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8361A - 무선통신 및 영상인식 기반의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및 영상인식 기반의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8361A
KR20170018361A KR1020170009228A KR20170009228A KR20170018361A KR 20170018361 A KR20170018361 A KR 20170018361A KR 1020170009228 A KR1020170009228 A KR 1020170009228A KR 20170009228 A KR20170009228 A KR 20170009228A KR 20170018361 A KR20170018361 A KR 20170018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image
smart terminal
user
memory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의석
윤정한
권행남
Original Assignee
서울특별시 관악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특별시 관악구 filed Critical 서울특별시 관악구
Priority to KR1020170009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8361A/ko
Publication of KR20170018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83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72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04M1/7253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형 보안 기술에 있어서, 특히 각종 장소에 설치되어 영상인식 기반의 디밍 제어(dimming control)와 영상 녹화 및 실시간 영상 조회를 지원하는 무선통신 및 영상인식 기반의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감시영역에서의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감시영역에서 동작하는 동작대상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감시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촬영모듈과, 상기 감지영역을 조명하는 조명등모듈과, 상기 영상촬영모듈에서 생성된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카드와, 상기 영상촬영모듈과 상기 조명등모듈과 상기 메모리카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프로세서와, 상기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모듈과, 미리 설정된 알람정보를 출력하는 알람모듈을 포함하는 지능형 보안등 장비; 그리고 상기 지능형 보안등 장비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의 출력과 상기 알람모듈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알람정보의 입력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는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인 발명이다.

Description

무선통신 및 영상인식 기반의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INTELLIGENT SAFETY LIGHTING SYSTEM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AND VISION RECOGNITION TECHNOLOGY}
본 발명은 기능형 보안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장소에 설치되어 영상인식 기반의 디밍 제어(dimming control)와 영상 녹화 및 실시간 영상 조회를 지원하는 무선통신 및 영상인식 기반의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이나 보안등이라 함은 교통의 안전과 보행자에 대한 범죄 예방의 보안을 위하여 도로, 주택가, 골목, 공원, 놀이터 및 공터 등의 공간에 설치되는 조명시설이다. 조명시설의 광원으로는 고압 수은등, 형광등, 나트륨 등, 및 보통의 전구 등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에너지 효율 및 수명 등을 고려하여 LED조명으로 교체되고 있으며, 지속적인 조명시설 교체가 요구되고 있다.
가로등과 보안등을 포함하는 조명시설은 차량의 교통안전이나 보행자의 범죄 예방을 위한 보안에 일조를 하고는 있지만 조명 역할 이외에 다른 용도로는 거의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길거리 범죄, 불법주정차 및 쓰레기 불법투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조명시설과 더불어 CCTV와 같은 영상촬영시설이 추가로 설치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2789호(발명의 명칭 : 지그비를 이용한 LED등용 조명제어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6762호(발명의 명칭 : 무선통신 기반 LED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1797호(발명의 명칭 : CCTV 카메라가 내장된 LED 가로등),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49599호(발명의 명칭 : 리모트 컨트롤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밍 제어용 LED 조명시스템)는 조명시설이나 영상촬영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조명시설이나 영상촬영시설에는 통신 기술을 적용하여 원격 제어 및 상태 감시를 위한 양방향 통합제어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양방향 조명제어 기술은 지그비(Zigbee)나 아날로그 무선통신방식에 기반하여 조명시설 자체의 밝기제어, 점멸제어 및 고장상태제어만을 제공하므로 영상촬영까지 요구되는 차량의 교통안전이나 보행자의 범죄 예방에는 한계가 있다. 그에 따라 여성 귀가길 범죄, 쓰레기 무단 투기 및 불법 주정차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CCTV와 같은 영상촬영시설이 반드시 추가로 설치되어야 하는 것이 현실이다. 영상촬영시설의 추가 설치로 인해 시스템 추가 구매 및 설치에 따른 비용과 전용의 유선통신라인 공사 및 통신라인 사용에 따른 비용의 상승 문제가 따른다. 영상촬영시설과 통신 연결되는 관제센터에도 영상 녹화를 상시 기록하기 위한 대용량의 저장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조명시설이나 영상촬영시설은 저속의 통신방식에 기반함에 따라 이동성이 보장되는 개인용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를 통한 영상 녹화 기록의 조회 기능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
