, 단, 상기 수성 에멀젼 코폴리머는 아스코르브산 환원제의 적어도 1종의 잔기를 갖거나 또는 이타콘산과 α,β-불포화 C3 내지 C6 카르복실산의 아미드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모노머 (iii)의 공중합 생성물인, 방수막을 제조하기 위한 2-성분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분 A)의 수성 에멀젼 코폴리머가 α,β-불포화 C3 내지 C6 카르복실산의 1종 이상의 아미드를 포함하는 모노머 (iii)의 공중합 생성물인 경우, 이는 (iv) 1종 이상의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생성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수막을 제조하기 위한 2-성분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성분 (A)의 수성 에멀젼 코폴리머는, 총 모노머 고형분을 기준으로 한 모노머의 중량%로서, (iv) 0.1 내지 1.5 중량%의 1종 이상의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생성물을 포함하는, 방수막을 제조하기 위한 2-성분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분 (A)의 수성 에멀젼 코폴리머는 (i) 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비이온성 (메트)아크릴 모노머의 공중합 생성물을 포함하는, 방수막을 제조하기 위한 2-성분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성분 조성물이, 상기 조성물의 총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상기 성분 A)의 1종 이상의 수성 에멀젼 코폴리머의 고형분으로서 10 내지 60 중량%를 포함하는, 방수막을 제조하기 위한 2-성분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분 A)의 수성 에멀션 코폴리머 중의 상기 환원제 잔기가, 상기 수성 에멀션 코폴리머를 제조하는 데 사용된 총 모노머 고형분을 기준으로, 0.1 내지 0.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방수막을 제조하기 위한 2-성분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속 경화성 건조 혼합 분말 조성물의 성분 B)는, 성분 B) 중의 총 고형분을 기준으로, 1 내지 35 중량%의 고 알루미나 함량 시멘트를 포함하는, 방수막을 제조하기 위한 2-성분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속 경화성 건조 혼합 분말 조성물의 성분 B)는, 성분 B) 중의 총 고형분을 기준으로, 0 내지 15 중량%의 황산칼슘을 포함하는, 방수막을 제조하기 위한 2-성분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속 경화성 건조 혼합 분말 조성물의 성분 B)는, 성분 B) 중의 총 고형분을 기준으로, 15 내지 65 중량%의 수경성 시멘트를 포함하는, 방수막을 제조하기 위한 2-성분 조성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속 경화성 건조 혼합 분말 조성물의 성분 B)는 30 내지 85 중량%의 1종 이상의 비-시멘트성 충전제를 포함하는, 방수막을 제조하기 위한 2-성분 조성물.
KR1020177001145A 2014-06-25 2015-06-10 고속 경화성 시멘트 방수막을 위한 에멀젼 폴리머 2-성분 조성물 KR1023575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16851P 2014-06-25 2014-06-25
US62/016,851 2014-06-25
PCT/US2015/035032 WO2015199984A1 (en) 2014-06-25 2015-06-10 Emulsion polymer two-component compositions for fast curing cementitious waterproofing membran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077A true KR20170023077A (ko) 2017-03-02
KR102357591B1 KR102357591B1 (ko) 2022-02-03

Family

ID=53510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1145A KR102357591B1 (ko) 2014-06-25 2015-06-10 고속 경화성 시멘트 방수막을 위한 에멀젼 폴리머 2-성분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988307B2 (ko)
EP (1) EP3160919B1 (ko)
KR (1) KR102357591B1 (ko)
CN (1) CN106458748B (ko)
BR (1) BR112016029030B1 (ko)
ES (1) ES2666798T3 (ko)
WO (1) WO20151999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73374B (zh) * 2015-11-10 2021-04-27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制备防水膜的双组分组合物
US20200277421A1 (en) * 2017-11-22 2020-09-03 Arkema France Emulsion polymer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in low odor waterproofing coatings
EP3788105B1 (en) * 2018-04-28 2023-03-29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olymer-modified cementitious composition
WO2021003519A1 (en) * 2019-07-09 2021-01-14 Canasia Australia Pty Ltd Waterproofing compositions and methods
EP3766855A1 (en) * 2019-07-18 2021-01-20 Saint-Gobain Weber Kit for preparing a render composition
CN110526649A (zh) * 2019-09-18 2019-12-03 重庆兴渝新材料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双组分聚合物水泥基纳米防水涂料及其制备方法
