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0632A - 천장 벽면용 흡음 판넬 설치 구조물 - Google Patents

천장 벽면용 흡음 판넬 설치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0632A
KR20220020632A KR1020200101178A KR20200101178A KR20220020632A KR 20220020632 A KR20220020632 A KR 20220020632A KR 1020200101178 A KR1020200101178 A KR 1020200101178A KR 20200101178 A KR20200101178 A KR 20200101178A KR 20220020632 A KR20220020632 A KR 20220020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absorbing panel
sound
bent frame
installa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7569B1 (ko
Inventor
변용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시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시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시스텍
Priority to KR1020200101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569B1/ko
Publication of KR20220020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0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1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35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connection means at the 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065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comprising supporting beams having a folded cross-s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 벽면용 흡음 판넬 설치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정의 위한 나사 또는 장치들이 보이지 않게 은폐되며, 찬넬과 판넬 간에 쉽고 간단한 물리적인 고정 구조를 통하여 지진 등에 의한 판넬의 탈락이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데 있다.
일례로, 일측이 천장에 결합된 봉 형태의 행거 볼트; 상부가 상기 행거 볼트의 타측과 각각 연결되고, 하부가 상부를 향해 절곡된 절곡부로 형성된 행거; 상기 행거의 절곡부에 삽입 고정되고, 바 형태로 형성된 캐링 찬넬; 상기 캐링 찬넬에 감기어 하부의 T형 찬넬을 고정시키는 클립; 상기 클립에 고정되고, 상기 캐링 찬넬과 직교하도록 배치되며, 하부 양측으로부터 측방으로 각각 돌출된 걸림부가 형성된 T형 찬넬; 양측부에 각각 형성된 걸림 홈에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어 상기 T형 찬넬에 고정된 흡음 판넬; 및 상기 흡음 판넬 중 벽면 쪽 흡음 판넬의 단부를 수용하고, 벽면에 고정되는 벽 몰딩을 포함하는 천장 벽면용 흡음 판넬 설치 구조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천장 벽면용 흡음 판넬 설치 구조물{SOUND ABSORBING PANEL INSTALLATION STRUCTURE FOR CEILING WALL}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천장 벽면용 흡음 판넬 설치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건축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보다 아름답고 실용적인 건축 구조물이 지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우수한 건축물이 지어질 수 있는 것은 건축 자재의 발달에도 그 이유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많은 종류의 건축 자재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으며, 이러한 건축 자재 중 천장에 시공되는 천장 판넬도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일 예로 종래에는 천장에 앵커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되면서 걸림편이 구비된 천장 고정구를 준비하고, 천장판의 네 변 중 두 개의 변을 굽혀 일부를 절개 및 절곡하여 지지 날개와 걸림 날개를 형성하며, 상부 일측은 걸림편이 삽입되어 천장 고정구에 고정되도록 구성하고, 양측에 천장판의 지지 날개와 걸림 날개가 끼워지도록 상향 돌출된 지지판부를 형성한 중단 연결구로 구성된 천장 판넬 구조를 제안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천장 판넬 구조는 중단 연결구의 지지판부가 천장판의 지지 날개 및 걸림 날개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조립 및 분리가 쉬운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달성하기 위해 천장판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지지판부가 상향으로 되어 있어 천장판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천장판을 올렸다 빼야 하기 때문에 지지 날개를 지지판으로부터 분리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천장판을 상향 절곡한 단순한 형태로 형성하고, 클립 형태로 형성된 고정바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천장판을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 기술은 서로 인접한 천장판이 맞대어지게 되므로 열에 의한 수축 팽창 과정에서 인접한 천장판이 서로 밀어내어 휘어지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87345호(등록일자: 2014년04월15일) 등록특허공보 제10-1062364호(등록일자: 2011년08월30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고정의 위한 나사 또는 장치들이 보이지 않게 은폐되며, 찬넬과 판넬 간에 쉽고 간단한 물리적인 고정 구조를 통하여 지진 등에 의한 판넬의 탈락이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천장 벽면용 흡음 판넬 설치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벽면용 흡음 판넬 설치 구조물은, 일측이 천장에 결합된 봉 형태의 