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5889A - 원자로로부터의 잔류열을 제거하기 위한 피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자로로부터의 잔류열을 제거하기 위한 피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5889A
KR20170015889A KR1020167031815A KR20167031815A KR20170015889A KR 20170015889 A KR20170015889 A KR 20170015889A KR 1020167031815 A KR1020167031815 A KR 1020167031815A KR 20167031815 A KR20167031815 A KR 20167031815A KR 20170015889 A KR20170015889 A KR 20170015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cooling duct
fluid
heat
sh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1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6575B1 (ko
Inventor
피에트로 아고스티니
마리아노 타란티노
루치아노 치노티
Original Assignee
아젠치아 나치오날레 페르 레 누오베 테크놀로지에, 레네르자 에 로 스빌루포 에코노미코 소스테니빌레 (에네아)
하이드로마인 뉴클리어 에너지 에스.에이.알.엘.
하이드로마인 뉴클리어 에너지 에스.에이.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젠치아 나치오날레 페르 레 누오베 테크놀로지에, 레네르자 에 로 스빌루포 에코노미코 소스테니빌레 (에네아), 하이드로마인 뉴클리어 에너지 에스.에이.알.엘., 하이드로마인 뉴클리어 에너지 에스.에이.알.엘. filed Critical 아젠치아 나치오날레 페르 레 누오베 테크놀로지에, 레네르자 에 로 스빌루포 에코노미코 소스테니빌레 (에네아)
Publication of KR20170015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5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5/00Cooling arrangemen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containing the core; Selection of specific coolants
    • G21C15/18Emergency cooling arrangements; Removing shut-down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temperature variation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00Reactor types
    • G21C1/02Fast fission reactors, i.e. reactors not using a moderator ; Metal cooled reactors; Fast breeders
    • G21C1/03Fast fission reactors, i.e. reactors not using a moderator ; Metal cooled reactors; Fast breeders cooled by a coolant not essentially pressurised, e.g. pool-type re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 Y02E30/4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Structure Of Emergency Protection For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원자로(1)로부터 잔류열을 제거하기 위한 잔류열 제거 시스템(10)이 제공되는바, 상기 잔류열 제거 시스템(10)은: 원자로(1)의 1차 유체(5)로부터의 열을 2차 유체(15)에 전달하는 제1 열교환기(11); 냉각 덕트(17)를 횡단하는 보조 유체(16)에 의하여 2차 유체(15)가 냉각되는 제2 열교환기(12); 및 제어 부분(40)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부분(40)은 미리 설정된 문턱값(threshold)을 넘는 1차 유체(5)의 온도 상승에 의해 유발되는 제어 부분(40)에서의 2차 유체(15)의 가열 작용에 의하여 열팽창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부분(40)은 기계적 액츄에이터 장치(mechanical actuator device; 32)에 연결되고, 상기 기계적 액츄에이터 장치(32)는 제어 부분(40)의 열팽창에 의해 작동되어 냉각 덕트(17)를 개방함으로써 보조 유체(16)가 냉각 덕트(17) 안에서 제2 열교환기(12)를 통과함을 허용한다.

Description

원자로로부터의 잔류열을 제거하기 위한 피동 시스템{PASSIVE SYSTEM FOR EVACUATING THE RESIDUAL HEAT FROM A NUCLEAR REACTOR}
본 발명은 원자로로부터 잔류열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 즉 피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원자로에서는 원자로가 정지한 이후에 잔류열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는 사실은 공지된 것다. 안전상의 이유로 인하여, 잔류열를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은 특히 신뢰성이 있어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다변화(diversify)되어야 한다.
