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2738A - 천정재 부착 구조 - Google Patents

천정재 부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2738A
KR20170022738A KR1020150118118A KR20150118118A KR20170022738A KR 20170022738 A KR20170022738 A KR 20170022738A KR 1020150118118 A KR1020150118118 A KR 1020150118118A KR 20150118118 A KR20150118118 A KR 20150118118A KR 20170022738 A KR20170022738 A KR 20170022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eiling
clip
attachmen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8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7496B1 (ko
Inventor
김성주
최안숙
김종화
Original Assignee
김성주
최안숙
김종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주, 최안숙, 김종화 filed Critical 김성주
Priority to KR1020150118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496B1/ko
Publication of KR20170022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35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connection means at the 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8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grooves engaging with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천정재 탈부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발명은 캐링찬넬에 구비된 캐링클립의 하부로 천정마감재가 부착구에 의하여 결합된 천정재 탈부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천정마감재는 양측단부에 각각 일측요부와 타측요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일측요부와 타측요부의 내측상부에 걸림홈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부착구는 L자형태로 형성되어 천정마감재의 일측요부 또는 타측요부에 상기 부착구의 하부 수평삽입편이 삽입되어지도록 형성되어지고, 상기 수평삽입편의 일측 또는 타측에 상부를 향하여 절곡된 수직걸림편이 일체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수직걸림편이 캐링클립의 하부에 걸려지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 발명은 캐링클립에 의하여 캐링찬넬의 하부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작업환경이 개선되도록 하여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가격을 더 낮출 수 있도록 하고, 기존 부착구에 비해 강도가 높은 스틸로 구비되도록 하여 수명이 더 연장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정재 부착 구조{CEILING ATTACHMENT STRUCTURE}
이 발명은 천정재 부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천정마감재의 일측요부에 L자로 형성된 부착구가 결합되어지고, 다른 천정마감재의 타측요부에 L자로 형성된 부착구가 결합된 상태에서 일측요부와 타측요부에 결합된 각각의 부착구가 서로 맞대어져 피스 또는 스폿 용접이음으로 고정되어 캐링클립에 의하여 캐링찬넬의 하부에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천정에는 단열보온재, 전기배선 및 배관 등의 설비가 구비되는 가운데 이러한 것들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천정재가 커버되어지도록 하는 천정재 설치구가 설치되어 있다.
천정재는 슬래브에 매립되어진 행거볼트의 하단으로 캐링찬넬에 결합된 행거가 너트로 결합되어지고, 캐링찬넬의 하부에는 엠바가 별도의 조인클립에 의하여 결합되어지고, 엠바의 하단에는 천정재가 나사로 고정되게 구성되어 있다.
조인클립은 캐링찬넬과 엠바가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결합되어지도록 하는것으로 와이어가 절곡된 형태를 갖는 와이어형 클립과 플레이트가 절곡된 형태를 갖는 플레이트형 클립으로 구성되어 와이어형 클립은 캐링찬넬과 엠바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결합되어지고, 플레이트형은 양측에 걸림홈을 형성하여 엠바의 양측단이 삽입되어 걸려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엠바의 하단에 천정재의 상부가 맞대어져 나사로 고정되어져 있음으로써, 탈부착이 자유롭지 못함에 따라 부분적인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수를 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설치된 모든 천정재를 엠바로부터 분리하여 보수한 후 재시공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작업시간과 비용이 추가적으로 지출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부분적인 점검이 가능하도록 하는 점검구가 천정재 사이로 구비되어질 경우, 점검구의 시공이 어렵게 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43559호(2014.12.17)의 천정재 탈부착 구조가 제안되었으나, 부착구가 압출형태로 제조되는 과정에서 그에 따른 융해로, 압출기, 냉각기 등이 소요됨에 따라 비용이 전체적으로 증가되는 가운데 생산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착구가 클립바의 하부에 삽입됨과 동시에 클립바 삽입편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고정돌기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였으나, 장시간이 경과되는 과정에서 클립바의 부식 또는 기타의 원인으로 인하여 클립바의 장력이 낮아지는 경우, 부착구가 클립바로부터 분리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43559호(2014.12.17)
