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4165A -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 - Google Patents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4165A
KR20170014165A KR1020150107046A KR20150107046A KR20170014165A KR 20170014165 A KR20170014165 A KR 20170014165A KR 1020150107046 A KR1020150107046 A KR 1020150107046A KR 20150107046 A KR20150107046 A KR 20150107046A KR 20170014165 A KR20170014165 A KR 20170014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losing member
bead
lower case
cylindrical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7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3605B1 (ko
Inventor
경 곤 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명
Priority to KR1020150107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605B1/ko
Publication of KR20170014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166Means for dispensing particulate material on to freshly applied markings or into the marking material after discharge thereof, e.g. reflective beads, grip-improving p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에 차선을 그리는 차선도색기에 장착되어, 글라스 비드를 분사하는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선도색기 본체의 측부에 하부 케이스(10)가 장착되고, 하부 케이스(10)로 공급되는 비드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상부 케이스(30)가 하부 케이스(10)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 케이스(10)의 내부에 원심 투사용 임펠러(20)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10)는 내부에 원심 투사용 임펠러(20)를 감싸도록 원통형 하우징(12)이 형성되고, 원통형 하우징(12)에 상부 투입구(13)와 하부 토출구(14)가 형성되며, 하부 토출구(14)에 토출 가이드부(16)가 연결되고, 토출 가이드부(16)가 원심 투사용 임펠러(20)의 회전 방향과 일치되는 쪽으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토출 가이드부(16)의 토출구 폭(W1)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DEVICE FOR SPRAYING BEAD IN THE TRAFFIC LANE MARKING MACHINE}
본 발명은 도로에 차선을 그리는 차선도색기에 장착되어, 글라스 비드를 분사하는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 케이스의 하부 토출구에 토출 가이드부가 연결되고, 토출 가이드부가 원심 투사용 임펠러의 회전 방향과 일치되는 쪽으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토출 가이드부의 토출구 폭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글라스 비드가 원심 투사용 임펠러에서 토출 가이드부를 통해 뿌려지는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389297호(2014년 4월 21일, 등록)에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는 차선도색장치에 케이스가 장착되고, 케이스의 개구부가 하방으로 배치되고, 케이스의 내부에 원심 투사용 임펠러가 배치되고, 임펠러가 케이스의 일측면으로 끼워지는 구동축과 연결되어, 구동축에 의해 임펠러가 회전되며, 케이스의 상부 연결판에 공급구멍이 형성되고, 공급구멍에 호퍼의 공급관이 연결되고, 공급관에 회전밸브가 장착되어, 회전밸브에 의해 임펠러로의 글래스 비드 공급이 제어된다.
그러나, 상기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는 회전밸브의 회전속도와 임펠러의 회전 속도를 맞추기 어려워, 회전밸브에서 임펠러에 형성된 각각의 블레이드 사이의 수용부로 글라스 비드를 균일하게 공급하지 못함으로써, 도색된 차선으로 뿌려지는 하는 글라스 비드의 양이 균일하지 못하고, 케이스 하부의 개구부가 넓게 형성되어, 페인트가 칠해진 부분 이외의 부분으로 글라스 비드가 뿌려져 글라스 비드가 많이 낭비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389296호(2014년 4월 21일, 등록)에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는 차선도색기에 케이스가 장착되고, 케이스의 개구부가 하부로 개방되고, 케이스의 내부에 원심 투사용 임펠러가 배치되고, 임펠러가 