한편, 최근에는 원격제어기를 이용하여 조명시설을 제어하는 원격제어기술과 보행자의 움직임에 따라 조명시설을 제어하는 센서기술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원격제어기술의 경우에는 원격제어기를 사용하여 현장에서 직접 제어가 이루어지는 불편함이 있으며, 센서기술의 경우에는 센서 감도나 센싱 범위에 따라 원활한 조명제어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센서기술과 조명기술과 영상촬영기술과 무선통신기술을 일체화하여 범죄, 불법 주정차, 그리고 쓰레기 불법 투기 등의 예방과 공기질 정보 제공에 효과적인 무선통신 및 영상인식 기반의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제센터에 녹화 장비를 구축하지 않고도 이동성이 보장되는 스마트단말기를 통해 영상 녹화 기록과 공기질 정보를 손쉽게 조회하도록 해주는 무선통신 및 영상인식 기반의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및 영상인식 기반의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의 특징은, 감시영역에서의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감시영역에서 동작하는 동작대상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모듈과, 상기 감시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촬영모듈과, 상기 감지영역을 조명하는 조명등모듈과, 상기 영상촬영모듈에서 생성된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카드와, 상기 영상촬영모듈과 상기 조명등모듈과 상기 메모리카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프로세서와, 상기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모듈과, 미리 설정된 알람정보를 출력하는 알람모듈을 포함하는 지능형 보안등 장비; 그리고 상기 지능형 보안등 장비로의 영상 조회 요청과 상기 지능형 보안등 장비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의 출력과 상기 알람모듈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알람정보의 입력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는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로 구성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촬영모듈은 상기 센서모듈과 연동하여 상기 감시영역에서 상기 동작대상을 촬영하여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조명등모듈은 상기 센서모듈과 연동하여 상기 동작대상과의 거리에 대응하는 밝기로 조명하고, 상기 제어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모듈의 감지 값에 기반하여 상기 감시영역에서의 동작 여부를 판단한 결과로부터 상기 영상촬영모듈의 의한 영상 촬영을 제어하고, 상기 센서모듈의 감지 값에 기반하여 상기 동작대상과의 거리를 산출한 결과로부터 상기 조명등모듈의 조명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영상을 상기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로 무선 전송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상기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영상을 직렬버스 규격으로 상기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에 전송하는 범용직렬버스(USB)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식별정보와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식별정보와 비밀번호에 대한 인증을 실시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식별정보와 비밀번호에 대한 인증에 성공함에 따라 상기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영상을 상기 무선통신부 또는 상기 범용직렬버스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프로세서는 상기 영상촬영모듈에서 생성된 영상을 암호화하여 상기 메모리카드에 저장시키되, 상기 수신된 사용자식별정보와 비밀번호에 대한 인증에 성공함에 따라 상기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암호화 영상을 상기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로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암호화 영상의 복원을 위한 복호화 키를 상기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알람모듈은 상기 알람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디바이스와, 상기 알람정보를 영상 또는 문자로 출력하는 영상출력디바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시각 보정을 위한 지피에스 수신모듈을 더 구비하되, 상기 제어프로세서는 상기 지피에스 수신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위성신호에 동기되게 현재 시각을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시각에 기준하여 상기 조명등모듈의 자동 점멸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능형 보안등 장비는 고유한 식별번호를 가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식별번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는 상기 식별번호에 대응되는 상기 지능형 보안등 장비로 상기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영상의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식별번호와 상기 알람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는 상기 식별번호에 대응되는 상기 지능형 보안등 장비로 상기 입력된 알람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감시영역에서의 공기질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프로세서는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공기질 정보를 수치화하여 상기 메모리카드에 저장시키고, 상기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로부터 공기질에 대한 조회가 요청됨에 따라 공기질에 대한 수치화데이터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프로세서는 상기 공기질에 대한 수치화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함에 따라 공기질에 대한 수치화데이터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로 자동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등모듈 및 영상촬영모듈이 센서모듈과 연동하여 범죄, 불법 주정차, 그리고 쓰레기 불법 투기 등의 예방과 공기질 정보 제공을 위한 지능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교통안전이나 보행자의 범죄 예방을 위한 보안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영상촬영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와 센서에 의해 감지된 공기질 정보를 자체 메모리카드에 저장하고, 그 저장된 정보를 무선통신이나 직렬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어서 관제센터에 녹화 장비를 구축하지 않아도 된다. 그에 따라, 녹화 장비 구축에 요구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전용의 유선통신라인 공사 및 통신라인 사용에 따른 비용의 상승 문제가 해소된다.