행거 볼트; 상부가 상기 행거 볼트의 타측과 각각 연결되고, 하부가 상부를 향해 절곡된 절곡부로 형성된 행거; 상기 행거의 절곡부에 삽입 고정되고, 바 형태로 형성된 캐링 찬넬; 상기 캐링 찬넬에 감기어 하부의 T형 찬넬을 고정시키는 클립; 상기 클립에 고정되고, 상기 캐링 찬넬과 직교하도록 배치되며, 하부 양측으로부터 측방으로 각각 돌출된 걸림부가 형성된 T형 찬넬; 양측부에 각각 형성된 걸림 홈에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어 상기 T형 찬넬에 고정된 흡음 판넬; 및 상기 흡음 판넬 중 벽면 쪽 흡음 판넬의 단부를 수용하고, 벽면에 고정되는 벽 몰딩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T형 찬넬은, 상부에서 하부로 직선 방향으로 연장된 센터부; 및 상기 센터부의 하단로부터 양 측방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센터부에 대하여 각각 수직하게 절곡된 제1 절곡 프레임, 상기 제1 절곡 프레임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되 상부를 향해 각각 절곡된 제2 절곡 프레임, 및 상기 제2 절곡 프레임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센터부를 향해 각각 수직하게 절곡된 제3 절곡 프레임을 포함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 홈은, 상기 흡음 판넬의 양측부로부터 상기 흡음 판넬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T형 찬넬은, 상부에서 하부로 직선 방향으로 연장된 센터부; 및 상기 센터부의 하단로부터 양 측방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되 상기 센터부에 대하여 수직하게 절곡된 제1 절곡 프레임, 상기 제1 절곡 프레임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되 상부를 향해 각각 절곡된 제2 절곡 프레임, 및 상기 제2 절곡 프레임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센터부를 향해 각각 하방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제3 절곡 프레임을 포함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 홈은, 상기 흡음 판넬의 양측부로부터 상기 흡음 판넬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되, 천장면이 상기 제3 절곡 프레임의 경사각에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 홈의 입구 폭이 상기 걸림 홈의 내측변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T형 찬넬은, 상부에서 하부로 직선 방향으로 연장된 센터부; 및 상기 센터부의 하단로부터 양 측방으로부터 연장되되 각각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절곡된 제1 절곡 프레임, 상기 제1 절곡 프레임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되 상부를 향해 각각 절곡된 제2 절곡 프레임, 및 상기 제2 절곡 프레임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센터부를 향해 각각 하방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제3 절곡 프레임을 포함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 홈은, 상기 흡음 판넬의 양측부로부터 상기 흡음 판넬의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의 위한 나사 또는 장치들이 보이지 않게 은폐되며, 찬넬과 판넬 간에 쉽고 간단한 물리적인 고정 구조를 통하여 지진 등에 의한 판넬의 탈락이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천장 벽면용 흡음 판넬 설치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벽면용 흡음 판넬 설치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벽면용 흡음 판넬 설치 구조물에서 T형 찬넬과 흡음 판넬 간 기본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벽면용 흡음 판넬 설치 구조물에서 T형 찬넬과 흡음 판넬 간 다른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벽면용 흡음 판넬 설치 구조물에서 T형 찬넬과 흡음 판넬 간 또 다른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벽면용 흡음 판넬 설치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벽면용 흡음 판넬 설치 구조물(1000)은 행거 볼트(100), 행거(200), 캐링 찬넬(300), 클립(400), T형 찬넬(500), 흡음 판넬(600) 및 벽 몰딩(700)을 포함한다.
상기 행거 볼트(100)는 일측이 천장에 결합되며 타측이 행거(200)의 상단과 결합된 봉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행거(200)는, 상부가 행거 볼트(100)의 타측과 각각 연결되고, 하부가 상부를 향해 절곡된 절곡부(210)로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행거(200)는 상면, 일측면, 하면 및 타측면으로 이루어지며, 상면은 행거 볼트(100)와 결합되고, 일측면, 하면 및 타측면은 'ㄷ'자 형태로 절곡되되, 타측면이 일측면보다 높이가 짧게 설계되어 행거 볼트(100)의 전체 구조로 봤을 때 타측 일부가 개방된 'ㅁ'자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행거 볼트(100)의 타측면이 상면에 연결되지 않고 이격됨으로써 행거 볼트(100)의 타측에 개방부가 형성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캐링 찬넬(300)은, 행거(200)의 절곡부(210)에 삽입 고정되고, 대략 길이가 긴 직육면체의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캐링 찬넬(300)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며 행거(200)를 가로 방향으로 관통한 후 걸쳐져 거치된 형태로 행거(2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클립(400)은, 캐링 찬넬(300)에 감기어 하부의 T형 찬넬(5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클립(400)은 밴드 타입의 프레임이 캐링 찬넬(300)의 4면을 감아 고정되거나, 금속 와이어 형태로 제작되어 캐링 찬넬(300)의 4면을 감아 고정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클립(400)의 상세 구조나 타입에 대하여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갖는 클립(400)이 적용 가능하다.