케이스의 일측면으로 끼워지는 구동축과 연결되어, 구동축에 의해 임펠러가 회전되며, 구동축의 선단이 스크류 샤프트와 연결되고, 호퍼의 공급관이 케이스를 통해 임펠러의 제 2 측판에 형성된 공급 구멍으로 연장되어, 스크류 샤프트의 자유단이 공급관 선단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는 글라스 비드가 임펠러의 공급구멍으로 공급될 때, 구동축에 의해 글라스 비드가 깨져 분말화되고, 케이스 하부의 개구부가 넓게 형성되어, 페인트가 칠해진 부분 이외의 부분으로 글라스 비드가 뿌려져 글라스 비드가 많이 낭비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심 투사용 임펠러가 장착되는 하부 케이스의 하부 토출구에 토출 가이드부가 연결되고, 토출 가이드부가 원심 투사용 임펠러의 회전 방향과 일치되는 쪽으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토출 가이드부의 토출구 폭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글라스 비드가 원심 투사용 임펠러에서 토출 가이드부를 통해 뿌려짐으로써, 글라스 비드가 넓게 뿌려져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 케이스의 상부 호퍼부 하단 중앙에 원통형 개폐부재가 장착되어, 상부 호퍼부의 글라스 비드가 원통형 개폐부재에 의해 하부 케이스의 원심 투사용 임펠러로 공급되는 것이 제어되고, 원통형 개폐부재가 조절 레버에 의해 개폐가 제어되며, 조절 레버에 의해 원통형 개폐부재에 형성된 통공의 개폐 정도가 조절되어, 원심 투사용 임펠러로 공급되는 글라스 비드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의 일례는 차선도색기 본체의 측부에 하부 케이스가 장착되고, 하부 케이스로 공급되는 비드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상부 케이스가 하부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 케이스의 내부에 원심 투사용 임펠러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는 내부에 원심 투사용 임펠러를 감싸도록 원통형 하우징이 형성되고, 원통형 하우징에 상부 투입구와 하부 토출구가 형성되며, 하부 토출구에 토출 가이드부가 연결되고, 토출 가이드부가 원심 투사용 임펠러의 회전 방향과 일치되는 쪽으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토출 가이드부의 토출구 폭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심 투사용 임펠러는 회전축에 제 1 측판과 제 2 측판이 장착되고, 제 1 측판과 제 2 측판 사이에 다수개의 블레이드가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블레이드 사이에 글라스 비드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회전축에 종동풀리가 장착되고, 종동풀리가 벨트를 통해 모터의 구동풀리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케이스는 하부 플랜지가 하부 케이스의 상부 플랜지에 결합되고, 내부에 원통형 개폐부재가 각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원통형 개폐부재의 외주면에 공급구멍이 천공되고, 원통형 개폐부재의 회전축에 링크 바의 하단이 수직하게 연결되고, 링크 바의 상단에 조절 레버의 일단이 직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는 측부에 바이브레이터가 장착되고, 상단부에 브이자형 제 3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제 3 가이드부에 의해 상부 호퍼부와 하부 장착부로 구분되며, 제 3 가이드부의 중앙 하단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하부 장착부에 원통형 개폐부재가 장착되어, 원통형 개폐부재의 외주면이 절개부가 형성된 제 3 가이드부의 중앙 하단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구멍은 다수개가 일렬로 천공되거나, 또는 어느 일단에서 타단에 근접하는 장공 형태로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는 하부 케이스에 형성된 원통형 하우징의 하부 토출구에 토출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원심 투사 임펠러의 그라스 비드가 토출 가이드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글라스 비드가 넓게 뿌려져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부 케이스의 상부 호퍼부에 채우진 글라스 비드가 원통형 개폐부재에 의해 하부 케이스의 원심 투사용 임펠러로 공급되는 것이 제어되고, 원통형 개폐부재에 형성된 공급구멍의 개폐 정도가 조절되어, 상부 호퍼부의 글라스 비드가 원심 투사용 임펠러로 공급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를 도시한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원통형 개폐부재에 형성되는 공급구멍의 다른 형태롤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원통형 개폐부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원통형 