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0796A - 환경 정보 제공이 가능한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 - Google Patents

환경 정보 제공이 가능한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0796A
KR20180030796A KR1020180021735A KR20180021735A KR20180030796A KR 20180030796 A KR20180030796 A KR 20180030796A KR 1020180021735 A KR1020180021735 A KR 1020180021735A KR 20180021735 A KR20180021735 A KR 20180021735A KR 20180030796 A KR20180030796 A KR 20180030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module
intelligent security
information
smar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의석
윤정한
권행남
Original Assignee
서울특별시 관악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특별시 관악구 filed Critical 서울특별시 관악구
Priority to KR1020180021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0796A/ko
Publication of KR20180030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07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05B37/0227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능형 보안 기술에 있어서, 특히 각종 장소에 설치되어 영상인식 기반의 디밍 제어(dimming control)와 영상 녹화 및 실시간 영상 조회를 지원함은 물론 공기질, 온도, 습도 및 진동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날씨와 공기질 관련 환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해 주는 환경 정보 제공이 가능한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감시영역에서의 동작을 감지하고 감시영역에서 동작하는 동작대상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제1센서모듈과, 감시영역에서의 온도, 습도, 진동 및 공기질을 일정 주기로 감지하는 제2센서모듈과, 감시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촬영모듈과, 감지영역을 조명하는 조명등모듈과, 영상촬영모듈에서 생성된 영상과 제1센서모듈에서 감지된 제1센서정보와 제2센서모듈에서 감지된 제2센서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카드와, 제1센서모듈과 제2센서모듈과 영상촬영모듈과 조명등모듈과 메모리카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프로세서와,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영상과 제1센서정보와 제2센서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모듈과, 제1센서정보와 제2센서정보에 근거하여 미리 설정된 알람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모듈을 각각 포함하는 다수 개의 지능형 보안등 장비; 다수 개의 지능형 보안등 장비로부터 각 감시영역에서의 온도, 습도, 진동 및 공기질을 감지한 제2센서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제2센서정보로부터 각 감시영역의 환경 레벨 값을 산출하여 각 감시영역을 나타내는 지도에 해당하는 환경 레벨 값을 표시하기 위한 맵핑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서 생성된 맵핑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관제센터; 그리고 지능형 보안등 장비로의 영상의 조회 요청과, 지능형 보안등 장비로의 제2센서정보의 상세 조회 요청과, 지능형 보안등 장비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의 출력과, 관제센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맵핑 데이터를 사용하여 환경 레벨 값을 각 감시영역에 대응되게 지도에 표시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는 스마트단말기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인 발명이다.

Description

환경 정보 제공이 가능한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INTELLIGENT SAFETY LIGHTING SYSTEM CAPABEL OF PROVIDING ENVIRONMENT INFORMATION}
본 발명은 지능형 보안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장소에 설치되어 영상인식 기반의 디밍 제어(dimming control)와 영상 녹화 및 실시간 영상 조회를 지원함은 물론 공기질, 온도, 습도 및 진동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날씨와 공기질 관련 환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해 주는 환경 정보 제공이 가능한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이나 보안등이라 함은 교통의 안전과 보행자에 대한 범죄 예방의 보안을 위하여 도로, 주택가, 골목, 공원, 놀이터 및 공터 등의 공간에 설치되는 조명시설이다. 조명시설의 광원으로는 고압 수은등, 형광등, 나트륨 등, 및 보통의 전구 등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에너지 효율 및 수명 등을 고려하여 LED조명으로 교체되고 있으며, 지속적인 조명시설 교체가 요구되고 있다.
가로등과 보안등을 포함하는 조명시설은 차량의 교통안전이나 보행자의 범죄 예방을 위한 보안에 일조를 하고는 있지만 조명 역할 이외에 다른 용도로는 거의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산업과 과학의 발달은 인간에게 편리함을 제공하였으나 심각한 자연환경 문제의 원인도 제공하였다.
앞으로도 자연환경의 파괴는 점점 더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인간 생활에 필수적인 물과 공기의 오염도 한계에 다다른 것으로 예상된다.