과거에는 대부분의 경우에 능동 시스템, 즉 작동을 위하여 전기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시스템이 사용된 반면에, 오늘날에는 작동을 위하여 전기 에너지를 필요로 하지 않는 피동 시스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동을 위해서는 작동자 또는 제어 로직의 개입과 전력 공급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원자로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때에 작동자 또는 프로세스 로직에 대해 독립적으로 작동하고 작동을 위하여 전력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는, 원자로로부터 잔류열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 1 에 기재된 본질적인 내용을 포함하는, 원자로로부터 잔류열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부가적인 특징들은 종속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잔류열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은 완전한 피동 시스템으로서, 작동을 위하여 동력의 공급이나 제어 로직 또는 작동자에 의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아래에서는 하기의 첨부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잔류열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되어 있는 원자로의 개략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잔류열 제거 시스템의 상세 부분을 도시하는, 일부 부분들이 도시 명확화를 위해 생략된 상태로 도시된, 확대 개략도이고,
도 3 은 도 2 의 상세 부분을 도시하는, III-I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 는 도 1 의 잔류열 제거 시스템의 두 개의 변형예들 각각의 부분 개략도인데, 여기에서 일부 부분은 도시 명확화를 위하여 생략된 상태로 도시되었다.
도 1 에는 실질적으로 공지된 유형의 원자로(1)이 극히 개략적인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원자로(1)는 루프(roof; 3)에 의하여 덮인 용기(2)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2)의 내부에는 노심(4)이 배치되어 (예를 들어, 나트륨, 납, 납 비스무스 공융체(lead-bismuth eutectic), 또는 용융염(molten salt)으로 이루어진) 1차 유체(5)에 의해 냉각되는데, 이것은 용기(2)를 자유 표면(6)까지 채운다. 또한 상기 용기(2)는 (공지되고 도시되지 않은) 1차 열교환기들을 수용하는데, 이들은 노심(4) 및 구성요소들(본 발명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도시되지 않음)에서 발생된 동력을 내부에서 2차 냉각 유체가 순환하는 회로를 거쳐서 외부로 전달한다.
원자로(1)에는 잔류열 제거 시스템(10)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시스템은 용기(2) 안에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열교환기(11)와 용기(2)의 외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열교환기(12)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열교환기(12)는 제1 열교환기(11)보다 더 높은 레벨(즉, 상측으로 위)에 위치하고 제거 회로(13)에 의하여 제1 열교환기(11)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용기(2) 안에서 수 개의 제1 열교환기(11)들이 각도상 이격되어 수용되지만, 아래에서는 명료성을 위하여 단 하나의 제1 열교환기(11)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열교환기(11)는 1차 유체(5)와 상호작용하는바, 특히 1차 유체(5) 안에 잠겨져서(immersed) 1차 유체(5)로부터의 열을 제거 회로(13), 제1 열교환기(11), 및 제2 열교환기(12) 안에서 순환하는 2차 유체(15)로 전달한다. 상기 제1 열교환기(11)는 예를 들어 베이오넷 튜브 열교환기(bayonet tube exchanger) 또는 나선형 코일 열교환기와 같이, 공지된 유형의 열교환기일 수 있다.
제1 열교환기(11)는, 내부에 2차 유체(15)가 순환하는 제거 회로(13)를 거쳐서, 제1 열교환기(11)에 대해 높은 레벨(즉, 상측으로 위)에서 용기(2)의 외부에 위치한 제2 열교환기(12)에 연결된다.
제2 열교환기(12)에서는 2차 유체(15)가 (도 1 에서 화살표(16)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된) 보조 유체(16)에 의하여 냉각되는데, 상기 2차 유체(15)는 냉각 덕트(17) 안에서 순환하며 2차 유체(15)에 대해 횡단하거나 2차 유체(15)와 부딪친다. 제2 열교환기(12)도 공지된 유형의 것일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제2 열교환기(12)가 상측 고온 매니폴드(18), 하측 저온 매니폴드(19), 및 상기 매니폴드들(18, 19)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파이프(20)(바람직하게는 핀(fin)을 구비한 파이프)들을 구비한다.
제거 회로(13)는, 제1 열교환기(11)의 유출부(outlet)와 제2 열교환기(12)의 상측 고온 매니폴드(18)의 유입부(inlet)를 연결하는 고온 가지부(21), 및 제2 열교환기(12)의 하측 저온 매니폴드(19)의 유출부를 제1 열교환기(11)의 유입부에 연결하는 저온 가지부(cold branch; 22)를 포함한다.
