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1236A - 가스 발생기 - Google Patents

가스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1236A
KR20170021236A KR1020167033044A KR20167033044A KR20170021236A KR 20170021236 A KR20170021236 A KR 20170021236A KR 1020167033044 A KR1020167033044 A KR 1020167033044A KR 20167033044 A KR20167033044 A KR 20167033044A KR 20170021236 A KR20170021236 A KR 20170021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flange portion
gas
flange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3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후미 노다
하루히코 야마시타
유스케 고미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셀
Publication of KR20170021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2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7/00Apparatus for generating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7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characterised by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021/2642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comprising a plurality of combustion chambers or sub-cham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 Bag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발생기이고, 통 형상 하우징에, 점화 수단과, 가스 배출구를 갖는 디퓨저부가 배치되고, 내통 부재가 통 형상 하우징의 내주벽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배치되고, 그의 내부에 가스 발생제가 충전되고, 상기 간극이 상기 가스 배출구에 이르는 가스 배출 경로가 되고, 상기 내통 부재가, 복수의 통 형상 부재가 접속 부분에서 축 방향으로 접속된 것이고, 각 통 형상 부재의 주벽부는 복수의 가스 출입 구멍을 갖고, 상기 복수의 통 형상 부재의 각 접속 부분이 되는 개구부가 복수의 요철 부분을 갖고, 서로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합하도록 감입되어 통 형상 부 재가 접속되고, 접속된 통 형상 부재의 축 방향 양 단부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고, 상기 점화기측의 제1 돌출부의 외주부가 제1 맞닿음 부분, 상기 디퓨저부측의 제2 돌출부의 면이 제2 맞닿음 부분이 되어, 상기 접속 부분, 상기 제1 맞닿음 부분 및 상기 제2 맞닿음 부분이 상기 통 형상 하우징의 내주벽면에 맞닿고, 가스가 통과하는 구멍 또는 간극을 갖고 있다.

Description

가스 발생기{GAS GENERATOR}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하는 에어백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가스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가늘고 긴 형상의 하우징의 일단부측에 점화기가 설치되고, 타단부측에 디퓨저부가 설치되고, 그들 사이의 공간(연소실) 내에 가스 발생제가 충전된 가스 발생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가스 발생기의 경우에는, 작동 시에 있어서, 점화기에 가까운 쪽으로부터 가스 발생제의 연소가 개시되고, 반대측의 디퓨저부를 향하여 연소가 진행해 가게 된다. 이로 인해, 점화기에 가까운 쪽의 가스 발생제는 연소하기 쉽지만, 점화기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는 가스 발생제는 연소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하우징의 내주벽면과 내통 부재의 외주벽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하여 내통 부재를 배치하고, 상기 간극을 가스 배출 경로로서 이용함으로써, 연소실 전체의 가스 발생제의 연소를 촉진하는 가스 발생기가 알려져 있다(US-B No. 7654565의 도 1 내지 도 4).
US-B No. 7654565의 가스 발생기(도 1)는 외각 하우징(12) 내부에, 연소실(22a)을 형성하는 내부 하우징(22)이 배치되어 있고, 외각 하우징(12)과의 사이에 환상의 가스 유로(23)가 형성되어 있다. 가스 발생기(10)의 일단부에 점화기(20)가, 반대 단부에 가스 배출 오리피스(12e)가 형성된 노즐(12d)이 배치되어 있다.
내부 하우징(22)은, 그의 일단부가 노즐(12d)측에 배치된 버퍼 멤버(34)에 맞닿고, 반대 단부가 점화기(20)측에 배치된 점화 컵(16)에 맞닿아 있고, 버퍼 멤버(34)로부터 점화 컵(16)까지 연속한 1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JP-A No. 2011-157025의 도 2에 있어서도, 통 형상 하우징(10) 내에 1개의 통 형상 부재(30)를 배치하고, 그의 내측에 제2 가스 발생제(50)를 충전한 가스 발생기가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발명 1은,
제1 단부측에 점화 수단이 배치되고, 축 방향에 반대측의 제2 단부측에 가스 배출구를 갖는 디퓨저부가 배치된 통 형상 하우징을 갖고 있고,
상기 통 형상 하우징 내에는, 상기 통 형상 하우징의 내주벽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내통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내통 부재의 내부를 포함하는 공간 내에 가스 발생제가 충전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이며,
상기 통 형상 하우징의 내주벽면과 내통 부재의 간극이 상기 가스 배출구에 이르는 가스 배출 경로가 되는 것이고,
상기 내통 부재가, 복수의 통 형상 부재가 축 방향으로 접속된 것이고, 각각의 통 형상 부재가, 상기 통 형상 부재의 내측과 상기 가스 배출 경로가 되는 간극을 연통하기 위한 복수의 가스 출입 구멍을 주벽부(周壁部)에 갖고 있는 것이고,
상기 복수의 통 형상 부재가, 각각의 접속 부분이 되는 개구부측이 서로 감합되어 접속할 수 있는 요철 부분을 갖고 있고,
상기 접속 부분이 되는 요철 형상이
접속하는 한쪽의 개구부측이, 반경 방향 외측의 경사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볼록부와, 인접하는 볼록부 사이에 있는 오목부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이고,
접속하는 다른 쪽의 개구부측이, 반경 방향 외측의 경사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볼록부와, 인접하는 볼록부 사이에 있는 오목부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복수의 통 형상 부재를 접속했을 때의 점화 수단측의 단부와 디퓨저부측의 단부측이 모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고 있고,
상기 복수의 통 형상 부재의 접속 부분이, 서로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합하도록 감입됨으로써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점화 수단측의 제1 돌출부의 외주부가 제1 맞닿음 부분이 되어, 상기 통 형상 하우징의 내주벽면에 맞닿고,
상기 디퓨저부측의 제2 돌출부의 면이 제2 맞닿음 부분이 되어, 직접 또는 다른 부재를 개재하여 디퓨저부의 일부에 맞닿고,
상기 복수의 통 형상 부재의 접속 부분이 상기 통 형상 하우징의 내주벽면에 맞닿아 있고,
상기 접속 부분, 상기 제1 맞닿음 부분 및 상기 제2 맞닿음 부분이 가스를 통과시킬 수 있는 구멍 또는 간극을 갖고 있는, 가스 발생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명 2는,
제1 단부측에 점화 수단이 배치되고, 축 방향에 반대측의 제2 단부측에 가스 배출구를 갖는 디퓨저부가 배치된 통 형상 하우징을 갖고 있고,
상기 통 형상 하우징 내에는, 상기 통 형상 하우징의 내주벽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내통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내통 부재의 내부를 포함하는 공간 내에 가스 발생제가 충전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이며,
상기 통 형상 하우징의 내주벽면과 내통 부재의 간극이 상기 가스 배출구에 이르는 가스 배출 경로가 되는 것이고,
상기 내통 부재가, 복수의 통 형상 부재가 축 방향으로 접속된 것이고, 각각의 통 형상 부재가, 상기 통 형상 부재의 내측과 상기 가스 배출 경로가 되는 간극을 연통하기 위한 복수의 가스 출입 구멍을 주벽부에 갖고 있는 것이고,
상기 복수의 통 형상 부재가, 각각의 접속 부분이 되는 개구부측이 서로 맞닿을 수 있는 플랜지부를 갖고 있는 것이고,
상기 복수의 통 형상 부재를 접속했을 때의 점화 수단측의 단부와 디퓨저부측의 단부측이 모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고 있고,
상기 복수의 통 형상 부재의 접속 부분에 있어서 서로의 플랜지부가 맞닿아 있고,
상기 점화 수단측의 제1 돌출부의 외주부가 제1 맞닿음 부분이 되어 상기 통 형상 하우징의 내주벽면에 맞닿고, 또한 디퓨저부측의 제2 돌출부의 면이 제2 맞닿음 부분이 되어 직접 또는 다른 부재를 개재하여 디퓨저부의 일부에 맞닿아 있고,
상기 접속 부분, 상기 제1 맞닿음 부분 및 제2 맞닿음 부분이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 또는 간극을 갖고 있는, 가스 발생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명 3은,
제1 단부측에 점화 수단이 배치되고, 축 방향에 반대측의 제2 단부측에 가스 배출구를 갖는 디퓨저부가 배치된 통 형상 하우징을 갖고 있고,
상기 통 형상 하우징 내에는, 상기 통 형상 하우징의 내주벽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내통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내통 부재의 내부를 포함하는 공간 내에 가스 발생제가 충전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이며,
상기 통 형상 하우징의 내주벽면과 내통 부재의 간극이 상기 가스 배출구에 이르는 가스 배출 경로가 되는 것이고,
상기 내통 부재가, 폭 방향의 단면 형상이 다각형인 복수의 통 형상 부재가 축 방향으로 접속된 것이고, 각각의 통 형상 부재가, 상기 통 형상 부재의 내측과 상기 가스 배출 경로가 되는 간극을 연통하기 위한 복수의 가스 출입 구멍을 주벽부에 갖고 있는 것이고,
상기 복수의 통 형상 부재가, 각각의 접속 부분이 되는 개구부측이 서로 감합되어 접속할 수 있는 요철 부분을 갖고 있고, 상기 요철 부분이 서로 감합되어 있음으로써 접속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복수의 통 형상 부재의 외주면의 코너부가 상기 통 형상 하우징의 내주벽면에 맞닿아져 지지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접속 부분은 가스를 통과시킬 수 있는 구멍 또는 간극을 갖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에 의해 더욱 완전히 이해되는 것이지만, 이들은 단지 설명을 위해 첨부되는 것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의 축 방향 단면도이다.