상기 T형 찬넬(500)는, 클립(400)의 하부에 고정되고, 캐링 찬넬(300)과 직교하도록 배치되며, 하부 양측으로부터 측방으로 각각 돌출된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T형 찬넬(500)은 횡단면이 대략 'T'자를 거꾸로 배치시킨 구조를 가지며 긴 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T형 찬넬(500)은 금속재, 특히 알루미늄 소재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T형 찬넬(500)은 걸림부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흡음 판넬(600)은, 양측부에 각각 절곡 면(610)이 형성되며, 이러한 절곡 면(610)은 캐링 찬넬(300)과는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T형 찬넬(500)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곡 면(610)의 각 양측부에는 걸림 홈(620)이 형성되며, 걸림 홈(620)에 T형 찬넬(500)의 걸림부가 삽입되어 흡음 판넬(600)이 T형 찬넬(5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흡음 판넬(600)의 걸림부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벽 몰딩(700)은, 흡음 판넬(600) 중 벽면 쪽 흡음 판넬(600)의 단부를 수용하고, 벽면에 고정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벽 몰딩(700)은 흡음 판넬(600)의 양측 벽면 쪽 단부가 앵커에 의해 실내의 양측 벽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T형 찬넬(500)과 흡음 판넬(600) 간의 결합 또는 고정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며, T형 찬넬(500)은 그 구조에 따라 제1 내지 제3 T형 찬넬로 구분하여 설명하며, 구분된 각 T형 찬넬에 따라 흡음 판넬(600)의 걸림 홈도 제1 내지 제3 걸림 홈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벽면용 흡음 판넬 설치 구조물에서 T형 찬넬과 흡음 판넬 간 기본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T형 찬넬(500A)은 제1 센터부(510a)와 제1 걸림부(520a)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센터부(510a)는 상부에서 하부로 직선 방향으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센터부(510a)는 클립(400)과 연결되는 부분, 그리고 해당 연결 부분으로부터 아래로 각각 수직하게 연장된 두 개의 센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터 프레임은 겹쳐진 상태로 이루어져 외부 진동이 발생될 경우 그 사이가 벌어졌다 줄어들 수 있도록 면과 면 간에 별도의 고정장치가 생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볼트와 너트를 이용해 서로 겹쳐진 센터 프레임 간을 체결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걸림부(520a)는 제1 절곡 프레임(521a), 제2 절곡 프레임(522a) 및 제3 절곡 프레임(523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곡 프레임(521a)은 제1 센터부(510a)의 하단로부터 양 측방으로부터 연장되되 제1 센터부(510a)에 대하여 각각 수직하게 절곡될 수 있다. 즉, 제1 절곡 프레임(521a)은 제1 센터부(510a)의 하단로부터 좌/우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각각 절곡된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절곡 프레임(522a)은 제1 절곡 프레임(521a)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되 상부를 향해 수직하게 각각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3 절곡 프레임(523a)은 제2 절곡 프레임(522a)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되 제1 센터부(510a)를 향해 각각 수직하게 절곡될 수 있다. 즉, 제3 절곡 프레임(523a)은 제2 절곡 프레임(522a)의 단부에서 제1 센터부(510a)를 향해 각각 수직하게 절곡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 홈(620a)은 흡음 판넬(600)의 양측부 즉 절곡 면(610)의 양측부로부터 흡음 판넬(600)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대략 'ㄷ'자 형태의 홈으로 형성되되, 상부가 하부보다 그 길이가 짧게 이루어져 흡음 판넬(600)을 T형 찬넬(500)에 결합 또는 분리시키고자 할 때 제1 걸림부(520a)에 착탈이 용이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벽면용 흡음 판넬 설치 구조물에서 T형 찬넬과 흡음 판넬 간 다른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T형 찬넬(500B)은 제2 센터부(510b)와 제2 걸림부(520b)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센터부(510b)는 상부에서 하부로 직선 방향으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2 센터부(510b)는 클립(400)과 연결되는 부분, 그리고 해당 연결 부분으로부터 아래로 각각 수직하게 연장된 두 개의 센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터 프레임은 겹쳐진 상태로 이루어져 외부 진동이 발생될 경우 그 사이가 벌어졌다 줄어들 수 있도록 면과 면 간에 별도의 고정장치가 생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볼트와 너트를 이용해 서로 겹쳐진 센터 프레임 간을 체결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걸림부(520b)는 제1 절곡 프레임(521b), 제2 절곡 프레임(522b) 및 제3 절곡 프레임(52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곡 프레임(521b)은 제2 센터부(510b)의 하단로부터 양 측방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되 제2 센터부(510b)에 대하여 수직하게 절곡될 수 있다. 