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4277A - 변성 에폭시 수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변성 에폭시 수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4277A
KR20170014277A KR1020150107332A KR20150107332A KR20170014277A KR 20170014277 A KR20170014277 A KR 20170014277A KR 1020150107332 A KR1020150107332 A KR 1020150107332A KR 20150107332 A KR20150107332 A KR 20150107332A KR 20170014277 A KR20170014277 A KR 20170014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isocyanate
epoxy resin
type epoxy
phenol type
dicyclopentadi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7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건
한재만
유기환
황현주
Original Assignee
국도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도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국도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7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4277A/ko
Publication of KR20170014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27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4007Curing agents not provided for by the groups C08G59/42 - C08G59/66
    • C08G59/4014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 C08G59/4028Isocyanates; Thioisocya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6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s used
    • C08G59/686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s used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K3/003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08L63/04Epoxynovola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09D163/04Epoxynovola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09J163/04Epoxynovola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 H01L23/29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g. carbon
    • H01L23/293Organic, e.g. plas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30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1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12Non-condensed aromatic systems, e.g. benz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30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3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non-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32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non-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 C08G2261/3321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non-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derived from cyclopent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oxy Res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성 에폭시 수지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수지는 우수한 접착 특성 및 내열 특성을 가지면서도 유전율, 유전손실율이 낮은 특성을 갖기 때문에, 반도체 패키지용 적층판, 고주파 전송용 적층판, 동박 적층판(CCL: copper clad laminat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판 또는 절연판에 사용되거나, 접착제, 코팅제, 또는 반도체용 봉지재로 사용하기에 유리한 이점을 갖는다.

Description

변성 에폭시 수지 및 그 제조방법{MODIFIED EPOXY RESIN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변성 에폭시 수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기의 고기능화 추세에 따른 대응하기 위해 GHz 영역에서의 유전손실이 적어 전송 특성이 우수한, 저유전율 및 저유전손실율의 동박적층판(CCL, copper clad laminate) 기판이 요구되고 있다. 저유전율을 갖는 유기 물질로는 에폭시 수지, 테플론 수지, 폴리페닐렌 에테르(PPE) 등이 있으며, 그 중 테플론 소재가 가장 우수한 유전 특성을 나타내는 재료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테플론의 경우, IC 기판, PCB,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판 등에 서 요구되는 접착특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시아네이트 수지의 경우 230℃의 온도에서 경화시 높은 에너지가 요구되고 수분과 같은 알코올성 하이드록시에 쉽게 겔화되어 그 사용에 제한이 있다. 또한 폴리페닐렌 에테르의 경우 비 반응형으로 단순히 첨가되어 IC 기판, PCB,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판 등의 접착층의 경화 메트릭스 상에 접착 특성 저하, 접착층 표면의 불균일 등의 문제점을 야기한다.
이 때문에 높은 접착 특성을 가지고 저유전율, 저유전 손실율의 특성을 가지면서 사용상 용이한 에폭시 수지가 CCL 소재의 재료로 사용되는 예가 증가하고 있으나 에폭시 수지 역시 고주파 영역에서 신호의 전파속도 및 임피던스 제어에 불리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고자 국제특허공보 제2014-104743호에는 에폭시화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수지를 에폭시 수지에 블랜딩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폴리페닐렌 옥사이드를 사용할 경우 접착성 및 내열성이 저하되고 에폭시 수지와의 경화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00-0029316호는 에폭시 말단에 옥사졸리돈 환이 형성된 옥사졸리돈 환 함유 에폭시 수지를 이용한 도장막을 개시하고 있다. 옥사졸리돈 환 함유 에폭시 수지를 이용하면 경화물의 접착 능력을 개선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유리전이 온도를 갖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지만, 유전율, 유전손실율 등의 전기적 특성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동박 적층판용으로서 요구되는 내열성 및 접착성을 원하는 만큼 얻으면서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갖는 에폭시 수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변성 디사이클로펜타디엔(DCPD)-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n은 0 내지 12이고,
각각의 -X는 독립적으로
Figure pat00002
또는
Figure pat00003
이고, 여기서 R1은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부터 이소시아네이트기를 제외한 잔기이다.