도 2는, 3개의 통 형상 부재를 축 방향에 접속하여 사용할 때의 접속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3개의 통 형상 부재를 축 방향에 접속하여 사용할 때의 반경 방향의 개략 단면도이고, (a)에 있어서, 연소실의 용적을 감소시키는 실시 형태이고, (b)에 있어서, 연소실의 용적을 증가시키는 실시 형태이다.
도 4는, 2개의 통 형상 부재를 축 방향에 접속하여 사용할 때의 반경 방향의 개략 단면도이고, (a)에 있어서, 연소실의 용적을 감소시키는 실시 형태이고, (b)에 있어서, 연소실의 용적을 증가시키는 실시 형태이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 형태의 통 형상 부재를 사용했을 때의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 형태의 통 형상 부재를 사용했을 때의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가스 발생기의 통 형상 하우징과 내통 부재(통 형상 부재)의 관계를 나타내는 폭 방향의 개략 단면도이고, (a)에 있어서, 단면 형상이 원형인 내통 부재(통 형상 부재)를 사용한 실시 형태이고, (b)에 있어서, 단면 형상이 정사각형인 내통 부재(통 형상 부재)를 사용한 실시 형태이다.
가스 발생기는 에어백 장치의 설치 장소나 에어백의 용량 등에 따라 출력이 조정되는 점에서, 동일한 가스 발생기여도, 충전되는 가스 발생제량이 증감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US-B No. 7654565의 가스 발생기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가스 발생제량을 감소시키는 경우에는, 연소실의 축 방향 길이를 짧게 할 필요가 있지만, 연소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연소실의 축 방향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외각 하우징(12)의 길이에 따라서 내부 하우징(22) 등의 치수도 변경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반대로 가스 발생제량을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연소실의 축 방향 길이를 길게 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1개의 부품의 치수를 변화시킴으로써, 다른 부품도 사양을 변경할 필요가 생긴다.
본 발명은 동일한 가스 발생기여도, 가스 발생제량의 증감에 따라, 연소실의 용적을 용이하게 증감시킬 수 있는 가스 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통 형상 하우징의 제1 단부측에는 점화 수단이 배치되어 있다.
점화 수단은, 공지된 가스 발생기에서 사용하고 있는 전기식 점화기, 또는 전기식 점화기와 전화약(傳火藥)(또는 전화약으로서 기능하는 가스 발생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통 형상 하우징의 제2 단부측에는 디퓨저부가 배치되어 있다.
디퓨저부의 형상이나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컵 형상이며, 개구부에 플랜지부를 갖고 있는 것이 범용되고 있다.
디퓨저부 내에는, 필요에 따라 필터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디퓨저부와 조합하여, 가스를 우회시킴으로써 연소 가스 온도를 저하시키거나, 연소 가스 중의 미스트량을 저감시키거나 하기 위한 우회 부재를 배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디퓨저부와 우회 부재로서는, 예를 들어 JP-A No. 2011-157025의 도 1에 도시하는 디퓨저(12)와 컵 형상 부재(가스 우회 수단)(40)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통 형상 하우징 내의 점화 수단과 디퓨저부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잔부 공간 내에는 내통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내통 부재와 통 형상 하우징의 사이에는 가스 배출 경로가 되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내통 부재의 내부를 포함하는 공간 내에 가스 발생제가 충전되어 있다.
상기한 US-B No. 7654565의 가스 발생기, 1개의 내통 부재(내부 하우징(22))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내통 부재 내부의 용적은 특정한 용적이 되어, 성능을 유지하면서 용적을 바꾸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이로 인해, 가스 발생제의 충전량을 감소시키는 경우에는, 별도, 원형의 리테이너 등을 사용할 필요가 있고,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대응할 수 없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에서는, 내통 부재는 복수의 통 형상 부재가 축 방향에 접속된 것이다.
통 형상 부재의 수는 가스 발생기의 통 형상 하우징의 길이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개이다.
복수의 통 형상 부재는 다음과 같은 통 형상 부재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I) 동일 형상이며, 폭 방향의 단면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하고, 길이가 동일한 복수의 통 형상 부재의 조합.
(II) 동일 형상이며, 폭 방향의 단면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하고, 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통 형상 부재의 조합.
(III) 동일 형상이며, 서로의 접속 부분의 폭 방향의 단면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하고,
길이가 동일한 복수의 통 형상 부재의 조합이고, 상기 복수의 통 형상 부재 중 적어도 1개가, 폭 방향의 단면적이 증가 또는 감소하고 있는 부분을 갖고 있는 것.
(IV) 동일 형상이며, 서로의 접속 부분의 폭 방향의 단면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하고, 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통 형상 부재의 조합이고, 상기 복수의 통 형상 부재 중 적어도 1개가, 폭 방향의 단면적이 증가 또는 감소하고 있는 부분을 갖고 있는 것.
(III), (IV)의 조합에 있어서, 「폭 방향의 단면적이 증가 또는 감소하고 있는 부분을 갖고 있다」라는 것은, 일단부측으로부터 타단부측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폭 방향의 단면적(외경)이 증가 또는 감소하고 있는 것, 일단부측으로부터 타단부측에 걸쳐서 단차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폭 방향의 단면적(외경)이 증가 또는 감소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복수의 통 형상 부재를 접속하여 1개의 내통 부재로서 사용할 때, 그의 양단측에는, 반경 방향 외측에 돌출된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가 있다.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는 경사면부, 플랜지부, 복수의 돌기부의 조합이어도 된다.
상기 점화 수단측의 제1 돌출부의 외주부가 제1 맞닿음 부분이 되어, 통 형상 하우징의 내주벽면에 맞닿아 있다.
상기 디퓨저부측의 제2 돌출부의 면이 제2 맞닿음 부분이 되어, 직접 또는 다른 부재를 개재하여 디퓨저부의 일부에 맞닿아 있다.
여기서, 다른 부재를 개재하여 디퓨저부의 일부에 맞닿아 있는 경우의 「다른 부재」란,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JP-A No. 2011-157025의 도 1에 도시하는 디퓨저(12)와 컵 형상 부재(가스 우회 수단)(40)의 조합을 사용했을 때의 컵 형상 부재(가스 우회 수단)(40)이다.
또한 양단측의 맞닿음 부분에 더해, 복수의 통 형상 부재의 접속 부분이, 상기 통 형상 하우징의 내주벽면에 맞닿는 것으로도 내통 부재가 지지되고 있다.
이렇게 제1 맞닿음 부분, 제2 맞닿음 부분 및 접속 부분에 있어서 통 형상 하우징의 내주벽면이나 디퓨저부에 맞닿기 때문에, 내통 부재가 축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복수의 통 형상 부재를 접속하여 1개의 내통 부재로서 사용할 때, 복수의 통 형상 부재끼리의 접속 부분이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고, 또한 통 형상 부재를 증감할 때에는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통 형상 부재끼리의 접속부가 서로의 요철 부분을 감입하여 접속할 수 있게 되어 있음으로써, 자유자재로 착탈되게 되어 있다.
상기 접속 부분이 되는 요철 부분은, 예를 들어 접속하는 한쪽의 개구부측이, 반경 방향 외측의 경사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볼록부와, 인접하는 볼록부 사이에 있는 오목부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이고, 접속하는 다른 쪽의 개구부측이, 반경 방향 외측의 경사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볼록부와, 인접하는 볼록부 사이에 있는 오목부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들 볼록부와 오목부, 오목부와 볼록부를 서로 갑합함으로써 자유자재로 착탈되게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복수의 통 형상 부재가 축 방향으로 접속된 것을 사용하고 있고, 상기 복수의 통 형상 부재의 내부를 포함하는 공간 내에 가스 발생제가 충전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가스 발생제량의 증감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대응할 수 있다.
