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1883A - 무기질코르티코이드 수용체 조절제로서의 벤족사지논 아미드 - Google Patents

무기질코르티코이드 수용체 조절제로서의 벤족사지논 아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1883A
KR20170021883A KR1020177002518A KR20177002518A KR20170021883A KR 20170021883 A KR20170021883 A KR 20170021883A KR 1020177002518 A KR1020177002518 A KR 1020177002518A KR 20177002518 A KR20177002518 A KR 20177002518A KR 20170021883 A KR20170021883 A KR 20170021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hydro
benzoxazin
mmol
carbonyl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2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2222B1 (ko
Inventor
개빈 오마호니
마이클 코센얀스
칼 에드만
요한 카야누스
칼 안드레스 호그네르
필립 코른왈
앤드류 터너
Original Assignee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filed Critical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Publication of KR20170021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A61K31/5381,4-Oxazines, e.g. morpholine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4Inotropic agents, i.e. stimulants of cardiac contraction; Drugs for heart fail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6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nitrogen atom and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65/281,4-Oxazines; Hydrogenated 1,4-oxazines
    • C07D265/341,4-Oxazines; Hydrogenated 1,4-oxazin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C07D265/361,4-Oxazines; Hydrogenated 1,4-oxazin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condensed with one six-membered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Obesity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REA)

Abstract

내피에서 산화 응력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혈관 기능을 개선할 수 있는 무기질코르티코이드(MR) 수용체 조절제로서 작용하는 화학식 (I)의 벤족사지논 아미드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특정 유도체(화학식 (I)), 그들의 잠재적인 치료적 이용 방법, 그들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러한 화합물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화학식 I]

Description

무기질코르티코이드 수용체 조절제로서의 벤족사지논 아미드{BENZOXAZINONE AMIDES AS MINERALOCORTICOID RECEPTOR MODULATORS}
기술 분야는 내피에서 산화 응력을 감소시켜, 이에 따라, 혈관 기능을 개선할 수 있는 무기질코르티코이드(MR) 수용체 조절제로 작용하는 벤족사지논 아미드의 특정 유도체(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포함), 심혈관 및 대사 질병, 예를 들어, 고혈압, 심부전, 만성 신장병, 당뇨병성 신장병증, 당뇨병, 안구 혈관구조의 장애를 포함하는 임상 질환의 잠재적인 치료 및/또는 예방에서의 그들의 유용성, 그들의 잠재적인 치료적 이용 방법, 그들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러한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도스테론(aldosterone), 생리학적 무기질코르티코이드는 상피 조직, 특히 원위 네프론 및 결장에서 나트륨 운반을 조절한다. 알도스테론에 대한 반응은 핵 수용체, 무기질코르티코이드 수용체(MR; NR3C2)에 의해 매개되며, 비-게놈 효과 및 게놈 효과를 포함한다. 무기질코르티코이드 반응에서의 MR의 중심이 되는 역할이 MR 널(null) 마우스에서 입증되었으며; 이들 마우스는 엄청난 무기질코르티코이드-비반응성 염-소모를 나타내며, 이는 조기의 신생아 기간에 필연적으로 치사이다. 약화된 무기질코르티코이드 작용은 염 균형 장애와 관련이 있으며, 고알도스테론증은 고혈압 또는 울혈성 심부전이 있는 환자에서 내피 기능이상 및 손상된 혈관 반응성과 관련이 있다. MR 길항작용은 내피에서 감소된 산화 응력 및 이에 따른 개선된 혈관 기능과 결합된다.
높은 수준의 순환하는 알도스테론은 고혈압, 및 울혈성 심부전을 갖는 환자에서의 내피 기능이상, 주로 무기질코르티코이드 수용체에 의해 매개되는 효과와 관련이 있다. 장기적인 고알도스테론증은 또한 신장 섬유증 및 결국 신부전과 관련이 있다(문헌[Trends Endocrinol Metab. 2008, 19(3)), 88-90]). 심부전 연구에서의 MR의 차단은 MR 매개의 고칼륨혈증에 의해 제한되는 용량에도 불구하고, 사망률 및 이환율의 상당한 감소를 야기한다(문헌[N. Engl . J. Med . 1999, 341(10), 709-17]). 제한된 임상 시험에 의해, 당뇨병성 신장병증을 포함하는 신장병의 치료에서의 MR 길항제의 유리한 효과도 또한 입증되었다(문헌[Kidney International 2011, 79, 1051]). 그러나, 고칼륨혈증의 위험은 현재 MR 길항제의 이용을 제한하고, 특히 당뇨병 환자를 배제한다. 신규하고, 강력하며, 선택적인 MR 길항제는 내피 개선과 상피 기원의 고칼륨혈증 사이의 이러한 치료창을 증가시켜야 한다.
문헌[Bioorg . Med . Chem . Lett. 2005, 15, 2553]에 개시된 비스테로이드성 MR 길항제는 울혈성 심부전을 치료하기 위해 이용하기 위한 MR 길항제로서의 3,3-비스아릴옥시인돌의 최적화를 설명한다.
WO 2006/015259호는 심장, 신장 및 혈관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MR을 포함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 수용체의 강력한 조절제로서의 벤족사지논에 관한 것이다.
문헌[Opin . Ther . Pat. 2007, 17, 17]에는 MR 길항제의 분야가 검토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검토에는 2가지 주요 스테로이드성 MR 길항제 에플레레논(eplerenone) 및 스피로노락톤(spironolactone)이 포함된다.
문헌[Expert Opin . Ther . Patents 2014, 24(2), 177]에는 2007년 내지 2012년에 출원된 출원서를 포괄하는 특허 검토에 MR 조절제의 분야가 검토되어 있다.
WO 2007/077961호는 고혈압, 심부전 등의 치료를 위한 MR 길항제로서의 융합된 복소환식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DE 10 2007 009 494호에는 고혈압, 심부전, 신장병 및 다른 질환의 치료를 위한 MR 길항제로서의 4-아릴-1,4-디하이드로-1,6-나프티리딘-3-카르복사미드가 개시되어 있다.
WO 2007/089034호에는 MR에 대한 결합제로서의 이환식 화합물, 예를 들어, N-(2,2-디메틸-3-옥소-4-페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7-일)메탄설폰아미드가 개시되어 있다.
WO 2008/118319호에는 심혈관 및 신장병을 포함하는 다양한 질환의 치료를 위한 MR 결합 친화성을 갖는 디페닐메틸 이미다졸에 관한 것이다.
WO 2008/53300호에는 심혈관 및 신장 장애를 포함하는 다양한 질환의 치료를 위한 MR 길항제가 개시되어 있다.
WO 2008/126831호는 MR 길항제로서의 N-(p-메틸설포닐페닐)-5-(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롤-3-카르복사미드의 회전장애 이성질체(atropisomer)에 관한 것이다.
WO 2009/085584호는 울혈성 심부전, 고혈압 및 당뇨병성 신장병증과 같은 생리학적 장애의 치료를 위한 MR 길항제로서의 6H-디벤조[b,e]옥세핀 유사체에 관한 것이다.
WO 2009/017190호에는 고혈압, 심부전, 심근 경색, 협심증, 심장 비대, 심근 섬유증, 혈관 섬유증, 압력수용기 장애, 체액 과잉, 부정맥, 원발성 또는 속발성 알도스테론증, 애디슨병(Addison's disease), 쿠싱 증후군(Cushing syndrome) 또는 바터 증후군(Bartter syndrome)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및 이뇨제로서 유용한 MR 길항제로서의 벤족사진 및 크로멘 유도체가 개시되어 있다.
US 20100094000호는 고혈압, 심부전 등에 이용하기 위한 MR 길항제로서의 피라졸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WO 2010/098286호는 당뇨병성 신장병증을 치료하기 위한 작용제로서의 (+)-1,4-디메틸-N-[4-(메틸설포닐)페닐]-5-[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피롤-3-카르복삼이 개시되어 있다.
WO 2010/104721호는 울혈성 심부전, 당뇨병성 신장병증 및 만성 신장병을 포함하는 질병의 예방을 위한 MR 길항제로서의 5-((E)-(3-플루오로디벤조[b,e]옥세핀-11(6H)-일리덴)메틸)-1-((7R,8aR)-헥사하이드로-1H-피롤로[2,1-c][1,4]옥사진-7-일)-1H-벤조[d]이미다졸-2(3H)-온의 특정 용도에 관한 것이다.
WO 2010/116282호는 고혈압의 치료를 위한 MR 길항제로서의 디하이드로피라졸에 관한 것이다.
WO 2011/141848호는 MR 길항제로서의 모르폴린 유도체 및 당뇨병성 신장병증 및 내피 기능이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질환의 치료를 위한 그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WO 2012/064631호에는 예를 들어, 심부전의 치료를 위한 MR의 길항제로서의 피리딜 우레아가 개시되어 있다.
WO 2012/008435호에는 신장병을 포함하는 다양한 질병의 치료를 위한, MR을 억제하는 디아릴아미드 유도체가 개시되어 있다.
문헌[J. Med . Chem. 2011, 54, 8616]에는 MR 길항제로서의 벤족사진-3-온 유도체의 구조 활성이 기술되어 있다.
문헌[J. Cardiovasc . Pharmacol. 2012, 59(5), 458]에는, 혈청 칼륨 수준에 최소한의 영향을 끼치는, 랫트에서의 항고혈압 효능을 갖는 MR 길항제로서의 SM-368229가 기술되어 있다.
문헌[ChemMedChem 2012, 7(8), 1385]에는 디하이드로나프티리딘 유사체로의 디하이드로피리딘의 최적화 및 BAY 94-8862의 확인이 보고되어 있다.
문헌[Mol . Cell. Endocrinol. 2012, 350, 310]에는 MR 길항제의 약리학이 검토되어 있으며, BR-4628 및 PF-3882845의 특성이 기술되어 있다.
문헌[J. Med . Chem. 2012, 55, 7957]은 비스테로이드성 MR 길항제의 분야에서의 검토이다.
문헌[Bioorg . Med . Chem . Lett. 2013, 23, 4388]에는 강력한 MR 길항제로서의 옥사졸리디논 유도체의 탐색이 보고되어 있다.
문헌[Bioorg . Med . Chem . Lett. 2013, 23, 6239]에는 강력한 비스테로이드성 MR 길항제로서의 아릴설폰아미드의 탐색이 보고되어 있다.
문헌[Frontiers in pharmacology 2013, 4, 115]에는 당뇨병성 신장병증 동물 모델에서의 PF-03882845의 영향이 기술되어 있으며, 감소된 고칼륨혈증의 위험을 주장한다.
문헌[J. Med . Chem. 2014, 57(10), 4273]에는 PF-03882845의 핵 호르몬 수용체 선택성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기술되어 있다.
전술된 것에도 불구하고, 예를 들어, 이전에 기술된 화합물보다 더 유효할 수 있고/거나, 독성이 더 적을 수 있고/거나, 더욱 선택적일 수 있고/거나, 더욱 강력할 수 있고/거나, 더 적은 부작용을 생성할 수 있고/거나, 더욱 용이하게 흡수될 수 있고/거나, 더 나은 약동학 프로파일(예를 들어, 더 높은 경구 생체이용률 및/또는 더 낮은 제거)을 가질 수 있는 이점을 갖는, 심부전, 고혈압, 만성 신장병, 당뇨병성 신장병증, 내피 기능이상, 당뇨병, 안구 혈관구조의 장애를 포함하는 심혈관, 염증, 대사 및 신장 질환의 치료를 위한 대안적인/추가의 개선된 작용제가 여전히 필요하다.
요약
본원의 목적은 무기질코르티코이드(MR) 수용체 조절제로서 작용하는 화합물, 잠재적인 약제로서의 그들의 용도, 그들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들의 생성에 대한 합성 경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 양태에 따르면,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제공된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R 1 은 CONH2 또는 CONHCH3로부터 선택되고,
R 2 는 H, F, Cl 또는 Br로부터 선택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무기질코르티코이드(MR) 수용체 조절제이다. 따라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특히 MR의 조절에 반응성인 장애, 질병 또는 질환, 더욱 구체적으로, MR의 조절이 한 역할을 수행하는 심부전, 고혈압, 만성 신장병, 당뇨병성 신장병증, 내피 기능이상, 당뇨병, 안구 혈관구조의 장애를 포함하는 심혈관, 염증, 대사 및 신장 질환을 위한 약제로서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 부형제 및/또는 비활성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형이 제공된다.
추가의 구현예에서, 무기질코르티코이드 수용체의 조절이 유리할 질환의 치료에 이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형이 제공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포유동물, 특히, 인간에서 만성 신장병의 치료법, 특히 그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제공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포유동물, 특히, 인간에서 심혈관 및 대사 질병의 치료법, 특히 그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제공된다.
추가의 구현예에서, 포유동물, 특히, 인간에서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치료법, 특히 그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제공된다.
추가의 구현예에서, 포유동물, 특히, 인간에서 대사 질병, 예를 들어, 당뇨병의 치료법, 특히 그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제공된다.
추가의 구현예에서, 포유동물, 특히, 인간에서 심부전의 치료법, 특히 그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제공된다.
추가의 구현예에서, 포유동물, 특히, 인간에서 고혈압의 치료법, 특히 그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제공된다.
추가의 구현예에서, 포유동물, 특히, 인간에서 내피 기능이상의 치료법, 특히 그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제공된다.
추가의 구현예에서, 포유동물, 특히, 인간에서 염증 질병의 치료법, 특히 그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제공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제조에 이용되는 중간체가 제공된다.
본원에 예시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MR 결합 검정, 예를 들어, 하기 기술된 시험 A에서 시험되는 경우, 50 μM 미만의 농도에서, 바람직하게는 50 μM 미만의 IC50으로 알도스테론 결합을 위해 경쟁한다.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생체내에서 요망되는 효과 및 요망되지 않는 효과를 분리함으로써 유망한 약리학적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이들 및 다른 구현예는 본원에서 하기에 더욱 상세히 기술되며, 추가의 양태는 본 명세서를 읽음으로써 해당 분야의 숙련자에게 자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4a, 방법 B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4a: 2-{(3S)-7-플루오로-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N-메틸아세트아미드에 대한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보여준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조절제"는 다양한 수용체 효능작용 및/또는 길항작용, 완전한 효능작용 및/또는 길항작용 또는 부분적 효능작용 및/또는 길항작용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기술하기 위해 이용된다.
명확을 기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 임의의 기를 "상기 정의된"에 의해 수식한 경우에, 상기 기는 처음 발생하는 정의 및 가장 넓은 정의, 및 해당 기에 대한 각각의, 및 다른 모든 정의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 양태에서, R 1 R 2 가 화학식 (I)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제공된다.
일 양태에서, R 1 은 CONH2이고,
R 2 는 H, F, Cl 또는 Br로부터 선택된다.
추가의 구현예에서, R 1 은 CONH2이고,
R 2 는 H이다.
추가의 구현예에서, R 1 은 CONH2이고,
R 2 는 F이다.
추가의 구현예에서, R 1 은 CONHCH3이고,
R 2 는 H, F, Cl 또는 Br로부터 선택된다.
추가의 구현예에서, R 1 은 CONHCH3이고,
R 2 는 H이다.
추가의 구현예에서, R 1 은 CONHCH3이고,
R 2 는 F이다.
일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입체배치 (S)를 갖는 단일의 거울상이성질체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입체배치 (R)을 갖는 단일의 거울상이성질체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라세미체 또는 라세미 혼합물이다.
상기 구현예 중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추가의 특정 구현예를 제공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로부터 선택된다:
2-{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아미드,
N-메틸-2-{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아미드,
N-메틸-2-{(3S)-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아미드,
N-메틸-2-{(3R)-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아미드,
2-{7-플루오로-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아미드,
2-{(3S)-7-플루오로-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아미드,
2-{(3R)-7-플루오로-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아미드,
2-{7-플루오로-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N-메틸아세트아미드,
2-{(3S)-7-플루오로-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N-메틸아세트아미드,
2-{(3R)-7-플루오로-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N-메틸아세트아미드,
2-{7-클로로-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아미드,
2-{(3S)-7-클로로-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아미드,
2-{(3R)-7-클로로-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아미드,
2-{7-클로로-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N-메틸아세트아미드,
2-{(3S)-7-클로로-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N-메틸아세트아미드,
2-{(3R)-7-클로로-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N-메틸아세트아미드,
2-{7-브로모-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아미드,
2-{(3S)-7-브로모-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아미드,
2-{(3R)-7-브로모-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아미드,
2-{7-브로모-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N-메틸아세트아미드,
2-{(3S)-7-브로모-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N-메틸아세트아미드,
2-{(3R)-7-브로모-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N-메틸아세트아미드, 및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이들 특정 화합물 중 임의의 화합물이 본원에 언급된 구현예 중 임의의 구현예로부터 배제될 수 있음이 주목될 것이다.
다른 구현예는 본원에 개시된 방법 또는 실시예 중 임의의 것에 의해 수득가능한 생성물이다.
약리학적 특성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포유동물, 특히 인간에서 심부전, 고혈압, 만성 신장병, 당뇨병성 신장병증, 내막 기능이상, 당뇨병, 안구 혈관구조의 장애를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심혈관, 염증, 대사 및 신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한 것으로 여겨진다.
명확을 기하기 위하여, 본원에 이용되는 용어 "치료"는 치료적 및/또는 예방적 처치를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염이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치료법으로서 투여되는 경우, "치료적 유효량"은 장애의 증상 또는 기타 유해 효과를 감소시키거나, 완전히 완화시키거나, 장애를 치유하거나, 장애의 진행을 역행시키거나, 완전히 중단시키거나, 늦추거나, 장애가 악화될 위험을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이다.
따라서,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은 이들 질환의 치료적 및/또는 예방적 처치 둘 모두에서 권고된다.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은 그들이 종래 기술에 알려져 있는 화합물보다 더 유효할 수 있고/거나, 독성이 더 적을 수 있고/거나, 더욱 선택적일 수 있고/거나, 더욱 강력할 수 있고/거나, 더 적은 부작용을 생성할 수 있고/거나, 더욱 용이하게 흡수될 수 있고/거나, 더 나은 약동학 프로파일(예를 들어, 더 높은 경구 생체이용률 및/또는 더 낮은 제거)을 가질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병용 요법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상기 질환의 치료를 위해 이용되는 다른 화합물과 함께 투여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제2 활성 성분이 상기 열거된 질환 중 하나 이상의 치료를 위해 동시에, 순차적으로, 또는 혼합물로 투여되는 병용 요법이 제공된다. 그러한 병용은 하나 이상의 추가의 활성 성분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은
· 심장 치료법
· 항고혈압제
· 이뇨제
· 말초 혈관확장제
· 지질 변경제
· 항당뇨병제
· 항염증제
· 또는 항응고제인 작용제와 병용하여 심혈관, 대사 및 신장 질병을 치료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상기의 예는 디기탈리스 글리코시드, 항부정맥제, 칼슘 채널 길항제, ACE 억제제,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엔도텔린 수용체 차단제, β-차단제, 티아지드 이뇨제, 루프 이뇨제, 콜레스테롤 합성 억제제, 예를 들어, 스타틴(예를 들어, 로수바스타틴(rosuvastatin)), 콜레스테롤 흡수 억제제, 콜레스테릴에스테르 수송 단백질(CETP) 억제제, 항당뇨병 약물, 예를 들어, 인슐린 및 유사체, GLP-1 유사체, 설폰아미드, 디펩티딜 펩티다제 4 억제제, 티아졸리딘디온, SGLT-2 억제제 및 항염증 약물, 예를 들어, NSAID 및 CCR2 길항제, 항응고제, 예를 들어, 헤파린, 트롬빈 억제제 및 인자 Xa의 억제제, 혈소판 응집 억제제 및 P2X7 길항제를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병용 요법에 이용되는 경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다른 활성 성분이 단일의 조성물, 완전히 개별적인 조성물 또는 그의 조합으로 투여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활성 성분은 병행적으로, 그와 동시에, 순차적으로, 또는 별도로 투여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병용 요법의 특정 조성물(들) 및 투여 빈도(들)는 예를 들어 투여 경로, 치료되는 질환, 환자의 종, 단일 조성물로 조합될 때 활성 성분 사이의 임의의 잠재적인 상호작용, 동물 환자에게 투여되는 경우 활성 성분 사이의 임의의 상호작용, 및 의사(인간 환자의 상황에서), 수의사(비인간 환자의 상황에서) 및 당업계의 다른 숙련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다른 인자를 포함하는 다양한 인자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약제학적 조성물
MR의 조절이 요구되는 질환의 치료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그러한 질환을 앓고 있거나, 그러한 질환에 걸리기 쉬운 사람으로의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투여를 포함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투여형에서, 활성 성분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제의 형태로 보통 경구, 국소, 비경구, 정맥내, 근육내, 피하를 통해 또는 다른 주사가능한 방식, 협측, 직장, 질, 경피 및/또는 비강 경로 및/또는 흡입을 통해 투여될 것이다. 치료할 장애 및 환자 및 투여 경로에 따라, 조성물은 다양한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 제형의 선택 및 제조를 위한 통상의 절차는 예를 들어, 문헌[Pharmaceuticals - The Science of Dosage Form Designs, M. E. Aulton, Churchill Livingstone, 2nd Ed. 2002]에 기재되어 있다.
인간의 치료적 처치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적합한 1일 용량은 약 0.0001 내지 100 ㎎/㎏(체중),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체중)이다.
경구 제형, 특히, 0.007 ㎎ 내지 700 ㎎, 예를 들어, 1 ㎎, 3 ㎎, 5 ㎎, 10 ㎎, 25 ㎎, 50 ㎎, 100 ㎎ 및 250 ㎎의 범위의 용량의 활성 화합물을 제공하도록 해당 분야의 숙련자에게 알려져 있는 방법에 의해 제형화될 수 있는 정제 또는 캡슐이 바람직하다.
최적의 투여량 및 투여 빈도는 치료되는 특정 질환 및 그의 중증도; 환자의 종; 특정 환자의 연령, 성별, 크기 및 체중, 식이 및 전반적인 신체 상태; 뇌/체중 비; 환자가 복약하고 있을 수 있는 다른 약제; 투여 경로; 제형; 및 의사 및 해당 분야의 다른 숙련자에게 알려져 있는 다양한 다른 인자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에 따라, 추가의 양태에 따르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애쥬번트, 희석제 및/또는 담체와의 혼합물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형이 제공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전체 제형의 중량 기준으로 0.1 내지 99.5%, 예를 들어, 0.5 내지 95%의 농도로 약제학적 제형에 존재할 수 있다.