이 발명은 융해로, 압출기, 냉각기 등을 통해 부착구가 제조되는 것을 방지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가격을 더 낮출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작업환경을 개선하여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더 막을 수 있도록 하고, 압출방식으로 형성된 기존의 부착구에 비해 강도가 더 높아지도록 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하고, 부착구가 캐링찬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발명은 캐링찬넬(10)에 구비된 캐링클립(20)의 하부로 천정마감재(30)가 부착구(40)에 의하여 결합된 천정재 부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천정마감재(30)는 양측단부에 각각 일측요부(301)와 타측요부(30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일측요부(301)와 타측요부(301')의 내측상부에 걸림홈(302)(30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부착구(40)는 L자형태로 형성되어 천정마감재(30)의 일측요부(301) 또는 타측요부(301')에 상기 부착구(40)의 하부 수평삽입편(41)이 삽입되어지도록 형성되어지고, 상기 수평삽입편(41)의 일측 또는 타측에 상부를 향하여 절곡된 수직걸림편(42)이 일체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수직걸림편(42)이 캐링클립(20)의 하부에 걸려지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삽입편(41)은 수평패널(411)의 일측 또는 타측단부에 제1수직패널(412)이 상부로 절곡되어지고, 상기 제1수직패널(412)의 단부에
Figure pat00001
형태를 갖는 걸림패널(413)이 절곡되어지며, 상기 걸림패널(413)의 하단부에
Figure pat00002
형태를 갖는 멈춤패널(414)이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걸림편(42)은 수평패널(411)에 절곡된 제1수직패널(412)과 대칭되게 마주보는 제2수직패널(421)이 상부로 절곡되어지고, 상기 제2수직패널(421)의 상단에
Figure pat00003
형태를 갖는 클립 인너걸림편(422)이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착구(40)의 수평삽입편(41)과 수직걸림편(42)은 스틸이 롤포밍에 의하여 일체로 절곡되어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캐링찬넬(10)은
Figure pat00004
형태의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속된 형태를 가지며, 수평부분에 다수개의 관통홀(101)이 반복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캐링클립(20)은 하부가 개방된
Figure pat00005
형태를 갖는 클립몸체(21)에 캐링찬넬 삽입홈(21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캐링찬넬 삽입홈(211)의 입구측 상단에 캐링찬넬 고정편(212)이 절곡가능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클립몸체(21)의 하부 양측에 클립 아우터 걸림편(213)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천정마감재(3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삽입된 부착구(40)는 서로 맞대어지는 수직걸림편(42)이 피스(P) 또는 스폿용접(W)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은 천정마감재의 일측요부에 L자로 형성된 부착구가 결합되어지고, 다른 천정마감재의 타측요부에 L자로 형성된 부착구가 결합된 상태에서 일측요부와 타측요부에 결합된 각각의 부착구가 서로 맞대어져 피스 또는 스폿용접이음으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캐링클립에 의하여 캐링찬넬의 하부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부착구가 융해로, 압출기, 냉각기 등을 통해 제조되는 것이 아니라 롤포밍에 의하여 제조되도록 함으로써, 작업환경을 개선하여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가격을 더 낮출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압출방식으로 형성된 알루미늄재질의 기존 부착구에 비해 강도가 높은 스틸로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수명이 더 연장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부착구가 캐링찬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도1은 이 발명에 따른 천정재 부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이 발명에 따른 천정재 부착 구조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3은 이 발명에 따른 천정재 부착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4는 이 발명에 따른 천정재 부착 구조에 있어 점검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이 발명에 따른 천정재 부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이 발명에 따른 천정재 부착 구조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이 발명에 따른 천정재 부착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4는 이 발명에 따른 천정재 부착 구조에 있어 점검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발명에 따른 천정재 부착 구조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링찬넬(10)에 구비된 캐링클립(20)의 하부로 천정마감재(30)가 부착구(40)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캐링찬넬(10)은
Figure pat00006
형태의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속된 형태를 갖는 것으로 수평부분에 다수개의 관통홀(101)이 길이방향으로 반복되게 형성되도록 하여 소재의 사용량을 줄이는 가운데 강도를 더 높일 수 있게 구비된다.
상기 캐링클립(20)은 천정 마감재(30)에 삽입된 부착구(40)의 상부로 형성된 클립 인너 걸림편(416)이 캐링찬넬(10)의 하부에 안정되게 걸려지도록 한 것으로 하부가 개방된
Figure pat00007
형태를 갖는 클립몸체(21)에 캐링찬넬 삽입홈(211)이 형성된다.