상기 (II)의 통 형상 부재의 조합을 사용할 때이며, 길이가 L인 통 형상 부 재 1개와, 길이가 1/2L(또는 길이가 1/3L)인 통 형상 부재를 1개 조합하여 사용하고 있을 때, 가스 발생제량을 감소시킬 때에는, 추가로 또 하나의 길이가 1/2L인 통 형상 부재 또는 길이가 1/3L인 통 형상 부재를 조합함으로써, 가스 발생제의 충전 공간 용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즉, 통 형상 하우징의 길이를 변경하지 않고, 가스의 배출 경로가 되는 간극의 용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연소실의 용적을 저감시킴).
상기 (II)의 통 형상 부재의 조합을 사용할 때이며, 길이가 L인 통 형상 부 재 1개와, 길이가 1/2L(또는 길이가 1/3L)인 통 형상 부재를 2개 조합하여 사용하고 있을 때, 가스 발생제량을 증가시킬 때에는, 2개의 길이가 1/2L(또는 길이가 1/3L)인 통 형상 부재 중 하나를 제거함으로써, 가스 발생제의 충전 공간 용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가스 발생제의 충전량에 따라서 통 형상 하우징의 길이를 변경한 경우, 접속하는 통 형상 부재의 수를 변경하여 대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복수의 통 형상 부재의 접속 부분이 다른 것 이외에는, 상기한 발명의 가스 발생기와 동일한 것이다.
복수의 통 형상 부재를 접속하여 1개의 내통 부재로서 사용할 때, 복수의 통 형상 부재끼리의 접속 부분이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고, 또한 통 형상 부재를 증감할 때에는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해진다.
상기 발명에서는, 복수의 통 형상 부재끼리의 접속 부분이 서로의 플랜지부에 맞닿아 접속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복수의 통 형상 부재끼리의 접속 부분은, 통 형상 하우징 내에 충전한 가스 발생제에 의해 통 형상 부재를 축 방향으로 누르는 것이나, 접속 부분에 설치된 압입 수단으로, 작동 전에는 축 방향으로 분리되어 있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스 발생기는,
상기 복수의 통 형상 부재의 접속 부분에 있어서 서로의 플랜지부가 맞닿아 있고,
한쪽의 통 형상 부재의 접속 부분의 플랜지부(플랜지부 A)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갖고 있는 것이고,
다른 쪽의 통 형상 부재의 접속 부분의 플랜지부(플랜지부 B)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복수의 관통 구멍과 복수의 돌기를 갖고 있는 것이고,
플랜지부 A의 일부의 관통 구멍에 대하여, 플랜지부 B의 모든 돌기가 감입되어 있고,
플랜지부 A의 잔부의 관통 구멍과 플랜지부 B의 모든 관통 구멍이 축 방향에 정면으로 대향하도록 맞닿아져 가스를 통과시킬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한쪽의 통 형상 부재의 접속 부분의 플랜지부(플랜지부 A)는, 예를 들어 합계로 8개의 관통 구멍을 갖는 것이다.
다른 쪽의 통 형상 부재의 접속 부분의 플랜지부(플랜지부 B)는, 예를 들어 합계로 4개의 관통 구멍과 4개의 돌기를 갖는 것이다.
2개의 통 형상 부재를 접속할 때는, 플랜지부 A의 8개의 관통 구멍 중 4개에 플랜지부 B의 4개의 돌기를 감입하고, 잔부의 4개씩의 관통 구멍끼리를 축 방향에 정면으로 대향시킨 상태에서 접속한다. 잔부의 4개씩의 관통 구멍은 가스를 통과시킬 수 있는 구멍으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플랜지부 A와 플랜지부 B의 조합은, 서로 접속하는 통 형상 부재의 플랜지부의 조합을 나타내고 있다. 이로 인해, 플랜지부 A와 플랜지부 B는, 통 형상 부재가 2개이면, 제1 통 형상 부재의 플랜지부와 제2 통 형상 부재의 플랜지부의 조합을 의미하고, 통 형상 부재가 3개이면, 제1 통 형상 부재의 플랜지부와 제2 통 형상 부재의 플랜지부의 조합과, 제2 통 형상 부재의 플랜지부와 제3 통 형상 부재의 플랜지부의 조합을 의미한다. 이하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가스 발생기는,
상기 복수의 통 형상 부재의 접속 부분에 있어서 서로의 플랜지부가 맞닿아 있고,
한쪽의 통 형상 부재의 접속 부분의 플랜지부(플랜지부 A)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복수의 관통 구멍과 복수의 돌기를 갖고 있는 것이고,
다른 쪽의 통 형상 부재의 접속 부분의 플랜지부(플랜지부 B)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복수의 돌기와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갖고 있는 것이고,
플랜지부 A와 플랜지부 B의 관통 구멍의 총수가 돌기의 총수보다도 많아져 있고,
플랜지부 A의 관통 구멍에 플랜지부 B의 돌기가 감입되고, 플랜지부 B의 관통 구멍에 플랜지부 A의 돌기가 감입되고, 잔부의 관통 구멍끼리 축 방향에 정면으로 대향하도록 맞닿아져 가스를 통과시킬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한쪽의 통 형상 부재의 접속 부분의 플랜지부(플랜지부 A)는, 예를 들어 합계로 6개의 관통 구멍과 2개의 돌기를 갖는 것이다.
다른 쪽의 통 형상 부재의 접속 부분의 플랜지부(플랜지부 B)는, 예를 들어 합계로 6개의 관통 구멍과 2개의 돌기를 갖는 것이다.
2개의 통 형상 부재를 접속할 때는, 플랜지부 A의 6개의 관통 구멍 중 2개의 관통 구멍에 플랜지부 B의 2개의 돌기를 감입하고, 플랜지부 B의 6개의 관통 구멍 중 2개의 관통 구멍에 플랜지부 A의 2개의 돌기를 감입하고, 잔부의 4개씩의 관통 구멍끼리를 축 방향에 정면으로 대향시킨 상태에서 접속한다. 잔부의 4개씩의 관통 구멍은 가스를 통과시킬 수 있는 구멍으로서 기능한다.
상기 가스 발생기는,
상기 복수의 통 형상 부재의 접속 부분에 있어서 서로의 플랜지부가 맞닿아 있고,
한쪽의 통 형상 부재의 접속 부분의 플랜지부(플랜지부 A)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갖고 있는 것이고,
다른 쪽의 통 형상 부재의 접속 부분의 플랜지부(플랜지부 B)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복수의 돌기를 갖고 있는 것이고,
또한 플랜지부 A와 플랜지부 B가, 상기 돌기와 관통 구멍이 없는 부분에 복수의 절결을 갖고 있는 것이고,
플랜지부 A의 관통 구멍에 플랜지부 B의 돌기가 감입되어 있고,
플랜지부 A의 복수의 절결과 플랜지부 B의 복수의 절결이 축 방향에 정면으로 대향하도록 맞닿아져 가스를 통과시킬 수 있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스 발생기는,
상기 복수의 통 형상 부재의 접속 부분에 있어서 서로의 플랜지부가 맞닿아 있고,
한쪽의 통 형상 부재의 접속 부분의 플랜지부(플랜지부 A)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복수의 관통 구멍과 복수의 돌기를 갖고 있는 것이고,
다른 쪽의 통 형상 부재의 접속 부분의 플랜지부(플랜지부 B)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복수의 돌기와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갖고 있는 것이고,
또한 플랜지부 A와 플랜지부 B가, 상기 돌기와 관통 구멍이 없는 부분에 복수의 절결을 갖고 있는 것이고,
플랜지부 A의 관통 구멍에 플랜지부 B의 돌기가 감입되고, 플랜지부 B의 관통 구멍에 플랜지부 A의 돌기가 감입되어 있고,
플랜지부 A의 복수의 절결과 플랜지부 B의 복수의 절결이 축 방향에 정면으로 대향하도록 맞닿아져 가스를 통과시킬 수 있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한쪽의 통 형상 부재의 접속 부분의 플랜지부(플랜지부 A)의 관통 구멍과 돌기와, 다른 쪽의 통 형상 부재의 접속 부분의 플랜지부(플랜지부 B)의 관통 구멍과 돌기를 조합하여 접속하고, 추가로 복수의 절결끼리 축 방향에 정면으로 대향하도록 하여 접속한다. 복수의 절결 부분은 가스를 통과시킬 수 있는 간극(또는 통 형상 하우징의 내벽면과 맞춘 구멍)으로서 기능한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내통 부재를 형성하는 복수의 통 형상 부재로서, 폭 방향의 단면 형상이 다각형인 것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다각형은 정다각형(예를 들어, 정사각형이나 정육각형)이 바람직하지만, 거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폭 방향의 단면 형상이 다각형인 복수의 통 형상 부재를 조합했을 때, 각각의 통 형상 부재의 외주면의 코너부를 상기 통 형상 하우징의 내주벽면에 맞닿게 할 수 있고, 그 맞닿음 부분에서 내통 부재 전체를 지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한 가스 발생기에 있어서의 제1 맞닿음 부분과 제2 맞닿음 부분이 불필요해진다.