화합물의 제조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들의 염은 하기의 반응식 및 실시예의 절차 또는 화학적으로 관련된 화합물의 제조에 적용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임의의 방법 중 임의의 하나 이상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해당 분야의 숙련자는 하기의 제조 절차의 조건 및 방법에 대한 공지된 변형을 이용하여 이들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pct00002
R 1 R 2 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반응식 1에 따른 아미드 커플링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해당 분야의 숙련자는 이러한 유형의 반응을 위한 다수의 적합한 방법이 존재하는 것을 이해한다. 반응은 예를 들어, T3P 또는 PCl3에 의해 촉진될 수 있다. 그것은 염기, 예를 들어, TEA 또는 DIPEA의 존재하에 수행될 수 있으며, 유기 용매, 예를 들어, EtOAc, BuOAc, 톨루엔 또는 DMA 중에서 승온에서 수행된다. 감수성 작용기에 대해서 보호기, 예를 들어, 하이드록실기에 대해서 TBDPS 또는 설폰아미드에 대해서 MPM이 이용될 수 있다.
해당 분야의 숙련자는 화학식 (I)R 1 R 2 의 다수의 적합한 변환 방법이 존재하는 것을 이해한다. 이들 방법 중 일부가 하기에 제공된다.
[반응식 2]
Figure pct00003
화학식 ( Ib )의 화합물은 R 1 이 화학식 (I)에 대해서와 같이 정의되고, R 3 이 알킬기인 화학식 ( Ia )의 에스테르의 가수분해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반응은 주위 온도 또는 승온에서, THF, MeOH 및 H2O와 같은 용매 또는 그러한 용매의 혼합물 중에서 염기, 예를 들어, LiOH 또는 NaOH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화학식 ( Ib )의 카르복실산은 그들을 적합한 커플링 시약을 이용하여 적절한 아민 또는 아민 염과 반응시킴으로써 R 4 가 H 또는 C1-4 알킬인 화학식 ( Ic )의 아미드로 변환될 수 있다. 해당 분야의 숙련자는 커플링제를 이용하는 이러한 유형의 전환을 위한 다수의 적합한 방법이 존재하는 것을 이해한다. 반응은 예를 들어, PyBOP, T3P, TBTU, 산 할로겐화물 형성 또는 무수물 형성 시약에 의해 촉진될 수 있다. 반응은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TEA 또는 NMM의 존재하에 수행될 수 있으며, 편리하게 유기 용매, 예를 들어, EtOAc, THF, DMF 또는 DCM, 또는 그러한 용매의 혼합물 중에서, 주위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화학식 ( Ic )의 아미드는 용매, 예를 들어, MeOH, EtOH 또는 그러한 용매의 혼합물 중에서 적절한 아민과의 반응에 의해 화학식 (Ia)의 에스테르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하기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3]
Figure pct00004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R 1 R 2 가 화학식 (I)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VI)의 화합물의 환원 및 환형화(cyclisation)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해당 분야의 숙련자는 이러한 유형의 반응을 위한 다수의 적합한 방법이 존재하는 것을 이해한다. 니트로기의 환원은 예를 들어, 용매, 예를 들어, THF, MeOH 또는 EtOH 또는 그러한 용매의 혼합물 중에 촉매 예를 들어, 탄소상 팔라듐을 이용하여 1 내지 10 bar에서 수소화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산, 예를 들어, AcOH가 이용될 수 있다.
화학식 (VII)의 화합물의 환형화는 예를 들어, 환원제, 예를 들어, NaBH(OAc)3를 이용하는 환원성 아민화에 의해 촉진될 수 있다. 이는 주위 온도에서 용매, 예를 들어, 1,2-디클로로에탄 및 AcOH 중에서 행해질 수 있다.
해당 분야의 숙련자는 화학식 (VI)의 화합물의 제조를 위한 다수의 적합한 방법이 존재하는 것을 이해한다. 그것은 예를 들어, LG가 적합한 이탈기, 예를 들어, Br 또는 Cl인 화학식 (V)의 화합물을 이용한 화학식 (IV)의 화합물의 알킬화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알킬화는 주위 온도 또는 승온에서, 용매, 예를 들어, DMF 또는 NMP 중에서 다양한 염기, 예를 들어, K2CO3를 이용하여 행해질 수 있다.
반응식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R 1 R 2 가 화학식 (I)에서와 같이 정의된 화학식 (X)의 화합물을 R 1 이 화학식 (I)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XI)의 유기금속 화합물과 반응시킨 후에, 중간체 헤미아미날의 환원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반응식 4]
Figure pct00005
유기금속 화합물은 그리냐르(Grignard) 시약일 수 있으며, 반응은 저온 내지 승온에서, 용매, 예를 들어, THF 중에서 행해질 수 있다. 중간체 헤미아미날은 적합한 환원제, 예를 들어, NaBH4를 이용하여 환원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PG가 적합한 보호기, 예를 들어, Boc인 화학식 (XII)의 헤미아미날, 및 R 2 가 화학식 (I)에 정의된 바와 같고, R 1 이 CON(PG)2, CON(PG)C1 -4 알킬 또는 C(O)2C1 -4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PG가 적합한 보호기, 예를 들어, MPM인 화학식 (XIII)의 화합물을 이용하여 반응식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호르너-워즈워스-에몬스(Horner-Wadsworth-Emmon) 유형의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염기, 예를 들어, LiHMDS가 이용될 수 있으며, 반응은 저온 내지 주위 온도에서, 용매, 예를 들어, THF 중에서 행해질 수 있다. 보호기 또는 보호기들을 적합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거하여,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얻는다.
화학식 (XII)의 화합물은 화학식 (X)의 화합물을 보호하고, 환원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보호기, 예를 들어, Boc는 문헌에 알려져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하기의 환원은 저온에서 용매, 예를 들어, THF 중에서 환원제, 예를 들어, LiEt3BH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화학식 (X)의 화합물은 화학식 (IX)의 화합물의 환원 및 환형화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해당 분야의 숙련자는 이러한 유형의 반응을 위한 다수의 적합한 방법이 존재하는 것을 이해한다. 환원은 예를 들어, 승온에서 용매, 예를 들어, AcOH 중에서 환원제, 예를 들어, 철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해당 분야의 숙련자는 화학식 (IX)의 화합물의 제조를 위한 다수의 적합한 방법이 존재하는 것을 이해한다. 그것은 예를 들어, LG가 적합한 이탈기, 예를 들어, Br 또는 Cl인 화학식 (VIII)의 화합물을 이용한 화학식 (IV)의 화합물의 알킬화에 의해 반응식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알킬화는 주위 온도 또는 승온에서, 용매, 예를 들어, DMF 또는 NMP 중에서 염기, 예를 들어, K2CO3를 이용하여 행해질 수 있다.
반응식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 IIb )의 화합물은 R 1 R 2 가 화학식 (I)에 정의된 바와 같고, R 3 이 화학식 ( Ia )에서와 같은 화학식 ( XV )의 화합물의 환원 및 환형화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5]
Figure pct00006
해당 분야의 숙련자는 이러한 유형의 반응을 위한 다수의 적합한 방법이 존재하는 것을 이해한다. 환원은 예를 들어, 승온에서 용매, 예를 들어, AcOH 중에서, 환원제, 예를 들어, 철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해당 분야의 숙련자는 화학식 ( XV )의 화합물의 제조를 위한 다수의 적합한 방법이 존재하는 것을 이해한다. 그것은 예를 들어, R 3 이 화학식 ( Ia )에서와 같이 정의되고, LG가 적합한 이탈기, 예를 들어, Br 또는 Cl인 화학식 ( XIV )의 화합물을 이용한 화학식 (IV)의 화합물의 알킬화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알킬화는 주위 온도 또는 승온에서 용매, 예를 들어, THF, DMF 또는 NMP 중에서 유기 또는 무기 염기, 예를 들어, i-PrEt2N, TEA, DBU 또는 K2CO3를 이용하여 행해질 수 있다.
[반응식 6]
Figure pct00007
화학식 ( IIc )의 화합물은 R 1 R 2 가 화학식 (I)에 정의된 바와 같고, R 3 이 화학식 ( Ia )에서와 같이 정의되고, Y가 NH 또는 O인 화학식 ( XVIII )의 화합물의 비대칭 환원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환원은 용매, 예를 들어, EtOH 중에서, 키랄 촉매 (S,S)[Ph-BPE Rh COD]BF4 및 Zn(OTf)2에 의해 예시되는 바와 같이 첨가제(루이스(Lewis) 또는 브뢴스테드(Bronsted) 산 또는 유기 염기 또는 요오드)의 존재하에 루테늄, 로듐 또는 이리듐 키랄 촉매,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R)-Binap RuCl(p-cym)]Cl, (S,S)[Ph-BPE Rh COD]BF4, [Ir(COD)Cl]2/(R)-Taniaphos(Ph), [Ir(COD)Cl]2/(R)-PPhos, [Ir(COD)Cl]2/(R)-XylPPhos, Rh(COD)2BF4/(1R,1'R,2S,2'S) Duanphos를 이용하여 승온에서 5 내지 50 bar에서의 수소화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화학식 ( XVIII )의 화합물은 LG가 이탈기, 예를 들어, 클로로인 화학식 (XVII)의 화합물을 이용하여 화학식 ( XVI )의 화합물의 알킬화 및 환형화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것은 승온에서 용매, 예를 들어, NMP 중에서 염기, 예를 들어, K2CO3를 이용하여, 또는 승온에서 용매, 예를 들어, THF 또는 EtOH 중에서, 염기, 예를 들어, DIPEA, DBU 또는 TEA를 이용하여 행해질 수 있다.
화학식 ( XVI )의 화합물은 화학식 (IV)의 화합물의 환원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해당 분야의 숙련자는 예를 들어, 수 중에서, Na2S2O4 및 염기, 예를 들어, K2CO3의 이용에 의한 이러한 유형의 반응을 위한 다수의 적합한 방법이 존재하는 것을 이해한다.
작용기의 보호 및 탈보호는 문헌[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4th Ed, T.W. Greene and P.G.M. Wuts, Wiley-Interscience (2006)] 및 문헌[Protecting Groups, 3rd Ed, P.J. Kocienski, Georg Thieme Verlag (2005)]에 기재되어 있다.
추가의 구현예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염은 그의 화학적 또는 물리적 특성, 예컨대 상이한 온도 및 습도에서의 안정성, 또는 H2O, 오일 또는 기타 용매 중 바람직한 용해도 중 하나 이상으로 인하여 유리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염은 화합물의 단리 또는 정제를 돕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특히, 염이 동물, 예를 들어, 인간 투여용으로 의도되거나, 또는 동물 투여용으로 의도된 화합물 또는 염의 제조에서 이용하기 위한 시약인 경우), 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된다.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은 타당한 의학적 판단에 따라 이용하기에 적절한 모이어티(예를 들어, 염, 투여형 또는 부형제)를 특성화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모이어티는 모이어티가 미칠 수 있는 임의의 유해한 영향보다 더 큰 하나 이상의 이익을 갖는다. 유해한 영향은 예를 들어 과도한 독성, 자극, 알러지 반응, 및 기타 문제 및 합병증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합물이 충분히 산성인 경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알칼리 금속 염, 예를 들어, Na 또는 K, 알칼리 토금속 염, 예를 들어, Ca 또는 Mg, 또는 유기 아민 염을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합물이 충분히 염기성인 경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무기 또는 유기산 부가염을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전된 작용기의 수 및 양이온 또는 음이온의 원자가에 따라 하나 초과의 양이온 또는 음이온이 존재할 수 있다.
적합한 염에 대한 검토를 위하여, 문헌[Berge et al., J. Pharm . Sci., 1977, 66, 1-19] 또는 문헌[Handbook of Pharmaceutical Salts: Properties, selection and use, P.H. Stahl, P.G. Vermuth, IUPAC, Wiley-VCH, 2002]을 참조한다.
산 또는 염기 동시-형성제(co-former)가 실온에서 고체이고, 화학식 (I)의 화합물과 그러한 산 또는 염기 동시-형성제 간의 양성자 전달이 존재하지 않거나, 오직 부분적인 양성자 전달만이 존재하는 경우, 염보다는 동시-형성제 및 화학식 (I)의 화합물의 공-결정이 생성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모든 그러한 공-결정 형태는 본원에 포괄된다.
또한, 화학식 (I)의 특정 화합물이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용매화 형태, 예를 들어, 수화물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추가의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특정 화합물은 라세미체 및 라세미 혼합물, 단일의 거울상이성질체, 개별 부분입체이성질체 및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로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화학식 (I)의 특정 화합물은 연결기(예를 들어 탄소-탄소 결합, 탄소-질소 결합, 예컨대 아미드 결합)를 함유할 수 있고, 여기서, 결합 회전은 그러한 특정한 연결기 주위에서 제한되며, 예를 들어, 제한은 고리 결합 또는 이중 결합의 존재로부터 초래된다. 입체이성질체는 통상의 기술, 예를 들어,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분별 결정을 이용하여 분리될 수 있거나, 입체이성질체는 입체선택적 합성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추가의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임의의 동위원소 표지된(또는 "방사성-표지된") 유도체를 포괄한다. 그러한 유도체는 1개 이상의 원자가 자연에서 전형적으로 발견되는 원자 질량 또는 질량수와 상이한 원자 질량 또는 질량수를 갖는 원자에 의해 대체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유도체이다. 혼입될 수 있는 방사성핵종의 예는 2H를 포함한다(또한, 중수소에 대해서는 "D"로 기재됨).
추가의 구현예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인간 또는 동물 신체에서 분해되어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하는 전구약물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전구약물의 예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생체내 가수분해가능한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카르복시 또는 하이드록시 기를 함유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생체내 가수분해가능한(또는 절단가능한) 에스테르는, 예를 들어, 인간 또는 동물 신체에서 가수분해되어 모 산 또는 알코올을 생성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에스테르이다. 에스테르 전구약물 유도체의 예에 대해서는 문헌[Curr . Drug. Metab. 2003, 4, 461]을 참조한다.
전구약물의 다양한 다른 형태는 해당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전구약물 유도체의 예에 대해서는 문헌[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2008, 7, 255] 및 그에 인용된 참고문헌을 참조한다.
실시예
하기의 실시예는 비제한적인 실시예이다. 하기에 확인된 중간체 및 실시예를 ACD/Labs 2012를 이용하여 명명하였다. 실시예에서, HRMS 스펙트럼 데이터를 워터스(Waters)로부터의 XEVO, LCTp 시스템, 아질런트(Agilent) q-TOF 6530 또는 브루커(Bruker) micrOTOF-Q에서 TOF-MS를 이용하여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을 LC-아질런트 1100, 액퀴티(acquity) hss 또는 액퀴티 beh LC 시스템즈를 이용하여 워터스 zq, w3100 또는 sqd 전기분무로 이루어진 LC-MS 시스템에서 기록하였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주위 온도에서 각각 270, 400, 500 및 600 MHz의 1H 주파수에서 작동하는 제올(Jeol) EX270 에클립스(Eclipse), 브루커 400, 500 및 600 분광광도계에서 1H NMR 측정을 수행하였다. 화학 이동은 ppm으로 제공되어 있으며, 용매를 내부 표준으로 이용한다. 바이오타지(Biotage) 실리카 겔 KP-Sil 스냅 카트리지(Snap Cartridge) 또는 머크(Merck) 실리카 겔 60(0.063 내지 0.200 ㎜)를 이용하여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분리를 수행하였다. 표준 유리- 또는 플라스틱-컬럼을 이용하여 또는 바이오타지 SP1 또는 SP4 시스템에서 플래시-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마이크로파 반응기에서 수행되는 반응을 바이오타지 이니시에이터(Initiator)에서 수행하였다. H-Cube®에서 수행되는 반응을 팩킹된 촉매 카트리지(CatCart®)를 이용하여 탈레스나노(ThalesNano)로부터의 H-Cube® 연속-흐름 수소화 반응기에서 수행하였다. 실험에 이용되는 상 분리기는 바이오타지로부터 입수가능한 ISOLUTE 상 분리기 컬럼이다.
HPLC 분리를 XBridge C18 컬럼(10 ㎛ 250 x 19 ID ㎜ 또는 10 ㎛ 250 x 50 ID ㎜) 및 H2O/ACN/NH3 95/5/0.2 완충제 중 ACN의 구배 또는 크로마실(Kromasil) C8 컬럼(10 ㎛ 250 x 20 ID ㎜ 또는 10 ㎛ 250 x 50 ID ㎜) 및 H2O/ACN/FA 95/5/0.2 완충제 중 ACN의 구배를 이용하여, 구배 트릴루션(Trilution) LC v.1.4 소프트웨어 및 UV/VIS 검출기 155가 있는 길슨 HPLC 시스템에서 수행하였다. 더 작은 컬럼에 대한 유동은 19 ㎖/분이었으며, 더 큰 컬럼에 대해서는 100 ㎖/분이었다. 대안적으로, Sunfire Prep C18 컬럼(5 ㎛ OBD, 19 x 150 ㎜) 및 0.1 mM FA(pH = 3) 중 ACN의 구배 또는 Xbridge C18 컬럼(5 ㎛ OBD, 19 x 150 ㎜) 및 0.2% NH3(pH = 10) 중 ACN의 구배를 이용하여 MS 촉발 분획 수집과 함께 워터스 분획 Lynx 정제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질량 스펙트럼을 둘 모두 공압 보조 전기분무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워터스 ZQ 단일의 사중극자 또는 워터스 3100 단일의 사중극자에서 기록하였다. 대안적으로, 40℃에서 CO2, 120 bar에서 페노메넥스(Phenomenex) 루나(Luna) 힐릭(Hilic) 컬럼(5 ㎛ 250 x 30 ID ㎜) 또는 워터스 비리디스(Viridis) 2-EP 컬럼(5 ㎛ 250 x 30 ID ㎜), 등용매 또는 MeOH/DEA 100/0.5의 구배를 이용하여 MS 촉발 분획 수집과 함께 워터스 100 SFC MS 지정 정제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질량 스펙트럼을 둘 모두 공압 보조 전기분무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워터스 ZQ 단일 사중극자 또는 워터스 3100 단일 사중극자에서 기록하였다.
X-선 회절 분석을 예를 들어, 문헌[A.I. Kitaigorodsky (1973), Molecular Crystals and Molecules, Academic Press, New York]; 문헌[C.W. Bunn (1948), Chemical Crystallography, Clarendon Press, London]; 또는 문헌[H.P. Klug and L.E. Alexander (1974), X-ray Diffraction Procedures,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에서 찾을 수 있는 표준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X-선 분말 회절 데이터를 내부 참조물질로서 커런덤(Corundu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X-선 분말 회절(본원에 XRPD로 지칭) 패턴을 단결정 실리콘인 제로 백그라운드 홀더 상에 시료를 장착하고, 이 시료를 얇은 층으로 도말하여 측정하였다. 쎄타-쎄타 PANalytical X'Pert PRO(X-선 1.5418 Å 니켈-여과 Cu 방사선의 파장, 전압 45 kV, 필라멘트 방출 40 mA)를 이용하여, 분말 X-선 회절을 기록하였다. 자동화 가변 발산 및 산란 방지 슬릿을 이용하고, 시료를 측정 동안 회전시켰다. 시료를 PIXCEL 검출기(활성 길이 3.35° 2쎄타)와 함께, 0.013°단계 너비 및 44.37초 계수 시간을 이용하여 2 내지 50° 2쎄타로부터 스캐닝하였다.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을 브래그-브렌타노(Bragg-Brentano) 기하학에서 수득하였다. 측정 조건, 예를 들어, 이용되는 장비 또는 장치에 따라 하나 이상의 측정 오차를 갖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이 수득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문헌[Jenkins, R & Snyder, R.L. Introduction to X-Ray Powder Diffractometry John Wiley & Sons 1996]; 문헌[Bunn, C.W. (1948), Chemical Crystallography, Clarendon Press, London]; 문헌[Klug, H. P. & Alexander, L. E. (1974), X-Ray Diffraction Procedures]). X-선 분말 회절의 분야의 숙련자는 예를 들어, 피크의 상대적인 강도가 시료 분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비단일성 종횡비 및 30 ㎛ 초과의 크기의 입자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추가로, 강도는 실험 조건 및 시료 제제(예를 들어, 바람직한 배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하기의 정의를 상대 강도(%)에 대하여 이용하였다: 25 내지 100%, vs(매우 강함); 10 내지 25%, s(강함); 3 내지 10%, m(중등); 1 내지 3%, w(약함). 숙련자는 또한 반사 위치가 회절분석기 중 시료가 안치되어 있는 정확한 높이 및 회절분석기의 0점 보정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도 인지할 것이다. 시료의 표면 평면성도 또한 작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제시되는 회절 패턴 데이터를 절대적인 값으로 해석하지 않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X선 분말 디프랙토그램(diffractogram)에서 회절 각도의 측정 오차는 대략 ± 0.2° 2-쎄타일 수 있으며, 이러한 측정 오차의 정도가 X선 분말 회절 데이터를 고찰할 때, 고려되어야 한다. 선광도를 퍼킨 엘머(Perkin Elmer) 341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비선광도를
Figure pct00008
(용매, c=1)로 기록하고, 여기서, c=1은 10 ㎎/㎖를 의미하고,
Figure pct00009
는 Na 라인을 이용하여 20℃에서 결정한 선광도를 의미한다.
단결정 X-선 회절, 키랄 유도체화와 결합된 NMR, 합성 변환에 기초한 구조적 증명, 선광도 및 ECD를 포함하는 작은 유기 화합물에서의 키랄 중심의 절대 입체배치의 결정을 위한 몇몇의 방법이 통상적으로 이용된다. 더욱 최근의 방법은 합리적인 크기 및 유연성을 갖는 대부분의 약제에 적용될 수 있는 VCD이다. 그것은 실험적 및 계산된 스펙트럼의 비교에 의존하며, 후자는 볼츠만(Boltzmann) 분포에 따른 분자의 모든 저에너지 형태이성질체의 개별 스펙트럼의 평균이다. 상기 방법은 스펙트럼이 용액 중에서 획득되기 때문에, 매우 신속할 수 있다. 단결정이 수득하기 어렵고, 시간이 소모되는 경우에, 그것은 특히 가치있다. 많은 예가 공개되어 있으며, 또한, 약물유사 화합물에도 적용된다(문헌[Appl . Spectrosc. 2011, 65, 699], 문헌[Org. Biomol . Chem., 2012, 10, 4208], 문헌[Bioorg . Med . Chem . Lett. 2013, 14, 4019], 문헌[J. Med. Chem. 2014, 57, 477]).