상기 캐링찬넬 삽입홈(211)의 입구측 상단에는 캐링찬넬 고정편(212)이 절곡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캐링찬넬 삽입홈(211)에 캐링찬넬(10)이 삽입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직각으로 구부려 캐링찬넬 삽입홈(211)의 입구측에 닫혀지도록 함으로써, 역방향으로 캐링찬넬(1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클립몸체(21)의 하부 양측에는 클립 아우터 걸림편(213)이 형성되어 부착구(40)의 상부측으로 형성된 클립 아우터 걸림편(416)이 걸려질 수 있게 구비된다.
상기 천정마감재(30)는 소재의 사용량을 줄이는 가운데 무게를 줄이고 아울러 높은 평활도가 유지되는 허니컴 패널형태를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 양측단부에 각각 일측요부(301)와 타측요부(30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일측요부(301)와 타측요부(301')의 내측 상부에는 걸림홈(302)(302')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부착구(40)의 걸림패널(413)이 삽입됨과 동시에 역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된다.
상기 부착구(40)는 천정마감재(30)가 천정의 하부로 일정 간격과 수평이 유지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스틸이 롤포밍에 의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속된 형태를 갖도록 제조된 것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부착구(40)는 L자형태로 형성되어 천정마감재(30)의 일측요부(301) 또는 타측요부(301')에 상기 부착구(4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수평삽입편(41)이 삽입되어지게 형성된다.
상기 수평삽입편(41)의 일측 또는 타측에는 상부를 향하여 절곡된 수직걸림편(42)이 일체로 형성되어 캐링클립(20)의 하부에 상기 수직걸림편(42)이 걸려지게 구비된다.
상기 수평삽입편(41)은 천정마감재(30)의 일측 또는 타측에 삽입됨과 동시에 역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수평패널(411)의 일측 또는 타측단부에 제1수직패널(412)이 상부로 절곡되어지고, 상기 제1수직패널(412)의 단부에
Figure pat00008
형태를 갖는 걸림패널(413)이 절곡되어지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패널(413)이 일측요부(301)와 타측요부(301')의 내측 상부에 형성된 각각의 걸림홈(302)(302')에 상기 걸림패널(413)이 결합됨과 동시에 역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걸림패널(413)의 하단부에
Figure pat00009
형태를 갖는 멈춤패널(414)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패널(413)이 일측요부(301)와 타측요부(301')의 상부로 위치된 부분의 외측 단부에 맞대어지게 됨에 따라 일정한도 이상으로 더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직걸림편(42)은 수평패널(411)에 절곡된 제1수직패널(412)과 대칭되게 마주보는 제2수직패널(421)이 상부로 절곡되어지고, 상기 제2수직패널(421)의 상단에
Figure pat00010
형태를 갖는 클립 인너걸림편(422)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부착구(40)의 수평삽입편(41)과 수직걸림편(42)은 스틸이 롤포밍에 의하여 일체로 절곡되어지게 형성됨으로써, 융해로, 압출기, 냉각기 등이 필요치 않음에 따라 작업환경이 개선되어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천정마감재(3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삽입된 부착구(40)는 서로 맞대어지는 수직걸림편(42)이 피스(P) 또는 스폿용접(W)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걸림편(42)이 피스(P)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할 경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마감재(30)의 일부가 절취 또는 분리된 상태에서 오픈 가능하게 구비된 별도의 검검구(80)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수직걸림편(42)이 스폿용접(W)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할 경우, 바닥에서 수직걸림편(42)이 서로 맞대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스폿용접(W)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한 후 부착구(40)의 양측으로 천정마감재(30)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캐링찬넬 20:캐링클립
30:천정마감재 40:부착구
41:수평삽입편 42:수직걸림편
301:일측요부 301':타측요부
302,302':걸림홈

Claims (7)

  1. 캐링찬넬(10)에 구비된 캐링클립(20)의 하부로 천정마감재(30)가 부착구(40)에 의하여 결합된 천정재 탈부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천정마감재(30)는 양측단부에 각각 일측요부(301)와 타측요부(30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일측요부(301)와 타측요부(301')의 내측상부에 걸림홈(302)(30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부착구(40)는 L자형태로 형성되어 천정마감재(30)의 일측요부(301) 또는 타측요부(301')에 상기 부착구(40)의 하부 수평삽입편(41)이 삽입되어지도록 형성되어지고, 상기 수평삽입편(41)의 일측 또는 타측에 상부를 향하여 절곡된 수직걸림편(42)이 일체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수직걸림편(42)이 캐링클립(20)의 하부에 걸려지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재 탈부착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삽입편(41)은 수평패널(411)의 일측 또는 타측단부에 제1수직패널(412)이 상부로 절곡되어지고, 상기 제1수직패널(412)의 단부에
    Figure pat00011
    형태를 갖는 걸림패널(413)이 절곡되어지며, 상기 걸림패널(413)의 하단부에
    Figure pat00012