상기 변성 디사이클로펜타디엔-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는 디사이클로펜타디엔-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와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디사이클로펜타디엔-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와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 중량비는 75~97 : 3~2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단량체성 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onomeric-MDI), 중합체성 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polymeric-MDI), 개질된 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odified-MDI),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 단량체성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monomeric-HDI), 중합체성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polymeric-HDI) 및 아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고, 중합체성 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polymeric-MDI)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앞서 서술한 변성 디사이클로펜타디엔-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경화제, 경화 촉매, 무기 충진제 및 용매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IPC TM-650 2.5.5.9 규격에 의거하여 측정시 유전율(1GHz)이 3.3 이하이고, 유전손실율(1GHz)이 0.01 이하이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반도체 패키지용 적층판, 고주파 전송용 적층판, 동박 적층판(CCL: Copper clad laminat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판 또는 절연판에 사용되거나, 접착제, 코팅제, 또는 반도체용 봉지재로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동박; 및 상기 동박의 표면에, 상기 서술한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경화 또는 반경화 상태의 수지층을 포함하는 동박 적층판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사이클로펜타디엔-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와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변성 디사이클로펜타디엔-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4
[화학식 2]
Figure pat00005
상기 식에서, n은 0 내지 12이고,
각각의 -X는 독립적으로
Figure pat00006
또는
Figure pat00007
이고, 여기서 R1은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부터 이소시아네이트기를 제외한 잔기이다.
상기 디사이클로펜타디엔-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와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 중량비는 75~97 : 3~2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단량체성 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중합체성 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개질된 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성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중합체성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아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화합물일 수 있고, 중합체성 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polymeric-MDI)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은 이미다졸계 촉매 하에서 100℃ 내지 25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변성 디사이클로펜타디엔-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는 우수한 접착 특성 및 내열 특성을 가지면서도 유전율, 유전손실율이 낮은 특성을 갖기 때문에, 반도체 패키지용 적층판, 고주파 전송용 적층판, 동박 적층판(CCL: Copper clad laminat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판 또는 절연판에 사용되거나, 접착제, 코팅제, 또는 반도체용 봉지재로 사용하기에 유리한 이점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변성 에폭시 수지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한 측면에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변성 디사이클로펜타디엔-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를 제공한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8
상기 식에서, n은 0 내지 12이고,
각각의 -X는 독립적으로
Figure pat00009
또는
Figure pat00010
이며, 여기서 R1은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부터 이소시아네이트기를 제외한 잔기이다.
상기 식에서, n은 에폭시 수지의 중합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0 내지 12인 것이 바람직하고, 0 내지 6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n이 상기 범위보다 큰 경우 겔화가 발생하거나 유동성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성 디사이클로펜타디엔-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는 디사이클로펜타디엔-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와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구체적인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변성 에폭시 수지의 제조방법
일 구현예에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변성 디사이클로펜타디엔-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사이클로펜타디엔-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와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11

[화학식 2]
Figure pat00012
상기 식에서, n은 0 내지 12이고,
각각의 -X는 독립적으로
Figure pat00013
또는
Figure pat00014
이며, 여기서 R1은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부터 이소시아네이트기를 제외한 잔기이다.