또한, 영상촬영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와 센서에 의해 감지된 공기질 정보를 이동성이 보장되는 스마트단말기를 통해 쉽게 조회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한다.
추가로, 조명모듈과 영상촬영모듈이 일체화된 지능형 보안등 장비를 사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복잡한 장비에 대한 대체 효과가 탁월하며 신규 설치나 교체나 유지 보수에 요구되는 작업 시간 및 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및 영상인식 기반의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다이어그램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및 영상인식 기반의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에서 지능형 보안등 장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및 영상인식 기반의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에서 지능형 보안등 장비의 통신모듈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및 영상인식 기반의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에서 지능형 보안등 장비의 알람모듈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및 영상인식 기반의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및 영상인식 기반의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및 영상인식 기반의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은 지능형 보안등 장비(100)와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200)로 구성된다.
지능형 보안등 장비(100)는 센서모듈(110)과 영상촬영모듈(120)과 조명등모듈(130)과 메모리카드(140)와 통신모듈(150)과 알람모듈(160)과 지피에스 수신모듈(170)과 제어프로세서(180)로 구성된다.
센서모듈(110)은 감시영역에서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 그 감시영역에서 동작하는 동작대상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 그리고 공기질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촬영모듈(120)은 감시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을 생성한다.
조명등모듈(130)은 감지영역을 조명하는 것으로, LED 조명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모리카드(140)는 영상촬영모듈(120)에서 생성된 영상을 저장하고, 센서모듈(110)에서 감지된 공기질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카드(140)에 저장되는 영상이나 공기질 정보는 암호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 암호화에 대해 설명은 후술한다.
통신모듈(150)은 메모리카드(140)에 저장된 영상이나 공기질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고, 또한 영상이나 공기질 정보에 대한 요청신호를 외부로부터 수신하며, 후술되는 알람 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신한다.
알람모듈(160)은 미리 설정된 알람 정보를 출력한다.
지피에스(GPS) 수신모듈(170)은 시각을 보정하기 위한 정보를 위성으로부터 수신한다.
제어프로세서(180)는 센서모듈(110), 영상촬영모듈(120), 조명등모듈(130), 메모리카드(140), 통신모듈(150), 알람모듈(160), 그리고 지피에스(GPS) 수신모듈(170)의 동작을 제어한다.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200)는 지능형 보안등 장비(100)로 영상이나 공기질 정보에 대한 조회를 요청하고, 지능형 보안등 장비(1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이나 공기질 정보를 출력하고, 알람모듈(160)을 통해 출력되는 알람정보를 입력받아 지능형 보안등 장비(100)로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210)을 구비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및 영상인식 기반의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에서 지능형 보안등 장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및 영상인식 기반의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에서 지능형 보안등 장비의 통신모듈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및 영상인식 기반의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에서 지능형 보안등 장비의 알람모듈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및 영상인식 기반의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에서 지능형 보안등 장비는 센서기술과 조명기술과 영상촬영기술과 무선통신기술이 일체화된 장비이다.
영상촬영모듈(120)은 센서모듈(110)과 연동하여 해당 감시영역에서 움직이는 동작대상을 촬영하고 그에 따른 영상을 생성한다. 특히, 영상촬영모듈(120)은 모터에 의해 구동하여 센서모듈(110)에 의해 동작이 감지되는 동작대상의 위치를 추적하면서 해당하는 동작대상을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명등모듈(130)은 센서모듈(110)과 연동하여 동작대상과의 거리에 대응하는 밝기로 조명한다. 특히 조명등모듈(130)은 센서모듈(110)에 의해 감지되는 동작대상과의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밝기로 조명한다.