과거에는 물의 오염에 따른 수질에 관심이 집중되었으나, 최근에는 인체에 유해한 가스로 인한 사고나 질병이 빈번하면서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질소산화물, 석면, 휘발성 유기화합물, 포름알데히드, 라돈, 불소 및 오존에 의한 오염으로 인해 공기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정부에서도 공기질 권고기준을 마련하는 등 정책적으로 규제 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공기에 대한 오염에 관심이 집중되면서 공기로 인한 많은 사건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인간이 보다 좋은 환경을 찾아가고자 하는 욕망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많은 업체에서 공기 측정기를 개발하여 출시하고 있으나 그 측정 대상이 극히 한정되어 있어서 다양한 유해 물질을 검출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한 상당히 고가인 점도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지능형 보안등과 같이 이미 많은 지역에 설치된 기기를 활용하여 다양한 날씨와 공기질 관련 환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센서기술과 조명기술과 영상촬영기술과 무선통신기술을 일체화하여 범죄, 불법 주정차, 그리고 쓰레기 불법 투기 등의 예방은 물론 다양한 날씨와 공기질 관련 환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환경 정보 제공이 가능한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제센터에 녹화 장비를 구축하지 않고도 이동성이 보장되는 스마트단말기를 통해 영상 녹화 기록과 환경 정보를 손쉽게 조회하도록 해주는 환경 정보 제공이 가능한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공기질, 온도, 습도 및 진동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날씨와 공기질 관련 환경 정보를 추정할 수 있는 요소들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해 주는 환경 정보 제공이 가능한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환경 정보 제공이 가능한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의 특징은, 감시영역에서의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감시영역에서 동작하는 동작대상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제1센서모듈과, 상기 감시영역에서의 온도, 습도, 진동 및 공기질을 일정 주기로 감지하는 제2센서모듈과, 상기 감시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촬영모듈과, 상기 감지영역을 조명하는 조명등모듈과, 상기 영상촬영모듈에서 생성된 영상과 상기 제1센서모듈에서 감지된 제1센서정보와 상기 제2센서모듈에서 감지된 제2센서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카드와, 상기 제1센서모듈과 상기 제2센서모듈과 상기 영상촬영모듈과 상기 조명등모듈과 상기 메모리카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프로세서와, 상기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영상과 상기 제1센서정보와 상기 제2센서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제1센서정보와 상기 제2센서정보에 근거하여 미리 설정된 알람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모듈을 각각 포함하는 다수 개의 지능형 보안등 장비; 상기 다수 개의 지능형 보안등 장비로부터 각 감시영역에서의 온도, 습도, 진동 및 공기질을 감지한 제2센서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제2센서정보로부터 각 감시영역의 환경 레벨 값을 산출하여 각 감시영역을 나타내는 지도에 해당하는 환경 레벨 값을 표시하기 위한 맵핑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상기 맵핑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관제센터; 그리고 상기 지능형 보안등 장비로의 영상의 조회 요청과, 상기 지능형 보안등 장비로의 제2센서정보의 상세 조회 요청과, 상기 지능형 보안등 장비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의 출력과, 상기 관제센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맵핑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환경 레벨 값을 각 감시영역에 대응되게 상기 지도에 표시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는 스마트단말기로 구성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영상과 제1센서정보와 제2센서정보를 블루투스 비콘신호로 상기 스마트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제2센서정보를 로라(LoRa: Long Range) 통신으로 상기 관제센터에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센서모듈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센서, 그리고 흡입된 공기로부터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센서를 구비하되, 상기 공기질센서가 상기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도록, 흡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팬과 흡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질센서로 전달하기 위한 유로관과 측정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출력모듈은 상기 알람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디바이스와, 상기 알람정보를 영상 또는 문자로 출력하는 영상출력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출력디바이스는 상기 제2센서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관제센터에서 산출한 환경 레벨 값의 유해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각적 형상을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능형 보안등 장비는 고유한 식별번호를 가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단말기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특정 지능형 보안등 장비의 식별번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스마트단말기는 상기 입력된 식별번호를 사용하여 상기 특정 지능형 보안등 장비의 맵핑 데이터를 상기 관제센터로 요청하고, 상기 관제센터로부터 상기 식별번호에 대응되는 지능형 보안등 장비의 맵핑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프로세서는 상기 제2센서모듈에 의해 감지된 온도, 습도, 진동 및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각각 