약어
하기의 약어를 이용한다.
ACN 아세토니트릴
AcOH 아세트산
aq. 수성
Boc tert-부틸옥시카르보닐
br 브로드(broad)
BuOAc 부틸 아세테이트
BuLi 부틸 리튬
C 섭씨
Calcd 계산치
CV 컬럼 부피
d 이중선
dd 이중 이중선
dba 1,5-디페닐펜타-1,4-디엔-3-온
DBU 2,3,4,6,7,8,9,10-옥타하이드로피리미도[1,2-a]아제핀
DCM 디클로로메탄
DIBAL-H 디이소부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DIPEA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DIPHOS 비스(디페닐포스피노)에탄
DMA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DMAP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DMF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HA HCl N,O-디메틸하이드록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ECD 전자 원형 이색성
ee 거울상이성질체적 과량
Et2O 디에틸 에테르
DMSO 디메틸설폭시드
EtOAc 에틸 아세테이트
EtOH 에탄올
FA 포름산
Fe(acac)3 트리스((Z)-4-옥소펜트-2-엔-2-일옥시)철
g 그램
h 시간(들)
HPLC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RMS 고분해능 질량 분석기
Hz 헤르츠
J 커플링 상수
LC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LBD 리간드 결합 도메인
LiHMDS 리튬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
m 다중선
MCPBA 3-클로로벤조퍼옥소산
MeOH 메탄올
MEA 메틸 아민
㎎ 밀리그램
MHz 메가헤르츠
min 분
㎖ 밀리리터
mmol 밀리몰
MS 질량 스펙트럼
MPM 4-메톡시벤질
MTBE 메틸 tert-부틸 에테르
NMM N-메틸모르폴린
NMP N-메틸피롤리돈
NMR 핵 자기 공명
OAc 아세테이트
PE 석유 에테르
Pd2(dba)3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
PyBOP (1H-벤조[d][1,2,3]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딘-1-일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V)
q 사중선
rt 실온
s 단일선
sat. 포화
T3P 1-프로판포스폰산 사이클릭 무수물
t 삼중선
TBAF 테트라-n-부틸 암모늄 플루오르화물
TBDPS t-부틸디페닐실릴
TBPTA t-부틸페닐 포스피노티오산
TBTU O-(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t-BuOH tert 부틸 알코올
TF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f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THF 테트라하이드로푸란
UV 자외선
VCD 진동 원형 이색성
Xant Phos 9,9-디메틸-4,5-비스(디페닐포스피노)잔텐
중간체의 제조
중간체 1
메틸 (2E)-4-(2- 니트로페녹시 ) 부트 -2- 에노에이트
메틸-(2E)-4-브로모부트-2-에노에이트(28.2 g, 0.158 mol)를 실온에서 N,N-디메틸포름아미드(240 ㎖) 중 2-니트로페놀(20 g, 0.144 mol) 및 K2CO3(29.8 g, 21.6 mol)에 적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OAc(2.0 ℓ)로 희석하고, 물(1.0 ℓ), 포화 수성 Na2CO3(1.0 ℓ) 및 염수(1.0 ℓ)로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분리하고, 무수 Na2SO4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증발시켜, 요망되는 생성물(27.4 g, 80%)을 고체로 제공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3.69 (3H, s), 5.00 (2H, dd), 6.16 (1H, td), 7.04 (1H, td), 7.16 (1H, t), 7.36 (1H, d), 7.67 (1H, ddd), 7.93 (1H, dd).
MS m/z 238 (M+H)+.
중간체 2
메틸 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3- 일아세테이트
철분(28.7 g, 0.51 mol)을 실온에서 아세트산(304 ㎖) 및 물(30.4 ㎖) 중 중간체 1(20.3 g, 0.086 mo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현탁 용액을 80℃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진공하의 증발에 의해 용매를 제거하고, 500 ㎖의 EtOAc를 첨가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EtOAc로 세척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물(500 ㎖)로 세척하였다. 수성 상을 EtOAc(2 x 500 ㎖)로 역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수성 NaHCO3(500 ㎖) 및 염수(500 ㎖)로 세척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무수 Na2SO4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의 회전 증발에 의해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17.0 g, 96%)을 황색 오일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2.47-2.59 (2H, m), 3.65 (3H, s), 3.69-3.74 (1H, m), 3.87 (1H, dd), 4.12 (1H, dd), 5.80 (1H, s), 6.49 (1H, ddd), 6.62 (1H, dd), 6.67-6.70 (2H, m).
MS m/z 208 (M+H)+.
중간체 3
메틸 {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 디하이드로 -2H-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
T3P(EtOAc 중 50% 용액, 61.5 g, 96.6 mmol)를 실온에서 EtOAc(125 ㎖) 중 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카르복실산(10.3 g, 53.1 mmol), 메틸 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중간체 2, 10.0 g, 48.3 mmol) 및 TEA(26.8 ㎖, 193.2 mmo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7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350 ㎖의 EtOAc로 희석하고, 포화 수성 NaHCO3 용액(160 ㎖), 0.5 M HCl 용액(160 ㎖) 및 염수(160 ㎖)로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무수 Na2SO4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미정제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MeOH로부터의 재결정화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0.1 g, 55%)을 백색 고체로 제공하였다.
MS m/z 383 (M+H)+.
중간체 4
에틸 {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 디하이드로 -2H-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
T3P(EtOAc 중 50% 용액, 132.4 g, 0.208 mol)를 실온에서 EtOAc(139 ㎖) 중 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카르복실산(22.1 g, 0.114 mol), 에틸-2-(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23.0 g, 0.104 mol) 및 TEA(57.9 ㎖, 0.416 mo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7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800 ㎖의 EtOAc로 희석하고, 포화 수성 NaHCO3 용액(300 ㎖), 0.5 M HCl 용액(300 ㎖) 및 염수(300 ㎖)로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무수 Na2SO4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미정제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MeOH로부터의 재결정화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4.5 g, 35%)을 백색 고체로 제공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1.17 (3H, t), 2.54 (2H, d), 4.01-4.12 (2H, m), 4.35 (2H, d), 4.65 (2H, s), 4.87 (1H, t), 6.71 (1H, dt), 6.92 (2H, d), 7.01 (2H, dt), 7.09 (1H, d), 10.81 (1H, brs).
MS m/z 397 (M+H)+.
중간체 5
{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 디하이드로 -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산
NaOH(2 M, 0.39 ㎖, 0.78 mmol)를 THF(2 ㎖)/물(2 ㎖)/EtOH(4 ㎖)의 혼합물 중 에틸 {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중간체 4, 154 ㎎, 0.39 mmol)의 슬러리에 첨가하여, 투명한 용액을 제공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한 다음, 1 M HCl(10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EtOAc(3 x 10 ㎖)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상 분리기를 통과시킴으로써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건조될 때까지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146 ㎎, 102%)을 중량 기준 3% EtOAc를 함유하는 백색 고체로 제공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δ 2.41 - 2.48 (m, 2H), 4.23 - 4.4 (m, 2H), 4.64 (s, 2H), 4.73 - 4.84 (m, 1H), 6.72 (t, 1H), 6.89 - 6.96 (m, 3H), 6.96 - 7.07 (m, 2H), 7.08 (d, 1H), 10.85 (s, 1H), 12.45 (br s, 1H).
HRMS m/z [C19H16N2O6 + H+]에 대한 계산치: 369.1086, 실측치: 369.1083.
중간체 6
tert -부틸 7- 플루오로 -3-옥소-2,3- 디하이드로 -4H-1,4- 벤족사진 -4- 카르복실레이트
7-플루오로-2H-1,4-벤족사진-3(4H)-온(7.0 g, 41.9 mmol) 및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10.6 ㎖, 46.1 mmol)를 THF(130 ㎖) 중에 용해시켰다. DMAP(0.512 g, 4.19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EtOAc(200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HCl(0.5 M, 50 ㎖), 포화 수성 NaHCO3(100 ㎖)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혼합물을 상 분리기를 통해 건조시키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11.6 g, 104%)을 미정제 오일로 제공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1.62 (s, 9H), 4.57 (s, 2H), 6.73 - 6.82 (m, 2H), 7.19 - 7.26 (m, 1H).
중간체 7
tert -부틸 7- 플루오로 -3- 하이드록시 -2,3- 디하이드로 -4H-1,4- 벤족사진 -4- 카르복실레이트
tert-부틸 7-플루오로-3-옥소-2,3-디하이드로-4H-1,4-벤족사진-4-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6, 2.22 g, 8.31 mmol)를 THF(20 ㎖) 중에 용해시키고, -78℃로 냉각시켰다. DIBAL-H(톨루엔 중 1 M, 10.8 ㎖, 10.8 mmol)를 반응 온도를 -70℃ 미만으로 유지하기 위한 속도로 첨가한 후에, 반응물을 -78℃에서 50분 동안 교반하였다. 냉각을 제거하고, 반응물을 NH4Cl(포화 수성 10 ㎖)로 켄칭시켰다. 혼합물이 실온에 도달하게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DCM 및 로셀(Rochelle) 염(30% 수성, 100 ㎖)으로 희석하고, DCM(2 x 100 ㎖)으로 추출하였다. 유기물질을 합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에서 건조시키고, 상 분리기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2.23 g, 100%)을 백색 고체로 제공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1.58 (s, 10H), 4.09 (dd, 1H), 4.29 (dd, 1H), 5.87 - 5.99 (m, 1H), 6.62 - 6.75 (m, 2H), 7.91 (s, 1H).
중간체 8
tert -부틸 3-(2- 에톡시 -2- 옥소에틸 )-7- 플루오로 -2,3- 디하이드로 -4H-1,4- 벤족 사진-4-카르복실레이트
단계 1. -78℃에서, 리튬 트리에틸하이드로보레이트(THF 중 1 M, 52.1 ㎖, 52.1 mmol)를 THF(180 ㎖) 중 tert-부틸 7-플루오로-3-옥소-2,3-디하이드로-4H-1,4-벤족사진-4-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6, 11.6 g, 43.4 mmol)의 냉각(드라이 아이스/아세톤) 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8℃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수성 Na2CO3(55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약 -20℃로 가온시켰다. 저온을 유지하면서, H2O2(수 중 30%, 55 ㎖)를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셀라이트(celite)를 통해 여과하여, 플러그를 THF로 세척하였다. 회전식 증발기에서 약 150 ㎖로 농축시켰다. EtOAc(200 ㎖)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상 분리기를 통해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미정제 헤미아미날(중간체 7)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고, 정제 없이 이용하였다.
단계 2. 0℃에서, LiHMDS(THF 중 1 M, 87 ㎖, 87 mmol)를 THF(60 ㎖) 중 에틸 2-(디에톡시포스포릴)아세테이트(17.4 ㎖, 87 mmol)에 천천히(5℃ 미만의 온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로부터의 미정제 헤미아미날(중간체 7)을 THF(90 ㎖) 중에 용해시키고, 냉각된 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아이스 배쓰(ice bath)를 제거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의 LiHMDS(THF 중 1 M, 21.7 ㎖, 21.7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THF(20 ㎖) 중에서 에틸 2-(디에톡시포스포릴)아세테이트(4.34 ㎖, 21.7 mmol) 및 LiHMDS(THF 중 1 M , 21.7 ㎖, 21.7 mmol)를 혼합함으로서 추가의 호르너-워즈워스-에몬스-시약을 제조하면서, 얼음에서 냉각시켰다. 얼음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반응 혼합물에 조심히 첨가하고, 교반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계속하였다. EtOAc(300 ㎖)를 첨가하고, 포화 수성 Na2CO3(250 ㎖), 포화 수성 NaHCO3(100 ㎖), HCl(0.5 M, 100 ㎖)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Na2SO4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후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바이오타지® KP-SIL 340g 컬럼에서 자동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5 CV에 걸쳐 헵탄 중 5% 내지 25% EtOAc의 구배를 이동상으로 이용하였다. 표제 화합물(6.69 g, 수율 45.4%)을 검출을 위하여 파장 250/285 nm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1.26 (t, 3H), 1.54 (s, 9H), 2.47 (dd, 1H), 2.57 (dd, 1H), 4.08 - 4.21 (m, 3H), 4.37 (d, 1H), 5.01 (s, 1H), 6.56 - 6.69 (m, 2H), 7.79 (s, 1H).
MS m/z 340.2 (M+H)+.
중간체 9
에틸 (2E)-4-(5- 플루오로 -2- 니트로페녹시 ) 부트 -2- 에노에이트
질소 분위기하에서 3-플루오로-6-니트로페놀(200 g, 1.27 mol), 무수 K2CO3(202 g, 1.46 mol) 및 NMP(1.2 ℓ)의 혼합물을 25℃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에틸 4-브로모크로토네이트(80% 공업용, 252 ㎖, 1464 mmol)를 2 내지 3분 동안 수득된 적색 현탁액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그 다음, 황색을 띤 현탁액을 교반하에 얼음물(8.0 ℓ)에 부었다. 1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고체를 여과하고, 물(5 x 1.0 ℓ), 헵탄(4 x 0.50 ℓ)으로 세척한 다음, 진공에서 50℃에서 하룻밤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332 g, 1.20 mmol, 98 w/w%, 95% 수율)을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31 (t, 3H), 4.23 (q, 2H), 4.82 (dd, 2H), 6.31 (dt, 1H), 6.71 - 6.82 (m, 2H), 7.04 (dt, 1H), 8.00 (dd, 1H).
중간체 10
에틸 (7- 플루오로 -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3-일)아세테이트
AcOH(1.4 ℓ) 중 용해된 에틸 (2E)-4-(5-플루오로-2-니트로페녹시)부트-2-에노에이트(중간체 9, 310 g, 1.09 mol)를 질소 분위기하에서 60℃에서 AcOH(0.90 ℓ) 중 철분(325 메시, 305 g, 5.47 mol)의 슬러리에 1시간 동안 적가하였다. 첨가 동안 온도를 60 내지 75℃로 유지하였다. 첨가의 완료시에, 생성된 혼합물을 70℃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에, 그것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고체를 여과하고, AcOH(2.5 ℓ)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건조될 때까지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EtOAc(2.0 ℓ) 중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시트르산(수성, 10 w/w%, 2 x 1.0 ℓ), Na2CO3(10 w/w%, 500 ㎖) 및 물(1.5 ℓ)로 세척하였다. 그 다음, 용액을 건조될 때까지 농축시키고, 수득된 잔류물을 i-PrOAc(500 ㎖) 중에 용해시켰다. 한번 더 건조될 때까지 농축시켜, 잔류물을 제공하였으며, 이를 용리제로서 헵탄/EtOAc(4:1)를 이용하여 실리카 상에서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표제 화합물(236 g, 0.986 mol, 98 w/w%, 88% 수율)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29 (t, 3H), 2.52 (d, 2H), 3.80 (qd, 1H), 3.94 (dd, 1H), 4.20 (dt, 3H), 4.33 (s, 1H), 6.47 - 6.59 (m, 3H).
중간체 10a 및 10b, 방법 A
에틸 [(3S 또는 3R)-7- 플루오로 -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3-일]아세테이트
에틸 (7-플루오로-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433 g, 1.76 mol)의 2개의 거울상이성질체를 용리제로서 EtOH/TEA 100/0.1 및 키랄팩(ChiralPak) AD 컬럼(250 x 110 ㎜, 20 ㎛ 입자 크기)이 구비된 NovaSep SFC에서 분리하였다.
중간체 10a, 방법 A
에틸 [(3S)-7- 플루오로 -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3-일]아세테이트
처음 용리된 화합물을 수집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의 이성질체 1을 제공하였다[(201 g, 0.848 mol, 키랄 HPLC(키랄팩 AD 250 x 110 ㎜ 20 ㎛, 실온에서 EtOH/TEA 100/0.1로 용리, 270 nm에서 검출)에 의해 99.6% 거울상이성질체적 과량 및 키랄 이동 시약((R)-TBPPTA)을 이용한 F NMR에 의해 99.5% 초과의 거울상이성질체적 과량, 48.3% 수율,
Figure pct00010
= -40.4°(c 1.0, ACN)].
1H NMR (400 MHz, CDCl3) δ 1.29 (t, 3H), 2.52 (d, 2H), 3.81 (qd, 1H), 3.95 (dd, 1H), 4.13 - 4.25 (m, 3H), 4.33 (s, 1H), 6.46 - 6.59 (m, 3H).
중간체 10b, 방법 A
에틸 [(3R)-7- 플루오로 -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3-일]아세테이트
두번째로 용리되는 화합물을 수집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의 이성질체 2를 제공하였다[(192 g, 0.802 mol, 키랄 HPLC(키랄팩 AD 250 x 110 ㎜ 20 ㎛, 실온에서 EtOH/TEA 100/0.1로 용리, 270 nm에서 검출)에 의해 96.6% 거울상이성질체적 과량 및 키랄 이동 시약((R)-TBPPTA)을 이용한 F NMR에 의해 96.3% 거울상이성질체적 과량, 45.7% 수율,
Figure pct00011
= +44.5°(c 1.0, ACN)].
1H NMR (400 MHz, CDCl3) δ 1.29 (t, 3H), 2.52 (d, 2H), 3.81 (qd, 1H), 3.95 (dd, 1H), 4.14 - 4.25 (m, 3H), 4.33 (s, 1H), 6.46 - 6.59 (m, 3H).
중간체 10a, 방법 B
에틸 [(3S)-7- 플루오로 -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3-일]아세테이트
(S,S) [Ph-BPE Rh COD]BF4(0.10 mol%, 1.7 g)에 이어서 Zn(OTf)2(4.0 mol%, 30.6 g) 및 에탄올(70 ㎖)을 수소화기에 채웠다. 그 다음, 수소화기를 질소로 퍼지시켰다(3회). 에틸 (2Z)-(7-플루오로-2H-1,4-벤족사진-3(4H)-일리덴)아세테이트(중간체 11, 500 g)를 45℃에서 에탄올(3930 ㎖) 중에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탈기시키고(3회 진공에 이어서 질소), 라인 헹굼액으로서 탈기된 에탄올(1000 ㎖)을 이용하여 수소화기(N2 전달)에 채웠다. 수소화기를 5 bar 질소(3회)에 이어서 10 bar 수소(3회)로 퍼지시켰다. 그 다음, 반응물을 18시간 동안 50℃/10 bar 수소에서 가열한 후에(교반기 1000 rpm), HPLC에 의해, 반응이 완료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온으로의 냉각 후에,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이전의 3회의 500 g 규모 반응으로부터의 미정제 생성물과 합하였다. 합한 잔류물을 EtOAc(400 ㎖) 중에 용해시켰다. 헵탄(1600 ㎖)을 첨가하고, 용액을 실리카의 패드(2 Kg)에 로딩하고, 10% 내지 30% EtOAc로 용리시켰다. 생성물 분획을 스트립핑시켜, 요망되는 생성물을 갈색 오일(2052 g, 정량적)로 제공하였다. 1H NMR에 의해 생성물의 아이덴티티를 확인하고, 키랄 HPLC에 의해 99.03%의 거울상이성질체적 과량을 나타냈다.
1H NMR (270 MHz, CDCl3) δ 1.26 (t, 3H), 2.49 (d, 2H), 3.78 (qd, 1H), 3.91 (dd, 1H), 4.11 - 4.22 (m, 3H), 4.32 (br s, 1H), 6.43 - 6.56 (m, 3H).
에틸 (2Z)-(7- 플루오로 -2H-1,4- 벤족사진 -3(4H)- 일리덴 )아세테이트( 중간체 11 )에서 에틸 [(3S)-7- 플루오로 -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3-일]아세테이트 ( 중간체 10a )로의 전환에 대한 촉매 스크리닝.
(a) 로듐 촉매:
48 웰 플레이트에서의 일반적인 절차:
DCM(100 ㎕) 중 리간드(0.00044 mmol)의 용액에 이어서, DCM(100 ㎕) 중 금속 공급원(0.0004 mmol)을 2 ㎖ 웰에 채웠다. 혼합물을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증발시켰다. 그 다음, 에탄올(667 ㎕) 중 에틸 (2Z)-(7-플루오로-2H-1,4-벤족사진-3(4H)-일리덴)아세테이트(중간체 11, 0.02 mmol) 및 아연 트리플레이트(0.0008 mmol)의 용액을 웰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55 psi 압력 및 50℃에서 16시간 동안 수소화시킨 다음, 에틸 [(3S)-7-플루오로-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중간체 10a)로의 전환 및 생성물의 거울상이성질체적 순도에 대하여 hplc에 의해 분석하였다.
Figure pct00012
(R,R)-BenzP* = (R,R)-(+)-1,2-비스(t-부틸메틸포스피노)벤젠 CAS 919778-41-9
R,R-QuinoxP* = (R,R)-2,3-비스(tert-부틸메틸포스피노)퀴녹살린 CAS 866081-62-1
S-BINAPINE = (3S,3'S,4S,4'S,11bS,11'bS)-(+)-4,4'-디-t-부틸-4,4',5,5'-테트라하이드로-3,3'-비-3H-디나프토[2,1-c:1',2'-e]포스페핀 CAS 528854-26-4
(b) 루테늄 촉매
개별 금속 공급원 및 리간드를 이용하는 48 웰 플레이트에서의 일반적인 절차:
DMF(100 ㎕) 중 리간드(0.00044 mmol)의 용액에 이어서, DMF(100 ㎕) 중 금속 공급원(0.0002 mmol)을 2 ㎖ 웰에 채웠다. 혼합물을 100℃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증발시켰다. 그 다음, 에탄올(667 ㎕) 중 에틸 (2Z)-(7-플루오로-2H-1,4-벤족사진-3(4H)-일리덴)아세테이트(중간체 11, 0.02 mmol) 및 85 w/w% 수성 인산(0.02 mmol)의 용액을 웰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95 내지 99 psi 압력 및 80 내지 85℃에서 16시간 동안 수소화시킨 다음, 에틸 [(3S)-7-플루오로-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중간체 10a)로의 전환 및 생성물의 거울상이성질체적 순도에 대하여 hplc에 의해 분석하였다.