영상 촬영에 대한 제어나 동작대상과의 거리에 따른 조명 밝기에 대한 제어는 제어프로세서(180)의 제어신호에 따른다. 즉, 제어프로세서(180)는 센서모듈(110)의 감지 값에 기반하여 감시영역에서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로부터 영상촬영모듈(120)의 의한 영상 촬영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프로세서(180)는 센서모듈(110)의 감지 값에 기반하여 동작대상과의 거리를 산출하고, 그 산출 결과로부터 조명등모듈(130)의 조명 밝기를 제어한다.
제어프로세서(180)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카드(140)는 영상촬영모듈(120)에서 생성된 영상을 저장하고, 센서모듈(110)에서 감지된 공기질 정보를 저장한다.
제어프로세서(180)의 제어에 따라, 통신모듈(150)은 메모리카드(140)에 저장된 영상을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200)로 무선 전송하는 무선통신부(151)와,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200)가 전기적으로 유선 연결됨에 따라 메모리카드(140)에 저장된 영상을 직렬버스 규격으로 그 유선 연결된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200)에 전송하는 범용직렬버스(USB) 인터페이스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알람모듈(160)은 알람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디바이스(161)와, 그 알람정보를 영상 또는 문자로 출력하는 영상출력디바이스(162)를 구비할 수 있다. 알람모듈(160)은 감지지역에서의 불법 주정차나 쓰레기 불법투기 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제어프로세서(180)는 시간 경과에 따라 설정된 조건(시간대별 조명 점멸 및 시간대별 조명 밝기)으로 조명등모듈(130)을 제어하며, 조명등모듈(130)의 제어에는 지피에스 수신모듈(170)을 통해 수신된 위성신호에 기반한 시각 보정과 함께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어프로세서(180)는 지피에스 수신모듈(170)을 통해 수신되는 위성신호에 동기되게 현재 시각을 보정하고, 그 보정된 시각에 기준하여 조명등모듈(130)의 자동 점멸을 제어한다. 따라서, 조명등모듈(130)은 제어프로세서(180)의 조명 제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제1시각에 특정 수준의 밝기로 점등되고, 점등된 상태에서 시간경과에 따라 밝기가 조절되고, 미리 설정된 제2시각에 멸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및 영상인식 기반의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은 데이터의 보안과 안정성과 정확한 원격제어를 보장하기 위해, 생성된 정보의 암호화, 사용자에 대한 인증, 그리고 장비의 식별화를 지원한다. 이에 대해 이하에서 상세한다.
제어프로세서(180)는 영상촬영모듈(120)에서 생성된 영상을 암호화하고, 그 암호화된 영상을 메모리카드(140)에 저장시킨다.
제어프로세서(180)는 메모리카드(140)에 저장된 정보를 전송하기 이전에 정보를 요청한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선행한다.
상기한 암호화와 사용자 인증을 적용한 일 예로, 제어프로세서(180)는 영상촬영모듈(120)에서 생성된 영상을 암호화하여 메모리카드(140)에 저장시킨다. 이후에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200)로부터 영상 조회에 대한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그 요청신호에 포함되는 사용자식별정보와 비밀번호에 대한 인증을 실시한다. 만약 수신된 사용자식별정보와 비밀번호에 대한 인증에 성공하면, 제어프로세서(180)는 메모리카드(140)에 저장된 암호화 영상을 무선통신부(151) 또는 범용직렬버스 인터페이스부(152)를 통해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200)로 전송하고, 또한 그 암호화 영상을 복원하는데 사용되는 복호화 키를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200)는 수신된 복호화 키를 사용하여 또한 수신된 암호화 영상을 복원하고, 구비된 어플리케이션(210)을 통해 출력한다. 추가 예로써, 암호화 영상과 복호화 키의 전송은 서로 다른 통신방식으로 독립되게 전송될 수도 있는데, 즉 암호화 영상은 무선통신부(151)를 통해 전송하고 복호화 키는 범용직렬버스 인터페이스부(152)를 통해 전송할 수도 있고, 암호화 영상은 범용직렬버스 인터페이스부(152)를 통해 전송하고 복호화 키는 무선통신부(151)를 통해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정확한 원격제어를 위해 지능형 보안등 장비(100)는 고유한 식별번호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지능형 보안등 장비(100)는 여러 지역에 다수 개가 분포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각기 고유한 식별번호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정확한 원격제어를 적용한 일 예로,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200)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영상 조회 및/또는 공기질 정보의 조회가 요청되면서 정보 조회가 요구되는 지능형 보안등 장비(100)의 식별번호가 입력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200)는 입력된 식별번호에 대응되는 지능형 보안등 장비(100)를 지정하여 그의 메모리카드(140)에 저장된 영상의 조회 및/또는 공기질 정보의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지능형 보안등 장비(100)에 부여되는 식별번호의 추가 적용 예로는, 지능형 보안등 장비(100)에 지정하여 알람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200)의 어플리케이션(210)을 통해 지능형 보안등 장비(100)의 식별번호와 알람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100)는 그 입력된 식별번호에 대응되는 지능형 보안등 장비(100)로 그 입력된 알람정보를 지정하여 전송할 수 있다.