본 발명에서 에폭시 수지와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은 디사이클로펜타디엔-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기와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디이소시아네이트 기가 고리화 반응을 통해 옥사졸리돈 기를 형성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변성 에폭시 수지에서 변성된 옥사졸리돈 기는 디사이클로펜타디엔-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를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개질시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에서 -X가
Figure pat00015
인 것은 해당 에폭시기가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반응하지 않은 것, -X가
Figure pat00016
인 것은 에폭시기가 개질제인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기와 반응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이소시아네이트 반응기를 2개 이상 함유한 화합물로써 지방족 또는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량체성 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중합체성 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개질된 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성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중합체성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아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내에는 이소시아네이트 반응기가 복수 개일 수 있으므로 각각 독립적으로 에폭시를 개질시킬 수 있다. 즉,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중 하나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기가 에폭시기와 반응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두 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기가 에폭시기와 반응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특히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DI)를 이용하여 개질시킨 에폭시 수지가 다른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이용하여 개질시킨 에폭시 수지보다 내열성 및 접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또한,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는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와는 달리 냄새나 독성 문제가 없고,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아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DI)를 사용할 경우 우수한 물성, 안정성, 경제성 모두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단량체성 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가 상온에서 고상이므로 적하 반응이 어렵고 개질된 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는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특히 중합체성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컨대, 중합체성 MDI는 분자량이 350~400g/mol이고, 분자내 이소시아네이트기(NCO)의 중량이 30~32wt%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질 반응에 있어서, 상기 변성 디사이클로펜타디엔-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는 디사이클로펜타디엔-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와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 중량비가 75~97 : 3~25가 되도록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질 반응에 있어서, 디사이클로펜타디엔-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기 대비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네이트기 당량비는 1 내지 20이 되도록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이다.
디사이클로펜타디엔-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의 혼합 비율이 상기 수치보다 작은 경우 디사이클로펜타디엔-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의 변성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아 내열성, 접착력이 떨어지거나, 유전율이 충분히 낮아지지 않을 수 있고, 상기 범위보다 높은 경우 디사이클로펜타디엔-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의 변성이 지나치게 일어나 겔화되어 버릴 수 있다.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반응량이 상기 범위보다 낮으면 옥사졸리돈 변성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아 내열성과 접착력의 향상 및 저유전 특성을 얻을 수 없고, 상기 범위보다 높으면 옥사졸리돈 변성이 지나치게 일어나 겔화될 수 있다.
상기 개질 반응에 있어서, 2-페닐이미다졸, 2-메틸이미다졸, 2-에틸-4-메틸이미다졸, 2-에틸-4-메틸이미다졸, 4,4'-메틸렌-비스(2-에틸-5-메틸이미다졸)과 같은 이미다졸계 촉매, 아민계 촉매, 테트라 페닐 포스포늄 브로마이드 등의 포스핀계 촉매, 또는 포스포늄 염 촉매 등을 에폭시 수지 전체를 기준으로 100 내지 500ppm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고, 100℃ 내지 250℃의 반응 온도에서 1 내지 5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 종료 후 생성된 변성 에폭시 수지는 2-메톡시에탄올, 메틸에틸케톤(MEK), 메틸이소부틸케톤(MIBK), 아세톤 등의 용매를 이용하여 20 내지 90 중량%의 농도로 희석한다.
변성 에폭시 수지 조성물
일 구현 예에서, 앞서 서술한 변성 디사이클로펜타디엔-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그 용도에 따라 경화제, 경화촉매, 무기 충진제 및 용매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그 종류는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경화제로는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고 수산기 당량이 80 내지 200인 통상의 페놀 노볼락 수지, 크레졸 노볼락 수지, 디사이클로펜타디엔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의 조성비는 수산기에 대한 에폭시 당량이 0.8 내지 1.2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 촉매로는 이미다졸류 화합물, 포스핀류 화합물, 포스포늄 염, 3급 아민 등이 사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트리페닐포스핀이 사용될 수 있다.