Figure pct00013
사전-형성된 촉매 및 다양한 양의 첨가제를 이용하는 48 웰 플레이트에서의 일반적인 절차:
DMF(200 ㎕) 중 사전-형성된 촉매(0.00044 mmol)를 2 ㎖ 웰에 채웠다. 혼합물을 교반하여 용해시킨 다음, 증발시켰다. 그 다음, 에탄올(667 ㎕) 중 에틸 (2Z)-(7-플루오로-2H-1,4-벤족사진-3(4H)-일리덴)아세테이트(중간체 11, 0.02 mmol) 및 85 w/w% 수성 인산(다양한 양)의 용액을 웰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95 내지 99 psi 압력 및 80 내지 85℃에서 16시간 동안 수소화시킨 다음, 에틸 [(3S)-7-플루오로-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중간체 10a)로의 전환 및 생성물의 거울상이성질체적 순도에 대하여 hplc에 의해 분석하였다.
Figure pct00014
(c) 이리듐 촉매:
48 웰 플레이트에서의 일반적인 절차:
DCM(100 ㎕) 중 리간드(0.00044 mmol)의 용액에 이어서 DCM(100 ㎕) 중 금속 공급원([Ir(COD)2]BF4에 대하여 0.0004 mmol; [Ir(COD)Cl]2에 대하여 0.0002 mmol)을 2㎖ 웰에 채웠다. 혼합물을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증발시켰다. 그 다음, 톨루엔(667 ㎕) 중 에틸 (2Z)-(7-플루오로-2H-1,4-벤족사진-3(4H)-일리덴)아세테이트(중간체 11, 0.02 mmol) 및 요오드(0.01 mmol)의 용액을 웰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0 bar 압력 및 30℃에서 16시간 동안 수소화시킨 다음, 에틸 [(3S)-7-플루오로-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중간체 10a)로의 전환 및 생성물의 거울상이성질체적 순도에 대하여 h.p.l.c.에 의해 분석하였다.
Figure pct00015
중간체 10c
에틸 [(3S)-7- 플루오로 -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3-일]아세테이트, 2-나프탈렌설포네이트 염
에틸 (2Z)-(7-플루오로-2H-1,4-벤족사진-3(4H)-일리덴)아세테이트(중간체 11, 20.0 g, 84 mmol)를 250 ㎖ 유리 오토클레이브(autoclave)에 채웠다. 오토클레이브를 질소로 3.5 bar까지 5회 가압시킨 다음, 160 ㎖ 무수 에탄올(10분 질소 버블링에 의해 탈산소화)을 질소 흐름에 대향하여 주사기를 통해 첨가하였다. Tj를 45℃로 설정하고, 교반기 속도를 800 rpm으로 설정하였으며, 반응기를 질소로 3.5 bar까지 3회 가압시켰다.
20 ㎖의 탈기된 에탄올 중 Rh(S)-Ph-BPE(cod)BF4(64 ㎎, 0.0796 mmol, 0.0009 당량) 및 Zn(OTf)2(1.25 g, 3.4 mmol, 0.040 당량)의 용액을 질소의 흐름에 대향하여 주사기를 통해 채웠다. 오토클레이브를 질소로 3.5 bar까지 3회 가압시킨 다음, 수소로 3 bar까지 2회 가압시킨 후, 수소로 9.5 bar까지 가압시켰다. Tj를 50℃로 설정하였다. 5시간 후에 기체 흡수가 중단되었으며, 14시간 후에 취한 시료는 100% 전환 및 99.5% 거울상이성질체적 과량을 나타내었다. 반응 용액을 플라스크로 전달하고, 칭량하였다(141.5 g).
20.56 g의 반응 혼합물(2.92 g, 12.2 mmol 생성물에 상응)을 빼내고, 2-나프탈렌설폰산(일수화물)(2.85 g, 12.6 mmol)을 첨가하였다. 조밀한 침전물이 형성되었으며, 혼합물을 80℃로 가열하여, 투명한 암갈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20℃로의 냉각, 여과 및 5 ㎖ 에탄올로의 헹굼에 의해, 40℃에서 진공에서의 건조 후에, 에틸 2-[(3S)-7-플루오로-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 2-나프탈렌설포네이트를 백색 고체(4.21 g, 77% 수율 - 검정 보정)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 MHz에서 작동하는 브루커 아반스(Bruker Avance) 분광광도계에서 DMSO-d6에서 기록된 스펙트럼) δ(ppm): 8.70 (bs, 2H), 8.16 (bs, 1H), 8.00-7.95 (m, 1H), 7.93-7.88 (m, 1H), 7.87 (d, 1H, J=8.6 Hz), 7.72 (dd, 1H, J=8.6 Hz J=1.7 Hz), 7.55-7.50 (m, 2H), 6.69 (dd, 1H, J=8.7 Hz J=5.9 Hz), 6.64-6.55 (m, 2H), 4.18 (dd, 1H, J=10.8 Hz J=2.9 Hz), 4.1 (q, 2H, J=7.1 Hz), 3.90 (dd, 1H, J=10.8 Hz J=6.4 Hz), 3.71 (ddd,1H, J=6.7 Hz J=6.7 Hz J=2.8 Hz), 2.56 (dd, 1H, J=16.2 Hz J=6.4 Hz), 2.49 (dd, 1H, J=16.2 Hz J=6.9 Hz), 1.19 (t, 3H, J=7.1 Hz).
중간체 11, 방법 A
에틸 (2Z)-(7- 플루오로 -2H-1,4- 벤족사진 -3(4H)- 일리덴 )아세테이트
에틸 4-클로로아세토아세테이트(1 당량, 521.6 ㎖)를 THF(4883 ㎖) 중 2-아미노-5-플루오로-페놀(488.2 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50℃로 가열하고, DIPEA(1 당량, 664.6 ㎖)를 50 내지 60℃에서 1시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6시간 동안 50℃에서 가열하였다. 1H NMR 분석에 의해,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MTBE(4883 ㎖)/물(4883 ㎖)로 분배하였다. 상을 분리하고, 수성 상을 MTBE(2 x 1220 ㎖)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물질을 20 wt% 염수(3 x 1220 ㎖)로 세척하고, MgSO4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스트립핑시켜, 미정제 생성물을 암갈색 고체로 제공하였다. 미정제 물질을 2개의 추가의 반응으로부터의 미정제 생성물(둘 모두 488.3 g 규모)과 합하고, 실리카 패드를 통해 정제하고; 물질을 DCM(600 ㎖) 및 MTBE(2810 ㎖) 중에 취하였다. 실리카(3 ㎏)에 이어서 EtOAc(141 ㎖) 및 헵탄(2669 ㎖)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슬러리를 실리카(9 ㎏)의 패드로 붓고, 헵탄(11 x 10 ℓ 분획) 중 5% EtOAc로 용리시켰다. 생성물 분획을 스트립핑시켜, 주황색 고체(2291 g)를 제공하였다. 생성물을 다른 반응으로부터의 미정제 생성물(120 g 투입)과 합하고, 실리카 패드를 통해 재정제하고, DCM(2.2 ℓ) 중에 용해시키고, 실리카(12 ㎏) 상으로 로딩하였다. 헵탄(17 x 10 ℓ) 중 5% EtOAc로 용리시켰다. 생성물 분획을 스트립핑시켜, 황색 고체(2290 g)를 제공하였다. 이 고체를 헵탄(6870 ㎖) 중에 취하고, 가열하여 용해시켰다(60℃). 용액을 40℃로 냉각시키고, 중간 규모 반응으로부터의 순수 생성물을 씨딩한 다음, -5℃로 냉각시키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차가운 헵탄(2 x 1 ℓ)으로 세척하고,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40℃에서 진공 오븐에서의 추가의 건조에 의해, 요망되는 표제 화합물을 미황색 고체(2140 g, 2-아미노-5-플루오로-페놀의 합한 투입물로부터 계산한 72% 수율)로서 제공하였다.
1H NMR(제올 EX270 에클립스, 270 MHz, CDCl3) δ ppm 1.27 (t, 3H), 4.15 (q, 2H), 4.54 (s,2 H), 4.64 (s, 1H), 6.58-6.67 (m, 2 H), 6.70-6.78 (m, 1H), 10.10 (br. s, 1H).
중간체 11, 방법 B
에틸 (2Z)-(7- 플루오로 -2H-1,4- 벤족사진 -3(4H)- 일리덴 )아세테이트
5-플루오로-2-니트로페놀(250 g, 1.591 mol)을 5 ℓ 스테인리스 강 오토클레이브에 채웠다. 7.5 g의 10% Pd/C(Escat 1931)에 이어서, 1.50 ℓ 메탄올을 채웠다. 온도를 20℃로 설정하고, 반응기를 질소로 2 bar까지 4회 가압시킨 다음, 2 bar 수소 압력을 인가하고, 교반기 속도를 600 rpm으로 설정하였다. 반응물을 15시간 놔두고(기체 흡수는 200분 후에 중단됨), 그 후에 수소 압력을 해제하고, 오토클레이브를 질소로 퍼지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K200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필터 상에 수집된 촉매를 메탄올(250 ㎖)로 헹구었다.
반응 혼합물을 반응기로 전달하고, 에틸-4-클로로아세토아세테이트(385 g, 2.368 mol, 1.5 당량)를 첨가한 다음, 라인의 헹굼을 위하여 메탄올(250 ㎖)을 첨가하고, Tj를 40℃로 설정하였다.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하고, 이 때, Ti는 35℃였다. DIPEA(205.6 g, 1.594 mol, 1.002 당량)를 45분에 걸쳐 채웠다. 반응물을 추가 10분 동안 교반하였으며, 이 때, 19F NMR 분석에 의해, 90% 생성물이 나타났다. Tj를 30℃로 설정하였으며, 10분 후에, Ti는 32℃였다. 에틸 (2Z)-(7-플루오로-2H-1,4-벤족사진-3(4H)-일리덴)아세테이트 씨드(20 ㎎, 실시예 11, 방법 A에 따라 제조)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추가 45분 동안 교반하였다. 물(500 ㎖)을 1시간에 걸쳐 채운 다음, T배쓰를 20℃로 설정하였다. 추가 1.5시간 후에,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케이크를 75% 수성 메탄올(750 ㎖)로 세척하고, 40℃에서 진공하에서 건조시켜, 표제 생성물(261 g; 68% 보정된 검정 수율)을 제공하였다.
중간체 12
(2Z)-2-(7- 플루오로 -2H-1,4- 벤족사진 -3(4H)- 일리덴 )-N- 메틸아세트아미드
에틸 (2Z)-(7-플루오로-2H-1,4-벤족사진-3(4H)-일리덴)아세테이트(중간체 11, 2.0 g; 8.4 mmol), MeOH(6.0 ㎖) 및 메틸아민(40 wt% 수용액 7.3 ㎖, 84.3 mmol)의 혼합물을 금속 핫플레이트에서 35℃(블록 온도)로 가열하고,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암갈색의 탁한 용액을 수득하였다. LCMS 분석에 의해, 출발 물질의 소모 및 생성물의 형성이 나타났다. 혼합물을 DCM(80 ㎖)과 물(80 ㎖)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상을 분리한 다음, 진공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40 g 실리사이클 실리카 카트리지에서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0 내지 10% EtOAc:DCM으로 용리시켜, 정치 시에 어두워지는 주황색 결정질 고체의 표제 화합물(1.10 g, 58.9%)을 수득하였다.
1H NMR (브루커 아반스 III 500, 500 MHz, DMSO-d6) δ ppm 2.62 (d, 3H) 4.58 (s, 2H) 4.67 (s, 1H) 6.71-6.75 (m, 1H) 6.77-6.80 (dd, 1H) 7.04-7.06 (dd, 1H), 7.61-7.62 (m, 1H).
MS m/z 223 (M+H)+.
중간체 13, 방법 A
2-[(3S)-7- 플루오로 -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3-일]-N- 메틸 -아세트아미드
에틸 [(3S)-7-플루오로-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중간체 10a, 50.0 g, 204.2 mmol)를 20℃에서 500 ㎖ 재킷형 용기에서 MeOH(150 ㎖) 중에 용해시켰다. 메틸아민(EtOH 중 33 w/w% 용액 127 ㎖, 96 g, 1.02 mol)을 한꺼번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20℃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용액을 시료추출하고, HPLC 분석에 의해 완료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반응물을 추가 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놔둔 다음, 추가의 EtOH 중 메틸아민(EtOH 중 33 w/w% 용액 25.0 ㎖; 18.9 g; 200.8 mmol)을 첨가하고, 용액을 20℃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용액을 진공에서 주황색 오일로 증발시킨 다음, MeOH(300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재증발시켜, 베이지색 고체를 제공하였으며, 이를 막자사발을 이용하여 분쇄한 다음, 40℃에서 진공 오븐에서 3시간 동안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46.3 g, 99.2% 수율 NMR 검정 98.1 w/w%, 키랄 HPLC %에 의해 99.7% e.p.).
1H NMR (브루커 아반스 III 400, 400 MHz, DMSO-d6) δ ppm 2.26 (d, 2 H) 2.59 (d, 3 H) 3.55 - 3.71 (m, 1 H) 3.81 (dd, 1 H) 4.12 (dq, 1 H) 5.59 (s, 1 H), 6.41 - 6.57 (m, 2 H), 6.57 - 6.68 (m, 1 H), 7.87 (d, 1 H).
HRMS (브루커 micrOTOF-Q) [C11H13FN2O2 + Na+]에 대한 계산치: 247.085875; 실측치: 247.084779.
중간체 13, 방법 B
2-[(3S)-7- 플루오로 -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3-일]-N- 메틸 -아세트아미드
2 ㎖ 반응 바이얼에, 1,2-비스[(2S,5S)-2,5-디페닐포스폴라노]에탄(1,5-사이클로옥타디엔)로듐(I)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DCM 중 0.004 M, 0.0004 mmol)의 용액 100 ㎕를 첨가하고, 진공을 인가함으로써 용매를 제거하였다. 이것에, MeOH 중 4 mol% Zn(OTf)2를 함유하는 (2Z 또는 2E)-2-(7-플루오로-2H-1,4-벤족사진-3(4H)-일리덴)-N-메틸아세트아미드(중간체 12, 0.03 M, 0.02 mmol)의 원액 670 ㎕를 첨가하였다. 용기를 수소로 가압시키고, 반응을 50℃에서 331 psi 수소에서 16시간 동안 진행시켜, 99% 초과의 거울상이성질체적 과량으로, 요망되는 (S)-거울상이성질체로의 완전한 전환을 제공하였다.
HRMS m/z [C11H13FN2O2 + H]+에 대한 계산치: 225.1034; 실측치: 225.1045.
중간체 14
에틸 {7- 플루오로 -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
에틸 (7-플루오로-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중간체 10, 1.91 g, 8.0 mmol), 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카르복실산(1.70 g, 8.80 mmol) 및 TEA(3.33 ㎖, 24.0 mmol)를 EtOAc(10 ㎖) 중에 용해시켰다. T3P(EtOAc 중 50 wt%, 9.52 ㎖, 16.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환류하에 하룻밤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150 ㎖)로 희석하고, 포화 수성 NaHCO3(2 x 100 ㎖), 0.5 M HCl(100 ㎖) 및 염수(100 ㎖)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상 분리기를 통과시킴으로써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2.68 g, 수율 81%)을 회백색 고체로서 제공하고, 이를 추가의 정제 없이 이용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1.26 (t, 3H), 2.61 (qd, 2H), 4.15 - 4.22 (m, 2H), 4.30 (dd, 1H), 4.51 (d, 1H), 4.66 (s, 2H), 5.02 - 5.25 (m, 1H), 6.38 - 6.48 (m, 1H), 6.65 (dd, 1H), 6.73 (br s, 1H), 6.90 (d, 1H), 7 - 7.06 (m, 1H), 7.06 - 7.11 (m, 1H), 8.30 (s, 1H).
MS m/z 415.2 (M+H)+.
중간체 14a
에틸 {(3S)-7- 플루오로 -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800 ㎖) 중 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카르복실산(151 g, 0.779 mol), N-에틸-N-이소프로필프로판-2-아민(370 ㎖, 2.12 mol) 및 에틸 [(3S)-7-플루오로-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중간체 10a, 169 g, 0.708 mol)의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T3P(EtOAc 중 50 wt.%, 844 ㎖, 1.42 mol)를 10분 동안 첨가하였다. 첨가의 완료 시에, 생성된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5분 동안 교반한 다음, 온도를 85분 동안 105℃로 증가시켰다(1℃/분). 105℃에서 40시간 동안의 교반 후에, 반응 혼합물을 5℃로 냉각시키고, 물(800 ㎖)을 조심히 첨가하였다. 주위 온도에서 1시간 동안의 교반 후에, NaOH(수성, 2.5 M, 대략 1.5 ℓ)를 이용하여 pH를 대략 10으로 조정하였다. pH가 더 이상 변하지 않는 경우, 상을 분리하였다. 물(1.2 ℓ)을 유기 상에 첨가하고, 수성 상의 pH가 대략 4가 될 때까지 HCl(수성, 2 M, 대략 0.6 ℓ)을 교반 하에 첨가하였다. 수성 상을 폐기하는 한편, 유기 상을 물(2 x 2 ℓ)로 세척하고, 셀라이트(Seitz 필터, K200)를 통해 여과하고, 건조될 때까지 농축시켰다. 수득되는 잔류물을 EtOAc(400 ㎖) 중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건조될 때까지 농축시켜, 미정제 표제 화합물(278 g, 0.671 mol, 88 w/w%, 83% 수율)을 갈색을 띤 거품으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δ 1.17 (t, 3H), 2.53 (dd, 2H), 4.06 (qdd, 2H), 4.36 (d, 2H), 4.65 (s, 2H), 4.86 (t, 1H), 6.62 (td, 1H), 6.84 (dd, 1H), 6.94 (d, 2H), 7.03 (dd, 1H), 7.07 (d, 1H), 10.82 (s, 1H).
MS m/z 415.5 (M+H)+.
중간체 15
{7- 플루오로 -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산
수(7.50 ㎖) 중 용해된 LiOH(0.208 g, 8.69 mmol)를 THF(15 ㎖) 중 에틸 {7-플루오로-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중간체 14, 1.2 g, 2.90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EtOAc(40 ㎖)에 이어서 염화수소(1 M, 11.6 ㎖, 11.6 mmol) 및 물(20 ㎖)을 첨가하였다. 상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염수(30 ㎖)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Na2SO4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증발시켰다. 표제 화합물(1.19 g, 106%)을 고체로서 수득하고, 추가의 정제 없이 이용하였다.
1H NMR (600 MHz, DMSO-d6) δ 2.44 (dd, 1H), 2.51 - 2.53 (m, 1H), 4.26 - 4.4 (m, 2H), 4.64 (s, 2H), 4.76 (s, 1H), 6.64 (td, 1H), 6.83 (dd, 1H), 6.95 (d, 1H), 6.98 - 7.16 (m, 3H), 10.84 (s, 1H). 산 CO2 H 양성자가 검출되지 않았다.
HRMS (ESI+) m/z [C19H15FN2O6 + H+]에 대한 계산치: 387.0992, 실측치 387.0995.
중간체 16
tert -부틸 7- 클로로 -3-옥소-2,3- 디하이드로 -4H-1,4- 벤족사진 -4- 카르복실레이트
DMAP(0.158 g, 1.30 mmol)를 THF(70 ㎖) 중 7-클로로-2H-1,4-벤족사진-3(4H)-온(2.38 g, 13.0 mmol) 및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3.58 ㎖, 15.6 mmol)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EtOAc(100 ㎖)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HCl(0.25 M, 50 ㎖), 포화 수성 NaHCO3(50 ㎖) 및 염수로 세척하고, 상 분리기를 통해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표제 화합물(3.89 g, 106%)을 미정제 오일로서 수득하고, 추가의 정제 없이 이용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1.83 (s, 9H), 4.78 (s, 2H), 7.24 (dd, 1H), 7.27 (d, 1H), 7.39 (d, 1H).
중간체 17
tert -부틸 7- 클로로 -3- 하이드록시 -2,3- 디하이드로 -4H-1,4- 벤족사진 -4- 카르복실레이트
THF 중 리튬 트리에틸하이드로보레이트(13.75 ㎖, 13.75 mmol)의 1 M 용액을 -78℃에서, N2(g) 하에, 무수 THF(60 ㎖) 중 tert-부틸 7-클로로-3-옥소-2,3-디하이드로-4H-1,4-벤족사진-4-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16, 3.25 g, 11.5 mmol)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78℃에서 45분 동안의 교반 후에, 혼합물을 Na2CO3(포화 수성, 25 ㎖)로 처리한 다음; H2O2(수성 중 35%, 25 ㎖)를 -15℃에서 천천히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한 다음,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EtOAc(2 x 100 ㎖)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염수(100 ㎖)로 세척하고, 상 분리기를 통과시킴으로써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3.29 g, 101%)을 회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으며, 이를 추가의 정제 없이 이용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1.57 (s, 9H), 3.31 (br s, 1H), 4.06 (dd, 1H), 4.27 (dd, 1H), 5.91 (t, 1H), 6.91 (dd, 1H), 6.95 (d, 1H), 7.88 (d, 1H).
중간체 18
tert -부틸 7- 클로로 -3-(2- 에톡시 -2- 옥소에틸 )-2,3- 디하이드로 -4H-1,4- 벤족사진 -4-카르복실레이트
THF 중 LiHMDS(23.0 ㎖, 23.0 mmol)의 1 M 용액을 0℃에서 질소 하에 THF(30 ㎖) 중 에틸 2-(디에톡시포스포릴)아세테이트(4.57 ㎖, 23.0 mmol)의 용액에 적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0분 동안 교반하고, 그 후에, THF(30 ㎖) 중 용해된 tert-부틸 7-클로로-3-하이드록시-2,3-디하이드로-4H-1,4-벤족사진-4-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17, 3.29 g, 11.5 mmol)를 0℃에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질소 하에 교반하고, 그 후에, 물(100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EtOAc(3 x 75 ㎖)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100 ㎖)로 세척하고, 상 분리기를 통과시킴으로써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미정제 표제 화합물(4.36 g, 106%)을 갈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1.24 (t, 3H), 1.52 (s, 9H), 2.46 (dd, 1H), 2.57 (dd, 1H), 4.03 - 4.2 (m, 3H), 4.34 (dd, 1H), 4.98 (t, 1H), 6.78 - 6.93 (m, 2H), 7.80 (br s, 1H).