상기 고온 가지부(21)는 특히 곧은 형태인(직선형인) 파이프 부분(23)을 포함하는데, 상기 파이프 부분(23)은 상측 고온 매니폴드(18)로부터 돌출하여, 두 개의 대향된 축방향 단부들(24, 25) 사이, 즉 연결부(26)에 의하여 상측 고온 매니폴드(18)에 고정된 근위 단부(24)와 원위 단부(25) 사이에 있는 직선축(A)을 따라서 연장된다.
상기 상측 고온 매니폴드(18)는, 잔류열 제거 시스템(10)의 고정 지점을 형성하도록, 격납 및 지지 구조물(27)에 고정된다. 특히, 상기 상측 고온 매니폴드(18)는 파이프 부분(23)을 구비한 연결부(26)의 근처에서 구조물(27)에 고정된다. 상기 파이프 부분(23)은 횡단 안내부(28)들 안에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수용되고, 파이프 부분(23)은 안내부(28)들에 의하여 그 축(A)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기계적으로 구속된다. 상기 파이프 부분(23)은 특히 그 안에서 순환하는 2차 유체(15)의 온도 증가에 의하여 축(A)을 따라서 그리고 횡단 안내부(28) 안에서 열팽창하도록 설계되는데, 근위 단부(24)가 상측 고온 매니폴드(18)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열팽창 시에는 파이프 부분(23)이 축(A)을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팽창하며, 원위 단부(25)는 축(A)을 따라서 근위 단부(24)에 대해 이동한다. 유리하게는 제거 회로(13)가 밸브리스(valveless) 형태의 것이고 밀봉된다.
도 1 의 비제한적인 예에서, 제2 열교환기(12)를 냉각시키는 보조 유체(16)는 냉각 덕트(17) 안에서 자연 순환하는 공기이다. 특히 제2 열교환기(12)는 냉각 덕트(17)를 따라서 삽입되는데, 이것은 예를 들어 구조물(27) 안에 한정되고, 상기 구조물(27)은 제2 열교환기(12)를 수용 및 지지한다. 냉각 덕트(17)는 외부 공기로 열을 내보내도록 구성된 굴뚝(29)에 연결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냉각 덕트(17)에는 하나 이상의 셔터(30)들이 제공되는바, 상기 셔터(30)들은 냉각 덕트(17)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 흐름을 차단하며, 상기 셔터들은 특히 제2 열교환기(12)와 굴뚝(29) 사이에 배치된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셔터(30)들은, 셔터(30)들이 냉각 덕트(17)를 막는 폐쇄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냉각 덕트(17)를 점진적으로 개방하도록 개별의 회전축(R)들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예를 들어, 셔터(30)들은 구조물(27)에 힌지 결합되고 각각의 회전축(R)을 정의하는 개별의 회전 샤프트(31)들 상에 장착된다. 유리하게는 회전 샤프트(31) 각각이 개별 셔터(30)의 무게중심에 대해 오프셋(offset)되고, 상기 셔터(30)는 수직 평면에 대해 전체적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파이프 부분(23)의 원위 단부(25)는 기계적 액츄에이터 장치(32)에 연결된다. 특히, 상기 기계적 액츄에이터 장치(32)는 타이 로드(33)들을 포함하고, 상기 타이 로드(33)들은 개별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연장되며, 개별의 대향된 길이방향 단부들에서 파이프 부분(23)의 원위 단부(25)와 개별 셔터(30)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상기 타이 로드(33)들은, 원위 단부(25)에 위치하고 파이프 부분(23)에 일체적으로 연결된 후크(34)에 의하여 파이프 부분(23)에 연결된다.