용매로는 예를 들면, 메틸에틸케톤, 사이클로헥산온 등의 케톤류;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셀로솔브 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카로비톨 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아세테이트류; 셀로솔부, 부틸 카르비톨 등의 카르비톨류;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디메틸 포름아미드, 디메틸 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등의 아미드계 용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반도체 패키지용 적측판, 고주파 전송용 적층판, 동박 적층판(CCL: Copper clad laminat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판(Flexible display substrate), 절연판, 접착제, 코팅제, 또는 반도체용 봉지재에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동박; 및 상기 동박의 표면에, 상기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경화 또는 반경화 상태의 수지층을 포함하는 동박 적층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변성 디사이클로펜타디엔-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가 우수한 접착 특성 및 내열 특성을 가지면서도 저유전율, 저유전손실율을 갖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IPC TM-650 2.5.5.9 규격에 의거하여 측정시 유전율(1GHz)이 3.3 이하이고, 유전손실율(1GHz)이 0.01 이하인 저유전 특성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한 형태를 예시하는 것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교반기, 질소 유입구 및 냉각관이 연결된 환류관이 부착된 4구 플라스크에 디사이클로펜타디엔-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국도화학, KDCP-130 제품, 에폭시 당량 260g/eq) 570g을 투입하고, 110℃ 온도에서 수지를 완전히 용용시켰다. 이를 130℃의 온도로 승온하고 10% 2PI 촉매 16.2ml을 투입한 다음 다시 160℃로 승온하고, 중합체성 메틸렌 다이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금호미쓰이화학, M-200 제품, 이소시아네이트 당량 136g/eq) 30g을 30분에 걸쳐 적하하였다. 그 후 160℃로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3~4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본 반응을 진행시켰다. 본 반응이 종결된 후 메틸에틸케톤(MEK) 용제 256g을 적하하여 제조된 수지를 희석시켜 에폭시 수지(Mn699/Mw2301)를 합성하였다
실시예 2
디사이클로펜타디엔-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 540g에, 중합체성 메틸렌 다이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60g을 투입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폭시 수지(Mn931/Mw4510)의 수지를 합성하였다.
실시예 3
디사이클로펜타디엔-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 510g에, 중합체성 메틸렌 다이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90g을 투입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나, 합성 도중 겔화 현상이 발생되었다.
실시예 4
디사이클로펜타디엔-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 540g에, 중합체성 메틸렌 다이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대신 개질된 메틸렌 다이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금호미쓰이화학사, Cosmonate LL 제품, 이소시아네이트 당량 145.4g/eq) 60g을 투입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폭시 수지(Mn789/Mnw2530)를 합성하였다.
실시예 5
중합체성 메틸렌 다이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대신 아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Vencorex사, 이소시아네이트 당량 111.2g/eq)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폭시 수지(Mn432/Mw1843)를 합성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서 이용한 디사이클로펜타디엔-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 및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종류 및 함량 요약하면 아래 [표 1]과 같다.
  DCPD-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 (g) 중합체성 MDI (g) 개질된 MDI (g) IPDI (g) [에폭시]/[이소시아네이트]의 당량비
실시예 1 570g 30g - - 9.94
실시예 2 540g 60g - - 4.71
실시예 3 510g 90g - - 2.96
실시예 4 540g - 60g - 5.33
실시예 5 540g - - 60g 3.85
비교예 1
옥사졸리돈기로 변성되지 않은 디사이클로펜타디엔-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국도화학, KDCP-130 제품)를 준비하였다.
비교예 2
옥사졸리돈기로 변성되지 않은 페놀-노볼락 타입 에폭시 수지(YDPN-638, 국도화학 제품)를 준비하였다.
평가 방법 및 평가 결과
물성 평가용 시편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에폭시 수지 에 경화제를 당량비 1:1로 계산하여 혼합하였고 TPP 촉매를 에폭시 수지 100g에 대하여 0.2g 투입하여 바니쉬(varnish)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때, 경화제는 페놀 노볼락 경화제(106g/eq)을 사용한 경우와 DCPD-페놀 경화제(186g/eq)를 사용한 경우 각각의 바니쉬 용액을 모두 준비하였다.
준비된 바니쉬 용액을 유리 섬유(7628 타입)에 함침하고 오븐에 건조하여 프리프레그를 제조한 다음, 동박 두 장 사이에 프리프레그 8장을 끼워 넣고 핫 프레스를 이용하여 고온(180℃) 고압(200psi)으로 1시간 30분 동안 프레스 성형하여 물성 평가용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물성 평가용 시편에 대하여 하기 물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는 페놀 노볼락 경화제를 이용한 경우이고, [표 3]은 DCPD-페놀을 이용한 경우의 실험 결과이다.
1) 유전율( Dk ) 및 손실율 ( Df )
유전율(Dk, Dielectric constant) 및 손실율 상수(Df, Dissipation factor)는 IPC TM-650 2.5.5.9 규격에 따라 측정하였다.