추가 예로, 본 발명에서는 감시영역에서의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시간 단위로 저장한 후 그 저장된 공기질 정보를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200)의 요청에 따라 단순하게 제공할 수도 있고, 또는 데이터 전송량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특정 수준 이상으로 공기질이 나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경보하는 식으로 자동 전송할 수도 있다.
상세하게, 제어프로세서(180)는 센서에 의해 감지된 공기질 정보를 수치화한다. 그 공기질에 대한 수치화데이터는 메모리카드(140)에 저장될 수 있다. 이후에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200)로부터 공기질에 대한 조회가 요청됨에 따라 그 공기질에 대한 수치화데이터를 통신모듈(150)을 통해 해당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프로세서(180)는 공기질에 대한 수치화 값을 미리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한다. 그 비교 결과에서 공기질에 대한 수치화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면, 해당 공기질에 대한 수치화데이터를 통신모듈(160)을 통해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200)로 자동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지능형 보안등 장비
110 : 센서모듈 120: 영상촬영모듈
130: 조명등모듈 140: 메모리카드
150: 통신모듈 160: 알람모듈
170: 지피에스 수신모듈 180: 제어프로세서
200: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

Claims (12)

  1. 감시영역에서의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감시영역에서 동작하는 동작대상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모듈과, 상기 감시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촬영모듈과, 상기 감지영역을 조명하는 조명등모듈과, 상기 영상촬영모듈에서 생성된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카드와, 상기 영상촬영모듈과 상기 조명등모듈과 상기 메모리카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프로세서와, 상기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모듈과, 미리 설정된 알람정보를 출력하는 알람모듈을 포함하는 지능형 보안등 장비; 그리고
    상기 지능형 보안등 장비로의 영상 조회 요청과 상기 지능형 보안등 장비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의 출력과 상기 알람모듈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알람정보의 입력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는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및 영상인식 기반의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촬영모듈은 상기 센서모듈과 연동하여 상기 감시영역에서 상기 동작대상을 촬영하여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조명등모듈은 상기 센서모듈과 연동하여 상기 동작대상과의 거리에 대응하는 밝기로 조명하고,
    상기 제어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모듈의 감지 값에 기반하여 상기 감시영역에서의 동작 여부를 판단한 결과로부터 상기 영상촬영모듈의 의한 영상 촬영을 제어하고, 상기 센서모듈의 감지 값에 기반하여 상기 동작대상과의 거리를 산출한 결과로부터 상기 조명등모듈의 조명 밝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및 영상인식 기반의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영상을 상기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로 무선 전송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상기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영상을 직렬버스 규격으로 상기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에 전송하는 범용직렬버스(USB)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및 영상인식 기반의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식별정보와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식별정보와 비밀번호에 대한 인증을 실시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식별정보와 비밀번호에 대한 인증에 성공함에 따라 상기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영상을 상기 무선통신부 또는 상기 범용직렬버스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및 영상인식 기반의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프로세서는 상기 영상촬영모듈에서 생성된 영상을 암호화하여 상기 메모리카드에 저장시키되, 상기 수신된 사용자식별정보와 비밀번호에 대한 인증에 성공함에 따라 상기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암호화 영상을 상기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로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암호화 영상의 복원을 위한 복호화 키를 상기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및 영상인식 기반의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모듈은,
    상기 알람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디바이스와,
    상기 알람정보를 영상 또는 문자로 출력하는 영상출력디바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및 영상인식 기반의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시각 보정을 위한 지피에스 수신모듈을 더 구비하되,