또한, 복수의 통 형상 부재의 접속 부분은 상기 통 형상 하우징의 내주벽면에 맞닿아져 있어도 되고, 맞닿아져 있지 않아도 된다.
상기 각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추가로 통 형상 하우징 내에 내통 부재(복수의 통 형상 부재의 조합)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고정하기 위한 통 형상 스페이서 또는 통 형상 다공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각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복수의 통 형상 부재의 수를 증감함으로써 가스 발생제 충전 공간의 용적을 증감시킬 수 있지만, 그래도 충분히 대응할 수 없을 때는, 추가로 용적을 미세 조정하기 위해서, 통 형상 스페이서 또는 다공판 부재를 조합할 수 있다.
통 형상 스페이서는, 외주면을 통 형상 하우징의 내벽면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배치하고, 일단부측의 개구부를 다른 부재(내통 부재를 제외함)에 맞닿게 하고, 타단부측의 개구부를 1개의 통 형상 부재의 단부에 맞닿게 함으로써 직접적으로 내통 부재(복수의 통 형상 부재의 조합)를 고정하는 것이다.
다공판 부재는, 둘레면을 통 형상 하우징의 내주벽면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가스 발생제를 내통 부재측에 누름으로써, 간접적으로 내통 부재를 고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복수의 통 형상 부재를 축 방향으로 접속함으로써 1개의 내통 부재로서 사용하고 있고, 통 형상 부재의 수를 증감함으로써, 가스 발생제의 충전 공간의 용적을 증감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동일한 가스 발생기여도, 가스 발생제량의 증감에 의한 출력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 형태
(1) 도 1의 가스 발생기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의 일 실시 형태를 도 1, 도 2에 의해 설명한다.
통 형상 하우징(10)의 제1 단부(10a) 측에는, 점화 수단이 되는 점화기(16)가 설치되어 있다. 점화기(16)는 공지된 전기식 점화기가 칼라(17)에 고정된 것이며, 점화약을 포함한 착화부(16a)가 칼라(17)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통 형상 하우징(10)의 제2 단부(10b)측에는, 디퓨저부(12)가 설치되어 있다.
디퓨저부(12)는 플랜지부(12a), 주벽부(12b), 저부(12c)를 갖는 대략 컵 형상이고, 이 플랜지부(12a)에 있어서 통 형상 하우징(10)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주벽부(12b)에는, 복수의 가스 배출구(15)가 형성되어 있다.
통 형상 하우징(10)의 점화기(16)측에는, 점화기(16)와는 간격을 두고, 제1 다공판 부재(14)가 배치되어 있다. 제1 다공판 부재(14)는 원형 저면의 주연에 환상 벽(14a)이 형성된 것이고, 환상 벽(14a)이 통 형상 하우징(10)의 내벽면과 압접됨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점화기(16)(점화기(16)와 칼라(17)), 통 형상 하우징(10), 제1 다공판 부재(14)로 둘러싸인 공간이 제1 연소실(20)이 되어 있다. 제1 연소실(20)에는, 제1 가스 발생제(22)가 충전되어 있다.
제1 가스 발생제(22)는, 점화기(16)의 착화부(16a)와 접촉하고 있다. 제1 다공판 부재(14)의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은 제1 가스 발생제(22)보다도 작은 개구이다. 관통 구멍은 시일 테이프로 막아져 있어도 된다.
제1 가스 발생제(22)로서는 착화성이 좋고, 연소가 지속하는(연소 온도가 높은) 가스 발생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가스 발생제(22)의 연소 온도는 1700 내지 30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가스 발생제로서는, 예를 들어 니트로구아니딘(34질량%), 질산스트론튬(56질량%)을 포함하는, 외경 1.5mm, 두께 1.5mm의 디스크 형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가스 발생제(22)는 제1 다공판 부재(14)에 의해 점화기(16)측에 가압된 상태에서 유지되고 있다.
통 형상 하우징(10) 내부의 디퓨저(12)측 단부(반대 단부(10b))에는, 가스 우회 수단이 되는 컵 부재(65)가 배치되어 있다.
컵 부재(65)는 저면(65a)과 주벽부(65b)를 갖고 있고, 주벽부(65b)는 복수의 연통 구멍(65c)을 갖고 있다.
컵 부재(65)는, 디퓨저(12)의 플랜지부(12a)에 대하여 공지된 방법(용접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컵 부재(65)의 개구부는 시일 테이프(66)로 폐색되어 있어, 가스 배출구(15)로부터 습기가 진입하지 않도록 기능하고 있다.
컵 부재(65)의 외경은 통 형상 하우징(10)의 내경보다도 작다. 이로 인해, 주벽부(65b)와 통 형상 하우징(10)의 내벽면과의 사이에는 간극(67)이 존재하고 있고, 디퓨저부의 플랜지부(12a)에서 막다른 포켓부(간극)(67)가 되어 있다.
이 포켓부(67)는 통 형상 공간(간극)(60)과 연속되어 있기 때문에, 연소 가스 중의 미스트를 체류시키도록 기능한다.
통 형상 하우징(10) 내에는, 제1 통 형상 부재(30), 제2 통 형상 부재(40) 및 제3 통 형상 부재(50)의 3개가, 점화기(16)측으로부터 디퓨저부(12)측을 향하여, 상기한 순서로 접속되어 있다.
3개의 통 형상 부재 중, 제3 통 형상 부재(50)의 길이가 가장 길고, 제3 통 형상 부재(50)의 길이를 L로 했을 때, 제1 통 형상 부재(30) 및 제2 통 형상 부재(40)의 길이는 모두 1/2L이다.
제1 통 형상 부재(30), 제2 통 형상 부재(40) 및 제3 통 형상 부재(50)는 모두 단면 형상이 원형이고, 내경도 동일한 것이다.
제1 통 형상 부재(30)가 최대 내경이고, 제3 통 형상 부재(50)가 최소 내경이고, 제2 통 형상 부재(40)가 중간 내경이 되도록 조합할 수도 있고, 내경의 관계가 반대가 되도록 조합할 수도 있다.
제1 통 형상 부재(30), 제2 통 형상 부재(40) 및 제3 통 형상 부재(50)와 통 형상 하우징의 내주벽면(11)과의 사이에는, 가스 배출 경로로서 기능하는, 축 X 방향으로 연속된 통 형상 공간(60)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통 형상 부재(30)의 점화기(16)측의 제1 단부는 반경 방향 외측에 직경 확장된 제1 환상 경사면부(31)를 갖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통 형상 부재(30)의 제1 단부와 반대측의 제2 단부는 반경 방향 외측의 경사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볼록부(32)와, 인접하는 볼록부(32) 사이에 있는 오목부(33)의 조합을 포함하는 제1 요철부(34)를 갖고 있다.
볼록부(32)와 오목부(33)는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1군데 또는 2군데 정도만 볼록부(32)가 없는 부분이 있다.
제1 통 형상 부재(30)는 두께 방향으로의 제1 가스 출입 구멍(37)을 복수 갖고 있다. 제1 가스 출입 구멍(37)은 둘레 방향으로 균등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축 X 방향으로 분리하여 1군데 또는 2군데 이상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환상 경사면부(31)는 제1 요철부(34)와 같은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통 형상 부재(40)의 제1 통 형상 부재(30)측의 제1 단부와 반대측의 제2 단부의 양쪽은, 반경 방향 외측의 경사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볼록부(42)와, 인접하는 볼록부(42) 사이에 있는 오목부(43)의 조합을 포함하는 제2a 요철부(44a)와 제2b 요철부(44b)를 갖고 있다.
각각의 볼록부(42)와 오목부(43)는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1군데 또는 2군데 정도만 볼록부(42)가 없는 부분이 있다.
제2 통 형상 부재(40)는 두께 방향으로의 제2 가스 출입 구멍(47)을 복수 갖고 있다. 제2 가스 출입 구멍(47)은 가스 출입 방향으로 균등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축 X 방향으로 분리하여 1군데 또는 2군데 이상 형성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통 형상 부재(50)의 제2 통 형상 부재(40)측의 제1 단부는 반경 방향 외측의 경사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볼록부(52)와, 인접하는 볼록부(52) 사이에 있는 오목부(53)의 조합을 포함하는 제3 요철부(54)를 갖고 있다.
볼록부(52)와 오목부(53)는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1군데 또는 2군데 정도만 볼록부(52)가 없는 부분이 있다.