2) 유리전이온도( Tg )
유리전이온도(Tg)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180℃에서 6시간 유지하여 경화시킨 다음 시차주사열계량법(DSC)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3) 열분해 온도(Td)
열분해 온도(Td)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180℃에서 6시간 유지하여 경화시킨 다음 열분석법(TM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4) 겔화 시간(G/T)
겔화 시간은 에폭시 수지 조성물 100mg을 170℃의 핫 플레이트(hot plate) 위에 올려 놓고 이쑤시개로 저어주며 들어올려 수지가 실처럼 늘어져 딸려오지 않을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5) 박리강도
90°의 박리강도는 물성 평가용 시편을 이용하여 IPC-TM-650 2.4.8 규격에 따라 측정하였다.
- 실시예 1-1 실시예 2-1 실시예 4-1 실시예 5-1 비교예 1-1 비교예 2-1
Dk(@1GHz) 3.3 2.9 3.4 3.5 3.8 4.3
Df(@1GHz) 0.01 0.009 0.011 0.1 0.01 0.012
유리전이온도
(℃)
180 190 181 174 173 154
열분해온도
(℃)
430 435 422 418 429.9 425.5
겔화 시간
(sec)
75 51 55 89 92 62
박리강도
(kgf/mm2)
1.38 1.52 1.52 1.32 1.29 1.31
- 실시예 1-2 실시예 2-2 실시예 4-2 실시예 5-2 비교예 1-2 비교예 1-2
Dk(@1GHz) 3.2 2.9 3.2 3.4 3.6 4
Df(@1GHz) 0.009 0.007 0.008 0.01 0.009 0.011
유리전이온도
(℃)
185 194 183 179 179 162
열분해온도
(℃)
413 414 401 400 412.8 402
겔화 시간
(sec)
62 41 45 68 72 40
박리 강도
(kgf/mm2)
1.31 1.48 1.49 1.28 1.21 1.25
상기 [표 2] 및 [표 3]의 실험 결과로부터 본원 실시예에 따른 변성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우 비교예에 따른 수지 조성물에 비해 낮은 유전율 및 손실율을 보여 우수한 유전 특성을 나타낸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나아가, 실시예에 따른 변성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비교예에 비해 유리전이온도 및 열분해 온도가 높고, 박리 강도 또한 우수한 점도 확인되었다. 특히, 실시예 2-2의 경우 가장 우수한 저유전 특성을 나타내었다.
결국, 본 발명은 기존의 옥사졸리돈 환 함유 에폭시 수지의 유전특성의 한계를 극복하면서도 내열성과 접착강도에 있어서도 우수한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Claims (15)

  1.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변성 디사이클로펜타디엔(DCPD)-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
    [화학식 2]
    Figure pat00017

    상기 식에서,
    n은 0 내지 12이고,
    각각의 -X는 독립적으로
    Figure pat00018
    또는
    Figure pat00019
    이고, 여기서 R1은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부터 이소시아네이트기를 제외한 잔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 디사이클로펜타디엔-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는 디사이클로펜타디엔-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와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 디사이클로펜타디엔-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사이클로펜타디엔-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와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 중량비는 75~97 : 3~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 디사이클로펜타디엔-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단량체성 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onomeric-MDI), 중합체성 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polymeric-MDI), 개질된 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odified-MDI),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 단량체성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monomeric-HDI), 중합체성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polymeric-HDI) 및 아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 디사이클로펜타디엔-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중합체성 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polymeric-MD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 디사이클로펜타디엔-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변성 디사이클로펜타디엔-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경화제, 경화 촉매, 무기 충진제 및 용매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IPC TM-650 2.5.5.9 규격에 의거하여 측정시 유전율(1GHz)이 3.3 이하이고, 유전손실율(1GHz)이 0.0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반도체 패키지용 적층판, 고주파 전송용 적층판, 동박 적층판(CCL: Copper clad laminat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판 또는 절연판에 사용되거나, 접착제, 코팅제, 또는 반도체용 봉지재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10. 동박; 및 상기 동박의 표면에, 제6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경화 또는 반경화 상태의 수지층을 포함하는 동박 적층판.