MS m/z 356 (M+H)+.
중간체 19
에틸 (2E 또는 2Z)-(7- 클로로 -2H-1,4- 벤족사진 -3(4H)- 일리덴 )아세테이트
에틸 4-클로로-3-옥소부타노에이트(60.1 g, 0.36 mol)를 20℃에서 잘 교반된 THF(434 ㎖) 중 5-클로로-2-아미노페놀(43.4 g, 0.30 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TEA(36.8 g, 0.36 mol)를 50℃에서 적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이러한 온도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0% 내지 1.6%의 PE 중 EtOAc를 이용한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사이클로헥산에서의 재결정화에 의해 추가로 정제하였다. 이에 의해, 담황색 고체로서의 표제 화합물(53.8 g, 70%)이 초래되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0 (3H, t), 4.11 (2H, q), 4.68 (2H, s), 4.78 (1H, s), 6.97 (1H, dd), 7.00 (1H, d), 7.31 (1H, d), 10.18 (1H, s).
MS m/z 254 (M+H)+.
중간체 20
에틸 (7- 클로로 -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3-일)아세테이트
DCM(10 ㎖)/TFA(5 ㎖, 67.3 mmol) 중 tert-부틸 7-클로로-3-(2-에톡시-2-옥소에틸)-2,3-디하이드로-4H-1,4-벤족사진-4-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18, 1.98 g, 5.56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DCM(50 ㎖) 중에 용해시키고, 포화 수성 NaHCO3(2 x 50 ㎖)로 세척한 다음, 상 분리기를 통과시킴으로써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1.52 g의 오일을 제공하였다. 화합물을 분취용 HPLC(XBridge C18 컬럼(10 ㎛ 250 x 50 ID ㎜), 100 ㎖/분의 유량과 함께 20분에 걸쳐 H2O/ACN/NH3 95/5/0.2 완충제 중 15 내지 55% ACN의 구배를 이용, 240 nm에서의 UV 검출)에 의해 정제하였다. 용매의 제거에 의해, 표제 화합물(0.67 g, 47%)을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1.29 (t, 3H), 2.53 (d, 2H), 3.83 (qd, 1H), 3.94 (dd, 1H), 4.15 - 4.23 (m, 3H), 6.52 (d, 1H), 6.74 (dd, 1H), 6.79 (d, 1H). 또한, 스펙트럼은 각각 H 2O 및 NH로 지정된 δ 1.61 및 4.40에서 2개의 넓은 단일선을 보인다.
MS m/z 256 (M+H)+.
중간체 20a 및 20b, 방법 A
에틸 [(3R 및 3S)-7- 클로로 -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3-일]아세테이트
에틸 (7-클로로-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중간체 20, 13.7 g, 53.7 mmol)의 거울상이성질체를 120 ㎖/분의 유량 및 270 nm에서의 검출과 함께, 20℃에서 EtOH/TEA 100/0.1의 이동상을 이용하는 키랄팩 AD 컬럼(20 ㎛, 250 x 50 ㎜)을 이용하여 키랄 분리에 의해 분리하였다.
중간체 20a, 방법 A
에틸 [(3S)-7- 클로로 -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3-일]아세테이트
처음 용리된 화합물을 수집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6.64 g, 48.4%, 99.2% 거울상이성질체적 과량)을 제공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1.29 (t, 3H), 2.53 (d, 2H), 3.78 - 3.87 (m, 1H), 3.94 (dd, 1H), 4.16 - 4.24 (m, 3H), 4.46 (s, 1H), 6.52 (d, 1H), 6.74 (dd, 1H), 6.79 (d, 1H).
선광도
Figure pct00016
= -53.5°(ACN, c=1).
중간체 20b, 방법 A
에틸 [(3R)-7- 클로로 -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3-일]아세테이트
두번째로 용리된 화합물을 수집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6.47 g, 47.1%, 98.9% 거울상이성질체적 과량)을 제공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1.29 (t, 3H), 2.53 (d, 2H), 3.78 - 3.88 (m, 1H), 3.94 (dd, 1H), 4.15 - 4.25 (m, 3H), 4.46 (s, 1H), 6.52 (d, 1H), 6.74 (dd, 1H), 6.79 (d, 1H).
선광도
Figure pct00017
= +55.5°(ACN, c=1).
먼저 각 시료에 대하여 15 ㎎의 고형물을 140 내지 150 ㎕의 CDCl3 중에 용해시킴으로써 VCD를 이용하여 절대 입체배치를 결정하였다. 그 다음, 용액을 0.100 ㎜ BaF2 셀로 전달하고, 듀얼 소스(dual source) 및 듀얼 광탄성 변조기가 구비된 BioTools ChiralIR 기기에서 각각 6시간 동안 VCD 스펙트럼을 획득하였다. 해상도는 4 ㎝-1이었다. 2가지 거울상이성질체, R 및 S의 약간 절두된 구조(메틸 에스테르를 에틸 에스테르 대신에 이용하였음)에 대하여 저에너지 기하학을 위한 몬테 카를로(Monte Carlo) 분자 역학 검색을 행하였다. 마에스트로 그래픽 인터페이스(Schroedinger Inc.) 내의 매크로모델(MacroModel)을 이용하여, 형태이성질체에 대한 출발 좌표를 생성하였다. 5 kcal/mole의 가장 낮은 에너지의 형태이성질체 내의 모든 형태이성질체를 Gaussian09 내의 밀도 함수 이론(DFT) 최소화를 위한 출발점으로 이용하였다. 최적화된 구조, 조화 진동 주파수/진도, VCD 회전 세기 및 STP에서의 자유 에너지(0점 에너지 포함)를 각 형태이성질체에 대하여 결정하였다. 이들 계산에서, 기능성 B3LYP 및 기저계 6-31G*를 이용하였다. 각 형태이성질체에 대한 적외선 및 VCD 스펙트럼의 모의실험을 사내(in-house) 구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생성하여, 로렌찌안(Lorentzian) 라인 형상(12 ㎝- 1 라인 너비)을 계산된 스펙트럼에 핏팅시켜, 그에 의해, 모의실험 및 실험 스펙트럼 간의 직접적인 비교를 가능하게 하였다.
CDCl3 중 수득된 중간체 20a중간체 20b의 실험적 VCD 스펙트럼을 2개의 거울상이성질체의 모의실험 스펙트럼과 비교하였다. 비교에 의해, 중간체 20a가 S 거울상이성질체이고, 중간체 20b가 R 입체배치를 갖는 것이 나타났다. 대부분의 주요한 밴드는 이러한 해석을 확인시켜 준다.
중간체 20a, 방법 B
에틸 [(3S)-7- 클로로 -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3-일]아세테이트
아연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2.87 g, 7.91 mmol)를 20℃에서 잘 교반된 EtOH(150 ㎖, HPLC 등급) 중 (2E 또는 Z)-(7-클로로-2H-1,4-벤족사진-3(4H)-일리덴)아세테이트(중간체 19, 20 g, 79.1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배기시키고, N2로 수회 퍼지시킨 다음, (+)-1,2-비스(2s, 5s)-2,5-디페닐포스폴라놀 에탄(1,5-사이클로옥타디엔) 로듐(I)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0.51 g, 0.63 mmol)를 20℃에서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배기시키고, 다시 N2로 수회 퍼지시켰다. 그 다음, 반응물을 H2(15 bar 압력) 하에 6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농축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0 내지 20%의 PE 중 EtOAc를 이용한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생성물 분획을 농축시켰다. 이에 의해, 주황색 오일로서의 표제 화합물(18.9 g, 93.6%)이 초래되었다.
1H NMR (300 MHz, CDCl3) δ 1.28 (3H, t), 2.52 (2H, d), 3.78-3.85 (1H, m), 3.93 (1H, dd), 4.15-4.22 (3H, m), 4.44 (1H, brs), 6.50 (1H, d), 6.73 (1H, dd), 6.78 (1H, d).
MS m/z 256 (M+H)+.
Figure pct00018
= -56.45° (c=0.1 g/100 ㎖, CH3CN, T=17 ℃).
중간체 21
에틸 {7- 클로로 -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
에틸 (7-클로로-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중간체 20, 0.67 g, 2.62 mmol), 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카르복실산(0.607 g, 3.14 mmol) 및 TEA(1.090 ㎖, 7.86 mmol)를 EtOAc(15 ㎖) 중에 용해시켰다. 그 다음, T3P(EtOAc 중 50 wt.%, 3.12 ㎖, 5.24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160℃에서 2시간 동안 마이크로파 반응기에서 가열하였다. EtOAc(100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포화 수성 NaHCO3(100 ㎖), 1 M HCl(100 ㎖) 및 염수(100 ㎖)로 세척하였다. 혼합물을 상 분리기를 통과시킴으로써 건조시켰다. 감압 하의 농축에 의해, 1.14 g의 오일을 제공하였으며, 이를 용리제로서 헵탄 중 12% 내지 100%의 구배의 EtOAc를 이용하여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건조될 때까지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0.530 g, 46.9%)을 제공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1.26 (t, 3H), 2.61 (qd, 2H), 4.13 - 4.2 (m, 2H), 4.30 (dd, 1H), 4.48 - 4.55 (m, 1H), 4.66 (s, 2H), 4.95 - 5.24 (m, 1H), 6.62 - 6.71 (m, 2H), 6.89 (d, 1H), 6.92 - 6.95 (m, 1H), 7.03 (dd, 1H), 7.11 (d, 1H), 8.58 (s, 1H).
MS m/z 431 (M+H)+.
중간체 21a
에틸 {(3S)-7- 클로로 -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
DIPEA(12.38 ㎖, 71.08 mmol) 및 T3P(부틸 아세테이트 중 50%, 30.2 g, 47.4 mmol)를 부틸 아세테이트(60 ㎖) 중 에틸 [(3S)-7-클로로-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중간체 20a, 6.06 g, 23.7 mmol) 및 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카르복실산(5.418 g, 28.05 mmol)의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17℃에서 16시간 동안 알루미나 블록에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이 실온으로 냉각되게 하였다. 혼합물을 EtOAc(150 ㎖)로 희석하고, 포화 수성 Na2CO3(100 + 30 ㎖), 시트르산(1 M, 50 ㎖), HCl(1 M, 50 ㎖) 및 염수(100 ㎖)로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무수 Na2SO4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미정제 생성물을 적색 거품상 오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바이오타지® KP-SIL 340g 컬럼에서의 자동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7 CV에 걸친 헵탄 중 30% 내지 75% EtOAc의 구배를 이동상으로 이용하였다. 생성물을 파장 254/280 nm에서의 검출을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표제 화합물(7.62 g, 74.6%)을 거품상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δ 1.15 - 1.18 (m, 3H), 2.51 - 2.55 (m, 2H), 4.03 - 4.1 (m, 2H), 4.34 - 4.41 (m, 2H), 4.65 (s, 2H), 4.86 (t, 1H), 6.80 (dd, 1H), 6.87 (d, 1H), 6.94 (d, 1H), 7.01 - 7.07 (m, 2H), 7.08 (d, 1H), 10.82 (s, 1H).
MS m/z 431.1 (M+H)+.
중간체 21a, 방법 B
에틸 {(3S)-7- 클로로 -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
T3P(EtOAc 중 50% 용액, 146 g, 230 mmol)를 20℃에서 n-BuOAc(100 ㎖) 중 에틸 [(3S)-7-클로로-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중간체 20a, 29.4 g, 115 mmol), 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카르복실산(22.7 g, 118 mmol) 및 DIPEA(44.5 g, 345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4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EtOAc(500 ㎖)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00 ㎖의 포화 중탄산나트륨, 200 ㎖의 1 M 시트르산 및 200 ㎖의 1 M HCl로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무수 Na2SO4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에 적용하고, EtOAc/PE(1/10 내지 1/1)로 용리시켰다. 순수한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41 g, 83%)을 황색 고체로 제공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1.17 (3H, t), 2.50-2.58 (2H, m), 3.99-4.12 (2H, m) , 4.38 (2H, s), 4.65 (2H, s), 4.87 (1H, t), 6.78-6.99 (3H, m), 7.00-7.09 (3H, m), 10.81 (1H, s).
MS m/z 431 (M+H)+.
중간체 21b
에틸 {(3R)-7- 클로로 -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9 ㎖) 중 3-옥소-3,4-디하이드로-2H-벤조[b][1,4]옥사진-6-카르복실산(1.68 g, 8.6 mmol), DIPEA(4.1 ㎖, 23.5 mmol) 및 에틸 [(3R)-7-클로로-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중간체 20b, 2.0 g, 7.8 mmol) 의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T3P(BuOAc 중 50 w/w%, 9.3 ㎖, 15.6 mmol)를 2분 동안 첨가하였다. 첨가의 완료 시에, 생성된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후에, 온도를 50분 동안 120℃로 증가시켰다(2℃/분). 120℃에서 40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20℃로 냉각시키고, 물(20 ㎖)을 조심히 첨가한 후에, EtOAc(20 ㎖)를 첨가하였다. 주위 온도에서의 30분 동안의 교반 후에, 6% Na2CO3(수성, 대략 20 ㎖)를 이용하여 pH를 약 10으로 조정하였다. pH가 더이상 변하지 않는 경우, 상을 분리하였다. 유기 상을 시트르산(10% 수성, 2 x 20 ㎖), NaHCO3(8% 수성, 20 ㎖) 및 염수(20 ㎖)로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MgSO4에서 건조시키고, 실리카의 플러그를 통해 여과하고, 용액을 건조될 때까지 농축시켜, 미정제 표제 화합물(3.25 g, 0.622 mmol, 95 w/w%, 80% 수율)을 갈색을 띤 폼으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27 (t, 3H), 2.54 - 2.71 (m, 2H), 4.17 (qd, 2H), 4.31 (dd, 1H), 4.53 (dd, 1H), 4.66 (s, 2H), 5.12 (t, 1H), 6.66 (dd, 2H), 6.90 (d, 1H), 6.95 (d, 1H), 7.04 (dd, 1H), 7.12 (d, 1H), 8.59 (s, 1H).
MS m/z 431.3 (M+H)+.
중간체 22
{7- 클로로 -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산
THF(2 ㎖) 중 에틸 {7-클로로-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중간체 21, 42 ㎎, 0.10 mmol) 및 LiOH(1 M, 0.146 ㎖, 0.15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의 LiOH(1 M, 0.070 ㎖, 0.07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HCl(1 M, 5 ㎖)을 첨가하고, 수성 상을 DCM(3 x 5 ㎖)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상 분리기를 통과시킴으로써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38.0 ㎎, 97%)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MS m/z 403.1 (M+H)+.
중간체 22a
{(3S)-7- 클로로 -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산
LiOH(1.40 g, 58.3 mmol)를 수(50 ㎖) 중 용해시키고, THF (50 ㎖) 중 (S)-에틸 {7-클로로-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중간체 21a, 5.71 g, 11.7 mmol)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75분 동안 교반하고, EtOAc(150 ㎖)를 첨가하였다. HCl(1 M, 100 + 50 ㎖) 및 염수(50 ㎖)로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Na2SO4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후에, 용매를 진공에서 증발시켜, 미정제 표제 화합물(82 ㎎, 107%)을 제공하고, 이를 실시예 5a의 합성에서 추가로 이용하였다.
1H NMR을 실시예 5a의 합성으로부터 회수되는 순수한 물질에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δ 2.4 - 2.48 (m, 1H), 2.51 - 2.56 (m, 1H), 4.29 - 4.4 (m, 2H), 4.65 (s, 2H), 4.71 - 4.87 (m, 1H), 6.81 (dd, 1H), 6.93 - 7.03 (m, 2H), 7.03 - 7.1 (m, 3H), 10.84 (s, 1H), 12.53 (s, 1H).
MS m/z 403.1 (M+H)+.
중간체 23
tert -부틸 7- 브로모 -3-옥소-2,3- 디하이드로 -4H-1,4- 벤족사진 -4- 카르복실레이트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919 ㎎, 4.21 mmol) 및 DMAP(42.9 ㎎, 0.35 mmol)를 THF(20 ㎖) 중 7-브로모-2H-1,4-벤족사진-3(4H)-온(800 ㎎, 3.51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EtOAc(100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HCl(30 ㎖, 0.25 M), 포화 수성 Na2CO3(30 ㎖) 및 염수(30 ㎖)로 세척하고, 상 분리기를 통해 건조시키고, 용매를 증발시켜, 미정제 표제 화합물을 제공하였으며, 이를 중간체 24(1.16 g, 100%)의 합성에 직접 이용하였다.
중간체 24
tert -부틸 7- 브로모 -3-(2- 에톡시 -2- 옥소에틸 )-2,3- 디하이드로 -4H-1,4- 벤족사진 -4-카르복실레이트
단계 1. 리튬 트리에틸하이드로보레이트(THF 중 1M, 4.23 ㎖, 4.23 mmol)를 -78℃에서 THF(20 ㎖) 중 tert-부틸 7-브로모-3-옥소-2,3-디하이드로-4H-1,4-벤족사진-4-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23, 1.16 g, 3.52 mmol)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78℃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Na2CO3(포화 수성 4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약 -20℃로 가온시켰다. H2O2(30%, 4 ㎖)를 적가하면서 저온을 유지하였다. 혼합물을 약 -10℃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플러그를 THF로 세척하였다. EtOAc(50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염수(20 ㎖)로 세척하고, 상 분리기를 통해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증발시켰다. 미정제 헤미아미날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고, 정제 없이 이용하였다.
단계 2. 다른 플라스크에서, LiHMDS(7.75 ㎖, 7.75 mmol)를 THF(8 ㎖) 중 에틸 2-(디에톡시포스포릴)아세테이트(1.55 ㎖, 7.75 mmol)의 용액에 천천히 첨가하여, 온도를 5℃ 미만으로 유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0℃로 냉각시켰다. 상기 단계 1로부터의 미정제 헤미아미날을 THF(10 ㎖) 중에 용해시키고, 0℃에서 적가하였다. 아이스 배쓰를 제거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EtOAc(70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포화 수성 Na2CO3(2 x 30 ㎖), HCl(0.25 M, 20 ㎖) 및 염수로 세척하고, 상 분리기를 통해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바이오타지® KP-SIL 50 g 컬럼에서 자동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6CV에 걸친 헵탄 중 5% 내지 25%의 구배의 EtOAc를 이동상으로 이용하였다. 생성물을 파장 250/285 nm에서의 검출을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용매의 제거 후에 표제 화합물(0.556 g, 39.4%)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1.26 (t, 3H), 1.54 (s, 9H), 2.48 (dd, 1H), 2.58 (dd, 1H), 4.08 - 4.20 (m, 3H), 4.35 (dd, 1H), 4.99 (s, 1H), 7.02 (dd, 1H), 7.05 (d, 1H), 7.75 (s, 1H).
중간체 25
에틸 (2E 또는 2Z)-(7- 브로모 -2H-1,4- 벤족사진 -3(4H)- 일리덴 )아세테이트
에틸 4-클로로-3-옥소부타노에이트(45 ㎖, 333 mmol)를 실온에서 THF(400 ㎖) 중 2-아미노-5-브로모페놀(55.7 g, 296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0℃로 가열하고, TEA(57 ㎖, 326 mmol)를 30분에 걸쳐 천천히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이러한 온도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500 ㎖)로 희석하고, EtOAc(500 ㎖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염수(500 ㎖ x 2)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에 의해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PE 중 1.25% 내지 2%의 EtOAc의 용매 구배를 이용하여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47 g, 56%)을 담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1.29 (3H, t), 4.18 (2H, q), 4.56 (2H, s), 4.70 (1H, s), 6.70 (1H, d), 7.02-7.06 (2H, m), 10.14 (1H, brs).
MS m/z 298 (M+H)+.
중간체 26
에틸 (2E)-4-(5- 브로모 -2- 니트로페녹시 ) 부트 -2- 에노에이트
5-브로모-2-니트로페놀(10 g, 45.9 mmol) 및 K2CO3(8.24 g, 59.6 mmol)를 NMP(81 ㎖)(담적색 현탁액) 중에 현탁시키고, 에틸 4-브로모크로토네이트(10.26 ㎖, 59.63 mmol)를 실온에서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20시간). 혼합물을 얼음/물(500 ㎖)에 붓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2 x 200 ㎖)로 세척하고, 10분 동안 공기 건조시킨 다음, 헵탄(200 ㎖)으로 세척하였다. 헵탄(200 ㎖)을 고체에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고체를 여과해내고, 헵탄(2 x 50 ㎖)으로 세척하고, 진공에서 건조시켜, 베이지색 고체를 제공하였다. 표제 화합물(15.0 g, 99%)을 수득하고, 추가의 정제 없이 이용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1.32 (t, 3H), 4.24 (q, 2H), 4.84 (dd, 2H), 6.31 (dt, 1H), 7.04 (dt, 1H), 7.18 - 7.26 (m, 2H), 7.80 (d, 1H).
MS m/z 298 (M-H)-.
중간체 27, 방법 A
에틸 (7- 브로모 -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3-일)아세테이트
tert-부틸 7-브로모-3-(2-에톡시-2-옥소에틸)-2,3-디하이드로-4H-1,4-벤족사진-4-카르복실레이트(중간체 24, 556 ㎎, 1.39 mmol)를 디옥산 중 염화수소(5.0 ㎖, 162.8 mmol)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EtOAc(50 ㎖) 중에 용해시키고, 포화 수성 Na2CO3(30 ㎖) 및 염수(20 ㎖)로 세척하고, Na2SO4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후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399 ㎎, 96%)을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MS m/z 300 (M+H)+.