제3 통 형상 부재(50)의 제1 단부와 반대측에 있는 제2 단부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직경 확장된 제3 환상 경사면부(51)를 갖고 있다.
제3 환상 경사면부(51)는 두께 방향으로의 복수의 관통 구멍 또는 절결을 갖고 있다. 제3 환상 경사면부(51)는 제3 요철부(54)와 같은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제3 통 형상 부재(50)는 두께 방향으로의 제3 가스 출입 구멍(57)을 복수 갖고 있다. 제3 가스 출입 구멍(57)은 둘레 방향으로 균등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축 X 방향으로 분리하여 2군데 또는 3군데 이상 형성할 수 있다.
제1 통 형상 부재(30)의 제1 가스 출입 구멍(37), 제2 통 형상 부재(40)의 제2 가스 출입 구멍(47), 제3 통 형상 부재(50)의 제3 가스 출입 구멍(57)의 배치 상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디퓨저부(12)측에 근접함에 따라서 가스 출입 구멍의 수가 많아지도록 할 수도 있다.
제1 통 형상 부재(30)의 제1 돌출부가 되는 제1 환상 경사면부(31)는 외주부(31a)가 통 형상 하우징의 내주벽면(11)에 맞닿아(제1 맞닿음 부분) 지지되어 있다.
제1 통 형상 부재(30)의 제1 요철부(34)와 제2 통 형상 부재(40)의 제2a 요철부(44a)는 서로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합하도록 감입되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접속 부분은 통 형상 하우징의 내주벽면(11)에 맞닿아 있다. 여기서, 제1 요철부(34)와 제2a 요철부(44)는 각각 볼록부가 결락한 부분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그 부분이 통 형상 공간(60)에 있어서의 가스 배출 경로가 된다.
제2 통 형상 부재(40)의 제2b 요철부(44b)와 제3 통 형상 부재(50)의 제3 요철부(54)는 서로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합하도록 감입됨으로써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접속 부분은 통 형상 하우징의 내주벽면(11)에 맞닿아 있다. 여기서, 제2b 요철부(44b)와 제3 요철부(54)는 각각 볼록부가 결락한 부분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그 부분이 통 형상 공간(60)에 있어서의 가스 배출 경로가 된다.
제3 통 형상 부재(50)의 제2 돌출부가 되는 제3 환상 경사면부(51)는 컵 형상 부재(65)의 저면(65a)과 주벽부(65b)의 경계 부분에 맞닿아(제2 맞닿음 부분) 지지되어 있다. 제3 환상 경사면부(51)는 관통 구멍 또는 절결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그 부분이 통 형상 공간(60)에 있어서의 가스 배출 경로가 된다.
제1 돌출부가 되는 제1 환상 경사면부(31)와 제2 돌출부가 되는 제3 환상 경사면부(51)는, 도 5에 도시하는 제1 플랜지부(131)와 동일한 플랜지부, 도 7에 나타내는 제1 플랜지부(231)와 동일한 플랜지부(구멍(232)은 불필요) 중 어느 하나로 할 수도 있다.
제1 통 형상 부재(30)와 제1 다공판 부재(14)의 사이에는, 제2 다공판 부재(24)가 배치되어 있다.
제2 다공판 부재(24)는 원형 저면의 주연에 환상 벽(24a)이 형성된 것이고, 환상 벽(24a)이 통 형상 하우징(10)의 내벽면과 압접됨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제2 다공판 부재(24)와 제1 다공판 부재(14)의 사이에는, 공간(18)이 형성되어 있다. 환상 벽(24a)은 점화기(16)측으로 뻗어 있다.
제2 연소실(25)은 제2 다공판 부재(24)와, 제1 통 형상 부재(30), 제2 통 형상 부재(40) 및 제3 통 형상 부재(50)와, 통 형상 하우징(10)의 일부로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다.
제2 연소실(25)에는, 제2 가스 발생제(70)가 충전되어 있다. 제2 다공판 부재(24)의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은 제2 가스 발생제(70)보다도 작은 개구이다. 관통 구멍은 시일 테이프로 막아져 있어도 된다.
제2 가스 발생제(70)는, 제1 가스 발생제(22)보다도 연소 온도가 낮은 가스 발생제를 사용하고 있다. 제2 가스 발생제(70)의 연소 온도는 1000 내지 17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질산구아니딘(41질량%), 염기성 질산구리(49질량%) 및 결합제나 첨가물을 포함하는, 외경 1.8mm, 내경 0.7mm, 길이 1.9mm의 단공(單孔) 원기둥 형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가스 발생제(70)는 제2 다공판 부재(24)에 의해 디퓨저부(12)측에 가압된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이로 인해, 제2 연소실(25) 내의 제2 가스 발생제(70)가 밀(密)하게 충전됨으로써, 이동하여 간극이 형성되는 것이 저지됨과 함께, 간접적으로 제1 통 형상 부재(30)도 축 X 방향으로 압박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제1 통 형상 부재(30)의 제1 환상 경사면부(31)와 제2 다공판 부재(24)의 사이에 양쪽에 맞닿을 수 있는 통 형상 스페이서나, 통 형상의 다공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직접, 제1 통 형상 부재(30)를 고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어서, 도 1에 도시하는 가스 발생기의 조립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 형상 하우징(10)의 제2 단부(10b)측의 개구부에, 가스 배출구(15)를 갖는 디퓨저부(12)를 용접으로 고정한다.
그 후, 컵 형상 부재(가스 우회 수단)(65)를, 개구부측이 디퓨저부(12)측이 되도록 하여, 플랜지부(12a)에 설치한다.
그 후, 통 형상 하우징(10)의 제1 단부(10a) 측으로부터, 미리 접속하여 일체로 한 제1 통 형상 부재(30), 제2 통 형상 부재(40) 및 제3 통 형상 부재(50)의 조합을 압입한다.
그 후, 제2 연소실(25)이 되는 공간(가스 발생제 충전 공간) 내에 소요량의 제2 가스 발생제(70)를 태핑하면서 충전한 후, 제2 다공판 부재(24)를 압입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2 다공판 부재(24)를 압입함으로써, 제2 가스 발생제(70)가 밀하게 충전되어 이동이 방지되기 때문에, 제2 연소실(25) 내에 간극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제1 통 형상 부재(30)도 가스 발생제(70)를 개재하여 눌림으로써 고정된다.
그 후, 제1 다공판 부재(14)를 압입하여, 제1 다공판 부재(14)에 맞닿도록 하여 제1 가스 발생제(22)를 충전한다. 미리 제1 다공판 부재(14)는 제1 단부(10a) 가까이에 배치해 두어, 칼라(17)를 제1 단부(10a)로부터 삽입할 때, 제1 가스 발생제(22)와 함께 제1 다공판 부재(14)를 속까지 압입한다.
그 후, 칼라(17)에 고정된 점화기(16)를 설치하고, 제1 연소실(20)을 형성한다.
또한, 충전하는 제2 가스 발생제(70)의 양을 많게 하는 경우에는, 도 1에 있어서 제2 통 형상 부재(40)를 제거하여, 제1 통 형상 부재(30)와 제3 통 형상 부재(50)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한다.
이렇게 3개의 통 형상 부재를 2개의 통 형상 부재로 대신함으로써, 제2 연소실(25)의 용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충전하는 가스 발생제(70)의 양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1에 도시하는 가스 발생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점화기(16)의 작동에 의해 제1 연소실(20) 내의 제1 가스 발생제(22)가 연소하면, 거기에서 연소 생성물(화염이나 고온 가스)이 발생되고, 제1 다공판 부재(14)의 다공을 통하여 공간(18)에 진입한다. 또한 제1 연소실(20) 내에는 제1 가스 발생제(22)가 밀하게 충전되어 있기 때문에, 착화 얼룩(불균일하게 연소하는 현상)이 발생하기 어렵고, 제1 가스 발생제(22)가 균등하게 연소된다. 연소 생성물은 공간(18)에 진입한다.
연소 생성물은, 공간(18)으로부터 제2 판상 부재(24)의 관통 구멍을 통하여 제2 연소실(25) 내에 존재하는 제2 가스 발생제(70)를 착화시킨다.
제1 연소실(20)로부터 발생한 연소 생성물은 일단 공간(18)에 들어가는 점에서, 제2 다공판 부재(24)에 인접하는 제2 가스 발생제(70)는 단부면으로부터 정렬되어 연소를 개시하기 때문에, 착화 얼룩이 발생하기 어렵다.
연소 가스 및 연소 생성물은, 제1 통 형상 부재(30)의 제1 가스 출입 구멍(37), 제2 통 형상 부재(40)의 제2 가스 출입 구멍(47) 및 제3 통 형상 부재(50)의 제3 가스 출입 구멍(57)과 통 형상 공간(60)의 사이에서 출입을 반복하면서, 디퓨저부(12) 방향으로 흘러 간다.