개폐부재에 형성된 공급구멍의 정도를 조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는 차선도색기 본체(도시하지 않음)의 측부에 하부 케이스(10)가 장착되고, 하부 케이스(10)로 공급되는 비드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상부 케이스(30)가 하부 케이스(10)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 케이스(10)의 내부에 원심 투사용 임펠러(20)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케이스(10)는 내부에 원심 투사용 임펠러(20)를 감싸도록 원통형 하우징(12)이 형성되고, 원통형 하우징(12)에 상부 투입구(13)와 하부 토출구(14)가 형성되며, 하부 토출구(14)에 토출 가이드부(16)가 연결되고, 토출 가이드부(16)가 원심 투사용 임펠러(20)의 회전 방향과 일치되는 쪽으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토출 가이드부(16)의 토출구 폭(W1)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글라스 비드가 원심 투사용 임펠러(20)에서 토출 가이드부(16)를 통해 뿌려짐으로써, 글라스 비드가 넓게 뿌려져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원심 투사용 임펠러(20)는 회전축(21)에 제 1 측판(22a)과 제 2 측판(22b)이 장착되고, 제 1 측판(22a)과 제 2 측판(22b) 사이에 다수개의 블레이드(23)가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블레이드(23) 사이에 글라스 비드를 수용하는 수용부(24)가 형성되고, 회전축(21)에 종동풀리(25)가 장착되고, 종동풀리(25)가 벨트(72)를 통해 모터(70)의 구동풀리(71)와 연동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원심 투사용 임펠러(20)는 상부 케이스(30)에서 공급되는 글라스 비드가 블레이드(23) 사이의 수용부(24)로 공급되고, 모터(70)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과정에서, 수용부(24)가 하부 토출구(14)에 위치하게 될 때, 수용부(24)의 글라스 비드가 토출 가이드부(16)를 통해 뿌려지게 된다.
또한, 상기 원통형 하우징(12)은 상부에 브이자형의 공급 가이드부(15)가 형성되고, 공급 가이드부(15)의 하단 중앙에 상부 투입구(13)가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30)는 하부 플랜지(31)가 하부 케이스(10)의 상부 플랜지(11)에 결합되고, 내부에 원통형 개폐부재(40)가 각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원통형 개폐부재(40)의 외주면에 공급구멍(42)이 천공되고, 원통형 개폐부재(40)의 회전축(41)에 링크 바(50)의 하단이 수직하게 연결되고, 링크 바(50)의 상단에 조절 레버(60)의 일단이 직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30)는 측부에 바이브레이터(80 ; 도 3에 개략적으로 박스로 도시함)가 장착되고, 상단부에 브이자형 제 3 가이드부(31)가 형성되어, 제 3 가이드부(31)에 의해 상부 호퍼부(32)와 하부 장착부(33)로 구분되며, 제 3 가이드부(31)의 중앙 하단에 절개부(35)가 형성되고, 하부 장착부(33)에 원통형 개폐부재(40)가 장착되어, 원통형 개폐부재(40)의 외주면이 절개부(35)가 형성된 제 3 가이드부(31)의 중앙 하단에 밀착되게 배치된다.
상기 공급구멍(42)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다수개가 일렬로 천공되거나,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어느 일단에서 타단에 근접하는 장공 형태로 천공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호퍼부(32)의 상부에는 별도의 호퍼(도시하지 않음)가 더 장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의 작동은 다음고 같다.
도 5에 실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원통형 개폐부재(40)의 공급구멍(42)이 상하로 배치된 오픈 상태에서는 상부 케이스(30)의 상부 호퍼부(32)에 채워진 글라스 비드(도시하지 않음)가 원통형 개폐부재(40)의 공급구멍(42)을 통해 원심 투사용 임펠러(20)로 낙하된다. 이때, 바이브레이터(80)에 의해 상부 케이스(30)가 진동하게 됨으로써, 공급구멍(42)이 글라스 비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후, 도 5에 점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조절 레버(60)를 도 5의 화살표(65) 방향으로 당기면, 링크 바(50)가 원통형 개폐부재(40)의 회전축(41 ; 도 1 참조)에 링크 바(50)의 하단이 연결되어 있어, 조절 레버(60)에 연결된 링크 바(50)의 상단이 링크 바(50)의 하단을 중심으로 각회전됨으로써, 링크 바(50)에 의해 원통형 개폐부재(40)가 각회전되고, 원통형 개폐부재(40)의 공급구멍(42)이 제 3 가이드부(31)의 하단에 가려지게 됨으로써, 상부 호퍼부(32)의 글라스 비드가 원통형 개폐부재(40)의 공급구멍(42)을 통과할 수 없는 닫힌 상태가 된다.