중간체 27, 방법 B
에틸 (7- 브로모 -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3-일)아세테이트
아세트산(125 ㎖) 중 에틸 (2E)-4-(5-플루오로-2-니트로페녹시)부트-2-에노에이트(중간체 26, 15.0 g, 45.4 mmol)의 용액을 질소 분위기하에서 60℃(내부 온도, 70℃ 드라이 배쓰)에서 철분(10.13 g, 181.5 mmol) 및 아세트산(50 ㎖, 873.6 mmol)의 슬러리에 적가하고, 내부 온도를 첨가 동안 70℃ 미만으로 유지하였다. 잔류 반응물질을 아세트산(25 ㎖)으로 세척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0℃에서 1.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온도를 70℃(내부, 80℃ 드라이 배쓰)로 증가시키고, 추가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이 하룻밤 실온으로 냉각되게 하였다. 혼합물을 EtOAc(150 ㎖)로 희석하고,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EtOAc(2 x 100 ㎖)로 세척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EtOAc(200 ㎖) 중에 용해시키고, 1 M 시트르산 수용액(2 x 100 ㎖)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포화 수성 Na2CO3(2 x 50 ㎖)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수성 시트르산(50 ㎖, 0.5 M), 포화 수성 Na2CO3(50 ㎖) 및 염수(50 ㎖)로 추가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상 분리기를 통해 여과하고, 10분 동안 실리카(10 g)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실리카를 EtOAc(2 x 50 ㎖)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증발시켜, 암갈색 오일(11 g)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바이오타지® KP-SIL 340 g 컬럼에서의 자동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5 CV에 걸친 헵탄 중 5% 내지 40%의 구배의 EtOAc를 이동상으로 이용하였다. 생성물을 파장 254/280 nm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표제 화합물(10.4 g, 76%)을 담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1.29 (t, 3H), 2.53 (d, 2H), 3.78 - 3.87 (m, 1H), 3.94 (dd, 1H), 4.16 - 4.23 (m, 3H), 4.47 (s, 1H), 6.47 (d, 1H), 6.88 (dd, 1H), 6.93 (d, 1H).
MS m/z 300 (M+H)+.
중간체 27a 및 27b
에틸 [(3R 및 3S)-7- 브로모 -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3-일]아세테이트
에틸 2-(7-브로모-3,4-디하이드로-2H-벤조[b][1,4]옥사진-3-일)아세테이트(중간체 27, 13.73 g, 45.75 mmol)의 거울상이성질체를 120 ㎖/분의 유량 및 280 nm에서의 검출과 함께, 20℃에서 EtOH/TEA 100/0.1의 이동상을 이용한 키랄팩 AD 컬럼(20 ㎛, 250 x 50 ㎜)을 이용하여 키랄 분리에 의해 분리하였다.
중간체 27a, 방법 A
에틸 [(3S)-7- 브로모 -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3-일]아세테이트
처음 용리된 화합물을 수집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4.2 g, 30.6%, 99.9% 거울상이성질체적 과량)을 제공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1.29 (t, 3H), 2.53 (d, 2H), 3.78 - 3.86 (m, 1H), 3.94 (dd, 1H), 4.14 - 4.24 (m, 3H), 4.47 (s, 1H), 6.47 (d, 1H), 6.87 (dd, 1H), 6.93 (d, 1H).
선광도
Figure pct00019
= -56.5° (ACN, c=1).
중간체 27b, 방법 A
에틸 [(3R)-7- 브로모 -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3-일]아세테이트
두번째 용리된 화합물을 수집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6.6 g, 33.5%, 99.4% 거울상이성질체적 과량)을 제공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1.29 (t, 3H), 2.53 (d, 2H), 3.78 - 3.86 (m, 1H), 3.94 (dd, 1H), 4.14 - 4.24 (m, 3H), 4.47 (s, 1H), 6.47 (d, 1H), 6.87 (dd, 1H), 6.93 (d, 1H).
선광도
Figure pct00020
= +56.6° (ACN, c=1).
2개의 거울상이성질체에 대한 VCD를 기록하고, 상응하는 메틸 에스테르에 대하여 계산된 것들과 비교함으로써 중간체 27a27b의 절대 입체배치를 결정하였다(계산적 입체구조의 수를 감소시키기 위함). 중간체 27a(16.9 ㎎)를 170 ㎕ CDCl3 중에 용해시켰다. 중간체 27b(14.9 ㎎)를 150 ㎕ CDCl3 중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0.100 ㎜ BaF2 셀로 전달하고, 듀얼 소스 및 듀얼 광탄성 변조기가 구비된 BioTools ChiralIR 기기에서 각각 7시간 동안 VCD 스펙트럼을 획득하였다. 해상도는 4 ㎝-1이었다.
2가지 거울상이성질체, R 및 S의 약간 절두된 구조(메틸 에스테르를 에틸 에스테르 대신에 이용하였음)에 대하여 저에너지 기하학을 위한 몬테 카를로 분자 역학 검색을 행하였다. 모의실험을 위해 이용되는 구조는 도 3에 나타나 있다. 마에스트로 그래픽 인터페이스(Schroedinger Inc.) 내의 매크로모델을 이용하여, 형태이성질체에 대한 출발 좌표를 생성하였다. 5 kcal/mole의 가장 낮은 에너지의 형태이성질체 내의 모든 형태이성질체를 Gaussian09 내의 밀도 함수 이론(DFT) 최소화를 위한 출발점으로 이용하였다. 최적화된 구조, 조화 진동 주파수/진도, VCD 회전 세기 및 STP에서의 자유 에너지(0점 에너지 포함)를 각 형태이성질체에 대하여 결정하였다. 이들 계산에서, 기능성 B3LYP 및 기저계 6-31G*를 이용하였다. 각 형태이성질체에 대한 적외선 및 VCD 스펙트럼의 모의실험을 사내 구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생성하여, 로렌찌안 라인 형상(12 ㎝-1 라인 너비)을 계산된 스펙트럼에 핏팅시켜, 그에 의해, 모의실험 및 실험 스펙트럼 간의 직접적인 비교를 가능하게 하였다. 2개의 시료의 실험적 스펙트럼을 2개의 메틸 에스테르 거울상이성질체의 모의실험 스펙트럼과 비교하였다. 실험 및 모의실험 스펙트럼 간의 일치가 우수하였고, 중간체 27a는 명백하게 S 거울상이성질체로 지정될 수 있고, 중간체 27b는 R 이성질체로 지정될 수 있다.
중간체 27a, 방법 A
에틸 [(3S)-7- 브로모 -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3-일]아세테이트
실시예 27의 거울상이성질체(1.6 g, 5.3 mmol)를 47 ㎖/분(40 g/㎖)의 유량 및 254 nm에서의 검출과 함께, 35℃에서, 85 bar에서, CO2 중 40% MeOH의 이동상을 이용하는 키랄팩 AD-H(5 ㎛, 250 x 20 ㎜)을 이용하여 키랄 분리에 의해 분리하였다. 두번째로 용리되는 화합물을 수집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의 이성질체 2(277 ㎎, 17.3%, 99.3% 거울상이성질체적 과량)를 제공하였다.
1H NMR (300 MHz, CD3OD) δ 1.27 (3H, t), 2.47-2.61 (2H, m), 3.73-3.80 (1H, m), 3.93 (1H, dd), 4.14-4.21 (3H, m), 6.53 (1H, d), 6.79-6.83 (2H, m).
MS m/z 300 (M+H)+.
중간체 27a, 방법 B
에틸 [(3S)-7- 브로모 -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3-일]아세테이트
Zn(OTf)2(2.4 g, 6.63 mmol)를 N2-분위기 하에 실온에서 EtOH(HPLC 등급, 500 ㎖) 중 에틸 (2E 또는 2Z)-(7-브로모-2H-1,4-벤족사진-3(4H)-일리덴)아세테이트(중간체 25, 47.5 g, 160 mmol)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배기시키고, 질소로 수회 다시 충전한 후에, (S,S)[Ph-BPE Rh COD]BF4(900 ㎎, 0.112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배기시키고, 수회 수소로 다시 충전하였다. 혼합물을 수소(15 bar)하에서 6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주위 온도로의 냉각 후에, 압력을 해제하였다. 유기 용매를 증발에 의해 제거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수 중 10% 내지 60% MeCN(0.1% NH4HCO3 함유)의 용리제 구배를 이용하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C18 물질)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풀링하고,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44 g, 92% 수율, 거울상이성질체적 과량 100%(키랄팩 IC-3(0.46 x 10 ㎝, 3 ㎛)을 이용한 SFC 분석; 용리제, MeOH(0.15 DEA)/CO2 40/60))을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300 MHz, CD3OD) δ 1.27 (3H, t), 2.47-2.61 (2H, m), 3.73-3.80 (1H, m), 3.93 (1H, dd), 4.14-4.21 (3H, m), 6.53 (1H, d), 6.79-6.83 (2H, m).
MS m/z 300 (M+H)+.
중간체 28
에틸 {7- 브로모 -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
TEA(0.737 ㎖, 5.32 mmol) 및 T3P(EtOAc 중 50 wt%, 2.372 ㎖, 3.99 mmol)를 EtOAc(7 ㎖) 중 에틸 (7-브로모-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중간체 27, 399 ㎎, 1.33 mmol) 및 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카르복실산(308 ㎎, 1.60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50℃에서 2시간 동안 마이크로파 반응기에서 가열하였다. 추가의 T3P(EtOAc 중 50 wt%, 1.2 ㎖, 2.02 mmol) 및 TEA(0.3 ㎖, 2.16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반응기에서 150℃에서 다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EtOAc(50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포화 수성 Na2CO3(2 x 30 ㎖), HCl(30 ㎖, 0,5M) 및 염수로 세척하고, 상 분리기를 통해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화합물을 분취용 HPLC(100 ㎖/분의 유량, 254/280 nm에서의 UV 검출과 함께, 20분에 걸쳐, H2O/ACN/FA 95/5/0.2 완충제 중 35 내지 75% ACN의 구배를 이용한 크로마실(Kromasil) C8 컬럼(10 ㎛ 250 x 50 ID ㎜))에 의해 정제하였다. 진공에서의 용매의 제거 후에 표제 화합물(366 ㎎, 58%)을 수득하였다.
MS m/z 475 (M+H)+.
중간체 28a, 방법 A
에틸 2-[(3S)-7- 브로모 -4-(3-옥소-4H-1,4- 벤족사진 -6-카르보닐)-2,3- 디하이드로 -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
250 ㎖ 3-구 플라스크에서, 에틸 [(3S)-7-브로모-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중간체 27a, 4.2 g, 14.0 mmol) 및 3-옥소-3,4-디하이드로-2H-벤조[b][1,4]옥사진-6-카르복실산(2.73 g, 14.1 mmol)을 부틸 아세테이트(40 ㎖) 중에 현탁시켰다. DIPEA(7.31 ㎖, 42.0 mmol)에 이어서, T3P(BuOAc 중 50%)(17.8 g, 28.0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17℃(내부 반응 온도, 가열 블록을 135℃로 설정하였음)에서 7시간 동안 알루미나 블록에서 가열하였다. 반응물이 하룻밤 실온으로 냉각되게 하였다. 미정제 반응물을 EtOAc(150 ㎖)로 희석하고, 포화 수성 NaHCO3(100 + 30 ㎖), 1 M 수성 시트르산(50 ㎖), 1 M HCl(50 ㎖) 및 염수(100 ㎖)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미정제 생성물을 적색 거품상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바이오타지® KP-SIL 340 g 컬럼에서의 자동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5 CV에 걸친 헵탄 중 30% 내지 75%의 구배의 EtOAc를 이동상으로서 이용하였다. 생성물을 파장 254/280 nm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표제 화합물(4.23 g, 63.6%)을 거품상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1.27 (t, 3H), 2.54 - 2.7 (m, 2H), 4.14 - 4.22 (m, 2H), 4.31 (dd, 1H), 4.53 (dd, 1H), 4.66 (s, 2H), 5.12 (s, 1H), 6.62 (d, 1H), 6.80 (dd, 1H), 6.90 (d, 1H), 7.04 (dd, 1H), 7.08 - 7.14 (m, 2H), 8.51 (s, 1H).
MS m/z 475 (M+H)+.
중간체 28a, 방법 B
에틸 2-[(3S)-7- 브로모 -4-(3-옥소-4H-1,4- 벤족사진 -6-카르보닐)-2,3- 디하이드로 -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
DIPEA(46.4 g, 360 mmol)를 실온에서 부틸 아세테이트(100 ㎖) 중 에틸 [(3S)-7-브로모-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중간체 27a, 36 g, 120 mmol), 3-옥소-3,4-디하이드로-2H-벤조[b][1,4]옥사진-6-카르복실산(28 g, 144 mmol) 및 2,4,6-트리프로필-1,3,5,2,4,6-트리옥사트리포스피난 2,4,6-트리옥시드(EtOAc 중 50% 용액)(152.6 g, 240 mmo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14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700 ㎖)로 희석하고, 포화 NaHCO3(500 ㎖), 1 M HCl(500 ㎖) 및 염수(500 ㎖)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무수 Na2SO4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미정제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 PE 중 5% 내지 20%의 EtOAc의 용리제 구배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33 g, 58%)을 회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300 MHz, CDC13) δ 1.26 (3H, t), 2.56-2.64 (2H, m), 4.16 (2H, q), 4.30 (1H, dd), 4.52 (1H, d), 4.66 (2H, s), 5.11 (1H, t), 6.61 (1H, d), 6.79 (1H, dd), 6.89 (1H, d), 7.03 (1H, dd), 7.11 (2H, dd), 8.90 (1H, brs).
MS m/z 475 (M+H)+.
중간체 29
{7- 브로모 -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산
수(3 ㎖) 중 용해된 LiOH(55.3 ㎎, 2.31 mmol)를 THF(6.0 ㎖) 중 에틸 {7-브로모-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중간체 28, 366 ㎎, 0.77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EtOAc(40 ㎖)에 이어서, 1 M HCl(3.1 ㎖, 3.1 mmol) 및 물(20 ㎖)을 첨가하였다. 상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염수(30 ㎖)로 세척하고, Na2SO4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켜, 미정제 표제 화합물(372 ㎎, 108%)을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MS m/z 447 (M+H)+.
중간체 29a
{(3S)-7- 브로모 -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산
에틸 2-[(3S)-7-브로모-4-(3-옥소-4H-1,4-벤족사진-6-카르보닐)-2,3-디하이드로-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중간체 28a, 173 ㎎, 0.37 mmol)를 THF(1.5 ㎖) 중에 용해시켰다. 수(1.50 ㎖) 중 용해된 수산화리튬(52.5 ㎎, 2.19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EtOAc(50 ㎖)를 첨가하였다. 유기 층을 HCl(1 M, 30 ㎖) 및 염수(30 ㎖)로 세척하였다. 상 분리기를 통해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증발시켰다. 표제 화합물(160 ㎎, 98%)을 미정제물로 수득하고, 추가의 정제 없이 이용하였다.
MS m/z 447.0 (M+H)+.
실시예
실시예 1
2-{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 디하이 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21
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0.038 ㎖, 0.39 mmol)를 실온에서 무수 THF(8 ㎖) 중 {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산(중간체 5, 132 ㎎, 0.36 mmol) 및 TEA(0.150 ㎖, 1.08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몇 초 후에, 혼탁한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30분 후에, 수산화암모늄 용액(1 ㎖, 26% NH3)을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을 계속하였다.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DCM(15 ㎖) 중에 취하고, 상 분리기를 이용하여 포화 수성 NaHCO3(10 ㎖)로 세척하였다. 상을 분리시킨 경우, 생성물을 유기 상으로부터 침전시켰다. 유기 상을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112 ㎎, 85%)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작은 부분의 생성물(30 ㎎)을 분취용 HPLC(pH 3에서 0.1 M FA 중 5 내지 95%의 구배의 ACN을 이용하는 선파이어(Sunfire) C18 컬럼(5 ㎛ 150 x 19 ID ㎜))에 의해 추가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6 ㎎, 30 ㎎ 수거 시료에 기초하여 53.3%)을 제공하였다.
1H NMR (600 MHz, DMSO-d6) δ 2.34 - 2.47 (m, 2H), 4.2 - 4.36 (m, 2H), 4.66 (s, 2H), 4.71 - 4.84 (m, 1H), 6.72 - 6.78 (m, 1H), 6.92 - 7.14 (m, 7H), 7.42 (s, 1H), 10.83 (s, 1H).
HRMS [C19H17N3O5 + H+]에 대한 계산치: 368.1246; 실측치: 368.12438 (M+H)+.
실시예 2, 방법 A
N- 메틸 -2-{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22
DMF(1 ㎖) 중 {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산(중간체 5, 50 ㎎, 0.14 mmol), 메탄아민(0.339 ㎖, 0.68 mmol, THF 중 2 M 용액) 및 TEA(0.056 ㎖, 0.41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T3P(EtOAc 중 50 wt%, 0.161 ㎖, 0.27 mmol)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하룻밤 실온에서 교반하고 농축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분취용 HPLC(Xbridge C18 컬럼(5 ㎛ 150 x 19 ID ㎜), H2O/ACN/NH3 95/5/0.2 완충제 중 5 내지 95%의 구배의 ACN)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40.0 ㎎, 77%)을 제공하였다.
1H NMR (600 MHz, DMSO-d6) δ 2.36 - 2.39 (m, 2H), 2.55 (d, 3H), 4.12 - 4.31 (m, 2H), 4.64 (s, 2H), 4.68 - 4.87 (m, 1H), 6.73 (t, 1H), 6.89 - 6.95 (m, 2H), 6.97 - 7.02 (m, 2H), 7.02 - 7.06 (m, 1H), 7.07 - 7.1 (m, 1H), 7.79 - 7.94 (m, 1H), 10.81 (s, 1H).
HRMS [C20H19N3O5 + H+]에 대한 계산치: 382.1403; 실측치: 382.1413.
실시예 2, 방법 B
N- 메틸 -2-{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23
메틸아민(375 ㎖)을 실온에서 MeOH(750 ㎖) 중 메틸-2-[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중간체 3, 12.5 g, 32.7 mmol)의 용액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에 의해 제거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MeOH로부터의 재결정화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2.0 g, 96%)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이러한 물질을 상기와 같이 제조된 3개의 뱃치와 합하여, 5.28 g, 10.68 g 및 12.5 g의 중간체 3으로부터 5.0 g, 10.3 g 및 12.0 g의 표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합한 뱃치를 40 ㎖의 MeOH 중에 현탁화시키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현탁액을 여과하고, 고체를 진공하에 건조시켜, 35.7 g의 표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2.39 (2H, d), 2.56 (3H, d), 4.25 (2H, s), 4.65 (2H, s), 4.77 (1H, t), 6.75 (1H, ddd), 6.91-7.10 (6H, m), 7.89 (1H, q), 10.78 (1H, s).
MS m/z 382 (M+H)+.
실시예 2, 방법 C
N- 메틸 -2-{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24
메틸아민(370 ㎖)을 실온에서 MeOH(640 ㎖) 중 에틸 {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중간체 4, 10.7 g, 26.9 mmol)의 용액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에 의해 제거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MeOH로부터의 재결정화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0.3 g, 100%)을 백색 분말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2.39 (2H, d), 2.56 (3H, d), 4.25 (2H, s), 4.66 (2H, s), 4.77 (1H, t), 6.75 (1H, ddd), 6.91-7.10 (6H, m), 7.89 (1H, q), 10.83 (1H, s).
MS m/z 382 (M+H)+.
실시예 2a 및 2b, 방법 D
N- 메틸 -2-{3S 및 3R)-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아미드
실시예 2의 거울상이성질체(23 ㎎, 0.06 mmol)를 80 ㎖/분의 유량 및 250 nm에서의 검출과 함께, 150 bar, 40℃에서, CO2에서 30% EtOH의 이동상을 이용하는 레프로실(ReproSil) 컬럼(8 ㎛, 250 x 30 ㎜)을 이용한 키랄 분리에 의해 분리하였다.
실시예 2a, 방법 D
N- 메틸 -2-{3S 또는 3R)-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25
처음 용리된 화합물을 수집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의 이성질체 1을 제공하였다(11 ㎎, 43.5%, 99.4% 거울상이성질체적 과량).
1H NMR (500 MHz, CD3OD) δ 2.35 - 2.59 (m, 2H), 2.70 (s, 3H), 4.31 (dd, 1H), 4.39 (d, 1H), 4.62 (s, 2H), 5.03 (t, 1H), 6.68 (t, 1H), 6.82 (d, 1H), 6.87 - 6.96 (m, 2H), 6.97 - 7.03 (m, 1H), 7.03 - 7.08 (m, 1H), 7.11 (dd, 1H).
HRMS [C20H19N3O5 + H+]에 대한 계산치: 382.1403; 실측치: 382.1406.
실시예 2b, 방법 D
N- 메틸 -2-{3S 또는 3R)-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26
두번째로 용리된 화합물을 수집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의 이성질체 2를 수득하였다(10 ㎎, 47.8%, 99.7% 거울상이성질체적 과량).
1H NMR (500 MHz, CD3OD) δ 2.42 - 2.59 (m, 2H), 2.70 (s, 3H), 4.31 (dd, 1H), 4.39 (dd, 1H), 4.62 (s, 2H), 5.03 (t, 1H), 6.63 - 6.71 (m, 1H), 6.82 (d, 1H), 6.88 - 6.97 (m, 2H), 6.97 - 7.03 (m, 1H), 7.06 (d, 1H), 7.11 (dd, 1H).
HRMS [C20H19N3O5 + H+]에 대한 계산치: 382.1403; 실측치: 382.1387.
실시예 3
2-{7- 플루오로 -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27
{7-플루오로-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산(중간체 15, 293 ㎎, 0.76 mmol)을 DCM(10 ㎖) 중에 현탁화시켰다. TEA(0.631 ㎖, 4.55 mmol) 및 PyBOP(520 ㎎, 1.00 mmol)를 첨가하였다. 암모니아 하이드로클로라이드(0.162 ㎖, 4.55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하룻밤 교반하였다. 현탁액을 DCM, 물 및 3.8 M HCl(수성)로 희석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DCM으로 1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물질을 포화 수성 NaHCO3 및 염수로 1회 세척하고, 상 분리기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 오일을 분취용 HPLC(100 ㎖/분의 유량, 227/254 nm에서의 UV 검출과 함께 20분에 걸쳐 H2O/ACN/FA 95/5/0.2 완충제 중 10 내지 50% 구배의 ACN을 이용하는 크로마실 C8 컬럼(10 ㎛ 250 x 50 ID mm))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고, 진공에서 농축시키고, 마지막으로 동결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165 ㎎, 56.5%)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δ 2.37 - 2.41 (m, 2H), 4.24 - 4.31 (m, 2H), 4.65 (s, 2H), 4.72 - 4.78 (m, 1H), 6.65 (td, 1H), 6.84 (dd, 1H), 6.93 - 6.99 (m, 2H), 7.05 - 7.14 (m, 3H), 7.40 (s, 1H), 10.83 (s, 1H).
MS m/z 386.5 (M+H)+.