US20220371359A1 (en) * 2021-05-24 2022-11-24 Julian NASSER Decorative concrete wall surfaces
EP4217326A1 (de) 2021-05-25 2023-08-02 Remmers GmbH Verwendung eines flüssig aufzubringenden reaktivdachabdichtungsmittels zur herstellung einer dachabdichtung
WO2022248070A1 (de) * 2021-05-25 2022-12-01 Remmers Gmbh Flüssig aufzubringendes reaktivdachabdichtungsmittel
EP4163264A1 (en) * 2021-10-08 2023-04-12 Sika Technology AG Multicomponent epoxy-cement-concrete system with ultra-fast development of compressive strength
CN116496047B (zh) * 2023-04-28 2024-03-26 清远市楼固环保建材有限公司 双组份瓷砖界面处理剂及其应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28955A1 (en) * 1999-10-19 2001-04-26 Fosroc International Limited Cementitious compositions and a method of their use
US6423805B1 (en) * 1999-04-28 2002-07-23 Rohm And Haas Company Polymer compositions
JP2005350289A (ja) * 2004-06-09 2005-12-22 Ube Ind Ltd ポリマーセメント組成物
JP2009234881A (ja) * 2008-03-28 2009-10-15 Ube Ind Ltd 着色防水用ポリマーセメント組成物
GB2497558A (en) * 2011-12-14 2013-06-19 Bostik Ltd Tile adhesiv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8166A (ja) 1994-03-31 1995-10-17 Toagosei Co Ltd 仮防水用防水材組成物
JP2768266B2 (ja) 1994-04-01 1998-06-25 東亞合成株式会社 防水材組成物
JP4449586B2 (ja) 2003-06-06 2010-04-14 宇部興産株式会社 ポリマーセメント組成物
JP4220977B2 (ja) * 2005-03-31 2009-02-04 昭和高分子株式会社 ポリマーセメント系塗膜防水材用エマルジョン及びセメント組成物
CN101891859A (zh) 2009-05-18 2010-11-24 成都科杰高新技术发展有限公司 一种聚合物水泥防水涂料用弹性苯丙乳液及其制备方法
WO2011157792A1 (de) 2010-06-17 2011-12-22 Basf Se Wässrige bindemittelzusammensetzungen
US20110312240A1 (en) 2010-06-17 2011-12-22 Basf Se Aqueous binder compositions
CN102936460B (zh) 2012-09-20 2015-01-21 吴江市震宇缝制设备有限公司 一种沥青橡胶防水涂料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3805B1 (en) * 1999-04-28 2002-07-23 Rohm And Haas Company Polymer compositions
WO2001028955A1 (en) * 1999-10-19 2001-04-26 Fosroc International Limited Cementitious compositions and a method of their use
JP2005350289A (ja) * 2004-06-09 2005-12-22 Ube Ind Ltd ポリマーセメント組成物
JP2009234881A (ja) * 2008-03-28 2009-10-15 Ube Ind Ltd 着色防水用ポリマーセメント組成物
GB2497558A (en) * 2011-12-14 2013-06-19 Bostik Ltd Tile adhes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60919A1 (en) 2017-05-03
CN106458748A (zh) 2017-02-22
BR112016029030A2 (pt) 2017-08-22
US9988307B2 (en) 2018-06-05
BR112016029030B1 (pt) 2022-08-02
KR102357591B1 (ko) 2022-02-03
CN106458748B (zh) 2019-04-23
US20170226013A1 (en) 2017-08-10
EP3160919B1 (en) 2018-03-14
ES2666798T3 (es) 2018-05-07
WO2015199984A1 (en)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23077A (ko) 고속 경화성 시멘트 방수막을 위한 에멀젼 폴리머 2-성분 조성물
KR102154989B1 (ko) 고속 경화성, 가요성 시멘트질 방수막용 에멀젼 폴리머 2-성분 조성물
TWI253953B (en) Dispersants
CN106458754B (zh) 包含共聚物的无机粘结剂组合物
DE102011078531A1 (de) Gips-haltige Baustoffmassen
JP2008247666A (ja) セルフレベリング性水硬性組成物
JP4937650B2 (ja) 水硬性組成物
CA2384798C (en) Cementitious compositions and a method of their use
JP3176831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塗装用組成物
JPH0139713B2 (ko)
JP2004262748A (ja) 防水用ポリマーセメント組成物
CA2440486C (en) Polymer modified gypsum composition
JP4357929B2 (ja) コンクリート床構造体、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06273597A (ja) タイル接着用張りポリマーセメントモルタル
EP1403227B1 (en) Polymer modified gypsum composition
JP2000143327A (ja) セルフレベリング性セメント組成物
BR112018009142B1 (pt) Composição de dois componentes para fazer uma membrana à prova de água
JPH02188459A (ja) 防水材
KR20240067496A (ko) 유무기 타일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타일 시공 방법.
JPS63144155A (ja) セメント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