이후, 도 5의 화살표(65) 반대방향으로 조절 레버(60)를 밀면, 도 5의 실선으로 도시된 개방 상태로 리턴된다.
그리고, 도 5의 개방 위치에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화살표(67) 방향과 같은 우측 방향으로 링크 바(50)의 상단을 각회전시키면, 링크 바(50)의 하단에 연결된 원통형 개폐부재(40)가 반시계 방향으로 각회전되어, 원통형 개폐부재(40)의 공급구멍(42)의 일부가 제 3 가이드부(31)의 하단에 가려지게 됨으로써, 상부 호퍼부(32)로 개방되는 원통형 개폐부재(40)의 공급구멍(42)의 크기가 조절되어, 상부 호퍼부(32)의 글라스 비드가 원통형 개폐부재(40)의 공급구멍(42)을 통해 원심 투사용 임펠러(20)로 낙하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10 : 하부 케이스 20 : 원심 투사용 임펠러
30 : 상부 케이스 40 : 원통형 개폐부재
50 : 링크 바 60 : 조절 레버

Claims (5)

  1. 차선도색기 본체의 측부에 하부 케이스(10)가 장착되고, 하부 케이스(10)로 공급되는 비드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상부 케이스(30)가 하부 케이스(10)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 케이스(10)의 내부에 원심 투사용 임펠러(20)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10)는 내부에 원심 투사용 임펠러(20)를 감싸도록 원통형 하우징(12)이 형성되고, 원통형 하우징(12)에 상부 투입구(13)와 하부 토출구(14)가 형성되며, 하부 토출구(14)에 토출 가이드부(16)가 연결되고, 토출 가이드부(16)가 원심 투사용 임펠러(20)의 회전 방향과 일치되는 쪽으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토출 가이드부(16)의 토출구 폭(W1)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 투사용 임펠러(20)는 회전축(21)에 제 1 측판(22a)과 제 2 측판(22b)이 장착되고, 제 1 측판(22a)과 제 2 측판(22b) 사이에 다수개의 블레이드(23)가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블레이드(23) 사이에 글라스 비드를 수용하는 수용부(24)가 형성되고, 회전축(21)에 종동풀리(25)가 장착되고, 종동풀리(25)가 벨트(72)를 통해 모터(70)의 구동풀리(71)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30)는 하부 플랜지(31)가 하부 케이스(10)의 상부 플랜지(11)에 결합되고, 내부에 원통형 개폐부재(40)가 각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원통형 개폐부재(40)의 외주면에 공급구멍(42)이 천공되고, 원통형 개폐부재(40)의 회전축(41)에 링크 바(50)의 하단이 수직하게 연결되고, 링크 바(50)의 상단에 조절 레버(60)의 일단이 직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30)는 측부에 바이브레이터(80)가 장착되고, 상단부에 브이자형 제 3 가이드부(31)가 형성되어, 제 3 가이드부(31)에 의해 상부 호퍼부(32)와 하부 장착부(33)로 구분되며, 제 3 가이드부(31)의 중앙 하단에 절개부(35)가 형성되고, 하부 장착부(33)에 원통형 개폐부재(40)가 장착되어, 원통형 개폐부재(40)의 외주면이 절개부(35)가 형성된 제 3 가이드부(31)의 중앙 하단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구멍(42)은 다수개가 일렬로 천공되거나, 또는 어느 일단에서 타단에 근접하는 장공 형태로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
KR1020150107046A 2015-07-29 2015-07-29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 KR101923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046A KR101923605B1 (ko) 2015-07-29 2015-07-29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046A KR101923605B1 (ko) 2015-07-29 2015-07-29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165A true KR20170014165A (ko) 2017-02-08
KR101923605B1 KR101923605B1 (ko) 2018-11-30

Family

ID=58155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046A KR101923605B1 (ko) 2015-07-29 2015-07-29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6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56014A (zh) * 2018-11-27 2019-02-19 上海展富交通设施工程有限公司 玻璃珠播撒系统、点涂设备及控制方法