그 과정에서, 연소 잔사가 통 형상 하우징의 내벽면(11)에 부착되어 유지된다.
또한 연소 가스 및 연소 생성물은, 디퓨저(12)의 플랜지부(12a)에 있어서 방향을 바꾸어, 연통 구멍(65c)으로부터 컵 부재(65) 내부에 침입한다. 이 과정에서도, 포켓(67)에서 잔사가 포집된다.
그 후, 디퓨저(12)의 저부(12c)에 있어서 또한 방향을 바꾸어, 가스 배출구(15)로부터 배출된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이상과 같은 구조인 점에서, 가스 발생제의 착화 얼룩을 억제하여, 전체로서 착화, 연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하우징이 축 방향으로 긴 형상인 것이며, 제1 연소실과 제2 연소실이 축 방향에 인접하고 있는 구조의 가스 발생기에서는, 원활하게 가스 발생제의 연소를 행할 수 있어, 신속히 작동하는 가스 발생기가 된다.
(2) 다른 실시 형태의 가스 발생기
도 3, 도 4에 의해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의 (a)에 나타내는 가스 발생기는 길이와 내경이 동일한 제1 통 형상 부재(101), 제2 통 형상 부재(102), 제3 통 형상 부재(103)의 3개를 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제1 통 형상 부재(101), 제2 통 형상 부재(102), 제3 통 형상 부재(103)의 접속 형태는 도 1에 도시하는 제1 통 형상 부재(30), 제2 통 형상 부재(40), 제3 통 형상 부재(50)와 같다.
도 3의 (a)에 나타내는 가스 발생기에 있어서, 가스 발생제(70)의 충전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을 때,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통 형상 부재(102)를 제거하여, 제1 통 형상 부재(101)와 제3 통 형상 부재(103)의 조합으로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연소실(25)의 용적이 증가하기 때문에, 가스 발생제(70)의 충전량을 증가할 수 있다.
반대로 가스 발생제(70)의 충전량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을 때는, 도 3의 (b)로부터 도 3의 (a)와 같이 한다.
도 4의 (a)에 나타내는 가스 발생기는 길이와 내경이 동일한 제1 통 형상 부재(201)와 제2 통 형상 부재(202)의 2개를 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제1 통 형상 부재(201)와 제2 통 형상 부재(202)의 접속 형태는 도 1에 도시하는 제1 통 형상 부재(30)와 제3 통 형상 부재(50)와 같다.
도 4의 (a)에 나타내는 가스 발생기에 있어서, 가스 발생제(70)의 충전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을 때,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통 형상 부재(202)를 길이가 짧은 제3 통 형상 부재(203) 대신에, 제1 통 형상 부재(201)와 제3 통 형상 부재(203)의 조합으로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연소실(25)의 용적이 증가하기 때문에, 가스 발생제(70)의 충전량을 증가할 수 있다.
반대로 가스 발생제(70)의 충전량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을 때는, 도 4의 (b)로부터 도 4의 (a)와 같이 한다.
각각의 통 형상 부재를 조합하는 수는 가스 발생제(70)의 충전량뿐만 아니라, 통 형상 하우징(10)의 길이에 맞춰서 조정할 수도 있다.
(3) 도 5, 도 6의 내통 부재를 갖는 가스 발생기
도 5, 도 6에 의해 상이한 실시 형태의 내통 부재(복수의 통 형상 부재의 조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제1 통 형상 부재(30), 제2 통 형상 부재(40) 및 제3 통 형상 부재(50)에서는, 서로의 접속 부분이 도 2에 도시하는 요철부의 조합이지만, 도 5의 내통 부재에서는 접속 부분이 플랜지부가 되어 있다.
도 5의 제1 통 형상 부재(130)는 도 1, 도 2의 제1 통 형상 부재(30)에 대응하고, 제2 통 형상 부재(140)는 도 1, 도 2의 제2 통 형상 부재(40)에 대응하는 것이다.
제1 통 형상 부재(130)는, 제2 통 형상 부재(140)와의 접속 부분측에 제1 플랜지부(131)를 갖고 있고, 둘레면에는 복수의 제1 가스 출입 구멍(137)을 갖고 있다.
제1 플랜지부(131)는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된 8개의 제1 관통 구멍(132)을 갖고 있다.
제2 통 형상 부재(140)는 제1 통 형상 부재(130)와의 접속 부분측에 제2 플랜지부(141)를 갖고 있고, 둘레면에는 복수의 제2 가스 출입 구멍(147)을 갖고 있다.
제2 플랜지부(141)는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된 4개의 제2 관통 구멍(142)과 4개의 제2 돌기(143)를 갖고 있다.
제1 통 형상 부재(130)와 제2 통 형상 부재(14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플랜지부(131)의 4개의 제1 관통 구멍(132)에 대하여, 제2 플랜지부(141)의 4개의 제2 돌기(143)를 감입함으로써 자유자재로 착탈되게 접속된다.
이때, 제1플랜지부(131)의 잔부의 4개의 제1 관통 구멍(132)과 제2 플랜지부(141)의 4개의 제2 관통 구멍(142)이, 서로 축 방향에 정면으로 대향되도록 맞닿아 접속된다. 4개의 제1 관통 구멍(132)과 4개의 제2 관통 구멍(142)의 접속 부분이, 통 형상 공간(60)에 있어서의 가스 배출 경로가 된다.
도 5, 도 6에 나타내는 통 형상 부재를 포함하는 내통 부재는, 제1 통 형상 부재(130)의 제1 돌출부는 도 1과 동일한 제1 환상 경사면부(31), 도 5에 도시하는 제1 플랜지부(131)와 동일한 플랜지부, 도 7에 나타내는 제1 플랜지부(231)와 동일한 플랜지부(구멍(232)은 불필요)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4) 도 7의 내통 부재를 갖는 가스 발생기
도 7에 의해 상이한 실시 형태의 내통 부재(복수의 통 형상 부재의 조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제1 통 형상 부재(30), 제2 통 형상 부재(40) 및 제3 통 형상 부재(50)에서는, 서로의 접속 부분이 도 2에 도시하는 요철부의 조합이지만, 도 7의 내통 부재에서는 접속 부분이 플랜지부가 되어 있다.
도 7의 제1 통 형상 부재(230)는 도 1, 도 2의 제1 통 형상 부재(30)에 대응하고, 제2 통 형상 부재(240)는 도 1, 도 2의 제2 통 형상 부재(40)에 대응하는 것이다.
제1 통 형상 부재(230)는, 제2 통 형상 부재(240)와의 접속 부분측에 제1 플랜지부(231)를 갖고 있고, 둘레면에는 복수의 제1 가스 출입 구멍(237)을 갖고 있다.
제1 플랜지부(231)는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된 4군데의 절결부(233)로 4개로 분리되어 있다(4개의 돌출편(231)을 갖고 있음). 4개로 분리된 제1 플랜지부(231)(4개의 돌출편(231))는 각각에 제1 관통 구멍(232)을 갖고 있다.
제2 통 형상 부재(240)는, 제1 통 형상 부재(230)와의 접속 부분측에 제2 플랜지부(241)를 갖고 있고, 둘레면에는 복수의 제2 가스 출입 구멍(247)을 갖고 있다.
제2 플랜지부(241)는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된 4군데의 절결부(243)로 4개로 분리되어 있다(4개의 돌출편(241)을 갖고 있음). 4개로 분리된 제2 플랜지부(241)(4개의 돌출편(241))는 각각에 제2 돌기(242)를 갖고 있다.
제1 통 형상 부재(230)와 제2 통 형상 부재(240)는, 제1 플랜지부(231)의 4개의 제1 관통 구멍(232)에 대하여, 제2 플랜지부(241)의 4개의 제2 돌기(242)를 감입함으로써 자유자재로 착탈되게 접속된다.
이때, 제1 플랜지부(131)의 4군데의 절결부(233)와 제2 플랜지부(241)의 4군데의 절결부(243)가, 서로 축 방향에 정면으로 대향되도록 맞닿아 접속된다.
4군데의 절결부(233)와 4군데의 절결부(243)의 접속 부분이, 통 형상 공간(60)에 있어서의 가스 배출 경로가 된다.