수치화하여 상기 메모리카드에 저장시키고, 상기 스마트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센서정보에 대한 조회가 요청됨에 따라 상기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수치화데이터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스마트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프로세서는 상기 수치화데이터와 함께 상기 수치화데이터에 대한 유해 정도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스마트단말기로 더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등모듈 및 영상촬영모듈이 센서모듈과 연동하여 범죄, 불법 주정차, 그리고 쓰레기 불법 투기 등의 예방은 물론 공기질, 온도, 습도 및 진동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날씨와 공기질 관련 환경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차량의 교통안전이나 보행자의 범죄 예방을 위한 보안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면서도 사용자가 쉽게 날씨와 공기질 관련 환경 정보를 통해 자신이 위치한 공간의 쾌적정도를 가늠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영상촬영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와 센서에 의해 감지된 날씨와 공기질에 대한 상세정보를 자체 메모리카드에 저장하고, 그 저장된 정보를 무선 연결된 스마트단말기에 비콘신호로 전달하기 때문에 관제센터에 별도의 녹화 장비가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 입장에서도 자신이 위치하는 지점과 그 주변에 대한 공기 질, 온도, 습도 및 진동 등의 날씨와 환경 정보를 시각적으로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직접적으로 알 수 있고, 관제센터로부터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 원하는 주소의 공기 질, 온도, 습도 및 진동 등의 날씨와 환경 정보를 자신의 스마트단말기를 통해 알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게 다양한 날씨 및 환경 정보는 원격에서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경 정보 제공이 가능한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다이어그램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경 정보 제공이 가능한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에서 하나의 지능형 보안등 장비와 연동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다이어그램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경 정보 제공이 가능한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에서 지능형 보안등 장비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경 정보 제공이 가능한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경 정보 제공이 가능한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다이어그램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경 정보 제공이 가능한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에서 하나의 지능형 보안등 장비와 연동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다이어그램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경 정보 제공이 가능한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에서 지능형 보안등 장비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지능형 보안등 장비 들(100,110,120)과 관제센터(200)와 스마트단말기(300)로 구성된다.
지능형 보안등 장비들(100,110,120)은 각 위치에 대응되는 고유한 식별번호를 가지며, 그 식별번호는 주소일 수 있다. 여기서, 주소는 후술되는 스마트단말기(300)로 입력되어 특정 지능형 보안등 장비를 검색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단말기(3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주소를 입력하면, 해당 주소에 위치한 지능형 보안등 장비에서 제공한 날씨정보나 환경정보를 관제센터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지능형 보안등 장비들(100,110,120) 중에 하나의 구성에 대해 이하 설명하며, 다른 지능형 보안등 장비들(110,120)도 이하의 지능형 보안등 장비(10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지능형 보안등 장비(100)는 제1센서모듈(110)과 제2센서모듈(120)과 영상촬영모듈(130)과 조명등모듈(140)과 통신모듈(150)과 메모리카드(160)와 출력모듈(170)과 제어프로세서(180)로 구성된다.
제1센서모듈(110)은 감시영역에서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와 그 감시영역에서 동작하는 동작대상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센서모듈(120)은 감시영역에서의 온도, 습도, 진동 및 공기질을 일정 주기로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제2센서모듈(120)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센서, 그리고 흡입된 공기로부터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공기질센서가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도록, 제2센서모듈(110)은 지능형 보안등 장비(100)의 하우징에 구비되는 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팬과 흡입된 공기를 공기질센서로 전달하기 위한 유로관과 이미 측정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공기질센서는 흡입된 공기에서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질소산화물, 석면, 휘발성 유기화합물, 포름알데히드, 라돈, 불소 및 오존 중 적어도 하나의 양을 측정한다.
영상촬영모듈(130)은 감시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을 생성한다.
조명등모듈(140)은 감지영역을 조명하는 것으로, LED 조명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모리카드(160)는 영상촬영모듈(130)에서 생성된 영상을 저장하고, 제1센서모듈(110)에서 감지된 제1센서정보와 제2센서모듈(120)에서 감지된 제2센서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카드(160)에 저장되는 영상이나 제1센서정보나 제2센서정보는 암호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 암호화에 대해 설명은 후술한다.