각각의 셔터(30)는 개별의 회전 샤프트(31)와 일체를 이루어 구조물(27)에 대하여 회전한다. 제1 로드(first rod; 35)는 회전 샤프트(31)(그리고 셔터(30))에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제2 로드(36)는 제1 로드(35)에 힌지결합되며, 제1 로드(35)와 함께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을 이룬다. 피니언(pinion; 37)은 제1 로드(35)에 연결되어서, 회전 샤프트(31) 및 로드들(35, 36)과 함께 커넥팅 로드-크랭크 조립체(connecting rod-crank assembly)를 형성한다. 상기 제2 로드(36)는 타이 로드(33)의 길이방향 축을 따르는 방위를 갖는다.
아래에서는 잔류열 제거 시스템(1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원자로(1)의 정상 작동 동안에 셔터(30)들은 폐쇄되고 냉각 덕트(17)를 막아서, 냉각 덕트(17) 안에서 그리고 제2 열교환기(12)를 통하는 공기의 순환을 방지한다. 셔터(30)들을 통하는 불가피한 공기 누출 및 구조물(27)을 통한 열손실로 인하여, 제2 열교환기(12)는 2차 유체(15)를 약간 냉각시키며, 상기 2차 유체(15)는 밀도 차이로 인하여 제거 회로(13) 안에서 자연 순환으로 순환하도록 유도되어 저온 가지부(22)를 거쳐 제1 열교환기(11)로 공급된다. 상기 용기(2) 내에 위치한 제1 열교환기(11)는 2차 유체(15)를 1차 유체(5)의 온도와 근사한 온도로 가열하고, 그 다음에 2차 유체(15)는 제2 열교환기(12)의 상측 고온 매니폴드(18)에 도달하여 제거 회로(13)의 고온 가지부(21)를 통하여 순환하고, 특히 파이프 부분(23)을 통하여 유동한다.
1차 유체(5)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캘리브레이션 문턱값(calibration threshold)을 넘어 증가하는 경우, 2차 유체(15)도 제1 열교환기(11)를 가열하고, 따라서 2차 유체(15)는 파이프 부분(23)을 가열하는데, 상측 고온 매니폴드(18)가 잔류열 제거 시스템(10)의 고정 지점이기 때문에 상기 가열에 의한 열팽창에 의하여, 타이 로드(33)들이 파이프 부분(23)에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후크(34)의 축(A)을 따르는 움직임(δ)이 유발된다. 그러므로 상기 파이프 부분(23)은 열팽창이 가능한, 특히 열팽창에 의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가능한 제어 부분(40)을 형성하고, 상기 파이프 부분(23), 즉 1차 유체(5)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문턱값을 초과하는 때에 개입하는 제어 부분(40)의 길이방향 확장으로 인해서 기계적 액츄에이터 장치(32)가 작동하여 셔터(30)들을 움직이게 하고, 이로 인하여 개별의 가동 부재(41)들이 냉각 덕트(17)를 선택적으로 개방/폐쇄시킨다. 특히, 각 타이 로드(33)의 움직임(δ)으로 인하여 피니언(37)이 작동하게 되는바, 이것은 회전 샤프트(31)의 로드(35), 그리고 셔터(30)의 회전을 유발하여 셔터(30)의 개방이 시작된다. 1차 유체(5)의 온도 증가가 클 수록, 셔터(30)들의 개방 및 보조 유체(16)(이 경우에 있어서는, 공기)에 의한 열의 배출이 더 크게 된다.
1차 유체(5)의 후속 냉각 이후에는 중력의 작용에 의한 셔터(30)들의 대응되는 폐쇄가 이루어지는데, 이것은 셔터(30)들 각각의 무게중심에 대한 셔터(30)들의 회전 샤프트(31)들(그리고 회전축(R)들)의 위치의 비대칭성으로 인한 것이다.