도 7에 나타내는 통 형상 부재를 포함하는 내통 부재는, 제1 통 형상 부재(230)의 제1 돌출부는 도 1과 동일한 제1 환상 경사면부(31), 도 5에 도시하는 제1 플랜지부(131)와 동일한 플랜지부, 도 7에 나타내는 제1 플랜지부(231)와 동일한 플랜지부(구멍(232)은 불필요)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5) 도 8에 나타내는 폭 방향의 단면 형상의 내통 부재를 갖는 가스 발생기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통 형상 부재(30), 제2 통 형상 부재(40) 및 제3 통 형상 부재(50)의 폭 방향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에는, 제1 통 형상 부재(30), 제2 통 형상 부재(40) 및 제3 통 형상 부재(50)의 외표면과 통 형상 하우징의 내주벽면(11)과의 사이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속되고, 축 X 방향으로 연속된 통 형상 공간(60)이 형성된다.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통 형상 부재(30), 제2 통 형상 부재(40) 및 제3 통 형상 부재(50)의 폭 방향의 단면이 정사각형인 경우에는, 제1 통 형상 부재(30), 제2 통 형상 부재(40) 및 제3 통 형상 부재(50)의 외표면과 통 형상 하우징의 내주벽면(11)과의 사이에는, 둘레 방향으로는 4 분할되고, 축 X 방향으로는 연속된 공간(60)이 형성된다.
또한, 제1 통 형상 부재(30), 제2 통 형상 부재(40) 및 제3 통 형상 부재(50)의 폭 방향의 단면이 정삼각형인 경우에는, 둘레 방향으로 3 분할되고, 축 X 방향으로는 연속된 공간(60)이 형성되고, 제1 통 형상 부재(30), 제2 통 형상 부재(40) 및 제3 통 형상 부재(50)의 폭 방향의 단면이 정육각형인 경우에는 둘레 방향으로 6 분할되고, 축 X 방향으로는 연속된 공간(60)이 형성된다.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면 형상을 갖는 복수의 통 형상 부재를 조합하여 사용했을 때는, 상기 복수의 통 형상 부재의 외주면의 코너부가 통 형상 하우징의 내주벽면에 맞닿아져 지지된다.
이로 인해, 도 8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형인 복수의 통 형상 부재를 조합하여 사용한 실시 형태(도 1)와 같이, 제1 환상 경사면부(31)와, 제1 환상 경사면부(31)의 외주부(31a)가 통 형상 하우징의 내주벽면(11)에 맞닿아진 부분(제1 맞닿음 부분)과, 제3 환상 경사면부(51)와, 제3 환상 경사면부(51)가 컵 형상 부재(65)의 저면(65a)과 주벽부(65b)의 경계 부분에 맞닿아 있는 제2 맞닿음 부분은 불필요해진다.
복수의 통 형상 부재끼리의 접속 부분은 도 2에 도시하는 요철부(34)와 요철부(44a), 요철부(44b)와 요철부(54)의 조합으로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 7에 나타내는, 관통 구멍을 갖는 4개의 돌출편(231)과 돌기를 갖는 4개의 돌출편(241)의 조합으로 할 수도 있다. 또는, 통 형상 부재를 형성하는 각각의 면 개구부측에 있어서, 폭 방향의 중앙부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통 형상 부재끼리를 원주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오목부끼리를 교합하여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상과 같이 기재하였다. 당연히, 본 발명은 여러 가지 형태의 변형을 그 범위에 포함하고, 이들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의 일탈은 아니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명백하게 본 발명의 변형으로 간주하는 것의 전부는 이하에 기재하는 청구항의 범위에 있다.

Claims (9)

  1. 제1 단부측에 점화 수단이 배치되고, 축 방향에 반대측의 제2 단부측에 가스 배출구를 갖는 디퓨저부가 배치된 통 형상 하우징을 갖고 있고,
    상기 통 형상 하우징 내에는, 상기 통 형상 하우징의 내주벽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내통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내통 부재의 내부를 포함하는 공간 내에 가스 발생제가 충전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이며,
    상기 통 형상 하우징의 내주벽면과 내통 부재의 간극이 상기 가스 배출구에 이르는 가스 배출 경로가 되는 것이고,
    상기 내통 부재가, 복수의 통 형상 부재가 축 방향으로 접속된 것이고, 각각의 통 형상 부재가, 상기 통 형상 부재의 내측과 상기 가스 배출 경로가 되는 간극을 연통하기 위한 복수의 가스 출입 구멍을 주벽부(周壁部)에 갖고 있는 것이고,
    상기 복수의 통 형상 부재가, 각각의 접속 부분이 되는 개구부측이 서로 감합되어 접속할 수 있는 요철 부분을 갖고 있고,
    상기 접속 부분이 되는 요철 형상이
    접속하는 한쪽의 개구부측이, 반경 방향 외측의 경사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볼록부와, 인접하는 볼록부 사이에 있는 오목부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이고,
    접속하는 다른 쪽의 개구부측이, 반경 방향 외측의 경사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볼록부와, 인접하는 볼록부 사이에 있는 오목부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복수의 통 형상 부재를 접속했을 때의 점화 수단측의 단부와 디퓨저부측의 단부측이 모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고 있고,
    상기 복수의 통 형상 부재의 접속 부분이, 서로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합하도록 감입됨으로써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점화 수단측의 제1 돌출부의 외주부가 제1 맞닿음 부분이 되어, 상기 통 형상 하우징의 내주벽면에 맞닿고,
    상기 디퓨저부측의 제2 돌출부의 면이 제2 맞닿음 부분이 되어, 직접 또는 다른 부재를 개재하여 디퓨저부의 일부에 맞닿고,
    상기 복수의 통 형상 부재의 접속 부분이 상기 통 형상 하우징의 내주벽면에 맞닿아 있고,
    상기 접속 부분, 상기 제1 맞닿음 부분 및 상기 제2 맞닿음 부분이 가스를 통과시킬 수 있는 구멍 또는 간극을 갖고 있는, 가스 발생기.
  2. 제1 단부측에 점화 수단이 배치되고, 축 방향에 반대측의 제2 단부측에 가스 배출구를 갖는 디퓨저부가 배치된 통 형상 하우징을 갖고 있고,
    상기 통 형상 하우징 내에는, 상기 통 형상 하우징의 내주벽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내통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내통 부재의 내부를 포함하는 공간 내에 가스 발생제가 충전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이며,
    상기 통 형상 하우징의 내주벽면과 내통 부재의 간극이 상기 가스 배출구에 이르는 가스 배출 경로가 되는 것이고,
    상기 내통 부재가, 복수의 통 형상 부재가 축 방향으로 접속된 것이고, 각각의 통 형상 부재가, 상기 통 형상 부재의 내측과 상기 가스 배출 경로가 되는 간극을 연통하기 위한 복수의 가스 출입 구멍을 주벽부에 갖고 있는 것이고,
    상기 복수의 통 형상 부재가, 각각의 접속 부분이 되는 개구부측이 서로 맞닿을 수 있는 플랜지부를 갖고 있는 것이고,
    상기 복수의 통 형상 부재를 접속했을 때의 점화 수단측의 단부와 디퓨저부측의 단부측이 모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고 있고,
    상기 복수의 통 형상 부재의 접속 부분에 있어서 서로의 플랜지부가 맞닿아 있고,
    상기 점화 수단측의 제1 돌출부의 외주부가 제1 맞닿음 부분이 되어 상기 통 형상 하우징의 내주벽면에 맞닿고, 또한 디퓨저부측의 제2 돌출부의 면이 제2 맞닿음 부분이 되어 직접 또는 다른 부재를 개재하여 디퓨저부의 일부에 맞닿아 있고,
    상기 접속 부분, 상기 제1 맞닿음 부분 및 제2 맞닿음 부분이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 또는 간극을 갖고 있는, 가스 발생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 형상 부재의 접속 부분에 있어서 서로의 플랜지부가 맞닿아 있고,
    한쪽의 통 형상 부재의 접속 부분의 플랜지부(플랜지부 A)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갖고 있는 것이고,
    다른 쪽의 통 형상 부재의 접속 부분의 플랜지부(플랜지부 B)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복수의 관통 구멍과 복수의 돌기를 갖고 있는 것이고,
    플랜지부 A부의 일부의 관통 구멍에 대하여, 플랜지부 B의 모든 돌기가 감입되어 있고,
    플랜지부 A의 잔부의 관통 구멍과 플랜지부 B의 모든 관통 구멍이 축 방향에 정면으로 대향하도록 맞닿아져 가스를 통과시킬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 형상 부재의 접속 부분에 있어서 서로의 플랜지부가 맞닿아 있고,
    한쪽의 통 형상 부재의 접속 부분의 플랜지부(플랜지부 A)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복수의 관통 구멍과 복수의 돌기를 갖고 있는 것이고,
    다른 쪽의 통 형상 부재의 접속 부분의 플랜지부(플랜지부 B)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복수의 돌기와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갖고 있는 것이고,
    플랜지부 A와 플랜지부 B의 관통 구멍의 총수가 돌기의 총수보다도 많아져 있고,
    플랜지부 A의 관통 구멍에 플랜지부 B의 돌기가 감입되고, 플랜지부 B의 관통 구멍에 플랜지부 A의 돌기가 감입되고, 잔부의 관통 구멍끼리 축 방향에 정면으로 대향하도록 맞닿아져 가스를 통과시킬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 형상 부재의 접속 부분에 있어서 서로의 플랜지부가 맞닿아 있고,
    한쪽의 통 형상 부재의 접속 부분의 플랜지부(플랜지부 A)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갖고 있는 것이고,
    다른 쪽의 통 형상 부재의 접속 부분의 플랜지부(플랜지부 B)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복수의 돌기를 갖고 있는 것이고,
    또한 플랜지부 A와 플랜지부 B가, 상기 돌기와 관통 구멍이 없는 부분에 복수의 절결을 갖고 있는 것이고,
    플랜지부 A의 관통 구멍에 플랜지부 B의 돌기가 감입되어 있고,
    플랜지부 A의 복수의 절결과 플랜지부 B의 복수의 절결이 축 방향에 정면으로 대향하도록 맞닿아져 가스를 통과시킬 수 있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 형상 부재의 접속 부분에 있어서 서로의 플랜지부가 맞닿아져 있고,
    한쪽의 통 형상 부재의 접속 부분의 플랜지부(플랜지부 A)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복수의 관통 구멍과 복수의 돌기를 갖고 있는 것이고,