통신모듈(150)은 메모리카드(160)에 저장된 영상이나 제1센서정보나 제2센서정보를 외부로 전송한다. 또한, 영상이나 제2센서정보에 대한 요청신호를 수신하며, 후술되는 알람 정보를 관제센터로부터 수신한다.
특히 통신모듈(150)은 메모리카드(160)에 저장된 영상과 제1센서정보와 제2센서정보를 블루투스 비콘신호로 스마트단말기(300)에 전송하고, 메모리카드(160)에 저장된 제2센서정보를 로라(LoRa: Long Range) 통신으로 관제센터(200)에 전송한다.
출력모듈(170)은 미리 설정된 알람 정보를 출력한다. 특히, 출력모듈(170)은 음성출력디바이스와 영상출력디바이스를 구비하는데, 음성출력디바이스는 알람정보를 미리 설정된 음성으로 출력하며, 영상출력디바이스는 알람정보를 영상 또는 문자 등의 시각적 수단으로 출력한다. 특히, 영상출력디바이스는 제2센서정보를 사용하여 관제센터(200)에서 산출한 환경 레벨 값의 유해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각적 형상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해 정도는 나쁨(유해한 수준), 보통, 좋음(유해하지 않은 수준)과 같이 구분될 수 있으며, 관제센터(200)에서 산출한 환경 레벨 값이 유해한 수준(나쁨)인 경우에는 우는 형상, 환경 레벨 값이 보통 수준(보통)인 경우에는 무표정 형상, 환경 레벨 값이 깨끗한 수준(좋음)인 경우에는 웃는 형상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프로세서(180)는 제1센서모듈(110), 제2센서모듈(120), 영상촬영모듈(130), 조명등모듈(140), 메모리카드(160), 통신모듈(150), 그리고 출력모듈(17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프로세서(180)는 제2센서모듈(120)에 의해 감지된 온도, 습도, 진동 및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각각 수치화하여 메모리카드(160)에 저장시키고, 스마트단말기(300)로부터 제2센서정보에 대한 조회가 요청되면 메모리카드(160)에 저장된 수치화데이터를 통신모듈(150)을 통해 스마트단말기(3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프로세서(180)는 사용자가 수치화데이터가 어느 정도 유해한 지를 알 수 있도록 수치화데이터와 함께 그 수치화데이터에 대한 유해 정도를 통신모듈(150)을 통해 스마트단말기(300)로 더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지능형 보안등 장비들(100,110,120)은 자신의 감시영역에서 촬영된 영상, 감지된 제1센서정보나 제2센서정보를 관제센터(2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기능의 효율성을 위해 제2센서정보만을 관제센터(200)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제센터(200)는 다수 개의 지능형 보안등 장비로부터 각 감시영역에서의 온도, 습도, 진동 및 공기질을 감지한 제2센서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210)와, 그 수신부(210)에 의해 수신된 제2센서정보로부터 각 감시영역의 환경 레벨 값을 산출하여 각 감시영역을 나타내는 지도에 해당하는 환경 레벨 값을 표시하기 위한 맵핑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220)와, 스마트단말기(300)로부터 특정 감시영역에 대한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에 제어부(220)에서 생성된 맵핑 데이터를 스마트단말기(300) 전송하는 송신부(230)를 포함한다.
관제센서(200)는 다수 감시영역에 위치하는 지능형 보안등 장비들(100,110,120)로부터 측정된 제2센서정보를 수신한다. 이후에 제어부(220)는 수신된 제2센서정보를 각 감시영역 별 또는 지능형 보안등 장비 별로 환경 레벨 값을 산출하고, 각 감시영역을 나타내는 지도에 산출된 감시영역 별 또는 지능형 보안등 장비 별 환경 레벨 값을 표시하기 위한 맵핑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후에 송신부(23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지도가 표시 중인 스마트단말기로 생성된 맵핑 데이터를 전송한다.
스마트단말기(300)는 자신이 위치한 감시영역의 지능형 보안등 장비(100)로부터 영상을 수신하여 출력하고, 관제센터(200)로부터 수신된 맵핑 데이터를 사용하여 환경 레벨 값을 지도에 표시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한다.