그러므로, 잔류열 제거 시스템(10)은 작동자 또는 제어 로직에 의한 개입을 필요로 하지 않고서 1차 유체(5)의 온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바람직한 방안들 중 하나로서, 특히 납-비스무스 또는 순수 납 냉강식 원자로에서의 적용에 적합한 방안에 따르면, 물은 제1 열교환기(11) 내부에서 끓기 위한 미리 설정된 설계 압력에 도달하도록 정해진 양만큼 초기에 제거 회로(13) 안에 도입되고, 이후에 제거 회로(13)는 밀봉된다. 셔터(30)들이 폐쇄된 상태에서, 제거 회로(13)는 가압된 과열 증기에 의해 실질적으로 가득하는데, 상기 과열 증기는 제2 열교환기(12)에 진입한다. 제2 열교환기(12)에서는 과열 증기의 형태인 2차 유체(15)가 포화 온도까지 냉각되는데, 이 때 적은 응축액 유동이 형성되며, 상기 응축액은 제거 회로(13)의 저온 가지부(22)를 통하여 제1 열교환기(11)로 복귀한다. 상기 제1 열교환기(11)의 유출부에서 상기 증기의 과열 온도가 증가하고 셔터(30)들이 점진적으로 개방됨에 따라서, 제2 열교환기(12) 내에서의 응축액의 형성이 증가하고, 이 때 제1 열교환기(11)의 파워(power)가 증가한다. 응축액의 형성 증가에 뒤이어서는 2차 유체(15)의 압력 감소 및 고온 가지부(21) 내에서 순환하는 과열 증기와 저온 가지부(22) 내에서 순환하는 응축액 간의 밀도 차이 증가가 발생하는바, 이는 자연 순환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제거 회로(13)는 증기로만 채워지기 때문에, 대응되는 질량은 매우 제한적이고, 따라서 제1 열교환기(11)의 튜브가 파손되는 경우라도 원자로(1) 내부에서 방출되는 수증기의 질량은 제한적이며 안전 관점에서 중대한 결과를 초래하지 않는다. 제거 회로(13)를 밀봉하고 모든 유형의 밸브를 제거하면 잔류열 제거 시스템(10)의 신뢰성이 더 증가한다.
위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들에 대해서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되어 있는 도 4 에 도시된 변형예에서는, 냉각 덕트(17) 안에서 순환하고 제2 열교환기(12)를 냉각시키는 보조 유체(16)가 예를 들어 물인 액체이다. 상기 냉각 덕트(17)는 보조 유체(16)를 담고 있는 탱크(42)를 제2 열교환기(12)에 연결시킨다. 밸브(43)는 냉각 덕트(17)를 따라서 위치한다.
액츄에이터 장치(32)는, 밸브(43)의 셔터(44)를 포함하며 타이 로드(33)에 연결되는 가동 부재(41)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 로드(33)는 단부(25)에 위치한 후크(34)에 의하여 파이프 부분(23)에 연결된다.
이 경우, (1차 유체(5) 및 그에 따른 2차 유체(15)의 온도 증가에 의하여 유발되는 파이프 부분(23), 즉 제어 부분(40)의 열팽창에 의해서 야기되는) 후크(34)의 길이방향 움직임이 셔터(44)를 당기고 밸브(43)를 개방하며, 이로써 탱크(42)로부터 방출된 보조 유체(16)는 중력의 영향을 받아 제2 열교환기(12) 안으로 진입한다.