실시예 3a 및 3b
2-{(3S 및 3R)-7- 플루오로 -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아미드
실시예 3의 거울상이성질체(165 ㎎, 0.43 mmol)를 80 ㎖/분의 유량 및 290 nm에서의 검출과 함께 CO2, 175 bar, 40℃에서 30% EtOH의 이동상을 이용하는 키랄팩 OJ 컬럼(5 ㎛, 250 x 30 ㎜)을 이용하여 키랄 분리에 의해 분리하였다.
실시예 3a
2-{(3S 또는 3R)-7- 플루오로 -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28
처음 용리된 화합물을 수집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의 이성질체 1을 제공하였다(74 ㎎, 44.8%, 99.9% 거울상이성질체적 과량).
선광도
Figure pct00029
= -103.4° (ACN, c=1).
1H NMR (500 MHz, CDCl3) δ 2.57 (d, 2H), 4.23 - 4.32 (m, 1H), 4.45 (d, 1H), 4.58 (s, 2H), 5.08 (s, 1H), 6.38 - 6.54 (m, 2H), 6.61 - 6.89 (m, 4H), 6.96 (dd, 1H), 7.19 (d, 1H), 9.73 (s, 1H).
HRMS [C19H16FN3O5 + H+]에 대한 계산치: 386.1152; 실측치: 386.1158 (M+H)+.
실시예 3b
2-{(3S 또는 3R)-7- 플루오로 -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30
두번째로 용리된 화합물을 수집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의 이성질체 2를 제공하였다(71 ㎎, 43.0%, 99.7% 거울상이성질체적 과량).
선광도
Figure pct00031
= +108.3° (ACN, c=1).
1H NMR (500 MHz, CDCl3) δ 2.57 (d, 2H), 4.25 - 4.32 (m, 1H), 4.45 (d, 1H), 4.59 (s, 2H), 5.04 - 5.13 (m, 1H), 6.37 - 6.49 (m, 2H), 6.61 - 6.88 (m, 4H), 6.97 (d, 1H), 7.19 (s, 1H), 9.68 (s, 1H).
HRMS [C19H16FN3O5 + H+]에 대한 계산치: 386.1152; 실측치: 386.1157.
실시예 4
2-{7- 플루오로 -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N-메틸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32
메탄아민(THF 중 2 M 용액, 259 ㎕, 0.52 mmol)을 실온에서 EtOAc(2 ㎖) 중 {7-플루오로-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산(중간체 15, 40 ㎎, 0.10 mmol) 및 TEA(43 ㎕, 0.31 mmol)의 교반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농후한 백색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혼합물로의 T3P(EtOAc 중 50 wt%, 123 ㎕, 0.21 mmol)의 첨가에 의해, 투명한 연황색 반응 용액이 초래되었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EtOAc(10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포화 수성 NaHCO3(5 ㎖), HCl(1 M, 5 ㎖) 및 염수(5 ㎖)로 세척하고, MgSO4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용리제로서 DCM 중 5% MeOH 이용)에 의해 정제하고, ACN/수(대략 5 ㎖, 1:4) 중 용해시키고, 동결-건조시켜, 표제 화합물(19 ㎎, 46%)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δ 2.38 (d, 2H), 2.56 (d, 3H), 4.26 (s, 2H), 4.65 (s, 2H), 4.76 (br t, 1H), 6.65 (td, 1H), 6.83 (dd, 1H), 6.96 (d, 1H), 7.03 - 7.16 (m, 3H), 7.87 (q, 1H), 10.82 (s, 1H).
HRMS [C20H18FN3O5 + H+]에 대한 계산치: 400.1309; 실측치: 400.1331.
실시예 4a 및 4b, 방법 A
2-{(3S 및 3R)-7- 플루오로 -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N-메틸아세트아미드
실시예 4의 거울상이성질체(103 ㎎, 0.26 mmol)를 80 g/분의 유량 및 260 nm에서의 검출과 함께 CO2, 175 bar 및 40℃에서, 30% EtOH/DEA 100/0.5의 이동상을 이용한 레프로실 컬럼(5 ㎛, 250 x 30 ㎜)을 이용하여 키랄 분리에 의해 분리하였다.
실시예 4a, 방법 A
2-{(3S)-7- 플루오로 -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N-메틸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33
처음 용리된 화합물을 수집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의 이성질체 1을 제공하였다(33 ㎎, 32%, 99.9% 거울상이성질체적 과량).
1H NMR (500 MHz, DMSO-d6) δ 2.38 (d, 2H), 2.56 (d, 3H), 4.26 (s, 2H), 4.65 (s, 2H), 4.71 - 4.79 (m, 1H), 6.62 - 6.68 (m, 1H), 6.84 (dd, 1H), 6.96 (d, 1H), 7.03 - 7.09 (m, 2H), 7.11 (br m, 1H), 7.87 (q, 1H), 10.81 (s, 1H).
HRMS [C20H18FN3O5 + H+]에 대한 계산치: 400.1309; 실측치: 400.1312.
실시예 4b, 방법 A
2-{(3R)-7- 플루오로 -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N-메틸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34
두번째 용리된 화합물을 수집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의 이성질체 2를 제공하였다(26 ㎎, 25%, 99.9% 거울상이성질체적 과량).
1H NMR (500 MHz, DMSO-d6) δ 2.38 (d, 2H), 2.56 (d, 3H), 4.26 (s, 2H), 4.65 (s, 2H), 4.71 - 4.8 (m, 1H), 6.65 (td, 1H), 6.84 (dd, 1H), 6.96 (d, 1H), 7.07 (d, 2H), 7.11 (s, 1H), 7.87 (q, 1H), 10.82 (br s, 1H).
HRMS [C20H18FN3O5 + H+]에 대한 계산치: 400.1309; 실측치: 400.1297.
실시예 4a, 방법 B
2-{(3S)-7- 플루오로 -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N-메틸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35
에틸 {(3S)-7-플루오로-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중간체 14a, 1648g)를 메탄올(10 ℓ)에 취하였다. 에탄올 중 메틸아민(33 wt%, 20 당량, 7490 ㎖)을 30℃ 미만에서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 분석에 의해, 반응이 완료되지 않았음이 나타났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추가 4시간 동안 교반하고, 그 후에, HPLC에 의해, 1% 미만의 중간체 14a 및 그의 상응하는 메틸 에스테르가 남아 있음(조합됨)이 나타났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미정제 생성물을 황갈색 고체(1719.2 g)로서 제공하였다. 이를 다른 뱃치로부터의 376 g의 미정제 생성물과 합하고, 합한 미정제 생성물(2095 g)을 IPA(20950 ㎖) 중에 취하고, 환류 하에 가열하였다. 용액이 수득되지 않았다. 현탁액을 시료추출하고, 시료를 냉각시키고, XRPD 분석을 위해 여과하였다. 이에 의해, 생성물이 요망되는 형태(유형 2)의 것이었음이 나타났다. 여과된 물질의 HPLC 분석에 의해, 99.2%의 순도가 나타났으며, 이는 정제가 성공적이었음을 확인시켜준다. 현탁액을 하룻밤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고체를 여과하고, IPA(3 x 2 ℓ)로 세척하고, 건조되게 하였다. 60℃에서 진공 오븐에서의 추가의 건조에 의해, 표제 생성물을 회백색 고체(1632.5 g)로서 제공하였다. 1H NMR에 의해, 95% 초과의 순도가 나타났다(0.18% 잔류 IPA). 이 물질을 다른 더 작은 규모의 재결정화로부터의 생성물(250 g 미정제물 투입)과 합하여, 총 1820.7 g의 표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δ 2.31 - 2.42 (m, 2H), 2.55 (d, 3H), 4.25 (d, 2H), 4.64 (s, 2H), 4.68 - 4.8 (m, 1H), 6.64 (td, 1H), 6.82 (dd, 1H), 6.95 (d, 1H), 7.04 - 7.07 (m, 2H), 7.09 (br s, 1H), 7.77 - 7.97 (m, 1H), 10.80 (s, 1H).
HRMS [C20H18FN3O5 + H+]에 대한 계산치: 400.1309; 실측치: 400.1294.
고체 잔류물은 XRPD에 의해 결정질인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전형적인 디프랙토그램은 도 1에 나타나 있다. 전형적인 피크 위치는 하기에 열거되어 있다.
XRPD 패턴 2-쎄타(°) 5.6 (s), 7.4 (vs), 9.3 (vs), 13.5 (vs), 14.8 (vs), 15.8 (vs), 16.9 (s), 18.6 (vs), 22.3 (vs), 22.6 (vs).
실시예 4a, 방법 C
2-{(3S)-7- 플루오로 -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N-메틸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36
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카르복실산(9.58 g, 48.0 mmol)을 n-부틸 아세테이트(48 ㎖) 중에서 교반하면서 현탁화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 중 T3P(52.5 ㎖, 87.5 mmol, 50.0 w/w%)에 이어서, DIPEA(3.82 ㎖, 21.9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80℃에서 하룻밤 가열하였다. 2-[(3S)-7-플루오로-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N-메틸아세트아미드(중간체 13, 10.0 g, 43.7 mmol)를 대략 90분에 걸쳐 조금씩 첨가한 다음, 80℃에서 하룻밤 유지하였다. 물(100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40℃에서 교반하였다. 유기 상을 수집하고, 40℃에서 수성 탄산수소나트륨(100 ㎖, 5.25 w/w%)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10℃로 냉각시키고, 하룻밤 교반하였다. 이소프로판올(100 ㎖)을 첨가하고,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40℃에서 진공하에 건조시켰다.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9.29 g, 22.3 mmol, 95.7 w/w%, 거울상이성질체적 과량 98.4%, 50.9% 수율).
1H NMR (500 MHz, DMSO-d6) δ ppm 2.40 (d, 2 H) 2.57 (d, 3 H) 4.27 (s, 2 H) 4.66 (s, 2 H) 4.71 - 4.83 (m, 1 H) 6.66 (dt, 1 H) 6.84 (dd, 1 H) 6.96 (d, 1 H) 7.04 - 7.19 (m, 3 H) 7.90 (d, 1 H) 10.86 (s, 1 H).
LCMS (아질런트 LC/MSD SL) [C20H18FN3O5 + H+]에 대한 계산치: 400.130; 실측치: 400.200.
실시예 4a, 방법 D
2-{(3S)-7- 플루오로 -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N-메틸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37
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카르복실산(2.219 ㎏, 11.44 mol; 99.6 질량%)에 이어서, 톨루엔(9 ℓ)을 100 ℓ 유리-피복 용기에 채웠다. 에틸 [(3S)-7-플루오로-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중간체 10a, 2.970 kg, 10.39 mol, 83.7 질량%)를 채우고, 혼합물을 20℃에서 교반하였다. 그 다음, 2-MeTHF 중 T3P의 용액(11.6 ℓ, 20.8 mol, 55.7 질량%)을 5분 내에 용기에 채웠다. 톨루엔(3.1 ℓ), 피리딘(2.5 ℓ) 및 톨루엔(3 ℓ)을 채우고, 생성된 혼합물을 80℃에서 20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20℃로 냉각시키고, 3일 동안 유지하였다. 혼합물을 50℃로 가열하고, 물(15 ℓ)로 세척하였다. 유기 상이 유지되었으며, 분리된 수성 상을 톨루엔(14.8 ℓ)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39 내지 50℃에서 수성 중탄산나트륨 용액(14.8 ℓ, 11.3 mol, 6.00 질량%)에 이어서 물(15 ℓ)로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21℃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여, 미립자를 제거하고, 소량의 수집된 고체를 톨루엔(3 ℓ)으로 세척하였다. 그 다음, 여액을 감압하의 증류에 의해 4 상대 부피로 농축시켜, 톨루엔 중 에틸 {(3S)-7-플루오로-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의 용액을 제공하였다. 유기 상을 1회 이상 여과하고, 에탄올 중 메틸아민의 용액(33 w/w%)(13 ℓ, 104 mol, 33.3 질량%)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20℃에서 3일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하에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킨 다음, 2-프로판올(5 ℓ)로 처리하고, 재증발시켰다. 2-프로판올 처리를 1회 이상 반복하였으며; 10 리터를 이용하여 100 리터 용기를 헹구고, 이를 회전식 증발기 용기 내의 수집된 생성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켰다. 수집된 고체를 감압(10 mBar)하에서 진공 오븐에서 추가로 건조시켰다. 건조된 고체(3.985 ㎏)에 이어서 2-프로판올(24.5 ℓ)을 깨끗한 건조 용기에 채우고, 혼합물을 교반하고, 80℃로 가열하고, 80℃에서 2시간 동안 유지시킨 다음, 10℃로 냉각시키고, 4일 동안 10 내지 11℃로 유지한 다음, 여과하였다. 생성물 케이크를 2-프로판올(5 ℓ)로 세척한 다음, 45℃에서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켜, 표제 생성물(3.636 ㎏; 99.4 w/w% 검정, 87.1% 수율)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5a
2-{(3S)-7- 클로로 -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38
PyBOP(127 ㎎, 0.24 mmol) 및 TEA(0.141 ㎖, 1.02 mmol)를 DCM(2 ㎖) 중 {(3S)-7-클로로-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산(중간체 22a, 82 ㎎, 0.20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그 후에, NH4Cl(43.6 ㎎, 0.81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EtOAc(30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포화 수성 Na2CO3(30 ㎖), HCl(0.5M, 20 ㎖) 및 염수(20 ㎖)로 세척하였다. 생성물을 분취용 HPLC(40℃에서 6분에 걸쳐, CO2, 120 bar에서, 10 내지 45%의 구배의 MeOH/DEA 100/0.5를 이용하는 페노메넥스 루나 힐릭 컬럼(5 ㎛ 250 x 30 ID m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42.0 ㎎, 51.3%)을 제공하였다.
1H NMR (600 MHz, DMSO-d6) δ 2.35 - 2.41 (m, 2H), 4.29 (d, 2H), 4.65 (s, 2H), 4.76 (s, 1H), 6.83 (dd, 1H), 6.93 - 7.01 (m, 2H), 7.01 - 7.12 (m, 4H), 7.39 (s, 1H), 10.83 (s, 1H).
HRMS [C19H16ClN3O5 + H+]에 대한 계산치: 402.0857; 실측치: 402.0840.
실시예 5b
2-{(3R)-7- 클로로 -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39
암모니아(MeOH 중 7 M)(49.7 ㎖, 348.2 mmol) 중 용해된 에틸 {(3R)-7-클로로-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중간체 21b, 2.00 g, 4.64 mmol)를 밀봉하고, 실온에서 4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616 ㎎ 미정제 갈색 오일)을 DMSO 및 MeOH 중에 용해시켰다. 화합물을 100 ㎖/분의 유량과 함께, 20분에 걸쳐, H2O/ACN/FA 95/5/0.2 완충제 중 10 내지 50% 구배의 ACN을 이용하는 크로마실 C8 컬럼(10 ㎛ 250 x 50 ID ㎜) 상의 분취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 화합물을 253/280 nm에서 UV에 의해 검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풀링시키고, 대부분의 ACN을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EtOAc와 물 사이에 분배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DMSO/ACN 및 물을 첨가하여, 침전물이 관찰되었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물을 잔류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고, 여과하여, LCMS에 따라 순수한 표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511 ㎎의 회백색 고체를 단리하였다, 수율 27.4%.
1H NMR (400 MHz, DMSO-d6) δ 2.35 - 2.42 (m, 2H), 4.29 (s, 2H), 4.65 (s, 2H), 4.77 (d, 1H), 6.82 (dd, 1H), 6.96 (t, 2H), 7.02 - 7.12 (m, 4H), 7.39 (s, 1H), 10.83 (s, 1H).
HRMS (ESI+) m/z [C19H16ClN3O5 + H+]에 대한 계산치: 402.0857, 실측치 402.0864.
실시예 6, 방법 A
2-{7- 클로로 -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N-메틸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40
MeOH(5 ㎖), 및 EtOH 중 메탄아민(15 ㎖, 0.91 mmol)의 33% 용액의 혼합물 중 에틸 {7-클로로-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중간체 21, 0.39 g, 0.91 mmol)의 슬러리를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여, 아미드로의 완전한 전환을 제공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0.370 g, 98%)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δ 2.28 - 2.41 (m, 2H), 2.56 (d, 3H), 4.21 - 4.3 (m, 2H), 4.64 (s, 2H), 4.76 (t, 1H), 6.82 (dd, 1H), 6.95 (d, 1H), 7 - 7.1 (m, 4H), 7.66 - 7.93 (m, 1H), 10.82 (s, 1H).
MS m/z 416 (M+H)+.
실시예 6, 방법 B
2-{7- 클로로 -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N-메틸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41
EtOAc(2 ㎖) 중 2-(7-클로로-4-(3-옥소-3,4-디하이드로-2H-벤조[b][1,4]옥사진-6-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벤조[b][1,4]옥사진-3-일)아세트산(중간체 22, 38 ㎎, 0.09 mmol), 메탄아민(0.236 ㎖, 0.47 mmol)(THF 중 2 M 용액) 및 TEA(0.039 ㎖, 0.28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T3P(EtOAc 중 50 wt%, 0.112 ㎖, 0.19 mmol)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고, 농축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분취용 HPLC(19 ㎖/분의 유량, 240 nm에서의 UV 검출과 함께, 20분에 걸쳐, H2O/ACN/FA 95/5/0.2 완충제 중 20 내지 60%의 구배의 ACN을 이용하는 크로마실 C8 컬럼(10 ㎛ 250 x 20 ID ㎜)에 의해 정제하였다. 동결-건조에 의해, 표제 화합물(24 ㎎, 61%)을 백색 분말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δ 2.34 - 2.4 (m, 2H), 2.54 (d, 3H), 4.21 - 4.32 (m, 2H), 4.64 (s, 2H), 4.76 (t, 1H), 6.82 (dd, 1H), 6.95 (d, 1H), 7.01 - 7.1 (m, 4H), 7.78 - 7.97 (m, 1H), 10.82 (s, 1H).
HRMS [C20H18ClN3O5 + H+]에 대한 계산치: 416.1013; 실측치: 416.1007.
실시예 6a 및 6b, 방법 A
2-{(3S 및 3R)-7- 클로로 -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N-메틸아세트아미드
실시예 6의 거울상이성질체(0.45 g, 1.08 mmol)를 120 ㎖/분의 유량 및 254 nm에서의 검출과 함께, CO2, 120 bar, 40℃에서, 30% iPrOH의 이동상과 함께 키랄팩 AD 컬럼(5 ㎛, 250 x 30 ㎜)을 이용하여 키랄 분리에 의해 분리하였다.
실시예 6a, 방법 A
2-{(3S)-7- 클로로 -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N-메틸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42
처음 용리된 화합물을 수집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의 이성질체 1을 제공하였다(215 ㎎, 48%, 99.9% 거울상이성질체적 과량).
1H NMR (500 MHz, CD3OD) δ 2.42 - 2.52 (m, 2H), 2.70 (s, 3H), 4.31 (dd, 1H), 4.39 (dd, 1H), 4.62 (s, 2H), 5.01 (t, 1H), 6.65 - 6.76 dd, 1H), 6.81 - 6.92 (m, 1H), 6.92 - 6.98 (m, 2H), 7.06 (d, 1H), 7.11 (dd, 1H).
HRMS [C20H18ClN3O5 + H+]에 대한 계산치: 416.1013; 실측치: 416.1026.
실시예 6b, 방법 A
2-{(3R)-7- 클로로 -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N-메틸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43
두번째 용리된 화합물을 수집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의 이성질체 2를 제공하였다(198 ㎎, 44%, 97.3% 거울상이성질체적 과량).
1H NMR (500 MHz, CD3OD) δ 2.30 - 2.57 (m, 2H), 2.71 (s, 3H), 4.32 (dd, 1H), 4.40 (dd, 1H), 4.64 (s, 2H), 5.02 (t, 1H), 6.72 (dd, 1H), 6.83 - 6.93 (m, 1H), 6.95 - 7.00 (m, 2H), 7.07 (d, 1H), 7.13 (dd, 1H).
HRMS [C20H18ClN3O5 + H+]에 대한 계산치: 416.1013; 실측치: 416.1024.
실시예 6a, 방법 B
2-{(3S)-7- 클로로 -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N-메틸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44
MEA(EtOH 중 30% 용액, 175 g, 1.86 mol)를 MeOH(100 ㎖) 중 에틸 {(3S)-7-클로로-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중간체 21a, 40 g, 92.8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증발에 의해 농축시켰다. 미정제 생성물을 ACN(300 ㎖)으로부터의 재결정화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2.7 g, 85% 수율, 거울상이성질체적 과량 100%)을 백색 고체로 제공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2.38 (2H, d), 2.56 (3H, d), 4.23-4.31 (2H, m) , 4.65 (2H, s), 4.77 (1H, t), 6.82 (1H, dd), 6.95 (1H, d) , 7.03-7.09 (4H, m), 7.86 (1H, q), 10.71 (1H, s).
HRMS m/z [C20H18ClN3O5 + H+]에 대한 계산치: 416.1013, 실측치 416.0991.
실시예 7
2-{(3S)-7- 브로모 -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45
{(3S)-7-브로모-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산(중간체 29a, 160 ㎎, 0.36 mmol)을 DCM(3 ㎖) 중에 용해시켰다. PyBOP(223 ㎎, 0.43 mmol) 및 TEA(0.248 ㎖, 1.79 mmol)에 이어서, NH4Cl(77 ㎎, 1.43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주말에 걸쳐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EtOAc(40 ㎖)를 첨가하였다. 포화 수성 Na2CO3(2 x 30 ㎖), HCl(0.5 M, 20 ㎖) 및 염수(20 ㎖)로 세척하였다. 상 분리기를 통해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SFC2-MS 시스템을 이용하여, 워터스 비리디스(Viridis) 2-EP 컬럼 5 μ 30 x 250 ㎜ 상에서 MeOH로 용리시켜 정제하였다. 동질 분획의 풀링 및 진공에서의 용매의 제거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46.1 ㎎, 28.9%).
1H NMR (600 MHz, DMSO-d6) δ 2.31 - 2.45 (m, 2H), 4.29 (d, 2H), 4.65 (s, 2H), 4.76 (s, 1H), 6.9 - 7.04 (m, 4H), 7.08 (d, 2H), 7.17 (d, 1H), 7.40 (s, 1H), 10.83 (s, 1H).
HRMS (ESI+) m/z [C19H16N3O5 + H+]에 대한 계산치: 446.0352, 실측치 446.0346.