스마트단말기(300)에 구비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단말기(300)가 위치한 감시영역의 지능형 보안등 장비(100)로 영상 조회를 요청하는 기능, 그 지능형 보안등 장비(100)로 제2센서정보의 상세 조회를 직접 요청하는 기능, 그 지능형 보안등 장비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출력하는 기능, 스마트단말기(300)가 위치한 감시영역의 지능형 보안등 장비(100)는 물론 다른 감시영역의 지능형 보안등 장비(110,120)에서 감지된 제2센서정보를 관제센터(200)에 요청하는 기능, 관제센터(200)로부터 수신되는 맵핑 데이터를 사용하여 환경 레벨 값을 각 감시영역에 대응되게 지도에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환경 정보 제공이 가능한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에서 지능형 보안등 장비는 센서기술과 조명기술과 영상촬영기술과 무선통신기술이 일체화된 장비이다.
영상촬영모듈(130)은 제1센서모듈(110)과 연동하여 해당 감시영역에서 움직이는 동작대상을 촬영하고 그에 따른 영상을 생성한다. 특히, 영상촬영모듈(130)은 모터에 의해 구동하여 제1센서모듈(110)에 의해 동작이 감지되는 동작대상의 위치를 추적하면서 해당하는 동작대상을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명등모듈(140)은 제1센서모듈(110)과 연동하여 동작대상과의 거리에 대응하는 밝기로 조명한다. 특히 조명등모듈(140)은 제1센서모듈(110)에 의해 감지되는 동작대상과의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밝기로 조명한다.
영상 촬영에 대한 제어나 동작대상과의 거리에 따른 조명 밝기에 대한 제어는 제어프로세서(180)의 제어신호에 따른다. 즉, 제어프로세서(180)는 제1센서모듈(110)의 감지 값에 기반하여 감시영역에서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로부터 영상촬영모듈(130)의 의한 영상 촬영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프로세서(180)는 제1센서모듈(110)의 감지 값에 기반하여 동작대상과의 거리를 산출하고, 그 산출 결과로부터 조명등모듈(140)의 조명 밝기를 제어한다.
제어프로세서(180)는 시간 경과에 따라 설정된 조건(시간대별 조명 점멸 및 시간대별 조명 밝기)으로 조명등모듈(140)을 제어한다. 제어프로세서(180)는 위성신호에 동기되게 보정된 시각에 기준하여 조명등모듈(140)의 자동 점멸을 제어한다. 따라서, 조명등모듈(140)은 제어프로세서(180)의 조명 제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제1시각에 특정 수준의 밝기로 점등되고, 점등된 상태에서 시간경과에 따라 밝기가 조절되고, 미리 설정된 제2시각에 멸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데이터의 보안과 안정성과 정확한 원격제어를 보장하기 위해, 생성된 정보의 암호화, 사용자에 대한 인증, 그리고 장비의 식별화를 지원한다. 이에 대해 이하에서 상세한다.
제어프로세서(180)는 영상촬영모듈(130)에서 생성된 영상을 암호화하고, 그 암호화된 영상을 메모리카드(160)에 저장시킨다.
제어프로세서(180)는 메모리카드(160)에 저장된 정보를 전송하기 이전에 정보를 요청한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선행한다.
상기한 암호화와 사용자 인증을 적용한 일 예로, 제어프로세서(180)는 영상촬영모듈(130)에서 생성된 영상을 암호화하여 메모리카드(160)에 저장시킨다. 이후에 스마트단말기(300)로부터 영상 조회에 대한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그 요청신호에 포함되는 사용자식별정보와 비밀번호에 대한 인증을 실시한다. 만약 수신된 사용자식별정보와 비밀번호에 대한 인증에 성공하면, 제어프로세서(180)는 메모리카드(160)에 저장된 암호화 영상을 스마트단말기(300)로 전송하고, 또한 그 암호화 영상을 복원하는데 사용되는 복호화 키를 스마트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스마트단말기(300)는 수신된 복호화 키를 사용하여 또한 수신된 암호화 영상을 복원하고, 구비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한다.