도 5 의 변형예는 격납 및 지지 구조물(27)이 공기의 순환을 허용하고 또한 물을 격납하는 형상을 갖는다는 점에서 도 4 의 실시예와 상이한데,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공기 및 물을 보조 유체(16)로서 사용함이 가능하게 된다. 원자로의 정상 작동 상태에서, 제2 열교환기(12)는 구조물(27)을 통해 순환하는 공기에 의하여 냉각된다. 1차 유체(5)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기계적 액츄에이터 장치(32)가 밸브(43)를 개방하고, 이로써 보조 유체(16)(물)이 중력의 영향 하에서 탱크(42)로부터 방출되어 제2 열교환기(12) 안으로 진입하여 혼합된 공기-물 작용에 의해 제2 열교환기(12)의 성능을 증진시킨다. 상기 탱크(42) 내에 격납된 보조 유체(16)의 저장고가 고갈된 때에는 공기만에 의한 제2 열교환기(12)의 냉각이 다시 가능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여기에서 도시 및 설명된 원자로로부터 잔류열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해서,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다른 변형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차 유체(5)에 의하여 냉각되는 원자로(1)로부터 잔류열을 제거하기 위한 잔류열 제거 시스템(10)으로서, 상기 잔류열 제거 시스템(10)은:
제1 열교환기(11) 안에서 순환하는 2차 유체(15)에 열을 전달하는 1차 유체(5)와 상호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열교환기(11); 및
제거 회로(evacuation circuit; 13)를 거쳐서 제1 열교환기(11)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열교환기(12)로서, 제2 열교환기(12) 안에서는 제2 열교환기(12)를 통과하여 냉각 덕트(cooling duct; 17) 안에서 순환하는 보조 유체(auxiliary fluid; 16)에 의하여 2차 유체(15)가 냉각되는, 제2 열교환기(12);를 포함하고,
상기 제거 회로(13)는 제어 부분(40)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부분(40)은 미리 설정된 문턱값(threshold)을 넘는 1차 유체(5)의 온도 상승에 의해 유발되는 제어 부분(40)에서의 2차 유체(15)의 가열 작용에 의하여 열팽창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부분(40)은 기계적 액츄에이터 장치(mechanical actuator device; 32)에 연결되고, 상기 기계적 액츄에이터 장치(32)는 제어 부분(40)의 열팽창에 의해 작동되어 냉각 덕트(17)를 개방함으로써 보조 유체(16)가 냉각 덕트(17) 안에서 제2 열교환기(12)를 통과함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열 제거 시스템(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분(40)은 직선형인 파이프 부분(pipe portion; 23)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부분(23)은 상기 제거 회로(13)의 고온 가지부(hot branch; 21)의 직선축(rectilinear axis; A)을 따라서 연장된, 잔류열 제거 시스템(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인 파이프 부분(23)은 횡단 안내부(transverse guide; 28)들 안에서 열에 의해 축(A)을 따라 확장가능하며, 잔류열 제거 시스템(10)의 고정 지점(fixed point)을 형성하는 제2 열교환기(12)의 매니폴드(manifold; 18)에 고정된 근위 단부(proximal end; 24)와, 상기 근위 단부(24)에 대해 축방향으로 반대편에 있고 기계적 액츄에이터 장치(32)에 연결된 원위 단부(distal end; 25)를 구비하는, 잔류열 제거 시스템(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액츄에이터 장치(32)는 적어도 하나의 타이 로드(tie rod; 33)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 로드(33)는 개별의 대향된 길이방향 단부들에서 각각 직선형 파이프 부분(23)의 원위 단부(25)와, 상기 냉각 덕트(17)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움직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 부재(movable member; 41)에 연결되는, 잔류열 제거 시스템(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교환기(12)는 자연 순환되는 공기에 의해서 냉각되고, 상기 가동 부재(41)는 냉각 덕트(17)를 수용하는 지지 구조물(27)에 회전 샤프트(31)를 거쳐서 힌지결합된 셔터(shutter; 30)이고, 상기 셔터(30)는 냉각 덕트(17) 안에서 순환하는 공기 흐름(air stream)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냉각 덕트(17) 안에 배치되며, 상기 타이 로드(33)는 셔터(30)의 회전 및 개방을 유발하기 위하여 셔터(30)에 연결되는, 잔류열 제거 시스템(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교환기(12)는 냉각 덕트(17) 안에서 순환하는 예를 들어 물인 액체에 의하여 냉각되고, 상기 액체는 냉각 덕트(17)을 따라서 배치된 밸브(43)의 개방시 중력의 작용 하에서 탱크(42)로부터 방출되며, 상기 가동 부재(41)는 상기 밸브(43)의 셔터(44)이고, 상기 타이 로드(33)는 상기 밸브(43)의 개방을 유발하는 셔터(44)에 연결되는, 잔류열 제거 시스템(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교환기(12)는 냉각 덕트(17) 안에서 순환하는 예를 들어 물인 액체와, 동일한 냉각 덕트(17)를 통해 자연 순환하는 공기에 의하여 냉각되는, 잔류열 제거 시스템(10).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유체(15)는 제1 열교환기(11) 안에서의 비등수(boiling water)이자 제2 열교환기(12) 안에서 응축되는 과열 증기이고, 상기 제거 회로(13)는 초기에 미리 설정된 증기 압력으로 채워지는, 잔류열 제거 시스템(10).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회로(13)는 밸브리스(valveless) 형태의 것이고 밀봉되는, 잔류열 제거 시스템(10).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유체(16)는 냉각 덕트(17) 안에서 자연 순환에 의하여 순환하는, 잔류열 제거 시스템(10).