  1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사이클로펜타디엔-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와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변성 디사이클로펜타디엔-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의 제조 방법:
    [화학식 1]
    Figure pat00020

    [화학식 2]
    Figure pat00021

    상기 식에서, n은 0 내지 12이고,
    각각의 -X는 독립적으로
    Figure pat00022
    또는
    Figure pat00023
    이고, 여기서 R1은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부터 이소시아네이트기를 제외한 잔기이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사이클로펜타디엔-페놀 타입 에폭시 수지와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 중량비는 75~97 : 3~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단량체성 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중합체성 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개질된 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성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중합체성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아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중합체성 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이 이미다졸계 촉매 하에서 100℃ 내지 25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KR1020150107332A 2015-07-29 2015-07-29 변성 에폭시 수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142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332A KR20170014277A (ko) 2015-07-29 2015-07-29 변성 에폭시 수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332A KR20170014277A (ko) 2015-07-29 2015-07-29 변성 에폭시 수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277A true KR20170014277A (ko) 2017-02-08

Family

ID=58155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332A KR20170014277A (ko) 2015-07-29 2015-07-29 변성 에폭시 수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42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362A (ko) * 2017-11-08 2019-05-16 주식회사 케이씨씨 에폭시 수지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362A (ko) * 2017-11-08 2019-05-16 주식회사 케이씨씨 에폭시 수지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4473B1 (ko) 옥사졸리돈 고리 함유 에폭시 수지, 그 제조 방법, 에폭시 수지 조성물 및 그 경화물
JP6770793B2 (ja) 難燃性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KR102423320B1 (ko) 옥사졸리돈 고리 함유 에폭시 수지 조성물, 그 제조 방법,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경화물
KR101987285B1 (ko) 인쇄회로기판용 수지 조성물, 절연필름, 프리프레그 및 인쇄회로기판
JP6441632B2 (ja) エポキシ樹脂の製造方法
JP2017206641A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CN115777003A (zh) 异氰酸酯改质聚酰亚胺树脂、树脂组合物及其硬化物
JP2012251130A (ja) 印刷回路基板用絶縁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含む印刷回路基板
JP5783413B2 (ja) 新規リン原子を有するエポキシ樹脂、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KR101329695B1 (ko) 재작업이 가능한 에폭시 수지 조성물
WO2008020594A1 (fr) Résine époxy liquide modifiée, composition de résine époxy contenant celle-ci et produit cuit dérivé
TWI739976B (zh) 含烯基之樹脂、硬化性樹脂組成物及其硬化物
JP6476527B2 (ja) 液状多価ヒドロキシ樹脂、その製造方法、エポキシ樹脂用硬化剤、エポキシ樹脂組成物、その硬化物およびエポキシ樹脂
JP2003012765A (ja) 難燃性エポキシ樹脂組成物
KR20170014277A (ko) 변성 에폭시 수지 및 그 제조방법
JP4676739B2 (ja) 樹脂組成物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プリプレグおよび積層板
WO2013080936A1 (ja) フェノールノボラック樹脂及びそれを用いたエポキシ樹脂組成物
KR101910134B1 (ko) 변성 에폭시 수지 및 그 제조방법
TWI754743B (zh) 含甲基烯丙基之樹脂、硬化性樹脂組成物及其硬化物
TWI837297B (zh) 酯化合物、樹脂組成物、硬化物、及增層膜
KR20140080182A (ko) 인쇄회로기판용 수지 조성물, 절연필름, 프리프레그 및 인쇄회로기판
WO2017026396A1 (ja) エポキシ樹脂、変性エポキシ樹脂、エポキシ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物
JP7281246B1 (ja) 封止材用マレイミド樹脂混合物、マレイ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物
JP7296781B2 (ja) オキサゾリドン環含有エポキシ樹脂、その製造方法、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KR101948874B1 (ko)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프리프레그, 이를 포함하는 적층판,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부착 금속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