즉, 제1 절곡 프레임(521b)은 제2 센터부(510b)의 하단로부터 좌/우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각각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절곡 프레임(522b)은 제1 절곡 프레임(521b)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되 상부를 향해 각각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3 절곡 프레임(523b)은 제2 절곡 프레임(522b)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되 제2 센터부(510b)를 향해 각각 하방으로 경사지게 절곡될 수 있다. 즉, 제3 절곡 프레임(523b)은 제2 절곡 프레임(522b)의 단부에서 제2 센터부(510b)를 향해 각각 수직하게 절곡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30 내지 35도 각도로 아래를 향해 경사지게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2 걸림 홈(620b)은, 흡음 판넬(600)의 양측부로부터 흡음 판넬(600)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되, 천장면이 제3 절곡 프레임(523b)의 경사각에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2 걸림 홈(620b)의 입구 폭이 제2 걸림 홈(620b)의 내측변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걸림 홈(620b)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대략 삼각형 구조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대략 상부가 하부보다 그 길이가 짧게 이루어져 흡음 판넬(600)을 T형 찬넬(500)에 결합 또는 분리시키고자 할 때 제2 걸림부(520b)에 착탈이 용이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벽면용 흡음 판넬 설치 구조물에서 T형 찬넬과 흡음 판넬 간 또 다른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3 T형 찬넬(500C)은 제3 센터부(510c)와 제3 걸림부(520c)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센터부(510c)는 상부에서 하부로 직선 방향으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3 센터부(510c)는 클립(400)과 연결되는 부분, 그리고 해당 연결 부분으로부터 아래로 각각 수직하게 연장된 두 개의 센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터 프레임은 겹쳐진 상태로 이루어져 외부 진동이 발생될 경우 그 사이가 벌어졌다 줄어들 수 있도록 면과 면 간에 별도의 고정장치가 생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볼트와 너트를 이용해 서로 겹쳐진 센터 프레임 간을 체결할 수도 있다.
상기 제3 걸림부(520c)는 제1 절곡 프레임(521c), 제2 절곡 프레임(522c) 및 제3 절곡 프레임(523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곡 프레임(521c)은, 제3 센터부(510c)의 하단로부터 양 측방으로부터 연장되되 각각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절곡될 수 있다. 즉, 제1 절곡 프레임(521c)은 제3 센터부(510c)의 하단로부터 좌/우측 방향 즉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되 대략 30 내지 35도 각도로 위를 향해 경사지게 절곡된 상태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절곡 프레임(522c)은, 제1 절곡 프레임(521c)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되 상부를 향해 각각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3 절곡 프레임(523c)은, 제2 절곡 프레임(522c)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되 제3 센터부(510c)를 향해 각각 하방으로 경사지게 절곡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걸림부(520c)의 제1 내지 제3 절곡 프레임(521c, 522c, 523c)은 제1 걸림부(520a)를 이루는 제1 내지 제3 절곡 프레임(521a, 522a, 523a) 전체를 상부 방향으로 대략 30 내지 35도 경사지도록 변경한 구조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제3 걸림 홈(620c)은, 흡음 판넬(600)의 양측부로부터 흡음 판넬(600)의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는데, 좀 더 구체적으로 제3 걸림 홈(620c)의 입구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위를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제1 걸림 홈(620a)을 제1 걸림 홈(620a)의 안쪽이 상부를 향해 경사지도록 변경한 구조에 해당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T형 찬넬의 걸림부가 절곡된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구조물이 흡음 판넬의 결합 홈이 삽입되는 구조를 통하여 지진 등 강한 진동에도 T형 찬넬의 걸림부의 탄성에 의해 결합 홈으로부터 쉽게 탈락 또는 이탈되지 않고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천장 벽면용 흡음 판넬 설치 구조물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0: 흡음 판넬 설치 구조물