KR1020167031815A 2014-04-18 2015-04-17 원자로로부터의 잔류열을 제거하기 위한 피동 시스템 KR1023665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MI20140737 2014-04-18
ITMI2014A000737 2014-04-18
PCT/IB2015/052829 WO2015159273A1 (en) 2014-04-18 2015-04-17 Passive system for evacuating the residual heat from a nuclear rea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889A true KR20170015889A (ko) 2017-02-10
KR102366575B1 KR102366575B1 (ko) 2022-02-23

Family

ID=50981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1815A KR102366575B1 (ko) 2014-04-18 2015-04-17 원자로로부터의 잔류열을 제거하기 위한 피동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734123B2 (ko)
EP (1) EP3132450B1 (ko)
JP (1) JP6633613B2 (ko)
KR (1) KR102366575B1 (ko)
CN (1) CN106663478B (ko)
SA (1) SA516380087B1 (ko)
WO (1) WO20151592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39721C1 (ru) * 2016-12-29 2017-12-22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научный центр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Физико-энергет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имени А.И.Лейпунского"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 газа в тяжелый жидкий металл
US10937557B2 (en) * 2017-10-17 2021-03-02 Ge-Hitachi Nuclear Energy America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irflow control in reactor passive decay heat removal
CN112216412B (zh) * 2020-09-04 2023-11-03 国家电投集团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非能动的自调节余热导出系统、方法和液态金属反应堆
CN112216413B (zh) * 2020-09-04 2023-11-03 国家电投集团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非能动余热导出系统、方法和具有该系统的核反应堆
CZ2020656A3 (cs) * 2020-12-08 2022-01-26 Újv Řež, A. S. Pasivní systém se zvýšenou spolehlivostí pro odvod zbytkového tepla z jaderného reaktoru a způsob na něm prováděn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2497A (ja) * 1990-10-04 1992-05-15 Toshiba Corp 崩壊熱除去系の空気冷却器
JP2003262690A (ja) * 2002-03-11 2003-09-19 Mitsubishi Heavy Ind Ltd 崩壊熱除去システム
KR20040100164A (ko) * 2003-05-21 2004-12-02 한국원자력연구소 풀 직접 냉각방식의 피동 안전등급 액체금속로잔열제거방법 및 잔열제거시스템
KR20090102079A (ko) * 2008-03-25 2009-09-30 한국원자력연구원 히트 파이프 열교환기를 구비한 잔열제거 계통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25508B1 (fr) * 1994-10-05 1997-01-03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de controle du flux de chaleur par vanne thermique
ITTO980400A1 (it) * 1998-05-12 1999-11-12 Finmeccanica Spa Sistema di refrigerazione perfezionato per un reattore nucleare.