    상기 제어프로세서는 상기 지피에스 수신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위성신호에 동기되게 현재 시각을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시각에 기준하여 상기 조명등모듈의 자동 점멸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및 영상인식 기반의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보안등 장비는 고유한 식별번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및 영상인식 기반의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식별번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는 상기 식별번호에 대응되는 상기 지능형 보안등 장비로 상기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영상의 조회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및 영상인식 기반의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식별번호와 상기 알람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는 상기 식별번호에 대응되는 상기 지능형 보안등 장비로 상기 입력된 알람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및 영상인식 기반의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감시영역에서의 공기질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프로세서는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공기질 정보를 수치화하여 상기 메모리카드에 저장시키고, 상기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로부터 공기질에 대한 조회가 요청됨에 따라 공기질에 대한 수치화데이터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및 영상인식 기반의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프로세서는,
    상기 공기질에 대한 수치화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함에 따라 공기질에 대한 수치화데이터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용 스마트단말기로 자동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및 영상인식 기반의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


KR1020170009228A 2017-01-19 2017-01-19 무선통신 및 영상인식 기반의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 KR201700183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228A KR20170018361A (ko) 2017-01-19 2017-01-19 무선통신 및 영상인식 기반의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228A KR20170018361A (ko) 2017-01-19 2017-01-19 무선통신 및 영상인식 기반의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361A true KR20170018361A (ko) 2017-02-17

Family

ID=58265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228A KR20170018361A (ko) 2017-01-19 2017-01-19 무선통신 및 영상인식 기반의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83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40182A (zh) * 2018-01-16 2018-05-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报警方法和移动终端
CN109300268A (zh) * 2018-11-08 2019-02-01 华南理工大学 一种基于图像识别的警示光智能调整方法及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40182A (zh) * 2018-01-16 2018-05-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报警方法和移动终端
CN109300268A (zh) * 2018-11-08 2019-02-01 华南理工大学 一种基于图像识别的警示光智能调整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0100B2 (en) Imaging service using outdoor lighting networks
KR100956125B1 (ko) 어린이 보호구역용 통합 보안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US10192440B2 (en) System for displaying parking spaces
KR101743689B1 (ko) 통합 방범 지능형 cctv의 영상 처리 방법 및 통합 방범 지능형 cctv 시스템
US20190008019A1 (en) Method of controlling a light intensity of a light source in a light network
KR101525364B1 (ko) 전방위 카메라를 사용하는 차량번호 인식 노상주차 시스템
CN106415686A (zh) 可训练收发器和摄像系统及方法
KR102017800B1 (ko) 단속 정확도 및 효율성을 높인 단속차량
KR20150018037A (ko) 관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제 방법
KR20180030796A (ko) 환경 정보 제공이 가능한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
KR20170018361A (ko) 무선통신 및 영상인식 기반의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
KR100907548B1 (ko) 스쿨존 방범, 무단횡단 방지 및 차량의 불법 주정차 단속을위한 통합 감시 시스템
KR102101619B1 (ko) 모션 디텍팅 기술을 이용하여 가로등의 전원제어가 가능한 영상감시시스템
KR101479178B1 (ko) 가로등을 대체할 수 있는 cctv용 지능형 카메라장치
KR20090035394A (ko) 위법차량 감시시스템
KR102276548B1 (ko) 메쉬방식의 블루투스 비상벨 시스템
KR101625571B1 (ko) 영상감시시스템을 이용한 차량번호인식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925382B1 (ko) 위법차량 감시시스템
KR20170027032A (ko) 고속도로상의 야간 갓길주차 차량의 안전 주·정차를 위한 시스템
KR20060116758A (ko) 골목길 통합 감시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90011780U (ko) 카메라 일체형 엘이디 가로등
JP2004240701A (ja) 旅行時間計測システム,コーン,車番認識システム
KR102056065B1 (ko) 보안등 관제 시스템
KR20220142227A (ko) 배달 오토바이 기반 자료 수집지원 시스템
KR101303230B1 (ko) 카메라 모듈이 채용된 led 보안등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