지능형 보안등 장비들(100,110,120)은 고유한 식별번호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지능형 보안등 장비들(100,110,120)은 여러 지역에 다수 개가 분포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각기 고유한 식별번호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마트단말기(300)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날씨 및 환경정보의 조회가 요청되면서 정보 조회가 요구되는 지능형 보안등 장비의 식별번호가 입력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스마트단말기(300)는 입력된 식별번호에 대응되는 지능형 보안등 장비를 지정하여 관제센터(200)에 해당 지능형 보안등 장비에 대한 날씨 및 환경정보의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관제센터(200)는 지능형 보안등 장비들(100,110,120)의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수치화데이터(온도, 습도, 진동 및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각각 수치화한 데이터)를 일정 주기로 수신한다.
관제센터(200)는 지능형 보안등 장비들(100,110,120)로부터 수신된 수치화데이터를 사용하여 각 감시영역의 환경 레벨 값을 산출하고, 그 산출된 환경 레벨 값을 지도에 표시하기 위한 맵핑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후에 스마트단말기(300)로부터 특정 감시영역에 대한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에 미리 생성된 맵핑 데이터를 스마트단말기(300) 전송한다. 또한, 관제센터(200)는 각 감시영역의 환경 레벨 값이 유해한지 유해하지 않은지를 검사하여 그에 따른 각 감시영역 별 유해 정보를 스마트단말기(300)로 더 전송할 수 있으며, 그 유해 정보는 맵핑 데이터에 포함된 형태일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110,120: 지능형 보안등 장비
110 : 제1센서모듈 120: 제2센서모듈
130: 영상촬영모듈 140:조명등모듈
150: 통신모듈 160: 메모리카드
170: 출력모듈 180: 제어프로세서
200: 관제센터
300: 스마트단말기

Claims (8)

  1. 감시영역에서의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감시영역에서 동작하는 동작대상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제1센서모듈과, 상기 감시영역에서의 온도, 습도, 진동 및 공기질을 일정 주기로 감지하는 제2센서모듈과, 상기 감시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촬영모듈과, 상기 감지영역을 조명하는 조명등모듈과, 상기 영상촬영모듈에서 생성된 영상과 상기 제1센서모듈에서 감지된 제1센서정보와 상기 제2센서모듈에서 감지된 제2센서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카드와, 상기 제1센서모듈과 상기 제2센서모듈과 상기 영상촬영모듈과 상기 조명등모듈과 상기 메모리카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프로세서와, 상기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영상과 상기 제1센서정보와 상기 제2센서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제1센서정보와 상기 제2센서정보에 근거하여 미리 설정된 알람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모듈을 각각 포함하는 다수 개의 지능형 보안등 장비;
    상기 다수 개의 지능형 보안등 장비로부터 각 감시영역에서의 온도, 습도, 진동 및 공기질을 감지한 제2센서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제2센서정보로부터 각 감시영역의 환경 레벨 값을 산출하여 각 감시영역을 나타내는 지도에 해당하는 환경 레벨 값을 표시하기 위한 맵핑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상기 맵핑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관제센터; 그리고
    상기 지능형 보안등 장비로의 영상의 조회 요청과, 상기 지능형 보안등 장비로의 제2센서정보의 상세 조회 요청과, 상기 지능형 보안등 장비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의 출력과, 상기 관제센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맵핑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환경 레벨 값을 각 감시영역에 대응되게 상기 지도에 표시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는 스마트단말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정보 제공이 가능한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영상과 제1센서정보와 제2센서정보를 블루투스 비콘신호로 상기 스마트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제2센서정보를 로라(LoRa: Long Range) 통신으로 상기 관제센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정보 제공이 가능한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센서모듈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센서, 그리고 흡입된 공기로부터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센서를 구비하되,
    상기 공기질센서가 상기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도록, 흡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팬과 흡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질센서로 전달하기 위한 유로관과 측정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정보 제공이 가능한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모듈은,
    상기 알람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디바이스와,
    상기 알람정보를 영상 또는 문자로 출력하는 영상출력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출력디바이스는,
    상기 제2센서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관제센터에서 산출한 환경 레벨 값의 유해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각적 형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정보 제공이 가능한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보안등 장비는 고유한 식별번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정보 제공이 가능한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단말기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특정 지능형 보안등 장비의 식별번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스마트단말기는 상기 입력된 식별번호를 사용하여 상기 특정 지능형 보안등 장비의 맵핑 데이터를 상기 관제센터로 요청하고, 상기 관제센터로부터 상기 식별번호에 대응되는 지능형 보안등 장비의 맵핑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정보 제공이 가능한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프로세서는,