실시예 8
2-{7- 브로모 -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N-메틸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46
TEA(0.461 ㎖, 3.33 mmol) 및 T3P(EtOAc 중 50 wt%, 0.989 ㎖, 1.66 mmol)를 EtOAc(5 ㎖) 중 {7-브로모-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산(중간체 29, 372 ㎎, 0.83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분 동안 교반하였다. THF 중 메탄아민(1.248 ㎖, 2.50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EtOAc(50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Na2CO3(40 ㎖), HCl(1 M, 30 ㎖) 및 염수(30 ㎖)로 세척하고, 상 분리기를 통해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화합물을 분취용 HPLC(100 ㎖/분의 유량, 254/280 nm에서의 검출과 함께, 20분에 걸쳐 H2O/ACN/FA 95/5/0.2 완충제 중 15 내지 55%의 구배의 ACN을 이용하는 크로마실 C8 컬럼(10 ㎛ 250 x 50 ID ㎜))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15 ㎎, 56%)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500 MHz, DMSO-d6) δ 2.35 - 2.42 (m, 2H), 2.56 (d, 3H), 4.21 - 4.32 (m, 2H), 4.65 (s, 2H), 4.78 (t, 1H), 6.89 - 7.04 (m, 3H), 7.04 - 7.14 (m, 2H), 7.16 (d, 1H), 7.87 (d, 1H), 10.83 (s, 1H).
HRMS [C20H18BrN3O5 +H+]에 대한 계산치: 460.0508; 실측치: 460.0506.
실시예 8a 및 8b, 방법 A
2-{(3S 및 3R)-7- 브로모 -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N-메틸아세트아미드
실시예 8의 거울상이성질체(132 ㎎, 0.29 mmol)를 80 ㎖/분의 유량 및 254 nm에서의 검출과 함께, CO2, 150 bar에서, 40℃에서 15% MeOH의 이동상을 이용하는 키랄팩 OJ 컬럼(5 ㎛, 250 x 30 ㎜)을 이용하여 키랄 분리에 의해 분리하였다. 생성물을 t-BuOH로부터 동결건조시켰다.
실시예 8a, 방법 A
2-{(3R)-7- 브로모 -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N-메틸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47
처음 용리된 화합물을 수집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의 이성질체 1을 제공하였다
(53.7 ㎎, 40.7%, 97.2% 거울상이성질체적 과량).
선광도
Figure pct00048
= -87.6° (ACN, c=1).
HRMS [C20H18BrN3O5 +H+]에 대한 계산치: 460.0508; 실측치: 460.0522.
실시예 8b, 방법 A
2-{(3S)-7- 브로모 -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N-메틸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49
두번째로 용리된 화합물을 수집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의 이성질체 2를 제공하였다(53.1 ㎎, 40.2%, 98.9% 거울상이성질체적 과량).
선광도 = +92.5° (ACN, c=1).
HRMS [C20H18BrN3O5 + H+]에 대한 계산치: 460.0508; 실측치: 460.0535.
실시예 8b, 방법 B
2-{(3S)-7- 브로모 -4-[(3-옥소-3,4- 디하이드로 -2H-1,4- 벤족사진 -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N-메틸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051
MEA(EtOH 중 33% 용액)(53.6 g, 570 mmol)를 실온에서 MeOH(94 ㎖) 중 에틸 2-[(3S)-7-브로모-4-(3-옥소-4H-1,4-벤족사진-6-카르보닐)-2,3-디하이드로-1,4-벤족사진-3-일]아세테이트(중간체 28a, 18.8 g, 39.6 mmo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25℃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미정제 생성물을 MeCN/MeOH(20:1)로부터의 재결정화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2.5 g, 69% 수율, 거울상이성질체적 과량 100%)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이러한 뱃치를 각각 5.0 g, 16.6 g 및 17.0 g의 출발 물질로부터 4.2 g, 17 g 및 11.5 g의 표제 화합물을 제공하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3개의 뱃치와 합하였다. 풀링된 표제 화합물을 ACN/MeOH로부터 재결정화시켜, 35.09 g의 표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2.38 (2H, d), 2.56 (3H, d), 4.27 (2H, s), 4.66 (2H, s), 4.77 (1H, t), 6.92-7.02 (3H, m), 7.06-7.09 (2H,m), 7.16 (1H, d), 7.87 (1H, q), 10.83 (1H, s).
HRMS (ESI+) m/z [C20H18BrN3O5 + H+]에 대한 계산치: 460.0508, 실측치 460.0500.
약리학적 활성
하기의 시험 절차를 이용할 수 있다.
무기질코르티코이드 결합, 시험 A
인간 MR LBD로의 결합을 확인하기 위하여, 섬광 근접 검정(SPA)을 384-웰 형식에 맞추었다. MR-LBD(아미노산 T729-K985)는 재조합 MBP-MR LBD 및 P23 배큘로바이러스로의 동시-감염에 의해 Hi5 곤충 세포에서 말토스 결합 단백질과의 N-말단 융합체로서 발현되었으며, 미정제 단백질 용해물을 검정에 이용하였다. 3중수소 알도스테론을 MR LBD로의 결합에 의해 섬광(SPA) 비드에 근접하게 되는 경우, 섬광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리간드로서 이용하며, 시험 화합물 친화성(IC50 값)은 MR LBD로의 3중수소 알도스테론 결합을 50% 감소시키는 농도로서 정의된다.
약술하면, 시험 A1에서, 검정을 실온에서 10 mM Tris-HCl, pH 7.5, 0.5 mM EDTA 20 mM NaMoO4, 0.1 mM DTT 및 10% 글리세롤 중에 384 웰 형식으로 시행하였다. 화합물을 10 nM 내지 10 μM(시험 A1) 또는 1 nM 내지 37 μM(시험 A2) 범위의 7(시험 A1) 또는 10(시험 A2)개의 농도 반응 곡선에서 시험하였다. 화합물을 384-웰 PE Opti-플레이트의 웰의 하부에 스폿팅시켜, 검정에서 2%의 최종 DMSO 농도를 제공하였다. 사전-제조된 MBP-MR/P23 용해물 : 3H-알도스테론 믹스(최종 검정 농도 7 ㎍/㎖ MBP-MR LBD/P23 용해물; 5 nM 알도스테론)를 스폿팅된 화합물의 상측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사전인큐베이션시켰다. 1시간 후에, 동 부피의 항-토끼 SPA 비드(시험 A1) 또는 토끼 항-MBP와 결합된 영상화 비드(시험 A2)를 검정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시험 A1) 또는 8시간 초과(시험 A2)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시험 화합물에 의한 결합된 3H-알도스테론의 변위에 의한 섬광 신호의 억제를 마이크로베타 트릴룩스(Microbeta Trilux)(Wallac)를 이용하는 섬광 계수에 의해(시험 A1), 또는 LEADseeker(PerkinElmer)를 이용하는 CCD 카메라 검출에 의해(시험 A2) 측정한다.
무기질코르티코이드 세포 리포터 유전자 검정, 시험 B
화합물의 효력 및 효능에 대하여 시험하기 위하여, 냉동보관된 UAS-MR-bla HEK293 세포(인비트로겐(Invitrogen), K1696)의 신선하게 해동된 뱃치로부터의 25000개의 세포를 멀티드롭(Multidrop)을 이용하여 384 웰 플레이트 내의 각 웰에 첨가하였다. 세포를 세포와 함께 포함되는 인비트로겐즈 프로토콜에 따라 페놀 레드(인비트로겐 21063-029) 없이 2% 차콜 스트립핑 우태아 혈청(인비트로겐 12676-029),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비필수 아미노산 및 피루브산나트륨을 함유하는 30 ㎕ DMEM에서 성장시켰다. 씨딩시에, 플레이트를 37℃, 5% CO2에서 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시켜, 세포가 부착되게 하였다. 전형적으로 10개 농도(10 μM 내지 0.5 nM 최종 농도)에 걸쳐 있는 DMSO 중 연속 희석 화합물을 함유하는 플레이트로부터, 웰마다 0.6 ㎕의 화합물을 베크만(Beckman) FX 피펫터(pipetter)를 이용하여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30분 동안 인큐베이션시킨 다음, 알도스테론을 0.25 nM(시험 B1) 또는 1 nM(시험 B2)의 최종 농도로 첨가하였다. 16 내지 20시간의 인큐베이션 후에, 베타-락타마제 활성을 세포와 함께 포함된 인비트로겐즈 프로토콜에 따라 제조된 8 ㎕의 CCF4 함유 기질 완충제의 첨가에 의해 평가하였다. 플레이트를 암 중에 2시간 동안 놔둔 다음, 형광을 하측 판독을 이용하여 Pherastar FS에서 측정하고, 필터를 409 nm에서의 여기 및 460 및 530 nm에서의 방출 모음으로 설정하였다. 백그라운드를 제한 후에, 각 검정 점에 대하여 460/530 비를 계산하고, 3개의 병행 검정 플레이트로부터 평균을 내었다. 오직 알도스테론만을 함유하는 웰에 의해 0% 억제를 정의하고, 120 nM 스피로노락톤을 함유하는 웰에 의해 100% 억제를 정의하였다.
시험 화합물의 농도 및 활성화 백분율을 EC50이 용량-반응 곡선의 중간점에서의 시험 화합물의 농도로서 결정되는 S자형 용량-반응 모델을 이용하여 핏팅시켰다. 식: 핏트 = (A+((B-A)/(1+((C/x)^D)))), 여기서, A = 곡선 하측, B = 곡선 상측, C = EC50, D = 구배(힐(Hill) 계수) 및 x = 시험 화합물의 농도.
결과
실시예의 화합물을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시험 A1 및 A2 및 B1 및 B2에서 시험하였다. 하기의 표는 실시예에 대한 결과를 보여준다:
Figure pct00052

Claims (10)

  1.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화학식 I]
    Figure pct00053

    (상기 식에서,
    R 1 은 CONH2 또는 CONHCH3로부터 선택되고,
    R 2 는 H, F, Cl 또는 Br로부터 선택됨).
  2. 제1항에 있어서,
    R 1 이 CONHCH3이고;
    R 2 가 H, F, Cl 또는 Br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3. 제1항에 있어서,
    R 1 이 CONHCH3이고;
    R 2 가 F인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4. 제1항에 있어서, 하기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2-{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아미드;
    N-메틸-2-{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아미드;
    N-메틸-2-{(3S)-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아미드;
    N-메틸-2-{(3R)-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아미드;
    2-{7-플루오로-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아미드;
    2-{(3S)-7-플루오로-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아미드;
    2-{(3R)-7-플루오로-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아미드;
    2-{7-플루오로-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N-메틸아세트아미드;
    2-{(3S)-7-플루오로-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N-메틸아세트아미드;
    2-{(3R)-7-플루오로-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N-메틸아세트아미드;
    2-{7-클로로-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아미드;
    2-{(3S)-7-클로로-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아미드;
    2-{(3R)-7-클로로-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아미드;
    2-{7-클로로-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N-메틸아세트아미드;
    2-{(3S)-7-클로로-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N-메틸아세트아미드;
    2-{(3R)-7-클로로-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N-메틸아세트아미드;
    2-{7-브로모-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아미드;
    2-{(3S)-7-브로모-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아미드;
    2-{(3R)-7-브로모-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아세트아미드;
    2-{7-브로모-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N-메틸아세트아미드;
    2-{(3S)-7-브로모-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N-메틸아세트아미드;
    2-{(3R)-7-브로모-4-[(3-옥소-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6-일)카르보닐]-3,4-디하이드로-2H-1,4-벤족사진-3-일}-N-메틸아세트아미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형.
  6. 치료법에 이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7. 심혈관 질병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이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8. 만성 신장병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이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9. 심혈관 질병의 치료 및/또는 예방 방법으로서, 그러한 질환을 앓고 있거나, 또는 그에 걸리기 쉬운 사람에게 치료적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혈관 질병의 치료 및/또는 예방 방법.
  10. 치료적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만성 신장병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서의 만성 신장병의 치료 및/또는 예방 방법.
KR1020177002518A 2014-06-30 2015-06-26 무기질코르티코이드 수용체 조절제로서의 벤족사지논 아미드 KR1020122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18790P 2014-06-30 2014-06-30
US62/018,790 2014-06-30
PCT/GB2015/051860 WO2016001631A1 (en) 2014-06-30 2015-06-26 Benzoxazinone amides as mineralocorticoid receptor modulat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883A true KR20170021883A (ko) 2017-02-28
KR102012222B1 KR102012222B1 (ko) 2019-10-21

Family

ID=53539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518A KR102012222B1 (ko) 2014-06-30 2015-06-26 무기질코르티코이드 수용체 조절제로서의 벤족사지논 아미드

Country Status (25)

Country Link
US (2) US10017502B2 (ko)
EP (1) EP3160948B1 (ko)
JP (1) JP6368383B2 (ko)
KR (1) KR102012222B1 (ko)
CN (1) CN106536491B (ko)
AR (1) AR101036A1 (ko)
AU (1) AU2015282450C1 (ko)
CA (1) CA2953655C (ko)
CY (1) CY1121596T1 (ko)
DK (1) DK3160948T3 (ko)
EA (1) EA029518B1 (ko)
ES (1) ES2707726T3 (ko)
HR (1) HRP20190147T1 (ko)
HU (1) HUE042370T2 (ko)
LT (1) LT3160948T (ko)
ME (1) ME03316B (ko)
MX (1) MX367404B (ko)
PL (1) PL3160948T3 (ko)
PT (1) PT3160948T (ko)
RS (1) RS58274B1 (ko)
SI (1) SI3160948T1 (ko)
TR (1) TR201900659T4 (ko)
TW (1) TWI677498B (ko)
UY (1) UY36195A (ko)
WO (1) WO20160016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I3160948T1 (sl) * 2014-06-30 2020-06-30 Astrazeneca Ab Amidi benzoksazinona, kot modulatorji receptorja mineralokortikoida
EP3823631A1 (en) 2018-07-19 2021-05-26 Astrazeneca AB Methods of treating hfpef employing dapagliflozin and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CN112107568B (zh) * 2019-06-19 2022-03-25 北京龙嘉博创医药科技有限公司 二芳基酰胺类化合物及其应用
WO2021037400A1 (en) 2019-08-30 2021-03-04 Astrazeneca Ab Methods of treating heart failure with reduced ejection fraction with dapagliflozin
WO2022022865A1 (en) 2020-07-27 2022-02-03 Astrazeneca Ab Methods of treating chronic kidney disease with dapagliflozin
KR20240021854A (ko) * 2021-06-15 2024-02-19 치아타이 티안큉 파마수티컬 그룹 주식회사 벤조옥사지논 유도체
WO2024015425A1 (en) 2022-07-14 2024-01-18 Fmc Corporation Herbicidal benzoxazines
WO2024047574A1 (en) 2022-09-01 2024-03-07 Astrazeneca Ab Combination of sglt2 inhibitors and mineralcorticoid receptor modulators for use in treatment of cardiorenal diseas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15259A2 (en) * 2004-07-28 2006-02-09 Irm Llc Compounds and compositions as modulators of steroid hormone nuclear receptor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51855B2 (en) * 2001-04-23 2005-10-04 Astrazeneca Ab Benzoxazinone derivative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angiogenesis
AU2003303231A1 (en) * 2002-12-20 2004-07-14 Warner-Lambert Company Llc Benzoxazines and derivatives thereof as inhibitors of pi3ks
CN101018552A (zh) * 2004-07-14 2007-08-15 利亘制药公司 细胞内受体调节剂化合物和方法
US20090253687A1 (en) 2005-12-28 2009-10-08 Shoji Fukumoto Fused Heterocyclic Compounds and Their Use as Mineralocorticoid Receptor Ligands
TWI385161B (zh) 2006-02-02 2013-02-11 Mitsubishi Tanabe Pharma Corp 含氮雜雙環化合物
CA2667966C (en) 2006-10-31 2011-08-02 Pfizer Products Inc. Pyrazoline compounds as mineralocorticoid receptor antagonists
DE102007009494A1 (de) 2007-02-27 2008-08-28 Bayer Healthcare Ag Substituierte 4-Aryl-1, 4-dihydro-1,6-naphthyridinamide und ihre Verwendung
JP2010522168A (ja) 2007-03-23 2010-07-01 メルク・シャープ・エンド・ドーム・コーポレイション 鉱質コルチコイドレセプターモジュレータ
WO2008126831A1 (ja) 2007-04-09 2008-10-23 Daiichi Sankyo Company, Limited ピロール誘導体のアトロプ異性体
US8258131B2 (en) 2007-08-01 2012-09-04 Mitsubishi Tanabe Pharma Corporation Fused bicyclic compound
JP5173653B2 (ja) * 2007-08-01 2013-04-03 田辺三菱製薬株式会社 医薬組成物
TWI431010B (zh) 2007-12-19 2014-03-21 Lilly Co Eli 礦皮質素受體拮抗劑及使用方法
CA2726746A1 (en) * 2008-06-18 2009-12-23 Astrazeneca Ab Benzoxazinone derivatives acting as beta2-adrenoreceptor agonist for the treatment of respiratory disorders
US20100094000A1 (en) 2008-09-03 2010-04-15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Pyrazole compounds
WO2010098286A1 (ja) 2009-02-25 2010-09-02 第一三共株式会社 ミネラルコルチコイド受容体拮抗薬を含有する医薬
AU2010222902B2 (en) 2009-03-12 2013-04-18 Eli Lilly And Company Mineralocorticoid receptor antagonist and methods of use
WO2010116282A1 (en) 2009-04-10 2010-10-14 Pfizer Inc. 4, 5-dihydro-lh-pyrazole compounds and their pharmaceutical uses
EP2569576B1 (en) 2010-05-11 2016-07-06 Koninklijke Philips N.V. Lighting module
EP2569310A1 (en) 2010-05-11 2013-03-20 Pfizer Inc Morpholine compounds as mineralocorticoid receptor antagonists
JPWO2012008435A1 (ja) 2010-07-13 2013-09-09 大日本住友製薬株式会社 ビアリールアミド誘導体またはその薬理学的に許容される塩
US8722709B2 (en) 2010-11-10 2014-05-13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Mineralocorticoid receptor antagonists
SI3160948T1 (sl) * 2014-06-30 2020-06-30 Astrazeneca Ab Amidi benzoksazinona, kot modulatorji receptorja mineralokortikoid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15259A2 (en) * 2004-07-28 2006-02-09 Irm Llc Compounds and compositions as modulators of steroid hormone nuclear receptor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21(19), 5983-5994, 201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E03316B (me) 2019-10-20
US20170217945A1 (en) 2017-08-03
AU2015282450A1 (en) 2017-02-02
CA2953655A1 (en) 2016-01-07
HUE042370T2 (hu) 2019-06-28
ES2707726T3 (es) 2019-04-04
JP6368383B2 (ja) 2018-08-01
AU2015282450B2 (en) 2018-05-10
US20150376170A1 (en) 2015-12-31
SI3160948T1 (sl) 2020-06-30
TWI677498B (zh) 2019-11-21
MX367404B (es) 2019-08-20
JP2017522300A (ja) 2017-08-10
CN106536491B (zh) 2018-12-18
EA029518B1 (ru) 2018-04-30
TW201613909A (en) 2016-04-16
MX2017000183A (es) 2017-04-25
PT3160948T (pt) 2019-02-01
UY36195A (es) 2016-01-08
EP3160948A1 (en) 2017-05-03
KR102012222B1 (ko) 2019-10-21
PL3160948T3 (pl) 2019-04-30
CA2953655C (en) 2020-05-12
US9394291B2 (en) 2016-07-19
US10017502B2 (en) 2018-07-10
TR201900659T4 (tr) 2019-02-21
RS58274B1 (sr) 2019-03-29
HRP20190147T1 (hr) 2019-03-22
WO2016001631A1 (en) 2016-01-07
LT3160948T (lt) 2019-02-11
DK3160948T3 (en) 2019-02-18
AR101036A1 (es) 2016-11-16
AU2015282450C1 (en) 2018-09-20
CY1121596T1 (el) 2020-05-29
CN106536491A (zh) 2017-03-22
EA201790046A1 (ru) 2017-08-31
EP3160948B1 (en) 2018-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2222B1 (ko) 무기질코르티코이드 수용체 조절제로서의 벤족사지논 아미드
AU2019202675B2 (en) (2s)-n-[(1s)-1-cyano-2-phenylethyl]-1,4-oxazepane-2-carboxamides as dipeptidyl peptidase i inhibitors
JP6211530B2 (ja) 含窒素複素環化合物
JP5564036B2 (ja) ヒストン脱アセチル化酵素阻害薬としてのスピロ環誘導体
WO2019217307A1 (en) Kras g12c inhibitors
KR101738866B1 (ko) 안드로겐 수용체 길항제, 항암제로서 사이클릭 n,n'-다이아릴티오우레아 및 n,n'-다이아릴우레아,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20080087070A (ko) 피리미딘 또는 트리아진 융합된 비시클릭 메탈로프로테아제억제제
CA2993312A1 (en) 1-substituted 1,2,3,4-tetrahydro-1,7-naphthyridin-8-am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ep4 receptor antagonists
KR20100022456A (ko)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 결합 활성을 갖는, 술폰산에스테르 또는 술폰산아미드 구조를 도입한 페닐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신규 1,2,3,4-테트라히드로퀴녹살린 유도체
CA2911690C (en) 4-amino-6-phenyl-5,6-dihydroimidazo[1,5-a]pyrazine derivatives as inhibitors of beta-secretase (bace)
KR20210061400A (ko) 유비퀴틴 특이적 펩티다아제 9x의 억제
JPWO2008091021A1 (ja) ヘテロシクリデン−n−(アリール)アセトアミド誘導体
KR20220141328A (ko) 소분자 sting 길항제
CA3170664A1 (en) P2x3 modulators
TWI758325B (zh) 7-經取代之1-芳基萘啶-3-甲醯胺及其用途
AU2009286528A1 (en) Saturated bicyclic heterocyclic derivatives as Smo antagonists
CA2841897A1 (en) Novel compound having parp inhibitory activity
EP3847170B1 (en) Novel cyclic amidine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autoimmune disease
EP3204385A1 (en) Substituted pyrimidines as inhibitors of hif prolyl hydroxylase
TW202110845A (zh) 三環化合物
CA3212388A1 (en) Macrocycles as cftr modulators
WO2023166303A1 (en) Acrylamide compounds
JP2024052624A (ja) Abhd6アンタゴニスト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