100: 행거 볼트
200: 행거
210: 절곡부
300: 캐링 찬넬
400: 클립
500: T형 찬넬
500A: 제1 T형 찬넬
510a: 제1 센터부
520:a 제1 걸림부
521a: 제1 절곡 프레임
522:a 제2 절곡 프레임
523a: 제3 절곡 프레임
500B: 제2 T형 찬넬
510b: 제2 센터부
520b: 제2 걸림부
521b: 제1 절곡 프레임
522b: 제2 절곡 프레임
523b: 제3 절곡 프레임
500C: 제3 T형 찬넬
510c: 제3 센터부
520c: 제3 걸림부
521c: 제1 절곡 프레임
522c: 제2 절곡 프레임
523c: 제3 절곡 프레임
600: 흡음 판넬
610: 절곡 면
620: 걸림 홈
620a: 제1 걸림 홈
620b: 제2 걸림 홈
620c: 제3 걸림 홈
700: 벽 몰딩

Claims (7)

  1. 일측이 천장에 결합된 봉 형태의 행거 볼트;
    상부가 상기 행거 볼트의 타측과 각각 연결되고, 하부가 상부를 향해 절곡된 절곡부로 형성된 행거;
    상기 행거의 절곡부에 삽입 고정되고, 바 형태로 형성된 캐링 찬넬;
    상기 캐링 찬넬에 감기어 하부의 T형 찬넬을 고정시키는 클립;
    상기 클립에 고정되고, 상기 캐링 찬넬과 직교하도록 배치되며, 하부 양측으로부터 측방으로 각각 돌출된 걸림부가 형성된 T형 찬넬;
    양측부에 각각 형성된 걸림 홈에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어 상기 T형 찬넬에 고정된 흡음 판넬; 및
    상기 흡음 판넬 중 벽면 쪽 흡음 판넬의 단부를 수용하고, 벽면에 고정되는 벽 몰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벽면용 흡음 판넬 설치 구조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T형 찬넬은,
    상부에서 하부로 직선 방향으로 연장된 센터부; 및
    상기 센터부의 하단로부터 양 측방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센터부에 대하여 각각 수직하게 절곡된 제1 절곡 프레임, 상기 제1 절곡 프레임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되 상부를 향해 각각 절곡된 제2 절곡 프레임, 및 상기 제2 절곡 프레임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센터부를 향해 각각 수직하게 절곡된 제3 절곡 프레임을 포함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벽면용 흡음 판넬 설치 구조물.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홈은,
    상기 흡음 판넬의 양측부로부터 상기 흡음 판넬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벽면용 흡음 판넬 설치 구조물.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T형 찬넬은,
    상부에서 하부로 직선 방향으로 연장된 센터부; 및
    상기 센터부의 하단로부터 양 측방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되 상기 센터부에 대하여 수직하게 절곡된 제1 절곡 프레임, 상기 제1 절곡 프레임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되 상부를 향해 각각 절곡된 제2 절곡 프레임, 및 상기 제2 절곡 프레임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센터부를 향해 각각 하방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제3 절곡 프레임을 포함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벽면용 흡음 판넬 설치 구조물.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홈은,
    상기 흡음 판넬의 양측부로부터 상기 흡음 판넬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되, 천장면이 상기 제3 절곡 프레임의 경사각에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 홈의 입구 폭이 상기 걸림 홈의 내측변보다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벽면용 흡음 판넬 설치 구조물.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T형 찬넬은,
    상부에서 하부로 직선 방향으로 연장된 센터부; 및
    상기 센터부의 하단로부터 양 측방으로부터 연장되되 각각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절곡된 제1 절곡 프레임, 상기 제1 절곡 프레임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되 상부를 향해 각각 절곡된 제2 절곡 프레임, 및 상기 제2 절곡 프레임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센터부를 향해 각각 하방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제3 절곡 프레임을 포함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벽면용 흡음 판넬 설치 구조물.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홈은,
    상기 흡음 판넬의 양측부로부터 상기 흡음 판넬의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벽면용 흡음 판넬 설치 구조물.