    상기 제2센서모듈에 의해 감지된 온도, 습도, 진동 및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각각 수치화하여 상기 메모리카드에 저장시키고, 상기 스마트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센서정보에 대한 조회가 요청됨에 따라 상기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수치화데이터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스마트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정보 제공이 가능한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프로세서는,
    상기 수치화데이터와 함께 상기 수치화데이터에 대한 유해 정도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스마트단말기로 더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정보 제공이 가능한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
KR1020180021735A 2018-02-23 2018-02-23 환경 정보 제공이 가능한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 KR201800307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735A KR20180030796A (ko) 2018-02-23 2018-02-23 환경 정보 제공이 가능한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735A KR20180030796A (ko) 2018-02-23 2018-02-23 환경 정보 제공이 가능한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0796A true KR20180030796A (ko) 2018-03-26

Family

ID=61910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735A KR20180030796A (ko) 2018-02-23 2018-02-23 환경 정보 제공이 가능한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079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012B1 (ko) * 2018-09-03 2019-07-02 렉스젠(주) 차량 검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2073589B1 (ko) * 2019-05-17 2020-02-06 주식회사 인포비정보기술 가로등 고장 감지 장치
KR102139047B1 (ko) * 2019-12-16 2020-07-30 주식회사 피플멀티 스마트 헬스케어 매트리스
KR20200141210A (ko) * 2019-06-10 2020-12-18 박순구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 장치를 이용한 환경관리 서비스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012B1 (ko) * 2018-09-03 2019-07-02 렉스젠(주) 차량 검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2073589B1 (ko) * 2019-05-17 2020-02-06 주식회사 인포비정보기술 가로등 고장 감지 장치
KR20200141210A (ko) * 2019-06-10 2020-12-18 박순구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 장치를 이용한 환경관리 서비스 시스템
KR102139047B1 (ko) * 2019-12-16 2020-07-30 주식회사 피플멀티 스마트 헬스케어 매트리스
KR20210077576A (ko) * 2019-12-16 2021-06-25 주식회사 피플멀티 스마트 헬스케어 매트리스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0796A (ko) 환경 정보 제공이 가능한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
US10536673B2 (en) Smart city closed camera photocell and street lamp device
US7834771B2 (en) Fire detector using a laser range finder, an infrared camera and a charged coupled device camera
US11887453B2 (en) Luminaire network with sensors
EP1279150B1 (en) Surveillance system with camera
KR100801293B1 (ko) 터널 영상 유고 또는 사고감지 시스템 및 방법
JP5590533B2 (ja) 傾斜変化量監視システム及び傾斜変化量監視方法
US9064406B1 (en) Portable and persistent vehicle surveillance system
KR101396459B1 (ko) 방범용 cctv의 작동 상태 감시 시스템
KR20100103061A (ko) 가로등을 기반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관리 시스템
KR102228403B1 (ko) 차량 정보 수집 시스템 및 방법
TWI669687B (zh) 道路光源監測裝置、監測方法及監測系統
KR102012657B1 (ko) 환경 감시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1483614B1 (ko) 모션감지를 이용한 실외 방범 장치
KR100929921B1 (ko) 유비퀴터스 일체형 보안영상장치 및 시스템
JP4052135B2 (ja) 旅行時間計測システム,コーン,車番認識システム
US20180070001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control, by a control device, of a video camera in a video surveillance system
KR20170018361A (ko) 무선통신 및 영상인식 기반의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
KR101074470B1 (ko) 가로등용 옥외 비상 호출부를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
CN109479359B (zh) 用于为设备提供对传感器数据的访问的系统和方法
CN214670663U (zh) 一种生物特征检测设备
KR102385866B1 (ko) 도시관리플랫폼에서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CN115620475A (zh) 消防无线传感方法及系统
KR100797629B1 (ko) 옥외 광고물 관리 시스템
KR101037205B1 (ko) 장애인 전용 주차구획 불법 주차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