KR20190033801A (ko) * 2017-09-22 2019-04-01 경 곤 김 횡단 보도용 도색장비 및 도색방법
CN110656563A (zh) * 2019-10-23 2020-01-07 安徽拓力工程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玻璃微珠撒布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24518A (zh) * 2020-03-24 2020-07-17 浙江众鑫新材料有限公司 一种复合反光道路标线划线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1848A (ja) * 2000-06-06 2001-12-11 Houshou:Kk 粉体及び顆粒体の定量散布装置
JP2008196291A (ja) * 2007-02-09 2008-08-28 Sagami Road:Kk 自走式路面滑止舗装施工機
JP5740852B2 (ja) * 2010-06-24 2015-07-01 富士電機株式会社 粉体切出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粉体異物検査装置
KR101404641B1 (ko) * 2012-06-27 2014-06-17 (주) 로드테크 미끄럼방지 시공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801A (ko) * 2017-09-22 2019-04-01 경 곤 김 횡단 보도용 도색장비 및 도색방법
CN109356014A (zh) * 2018-11-27 2019-02-19 上海展富交通设施工程有限公司 玻璃珠播撒系统、点涂设备及控制方法
CN110656563A (zh) * 2019-10-23 2020-01-07 安徽拓力工程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玻璃微珠撒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3605B1 (ko) 2018-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3605B1 (ko)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
US5826797A (en) Operationally changeable multiple nozzles sprinkler
EP295847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ariation of flow to erode solid chemistry
US7226003B2 (en) Rotary drive sprinkler with flow control and shut off valve in nozzle housing
US10751816B2 (en) Protective cooling cover for cutter discs
JP2008167703A (ja) 無人ヘリコプター用薬剤散布装置
JP2008093530A (ja) 凝集剤溶解装置
KR101735648B1 (ko) 원통형 카트리지 카본 필터 제조용 방사 노즐 부재, 상기 원통형 카트리지 카본 필터 제조용 방사 노즐 부재를 포함하는 원통형 카트리지 카본 필터 제조 장치 및 상기 원통형 카트리지 카본 필터 제조용 방사 노즐 부재를 이용하여 제조된 원통형 카트리지 카본 필터
US9694371B2 (en) Substrate treatment apparatus and substrate treatment method
KR102117279B1 (ko) 양식장의 사료공급장치
KR101172036B1 (ko) 입자 코팅장치
KR102045418B1 (ko) 살포방향 조절장치가 구비된 비료살포기
JP2003023949A (ja) ヘリコプタの散布装置
KR101126433B1 (ko) 쇼트 블라스트용 쇼트볼 공급장치
JP6338433B2 (ja) 粉粒体の容器への定量供出装置
EP1670992B1 (en) Spreader arrangement for a road machine
US3165859A (en) Dry feeder spray apparatus
JP4555993B2 (ja) 肥料散布機
KR20170032535A (ko) 도장용 회전식 분사노즐과 이를 이용한 파이프의 내부 도장방법
KR101389297B1 (ko)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
KR101923159B1 (ko) 사출 성형기용 원료 혼합기
JP2001186836A (ja) 薬剤散布装置
WO2018095586A1 (en) Handheld apparatus for spreading material
JPH11138070A (ja) 無線操縦式ヘリコプターに搭載する薬剤散布装置
KR101389296B1 (ko)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376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808

Effective date: 2018080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