    다른 쪽의 통 형상 부재의 접속 부분의 플랜지부(플랜지부 B)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복수의 돌기와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갖고 있는 것이고,
    또한 플랜지부 A와 플랜지부 B가, 상기 돌기와 관통 구멍이 없는 부분에 복수의 절결을 갖고 있는 것이고,
    플랜지부 A의 관통 구멍에 플랜지부 B의 돌기가 감입되고, 플랜지부 B의 관통 구멍에 플랜지부 A의 돌기가 감입되어 있고,
    플랜지부 A의 복수의 절결과 플랜지부 B의 복수의 절결이 축 방향에 정면으로 대향하도록 맞닿아져 가스를 통과시킬 수 있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
  7. 제1 단부측에 점화 수단이 배치되고, 축 방향에 반대측의 제2 단부측에 가스 배출구를 갖는 디퓨저부가 배치된 통 형상 하우징을 갖고 있고,
    상기 통 형상 하우징 내에는, 상기 통 형상 하우징의 내주벽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내통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내통 부재의 내부를 포함하는 공간 내에 가스 발생제가 충전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이며,
    상기 통 형상 하우징의 내주벽면과 내통 부재의 간극이 상기 가스 배출구에 이르는 가스 배출 경로가 되는 것이고,
    상기 내통 부재가, 폭 방향의 단면 형상이 다각형인 복수의 통 형상 부재가 축 방향으로 접속된 것이며, 각각의 통 형상 부재가, 상기 통 형상 부재의 내측과 상기 가스 배출 경로가 되는 간극을 연통하기 위한 복수의 가스 출입 구멍을 주벽부에 갖고 있는 것이고,
    상기 복수의 통 형상 부재가, 각각의 접속 부분이 되는 개구부측이 서로 감합되어 접속할 수 있는 요철 부분을 갖고 있고, 상기 요철 부분이 서로 감합됨으로써 접속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복수의 통 형상 부재의 외주면의 코너부가 상기 통 형상 하우징의 내주벽면에 맞닿아져 지지되고,
    상기 접속 부분이 가스를 통과시킬 수 있는 구멍 또는 간극을 갖고 있는, 가스 발생기.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 형상 부재가, 동일 형상이고, 폭 방향의 단면 형상 및 단면적이 동일하고, 길이가 동일 또는 상이한 것의 조합인, 가스 발생기.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통 형상 하우징 내에 내통 부재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고정하기 위한 통 형상 스페이서 또는 통 형상 다공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
KR1020167033044A 2014-06-23 2015-06-02 가스 발생기 KR201700212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27953A JP6261458B2 (ja) 2014-06-23 2014-06-23 ガス発生器
JPJP-P-2014-127953 2014-06-23
PCT/JP2015/065829 WO2015198802A1 (ja) 2014-06-23 2015-06-02 ガス発生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236A true KR20170021236A (ko) 2017-02-27

Family

ID=54937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3044A KR20170021236A (ko) 2014-06-23 2015-06-02 가스 발생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79317B2 (ko)
JP (1) JP6261458B2 (ko)
KR (1) KR20170021236A (ko)
CN (1) CN106457185B (ko)
DE (1) DE112015002937T5 (ko)
WO (1) WO20151988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54143B2 (ja) * 2014-12-03 2019-01-16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6563825B2 (ja) * 2015-02-09 2019-08-21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6619293B2 (ja) * 2016-05-23 2019-12-11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6650365B2 (ja) 2016-07-26 2020-02-19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6867897B2 (ja) * 2017-06-29 2021-05-12 株式会社ダイセル 封止構造
JP6946097B2 (ja) * 2017-07-21 2021-10-06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7030486B2 (ja) * 2017-11-20 2022-03-07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DE102018112010A1 (de) 2018-05-18 2019-11-21 Trw Airbag Systems Gmbh Treibstoffkäfig für einen gasgenerator, gasgenerator mit einem solchen treibstoffkäfig, betriebsverfahren und verfahren zum führen einer schockwelle eines gasgenerator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9045A (en) * 1970-01-27 1972-03-14 Ensign Bickford Co Fluid supply device for vehicle safety system
US5551724A (en) * 1993-09-14 1996-09-03 Morton International, Inc. Treatment of inflatable restraint system inflator particulate-containing gas with expanded metal
US5836608A (en) * 1996-12-11 1998-11-17 Morton International, Inc. Airbag deflection mount
DE29702011U1 (de) * 1997-02-05 1997-06-05 Trw Repa Gmbh Baugruppe aus einem Gasgenerator und einem Abströmrohr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FR2809693B1 (fr) * 2000-05-30 2002-09-13 Livbag Snc Generateur hybride a pilier perforateur et a corps bi-tubulaire
US7367584B2 (en) * 2004-04-19 2008-05-06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Gas generating system
US7343862B2 (en) * 2004-05-27 2008-03-18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Gas generating system
US7654565B2 (en) 2005-06-02 2010-02-02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Gas generating system
US20080078486A1 (en) * 2006-09-30 2008-04-03 Khandhadia Paresh S Gas generating system and composition
CN100572149C (zh) * 2005-08-10 2009-12-23 株式会社大亚特 用于车用气囊的充气机内气缸的结构
US7568728B2 (en) * 2006-05-25 2009-08-04 Autoliv Asp, Inc. Inflator device having modular construction and radial inflation gas flow
FR2907892B1 (fr) * 2006-10-26 2009-01-30 Seva Technologies Generateur de gaz
JP5436036B2 (ja) 2009-05-12 2014-03-05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US8672348B2 (en) 2009-06-04 2014-03-18 Alliant Techsystems Inc. Gas-generating devices with grain-retention structures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JP5399935B2 (ja) * 2010-02-03 2014-01-29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DE102011086838A1 (de) * 2011-11-22 2012-07-19 Takata-Petri Ag Gasgenerator
US8702125B1 (en) * 2013-01-18 2014-04-22 Autoliv Asp, Inc. Multi-strainer emission treatment for inflatable restraint system inflators
JP5965334B2 (ja) * 2013-02-18 2016-08-03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6184829B2 (ja) * 2013-10-11 2017-08-23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6374811B2 (ja) * 2014-05-16 2018-08-15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51543A1 (en) 2017-06-01
US10179317B2 (en) 2019-01-15
JP6261458B2 (ja) 2018-01-17
CN106457185B (zh) 2019-07-05
CN106457185A (zh) 2017-02-22
DE112015002937T5 (de) 2017-03-16
WO2015198802A1 (ja) 2015-12-30
JP2016007559A (ja) 2016-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21236A (ko) 가스 발생기
KR101666252B1 (ko) 가스 발생기 및 그의 조립 방법
US9114778B2 (en) Gas generator
US8801034B2 (en) Gas generator for restraining device
CN109476274B (zh) 气体发生器
JP2023126429A (ja) ガス発生器
US9764710B2 (en) Gas generator
CN109257930B (zh) 气体发生器
CN109476273B (zh) 气体发生器
US10166501B2 (en) Gas generator
KR102622079B1 (ko) 가스 발생기
CN107074188B (zh) 气体发生器
CN110997421A (zh) 气体发生器
US8720947B2 (en) Gas generator for restraining device
JP2012030608A (ja) インフレーター及びインフレーターの製造方法
WO2016129364A1 (ja) ガス発生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