JP2004020376A (ja) * 2002-06-17 2004-01-22 Mitsubishi Heavy Ind Ltd 原子炉用冷却器
US7219687B2 (en) 2003-10-31 2007-05-2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Resettable bi-stable thermal valve
US8437446B2 (en) 2008-11-17 2013-05-07 Nuscale Power, Llc Steam generator flow by-pass system
KR100966854B1 (ko) * 2009-01-14 2010-06-29 한국원자력연구원 부분잠김형 열교환기를 사용하는 소듐냉각 고속로의 완전 피동형 잔열제거계통
FR2956728A1 (fr) * 2010-02-22 2011-08-26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Ventilation d'un capteur solaire thermique
CN103280247B (zh) * 2013-05-21 2016-02-10 中国科学院上海应用物理研究所 一种氟盐冷却高温堆的非能动余热排出系统
CN103337264A (zh) * 2013-07-17 2013-10-02 中国科学院上海应用物理研究所 一种熔盐堆缓冲盐事故余热排出系统
CN103617815A (zh) * 2013-12-05 2014-03-05 哈尔滨工程大学 压水堆核电站非能动余热排出系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2497A (ja) * 1990-10-04 1992-05-15 Toshiba Corp 崩壊熱除去系の空気冷却器
JP2003262690A (ja) * 2002-03-11 2003-09-19 Mitsubishi Heavy Ind Ltd 崩壊熱除去システム
KR20040100164A (ko) * 2003-05-21 2004-12-02 한국원자력연구소 풀 직접 냉각방식의 피동 안전등급 액체금속로잔열제거방법 및 잔열제거시스템
KR20090102079A (ko) * 2008-03-25 2009-09-30 한국원자력연구원 히트 파이프 열교환기를 구비한 잔열제거 계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40071A1 (en) 2017-02-09
WO2015159273A1 (en) 2015-10-22
US10734123B2 (en) 2020-08-04
JP2017515128A (ja) 2017-06-08
KR102366575B1 (ko) 2022-02-23
CN106663478A (zh) 2017-05-10
SA516380087B1 (ar) 2019-02-24
EP3132450A1 (en) 2017-02-22
JP6633613B2 (ja) 2020-01-22
EP3132450B1 (en) 2018-06-06
CN106663478B (zh)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6575B1 (ko) 원자로로부터의 잔류열을 제거하기 위한 피동 시스템
KR100951398B1 (ko) 히트 파이프 열교환기를 구비한 잔열제거 계통
KR101619075B1 (ko) 포화증기압을 이용한 분사식 냉각계통을 포함하는 원자로
KR101654096B1 (ko) 자가진단 사고대처 무인 원자로
JP2002156485A (ja) 原子炉
WO2017018082A1 (ja) 凝縮器および冷却システムと運転方法
JP5690202B2 (ja) 原子炉の崩壊熱除去装置
KR101456170B1 (ko) 압력경계 보존형 피동형 공냉 격납건물 냉각 장치 및 시스템
JP4316527B2 (ja) 蓄熱式熱供給装置
KR101564553B1 (ko) 무인 원자로
JP2013057559A (ja) 水冷式原子力発電設備及びその非常時停止方法
KR101520740B1 (ko) 안전 보호 용기 상의 열교환 계통을 갖는 자기 냉각 피동 원자로
KR101677981B1 (ko) 원전안전계통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JP6249677B2 (ja) 冷却装置
CN108278586A (zh) 一种高温气冷堆核电站一回路加热除湿的系统及方法
JP3987128B2 (ja) 熱交換制御装置の熱バルブ
CN207962596U (zh) 一种高温气冷堆核电站一回路加热除湿的系统
KR101513163B1 (ko) 역압 안전 밸브를 갖는 자기 냉각 피동 원자로
JP2013096928A (ja) 原子炉施設および原子炉格納容器冷却システム
JP6628613B2 (ja) 蒸気タービンプラント、原子力プラント及び蒸気タービンプラントの出力調整方法
JP6479406B2 (ja) 冷却装置および原子力設備
KR101513167B1 (ko) 파열 냉각수 탱크를 갖는 자기 냉각 피동 원자로
JP6429586B2 (ja) 空気冷却器、冷却装置および原子力設備
KR101513166B1 (ko) 보조 열교환 계통을 갖는 자기 냉각 피동 원자로
KR102546736B1 (ko) 2단 열교환에 의한 자연순환 냉각계통을 가지는 원자로 및 그 작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