KR1020200101178A 2020-08-12 2020-08-12 천장 벽면용 흡음 판넬 설치 구조물 KR102417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178A KR102417569B1 (ko) 2020-08-12 2020-08-12 천장 벽면용 흡음 판넬 설치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178A KR102417569B1 (ko) 2020-08-12 2020-08-12 천장 벽면용 흡음 판넬 설치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632A true KR20220020632A (ko) 2022-02-21
KR102417569B1 KR102417569B1 (ko) 2022-07-07

Family

ID=80475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178A KR102417569B1 (ko) 2020-08-12 2020-08-12 천장 벽면용 흡음 판넬 설치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56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343U (ja) * 1991-08-07 1993-02-23 株式会社サワタ建材社 天井板材の取付装置
US5761869A (en) * 1996-12-30 1998-06-09 Usg Interiors, Inc. Ceiling grid with bevel configuration
KR20110091880A (ko) * 2008-12-09 2011-08-16 유에스지인테리어스,인코포레이티드 하향 분리 가능한 패널을 구비한 은폐형 현수 천장
KR101062364B1 (ko) 2008-08-22 2011-09-06 (주)밴엔지니어링 천장벽면용 흡음패널
KR101387345B1 (ko) 2014-01-28 2014-04-21 현대금속산업(주) 니들펀칭형 방염 섬유 및 단백질계 친환경 접착제를 이용한 천장 판넬 및 역 v자 형상 클립을 이용한 천정 판넬 설치방법
KR20170022738A (ko) * 2015-08-21 2017-03-02 김성주 천정재 부착 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343U (ja) * 1991-08-07 1993-02-23 株式会社サワタ建材社 天井板材の取付装置
US5761869A (en) * 1996-12-30 1998-06-09 Usg Interiors, Inc. Ceiling grid with bevel configuration
KR101062364B1 (ko) 2008-08-22 2011-09-06 (주)밴엔지니어링 천장벽면용 흡음패널
KR20110091880A (ko) * 2008-12-09 2011-08-16 유에스지인테리어스,인코포레이티드 하향 분리 가능한 패널을 구비한 은폐형 현수 천장
KR101387345B1 (ko) 2014-01-28 2014-04-21 현대금속산업(주) 니들펀칭형 방염 섬유 및 단백질계 친환경 접착제를 이용한 천장 판넬 및 역 v자 형상 클립을 이용한 천정 판넬 설치방법
KR20170022738A (ko) * 2015-08-21 2017-03-02 김성주 천정재 부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7569B1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1919C2 (ru) Зажим парного основного таврового профиля
KR101719297B1 (ko) 진동흡수용 내진패널을 갖춘 벽체단열시스템조립체
KR101751666B1 (ko) 건식 벽체용 차음 스터드 구조
US7735285B2 (en) Acoustical mounting bracket for attaching ceiling suspension to floor joists
KR101331124B1 (ko) 천장 스크린 루버 고정구조
KR102417569B1 (ko) 천장 벽면용 흡음 판넬 설치 구조물
KR200465511Y1 (ko) 천장 판넬의 설치 구조
KR101395981B1 (ko) 천장용 흡음패널
KR101984612B1 (ko) 내진기능을 갖는 천정 지지용 행거
PL68326Y1 (pl) Dekoracyjny panel akustyczny
JP3987528B2 (ja) 建築用外装パネル
KR101830827B1 (ko) 내진용 천정판 체결구
KR101851305B1 (ko) 멀티캐리어 및 이를 이용한 루버 설치구조
JP3172917U (ja) システム天井における天井材の取付構造
RU2220264C1 (ru) Модуль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JP7266385B2 (ja) 間仕切壁構造、及びこの間仕切壁構造の施工方法
KR102561615B1 (ko) 천장 스크린 루바
RU172001U1 (ru) Крепежный элемент обрешетки
KR200436723Y1 (ko) 스파인 가구의 보조스크린 조립구조
KR200180783Y1 (ko) 천장구조물의 벽몰딩시스템
JP6299153B2 (ja) 耐震性間仕切装置
KR0178093B1 (ko) 천정판넬의 설치방법 및 그 장치
KR100383792B1 (ko) 조립성을 개선한 천정구조물
KR102616862B1 (ko) 천장마감패널용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천장마감시스템
KR20130125253A (ko) 절곡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방진 달대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방진천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