    형태를 갖는 멈춤패널(414)이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재 탈부착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걸림편(42)은 수평패널(411)에 절곡된 제1수직패널(412)과 대칭되게 마주보는 제2수직패널(421)이 상부로 절곡되어지고, 상기 제2수직패널(421)의 상단에
    Figure pat00013
    형태를 갖는 클립 인너걸림편(422)이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정재 탈부착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구(40)의 수평삽입편(41)과 수직걸림편(42)은 스틸이 롤포밍에 의하여 일체로 절곡되어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재 탈부착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링찬넬(10)은
    Figure pat00014
    형태의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속된 형태를 가지며, 수평부분에 다수개의 관통홀(101)이 반복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재 탈부착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링클립(20)은 하부가 개방된
    Figure pat00015
    형태를 갖는 클립몸체(21)에 캐링찬넬 삽입홈(21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캐링찬넬 삽입홈(211)의 입구측 상단에 캐링찬넬 고정편(212)이 절곡가능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클립몸체(21)의 하부 양측에 클립 아우터 걸림편(213)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재 탈부착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마감재(3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삽입된 부착구(40)는 서로 맞대어지는 수직걸림편(42)이 피스(P) 또는 스폿용접(W)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재 탈부착 구조.
KR1020150118118A 2015-08-21 2015-08-21 천정재 부착 구조 KR101737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118A KR101737496B1 (ko) 2015-08-21 2015-08-21 천정재 부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118A KR101737496B1 (ko) 2015-08-21 2015-08-21 천정재 부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738A true KR20170022738A (ko) 2017-03-02
KR101737496B1 KR101737496B1 (ko) 2017-05-18

Family

ID=58426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8118A KR101737496B1 (ko) 2015-08-21 2015-08-21 천정재 부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74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632A (ko) * 2020-08-12 2022-02-21 주식회사 에스시스텍 천장 벽면용 흡음 판넬 설치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074B1 (ko) 2017-07-21 2020-03-26 김명열 건물 천장용 판넬 설치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3559A (ko) 2013-06-07 2014-12-17 김성주 천정재 탈부착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3559A (ko) 2013-06-07 2014-12-17 김성주 천정재 탈부착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632A (ko) * 2020-08-12 2022-02-21 주식회사 에스시스텍 천장 벽면용 흡음 판넬 설치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7496B1 (ko) 2017-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113690A (ja) 鉄道車両の屋根構体構造
TWI538833B (zh) Railway vehicle structure
JPWO2016006063A1 (ja) エレベータのかご室、及びその組立方法
KR101737496B1 (ko) 천정재 부착 구조
WO2006137637A1 (en) Multipurpose color duct made by aluminium to be usable as cable tray, raceway and duct
KR101561048B1 (ko) 케이블 트레이
ES2894952T3 (es) Módulo de pared y procedimiento para la producción de componentes con módulos de pared para la construcción en bruto de cajas de vagón en la construcción de vehículos ferroviarios con una construcción diferencial
JP5762150B2 (ja) 乗客コンベアのオイルパン装置
KR101862652B1 (ko) 천장 시공용 작업공간 형성을 위한 천장 구조체
US8757558B2 (en) Cable tray
KR101818073B1 (ko) 커버 고정 장치가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JP5748558B2 (ja) エレベータのカゴ固定装置
KR101681930B1 (ko) S자형 클립을 이용한 무용접 외장재 부착 시공방법
KR101008793B1 (ko) 스카폴딩 브래킷용 어댑터
JP5760211B1 (ja) C形鋼用取付具
JP6347483B2 (ja) 床板の固定具
KR20150040749A (ko) 고하중용 케이블 트레이
JP6581239B2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固定装置
JP6383684B2 (ja) 建造物
JP2014198986A (ja) 固定金具
JP4347750B2 (ja) 排水溝用ふた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排水溝用ふた
JP2015025317A (ja) ステンレス製グレーチング
CN103111818A (zh) 空冷器及其加工工艺
JP6900710B2 (ja) 車体構造、その製造方法、および補強部材
JP2008190144A (ja) 上吊り式レール引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